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0707B1 - 신발의 밑창 - Google Patents
신발의 밑창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40707B1 KR102040707B1 KR1020180150568A KR20180150568A KR102040707B1 KR 102040707 B1 KR102040707 B1 KR 102040707B1 KR 1020180150568 A KR1020180150568 A KR 1020180150568A KR 20180150568 A KR20180150568 A KR 20180150568A KR 102040707 B1 KR102040707 B1 KR 10204070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idsole
- outsole
- toe
- region
- fasten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22—Soles made slip-preventing or wear-resisting, e.g. by impregnation or spreading a wear-resisting layer
- A43B13/24—Soles made slip-preventing or wear-resisting, e.g. by impregnation or spreading a wear-resisting layer by use of insertions
- A43B13/26—Soles made slip-preventing or wear-resisting, e.g. by impregnation or spreading a wear-resisting layer by use of insertions projecting beyond the sole surface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28—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ir attachment, also attachment of combined soles and heels
- A43B13/36—Easily-exchangeable sole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24—Collapsible or convertible
- A43B3/246—Collapsible or convertible characterised by the sole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5/00—Footwear for sporting purposes
- A43B5/008—Bowling Sho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다양한 겉창들이 중창과 부착 및 분리되도록 하는 볼링화 밑창 고정 시스템의 구조체들이 개시되고, 이는 볼러의 스트라이드 동안 신발의 구부러짐의 일관성을 개선하며, 볼링화로 하여금 다양한 볼링 레인 상태들에 걸쳐 일관된 정지 및 슬라이딩 특성들을 달성하도록 맞춰지게 하고, 부착, 분리, 및 재부착의 사이클들에 걸쳐 신발의 구부러짐에 있어서 일관된 성능을 유지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볼링화용 밑창, 특히 부착가능하고 분리가능한 겉창을 갖는 볼링화용 밑창에 관한 것이며, 이때 겉창 및 중창은 각각 신발이 사용 중인 동안에는 중창에 겉창을 단단히 부착하지만, 신발이 사용되지 않을 때는 겉창으로 하여금 중창으로부터 쉽게 분리되게 하는 1 이상의 구조체들을 포함한다.
볼링화에는 흔히, 볼링 레인의 표면 상에서의 신발 밑창의 트랙션(traction)을 변화시키는 상이한 신발 밑창이 제공된다. 특정한 볼링 레인 상태들에서, 신발의 정지 및 슬라이딩 특성들은 볼러(bowler)가 그의 걸음을 갑자기 급작스럽게 멈추는 능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볼러가 파울 라인에 접근하여 공을 던지는 경우, 일반적으로 한 발은 슬라이드 동작(slide action)을 수행하고 다른 발은 트랙션 동작을 수행한다. 슬라이드 동작을 위한 슬라이드 신발은 일반적으로 저마찰 재료로 만들어지는 밑창을 갖고, 트랙션 신발은 더 우수한 트랙션을 위해 고마찰 재료를 이용한 밑창을 갖는다. 하지만, 각 신발의 최적 트랙션 특성들은 각 볼러의 개인적 스타일 및 선호도를 포함한 수 개의 특성들에, 볼링 표면 상태들에, 및 볼러가 오른손잡이인지 왼손잡이인지에 의존할 것이다.
종래의 고정된 밑창 볼링화를 이용하는 것에 제한된 볼러는 볼링 레인 상태들에 맞추기 위해 많은 신발들을 필요로 할 것이다. 추가적으로, 신발 겉창들의 볼(ball) 및 뒤축(heel) 부분들은 흔히 이 부분들에 가해지는 증가된 응력으로 인해 일찍 닳고, 이는 전체 신발을 볼러가 사용할 수 없게 만든다.
종래 기술은 신발에 부착가능하고 분리가능하도록 설계되는 겉창을 제공함으로써 이 문제를 해결하며, 신발 한 쌍을 갖는 볼러로 하여금 현재 볼링 레인 상태에 대해 적절한 겉창을 선택함으로써 볼링 레인 상태들에 맞추게 한다. 볼러는 단순히 사용하기에 최적인 겉창을 선택하고, 중창에 겉창을 부착하며, 볼러는 현재 상태들에 대해 최적인 정지 및 슬라이딩 특성들을 달성할 수 있고, 이는 일관된 고성능을 달성함에 있어서 볼러를 돕는다. 많은 중창 및 겉창 파스너 시스템(fastener system)들은 후크(hook) 및 파일(pile) 파스너 시스템에만 의존하여, 겉창이 부착되고 분리되게 한다.
불행하게도, 후크 및 파일 시스템에만 의존하는 파스너 시스템은 바람직하지 않은 변동가능한 신발 성능을 도입한다. 후크 및 파일 파스너 시스템은 중창에 다양한 겉창들을 부착 및 분리할 수 있게 하여 볼링화로 하여금 다양한 볼링 레인 상태들에 걸쳐 일관된 정지 및 슬라이딩 특성들을 달성하도록 맞춰지게 하지만, 이 해결책은 변동가능한 신발 성능 특성들을 야기한다.
고정된 밑창 신발과 달리, 후크 및 파일 파스너 시스템에 의존하는 겉창 및 중창 부착 시스템을 갖는 신발은 볼러의 스트라이드(stride)에 걸쳐 균일하게 구부러지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후크 및 파일 파스너 시스템으로 부착된 겉창은 볼러의 스트라이드 과정에 걸쳐 약간 해제되는데, 이는 시스템의 후크 부분이 밑창의 휨에 의해 야기되는 전단 응력 하에 파일 부분으로부터 벗어나기 때문이다. 따라서, 후크 및 파일 파스너 시스템에만 의존하는 시스템은 볼러의 스트라이드 시 주요 지점에서 신발에 일관성없는 구부러짐(flex)을 야기하며, 이는 일관성없는 볼러의 성과를 야기한다.
더 심하게는, 신발의 겉창의 리딩 에지(leading edge)에 전단력이 적용되는 경우, 예컨대 볼러가 파울 라인에 접근하여 뒤쪽 발을 끌 때, 겉창은 부분적으로 신발의 중창으로부터 벗겨질 수 있다.
중창에 다양한 겉창들을 부착 및 분리하는 기능을 유지하고, 볼러의 스트라이드 동안 중창에 대한 겉창의 부착 및 신발의 구부러짐 일관성을 증가시키는, 볼링화 겉창들을 부착 및 분리하기 위한 개선된 파스너 시스템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겉창들로 하여금 중창에 부착되고 이로부터 분리되게 하는 구조체들의 볼링화 밑창 고정 시스템(bowling shoe sole fastening system)을 제공하는 것이며, 이는 볼링화로 하여금 다양한 볼링 레인 상태들에 걸쳐 일관된 정지 및 슬라이딩 특성들을 달성하도록 맞춰지게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겉창의 리딩 에지가 사용 시 중창으로부터 벗겨지는 것을 제한하는 구조체들의 볼링화 밑창 고정 시스템의 일부분으로서 구조체들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겉창 및 중창으로 하여금 반복적으로 및 일관되게 부착되고 분리되게 하는 볼링화 중창 및 겉창 파스너 시스템의 일부분으로서 구조체들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볼러의 스트라이드 동안 신발의 구부러짐의 일관성을 개선하고 중창으로 하여금 다양한 겉창들이 부착되고 분리되게 하는 구조체들의 볼링화 밑창 고정 시스템의 일부분으로서 구조체들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부착, 분리, 및 재부착의 사이클들에 걸쳐 신발의 구부러짐에 있어서 일관된 성능을 유지하는 구조체들의 볼링화 밑창 고정 시스템의 일부분으로서 구조체들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들 및 다른 목적들은 겉창으로 하여금 아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은 중창에 부착되고 이로부터 분리되게 하는 구조체들의 볼링화 밑창 고정 시스템의 일부분으로서 신규하고 개선된 구조체들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겉창으로 하여금 중창에 부착되고 이로부터 분리되게 하는 볼링화 밑창의 구조체들의 1 이상의 세트들을 포함하고, 이는 볼링화의 구부러짐에 있어서 일관된 성능을 나타내는 방식으로 겉창을 중창에 고정한다.
