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1975B1 - 배전선로의 처짐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배전선로의 처짐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1975B1
KR102041975B1 KR1020190029351A KR20190029351A KR102041975B1 KR 102041975 B1 KR102041975 B1 KR 102041975B1 KR 1020190029351 A KR1020190029351 A KR 1020190029351A KR 20190029351 A KR20190029351 A KR 20190029351A KR 102041975 B1 KR102041975 B1 KR 1020419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ribution line
coordinate value
line
height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93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은풍
Original Assignee
(주)미동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미동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미동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900293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19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19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19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2Devices for adjusting or maintaining mechanical tension, e.g. take-up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02Toothed members; Worms
    • F16H55/26R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배전선로의 처짐 방지 장치는 배전선로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배전선로를 드럼부에 감겨 있도록 하여 배전선로가 하부로 처지는 경우, 드럼부를 회전시켜 배전선로를 감거나 풀도록 하여 배전선로의 장력을 조절하고, 배전선로의 형태를 영상으로 촬영하여 배전선로의 처짐 정도를 계산하며, 계산된 처짐 정도에 따라 드럼부를 회전시켜 배전선로를 감거나 풀도록 하여 배전선로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Description

배전선로의 처짐 방지 장치{Device for Preventing of Aerial Distribution Line}
본 발명은 배전선로의 처짐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전선로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배전선로를 드럼부에 감겨 있도록 하여 배전선로가 하부로 처지는 경우, 드럼부를 회전시켜 배전선로를 감거나 풀도록 하여 배전선로의 장력을 조절하는 배전선로의 처짐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발전소에 발생되는 전력은 송전탑 등의 배전선로를 통해 고압의 전력으로 각 변전소로 송전된 다음, 변전소에서 여러 단계의 변압 과정을 거쳐 각 가정 또는 건물 등의 수용가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배전선로를 이용하여 각 지역으로 공급되는 배전 과정을 거치게 된다.
배전선로는 바닥으로부터 공중으로 이격되어 가설되는데, 기온이 높은 여름철에 길이가 늘어나도록 신장되어 처짐이 발생하고, 기온이 낮은 겨울철에 신축되어 처짐이 완화된다.
배전선로는 전주와 인접한 전주의 사이에 설치될 때, 자중에 의해 하부로 처지는데, 배전선로가 일정 범위 이상 하부로 처질 경우, 배전선로가 미관을 해치거나 단선되어 안전 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의 배전선로는 바람이 강하게 부는 경우, 배전선로의 흔들림을 완충하여 배전선로를 안정적으로 보호하는 방법이 제안되었으나 배전선로의 처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지 못했다.
또한, 종래의 배전선로의 처짐 방지 장치는 배전선로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하여 배전선로의 일부를 당길 수 있었으나, 배전선로를 당기는 길이가 매우 제한적이어서 실질적으로 배전선로의 처짐을 방지하는 효과가 미비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1772023호(등록일: 2016년 12월 02일), 발명의 명칭: "가공 배전선로용 처짐 방지 장치"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필요성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배전선로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배전선로를 드럼부에 감겨 있도록 하여 배전선로가 하부로 처지는 경우, 드럼부를 회전시켜 배전선로를 감거나 풀도록 하여 배전선로의 장력을 조절하는 배전선로의 처짐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배전선로의 형태를 영상으로 촬영하여 배전선로의 처짐 정도를 계산하고, 계산된 처짐 정도에 따라 드럼부를 회전시켜 배전선로를 감거나 풀도록 하여 배전선로의 장력을 조절하는 배전선로의 처짐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배전선로의 처짐 방지 장치는,
전선로(12)가 공중에 가설되도록 전주(10)의 상부에 설치되어 배전선로(12)를 지지할 수 있는 제1 수평대(40)와 제2 수평대(50);
