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9122B1 - 콘크리트용 순환골재 생산용 임팩트 크라샤 - Google Patents

콘크리트용 순환골재 생산용 임팩트 크라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9122B1
KR102039122B1 KR1020190089844A KR20190089844A KR102039122B1 KR 102039122 B1 KR102039122 B1 KR 102039122B1 KR 1020190089844 A KR1020190089844 A KR 1020190089844A KR 20190089844 A KR20190089844 A KR 20190089844A KR 102039122 B1 KR102039122 B1 KR 1020391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wer bar
blower
bar
rotor
construction was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9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희강
김진석
김창환
김도형
Original Assignee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동림개발 주식회사
(유)고려환경개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동림개발 주식회사, (유)고려환경개발 filed Critical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898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91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91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91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26Details
    • B02C13/28Shape or construction of beater elements
    • B02C13/2804Shape or construction of beater elements the beater elements being rigidly connected to the r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02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with horizontal rotor shaft
    • B02C13/06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with horizontal rotor shaft with beaters rigidly connected to the rotor
    • B02C13/09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with horizontal rotor shaft with beaters rigidly connected to the rotor and throwing the material against an anvil or impact pl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201/00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 B02C2201/06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garbage, waste or sewage

Abstract

본 발명은 로터에 설치되는 블로워바의 구조를 좌측과 우측으로 구분되는 2열 구조로 개선하여 파쇄 효율성을 향상시킨 콘크리트용 순환골재 생산용 임팩트 크라샤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콘크리트용 순환골재 생산용 임팩트 크라샤{IMPACT CRUSHER FOR RECYCLED AGGREGATE FOR CONCRETE}
본 발명은 콘크리트용 순환골재 생산용 임팩트 크라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로터에 설치되는 블로워바의 구조를 좌측과 우측으로 구분되는 2열 구조로 개선하여 파쇄 효율성을 향상시킨 콘크리트용 순환골재 생산용 임팩트 크라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용 순환골재 생산용 임팩트 크라샤는 크기가 큰 원석 또는 폐콘크리트 등을 건축용 골재로 사용하거나, 폐기물 등을 일정크기 이하로 파쇄할 때 사용하는 장치이다.
도 1과 도 2에는 종래의 콘크리트용 순환골재 생산용 임팩트 크라샤가 도시되어 있다.
이를 참조하면, 종래의 콘크리트용 순환골재 생산용 임팩트 크라샤는 기본적으로 파쇄실(12) 내부에 로터(20)가 회전되게 되고, 파쇄실(12)의 일측에는 다수의 타격판(40)이 설치되며, 로터(20)에는 다수의 블로워바(30)가 일정 등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그리고 파쇄실(12)의 상부에는 투입구(14)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배출구(16)가 형성된다.
따라서 덩어리가 큰 원석, 철근이 박힌 철근 폐콘크리트 및 폐아스팔트 등의 건설폐기물을 투입구(14)를 통해 파쇄실(12) 내로 공급하면, 로터(20)에 장착된 블로워바(30)가 회전하면서 건설폐기물에 충격을 가하여 1차 파쇄하고, 블로워바(30)에 의해 충격을 받은 건설폐기물은 다수의 타격판(40)에 의해 2차 타격되어 일정 크기 이하로 파쇄된 상태로 배출구(16)를 통해 배출된다.