일반적으로, 밑창은 중창 및 겉창을 포함한다. 밑창은 신발을 착용하고 서 있는 동안 아래쪽을 향하는 저면, 및 신발을 착용하고 서 있는 동안 위쪽을 향하는 상부면을 갖는다. 밑창은 뒤축 구역, 앞부분 구역(forepart region), 및 발끝 구역(toe region)을 갖는다. 밑창은 밑창 주변부(sole perimeter)를 갖는다. 밑창 주변부는 외측 에지를 갖는다. 외측 에지는 상부 외측 에지, 저부 외측 에지, 및 위치에 의해, 예컨대 뒤축 구역, 발끝 구역, 및 신발의 디자인에 따른 밑창의 다른 영역들에서 변할 수 있는 외측 에지 두께를 갖는다. 밑창 주변부의 외측 에지는 중창 외측 에지, 겉창 외측 에지, 또는 둘 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위치에 의해, 예컨대 뒤축 구역, 발끝 구역, 및 밑창의 다른 영역들에서 변할 수 있다. 밑창은 위치에 의해, 예컨대 뒤축 구역, 발끝 구역, 및 밑창의 다른 영역들에서 변할 수 있는 밑창 두께를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중창은 신발을 착용하고 서 있는 동안 아래쪽을 향하는 중창 저면, 및 신발을 착용하고 서 있는 동안 위쪽을 향하는 중창 상부면을 갖는다. 중창은 중창 뒤축 구역, 중창 앞부분 구역, 및 중창 발끝 구역을 갖는다. 중창은 중창 주변부를 갖는다. 중창 주변부는 중창 외측 에지를 갖는다. 중창 외측 에지는 중창 상부 외측 에지, 중창 저부 외측 에지, 및 위치에 의해 변할 수 있는 중창 외측 에지 두께를 갖는다. 중창은 위치에 의해, 예컨대 중창 뒤축 구역, 중창 발끝 구역, 및 신발 밑창의 디자인에 따른 중창의 다른 영역들에서 변할 수 있는 중창 두께를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겉창은 신발을 착용하고 서 있는 동안 아래쪽을 향하는 겉창 저면, 및 신발을 착용하고 서 있는 동안 위쪽을 향하는 겉창 상부면을 갖는다. 겉창 저면은 신발의 정상 착용 동안 지면에 접촉하고, 볼링화 디자인 분야의 숙련자에 의해 알려진 바와 같이 최적 정지 및 슬라이딩 특성들을 개선하도록 설계되는 다양한 지면 접촉 표면(ground contact surface)들을 특징으로 한다. 겉창은 겉창 뒤축 구역, 겉창 앞부분 구역, 및 겉창 발끝 구역을 갖는다. 겉창은 겉창 주변부를 갖는다. 겉창 주변부는 겉창 외측 에지를 갖는다. 겉창 외측 에지는 겉창 상부 외측 에지, 겉창 저부 외측 에지, 및 위치에 의해 변할 수 있는 겉창 외측 에지 두께를 갖는다. 유리하게는, 겉창은 겉창 뒤축 구역, 및 겉창 앞부분 및 겉창 발끝 구역들에 대응하는 2 개의 부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겉창은 겉창 두께를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겉창 두께는 위치에 의해, 예컨대 겉창 뒤축 구역, 겉창 발끝 구역, 및 신발 밑창의 디자인에 따른 겉창의 다른 영역들에서 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앞서 설명된 겉창 및 중창은 중창에 대한 겉창의 부착 및 분리를 개선하는 구조체들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밑창의 발끝 구역은 중창 발끝 구역 및 겉창 발끝 구역을 포함하며, 이는 중창에 대한 겉창의 부착 및 분리를 개선하는 구조체들의 제 1 세트를 더 포함한다. 밑창의 발끝 구역은 발끝 주변부를 갖는다. 겉창 발끝 구역은 겉창 발끝 에지를 더 포함한다. 겉창 발끝 에지는 겉창 발끝 리지(outsole toe ridge)를 더 포함하고, 이는 적어도 겉창 발끝 에지의 부분을 따라 연장되는 겉창 발끝 리지 길이, 및 겉창 발끝 리지 두께를 갖는다. 중창 발끝 구역은 중창 발끝 에지를 더 포함하고, 이는 겉창 발끝 리지를 보완하는 형상의 중창 발끝 에지 길이를 갖는다. 겉창이 중창에 부착되는 경우, 중창 발끝 에지 및 겉창 발끝 리지는 적어도 한 방향으로 겉창과 중창 간의 이동을 제한한다.
몇몇 바람직한 실시예들에서, 중창 발끝 구역에서의 중창 주변부의 중창 외측 에지는 외측 발끝 구역의 겉창 리지 두께에 의해 감소되어 감소된 중창 외측 에지를 형성하고, 밑창 주변부의 외측 에지가 밑창의 앞부분 구역과 발끝 구역 사이에서 실질적으로 매끄럽도록 한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에서, 각진 심(angled seam)이 앞부분 구역과 발끝 구역 사이에서 중창 외측 에지와 겉창 외측 에지 사이에 제공된다. 각진 트랜지션 심(transition seam)은 겉창 발끝 리지의 각 단부에 경사진 겉창 발끝 리지 단부를 제공하고 중창 외측 에지의 대응하는 부분들을 경사지게 함으로써 겉창과 중창 사이에 형성된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에서, 각진 심은 비스듬한 각도로 제공되고, 앞부분 구역으로부터 발끝 구역을 향해 위쪽으로 경사진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에서, 비스듬한 각도는 밑창의 저면으로부터 30 내지 60 도이다.
구조체들의 제 1 세트의 몇몇 실시예들에서, 겉창 발끝 리지는 제한되는 겉창 발끝 리지 높이까지 수직으로 연장되어, 겉창이 중창에 부착될 때 겉창 발끝 리지의 최상부가 중창 발끝 에지의 최상부와 실질적으로 같은 높이이도록 한다.
구조체들의 제 1 세트의 다른 실시예들에서, 중창 발끝 에지는 노치 에지(notched edge)로 형성되고, 노치 에지는 중창 발끝 에지로부터 연장되는 노치 깊이 및 중창의 저부로부터 연장되는 노치 높이를 갖는다. 겉창 발끝 리지는 노치 높이까지 수직으로 연장된다. 겉창 발끝 리지는 노치 깊이와 같거나, 이보다 작거나 큰 두께를 가질 수 있다.
구조체들의 제 1 세트의 다른 실시예들에서, 발끝 리지는 겉창 발끝 리지의 적어도 일부분을 따라 겉창 쉘프(outsole shelf)를 더 포함하고, 겉창 쉘프는 겉창 발끝 리지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된다. 겉창 쉘프는 겉창이 중창에 부착될 때 중창 발끝 에지를 넘어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유리하게는, 겉창 쉘프는 겉창의 리딩 에지가 사용 시 중창으로부터 벗겨지는 것을 제한한다.
겉창 쉘프를 갖는 구조체들의 제 1 세트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중창은 중창 발끝 에지 위에 발끝 에지의 적어도 일부분을 따라 연장되는 중창 후퇴부(midsole recess)를 더 포함한다. 중창 후퇴부는 겉창 쉘프를 수용하도록 형상화되고, 겉창 쉘프는 겉창이 중창에 부착될 때 중창 후퇴부 내부에서 끝난다. 유리하게는, 중창 후퇴부는 사용 시 제자리에 겉창 쉘프를 더 고정하고, 겉창의 리딩 에지가 사용 시 중창으로부터 벗겨지는 것을 더 제한한다.
발끝 리지, 쉘프, 발끝 에지, 및 후퇴부는 강성(rigid)인 재료로부터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유리하게는 상기 재료는 이 구조체들이 큰 변형에 저항하고 약간의 유연성을 유지하도록 반(semi)-강성일 수 있다. 겉창이 중창에 부착될 때, 구조체들은 실질적으로 적어도 한 방향으로 겉창과 중창 간의 이동을 제한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신발의 중창 및 겉창은 중창에 대한 겉창의 부착 및 분리를 개선하는 구조체들의 제 2 세트를 더 포함한다. 구조체들의 제 2 세트는 상보적인 파스너 영역들, 중창 저부 상의 중창 파스너 영역 및 겉창 최상부 상의 겉창 파스너 영역을 포함하여, 중창 파스너 영역 및 겉창 파스너 영역이 서로 부착되고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일 실시예에서, 중창 파스너 영역 및 겉창 파스너 영역으로 구성된 그룹의 적어도 하나는 갭을 더 포함하여, 겉창이 중창에 부착될 때 갭은 고정되지 않은 채로 있도록 한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상보적인 파스너 영역들은 후크 파스너 영역 및 파일 파스너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후크 파스너 영역은 중창 저면에 영구적으로 부착되고, 파일 파스너 영역은 겉창 상부면에 영구적으로 부착된다.
갭을 갖는 구조체들의 제 2 세트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갭은 밑창의 왼쪽 외측 에지로부터 밑창의 오른쪽 외측 에지로 측방향으로 연장된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구조체들의 제 2 세트는 중창 파스너 영역 및 겉창 파스너 영역으로 구성된 그룹의 적어도 하나에 갭들의 세트를 더 포함한다. 각각의 갭은 밑창의 오른쪽으로부터 밑창의 왼쪽으로 측방향으로 연장된다. 구조체들의 제 2 세트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갭들의 세트는 신발이 착용될 때 발의 절골(phalange) 및 중족골(metatarsal) 아래에 있는 신발의 부분과 같이 신발의 사용 시 큰 구부러짐을 겪는 영역 또는 영역들을 덮는 밑창을 가로질러 측방향으로 위치된다.
