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8198B1 - 가스 터빈 연소기 및 그 운전 방법 - Google Patents

가스 터빈 연소기 및 그 운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8198B1
KR102038198B1 KR1020170136223A KR20170136223A KR102038198B1 KR 102038198 B1 KR102038198 B1 KR 102038198B1 KR 1020170136223 A KR1020170136223 A KR 1020170136223A KR 20170136223 A KR20170136223 A KR 20170136223A KR 102038198 B1 KR102038198 B1 KR 1020381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burner
fuel
combustion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6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4811A (ko
Inventor
야스히로 아키야마
미츠히로 가리슈쿠
게이타 나이토
가네츠구 나카무라
사토시 도도
도모히로 아사이
요시타카 히라타
아키노리 하야시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히타치 파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히타치 파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히타치 파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448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48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81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81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CGAS-TURBINE PLANTS;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CONTROLLING FUEL SUPPLY IN AIR-BREATHING JET-PROPULSION PLANTS
    • F02C9/00Controlling gas-turbine plants; Controlling fuel supply in air- breathing jet-propulsion plants
    • F02C9/26Control of fuel supply
    • F02C9/40Control of fuel supply specially adapted to the use of a special fuel or a plurality of fu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CGAS-TURBINE PLANTS;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CONTROLLING FUEL SUPPLY IN AIR-BREATHING JET-PROPULSION PLANTS
    • F02C3/00Gas-turbine pla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bustion products as the working fluid
    • F02C3/20Gas-turbine pla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bustion products as the working fluid using a special fuel, oxidant, or dilution fluid to generate the combustion products
    • F02C3/22Gas-turbine pla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bustion products as the working fluid using a special fuel, oxidant, or dilution fluid to generate the combustion products the fuel or oxidant being gaseous at standard temperature and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CGAS-TURBINE PLANTS;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CONTROLLING FUEL SUPPLY IN AIR-BREATHING JET-PROPULSION PLANTS
    • F02C3/00Gas-turbine pla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bustion products as the working fluid
    • F02C3/20Gas-turbine pla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bustion products as the working fluid using a special fuel, oxidant, or dilution fluid to generate the combustion products
    • F02C3/24Gas-turbine pla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bustion products as the working fluid using a special fuel, oxidant, or dilution fluid to generate the combustion products the fuel or oxidant being liquid at standard temperature and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CGAS-TURBINE PLANTS;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CONTROLLING FUEL SUPPLY IN AIR-BREATHING JET-PROPULSION PLANTS
    • F02C3/00Gas-turbine pla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bustion products as the working fluid
    • F02C3/20Gas-turbine pla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bustion products as the working fluid using a special fuel, oxidant, or dilution fluid to generate the combustion products
    • F02C3/30Adding water, steam or other fluids for influencing combustion, e.g. to obtain cleaner exhaust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CGAS-TURBINE PLANTS;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CONTROLLING FUEL SUPPLY IN AIR-BREATHING JET-PROPULSION PLANTS
    • F02C7/00Features, component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orm groups F02C1/00 - F02C6/00;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 F02C7/22Fuel supply systems
    • F02C7/228Dividing fuel between various bur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CGAS-TURBINE PLANTS;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CONTROLLING FUEL SUPPLY IN AIR-BREATHING JET-PROPULSION PLANTS
    • F02C7/00Features, component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orm groups F02C1/00 - F02C6/00;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 F02C7/22Fuel supply systems
    • F02C7/232Fuel valves; Draining valves or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CGAS-TURBINE PLANTS;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CONTROLLING FUEL SUPPLY IN AIR-BREATHING JET-PROPULSION PLANTS
    • F02C7/00Features, component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orm groups F02C1/00 - F02C6/00;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 F02C7/26Starting; Ignition
    • F02C7/264Ign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7/00Burners for combustion conjointly or alternatively of gaseous or liquid or pulverulent fuel
    • F23D17/002Burners for combustion conjointly or alternatively of gaseous or liquid or pulverulent fuel gaseous or liquid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RGENERATING COMBUSTION PRODUCTS OF HIGH PRESSURE OR HIGH VELOCITY, e.g. GAS-TURBINE COMBUSTION CHAMBERS
    • F23R3/00Continuous combustion chambers using liquid or gaseous fuel
    • F23R3/28Continuous combustion chambers using liquid or gaseous fuel characterised by the fuel supply
    • F23R3/283Attaching or cooling of fuel injecting means including supports for fuel injectors, stems, or lan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RGENERATING COMBUSTION PRODUCTS OF HIGH PRESSURE OR HIGH VELOCITY, e.g. GAS-TURBINE COMBUSTION CHAMBERS
    • F23R3/00Continuous combustion chambers using liquid or gaseous fuel
    • F23R3/28Continuous combustion chambers using liquid or gaseous fuel characterised by the fuel supply
    • F23R3/34Feeding into different combustion zo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RGENERATING COMBUSTION PRODUCTS OF HIGH PRESSURE OR HIGH VELOCITY, e.g. GAS-TURBINE COMBUSTION CHAMBERS
    • F23R3/00Continuous combustion chambers using liquid or gaseous fuel
    • F23R3/28Continuous combustion chambers using liquid or gaseous fuel characterised by the fuel supply
    • F23R3/36Supply of different fu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RGENERATING COMBUSTION PRODUCTS OF HIGH PRESSURE OR HIGH VELOCITY, e.g. GAS-TURBINE COMBUSTION CHAMBERS
    • F23R3/00Continuous combustion chambers using liquid or gaseous fuel
    • F23R3/42Continuous combustion chambers using liquid or gaseous fuel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form of the flame tubes or combustion chambers
    • F23R3/46Combustion chambers comprising an annular arrangement of several essentially tubular flame tubes within a common annular casing or within individual ca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40/00Components
    • F05D2240/35Combustors or associated equip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2204/00Burners adapted for simultaneous or alternative combustion having more than one fuel supply
    • F23D2204/10Burners adapted for simultaneous or alternative combustion having more than one fuel supply gaseous and liquid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2209/00Safety arrangements
    • F23D2209/30Purg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2900/00Special features of, or arrangements for burners using fluid fuels or solid fuels suspended in a carrier gas
    • F23D2900/00014Pilot burners specially adapted for ignition of main burners in furnaces or gas turb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RGENERATING COMBUSTION PRODUCTS OF HIGH PRESSURE OR HIGH VELOCITY, e.g. GAS-TURBINE COMBUSTION CHAMBERS
    • F23R2900/00Special features of, or arrangements for continuous combustion chambers; Combustion processes therefor
    • F23R2900/00002Gas turbine combustors adapted for fuels having low heating value [LHV]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RGENERATING COMBUSTION PRODUCTS OF HIGH PRESSURE OR HIGH VELOCITY, e.g. GAS-TURBINE COMBUSTION CHAMBERS
    • F23R3/00Continuous combustion chambers using liquid or gaseous fuel
    • F23R3/28Continuous combustion chambers using liquid or gaseous fuel characterised by the fuel supply
    • F23R3/286Continuous combustion chambers using liquid or gaseous fuel characterised by the fuel supply having fuel-air premix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RGENERATING COMBUSTION PRODUCTS OF HIGH PRESSURE OR HIGH VELOCITY, e.g. GAS-TURBINE COMBUSTION CHAMBERS
    • F23R3/00Continuous combustion chambers using liquid or gaseous fuel
    • F23R3/28Continuous combustion chambers using liquid or gaseous fuel characterised by the fuel supply
    • F23R3/34Feeding into different combustion zones
    • F23R3/343Pilot flames, i.e. fuel nozzles or injectors using only a very small proportion of the total fuel to insure continuous combus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20/00Combustion technologies with mitigation potential
    • Y02E20/16Combined cycle power plant [CCPP], or combined cycle gas turbine [CCG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20/00Combustion technologies with mitigation potential
    • Y02E20/16Combined cycle power plant [CCPP], or combined cycle gas turbine [CCGT]
    • Y02E20/18Integrated gasification combined cycle [IGCC], e.g. combined with carbon capture and storage [C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eeding And Controlling Fuel (AREA)
  • Combustion Of Fluid Fuel (AREA)

Abstract

가스 터빈의 연료를 오일 연료로부터 가스 연료로 전환할 때, 가스 터빈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를 가능한 한 가시화할 수 없도록 하는 것이 가능한 가스 터빈 연소기 및 그 운전 방법을 제공한다.
