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7346B1 - 용접기 캐리지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용접기 캐리지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7346B1
KR102037346B1 KR1020170178758A KR20170178758A KR102037346B1 KR 102037346 B1 KR102037346 B1 KR 102037346B1 KR 1020170178758 A KR1020170178758 A KR 1020170178758A KR 20170178758 A KR20170178758 A KR 20170178758A KR 102037346 B1 KR102037346 B1 KR 1020373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pin
fixing
carriage
welder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87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6720A (ko
Inventor
허광옥
한상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701787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7346B1/ko
Publication of KR201900767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67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73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73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82Carriages forming part of a welding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06Safet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11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travelling on a guide member, e.g. rail, trac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 Machines For Laying And Maintaining Railways (AREA)

Abstract

용접기의 점검 시 용접기 캐리지를 기계적으로 간편하게 고정하거나 점검 완료 시 고정 해제하여 용접 작업성을 높여줄 수 있도록, 용접기를 이동시키는 캐리지에 설치되어 캐리지를 용접기 점검 위치에 고정시키는 록킹 핀, 및 상기 록킹 핀을 선택적으로 클램핑하는 고정부재가 설치된 고정부를 포함하는 용접기 캐리지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용접기 캐리지 고정장치{APPARATUS FOR FIXING CARRIAGE OF WELDING MACHINE}
용접기 점검 시 용접기를 일정 위치에 고정하는 고정장치를 개시한다.
일반적으로 산업분야에서 사용되는 용접기는 가스, 아크, 전기, 저항열, 마찰열 등의 열원을 이용하여 용접부위를 용융상태로 하여 접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용접기는 가열한 부재 또는 상온 상태의 부재를 서로 접촉시키고 인가된 전압에 의거하여 부재에 압력을 가하여 상호 접합시킬 수 있다.
상기 용접기 중 강판을 연속으로 생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용접기(Seam Welder)는 저항용접을 통해 강판을 용접하게 된다.
상기 저항용접은 두 개의 판을 겹쳐 가압하여 순간적으로 전극간에 고전류를 흘려주게 된다. 이에 따라 전류가 집중하는 전극 직하의 모재에 저항 발열이 일어나고, 전극 및 모재에서의 열전도를 이용하여 판과 판 사이의 접촉부에 용접부를 형성한다.
상기 용접기는 용접기 캐리지에 올려져 이동되면서 강판의 용접 작업을 수행한다. 상기 용접기 캐리지는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용접기를 용접 위치에 위치시킨다.
상기 용접기는 용접 휠의 교체, 휠 연마작업 및 설비의 점검을 위하여 수시로 정지한다. 상기 용접기의 정비작업을 위하여 용접기 캐리지를 일정 위치에 고정하여야 한다. 상기 용접기 캐리지의 고정을 위하여 용접기 캐리지를 일정 위치에 설치된 고정대에 연결한다.
상기 용접기의 점검이 완료되고, 용접기가 가동되는 경우, 상기 용접기 캐리지의 고정을 해제하지 않으면, 용접기의 비정상 작동으로 갑자기 라인을 정지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이 갑작스러운 용접 라인의 정지로 설비에 무리를 주거나 작업자의 안전을 위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접기의 고정을 위해 상기 용접기 캐리지를 고정대에 수시로 고정하거나 고정해제 하여야 하기 때문에 작업자의 작업성이 저하된다.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상기 용접기 캐리지를 고정대에 고정하거나 고정해제 작업을 반복하는 어려움이 있다.