상기 제1 수평대(40)와 상기 제2 수평대(50)의 상부면에 형성되고, 상기 배전선로(12)가 일정 범위 이상의 하부로 처지는 경우, 배전선로(12)를 당기거나 풀어서 배전선로(12)가 일정 높이 이상으로 처지지 않도록 장력을 조절하며, 내부가 비어 있는 육면체 형상의 하우징(101)을 포함한 장력 조절 장치(100);
상기 하우징(101)의 내부 공간부에는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수직으로 세워진 제1 수직프레임(111)과 제2 수직프레임(112)을 형성하고, 상기 제1 수직프레임(111)과 상기 제2 수직프레임(112)의 상부면에 각각 평판 형태의 제1 플레이트(111a)와 제2 플레이트(112a)를 형성하고, 상기 제2 플레이트(112a)의 상부면에는 구동모터(114)를 설치하고, 일측이 상기 구동모터(114)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샤프트(114a)와, 상기 샤프트(114a)의 타측에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고 상기 배전선로(12)가 감겨져 있는 드럼부(115)를 구비한 배전선로 권취부(110); 및
상기 제2 수평대(50)는 상부 일측이 개방되어 있고, 내부 공간부(51)에서 수직으로 세워진 랙기어(121)를 하우징(101)의 하부면 일측에 결합하고, 상기 랙기어(121)에 피니언기어(122)를 기어 치합되어 맞물려 있으며, 상기 피니언기어(122)의 회전축에 모터(123)를 결합하고, 상기 모터(123)의 구동에 따라 상기 피니언기어(122)가 회전되고, 상기 피니언기어(122)에 서로 맞물려 있는 랙기어(121)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하우징(101)을 올렸다 내렸다 하여 배전선로(12)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상하 이동부(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배전선로가 일정 범위 이상 하부로 처질 경우, 배전선로가 감겨 있는 드럼부를 회전시켜 배전선로를 감거나 풀도록 하여 배전선로의 장력을 조절하여 배전선로가 미관을 해치지 않고 단선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감겨 있는 배전선로의 길이를 길게 구성하여 실시간으로 배전선로의 상태를 감시하여 배전선로를 감거나 풀도록 함으로써 배전선로의 처짐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의 처짐 방지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 권취부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의 처짐 방지 장치의 측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를 감는 과정에서 배전선로의 이동 모습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의 처진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 처짐 계산부의 내부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종래의 배전선로의 처짐 방지 장치는 배전선로가 일정 범위 이상 하부로 처질 경우, 배전선로가 미관을 해치거나 단선되어 안전 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배전선로의 완충 기능이나 배전선로의 일부를 당길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되었으나, 배전선로를 당기는 길이가 매우 제한적이어서 실질적으로 배전선로의 처짐을 방지하는 효과를 구현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배전선로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배전선로를 드럼부에 감겨 있도록 하여 배전선로가 하부로 처지는 경우, 드럼부를 회전시켜 배전선로를 감거나 풀도록 하여 배전선로의 장력을 조절하는 배전선로의 처짐 방지 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의 처짐 방지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 권취부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의 처짐 방지 장치의 측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의 처짐 방지 장치는 배전선로(12)가 공중에 가설되도록 전주(10)의 상부에 설치되어 배전선로(12)를 지지할 수 있는 제1 수평대(40)와 제2 수평대(50)를 포함한다.
제1 수평대(40)와 제2 수평대(50)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고, 전주(10)를 사이에 두고 전주(10)의 양측에서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 또는 브래킷(30)에 의해 상호 체결되어 전주(10)에 고정된다.
제1 수평대(40)와 제2 수평대(50)는 전주(10)를 중심으로 한 쌍이 설치되어 양측이 균등하게 돌출되도록 전주(10)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수평대(40)와 제2 수평대(50)의 상부면에는 내부가 비어 있는 육면체 형상의 하우징(101)을 포함한 장력 조절 장치(100)가 형성된다.
배전선로(12)는 전주(10)와 인접한 전주(20)의 사이에 설치될 때, 자중에 의해 하부로 처진다. 장력 조절 장치(100)는 배전선로(12)가 일정 범위 이상의 하부로 처지는 경우, 배전선로(12)를 당기거나 풀어서 배전선로(12)가 일정 높이 이상으로 처지지 않도록 장력을 조절한다.
하우징(101)은 제1 수평대(40)와 제2 수평대(50)의 상부면에 가로질러 탑재된다. 제1 수평대(40)의 상부면에는 평판 형태의 플레이트판(41)과, 상기 플레이트판(41)의 위에 하우징(101)의 일측 끝단이 힌지핀(42a)이 설치된 회전브래킷(42)을 설치하며, 힌지핀(42a)을 중심으로 하우징(101)이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회전브래킷(42)은 한 쌍의 측벽이 세워지고, 한 쌍의 측벽 사이에 하우징(101)이 위치한 상태에서 힌지핀(41)이 한 쌍이 측벽 사이에 위치한 하우징(101)을 관통하는 형태로 설치된다.
