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9374B1 - Construction of advanced reinforced concrete pavement - Google Patents

Construction of advanced reinforced concrete pave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9374B1
KR102039374B1 KR1020190033767A KR20190033767A KR102039374B1 KR 102039374 B1 KR102039374 B1 KR 102039374B1 KR 1020190033767 A KR1020190033767 A KR 1020190033767A KR 20190033767 A KR20190033767 A KR 20190033767A KR 102039374 B1 KR102039374 B1 KR 1020393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inuous
concrete pavement
reinforcement
partial
reinforced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376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준호
김성민
Original Assignee
다길이엔씨(주)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길이엔씨(주),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다길이엔씨(주)
Priority to KR10201900337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937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93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937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7/00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 E01C7/08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 E01C7/10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of road-metal and cement or like binders
    • E01C7/14Concrete pav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02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Methods of making joints; Packing for joints
    • E01C11/04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Methods of making joints; Packing for joints for cement concrete pav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16Reinforcements
    • E01C11/18Reinforcements for cement concrete pav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proved continuous reinforced concrete pavement structure using continuously reinforced concrete pavement (CRCP) where partial rebars are formed between continuous rebars, a crack induction means is provided at a position where the partial rebars are formed such that the partial rebars and the continuous rebars together control induced cracks, and the continuous rebars control naturally generated cracks between induced cracks, thereby increasing paving performance while minimizing the amount of rebars used, in particular, increasing constructability. The improved continuous reinforced concrete pavement structure comprises: a plurality of continuous rebars continuously plac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a concrete pavement lay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longitudinal direction) within the concrete pavement layer; a plurality of partial rebars separat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etween two adjacent continuous rebars; and the crack induction means provided at a position where the continuous rebars and the partial rebars are placed together, and having an induced crack member with a filling induction part forming one surface thereof and a crack induction part formed on the other surface thereof.

Description

부분철근 및 균열유도를 이용한 개량 연속철근 콘크리트 포장 구조{CONSTRUCTION OF ADVANCED REINFORCED CONCRETE PAVEMENT}Improved continuous reinforced concrete pavement structure using partial reinforcement and crack induction {CONSTRUCTION OF ADVANCED REINFORCED CONCRETE PAVEMENT}

본 발명은 연속철근 콘크리트 포장 공법(Continuously Reinforced Concrete Pavement, CRCP)에서, 연속철근과 연속철근 사이에 부분철근이 구성되도록 하면서 부분철근이 구성된 위치에 균열유도수단이 구비되도록 구성하여 유도된 균열을 부분철근과 연속철근이 함께 제어하도록 하고 유도균열과 유도균열사이의 자연발생 균열은 연속철근이 제어하도록 하여 철근사용량을 최소화 하면서도 포장 성능을 향상시키며, 특히 시공성이 우수한 개량 연속철근 콘크리트 포장 구조에 관한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continuously reinforced concrete pavement (CRCP), while the partial reinforcement between the continuous reinforcement and continuous reinforcement while the partial reinforcement is configured to be provided with a crack inducing means at the position where the partial reinforcement is part of the crack induced Reinforcing bars and continuous reinforcing bars together, and spontaneous cracking between induction cracking and induction cracking are controlled by continuous reinforcing bars to minimize pavement use and improve pavement performance. .

콘크리트 포장은 콘크리트 슬래브가 교통하중으로 인한 전단이나 휨에 저항하여 하중에 의한 응력을 하부층의 지지력 이하로 약화시킴으로써 구조적 안정성을 유지하는 포장형식이다. 종래 콘크리트 포장구조의 종류는 철근 보강 및 줄눈 여부에 따라 무근 줄눈 콘크리트 포장(JPCP), 줄눈 철근 콘크리트 포장(JRCP), 연속철근 콘크리트포장(CRCP) 등이 있다.Concrete pavement is a pavement type that maintains structural stability by reducing the stress caused by the load below the bearing capacity of the lower layer by resisting the shear or bending caused by the traffic slab. Types of conventional concrete pavement structure include unreinforced joint concrete pavement (JPCP), joint reinforced concrete pavement (JRCP), continuous reinforced concrete pavement (CRCP), etc. according to reinforcing bars and joints.

이중 연속철근 콘크리트 포장(CRCP)은 종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철근을 배근한 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며 줄눈을 두지 않고 횡방향균열의 발생을 허용하는 포장 형식이다. 연속철근 콘크리트 포장은 커팅에 의한 인위적인 줄눈이 없으므로 승차감이 좋고, 포장수명이 다른 포장구조보다 길다는 장점이 있다.Double Continuous Reinforced Concrete Pavement (CRCP) is a type of pavement that allows the generation of transverse cracks without placing joints after placing rebar continuous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Continuous reinforced concrete pavement has the advantage of good ride comfort and longer pavement life than other pavement structures because there is no artificial joint by cutting.

이러한 연속철근 콘크리트 포장에 관한 종래의 기술로, 등록특허 제10-1575889호(2015년12월02일)(이하 종래기술)가 있는데, 종래기술은 콘크리트포장이 시공되는 기층에 연속철근을 배근하고, 배처플랜트에서 압축강도 21~30MPa의 보통콘크리트를 생산하여 현장 이송 후, 체적 대비 20~40%의 기포를 혼입하여 유동성을 증가시킨 상태에서 플라이애시나 슬래그미분말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를 혼합한 저급 혼합재료를 혼합부로 혼합하여 형성한 보통강도 콘크리트 또는 상기 보통콘크리트에 기포를 혼입하여 유동성을 증가시킨 상태에서 실리카퓸, 메타카올린, 라텍스, 폴리머, 착색재료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혼합한 고급 혼합재료를 혼합부로 혼합하여 형성한 고성능 콘크리트를 숏팅하여 연속철근 콘크리트포장을 시공함으로 고강도와 고내구성을 확보하여 유지관리를 용이하게 함은 물론 숏팅되는 보통강도 콘크리트와 고성능 콘크리트의 다짐이 필요 없음으로 슬립폼 페이버의 경량화로 시공의 수월성을 제공할 수 있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Conventional technology related to such continuous reinforced concrete pavement, there is a registered Patent No. 10-1575889 (December 02, 2015)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prior art), the prior art is to place the continuous reinforcement to the base layer on which concrete paving , Low density mixture of either fly ash or slag powder in the state of producing fluid with compressive strength of 21 ~ 30MPa in the batcher plant and increasing the fluidity by incorporating 20 ~ 40% of the air bubbles by volume. High-grade mixed concrete formed by mixing materials with a mixing part or mixed with any one or more of silica fume, metakaolin, latex, polymer, coloring materials in the state of increasing the fluidity by mixing bubbles in the ordinary concrete High-strength concrete formed by mixing the mixture into the mixing section to build a continuous reinforced concrete pavement to enhance high strength and high durability. The maintenance and the facilitation, as well as not usually syotting strength of the pledge concrete and high performance concrete needs to be given the skills to provide excellence in construction to the weight of the slip form Faber.