파일럿 버너(38)에서의 연소를 오일 연소로부터 가스 연소로 전환할 때, 메인 버너(39A 내지 39F)에 가스 연료를 공급하여 메인 버너(39A 내지 39F)에서 가스 연소를 개시하고, 그 후, 파일럿 버너(38)에 가스 연료를 공급하여 파일럿 버너(38)에서 가스 연소를 개시한다.

Description

가스 터빈 연소기 및 그 운전 방법{GAS TURBINE COMBUSTOR AND ITS DRIVING METHOD}
본 발명은 가스 터빈 연소기 및 그 운전 방법에 관한 것이며, 특히 가스 연료와 오일 연료의 양쪽을 연소 가능한 가스 터빈 연소기 및 그 운전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발전 비용의 저감, 자원의 유효 이용 및 지구 온난화 방지의 관점에서, 제철소에서 부생되는 코크스로 가스나 제유소에서 부생되는 오프 가스 등의 수소를 포함하는 수소 함유 연료를 유용하게 이용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예를 들어, 가스 터빈 발전 플랜트에 수소 함유 연료를 이용하면, 수소 함유 연료는, 연소 시에 있어서의 이산화탄소(Carbon Dioxide : CO2)의 배출량이 적기 때문에, 지구 온난화 방지책으로서 유효하다. 또한, 풍부한 자원인 석탄을 가스화하여 발전하는 석탄 가스화 복합 발전 플랜트(Integrated coal Gasification Combined Cycle : IGCC)에 있어서는, 가스 터빈에 공급하는 수소 함유 연료 중의 탄소분을 회수ㆍ저류하는 시스템(Carbon Capture and Storage : CCS)을 설치하여, CO2 배출량을 더 삭감하는 방책도 검토되고 있다.
수소 함유 연료를 가스 터빈의 연료로서 사용하는 경우, 연소기 내에서 착화에 실패하면, 미연소의 수소 함유 연료가 연소기로부터 배출되어, 하류측의 터빈 내에 체류할 위험성이 우려된다. 이 때문에, 수소 함유 연료를 사용하는 가스 터빈에 있어서는, 수소를 포함하지 않는 기동용 연료(예를 들어, 오일 연료)로 착화하여, 소정의 부분 부하까지 기동용 연료로 운전하고, 소정의 부분 부하에 있어서, 기동용 연료로부터 수소 함유 연료로 전환하고, 이후, 수소 함유 연료에 의해 정격 부하까지 부하 상승시켜, 운전 계속하는 것이 생각되고 있다. 또한, IGCC에 있어서는, 플랜트 기동 시, 가스화 노에서 석탄 가스가 발생할 때까지는 오일 연료로 가스 터빈을 운전하고, 석탄 가스 발생 후에 가스 터빈의 연료를 오일 연료로부터 석탄 가스로 전환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점들 때문에, 가스 터빈의 연료로서 통상은 가스 연료를 사용하지만, 플랜트 기동ㆍ정지 시에는 오일 연료를 사용하는 등의 2종류의 연료를 사용할 수 있는 가스 터빈 연소기가 사용된다. 오일 연료와 가스 연료의 양쪽이 연소 가능(오일 연소와 가스 연소가 가능)한 가스 터빈 연소기는, 일반적으로, 연소기의 축 중심부에 위치하는 기동용 버너와, 기동용 버너의 외주에 배치된 메인 버너로 구성되고, 기동용 버너에 있어서 오일 연소와 가스 연소가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종래, 가스 터빈의 연료를 오일 연료로부터 가스 연료로 전환하는(오일 연소로부터 가스 연소로 전환하는) 운전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기동용 버너에 있어서의 오일 연료의 분사량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기동용 버너에 있어서의 가스 연료의 분사량을 증가시키고, 그 후, 메인 버너에 있어서의 가스 연료의 분사량을 증가시키도록 하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4-105601호 공보
가스 터빈은, 가스 터빈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에 포함되는 물질이 환경 기준값 이하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가스 터빈의 연료를 오일 연료로부터 가스 연료로 전환할 때, 가스 터빈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에 많은 매진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설령 배기 가스에 포함되는 물질이 환경 기준 이하여도, 경관의 보전이라는 관점에서 가스 터빈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 중의 매진을 가능한 한 가시화할 수 없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가스 터빈의 연료를 오일 연료로부터 가스 연료로 전환할 때, 가스 터빈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를 가능한 한 가시화할 수 없도록 하는 것이 가능한 가스 터빈 연소기 및 그 운전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가스 터빈 연소기 및 그 운전 방법은, 파일럿 버너에 의한 연소를 오일 연소로부터 가스 연소로 전환할 때, 메인 버너에 가스 연료를 공급하여 메인 버너에서 가스 연소를 개시하고, 그 후, 파일럿 버너에 가스 연료를 공급하여 파일럿 버너에서 가스 연소를 개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스 터빈의 연료를 오일 연료로부터 가스 연료로 전환할 때, 가스 터빈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를 가능한 한 가시화할 수 없도록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한 것 이외의 과제, 구성 및 효과는 이하의 실시 형태의 설명에 의해 명백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가스 터빈 플랜트의 개략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가스 터빈 연소기의 일례의 구조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가스 터빈 연소기의 일례의 구조를 도시하는 연소실로부터 본 버너의 정면도.
도 4는 비교예의 가스 터빈 연소기의 운전 방법에 있어서의 연료 전환 로직과 매진량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가스 터빈 연소기의 운전 방법에 있어서의 연료 전환 로직과 매진량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가스 터빈 연소기의 일례의 구조를 도시하는 연소실로부터 본 버너의 정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가스 터빈 연소기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3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가스 터빈 플랜트의 개략 구성도이다.
