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1843B1 - Separation structure for rear mount part 0f sub-frame in vehicles - Google Patents

Separation structure for rear mount part 0f sub-frame in vehicl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1843B1
KR102041843B1 KR1020180026277A KR20180026277A KR102041843B1 KR 102041843 B1 KR102041843 B1 KR 102041843B1 KR 1020180026277 A KR1020180026277 A KR 1020180026277A KR 20180026277 A KR20180026277 A KR 20180026277A KR 102041843 B1 KR102041843 B1 KR 1020418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member
vehicle
hole
long hole
sub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627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105771A (en
Inventor
박현욱
김용규
강승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262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1843B1/en
Publication of KR201901057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577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18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184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2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assembled from readily detachable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02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omprising longitudinally or transversely arranged fram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04Frontal colli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차량의 서브 프레임용 리어 마운트부 이탈구조는, 차량의 프론트 사이드 멤버와 서브 프레임을 체결하는 리어 마운트부를 구비한 차량의 서브 프레임용 리어 마운트부 이탈구조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사이드 멤버의 하측에 접합되며, 일측에 장홀이 형성되는 리어 로워 멤버; 상기 리어 로워 멤버의 상면에 접합되며, 일측에 리어 로워 멤버의 장홀에 대응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마운팅 레인프; 상기 마운팅 레인프의 상면에 접합되며, 상기 관통홀에 대응하도록 암나사홀이 형성된 캡너트; 및 상기 서브 프레임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부에 형성된 수나사면이 상기 캡너트의 암나사홀에 체결되는 볼트; 를 포함한다.The subframe rear mount part detachment structure for a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ubframe rear mount part detachment structure for a vehicle having a rear mount part for engaging a subframe with a front side member of the vehicle, the lower side of the front side member. A rear lower member joined to and having a long hole formed at one side thereof; A mounting lane bond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rear lower member and having a through hole corresponding to a long hole of the rear lower member on one side thereof; A cap nut join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mounting lane and having a female threaded hole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 And a bolt in which a male screw surface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cap frame is fitted to the female screw hole of the cap nut; It includes.

Description

차량의 서브 프레임용 리어 마운트부 이탈구조{SEPARATION STRUCTURE FOR REAR MOUNT PART 0F SUB-FRAME IN VEHICLES}Rear mount part departure structure for subframe of vehicle {SEPARATION STRUCTURE FOR REAR MOUNT PART 0F SUB-FRAME IN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의 서브 프레임용 리어 마운트부 이탈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리어 로워 멤버의 장홀 주변에 마운팅 레인프를 적용하여 정면 충돌시 서브 프레임의 파단 유도 및 이탈이 용이하도록 리어 마운트부의 후방부에 변형 공간을 제공한 차량의 서브 프레임용 리어 마운트부 이탈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ucture of detaching a rear mount unit for a subframe of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by applying a mounting lane around a rear hole of a rear lower member, the rear mount unit can be easily induced and detached from the subframe during a frontal collision. A rear mount portion detachment structure for a subframe of a vehicle in which a deformation space is provided in a rear portion.

일반적으로 중심 지지방식의 차량에서는 서브 프레임을 프론트 사이드 멤버에 볼팅하여 조립한다.In general, the center support vehicle is assembled by bolting the sub frame to the front side member.

도 1은 일반적인 프론트 사이드 멤버와 서브 프레임의 조립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ethod of assembling a general front side member and a subframe.

도 1을 참조하면, 서브 프레임(101)은 그 전후방 양측이 각 프론트 사이드 멤버(103)의 하부에 볼트 체결되어 조립된다.Referring to Figure 1, the sub-frame 101 is assembled by bolting both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lower portion of each front side member 103.

서브 프레임(101)에는 엔진(미도시)과 변속기(미도시)가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는데, 차량의 정면 충돌 시, 서브 프레임(101)의 좌굴에 의해 엔진의 드롭을 유도함으로서, 엔진이 차체의 대시패널 측에 강체로 밀리지 않도록 설계되어 그 충돌 안전성을 보장하게 된다.An engine (not shown) and a transmission (not shown) are arranged in the sub-frame 101 in the front-rear direction. When the frontal collision of the vehicle is induced, the engine is induced by dropping the engine by buckling of the sub-frame 101. It is designed not to be pushed by the rigid body on the dash panel side to ensure the collision safety.

이러한 서브 프레임(101)을 프론트 사이드 멤버(103)에 체결하기 위하여, 상기 프론트 사이드 멤버(103)는 전후방 양측 4개소에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유닛(105, 이하, 리어 마운트부라 함)이 구성된다.In order to fasten the subframe 101 to the front side member 103, the front side member 103 is provided with mounting units for the subframe 105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rear mount portion) at four front and rear sides.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유닛에 의한 프론트 사이드 멤버와 서브 프레임의 조립부 단면도이다.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ssembly of the front side member and the sub-frame by the mounting unit for the sub-fram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를 참조하면, 종래 리어 마운트부(105)는 프론트 사이드 멤버(103)의 각 장착부에 리어 로워 멤버(111)와 벌크헤드(113)가 용접되고, 상기 벌크헤드(113)에는 볼트(107) 체결을 위한 너트(115)가 고정된다. Referring to FIG. 2, in the rear mount unit 105, a rear lower member 111 and a bulkhead 113 are welded to each mounting portion of the front side member 103, and the bolt 107 is attached to the bulkhead 113. The fastening nut 115 is fixed.

