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6090B1 - 농축산용 에너지수기 - Google Patents

농축산용 에너지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6090B1
KR102036090B1 KR1020180132766A KR20180132766A KR102036090B1 KR 102036090 B1 KR102036090 B1 KR 102036090B1 KR 1020180132766 A KR1020180132766 A KR 1020180132766A KR 20180132766 A KR20180132766 A KR 20180132766A KR 102036090 B1 KR102036090 B1 KR 1020360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zer
raw water
housing
pip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2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상희
Original Assignee
조상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상희 filed Critical 조상희
Priority to KR10201801327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60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6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60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 C02F1/325Irradiation devices or lamp constru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Abstract

농축산용 에너지수기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부 일측에 원수가 유입되는 유입관이 연결되고, 하부 일측에는 유입된 원수를 배출하는 펌프가 연결된 배출관이 구비되며, 상기 배출관과 인접한 위치에는 순환관이 연결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원적외선을 발생시켜서 원수를 정화 및 살균처리하는 원적외선 발생장치; 상기 하우징과 공급관을 통하여 연결되어 원수를 내측으로 유입시키고, 내측에 구비된 복수개의 자화장치를 통하여 유입된 원수를 자화시키는 제1자화기; 상기 제1자화기와 연결관을 통하여 연결되어 제1자화기를 통하여 자화된 원수를 내측으로 유입시키고, 내측에 구비된 복수개의 자화장치를 통하여 유입된 원수를 자화시키는 제2자화기; 상기 제2자화기의 하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순환관과 연결되며, 길이 방향의 내측에는 UV살균기가 구비된 살균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농축산용 에너지수기{ENERGY WATER PURIFIER FOR STACK FARMING}
본 발명은 농축산용 에너지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중금속 및 각종 이물질이 함유되어 있는 농축산 지하수로 원적외선, 자화장치, 살균장치를 적용함으로써, 생산성과 고품질의 상품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한 농축산용 에너지수기에 관한 것이다.
지하수란, 땅 위에 내린 빗물이나 눈의 일부가 땅속으로 침투되어 모래·자갈 등으로 이루어진 지층이나 암석의 간극(間隙)을 메우고 있는 물을 말하는 것이다.
이러한 지하수는 물을 매개체로 하여 생활을 이루는 사람이나, 동,식물에게 는 생명형상을 유지하기 위해서 필수 적인 것이다.
위와 같은 지하수는 사람의 눈으로는 보이지 않는 여러 가지 물질들이 함유되어 있는 것이며, 오염된 지하수를 사람이나, 동식물이 섭취하는 경우에는 오염된 지하수로 인하여 각종 문제를 일으킬 수 있게 된다.
최근에는 이러한 지하수가 공장폐수, 축산폐수, 생활오수 등으로 인하여 오염되고 있는 실정이며, 지하수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서 공장이나 축산에서는 사용이 이루어진 물을 정수하여 재사용하거나, 오염된 지하수를 정수시켜 배출할 수 있는 정수장치가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지하수를 정수할 수 있는 정수장치는 사용을 이루고자 하는 환경이나 위치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이루도록 제공되고 있으나, 대개, 지하수에 포함된 각종 오염물질을 필터 등을 이용하여 걸러낸 후에 물을 정제할 수 있는 물질이나 수단을 통하여 물의 정수를 이루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적은 비용으로 설치가 용이한 자화수단이 구비된 정수장치가 많이 제공되고 있다.
위와 같이 자화수단이 구비된 정수장치는 자석의 힘을 통하여 지하수의 분자를 이온화시켜, 지하수에 포함된 농약이나 각종 오염물질을 용해 시키고, 세정, 보습, 제균력을 높일 수 있게 구성된다.