가스 터빈 플랜트는, 주된 구성 요소로서, 공기 압축기(1), 연소기(3), 가스 터빈(2) 및 발전기(23)를 구비한다. 공기 압축기(1)는 대기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압축하여 압축 공기(4)를 생성하고, 압축 공기(4)를 연소기(3)에 공급한다. 연소기(3)는 압축 공기(4)와 오일 연료 및/또는 가스 연료를 혼합 연소시켜 연소 가스(20)를 생성한다. 연소 가스(20)는 가스 터빈(2)에 도입되고, 가스 터빈(2)은 연소 가스(20)에 의해 구동된다. 가스 터빈(2)의 회전 동력에 의해 발전기(23)가 구동되어 발전한다. 가스 터빈(2)으로부터 배출된 배기 가스(21)는 굴뚝(22)으로부터 배출된다. 또한, 공기 압축기(1)와 가스 터빈(2)에는, 가스 터빈 기동용 모터 등이 접속되지만 도시 생략하였다. 또한, 발전기(23)는 부하 검출기(도시 생략)를 구비하고, 부하 검출기에 의해 계측한 가스 터빈의 부하의 신호가 제어 장치(40)에 입력된다. 또한, 본 발명은 석탄 가스화 복합 발전 플랜트(IGCC)에 있어서의 가스 터빈 플랜트의 가스 터빈 연소기에 적합하지만, IGCC를 구성하는 석탄 가스화 노 등의 석탄 가스화 플랜트, 가스 터빈으로부터의 배기 가스의 열을 이용하여 증기를 발생하는 배열 회수 보일러, 배열 회수 보일러나 석탄 가스화 플랜트에 있어서의 합성 가스 쿨러(SynGas Cooler)에서 발생한 증기에 의해 구동되는 증기 터빈 플랜트 등의 도시를 생략하였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가스 터빈 연소기의 일례의 구조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이와 같은 가스 터빈 연소기는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16-38108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다.
가스 터빈 연소기(3)는 대략 원통 구조로 형성되어 있고, 그 측면을 형성하는 외통(27)과, 외통(27)의 단부에 설치한 엔드 커버(28)와, 버너[파일럿 버너(38), 메인 버너(39A 내지 F)]와, 외통(27)의 내주면과 그 외주면으로 환상의 공간을 형성하는 내통(연소실 라이너)(26)을 구비하고 있다. 내통(26)의 내부에는, 오일 연료 및/또는 가스 연료와 압축 공기(4)가 연소되는 연소실이 형성된다. 연소실에서 발생한 연소 가스(20)는 미통(尾筒)(25)을 지나 가스 터빈(2)에 도입된다.
내통(26)의 엔드 커버(28) 측단부에는, 복수의 공기 구멍(34)이 형성된 공기 구멍 플레이트(33)가 설치되어 있다. 공기 구멍 플레이트(33)의 외주면과 내통(26)의 내면 사이에 시일 부재(36)가 설치되어 있다. 공기 구멍 플레이트(33)는 가스 연료 노즐(35)과 함께 파일럿 버너 및 메인 버너를 구성한다.
공기 압축기(1)로부터의 압축 공기(4)는 차실(24) 내에 도입되어, 미통(25)의 주위와 차실(24)의 내면으로 형성되는 공간을 지나, 내통(26)의 외주와 외통(27)의 내주 사이에 형성되는 유로에 도입된다. 미통(25)이나 내통(26)에는, 그것들을 냉각하기 위해 관통 구멍(도시 생략)이 형성되는 경우도 있고, 압축 공기(4)의 일부가 관통 구멍을 통해 그것들 내부에 유입된다. 내통(26)의 외주와 외통(27)의 내주 사이에 형성되는 유로를 흐른 압축 공기(4)는 엔드 커버(28)에서 전향되어, 공기 구멍 플레이트(33)에 형성된 복수의 공기 구멍(34)을 통과하여 연소실 내에 분사된다. 공기 구멍 플레이트(33)는 파일럿 버너의 중앙부가 연소실로부터 멀어지도록 경사를 갖고 움푹 들어가 있는 구조를 갖는다. 이 구조는, 수소를 포함하는 가스 연료를 사용한 경우에 적합한 구조이며, 연소실측 표면의 중앙부가 연소실로부터 멀어지도록 경사를 갖고 움푹 들어가 있는 구조로 함으로써, 버너 중앙부의 표면으로부터 정상 화염을 보는 각도가 축소되기 때문에, 복사에 의해 버너 중앙부에 유입되는 열 유속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버너 중앙부가 과열될 위험을 저하시킬 수 있다. 또한, 공기 구멍(34)은 연소실 내에 선회 성분을 갖고 압축 공기가 분사되도록 경사져 형성되어 있다.
엔드 커버(28)의 중앙부에는, 파일럿 버너를 구성하는 오일 연료 노즐(37)이 설치되어 있다. 오일 연료 노즐(37)에는 오일 연료 공급 장치(5)로부터의 오일 연료가 오일 연료 배관(8), 오일 연료 유량 조정 밸브(9)를 통해 공급된다. 오일 연료 유량 조정 밸브(9)는 제어 장치(40)에 의해 개방도가 제어된다. 또한, 오일 연료 배관(8)에는 오일 연료 공급 장치(5)와 오일 연료 유량 조정 밸브(9) 사이에 오일 연료 차단 밸브(도시 생략)가 설치되어 있다.
엔드 커버(28)의 내부에는, 메인 가스 매니폴드(29, 30), 파일럿 가스 매니폴드(31)가 형성되어 있다. 메인 가스 매니폴드(29, 30)에는, 가스 연료 공급 장치(6)로부터의 가스 연료가, 가스 연료 배관(10), 메인 버너 가스 연료 유량 조정 밸브(14), 메인 버너 가스 연료 배관(12)을 통해 공급된다. 메인 가스 매니폴드(29, 30)에 공급된 가스 연료는, 복수의 가스 연료 노즐(35)로부터 공기 구멍 플레이트(33)의 메인 버너를 구성하는 복수의 공기 구멍(34)의 각각에 분사된다. 복수의 공기 구멍(33)과 복수의 가스 연료 노즐(35)은 하나의 공기 구멍에 하나의 가스 연료 노즐을 대응시켜 배치되어 있다. 파일럿 가스 매니폴드(31)에는, 가스 연료 공급 장치(6)로부터의 가스 연료가, 가스 연료 배관(10), 파일럿 버너 가스 연료 유량 조정 밸브(13), 파일럿 버너 가스 연료 배관(11)을 통해 공급된다. 파일럿 가스 매니폴드(31)에 공급된 가스 연료는, 복수의 가스 연료 노즐(35)로부터 공기 구멍 플레이트(33)의 파일럿 버너를 구성하는 복수의 공기 구멍(34)의 각각에 분사된다. 가스 연료 노즐(35)과 공기 구멍(34)은 동축으로 되도록 배치되어 동축 분류 버너를 형성하고, 메인 버너는 이 동축 분류 버너를 다수 집합화한 구조이다. 또한, 파일럿 버너는, 동축 분류 버너를 다수 집합화한 구조와 오일 연료 분사 노즐을 일체화한 것이다. 동축 분류 버너를 다수 집합화한 구조에 의해, 미리 연료와 공기의 분산성을 높여 연소실 내에 공급하고, 짧은 거리에서 연료와 공기를 혼합함으로써, 역화를 방지함과 함께 저NOx 연소를 도모하고 있다. 또한, 파일럿 버너 가스 연료 유량 조정 밸브(13), 메인 버너 가스 연료 유량 조정 밸브(14)는 제어 장치(40)에 의해 각각 개방도가 제어된다. 또한, 가스 연료 배관(10)은 파일럿 버너 가스 연료 배관(11)과 메인 버너 가스 연료 배관(12)으로 분기되고, 가스 연료 배관(10)에는 가스 연료 공급 장치(6)와 분기점 사이에 가스 연료 차단 밸브(도시 생략)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IGCC 플랜트의 경우, 가스 연료 공급 장치(6)는 석탄 가스화 플랜트로부터의 석탄 가스화 가스를 공급한다.
