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0417B1 - 단일 액츄에이터를 구비한 저항 용접기 - Google Patents

단일 액츄에이터를 구비한 저항 용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0417B1
KR102040417B1 KR1020180135903A KR20180135903A KR102040417B1 KR 102040417 B1 KR102040417 B1 KR 102040417B1 KR 1020180135903 A KR1020180135903 A KR 1020180135903A KR 20180135903 A KR20180135903 A KR 20180135903A KR 102040417 B1 KR102040417 B1 KR 1020404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pair
blocks
rod
resp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59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우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우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우테크
Priority to KR10201801359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04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04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04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30Features relating to electrodes
    • B23K11/31Electrode holders and actuating devices therefor
    • B23K11/314Spot welding guns, e.g. mounted on robots
    • B23K11/315Spot welding guns, e.g. mounted on robots with one electrode moving on a linear p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10Spot welding; Stitch welding
    • B23K11/11Spot welding
    • B23K11/115Spot welding by means of two electrodes placed opposite one another on both sides of the welded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30Features relating to electrodes
    • B23K11/3009Pressure electr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Resistance Wel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일 액츄에이터를 구비한 저항 용접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단일 액츄에이터로 두 개의용접 전극을 이동시켜 저항 점 용접을 수행하는 단일 액츄에이터를 구비한 저항 용접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단일 액츄에이터를 구비한 저항 용접기는, 두 개의 용접 전극을 빠르게 움직여 용접 작업 시간을 단축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용접기의 단가를 낮출 수 있고 전극 이퀄라이징 작업에 용이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단일 액츄에이터를 구비한 저항 용접기{Resistance Welding Apparatus Having Single Actuator}
본 발명은 단일 액츄에이터를 구비한 저항 용접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단일 액츄에이터로 두 개의 용접 전극을 이동시켜 저항 점 용접을 수행하는 단일 액츄에이터를 구비한 저항 용접기에 관한 것이다.
저항 용접은 저항열을 이용하여 용재를 용접하는 방식의 용접을 말한다. 저항 용접은 특히 용재의 일부분에만 용접을 수행하는 방식인 점 용접에 널리 사용되는 방식이다. 따라서, 저항 용접은 재료가 절약되고 빠르게 용접을 수행할 수 있어 산업 전반에 널리 사용되는 용접 방식이다.
저항 용접은 일반적으로 두 개의 전극 사이의 용재를 가압하고, 용재를 가압한 전극을 통해 통전을 수행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저항 용접에서 전극이 용재에 접근하는 시간을 단축시키는 것은 작업 시간과 깊게 연관되어 있다.
이와 같이, 두 개의 전극을 모두 움직이게 하기 위해서 각각의 전극에 연결되는 두 개의 액츄에이터가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액츄에이터의 수가 증가하면 용접기의 제작 단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저항 용접에서는 용접 전극의 마모와 그에 따른 팁 드레싱 작업과 같은 이유로 인해 전극의 이동 변위를 정렬하는 동기화 작업이 요구된다. 복수의 액츄에이터를 사용하는 경우, 용접 전극의 동기화 작업에서 복수의 액츄에이터를 모두 정렬해야 하므로 컨트롤 변수가 증가하여 작업 시간이 증가한다. 또한, 액츄에이터 자체의 오차로 인해 정밀한 가압력 제어가 힘든 문제점이 있다.