예컨대, 종래의 정수장치는 문헌(1), 문헌(2)에서와 같이, 농축산 시설에 사용되는 지하수나, 사용이 이루어진 지하수를 정수할 수 있는 수단으로 제공된 바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정수장치 등은 지하수의 자화를 이룰 수 있는 수단은 구비되어 있으나, 지하수의 정수과정에서 정수 효율을 높이고, 용존산소량을 높이기는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10-0025681(20100310) (2) 대한민국 공개실용 공개번호 제20-2010-0007270(20100715)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원수를 이루는 지하수의 용존산소량을 높여 정수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둘째, 복잡한 구성 없이도 정수를 이루고자 하는 원수의 살균 및 정수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셋째, 원수를 이루는 지하수의 정수과정에서 산소와 유황액이 용이하게 공급되게 함으로써, 원수에 함유된 각종 오염물질의 제거효율을 높이고, 원수의 용존산소량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한다.
넷째, 원수를 이루는 지하수의 정수효율을 높이면서도 병렬 연결되는 구성을 통하여 원수가 순환되게 구성함으로써, 제작과 설치에 비하여 높은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농축산용 에너지수기는 상부 일측에 원수가 유입되는 유입관이 연결되고, 하부 일측에는 유입된 원수를 배출하는 펌프가 연결된 배출관이 구비되며, 상기 배출관과 인접한 위치에는 순환관이 연결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원적외선을 발생시켜서 원수를 정화 및 살균처리하는 원적외선 발생장치; 상기 하우징과 공급관을 통하여 연결되어 원수를 내측으로 유입시키고, 내측에 구비된 복수개의 자화장치를 통하여 유입된 원수를 자화시키는 제1자화기; 상기 제1자화기와 연결관을 통하여 연결되어 제1자화기를 통하여 자화된 원수를 내측으로 유입시키고, 내측에 구비된 복수개의 자화장치를 통하여 유입된 원수를 자화시키는 제2자화기; 상기 제2자화기의 하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순환관과 연결되며, 길이 방향의 내측에는 UV살균기가 구비된 살균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의 상측에는 하우징 내측에 수용된 원수의 용존산소량을 높이는 압력기가 더 설치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자화기의 상측에는 정량공급기 및 유황액저장탱크가 더 설치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자화기와 상기 살균관의 사이에는 하우징으로부터의 원수 순환 시에 원수에 포함된 이물질들을 걸러내기 위한 여과용 필터를 구비한 전처리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자화기는 내측에 격벽이 구비된 원통형의 형상으로, 양측부에는 상기 공급관과 연결관이 연결되는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자화장치는, 상기 제1자화기의 내측에 볼트로 체결되는 고정브라켓; 상기 고정브라켓에 일단이 연결되는 관 형상으로, 외측 부에는 복수개의 연통공이 형성되고, 내측에는 설치공이 형성된 연결브라켓; 상기 설치공의 내측에 설치되는 고정축; 상기 고정축을 감싸도록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자석; 및 상기 연결브라켓의 단부에 볼트로 체결되어 설치공의 외부노출을 방지하는 마감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자화기는 안내공이 형성된 분리판이 내측에 구비된 원통형의 형상으로, 일측부에는 상기 연결관이 연결되는 연결공이 형성되고, 하단부에는 상기 살균관이 연결되는 분출공이 형성되며,
상기 자화장치는, 상기 분리판의 일측에 볼트로 체결되는 고정브라켓; 상기 고정브라켓에 일단이 연결되는 관 형상으로, 외측 부에는 복수개의 연통공이 형성되고, 내측에는 설치공이 형성된 연결브라켓; 상기 설치공의 내측에 설치되는 고정축; 상기 고정축을 감싸도록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자석; 및 상기 연결브라켓의 단부에 볼트로 체결되어 설치공의 외부노출을 방지하는 마감캡(61e);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원적외선 발생장치는 원적외선 플레이트 칩을 하우징의 내벽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원수를 이루는 지하수의 용존산소량을 높여 정수효율을 높일 수 있다.
둘째, 복잡한 구성 없이도 정수를 이루고자 하는 원수의 살균 및 정수효율을 높일 수 있다.