구조체들의 제 2 세트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중창 파스너 갭 및 겉창 파스너 갭이 존재한다. 두 갭들은 밑창의 오른쪽으로부터 밑창의 왼쪽으로 측방향으로 연장된다. 중창 파스너 갭은 중창 홈을 더 포함한다. 중창 홈은 밑창의 오른쪽으로부터 밑창의 왼쪽으로 측방향으로 연장된다. 겉창 파스너 갭은 겉창 돌출부를 더 포함한다. 겉창 돌출부는 밑창의 오른쪽으로부터 밑창의 왼쪽으로 측방향으로 연장된다. 겉창 돌출부 및 중창 홈은 상보적이도록 형성되어, 겉창이 중창에 부착될 때 돌출부가 홈으로 피팅되도록 한다.
구조체들의 제 2 세트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중창 홈들의 세트 및 겉창 돌출부들의 세트가 존재한다. 각각의 중창 홈은 중창의 오른쪽으로부터 중창의 왼쪽으로 측방향으로 연장되고, 겉창의 오른쪽으로부터 겉창의 왼쪽으로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겉창 돌출부에 대응한다. 겉창 돌출부들의 세트 및 중창 홈들의 세트는 매칭하도록 구성되어, 겉창이 중창에 부착될 때 겉창 돌출부들의 세트 내의 각각의 겉창 돌출부가 중창 홈들의 세트 내의 대응하는 중창 홈으로 피팅되도록 한다. 중창 홈 및 겉창 돌출부 쌍들의 위치 및 간격은 신발의 구부러짐을 용이하게 하도록 정해질 수 있다.
몇몇 바람직한 실시예들에서, 구조체들의 제 2 세트는 중창 홈 그룹 및 겉창 돌출부 그룹을 포함한다. 중창 홈 그룹은 각각의 중창 홈 사이에 간격이 없거나 최소 간격을 갖는 2 이상의 중창 홈들을 특징으로 한다. 겉창 돌출부 그룹은 각각의 겉창 돌출부 사이에 간격이 없거나 최소 간격을 갖는 2 이상의 겉창 돌출부들을 특징으로 한다. 겉창 돌출부 그룹 및 중창 홈 그룹은 매칭하도록 구성되어, 겉창이 중창에 부착될 때 겉창 돌출부 그룹 내의 각각의 겉창 돌출부가 중창 홈 그룹 내의 대응하는 중창 홈으로 피팅되도록 한다. 대응하는 중창 홈 그룹들 및 겉창 돌출부 그룹들의 위치는, 신발이 착용될 때 발의 절골 및 중족골 아래에 있는 신발의 밑창의 영역과 같이, 신발의 구부러짐을 용이하게 하도록 정해질 수 있다.
구조체들의 제 2 세트의 몇몇 바람직한 실시예들에서, 돌출부는 유연한 접합부(flexible joint)이도록 구성된다. 유연한 접합부는 겉창의 다른 부분들에 대해 증가된 유연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유연한 접합부는 아치로 형성되어, 겉창이 중창에 부착될 때 아치가 중창 홈으로 피팅되도록 할 수 있다. 아치의 유연성은 아치의 형상, 아치의 두께, 아치의 재료, 또는 이들의 조합들을 구체화함으로써 정해질 수 있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조체들의 제 1 및 제 2 세트들은 중창으로 하여금 상보적인 겉창들과 부착 및 분리되게 하여, 신발의 정지 및 슬라이딩 특성들을 맞추고, 겉창과 중창의 부착, 분리, 및 재부착의 사이클들에 걸쳐 신발의 구부러짐에 있어서 일관된 성능을 유지하는 구조체들의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해 조합하여 사용된다.
유리하게는, 본 발명의 몇몇 바람직한 실시예들에서, 왼쪽 신발 및 오른쪽 신발이 각각 중창 앞부분 및 중창 뒤축 부분을 포함한다. 중창 앞부분은 신발의 발끝으로부터 중창 뒤축 부분 앞의 선택된 라인까지의 중창 영역을 포함한다. 중창 앞부분은 주변 형상(peripheral shape)을 갖고, 왼쪽 신발 및 오른쪽 신발의 중창 앞부분들의 주변 형상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겉창은 겉창 앞부분 및 겉창 뒤축 부분을 포함한다. 겉창 앞부분은 주변 형상을 갖고, 겉창 앞부분의 주변 형상은 왼쪽 신발 및 오른쪽 신발의 중창 앞부분들 모두의 주변 형상들에 실질적으로 매칭하여, 겉창 앞부분이 왼쪽 신발 및 오른쪽 신발에 장착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세부사항들 및 이점들은 다음 설명 및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명백할 것이다.
도 1a는 중창에 부착가능하고 분리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겉창을 갖는, 부착된 상태의 중창 및 겉창을 나타내는 볼링화 밑창의 도면;
도 1b는 겉창 발끝 리지 및 겉창 쉘프를 도시하고 중창 발끝 에지 및 중창 후퇴부를 도시하는, 부착된 상태의 겉창 및 중창을 나타내는 볼링화 밑창의 발끝의 단면도;
도 1c는 겉창 발끝 리지 및 겉창 쉘프를 도시하고 중창 발끝 에지 및 중창 후퇴부를 도시하는, 분리된 상태의 겉창 및 중창을 나타내는 볼링화 밑창의 발끝의 단면도;
도 2a는 중창에 부착가능하고 분리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겉창을 갖는, 분리된 상태의 신발의 중창 및 겉창 앞부분 및 겉창 뒤축을 나타내는 볼링화 밑창의 도면;
도 2b는 중창 파스너 갭 및 겉창 파스너 갭을 갖는 중창 파스너 영역 및 겉창 파스너 영역을 도시하는 중창 앞부분 및 겉창 앞부분의 일부의 단면도 -중창 파스너 갭은 중창 홈을 갖도록 도시되고, 겉창 파스너 갭은 겉창 돌출부를 갖도록 도시되며, 겉창 돌출부는 유연한 접합부로서 도시됨- ;
도 3a는 중창에 부착가능하고 분리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겉창을 갖는, 겉창의 앞부분은 분리된 상태이고, 겉창의 뒤축은 부착된 상태인 신발의 중창 및 신발의 겉창을 나타내는 볼링화 밑창의 도면;
도 3b는 발끝 리지는 쉘프 없이 도시되고 중창 발끝 에지는 노치 에지를 갖도록 도시되는, 부착된 상태의 겉창 및 중창의 단면을 나타내는 볼링화 밑창의 발끝의 단면도;
도 3c는 겉창 발끝 리지를 도시하고 노치 에지를 갖는 중창 발끝 에지를 도시하는, 분리된 상태의 겉창 및 중창을 나타내는 볼링화 밑창의 발끝의 단면도;
도 4a는 중창에 부착가능하고 분리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겉창을 갖는, 겉창의 앞부분은 분리된 상태이고, 겉창의 뒤축은 부착된 상태인 신발의 중창 및 신발의 겉창을 나타내는 볼링화 밑창의 도면;
도 4b는 중창 파스너 갭 및 겉창 파스너 갭을 갖는 중창 파스너 영역 및 겉창 파스너 영역을 도시하는 중창 앞부분 및 겉창 앞부분의 일부의 단면도;
도 4c는 겉창 발끝 리지를 도시하고 중창 발끝 에지를 도시하는, 분리된 상태의 겉창 및 중창을 나타내는 볼링화 밑창의 발끝의 단면도;
도 5a는 중창에 부착가능하고 분리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겉창을 갖는, 겉창의 앞부분은 분리된 상태이고, 겉창의 뒤축은 부착된 상태인 신발의 중창 및 신발의 겉창을 나타내는 볼링화 밑창의 도면;
도 5b는 중창 파스너 갭 및 겉창 파스너 갭을 갖는 중창 파스너 영역 및 겉창 파스너 영역을 도시하는 중창 앞부분 및 겉창 앞부분의 일부의 단면도 -중창 파스너 갭은 중창 홈 그룹을 갖도록 도시되고, 겉창 파스너 갭은 겉창 돌출부 그룹을 갖도록 도시되며, 각각의 겉창 돌출부는 유연한 접합부로서 도시됨- ;
도 6a는 중창에 부착가능하고 분리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겉창을 갖는, 겉창의 앞부분은 분리된 상태이고, 겉창의 뒤축은 부착된 상태인 신발의 중창 및 신발의 겉창을 나타내는 볼링화 밑창의 도면;
도 6b는 중창 파스너 갭 및 겉창 파스너 갭을 갖는 중창 파스너 영역 및 겉창 파스너 영역을 도시하는 중창 앞부분 및 겉창 앞부분의 일부의 단면도 -중창 파스너 갭은 중창 홈을 갖도록 도시되고, 겉창 파스너 갭은 겉창 돌출부를 갖도록 도시됨- ;
도 7a는 중창 발끝 구역 및 중창 앞부분 구역의 일부분을 도시하는 중창 저부의 부분적인 도면; 및
도 7b는 중창 발끝 구역 및 중창 앞부분 구역의 일부분을 도시하는 중창 저부의 부분적인 도면이다.