용접기의 점검 시 용접기 캐리지를 기계적으로 간편하게 고정하거나 점검 완료 시 고정 해제하여 용접 작업성을 높여주는 용접기 캐리지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용접기 캐리지 고정장치는, 용접기를 이동시키는 캐리지에 설치되어 캐리지를 용접기 점검 위치에 고정시키는 록킹 핀, 및 상기 록킹 핀을 선택적으로 클램핑하는 고정부재가 설치된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록킹 핀은 상기 고정부재 쪽으로 록킹 핀을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는 상기 록킹 핀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록킹 핀과 연동되는 이동 바, 상기 캐리지의 내측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록킹 핀과 상기 이동 바를 수용하는 본체, 및 상기 록킹 핀과 상기 이동 바의 후방을 서로 연결하면서 그 내부에 작동유가 채워진 작동유 이동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상기 록킹 핀과 상기 이동 바를 각각 수용하는 상부 홈 및 하부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록킹 핀은 후단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홈에서 록킹 핀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톱퍼 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상기 록킹 핀의 외측에 설치되어 록킹 핀의 이동을 안내하고, 상기 상부 홈 내부의 기밀을 유지하는 상부 차단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바는 상기 하부 홈의 전방에 배치되는 외측 돌기 및 상기 작동유 이동관의 작동유와 접촉되는 내측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상기 이동 바의 외측에 설치되어 이동 바의 이동을 안내하고, 상기 하부 홈 내부의 기밀을 유지하는 하부 차단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바닥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부재를 지지하는 고정대, 및 상기 고정부재의 외측에 삽입되어 고정부재를 오므려 상기 록킹 핀을 고정하는 고정 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고정대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 바를 밀어줌으로써 상기 작동유 이동관의 작동유를 이동시켜 상기 록킹 핀을 전진하게 하는 터치 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바는 실린더와 연결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전방에 탄력적으로 조립되어 상기 이동 바에 접촉되는 헤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대는 상부에 상기 록킹 핀과 상기 고정부재의 록킹 또는 록킹 해제를 촬영하는 조명 및 카메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는 내측에 상기 록킹 핀의 외측과 접촉되어 록킹 핀을 고정하는 복수의 고정 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는 내측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록킹 핀의 전면과 접촉으로 록킹 핀의 록킹을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장치에 따르면, 용접기의 점검 시 용접기 캐리지를 간편하게 고정하거나 고정 해제함으로써 용접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용접 현장이 아닌 작업실에서 신호를 보내어 용접기 캐리지를 고정하거나 고정 해제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용접기가 고정된 상태에서 용접 라인이 가동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여 용접 설비를 보호할 수 있다. 용접기 점검 작업을 모니터링 하면서 용접기 캐리지를 고정 해제하게 되어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용접기 캐리지 고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용접기 캐리지 고정장치의 록킹 핀 설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용접기 캐리지 고정장치의 터치 바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용접기 캐리지 고정장치의 록킹 핀이 고정부의 고정부재에 삽입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록킹 핀이 고정부재에 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용접기 캐리지 고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용접기 캐리지 고정장치의 록킹 핀 설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접기(도시되지 않음)를 싣고 용접기와 함께 이동하는 캐리지(2)를 일정한 위치에 고정하는 용접기 캐리지 고정장치(1)를 개시한다.
상기 용접기 캐리지 고정장치(1)는 용접기의 점검을 위하여 용접기 가동을 멈추고, 용접기를 일정한 위치에 고정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상기 용접기의 캐리지(2)를 일정 위치에 고정하거나 용접기 점검 후, 고정을 해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용접기 캐리지 고정장치(1)는, 용접기를 이동시키는 캐리지(2)에 설치되어 캐리지(2)를 용접기 점검 위치에 고정시키는 록킹 핀(10), 및 상기 록킹 핀(10)을 선택적으로 클램핑하는 고정부재(21)가 설치된 고정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접기 캐리지 고정장치(1)는 상기 용접기 캐리지(2) 내측에 설치된 상기 록킹 핀(10)이 전진하여 상기 고정부재(21)에 고정되거나, 상기 록킹 핀(10)이 후진하여 상기 고정부재(21)에서 이탈될 수 있다.
여기에서, 록킹 핀(10)의 전진은 도 1의 좌측 방향으로 이동이라고 정의하며, 록킹 핀(10)의 후진은 도 1의 우측 방향으로 이동이라고 정의한다.