셋째, 원수를 이루는 지하수의 정수과정에서 산소와 유황액이 용이하게 공급되게 함으로써, 원수에 함유된 각종 오염물질의 제거효율을 높이고, 원수의 용존산소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넷째, 원수를 이루는 지하수의 정수효율을 높이면서도 병렬 연결되는 구성을 통하여 원수가 순환되게 구성함으로써, 제작과 설치에 비하여 높은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농축산용 에너지수기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농축산용 에너지수기에 있어서 자화기를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농축산용 에너지수기를 있어서 자화기를 확대하여 상세히 도시한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농축산용 에너지수기를 있어서 자화기를 확대하여 상세히 도시한 개략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될 것이 아니라,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지하수를 원수로 지칭하여 정수시킬 수 있게 설명하였으나, 오염된 물이나 각종 해수를 원수로 지칭하여 정수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도시한 도 1 내지 도 2에서와 같이, 상부 일측에 원수가 유입되는 유입관(11)이 연결되고, 하부 일측에는 유입된 원수를 배출하는 펌프(M)가 연결된 배출관(12)이 구비되며, 상기 배출관(12)과 인접한 위치에는 순환관(13)이 연결된 하우징(10);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원적외선을 발생시켜서 원수를 정화 및 살균처리하는 원적외선 발생장치(80); 상기 하우징(10)과 공급관(52)을 통하여 연결되어 원수를 내측으로 유입시키고, 내측에 구비된 복수개의 자화장치(51)를 통하여 유입된 원수를 자화시키는 제1자화기(50); 상기 제1자화기(50)와 연결관(62)을 통하여 연결되어 제1자화기(50)를 통하여 자화된 원수를 내측으로 유입시키고, 내측에 구비된 복수개의 자화장치(61)를 통하여 유입된 원수를 자화시키는 제2자화기(60); 상기 제2자화기(60)의 하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순환관(13)과 연결되며, 길이 방향의 내측에는 UV살균기(71)가 구비된 살균관(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제 2자화기(60)와 상기 살균관(70)의 사이에는 하우징(10)으로부터의 원수 순환 시에 원수에 포함된 이물질들을 걸러내기 위한 여과용 필터를 구비한 전처리장치(2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은 도시한 도 1에서와 같이, 상부 일측으로 지하수나 해수와 같은 원수(W)가 유입될 수 있는 유입관(11)이 연결되어 구성되고, 하부 일측으로는 하우징(10)의 내측으로 유입된 원수(W)가 배출될 수 있는 배출관(12)이 연결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배출관(12)과 인접한 위치에는 순환관(13)이 연결되어 구성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10)은 밀폐된 상태를 이루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며, 상기 유입관(11)이 연결되는 부위에는 본 발명에서 자세히 도시하지 않았지만, 하우징(10)의 내측으로 원수(W)를 공급한 후에는 하우징(10)을 밀폐시킬 수 있게 밀폐수단(미도시)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10)의 상측에는 도 1에서와 같이, 압력기(14)가 더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압력기(14)는 하우징(10)의 내측에 수용된 원수(W)의 용존산소량을 높이기 위한 구성으로, 하우징(10)의 내측에 수용된 원수(W)가 하우징(10)의 빈 공간으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하우징(10)에 원수(W)가 수용되지 않아 공간이 생기는 경우에도 상기 압력기(14)의 구성을 통하여 하우징(10)의 상부를 가압함으로써, 원수(W)의 용존산소량을 높이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관(12)은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할 자화기로 하우징(10)의 내측에 수용된 원수(W)를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펌프(M)가 설치 구성되며, 상기 순환관(13)은 살균관(70)에 연결되게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즉, 하우징(10)의 내측에 수용된 원수(W)가 배출관(12)에 구비된 펌프(M)를 