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6241B1 - 백필터용 탈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집진기 - Google Patents

백필터용 탈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집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6241B1
KR102036241B1 KR1020180019782A KR20180019782A KR102036241B1 KR 102036241 B1 KR102036241 B1 KR 102036241B1 KR 1020180019782 A KR1020180019782 A KR 1020180019782A KR 20180019782 A KR20180019782 A KR 20180019782A KR 102036241 B1 KR102036241 B1 KR 1020362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bag filter
gas
disposed
d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9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9829A (ko
Inventor
황준하
서영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800197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6241B1/ko
Publication of KR201900998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98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62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62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having hollow filters made of flexible material
    • B01D46/04Cleaning filters
    • B01D46/0068
    • B01D46/0071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having hollow filters made of flexible material
    • B01D46/023Pockets filters, i.e. multiple bag filters mounted on a common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66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 B01D46/70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acting counter-currently on the filtering surface, e.g. by flushing on the non-cake side of the filter
    • B01D46/71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acting counter-currently on the filtering surface, e.g. by flushing on the non-cake side of the filter with pressurised gas, e.g. pulsed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66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 B01D46/70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acting counter-currently on the filtering surface, e.g. by flushing on the non-cake side of the filter
    • B01D46/72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acting counter-currently on the filtering surface, e.g. by flushing on the non-cake side of the filter with backwash arms, shoes or nozzles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가스 공급부; 및 상기 가스 공급부의 튜브에 연결되어 집진기 내부에 배치되는 백필터에 가스를 분사하는 노즐부를 포함하며, 상기 노즐부는 상기 튜브에 연통되게 배치되며, 하단이 상기 백필터 내부에 배치되는 제1 배관; 및 상기 제1 배관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2 배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배관의 하단은 상기 제1 배관의 하단을 기준으로 하부측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백필터용 탈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집진기에 관한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백필터용 탈진장치는 백필터의 집진능력을 유지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백필터용 탈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집진기{DUST REMOVING APPARATUS FOR BAG FILTER AND DUST COLLECTOR HAVING THE SAME}
실시예는 백필터용 탈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집진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고로 가스에 함유된 더스트를 집진하는 집진기에 배치되는 백필터에 부착된 더스트를 제거하는 백필터용 탈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집진기에 관한 것이다.
집진기는 집진효율의 향상 및 유지관리 측면 등을 감안하여 필터링 기술(Filtering Technology)을 적용하고 있으며, 그 하나의 예로써 백 필터(Bag Filter)를 챔버(Chamber)에 설치하여 공기 또는 가스에 포함되어 있는 더스트(Dust)를 포집하여 여과한다.
특히, 고로에서 건식집진기는 고로 내부에서 광석 및 코크스 장입시 발생되는 분진을 포집하기 위한 설비로서, 상기 집진기는 챔버와 챔버 내부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백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로가스가 백필터를 통과할 때, 고로가스에 포함된 더스트는 백필터에 부착될 수 있기 때문에, 백필터에 고압의 가스를 분사하여 백필터에 부착된 더스트를 제거하여 집진능력을 계속 유지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집진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집진기는 챔버(10), 챔버(10)의 내부에 배치되는 백필터(20) 및 백필터(20)에 기체를 분사하는 탈진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챔버(10)의 유입구(11)를 통해 챔버(10) 내부로 유입된 고로가스는 백필터(20)에 의해 여과된 후 토출구(12)를 통해 토출된다. 여기서, 여과된 고로가스는 후공정의 열원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로가스에 포함된 더스트는 백필터(20)에 부착될 수 있는바, 탈진부(30)는 백필터(20)에 기체를 분사하여 백필터(20)에 부착된 더스트를 털어낸다. 여기서, 탈진부(30)는 기체를 공급하는 파이프(31)와 파이프(31)에 배치되는 노즐(3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진부(30)의 노즐(32)이 백필터(20)의 상부에 이격되게 배치됨에 따라, 백필터(20)의 하부까지 상기 기체가 도달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백필터(20)의 길이가 긴 경우 부착된 더스트가 상기 기체에 의해 탈락되지 못하는 문제가 더욱 가중된다. 예컨데, 백필터(20)는 7m 이상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노즐(32)에서 분사되는 상기 기체는 백필터(20)의 하부까지 도달하더라도 상기 더스트를 탈진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에 따라, 백필터(20)에 부착된 더스트는 종래의 집진기의 집진 능력이 저하시킨다.
