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1727B1 - 측량용 타깃 조립체 - Google Patents

측량용 타깃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1727B1
KR102041727B1 KR1020180115912A KR20180115912A KR102041727B1 KR 102041727 B1 KR102041727 B1 KR 102041727B1 KR 1020180115912 A KR1020180115912 A KR 1020180115912A KR 20180115912 A KR20180115912 A KR 20180115912A KR 102041727 B1 KR102041727 B1 KR 1020417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rget
tunnel
accommodation space
gea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5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영
Original Assignee
이재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영 filed Critical 이재영
Priority to KR10201801159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17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17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17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G01C15/02Means for marking measuring poi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G01C15/002Active optical surveying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Excavating Of Shafts Or Tunn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널 내부면에 고정 장착되는 몸체 내부 및 외부로 타깃을 수용 및 인출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터널 발파 작업 시 비산되는 파편 등으로부터 타깃이 손상되지 않게 보호할 수 있게 하는 측량용 타깃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측량용 타깃 조립체는, 터널의 내부면에 고정 장착되며, 내부에는 수용공간부가 마련된 몸체; 수용공간부에 수용 및 인출되되, 인출 시 반사판이 광파측량기에서 발사되는 레이저 광선을 반사시킬 수 있게 인출되는 타깃; 및 몸체에 장착되는 구동모터와,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장착되는 피니언 기어와, 타깃에 형성되고 피니언 기어와 맞물려 타깃이 수용공간부에 수용 및 인출되게 하는 기어멤버를 가지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측량용 타깃 조립체{TARGET ASSEMBLY FOR SURVEYING}
본 발명은 터널 시공 시 터널의 내공 변위 및 첨단 침하를 측정하기 위해 터널의 내부면(터널면)에 고정 장착되는 측량용 타깃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차나 차량 등의 운행을 원활하고 사회 간접 자본의 확충을 위해 터널의 시공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바, 터널의 시공 공법도 새로운 기술이 개발되어 나날이 발전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터널 시공에는 새로운 첨단 공법이 적용되더라도 여러 가지 불확실한 요소들이 많이 존재하게 되는데, 그 중에서도 지질학적인 불확실성이 가장 중요한 문제점으로서 대두되고 있으며, 이미 시공된 터널의 경우에도 노후화로 인하여 터널 내공의 변위가 발생하게 되면 터널 구조물의 붕락에 의해 대형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최근에는 터널 내공의 변위량을 측정하는 방법이 개발되고 있는데, 대표적인 방법으로서 터널 내공에 반사판을 갖춘 소형의 타깃구조물을 터널 전체에 부착하고, 레이저 광선을 측정하고자 하는 터널 부위에 설치된 타깃 구조물에 발사함에 의해, 반사되어 돌아오는 광선의 속도에 의해 길이를 파악하고, 소정의 기준 좌표점과 해당 터널의 측정점과의 각도 변위량을 측정함으로써, 길이와 각도 변위량에 근거한 터널 내부의 내공 변위량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터널에 부착된 측량 타깃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널의 내부 벽면에 다수개의 측량 타깃(2)이 일정 간격을 두고 고정적으로 부착되어 있는데, 이러한 측량 타깃(2)은 말굽(∪)형상의 타깃 지지대(4) 내측에 반사판(6)을 일정 각도를 갖도록 고정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형상으로 이루어져있다.