도 1b는 겉창 발끝 리지 및 겉창 쉘프를 도시하고 중창 발끝 에지 및 중창 후퇴부를 도시하는, 부착된 상태의 겉창 및 중창을 나타내는 볼링화 밑창의 발끝의 단면도;
도 1c는 겉창 발끝 리지 및 겉창 쉘프를 도시하고 중창 발끝 에지 및 중창 후퇴부를 도시하는, 분리된 상태의 겉창 및 중창을 나타내는 볼링화 밑창의 발끝의 단면도;
도 2a는 중창에 부착가능하고 분리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겉창을 갖는, 분리된 상태의 신발의 중창 및 겉창 앞부분 및 겉창 뒤축을 나타내는 볼링화 밑창의 도면;
도 2b는 중창 파스너 갭 및 겉창 파스너 갭을 갖는 중창 파스너 영역 및 겉창 파스너 영역을 도시하는 중창 앞부분 및 겉창 앞부분의 일부의 단면도 -중창 파스너 갭은 중창 홈을 갖도록 도시되고, 겉창 파스너 갭은 겉창 돌출부를 갖도록 도시되며, 겉창 돌출부는 유연한 접합부로서 도시됨- ;
도 3a는 중창에 부착가능하고 분리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겉창을 갖는, 겉창의 앞부분은 분리된 상태이고, 겉창의 뒤축은 부착된 상태인 신발의 중창 및 신발의 겉창을 나타내는 볼링화 밑창의 도면;
도 3b는 발끝 리지는 쉘프 없이 도시되고 중창 발끝 에지는 노치 에지를 갖도록 도시되는, 부착된 상태의 겉창 및 중창의 단면을 나타내는 볼링화 밑창의 발끝의 단면도;
도 3c는 겉창 발끝 리지를 도시하고 노치 에지를 갖는 중창 발끝 에지를 도시하는, 분리된 상태의 겉창 및 중창을 나타내는 볼링화 밑창의 발끝의 단면도;
도 4a는 중창에 부착가능하고 분리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겉창을 갖는, 겉창의 앞부분은 분리된 상태이고, 겉창의 뒤축은 부착된 상태인 신발의 중창 및 신발의 겉창을 나타내는 볼링화 밑창의 도면;
도 4b는 중창 파스너 갭 및 겉창 파스너 갭을 갖는 중창 파스너 영역 및 겉창 파스너 영역을 도시하는 중창 앞부분 및 겉창 앞부분의 일부의 단면도;
도 4c는 겉창 발끝 리지를 도시하고 중창 발끝 에지를 도시하는, 분리된 상태의 겉창 및 중창을 나타내는 볼링화 밑창의 발끝의 단면도;
도 5a는 중창에 부착가능하고 분리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겉창을 갖는, 겉창의 앞부분은 분리된 상태이고, 겉창의 뒤축은 부착된 상태인 신발의 중창 및 신발의 겉창을 나타내는 볼링화 밑창의 도면;
도 5b는 중창 파스너 갭 및 겉창 파스너 갭을 갖는 중창 파스너 영역 및 겉창 파스너 영역을 도시하는 중창 앞부분 및 겉창 앞부분의 일부의 단면도 -중창 파스너 갭은 중창 홈 그룹을 갖도록 도시되고, 겉창 파스너 갭은 겉창 돌출부 그룹을 갖도록 도시되며, 각각의 겉창 돌출부는 유연한 접합부로서 도시됨- ;
도 6a는 중창에 부착가능하고 분리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겉창을 갖는, 겉창의 앞부분은 분리된 상태이고, 겉창의 뒤축은 부착된 상태인 신발의 중창 및 신발의 겉창을 나타내는 볼링화 밑창의 도면;
도 6b는 중창 파스너 갭 및 겉창 파스너 갭을 갖는 중창 파스너 영역 및 겉창 파스너 영역을 도시하는 중창 앞부분 및 겉창 앞부분의 일부의 단면도 -중창 파스너 갭은 중창 홈을 갖도록 도시되고, 겉창 파스너 갭은 겉창 돌출부를 갖도록 도시됨- ;
도 7a는 중창 발끝 구역 및 중창 앞부분 구역의 일부분을 도시하는 중창 저부의 부분적인 도면; 및
도 7b는 중창 발끝 구역 및 중창 앞부분 구역의 일부분을 도시하는 중창 저부의 부분적인 도면이다.
이제 동일한 요소들이 전체에 걸쳐 동일하게 참조 표시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설명이 제공될 것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밑창 발끝 구역, 밑창 앞부분 구역, 및 밑창 뒤축 구역을 갖는 볼링화 밑창의 도면이 도시된다. 중창 및 겉창이 부착된 상태로 도시되며, 겉창은 중창에 부착가능하고 분리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겉창은 2 피스(piece)로 제공되고, 이는 겉창 뒤축 부분을 포함하는 제 1 겉창 부분(100) 및 겉창 앞부분 구역 및 겉창 발끝 구역을 포함하는 제 2 겉창 부분(200A)이다. 2 개의 중창 핑거 채널(finger channel)들의 부분들, 즉 중창 뒤축 구역의 부분을 통해 연장되는 제 1 핑거 채널(301) 및 중창 파스너 영역의 에지 아래의 깊이까지 연장되는 제 2 핑거 채널(302)이 도시된다. 제 1 유연한 접합부(401) 및 제 2 유연한 접합부(402)가 도시되고, 접합부들은 밑창을 가로질러 측방향으로 연장된다. 또한, 겉창 발끝 리지(510A)의 일 단부와 중창 외측 에지(600) 사이의 각진 심(1000)이 도시된다. 밑창의 발끝 구역의 부분은 영역 1B로서 식별되며, 도 1b에 도시된다.
도 1b를 참조하면, 중창이 겉창에 부착되어 있는 밑창의 발끝 구역의 단면 영역이 도시된다. 겉창 발끝 에지(500A)는 겉창 발끝 리지(510A) 및 겉창 쉘프(520A)를 갖는 것으로 도시된다. 중창 발끝 에지(610A)는 중창 후퇴부를 갖는 것으로 도시된다. 겉창 쉘프는 중창 후퇴부 내에서 끝나는 것으로서 도시된다.
도 1c를 참조하면, 겉창이 중창으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밑창의 발끝 구역의 단면 영역이 도시된다. 겉창 발끝 리지(511A)가 도시된다. 중창은 중창 발끝 에지(610A) 위에 중창 후퇴부(620)를 갖는 것으로서 도시된다. 중창 후퇴부 벽들(621A 및 622A)이 평행하게 도시되지만, 몇몇 실시예들에서 중창 후퇴부 벽들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는 두 측벽들이 중창 후퇴부 단부 벽(623A)에 접근함에 따라 중창 후퇴부 측벽들 간의 거리가 더 짧도록 약간 기울어진다. 이러한 일 실시예에서, 겉창 쉘프(520A)는 유사한 경사를 포함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겉창 쉘프는 약간 압축성인 재료로부터 만들어질 수 있고, 중창 후퇴부로 겉창 쉘프를 피팅하는 것이 압축 피팅(compression fit)을 유도하여 중창 후퇴부 내에 겉창 쉘프를 더 고정한다.
도 2a를 참조하면, 두 부분들, 즉 겉창 뒤축 구역을 포함한 제 1 겉창 부분(100), 및 겉창 앞부분 구역 및 겉창 발끝 구역을 포함한 제 2 겉창 부분(200A)으로 제공된 겉창을 갖는 볼링화 밑창의 도면이 도시된다. 2 개의 중창 핑거 채널들, 즉 중창 뒤축 구역의 일부분을 통해 연장된 제 1 핑거 채널(301), 및 중창 파스너 영역의 에지 아래의 깊이까지 연장된 제 2 핑거 채널(302)이 도시된다. 제 2 겉창 부분의 앞부분 구역에는, 겉창을 가로질러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유연한 접합부들로서 나타낸 제 1 겉창 갭(401) 및 제 2 겉창 갭(402)을 갖는 겉창 부착 영역(450A)이 도시된다. 중창의 앞부분 구역에는, 중창을 가로질러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반-원형 홈들로서 나타낸 제 1 중창 부착 갭(601) 및 제 2 중창 부착 갭(602)을 갖는 중창 부착 영역(650A)이 도시된다. 겉창 발끝 구역은 겉창 발끝 에지(500B), 및 겉창 쉘프(520B)를 갖는 겉창 발끝 리지(510B)를 갖는 것으로서 도시된다. 겉창 쉘프는 경사진 중창 후퇴부 벽에 대응하는 경사진 밑면(522A)을 갖는 것으로 도시된다. 겉창 발끝 리지는 중창 외측 에지(661A 및 662A)의 경사진 부분들에 대응하는 경사진 발끝 리지 단부들(561A 및 562A)을 갖는 것으로 도시된다. 중창 발끝 구역은 감소된 중창 외측 에지(630A)를 갖는 것으로서 도시된다. 중창 발끝 에지는 중창 후퇴부를 더 포함한다.
