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1909B1 -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1909B1
KR102041909B1 KR1020170143363A KR20170143363A KR102041909B1 KR 102041909 B1 KR102041909 B1 KR 102041909B1 KR 1020170143363 A KR1020170143363 A KR 1020170143363A KR 20170143363 A KR20170143363 A KR 20170143363A KR 102041909 B1 KR102041909 B1 KR 1020419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
display screen
display
topology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3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4508A (ko
Inventor
하이펭 리우
용 왕
용쉥 탕
Original Assignee
칩원 테크놀로지(베이징)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칩원 테크놀로지(베이징)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칩원 테크놀로지(베이징)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900245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45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19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19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46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display composed of modules, e.g. video wal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 H04N21/23436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by altering the spatial resolution, e.g. for clients with a lower screen resolu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Composi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6Video wall, i.e. juxtaposition of a plurality of screens to create a display screen of bigger dimens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04Exchange of auxiliary data, i.e. other than image data, between monitor and graphics controll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어레이로 배치된 복수개의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개의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디스플레이 채널을 통해 연결되어 제1 토폴러지를 형성하고, 또한 상기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미리 설정된 제2 토폴러지에 따라 정보 채널을 통해 연결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기본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기본 정보와 상기 제2 토폴러지에 의해 상기 제1 토폴러지를 확정하는 검측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각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토폴러지 구조를 자동으로 검측할 수 있고, 따라서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한 커미셔닝을 더욱 쾌속적으로 실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A DISPLAY DEVICE AND DISPLAY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제어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기술의 발전에 따라, 영상 품질에 대한 사람들의 요구는 점점 높아지고 있으며, 그중 아주 중요한 점은 영상의 해상도가 날로 높아지고 있는바, 이미 풀 HD (FHD,Full High Definition) (1920×1080) 로부터 4K (3840×2160), 심지어 8K (7680×4320)에까지 발전하였다. 해상도가 향상함에 따라, 단일한 독립적인 디스플레이 스크린으로는 디스플레이하기가 점점 곤란해지고 있다. 구체적으로, 영상의 해상도가 높을수록 통상 더 큰 사이즈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필요하며, 이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제품 합격률의 저하를 쉽게 초래한다. 따라서, 통상 복수개의 저해상도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연결 조립하여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형성한다.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연결관계가 상이함에 따라, 각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발송하는 디스플레이 데이터의 정렬도 서로 다르게 된다. 따라서, 장치의 커미셔닝을 수행할 경우, 각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연결 관계, 즉 토폴러지를 판단한 후, 토폴러지에 따라 디스플레이 데이터의 정렬을 조정해야 하고, 정렬 후의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각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제공하여 디스플레이한다.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토폴러지에 조정이 있게 되면, 상응한 설정을 다시 수행해야 한다. 이러한 작업은 많은 시간과 정력을 소모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있어 각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토폴러지를 자동으로 검측하여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커미셔닝을 보다 빠르게 실현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어레이로 배치된 복수개의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디스플레이 스크린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디스플레이 데이터 발송장치 및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기본 정보를 획득하는 검측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디스플레이 채널을 통해 연결되어 제1 토폴러지를 형성하는 한편 미리 설정된 제2 토폴러지를 따라 정보 채널을 통해 연결되도록 설정되되 검측 장치에서 획득된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기본 정보와 미리 설정된 제2 토폴러지에 의해 상기 제1 토폴러지가 확정되도록 설정되고, 검측 장치는 정보 채널을 통해 각각의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접수한 검측 영상의 데이터를 읽으며 디스플레이 스크린과 각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해상도를 포함한 기본 정보를 획득하는 정보 취출 모듈과,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기본 정보에 의해 검측 영상을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채널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각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제공하는 검측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이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검측 모듈에서 생성되는 상기 검측 영상은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놓인 위치와 대응되는 정보를 적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해상도는 인위적으로 설정한 것이고, 상기 각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해상도는 상기 정보 채널을 통해 각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으로부터 취출한 것이다.
삭제
삭제
바람직하게,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검측 장치가 확정한 제1 토폴러지에 의해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정렬하여 디스플레이 채널을 통해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데이터 발송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검측 장치는, 검측 단계에서는 검측 모듈을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디스플레이 채널에 연결하고, 디스플레이 단계에서는 디스플레이 데이터 발송 장치를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디스플레이 채널에 연결하는 전환 모듈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검측 모듈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해상도에 따라 검측 영상을 생성하고 각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해상도에 따라 검측 영상을 복수개의 서브 부분으로 분할하며, 여기서 각 서브 부분은 한 개의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응하고, 상기 복수개의 서브 부분은 미리 설정한 제3 토폴러지에 따라 정렬되는 영상 생성 유닛; 및 상기 제2 토폴러지에 의해 각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어레이에 놓인 위치를 확정하고, 각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접수한 서브 부분이 검측 영상에 놓인 위치와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어레이에 놓인 위치의 관계를 통해 제3 토폴러지를 조정하며, 이로써 제1 토폴러지를 획득하는 토폴러지 연산 유닛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검측 영상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해상도와 대응되는 매트릭스를 포함하고, 상기 매트릭스는 각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해상도에 따라 복수개의 서브 매트릭스로 분할되며, 각각의 서브 매트릭스는 한 개의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응하고, 각 서브 매트릭스의 데이터 요소는 당해 서브 매트릭스가 매트릭스에 놓인 위치를 나타내며, 상기 복수개의 서브 매트릭스의 발송 순서는 상기 제3 토폴러지에 의해 확정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검측 영상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해상도와 대응되는 매트릭스를 포함하고, 매트릭스의 각각의 데이터 요소는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한 개 픽셀 포인트의 위치를 나타내며, 상기 매트릭스는 각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해상도에 따라 복수개의 서브 매트릭스로 분할되고, 각각의 서브 매트릭스는 한 개의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응되며, 상기 복수개의 서브 매트릭스의 발송 순서는 상기 제3 토폴러지에 의해 확정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정보 채널은 일 방향의 정보 발송 채널과 일 방향의 정보 리턴 채널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정보 채널은 양 방향 채널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정보 채널은 직렬 채널 또는 병렬 채널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기본 정보를 획득하되,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어레이로 배치된 복수개의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디스플레이 채널을 통해 연결되어 제1 토폴러지를 형성하며, 정보 채널은 미리 설정된 제2 토폴러지에 따라 각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기본 정보와 상기 제2 토폴러지에 의해 상기 제1 토폴러지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기본 정보는 디스플레이 스크린과 각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해상도를 포함하고, 상기 기본 정보와 상기 제2 토폴러지에 의해 상기 제1 토폴러지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기본 정보에 의해 검측 영상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 채널을 통해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각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제공하되, 상기 검측 영상은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놓이는 위치와 대응되는 정보를 적재한 단계; 정보 채널을 통해 각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접수한 검측 영상의 데이터를 읽는 단계; 및 상기 제2 토폴러지와 상기 각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접수한 검측 영상의 데이터에 의해 제1 토폴러지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은, 제1 토폴러지를 확정한 후, 확정된 제1 토폴러지에 따라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정렬하여 디스플레이 채널을 통해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기본 정보에 의해 검측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해상도에 의해 검측 영상을 생성하고 각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해상도에 의해 검측 영상을 복수개의 서브 부분으로 분할하며, 여기서 각각의 서브 부분은 한 개의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응되고, 상기 복수개의 서브 부분을 미리 설정한 제3 토폴러지에 따라 정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토폴러지 및 상기 각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접수한 검특 영상의 데이터에 의해 제1 토폴러지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2 토폴러지에 의해 각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어레이에 놓인 위치를 확정하고, 각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접수한 서브 부분이 검측 영상에 놓인 위치와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어레이에 놓인 위치의 관계에 따라 제3 토폴러지를 조정함으로써 제1 토폴러지를 얻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해상도는 인위적으로 설정한 것이고, 상기 각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해상도는 상기 정보 채널을 통해 취출한 것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검측 영상은 사이즈가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해상도와 대응되는 매트릭스를 포함하고, 상기 매트릭스는 각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해상도에 따라 복수개의 서브 매트릭스로 분할되며, 각각의 서브 매트릭스는 한 개의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응되고, 각 서브 매트릭스의 데이터 요소는 당해 서브 매트릭스가 매트릭스에 놓인 위치를 나타내며, 상기 복수개의 서브 매트릭스의 발송 순서는 상기 제3 토폴러지에 따라 확정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검측 영상은 사이즈가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해상도와 대응되는 매트릭스를 포함하고, 매트릭스의 각 데이터 요소는 당해 데이터 요소가 매트릭스에 놓인 위치를 나타내며, 상기 매트릭스는 각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해상도에 따라 복수개의 서브 매트릭스로 분할되고, 각각의 서브 매트릭스는 한 개의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응되며, 상기 복수개의 서브 매트릭스의 발송 순서는 상기 제3 토폴러지에 따라 확정된다.