그러나 종래기술 및 종래의 기술들에서, 종방향철근은 균열부에서 균열의 벌어짐을 제어하기 위해 존재하며 균열과 균열사이에서는 존재의 이유가 없으나, 균열의 발생위치를 모르기 때문에 종방향철근을 연속적으로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연속철근은 자연 발생균열에 대한 보강의 기능만을 수행함으로써 균열부 이외에서는 과배근의 문제가 있는 것이다.However, in the prior art and the prior arts, longitudinal bars exist to control crack spreading at the cracks and there is no reason for cracks between cracks, but the longitudinal bars are continuously connected because they do not know the location of cracks. I install it. Therefore, continuous reinforcing bar performs only the function of reinforcement for naturally occurring cracks, so there is a problem of over-reinforcement except for cracks.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연속철근과 부분철근이 함께 배근된 유도균열구간 측으로 균열을 유도하고 유도된 균열을 부분철근과 연속철근이 함께 제어하도록 하고 유도균열과 유도균열사이의 자연발생 균열은 연속철근이 제어하도록 하여 철근사용량을 최소화 하면서도 포장 성능을 향상시키며, 특히 우수한 시공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continuous reinforcement and the partial reinforcement to induce cracks to the side of the induced cracking section and the induced reinforcement cracks to control the partial reinforcement and continuous reinforcing bars together and the nature between the induced cracks and the induced crack The generated cracks are controlled by continuous reinforcing bars to minimize pavement usage and to improve pavement performance.

상기 과제의 해결을 목적으로 하는 본 발명은 다음의 구성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purpose of solving the above problems includes the following configuration.

본 발명은, 콘크리트 포장층 내부에서 상기 콘크리트 포장층의 길이 방향(이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근되는 복수의 연속철근, 그리고 인접하는 두 연속철근 사이에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분리 배치되는 복수의 부분철근, 그리고 상기 연속철근과 상기 부분철근이 함께 배치된 위치에 구비되고, 일면을 구성하는 충진유도부 및 타면에 형성된 균열유도부를 갖는 유도균열부재를 포함하는 균열유도수단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continuous reinforcement continuously arrang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hereinafter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crete pavement layer in the concrete pavement layer, and disposed separately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ength direction between two adjacent continuous rebars It comprises a plurality of partial reinforcement, and the continuous reinforcing bar and the partial reinforcement is provided at a position arranged, including a crack inducing means including a guide portion constituting one side and a crack induction portion formed on the other side.

상기 구성 및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연속철근과 부분철근을 배근하여 유도균열구간을 형성하고, 균열유도수단의 유도균열부를 통해 유도균열구간 측으로 균열을 유도하여, 유도균열구간 측으로 균열을 유도하고 유도된 균열을 부분철근과 연속철근이 함께 제어하도록 하고, 유도균열과 유도균열사이의 자연발생 균열은 연속철근이 제어하도록 하여 철근사용량을 최소화 하면서도 포장 성능을 향상시키며, 아울러 균열유도수단의 충진유도부를 통해 시공성 향상을 위한 충진성을 확보하고, 나아가 고유의 유도균열부재를 통해 유도균열부재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공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and features to form an induced crack section by reinforcing the continuous reinforcement and the partial reinforcement, and induces the crack to the induced crack section side through the induced crack section of the crack inducing means, induces cracks to the induced crack section side Partial and continuous reinforced cracks are controlled together, and spontaneous cracking between induced cracks and induced cracks is controlled by continuous reinforcement to minimize pavement usage and improve pavement performance, while also inducing crack induction means. Through securing the filling property for improving the workability, and further facilitates the installation of the induction cracking member through a unique induction cracking member has an effect of improving the workability.

도 1a 및 도 1b는 연속철근만을 구비한 종래의 연속철근 콘크리트 포장 구조와 부분철근을 구비한 개량 연속철근 콘크리트 포장 구조의 개념을 비교 도시한 도면.
도 2는 연속철근 콘트리트 포장 구조에 따른 응력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개량 연속철근 콘크리트 포장 구조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부분철근에 관한 일 실시예.
도 5 내지 6은 본 발명에 따른 부분철근에 관한 또 다른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유도균열부재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부분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부분 구성도.
Figure 1a and 1b is a view showing a comparison of the concept of the conventional continuous reinforced concrete pavement structure having only a continuous reinforcement and a continuous continuous reinforced concrete pavement structure having a partial reinforcement.
Figure 2 is a graph showing the change in stress according to the continuous reinforced concrete pavement structure.
3 is a block diagram of an improved continuous reinforced concrete pavement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mbodiment of a partial reinforcing b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to 6 is another embodiment of a partial reinforcing b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artial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induction crack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artial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spac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 various ways and have various forms, embodiments (o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specific form disclosed,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suns, aspects, and embodiments) (o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consists”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ac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o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ex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the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the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construed as having meanings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all not be construed i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ressly defined in this application. Do not.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first to second and the second to refer to different components are not limited to the order of manufacture, and their names are us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not match.

본 발명은 연속철근 콘크리트 포장 공법(Continuously Reinforced Concrete Pavement, CRCP)에서, 연속철근과 연속철근 사이에 부분철근이 구성되도록 하면서 부분철근이 구성된 위치에 균열유도수단이 구비되도록 구성하여 유도된 균열을 부분철근과 연속철근이 함께 제어하도록 하고 유도균열과 유도균열사이의 자연발생 균열은 연속철근이 제어하도록 하여 철근사용량을 최소화 하면서도 포장 성능을 향상시키며, 특히 시공성이 우수한 개량 연속철근 콘크리트 포장 구조에 관한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continuously reinforced concrete pavement (CRCP), while the partial reinforcement between the continuous reinforcement and continuous reinforcement while the partial reinforcement is configured to be provided with a crack inducing means at the position where the partial reinforcement is part of the crack induced Reinforcing bars and continuous reinforcing bars together, and spontaneous cracking between induction cracking and induction cracking are controlled by continuous reinforcing bars to minimize pavement use and improve pavement performance. .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부분철근(2) 및 균열유도를 이용한 개량 연속철근(1) 콘크리트 포장 구조(이하 본 구조)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concrete reinforcement (1) concrete pavement structur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tructural structure) using the partial reinforcement (2) and crack indu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해의 편의를 위한 대략적인 방향 특정을 정의하면, 차량 주행 방향과 일치하는 콘크리트 포장층의 길이 방향, 즉 도 1에 도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좌우 방향을 '길이 방향'이라 하고, '길이 방향'과 수직한 콘크리트 포장층의 폭 방향, 즉 도 1에 도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상하 방향을 '폭 방향'이라 한다. 이러한 방향 특정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청구범위'에도 적용되는 것으로 한다.Prior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ing the general direction for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crete pavement layer coinciding with the vehicle driving direction, that is, the length direction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based on the state shown in FIG.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ncrete pavement layer perpendicular to the 'length direction', that is, the vertical direction based on the state shown in FIG. 1 is referred to as the 'width direction'. This direction specification shall also apply to the claims unless otherwise stated.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구조는 콘크리트 포장층 내부에서 콘크리트 포장층의 길이 방향(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근되는 복수의 연속철근(1), 그리고 인접하는 두 연속철근(1) 사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분리 배치되는 복수의 부분철근(2), 그리고 연속철근(1)과 부분철근(2)이 함께 배치된 위치에 구비되고, 일면을 구성하는 충진유도부(331) 및 타면에 형성된 균열유도부(332)를 갖는 유도균열부재(33)를 포함하는 균열유도수단(3)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3, the present structure includes a plurality of continuous reinforcing bars 1 continuously arrang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length direction) of the concrete pavement layer, and between two adjacent continuous reinforcing bars 1 within the concrete pavement layer. A plurality of partial reinforcing bars (2), which are arranged separately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continuous reinforcing bars (1) and the partial reinforcing bars (2) are provided at a position arranged together, and the filling guide portion 331 constituting one surface and And a crack guide means (3) comprising an induction crack member (33) having a crack guide portion (332) formed on the other surface.