메인 가스 매니폴드(29, 30)에는, 또한, 질소 공급 장치(7), 질소 공급 배관(15), 메인 버너 질소 공급 배관(17), 메인 버너 질소 유량 조정 밸브(19), 메인 버너 가스 연료 배관(12)을 통해 질소 가스가 공급된다. 또한, 파일럿 가스 매니폴드(31)에는, 질소 공급 장치(7), 질소 공급 배관(15), 파일럿 버너 질소 공급 배관(16), 파일럿 버너 질소 유량 조정 밸브(18), 파일럿 버너 가스 연료 배관(11)을 통해 질소 가스가 공급된다. 파일럿 버너 질소 유량 조정 밸브(18), 메인 버너 질소 유량 조정 밸브(19)는 제어 장치(40)에 의해 각각 개방도가 제어된다. 또한, 질소 공급 배관(15)은 파일럿 버너 질소 공급 배관(16)과 메인 버너 질소 공급 배관(17)으로 분기되고, 각각, 파일럿 버너 가스 연료 유량 조정 밸브(13)의 하류에서 파일럿 버너 가스 연료 배관(11), 메인 버너 가스 연료 유량 조정 밸브(14)의 하류에서 메인 버너 가스 연료 배관(12)에 합류하도록 되어 있다. 질소 공급 배관(15)에는, 질소 공급 장치(7)와 분기점 사이에 질소 차단 밸브(도시 생략)가 설치되어 있다. 메인 버너, 파일럿 버너에서 연소를 개시하기 전에, 즉, 가스 연료를 가스 연료 노즐(35)에 공급하기 전에, 질소 공급 장치로부터 질소 가스를 공급하여, 메인 가스 매니폴드(29, 30), 파일럿 가스 매니폴드(31), 연료 분사 노즐(35)의 연료 가스 공급 계통을 질소 가스 퍼지에 의해 정화(질소 가스 치환)한다.
점화 플러그(32)가 외통(27)에 설치되어 있다. 점화 플러그(32)는 내통(26)을 관통하여 공기 구멍 플레이트(33)의 연소실측에 착화점이 위치한다. 점화 플러그(32)의 스파크 동작은 제어 장치(40)에 의해 제어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가스 터빈 연소기의 일례의 구조를 도시하는 연소실로부터 본 버너의 정면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소기 버너는 파일럿 버너(38)와 그 외주에 배치된 복수(도 3의 예에서는 6개)의 메인 버너(39A 내지 39F)로 구성된다. 중앙부에 위치하는 파일럿 버너용 파일럿 버너(38)는 그 중심(연소기의 축심이기도 함)에 오일 연료 노즐(37)이 위치한다. 파일럿 버너(38)의 주위에 복수의 메인 버너(39A 내지 39F)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공기 구멍 플레이트(33)는 파일럿 버너(38), 메인 버너(39A 내지 39F)의 각각의 축심을 중심으로 하는 복수의 동심원 상에 공기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가스 터빈 연소기의 운전 방법에 있어서의 연료 전환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비교예의 가스 터빈 연소기의 운전 방법에 있어서의 연료 전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비교예에 있어서의 연료 전환 로직과 그때의 매진량의 관계를 도시한다. 여기에서는, 파일럿 버너를 F1 버너, 메인 버너를 F2 버너라 호칭한다.
IGCC 플랜트에서 사용되는 가스 터빈 연소기에서는, F1 버너의 오일 연료 노즐(37)로부터 오일 연료를 분사하여 점화 플러그(32)에 의해 착화하고, 가스 터빈 연소기에 의해 연소 가스를 생성하여, 가스 터빈을 기동한다. 이때, 파일럿 버너 가스 연료 유량 조정 밸브(13), 메인 버너 가스 연료 유량 조정 밸브(14), 파일럿 버너 질소 유량 조정 밸브(18), 메인 버너 질소 유량 조정 밸브(19)는 폐쇄한다. 소정의 연소를 행한 후, 가스 터빈 연소기의 연료를 오일 연료로부터 가스 연료로 전환한다. 이 연료 전환은 부분 부하의 상태에서 행한다. 먼저, 파일럿 버너 질소 유량 조정 밸브(18), 메인 버너 질소 유량 조정 밸브(19)를 소정 개방도 개방하여, 질소 가스 퍼지를 소정 시간 행한다. 그 후, 파일럿 버너 질소 유량 조정 밸브(18), 메인 버너 질소 유량 조정 밸브(19)를 폐쇄하고, 비교예에서는, F1 버너[파일럿 버너(38)]의 동축 분류 버너에서 착화되지 않는 연료 유량에 상당하는 개방도가 되도록 파일럿 버너 가스 연료 유량 조정 밸브(13)를 개방 동작하고, F1 버너의 가스 연료 공급 계통[파일럿 버너 가스 연료 유량 조정 밸브(13)로부터 파일럿 버너 가스 연료 배관(11), 파일럿 가스 매니폴드(31), 가스 연료 노즐(35)까지 사이]에 가스 연료를 충전한다(F1 프리필). F1 프리필의 시간은 가스 연료 공급 계통의 체적에 의해 결정된다.
F1 프리필 종료 후, 오일 연료 유량 조정 밸브(9)를 서서히 폐쇄하여 F1 버너에 있어서의 오일 연료를 서서히 감소시킴과 동시에 파일럿 버너 가스 연료 유량 조정 밸브(13)를 서서히 개방하여 F1 버너에 있어서의 가스 연료를 서서히 증가시킨다(F1 연료 전환 개시). 이 연료 전환 과정에서 F1 버너의 동축 분류 버너에 착화되어 F1 가스 화염이 형성된다. 오일 연료를 소정 유량까지 감소하고, F1 버너의 가스 연료를 소정 유량(예를 들어 완전 개방 또는 절반 개방 유량)까지 증가시킨 후, F1 버너에서 소정 시간 혼소를 행한다. 그 후, F2 프리필 개시 전에 메인 버너 질소 유량 조정 밸브(19)를 소정 개방도 개방하여, 다시 F2 버너에 대하여 질소 가스 퍼지를 소정 시간 행한다. 그 후, 메인 버너 질소 유량 조정 밸브(19)를 폐쇄하고, F2 버너에서 착화되지 않는 연료 유량에 상당하는 개방도가 되도록 메인 버너 가스 연료 유량 조정 밸브(14)를 개방 동작하여, F2 버너의 가스 연료 공급 계통[메인 버너 가스 연료 유량 조정 밸브(14)로부터 메인 버너 가스 연료 배관(12), 메인 가스 매니폴드(29, 30), 가스 연료 노즐(35)까지 사이]에 가스 연료를 충전한다(F2 프리필). F2 프리필의 시간은 가스 연료 공급 계통의 체적에 의해 결정된다. F2 프리필 종료 후, 오일 연료 유량 조정 밸브(9)를 다시 서서히 폐쇄하여 F1 버너에 있어서의 오일 연료를 다시 서서히 감소시킴과 동시에 메인 버너 가스 연료 유량 조정 밸브(14)를 서서히 개방하여 F2 버너에 있어서의 가스 연료를 서서히 증가시킨다(F2 연료 전환 개시). F1 버너에 대해서는 가스 연료 유량을 F1 혼소의 시점에서 소정 유량으로 하고 있는 경우에는 파일럿 버너 가스 연료 유량 조정 밸브(13)의 개방도를 유지하고, 절반 개방 유량으로 하고 있는 경우에는, 파일럿 버너 가스 연료 유량 조정 밸브(13)의 개방도를 다시 서서히 개방하여 F2 버너의 가스 연료 증가와 함께 가스 연료를 증가시킨다. F2 연료 전환 과정에서 F2 버너에 착화되어 F2 가스 화염이 형성된다. 오일 연료 유량 조정 밸브(9)가 완전 폐쇄되고, 메인 버너 가스 연료 유량 조정 밸브(14)가 소정 개방도가 된 시점에서 연료 전환이 완료된다.