도 2b를 참조하면, 중창 앞부분 및 겉창 앞부분의 단면 영역이 도시되고, 이는 중창의 후크 파스너 영역(650A) 및 겉창의 파일 파스너 영역(450A)을 더 포함한다. 각각의 파스너 영역은 갭을 갖는 것으로 도시된다. 중창 파스너 영역 갭(601)은 반-원형 홈으로서 도시되며, 이는 향상된 유연성을 제공하고 신발의 휨에 의해 야기되는 파스너 영역들 상의 전단 응력을 제한한다. 겉창 파스너 갭(401)은 유연한 접합부를 갖는 것으로 도시된다. 유연한 접합부는 아치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이는 향상된 유연성을 제공하고 신발의 휨에 의해 야기되는 파스너 영역들 상의 응력을 제한한다. 유리하게는, 중창의 반-원형 홈 및 겉창의 유연한 접합부는 겉창이 중창에 부착될 때 서로 보완하도록 형상화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홈 및 유연한 접합부는 신발이 휠 때 독립적으로 구부러지도록 허용되고, 이 영역들은 후크 및 파일 파스너 시스템에 의해 서로 직접 고정되지 않는다.
도 3a를 참조하면, 두 부분들, 즉 겉창 뒤축 구역을 포함한 제 1 겉창 부분(100), 및 겉창 앞부분 구역 및 겉창 발끝 구역을 포함한 제 2 겉창 부분(200B)으로 제공된 겉창을 갖는 볼링화 밑창의 도면이 도시된다. 제 1 겉창 부분은 신발의 중창에 부착된 것으로서 도시된다. 또한, 2 개의 중창 핑거 채널들이 도시된다. 제 1 핑거 채널(301)은 제 1 겉창 부분의 일부분 밑에서 중창 뒤축 구역의 일부분을 통해 연장되는 것으로서 나타낸다. 제 2 핑거 채널(302)은 중창 파스너 영역의 에지 아래의 깊이까지 연장되는 것으로서 나타낸다. 제 2 겉창 부분의 앞부분 구역에는, 겉창을 가로질러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유연한 접합부들로서 도시된 제 1 겉창 갭(401) 및 제 2 겉창 갭(402)을 갖는 겉창 부착 영역(450A)이 도시된다. 중창의 앞부분 구역에는, 중창을 가로질러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반-원형 홈들로서 나타낸 제 1 중창 부착 갭(601) 및 제 2 중창 부착 갭(602)을 갖는 중창 부착 영역(650A)이 도시된다. 겉창 발끝 구역은 겉창 발끝 리지(510C)를 갖는 겉창 발끝 에지(500C)를 갖는 것으로서 도시된다. 겉창 발끝 리지는 중창 외측 에지(661B 및 662B)의 경사진 부분들에 대응하는 경사진 발끝 리지 단부들(561B 및 562B)을 갖는 것으로 도시된다. 중창 발끝 구역은 감소된 중창 외측 에지(630B)를 갖는 것으로서 도시된다.
도 3b 및 도 3c를 참조하면, 밑창의 발끝 구역의 단면 영역이 도시된다. 도 3b에서 겉창은 중창에 부착된 것으로서 도시되고, 도 3c에서 겉창은 중창으로부터 분리된 것으로서 도시된다. 겉창 발끝 에지(500C)는 겉창 발끝 리지(510C)를 갖는 것으로 도시된다. 겉창 발끝 리지는 겉창 발끝 리지 두께(512A) 및 겉창 발끝 리지 높이(511B)를 갖는다. 중창 발끝 에지는 중창 노치(615)를 갖는 것으로 도시된다. 중창 노치는 중창 에지로부터의 거리로서 측정되는 중창 노치 깊이(612A)를 갖는다. 중창 노치는 중창 저부로부터의 거리로서 측정되는 중창 노치 높이(611A)를 갖는다. 도시된 바와 같이, 중창 노치 및 겉창 발끝 리지는 겉창 발끝 리지가 중창 노치 높이까지 연장되고 겉창 발끝 리지가 중창 노치 깊이보다 큰 두께를 가져서, 겉창 발끝 리지의 최상부가 중창 노치의 최상부에 안착되지만 겉창 발끝 리지의 외측 에지가 중창 발끝 에지를 넘어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도 4a를 참조하면, 두 부분들, 즉 겉창 뒤축 구역을 포함한 제 1 겉창 부분(100), 및 겉창 앞부분 구역 및 겉창 발끝 구역을 포함한 제 2 겉창 부분(200C)으로 제공된 겉창을 갖는 볼링화 밑창의 도면이 도시된다. 제 1 겉창 부분은 신발의 중창에 부착된 것으로서 도시된다. 또한, 2 개의 중창 핑거 채널들이 도시된다. 제 1 핑거 채널(301)은 제 1 겉창 부분의 일부분 밑에서 중창 뒤축 구역의 일부분을 통해 연장되는 것으로서 나타낸다. 제 2 핑거 채널(302)은 중창 파스너 영역의 에지 아래의 깊이까지 연장되는 것으로서 나타낸다. 제 2 겉창 부분의 앞부분 구역에는, 평탄한 겉창 갭(400)을 갖는 겉창 부착 영역(450B)이 도시된다. 중창의 앞부분 구역에는, 평탄한 중창 갭을 갖는 중창 부착 영역(650B)이 도시된다. 겉창 발끝 구역은 겉창 발끝 리지(510D)를 갖는 겉창 발끝 에지(500D)를 갖는 것으로서 도시된다. 겉창 발끝 리지(510D)는 중창 외측 에지(661C 및 662C)의 경사진 부분들에 대응하는 경사진 발끝 리지 단부들(561C 및 562C)을 갖는 것으로 도시된다. 중창 발끝 구역은 감소된 중창 외측 에지(630C)를 갖는 것으로서 도시된다.
도 4b를 참조하면, 중창 앞부분 및 겉창 앞부분의 단면 영역이 도시되고, 이는 중창의 후크 파스너 영역(650B) 및 겉창의 파일 파스너 영역(450B)을 더 포함한다. 각각의 파스너 영역은 평탄한 갭을 갖는 것으로 도시된다. 중창 파스너 영역 갭(603)은 겉창 파스너 영역 갭(400)으로부터 독립적으로 구부러지도록 허용되며, 이는 전체적으로 신발에 향상된 유연성을 제공하고, 신발의 휨에 의해 야기되는 파스너 영역들 상의 전단 응력을 제한한다.
도 4c를 참조하면, 밑창의 발끝 구역의 단면 영역이 도시된다. 겉창은 중창으로부터 분리된 것으로서 도시된다. 겉창 발끝 에지(500D)는 겉창 발끝 리지 높이(511C)를 갖는 겉창 발끝 리지(510D)를 갖는 것으로 도시된다. 중창 발끝 에지(610B)는 평탄한 것으로서 도시되고, 겉창 발끝 리지는 겉창이 중창에 부착될 때 중창 발끝 에지에 대해 피팅된다.
도 5a를 참조하면, 두 부분들, 즉 겉창 뒤축 구역을 포함한 제 1 겉창 부분(100), 및 겉창 앞부분 구역 및 겉창 발끝 구역을 포함한 제 2 겉창 부분(200E)으로 제공된 겉창을 갖는 볼링화 밑창의 도면이 도시된다. 2 개의 중창 핑거 채널들, 즉 중창 뒤축 구역의 일부분을 통해 연장된 제 1 핑거 채널(301), 및 중창 파스너 영역의 에지 아래의 깊이까지 연장된 제 2 핑거 채널(302)이 도시된다. 제 2 겉창 부분의 앞부분 구역에는, 겉창 파스너 영역 갭을 갖는 겉창 파스너 영역이 도시된다. 겉창 파스너 영역 갭은 겉창 돌출부 그룹(403)을 포함하고, 이는 작은 평탄한 갭에 의해 각각 분리되어 겉창을 가로질러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3 개의 유연한 접합부들을 포함한다. 중창의 앞부분 구역에는, 중창 부착 영역 갭을 갖는 중창 부착 영역이 도시된다. 중창 부착 영역 갭은 중창 홈 그룹(604)을 더 포함하고, 이는 작은 평탄한 갭에 의해 각각 분리되어 중창을 가로질러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3 개의 반-원형 홈들을 포함한다. 겉창 발끝 구역은 겉창 발끝 에지(500E), 및 겉창 쉘프(520C)를 갖는 겉창 발끝 리지(510E)를 갖는 것으로서 도시된다. 겉창 쉘프(520C)는 경사진 중창 후퇴부 벽에 대응하는 경사진 밑면(522B)을 갖는 것으로 도시된다. 겉창 발끝 리지(510E)는 중창 외측 에지의 경사진 부분들에 대응하는 경사진 발끝 리지 단부들을 갖는 것으로 도시된다. 중창 발끝 구역은 감소된 중창 외측 에지(630D)를 갖는 것으로서 도시된다. 중창 발끝 에지는 중창 후퇴부를 더 포함한다.
