KR102041990B1 - 부스리스 영사 시스템 - Google Patents

부스리스 영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1990B1
KR102041990B1 KR1020190113368A KR20190113368A KR102041990B1 KR 102041990 B1 KR102041990 B1 KR 102041990B1 KR 1020190113368 A KR1020190113368 A KR 1020190113368A KR 20190113368 A KR20190113368 A KR 20190113368A KR 102041990 B1 KR102041990 B1 KR 1020419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projector
guide rail
projection angle
pro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3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수
이대일
Original Assignee
(주)유유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유코리아 filed Critical (주)유유코리아
Priority to KR10201901133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19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19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19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43Allowing translations
    • F16M11/046Allowing translations adapted to upward-downward translation movem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3Cine-proje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스리스 영사 시스템은, 상기 스크린과 마주보는 전면부에 영상을 투과시키는 투사창이 형성되며, 하부면이 개방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하부면으로부터 수직 하부 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 레일; 및 영상을 송출하는 영사기가 안착되며, 상기 가이드 레일에 체결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여 영상 송출을 위해 상기 영사기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도록 하거나 상기 영사기의 점검을 위해 상기 영사기를 상기 하우징 외부에 위치하도록 하는 리프트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부스리스 영사 시스템 {Boothless projection system}
본 발명은 부스리스 영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영화관에 설치되어 스크린에 영상을 투사하는 부스리스 영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영화관은 영상 프레임을 스크린에 연속적으로 비추도록 영사기(motion picture projector)가 설치된 영사 부스와, 영사기에서 투영한 화상을 관람객들이 스크린을 통하여 감상하는 상영관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종래 기술에 따른 영사 시스템은 영사 부스의 영사기에서 비춘 화상이 영사창을 통해 상영관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고, 영사 기사는 영사 부스에서 영사기를 조작 및 관리한다.
따라서, 종래의 영사 시스템은 객석의 맨 뒷부분에 영사 부스 설치를 위한 공간을 확보하고, 그 공간의 2층에 영사기를 설치한다. 아울러 영사 기사는 계단 등을 통해 2층의 영사실로 들어가 영화를 상영한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방식은 별도의 영사 부스 공간을 확보해야 하기 때문에 공간상 제약으로 인해 객석을 확장하기 어렵다. 또한, 영사기의 초점이나 출력 방향 조절 등을 위해 반드시 영사 기사가 상주해야 하며, 이러한 문제는 다수의 상영관을 보유한 멀티플렉스 영화관의 경우에 더욱 심각하였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 10-1980733호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86684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영사 시스템이 설치되기 위한 공간을 최소화하여 다양한 크기의 상영관에서도 효율적인 영사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는 부스리스 영사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간단한 조작 만으로도 영사기의 영사 각도 및 초점거리를 조절할 수 있어 무인 영사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는 부스리스 영사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스리스 영사 시스템은, 영화관에 설치되어 스크린에 영상을 투사하는 영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기 스크린과 마주보는 전면부에 영상을 투과시키는 투사창이 형성되며, 하부면이 개방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하부면으로부터 수직 하부 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 레일; 및 영상을 송출하는 영사기가 안착되며, 상기 가이드 레일에 체결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여 영상 송출을 위해 상기 영사기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도록 하거나 상기 영사기의 점검을 위해 상기 영사기를 상기 하우징 외부에 위치하도록 하는 리프트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가이드 레일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스크류; 상기 스크류 일단에 설치된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리프트 프레임은, 상기 스크류에 결합 설치되는 ㄴ자 형상의 롤러 베이스; 및 상기 롤러 베이스에 지면과 수평한 방향으로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리프트 프레임은, 상기 영사기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리프트 프레임에 안착된 상기 영사기의 안착 각도를 조절하는 영사 각도 조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영사 각도 조절부는, 하부면은 상기 리프트 프레임에 고정 설치되고, 상부면은 하방으로 오목한 곡면이 형성된 하부 조절부; 및 상부면은 상기 영사기 하부에 설치되고, 하부면은 상기 하부 조절부의 상부면 형상에 대응되도록 하방으로 볼록한 곡면이 형성되어, 상기 하부 조절부의 곡면 형상을 따라 회전 운동하여 상기 영사기의 영사 각도를 가변시키는 상부 조절부를 포함하되,