작업자는 레이저 광선 발사 장치, 즉 광파측량기를 조작하여 측량하고자 하는 터널 부위에 부착되어 있는 측량 타깃(2)의 반사판(6)을 향하여 레이저 광선을 발사하여 반사되는 광선을 취함으로써, 해당 측량 타깃(2)이 설치된 터널 부위의 내공 변위량을 파악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측량 타깃(2)의 경우에는 반사판(6)이 타깃 지지대(4)에 고정적으로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터널 내부의 계속적인 발파를 위해 폭발물이나 대형 굴착기 등으로 작업을 지속하는 과정에서 굴착부로부터 예기치 않게 고속으로 날아오는 파편 등을 맞게 되면, 고정적으로 결합된 반사판(6)이 충격을 이기지 못하게 되어 타깃 지지대(4)를 터널 벽면에 앵커링하여 고정시켜 놓은 앵커 볼트가 크게 틀어져서 변위량 측정 타깃으로서 사용이 불가능하게 되거나, 심하게는 앵커 볼트가 벽면으로부터 완전히 탈락되어 측량 타깃이 떨어져 버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 20-0481015 호"에는 측량 시 타깃이 펼쳐지고 측량 완료 시 타깃을 접을 수 있는 "회전형 타깃"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 20-0481015 호"에 개시된 회전형 타깃은 타깃이 접히더라도 타깃이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발파 작업 시 비산되는 파편과 부딪혀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08-0070726 호"에는 타깃에 씌워지는 타깃 커버가 구비되어 있으나, 타깃 커버를 벗겨내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걸쇠 등을 이용해 타깃 커버를 직접 벗겨내야 하고, 벗겨낸 타깃 커버를 다시 타깃에 씌우는 일이 쉬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출원의 발명자는 종래 타깃들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노력하였으며, 그 결과물로 본 특허를 출원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터널 내부면에 고정 장착되는 몸체의 내부 및 외부로 타깃을 수용 및 인출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터널 발파 작업 시 비산되는 파편 등으로부터 타깃이 손상되지 않게 보호할 수 있게 하는 측량용 타깃 조립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터널 시공 시 터널의 내공 변위 및 첨단 침하를 측정하기 위해 터널의 내부면에 고정 장착되는 측량용 타깃 조립체에 있어서, 측량용 타깃 조립체는, 터널의 내부면에 고정 장착되며, 내부에는 수용공간부가 마련된 몸체; 수용공간부에 수용 및 인출되되, 인출 시 반사판이 광파측량기에서 발사되는 레이저 광선을 반사시킬 수 있게 인출되는 타깃; 및 몸체에 장착되는 구동모터와,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장착되는 피니언 기어와, 타깃에 형성되고 피니언 기어와 맞물려 타깃이 수용공간부에 수용 및 인출되게 하는 기어멤버를 가지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몸체의 일단에는 수용공간부에 수용된 타깃이 수용공간부 외측으로 인출되거나 인출된 타깃이 수용공간부 내로 수용되게 하는 타깃 출입공이 형성되며, 타깃 출입공과 이어지는 몸체의 하부면에는 수용공간부 외측으로 인출된 타깃의 반사판이 광파측량기와 마주하도록 타깃이 세워질 수 있게 타깃을 안내하는 타깃 유도공이 형성되되, 타깃 유도공의 일단과 타깃 출입공의 하단은 이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몸체의 양측면에는 타깃의 수용 및 인출, 그리고 타깃이 선회되도록 타깃을 지지하며 안내하는 가이드 장공이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몸체의 상부면 양측에는 수직하게 연장된 스커트가 일체로 형성되며, 각각의 스커트의 상단에는 체결공이 형성된 고정 플랜지가 일체로 형성되되, 몸체는 각각의 고정 플랜지의 체결공을 관통해 터널 내부면에 체결되는 기초앵커볼트에 의해 터널 내부면에 고정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타깃은 수평한 판 형상으로 제공되되, 타깃의 타단은 볼록하게 만곡된 반원형 곡률면으로 형성되며, 반원형 곡률면의 양측면 중심부에는 인접한 가이드 장공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면서 가이드 장공에 지지되는 가이드 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타깃의 하부면에는 반사판이 부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동모터는, 타깃 출입공에 인접한 몸체의 상부 외측에 고정 배치되고, 피니언 기어는 몸체의 상부면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기어멤버와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어멤버는, 타깃의 상부면 일단에서 타단 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래크기어; 및 반원형 곡률면의 곡률을 따라 형성되며 래크기어와 연결되는 반원형 기어;를 포함하되, 피니언 기어와 맞물리는 래크기어는 타깃을 수용공간부 내부 및 외부로 수용 및 인출시키며, 피니언 기어와 맞물리는 반원형 기어는 타깃을 타깃 유도공 측으로 회전시켜 세워지게 하거나 타깃이 타깃 출입공을 통해 수용공간부 내로 수용될 수 있게 회전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몸체의 내부 및 외부로 타깃을 수용 및 인출시킬 수 있기 때문에 터널 발파 작업 시 비산되는 파편 등으로부터 타깃이 손상되지 않게 보호할 수 있게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타깃의 수용 및 인출이 구동모터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타깃의 수용 및 인출 작업을 용이하면서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터널에 부착된 측량 타깃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2 및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측량용 타깃 조립체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2는 타깃이 몸체 내부로 수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는 타깃이 몸체 외부로 인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측량용 타깃 조립체를 분해하여 나타낸 도면이며, 그리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타깃 조립체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측량용 타깃 조립체를 나타낸 도면으로, 본 발명에 따른 측량용 타깃 조립체(100)는 터널 내부면(도시되지 않음)에 고정 장착되는 몸체(110)와, 몸체(110)에 수용 및 몸체(110)에서 인출되는 타깃(130), 및 몸체(110)에 장착되어 타깃(130)을 작동시키는 구동부(140)를 포함한다.