바람직하게, 정보 채널을 통해 각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접수한 검측 영상의 데이터를 읽는 단계는, 정보 채널을 통해 각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접수한 서브 매트릭스 중 지정된 위치의 데이터 요소를 읽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각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접수한 검측 영상의 데이터와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어레이에 놓인 위치의 관계에 따라 제3 토폴러지를 조정하는 단계는, 각각의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있어서, 당해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접수한 서브 매트릭스 중 지정된 위치의 데이터 요소에 의해, 당해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접수한 서브 매트릭스가 매트릭스에 놓이는 위치를 확정하고, 만약 당해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접수한 서브 매트릭스가 매트릭스 중에 놓이는 위치가 당해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어레이에 놓이는 위치와 일치하지 않을 경우, 제3 토폴러지에서의 당해 서브 매트릭스를 당해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어레이에 놓이는 위치와 대응되는 서브 매트릭스로 교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각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 사이를 이미 알려진 방식에 따라 연결하고 각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 사이에 정보를 전송하도록 하는 정보 채널을 통해, 각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 사이의 디스플레이 채널의 연결 토폴러지를 추산함으로써, 연결 토폴러지에 대한 자동 검측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토폴러지를 자동으로 검측하여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배치함으로써, 쾌속적이고 정확한 자동 커미셔닝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전통적인 수동식 커미셔닝 방식에 비해 커미셔닝 시간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정보 채널의 유형과 연결 방식 및 검측 영상의 양식과 내용은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로 하여금 더욱 영활하고 효과적인 방식으로 토폴러지 검측 및 시스템 커미셔닝을 쉽게 실현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 실시예의 기술방안을 더 명확히 설명하기 위해, 아래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간략히 설명하며, 아래에 설명하는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님은 자명한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상이한 디스플레이 스크린 토폴러지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각각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보 채널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보 채널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3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보 채널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측 영상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검측 영상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측 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 실시예의 목적, 기술방안 및 장점들을 한층 더 명확히 하기 위해, 이하 본 발명 실시예의 첨부 도면과 결합하여 본 발명 실시예의 기술방안에 대해 명확하고 완전한 설명을 수행하도록 한다. 설명하게 될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지나지 않으며, 전부의 실시예가 아님은 자명한 것이다. 설명하게 될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토대로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창조적인 노동을 거치지 않고 얻을 수 있는 기타 모든 실시예들은 전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속할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상이한 디스플레이 스크린 토폴러지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각각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스크린(110) 및 디스플레이 데이터 발송 장치(120)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110)은 3×3 어레이(Array)로 배치된 9개의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D11, D12, D13, D21, D22, D23, D31, D32 및 D33)(이하,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D)으로 칭함)을 포함하며, 각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D)은 디스플레이 채널(도면에서 화살선의 표시를 참조)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도 1a에 있어서, 각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D)은 행에 따른 캐스케이드, 즉 D11, D12, D13, D21, D22, D23, D31, D32, D33의 순서대로 연결되며, 디스플레이 데이터 발송 장치(120)는 각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D)에 대응되게 영상, 동영상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구획함으로써, 구획된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상기 순서에 따라 정렬하여 대응하는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D)에 제공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한다.
도 1b에 있어서, 각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D)은 열에 따른 캐스케이드, 즉 D11, D21, D31, D32, D22, D12, D13, D23, D33의 순서대로 연결되며, 디스플레이 데이터 발송 장치(120)는 각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D)에 대응되게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구획함으로써, 구획된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상기 순서에 따라 정렬하여 대응하는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D)에 제공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한다.
이로부터 알 수 있는바, 비록 도 1a 및 도 1b에 있어서, 동일한 위치의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D)이 디스플레이하는 영상 영역은 동일하지만,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D)의 연결 관계가 상이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데이터 발송 장치(110)가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데이터의 정렬도 서로 다르게 된다. 디스플레이 스크린 해상도가 높아짐에 따라, 필요한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수량도 많아지게 되며, 그 연결 관계(즉, 토폴러지)도 더욱 복잡해지게 된다. 예컨대, 6×9 또는 더 큰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어레이가 필요할 경우, 토폴러지도 캐스케이드와 병렬의 혼합 구성 또는 기타 구성으로 확장될 수 있다. 이에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치 및 커미셔닝할 경우, 많은 시간과 정력을 들여 디스플레이 데이터 발송 장치가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데이터와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토폴러지가 서로 매칭되도록 해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스크린(210) 및 검측 장치(22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스크린(210)은 어레이로 배치된 복수개의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각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동일할 수 있는바, 예컨대 동일한 구조, 동일한 사양, 동일한 애플리케이션 등을 가질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각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상이하거나 또는 적어도 일부분이 상이할 수 있으며, 예컨대 필요에 따라 상이한 구조, 사양, 애플리케이션 등을 가지는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선택할 수 있다. 사용함에 있어서, 상이한 위치의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위치를 임의로 조정할 수 있고, 그리하여도 여전히 정상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3a는 도 2의 디스플레이 스크린(210)의 예시적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스크린(210)은 3×3 어레이로 배치된 9개의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D11, D12, D13, D21, D22, D23, D31, D32 및 D33)(이하,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D)으로 칭함)을 포함한다. 각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D)은 디스플레이 채널(도면에서 굵은 화살선으로 표시)의 연결을 통해 제1 토폴러지를 형성하고, 또한 정보 채널(도면에서 약한 화살선으로 표시)의 연결을 통해 제2 토폴러지를 형성한다. 디스플레이 채널은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D)에 영상, 동영상 등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전송하고, 정보 채널은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D)에 정보를 제공하며 또한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D)으로부터 정보를 접수한다. 디스플레이 채널은 스티칭할 때 임의로 연결할 수 있지만, 정보 채널의 연결 방식은 확정되어 있다. 이는 디스플레이 채널의 연결은 통상 고속 적이고 복잡하지만, 정보 채널은 저속 적이고 간단하기 때문이다. 다시 말하여, 제2 토폴러지는 미리 설정되거나 또는 이미 알려진 것인 반면에, 제1 토폴러지는 검측 장치를 통해서 획득된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기본 정보가 반영이 되어야 하는 점에서 통상 미지 적이거나 또는 일부 알려진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미 알려진 제2 토폴러지에 정보 채널을 통해 얻은 디스플레이 스크린과 각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해상도를 포함한 기본 정보를 반영함에 따라 제1 토폴러지를 추산할 수 있게 된다. 도 3a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1 토폴러지는 열에 따른 캐스케이드, 즉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D)이 디스플레이 채널을 통해 D11, D21, D31, D32, D22, D12, D13, D23, D33의 순서에 따라 연결되고; 제2 토폴러지는 행에 따른 캐스케이드, 즉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D)이 D11, D12, D13, D23, D22, D21, D31, D32, D33의 순서에 따라 연결된다. 하지만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들은 제1 토폴러지 및 제2 토폴러지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필요에 따라 임의 가능한 형태, 예컨대 병렬, 캐스케이드와 병렬의 혼합 또는 기타 토폴러지 구성으로 설정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도 3a의 실시예에 있어서, 정보 채널은 양방향 채널이고, 각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D)은 D11, D12, D13, D23, D22, D21, D31, D32, D33의 순서에 따라 양방향으로 정보를 전송한다. 예를 들어, 각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D)으로부터 정보를 읽고자 할 경우, 제1 단계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D11)에 한 그룹의 읽기 명령을 발송하고, 제1 단계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D11)은 상기 그룹의 읽기 명령을 제2 단계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D12)에 전송하며, 제2 단계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D12)은 상기 그룹의 읽기 명령을 제3 단계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D13)에 전송하고, 이로써 유추하여, 맨 마지막 단계의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D33)에 최종 전송될 수 있다. 이 과정에 있어서, 어느 한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예컨대,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D23))이 자신의 읽기 명령을 접수하였을 경우, 리턴해야 할 정보를 한 단계 한 단계 리턴하는 바, 예컨대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D23)은 리턴해야 할 정보를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D13),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D12) 및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D11)의 순서에 따라 리턴할 수 있다.