하우징(101)의 내부에는 내부가 비어 있는 내부 공간부를 형성하고, 배전선로(12)가 이동하는 방향의 일면이 개방되어 있고, 반대면이 막혀 있는 구조로 배전선로 권취부(110)가 설치된다.
배전선로 권취부(110)는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수직으로 세워진 제1 수직프레임(111)과 제2 수직프레임(112)을 형성하고, 상기 제1 수직프레임(111)과 상기 제2 수직프레임(112)의 상부면에 각각 평판 형태의 제1 플레이트(111a)와 제2 플레이트(112a)를 형성한다.
상기 제1 수직프레임(111)과 상기 제2 수직프레임(112)의 사이에는 상단에 수평 방향으로 수평프레임(113)이 연결된다. 상기 수평프레임(113)의 상부에는 롤러부재(18)를 결합하여 배전선로(12)가 감기거나 풀어질 때 배전선로(12)의 이동을 용이하게 한다.
제2 플레이트(112a)의 상부면에는 구동모터(114)를 설치하고, 일측이 구동모터(114)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샤프트(114a)와, 상기 샤프트(114a)의 타측에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는 드럼부(115)를 포함한다.
드럼부(115)는 원통 형상으로 배전선로(12)가 감겨져 있다.
샤프트(114a)는 일측이 구동모터(114)에 결합하고, 타측이 드럼부(115)의 내부 중심부를 수평 방향으로 관통하여 연결된 연결축(116)에 결합된다.
연결축(116)은 일측이 샤프트(114a)에 결합하고, 드럼부(115)의 내부 중심부를 수평 방향으로 관통하여 외부로 연장되어 제1 플레이트(111a)의 상부면에 설치된 회전지지대(117)에 결합된다.
구동모터(114)에 회전에 의해 샤프트(114a)와 연결축(116)이 회전하게 되면, 드럼부(115)를 회전하여 권취된 배전선로(12)를 감기거나 풀어질 수 있다.
배전선로(12)는 드럼부(115)에 권취되어 롤러부재(18)의 상부를 거쳐 외부로 노출되고, 드럼부(115)의 일방향으로 회전하여 감기거나 풀리면서 배전선로(12)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제2 수평대(50)는 상부 일측이 개방되어 있고, 내부 공간부(51)에 상하 이동부(120)가 형성되어 있다.
상하 이동부(120)는 내부 공간부(51)에서 수직으로 세워진 랙기어(121)를 하우징(101)의 하부면 일측에 결합한다.
랙기어(121)는 피니언기어(122)와 기어 치합되어 맞물려 있으며, 상기 피니언기어(122)는 회전축에 모터(123)를 결합한다.
모터(123)의 구동에 따라 피니언기어(122)가 회전되고, 상기 피니언기어(122)에 서로 맞물려 있는 랙기어(121)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한다.
랙기어(121)가 결합된 하우징(101)은 랙기어(121)의 상하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된다.
제1 수평대(40)의 내부 공간부에는 배전선로(12)의 처짐을 방지하는 장력 조절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모듈(300)이 설치된다.
배전선로(12)는 전주(10)와 인접한 전주(20)의 사이에 설치되며, 배전선로(12)의 전방에 설치되고, 배전선로(12)의 형태를 촬영하여 배전선로(12)의 처짐 정도를 계산하는 배전전로 처짐 계산부(200)를 포함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를 감는 과정에서 배전선로의 이동 모습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의 처진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 처짐 계산부의 내부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배전선로 처짐 계산부(200)는 상기 배전선로(12)의 전체를 촬영하도록 상기 배전선로(12)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져 설치되고, 육면체 형상의 본체(201)와, 상기 본체(201)에서 배전선로(12)가 보이는 일면에 설치된 카메라부(210)를 포함한다.
배전선로 처짐 계산부(200)는 카메라부(210), 특징점 추출부(220), 가상선 생성부(230), 높이 계산부(240) 및 무선 통신부(250)를 포함한다.
카메라부(210)는 배전선로(12)의 전체를 촬영하여 배전선로 이미지를 생성한다.
특징점 추출부(220)는 카메라부(210)로부터 생성된 배전선로 이미지에 포함된 각 픽셀들의 밝기값을 이용하여 윤곽선의 특징점들을 특징 벡터 형태로 추출하며, 추출된 특징점들을 기설정된 공간 좌표를 매칭시켜 특징점들의 좌표값을 계산한다. 여기서, 특징점들의 추출은 각 픽셀의 밝기 변화에 의해 추출할 수 있다.