그러나 종래의 콘크리트용 순환골재 생산용 임팩트 크라샤는 도 2의 로터 전개도에서 볼 수 있듯이 다수의 블로워바(30)가 로터(20)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등간격을 두고 폭방향으로 팽행하게 설치되기 때문에 블로워바와 블로워바 사이의 이격 공간으로 인해 파쇄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즉, 앞에 위치한 블로워바가 회전하면서 건설폐기물에 충격을 가한 후 뒤에 위치한 블로워바가 회전하면서 건설폐기물에 충격을 가하려면 일정 시간동안 충격을 가할 수 없는 시간이 있는데, 이로 인해 충격 효율성이 떨어져 건설폐기물이 배출될 때 25%∼35% 정도는 파쇄되지 않고 그대로 배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물론, 상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블로워바를 더 설치하여 블로워바와 블로워바 사이의 이격 공간을 줄일 수 있으나, 이렇게 되면 다수의 블로워바가 서로 연결되는 효과가 생겨 하나의 원형을 이루기 때문에 건설폐기물에 충격을 가할 수 없으며, 따라서 블로워바는 어쩔 수 없이 일정 간격을 두고 3개 내지 5개를 설치할 수 밖에 없다. 그러다 보니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이 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70797호(등록일: 2017년08월17일), 발명의 명칭: "파쇄 기능이 향상된 임팩트 크라샤"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25995호(등록일: 2007년05월31일), 발명의 명칭: "임팩트 크라샤의 타격판 에이프런" 3)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42428호(등록일: 2008년10월30일), 고안의 명칭: "임팩트 크라샤의 건설폐기물 공급장치" 4)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56956호(등록일: 2004년07월12일), 고안의 명칭: "임팩트 크라샤의 건설폐기물 공급장치"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로터에 설치되는 블로워바의 구조를 좌측과 우측으로 구분되는 2열 구조로 개선하여 건설폐기물에 가해지는 충격 시간 및 횟수를 증가시켜 파쇄 효율성을 향상시킨 콘크리트용 순환골재 생산용 임팩트 크라샤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로터에 설치되는 블로워바를 뒤집어서 그리고 위치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 블로워바의 수명을 연장시켜 파쇄 효율성 뿐만 아니라 경제 효율성을 향상시킨 콘크리트용 순환골재 생산용 임팩트 크라샤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로터에 설치되는 블로워바의 설치 각도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하여 건설폐기물의 종류에 따라 블로워바의 각도를 최상으로 설정함으로 파쇄 효율성을 향상시킨 콘크리트용 순환골재 생산용 임팩트 크라샤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목적들은, 내부에는 파쇄실이 구비되고 상측 일부분에는 파쇄실로 건설폐기물을 공급하기 위한 투입구가 형성되며 하측에는 파쇄된 건설폐기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가 형성된 구조를 갖는 본체와, 파쇄실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로터와, 로터의 외주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개가 돌출되게 설치되어 로터가 회전하면 함께 회전하면서 건설폐기물에 충격을 가해 건설폐기물을 파쇄하는 블로워바와, 파쇄실 일측에서 중심축을 중심으로 반대편이 전후 방향으로 왕복 운동을 하면서 건설폐기물을 타격하게 설치된 다수의 타격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콘크리트용 순환골재 생산용 임팩트 크라샤에 있어서, 상기 블로워바는 로터의 외주면 센터를 기준으로 좌측에 외주면을 따라 소정 등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3∼4개의 좌측블로워바와 우측에 외주면을 따라 소정 등각격을 두고 설치되는 3∼4개의 우측블로워바로 구분되고, 상기 좌측블로워바와 우측블로워바는 서로 엇갈리게 설치되되, 상기 좌측블로워바는 우측블로워바와 우측블로워바 사이의 이격공간에서 전방이 로터의 센터에 위치하고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좌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며, 상기 우측블로워바는 좌측블로워바와 좌측블로워바 사이의 이격공간에서 전방이 로터의 센터에 위치하고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우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고, 상기 로터의 외주면에는 좌측블로워바 및 우측블로워바와 대응되는 위치에 블로워바조립홈이 형성되고, 이 블로워바조립홈에 좌측블로워바 및 우측블로워바가 삽입되게 결합되며, 상기 블로워바조립홈의 형성 각도에 따라서 좌측블로워바 및 우측블로워바의 각도가 결정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용 순환골재 생산용 임팩트 크라샤에 의해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블로워바는 좌우가 대칭되게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좌측에 위치한 블로워바조립홈에 끼워지면 좌측블로워바로 사용되고 우측에 위치한 