즉, 타깃(130)의 반사판(136)은 측량 시 구동부(140)의 작동에 의해 몸체(110)에서 인출되어 광파측량기(도시되지 않음)와 마주하게 되고, 측량 완료 시 타깃(130)의 반사판(136)은 구동부(140)의 작동에 의해 몸체(110) 내부로 수용된다.
먼저, 몸체(110)는 내부에 타깃(130)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부(112)가 마련된 함체 형상, 바람직하게는 두께가 얇고 평평하며 내부가 빈 사각 함체 형상으로 제공된다.
몸체(110)의 일단에는 수용공간부(112)에 수용된 타깃(130)이 수용공간부(112) 외측으로 인출되거나 인출된 타깃(130)이 수용공간부(112) 내로 수용되게 하는 타깃 출입공(114)이 형성되며, 타깃 출입공(114)과 이어지는 몸체(110)의 하부면에는 수용공간부(112) 외측으로 인출된 타깃(130)의 반사판(136)이 광파측량기와 마주하도록 타깃(130)이 세워지게 타깃(130)을 안내하는 타깃 유도공(116)이 형성된다.
여기서, 타깃 유도공(116)의 일단과 타깃 출입공(114)의 하단은 도시된 바와 같이(도 2 참조) 이어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몸체(110)의 양측면에는 타깃(130)의 수용 및 인출, 그리고 타깃(130)이 선회되도록 타깃(130)을 지지하며 안내하는 가이드 장공(118)이 몸체(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된다.
즉, 가이드 장공(118)은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0)의 일단 측에 인접한 위치에서 몸체(110)의 타단 측에 인접한 위치까지 수평하게 연장되되, 타깃(130)은 이러한 가이드 장공(118)을 따라 타깃 출입공(114)을 통해 수용공간부(112) 내부 및 외부로 수용 및 인출된다. 그리고 수용공간부(112) 외부로 인출된 타깃(130)의 타단 측은 가이드 장공(118)의 일단 측에 걸쳐진 후 구동부(140)의 작동에 의해 타깃 유도공(116) 측으로 회전되어 세워지는데, 이때 타깃(130)의 반사판(136)은 광파측량기와 마주하게 된다.
한편, 몸체(1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터널 내부면(도시되지 않음)에 고정 장착된다.
이를 위해 몸체(110)의 상부면 양측에는 몸체(110)의 상부면 외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된 스커트(120)가 일체로 형성되며, 각각의 스커트(120)의 상단에는 고정 플랜지(122)가 일체로 형성된다.
이때, 각각의 고정 플랜지(122)에는 체결공(124)이 형성되는데, 몸체(110)는 각각의 고정 플랜지(122)의 체결공(124)을 관통해 터널 내부면에 체결되는 통상의 기초앵커볼트(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터널 내부면에 고정 장착된다.