도 3b는 도 2의 디스플레이 스크린(210)의 다른 예시적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3a와 유사하게 디스플레이 스크린(210)은 어레이로 배치된 복수개의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D11, D12, D13, D21, D22, D23, D31, D32 및 D33)(이하,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D)으로 칭함)을 포함한다. 각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D)은 디스플레이 채널(도면에서 굵은 화살선으로 표시)의 연결을 통해 제1 토폴러지를 형성하고, 또한 정보 채널(도면에서 약한 화살선으로 표시)의 연결을 통해 제2 토폴러지를 형성한다. 디스플레이 채널은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D)에 영상, 동영상 등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전송하고, 정보 채널은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D)에 정보를 제공하며 또한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D)으로부터 정보를 접수한다. 제2 토폴러지는 미리 설정되거나 또는 이미 알려진 것인 반면에, 제1 토폴러지는 검측 장치를 통해서 획득된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기본 정보가 반영이 되어야 하는 점에서 통상 미지 적이거나 또는 일부 알려진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미 알려진 제2 토폴러지에 정보 채널을 통해 얻은 디스플레이 스크린과 각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해상도를 포함한 기본 정보를 반영함에 따라 제1 토폴러지를 추산할 수 있게 된다. 도 3a와는 달리, 도 3b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1 토폴러지는 행에 따른 캐스케이드, 즉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D)이 디스플레이 채널을 통해 D11, D12, D13, D23, D22, D21, D31, D32, D33의 순서에 따라 연결되고; 제2 토폴러지는 열에 따른 캐스케이드, 즉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D)이 정보 채널을 통해 D11, D21, D31, D32, D22, D12, D13, D23, D33의 순서에 따라 연결된다. 하지만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들은 제1 토폴러지 및 제2 토폴러지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필요에 따라 임의 가능한 형태, 예컨대 병렬, 캐스케이드와 병렬의 혼합 또는 기타 토폴러지 구성으로 설정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또한 도 3a와는 달리, 도 3b의 실시예에 있어서, 정보 채널은 일방향 채널로서, 정보 발송 채널과 정보 리턴 채널을 포함한다. 각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D)은 정보 발송 채널을 통해 D11, D21, D31, D32, D22, D12, D13, D23, D33의 순서에 따라 일방향으로 정보를 전송하며, 맨 마지막 단계의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D33)은 정보 리턴 채널을 통해 정보를 리턴한다. 예를 들어, 각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D)으로부터 정보를 읽고자 할 경우, 제1 단계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D11)에 한 그룹의 읽기 명령을 발송하고, 제1 단계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D11)은 상기 그룹의 읽기 명령을 제2 단계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D21)에 전송하며, 제2 단계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D21)은 상기 그룹의 읽기 명령을 제3 단계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D31)에 전송하고, 이로써 유추하여, 맨 마지막 단계의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D33)에 최종 전송될 수 있다. 이 과정에 있어서, 어느 한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예컨대,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D22))이 자신의 읽기 명령을 접수하였을 경우, 상기 읽기 명령을 리턴해야 할 정보로 교체하는 바, 예컨대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D22)에 대한 읽기 명령을 당해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D22)이 리턴해야 할 정보로 교체한 후, 계속하여 다음 단계의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D12)으로 전송한다. 이와 같은 일방향의 전송과 교체를 통해, 맨 마지막 단계의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D33)에서는 전부의 리턴해야 할 정보를 획득하게 되며, 그후 정보 리턴 채널을 통해 리턴하게 된다. 상호 독립적인 정보 발송 채널과 정보 리턴 채널을 통해 일방향으로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각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설계 난도를 간략화 할 수 있다.
도 3c는 도 2의 디스플레이 스크린(210)의 또 다른 예시적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3a 및 도 3b와 유사하게, 디스플레이 스크린(210)은 어레이로 배치된 복수개의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D11, D12, D13, D21, D22, D23, D31, D32 및 D33)(이하,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D)으로 칭함)을 포함한다. 각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D)은 디스플레이 채널(도면에서 굵은 화살선으로 표시)의 연결을 통해 제1 토폴러지를 형성하고, 또한 정보 채널(도면에서 약한 화살선으로 표시)의 연결을 통해 제2 토폴러지를 형성한다. 디스플레이 채널은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D)에 영상, 동영상 등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전송하고, 정보 채널은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D)에 정보를 제공하며 또한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D)으로부터 정보를 접수한다. 제2 토폴러지는 미리 설정되거나 또는 이미 알려진 것인 반면에, 제1 토폴러지는 검측 장치를 통해서 획득된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기본 정보가 반영이 되어야 하는 점에서 통상 미지 적이거나 또는 일부 알려진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미 알려진 제2 토폴러지에 정보 채널을 통해 얻은 디스플레이 스크린과 각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해상도를 포함한 기본 정보를 반영함에 따라 제1 토폴러지를 추산할 수 있게 된다. 도 3a와 유사하게, 제1 토폴러지는 열에 따른 캐스케이드, 즉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D)이 디스플레이 채널을 통해 D11, D21, D31, D32, D22, D12, D13, D23, D33의 순서에 따라 연결된다. 하지만 도 3a 및 도 3b의 직렬된 정보 채널과 다르게, 도 3c의 정보 채널은 병렬된 정보 채널이며, 다시 말하여 각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D)은 모두 별도의 정보 채널을 통해 외부와 정보를 송수신한다. 도 3c의 실시예에 있어서,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D11, D12, D13, D21, D22, D23, D31, D32, D33)은 각각 정보 채널(T11, T12, T13, T21, T22, T23, T31, T32, T33)(이하 정보 채널(T)이라 칭함)과 연결된다. 도 3c의 실시예에서 각 정보 채널(T)은 양방향 채널로써, 각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D)으로 하여금 정보 채널을 통해 외부로부터 정보를 접수하고 외부에로 정보를 발송할 수 있도록 한다.
비록 도 3a, 3b 및 3c는 모두 3×3 어레이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수량 및 어레이 구조는 필요에 따라 임의로 설정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이상 설명한 디스플레이 채널과 정보 채널의 구조는 단지 예시적인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나라, 디스플레이 채널과 정보 채널의 수량 및 배치는 필요에 따라 임의로 설정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캐스케이드와 병렬의 조합 또는 기타 형식으로 설정할 수 있다. 비록 이상의 설명에서 디스플레이 채널과 정보 채널을 서로 독립적인 채널로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이상의 실시예에서 각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D)은 동일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동일한 해상도를 가질 수 있고 심지어 동일한 구조, 동일한 사양을 가질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각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상이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이한 해상도, 상이한 구조, 상이한 사양 및/또는 상이한 애플리케이션 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비록 도 3a, 3b 및 3c에서 정보 채널의 제2 토폴러지가 디스플레이 채널의 제1 토폴러지와 다르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제2 토폴러지를 제1 토폴러지와는 독립적으로 설정할 수 있는 것으로, 제1 토폴러지와 같을 수도 있고, 제1 토폴러지와 다를 수도 있다. 물론, 기타 최적화 방법을 통해 제2 토폴러지를 제1 토폴러지와 비슷하게 할 수도 있으며, 따라서 후속적인 연산을 간략화 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여, 검측 장치(220)는 디스플레이 스크린(210)의 기본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기본 정보와 상기 제2 토폴러지에 의하여 상기 제1 토폴러지를 확정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검측 장치(220)는 정보 취출 모듈(2201) 및 검측 모듈(2202)을 포함할 수 있다.
정보 취출 모듈(2201)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기본 정보를 획득하며, 또한 정보 채널을 통해 각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D)이 접수한 검측 영상의 데이터를 읽어낸다. 상기 기본 정보는 디스플레이 스크린(210)과 각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D)의 해상도를 포함한다. 상기 기본 정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스크린(210)의 수평 방향에 포함된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D)의 수량 및 수직 방향에 포함된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D)의 수량을 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설명해야 할 것은, 상기와 같은 기본 정보는 여러 가지 경로를 통해 얻을 수 있는 바, 예컨대 정보 채널을 통해 디스플레이 스크린(210) 및/또는 각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D)으로부터 읽을 수 있고, 또한 사용자가 직접 설정하여 얻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해상도는 각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D)에 저장될 수 있고, 정보 취출 모듈(2201)에 의해 정보 채널을 통해 각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D)으로부터 읽어질 수 있으며; 전반 디스플레이 스크린(210)의 해상도는 인위적으로 설정할 수 있는바, 예컨대 사용자가 활용의 필요에 따라 직접 설정할 수 있으며, 여기서 말하는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스크린(210)을 커미셔닝하는 임의 사람, 즉 설계 인원, 설치 및 커미셔닝 인원, 유지 보수 인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완전히 동일한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D)을 사용한 경우, 스티칭함에 있어 필요에 따라 임의 사이즈의 디스플레이 스크린(210)을 스티칭해낼 수 있으며, 전반 디스플레이 스크린(210)의 해상도를 인위적으로 설정한다면 더욱 간단하고 정확할 것이다.