상기 하부 조절부의 상부면 표면에는 복수의 롤러가 설치되고, 상기 상부 조절부의 하부면은 상기 롤러와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 조절부의 곡면 형상을 따라 진자 운동하여 상기 영사기의 영사 각도를 상하 방향으로 가변시키고,
상기 리프트 프레임은, 상기 영사 각도 조절부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서 전진 또는 후진시키기 위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영사 각도 조절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영사 각도 조절부와 체결되는 걸림고리가 형성된 길이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고리는, 상기 길이 조절부의 내부 공간에서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슬라이딩 바아; 상기 슬라이딩 바아의 전단 양측으로부터 상기 길이 조절부의 상단 외부로 노출되도록 연장 형성되는 두 개의 연장 바아; 상기 두 개의 연장 바아의 각 전단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바아;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걸 수 있도록 상기 연결 바아의 전단에 설치되는 고리;를 포함하며,
상기 길이 조절부는, 상기 롤러 베이스의 상부에 설치되는 바디 프레임; 상기 걸림고리의 상기 슬라이딩 바아가 상기 바디 프레임의 내부 공간에서 지면과 수평한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바디 프레임의 상부면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중공 형성되는 슬라이딩홈; 상기 걸림고리의 상기 두 개의 연장 바아가 각각 통과되어 상하 수직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바디 프레임의 전면 일측 및 다른 일측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한 쌍의 가이드홈; 상기 슬라이딩홈의 상부 공간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딩홈의 일측에서 상부 일부가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기어; 상기 기어의 회전축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걸림고리의 상기 연장 바아에 체결되며, 상기 기어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회전축에 감기거나 풀리면서 상기 연장 바아를 전진 또는 후진시켜 주는 승하강 체인;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스크류에 탈부착 가능한 형태로 체결되어 상기 스크류에 붙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스크류 청소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크류 청소부는, 박스 형태로 형성되며, 일측에 상기 스크류가 내부 공간으로 진입하기 위한 입구가 형성되고, 다른 일측에 내부 공간으로 진입한 상기 스크류가 나가기 위한 출구가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기 입구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입구를 통해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으로 진입되는 상기 스크류의 상측에 안착되어 상기 스크류의 이동에 따라 회전하여 상기 스크류의 진입을 유도하는 가이드 롤러;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중심에 관통홀을 형성하는 링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여 이동 중인 상기 스크류의 외측면에 붙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브러시링; 및 상기 브러시링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브러시링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기어에 맞물려 설치되는 다수 개의 구동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브러시링은, 상기 스크류가 통과하는 상기 관통홀의 내주면을 따라 상기 스크류의 외측면에 붙어 있는 이물질을 쓸어서 제거하기 위한 브러시솔을 구비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다양한 크기의 상영관 구조에 대응하여 영사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불필요한 건물 면적을 줄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영사 시스템을 설치하기 위한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영사기의 영사 각도를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영사기의 초점 거리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어 스크린에 영상을 결상되는 영상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스리스 영사 시스템이 상영관에 설치된 일 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스리스 영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2의 부스리스 영사 시스템의 구체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5는 영사 각도 조절부의 구체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9는 길이 조절부의 구체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스크류 청소부의 구체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스리스 영사 시스템이 상영관에 설치된 일 예가 도시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스리스 영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멀티플렉스 영화관 등과 같은 영화관의 객석(ST) 후방측에 설치되어 전방의 스크린(SC)에 영상을 투사하는 부스리스 영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상영관과 같은 영사실을 구비할 필요 없이 직접 설치가 가능하여 최소의 공간만 차지한다.
따라서, 영사실은 물론 영사실에 올라가기 위한 계단 등 부대시설의 면적에 대응하는 공간을 추가로 확보하므로, 상영관 내부의 객석(ST) 수를 증가시키거나 혹은 객석(ST) 사이의 간격을 넓힐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영화 상영시 영상을 출력하는 영사기(프로젝터, PR)가 게이드 레일(200)를 따라 승하강되는 리프트 프레임(300)에 의해 상승하여 하우징(100) 내부에 셋팅되고, 프로젝터(PR)의 틸팅 각도 및 높낮이 등이 제어된다.