또한, 상기 리어 로워 멤버(111)와 벌크헤드(113) 사이에는 상기 볼트(107)를 안내하며, 리어 로워 멤버(111)과 벌크헤드(113) 사이를 지지하는 파이프(117)가 설치된다.In addition, a pipe 117 is disposed between the rear lower member 111 and the bulkhead 113 to guide the bolt 107 and to support the rear lower member 111 and the bulkhead 113.

즉, 종래의 리어 마운트부(105)는 상기 리어 로워 멤버(111)와 벌크헤드(113)에 각각 대응하는 관통홀(H)이 형성되고, 상기 너트(115)는 벌크헤드(113) 상의 관통홀(H)에 대응하여 그 상측에 용접(W)된다. That is, the conventional rear mount unit 105 has a through hole H corresponding to the rear lower member 111 and the bulk head 113, respectively, and the nut 115 penetrates the bulk head 113. Corresponding to the hole H, it is welded W above.

또한, 파이프(117)는 리어 로워 멤버(111)와 벌크헤드(113) 사이에서 각 관통홀(H)에 하단과 상단이 대응한 상태로 용접(W)된다.In addition, the pipe 117 is welded (W) between the rear lower member 111 and the bulk head 113 in a state where the lower end and the upper end correspond to each through hole H. FIG.

따라서, 상기한 서브 프레임(101)은 각 장착부에 구성되는 마운팅 부시(109)를 통하여 프론트 사이드 멤버(103)의 4개소에서 각 리어 마운트부(105)에 볼트(107)로 체결된다.Therefore, the above-mentioned subframe 101 is fastened with the bolt 107 to each rear mount part 105 at four places of the front side member 103 through the mounting bush 109 comprised in each mounting part.

즉, 상기 마운팅 부시(109)와 파이프(117)를 통하여 볼트(107)를 삽입하여 너트(115)에 체결함으로써, 상기 프론트 사이드 멤버(103)의 하부에 서브 프레임(101)을 조립한다.That is, the subframe 101 is assemb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ront side member 103 by inserting the bolt 107 through the mounting bush 109 and the pipe 117 and fastening to the nut 115.

이러한 리어 마운트부(105)는 차량의 고속 전방 충돌 시, 충돌에너지(E)에 의해 너트(115)와 볼트(107)의 체결부가 망실되어 이탈되거나 꺾여서 너트(115)와 파이프(117)가 벌크헤드(113) 상에서 분리되어 서브 프레임(101)의 밀림방향(D)을 하측으로 유도하여 엔진 또는 변속기의 드롭을 유도하게 된다.In the rear mount portion 105, the fastening portion of the nut 115 and the bolt 107 are lost or bent due to the collision energy (E) during the high-speed forward collision of the vehicle, so that the nut 115 and the pipe 117 are bulked. Separated from the head 113 to guide the downward direction (D) of the sub-frame 101 to induce a drop of the engine or transmission.

그러나, 종래의 서브 프레임(101)의 서스펜션 리어 마운트 차체 이탈 위하여 서브 프레임(101)는 리어 로워 멤버(111)와 체결될 때 정면 충돌시 파단을 유도하는 별도의 추가 부품없이 너트(115)와 볼트(107)에 의해 직체결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충돌 시 서스펜션 리어 마운트의 차체 미이탈로 인하여 도 3과 같이 최대 피크는 증가하고 후반 펄스는 지연되지 않음에 따라 RTE(Restraint Energy, 구속에너지)와 승객 상해가 증가된다는 단점이 있다.However, in order to detach the suspension rear-mounted vehicle body of the conventional subframe 101, when the subframe 101 is engaged with the rear lower member 111, the nut 115 and the bolt without additional parts to induce a failure in the frontal collision are not included. As the structure is directly connected by 107, the maximum peak is increased and the late pulse is not delayed as shown in FIG. 3 due to the body deviation of the suspension rear mount in case of collision.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is increased.