통하여 제1자화기(50), 제2자화기(60), 살균관(70)의 방향으로 용이하게 이송되는 것이며, 상기 살균관(70)을 거친 원수는 다시 하우징(10)의 내측으로 이송됨으로써, 정수과정을 거치는 원수(W)가 순환되는 구조를 이루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원적외선 발생장치(80)은 원적외선 플레이트 칩을 제조하여, 상기 칩을 하우징(10)의 내부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원적외선 플레이트 칩으로부터 발생하는 원적외선의 빛의 파장은 10~5000Å이 되도록 하고, 접촉 또는 방사에 의해 5∼20㎛에서 088 이상의 원적외선 방사율과 W/m2·㎛, 37℃에서 3.42×102 이상의 원적외선 방사 에너지가 발생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하우징(10)과 공급관(52)을 통하여 연결되는 제1자화기(50)는 도 3에서와 같이, 내측에 격벽(50a)이 구비된 원통형의 형상으로, 양측부에는 상기 공급관(52)과 연결관(62)이 연결되는 체결공(50b)이 형성되어 구성되고, 상기 제1자화기(50)의 내측에 구비된 자화장치(51)는 상기 제1자화기(50)의 내측에 볼트(P)로 체결되는 고정브라켓(51a)과, 상기 고정브라켓(51a)에 일단이 연결되는 관 형상으로, 외측 부에는 복수개의 연통공(51b-1)이 형성되고, 내측에는 설치공(51b-2)이 형성된 연결브라켓(51b)과, 상기 설치공(51b-2)의 내측에 설치되는 고정축(51c)과, 상기 고정축(51c)을 감싸도록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자석(51d)과, 상기 연결브라켓(51b)의 단부에 볼트(P)로 체결되어 설치공(51b-2)의 외부 노출을 방지하는 마감캡(51e)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브라켓(51a)은 연결브라켓(51b)이 제1자화기(51)의 내측에 견고하게 결합 된 상태를 이루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고정브라켓(51a)의 일측으로 연결브라켓(51b)을 볼트(P)로 연결 구성하고, 상기 연결브라켓(51b)의 내측으로 복수개의 자석(51d)이 고정축(51c)을 감싸도록 설치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제1자화기(50)의 내측으로 공급관(52)을 통하여 유입되는 원수(W)가 자화장치(51)에 구비된 복수개의 자석(51d)을 통하여 자화되는 과정을 용이하게 이룬 후, 제2자화기(60)의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1자화기(50)는 도 3에서와 같이, 내측으로 격벽(50a)이 형성되게 구성됨으로써, 공급관(52)을 통하여 유입되는 원수(W)가 제1자화기(50)의 내측에서 순환될 수 있게 구성되어 제1자화기(50)에 구비된 자화장치(51)의 자화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자화기(60)는 도 1,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제1자화기(50)와 연결관(62)을 통하여 연결되어 제1자화기(50)를 통하여 자화과정을 거친 원수를 내측에 구비된 복수개의 자화장치(61)를 통하여 다시 한번 자화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2자화기(60)는 안내공(60a-1)이 형성된 분리판(60a)이 내측에 구비된 원통형의 형상으로, 일측부에는 상기 연결관(62)이 연결되는 연결공(60b)이 형성되고, 하단부에는 상기 살균관(70)이 연결되는 분출공(60c)이 형성되며, 상기 자화장치(61)는 상기 분리판(60a)의 일측에 볼트(P)로 체결되는 고정브라켓(61a)과, 상기 고정브라켓(61a)에 일단이 연결되는 관 형상으로, 외측부에는 복수개의 연통공(61b-1)이 형성되고, 내측에는 설치공(61b-2)이 형성된 연결브라켓(61b)과, 상기 설치공(61b-2)의 내측에 설치되는 고정축(61c)과, 상기 고정축(61c)을 감싸도록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자석(61d)과, 상기 연결브라켓(61b)의 단부에 볼트(P)로 체결되어 설치공(61b-2)의 외부 노출을 방지하는 마감캡(61e)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라, 제1자화기(50)와 연결된 연결관(62)을 통하여 제2자화기(60)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원수(W)가 제2자화기(60)에 구비된 자화장치(61)의 자석(61b)을 통하여 자화됨으로써, 원수(W)에 함유된 각종 오염물질을 더욱 용이하게 용해시키고, 원수의 세정과 제균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2자화기(60)의 상측에는 정량공급기(65)와 유황액저장탱크(66)가 설치 구성되어, 제2자화기(60)의 내측으로 유황액저장탱크(66)에 수용된 유황액을 정량 공급하게 된다.