상기 고정부(20)는 상기 용접기의 캐리지(2)와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캐리지(2)에서 돌출되는 상기 록킹 핀(10)을 상기 고정부재(21)를 통해 고정할 수 있다.
상기 록킹 핀(10)이 상기 고정부재(21)에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동안 용접기의 점검이 이루어진다. 상기 용접기의 점검이 완료된 경우, 상기 록킹 핀(10)이 상기 고정부재(21)에서 이탈됨으로써 상기 캐리지(2)의 고정이 해제된다.
또한, 상기 록킹 핀(10)은 상기 고정부재(21) 쪽으로 록킹 핀(10)을 이동시키는 이동부(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30)는 상기 록킹 핀(10)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록킹 핀(10)과 연동되는 이동 바(31), 상기 캐리지(2)의 내측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록킹 핀(10)과 상기 이동 바(31)를 수용하는 본체(32), 및 상기 록킹 핀(10)과 상기 이동 바(31)의 후방(도 1의 우측 방향)을 서로 연결하면서 그 내부에 작동유가 채워진 작동유 이동관(3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바(31)는 그 후진을 통해 상기 록킹 핀(10)을 전진시켜 록킹 핀(10)이 상기 고정부재(21)에 삽입되게 한다.
여기에서, 이동 바(31)의 전진은 도 1의 좌측 방향의 이동이라고 정의하고, 이동 바(31)의 후진은 도 1의 우측 방향으로 정의한다.
상기 본체(32)는 상기 록킹 핀(10)과 상기 이동 바(31)를 각각 수용하는 상부 홈(32a) 및 하부 홈(32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32) 내부에 상기 록킹 핀(10)과 상기 이동 바(31)가 상하방향으로 각각 설치된다. 상기 록킹 핀(10)은 상기 본체(32)의 상부 홈(32a)에 기밀을 유지하면서 설치된다. 상기 이동 바(31)는 상기 본체(32)의 하부 홈(32b)에 기밀을 유지하면서 설치된다.
즉, 상기 록킹 핀(10)과 상기 이동 바(31)는 서로 연동되는 구조이다. 상기 이동 바(31)가 후진하면 상기 록킹 핀(10)이 전진하고, 상기 이동 바(31)가 전진하면 상기 록킹 핀(10)이 후진하게 된다.
상기 록킹 핀(10)과 상기 이동 바(31)는 작동유가 접촉된 상태로 설치된다. 상기 작동유는 상기 록킹 핀(10)과 상기 이동 바(31)가 서로 연동되게 하는 매개체이다. 상기 이동부(30)는 상기 작동유 이동관(33)의 작동유가 상기 록킹 핀(10) 또는 상기 이동 바(31)를 밀어 록킹 핀(10)이 전진 또는 후진하는 구조이다.
상기 이동 바(31)가 후진하여 상기 작동유 이동관(33) 내부의 작동유를 밀어주면, 상기 작동유가 상기 록킹 핀(10)의 후단(도 1의 우측 단부)을 밀어 록킹 핀(10)을 전진시킨다. 이에 따라 전진한 상기 록킹 핀(10)이 상기 고정부재(21) 내측에 삽입된다.
반대로, 상기 록킹 핀(10)이 상기 고정부재(21)에서 이탈하여 후진하게 되면, 상기 록킹 핀(10)의 후단이 작동유를 밀어 상기 이동 바(31)를 전진시킨다.