검측 모듈(2202)은 정보 취출 모듈(2201)로부터의 기본 정보에 의하여 검측 영상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 채널을 통해 디스플레이 스크린(210)의 각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D)에 제공하고, 또한 상기 제2 토폴러지와 정보 취출 모듈(2201)로부터의 각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D)이 접수한 검측 영상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1 토폴러지를 확정하며, 상기 검측 영상은 디스플레이 스크린(210)의 픽셀 포인트 위치와 관련된 정보를 적재하고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측 영상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검측 영상은 m×n 의 매트릭스로서, m은 매트릭스의 행수를 나타내고, n은 매트릭스의 열수를 나타내며, m과 n은 1보다 큰 정수를 나타내고, 이들의 구체 수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210)의 해상도에 따라 확정되는바, 예컨대 디스플레이 스크린(210)의 해상도가 3840×2160이라면, m과 n은 각각 3840과 2160일 수 있으며, 다시 말하여 매트릭스 중의 각 데이터 요소 e는 디스플레이 스크린(210) 위의 한 개 픽셀 포인트에 대응된다. 물론, m과 n은 디스플레이 스크린(210)의 해상도에 대한 동등 비율의 확대/축소된 수치일 수 있다. 검측 영상은 디스플레이 스크린(210)의 해상도와 각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D)의 해상도에 의하여 복수개의 서브 매트릭스로 구획되고, 각각의 서브 매트릭스는 한 개의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D)에 대응된다. 예를 들어, 3840×2160의 디스플레이 스크린(210)에 있어, 만약 3×3 어레이를 형성한 9개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D)의 해상도가 동일하며 그 해상도가 각각 1280×720일 경우, 3840×2160의 검측 영상을 3×3의 9개 서브 매트릭스(E11, E12, E13, E21, E22, E23, E31, E32, E33)(이하 서브 매트릭스(E)라 칭함)로 구획할 수 있으며, 이들은 각각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D11, D12, D13, D21, D22, D23, D31, D31, D33)에 대응된다. 9개의 서브 매트릭스(E)는 미리 설정된 제3 토폴러지에 따라 정렬할 수 있으며, 예컨대 E11, E12, E13, E23, E22, E21, E31, E32, E33의 순서(도 4a에서 화살선의 표시를 참조)에 따라 정렬할 수 있다. 각 서브 매트릭스(E) 중의 데이터 요소는 당해 서브 매트릭스(E)가 전반 매트릭스에 놓이는 위치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E11 중의 데이터 요소는 모두 {0,0}으로서, E11이 전반 매트릭스 중의 제1 행, 제1 열에 위치함을 나타내고; E12 중의 데이터 요소는 모두 {0,1}로서, E12가 전반 매트릭스 중의 제1 행, 제2 열에 위치함을 나타내며; E13 중의 데이터 요소는 모두 {0,2}로서, E13이 전반 매트릭스 중의 제1 행, 제3 열에 위치함을 나타내고; 나머지는 이런 방식으로 유추할 수 있다.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검측 영상 데이터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4a와 유사하게, 도 4b의 검측 영상 데이터는 m×n 의 매트릭스로서, m과 n은 디스플레이 스크린(210)의 해상도에 따라 확정되는바, 예컨대 디스플레이 스크린(210)의 해상도가 3840×2160이라면, m과 n은 각각 3840과 2160일 수 있으며, 다시 말하여 매트릭스 중의 각 데이터 요소 e는 디스플레이 스크린(210) 위의 한 개 픽셀 포인트에 대응된다. 물론, m과 n은 디스플레이 스크린(210)의 해상도에 대한 동등 비율의 확대/축소된 수치일 수 있다. 검측 영상 데이터는 디스플레이 스크린(210)의 해상도와 각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D)의 해상도에 의하여 복수개의 서브 매트릭스로 구획되고, 각각의 서브 매트릭스는 한 개의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D)에 대응된다. 도 4b의 실시예 중 각 서브 매트릭스의 해상도에 있어서, 예를 들어, 3840×2160의 디스플레이 스크린(210)에 있어, 만약 3×3 어레이를 형성한 9개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D)의 해상도가 동일하며 그 해상도가 각각 1280×720일 경우, 3840×2160의 검측 영상을 3×3의 9개 서브 매트릭스(E11, E12, E13, E21, E22, E23, E31, E32, E33)(이하 서브 매트릭스(E)라 칭함)로 구획할 수 있으며, 이들은 각각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D11, D12, D13, D21, D22, D23, D31, D31, D33)에 대응된다. 9개의 서브 매트릭스(E)는 미리 설정된 제3 토폴러지에 따라 정렬할 수 있으며, 예컨대 E11, E12, E13, E23, E22, E21, E31, E32, E33의 순서(도 4b에서 화살선의 표시를 참조)에 따라 정렬할 수 있다. 도 4a와는 다르게, 도 4b의 매트릭스에서 각각의 데이터 요소는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한 개 픽셀 포인트의 위치를 나타내며, 예컨대, 매트릭스에서 제1 행, 제1 열의 데이터 요소는 {0,0}으로서, 디스플레이 스크린(210) 중 제1 행, 제1 열에 놓인 픽셀 포인트의 위치에 대응하고; 매트릭스에서 제1 행, 제2 열의 데이터 요소는 {0,1}로서, 디스플레이 스크린(210) 중 제1 행, 제2 열에 놓인 픽셀 포인트의 위치에 대응하며; 나머지는 이런 방식으로 유추할 수 있다.
비록 도 4a와 도 4b에서는 3×3의 매트릭스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디스플레이 스크린(210)과 각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D)의 해상도 비율이 상이함에 따라 검측 영상 데이터에 대한 구획도 서로 다를 것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상,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각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D)의 해상도가 동일한 상황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들은 각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D)의 해상도를 필요에 따라 임의로 설정할 수 있는바, 동일하게 설정할 수 도 있고, 상이하게 설정할 수도 있으며, 또한 일부를 동일하거나 상이하게 설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비록 도 4a와 도 4b의 제3 토폴러지는 모두 행에 따른 캐스케이드(도 4a와 도 4b의 화살선의 표시를 참조)이지만,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제3 토폴러지는 필요에 따라 임의 형태로 설정할 수 있으며, 예컨대 열에 따른 캐스케이드, 병렬, 캐스케이드와 병렬의 조합 등으로 설정할 수 있다. 제3 토폴러지는 제1 토폴러지 및 제2 토폴러지와는 독립적으로 설정할 수 있고, 상기 세 토폴러지는 서로 다를 수 있으며, 물론 같거나 근사할 수도 있는바, 제2 토폴러지와 제3 토폴러지를 이미 알고 있는 상황에서 제1 토폴러지를 추산해낼 수 있기만 하면 된다.
도 5는 도 2의 검측 모듈(2202)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검측 모듈(2202)은 영상 생성 유닛(2202-1) 및 토폴러지 연산 유닛(2202-2)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생성 유닛(2202-1)은 디스플레이 스크린(210)과 각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D)의 해상도를 이용하여 예컨대 도 4a 또는 도 4b에 나타낸 것과 같은 검측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토폴러지 연산 유닛(2202-2)은 상기 제2 토폴러지를 이용하여 각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어레이 중에서의 위치를 확정하며, 또한 각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D)이 접수한 검측 영상 데이터와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D)의 어레이 중에서의 위치 관계를 이용하여 제3 토폴러지를 조정함으로써, 제1 토폴러지를 얻을 수 있다.
제1 토폴러지를 검측할 경우, 정보 취출 모듈(2201)은 정보 채널을 통해 디스플레이 스크린(210)의 기본 정보, 예컨대 디스플레이 스크린(210)의 해상도, 각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D)의 해상도 등을 취출할 수 있다. 검측 모듈(2202)은 정보 취출 모듈(2201)로부터의 기본 정보를 이용하여 검측 영상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 채널을 통해 디스플레이 스크린(210)의 각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D)에 제공한다. 검측 영상은 디스플레이 스크린(210)의 픽셀 포인트 위치와 관련된 정보를 적재하고 있는바, 예컨대 검측 영상은 복수개의 서브 부분으로 구획될 수 있고, 각각의 서브 부분은 한 개의 상응한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D)에 대응하며, 또한 미리 설정된 제3 토폴러지에 따라 정렬된다. 각각의 서브 부분은 상기와 같은 순서에 따라 상응한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D)에 각각 접수된다. 정보 취출 모듈(2201)은 정보 채널을 통해 각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D)이 접수한 검측 영상의 데이터를 읽어내어 검측 모듈(2202)에 제공한다. 검측 모듈(2202)은 정보 채널의 연결 관계(즉, 제2 토폴러지) 및 각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D)이 접수한 검측 영상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1 토폴러지를 확정한다.
이하, 도 3a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토폴러지와 도 4a의 검측 영상을 예를 들면서 제1 토폴러지에 대한 추산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a의 검측 영상은 생성된 후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D11)에 제공된다.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 채널의 연결 방식(즉, 제1 토폴러지)에 따라,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D)은 D11, D21, D31, D32, D22, D12, D13, D23, D33의 순서에 따라 검측 영상 데이터 중의 대응한 서브 부분(E)을 접수하고, 도 4a의 정렬 방식(즉, 제3 토폴러지)에 따라, 대응한 서브 부분(E)은 E11, E12, E13, E23, E22, E21, E31, E32, E33의 순서에 따라 배열된다. 이로써,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D11, D21, D31, D32, D22, D12, D13, D23, D33)은 상기 순서에 따라 검측 영상 데이터의 서브 부분(E11, E12, E13, E23, E22, E21, E31, E32, E33)을 각각 접수하게 된다.