도 5b를 참조하면, 중창 앞부분 및 겉창 앞부분의 단면 영역이 도시되고, 이는 중창의 후크 파스너 영역 및 겉창의 파일 파스너 영역을 더 포함한다. 각각의 파스너 영역은 갭을 갖는 것으로 도시된다. 중창 파스너 영역 갭은 작은 평탄한 갭에 의해 각각 분리되는 3 개의 반-원형 홈들을 갖는 중창 홈 그룹(604)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도시된다. 겉창 파스너 갭은 3 개의 유연한 접합부들을 포함한 겉창 돌출부 그룹(403)을 갖는 것으로 도시된다. 각각의 유연한 접합부는 아치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작은 평탄한 갭에 의해 분리된다. 겉창 돌출부 그룹(403) 및 중창 홈 그룹(604)은 향상된 유연성을 제공하고, 신발의 휨에 의해 야기되는 파스너 영역들 상의 응력을 제한한다. 유리하게는, 중창 그룹의 반-원형 홈들 및 겉창 돌출부 그룹의 유연한 접합부들은 겉창이 중창에 부착될 때 서로 보완하도록 형상화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중창 홈 그룹(604) 및 겉창 돌출부 그룹(403)은 신발이 휠 때 독립적으로 구부러지도록 허용되고, 이 영역들은 후크 및 파일 파스너 시스템에 의해 서로 직접 고정되지 않는다.
도 6a를 참조하면, 두 부분들, 즉 겉창 뒤축 구역을 포함한 제 1 겉창 부분(100), 및 겉창 앞부분 구역 및 겉창 발끝 구역을 포함한 제 2 겉창 부분(200F)으로 제공된 겉창을 갖는 볼링화 밑창의 도면이 도시된다. 제 1 겉창 부분은 신발의 중창에 부착된 것으로서 도시된다. 또한, 2 개의 중창 핑거 채널들이 도시된다. 제 1 핑거 채널(301)은 제 1 겉창 부분의 일부분 밑에서 중창 뒤축 구역의 일부분을 통해 연장되는 것으로서 나타낸다. 제 2 핑거 채널(302)은 중창 파스너 영역의 에지 아래의 깊이까지 연장되는 것으로서 나타낸다. 제 2 겉창 부분의 앞부분 구역에는, 겉창을 가로질러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단단한(solid) 돌출부들로서 도시되는 제 1 겉창 갭(404) 및 제 2 겉창 갭(405)을 갖는 겉창 부착 영역(450C)이 도시된다. 중창의 앞부분 구역에는, 중창을 가로질러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반-원형 홈들로서 나타낸 제 1 중창 부착 갭(605) 및 제 2 중창 부착 갭(606)을 갖는 중창 부착 영역(650C)이 도시된다. 겉창 발끝 구역은 겉창 발끝 에지 및 겉창 발끝 리지를 갖는 것으로서 도시된다. 겉창 발끝 리지는 중창 외측 에지의 경사진 부분들에 대응하는 경사진 발끝 리지 단부들을 갖는 것으로 도시된다. 중창 발끝 구역은 감소된 중창 외측 에지를 갖는 것으로서 도시된다.
도 6b를 참조하면, 중창 앞부분 및 겉창 앞부분의 단면 영역이 도시되고, 이는 중창의 후크 파스너 영역 및 겉창의 파일 파스너 영역을 더 포함한다. 각각의 파스너 영역은 갭을 갖는 것으로 도시된다. 중창 파스너 영역 갭(605)은 반-원형 홈으로서 도시되며, 이는 향상된 유연성을 제공하고 신발의 휨에 의해 야기되는 파스너 영역들 상의 전단 응력을 제한한다. 겉창 파스너 갭은 겉창 돌출부(405)로서 도시된다. 겉창 돌출부는 겉창이 중창에 부착될 때 중창 홈을 보완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갭들은 신발의 휨에 의해 야기되는 파스너 영역들 상의 응력을 제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중창 홈 및 겉창 돌출부는 신발이 휠 때 독립적으로 구부러지도록 허용되고, 이 영역들은 후크 및 파일 파스너 시스템에 의해 서로 직접 고정되지 않는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중창의 발끝 구역은 중창의 앞부분 구역의 일부분과 함께 도시된다. 저면(617)이 나타내어진다. 감소된 중창 외측 에지(630E)를 볼 수 있으며, 앞부분 구역의 외측 에지는 경사진 단부들(661D 및 662D)을 갖는 것으로 도시된다.
도 3a, 도 4a, 도 6a 및 도 7b를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들에서, 중창 발끝 구역의 저면(617)에 겉창 발끝 구역의 상부면(517)을 고정하기 위해 고정 장치(securing apparatus)가 사용된다. 고정 장치는 여하한의 파스너 또는 부착 메카니즘이다. 일 실시예에서, 고정 장치는 후크 및 파일 시스템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고정 장치는 리벳(rivet) 메카니즘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고정 장치는 테이프와 같은 접착제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고정 장치는 스냅 파스너(snap fastener)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고정 장치는 버튼 파스너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고정 장치는 래칭(latching) 메카니즘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고정 장치는 클램핑 메카니즘이다. 바람직한 실시예들에서, 고정 장치는 겉창 발끝 구역의 상부면(517)으로 하여금 중창 발끝 구역의 저면(617)에 탈착식으로(removably) 부착되게 한다.
본 발명은 소정 구조들 및 구성들을 갖는 몇몇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이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의해 고려되는 특징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들 또는 배치들을 다룬 것으로 의도되지 않으며, 특징들의 많은 다른 조합들 또는 배치들이 본 발명의 기재내용을 검토한 후 당업자에 의해 확인가능할 것이다.