여기서, 통상의 기초앵커볼트를 이용하여 터널 내부면에 몸체(110)을 고정하는 방법은 공지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타깃(130)은 몸체(110)의 타깃 출입공(112)을 통해 출입할 수 있는 두께 및 폭을 가지는 수평한 판 형상으로 제공되되, 타깃(130)의 타단은 볼록하게 만곡된 반원형 곡률면(132)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타깃(130)의 타단은 수용공간부(112) 내부에 타깃(130) 수용 시 몸체(110)의 타단과 인접하게 마주하는 단부를 의미한다.
그리고 반원형 곡률면(132)의 양측면, 바람직하게는 반원형 곡률면(132)의 호(弧)를 형성하는 반원형 곡률면(132)의 양측면 중심부에는 인접한 가이드 장공(118)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면서 가이드 장공(118)에 지지되는 가이드 돌기(134)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즉, 타깃(130)을 몸체(110)의 수용공간부(112)에 수용 시 가이드 돌기(134)들은 가이드 장공(118)의 타단에 걸쳐지고, 타깃(130)을 몸체(110)의 수용공간부(112)에서 인출 시 가이드 돌기(134)는 가이드 장공(118)의 일단에 걸쳐진다. 그리고 타깃(130)은 가이드 돌기(134)가 가이드 장공(118)의 일단에 걸쳐진 상태에서 타깃 유도공(116) 측으로 회전되어 세워지고, 세워진 타깃(130)은 마찬가지로 가이드 돌기(134)가 가이드 장공(118)의 일단에 걸쳐진 상태로 타깃 출입공(114)을 통해 수용공간부(112) 내로 수용될 수 있게 회전된다.
한편, 타깃(130)의 하부면에는 통상의 광파측량기로부터 출력되는 레이저를 반사시키는 반사판(136)이 부착된다.
여기서, 반사판(136)은 광파측량기로부터 출력되는 레이저를 반사시킬 수 있다면 어떠한 재질로 이루어지더라도 무방하며, 또한 그 형상 역시 타깃(130)의 하부면에 부착된 상태로 몸체(110)의 수용공간부(112) 내부 및 외부로 수용 및 인출될 수 있다면 어떠한 형상을 가지더라도 무방하다.
구동부(140)는 구동모터(142) 및 구동모터(142)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켜 타깃(130)을 작동시키는 기어멤버(148)를 포함한다.
구동모터(142)는 몸체(110)의 상부면에 형성된 한 쌍의 스커트(120) 사이에 배치되되, 도시된 바와 같이 타깃 출입공(114)에 인접한 몸체(110)의 상부 외측에 고정 배치된다.
그리고 구동모터(142)의 구동축(144)에는 기어멤버(148)와 맞물려 타깃(130)을 작동시키는 피니언 기어(146)가 장착된다. 이때 구동축(144)의 회전중심 및 피니언 기어(146)의 회전중심은 타깃(130)을 측면에서 봤을 때 가이드 장공(118)의 일단에 걸쳐진 가이드 돌기(134)의 중심과 일직선상에 위치된다.
한편, 기어멤버(148)는 반사판(136)에 대응하는 타깃(130)의 상부면 및 타깃(130)의 반원형 곡률면(132)에 형성된다.
다시 말해, 기어멤버(148)는 타깃(130)의 상부면 일단에서 타단 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래크기어(150)와, 반원형 곡률면(132)의 곡률을 따라 형성되되 래크기어(150)와 연결되는 반원형 기어(152)를 포함한다.
이렇게 형성된 래크기어(150) 및 반원형 기어(152)는 구동모터(142)의 피니언 기어(146)와 맞물리는데, 이를 위해서 몸체(110)의 상부면에는 관통공(154)이 형성되며, 피니언 기어(146)는 관통공(154)을 관통해 타깃(130)의 상부면 측으로 연장되어 래크기어(150) 및 반원형 기어(152)와 맞물린다.
그리고 구동모터(142), 구동축(144) 및 피니언 기어(146)는 몸체(110)의 상부에 나사 결합되는 커버(156)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감싸진다.