이러한 본 구조는 연속적으로 배근되는 연속철근(1) 중 일부를 부분철근(2)으로 대체하는 것으로,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속철근(100)과 부분철근(200)이 콘크리트 포장층 내에서 교번으로 배근되고, 부분철근(200)이 배치되는 부분에서는 균열유도수단(3)에 의하여 균열을 유도하기 위한 유도균열구간(Sc)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본 구조의 연속철근(1) 및 부분철근(2)과 종래의 연속철근(100) 및 부분철근(200) 간의 차이를 구별하기 위해 도면참조부호를 100과 1, 200과 2로 달리 지정함)This structure is to replace a part of the continuous reinforcement (1) that is continuously reinforcement with a partial reinforcement (2), as shown in Figure 1b, continuous reinforcement 100 and the partial reinforcement 200 is in the concrete pavement layer In the reinforcement alternately in the portion, the partial reinforcement 200 is disposed in the portion where the induced cracking guide (Sc) for inducing cracks by the crack inducing means (3) is to be formed (continuous reinforcement (1) of this structure And to designate reference numerals 100 and 1, 200 and 2 to distinguish the difference between the partial reinforcing bar 2 and the conventional continuous reinforcing bar 100 and the partial reinforcing bar 200)

특히 본 구조는 균열유도수단(3)을 구성하는 유도균열부재(33)가 충진유도부(331)를 통해 콘크리트 충진성을 향상시키고, 균열유도부(332)를 통해 균열이 유도된 부분에서 집중적으로 유도되도록 한다.In particular, in this structure, the induction cracking member 33 constituting the crack inducing means 3 improves the concrete filling property through the filling induction part 331, and intensively induces in the part where the crack is induced through the crack inducing part 332. Be sure to

이에 본 발명은 연속철근(1)의 배근 수를 줄여 경제적이면서 연속철근(1)의 촘촘한 배근에서 오는 콘크리트 충진의 문제를 해결하고, 균열을 유도시켜 초기 균열간격을 고르게 분포시키며 균열이 유도된 부분에만 부분철근(2)을 배근하여 균열에 대한 저항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e problem of concrete filling coming from the economical and dense reinforcement of the continuous reinforcement (1) by reducing the number of the reinforcement of the continuous reinforcing bar (1), induces the crack evenly distribute the initial crack spacing and the crack induced part Only by reinforcing the partial reinforcement (2) will be able to improve the resistance to cracking.

이를 다시 설명하면, 도 1a에 도시되고 있는 CRCP구조의 경우 자연발생균열에 대응하기 위해 콘크리트 포장층의 내부에 연속철근(100)을 촘촘히 배근토록 하고 있으나, CRCP구조에서 균열간격이 넓은 시공 초기에 환경하중인 온도감소나 수분감소에 의해 도 2[A]와 같이 중앙부에는 콘크리트의 인장응력이 높아지며 균열부에서는철근의 인장응력이 높게 발생되며 콘크리트 인장강도보다 인장응력이 더 큰 경우 추가적인 균열이 발생되는 바, CRCP구조에서는 도 2[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연속철근(100)이 균열의 벌어짐을 구속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균열부를 제외한 타 부분에서 연속철근(100)에 작용하는 응력이 작은 것을 알 수 있다.In other words, in the case of the CRCP structure illustrated in FIG. 1A, the continuous reinforcing bars 100 are closely disposed in the interior of the concrete pavement layer to cope with the spontaneous cracking. As shown in Fig. 2A, the tensile stress of the concrete increases in the central portion due to the decrease in environmental load and moisture, and the tensile stress of the reinforcing steel is high in the cracked portion, and additional cracking occurs when the tensile stress is greater than the tensile strength of the concrete. In the CRCP structure, as shown in FIG. 2B, since the continuous reinforcement 100 is installed for restraint of cracks, the stress acting on the continuous reinforcement 100 in other parts except the crack is small. It can be seen that.

이에 본 발명에서는 종래 CRCP구조가 균열 간에 있어서 연속철근(100)의 기여하는 바가 크지 않음에 착안하여 도 2[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유도균열구간(Sc)에 균열을 유도시키고 이렇게 균열이 유도될 유도균열구간(Sc)에만 부분철근(2)이 배근되도록 하는 것이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ventional CRCP structure induces a crack in the induced crack section Sc as shown in FIG. The partial reinforcement (2) is to be placed only in the induced cracking section (Sc).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보다 상세한 특징들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상기한 부분철근(2)에 관한 일 실시예로, 도 4를 참고하면, 부분철근(2)은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 제1길이부(21), 제1길이부(21)와 평행하게 구비된 제2길이부(22) 및 길이 방향에 수직한 폭 방향으로 배치되어 제1 및 제2길이부(21)(22)를 잇는 폭부(23)를 포함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First, as an example of the partial rebar 2 described above, referring to FIG. 4, the partial rebar 2 is parallel to the first length 21 and the first length 21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second length part 22 and the width part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may be disposed to connect the first and second length parts 21 and 22 to the width part 23.

구체적으로, 제1길이부(21)와 제2길이부(22)는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어 균열에 대한 저항성을 향상시키는 구성으로, 상호 평행 배치되는 두 길이부에 의하여 유도균열구간(Sc)에서의 균열에 대한 저항성이 향상되며, 특히 유도균열구간(Sc)에 인접한 두 연속철근(1) 사이에 부분철근(2)을 한 개만 배치하는 것에 비하여 보다 향상된 저항성을 확보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rst length portion 21 and the second length portion 22 is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improve the resistance to cracks, in the induced crack section Sc by the two length portions arrang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The resistance to cracking is improved, and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secure more improved resistance than arranging only one partial reinforcing bar (2) between two continuous bars (1) adjacent to the induction cracking section (Sc).

폭부(23)는 폭 방향으로 배치되어 제1 및 제2길이부(21)(22)를 잇는 구성으로, 이에 제1길이부(21), 제2길이부(22) 및 폭부(23)는 모두 연결되어 일체로 구성되고, 이는 결과적으로 부분철근(2)의 제조 용이성을 향상시킨다.The width portion 23 is arranged in the width direction and connects the first and second length portions 21 and 22, so that the first length portion 21, the second length portion 22 and the width portion 23 are All are connected and integrally formed, which in turn improves the ease of manufacture of the partial rebar 2.