또한, 탈락되지 못한 더스트는 백필터(20)에 손상을 유발하는 문제가 있다.
설사, 상기 기체의 공급 압력을 높혀 상기 더스트를 제거하는 경우, 상기 고압에 의해 백필터(20)가 손상 및 생산성이 저감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고압의 가스를 백필터의 하부까지 전달하여 펄싱 작업을 수행하게 하는 백필터용 탈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집진기를 제공한다.
축을 공유하는 동축 타입의 다중관 타입으로 형성된 노즐을 이용하여 백필터의 하부까지 가스를 전달하여 토출함과 동시에 백필터의 내측면에 가스를 토출하는 백필터용 탈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집진기를 제공한다.
실시예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에 국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는 실시예에 따라, 가스 공급부; 및 상기 가스 공급부의 튜브에 연결되어 집진기 내부에 배치되는 백필터에 가스를 분사하는 노즐부를 포함하며, 상기 노즐부는 상기 튜브에 연통되게 배치되며, 하단이 상기 백필터 내부에 배치되는 제1 배관; 및 상기 제1 배관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2 배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배관의 하단은 상기 제1 배관의 하단을 기준으로 하부측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백필터용 탈진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배관과 상기 제2 배관 사이에는 제1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유로를 통해 이동한 상기 가스는 상기 제1 배관의 하부에서 상기 백필터로 토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배관은 상기 튜브에 연결되는 제1 배관 본체; 및 상기 제1 배관 본체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절곡된 제1 절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배관 본체의 내경(D1)은 하부측으로 갈수록 감소할 수 잇다.
또한, 상기 제2 배관은 상기 제1 배관 내부에 배치되는 제2 배관 본체; 및 상기 제2 배관 본체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절곡된 제2 절곡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배관 본체의 상단은 상기 튜브의 홀에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배관 본체는 제1 배관부 및 상기 제1 배관부와 상기 제2 절곡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2 배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배관부는 소정의 내경(D2)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배관부의 내경(D3)은 하부측으로 갈수록 감소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배관부의 상단은 상기 제1 절곡부의 하단과 동일 평면상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노즐부는 상기 제2 배관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3 배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배관의 상단은 상기 제2 배관의 상단을 기준으로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3 배관의 하단은 상기 제2 배관의 하단을 기준으로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 배관은 상기 제2 배관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3 배관 본체 및 상기 제3 배관 본체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절곡된 제3 절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 배관 본체는 제3 배관부와 상기 제3 배관부와 상기 제3 절곡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4 배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배관부는 소정의 내경(D4)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4 배관부의 내경(D5)은 하부측으로 갈수록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배관과 상기 제3 배관 사이에는 제2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유로를 통해 이동한 상기 가스는 상기 제2 배관의 하부에서 상기 백필터로 토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유로의 내부에는 제3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제3 유로를 통해 이동한 상기 가스는 상기 백필터의 저면을 향해 토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노즐부는 다중관 타입으로 제공되며, 상기 제1 배관, 상기 제2 배관 및 상기 제3 배관은 축을 공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스 공급부는 가스 헤더: 상기 튜브; 상기 튜브와 상기 가스 헤더 사이에 배치되는 연결배관; 및 상기 연결배관에 배치되는 밸브부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부는 다이어프램 밸브와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스는 불활성 가스 중 질소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과제는 실시예에 따라, 챔버; 상기 챔버 내부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백필터; 및 상기 백필터에 부착된 더스트를 탈진하는 백필터용 탈진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백필터용 탈진장치는 상술 된 백필터용 탈진장치로 제공되는 집진기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실시예에 따른 백필터용 탈진장치는 축을 공유하는 다중관 타입으로 형성되어 백필터의 하부까지 가스를 전달하여 토출함과 동시에 백필터의 내측면에 가스를 토출하여 백필터에 부착된 더스트를 탈락시킬 수 있다.