이 때문에 두 개의 전극을 동시에 움직일 수 있으며, 전극의 동기화 작업에 용이한 새로운 용접기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필요성을 해결하기 위해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단일 액츄에이터로 두 개의 전극을 움직일 수 있는 단일 액츄에이터를 구비한 저항 용접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단일 액츄에이터를 구비한 저항 용접기는,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제1전극 홀더와 상기 제1전극 홀더에 고정되는 제1전극을 구비하는 제1전극 부재; 상기 본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전극 홀더와 상기 제1전극과 마주보게 배치되어 상기 제2전극 홀더에 고정되는 제2전극을 구비하는 제2전극 부재; 상기 제1전극이 상기 제2전극에 대해 진퇴되도록 상기 제1전극 부재를 상기 본체에 대해 이동시키는 동작 부재; 상기 동작 부재에 의해 상기 제1전극 부재가 움직일 때, 상기 제2전극이 상기 제1전극에 대해 진퇴되도록 상기 동작 부재의 작동에 연동하여 상기 본체에 대해 상기 제2전극 부재를 이동시키는 반전 부재; 및 상기 동작 부재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점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단일 액츄에이터를 구비한 저항 용접기는, 두 개의 용접 전극을 빠르게 움직여 용접 작업 시간을 단축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용접기의 단가를 낮출 수 있고 전극 정렬 작업에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일 액츄에이터를 구비한 저항 용접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단일 액츄에이터를 구비한 저항 용접기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는 도 2에 도시된 단일 액츄에이터를 구비한 저항 용접기의 Ⅲ - Ⅲ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단일 액츄에이터를 구비한 저항 용접기의 반전 부재의 로드가전진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단일 액츄에이터를 구비한 저항 용접기의 반전 부재의 로드가후퇴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일 액츄에이터를 구비한 저항 용접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일 액츄에이터를 구비한 저항 용접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단일 액츄에이터를 구비한 저항 용접기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3는 도 2에 도시된 단일 액츄에이터를 구비한 저항 용접기의 Ⅲ - Ⅲ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단일 액츄에이터를 구비한 저항 용접기의 이동 유닛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단일 액츄에이터를 구비한 저항 용접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와 제1전극 부재(200)와 제2전극 부재(300)와 동작 부재(400)와 반전 부재(500)와 제어 유닛(6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단일 액츄에이터를 구비한 저항 용접기는 동작 부재(400)와 반전 부재(500)에 의해 제1전극 부재(200)의 제1전극(220)과 제2전극 부재(300)의 제2전극(320)이 근접하여 저항 점 용접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본체(100)는 본 실시예에 따른 단일 액츄에이터를 구비한 저항 용접기의 다른 구성들을 지지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에는 나사선이 형성된 복수의 구멍들이 형성된다. 본체(100)에 설치되는 구성들은 이와 같이 본체(100)에 형성된 구멍에 각각 볼트 결합되어 설치된다. 본체(100)는 본 실시예에 따른 단일 액츄에이터를 구비한 저항 용접기를 작업 위치로 이송시키는 이동 장치에 결합된다. 이러한 이동 장치의 예로는 로봇 암과 같은 장치를 들 수 있다. 본체(100)에 설치되는 구성들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본체(100)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제1전극 부재(200)는 제1전극 홀더(210)와 제1전극(220)을 구비한다. 제1전극 홀더(210)는 후술하는 동작 부재(400)에 설치된다. 제1전극(220)은 제1전극 홀더(210)에 설치되어 고정된다. 제1전극(220)은 저항 점 용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통전이 가능한 전도성 재질로 형성된다. 제1전극(220)은 저항 점 용접이 수행되는데 필요한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2전극 부재(300)는 제2전극 홀더(310)와 제2전극(320)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2전극 홀더(310)는 본체(100)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제2전극 홀더(310)의 측면에는 슬라이딩 가이드(330)가 설치된다. 본체(100)에는 이 슬라이딩 가이드(330)를 따라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더(130)가 설치된다. 제2전극 부재(300)의 슬라이딩 가이드(330)는 본체(100)의 슬라이더(130)를 따라 슬라이딩된다. 제2전극(320)은 제1전극 부재(200)의 제1전극(220)과 마주하게 배치되어 제2전극 홀더(310)에 설치되어 고정된다. 제1전극(220)과 마찬가지로 제2전극(320)도 저항 점 용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통전이 가능한 전도성 재질로 형성된다. 제2전극(320)은 저항 점 용접이 수행되는데 필요한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동작 부재(400)는 제2전극 부재(300)에 설치된다. 동작 부재(400)는 제1전극 부재(200)를 움직인다. 이러한 동작 부재(400)는 직선 왕복 운동을 수행할 수 있는 서보 모터나 유압 액츄에이터와 같은 장치이다. 동작 부재(400)는 제1전극 부재(200)에 연결되어 제1전극 부재(200)를 본체(100)에 대해 이동시킨다. 동작 부재(400)가 제1전극 부재(200)를 이동시키면, 제1전극 홀더(210)에 의해 지지된 제1전극(220)도 위치가 변경된다. 동작 부재(400)는 제1전극(220)이 제2전극(320)에 대해 진퇴되도록 제1전극 홀더(210)의 위치를 변경시킨다. 동작 부재(400)의 작동에 따라 제1전극(220)은 제2전극(320)에 대해 전진하거나 후퇴한다.