상기 록킹 핀(10)과 상기 이동 바(31)는 작동유를 매개로 설치되어 작동유의 이동에 따라 서로 연동되는 구조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록킹 핀(10)은 후단(도 1의 우측 단부)에 설치되어 록킹 핀(10)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톱퍼 링(1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32)는 상기 록킹 핀(10)의 외측에 설치되어 록킹 핀(10)의 이동을 안내하고, 상기 상부 홈(32a) 내부의 기밀을 유지하는 상부 차단부재(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톱퍼 링(11)과 상기 상부 차단부재(34) 사이에 스프링(14)이 개재되어 상기 록킹 핀(10)이 탄력적으로 설치된다. 상기 록킹 핀(10)은 작동유의 밀어줌으로 전진하게 되고, 이 때 상기 스프링(14)은 압축된다. 상기 록킹 핀(10)이 상기 고정부재(21)에서 고정이 해제되면, 상기 스프링(14)의 반발력에 의해 상기 록킹 핀(10)이 후방(도 1의 우측 방향)으로 당겨지게 된다. 상기 록킹 핀(10)의 후진은 상기 스프링(14)에 의해 자동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 차단부재(34)의 내측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 링(15)이 설치된다. 상기 실 링(15)은 상기 작동유 이동관(33)에서 상기 상부 홈(32a)으로 유입된 작동유가 상기 본체(32)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이동 바(31)는 상기 하부 홈(32b)의 전방(도 1의 좌측 방향)에 배치되는 외측 돌기(31a) 및 상기 작동유 이동관(33)의 작동유와 접촉되는 내측 돌기(31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32)는 상기 이동 바(31)의 외측에 설치되어 이동 바(31)의 이동을 안내하고, 상기 하부 홈(32b) 내부의 기밀을 유지하는 하부 차단부재(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측 돌기(31a)와 상기 하부 차단부재(35) 사이에 스프링(16)이 개재되어 상기 이동 바(31)가 탄력적으로 설치된다. 상기 이동 바(31)는 상기 고정부(20)의 밀어줌에 의해 후진하게 되고, 이 때 상기 스프링(16)은 압축된다. 상기 이동 바(31)를 밀어주는 힘이 해제되면, 상기 스프링(16)의 반발력에 의해 상기 이동 바(31)가 상기 하부 홈(32b) 전방으로 이동된다.
상기 하부 차단부재(35)의 내측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 링(도시되지 않음)이 설치된다. 상기 실 링은 상기 작동유 이동관(33)에서 상기 하부 홈(32b)으로 유입된 작동유가 상기 본체(32)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부(20)는 바닥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부재(21)를 지지하는 고정대(22), 및 상기 고정부재(21)의 외측에 삽입되어 고정부재(21)를 오므려 상기 록킹 핀(10)을 고정하는 고정 링(2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대(22)는 바닥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고정부(20)가 상기 캐리지(2)를 마주볼 수 있게 한다. 상기 고정대(22)에 설치된 상기 고정부재(21)는 상기 록킹 핀(10)과 근거리에서 마주보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21)는 경사진 외주면에 복수개의 슬릿 홈(21a)이 구비되어 내측에 삽입되는 상기 록킹 핀(10)에 의해 벌어지는 구조이다. 상기 고정부재(21)는 외측이 상향 경사져 전방으로 갈수록 그 지름이 커지는 형상을 이룬다.
상기 고정부(20)는 상기 고정대(22)에 전진(도 1의 좌측 방향) 또는 후진(도 1의 우측 방향)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고정부재(21)의 외측에 삽입되어 후진 작동으로 고정부재(21)를 오므려 상기 록킹 핀(10)을 고정하는 고정 링(2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 링(23)은 상기 고정대(22)에 설치된 실린더(23a)와 연결되어 실린더(23a)의 동작으로 전진 또는 후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고정 링(23)은 상기 고정대(22)에 설치된 가이드(23b)와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23a)의 작동에 따라 보다 안정된 상태로 동작하게 된다.