그에 따라, 백필터의 집진능력을 유지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집진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집진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백필터용 탈진장치의 노즐부의 배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백필터용 탈진장치의 노즐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3의 A-A선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6은 도 3의 B-B선을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게 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집진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백필터용 탈진장치의 노즐부의 배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백필터용 탈진장치의 노즐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3의 A-A선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6은 도 3의 B-B선을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 5에 있어서 화살표는 가스의 이동을 나타낼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집진기(1)는 챔버(10), 챔버 내부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백필터(20) 및 실시예에 따른 백필터용 탈진장치(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챔버(10)의 내부는 백필터(20)를 기준으로 하부에 배치되는 집진실과 상부에 배치되는 청정실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백필터용 탈진장치(2)는 챔버(10)의 내부에서 고로 가스의 흐름을 없앤 후 고압의 가스를 순간적으로 분사하여 그 충격으로 백필터(20)에 부착된 더스트를 제거하는 펄싱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가스로는 불활성 가스가 이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불활성 가스 중 질소 가스가 이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질소 가스는 약 40℃~50℃의 온도로 공급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백필터용 탈진장치(2)는 가스 공급부(100)와 노즐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가스 공급부(100)의 일부와 노즐부(200)는 상기 청정실에 배치될 수 있다.
가스 공급부(100)는 노즐부(200)에 고압의 가스를 공급한다.
도 2를 참조하면, 가스 공급부(100)는 가스 헤더(110), 튜브(120), 가스 헤더(110)와 튜브(120)에 배치되는 연결배관(130) 및 연결배관(130)에 배치되는 밸브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밸브부(140)는 다이어프램 밸브(141)와 솔레노이드 밸브(142)를 포함할 수 있다.
가스 헤더(110)는 고압의 가스를 압축하고, 압축된 고압의 가스는 밸브부(140)에 의해 순간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에 따라, 고압의 압축된 가스는 연결배관(130)를 통해 튜브(120)로 전달된다. 즉, 솔레노이드 밸브(142)에 가해지는 전기적인 여자작용으로 다이어프램 밸브(141)에서 개로작용이 발생하면 고압의 압축된 가스는 튜브(120)에 연결된 노즐부(200)를 통해 백필터(20)에 분사되어 백필터(20)에 부착된 더스트를 탈락시킨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노즐부(200)는 제1 배관(210), 제2 배관(220) 및 제3 배관(23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노즐부(200)는 축을 공유하는 다중관 타입으로 제공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배관(210), 제2 배관(220) 및 제3 배관(230)은 축(C)을 공유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노즐부(200)는 제1 배관(210)과 제2 배관(220) 및 제2 배관(220)과 제3 배관(230) 각각을 연결하는 연결부재(2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배관(210)은 튜브(120)의 하부에 연통되게 배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튜브(120)의 홀(121)을 통해 상기 가스는 제1 배관(210)의 내부로 이동한다. 이때, 제1 배관(210)의 하부 영역은 백필터(20)의 내부에 배치된다. 그리고, 제1 배관(210)의 길이는 백필터(20)의 내측면(21)에 대한 상기 가스의 토출을 고려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배관(210)은 튜브(120)에 연통되게 연결되는 제1 배관 본체(211) 및 제1 배관 본체(211)의 하부측 단부에서 외측으로 절곡된 제1 절곡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배관 본체(210)의 내경(D1)은 하부측으로 갈수록 감소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컨데, 제1 배관 본체(210)는 종단면이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절곡부(212)는 제1 배관 본체(211)의 하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절곡부(212)는 축(C)을 기준으로 외측으로 절곡되게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가스가 백필터(20)의 내측면(21)을 향해 토출되게 한다.