가상선 생성부(230)는 추출된 특징점들의 좌표값에서 양쪽으로 가장 높은 좌표값을 검색하고, 좌측 좌표값과 우측 좌표값이 기설정된 오차 범위 내에 속하는 경우, 동일하다고 판단하여 상기 좌측 좌표값과 상기 우측 좌표값의 양쪽을 수평 방향으로 연결하는 가상선을 생성한다.
가상선 생성부(230)는 좌측 좌표값과 우측 좌표값이 기설정된 오차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동일하지 않다고 판단하여, 좌측 좌표값과 우측 좌표값 중에서 더 높은 좌표값을 선택하여 수평 방향으로 직선의 수평가상선을 생성한다.
높이 계산부(240)는 상기 특징점 추출부(220)로부터 계산된 특징점들의 좌표값 중에서 가장 낮은 제1 좌표값을 기준점으로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기준점으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수평가상선까지 직선의 수직가상선을 연결하며, 수직가상선이 수평가상선에 만나는 지점의 제2 좌표값을 산출한다.
높이 계산부(240)는 기준점의 제1 좌표값과 산출한 제2 좌표값의 차이를 이용하여 높이 정보를 계산한다.
높이 계산부(240)는 배전선로(12)의 높이 정보를 무선 통신부(250)를 통해 제어모듈(300)로 전송한다.
높이 계산부(240)는 기준점을 중심으로 좌측 좌표값 또는 우측 좌표값으로 직선의 가상선을 연결하면, 연결된 가상선과 수평가상선 간의 각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어모듈(300)은 통신부, 제어부, 저장부를 구비하고, 구동모터(114)와 모터(12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제어모듈(300)은 높이 계산부(240)로부터 배전선로(12)의 높이 정보와, 각도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높이 정보가 기준 높이와 비교하여 큰 경우, 구동모터(114)를 구동시켜 드럼부(115)를 회전하여 배전선로(12)를 감도록 제어한다.
제어모듈(300)은 배전선로(12)를 감는 과정에서도 높이 계산부(240)로부터 배전선로(12)의 높이 정보와, 각도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한 후, 높이 정보가 기준 높이와 비교 과정을 수행하며, 상기 높이 정보가 기준 높이와 동일하거나 작아질 때까지 드럼부(115)를 회전시켜 배전선로(12)를 감도록 제어한다.
제어모듈(300)은 배전선로(12)를 감는 과정에서 배전선로(12)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모터(123)를 구동시켜 랙기어(121)의 상하 왕복 이동을 반복하도록 제어한다.
다시 말해, 제어모듈(300)은 드럼부(115)의 회전에 따라 배전선로(12)를 감기는 동안, 랙기어(121)의 상하 왕복 이동으로 하우징(101)을 올렸다 내렸다 하여 배전선로(12)의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각도 정보와 높이 정보는 대응하도록 설정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제어모듈(300)은 높이 계산부(240)로부터 배전선로(12)의 높이 정보와, 각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높이 정보가 기준 높이와 비교하여 큰 경우, 수신된 각도 정보에서 기설정된 각도 정보가 되도록 드럼부(115)를 회전시켜 배전선로(12)를 감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제어모듈(300)은 구동모터(114)의 회전수와 높이 정보, 각도 정보가 매칭되어 기설정된 데이터로 저장되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전주 20: 인접한 전주
12: 배전선로 40: 제1 수평대
50: 제2 수평대 100: 장력 조절 장치
101: 하우징 110: 배전선로 귄취부
120: 상하 이동부 200: 배전선로 처짐 계산부
300: 제어모듈

Claims (1)

  1. 전선로(12)가 공중에 가설되도록 전주(10)의 상부에 설치되어 배전선로(12)를 지지할 수 있는 제1 수평대(40)와 제2 수평대(50);
    상기 제1 수평대(40)와 상기 제2 수평대(50)의 상부면에 형성되고, 상기 배전선로(12)가 일정 범위 이상의 하부로 처지는 경우, 배전선로(12)를 당기거나 풀어서 배전선로(12)가 일정 높이 이상으로 처지지 않도록 장력을 조절하며, 내부가 비어 있는 육면체 형상의 하우징(101)을 포함한 장력 조절 장치(100);