상기 고정 링(23)은 내면에 상기 고정부재(21)의 경사진 외주면과 일치하는 경사면이 구비되어 고정 링(23)이 후진하면서 고정부재(21)의 경사진 외주면을 밀어 오므려주는 구조이다. 상기 고정 링(23)은 상기 고정부재(21)의 외측에 삽입되어 상기 실린더(23a)의 작동으로 전진 또는 후진하면서 상기 록킹 핀(10)을 고정하거나 고정 해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부(20)는 상기 고정대(22)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 바(31)를 밀어줌으로써 상기 작동유 이동관(33)의 작동유를 이동시켜 상기 록킹 핀(10)을 후진(도 1의 우측 방향)하게 하는 터치 바(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바(24)는 상기 이동부(30)의 록킹 핀(10)을 돌출시켜 록킹 핀(10)이 상기 고정부재(21)에 고정될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터치 바(24)는 실린더(24a)에 연결되고, 상기 실린더(24a)는 상기 고정대(22)에 연결 설치된다. 상기 실린더(24a)의 동작에 의해 상기 터치 바(24)는 전진(도 1의 좌측 방향) 또는 후진(도 1의 우측 방향)할 수 있다.
상기 용접기의 캐리지(2)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록킹 핀(10)이 상기 고정부재(21)의 전면에 위치하면, 외부 신호에 의해 상기 실린더(24a)가 작동되어 상기 터치 바(24)가 후진한다. 상기 터치 바(24)는 상기 이동 바(31)를 밀어주고, 이에 따라 상기 록킹 핀(10)이 돌출되어 상기 고정부재(21)에 삽입된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용접기 캐리지 고정장치의 터치 바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 바(24)는 실린더(24a)와 연결되는 하우징(24b), 및 상기 하우징(24b) 전방에 탄력적으로 조립되어 상기 이동 바(31)에 접촉되는 헤드(24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바(24)는 실린더(24a)의 작동을 통해 후진하여 상기 이동 바(31)에 탄력적으로 접촉되어 이동 바(31)를 밀어준다. 상기 헤드(24c)는 스프링(25)을 매개로 상기 하우징(24b)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 바(31)를 탄력적으로 밀어줄 수 있다. 상기 헤드(24c)는 상기 하우징(24b)의 후방(도 3의 우측 방향)에 배치되어 전진(도 3의 좌측 방향) 또는 후진(도 3의 우측 방향) 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대(22)는 상부에 상기 록킹 핀(10)과 상기 고정부재(21)의 록킹 또는 록킹 해제를 촬영하는 조명(26) 및 카메라(2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접기 캐리지 고정장치(1)는 현장에 설치되어 상기 록킹 핀(10)이 상기 고정부재(21)에 기계적으로 고정되거나 고정 해제된다. 작업자는 상기 카메라(27)에 촬영되는 영상을 보고 장치를 동작시킬 수 있다. 작업자가 현장에서 직접 상기 용접기 캐리지(2)를 고정하거나 고정 해제하는 것을 배제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보호할 수 있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용접기 캐리지 고정장치의 록킹 핀이 고정부의 고정부재에 삽입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록킹 핀이 고정부재에 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20)의 터치 바(24)가 후진하여 상기 이동부(30)의 이동 바(31)를 밀어주면, 상기 이동 바(31)가 작동유를 밀어주게 된다. 상기 작동유의 힘에 의해 상기 록킹 핀(10)이 전진하여 상기 고정부재(21)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상기 록킹 핀(10)의 삽입을 인지한 후, 상기 고정 링(23)을 후진시켜 상기 고정부재(21)를 오므려 줌으로써 삽입된 상기 록킹 핀(10)을 고정한다.
상기 고정부재(21)의 내측에는 상기 록킹 핀(10)의 외측에 접촉되어 록킹 핀(10)을 고정하는 복수의 고정 돌기(21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 돌기(21b)는 상기 록킹 핀(10)에 접촉되어 외력에 의해 상기 고정부재(21)에서 록킹 핀(10)이 빠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21)의 내측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록킹 핀(10)의 전면과 접촉으로 록킹 핀(10)의 록킹을 감지하는 센서(2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28)는 상기 고정부재(21)의 내측에 삽입되는 상기 록킹 핀(10)과 접촉되어 이를 감지하여 신호를 보내게 된다. 상기 센서(28)의 신호에 의해 상기 록킹 핀(10)이 완전히 삽입되었다는 것을 확인한 후, 상기 고정 링(23)의 실린더(23a)를 동작시킨다.