한편으로, 정보 채널을 이미 알고 있기 때문에, 즉 정보 채널의 연결 방식과 정보의 전송 방식을 이미 알고 있기 때문에, 정보 채널을 통해 어느 한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D)으로부터 이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D)이 접수한 검측 영상 데이터의 서브 부분(E)을 읽을 경우, 당해 서브 부분(E)이 어느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D)으로부터 제공된 것인지를 알수 있으며, 다시 말하여, 어느 한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D)으로부터의 서브 부분(E)를 접수하였을 경우, 당해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D)의 전반 디스플레이 스크린(210)에서의 위치를 알 수 있다. 예를 들면, 정보 채널의 연결 방식이 확정된 것이고, 정보 채널의 정보 전송 방식도 확정된 것(예를 들어 시스템 설계 시 확정할 수 있는바, 예컨대 연결 순서에 따라 정보를 리턴할 수 있도록 설계할 수 있으며, 즉 연결 관계에서 첫 번째에 위치한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우선 정보를 리턴하고, 다음으로 두 번째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정보를 리턴하며, 나머지는 이로써 유추할 수 있음)이기 때문에, 각각의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D)이 디스플레이 스크린(210)에 놓인 위치를 판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a의 상황에 있어서, 정보 채널을 통해 순서적으로 읽어낸 제1 그룹 정보, 제2 그룹 정보, 제3 그룹 정보 … … 제9 그룹 정보는 각각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D11, D21, D31, D32, D22, D12, D13, D23, D33)으로부터 제공된 정보임을 확정할 수 있다. 도 3b의 상황에 있어서, 정보 채널을 통해 순서적으로 읽어낸 제1 그룹 정보, 제2 그룹 정보, 제3 그룹 정보 … … 제9 그룹 정보는 각각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D11, D12, D13, D23, D22, D21, D31, D32, D33)으로부터 제공된 정보임을 확정할 수 있다. 도 3c의 상황에 있어서, 각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정보 채널은 독립적인 것이기 때문에, 각 정보 채널을 통해 제공된 정보가 어느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응하는지를 명확히 알 수 있으며, 예하면 정보 채널(T11)을 통해 읽어낸 정보는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D11)으로부터 제공된 것이고, 정보 채널(T12)을 통해 읽어낸 정보는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D12)으로부터 제공된 것이며, 나머지는 이로써 유추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각 서브 부분(E) 중의 데이터 요소가 당해 서브 부분이 전반 검측 영상에 놓인 위치를 구현할 수 있기 때문에, 어느 한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D)으로부터의 서브 부분(E)을 접수할 경우, 당해 서브 부분(E)이 전반 검측 영상 중에 놓인 위치를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서브 부분(E)에서 지정된 위치(예컨대, 제1 행, 제1 열)의 데이터 요소 값을 읽을 수 있다. 도 4a의 검측 영상에 있어서, 만약 데이터 요소 값이 {0,0}이라면, 당해 서브 부분이 E11(즉, 제1 행, 제1 열에 위치)임을 나타내고; 만약 데이터 요소 값이 {2,1}이라면, 당해 서브 부분이 E32(즉, 제3 행, 제2 열에 위치)임을 나타내며; 나머지는 이런 방식으로 유추할 수 있다. 물론, 도 4b의 검측 영상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바, 예컨대 위에서 언급한 3840×2160 매트릭스가 9개의 3×3 서브 매트릭스로 균등 구획된 상황에 있어서, 만약 데이터 요소 값이 {0,0}이라면, 당해 서브 부분이 E11(즉, 제1 행, 제1 열에 위치)임을 나타내고; 만약 데이터 요소 값이 {0,1280}이라면, 당해 서브 부분이 E12(즉, 제1 행, 제2 열에 위치)임을 나타내며; 나머지는 이런 방식으로 유추할 수 있다.
상기 두 부분을 종합하여 보면, 검측 모듈(2202)은,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D11, D21, D31, D32, D22, D12, D13, D23, D33)이 이러한 순서에 따라 검측 영상 데이터의 서브 부분(E11, E12, E13, E23, E22, E21, E31, E32, E33)을 각각 접수하는 대응 관계를 알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대응 관계를 기반으로, 제3 토폴러지를 조정할 수 있고, 나아가 제1 토폴러지를 최종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대응 관계에 대해, 검측 영상 데이터의 각 서브 부분(E)의 정렬을 E11, E21, E31, E32, E22, E12, E13, E23, E33으로 조정할 수 있고, 따라서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D)이 디스플레이 채널을 통한 연결 순서(즉, 제1 토폴러지)와 일치하게 되며, 이로써 제1 토폴러지가 확정될 수 있다.
비록 위의 설명에서는 제1 행과 제1 열을 지정 위치로 하였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필요에 따라 원하는 지정 위치를 임의로 선택할 수 있으며, 예컨대 제1 행, 제2 열; 마지막 행, 마지막 열; 등을 지정할 수 있다. 또한, 비록 위에서는 도 4a와 도 4b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들은 필요에 따라 임의 적절한 검측 영상을 선택하여 검측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의 디스플레이 장치(600)는 도 2의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유사하며, 적어도 아래와 같은 구별 점을 가지는바, 즉 디스플레이 장치(600)는 디스플레이 스크린(610)과 검측 장치(620)를 포함하는 외, 디스플레이 데이터 발송 장치(630)를 더 포함하며, 검측 장치(620)는 구성상 도 2의 검측 장치(220)와 상이하다. 설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이하 구별되는 부분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할 것이며,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략할 것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600)는 디스플레이 스크린(610), 검측 장치(620) 및 디스플레이 데이터 발송 장치(63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스크린(610)은 디스플레이 스크린(210)과 동일하며, 예컨대 전술한 바와 같이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여 설명한 임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일 수 있다. 검측 장치(620)는 도 2의 검측 장치(220)와 유사하며, 정보 채널을 통해 디스플레이 스크린(610)의 기본 정보를 취출하고, 또한 상기 기본 정보와 상기 제2 토폴러지에 의하여 상기 제1 토폴러지를 확정한다. 디스플레이 데이터 발송 장치(630)는 검측 장치(620)가 확정한 제1 토폴러지에 따라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정렬하여 디스플레이 채널을 통해 디스플레이 스크린(620)에 제공한다.
도 2의 검측 장치(220)와는 달리, 도 6의 검측 장치(620)는 정보 취출 모듈(6201), 검측 모듈(6202) 및 전환 모듈(6203)을 포함한다.
정보 취출 모듈(6201)은 도 2의 정보 취출 모듈(2201)과 유사하며, 상기 정보 채널을 통해 디스플레이 스크린(610)의 기본 정보를 취출하고, 또한 정보 채널을 통해 각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D)이 접수한 검측 영상의 데이터를 읽어 낸다.
검측 모듈(6202)은 도 2의 검측 모듈(2202)과 유사하며, 정보 취출 모듈(6201)로부터의 기본 정보에 따라 검측 영상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 채널을 통해 디스플레이 스크린(610)의 각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D)에 제공하고, 또한 상기 제2 토폴러지와 정보 취출 모듈(6201)로부터 얻은 각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D)이 접수한 검측 영상의 데이터에 따라 제1 토폴러지를 확정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검측 모듈(6202)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성을 적용할 수 있는바, 영상 생성 유닛(2202-1) 및 토폴러지 연산 유닛(2202-2)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생성 유닛(2202-1)은 정보 취출 모듈(6201)에 연결되어, 정보 취출 모듈(6201)이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610)과 각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D)의 해상도에 따라 검측 영상, 예컨대 도 4a 또는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은 검측 영상을 생성한다. 토폴러지 연산 유닛(2202-2)은 정보 취출 모듈(6201)과 디스플레이 데이터 발송 장치(630)에 연결되어, 제2 토폴러지에 따라 각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D)이 어레이에 놓인 위치를 확정하고, 또한 각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D)이 접수한 검측 영상 데이터와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D)이 어레이에 놓인 위치의 관계에 따라 제3 토폴러지를 조정함으로써, 제1 토폴러지를 획득(예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도 2의 실시예에서 도 3a,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설명한 추산 방식을 사용)하고, 획득한 제1 토폴러지를 디스플레이 데이터 발송 장치(630)에 제공한다.
전환 모듈(6203)은 검측 모듈(6202)과 디스플레이 데이터 발송 장치(630)를 전환 가능하도록 디스플레이 스크린(610)의 디스플레이 채널에 연결하며, 구체적으로, 검측 단계에서는 검측 모듈(6202)(예컨대, 검측 모듈(6202)의 영상 생성 유닛(2202-1))을 디스플레이 스크린(610)의 디스플레이 채널에 연결하고, 디스플레이 단계에서는 디스플레이 데이터 발송 장치(630)를 디스플레이 스크린(610)의 디스플레이 채널에 연결할 수 있다.
제1 토폴러지를 검측할 경우, 정보 취출 모듈(6201)은 정보 채널을 통해 디스플레이 스크린(610)의 기본 정보, 예컨대 디스플레이 스크린(610)의 해상도, 각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D)의 해상도 등을 취출할 수 있다. 검측 모듈(6202)은 정보 취출 모듈(6201)로부터의 기본 정보에 의하여 검측 영상을 생성하고, 이 검측 영상은 디스플레이 스크린(610)의 픽셀 포인트 위치와 관련된 정보를 적재하고 있으며, 예를 들어, 검측 영상은 복수개의 서브 부분으로 구획할 수 있고, 각 서브 부분은 상응한 하나의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D)에 대응하며 또한 미리 설정된 제3 토폴러지에 따라 정렬된다. 검측 모듈(6202)이 검측 영상을 생성한 후, 전환 모듈(6203)을 트리거하여 검측 모듈(6202)을 디스플레이 스크린(610)의 디스플레이 채널에 연결함으로써, 검측 모듈(6202)이 생성한 검측 영상으로 하여금 디스플레이 채널을 통해 디스플레이 스크린(610)의 각 서브 디스를레이 스크린(D)에 제공되도록 한다. 각 서브 부분은 상기 순서에 따라 상응한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D)에 각각 접수된다. 정보 취출 모듈(6201)은 정보 채널을 통해 각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D)이 접수한 검측 영상의 데이터를 읽어 검측 모듈(6202)에 제공한다. 검측 모듈(6202)은 정보 채널의 연결 구조(즉, 제2 토폴러지) 및 각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D)이 접수한 검측 영상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1 토폴러지를 확정하고, 확정된 제1 토폴러지를 디스플레이 데이터 발송 장치(630)에 제공한다. 이로써 검측 과정이 완성되고, 전환 모듈(6203)은 디스플레이 데이터 발송 장치(630)를 디스플레이 스크린(610)의 디스플레이 채널에 연결한다. 디스플레이 데이터 발송 장치(630)는 검측 모듈(6202)이 제공한 제1 토폴러지에 따라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정렬하여 디스플레이 채널을 통해 디스플레이 스크린(610)의 각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D)에 제공한다.