반전 부재(500)는 동작 부재(400)에 의해 제1전극(220)이 제2전극(320)에 대해 진퇴할 때, 제2전극(320)이 제1전극(220)과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제2전극 부재(300)를 이동시킨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반전 부재(500)는 한 쌍의 블록(550)과 탄성 부재(560)와 로드(540)와 경사부(541) 및 평탄부(542)와 제1연결 링크(520)와 제2연결 링크(530)와 회전 링크(510)를 포함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한 쌍의 블록(550)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블록(550)은 직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된다. 탄성 부재(560)는 블록(550)과 본체(100) 사이에 설치된다. 블록(550)은 탄성 부재(560)를 통해 본체(100)와 결합된다. 탄성 부재(560)는 두 개의 블록(550)이 서로 근접하는 방향의 탄성력을 블록(550)에 제공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각각의 블록(550)마다 4개의 탄성 부재(560)가 설치된다.
로드(540)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막대 모양으로 형성된다. 로드(540)는 블록(550) 사이에 배치되고 한쪽 말단이 제1전극 부재(200)에 결합되어 제1전극 부재(200)에 설치된다.
경사부(541)는 로드(540)의 움직임에 따라 블록(550)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도록 한다. 경사부(541)는 로드(540)와 블록(550)이 서로 접촉하는 부분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경사부(541)는 로드(540)의 말단에 형성된다.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로드(540)의 경사부(541)는 말단으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된다. 평탄부(542)는 로드(540)가 블록(550) 사이에서 움직이는 동안, 블록(550) 사이의 간격이 유지되도록 한다. 평탄부(542)도 경사부(541)와 마찬가지로 로드(540)와 블록(550)이 서로 접촉하는 부분이다. 평탄부(542)는 로드(540)와 마주하는 블록(550)의 접촉면과 평행하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평탄부(542)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로드(540)의 몸체 부분이다. 즉, 본 실시예의 로드(540)는 말단에 경사부(541)를 구비하고, 몸체부에는 평탄부(542)를 구비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경우 두 개의 제1연결 링크(520)가 마련된다. 제1연결 링크(520)는 곡선으로 구부러져 형성된다. 한 쌍의 제1연결 링크(520)는 한 쌍의 블록(550)과 각각 결합된다. 회전 링크(510)는 두 개가 마련되어 제1연결 링크(520)와 각각 연결된다. 이 때, 회전 링크(510)는 인접한 블록(550)의 반대편 블록(550)과 연결된 제1연결 링크(520)와 연결된다. 회전 링크(510)에는 회전축이 존재하여 블록(550)의 간격 변화에 따라 회전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회전 링크(510)의 회전축은 블록(550) 사이에 배치된다. 제2연결 링크(530)는 두 개 마련되어 회전 링크(510)와 제2전극 부재(300)를 연결한다. 회전 링크(510)의 회전에 의해 제2연결 링크(530)와 연결된 제2전극 부재(300)가 제1전극 부재(200)와 반대방향으로 움직인다.
제어 유닛(600)은 동작 부재(400)를 제어하고 본 실시예에 따른 단일 액츄에이터를 구비한 저항 용접기를 작업 위치로 이송하는 이동 장치를 제어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일 액츄에이터를 구비한 저항 용접기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제어 유닛(600)은 이동 장치에 신호를 보내 이동 장치가 본 실시예에 따른 단일 액츄에이터를 구비한 저항 용접기를 작업 위치로 이송하도록 한다.