    상기 하우징(101)의 내부 공간부에는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수직으로 세워진 제1 수직프레임(111)과 제2 수직프레임(112)을 형성하고, 상기 제1 수직프레임(111)과 상기 제2 수직프레임(112)의 상부면에 각각 평판 형태의 제1 플레이트(111a)와 제2 플레이트(112a)를 형성하고, 상기 제2 플레이트(112a)의 상부면에는 구동모터(114)를 설치하고, 일측이 상기 구동모터(114)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샤프트(114a)와, 상기 샤프트(114a)의 타측에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고 상기 배전선로(12)가 감겨져 있는 드럼부(115)를 구비한 배전선로 권취부(110);
    상기 제2 수평대(50)는 상부 일측이 개방되어 있고, 내부 공간부(51)에서 수직으로 세워진 랙기어(121)를 하우징(101)의 하부면 일측에 결합하고, 상기 랙기어(121)에 피니언기어(122)를 기어 치합되어 맞물려 있으며, 상기 피니언기어(122)의 회전축에 모터(123)를 결합하고, 상기 모터(123)의 구동에 따라 상기 피니언기어(122)가 회전되고, 상기 피니언기어(122)에 서로 맞물려 있는 랙기어(121)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하우징(101)을 올렸다 내렸다 하여 배전선로(12)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상하 이동부(120)를 포함하며,
    상기 배전선로(12)의 전체를 촬영하도록 상기 배전선로(12)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져 설치되고, 배전선로(12)의 전체를 촬영하여 배전선로 이미지를 생성하는 카메라부(210)와, 상기 카메라부(210)로부터 생성된 배전선로 이미지에 포함된 각 픽셀들의 밝기값을 이용하여 윤곽선의 특징점들을 특징 벡터 형태로 추출하며, 추출된 특징점들을 기설정된 공간 좌표를 매칭시켜 특징점들의 좌표값을 계산하는 특징점 추출부(220)와, 상기 추출된 특징점들의 좌표값에서 양쪽으로 가장 높은 좌표값을 검색하고, 좌측 좌표값과 우측 좌표값이 기설정된 오차 범위 내에 속하는 경우, 동일하다고 판단하여 상기 좌측 좌표값과 상기 우측 좌표값의 양쪽을 수평 방향으로 연결하는 가상선을 생성하고, 상기 좌측 좌표값과 상기 우측 좌표값이 기설정된 오차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동일하지 않다고 판단하여, 상기 좌측 좌표값과 상기 우측 좌표값 중에서 더 높은 좌표값을 선택하여 수평 방향으로 직선의 수평가상선을 생성하는 가상선 생성부(230)와, 상기 특징점 추출부(220)로부터 계산된 특징점들의 좌표값 중에서 가장 낮은 제1 좌표값을 기준점으로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기준점으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수평가상선까지 직선의 수직가상선을 연결하며, 수직가상선이 수평가상선에 만나는 지점의 제2 좌표값을 산출하고, 기준점의 제1 좌표값과 산출한 제2 좌표값의 차이를 이용하여 높이 정보를 계산하는 높이 계산부(240)로 이루어진 배전선로 처짐 계산부(200); 및
    상기 구동모터(114)와 상기 모터(12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높이 계산부(240)로부터 배전선로(12)의 높이 정보와, 각도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높이 정보가 기준 높이와 비교하여 큰 경우, 상기 구동모터(114)를 구동시켜 상기 드럼부(115)를 회전하여 배전선로(12)를 감도록 제어하고, 상기 배전선로(12)를 감는 과정에서도 높이 계산부(240)로부터 배전선로(12)의 높이 정보와, 각도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한 후, 높이 정보가 기준 높이와 비교 과정을 수행하며, 상기 높이 정보가 기준 높이와 동일하거나 작아질 때까지 드럼부(115)를 회전시켜 배전선로(12)를 감도록 제어하고, 상기 배전선로(12)를 감는 과정에서 배전선로(12)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모터(123)를 구동시켜 랙기어(121)의 상하 왕복 이동을 반복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모듈(3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의 처짐 방지 장치.