이를 통하여, 제2자화기(60)를 통하여 정수되는 원수(W)의 각종 세균을 더욱 용이하게 제균하여 원수(W)의 정수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더하여, 상기 살균관(70)은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제2자화기(60)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하우징(10)과 연결된 순환관(13)에 연결되어 제2자화기(60)를 통하여 자화과정이 이루어진 원수(W)를 구비된 UV살균기(71)로 살균한 후, 하우징(10)으로 다시 유입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하우징(10)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원수(W)가 제1자화기(50), 제2자화기(60), 살균관(70)을 따라 이송되며 살균과, 자화과정을 거쳐 정수되게 되고, 정수가 이루어진 원수(W)가 다시 하우징(10)의 내측으로 이송되는 순환과정을 거침으로써, 하우징(10)의 내측으로 유입된 원수(W)의 정수과정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구성을 통하여 원수를 정수시킴으로써, 용존산소량이 낮은 원수를 35pmm 이상의 용존산소량을 갖도록 정수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요지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 하우징 11: 유입관
12: 배출관 13: 순환관
14: 압력기 20: 50: 제1자화기
50a: 격벽 50b: 체결공
51,61: 자화장치 51a.61a: 고정브라켓
51b,61b: 연결브라켓 51b-1,61b-1: 연통공
51c,61c: 고정축 51d,61d: 자석
51e,61e: 마감캡 52: 공급관
60: 제2자화기 60a: 분리판
60a-1: 안내공 60b: 연결공
60c: 분출공 61b-2: 설치공
65: 정량공급기 66: 유황액저장탱크
70: 살균관 71: UV살균기
M: 펌프

Claims (7)

  1. 상부 일측에 원수가 유입되는 유입관(11)이 연결되고, 하부 일측에는 유입된 원수를 배출하는 펌프가 연결된 배출관(12)이 구비되며, 상기 배출관(12)과 인접한 위치에는 순환관(13)이 연결된 하우징(10);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원적외선을 발생시켜서 원수를 정화 및 살균처리하기 위하여, 원적외선 플레이트 칩을 상기 하우징의 내벽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원적외선 발생장치(80);
    상기 하우징과 공급관(52)을 통하여 연결되어 원수를 내측으로 유입시키고, 내측에 구비된 복수개의 자화장치(51)를 통하여 유입된 원수를 자화시키는 제1자화기(50);
    상기 제1자화기(50)와 연결관(62)을 통하여 연결되어 제1자화기(50)를 통하여 자화된 원수를 내측으로 유입시키고, 내측에 구비된 복수개의 자화장치(61)를 통하여 유입된 원수를 자화시키는 제2자화기(60);
    상기 제2자화기(60)의 하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순환관(13)과 연결되며, 길이 방향의 내측에는 UV살균기(71)가 구비된 살균관(70);
    상기 하우징(10) 내측에 수용된 원수의 용존산소량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10)의 상측에 설치되는 압력기(14);
    상기 제2자화기(60)의 상측에 설치되는 정량공급기(65) 및 유황액저장탱크(66); 및
    하우징(10)으로부터의 원수 순환 시에 원수에 포함된 이물질들을 걸러내기 위한 여과용 필터를 구비하고, 상기 제 2자화기(60)와 상기 살균관(70)의 사이에 설치되는 전처리장치(20);을 포함하며,
    상기 제1자화기(50)는 내측에 격벽(50a)이 구비된 원통형의 형상으로, 양측부에는 상기 공급관(52)과 연결관(62)이 연결되는 체결공(50b)이 형성되고,
    상기 제2자화기(60)는 안내공(60a-1)이 형성된 분리판(60a)이 내측에 구비된 원통형의 형상으로, 일측부에는 상기 연결관(62)이 연결되는 연결공(60b)이 형성되고, 하단부에는 상기 살균관(70)이 연결되는 분출공(60c)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축산용 에너지수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화장치(51)는,
    상기 제1자화기(50)의 내측에 볼트(P)로 체결되는 고정브라켓(51a);
    상기 고정브라켓(51a)에 일단이 연결되는 관 형상으로, 외측 부에는 복수개의 연통공(51b-1)이 형성되고, 내측에는 설치공(51b-2)이 형성된 연결브라켓(51b);
    상기 설치공(51b-2)의 내측에 설치되는 고정축(51c);
    상기 고정축(51c)을 감싸도록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자석(51d); 및