제1전극(220)과 제2전극(320) 사이에 저항 점 용접이 수행되는 용재가 위치하면, 제1전극(220)과 제2전극(320)을 용재에 근접시켜 저항 점 용접을 실시한다. 제어 유닛(600)은 동작 부재(400)에 신호를 보내 동작 부재(400)를 작동시킨다. 동작 부재(400)가 작동하면, 동작 부재(400)에 설치된 제1전극 부재(200)가 이동한다. 동작 부재(400)는 제1전극 부재(200)에 설치되어 고정된 제1전극(220)을 제2전극(320)에 대해 전진시킨다. 제1전극(220)은 제1전극(220)과 제2전극(320)이 가장 멀리 떨어진 초기 위치에서 15mm만큼 떨어진 동작점까지 제2전극(320)에 대해 전진한다. 이하에서는 제1전극(220)이 초기 위치에서 동작점까지 이동하는 구간을 제1구간이라하고 동작점부터 제1전극(220)이 용재에 접촉하는 구간을 제2구간으로 정의하여 설명한다.
먼저, 제1전극(220)이 제1구간에서 전진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제1전극(220)이 제1구간에서 전진하는 동안에 제2전극 부재(300)는 정지한 상태로 유지된다. 동작 부재(400)가 제1전극 부재(200)를 이동시키면 제1전극 부재(200)에 설치된 반전 부재(500)의 로드(540)도 제1전극(220)과 동일한 방향으로 전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로드(540)는 탄성 부재(560)에 의해 가압된 한 쌍의 블록(550) 사이에 배치된다. 따라서 로드(540)는 한 쌍의 블록(550) 사이에서 전진한다. 제1전극(220)이 제1구간에서 전진하는 동안 로드(540)의 몸체부에 해당하는 평탄부(542)에서 로드(540)와 블록(550)이 서로 접촉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평탄부(542)는 로드(540)와 마주하는 블록(550)의 면과 평행하게 형성된다. 로드(540)와 블록(550)이 평탄부(542)에서 접촉하는 동안에는 블록(550)의 간격이 유지된다. 블록(550)의 간격이 유지되면 회전 링크(510)가 회전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제2연결 링크(530)에 의해 회전 링크(510)에 연결된 제2전극 부재(300)도 정지한 상태로 유지된다.
이와 같이, 제1구간에서는 제1전극(220)만 제2전극(320)에 대해 전진한다. 작업 시간 단축을 위해 이동 장치가 본 실시예에 따른 단일 액츄에이터를 구비한 저항 용접기를 작업 위치로 이송하는 동안 동작 부재(400)의 작동에 의해 제1전극(220)이 제1구간에서 이동하게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여 제1전극(220)이 제2구간에서 전진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제1전극(220)이 동작점을 지나 제2구간에서 전진하면, 반전 부재(500)의 작동에 의해 제2전극 부재(300)가 이동된다. 반전 부재(500)는 제2전극 부재(300)를 이동시켜 제2전극(320)을 제1전극(220)과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게 한다. 즉, 제2구간에서는 제1전극(220)과 제2전극(320)이 근접하는 방향으로 함께 움직인다.
동작 부재(400)가 제1전극 부재(200)를 이동시켜 제1전극(220)이 동작점을 지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540)와 블록(550)은 경사부(541)에서 서로 접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경사부(541)는 말단으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되므로 탄성 부재(560)에 의해 가압된 블록(550)은 경사부(541)를 따라 움직인다. 로드(540)가 전진하면, 경사부(541)와 접촉한 블록(550) 사이의 거리가 줄어든다. 즉, 경사부(541)에서 로드(540)와 블록(550)의 접촉이 시작되면 로드(540)의 전진에 따라 블록(550) 사이의 간격이 줄어든다.