또한, 종래의 리어 마운트부(105)는 너트(115)와 파이프(117)로 분리 구성되어 너트(115)와 파이프(117)를 벌크헤드(113)에 따로 프로젝션 용접(W)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조립공정이 늘어나고, 프로젝션 용접(W) 시 용접물이 상부가 개방된 너트(115)의 내부를 통해 주변 부품으로 떨어짐에 따라 주변 부품의 성능을 저하시킨다는 단점이 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rear mount portion 105 is composed of a nut 115 and the pipe 117 is configured to separately project the weld (W) of the nut 115 and the pipe 117 to the bulk head 113. The assembly process is increased, and when the projection welding (W) is welded to the peripheral parts through the inside of the nut 115, the upper portion is open,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performance of the peripheral parts.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685397호(2016.12.06)Domestic Patent Publication No. 10-1685397 (2016.12.06)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서, 정면 충돌시 마운팅 레인프(Reinf)에 의해 파단을 유도하는 서스펜션 리어 마운트의 차체 이탈을 용이하게 하고, 이에 따라 서브 프레임의 서스펜션 리어 마운트 차체가 이탈될 때 최대 피크는 감소하고 후반 펄스는 지연됨에 따라 RTE와 승객 상해를 감소시킬 수 있는 차량의 서브 프레임용 리어 마운트부 이탈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is problem in consideration of existing problems, and facilitates the vehicle body of the suspension rear mount to induce breakage by the mounting rain (Reinf) during the frontal collision, and thus It is to provide a rear mount departure structure for a subframe of a vehicle that can reduce the RTE and passenger injury as the maximum peak decreases and the late pulse is delayed when the suspension rear mount body is disengage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캡너트의 조립공정을 줄이고, 프로젝션 용접 시 용접물이 캡너트를 통해 주변 부품으로 떨어지는 것을 미연에 차단함에 따라 주변 부품의 품질 향상은 물론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차량의 서브 프레임용 리어 마운트부 이탈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the assembly process of the cap nut, and to prevent the welding material from falling into the peripheral parts through the cap nut during projection welding in advance, the quality of the peripheral parts as well as the durability of the sub-frame of the vehicle It is to provide a rear mount part separation structure.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서브 프레임용 리어 마운트부 이탈구조는, 차량의 프론트 사이드 멤버와 서브 프레임을 체결하는 리어 마운트부를 구비한 차량의 서브 프레임용 리어 마운트부 이탈구조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사이드 멤버의 하측에 접합되며, 일측에 장홀이 형성되는 리어 로워 멤버; 상기 리어 로워 멤버의 상면에 접합되며, 일측에 리어 로워 멤버의 장홀에 대응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마운팅 레인프; 상기 마운팅 레인프의 상면에 접합되며, 상기 관통홀에 대응하도록 암나사홀이 형성된 캡너트; 및 상기 서브 프레임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부에 형성된 수나사면이 상기 캡너트의 암나사홀에 체결되는 볼트; 를 포함하되, 상기 마운팅 레인프의 일측 하부에는 관통홀의 후방과 일정 거리를 두고 상기 리어 로워 멤버의 하부로 돌출되는 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ubframe rear mount part detachment structure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s a rear mount unit for a subframe of a vehicle having a rear mount unit for engaging a subframe with a front side member of the vehicle. In the detachable structure, the lower lower member is joined to the lower side of the front side member, the long hole is formed on one side; A mounting lane bond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rear lower member and having a through hole corresponding to a long hole of the rear lower member on one side thereof; A cap nut join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mounting lane and having a female threaded hole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 And a bolt in which a male screw surface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cap frame is fitted to the female screw hole of the cap nut; It includes, but the lower side of one side of the mounting rain characterized in that the locking projection protruding to the lower portion of the rear lower member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rear of the through hole.

삭제delete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리어 로워 멤버는 초고장력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마운팅 레인프는 저장력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nother embodiment, the rear lower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ultra high tensile steel, and the mounting lan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torage steel.

삭제delete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걸림턱은 프레스 성형에 의해 마운팅 레인프의 하부로부터 볼록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nother embodiment, the locking jaw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convexly from the bottom of the mounting rain by the press molding.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마운팅 레인프는, 가장자리가 상기 리어 로워 멤버의 상면에 안착되어 접합되고, 중앙이 상기 리어 로워 멤버의 장홀과 대응되게 자리맞춤되면서 걸림턱이 장홀을 통해 리어 로워 멤버의 하부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nother embodiment, the mounting lan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dge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ar lower member and bonded, the center is aligned to correspond to the long hole of the rear lower member, the locking jaw through the rear lower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protruded to the lower portion.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리어 로워 멤버의 상부 내측과 캡너트의 상부에 동시 접합되며, 일측에 리어 로워 멤버의 장홀과 마운팅 레인프의 관통홀에 대응하는 장홀이 형성된 벌크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nother embodiment, it includes a bulkhead which is simultaneously bonded to the upper inside of the rear lower member and the top of the cap nu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as a long hole formed on one side corresponding to the long hole of the rear lower member and the through hole of the mounting lane. It features.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벌크헤드의 장홀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크기가 작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another embodiment, the bulkhead of the bulkhea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 a shape that decreases in size from the front to the rear.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캡너트의 외경 일정 높이에는 상기 벌크헤드의 하면과 접합되도록 단차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another embodiment, a stepped surface is formed at a constant height of the cap nut of the present invention so as to be join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ulk head.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단차면을 경계로 캡너트의 상부 외경보다 하부 외경이 크게 형성되어, 상부 외경은 상기 벌크헤드의 장홀을 통해 상부 돌출되고, 하부 외경은 벌크헤드의 하면과 맞닿아 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nother embodiment, the lower outer diameter is formed larger than the upper outer diameter of the cap nut on the stepped surfa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outer diameter is projected upward through the long hole of the bulkhead, the lower outer diameter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bulkhead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bonded.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캡너트는 상기 리어 로워 멤버의 장홀과 벌크헤드의 장홀에 대해 크기가 작은 후방측 수직선 상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nother embodiment, the cap nu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ositioned on a rear vertical line having a small size with respect to the long hole of the rear lower member and the long hole of the bulkhead.