제2 배관(220)은 일 영역이 제1 배관(210)의 내부에 배치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1 배관(210)과 제2 배관(220)의 사이에는 제1 유로(C1)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유로(C1)를 통해 상기 가스는 이동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배관(220)의 상단은 튜브(120)의 홀(121)에서 소정의 간격(L1)으로 하부측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배관(220)의 하단은 제1 배관(210)의 하단을 기준으로 하부측으로 소정의 간격(L3)만큼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 배관(220)은 제2 배관 본체(221) 및 제2 배관 본체(221)의 하부측 단부에서 외측으로 절곡된 제2 절곡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배관 본체(221)는 제1 배관부(221a) 및 제1 배관부(221a)와 제2 절곡부(222) 사이에 배치되는 제2 배관부(22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배관부(221a)는 소정의 내경(D2)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배관부(221a)의 상단은 튜브(120)의 홀(121)에서 소정의 간격(L1)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배관부(221b)는 제1 배관부(221a)의 하부에 배치된다. 이때, 제2 배관부(221b)는 제1 배관부(221a)의 하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배관부(221b)는 내경(D3)은 하부측으로 갈수록 감소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컨데, 제2 배관부(221b)는 종단면이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배관부(221b)의 상단은 제1 절곡부(212)의 하단과 동일 평면(P)상에 배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1 유로(C1)는 제1 배관(210)과 제1 배관부(221a)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유로(C1)를 따라 이동되는 상기 가스는 제1 배관(210)의 하부에서 백필터(20)로 토출될 수 있다. 이때, 제1 유로(C1)를 따라 이동하는 상기 가스 중 일부는 제2 배관(220)의 외면을 따라 이동하다가 제2 절곡부(222)에 의해 백필터(20)의 내측면(21)으로 분사될 수 있다.
한편, 제1 배관 본체(211)는 하부측으로 갈수록 내경(D1)이 감소하도록 형성되고 제1 배관부(221a)는 소정의 내경(D2)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제1 유로(C1)는 하부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된다.
제2 절곡부(222)는 제2 배관부(221b)의 하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2 절곡부(222)는 축(C)을 기준으로 외측으로 절곡되게 형성되기 때문에, 제1 유로(C1)를 따라 이송된 상기 가스가 백필터(20)의 내측면(21)을 향해 분사되게 한다.
제3 배관(230)은 일 영역이 제2 배관(220)의 내부에 배치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2 배관(220)과 제3 배관(230)의 사이에는 제2 유로(C2)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유로(C2)를 통해 상기 가스는 이동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배관(230)의 상단은 제2 배관(220)의 상단을 기준으로 소정의 간격(L2)으로 하부측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3 배관(230)의 하단은 제2 배관(220)의 하단을 기준으로 하부측으로 소정의 간격(L4)만큼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3 배관(230)은 제3 배관 본체(231) 및 제3 배관 본체(231)의 하부측 단부에서 외측으로 절곡된 제3 절곡부(23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3 배관 본체(231)는 제3 배관부(231a) 및 제3 배관부(231a)와 제3 절곡부(232) 사이에 배치되는 제4 배관부(23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배관부(231a)는 소정의 내경(D4)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3 배관부(231a)의 상단은 제2 배관(220)의 상단을 기준으로 소정의 간격(L2)으로 하부측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3 배관부(231a)의 상부측 일부는 제2 배관(220)의 내부에 배치되고, 하부측 일부는 제2 배관(220)에서 노출되게 하방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2 유로(C2)는 제2 배관(220)과 제3 배관부(231a)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유로(C2)를 따라 이동되는 상기 가스는 제2 배관(220)의 하부에서 백필터(20)로 토출될 수 있다. 이때, 제2 유로(C2)를 따라 이동하는 상기 가스 중 일부는 제3 배관(230)의 외면을 따라 이동하다가 제3 절곡부(232)에 의해 백필터(20)의 내측면(21)으로 분사될 수 있다.
한편, 제2 배관부(221b)는 하부측으로 갈수록 내경(D3)이 감소하도록 형성되고 제3 배관부(231a)는 소정의 내경(D4)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제2 유로(C2)는 하부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된다.