특히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또는 제2길이부(22)의 일 단부는 하방으로 절곡되고, 제1 및 제2길이부(21)(22)의 타 단부는 하방으로 절곡되어 폭부(23)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particular, as shown in FIG. 4, one end of the first or second length part 22 is bent downward, and the oth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length parts 21 and 22 are bent downward to have a width por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nected to (23).

상기에 따라, 제1길이부(21)는 'ㄷ'자 형상 또는 'ㄱ'자 형상으로 구성되고, 제2길이부(22)는 'ㄱ' 또는 'ㄷ'자 형상으로 구성된다. 물론 제1 및 제2길이부(21)(22) 모두 'ㄷ'자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나, 바닥면에의 거치가 용이하도록 제1 및 제2길이부(21)(22) 중 어느 하나는 반드시 'ㄷ'자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ㄱ'자 형상으로 구성하는 경우 소용되는 철근의 길이와 절곡 부위를 줄일 수 있어 재료비 및 공임비의 절감을 통한 원가 절감의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the first length portion 21 is configured in a 'c' shape or 'a' shape, the second length portion 22 is configured in a 'b' or 'c' shape. Of course, both the first and second length portions 21 and 22 may be configured in a 'c' shape, but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length portions 21 and 22 may be easily mounted on the bottom surface. One is preferably composed of 'c' shape. If the 'b' shape can be reduced the length of the reinforcing bar and the bent portion can be reduced cost by reducing the material cost and labor costs.

또한 상기에 따라, 제1길이부(21)와 제2길이부(22)는 하방으로 절곡된 타 단부에서 각각 폭부(23)와 연결되고, 이는 상기한 부분철근(2)의 형상을 하나의 철근을 특정 구간에서 절곡함으로써 구현할 수 있어, 제조가 용이하다는 장점을 갖게 된다.Further, according to the above, the first length portion 21 and the second length portion 22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width portion 23 at the other end bent downward, which is the shape of the partial reinforcing bar 2 described above. It can be implemented by bending the reinforcing bar in a specific section, it has the advantage of easy manufacturing.

다음으로, 상기한 부분철근(2)에 관한 또 다른 실시예(제2실시예, 상기한 실시예를 제1실시예로 함)를 소개하면, 도 5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에 따른 부분철근(2')은 수평 배치되는 바디(251)와 바디(251)의 양 단부에서 하부로 연장된 한 쌍의 다리(252)를 포함하는'ㄷ'자 형상의 프레임(25)을 포함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가시성 향상을 위해 도 5 및 도 6에서는 본 발명의 기타 구성들을 제외하고 부분철근(2')과 횡방향철근(4)의 구성만을 도시하였다.)Next, another embodiment (second embodiment, with the above embodiment as the first embodiment) relating to the above-mentioned partial reinforcing bar 2 will be introduced. As shown in FIG. The partial reinforcing bar 2 ′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ncludes a body having a horizontal shape and a pair of legs 252 extending downward from both ends of the body 251. 25). For the sake of improved visibility, FIGS. 5 and 6 show only the configuration of the partial reinforcing bars 2 'and the transverse reinforcing bars 4, except for the other configu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

또한 제2실시예에 따르면, 부분철근(2')의 하부에는 소정 간격을 갖고 길이 방향에 수직한 폭 방향으로 배치되어 부분철근의 하단을 지지하는 횡방향철근(4)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횡방향철근(4)은 프레임(25)의 바디(251)의 하부 중앙에 배치될 수 있으며, 또는 복수로 구비되되, 바디(251)의 하부 중앙, 그리고 양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the lower portion of the partial reinforcing bars 2 'may be provided with transverse reinforcing bars 4 which are disposed in the width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support the lower ends of the partial reinforcing bars at predetermined intervals. The transverse reinforcing bar 4 may be disposed at the lower center of the body 251 of the frame 25, or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and may be disposed at the lower center of the body 251 and at both ends.

상기 실시에서, 프레임(25)의 다리(252)는 설치면에 접촉하여 프레임(25)의 직립을 제공하고, 횡방향철근(4)은 프레임(25)의 바디(251)의 하부를 지지하여 프레임(25)의 직립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In this embodiment, the legs 252 of the frame 25 contact the installation surface to provide an upright of the frame 25, and the transverse reinforcing bars 4 support the lower part of the body 251 of the frame 25. The upright state of the frame 25 can be maintained.

상기 실시예에서 변형된 실시로, 도 5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방향철근(4)은 프레임(25)의 바디(251)의 하부 중앙에만, 또는 중앙 및 양 단부에 구비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횡방향철근(4)을 다수 구비하되, 바디(251)의 하부 중앙에 하나, 그리고 이를 중심으로 대칭되게 다수 구비하는 경우, 부분철근(2')의 설치 안정성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In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above embodiment, as shown in FIG. 5B, the transverse reinforcing bars 4 may be provided only at the lower center of the body 251 of the frame 25, or at the center and both ends thereof. It i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In particular, when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ransverse reinforcing bar 4, one in the lower center of the body 251, and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ymmetrically around the center, the installation stability of the partial reinforcement (2 ') can be improved more.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 변형된 실시로, 도 5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25)은 다리(252)에서 수평 방향으로 절곡 구비되어 설치면에 접하는 지지대(253)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지지대(253)는 설치면과의 접촉 면적을 키워 프레임(25)의 직립 상태가 보다 용이하게 보장될 수 있도록 하며, 결과적으로 부분철근(2')의 설치 안정성을 향상시킨다.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modified in the above embodiment, as shown in Figure 5 [C], the frame 25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support 253 is ben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leg 252 and in contact with the installation surface Can be. The support 253 increases the contact area with the installation surface so that the upright state of the frame 25 can be more easily ensured, and consequently, the installation stability of the partial reinforcing bar 2 'is improved.

아울러 상기 실시예에서 변형된 또 다른 실시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리(252)의 절곡 각도를 수직이 아닌 소정 각도(둔각)로 절곡시킨 상태에서, 프레임(25)의 바디(251)의 하부 및 양 단부에 횡방향철근(4)을 배치하고, 다리(252)의 하단부 각각에 연결 바(26)를 결합하는 방식의 실시도 가능하다. 이 때, 연결 바(26)는 다리(252)의 하단부에 결합되고 바디(251)와 직교 배치되며, 프레임(25)과 연결 바(26) 간의 결합은 용접 결합인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another embodiment modified in the above embodiment, as shown in FIG. 6, the body 251 of the frame 25 in a state in which the bending angle of the leg 252 is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obtuse angle), not vertical. It is also possible to arrange the transverse reinforcement (4) at the lower and both ends of the), and to couple the connecting bar 26 to each of the lower end of the leg (252). At this time, the connection bar 26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leg 252 and is orthogonal to the body 251, the coupling between the frame 25 and the connection bar 26 is preferably a welding coupling.

상기한 연결 바(26)의 구비를 통해, 프레임(25)의 직립 안정성이 보다 향상될 수 있고, 각 프레임(25)들이 연결 바(26)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기 때문에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Through the provision of the connecting bar 26, the upright stability of the frame 25 can be further improved, and the structural stability can be improved because each frame 25 is integrally connected by the connecting bar 26. have.