블로워바조립홈에 끼워지면 우측블로워바로 사용되어, 좌측블로워바와 우측블로워바가 서로 교환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블로워바는 상하를 뒤집었을 때 동일한 형상을 갖도록 하여 상하로 뒤집어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 상기 블로워바의 위치를 변경하면서 여러번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블로워바조립홈의 내면에는 완충부재가 형성되어 블로워바가 회전하면서 건설폐기물에 충격을 가할 때 블로워바조립홈에 결합된 블로워바의 하단 부분이 충격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블로워바가 하단 부분을 기준으로 소정의 텐션력을 가지므로 회전력 뿐만 아니라 텐션력에 의해서도 건설폐기물에 충격을 가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블로워바조립홈의 길이가 블로워바보다 길게 형성되어, 블로워바가 블로워바조립홈에 삽입되어 결합될 때 블로워바조립홈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위치를 조절하여 조정된 위치에서 고정되도록 함으로, 좌측블로워바와 우측블로워바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되고, 상기 블로워바조립홈에서 블로워바가 결합되고 남은 공간은 별도의 충진블럭을 설치하여 남은 공간을 메우도록 구성하되, 충진블록은 로터의 외면 보다 돌출되게 구성함으로 로터가 회전할 때 충진블록이 블로워바와 다른 위치에서 건설폐기물을 타격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용 순환골재 생산용 임팩트 크라샤는 로터에 설치되는 블로워바의 구조를 2열로 지그재그 형식으로 경사지게 설치하였기 때문에 건설폐기물에 가해지는 충격 시간이 줄고 충격 횟수가 증가됨으로 파쇄 효율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용 순환골재 생산용 임팩트 크라샤는 로터에 설치되는 블로워바를 좌우로 바꿔서 그리고 상하로 뒤집어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상하의 모서리 양쪽 부분을 다 사용할 수 있게 되며, 따라서 블로워바의 수명을 연장시켜 파쇄 효율성 뿐만 아니라 경제 효율성을 향상시킨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콘크리트용 순환골재 생산용 임팩트 크라샤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종래 블로워바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 1에 사용되는 로터를 펼쳐서 전개도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용 순환골재 생산용 임팩트 크라샤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로워바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 3에 사용되는 로터를 펼쳐서 전개도로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로워바가 로터에 다른 각도로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일부분 평면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서 블로워바가 로터에 설치된 부분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확대해서 나타낸 부분 확대 단면도,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로워바의 설치 위치가 조절되는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일부분 평면 도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용 순환골재 생산용 임팩트 크라샤는 기본적으로 내부에는 파쇄실(12)이 구비되고 상측 일부분에는 파쇄실(12)로 건설폐기물을 공급하기 위한 투입구(14)가 형성되며 하측에는 파쇄된 건설폐기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16)가 형성된 구조를 갖는 본체(10)를 구비한다. 그리고 본체(10)의 파쇄실(12) 내부에는 로터(100)가 회전축(22)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로터(100)의 외주면에는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블로워바(200)가 돌출되게 설치되어 블로워바(200)가 로터(100)와 함께 회전하면서 건설폐기물에 충격을 가해 건설폐기물을 파쇄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파쇄실(12) 일측에는 상부에서부터 소정 간격을 두고 차례대로 다수의 타격판(40)이 설치되는 데, 이 타격판(40)은 각각 본체(10)에 설치된 축지지브라켓(42)에 고정된 중심축(44)과 결합되어 중심축(44)을 중심으로 반대편이 회전운동하면서 건설폐기물을 타격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타격판(40)에는 로터(100) 방향으로 탄성 가압력을 제공하는 스프링(46)이 설치되어 그 반발력에 의해 건설폐기물을 타격할 수 있게 설치된다.
따라서 투입구(14)를 통해 본체(10)의 파쇄실(12)로 건설폐기물이 투입되면 로터(100)가 회전하면서 블로워바(200)가 건설폐기물에 충격을 가해 건설폐기물을 파쇄하는 것과 더불어 건설폐기물이 블로워바(200)에 의해 충격이 가해져 밀리게 되면 다수의 타격판(40)과 충돌하게 되고, 이때 다수의 타격판(40)이 중심축(44)을 기준으로 후방으로 회전 이동했다가 스프링(46)의 복원력에 의해 다시 전방으로 회전 이동하면서 건설폐기물에 타격을 가해 건설폐기물을 파쇄하게 된다.