상기 실린더(23a)의 동작으로 상기 고정 링(23)이 후진하여 상기 고정부재(21)를 잡아줌으로써 고정부재(21) 내측의 상기 록킹 핀(10)을 견고하게 고정한다.
반대로, 상기 록킹 핀(10)의 고정을 해제하는 경우, 상기 고정 링(23)의 실린더(23a)가 작동하여 고정 링(23)을 전진시켜 상기 록킹 핀(10)과 고정부재(21)와의 고정을 해제한다.
그리고, 상기 터치 바(24)의 실린더(24a)가 작동하여 터치 바(24)를 전진시키면, 상기 이동 바(31)가 전진하면서 작동유가 하부 홈(32b)으로 유입된다. 이에 따라 상기 록킹 핀(10)이 후진하게 되어 상기 고정부재(21)에서 이탈하여 원 위치하게 된다. 이 때 상기 록킹 핀(10)에 가해지는 탄성 복원력을 통해 자동으로 록킹 핀(10)이 후진하게 된다.
따라서, 용접기의 점검 시 용접기 캐리지(2)를 간편하게 고정하거나 고정 해제함으로써 용접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용접 현장이 아닌 작업실에서 신호를 보내어 용접기 캐리지(2)를 고정하거나 고정 해제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보호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시되어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가 본 분야의 숙련된 기술자들에 의해 행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모두 고려되고 포함되어, 본 발명의 진정한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할 것이다.
1 : 용접기 캐리지 고정장치 2 : 캐리지
10 : 록킹 핀 11 : 스톱퍼 링
14 : 스프링 15 : 실 링
16 : 스프링 20 : 고정부
21 : 고정부재 21a : 슬릿 홈
21b : 고정 돌기 22 : 고정대
23 : 고정 링 23a : 실린더
23b : 가이드 24 : 터치 바
24a : 실린더 24b : 하우징
24c : 헤드 25 : 스프링
26 : 조명 27 : 카메라
28 : 센서 30 : 이동부
31 : 이동 바 31a : 외측 돌기
31b : 내측 돌기 32 : 본체
32a : 상부 홈 32b : 하부 홈
33 : 작동유 이동관 34 : 상부 차단부재
35 : 하부 차단부재

Claims (14)

  1. 용접기를 이동시키는 캐리지에 설치되어 캐리지를 용접기 점검 위치에 고정시키는 록킹 핀, 및
    상기 록킹 핀을 선택적으로 클램핑하는 고정부재가 설치된 고정부
    를 포함하고,
    상기 록킹 핀은 상기 고정부재 쪽으로 상기 록킹 핀을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포함하는 용접기 캐리지 고정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록킹 핀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록킹 핀과 연동되는 이동 바, 상기 캐리지의 내측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록킹 핀과 상기 이동 바를 수용하는 본체, 및 상기 록킹 핀과 상기 이동 바의 후방을 서로 연결하면서 그 내부에 작동유가 채워진 작동유 이동관을 포함하는 용접기 캐리지 고정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록킹 핀과 상기 이동 바를 각각 수용하는 상부 홈 및 하부 홈을 포함하는 용접기 캐리지 고정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핀은 후단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홈에서 상기 록킹 핀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톱퍼 링을 더 포함하는 용접기 캐리지 고정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록킹 핀의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록킹 핀의 이동을 안내하고, 상기 상부 홈 내부의 기밀을 유지하는 상부 차단부재를 더 포함하는 용접기 캐리지 고정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바는 상기 하부 홈의 전방에 배치되는 외측 돌기 및 상기 작동유 이동관의 작동유와 접촉되는 내측 돌기를 포함하는 용접기 캐리지 고정장치.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이동 바의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 바의 이동을 안내하고, 상기 하부 홈 내부의 기밀을 유지하는 하부 차단부재를 더 포함하는 용접기 캐리지 고정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바닥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부재를 지지하는 고정대, 및 상기 고정부재의 외측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부재를 오므려 상기 록킹 핀을 고정하는 고정 링을 포함하는 용접기 캐리지 고정장치.