다음으로, 유도균열부재(33)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부분 구성도인 도 7을 참고하면, 본 구조는 충진유도부(331)가 유도균열부재(33)의 상단에서부터 하단에 걸쳐 소정의 곡률로 굴곡진 라운드에 의해 구성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Next, referring to FIG. 7, which is a partial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induction cracking member 33, the structure of the induction cracking member 33 has a predetermined curvature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induction cracking member 33. It can be configured by a curved round.

이에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도균열부재(33)는 라운드 형상의 충진유도부(331)와 후술하는 수직면의 균열유도부(332)에 의하여 그 단면이 반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이 때 라운드 형상의 충진유도부(331)는 콘크리트 타설 시 라운드를 따라 충진되도록 함으로써, 충진성 확보를 제공한다.As shown in FIG. 7, the induction cracking member 33 has a semi-circular cross section formed by a round-shaped filling induction part 331 and a crack inducing part 332 of a vertical surface,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duction part 331 is to be filled along the round when placing concrete, thereby providing a secure filling.

또한 본 구조는 균열유도부(332)가 유도균열부재(33)의 상단에서부터 하단에 걸쳐 평평하게 형성된 수직면에 의해 구성되고, 이 균열유도부(332)에는 콘크리트 포장층과의 부착력을 저감시키는 부착방지층이 구비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tructure is composed of a vertical surface formed in the crack inducing portion 332 is flat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induction cracking member 33, the crack inducing portion 332 has an adhesion preventing layer for reducing the adhesion to the concrete pavement layer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provided.

이에 상기한 바와 같이, 유도균열부재(33)는 그 단면이 반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이 때 수직면 형상의 균열유도부(332)에서는 부착방지층에 의해서 콘크리트 포장층과의 부착력이 저하되어, 균열유도부(332) 측에서 보다 쉽게 균열이 발생하게 되고, 이를 통해 유도균열구간(Sc) 측으로 균열이 유도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induction cracking member 33 has a semicircular cross section, and in this case, the crack induction part 332 of the vertical plane has a lower adhesion force with the concrete pavement layer due to the adhesion preventing layer, thereby causing the crack induction part ( 332) the crack is more easily generated, through which the crack is induced to the induced crack section (Sc) side.

이러한 부착방지층은 소수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균열유도부(332)에 소수성 계면활성제를 도포함으로써 그 표면을 친유기 처리토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균열유도부(332)에서는 친유기 처리에 의하여 콘크리트 포장층을 구성하는 시멘트 페이스트와의 수소 결합이 원천적으로 차단되어 부착력 발생이 제어된다. 상기 실시에서 사용되는 소수성 계면활성제로는 폴리옥시에틸렌 스테아릴 에테르 유도체(POLYOXYETHYLENE STEARYL ETHER DERIVATIVES), 솔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유도체(SORBITAN FATTY ACID ESTER DERIVATIVES) 및 폴리옥시에틸렌 올레일 아민 유도체(POLYOXYETHYLENE OLEYLAMINE DERIVATIVES) 중 선택된 1 또는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such an adhesion prevention layer contains a hydrophobic surfactant, and it is preferable to apply a hydrophobic surfactant to the crack guide part 332 so that the surface may be lipophilic. Accordingly, in the crack induction part 332, hydrogen bonding to the cement paste constituting the concrete pavement layer is blocked by the lipophilic treatment to control adhesion generation. Hydrophobic surfactants used in the above practice include polyoxyethylene stearyl ether derivatives (POLYOXYETHYLENE STEARYL ETHER DERIVATIVES), sorbitan fatty acid ester derivatives (SORBITAN FATTY ACID ESTER DERIVATIVES) and polyoxyethylene oleyl amine derivatives (POLYOXYETHYLENE OLEYLAMINE DERIVATIVES). Preference is given to 1 or mixture selected.

추가로, 상기 부착방지층을 제외한 유도균열부재(33)의 나머지 부분들은 콘크리트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균열유도부(332)를 제외한 유도균열부재(33)와 콘크리트 포장층 간의 부착강도는 오히려 향상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induction cracking member 33 except for the adhesion preventing layer is preferably made of a concrete material, and thus the adhesion strength between the induction cracking member 33 and the concrete pavement layer except for the crack inducing part 332 is rather increased. To improve.

다음으로, 균열유도수단(3)의 시공 편의성을 위한 실시로, 본 구조는 균열유도수단(3)이 유도균열부재(33)에 결합된 수직부 및 수직부에 길이 방향으로 연결된 수평부를 포함하는 제1거치대(31)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후술할 제2거치대(32)와의 명칭 구분을 위해 제1거치대(31)의 수직부를 제1수직부(311)로, 제1거치대(31)의 수평부를 제1수평부(312)로 명명하기로 한다.Next, in the implementation for the convenience of construction of the crack inducing means 3, the present structure includes a vertical portion coupled to the induction cracking member 33 and a horizontal portion longitudinally connected to the vertical cracking means (3) Characterized in that it may further comprise a first cradle (31). In order to distinguish the name from the second cradle 32 to be described later, the vertical portion of the first cradle 31 is named as the first vertical portion 311, and the horizontal portion of the first cradle 31 is referred to as the first horizontal portion 312. Let's do it.

구체적으로, 도 7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거치대(31)는 제1수직부(311)와 제1수평부(312)로 구성되는데, 제1수직부(311)는 유도균열부재(33)의 균열유도부(332)에 결합되고, 제1수평부(312)는 제1수직부(311)의 하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절곡 구비된다. 이 때 제1수직부(311)는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게끔 절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 7A, the first cradle 31 includes a first vertical portion 311 and a first horizontal portion 312, and the first vertical portion 311 includes an induced crack. Coupled to the crack inducing portion 332 of the member 33, the first horizontal portion 312 is ben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vertical portion 311. At this time, the first vertical portion 311 is preferably bent to be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이러한 제1거치대(31)는 유도균열부재(33)와 결합되는 제1수직부(311)와 이를 바닥면에 거치시키기 위한 제1수평부(312)로 구성되어 'ㄴ'자 형상을 갖고, 유도균열부재(33)에 결합되는 부위와 거치를 위한 부위만을 갖는 가장 단순한 구조로 유도균열부재(33)의 거치를 제공할 수 있다.The first cradle 31 has a first vertical portion 311 coupled with the induction cracking member 33 and a first horizontal portion 312 for mounting it on the bottom, and has a 'b' shape. Mounting of the induction cracking member 33 may be provided in the simplest structure having only the portion coupled to the induction cracking member 33 and the portion for mounting.

균열유도수단(3)의 시공 편의성을 위한 또 다른 실시로, 본 구조는 유도균열부재(33)에 결합된 수직부, 수직부에 길이 방향으로 연결된 수평부, 수직부의 상단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유도균열부재(33)의 상단을 지지하는 상부지지부(323) 및 수직부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유도균열부재(33)의 하단을 지지하는 하부지지부(324)를 포함하는 제2거치대(32)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한 제1거치대(31)와의 명칭 구분을 위해 제2거치대(32)의 수직부를 제2수직부(321)로, 제2거치대(32)의 수평부를 제2수평부(322)로 명명하기로 한다.In another embodiment for the convenience of construction of the crack inducing means (3), the structure is a vertical portion coupled to the induction cracking member 33, a horizontal portion connec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vertical portion,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top of the vertical portion The second support base 32 includes an upper support part 323 supporting the upper end of the guide crack member 33 and a lower support part 324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vertical part to support the lower end of the guide crack member 33. Characterized in that it may further include. Hereinafter, to distinguish the name from the first cradle 31, the vertical portion of the second cradle 32 is named as the second vertical portion 321, and the horizontal portion of the second cradle 32 is referred to as the second horizontal portion 322. Let's do it.