이러한 기본적인 구성에 더해,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용 순환골재 생산용 임팩트 크라샤는 파쇄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로터(100)에 설치되는 블로워바(200)의 구조를 개선한다.
즉, 본 발명에 적용되는 블로워바(200)는 로터(100)의 외주면 센터를 기준으로 좌측에 외주면을 따라 소정 등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3∼4개의 좌측블로워바(210)와, 우측에 외주면을 따라 소정 등각격을 두고 설치되는 3∼4개의 우측블로워바(220)로 구분되어, 2열로 설치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좌측블로워바(210)와 우측블로워바(220)는 서로 엇갈리게 설치되는 데, 좌측블로워바(210)는 우측블로워바(220)와 우측블로워바(220) 사이의 이격공간에서 전방이 로터(100)의 센터에 위치하고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좌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며, 우측블로워바(220)는 좌측블로워바(210)와 좌측블로워바(210) 사이의 이격공간에서 전방이 로터(100)의 센터에 위치하고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우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된다. 이때, 좌측블로워바(210)와 우측블로워바(220)의 경사 각도(a)는 로터(100)의 폭방향 수평선을 기준으로 15°내지 25° 사이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유는 하나의 좌측이든 우측이든 어느 하나의 블로워바(200)에서 타격한 건설폐기물이 옆(좌측 또는 우측)에 있는 다음 블로워바(200)로 자연스럽게 이동되게 안내되면서 다음 블로워바(200)가 건설폐기물을 타격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각도가 크면 타격 범위가 좁아져 타격 효율성이 떨어지고 각도가 작으면 옆에 있는 블로워바(200)로 건설폐기물이 이동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리고 좌측블로워바(210)와 우측블로워바(220)가 로터(100)에 설치되는 구조는 로터(100)의 외주면에는 좌측블로워바(210) 및 우측블로워바(220)와 대응되는 위치에 블로워바조립홈(110)이 형성되고, 이 블로워바조립홈(110)에는 좌측블로워바(210) 및 우측블로워바(220)가 삽입되게 결합된다. 이때, 블로워바조립홈(110)의 형성 각도에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블로워바(210) 및 우측블로워바(220)의 각도가 결정되게 구성된다. 즉,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 경사 각도를 유지하게 형성할 수도 있고,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 각도를 더 크게 형성할 수도 있으며,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 각도를 더 작게 형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블로워바(200)는 로터(100)의 블로워바조립홈(110)에 통상의 볼트와 너트를 통해 고정된다. 물론,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고정시키는 방식은 기존 임팩트 크라샤에도 적용되는 것으로 방식이 유사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블로워바(200)는 좌우가 대칭되게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좌측에 위치한 블로워바조립홈(110)에 끼워지면 좌측블로워바(210)로 사용되고 우측에 위치한 블로워바조립홈(110)에 끼워지면 우측블로워바(220)로 사용되어, 좌측블로워바(210)와 우측블로워바(220)가 서로 교환해서 사용할 수 있게 구성된다. 또한, 블로워바(200)는 상하를 뒤집었을 때 동일한 형상을 갖도록 하여 상하로 뒤집어 사용할 수 있게 구성된다. 따라서 블로워바(200)의 위치를 변경하면서 여러번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즉, 로터(100)와 함께 블로워바(200)가 회전하면서 건설폐기물에 충격을 가할 때 통상적으로 로터(100)의 중간 부분에서 강한 충격이 일어나면서 좌측블로워바(210)와 우측블로워바(220)의 전방 부분에 먼저 마모가 생기게 된다. 이렇게 좌측블로워바(210)와 우측블로워바(220)의 전방 부분에 마모가 생기면 좌측블로워바(210)와 우측블로워바(220)를 서로 교환해서 사용하게 된다. 그러면 마모가 없는 부분이 다시 전방으로 위치하게 되고 좌측블로워바(210)와 우측블로워바(220)는 새것을 사용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좌측블로워바(210)와 우측블로워바(220)를 교환한 후 건설폐기물을 파쇄하다가 전방 부분에 다시 마모가 생기게 되면, 이제 좌측블로워바(210)와 우측블로워바(220)를 뒤집어 사용하게 된다. 그러면 마모된 부분이 블로워바조립홈(110) 내에 끼워지게 결합되고, 새로운 부분이 상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면서 새것을 사용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1개의 블로워바(200)를 좌측과 우측을 바꿔서 사용하고 뒤집어서 사용하기 때문에 총 4번 사용할 수 있게 경제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은 로터(100)의 블로워바조립홈(110)의 내면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충부재(300)가 형성되어 블로워바(200)가 회전하면서 건설폐기물에 충격을 가할 때 블로워바조립홈(110)에 결합된 블로워바(200)의 하단 부분이 충격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블로워바(200)가 하단 부분을 기준으로 소정의 텐션력을 가지므로 회전력 뿐만 아니라 텐션력에 의해서도 건설폐기물에 충격을 가할 수 있도록 구성하게 된다.