이와 같은 연료 전환 로직에서 오일 연료로부터 가스 연료로의 연료 전환을 행하면, 배기 가스 중의 매진 농도가 짙어져 배기 가스를 가시화할 수 있게 되는 경우가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F1 연료 전환 개시 후(F1 버너의 동축 분류 버너에 착화 후), F2 연료 전환 개시까지(F2 버너에 착화될 때까지의 동안), 즉, F1 버너에서 오일 연소에 더하여 가스 연소가 행해지고 있는 동안(F1 버너에 의한 혼소 국면), 배기 가스가 가시화(유색 연화)될 정도로 매진량이 증가하였다.
본 발명자들의 검토에 따르면, 비교예에서는, 연료 전환 시(도 4에 있어서의 F1 연료 전환 개시로부터 F2 연료 전환 개시까지) 다음과 같은 현상이 일어난다고 생각된다.
가스 연료는 오일 연료와 비교하여 연소되기 쉬운 점에서, 가스 연료의 연소에 있어서 산소의 대부분을 소비하여, 오일 연료에 충분한 산소가 공급되지 않는 상태가 된다. 오일 연소의 산화 반응이 촉진되지 않기 때문에 매진의 발생량이 증가한다고 생각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가스 터빈 연소기의 운전 방법에 있어서의 연료 전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가스 터빈 연소기의 운전 방법에 있어서의 연료 전환 로직과 매진량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파일럿 버너(F1 버너)(38)에서의 연소를 오일 연소로부터 가스 연소로 전환할 때, 메인 버너(F2 버너)(39)에 가스 연료를 공급하여 메인 버너에서 가스 연소를 개시하고, 그 후, 파일럿 버너에 가스 연료를 공급하여 파일럿 버너에서 가스 연소를 개시하도록 하고 있다.
비교예와 마찬가지로, F1 버너의 오일 연료 노즐(37)로부터 오일 연료를 분사하여 점화 플러그(32)에 의해 착화하고, 가스 터빈 연소기에 의해 연소 가스를 생성하여, 가스 터빈을 기동한다. 이때, 파일럿 버너 가스 연료 유량 조정 밸브(13), 메인 버너 가스 연료 유량 조정 밸브(14), 파일럿 버너 질소 유량 조정 밸브(18), 메인 버너 질소 유량 조정 밸브(19)는 폐쇄한다. 소정의 연소를 행한 후, 가스 터빈 연소기의 연료를 오일 연료로부터 가스 연료로 전환한다. 이 연료 전환은 부분 부하의 상태에서 행한다.
먼저, 파일럿 버너 질소 유량 조정 밸브(18), 메인 버너 질소 유량 조정 밸브(19)를 소정 개방도 개방하여, 질소 가스 퍼지를 소정 시간 행한다. 그 후, 메인 버너 질소 유량 조정 밸브(19)를 폐쇄하고, F2 버너에서 착화되지 않는 연료 유량에 상당하는 개방도가 되도록 메인 버너 가스 연료 유량 조정 밸브(13)를 개방 동작하여, F2 버너의 가스 연료 공급 계통[메인 버너 가스 연료 유량 조정 밸브(14)로부터 메인 버너 가스 연료 배관(12), 메인 가스 매니폴드(29, 30), 가스 연료 노즐(35)까지 사이]에 가스 연료를 충전한다(F2 프리필). F2 프리필의 시간은 가스 연료 공급 계통의 체적에 의해 결정된다. F2 프리필 종료 후, 오일 연료 유량 조정 밸브(9)를 서서히 폐쇄하여 F1 버너에 있어서의 오일 연료를 서서히 감소시킴과 동시에 메인 버너 가스 연료 유량 조정 밸브(14)를 서서히 개방하여 F2 버너에 있어서의 가스 연료를 서서히 증가시킨다(F2 연료 전환 개시). 이 시점에서, F1 버너에는 가스 연료가 공급되고 있지 않다[파일럿 버너 가스 연료 유량 조정 밸브(13)가 완전 폐쇄]. F2 연료 전환 과정에서 F2 버너에 착화되어 F2 가스 화염이 형성된다.
F2 프리필, F2 연료 전환의 과정에서, 파일럿 버너 질소 유량 조정 밸브(18)는 개방된 채여도 되고, 폐쇄된 채여도 된다.
F1 버너의 오일 연소에 있어서, 매진의 발생량이 많은 경우에는, 파일럿 버너 질소 유량 조정 밸브(18)를 개방하는 편이 매진량의 저감에 유효한 경우도 있다.
F2 프리필의 과정에서는 F2 버너에 의한 착화를 효과적 방지한다는 관점에서 파일럿 버너 질소 유량 조정 밸브(18)를 개방한 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2 연료 전환의 과정에서는, F2 버너에서 착화되기 쉽게 한다는 관점에서 파일럿 버너 질소 유량 조정 밸브(18)를 폐쇄하는 편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일 연료를 소정 유량까지 감소하고, F2 버너의 가스 연료를 소정 유량(예를 들어 완전 개방 유량)까지 증가시킨다(F2 연료 전환 완료). 그 후, F1 버너에 의한 오일 연소와 F2 버너에 의한 가스 연소의 혼소를 소정 시간 행한다. 이 혼소 시간은 비교예에 있어서의 F1 버너에 의한 F1 혼소의 시간보다도 짧은 시간으로 하고 있다(예를 들어 비교예에서는 100초 정도이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십수초 정도임). 단시간인 점에서, 도 5에서는 F2 연료 전환 완료 후의 혼소의 도시를 생략하였다. 또한, 혼소를 행하지 않고 연료 전환 완료 후, 바로 후술하는 F1 프리필을 개시하도록 해도 된다. 혼소 시, 파일럿 버너 질소 유량 조정 밸브(18)는 개방해도 되고, 폐쇄해도 된다. 상세는 후술하지만, F1 프리필 개시까지는 파일럿 버너 질소 유량 조정 밸브(18)는 개방해 두는 편이 매진의 발생 억제를 보다 확실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다음에, F1 프리필을 행한다. 상술한 혼소 시, 파일럿 버너 질소 유량 조정 밸브(18)가 폐쇄된 경우에는 F1 프리필 전에 질소 가스 퍼지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1 버너[파일럿 버너(38)]의 동축 분류 버너로 착화되지 않는 연료 유량에 상당하는 개방도가 되도록 파일럿 버너 가스 연료 유량 조정 밸브(13)를 개방 동작하여, F1 버너의 가스 연료 공급 계통[파일럿 버너 가스 연료 유량 조정 밸브(13)로부터 파일럿 버너 가스 연료 배관(11), 파일럿 가스 매니폴드(31), 가스 연료 노즐(35)까지 사이]에 가스 연료를 충전한다(F1 프리필). F1 프리필의 시간은 가스 연료 공급 계통의 체적에 의해 결정된다.