제4 배관부(231b)는 제3 배관부(231a)의 하부에 배치된다. 이때, 제4 배관부(231b)는 제3 배관부(231a)의 하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4 배관부(231b)는 내경(D5)은 하부측으로 갈수록 감소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컨데, 제4 배관부(231b)는 종단면이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3 절곡부(232)는 제4 배관부(231b)의 하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3 절곡부(232)는 축(C)을 기준으로 외측으로 절곡되게 형성되기 때문에, 제2 유로(C2)를 따라 이송된 상기 가스가 백필터(20)의 내측면(21)을 향해 분사되게 한다.
또한, 제3 배관(230)의 내부에는 제3 유로(C3)가 형성되기 때문에, 제3 유로(C3)를 따라 이송된 상기 가스의 일부는 백필터(20)의 저면(22)을 향해 토출되고, 상기 가스의 다른 일부는 제3 절곡부(232)에 의해 백필터(20)의 내측면(21)을 향해 토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백필터용 탈진장치(2)의 노즐부(2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유로(C1, C2, C3)가 형성된 다중관 타입으로 형성되고, 복수 개의 배관(210, 220, 230)의 하단이 다단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백필터(20)의 저면(22)까지 상기 가스를 전달하여 토출함과 동시에 백필터(20)의 내측면(21)에 가스를 토출하여 백필터(20)에 부착된 더스트를 탈락시킬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연결부재(240)는 제1 배관(210)과 제2 배관(220) 및 제2 배관(220)과 제3 배관(230) 각각을 연결하여 고정되게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240)는 방사상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부재(240)는 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가스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집진기
2: 백필터용 탈진장치
10: 챔버 20: 백필터
100: 가스 공급부
200: 노즐부
210: 제1 배관 220: 제2 배관
230: 제3 배관 240: 연결부재

Claims (16)

  1. 가스 공급부; 및
    상기 가스 공급부의 튜브에 연결되어 집진기 내부에 배치되는 백필터에 가스를 분사하는 노즐부를 포함하며,
    상기 노즐부는
    상기 튜브에 연통되게 배치되며, 하단이 상기 백필터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1 배관; 및
    상기 제1 배관의 내부에 상단이 배치되는 제2 배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배관의 하단은 상기 제1 배관의 하단을 기준으로 하부측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제1 배관과 상기 제2 배관 사이에는 제1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유로를 통해 이동한 상기 가스는 상기 제1 배관의 하부에서 상기 백필터의 내측면으로 토출되는 백필터용 탈진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관은
    상기 튜브에 연결되는 제1 배관 본체; 및
    상기 제1 배관 본체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절곡된 제1 절곡부를 포함하는 백필터용 탈진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관 본체의 내경(D1)은 하부측으로 갈수록 감소하는 백필터용 탈진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배관은
    상기 제1 배관 내부에 배치되는 제2 배관 본체; 및
    상기 제2 배관 본체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절곡된 제2 절곡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배관 본체의 상단은 상기 튜브의 홀에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유로를 따라 이동하는 가스 중 일부는 상기 제2 배관의 외면을 따라 이동하다가 상기 제2 절곡부에 의해 백필터의 내측면으로 분사되는 백필터용 탈진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배관 본체는 제1 배관부 및 상기 제1 배관부와 상기 제2 절곡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2 배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배관부는 소정의 내경(D2)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배관부의 내경(D3)은 하부측으로 갈수록 감소하는 백필터용 탈진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배관부의 상단은 상기 제1 절곡부의 하단과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는 백필터용 탈진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는 상기 제2 배관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3 배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배관의 상단은 상기 제2 배관의 상단을 기준으로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3 배관의 하단은 상기 제2 배관의 하단을 기준으로 하부에 배치되는 백필터용 탈진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배관은 상기 제2 배관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3 배관 본체 및 상기 제3 배관 본체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절곡된 제3 절곡부를 포함하는 백필터용 탈진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배관 본체는 제3 배관부와 상기 제3 배관부와 상기 제3 절곡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4 배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배관부는 소정의 내경(D4)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4 배관부의 내경(D5)은 하부측으로 갈수록 감소하는 백필터용 탈진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배관과 상기 제3 배관 사이에는 제2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유로를 통해 이동한 상기 가스는 상기 제2 배관의 하부에서 상기 백필터로 토출되는 백필터용 탈진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배관의 내부에는 제3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제3 유로를 통해 이동한 상기 가스는 상기 백필터의 저면을 향해 토출되는 백필터용 탈진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는 다중관 타입으로 제공되며,
    상기 제1 배관, 상기 제2 배관 및 상기 제3 배관은 축을 공유하는 백필터용 탈진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공급부는
    상기 가스를 압축하는 가스 헤더:
    상기 튜브;
    상기 튜브와 상기 가스 헤더 사이에 배치되는 연결배관; 및
    상기 연결배관에 배치되는 밸브부를 포함하는 백필터용 탈진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는 불활성 가스 중 질소로 제공되는 백필터용 탈진장치.