이러한 완충부재(300)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고정하거나 별도의 볼트 너트를 이용하여 고정하면 된다. 그리고 완충부재(300)는 100% 고무로 성형할 수도 있지만, 빨리 마모되는 것을 개선하기 위해, 탄성재 성형수지액으로 별도 조성하여 성형함으로써 단기 마모 억제성을 높이고, 방수성을 강화시켜 수명 단축을 차단하면서 오염이 쉽게 이루어지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완충부재(300)를 제조하는 성분인 탄성재 성형수지액은 풀러렌(fullerene) 분말 3.5중량%와, 코카미도프로필 베타인 2.5중량%와, 셀룰로오스 디아세테이트 8.0중량%와,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 6.5중량%와, C18H24N2 3.5중량%와, 구타페르카를 클로로폼에 녹인 액체 5중량% 및 나머지 고탄성 에멀젼수지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풀러렌(fullerene)이란 탄소의 3번째 동소체로서 탄소의 다른 동소체인 다이아몬드와 흑연의 경우 탄소 원자들이 무한히 배열되어 있는 고체인데 반해, 유한한 분자로 분자식은 C60이다. C60은 20개의 6각형과 서로 접히지 않는 12개의 5각형으로 이루어진 축구공같이 생긴 분자로서 각 탄소는 이들의 꼭지점에 위치하며, 3차원의 유클리드 공간에 존재할 수 있는 가장 대칭성이 좋은 분자로서 내침식성, 마모저항성을 높이도록 첨가된다. 즉, 유연한 인장강도를 가지면서 어느 정도 마모저항성도 갖추어 쉽고 빠른 마모를 억제하도록 하기 위해 선택된 최선의 성분이다. 이때, 상기 코카미도프로필 베타인(Cocamidopropyl betain)은 정전기 발생을 방지하고, 수용성 증점 기능을 강화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아인산에스테르는 특히, 염소성분에 의한 침식방지력을 높이는데 기여하여 내크랙성을 방지하기 위해 첨가된. 그리고 상기 셀룰로오스 디아세테이트는 셀룰로오스를 구성하는 파라노스(pyranose) 고리로 인해 높은 유리전이온도를 갖게 되므로 인장강도, 굴곡강도, 충격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또한, 상기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은 비점착성, 방오 특성을 강화시켜 오염이 쉽게 되지 않도록 하여 청결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아울러, C18H24N2(N-(1,3-Dimethylbutyl)-N'-phenyl-p-phenylenediamine)는 탄성재의 변색을 억제하고, 갈라짐과 크랙 발생을 차단하기 위해 첨가된다. 뿐만 아니라, 구타페르카는 1000-5000개의 이소프렌 단위체가 중합되어 트랜스형 긴사슬을 갖는 것으로서 고무에 비해 탄성이 적어 탄성 조절기능을 수행하면서 내산성, 내알카리성을 유지하고, 발수성, 특히 내수성을 강화시켜 수명 단축을 막기 위해 첨가된다. 