KR1020190029351A 2019-03-14 2019-03-14 배전선로의 처짐 방지 장치 KR1020419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9351A KR102041975B1 (ko) 2019-03-14 2019-03-14 배전선로의 처짐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9351A KR102041975B1 (ko) 2019-03-14 2019-03-14 배전선로의 처짐 방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1975B1 true KR102041975B1 (ko) 2019-11-07

Family

ID=68578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9351A KR102041975B1 (ko) 2019-03-14 2019-03-14 배전선로의 처짐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197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9714B1 (ko) * 2020-03-23 2020-09-01 주식회사 한얼엔지니어링 배전선로의 처짐 방지 감시시스템
KR102293382B1 (ko) * 2020-08-31 2021-08-26 이은영 배전선로의 케이블 처짐 방지 시스템
KR102339717B1 (ko) * 2020-11-26 2021-12-15 주식회사 프로감리단 가공 배전선로용 처짐방지장치
KR102405517B1 (ko) * 2021-04-27 2022-06-08 양응초 가공배전선로의 철탑 애자 고정장치
KR102505028B1 (ko) * 2022-04-13 2023-03-03 동양감리(주) 변압기가 구비된 배전용 가공배전선로의 처짐 방지 시스템
KR102515394B1 (ko) * 2022-02-04 2023-03-30 (주)진원엔지니어링 위치 조절이 자유롭고 변압기가 설치된 특고압 배전 장주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54740A (ja) * 1999-07-10 2001-02-27 Buech Labortechnik Ag 高さ調節可能なスタンド及びスタンドの保持装置の取外し方法
KR101684662B1 (ko) * 2016-08-26 2016-12-08 정칠교 가공 배전선로용 처짐 방지 장치
KR101719476B1 (ko) * 2017-02-07 2017-03-24 (주)엑서런트 가공 배전선로용 처짐방지장치
KR101772023B1 (ko) 2017-02-10 2017-08-28 (주)단에이앤씨 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 화재 초기 진압 소방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54740A (ja) * 1999-07-10 2001-02-27 Buech Labortechnik Ag 高さ調節可能なスタンド及びスタンドの保持装置の取外し方法
KR101684662B1 (ko) * 2016-08-26 2016-12-08 정칠교 가공 배전선로용 처짐 방지 장치
KR101719476B1 (ko) * 2017-02-07 2017-03-24 (주)엑서런트 가공 배전선로용 처짐방지장치
KR101772023B1 (ko) 2017-02-10 2017-08-28 (주)단에이앤씨 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 화재 초기 진압 소방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9714B1 (ko) * 2020-03-23 2020-09-01 주식회사 한얼엔지니어링 배전선로의 처짐 방지 감시시스템
KR102293382B1 (ko) * 2020-08-31 2021-08-26 이은영 배전선로의 케이블 처짐 방지 시스템
KR102339717B1 (ko) * 2020-11-26 2021-12-15 주식회사 프로감리단 가공 배전선로용 처짐방지장치
KR102405517B1 (ko) * 2021-04-27 2022-06-08 양응초 가공배전선로의 철탑 애자 고정장치
KR102515394B1 (ko) * 2022-02-04 2023-03-30 (주)진원엔지니어링 위치 조절이 자유롭고 변압기가 설치된 특고압 배전 장주 장치
KR102505028B1 (ko) * 2022-04-13 2023-03-03 동양감리(주) 변압기가 구비된 배전용 가공배전선로의 처짐 방지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1975B1 (ko) 배전선로의 처짐 방지 장치
CN107625319A (zh) 一种可调式电视机放置台
CN111740357B (zh) 电缆检修装置及其检修方法
CN107911593A (zh) 一种具有防雨功能的户外监控摄像设备
CN210835569U (zh) 一种用于户外的动漫演示装置
CN111713296B (zh) 一种垂直绿化装置
CN207049569U (zh) 一种电视机智能挂架
CN205567253U (zh) 藤蔓植物栽培架
KR102149714B1 (ko) 배전선로의 처짐 방지 감시시스템
CN211821548U (zh) 一种家用电视用支撑架
CN208814378U (zh) 一种基于漆包线生产用的收卷装置
CN111463589A (zh) 一种电力系统变电维护供电连接装置
CN111911772A (zh) 一种社区安防便携式安防装置
CN111206867A (zh) 一种智能百叶窗及其控制系统
CN112750339A (zh) 一种大学高等教学用微积分教学装置
CN208904534U (zh) 一种转动式线路巡检除枝机
KR101310251B1 (ko) 비닐하우스의 덮개부재 개폐장치
CN206904529U (zh) 一种自动调节的安防监控支架
CN113465530A (zh) 一种计算机视觉检测辅助装置
CN206018180U (zh) 一种电动式可升降拍摄装置
CN211812752U (zh) 一种镍基合金加热线加工收卷装置
CN212182569U (zh) 一种电力系统变电维护供电连接装置
CN211643990U (zh) 一种花边条自动卷绕装置
CN104565737A (zh) 一种隐形电视机支架
CN110654719A (zh) 一种医用冷链药品、疫苗专用存储装置及其存储环境监控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