따라서, 영화 상영시 영사 기사가 불필요하므로 영사 기사가 상주하기 위한 공간 역시 불필요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객석(ST) 간격을 확보하고, 일시적인 관리를 위한 최소한의 영사 기사만 필요하게 한다.
이를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부스리스 영사 시스템(1)은 스크린과 마주보는 전면부에 영상을 투과시키는 투사창이 형성되며, 하부면이 개방된 하우징(100), 상기 하우징(100)의 하부면으로부터 수직 하부 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 레일(200) 및 영상을 송출하는 영사기가 안착되며, 상기 가이드 레일(200)에 체결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여 영상 송출을 위해 상기 영사기를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 위치하도록 하거나 상기 영사기의 점검을 위해 상기 영사기를 상기 하우징 외부에 위치하도록 하는 리프트 프레임(30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0)은 상영관의 천장에 설치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상영관의 뒤쪽 천장과 뒤쪽 벽면이 만나는 모서리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하지만, 하우징(100)의 설치 위치는 상술한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영관 환경에 따라 조절되거나 천장 내부에 매립 설치될 수도 있다.
하우징(100)의 상부면에는 하우징(100) 내부로 냉각 공기를 공급하는 쿨링 흡기구 및 냉각을 마친 상기 냉각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쿨링 배기구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200)은 하우징(100) 하부로부터 아래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레일 형상의 부재로, 상술한 예시와 같이 하우징(100)이 천장 모서리 부분에 설치되는 경우 가이드 레일(200)은 상영관의 뒤쪽 벽면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며, 가이드 레일(200)의 상부에 하우징(100)이 결합된 형태일 수 있다.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가이드 레일(200)은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스크류(210)와, 스크류(210)의 하단 부분에 형성된 모터(220)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220)에는 감속기가 결합될 수 있으며, 가이드 레일(200)의 작동 원리는 모터(220)에 감속기를 결합하여 스크류(210)를 회전하는 방식이며, 후술하겠지만 스크류(220)에 결합된 승강너트가 롤러베이스(310)와 결합되어 스크류(210)의 회전 방향에 따라 리프트 프레임(300)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방식이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스크류(210)의 상부와 하부의 소정 위치에는 각각의 리미트가 설치되어 리미트가 형성된 부분에 리프트 프레임(300)이 다다르면 자동으로 멈출 수 있다.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리프트 프레임(300)은 롤러 베이스(310) 및 베이스 플레이트(320)로 구성될 수 있다.
롤러 베이스(310)는 스크류(210)에 직접 결합되는 수직 날개와, 수직 날개로부터 직각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 날개로 구성된 ㄴ자 형상의 부재이다.
베이스 플레이트(320)는 롤러 베이스(310)의 수평 날개에 결합되는 판 형상의 부재로, 이에 따라 베이스 플레이트(320)는 지면과 수평한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320)의 상부면에는 영사기가 안착되며, 이에 따라 영사기는 리프트 프레임(300)에 의해 스크류(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지면으로부터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다.
몇몇 다른 실시에예서, 상기 리프트 프레임(300)은, 상기 영사기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리프트 프레임에 안착된 상기 영사기의 안착 각도를 조절하는 영사 각도 조절부(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5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영사 각도 조절부(330)의 구체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영사 각도 조절부(330)는 하부 조절부(331) 및 상부 조절부(332)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조절부(331)는 리프트 프레임(300)에 고정 설치되는 부재로, 하부면은 상기 리프트 프레임에 고정 설치되고, 상부면은 하방으로 오목한 곡면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하부 조절부(331)는 오목하게 형성된 상부면의 표면상에 복수의 롤러가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부 조절부(332)는 하부 조절부(331)의 상부에 형성되는 부재로, 상부면에는 영사기가 안착 설치될 수 있다. 특히, 상부 조절부(332)의 하부면은 상기 하부 조절부(331)의 상부면 형상에 대응되도록 하방으로 볼록한 곡면이 형성되어, 상기 하부 조절부의 곡면 형상을 따라 회전 운동하여 상부에 안착된 상기 영사기의 영사 각도를 가변시킬 수 있다.