Claims (20)
- 신발의 밑창에 있어서:
중창 앞부분 구역, 중창 발끝 구역 및 중창 발끝 에지를 포함하는 중창;
겉창 앞부분 구역, 겉창 발끝 구역, 겉창 발끝 에지 및 겉창 발끝 리지를 포함하는 탈착식으로(remove-ably) 부착가능한 겉창;
을 포함하고,
상기 겉창 발끝 리지는 겉창 발끝 리지 높이까지 수직으로 연장되며;
상기 겉창 발끝 리지는 상기 겉창 발끝 에지의 적어도 일부분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중창 발끝 에지 및 상기 겉창 발끝 리지는 상기 탈착식으로 부착가능한 겉창과 상기 중창 간의 이동을 적어도 한 방향으로 제한하며,
상기 중창은 중창 저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중창 앞부분 구역 저면 및 상기 중창 발끝 구역 저면으로 구성된 구역들 중 하나는 중창 파스너 영역이고;
상기 중창 앞부분 구역 저면 및 상기 중창 발끝 구역 저면은 다른 물리적 특성을 가지며;
상기 탈착식으로 부착가능한 겉창은 상기 신발에 고정될 때 상기 중창 저면과 접촉하는 겉창 접촉 표면을 더 포함하며;
상기 겉창 앞부분 구역 접촉 표면 및 상기 겉창 발끝 구역 접촉 표면으로 구성된 구역들 중 하나는 상기 중창 파스너 영역과 결합하는 겉창 파스너 영역이며;
상기 겉창 앞부분 구역 접촉 표면 및 상기 겉창 발끝 구역 접촉 표면은 다른 물리적 특성을 갖는 신발의 밑창.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창은 상기 중창 발끝 에지 위에 중창 후퇴부(midsole recess)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창 후퇴부는 상기 중창 발끝 에지의 적어도 일부분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탈착식으로 부착가능한 겉창은 상기 겉창 발끝 리지의 적어도 일부분을 따라 연장되는 겉창 쉘프(outsole shelf)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겉창 쉘프는 상기 탈착식으로 부착가능한 겉창이 상기 중창에 부착되는 경우에 상기 중창 후퇴부 내에서 끝나는 신발의 밑창.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창 파스너 영역 및 상기 겉창 파스너 영역으로 구성되는 그룹의 적어도 하나는 갭(gap)을 더 포함하는 신발의 밑창.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창 파스너 영역은 중창 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탈착식으로 부착가능한 겉창은 겉창 돌출부(outsole protrusion)를 더 포함하는 신발의 밑창.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갭은 상기 중창에 대해 왼쪽으로부터 오른쪽으로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신발의 밑창.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창에 적어도 하나의 핑거 채널(finger channel)을 더 포함하는 신발의 밑창. - 신발의 밑창에 있어서:
중창 발끝 구역, 중창 앞부분 구역, 중창 뒤축 구역, 중창 발끝 에지 및 중창 뒤축 에지를 포함하는 중창;
겉창 앞부분 구역, 겉창 발끝 구역, 겉창 발끝 에지 및 겉창 발끝 리지를 포함하는 탈착식으로(remove-ably) 부착가능한 제 1 겉창;
탈착식으로 부착가능한 제 2 겉창;
을 포함하고,
상기 중창 발끝 에지 및 상기 겉창 발끝 리지는 탈착식으로 부착가능한 제 1 겉창과 상기 중창 간의 이동을 적어도 한 방향으로 제한하며;
상기 중창은 중창 저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중창 앞부분 구역 저면 및 상기 중창 발끝 구역 저면으로 구성된 구역들 중 하나는 중창 파스너 영역이고;
상기 중창 앞부분 구역 저면 및 상기 중창 발끝 구역 저면은 다른 물리적 특성을 가지며;
상기 탈착식으로 부착가능한 제 1 겉창은 상기 신발에 고정될 때 상기 중창 저면과 접촉하는 겉창 접촉 표면을 더 포함하며;
상기 겉창 앞부분 구역 접촉 표면 및 상기 겉창 발끝 구역 접촉 표면으로 구성된 구역들 중 하나는 상기 중창 파스너 영역과 결합하는 겉창 파스너 영역이며;
상기 겉창 앞부분 구역 접촉 표면 및 상기 겉창 발끝 구역 접촉 표면은 다른 물리적 특성을 가지며;
상기 탈착식으로 부착가능한 제 1 및 제 2 겉창은 분리되며;
상기 탈착식으로 부착가능한 제 1 겉창은 상기 중창 발끝 구역 및 상기 중창 앞부분 구역 둘 다의 크기 및 형상에 대체로 대응하는(match) 크기 및 형상을 가지며;
상기 탈착식으로 부착가능한 제 2 겉창은 상기 중창 뒤축 구역의 크기 및 형상에 대체로 대응하는 크기 및 형상을 갖는 신발의 밑창.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중창은 상기 중창 발끝 에지 위에 위치되는 중창 후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창 후퇴부는 상기 중창 발끝 에지의 적어도 일부분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탈착식으로 부착가능한 제 1 겉창은 겉창 쉘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중창 후퇴부 및 상기 겉창 쉘프는 상기 탈착식으로 부착가능한 제 1 겉창과 상기 중창 간의 이동을 적어도 한 방향으로 제한하는 신발의 밑창.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중창 파스너 영역 및 상기 겉창 파스너 영역으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갭을 더 포함하는 신발의 밑창.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중창은 홈을 더 포함하며;
상기 탈착식으로 부착가능한 제 1 겉창은 겉창 돌출부(outsole protrusion)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겉창 돌출부는 상기 중창 홈에 대체로 끼워지고, 상기 탈착식으로 부착가능한 제 1 겉창과 상기 중창 간의 이동을 적어도 한 방향으로 제한하는 신발의 밑창.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갭이 상기 밑창의 왼쪽으로부터 상기 밑창의 오른쪽으로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신발의 밑창.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중창에 적어도 하나의 핑거 채널을 더 포함하는 신발의 밑창. - 신발의 밑창에 있어서:
중창 발끝 구역, 중창 앞부분 구역, 중창 뒤축 구역, 중창 발끝 에지 및 중창 뒤축 에지를 포함하는 중창;
겉창 앞부분 구역, 겉창 발끝 구역, 겉창 발끝 에지 및 겉창 발끝 리지를 포함하는 탈착식으로(remove-ably) 부착가능한 제 1 겉창을 포함하며,
상기 겉창 발끝 리지는 겉창 발끝 리지 높이까지 수직으로 연장되며;
상기 겉창 발끝 리지는 상기 겉창 발끝 에지의 적어도 일부분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겉창 발끝 리지 및 중창 발끝 에지는 상기 탈착식으로 부착가능한 제 1 겉창과 상기 중창 간의 이동을 적어도 한 방향으로 제한하며,
상기 중창은 중창 저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중창 앞부분 구역 저면 및 상기 중창 발끝 구역 저면으로 구성된 구역들 중 하나는 중창 파스너 영역이고;
상기 중창 앞부분 구역 저면 및 상기 중창 발끝 구역 저면은 다른 물리적 특성을 가지며;
상기 중창 파스너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중창 파스너 갭에 의하여 분리되며;
상기 중창 파스너 갭 및 상기 중창 파스너 영역은 다른 물리적 특성을 가지며;
상기 탈착식으로 부착가능한 제 1 겉창은 상기 신발에 고정될 때 상기 중창 저면과 접촉하는 겉창 접촉 표면을 더 포함하며;
상기 겉창 앞부분 구역 접촉 표면 및 상기 겉창 발끝 구역 접촉 표면으로 구성된 구역들 중 하나는 상기 중창 파스너 영역과 결합하는 겉창 파스너 영역이며;
상기 겉창 앞부분 구역 접촉 표면 및 상기 겉창 발끝 구역 접촉 표면은 다른 물리적 특성을 가지며;
상기 겉창 파스너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겉창 파스너 갭에 의하여 분리되며;
상기 겉창 파스너 갭 및 상기 겉창 파스너 영역은 다른 물리적 특성을 가지며;
상기 탈착식으로 부착가능한 제 1 겉창은 상기 중창 발끝 구역 및 상기 중창 앞부분 구역 둘 다의 크기 및 형상에 대체로 대응하는 크기 및 형상을 갖는 신발의 밑창.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중창은 상기 중창 발끝 에지 위에 위치되는 중창 후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창 후퇴부는 상기 중창 발끝 에지의 적어도 일부분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탈착식으로 부착가능한 제 1 겉창은 상기 겉창 발끝 리지의 적어도 일부분을 따라 연장되는 겉창 쉘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겉창 쉘프는 상기 탈착식으로 부착가능한 제 1 겉창이 상기 중창에 부착되는 경우에 상기 중창 후퇴부 내에서 끝나고, 상기 탈착식으로 부착가능한 겉창의 적어도 일부분과 상기 중창 간의 이동을 적어도 한 방향으로 제한하는 신발의 밑창.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식으로 부착가능한 제 1 겉창은 적어도 하나의 겉창 돌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중창은 적어도 하나의 중창 홈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겉창 돌출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창 홈에 대체로 끼워지고 상기 탈착식으로 부착가능한 제 1 겉창과 상기 중창 간의 이동을 적어도 한 방향으로 제한하는 신발의 밑창.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겉창 파스너 갭은 상기 탈착식으로 부착가능한 제 1 겉창의 왼쪽으로부터 상기 탈착식으로 부착가능한 제 1 겉창의 오른쪽으로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신발의 밑창.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중창은 중창 최저 외측 주변부(midsole lowermost outside perimeter)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겉창 발끝 리지는 겉창 발끝 리지 최저 외측 주변부(outsole toe ridge lowermost outside perimeter)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창 최저 외측 주변부 및 상기 겉창 발끝 리지 최저 외측 주변부는, 상기 겉창 쉘프가 상기 탈착식으로 부착가능한 겉창이 상기 중창에 부착되는 경우에 상기 중창 후퇴부 내에서 끝날때, 대체로 동일한 평면에 위치하는 신발의 밑창.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창 파스너 영역 및 상기 겉창 파스너 영역으로 구성된 그룹 중 적어도 하나는 후크 및 파일 파스너 시스템(hook and pile fastener system)을 막는(interrupt) 갭을 더 포함하는 신발의 밑창.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겉창 쉘프는 상기 탈착식으로 부착가능한 제 1 겉창이 상기 중창에 부착되는 경우에 상기 중창 후퇴부 내에서 끝나는 신발의 밑창. - 제 13 항에 있어서,
탈착식으로 부착가능한 제 2 겉창을 더 포함하며;
상기 탈착식으로 부착가능한 제 1 및 제 2 겉창은 분리되며;
상기 탈착식으로 부착가능한 제 2 겉창은 상기 중창 뒤축 구역의 크기 및 형상에 대체로 대응하는 크기 및 형상을 갖는 신발의 밑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14/813,872 US10226102B2 (en) | 2015-07-30 | 2015-07-30 | Sole of a shoe |
US14/813,872 | 2015-07-30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01607A Division KR20170015088A (ko) | 2015-07-30 | 2016-01-06 | 신발의 밑창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29745A KR20180129745A (ko) | 2018-12-05 |
KR102040707B1 true KR102040707B1 (ko) | 2019-11-05 |
Family