구체적으로, 도 7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거치대(32)는 제2수평부(322)와 제2수직부(321)를 포함하는데, 이는 상기한 제1거치대(31)의 구성과 크게 다르지 않기 때문에,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 7B, the second cradle 32 includes a second horizontal portion 322 and a second vertical portion 321, which are formed of the first cradle 31 described above. Since it is not so different from the configuration, duplicat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그리고 상부지지부(323)는 유도균열부재(33)의 상단을 지지하여 유도균열부재(33)의 상부 이탈을 방지하는 구성으로, 도 7 [B]와 같이 제2수직부(321)의 상단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바람직하게는 제2수직부(321)를 길이 방향으로 절곡함으로써 구비될 수 있다.And the upper support portion 323 is configured to support the top of the guide crack member 33 to prevent the top separation of the guide crack member 33, as shown in Figure 7 [B] at the top of the second vertical portion 321 It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preferably may be provided by bending the second vertical portion 32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또한 하부지지부(324)는 유도균열부재(33)의 하단을 지지하여 유도균열부재(33)의 하부 이탈을 방지하는 구성으로, 도 7 [B]와 같이 제2수직부(321)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바람직하게는 별도의 철근을 제2수직부(321)상의 해당 지점에 용접 접합함으로써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wer support part 324 is configured to support the lower end of the induction cracking member 33 to prevent the lower separation of the induction cracking member 33, as shown in Figure 7 [B]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second vertical portion 321 It is extended to, and preferably may be provided by welding a separate reinforcing bar to the corresponding point on the second vertical portion 321.

상기한 제2거치대(32)는 제1거치대(31)와 대비하여, 유도균열부재(33)의 이탈을 효과적으로 방지함으로써 구조적 안정성을 제공하는데, 경제성 및 안정성을 고려하여 제1거치대(31)와 제2거치대(32)는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제1거치대(31)와 제2거치대(32)를 혼합 구비하는 것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제1거치대(31)와 제2거치대(32)가 교번으로 구비되는 것이다.Compared to the first cradle 31, the second cradle 32 provides structural stability by effectively preventing the separation of the guide crack member 33, and in consideration of economic efficiency and stability, The second cradle 32 may be optionally provided, but preferably, the first cradle 31 and the second cradle 32 are mixed, and most preferably, the first cradle 31 and the second cradle 31 may be provided. (32) is provided alternately.

한편, 본 구조는 연속철근(1), 부분철근(2) 및 유도균열부재(33) 등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횡방향철근(4)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횡방향철근(4)은 연속철근(1)의 하부에 소정 간격을 갖도록 길이 방향에 수직한 폭 방향으로 배치되어, 연속철근(1)의 하단을 지지한다.(도 3 참조)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structure may further include a transverse reinforcing bar (4) for supporting the continuous reinforcing bar (1), partial reinforcing bar (2) and the guide crack member 33, such as, the transverse reinforcing bar (4) It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width direction perpendicular | vertic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lower part of continuous bar 1 may have predetermined space | interval, and supports the lower end of continuous bar 1 (refer FIG. 3).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방향철근(4)은 연속철근(1)의 배근 방향과 직교하도록 배치되며, 그 방향은 폭 방향이 된다. 이러한 횡방향철근(4)은 연속철근(1), 부분철근(2) 및 유도균열부재(33), 특히 그 중에서도 연속철근(1)을 하부에서 지지하여 하방으로의 처짐을 방지한다.As shown in Fig. 8, the transverse reinforcing bars 4 are arranged to be orthogonal to the reinforcement direction of the continuous reinforcing bar 1, and the direction becomes the width direction. The transverse reinforcing bar 4 supports the continuous reinforcing bar 1, the partial reinforcing bar 2, and the induction cracking member 33, in particular, the continuous reinforcing bar 1 from the bottom to prevent sagging downward.

이러한 횡방향철근(4) 역시 그 자체 하중, 그리고 연속철근(1) 등의 하중에 의해 처짐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로, 본 구조는 연속철근(1)과 횡방향철근(4)의 교차 지점에서 횡방향철근(4) 하부에 구비되어 횡방향철근(4)의 하부를 지지하는 스페이서(5)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The transverse reinforcing bar 4 may also be sag due to its own load and the load of the continuous reinforcing bar 1, etc., in order to solve this, the present structure is a continuous reinforcing bar 1 and the transverse reba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further include a spacer (5) provided at the lower side of the transverse reinforcing bar (4) to support the lower portion of the transverse reinforcing bar (4).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페이서(5)는 횡방향철근(4)의 하부에 접하는 수평지지부(51), 수평지지부(51)의 양단에서 하부로 연결된 수직지지부(52) 및 수직지지부(52)에서 수평으로 연결된 바닥지지부(53)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8, the spacer 5 includes a horizontal support part 51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part of the transverse reinforcing bar 4, a vertical support part 52 connected downward from both ends of the horizontal support part 51, and a vertical support part 52. ) May include a bottom support portion 53 connected horizontally.

각 부 별로, 수평지지부(51)는 횡방향철근(4)에 직접 결합되는 구성으로, 횡방향철근(4)의 하부에 접하며, 철사 등과 같은 소정의 결합수단을 통해 횡방향철근(4)에 결합되며, 바람직하게는 횡방향철근(4)과 연속철근(1)과 수평지지부(51)가 함께 결속되는 것이다.For each part, the horizontal support part 51 is directly coupled to the transverse reinforcing bar 4, and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transverse reinforcing bar 4, and to the transverse reinforcing bar 4 through a predetermined coupling means such as wire. Combined, preferably, the transverse reinforcing bar 4, the continuous reinforcing bar 1 and the horizontal support 51 is bound together.

그리고 수직지지부(52)는 수평지지부(51)의 양단에서 하부로 연결된 구성으로, 횡방향철근(4) 및 연속철근(1) 등의 하중을 지지하며, 수평지지부(51)의 양단에서 하방으로 절곡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vertical support portion 52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downward from both ends of the horizontal support portion 51 to support loads such as the transverse reinforcement 4 and the continuous reinforcement 1, and downward from both ends of the horizontal support portion 51. It is preferable that it is bent and comprised.

그리고 바닥지지부(53)는 수직지지부(52)에서 수평으로 연결된 구성으로, 바닥면과의 접촉 면적을 증대시켜 스페이서(5)의 거치를 제공하며, 수직지지부(52)에서 수평으로 절곡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수직지지부(52) 및 바닥지지부(53)가 모두 수평지지부(51)로부터 절곡 형성되는 경우, 하나의 철근을 절곡 형성하여 스페이서(5)를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 용이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And the bottom support portion 53 is configured to be horizontally connected in the vertical support portion 52, to provide a mounting of the spacer (5) by increasing the contact area with the bottom surface, it is configured to be bent horizontally in the vertical support portion 52 It is preferable. As such, when both the vertical support portion 52 and the bottom support portion 53 are bent from the horizontal support portion 51, the spacer 5 can be manufactured by bending one reinforcing bar, thereby greatly improving the ease of manufacture. .