즉, 상기 하부 조절부(331)의 상부면 표면에는 복수의 롤러가 설치되고, 상기 상부 조절부(332)의 하부면은 상기 롤러와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 조절부의 곡면 형상을 따라 진자 운동하여 상기 영사기의 영사 각도를 상하 방향으로 가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적은 힘으로도 영사기의 영사 각도를 상하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각각의 롤러가 무선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는 경우, 작업자가 상영관 외부에 있더라도 영사기의 영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몇몇 또 다른 실시예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프트 프레임(300)은, 상기 영사 각도 조절부(330)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20) 상에서 전진 또는 후진시키기 위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20)와 상기 영사 각도 조절부(330)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영사 각도 조절부(330)와 체결되는 걸림고리(152)가 형성된 길이 조절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영사 각도 조절부(330)는 영사기의 상하 각도만을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이에 따라 영사 각도 조절부(330)는 영사기가 스크린에 영상을 출력하는 위치(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하지만, 영사기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영사기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의 초점이 최초 설정된 초점과 어긋나게 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스크린에 결상되는 영상이 흐릿하게 보인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길이 조절부(150)는 상기 영사 각도 조절부(330)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20) 상에서 전진 또는 후진시킴으로써, 결과적으로 영사 각도 조절부(330)에 안착된 영사기가 가이드 레일(200)로부터 전진하거나 후진하여 영사기의 초점을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길이 조절부(150)의 상부에는 걸림 고리(152)가 형성될 수 있으며, 영사 각도 조절부(330)의 하부, 예컨대 하부 조절부(331)는 걸림고리(152)의 형상에 대응되는 홈이 형성되어 걸림고리(152)와 체결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7 내지 도 9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7 내지 도 9은 도 6의 길이 조절부(150)의 구체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길이 조절부(150)는, 바디 프레임(154), 슬라이딩홈(155), 가이드홈(156), 기어(157) 및 승하강 체인(158)을 포함한다.
바디 프레임(154)은, 길이 조절부(150)의 전체적인 형상을 규정하는 부재로, 방역용 가슴호보대(1)의 전면부(10)에 설치되며,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기 위한 내부 공간(즉, 슬라이딩홈(155))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전면부(10)에 부착 설치되는 후면(154b) 및 보호 패드(30)가 위치한 쪽에 형성되는 전면(154a)로 이루어진다.
슬라이딩홈(155)은, 걸림고리(152)의 슬라이딩 바아(1521)가 바디 프레임(154)의 내부 공간에서 상하 수직 방향, 다시 말해 지면과 수평한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바디 프레임(154)을 상부면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중공 형성되고, 상부 공간에 기어(157)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슬라이딩홈(155)은, 슬라이딩 바아(1521)의 일측 및 다른 일측이 삽입되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일측 및 다른 일측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슬라이딩 유도홈(155a)를 형성할 수 있다.
가이드홈(156)은, 걸림고리(152)의 두 개의 연장 바아(1522)가 각각 통과되어 상하 수직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바디 프레임(154)의 전면(154a) 일측 및 다른 일측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기어(157)는, 슬라이딩홈(155)의 상부 공간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슬라이딩홈(155)의 상측으로 상부 일부가 노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노출된 기어(157) 상부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조작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작업자는 기어(157)를 조작함으로써 걸림고리(152)의 전진 또는 후진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즉, 기어(157)는 슬라이딩홈(155)의 상측에 노출된 부분으로부터 조작되는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바디 프레임(154)이 이동함에 따라 회전하며, 바디 프레임(154)이 이동됨에 따라 회전하면서 승하강 체인(158)을 권취하거나 권출시킨다.
승하강 체인(158)은, 기어(157)의 회전축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걸림고리(152)의 슬라이딩 바아(1521)에 체결되며, 기어(157)가 회전함에 따라 기어(157)의 회전축에 권취되거나 권출되면서 연장 바아(1522)를 승강 또는 하강시켜 준다.
이때, 승하강 체인(158)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 이상의 걸림고리(152a, 152b, 152c)가 체결되어 일괄적으로 전진 또는 후진되어도 무방할 것이다.