마지막으로, 고탄성 에멀젼수지는 성형성과 형태유지성 및 탄성력을 확보하기 위해 사용되는 베이스 수지로서 아크릴 공중합체 에멀젼수지와 폴리우레탄 에멀젼수지를 1:1의 중량비로 혼합한 수지를 사용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탄성재 성형수지액에는 그것 100중량부에 대하여, 슬립성을 강화시켜 성형자유도를 높이도록 올레아미드(Oleamide) 15중량부와, 열팽창과 수축을 줄여 내열충격성 및 화학적 내구성을 강화시키도록 붕규산유리 10중량부와, 수지의 연화를 촉진하여 결합성을 높이도록 파리나르산 5중량부를 더 첨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은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터(100)의 블로워바조립홈(110)의 길이가 블로워바(200)보다 길게 형성되어, 블로워바(200)가 블로워바조립홈(110)에 삽입되어 결합될 때 블로워바조립홈(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위치를 조절하여 조정된 위치에서 고정되도록 함으로, 좌측블로워바(210)와 우측블로워바(22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구성할 수 있다. 즉, 좌측블로워바(210)와 우측블로워바(220)가 도 7과 같이 후방으로 배치되게 설치할 수도 있고, 도 8과 같이 전방으로 배치되게 설치할 수도 있으며,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좌측블로워바(210)와 우측블로워바(220) 중 하나는 전방으로 배치되고 나머지는 후방으로 배치되게 설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 물론, 좌측블로워바(210)와 우측블로워바(220)는 위치를 조정한 후에 통상의 볼트와 너트를 통해 조정된 위치에 고정되도록 설치하면 된다. 이를 위해, 블로워바조립홈(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볼트가 관통되는 다수개의 볼트관통공이 형성되고 블로워바(200)에는 볼트관통공과 대응되는 볼트결합공이 형성되어 볼트와 너트로 고정할 수 있게 구성된다. 이렇게 좌측블로워바(210)와 우측블로워바(220)의 위치를 조정하면, 건설폐기물에 충격을 많이 가하는 부분과 적게 가하는 부분을 고려하여 블로워바(20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효율적인 파쇄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블로워바조립홈(110)에서 블로워바(200)가 결합되고 남은 공간은 별도의 충진블록(400)을 설치하여 남은 공간을 메우도록 구성하면 된다. 이때, 충진블록(400)은 로터(100)와 외면과 동일한 면을 갖도록 할 수도 있지만, 로터(100)의 외면 보다 더 돌출되게 구성함으로 로터(100)가 회전할 때 충진블록(400)이 블로워바(200)와 다른 위치에서 건설폐기물을 타격하도록 함으로 파쇄 효과를 높이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제,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용 순환골재 생산용 임팩트 크라샤의 작동 및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
본 발명은 건설폐기물을 투입구(14)를 통해 본체(10)의 파쇄실(12)로 투입하면, 로터(100)가 회전하면서 블로워바(200)가 건설폐기물에 강한 충격을 가해 건설폐기물을 1차 파쇄하게 된다.