이와 같이 블록(550)의 간격이 줄어들면, 블록(550)과 회전 링크(510)를 연결하는 제1연결 링크(520)가 회전 링크(510)를 로드(540)를 기준으로 바깥쪽으로 회전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회전 링크(510)는 인접한 블록(550)과 마주하는 블록(550)에 연결된 제1연결 링크(520)에 연결되므로, 블록(550)이 서로 접근하면 제1연결 링크(520)가 회전 링크(510)를 바깥쪽으로 밀어낸다. 이와 같이 제1연결 링크(520)가 회전 링크(510)를 바깥쪽으로 밀어내면, 회전축이 고정된 회전 링크(510)는 바깥쪽으로 회전한다. 회전 링크(510)가 바깥쪽으로 회전하면, 회전 링크(510)와 연결된 제2연결 링크(530)의 사이가 벌어진다. 이로 인해 제2연결 링크(530)와 연결된 제2전극 부재(300)가 회전 링크(510) 쪽으로 당겨진다. 제2전극 부재(300)가 당겨지는 동안, 제2전극 부재(300)의 슬라이딩 가이드(330)는 본체(100)의 슬라이더(130)를 따라 슬라이딩된다. 결과적으로 제2전극 부재(300)는 본체(100)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된다.
이러한 반전 부재(500)의 작동으로 인하여 제2전극 부재(300)는 제1전극 부재(200)와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고, 제2전극 부재(300)에 결합된 제2전극(320)도 제1전극(220)에 대해 전진한다. 정리하면, 제2구간에서 제1전극(220)은 동작 부재(400)에 의해 제2전극(320)에 대해 전진하고, 제2전극(320)은 동작 부재(400)에 의한 반전 부재(500)의 작동에 의해 제1전극(220)에 대해 전진한다. 즉, 제1전극(220)과 제2전극(320)은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함께 움직인다.
제1전극(220)과 제2전극(320)이 용재에 접촉하면, 제1전극(220)과 제2전극(320)으로 용재를 가압하고 두 전극에 통전을 실시하여 저항 점 용접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단일 액츄에이터를 구비한 저항 용접기는 두 개의 전극을 한꺼번에 움직여 용재와 전극이 빠르게 접촉하도록 하여 작업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하나의 동작 부재(400)를 통해 두 전극을 동시에 이동시킨다. 이 때문에 본 실시예에 따른 단일 액츄에이터를 구비한 저항 용접기는 복수의 액츄에이터를 사용하는 일반적인 용접기에 비해 저렴한 가격으로 제작이 가능하다.
저항 점 용접이 완료되면, 제2구간에서 제1전극(220)이 후퇴한다. 제2구간에서 제1전극(220)이 후퇴하는 동안, 제2전극(320)도 제1전극(220)에 대해 후퇴한다.
동작 부재(400)가 제1전극 부재(200)를 이동시켜 제1전극(220)이 제2구간에서 후퇴하면, 로드(540)와 블록(550)은 경사부(541)에서 서로 접촉한다. 제1전극 부재(200)에 설치된 로드(540)가 후퇴하면, 블록(550)은 점점 넓어지는 경사부(541)에 의해 간격이 벌어진다. 즉, 경사부(541)에서 로드(540)와 블록(550)의 접촉이 시작되면 로드(540)의 후진에 따라 블록(550) 사이의 간격이 늘어난다.
이와 같이 블록(550)의 간격이 늘어나면, 블록(550)과 회전 링크(510)를 연결하는 제1연결 링크(520)가 회전 링크(510)를 로드(540)를 기준으로 안쪽으로 회전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회전 링크(510)는 인접한 블록(550)과 마주하는 블록(550)에 연결된 제1연결 링크(520)에 연결되므로, 블록(550)이 서로 멀어지면 제1연결 링크(520)가 회전 링크(510)를 안쪽으로 잡아당긴다. 이와 같이 제1연결 링크(520)가 회전 링크(510)를 안쪽으로 잡아당기면, 회전축이 고정된 회전 링크(510)는 안쪽으로 회전한다. 회전 링크(510)가 안쪽으로 회전하면, 회전 링크(510)와 연결된 제2연결 링크(530)의 사이가 좁아진다. 이로 인해 제2연결 링크(530)와 연결된 제2전극 부재(300)가 회전 링크(510)와 멀어진다. 제2전극 부재(300)가 회전 링크(510)에 대해 멀어지는 동안, 제2전극 부재(300)의 슬라이딩 가이드(330)는 본체(100)의 슬라이더(130)를 따라 슬라이딩된다. 결과적으로 제2전극 부재(300)는 본체(10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된다.