길이 조절부(150)의 내측에는 걸림고리(152)가 설치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고리(152)는, 슬라이딩 바아(1521), 두 개의 연장 바아(1522), 연결 바아(1523) 및 고리(1524)를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딩 바아(1521)는, 길이 조절부(150)의 내부 공간, 즉 슬라이딩홈(155)에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며, 양측이 슬라이딩 유도홈(155a)을 따라 승강 또는 하강됨에 따라 승하강 슬라이딩이 흔들림 없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연장 바아(1522)는, 슬라이딩 바아(1521)의 전단 양측으로부터 길이 조절부(150)의 전단 외부로 노출되도록 연장 형성된다.
연결 바아(1523)는, 두 개의 연장 바아(1522)의 각 전단 사이를 연결한다.
고리(1524)는, 전시물(180)을 걸 수 있도록 연결 바아(1523)의 전단에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길이 조절부(150)는, 기어(157)를 통해 감지되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영사 각도 조절부(330)를 전진 또는 후진시킴으로써 결과적으로 영사기를 미세하게 전진 또는 후진시켜 초점을 정밀하게 보정할 수 있다.
몇몇 또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부스리스 영사 시스템(1)은 스크류(210)를 주기적으로 청소하기 위한 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10 및 도 11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류 청소부의 구체적인패널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스리스 영사 시스템(1)은, 상기 스크류(210)에 탈부착 가능한 형태로 체결되어 리프트 프레임(300)의 승하강 과정에서 스크류(210)에 붙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 스크류 청소부(190)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스크류 청소부(190)는, 케이스(191), 가이드 롤러(192), 브러시링(193) 및 다수 개의 구동기어(194)를 포함한다.
케이스(191)는, 박스 형태로 형성되며, 일측에 스크류(210)가 내부 공간으로 진입하기 위한 입구가 형성되고, 다른 일측에 내부 공간으로 진입한 스크류(210)가 나가기 위한 출구가 형성되며, 입구에는 가이드 롤러(192)가 설치되고, 내부 공간에 브러시링(193) 및 다수 개의 구동기어(194)가 설치된다.
가이드 롤러(192)는, 케이스(191)의 입구 상부에 설치되며, 입구를 통해 케이스(191)의 내부 공간으로 진입 중인 스크류(210)의 상측에 안착되어 스크류(210)의 이동에 따라 회전하여 스크류(210)의 진입을 유도한다.
브러시링(193)은, 케이스(191)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중심에 관통홀(1933)을 형성하는 링 형태로 형성되며, 관통홀(1933)을 통과하여 이동 중인 스크류(210)의 외측면에 붙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며,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기어(1932)에 맞물린 구동기어(194)에 의하여 회전된다.
일 실시예에서, 브러시링(193)은, 스크류(210)가 통과하는 관통홀(1933)의 내주면을 따라 스크류(210)의 외측면에 붙어 있는 이물질을 쓸어서 제거하기 위한 브러시솔(1931)을 구비할 수 있다.
구동기어(194)는, 브러시링(193)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브러시링(193)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기어에 맞물려 케이스(191)의 내부 공간에서 다수 개가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스리스 영사 시스템(1)은, 리프트 프레임(300)의 안정적인 슬라이딩 이동을 보조할 수 있도록 형성된 스크류(210)에 탈부착 가능한 스크류 청소부(190)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이때, 스크류 청소부(190)는, 단순히 스크류(210)를 지지하는 기능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리프트 프레임의 상부 또는 하부에 설치된 경우, 리프트 프레임(300)의 지속적인 이동에 따라 스크류(210)에 흡착되는 이물질을 지속적으로 청소함으로써 스크류(210)가 흡착된 이물질에 의해 부식되는 등의 장비 노후화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몇몇 또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스크류(210)의 표면에는 자외선으로부터 여기(exite)되어 적색 가시광선 또는 적외선을 방출하는 다운컨버전(down conversion) 형광체 분말이 도포될 수 있다.