F1 프리필 종료 후, 오일 연료 유량 조정 밸브(9)를 다시 서서히 폐쇄하여 F1 버너에 있어서의 오일 연료를 서서히 감소시킴과 동시에 파일럿 버너 가스 연료 유량 조정 밸브(13)를 서서히 개방하여 F1 버너에 있어서의 가스 연료를 서서히 증가시킨다(F1 연료 전환 개시). 이 연료 전환 과정에서 F1 버너의 동축 분류 버너에 착화되어 F1 가스 화염이 형성된다. 오일 연료 유량 조정 밸브(9)가 완전 폐쇄되고, 파일럿 버너 가스 연료 유량 조정 밸브(13)가 소정 개방도(예를 들어 완전 개방)가 된 시점에서 연료 전환이 완료된다(F1 연료 전환 완료).
이와 같은 연료 전환 로직으로 오일 연료로부터 가스 연료로의 연료 전환을 행하면, 배기 가스의 매진량이 억제되어, 배기 가스의 가시화를 억제할 수 있다. 즉,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F1 버너에 의한 연료 전환 전에 F2 버너에 의한 가스 연소를 개시하도록 하면, 혼소 시에서도 매진량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F1 연료 전환 전에 F2 연료 전환을 행한 경우, F2 버너의 F2 화염에 의해 오일 연료의 산화 반응을 촉진시킬 수 있어, 매진의 배출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F2 연료 전환 후에 F1 버너에 의한 혼소가 개시되어도, F2 연료 가스가 동시 투입되고 있는 상태이므로, F2 화염에 의해 마찬가지로 오일 연료의 산화 반응을 촉진시킬 수 있어, 매진의 배출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F1 연료 전환 시에는, F2 연료 전환의 과정에서 오일 연료의 연료 유량이 이미 저하되어 있으므로, F1 혼소에 기인하는 매진의 발생량도 억제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F2 연료 전환을 행하고 나서 F1 연료 전환을 행하고 있다. F2 연료 전환 시에는, F1 연료 가스가 공급되지 않는다. 따라서, F2 연료 전환 시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F1 버너[파일럿 버너(38)]의 동축 분류 버너에 질소 가스를 공급할 수 있다. F1 버너의 오일 연소와 F2 버너의 가스 연소의 혼소가 행해지고 있을 때, F1 버너[파일럿 버너(38)]의 동축 분류 버너에 질소 가스를 공급하면, 오일 방울로부터 오일 화염이 리프트한 상태로 되고, 기화한 연료와 메인 버너로부터의 공기가 혼합하여, 국소의 화염 온도가 낮아지고, 이에 의해 매진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다음에, 도 6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버너의 정면도이다. 오일 연료 노즐(37), 파일럿 버너(38), 메인 버너(39A 내지 39F)의 구성은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제2 실시예에서는 메인 버너(39)의 연료 계통을 복수개로 구성한 것이다.
본 실시예와 같은 연소기에서는 가스 터빈의 운전 상태에 있어서, 파일럿 버너와 메인 버너에 연료를 공급하여 가스 터빈을 운전하지만, 저NOx화와 안정 연소를 양립하기 위해서는, 메인 버너는, 부하에 따라서 가스 연료가 분사되도록, 복수의 그룹으로 나누어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버너(39A, 39C, 39E)의 그룹(F2 버너)과, 메인 버너(39B, 39D, 39F)의 그룹(F3 버너)으로 나눈다. F2 버너, F3 버너의 호칭에 맞추어 파일럿 버너를 F1 버너라 호칭한다. 부분 부하 시에는, F1 버너 또는 F1 버너와 F2 버너로 연소를 행하도록 한다. 메인 버너를 F2 버너, F3 버너로 나눈 경우에는, 메인 가스 매니폴드를 F2용과 F3용으로 나누어 구성하고, 가스 연료 공급 계통을 그것에 맞추어 복수로 분기시킨다. 또한, F2 버너, F3 버너를 각각 중앙부측의 F2-1 버너, F3-1 버너, 외주측을 F2-2 버너, F3-2 버너로 나누어 부하에 따라서 더욱더 안정된 연소가 가능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에도 메인 매니폴드와 가스 연료 공급 계통을 그것에 맞추어 나누어 구성한다. 본 실시예는, 연소기 버너를, F1 버너, F2-1 버너, F2-2 버너, F3-1 버너, F3-2 버너로 구성하고, F1 버너가 오일 연소와 가스 연소가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제1 실시예에서는, F1 버너를 오일 연소로부터 가스 연소로 전환하기 전에 F2 버너를 연소시켜, F1 버너로부터 발생하는 매진량을 억제하였다. 제2 실시예에서는 제1 실시예에 상당하는 F2 버너를, F2-1, F3-1, F2-2, F3-2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환하는 가스 터빈의 부하에 따라서는, F2 버너로서 F2-1, F3-1을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F2-1, F3-1은 메인 버너의 중앙에 위치하고, 확산 연소와 같은 연소 방식도 가능하기 때문에, 오일 연소로부터 F2 버너로 전환할 때 안정된 연소 상태를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제1, 제2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변형예가 포함된다. 예를 들어, 상기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기 위해 상세하게 설명한 것이며, 반드시 설명한 모든 구성을 구비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어떤 실시예의 구성의 일부를 다른 실시예의 구성으로 치환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어떤 실시예의 구성에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추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실시예의 구성의 일부에 대하여, 다른 구성의 추가, 삭제, 치환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가스 터빈 연소기는, 상술한 바와 같이 IGCC 외에, 제철 플랜트로부터 얻어지는, 수소를 포함하는 부생 가스인 코크스로 가스(COG : Coke Oven Gas), 용광로 가스(BFG : Blast Furnace Gas), 전로 가스(LDG : Linzer Donawitz Gas) 혹은 이들의 혼합 가스를 연료로서 사용하는 가스 터빈이나, 석유 제유소의 나프타 분해 플랜트 등으로부터 얻어지는, 수소를 포함하는 부생 가스를 연료로 하는 가스 터빈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가스 터빈 연소기로서는, 연소기 중심부에 설치된 확산 연소용 연료 분출 노즐을 갖는 파일럿 버너와, 그 외주에 설치된 연료와 공기의 혼합기를 분출하는 환상의 예비 혼합 노즐을 갖는 메인 버너로 이루어지는 연소기(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평7-280267호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은 연소기)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 파일럿 버너에는 오일 연료 분출 노즐과 가스 연료 분출 노즐이 구비된 오일 연소ㆍ가스 연소의 양쪽이 가능한 버너로 한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메인 버너는 가스 연소의 버너이지만, 메인 버너도 오일 연소와 가스 연소의 양쪽이 가능한 구조여도 된다. 가스 연료를 이용할 수 없는 상황의 경우에, 메인 버너도 오일 연료를 연소할 수 있으면, 터빈 플랜트의 운용의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 경우, 파일럿 버너에서 오일 연소로부터 가스 연소로 연료를 전환할 때, 메인 버너에서 가스 연소를 행하게 하면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질소 가스 퍼지를 행하고 있지만, 다른 불활성 가스를 사용하여 퍼지를 행하도록 해도 된다.