서로 인접한 작업 위치에서 저항 점 용접을 연속적으로 수행하는 경우에는, 제1전극(220)과 제2전극(320)이 많이 움직일 필요가 없다. 이 경우에는 제2구간에서 제1전극(220)과 제2전극(320)을 이동시켜 연속적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구간에서는 제1전극(220)과 제2전극(320)이 함께 움직이므로 빠르게 다음 용접을 준비할 수 있다.
작업이 완전히 종료되거나, 전극 팁 마모를 재생하기 위한 전극 드레싱을 수행하거나, 작업 공간 확보를 위한 경우에는 제1전극(220)을 제1구간에서 후퇴시킨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전극(220)이 제1구간에서 제2전극(320)에 대해 후퇴하는 동안에는 제1전극(220)만 움직인다.
동작 부재(400)가 제1전극 부재(200)를 제1구간에서 후퇴시키면 제1전극 부재(200)에 설치된 반전 부재(500)의 로드(540)도 제1전극(220)과 동일한 방향으로 후퇴한다. 이 때 반전 부재(500)의 로드(540)는 한 쌍의 블록(550) 사이에서 후퇴한다. 제1전극(220)이 제1구간에서 후퇴하는 동안 로드(540)의 몸체부에 해당하는 평탄부(542)에서 로드(540)와 블록(550)이 서로 접촉한다. 평탄부(542)는 로드(540)와 마주하는 블록(550)의 면과 평행하게 형성된다. 로드(540)와 블록(550)이 평탄부(542)에서 접촉하는 동안에는 블록(550)의 간격이 유지된다. 블록(550)의 간격이 유지되면 회전 링크(510)가 회전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제2연결 링크(530)에 의해 회전 링크(510)에 연결된 제2전극 부재(300)도 정지한 상태로 유지된다.
한편, 전극 팁의 마모나 손상으로 인한 전극 드레싱 작업이나 전극 교체 작업 후에 전극의 이동 거리를 조절하는 정렬 작업이 요구된다. 이러한 정렬 작업은 로봇 암과 같은 이동 장치나 동작 부재(400)의 조절을 통해 이루어진다. 정렬 작업은 전극 자체 길이 변화로 인해 용재가 정해진 가압력 이상으로 가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작업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하나의 액츄에이터로 모든 움직임을 제어하므로 이러한 정렬 작업에 걸리는 시간이 단축된다. 또한, 복수의 액츄에이터를 제어하는 것보다 정밀한 정렬 작업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해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앞에서 설명하고 도시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앞에서 도시한 반전 부재(500)는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 링크만을 포함한 반전 부재로 본 발명에 따른 단일 액츄에이터를 구비한 저항 용접기를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회전 링크의 한쪽 말단은 동작 부재와 연결되며, 다른 쪽 말단은 제2전극 부재와 연결된다. 동작 부재가 회전 링크의 한쪽 말단을 밀거나 당기면 회전 링크가 회전하여 제2전극 부재가 제1전극 부재와 반대 방향으로 움직인다.
또한, 앞에서 반전 부재(500)의 블록(550)은 제1전극(220)의 전진에 의해 간격이 좁아지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전 부재의 블록이 제1전극의 전진에 의해 간격이 넓어지게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로드와 블록이 접촉하는 경사부의 경사를 로드의 전진에 의해 블록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구성하면 제1전극 부재와 함께 전진하는 로드에 의해 블록의 간격이 넓어지게 된다. 이렇게 거동하는 블록과 제2전극 부재를 링크로 연결하면, 블록의 간격이 넓어짐에 따라 제2전극이 제1전극과 반대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이처럼, 반전 부재는 동작 부재의 작동을 이용하여 제2전극 부재가 제1전극 부재와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게 만드는 구성으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경사부(541)의 경사를 다양하게 조절하여 제2전극(320)의 움직임을 조절할 수 있다. 경사부의 경사도가 일정한 경우에는 제2전극이 선형적으로 움직인다. 경사부의 경사도를 변경하면, 제2전극의 움직임을 비선형적으로 만들 수 있다. 예를 들어, 평탄부와 인접한 경사부의 경사도를 평탄부와 멀리 떨어진 경사부의 경사도보다 크게 하는 경우에는 제2전극이 움직이기 시작할 때 보다 빠르게 움직일 수 있다.