즉, 래크기어(150)와 맞물린 피니언 기어(146)는 정회전(타깃 수용 방향) 및 역회전(타깃 인출 방향) 하면서 타깃(130)을 몸체(110)의 수용공간부(112) 내부 및 외부로 수용 및 인출시키며, 반원형 기어(152)와 맞물린 피니언 기어(146)는 정회전(타깃 수용 방향) 및 역회전(타깃 인출 방향) 하면서 타깃(130)을 타깃 유도공(116) 측으로 회전시켜 세워지게 하거나 타깃(130)이 타깃 출입공(114)을 통해 수용공간부(112) 내로 수용될 수 있게 회전시킨다.
한편, 구동모터(142)는 밧데리(도시되지 않음) 또는 외부에서부터 안내되는 전원케이블(도시되지 않음)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동되며, 또한 구동모터(142)는 리모트 컨트롤러(도시되지 않음; remote controller)에 의해 원격조종되는데, 여기서 밧데리 또는 전원케이블과 구동모터(142)의 연결 관계 및 리모트 컨트롤러(remote controller)를 이용한 구동모터(142)의 작동은 공지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하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에 따른 측량용 타깃 조립체(100)의 작동상태를 간략하게 설명한다.
먼저, 터널의 내공 변위 및 첨단 침하를 측정하기 위해 타깃(130)을 몸체(110)에서 인출시키기 위해서는, 우선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해 구동모터(142)를 작동시켜 구동축(144) 및 피니언 기어(146)를 역회전(타깃 인출 방향)시킨다.
피니언 기어(146)가 역회전하면 피니언 기어(146)와 맞물린 래크기어(150)는 타깃 출입공(114)을 통해 수용공간부(112) 외부 측으로 밀려나는데, 이에 의해 타깃(130)은 래크기어(150)와 마찬가지로 타깃 출입공(114)을 통해 수용공간부(112)의 외부 측으로 인출된다(도 5 참조).
그리고 타깃(130)의 가이드 돌기(134)가 가이드 장공(118)의 일단에 걸쳐지면, 역회전하는 피니언 기어(146)는 래크기어(150)를 빠져나와 반원형 기어(152)에 맞물리는데, 이때 반원형 기어(152)와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146)는 반사판(136)이 광파측량기와 마주하도록 타깃(130)을 회전시킨다(도 6 참조).
여기서 피니언 기어(146)는 다양한 각도로 타깃(130)을 회전시킬 수 있는데, 이는 구동모터(142)의 회전수에 의해 결정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방법은 공지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한 생략한다.
한편, 반사판(136)이 광파측량기와 마주하도록 세워진 타깃(130)을 몸체(110)의 수용공간부(112) 내로 수용시키기 위해서는, 마찬가지로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해 구동모터(142)를 작동시켜 구동축(144) 및 피니언 기어(146)를 정회전(타깃 수용 방향)시킨다.
피니언 기어(146)가 정회전하면 반원형 기어(152)와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146)는 타깃(130)이 타깃 출입공(114)을 통해 수용공간부(112) 내부로 수용되게 타깃(130)을 회전시킨다.
그리고 피니언 기어(146)가 수용공간부(112) 내부로 수용되게 타깃(130)을 회전시키면, 정회전하는 피니언 기어(146)는 반원형 기어(152)를 빠져나와 래크기어(150)와 맞물리는데, 이때 래크기어(150)는 타깃 출입공(114)을 통해 수용공간부(112) 내부 측으로 당겨지며, 이에 의해 타깃(130)은 가이드 돌기(134)가 가이드 장공(118)의 타단에 걸쳐질 때 까지 래크기어(150)와 마찬가지로 타깃 출입공(114)을 통해 수용공간부(112) 내부 측으로 수용된다.
상기에는 터널 내부면에 고정 부착되어 사용되는 측량용 타깃 조립체(100)를 설명하였지만, 상기의 측량용 타깃 조립체(100)는 터널 내부면 이외에 다른 구조물에 올려놓거나 고정 장착시켜 사용할 수 있음을 누구나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에 따른 측량용 타깃 조립체(100)는 몸체(110)의 내부 및 외부로 타깃(130)을 수용 및 인출시킬 수 있기 때문에 터널 발파 작업 시 비산되는 파편 등으로부터 타깃(130)이 손상되지 않게 보호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측량용 타깃 조립체(100)는 타깃(130)의 수용 및 인출이 구동수단(140)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타깃(130)의 수용 및 인출 작업을 용이하면서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한다.