1 : 압축기
2 : 가스 터빈
3 : 연소기
4 : 압축 공기
5 : 오일 연료 공급 장치
6 : 가스 연료 공급 장치
7 : 질소 공급 장치
8 : 오일 연료 배관
9 : 오일 연료 유량 조정 밸브
10 : 가스 연료 배관
11 : 파일럿 버너 가스 연료 배관
12 : 메인 버너 가스 연료 배관
13 : 파일럿 버너 가스 연료 유량 조정 밸브
14 : 메인 버너 가스 연료 유량 조정 밸브
15 : 질소 공급 배관
16 : 파일럿 버너 질소 공급 배관
17 : 메인 버너 질소 공급 배관
18 : 파일럿 버너 질소 유량 조정 밸브
19 : 메인 버너 질소 유량 조정 밸브
20 : 연소 가스
21 : 배기 가스
22 : 굴뚝
23 : 발전기
24 : 차실
25 : 미통
26 : 내통
27 : 외통
28 : 엔드 커버
29 : 메인 가스 매니폴드
30 : 메인 가스 매니폴드
31 : 파일럿 가스 매니폴드
32 : 점화 플러그
33 : 공기 구멍 플레이트
34 : 공기 구멍
35 : 가스 연료 노즐
36 : 시일 부재
37 : 오일 연료 노즐
38 : 파일럿 버너
39A 내지 39F : 메인 버너
40 : 제어 장치

Claims (4)

  1. 파일럿 버너와, 상기 파일럿 버너의 외주에 배치된 메인 버너로 구성되고, 상기 파일럿 버너는 오일 연소와 가스 연소가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메인 버너는 적어도 가스 연소가 가능하게 구성된 가스 터빈 연소기의 운전 방법이며,
    정격 부하보다 부하가 낮은 부분 부하 조건에서 상기 파일럿 버너에 의한 연소를 오일 연소로부터 가스 연소로 전환할 때,
    상기 메인 버너에 가스 연료를 공급하여 메인 버너에서 가스 연소를 개시하고, 그 후, 상기 파일럿 버너에 가스 연료를 공급하여 파일럿 버너에서 가스 연소를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터빈 연소기의 운전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버너에 가스 연료를 공급하여 메인 버너에서 가스 연소를 행하는 과정에서 상기 파일럿 버너의 가스 연소를 행하는 버너에 불활성 가스를 공급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터빈 연소기의 운전 방법.
  3. 파일럿 버너와, 상기 파일럿 버너의 외주에 배치된 메인 버너로 구성되고, 상기 파일럿 버너는 오일 연소와 가스 연소가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메인 버너는 적어도 가스 연소가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파일럿 버너의 오일 연료 노즐에 오일 연료를 공급하는, 오일 연료 유량 조정 밸브를 구비한 오일 연료 공급 계통과,
    상기 파일럿 버너의 가스 연료 노즐에 가스 연료를 공급하는, 파일럿 버너 가스 연료 유량 조정 밸브를 구비한 파일럿 버너 가스 연료 공급 계통과,
    상기 메인 버너의 가스 연료 노즐에 가스 연료를 공급하는, 메인 버너 가스 연료 유량 조정 밸브를 구비한 메인 버너 가스 연료 공급 계통과,
    상기 오일 연료 유량 조정 밸브, 상기 파일럿 버너 가스 연료 유량 조정 밸브 및 상기 메인 버너 가스 연료 유량 조정 밸브에 그것들의 개방도를 제어하는 제어 지령을 내리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정격 부하보다 부하가 낮은 부분 부하 조건에서 상기 파일럿 버너에 의한 연소를 오일 연소로부터 가스 연소로 전환할 때, 상기 오일 연료 유량 조정 밸브에 개방도를 서서히 폐쇄하는 지령을 내림과 함께, 상기 메인 버너 가스 연료 유량 조정 밸브의 개방도를 서서히 개방하는 지령을 내리고, 그 후, 상기 메인 버너 가스 연료 유량 조정 밸브를 개방한 채로, 상기 파일럿 버너 가스 연료 유량 조정 밸브에 서서히 개방하는 지령을 내림과 함께, 상기 오일 연료 유량 조정 밸브에 개방도를 완전 폐쇄로 하는 지령을 내리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터빈 연소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럿 버너의 가스 연료 노즐에 불활성 가스를 공급하는, 불활성 가스 유량 조정 밸브를 구비한 불활성 가스 공급 계통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메인 버너 가스 연료 유량 조정 밸브를 개방하여 메인 버너에서 화염이 형성되고 나서 상기 파일럿 버너 가스 연료 유량 조정 밸브를 개방하기 전에, 상기 불활성 가스 유량 조정 밸브를 개방하는 지령을 내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터빈 연소기.
KR1020170136223A 2016-10-24 2017-10-20 가스 터빈 연소기 및 그 운전 방법 KR1020381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207772A JP6779097B2 (ja) 2016-10-24 2016-10-24 ガスタービン燃焼器及びその運転方法
JPJP-P-2016-207772 2016-10-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4811A KR20180044811A (ko) 2018-05-03
KR102038198B1 true KR102038198B1 (ko) 2019-10-29

Family

ID=60182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6223A KR102038198B1 (ko) 2016-10-24 2017-10-20 가스 터빈 연소기 및 그 운전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794296B2 (ko)
EP (1) EP3312507B1 (ko)
JP (1) JP6779097B2 (ko)
KR (1) KR102038198B1 (ko)
CN (1) CN107975429B (ko)
RU (1) RU2674836C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07545B2 (en) * 2017-06-27 2021-02-02 General Electric Company Cooling system for a turbine engine
CN109357287A (zh) * 2018-11-21 2019-02-19 贵州智慧能源科技有限公司 分段式火箭发动机燃烧室及动力驱动装置
US11486303B2 (en) * 2019-05-15 2022-11-01 Pratt & Whitney Canada Corp. System and method for purging a fuel manifold of a gas turbine engine using a pump
US11486317B2 (en) * 2019-08-30 2022-11-01 General Electric Company Gas turbine fuel system
JP7200077B2 (ja) * 2019-10-01 2023-01-06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ガスタービン燃焼器及びその運転方法
JP2021063464A (ja) * 2019-10-15 2021-04-22 三菱パワー株式会社 ガスタービン燃焼器
JP7245150B2 (ja) * 2019-12-16 2023-03-23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ガスタービン燃焼器
US20210301736A1 (en) * 2020-03-30 2021-09-30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of operating a combustor head end assembly
US11306661B1 (en) * 2020-12-04 2022-04-19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s and apparatus to operate a gas turbine engine with hydrogen gas
US11506388B1 (en) * 2021-05-07 2022-11-22 General Electric Company Furcating pilot pre-mixer for main mini-mixer array in a gas turbine engine
WO2023140183A1 (ja) * 2022-01-20 2023-07-27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ガスタービン燃焼器の制御方法及びガスタービン燃焼器の制御装置
GB202205355D0 (en) * 2022-04-12 2022-05-25 Rolls Royce Plc Gas turbine operation
GB202205356D0 (en) * 2022-04-12 2022-05-25 Rolls Royce Plc transitional range
KR102599129B1 (ko) * 2022-11-25 2023-11-07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부분 예혼합 유로계를 통한 역화방지용 수소 보일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38108A (ja) * 2014-08-05 2016-03-22 三菱日立パワ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ガスタービン燃焼器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241162A1 (de) * 1982-11-08 1984-05-10 Kraftwerk Union AG, 4330 Mülheim Vormischbrenner mit integriertem diffusionsbrenner
JPH0621572B2 (ja) * 1984-12-14 1994-03-2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ガスタービンプラントの起動方法及びガスタービンプラント