본 발명의 차량의 서브 프레임용 리어 마운트부 이탈구조는, 서브 프레임의 서스펜션 리어 마운트가 마운팅 레인프를 매개로 리어 로워 멤버에 체결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정면 충돌시 마운팅 레인프에 의해 파단을 유도하는 서브 프레임 서스펜션 리어 마운트의 차체 이탈을 용이하게 하고, 이에 따라 서브 프레임의 서스펜션 리어 마운트 차체가 이탈될 때 최대 피크는 감소하고 후반 펄스는 지연됨에 따라 RTE와 승객 상해를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sub-frame rear mount part detachment structure of the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ructure in which the suspension rear mount of the sub-frame is fastened to the rear lower member via the mounting lane, so that the sub-frame induces breakage by the mounting lane during the frontal collision. This facilitates the vehicle body detachment of the frame suspension rear mount, thereby reducing the maximum peak and delaying the late pulse when the suspension rear mount body of the subframe is detached, thereby reducing the RTE and passenger injury.

또, 본 발명의 차량의 서브 프레임용 리어 마운트부 이탈구조는, 기존 분리된 너트와 파이프를 하나로 통합한 캡너트로 구성하였기 때문에 조립공정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캡너트를 벌크헤드에 프로젝션 용접 시 용접물이 캡너트의 암나사홀을 통해 마운팅 레인프나 리어 로워 멤버 등의 주변 부품으로 떨어지는 것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으므로 주변 부품의 품질 향상은 물론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rear mount portion disengagement structure for the subframe of the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cap nut integrating the existing nut and pipe into one, thereby reducing the assembling process and projecting the cap nut to the bulkhead. Since the seam weld can be prevented from falling to the peripheral parts such as the mounting lane or the rear lower member through the female nut hole of the cap nut, it has the advantage of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peripheral parts and increasing the durability.

도 1은 일반적인 프론트 사이드 멤버와 서브 프레임의 조립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종래에 따른 리어 마운트부의 조립부 단면도,
도 3은 종래에 따라 서브 프레임의 서스펜션 리어 마운트 차체 미이탈과 본 발명에 따른 서브 프레임의 서스펜션 리어 마운트 차체 이탈의 경우 최대 피크의 증감 및 RTE와 승객 상해 증감 상태를 보인 비교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론트 사이드 멤버와 서브 프레임의 결합 측면도,
도 5는 도 4의 리어 마운트부의 결합 사시도,
도 6은 도 4의 리어 마운트부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리어 마운트부에서 서브 프레임의 서스펜션 리어 마운트 차체 이탈 전 상태의 조립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리어 마운트부에서 서브 프레임의 서스펜션 리어 마운트 차체 이탈 후 상태의 조립 단면도,
도 9(a)(b)는 본 발명에 따른 충돌대응 기본구조에서 충돌 시 다이아몬드형 모드로 서브 프레임의 서스펜션 리어 마운트 차체가 밀리면서 이탈된 상태도,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ethod of assembling a general front side member and a subframe;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ssembly portion of the rear mount according to the prior art,
3 is a comparison graph showing the maximum peak and the RTE and the passenger injury increase and decrease in the case of the suspension rear-mounted vehicle body deviation of the subframe and the suspension rear-mounted vehicle body deviation of the sub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ide view of the combination of the front side member and the sub-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ear mount unit shown in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rear mount unit of FIG. 4;
7 is an assembl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sub-frame suspension rear mount vehicle body detachment state in the rear mount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assembled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after the suspension rear mount vehicle body of the sub-frame is separated from the rear mount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a) (b) is a state in which the suspension rear-mounted vehicle body of the sub-frame is pushed away in the diamond-like mode in the collision response basic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the scope of the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This embodiment is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refore, the shape of the elements in the drawings and the like may be exaggerated to emphasize a more clear descrip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nfiguration in each drawing is shown with the same reference numerals.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are determined to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mitted.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첨부도면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서브 프레임과 리어 로워 멤버의 결합 측면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도 4의 A부분에 대한 리어 마운트부의 결합 및 분해 사시도이고,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리어 마운트부에서 서브 프레임의 서스펜션 리어 마운트 차체 이탈 전과 후 상태의 조립 단면도이며, 도 9(a)(b)는 본 발명에 따른 충돌대응 기본구조에서 충돌 시 다이아몬드형 모드로 서브 브 프레임의 서스펜션 리어 마운트 차체가 밀리면서 이탈된 상태도이다.Figure 4 is a side view of the combination of the sub-frame and the rear lower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5 and 6 are a perspective view of the coupling and the rear mount portion to the portion A of Figure 4, Figures 7 and 8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sembly sectional view of the sub-frame suspension before and after the rear-mounted vehicle body detachment from the rear mount, Figure 9 (a) (b) is a suspension rear of the sub-frame in the diamond-shaped mode during collision in the collision response basic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state where the mount body was pushed away.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리어 마운트부(10)는 차량의 프론트 사이드 멤버(12)의 하부에 서브 프레임(14)을 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프론트 사이드 멤버(12)의 하부 4개소에 구성된다.4 to 8, the rear mount unit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fastening the subframe 14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ront side member 12 of the vehicle. It is comprised in four lower places of 12).