상기와 같은 측량용 타깃 조립체(100)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00 : 측량용 타깃 조립체 110 : 몸체
112 : 수용공간부 114 : 타깃 출입공
116 : 타깃 유도공 118 : 가이드 장공
120 : 스커트 122 : 고정 플랜지
124 : 체결공 130 : 타깃
132 : 반원형 곡률면 134 : 가이드 돌기
136 : 반사판 140 : 구동수단
142 : 구동모터 144 : 구동축
146 : 피니언 기어 148 : 기어멤버
150 : 래크기어 152 : 반원형 기어
154 : 관통공 156 : 커버

Claims (7)

  1. 터널 시공 시 터널의 내공 변위 및 첨단 침하를 측정하기 위해 터널의 내부면에 고정 장착되는 측량용 타깃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측량용 타깃 조립체는,
    상기 터널의 내부면에 고정 장착되며, 내부에는 수용공간부가 마련된 몸체;
    상기 수용공간부에 수용 및 인출되되, 인출 시 반사판이 광파측량기에서 발사되는 레이저 광선을 반사시킬 수 있게 인출되는 타깃; 및
    상기 몸체에 장착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장착되는 피니언 기어와, 상기 타깃에 형성되고 상기 피니언 기어와 맞물려 상기 타깃이 상기 수용공간부에 수용 및 인출되게 하는 기어멤버를 가지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의 일단에는 상기 수용공간부에 수용된 상기 타깃이 상기 수용공간부 외측으로 인출되거나 인출된 상기 타깃이 상기 수용공간부 내로 수용되게 하는 타깃 출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타깃 출입공과 이어지는 상기 몸체의 하부면에는 상기 수용공간부 외측으로 인출된 상기 타깃의 상기 반사판이 상기 광파측량기와 마주하도록 상기 타깃이 세워질 수 있게 상기 타깃을 안내하는 타깃 유도공이 형성되되,
    상기 타깃 유도공의 일단과 상기 타깃 출입공의 하단은 이어지게 형성되는 측량용 타깃 조립체.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양측면에는 상기 타깃의 수용 및 인출, 그리고 상기 타깃이 선회되도록 상기 타깃을 지지하며 안내하는 가이드 장공이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는 측량용 타깃 조립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상부면 양측에는 수직하게 연장된 스커트가 일체로 형성되며, 각각의 상기 스커트의 상단에는 체결공이 형성된 고정 플랜지가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몸체는 각각의 상기 고정 플랜지의 상기 체결공을 관통해 터널 내부면에 체결되는 기초앵커볼트에 의해 터널 내부면에 고정 장착되는 측량용 타깃 조립체.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타깃은 수평한 판 형상으로 제공되되,
    상기 타깃의 타단은 볼록하게 만곡된 반원형 곡률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반원형 곡률면의 양측면 중심부에는 인접한 상기 가이드 장공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면서 상기 가이드 장공에 지지되는 가이드 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타깃의 하부면에는 상기 반사판이 부착되는 측량용 타깃 조립체.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는 상기 타깃 출입공에 인접한 상기 몸체의 상부 외측에 고정 배치되고,
    상기 피니언 기어는 상기 몸체의 상부면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상기 기어멤버와 연결되는 측량용 타깃 조립체.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기어멤버는,
    상기 타깃의 상부면 일단에서 타단 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래크기어; 및
    상기 반원형 곡률면의 곡률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래크기어와 연결되는 반원형 기어;를 포함하되,
    상기 피니언 기어와 맞물리는 상기 래크기어는 상기 타깃을 상기 수용공간부 내부 및 외부로 수용 및 인출시키며,
    상기 피니언 기어와 맞물리는 상기 반원형 기어는 상기 타깃을 상기 타깃 유도공 측으로 회전시켜 세워지게 하거나 상기 타깃이 상기 타깃 출입공을 통해 상기 수용공간부 내로 수용될 수 있게 회전시키는 측량용 타깃 조립체.