또한, 앞에서는 경사부(541)와 평탄부(542)가 로드(540)에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경사부와 평탄부는 로드와 블록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블록에 경사부와 평탄부가 형성될 수 있고, 블록과 로드에 모두 경사부와 평탄부가 각각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앞에서는 작동점이 제1전극(220)과 제2전극(320)이 가장 멀리 떨어진 상태에서 제1전극(220)이 제2전극(320)에 대해 15mm 전진한 지점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작업 환경에 따라 제1전극과 제2전극 사이의 다른 지점을 작동점으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앞에서는 제1전극(220)이 작동점을 지나는 순간부터 제2전극(320)이 움직이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제1전극이 움직이기 시작하는 순간부터 제2전극이 움직이도록 본 발명에 따른 단일 액츄에이터를 구비한 저항 용접기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제1전극과 제2전극이 동시에 움직이도록 구성할 수 있다.
100: 본체 130: 슬라이더
200: 제1전극 부재 210: 제1전극 홀더
220: 제1전극 300: 제2전극 부재
310: 제2전극 홀더 320: 제2전극
330: 슬라이딩 가이드 400: 동작 부재
500: 반전 부재 510: 회전 링크
520: 제1연결 링크 530: 제2연결 링크
540: 로드 541: 경사부
542: 평탄부 550: 블록
560: 탄성 부재 600: 제어 유닛

Claims (7)

  1.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제1전극 홀더와 상기 제1전극 홀더에 고정되는 제1전극을 구비하는 제1전극 부재;
    상기 본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전극 홀더와 상기 제1전극과 마주보게 배치되어 상기 제2전극 홀더에 고정되는 제2전극을 구비하는 제2전극 부재;
    상기 제1전극이 상기 제2전극에 대해 진퇴되도록 상기 제1전극 부재를 상기 본체에 대해 이동시키는 동작 부재;
    상기 동작 부재에 의해 상기 제1전극 부재가 움직일 때, 상기 제2전극이 상기 제1전극에 대해 진퇴되도록 상기 동작 부재의 작동에 연동하여 상기 본체에 대해 상기 제2전극 부재를 이동시키는 반전 부재; 및
    상기 동작 부재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반전 부재는,
    상기 동작 부재의 작동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 링크와,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블록과, 상기 한 쌍의 블록에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 상기 한 쌍의 블록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전극 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제1전극 부재와 함께 움직이는 로드, 상기 한 쌍의 블록에 대한 상기 로드의 움직임에 의해 상기 한 쌍의 블록 사이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블록과 로드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경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전극 부재는, 상기 회전 링크에 연결되어 상기 제1전극 부재와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며,
    상기 회전 링크는 한 쌍이 마련되어 상기 한 쌍의 블록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단일 액츄에이터를 구비한 저항 용접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전 부재는,
    상기 한 쌍의 회전 링크가 회전하도록 상기 한 쌍의 회전 링크와 상기 한 쌍의 블록을 각각 연결하는 한 쌍의 제1연결 링크와, 상기 회전 링크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2전극 부재가 상기 제1전극 부재와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상기 회전 링크와 상기 제2전극 부재를 연결하는 한 쌍의 제2연결 링크를 더 포함하는 단일 액츄에이터를 구비한 저항 용접기.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반전 부재는,
    상기 제1전극이 작동점을 지나 상기 제2전극에 대해 전진하면 제2전극도 제1전극에 대해 전진하고, 상기 제1전극이 작동점까지 후퇴하면 상기 제2전극도 제1전극에 대해 후퇴하도록 상기 제2전극 홀더의 위치를 변경시키는 단일 액츄에이터를 구비한 저항 용접기.