이러한 상기 리어 마운트부(10)는 리어 로워 멤버(16), 마운팅 레인프(18), 벌크헤드(20), 캡너트(22), 및 볼트(24)로 구성된다.The rear mount unit 10 includes a rear lower member 16, a mounting rain 18, a bulkhead 20, a cap nut 22, and a bolt 24.

상기 리어 로워 멤버(16)는 초고장력강(UHSS)으로 이루어져 상기 프론트 사이드 멤버(12)의 하측에 접합되는 것으로서, 일측에 상기 마운팅 레인프(18)가 접합되도록 장홀(16a)이 관통 형성된다.The rear lower member 16 is made of ultra high tensile strength steel (UHSS) to be bonded to the lower side of the front side member 12, and a long hole 16a is formed to penetrate the mounting lane 18 to one side thereof.

즉, 상기 장홀(16a)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크기가 작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된다.That is, the long hole 16a is formed in a shape that decreases in size from the front to the rear.

상기 마운팅 레인프(18)는 저장력강(LSS)으로 이루어져 상기 리어 로워 멤버(16)의 장홀(16a) 부위측 상면에 접합되는 것으로서, 일측에 상기 캡너트(22)와 볼트(24)의 체결 중심과 일치하도록 관통홀(18a)이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관통홀(18a)의 후방과 일정 거리를 두고 프레스 성형 시 하부로 볼록하게 돌출된 걸림턱(18b)이 형성된다. The mounting lane 18 is made of a storage force steel (LSS) and is join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ide hole 16a of the rear lower member 16, and the cap nut 22 and the bolt 24 are fastened to one side thereof. The through hole 18a is formed to coincide with the center, and the locking jaw 18b protruding convexly downward is formed on the other side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rear of the through hole 18a.

즉, 상기 마운팅 레인프(18)는 가장자리가 상기 리어 로워 멤버(16)의 상면에 안착되어 접합되고, 중앙은 상기 리어 로워 멤버(16)의 장홀(16a)과 대응되게 자리맞춤되면서 걸림턱(18b)이 장홀(16a)을 통해 리어 로워 멤버(16)의 하부로 돌출된다.That is, the mounting lane 18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ar lower member 16 and joined to the edge thereof, and the center thereof is aligned to correspond to the long hole 16a of the rear lower member 16. 18b) protrudes below the rear lower member 16 through the long hole 16a.

상기 벌크헤드(20)는 초고장력강으로 이루어져 상기 리어 로워 멤버(16)의 상면에 접합되는 것으로서, 일측에 상기 캡너트(22)의 상단이 관통되면서 프로젝션 용접(W)에 의해 접합되도록 장홀(20a)이 관통 형성된다.The bulk head 20 is made of ultra-high tensile steel and bond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rear lower member 16, and the long hole 20a is joined to the upper side of the cap nut 22 while being welded by projection welding (W). ) Is formed through.

즉, 상기 장홀(20a)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크기가 작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That is, the long hole 20a is formed in a shape that decreases in size from the front to the rear.

상기 캡너트(22)는 상부는 막히고 하부 개구에서 일정 높이까지 암나사홀이 형성된 것으로서, 외경 일정 높이에 상기 벌크헤드(20)의 하면과 접합되도록 단차면(22a)이 형성된다.The cap nut 22 is clogged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a female threaded hole is formed from a lower opening to a predetermined height, and a stepped surface 22a is formed to be joined to a lower surface of the bulk head 20 at a predetermined outer diameter.

즉, 상기 단차면(22a)을 경계로 캡너트(22)의 상부 외경보다 하부 외경이 크게 형성된 것으로서, 상부 외경은 상기 벌크헤드(20)의 장홀(20a)을 통해 상부 돌출되고, 하부 외경은 벌크헤드(20)의 하면과 맞닿아 프로젝션 용접(W)된다.That is, the lower outer diameter is formed larger than the upper outer diameter of the cap nut 22 with respect to the step surface 22a, and the upper outer diameter protrudes upward through the long hole 20a of the bulkhead 20, and the lower outer diameter is Projection welding (W) abuts against the bottom surface of the bulkhead (20).