ID=5579487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01607A KR20170015088A (ko) | 2015-07-30 | 2016-01-06 | 신발의 밑창 |
KR1020180150568A KR102040707B1 (ko) | 2015-07-30 | 2018-11-29 | 신발의 밑창 |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01607A KR20170015088A (ko) | 2015-07-30 | 2016-01-06 | 신발의 밑창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2) | US10226102B2 (ko) |
EP (2) | EP4074207A1 (ko) |
JP (1) | JP6370283B2 (ko) |
KR (2) | KR20170015088A (ko) |
CA (1) | CA2926602C (ko) |
DK (1) | DK3123883T3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99939B1 (ko) | 2016-12-06 | 2017-11-21 | 감병욱 | 신발에 2중 고정되어 발의 통증을 최소화하고 다양한 신발에 적용 가능한 밑창 |
JP6946885B2 (ja) * | 2017-09-21 | 2021-10-13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補高靴 |
US10986896B2 (en) | 2018-01-22 | 2021-04-27 | Adidas Ag | Article of footwear with ribbed outsole and notched midsole |
US11583029B2 (en) | 2018-01-22 | 2023-02-21 | Adidas Ag | Article of footwear with ribbed outsole and notched midsole |
US11617412B2 (en) | 2020-05-21 | 2023-04-04 | Nike, Inc. | Foot support systems including tiltable forefoot components |
JP7289536B2 (ja) * | 2020-05-29 | 2023-06-12 | 株式会社エンジョイトイズ | 射精促進器 |
US11229258B1 (en) * | 2020-07-13 | 2022-01-25 | Uju Uzuegbunam | Convertible shoe |
US20220079295A1 (en) * | 2020-09-17 | 2022-03-17 | Acushnet Company | Golf shoe having midsole structure for spike and spikeless outsoles |
US20220264996A1 (en) * | 2021-02-22 | 2022-08-25 | Anthony Piazza, IV | Method and System for Configurable Fit Shoes |
Family Cites Families (2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41185A (en) * | 1912-01-24 | 1912-10-15 | Alexander H Spitz | Boot and shoe. |
US4267650A (en) * | 1979-07-30 | 1981-05-19 | Peter Bauer | Shoe with removable outsole |
JPH0713523Y2 (ja) * | 1989-12-25 | 1995-04-05 | ダイワ精工株式会社 | 靴 |
US5317822A (en) * | 1992-10-19 | 1994-06-07 | Johnson Joshua F | Athletic shoe with interchangeable wear sole |
JPH06253902A (ja) * | 1993-03-01 | 1994-09-13 | Shimano Inc | 釣り用靴 |
US5533280A (en) * | 1995-02-10 | 1996-07-09 | Halliday; David | Footwear with interchangeable components |
JPH11137301A (ja) * | 1997-11-11 | 1999-05-25 | Ryobi Ltd | 釣り用靴 |
FR2774266B1 (fr) * | 1998-01-30 | 2000-03-10 | Salomon Sa | Chaussure de sport comportant une semelle adaptable a plusieurs normes |
US6311415B1 (en) * | 1998-09-14 | 2001-11-06 | Lind Shoe Company | Bowling shoe with replaceable tip |
US6598318B2 (en) * | 2000-02-16 | 2003-07-29 | Caroline Lillian Rouben | Shoe with a user-interchangeable sole |
US6598324B1 (en) * | 2000-02-23 | 2003-07-29 | American Bowling Services, Inc. | Bowling shoes having customizable ground engagement |
US6345454B1 (en) * | 2000-06-02 | 2002-02-12 | Johnny Carmichael Cotton | Shoe having a removable sole and method of use |
US20020178613A1 (en) * | 2001-06-01 | 2002-12-05 | Vincent Williamson | Shoe having interchangeable soles |
FR2864882B1 (fr) * | 2004-01-13 | 2006-05-26 | Christophe Rovida | Chaussure a semelle interchangeable |
US20110113653A1 (en) * | 2004-05-07 | 2011-05-19 | Theodore Grimmeisen | Device for transforming on demand a city shoe into a sports shoe and shoes adapted to said device |
US8474155B2 (en) * | 2004-06-04 | 2013-07-02 | Nike, Inc. | Article of footwear with outsole web and midsole protrusions |
KR200365239Y1 (ko) * | 2004-07-27 | 2004-10-21 | 주식회사 보승인터내셔널 | 볼링화용 밑창 |
US7984569B2 (en) * | 2004-08-24 | 2011-07-26 | Omni Trax Technology, Inc. | Modular footwear system |
KR200370167Y1 (ko) * | 2004-09-13 | 2004-12-16 | 노경섭 | 이중밑창을 갖는 신발 |
US20060101669A1 (en) * | 2004-11-12 | 2006-05-18 | Santos Kenneth D | Reinforced toe |
US7866064B2 (en) * | 2007-02-16 | 2011-01-11 | Nike, Inc. | Interchangeable pod system |
US8458927B2 (en) * | 2008-11-14 | 2013-06-11 | Columbia Insurance Company | Shoe with interchangeable foreparts and heels |
US10681955B2 (en) * | 2011-03-08 | 2020-06-16 | Ot Intellectual Property, Llc | Interchangeable sole system |
TWM462012U (zh) * | 2013-04-19 | 2013-09-21 | Heng-Xian Su | 適合水中活動的鞋 |
US20140325877A1 (en) * | 2013-05-03 | 2014-11-06 | Columbia Insurance Company | Footwear Kit with Adjustable Foreparts |
US20150320142A1 (en) * | 2014-05-06 | 2015-11-12 | Bradley Handelman | Bowling shoe kit |
GB2538537B (en) * | 2015-05-20 | 2017-09-06 | Icedog Design Ltd | Sole plate assembly |
-
2015
- 2015-07-30 US US14/813,872 patent/US10226102B2/en active Active
- 2015-10-19 JP JP2015205296A patent/JP6370283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6
- 2016-01-06 KR KR1020160001607A patent/KR20170015088A/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6-04-07 CA CA2926602A patent/CA2926602C/en active Active
- 2016-04-19 EP EP22178473.9A patent/EP4074207A1/en active Pending
- 2016-04-19 EP EP16165955.2A patent/EP3123883B1/en active Active
- 2016-04-19 DK DK16165955.2T patent/DK3123883T3/da active
-
2018
- 2018-11-29 KR KR1020180150568A patent/KR102040707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9
- 2019-01-25 US US16/257,263 patent/US20190166949A1/en active Pen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70027282A1 (en) | 2017-02-02 |
KR20180129745A (ko) | 2018-12-05 |
KR20170015088A (ko) | 2017-02-08 |
US20190166949A1 (en) | 2019-06-06 |
EP3123883B1 (en) | 2022-07-20 |
JP2017029668A (ja) | 2017-02-09 |
DK3123883T3 (da) | 2022-10-24 |
US10226102B2 (en) | 2019-03-12 |
CA2926602A1 (en) | 2017-01-30 |
CA2926602C (en) | 2020-07-14 |
EP4074207A1 (en) | 2022-10-19 |
EP3123883A1 (en) | 2017-02-01 |
JP6370283B2 (ja) | 2018-08-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40707B1 (ko) | 신발의 밑창 | |
US10772375B2 (en) | Interchangeable foreparts for shoes | |
US10226100B2 (en) | Sole assembly including a central support structure for an article of footwear | |
EP3053466B1 (en) | Article of footwear with base plate having structure and studs | |
US20210289880A1 (en) | Article Of Footwear With External Support Member | |
ATE358999T1 (de) | Schuhsohle | |
US5970630A (en) | Rigid midsole footware structure with removable undercarriage attaching means | |
US3775875A (en) | Ski boot binding plate protector and walking aid | |
US20160213092A1 (en) | Dual-molded layer overshoe | |
WO2006100447A1 (en) | An article of footwear | |
GB2503821A (en) | Structural improvement for multifunction casual shoe | |
GB2113072A (en) | Shoe soles | |
KR20180002406U (ko) | 낙상 방지용 신발 | |
US4329790A (en) | Boot with angularly extending cleats | |
KR101634567B1 (ko) | 스포츠화의 스터드 보호대 | |
US665797A (en) | Boot or shoe. | |
KR20010046381A (ko) | 구두의 미끄럼 방지장치 | |
KR200238256Y1 (ko) | 신발의 미끄러짐 방지용 마찰 패드 | |
JP6903722B2 (ja) | ソールおよびそれを用いたゴルフシューズ | |
US2930148A (en) | Shoe sole attachment | |
KR100797029B1 (ko) | 보조밑창의 교체가 가능한 신발 | |
US20160073726A1 (en) | Foot supporting structure of a cycling shoe with improved ergonomics | |
US738735A (en) | Shoe sole and heel. | |
KR200183143Y1 (ko) | 신발 밑창 | |
KR20190106662A (ko) | 쿠션력을 향상시킨 스니커즈 신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