비록, 상기 실시예에서는 검측 영상의 생성 및 제1 토폴러지의 확정에 따라 전환 모듈(6203)을 트리거하여 전환을 수행하도록 하였으나, 다시 말하여 검측 영상의 생성을 검측 단계의 시작으로 하고 제1 토폴러지의 확정을 디스플레이 단계의 시작으로 하였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출원에서 설명하는 검측 단계와 디스플레이 단계는 필요에 따라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600)가 작동될 때 전환 모듈(6203)이 검측 모듈(6202)에 전환되도록 하고, 디스플레이 장치(600)가 커미셔닝을 전부 완성하였을 때 전환 모듈(6203)이 디스플레이 데이터 발송 장치(630)에 전환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제1 토폴러지가 확정된 후 동영상 또는 영상을 즉시 정상적으로 디스플레이하기를 원하지 않을 수도 있는바, 예컨대 확정된 제1 토폴러지를 조정하거나, 기타 부품을 커미셔닝하거나 또는 기타 작업을 수행해야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임의 원하는 사건을 디스플레이 단계에 진입하는 트리거로 할 수 있으며, 심지어 별도의 수동 트리거 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수동으로 전환 모듈(6203)을 디스플레이 데이터 발송 장치(630)에 전환하도록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700)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당해 방법은 전술된 디스플레이 스크린(210 및 610)의 임의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S701 단계에 있어서, 정보 채널을 통해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기본 정보, 예컨대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해상도, 각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해상도 등을 취출한다. 정보 채널은 제2 토폴러지에 따라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각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이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여 설명한 방식에 따라 정보 채널을 배치할 수 있으며, 물론 임의 기타 필요한 방식에 따라 정보 채널을 배치할 수 있다. 비록, 각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 사이의 디스플레이 채널의 연결 방식(제1 토폴러지)은 미지 또는 일부 미지의 상태이지만, 이미 알려진 연결 방식(제2 토폴러지)에 따라 각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 사이에 정보 채널을 달리 연결함으로써, 정보 전송 과정에서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위치와 관련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나아가 디스플레이 채널의 연결 방식을 추산할 수 있다.
S702 단계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기본 정보에 의해 검측 영상, 예컨대 전술한 바와 같이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같은 검측 영상을 생성한다.
S703 단계에 있어서, 검측 영상을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제공하고, 이로써 검측 영상이 디스플레이 채널을 통해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각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제공되도록 한다. 각 서브 부분은 해당 순서에 따라 상응한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각각 접수된다. 도 3a의 디스플레이 스크린 토폴러지 및 도 4a의 검측 영상을 예로 들면, 도 4a의 검측 영상은 생성된 후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D)에 제공된다. 도 3a의 디스플레이 채널의 연결 방식(즉, 제1 토폴러지)에 따라,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D)은 D11, D21, D31, D32, D22, D12, D13, D23, D33의 순서에 따라 검측 영상 데이터 중의 대응되는 서브 부분(E)를 접수하고, 도 4a의 정렬 방식(즉, 제3 토폴러지)에 따라, 대응되는 서브 부분(E)은 E11, E12, E13, E23, E22, E21, E31, E32, E33의 순서에 따라 배열된다. 이는,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D11, D21, D31, D32, D22, D12, D13, D23, D33)이 이러한 순서에 따라 검측 영상 데이터의 서브 부분(E11, E12, E13, E23, E22, E21, E31, E32, E33)을 각각 접수함을 의미한다.
S704 단계에 있어서, 정보 채널을 통해 각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접수한 검측 영상의 데이터를 읽어낸다. 예를 들어, 검측 영상의 각 서브 부분 중 지정된 위치(예컨대 제1 행, 제1 열)의 데이터 요소 값을 읽을 수 있다. 도 4a의 검측 영상에 있어서, 만약 데이터 요소 값이 {0,0}이라면, 당해 서브 부분이 E11(즉 제1 행, 제1 열에 위치)임을 나타내고; 만약 데이터 요소 값이 {2,1}이라면, 당해 서브 부분이 E32(즉 제3 행, 제2 열에 위치)임을 나타내며; 나머지는 이러한 방식으로 유추할 수 있다. 물론, 도 4b의 검측 영상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바, 예컨대 위에서 언급한 3840×2160 매트릭스가 9개의 3×3 서브 매트릭스로 균등 구획된 상황에 있어서, 만약 데이터 요소 값이 {0,0}이라면, 당해 서브 부분이 E11(즉, 제1 행, 제1 열에 위치)임을 나타내고; 만약 데이터 요소 값이 {0,1280}이라면, 당해 서브 부분이 E12(즉, 제1 행, 제2 열에 위치)임을 나타내며; 나머지는 이런 방식으로 유추할 수 있다. 비록 위의 설명에서는 제1 행과 제1 열을 지정 위치로 하였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필요에 따라 원하는 지정 위치를 임의로 선택할 수 있으며, 예컨대 제1 행, 제2 열; 마지막 행, 마지막 열; 등을 지정할 수 있다. 또한, 비록 위에서는 도 4a와 도 4b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들은 필요에 따라 임의 적절한 검측 영상을 선택하여 검측할 수 있다.
S705 단계에 있어서, 정보 채널의 연결 구조(즉, 제2 토폴러지) 및 각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접수한 검측 영상의 데이터에 의해 제1 토폴러지를 확정한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한편으로, 정보 채널의 연결 방식과 정보의 전송 방식을 이미 알고 있기 때문에, 이로써 정보 채널을 통해 어느 한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으로부터 이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접수한 검측 영상 데이터의 서브 부분을 읽을 경우, 당해 서브 부분이 어느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으로부터 제공된 것인지를 알수 있다. 다시 말하여, 정보 채널을 통해 어느 한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으로부터 이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접수한 서브 부분을 읽을 경우, 이미 알고 있는 제2 토폴러지에 의해 당해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전반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놓인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각 서브 부분(E) 중의 데이터 요소가 당해 서브 부분이 전반 검측 영상에 놓인 위치를 구현할 수 있기 때문에, 이로써 정보 채널을 통해 어느 한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으로부터 이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접수한 서브 부분을 읽을 경우, 이 서브 부분이 전반 검측 영상에 놓이는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두 부분을 종합하여 보면, 각각의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과 그 각자가 접수한 검측 영상의 서브 부분 사이의 대응 관계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도 3a 및 도 4a를 참고한 실시예에 있어서,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D11, D21, D31, D32, D22, D12, D13, D23, D33)이 이러한 순서에 따라 검측 영상 데이터의 서브 부분(E11, E12, E13, E23, E22, E21, E31, E32, E33)을 각각 접수하는 대응 관계를 알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대응 관계를 기반으로, 제3 토폴러지를 조정할 수 있고, 나아가 제1 토폴러지를 최종 얻을 수 있다. 예시적으로, 아래와 같은 방식을 이용하여 제3 토폴러지를 조정할 수 있는바, 만약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접수한 서브 매트릭스가 매트릭스에 놓인 위치와 당해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어레이에 놓인 위치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 제 3 토롤러지에서의 당해 서브 매트릭스를 당해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어레이에 놓인 위치와 대응되는 서브 매트릭스로 교체한다. 예를 들어, 상기 대응 관계에 대해, 검측 영상 데이터의 각 서브 부분(E)의 정렬을 E11, E21, E31, E32, E22, E12, E13, E23, E33으로 조정할 수 있고, 따라서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디스플레이 채널을 통한 연결 순서(즉, 제1 토폴러지)와 일치하게 되며, 이로써 제1 토폴러지가 확정될 수 있다. 여기까지, 제1 토폴러지에 대한 검측이 완성되었고, 당해 제1 토폴러지를 기반으로 여러 가지 기타 처리, 조작 및/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은 S706 및 S707 단계를 수행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커미셔닝을 완성할 수 있다.