상기 캡너트(22)는 상기 마운팅 레인프(18)와 벌크헤드(20)의 사이에 위치되어 접합되는 것으로서, 하단 중심이 상기 마운팅 레인프(18)의 관통홀(18a)과 일치되도록 프로젝션 용접(W)되고, 상단이 단차면(22a)을 경계로 상기 벌크헤드(20)의 장홀(20a)의 후방을 관통하여 벌크헤드(20)의 상면에 돌출되도록 단차면(22a)과 벌크헤드(20)의 하면이 프로젝션 용접(W)된다.The cap nut 22 is positioned between the mounting lane 18 and the bulkhead 20 to be joined to each other, and projection welding is performed so that the bottom center thereof coincides with the through hole 18a of the mounting lane 18. (W) and the stepped surface 22a and the bulkhead so as to protrude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ulkhead 20 through the rear of the long hole 20a of the bulkhead 20 bordering the stepped surface 22a The lower surface of 20) is projection welded (W).

상기 볼트(24)는 상기 서브 프레임(14)에 접합된 마운팅 부시(26)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부에 형성된 수나사면이 상기 마운팅 레인프(18)와 벌크헤드(20)의 사이에서 접합된 캡너트(22)의 암나사홀에 체결된다.The bolt 24 is a cap nut in which a male screw surface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bolt 24 is fitted between a mounting bush 26 joined to the subframe 14 between the mounting lane 18 and the bulkhead 20. It is fastened to the female threaded hole of (22).

이때, 상기 캡너트(22)와 볼트(24)는 체결 시 상기 리어 로워 멤버(16)의 장홀(16a)과 벌크헤드(20)의 장홀(20a)에 대해 크기가 작은 후방측 수직선 상에 위치된다. At this time, the cap nut 22 and the bolt 24 are positioned on the rear vertical line having a small size with respect to the long hole 16a of the rear lower member 16 and the long hole 20a of the bulkhead 20. do.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리어 마운트부(10)는 도 7과 같은 상태에서 차량의 고속 전방 충돌 시, 도 8과 같이 충돌에너지(E)가 전달되는 프론트 사이드 멤버(12)에 접합된 캡너트(22)와 서브 프레임(14)에 결합된 볼트(24)의 체결부에 의해 마운팅 레인프(18)가 파열과 동시에 캡너트(22)와 벌크헤드(20)의 접합부분이 파단되면서 캡너트(22)와 볼트(24)의 결합체가 후방으로 밀리게 된다.The rear mount unit 10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s a cap nut joined to the front side member 12 through which collision energy E is transmitted as shown in FIG. 22 and the coupling portion of the cap nut 22 and the bulkhead 20 are broken by the fastening portion of the bolt 24 coupled to the subframe 14 and the cap nut 22 is broken. ) And bolt 24 are pushed back.

이때, 캡너트(22)와 볼트(24)의 결합체가 후방으로 밀려나갈 때 볼트(24)에 끼워진 마운팅 부시(26)의 상단이 마운팅 레인프(18)의 걸림턱(18b)에 걸려서 회전할려는 지렛대 작용에 의해 캡너트(22)와 볼트(24)의 결합체가 경사지게 틀어진다.At this time, when the combination of the cap nut 22 and the bolt 24 is pushed backward, the upper end of the mounting bush 26 fitted to the bolt 24 is caught by the locking jaw 18b of the mounting lane 18 to rotate. The combination of the cap nut 22 and the bolt 24 is inclined by the lever action.

즉, 캡너트(22)는 벌크헤드(20)로부터 접합부분이 파단되면서 벌크헤드(20)측 장홀(20a)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이동할려는 모멘트 작용이 발생되고, 볼트(24)에 끼워진 마운팅 부시(26)는 서브 프레임(14)과 함께 후방으로 이동할려는 모멘트 작용이 발생됨으로써 리어 마운트부(10)가 이탈됨과 동시에 꺾이게 된다.  That is, the cap nut 22 has a moment action to move forward from the rear of the bulkhead 20 side long hole 20a as the joint portion is broken from the bulkhead 20, and the mounting bush (fitted to the bolt 24) ( 26 is a moment action to move backward with the sub-frame 14 is generated and the rear mount portion 10 is separated and bent at the same time.

따라서, 리어 마운트부(10)는 후방으로 차체가 밀림과 동시에 이탈될 수 있는 충분한 변형 공간을 제공하기 때문에 도 8과 같이 서브 프레임(14)의 밀림방향(D)을 하측으로 이탈되도록 엔진 또는 변속기의 드롭을 유도하게 된다.Accordingly, since the rear mount unit 10 provides a sufficient deformation space for the vehicle body to be detached at the same time as the rear body pushed back, the engine or the transmission so as to leave the push direction D of the sub-frame 14 downward as shown in FIG. Will induce a drop.