다운컨버전(down conversion) 형광체는 자외선으로부터 여기(exite)되어 적색 가시광선 또는 적외선을 방출하는 물질로, 높은 에너지 파장을 갖는 빛(광자)을 흡수하여 낮은 에너지 파장을 갖는 빛을 발산하는 광자와 매체 간의 상호 작용을 의미한다. 즉, 다운컨버전 형광체는 광이 조사되면 광원 중 높은 에너지 파장을 갖는 자외선을 흡수하며, 흡수된 자외선으로부터 여기(excite)되어 자외선보다 낮은 에너지 파장을 갖는 가시광선 또는 적외선을 방출하는 형광체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운컨버전 형광체는 무기물 형태의 세라믹 형광체 또는 유기물 형광체 소재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무기물 형태의 세라믹 형광체는 Y2O2S:Eu 형광체 또는 Y2O3:Eu 형광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면에는 Y2O2S:Eu 형광체 또는 Y2O3:Eu 형광체 중 어느 하나의 다운컨버전 형광체가 분말 형태로 함유된 접착제 조성물이 도포될 수 있다.
Y2O2S:Eu 세라믹 형광체는 Y2O2S에 유로퓸(Eu)이 활성제로서 도핑(doping)된 구조체이다. Y2O2S:Eu 세라믹 형광체 분말은 약 220~400nm 파장의 자외선을 흡수하여 적색 가시광선(630nm = 1.97eV) 및 적외선(713nm = 1.74eV)을 발산하는 다운컨버전 형광체이다. 그리고, Y2O3:Eu 세라믹 형광체 분말은 삼산화이트륨(Y2O3)에 유로퓸(Eu)이 활성제로서 도핑된 구조체이다. 특히, Y2O2S:Eu 세라믹 형광체 분말은 형광체에 포함된 유황(S)성분으로 인해 항 박테리아 및 소독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무기 세라믹 형광체 분말은 약 360nm 파장의 빛을 매우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으며, 흡수된 자외선으로부터 여기(excite)되어 약 630nm의 주 발광파장(적색 가시광선)뿐만 아니라 장파장인 713nm 파장(적외선)도 함께 발광함으로써, 적외선 발산 효과가 뛰어나다.
한편, 유기물 형광체는 PPV(Poly(1,4-phenylene vinylene)), Poly(thiophenes), Poly(2,5-pyridinevinylene), PFO(Polyfluorenes), BODIPY (boron-dipyrromethene) fluorophore, dithienotropylium, ABPX(aminobenzopyrano-xanthene)의 유도구조 및 PPV로부터 유도된 MEH-PPV(poly(2-methhoxy-5-(2-ethylhexyloxy)-1,4-pheneylenevinylene)) 및 MDMO-PPV(Poly[2-methoxy-5-(3
Figure 112019094098824-pat00001
,7′'-dimethyloctyloxy)-1,4-phenylenevinylene])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하지만, 형광체의 종류는 상술한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색 가시광선 또는 근적외선을 발광하는 다양한 유기물질 또는 무기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따른 방역용 부스리스 영사 시스템(1)를 구성하는 스크류(210)에는 유기물 형광체 또는 무기물 형광체 중 어느 하나의 다운컨버전 형광체가 분말 형태로 도포되거나 함유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접착제에 함유된 Y2O2S:Eu 세라믹 형광체 분말 또는 Y2O3:Eu 세라믹 형광체 분말은 비교적 높은 에너지 파장인 자외선을 흡수하여 비교적 낮은 에너지 파장인 적색 가시광선 또는 적외선을 방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스크류(210)로 자외선이 포함된 광원을 조사하게 되면, 가시광선 또는 적외선이 방출될 수 있으며, 몇몇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스리스 영사 시스템은 스크류(210)로부터 방출되는 광량을 측정하기 위한 조도 센서 및 조도 센서로부터 측정된 정보에 기초하여 스크류 청소부(190)의 동작 시점을 산출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조도 센서가 다운컨버전 형광체 분말로부터 방출되는 광량(조도값)을 측정하여 영사 시스템을 관리하는 제어부(미도시)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는 조도 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조도값을 분석하여 이물질 측정을 위해 조사된 광 대비 측정된 조도값을 비교하여 스크류(210)에 형성성된 이물질의 양을 추정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조도값을 가진 자외선 포함 측정광에 대하여 이물질이 없는 상태에서 측정된 다운컨버전 형광체 분말의 가시광선 방출량에 대한 상관관계를 도표화하여 미리 저장한 후, 조도 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실측 조도값을 도표화되어 저저장된 기준 조도값과 비교할 수 있다.