KR1020180115912A 2018-09-27 2018-09-27 측량용 타깃 조립체 KR1020417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5912A KR102041727B1 (ko) 2018-09-27 2018-09-27 측량용 타깃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5912A KR102041727B1 (ko) 2018-09-27 2018-09-27 측량용 타깃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1727B1 true KR102041727B1 (ko) 2019-11-06

Family

ID=68541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5912A KR102041727B1 (ko) 2018-09-27 2018-09-27 측량용 타깃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17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8905B1 (ko) 2023-03-15 2023-06-28 류주환 터널 측량기 설치용 브래킷 및 그 설치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6030A (ko) * 2005-02-25 2007-10-31 이튼 오토모티브 비.브이. 힌지 구조 및 모터 자동차 외부 미러 유닛
KR101269014B1 (ko) * 2010-11-15 2013-05-29 권영억 터널 변위측정용 타켓유니트
KR101540738B1 (ko) * 2013-08-01 2015-07-3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실용 회전 슬라이딩 침대
KR200481015Y1 (ko) * 2014-07-14 2016-08-03 권영억 회전형 타켓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6030A (ko) * 2005-02-25 2007-10-31 이튼 오토모티브 비.브이. 힌지 구조 및 모터 자동차 외부 미러 유닛
KR101269014B1 (ko) * 2010-11-15 2013-05-29 권영억 터널 변위측정용 타켓유니트
KR101540738B1 (ko) * 2013-08-01 2015-07-3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실용 회전 슬라이딩 침대
KR200481015Y1 (ko) * 2014-07-14 2016-08-03 권영억 회전형 타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8905B1 (ko) 2023-03-15 2023-06-28 류주환 터널 측량기 설치용 브래킷 및 그 설치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1727B1 (ko) 측량용 타깃 조립체
KR101269014B1 (ko) 터널 변위측정용 타켓유니트
US416171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the interior dimensions of a hollow body
JP3418682B2 (ja) トンネル用総合測量システム
JP2010085311A (ja) インバート部の掘削管理方法
JP2007017318A (ja) 基線測定システムおよび基線測定方法
KR20040108382A (ko) 레이저 광선을 이용하여 터널의 내공변위를 측정할 수있는 레이저 광선 발사장치 및 그 방법
GB2029963A (en) Device for borehole surveying
JP2000088572A (ja) トンネル用総合計測装置
KR102559205B1 (ko) 자동 이송부를 갖춘 터널의 내공변위 측정타겟
CN212179816U (zh) 一种激光式多点位移测量装置
KR20100009902A (ko) 변위 및 침하 측정용 측량 타겟
KR200481015Y1 (ko) 회전형 타켓
CN208488070U (zh) 一种可伸缩的隧道围岩位移监测反光片保护装置
JP2001004369A (ja) 掘削断面の内空変位の計測方法
CN213600883U (zh) 一种适用于井下复杂地形条件下的便携式激光测距仪
CN216209878U (zh) 一种用于铁路隧道的地质雷达探测辅助装置
RU2815830C1 (ru) Способ укладки волоконно-оптического кабеля в грунт с применением механизированного кабелеукладчика
JP2005345179A (ja) 光ファイバセンサ使用の構造物変位・変状検知システム
RU2802401C2 (ru) Способ укладки в грунт волоконно-оптического кабеля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плуга механизированного кабелеукладчика
JP2001271584A (ja) トンネル内壁測定システムおよびトンネル内壁測定方法
RU2813681C1 (ru) Совмещенные интерферометры для извещателя охранного волоконно-оптического
KR20070065668A (ko) 지하공동 규모 파악을 위한 시추공 초음파 탐사 시스템
RU2812418C1 (ru) Система охранной сигнализации с ограждением с подвижным элементом с размещенным на нем чувствительным элементом динамического оптоволоконного датчика
RU2802492C2 (ru) Система охранной сигнализации с ограждением с подвижным элементом с размещенным на нем концевым оптоволоконным датчиком извещателя охранного волоконно-оптического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