S706 단계에 있어서, S705 단계에서 확정한 제1 토폴러지에 따라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정렬한다. 예를 들어, 검측 영상과 동일한 분할 방식에 따라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분할할 수 있고, S705 단계에서 확정한 제1 토폴러지에 따라 분할된 후의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정렬할 수 있다. 예컨대, 이상 도 3a 및 도 4a를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에 있어서, 도 4a에 도시한 분할 방식에 따라 디스플레이 데이터의 각 화면을 분할하고, E11, E21, E31, E32, E22, E12, E13, E23, E33의 순서에 따라 분할된 후의 화면을 정렬할 수 있다. 이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제공되는 디스플레이 데이터의 분할과 정렬이 각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해상도 및 디스플레이 채널의 연결 방식과 일치하도록 하고, 나아가 전반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정확히 디스플레이하도록 한다.
S707 단계에 있어서, 정렬된 후의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채널을 통해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각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제공한다.
비록, 상기 실시예에서는 특정된 순서에 따라 각 단계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들은 이를 기초로 변경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S705 단계와 S707 단계 사이에 기타 조작을 수행할 수 있는바, 예컨대 S705 단계에서 획득한 제1 토폴러지를 수정하거나, 기타 부품을 커미셔닝하거나, 사용자의 명령을 대기할 수도 있다. 또한, S705 단계에서 제1 토폴러지를 획득한 후, 제1 토폴러지를 이용하여 임의 필요한 조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S706 단계와 S707 단계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토폴러지를 기반으로 각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연결 방식을 분석 및 최적화 할 수 있고, 각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배치 정보를 조정할 수 있으며, 및/또는 기타 정보와 결합하여 연산, 처리 및 조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S705 단계와 S706 단계 사이에서 제1 토폴러지를 최적화 및 조정하여, 더욱 정확한 제1 토폴러지의 검측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S705 단계와 S707 단계 사이에서 기타 부품에 대한 커미셔닝, 처리 및/또는 기타 조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심지어 S707 단계 전에 별도의 디스플레이 명령을 대기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각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 사이를 이미 알려진 방식에 따라 연결하고 각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 사이에 정보를 전송하도록 하는 정보 채널을 통해, 각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 사이의 디스플레이 채널의 연결 토폴러지를 추산함으로써, 연결 토폴러지에 대한 자동 검측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토폴러지를 자동으로 검측하여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배치함으로써, 쾌속적이고 정확한 자동 커미셔닝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전통적인 수동식 커미셔닝 방식에 비해 커미셔닝 시간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정보 채널의 유형과 연결 방식 및 검측 영상의 양식과 내용은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로 하여금 더욱 영활하고 효과적인 방식으로 토폴러지 검측 및 시스템 커미셔닝을 쉽게 실현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지나지 않는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들은 본 발명에 대해 여러 가지 수정 및 변화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과 원리의 범주 내에서 수행한 어떠한 수정, 균등 교체, 변경 등은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속한다.

Claims (19)

  1. 어레이로 배치된 복수개의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디스플레이 데이터 발송장치 및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기본 정보를 획득하는 검측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디스플레이 채널을 통해 연결되어 제1 토폴러지를 형성하는 한편 미리 설정된 제2 토폴러지를 따라 정보 채널을 통해 연결되도록 설정되되 상기 검측 장치에서 획득된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기본 정보와 상기 미리 설정된 제2 토폴러지에 의해 상기 제1 토폴러지가 확정되도록 설정되고,
    상기 검측 장치는, 상기 정보 채널을 통해 상기 각각의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접수한 검측 영상의 데이터를 읽으며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과 각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해상도를 포함한 상기 기본 정보를 획득하는 정보 취출 모듈과,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상기 기본 정보에 의해 검측 영상을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채널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각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제공하는 검측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측 모듈에서 생성되는 상기 검측 영상은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놓인 위치와 대응되는 정보를 적재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해상도는 인위적으로 설정한 것이고, 상기 각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해상도는 상기 정보 채널을 통해 각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으로부터 취출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검측 장치가 확정한 상기 제1 토폴러지에 의해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정렬하여 디스플레이 채널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데이터 발송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검측 장치는, 검측 단계에서는 상기 검측 모듈을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디스플레이 채널에 연결하고, 디스플레이 단계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데이터 발송 장치를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디스플레이 채널에 연결하는 전환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측 모듈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해상도에 따라 검측 영상을 생성하고 각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해상도에 따라 검측 영상을 복수개의 서브 부분으로 분할하며, 여기서 각 서브 부분은 한 개의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응하고, 상기 복수개의 서브 부분은 미리 설정한 제3 토폴러지에 따라 정렬되는 영상 생성 유닛; 및
    상기 제2 토폴러지에 의해 각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어레이에 놓인 위치를 확정하고, 각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접수한 서브 부분이 검측 영상에 놓인 위치와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어레이에 놓인 위치의 관계를 통해 제3 토폴러지를 조정하며, 이로써 제1 토폴러지를 획득하는 토폴러지 연산 유닛;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검측 영상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해상도와 대응되는 매트릭스를 포함하고, 상기 매트릭스는 각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해상도에 따라 복수개의 서브 매트릭스로 분할되며, 각각의 서브 매트릭스는 한 개의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응하고, 각 서브 매트릭스의 데이터 요소는 당해 서브 매트릭스가 매트릭스에 놓인 위치를 나타내며, 상기 복수개의 서브 매트릭스의 발송 순서는 상기 제3 토폴러지에 의해 확정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검측 영상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해상도와 대응되는 매트릭스를 포함하고, 매트릭스의 각각의 데이터 요소는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한 개 픽셀 포인트의 위치를 나타내며, 상기 매트릭스는 각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해상도에 따라 복수개의 서브 매트릭스로 분할되고, 각각의 서브 매트릭스는 한 개의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응되며, 상기 복수개의 서브 매트릭스의 발송 순서는 상기 제3 토폴러지에 의해 확정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1 항 내지 제7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채널은 일 방향의 정보 발송 채널과 일 방향의 정보 리턴 채널을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1 항 내지 제7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채널은 양 방향 채널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1 항 내지 제7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채널은 직렬 채널 또는 병렬 채널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어레이로 배치된 복수개의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디스플레이 데이터 발송장치 및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기본 정보를 획득하는 검측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정보 채널을 통해 각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접수한 검측 영상의 데이터를 읽으며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과 각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해상도를 포함한 상기 기본 정보를 획득하는 정보 취출 모듈과,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기본 정보에 의해 검측 영상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 채널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각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제공하는 검측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검측 장치로부터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기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디스플레이 채널을 통해 연결되어 제1 토폴러지를 형성하는 단계;
    미리 설정된 제2 토폴러지를 따라 정보 채널을 통해 각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연결하는 단계;
    상기 검측 장치에서 획득된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기본 정보와 상기 미리 설정된 제2 토폴러지에 의해 상기 제1 토폴러지를 확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정보에 의해 검측 영상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 채널을 통해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각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제공하되, 상기 검측 영상은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놓이는 위치와 대응되는 정보를 적재한 단계;
    정보 채널을 통해 각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접수한 검측 영상의 데이터를 읽는 단계; 및
    상기 제2 토폴러지와 상기 각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접수한 검측 영상의 데이터에 의해 제1 토폴러지를 확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해상도는 인위적으로 설정한 것이고, 상기 각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해상도는 상기 정보 채널을 통해 취출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14. 제12 항에 있어서,