다음으로, 건설폐기물이 블로워바(200)에 의해 충격이 가해져 밀리게 되면 다수의 타격판(40)이 각각 중심축(44)을 기준으로 회전 왕복 운동 및 전후 왕복 운동을 하면서 건설폐기물에 2차 타격을 가해 건설폐기물을 파쇄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은 블로워바(200)가 좌측블로워바(210)와 우측블로워바(220)로 구분되어 2열로 설치되고 서로 엇갈리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파쇄 효율성이 향상된다. 즉, 좌측블로워바(210)와 우측블로워바(220)를 각각 보면 그 사이 간격이 기존 임팩트 크라샤와 유사하지만, 전체적으로 보면 사이사이에 다른 열의 좌측블로워바(210) 또는 우측블로워바(220)가 위치하여 블로워바(200)가 지그재그로 배열됨으로 건설폐기물에 충격을 가할 때 좌측블로워바(210)와 우측블로워바(220)가 번갈아가면서 충격을 가하게 되고, 이로 인해 건설폐기물에 가해지는 충격 시간 및 횟수가 증가되어 파쇄 효율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은 블로워바(200)를 좌우로 바꿔서 그리고 상하로 뒤집어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상하의 모서리 양쪽 부분을 다 사용할 수 있게 되며, 따라서 블로워바의 수명을 연장시켜 파쇄 효율성 뿐만 아니라 경제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블로워바(200)를 로터(100)에 설치할 때 블로워바조립홈(110)의 형성 각도에 따라 좌측블로워바(210)와 우측블로워바(220)의 각도를 설정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건설폐기물의 종류에 따라 블로워바의 각도를 최상으로 설정함으로 파쇄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같이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 본체 12: 파쇄실
14: 투입구 16: 배출구
40: 타격판 100: 로터
110: 블로워바조립홈 200: 블로워바
210: 좌측블로워바 220: 우측블로워바
300: 완충부재 400: 충진블록

Claims (4)

  1. 내부에는 파쇄실이 구비되고 상측 일부분에는 파쇄실로 건설폐기물을 공급하기 위한 투입구가 형성되며 하측에는 파쇄된 건설폐기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가 형성된 구조를 갖는 본체와, 파쇄실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로터와, 로터의 외주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개가 돌출되게 설치되어 로터가 회전하면 함께 회전하면서 건설폐기물에 충격을 가해 건설폐기물을 파쇄하는 블로워바와, 파쇄실 일측에서 중심축을 중심으로 반대편이 전후 방향으로 왕복 운동을 하면서 건설폐기물을 타격하게 설치된 다수의 타격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콘크리트용 순환골재 생산용 임팩트 크라샤에 있어서,
    상기 블로워바는 로터의 외주면 센터를 기준으로 좌측에 외주면을 따라 소정 등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3∼4개의 좌측블로워바와 우측에 외주면을 따라 소정 등각격을 두고 설치되는 3∼4개의 우측블로워바로 구분되고,
    상기 좌측블로워바와 우측블로워바는 서로 엇갈리게 설치되되,
    상기 좌측블로워바는 우측블로워바와 우측블로워바 사이의 이격공간에서 전방이 로터의 센터에 위치하고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좌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며,
    상기 우측블로워바는 좌측블로워바와 좌측블로워바 사이의 이격공간에서 전방이 로터의 센터에 위치하고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우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고,
    상기 로터의 외주면에는 좌측블로워바 및 우측블로워바와 대응되는 위치에 블로워바조립홈이 형성되고, 이 블로워바조립홈에 좌측블로워바 및 우측블로워바가 삽입되게 결합되며,
    상기 블로워바조립홈의 형성 각도에 따라서 좌측블로워바 및 우측블로워바의 각도가 결정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용 순환골재 생산용 임팩트 크라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로워바는 좌우가 대칭되게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좌측에 위치한 블로워바조립홈에 끼워지면 좌측블로워바로 사용되고 우측에 위치한 블로워바조립홈에 끼워지면 우측블로워바로 사용되어, 좌측블로워바와 우측블로워바가 서로 교환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블로워바는 상하를 뒤집었을 때 동일한 형상을 갖도록 하여 상하로 뒤집어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
    상기 블로워바의 위치를 변경하면서 여러번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용 순환골재 생산용 임팩트 크라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로워바조립홈의 내면에는 완충부재가 형성되어 블로워바가 회전하면서 건설폐기물에 충격을 가할 때 블로워바조립홈에 결합된 블로워바의 하단 부분이 충격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블로워바가 하단 부분을 기준으로 소정의 텐션력을 가지므로 회전력 뿐만 아니라 텐션력에 의해서도 건설폐기물에 충격을 가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용 순환골재 생산용 임팩트 크라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로워바조립홈의 길이가 블로워바보다 길게 형성되어, 블로워바가 블로워바조립홈에 삽입되어 결합될 때 블로워바조립홈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위치를 조절하여 조정된 위치에서 고정되도록 함으로, 좌측블로워바와 우측블로워바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되고,
    상기 블로워바조립홈에서 블로워바가 결합되고 남은 공간은 별도의 충진블럭을 설치하여 남은 공간을 메우도록 구성하되, 충진블록은 로터의 외면 보다 돌출되게 구성함으로 로터가 회전할 때 충진블록이 블로워바와 다른 위치에서 건설폐기물을 타격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용 순환골재 생산용 임팩트 크라샤.