즉, 도 9(a)과 같은 충돌대응 기본구조에서 차량의 고속 전방 충돌 시 도 9(b)와 같이 다이아몬드형 모드로 서브 프레임(14)의 서스펜션 리어 마운트 차체가 밀리면서 리어 마운트부(10)가 이탈됨으로, 충돌에너지 흡수 구간에서 승객실 보호 구간으로 전달되는 충돌 충격 및 차체 밀림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승객의 상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the suspension rear mount vehicle 10 of the suspension rear mount vehicle of the subframe 14 is pushed in the diamond mode as shown in FIG. 9 (b) during the high-speed forward collision of the vehicle in the collision response basic structure as shown in FIG. 9 (a). Since the deviating,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impact shock and the body push phenomenon transmitted from the collision energy absorption section to the passenger compartment protection section, thereby minimizing passenger injury.

이러한 본 발명의 리어 마운트부(10)는 도 3의 비교 그래프와 같이 서브 프레임(14)의 서스펜션 리어 마운트 차체가 이탈될 때, 종래 대비 최대 피크는 감소하고 후반 펄스는 지연되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으므로 RTE와 승객 상해가 감소되는 장점이 있다.In the rear mount unit 10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comparison graph of FIG. 3, when the suspension rear mount vehicle body of the subframe 14 is detached, the maximum peak is reduced and the late pulse is delaye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art. Therefore, RTE and passenger injury are reduced.

또한, 본 발명은 기존 분리된 너트와 파이프를 하나로 통합한 캡너트(22)로 구성하였기 때문에 조립공정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캡너트(22)를 벌크헤드(20)에 프로젝션 용접(W) 시 용접물이 캡너트(22)의 암나사홀을 통해 마운팅 레인프(18)나 리어 로워 멤버(16) 등의 주변 부품으로 떨어지는 것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으므로 주변 부품의 품질 향상은 물론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cap nut 22 in which a nut and a pipe are conventionally separated into one, the assembly process can be reduced, and the cap nut 22 is projected by the bulk head 20 (W). The seam weld can be prevented from falling into the peripheral parts such as the mounting lane 18 or the rear lower member 16 through the female threaded hole of the cap nut 22, thereby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peripheral parts and increasing durability. There is an advantage.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기술사상 역시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nly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but can be modified and modified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chnical idea to which such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also applied to the claims Must see

10 : 리어 마운트부 12 : 프론트 사이드 멤버
14 : 서브 프레임 16 : 리어 로워 멤버
16a : 장홀 18 : 마운팅 레인프
18a : 관통홀 18b : 걸림턱
20 : 벌크헤드 20a : 장홀
22 : 캡너트 22a : 단차면
24 : 볼트 26 : 마운팅 부시
10: rear mount unit 12: front side member
14: subframe 16: rear lower member
16a: hole 18: mounting rain
18a: through hole 18b: locking jaw
20: bulkhead 20a: long hole
22: Cap nut 22a: Stepped surface
24: bolt 26: mounting bush

Claims (11)