JP2856860B2 (ja) * 1990-07-31 1999-02-10 株式会社東芝 ガスタービン設備
JP2954480B2 (ja) 1994-04-08 1999-09-2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ガスタービン燃焼器
JPH11210492A (ja) 1998-01-20 1999-08-03 Toshiba Corp ガスタービンプラントの燃料供給装置、その装置の暖機運転方法および冷却運転方法
JPH11210494A (ja) * 1998-01-26 1999-08-03 Toshiba Corp ガスタービン燃料供給装置のパージ装置およびパージ装置の運転方法
GB2333832A (en) * 1998-01-31 1999-08-04 Europ Gas Turbines Ltd Multi-fuel gas turbine engine combustor
EP0939220B1 (de) * 1998-02-26 2003-11-12 ALSTOM (Switzerland) Ltd Verfahren zum sicheren Entfernen von Flüssigbrennstoff aus dem Brennstoffsystem einer Gasturbine sowie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JP2002349854A (ja) * 2001-05-30 2002-12-04 Mitsubishi Heavy Ind Ltd ガスタービン燃焼器のパイロットノズルおよび供給路変換器
US7143583B2 (en) * 2002-08-22 2006-12-05 Hitachi, Ltd. Gas turbine combustor, combustion method of the gas turbine combustor, and method of remodeling a gas turbine combustor
JP4509742B2 (ja) * 2004-11-04 2010-07-2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ガスタービン発電設備
JP4728176B2 (ja) * 2005-06-24 2011-07-2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バーナ、ガスタービン燃焼器及びバーナの冷却方法
US8028529B2 (en) * 2006-05-04 2011-10-04 General Electric Company Low emissions gas turbine combustor
US7934380B2 (en) * 2006-10-26 2011-05-03 Rolls-Royce Power Engineering Plc Method and apparatus for isolating inactive fuel passages
US7770400B2 (en) * 2006-12-26 2010-08-10 General Electric Company Non-linear fuel transfers for gas turbines
EP1944547A1 (en) * 2007-01-15 2008-07-16 Siemens Aktiengesellschaft Method of controlling a fuel split
EP2225488B1 (de) * 2007-11-27 2013-07-17 Alstom Technology Ltd Vormischbrenner für eine gasturbine
JP5063538B2 (ja) * 2008-09-10 2012-10-3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ガスタービンの燃料供給方法
JP4997217B2 (ja) * 2008-12-05 2012-08-0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ガスタービンの運転方法及びガスタービン燃焼器
EP2299091A1 (en) * 2009-09-07 2011-03-23 Alstom Technology Ltd Method for Switching over a Gas Turbine Burner Operation from Liquid to Gas Fuel and Vice-Versa
JP5084847B2 (ja) * 2010-01-13 2012-11-2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ガスタービン燃焼器
JP5558168B2 (ja) 2010-03-30 2014-07-23 三菱重工業株式会社 燃焼器及びガスタービン
EP2423591B1 (en) * 2010-08-24 2018-10-31 Ansaldo Energia IP UK Limited Method for operating a combustion chamber
EP2634395B1 (en) * 2010-10-28 2016-12-07 Mitsubishi Hitachi Power Systems, Ltd. Gas turbine
JP5631223B2 (ja) 2011-01-14 2014-11-26 三菱重工業株式会社 燃料ノズル、これを備えたガスタービン燃焼器およびこれを備えたガスタービン
EP2551470A1 (de) * 2011-07-26 2013-01-30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Hochfahren einer stationären Gasturbine
JP5438727B2 (ja) * 2011-07-27 2014-03-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燃焼器、バーナ及びガスタービン
JP5946690B2 (ja) * 2012-05-02 2016-07-06 三菱日立パワ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ガスタービン燃焼器のパージ方法及びパージ装置
US20130340438A1 (en) * 2012-06-22 2013-12-26 Solar Turbines Incorporated Method of reducing combustion induced oscillations in a turbine engine
US20140000274A1 (en) * 2012-06-29 2014-01-02 Ram Srinivasan Methods and apparatus for co-firing fuel
JP6023566B2 (ja) 2012-11-26 2016-11-09 三菱日立パワ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ガスタービン燃焼器及びその運転方法
JP6190670B2 (ja) 2013-08-30 2017-08-30 三菱日立パワ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ガスタービン燃焼システム
DE112015002636B4 (de) * 2014-06-03 2022-06-15 Mitsubishi Power, Ltd. Verfahren zum Spülen eines Kraftstoffkanals, Spülvorrichtung zur Ausführung des Verfahrens und Gasturbineninstallation mit der Spülvorrichtung
JP2016075448A (ja) 2014-10-08 2016-05-12 川崎重工業株式会社 ガスタービンエンジンの燃焼器及びその運転方法
RU2591361C1 (ru) * 2015-01-13 2016-07-20 Николай Борисович Болотин Двигательная установка гиперзвукового самолета
JP2017186950A (ja) * 2016-04-05 2017-10-12 三菱日立パワ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ガスタービン燃焼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38108A (ja) * 2014-08-05 2016-03-22 三菱日立パワ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ガスタービン燃焼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975429A (zh) 2018-05-01
EP3312507A1 (en) 2018-04-25
JP2018071354A (ja) 2018-05-10
US10794296B2 (en) 2020-10-06
KR20180044811A (ko) 2018-05-03
RU2674836C1 (ru) 2018-12-13
JP6779097B2 (ja) 2020-11-04
US20180112604A1 (en) 2018-04-26
EP3312507B1 (en) 2019-08-14
CN107975429B (zh) 2020-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8198B1 (ko) 가스 터빈 연소기 및 그 운전 방법
JP4728176B2 (ja) バーナ、ガスタービン燃焼器及びバーナの冷却方法
JP5075900B2 (ja) 水素含有燃料対応燃焼器および、その低NOx運転方法
JP6190670B2 (ja) ガスタービン燃焼システム
EP1503142B1 (en) Operating method for coal gasification combined cycle power plant
KR101888790B1 (ko) 가스 터빈 연소기
EP2551596B1 (en) Combustor, burner, and gas turbine
JP6262616B2 (ja) ガスタービン燃焼器
JP5889754B2 (ja) ガスタービン燃焼器
JP6285807B2 (ja) ガスタービン燃焼器
JP6978855B2 (ja) ガスタービン燃焼器およびその運転方法
JP4997217B2 (ja) ガスタービンの運転方法及びガスタービン燃焼器
JP2012031730A (ja) ガスタービン燃焼器の低NOx燃焼方法
JP6474951B2 (ja) 燃焼器
CN112594734A (zh) 燃气轮机燃烧器
JP2012037104A (ja) ガスタービン燃焼器
JP2016075448A (ja) ガスタービンエンジンの燃焼器及びその運転方法
JP2015034649A (ja) ガスタービン燃焼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