바람직한 실시예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지지부(53)는 한 쌍의 수직지지부(52) 중 어느 한 구성인 제1수직지지부(521)에 연결되고 일 측 폭 방향으로 배치된 제1바닥지지부(531) 및 한 쌍의 수직지지부(52) 중 다른 한 구성인 제2수직지지부(522)에 연결되고 타 측 폭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바닥지지부(532)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제1바닥지지부(531)와 제2바닥지지부(532)가 반드시 폭 방향으로 배치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반드시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야 하며, 이 경우 바닥면과의 접촉 면적을 최대로 할 수 있고, 하중 분산 효과 역시 최대로 얻을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as shown in FIG. 8, the bottom support part 53 is connected to the first vertical support part 521, which is one of the pair of vertical support parts 52, and is disposed in one side width direction.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second bottom support part 532 connected to the second vertical support part 522, which is the other one of the bottom support part 531 and the pair of vertical support parts 52, and disposed in the other side width direction. The first bottom support part 531 and the second bottom support part 532 are not necessarily arranged in the width direction, but they must be arranged in opposite directions. In this case, the contact area with the bottom surface can be maximized. In addition, the load distribution effect can be maximized.

추가로,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구조는 균열유도수단(3)이 구비된 유도균열구간(Sc)과 횡방향철근(4)만이 구비된 비유도균열구간(Sn)이 상호 교차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균열을 유도균열구간(Sc) 측으로 유도함으로써 부분철근(2)의 배근을 너무 촘촘하게 배치하지 않고도 균열에 대한 저항력을 부가할 수 있어, 시공 편의성은 물론 자재 절감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s 1 and 3, the present structure has a non-induced crack section (Sn) having only the induced crack section (Sc) having a crack inducing means (3) and the transverse reinforcement (4) It is preferable to be arranged cross each other, which can add cracking resistance without placing the reinforcement of the partial reinforcement (2) too tightly by inducing the crack to the induction cracking section (Sc) side, construction convenience and material saving effect To provide.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은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such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c: 유도균열구간 Sn: 비유도균열구간
1: 연속철근
2: 부분철근 21: 제1길이부
22: 제2길이부 23: 폭부
3: 균열유도수단 31: 제1거치대
311: 제1수직부 312: 제1수평부
32: 제2거치대 321: 제2수직부
322: 제2수평부 323: 상부지지부
324: 하부지지부 33: 유도균열부재
331: 충진유도부 332: 균열유도부
4: 횡방향철근
5: 스페이서 51: 수평지지부
52: 수직지지부 53: 바닥지지부
Sc: induced crack section Sn: non-induced crack section
1: continuous rebar
2: partial rebar 21: first length part
22: second length part 23: width part
3: crack inducing means 31: first cradle
311: first vertical portion 312: first horizontal portion
32: second cradle 321: second vertical portion
322: second horizontal portion 323: upper support portion
324: lower support 33: guide crack member
331: filling guide portion 332: crack induction portion
4: transverse rebar
5: spacer 51: horizontal support part
52: vertical support 53: bottom support

Claims (15)

콘크리트 포장층 내부에서 상기 콘크리트 포장층의 길이 방향(이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근되는 복수의 연속철근;
인접하는 두 연속철근 사이에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분리 배치되는 복수의 부분철근; 및
상기 연속철근과 상기 부분철근이 함께 배치된 위치에 구비되고, 일면을 구성하는 충진유도부 및 타면에 형성된 균열유도부를 갖는 유도균열부재를 포함하는 균열유도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균열유도수단은, 상기 유도균열부재에 결합된 수직부 및 상기 수직부에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결된 수평부를 포함하는 제1거치대를 포함하고,
상기 연속철근의 하부에 소정 간격을 갖도록 상기 길이 방향에 수직한 폭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연속철근의 하단을 지지하는 복수의 횡방향철근을 포함하고,
상기 연속철근과 상기 횡방향철근의 교차 지점에서 상기 횡방향철근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횡방향철근의 하부를 지지하는 스페이서를 포함하고,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횡방향철근의 하부에 접하는 수평지지부, 상기 수평지지부의 양단에서 하부로 연결된 수직지지부 및 상기 수직지지부에서 수평으로 연결된 바닥지지부를 포함하고,
바닥지지부는 한 쌍의 수직지지부 중 어느 한 구성인 제1수직지지부에 연결되고 일 측 폭 방향으로 배치된 제1바닥지지부 및 한 쌍의 수직지지부 중 다른 한 구성인 제2수직지지부에 연결되고 타 측 폭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바닥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 연속철근 콘크리트 포장 구조.
A plurality of continuous reinforcement bars which are continuously reinforc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hereinafter,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crete pavement layer in the concrete pavement layer;
A plurality of partial rebars disposed separately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ength direction between two adjacent continuous bars; And
A crack inducing means provided at a position where the continuous reinforcing bars and the partial reinforcing bars are disposed together, and including an induction cracking member having a filling guide part constituting one surface and a crack inducing part formed on the other surface;
Including,
The crack inducing means includes a first cradle including a vertical portion coupled to the induction cracking member and a horizontal portion connected to the vertical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t includes a plurality of transverse reinforcing bars disposed in the width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have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ontinuous reinforcement, to support the lower end of the continuous reinforcement,
And a spacer provided at the lower side of the transverse reinforcing bar at the intersection of the continuous reinforcing bar and the transverse reinforcing bar and supporting the lower part of the transverse reinforcing bar,
The spacer includes a horizontal support portion in contact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transverse reinforcement, a vertical support portion connected to the bottom at both ends of the horizontal support portion and a bottom support portion connected horizontally to the vertical support portion,
The bottom support part is connected to the first vertical support part, which is one of the pair of vertical support parts,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floor support part arranged in one width direction and the second vertical support part, which is the other one of the pair of vertical support parts. Improved continuous reinforced concrete pavement structure comprising a second bottom support portion disposed in the side width direc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분철근은, 상기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 제1길이부, 상기 제1길이부와 평행하게 구비된 제2길이부 및 상기 길이 방향에 수직한 폭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길이부를 잇는 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 연속철근 콘크리트 포장 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artial reinforcement may include a first length part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second length part provid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length part, and a first length part disposed in the width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ength direction. An improved continuous reinforced concrete pavement structure comprising a connecting width.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길이부의 일 단부는 하방으로 절곡되고,
상기 제1 및 제2길이부의 타 단부는 하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폭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 연속철근 콘크리트 포장 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ne end of the first or second length portion is bent downward,
Improved continuous reinforced concrete pavement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oth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length portions are bent downward and connected to the width por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충진유도부는 상기 유도균열부재의 상단에서부터 하단에 걸쳐 소정의 곡률로 굴곡진 라운드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 연속철근 콘크리트 포장 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lling guide portion is an improved continuous reinforced concrete pavement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by a curved round with a predetermined curvature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induction cracking memb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균열유도부는 상기 유도균열부재의 상단에서부터 하단에 걸쳐 평평하게 형성된 수직면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균열유도부에는 상기 콘크리트 포장층과의 부착력을 저감시키는 부착방지층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 연속철근 콘크리트 포장 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rack inducing part is configured by a vertical surface formed flat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induction cracking member,
Improved continuous reinforced concrete pavement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crack induction portion is provided with an adhesion preventing layer to reduce the adhesion with the concrete pavement layer.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균열유도수단은, 상기 유도균열부재에 결합된 수직부, 상기 수직부에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결된 수평부, 상기 수직부의 상단에서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유도균열부재의 상단을 지지하는 상부지지부 및 상기 수직부에서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유도균열부재의 하단을 지지하는 하부지지부를 포함하는 제2거치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 연속철근 콘크리트 포장 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rack inducing means may include a vertical portion coupled to the induction cracking member, a horizontal portion connected to the vertical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n upper support portion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an upper end of the vertical portion to support the upper end of the induction cracking member. And a second supporter extending from the vertical 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ncluding a lower support part supporting a lower end of the induction cracking memb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분철근은 수평 배치되는 바디 및 상기 바디의 양 단부에서 하부로 연장된 한 쌍의 다리를 포함하는 'ㄷ'자 형상의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 연속철근 콘크리트 포장 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artial reinforcement is an improved continuous reinforced concrete pavement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frame of the 'b' shape including a horizontally arranged body and a pair of legs extending from both ends of the body to the bottom.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부분철근의 하부에 소정 간격을 갖도록 상기 길이 방향에 수직한 폭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부분철근의 하단을 지지하는 횡방향철근을 더 포함하되,
상기 횡방향철근은 상기 바디의 하부의 중앙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 연속철근 콘크리트 포장 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1,
It is further disposed in the width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have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lower portion of the reinforcement, and further comprising a transverse reinforcement for supporting the lower end of the partial reinforcement,
The transverse rebar is an improved continuous reinforced concrete pavement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철근은 복수로 구비되되, 각각 상기 바디의 하부에서 중앙 및 양 단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 연속철근 콘크리트 포장 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2,
The transverse rebar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the continuous continuous reinforced concrete pavement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disposed at the center and both ends at the bottom of the body, respectively.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다리에서 수평 방향으로 절곡 구비되어 설치면에 접하는 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 연속철근 콘크리트 포장 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1,
The frame is an improved continuous reinforced concrete pavement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upport that is ben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bridge in contact with the installation surface.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바디와 상기 다리가 이루는 각도가 둔각으로 구성되고,
상기 부분철근은 상기 다리의 하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바디와 직교 배치되는 연결 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 연속철근 콘크리트 포장 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1,
The angle formed by the body of the frame and the leg is composed of an obtuse angle,
The partial reinforcement is continuous continuous reinforced concrete pavement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onnecting bar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leg and disposed perpendicular to the body.
KR1020190033767A 2019-03-25 2019-03-25 Construction of advanced reinforced concrete pavement KR10203937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3767A KR102039374B1 (en) 2019-03-25 2019-03-25 Construction of advanced reinforced concrete pave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3767A KR102039374B1 (en) 2019-03-25 2019-03-25 Construction of advanced reinforced concrete pave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9374B1 true KR102039374B1 (en) 2019-11-01