차량의 프론트 사이드 멤버와 서브 프레임을 체결하는 리어 마운트부를 구비한 차량의 서브 프레임용 리어 마운트부 이탈구조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사이드 멤버의 하측에 접합되며, 일측에 장홀이 형성되는 리어 로워 멤버;
상기 리어 로워 멤버의 상면에 접합되며, 일측에 리어 로워 멤버의 장홀에 대응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마운팅 레인프;
상기 마운팅 레인프의 상면에 접합되며, 상기 관통홀에 대응하도록 암나사홀이 형성된 캡너트; 및
상기 서브 프레임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부에 형성된 수나사면이 상기 캡너트의 암나사홀에 체결되는 볼트;
를 포함하되,
상기 마운팅 레인프의 일측 하부에는 관통홀의 후방과 일정 거리를 두고 상기 리어 로워 멤버의 하부로 돌출되는 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서브 프레임용 리어 마운트부 이탈구조.
In the structure of the rear mount portion detachment structure for a subframe of a vehicle having a rear mount portion for engaging a subframe with a front side member of the vehicle,
A rear lower member joined to a lower side of the front side member and having a long hole formed at one side thereof;
A mounting lane bond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rear lower member and having a through hole corresponding to a long hole of the rear lower member on one side thereof;
A cap nut join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mounting lane and having a female threaded hole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 And
A bolt in which a male screw surface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cap frame is fitted to the female screw hole of the cap nut;
Including,
The rear mount unit detachment structure for a subframe of the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side of the mounting lane is formed with a locking projection protruding to the lower portion of the rear lower member at a distance from the rear of the through hol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어 로워 멤버는 초고장력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마운팅 레인프는 저장력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서브 프레임용 리어 마운트부 이탈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ear lower member is made of ultra high tensile steel, and the mounting lane is a rear mount portion departure structure for a subframe of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storage steel.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은 프레스 성형에 의해 마운팅 레인프의 하부로부터 볼록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서브 프레임용 리어 마운트부 이탈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ocking step of the vehicle sub-frame rear mount portion departure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vex formed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mounting rain by the press molding.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레인프는,
가장자리가 상기 리어 로워 멤버의 상면에 안착되어 접합되고,
중앙이 상기 리어 로워 멤버의 장홀과 대응되게 자리맞춤되면서 걸림턱이 장홀을 통해 리어 로워 멤버의 하부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서브 프레임용 리어 마운트부 이탈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ounting rain,
An edge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ar lower member and joined;
And a locking jaw protrudes to a lower portion of the rear lower member through the long hole while a center thereof is aligned to correspond to the rear hole of the rear lower memb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어 로워 멤버의 상부 내측과 캡너트의 상부에 동시 접합되며, 일측에 리어 로워 멤버의 장홀과 마운팅 레인프의 관통홀에 대응하는 장홀이 형성된 벌크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서브 프레임용 리어 마운트부 이탈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Sub-frame of the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bonded to the upper inside of the lower lower member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cap nut at the same time, the bulkhead having a long hole corresponding to the long hole of the rear lower member and the through hole of the mounting lane on one side Rear mount part detachment structure for.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벌크헤드의 장홀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크기가 작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서브 프레임용 리어 마운트부 이탈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The long hole of the bulkhead is a rear mount portion departure structure for a vehicle subframe, characterized in that the size is formed in a shape that becomes smaller from the front to the rear.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캡너트의 외경 일정 높이에는 상기 벌크헤드의 하면과 접합되도록 단차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서브 프레임용 리어 마운트부 이탈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And a stepped surface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height of the outer diameter of the cap nut to be join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bulk head.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단차면을 경계로 캡너트의 상부 외경보다 하부 외경이 크게 형성되어,
상부 외경은 상기 벌크헤드의 장홀을 통해 상부 돌출되고,
하부 외경은 벌크헤드의 하면과 맞닿아 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서브 프레임용 리어 마운트부 이탈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Lower outer diameter is formed larger than the upper outer diameter of the cap nut on the step surface,
An upper outer diameter protrudes upward through the long hole of the bulkhead,
The lower outer diameter of the vehicle is mounted on the rear frame of the sub-frame detachment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bulkhead.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캡너트는 상기 리어 로워 멤버의 장홀과 벌크헤드의 장홀에 대해 크기가 작은 후방측 수직선 상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서브 프레임용 리어 마운트부 이탈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And the cap nut is located on a rear vertical line having a small size with respect to the long hole of the rear lower member and the long hole of the bulkhead.
KR1020180026277A 2018-03-06 2018-03-06 Separation structure for rear mount part 0f sub-frame in vehicles KR10204184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6277A KR102041843B1 (en) 2018-03-06 2018-03-06 Separation structure for rear mount part 0f sub-frame in vehicl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6277A KR102041843B1 (en) 2018-03-06 2018-03-06 Separation structure for rear mount part 0f sub-frame in vehicl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5771A KR20190105771A (en) 2019-09-18
KR102041843B1 true KR102041843B1 (en) 2019-11-07

Family

ID=68070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6277A KR102041843B1 (en) 2018-03-06 2018-03-06 Separation structure for rear mount part 0f sub-frame in vehicl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1843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21881A (en) * 2016-01-07 2017-07-1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Vehicle body front structur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5397B1 (en) * 2014-12-29 2016-12-13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Mounting unit for sub-frame in vehicl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21881A (en) * 2016-01-07 2017-07-1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Vehicle body front structure
CN107010121A (en) 2016-01-07 2017-08-04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Vehicle body front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5771A (en) 2019-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5234B1 (en) Vehicle end portion structure
JP6228180B2 (en) Body front structure
US7762619B2 (en) Sequential crash hinges in automotive frame rails
JP4621883B2 (en) Shock absorber for vehicle
US20130249245A1 (en) Front vehicle body structure
US9415806B2 (en) Vehicle front portion structure
JP2009078689A (en) Lamp mounting structure
JP4769169B2 (en) Energy absorbing member for vehicles
JP4853147B2 (en) Automotive bumper structure
JP5564005B2 (en) Detachable tow hook mounting structure
KR102041843B1 (en) Separation structure for rear mount part 0f sub-frame in vehicles
JP5840519B2 (en) Bumper mounting structure
JP4049385B2 (en) Spare tire holding structure at the rear of the vehicle
KR100999752B1 (en) Bumper apparatus of vehicle
KR101988615B1 (en) Vehicle bumper coupling structure
KR101198602B1 (en) Mounting nut unit for sub-frame in vehicles
JP2004299636A (en) Detachable towing hook installation structure for automobile
JP6314013B2 (en) vehicle
KR0179481B1 (en) Cross member impact bar for a car
KR101685395B1 (en) Mounting unit for sub-frame in vehicles
JP4379135B2 (en) Bumper reinforcement mounting structure
JP2001310754A (en) Vehicle body front part structure for automobile
KR101286677B1 (en) Mounting nut unit for sub-frame in vehicles
KR19990033754A (en) Bumper Stays for Vehicle Rear Bumper
JP6696443B2 (en) Suspension memb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