  6.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반전 부재는, 상기 로드가 상기 한 쌍의 블록 사이에서 움직이는 동안상기 한 쌍의 블록의 간격이 유지되도록 상기 로드와 상기 한 쌍의 블록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평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반전 부재는, 상기 제1전극이 작동점까지 전진하는 동안 상기 로드와 한 쌍의 블록은 평탄부에서 접촉하고 상기 제1전극이 작동점을 지나 상기 제2전극에 대해 전진하면 상기 한 쌍의 블록의 간격이 줄어들도록 상기 로드와 한 쌍의 블록은 경사부에서 접촉하고 상기 제1전극이 작동점까지 후퇴하는 동안 상기 한 쌍의 블록의 간격이 늘어나도록 상기 로드와 한 쌍의 블록은 경사부에서 접촉하고 상기 제1전극이 작동점을 지나 후퇴하면 상기 로드와 한 쌍의 블록은 평탄부에서 접촉하는 단일 액츄에이터를 구비한 저항 용접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점은, 상기 제1전극과 제2전극이 가장 멀리 떨어진 상태에서 상기 제1전극이 상기 제2전극에 대해 15mm 만큼 전진한 지점인 단일 액츄에이터를 구비한 저항 용접기.
KR1020180135903A 2018-11-07 2018-11-07 단일 액츄에이터를 구비한 저항 용접기 KR1020404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5903A KR102040417B1 (ko) 2018-11-07 2018-11-07 단일 액츄에이터를 구비한 저항 용접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5903A KR102040417B1 (ko) 2018-11-07 2018-11-07 단일 액츄에이터를 구비한 저항 용접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0417B1 true KR102040417B1 (ko) 2019-11-04

Family

ID=68578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5903A KR102040417B1 (ko) 2018-11-07 2018-11-07 단일 액츄에이터를 구비한 저항 용접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041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15772A (ja) * 1993-05-11 1994-11-15 Honda Motor Co Ltd スポット溶接の同期加圧ガン
KR19980024652A (ko) * 1996-09-13 1998-07-06 가메다니 에이지 전동가압식 저항 스포트 용접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15772A (ja) * 1993-05-11 1994-11-15 Honda Motor Co Ltd スポット溶接の同期加圧ガン
KR19980024652A (ko) * 1996-09-13 1998-07-06 가메다니 에이지 전동가압식 저항 스포트 용접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52440B2 (ja) 垂直調節を行う固定振れ止
US4410782A (en) Spot welding apparatus
KR101528584B1 (ko) 바아형 부재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바아형 부재 가공용 레이저 가공기
JP6854279B2 (ja) 加工線材を加工するための複合加工機および加工方法
EP3135415B1 (en) Wire electric discharge machine capable of machining various surfaces
KR102040417B1 (ko) 단일 액츄에이터를 구비한 저항 용접기
JP2007069333A (ja) ロボットハンド、ロボットおよび溶接方法
CN115179315A (zh) 一种无人抓料机用机械手
CN103042334A (zh) 锯片夹紧对中装置
US2293338A (en) Welding apparatus
JP4234371B2 (ja) 高周波加熱方法および高周波加熱装置
CN105945400A (zh) 精准推拉式送丝装置
JP2019508644A (ja) 変形移動機構
CN105643078A (zh) 一种焊钳
US4187406A (en) Machine for welding seams in automotive wheel rim blanks
JPH10162926A (ja) 端子挿入装置
CN210360436U (zh) 夹持机构
US2920511A (en) Apparatus for coldwelding metal parts together
KR101865501B1 (ko) 표면마찰가열 전기저항 스폿용접기
US3509308A (en) Self-tilting equalizing welding gun
JPH11235688A (ja) 移載装置
US2317962A (en) Welding machine electrode
CN108290262B (zh) 工件移送装置
US2499281A (en) Flash butt welding apparatus
CN110293299A (zh) 高强度链条焊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