Family

ID=68535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3767A KR102039374B1 (en) 2019-03-25 2019-03-25 Construction of advanced reinforced concrete pave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9374B1 (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27008A (en) * 1993-11-05 1995-05-16 P S Co Ltd Construction method for crack induction part in continuous concrete pavement
JP3025507U (en) * 1995-12-06 1996-06-21 繁雄 作田 Bending fine rebar for concrete reinforcement
JP2003268923A (en) * 2002-03-13 2003-09-25 Nishimatsu Constr Co Ltd Slab reinforcement spacer
KR20130038988A (en) * 2011-10-11 2013-04-19 신성철강주식회사 Road boundary stone
KR101605512B1 (en) * 2015-07-01 2016-03-29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Construction of continuously reinforced concrete pavements
JP2017075492A (en) * 2015-10-15 2017-04-20 株式会社藤崎商会 Installation method for reinforcing bar in concrete pavement
KR20180003326U (en) * 2017-05-19 2018-11-28 주식회사 가자십 Dowel Bar Assembly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27008A (en) * 1993-11-05 1995-05-16 P S Co Ltd Construction method for crack induction part in continuous concrete pavement
JP3025507U (en) * 1995-12-06 1996-06-21 繁雄 作田 Bending fine rebar for concrete reinforcement
JP2003268923A (en) * 2002-03-13 2003-09-25 Nishimatsu Constr Co Ltd Slab reinforcement spacer
KR20130038988A (en) * 2011-10-11 2013-04-19 신성철강주식회사 Road boundary stone
KR101605512B1 (en) * 2015-07-01 2016-03-29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Construction of continuously reinforced concrete pavements
JP2017075492A (en) * 2015-10-15 2017-04-20 株式会社藤崎商会 Installation method for reinforcing bar in concrete pavement
KR20180003326U (en) * 2017-05-19 2018-11-28 주식회사 가자십 Dowel Bar Assembl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704386B (en) Prefabricated component assembly type segment assembling corrugated steel web RPC (Reactive Powder Concrete) combination box girder and method therefor
CN103422434B (en) Corrugated sheet steel combinative structure bridge floor system
JP4318694B2 (en) Floor slab bridge structure
KR20140140730A (en) Curved Y shaped Pier with PC Steel Wire
CN205012214U (en) Chain formula attachment strap structure based on seamless bridge
KR101260863B1 (en) Rhamen bridge having prestressed concrete girder of arch-shaped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CN103898834A (en) Concrete-filled steel tube composite beam and trussed cable tower cable-stayed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2039374B1 (en) Construction of advanced reinforced concrete pavement
CN103882797A (en) Composite corrugated steel web box girder and construction technology thereof
KR101854160B1 (en) Concrete Precast Slab
KR100989313B1 (en) Bridge structure by composition slab with reinforced tensile strength
CN110820785B (en) Shear assembly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CN106436553A (en) Bridge and shear resistant combined structure thereof
CN103132447A (en) Prestressed concrete variable cross-section box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20130127305A (en) Joint hybrid reinforcement bridge girder
KR102132338B1 (en) Steel Composite PSC Girder Including Arched Reinforcement
CN110016866A (en) Cast-in-situ construction method across piping lane in a kind of Urban Bridge
KR102325276B1 (en) Half Precast Concrete continuous slab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CN208088093U (en) A kind of Hollow Slab Beam Bridge that transverse splicing is reinforced
JP2006328798A (en) Composite structure frame
KR101628259B1 (en) Lower route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JPH0542553B2 (en)
CN208088092U (en) A kind of two bearing hollow slab girders
CN216338981U (en) Stiff concrete bracket structure and bridge
CN2623771Y (en) Special-shaped section prestress cast-in-situ board filled with lightweight materi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