제어부는 실측 조도값과 기준 조도값과의 차이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 경우, 스크류(210)에 불필요한 이물질이 많이 쌓인 것으로 판단하여 스크류 청소부(190)를 가동할 것을 알리는 알림 신호를 생성하여 관리자가 휴대하는 관리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관리자는 제어부로부터 제공되는 알림 신호에 따라 스크류(210)의 청소 시점을 자동으로 판단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부스리스 영사 시스템
100: 하우징
200: 가이드 레일
300: 리프트 프레임

Claims (2)

  1. 영화관에 설치되어 스크린에 영상을 투사하는 부스리스 영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기 스크린과 마주보는 전면부에 영상을 투과시키는 투사창이 형성되며, 하부면이 개방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하부면으로부터 수직 하부 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 레일; 및
    영상을 송출하는 영사기가 안착되며, 상기 가이드 레일에 체결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여 영상 송출을 위해 상기 영사기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도록 하거나 상기 영사기의 점검을 위해 상기 영사기를 상기 하우징 외부에 위치하도록 하는 리프트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가이드 레일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스크류; 상기 스크류 일단에 설치된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리프트 프레임은, 상기 스크류에 결합 설치되는 ㄴ자 형상의 롤러 베이스; 및 상기 롤러 베이스에 지면과 수평한 방향으로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리프트 프레임은, 상기 영사기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리프트 프레임에 안착된 상기 영사기의 안착 각도를 조절하는 영사 각도 조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영사 각도 조절부는, 하부면은 상기 리프트 프레임에 고정 설치되고, 상부면은 하방으로 오목한 곡면이 형성된 하부 조절부; 및 상부면은 상기 영사기 하부에 설치되고, 하부면은 상기 하부 조절부의 상부면 형상에 대응되도록 하방으로 볼록한 곡면이 형성되어, 상기 하부 조절부의 곡면 형상을 따라 회전 운동하여 상기 영사기의 영사 각도를 가변시키는 상부 조절부를 포함하되,
    상기 하부 조절부의 상부면 표면에는 복수의 롤러가 설치되고, 상기 상부 조절부의 하부면은 상기 롤러와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 조절부의 곡면 형상을 따라 진자 운동하여 상기 영사기의 영사 각도를 상하 방향으로 가변시키고,
    상기 리프트 프레임은, 상기 영사 각도 조절부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서 전진 또는 후진시키기 위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영사 각도 조절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영사 각도 조절부와 체결되는 걸림고리가 형성된 길이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고리는, 상기 길이 조절부의 내부 공간에서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슬라이딩 바아; 상기 슬라이딩 바아의 전단 양측으로부터 상기 길이 조절부의 상단 외부로 노출되도록 연장 형성되는 두 개의 연장 바아; 상기 두 개의 연장 바아의 각 전단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바아;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걸 수 있도록 상기 연결 바아의 전단에 설치되는 고리;를 포함하며,
    상기 길이 조절부는, 상기 롤러 베이스의 상부에 설치되는 바디 프레임; 상기 걸림고리의 상기 슬라이딩 바아가 상기 바디 프레임의 내부 공간에서 지면과 수평한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바디 프레임의 상부면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중공 형성되는 슬라이딩홈; 상기 걸림고리의 상기 두 개의 연장 바아가 각각 통과되어 상하 수직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바디 프레임의 전면 일측 및 다른 일측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한 쌍의 가이드홈; 상기 슬라이딩홈의 상부 공간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딩홈의 일측에서 상부 일부가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기어; 상기 기어의 회전축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걸림고리의 상기 연장 바아에 체결되며, 상기 기어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회전축에 감기거나 풀리면서 상기 연장 바아를 전진 또는 후진시켜 주는 승하강 체인;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스크류에 탈부착 가능한 형태로 체결되어 상기 스크류에 붙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스크류 청소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크류 청소부는, 박스 형태로 형성되며, 일측에 상기 스크류가 내부 공간으로 진입하기 위한 입구가 형성되고, 다른 일측에 내부 공간으로 진입한 상기 스크류가 나가기 위한 출구가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기 입구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입구를 통해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으로 진입되는 상기 스크류의 상측에 안착되어 상기 스크류의 이동에 따라 회전하여 상기 스크류의 진입을 유도하는 가이드 롤러;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중심에 관통홀을 형성하는 링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여 이동 중인 상기 스크류의 외측면에 붙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브러시링; 및 상기 브러시링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브러시링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기어에 맞물려 설치되는 다수 개의 구동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브러시링은, 상기 스크류가 통과하는 상기 관통홀의 내주면을 따라 상기 스크류의 외측면에 붙어 있는 이물질을 쓸어서 제거하기 위한 브러시솔을 구비하는, 부스리스 영사 시스템.