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이동 바의 전면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 바를 밀어줌으로써 상기 작동유 이동관의 작동유를 이동시켜 상기 록킹 핀을 전진하게 하는 터치 바를 더 포함하는 용접기 캐리지 고정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바는 실린더와 연결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전방에 탄력적으로 조립되어 상기 이동 바에 접촉되는 헤드를 포함하는 용접기 캐리지 고정장치.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대는 상부에 상기 록킹 핀과 상기 고정부재의 록킹 또는 록킹 해제를 촬영하는 조명 및 카메라를 더 포함하는 용접기 캐리지 고정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내측에 상기 록킹 핀의 외측과 접촉되어 상기 록킹 핀을 고정하는 복수의 고정 돌기를 더 포함하는 용접기 캐리지 고정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내측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록킹 핀의 전면과 접촉으로 상기 록킹 핀의 록킹을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는 용접기 캐리지 고정장치.
KR1020170178758A 2017-12-22 2017-12-22 용접기 캐리지 고정장치 KR1020373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8758A KR102037346B1 (ko) 2017-12-22 2017-12-22 용접기 캐리지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8758A KR102037346B1 (ko) 2017-12-22 2017-12-22 용접기 캐리지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6720A KR20190076720A (ko) 2019-07-02
KR102037346B1 true KR102037346B1 (ko) 2019-10-28

Family

ID=67258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8758A KR102037346B1 (ko) 2017-12-22 2017-12-22 용접기 캐리지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734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168890A1 (en) * 2012-12-12 2014-06-19 Brandon Barnard Electronic Device Holde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642763B4 (de) * 1996-10-16 2009-06-10 Erwin Junker Maschinenfabrik Gmbh Vorrichtung zum Be- und Entladen von Werkzeugmaschine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168890A1 (en) * 2012-12-12 2014-06-19 Brandon Barnard Electronic Device Hol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6720A (ko) 2019-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8047B1 (ko) 오링 자동 안착 장치
JP4541344B2 (ja) プラズマアークトーチ
JP2021507185A (ja) 高圧ガス筒のガスケット自動入れ替え装置
KR101278543B1 (ko) 스폿용접건의 팁 정렬상태 검사장치 및 이를 구비한 팁 드레서
KR102037346B1 (ko) 용접기 캐리지 고정장치
US20180200839A1 (en) Protection system for laser cutting machine
TWI610746B (zh) 熔接槍
JP2012148378A (ja) クランプ装置
KR20180119625A (ko) 리프트 기능 부여 클램프 장치
JP4537902B2 (ja) 水平型自動溶接装置
US3632958A (en) Electrode holder
JP2017144546A (ja) 仮ロック機能付きクランプ装置
JP4945389B2 (ja) 水中補修システム及びこれを用いた水中補修方法
CN114932523B (zh) 一种检修更换锅炉供热管道的集成设备及其使用方法
KR101649118B1 (ko) 스폿 용접용 용접팁 교환장치
KR102235648B1 (ko) 파이프 융착기 및 이를 포함하는 파이프 융착기 세트
JP5497932B2 (ja) クランプ装置
JP2013202660A (ja) タンデム溶接トーチ
JP2022102788A (ja) 溶接用摺動銅当て金、溶接装置及び溶接方法
JP5616705B2 (ja) 樹脂管融着装置
JP2017008542A (ja) ブレース切断装置
KR20170009913A (ko) 가이드 메커니즘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JP2016019989A (ja) 自動溶接装置
JP6417202B2 (ja) アークスタッド溶接装置
JP2012143868A (ja) クラン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