KR1020190089844A 2019-07-24 2019-07-24 콘크리트용 순환골재 생산용 임팩트 크라샤 KR1020391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9844A KR102039122B1 (ko) 2019-07-24 2019-07-24 콘크리트용 순환골재 생산용 임팩트 크라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9844A KR102039122B1 (ko) 2019-07-24 2019-07-24 콘크리트용 순환골재 생산용 임팩트 크라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9122B1 true KR102039122B1 (ko) 2019-10-31

Family

ID=68420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9844A KR102039122B1 (ko) 2019-07-24 2019-07-24 콘크리트용 순환골재 생산용 임팩트 크라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912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6956Y1 (ko) 2004-04-22 2004-07-21 (주)대명크라샤 임팩트 크라샤의 파쇄물 공급장치
KR100725995B1 (ko) 2007-03-13 2007-06-08 (주)대명크라샤 임팩트 크라샤의 타격판 에이프런
KR200442428Y1 (ko) 2008-07-18 2008-11-10 (주)대명크라샤 임팩트 크라샤의 파쇄물 공급장치
CN201841028U (zh) * 2010-11-02 2011-05-25 成都利君实业股份有限公司 辊压机堆焊辊面
KR101770797B1 (ko) 2017-06-19 2017-08-23 (주)플랜트존 파쇄 기능이 향상된 임팩트 크라샤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6956Y1 (ko) 2004-04-22 2004-07-21 (주)대명크라샤 임팩트 크라샤의 파쇄물 공급장치
KR100725995B1 (ko) 2007-03-13 2007-06-08 (주)대명크라샤 임팩트 크라샤의 타격판 에이프런
KR200442428Y1 (ko) 2008-07-18 2008-11-10 (주)대명크라샤 임팩트 크라샤의 파쇄물 공급장치
CN201841028U (zh) * 2010-11-02 2011-05-25 成都利君实业股份有限公司 辊压机堆焊辊面
KR101770797B1 (ko) 2017-06-19 2017-08-23 (주)플랜트존 파쇄 기능이 향상된 임팩트 크라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9121B1 (ko) 블로워바 결합구조가 개선된 임팩트 크라샤
KR101770797B1 (ko) 파쇄 기능이 향상된 임팩트 크라샤
EP3936665A1 (en) Compostable artificial turf infill
KR102039122B1 (ko) 콘크리트용 순환골재 생산용 임팩트 크라샤
CN101186723B (zh) 运动鞋底用超耐磨橡胶配方
KR102199395B1 (ko) 임팩트 크라샤
ES2532431T3 (es) Asfalto modificado con caucho granulado con estabilidad mejorada
US11547910B2 (en) Iron-type golf clubs and golf club heads
KR100725995B1 (ko) 임팩트 크라샤의 타격판 에이프런
CN208449480U (zh) 一种反击式破碎机的振动筛分装置
ES2585285T3 (es) Panel de tamizado
CN109331931A (zh) 粉碎机主轴组件和粉碎机
EP1647577B1 (en) Elastomerized particulate to be used as an infill for synthetic turfs
CN204147933U (zh) 一种新型建材制砂机
CN208449461U (zh) 一种反击式破碎机的破碎腔结构
CN203565143U (zh) 一种破碎机转子体及破碎机
CN108607648A (zh) 破碎机
CN209810306U (zh) 一种整形锤式破碎机及破碎设备
CN213494032U (zh) 一种反击式破碎机
KR102282149B1 (ko) 콘크리트용 순환골재 제조용 임팩트크라샤
CN207722881U (zh) 立轴破碎机上冲击下打击转子
KR102655423B1 (ko) 임팩트크라샤의 순환골재 이송안내판 각도조절장치
CN116159632A (zh) 硬岩破碎及制砂一体机
CN220224822U (zh) 一种高弹性抗冲击的塑胶跑道
US8882614B2 (en) Pitching rubb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