  2. 삭제
KR1020190113368A 2019-09-16 2019-09-16 부스리스 영사 시스템 KR1020419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3368A KR102041990B1 (ko) 2019-09-16 2019-09-16 부스리스 영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3368A KR102041990B1 (ko) 2019-09-16 2019-09-16 부스리스 영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1990B1 true KR102041990B1 (ko) 2019-11-07

Family

ID=68579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3368A KR102041990B1 (ko) 2019-09-16 2019-09-16 부스리스 영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199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28791A (zh) * 2020-07-27 2020-10-27 许昌学院 一种多媒体投影数字一体机
CN112283508A (zh) * 2020-09-21 2021-01-29 山东斯诺电子有限公司 一种防爆型抗干扰可燃气体探测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4257A (ko) * 2015-02-26 2016-09-05 키노톤코리아 주식회사 영사기 부스 시스템
KR200486684Y1 (ko) 2017-11-03 2018-06-20 (주)카스피 멀티플렉스 상영관의 영사 시스템
KR101980733B1 (ko) 2017-12-18 2019-05-21 주식회사 레이앤리소시스 효율적인 상영공간 확보가 가능한 전면반사식 영사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4257A (ko) * 2015-02-26 2016-09-05 키노톤코리아 주식회사 영사기 부스 시스템
KR200486684Y1 (ko) 2017-11-03 2018-06-20 (주)카스피 멀티플렉스 상영관의 영사 시스템
KR101980733B1 (ko) 2017-12-18 2019-05-21 주식회사 레이앤리소시스 효율적인 상영공간 확보가 가능한 전면반사식 영사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28791A (zh) * 2020-07-27 2020-10-27 许昌学院 一种多媒体投影数字一体机
CN112283508A (zh) * 2020-09-21 2021-01-29 山东斯诺电子有限公司 一种防爆型抗干扰可燃气体探测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1990B1 (ko) 부스리스 영사 시스템
US10176902B2 (en) Scintillator panel
CN111273511B (zh) 激光投影系统、投影屏幕的上升和下降控制方法
US9447635B2 (en) Motorized roller shade system with a sun angle sensor
KR101449399B1 (ko) 브러시와 주행바퀴가 일체형으로 결합된 고층건물 외벽 청소기 및 그 구동 방법
JP2011258700A (ja) 環境試験装置
WO2005022252A1 (en) Inflatable photographic structure
KR102088492B1 (ko) 고소 설치 기기용 승강장치
KR20120037677A (ko) 환기 기능 및 태양광 발전 기능이 포함된 블라인드 내장형 창호 시스템
KR20120109954A (ko) 건물 외벽 하자 모니터링 장치
JP2011243949A5 (ko)
KR102056614B1 (ko) 무빙 스크린
KR101956243B1 (ko) 엘이디 광고벽체 지지장치
CN1659357A (zh) 马达驱动的遮蔽装置及其应用
KR101583611B1 (ko) 벽부 승강 조명시스템
CN208367397U (zh) 一种用于隧道检测图像捕获装置的照明补光装置
KR102060822B1 (ko) 종이 가공 장치
JP2002528563A5 (ko)
JP5846778B2 (ja) 拡幅車両における拡幅部の同期駆動と自己保持装置
KR101948915B1 (ko) 블라인드의 차광막 검사장치
KR101186785B1 (ko) 차양장치
KR100799696B1 (ko) 레일식 승하강 조명타워의 승강 캐리어 안전 고정장치
CN211201296U (zh) 一种设区分层式框架建筑结构的影剧院放映厅
KR20190083453A (ko) 롤스크린의 승강손잡이프레임 잠금구조
KR102201411B1 (ko) 공동주택 건축물의 발코니 난간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