    제1 토폴러지를 확정한 후, 확정된 제1 토폴러지에 따라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정렬하여 디스플레이 채널을 통해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15.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정보에 의해 검측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해상도에 의해 검측 영상을 생성하고 각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해상도에 의해 검측 영상을 복수개의 서브 부분으로 분할하며, 여기서 각각의 서브 부분은 한 개의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응되고, 상기 복수개의 서브 부분을 미리 설정한 제3 토폴러지에 따라 정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토폴러지 및 상기 각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접수한 검특 영상의 데이터에 의해 제1 토폴러지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2 토폴러지에 의해 각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어레이에 놓인 위치를 확정하고, 각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접수한 서브 부분이 검측 영상에 놓인 위치와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어레이에 놓인 위치의 관계에 따라 제3 토폴러지를 조정함으로써 제1 토폴러지를 얻는 단계를 포함;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검측 영상은 사이즈가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해상도와 대응되는 매트릭스를 포함하고, 상기 매트릭스는 각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해상도에 따라 복수개의 서브 매트릭스로 분할되며, 각각의 서브 매트릭스는 한 개의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응되고, 각 서브 매트릭스의 데이터 요소는 당해 서브 매트릭스가 매트릭스에 놓인 위치를 나타내며, 상기 복수개의 서브 매트릭스의 발송 순서는 상기 제3 토폴러지에 따라 확정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17.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검측 영상은 사이즈가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해상도와 대응되는 매트릭스를 포함하고, 매트릭스의 각 데이터 요소는 당해 데이터 요소가 매트릭스에 놓인 위치를 나타내며, 상기 매트릭스는 각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해상도에 따라 복수개의 서브 매트릭스로 분할되고, 각각의 서브 매트릭스는 한 개의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응되며, 상기 복수개의 서브 매트릭스의 발송 순서는 상기 제3 토폴러지에 따라 확정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18. 제16 항 또는 제17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정보 채널을 통해 각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접수한 검측 영상의 데이터를 읽는 단계는, 정보 채널을 통해 각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접수한 서브 매트릭스 중 지정된 위치의 데이터 요소를 읽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19. 제18 항에 있어서,
    각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접수한 검측 영상의 데이터와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어레이에 놓인 위치의 관계에 따라 제3 토폴러지를 조정하는 단계는,
    각각의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있어서, 당해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접수한 서브 매트릭스 중 지정된 위치의 데이터 요소에 의해, 당해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접수한 서브 매트릭스가 매트릭스에 놓이는 위치를 확정하고, 만약 당해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접수한 서브 매트릭스가 매트릭스 중에 놓이는 위치가 당해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어레이에 놓이는 위치와 일치하지 않을 경우, 제3 토폴러지에서의 당해 서브 매트릭스를 당해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어레이에 놓이는 위치와 대응되는 서브 매트릭스로 교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KR1020170143363A 2017-08-31 2017-10-31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KR1020419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710775433.8 2017-08-31
CN201710775433.8A CN107633792B (zh) 2017-08-31 2017-08-31 一种显示设备和显示控制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4508A KR20190024508A (ko) 2019-03-08
KR102041909B1 true KR102041909B1 (ko) 2019-11-07

Family

ID=61099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3363A KR102041909B1 (ko) 2017-08-31 2017-10-31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664219B2 (ko)
EP (1) EP3451148B1 (ko)
JP (1) JP6949664B2 (ko)
KR (1) KR102041909B1 (ko)
CN (1) CN10763379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29367B (zh) * 2018-06-22 2021-01-2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拼接显示装置及其配置方法、显示服务器及其控制方法
US10996912B2 (en) * 2018-08-03 2021-05-04 Innolux Corporation Tiled display system and tiled display device
KR20220084607A (ko) * 2020-12-14 2022-06-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계 발광 표시형의 무한 확장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CN112988096A (zh) * 2021-03-26 2021-06-18 北京集创北方科技股份有限公司 显示单元定位方法、装置、设备、存储介质和显示装置
CN115145511A (zh) * 2021-03-30 2022-10-0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拼接显示的方法、电子设备和系统
CN113986166B (zh) * 2021-10-11 2023-10-13 惠州视维新技术有限公司 拼接显示控制方法、拼接显示系统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062975A1 (en) * 2012-09-03 2014-03-06 Nvidia Corporation Automatic topology configuration through automatic hardware profiles across multiple display units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68288B2 (ja) * 1999-11-30 2003-11-17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ホスト装置、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システム、画像表示方法、パネル属性読み出し方法、および画像表示制御方法
US20050134526A1 (en) * 2003-12-23 2005-06-23 Patrick Willem Configurable tiled emissive display
AU2005216038A1 (en) * 2004-02-24 2005-09-09 Nuelight Corporation Penlight and touch screen data input system and method for flat panel displays
CN101326821B (zh) * 2006-03-14 2011-05-25 索尼株式会社 图像处理设备和图像处理方法
US7942530B2 (en) * 2006-10-31 2011-05-17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Apparatus and method for self-calibrating multi-projector displays via plug and play projectors
US9047039B2 (en) * 2007-05-14 2015-06-02 Christie Digital Systems Usa, Inc. Configurable imaging system
JP5240491B2 (ja) * 2007-06-26 2013-07-17 ソニー株式会社 送信装置および受信装置
CN101577108B (zh) * 2008-05-07 2011-06-22 英业达股份有限公司 可携式电子装置及切换显示单元的方法
TWI381715B (zh) * 2008-05-09 2013-01-01 Nexcom Int Co Ltd 一種視訊控制裝置、系統及其方法
EP2161658A1 (en) * 2008-09-03 2010-03-10 Bernardo Kastrup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nd displaying visual content
CN101763842B (zh) * 2009-11-13 2012-07-11 广东威创视讯科技股份有限公司 拼接墙墙体的配置系统及其建立显示单元的位置映射方法
US20110164065A1 (en) * 2010-01-06 2011-07-07 Ati Technologies Ul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Display Bezel Compensation For A Single Large Surface Display Formed By A Plurality Of Displays
JPWO2014034378A1 (ja) * 2012-08-27 2016-08-08 ソニー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方法、情報通信端末及び情報通信方法、並びに画像表示システム
US9966043B2 (en) * 2012-10-26 2018-05-08 Nec Display Solutions, Ltd. Identifier control device, identifier control system, multi-screen display system, identifier controlmethod, and program
TW201423721A (zh) * 2012-12-10 2014-06-16 Hon Hai Prec Ind Co Ltd 電視牆調整裝置及方法
CN203242247U (zh) * 2013-04-10 2013-10-16 Tcl集团股份有限公司 拼接显示装置和拼接屏幕
JP2014232993A (ja) * 2013-05-29 2014-12-11 船井電機株式会社 Av機器
US20150178036A1 (en) * 2013-12-23 2015-06-25 Kabushiki Kaisha Toshiba Video output device, information processor, and method
CN103730073B (zh) * 2014-01-15 2016-03-30 西安诺瓦电子科技有限公司 拼接式显示屏的图形化配屏方法
WO2015136660A1 (ja) * 2014-03-13 2015-09-17 Necディスプレイ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表示装置、マルチ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表示装置のid決定方法
EP2953119A1 (en) * 2014-06-05 2015-12-09 Martin Professional ApS Video display device with color purity control
CN104392490A (zh) * 2014-09-23 2015-03-04 山东鲁能软件技术有限公司 基于gis平台的电网资源格网化气象影响范围分析方法
US10338874B2 (en) * 2015-01-30 2019-07-02 Cirrus Systems, Inc. Modular display system with automatic locating features
TWI611383B (zh) * 2015-03-03 2018-01-11 宏正自動科技股份有限公司 多影像輸出裝置校正系統及其校正方法
CN104750451B (zh) * 2015-04-10 2017-10-3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拼接器及拼接显示系统
US10067728B2 (en) * 2015-06-24 2018-09-04 Intel Corporation Techniques to independently control display segments of a display panel
CN105117190B (zh) * 2015-09-07 2019-02-26 西安诺瓦电子科技有限公司 Led显示屏配屏方法
CN205122113U (zh) * 2015-10-12 2016-03-30 深圳市汉丰光电有限公司 一种led显示屏拓扑系统
CN105336289A (zh) * 2015-10-30 2016-02-1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拼接控制方法、装置以及拼接屏系统
US10387174B2 (en) * 2016-11-10 2019-08-20 Vmware, Inc. Extended desktops in virtual desktop environments
US20180144712A1 (en) * 2016-11-23 2018-05-24 Travis Threlkel Integrated building display and shading system
CN106710494A (zh) * 2016-12-23 2017-05-24 武汉精立电子技术有限公司 显示模组检测系统和检测方法
US10525341B2 (en) * 2017-04-24 2020-01-07 Intel Corporation Mechanisms for reducing latency and ghosting displays
CN107329724A (zh) * 2017-07-19 2017-11-0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及其显示方法
CN207529643U (zh) * 2017-08-31 2018-06-22 北京集创北方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设备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062975A1 (en) * 2012-09-03 2014-03-06 Nvidia Corporation Automatic topology configuration through automatic hardware profiles across multiple display uni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9045837A (ja) 2019-03-22
EP3451148B1 (en) 2019-12-04
US20190065133A1 (en) 2019-02-28
EP3451148A1 (en) 2019-03-06
US10664219B2 (en) 2020-05-26
CN107633792B (zh) 2023-07-21
KR20190024508A (ko) 2019-03-08
JP6949664B2 (ja) 2021-10-13
CN107633792A (zh) 2018-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1909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US9600149B2 (en) Display processing system, display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storage medium
CN104471596B (zh) 计算机、指南信息提供方法以及记录介质
CN110276446A (zh) 模型训练和选择推荐信息的方法和装置
CN112560980B (zh) 目标检测模型的训练方法、装置及终端设备
CN108874207B (zh) 触控处理装置、系统与方法
CN110070572A (zh) 使用稀疏深度数据生成距离图像的方法和系统
CN107850888B (zh) 制造工序管理系统、制造工序管理方法以及制造工序管理程序
CN102196142A (zh) 打印控制装置和显示打印设置画面的方法
US20190129397A1 (en) Causal relation model build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CN111814086A (zh) 一种用于对网页进行截图方法和系统
US10484550B2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that displays preview image, control method therefor, and storage medium
CN101847083A (zh) 装置及控制方法
US9432550B2 (en) Server device, method for configuration setting for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8402417B2 (en) Spine selection mode for layout editing
US10845967B2 (en) Display device for injection molding machine
US11061077B2 (en) Parallel trigger model for test and measurement instruments
CN102981898A (zh) 信息处理装置及其控制方法
CN207529643U (zh) 一种显示设备
US11704820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JP7474183B2 (ja) 電磁環境分析システム、電磁環境分析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573775B2 (ja) 交差点監視システム
JP2022080680A (ja) 電磁環境分析システム、電磁環境分析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20079946A1 (ja) フリッカ測定装置、フリッカ測定方法、フリッカ測定プログラム、フリッカ評価支援装置、フリッカ評価支援方法およびフリッカ評価支援プログラム
JP6509656B2 (ja) 施設管制システムおよび施設管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