  16. 챔버;
    상기 챔버 내부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백필터; 및
    상기 백필터에 부착된 더스트를 탈진하는 백필터용 탈진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백필터용 탈진장치는 제1항, 제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백필터용 탈진장치로 제공되는 집진기.
KR1020180019782A 2018-02-20 2018-02-20 백필터용 탈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집진기 KR1020362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9782A KR102036241B1 (ko) 2018-02-20 2018-02-20 백필터용 탈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집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9782A KR102036241B1 (ko) 2018-02-20 2018-02-20 백필터용 탈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집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9829A KR20190099829A (ko) 2019-08-28
KR102036241B1 true KR102036241B1 (ko) 2019-10-24

Family

ID=67775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9782A KR102036241B1 (ko) 2018-02-20 2018-02-20 백필터용 탈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집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62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1430B1 (ko) * 2019-12-05 2021-06-07 (주) 인텐시브필터코리아 집진설비 더스트 처리 필터용 탈진 구조 및 상기 집진설비 더스트 처리 필터용 탈진 구조를 제조하기 위한 탈진 구조 제조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7302B1 (ko) * 2016-06-10 2018-02-09 한국기계연구원 백필터 탈진용 분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3574B1 (ko) * 2014-11-04 2016-07-28 한서대학교 산학협력단 백필터 탈진용 분사노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7302B1 (ko) * 2016-06-10 2018-02-09 한국기계연구원 백필터 탈진용 분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9829A (ko) 2019-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56010A (en) Filter apparatus having filter elements and reverse-flow cleaning means
US20150033944A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waste-gas purification in vacuum steel treatment processes
KR102036241B1 (ko) 백필터용 탈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집진기
CN104384147B (zh) 空气动力喷吸式除尘装置
CN105683692B (zh) 用于清洗喷雾干燥设备中的喷嘴装置的方法和用于执行该方法的喷雾干燥设备
KR100957030B1 (ko) 충격기류방식 여과집진기의 탈진공기 분사장치
JP2007302435A (ja) ドライアイスのガス搬送機構およびドライアイス噴射装置
JP2013116466A (ja) コアンダインジェクター
KR101743179B1 (ko) 보충가스를 이용한 백필터 집진장치 및 이의 작동방법
CN110248717B (zh) 集尘装置和该集尘装置的除尘方法
CN106536022A (zh) 袋式过滤器除尘系统
CN207356841U (zh) 一种除尘效果好的核黄素净化装置
US20240100465A1 (en) Compressed Air Pulse Cleaning System Without Blow Tube
CN209246102U (zh) 尾气处理装置
CN207188334U (zh) 一种用dmac清洗假捻器的装置
KR102409807B1 (ko) 집진기 백필터용 탈진장치
US1464113A (en) Gas cleaner
CN102773174B (zh) 一种高效除尘喷头
US20170028331A1 (en) Filter System With Integral On Board Compressed Air Generator
JPH06190229A (ja) 集塵機
CN207654731U (zh) 一种带有清洗装置的喷雾干燥机
CN216856081U (zh) 喷砂回收设备的除尘舱气爆清洁机构
WO2017092758A1 (en) Powder drying system with improved filter unit cleaning arrangement and method for cleaning the system
CN201427088Y (zh) 一种管道内的喷粉枪头
CN216150555U (zh) 除尘整合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