    상기 연결브라켓(51b)의 단부에 볼트(P)로 체결되어 설치공(51b-2)의 외부노출을 방지하는 마감캡(51e);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축산용 에너지수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자화장치(61)는,
    상기 분리판(60a)의 일측에 볼트(P)로 체결되는 고정브라켓(61a);
    상기 고정브라켓(61a)에 일단이 연결되는 관 형상으로, 외측 부에는 복수개의 연통공(61b-1)이 형성되고, 내측에는 설치공(61b-2)이 형성된 연결브라켓(61b);
    상기 설치공(61b-2)의 내측에 설치되는 고정축(61c);
    상기 고정축(61c)을 감싸도록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자석(61d); 및
    상기 연결브라켓(61b)의 단부에 볼트(P)로 체결되어 설치공(61b-2)의 외부노출을 방지하는 마감캡(61e);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축산용 에너지수기.
  7. 삭제
KR1020180132766A 2018-11-01 2018-11-01 농축산용 에너지수기 KR1020360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2766A KR102036090B1 (ko) 2018-11-01 2018-11-01 농축산용 에너지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2766A KR102036090B1 (ko) 2018-11-01 2018-11-01 농축산용 에너지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6090B1 true KR102036090B1 (ko) 2019-10-24

Family

ID=68423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2766A KR102036090B1 (ko) 2018-11-01 2018-11-01 농축산용 에너지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609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33477A (zh) * 2018-07-25 2019-01-04 青岛筑赢享生物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净水机
CN110950483A (zh) * 2019-12-16 2020-04-03 河南蓝壹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磁化净水设备
KR102659824B1 (ko) * 2023-03-31 2024-04-22 김수현 이중자화기가 구비된 해수 및 오염수용 정화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8441B1 (ko) * 2008-01-09 2010-01-22 이주철 자화처리기
KR20100025681A (ko) 2008-08-28 2010-03-10 민경열 농, 축산 음용수 및 식수용 정수시스템
KR20100007270U (ko) 2009-01-07 2010-07-15 지에스정수워터산업 주식회사 농축산용 정수기
KR20100087557A (ko) * 2009-01-28 2010-08-05 김판윤 원적외선 플레이트 칩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제독방법
KR20170105964A (ko) * 2016-03-11 2017-09-20 백승현 농축산용 미네랄 기능수기
KR20180003089U (ko) * 2017-04-19 2018-10-29 박재훈 산소가 용해된 미네랄 자화 수 생성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8441B1 (ko) * 2008-01-09 2010-01-22 이주철 자화처리기
KR20100025681A (ko) 2008-08-28 2010-03-10 민경열 농, 축산 음용수 및 식수용 정수시스템
KR20100007270U (ko) 2009-01-07 2010-07-15 지에스정수워터산업 주식회사 농축산용 정수기
KR20100087557A (ko) * 2009-01-28 2010-08-05 김판윤 원적외선 플레이트 칩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제독방법
KR20170105964A (ko) * 2016-03-11 2017-09-20 백승현 농축산용 미네랄 기능수기
KR20180003089U (ko) * 2017-04-19 2018-10-29 박재훈 산소가 용해된 미네랄 자화 수 생성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33477A (zh) * 2018-07-25 2019-01-04 青岛筑赢享生物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净水机
CN110950483A (zh) * 2019-12-16 2020-04-03 河南蓝壹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磁化净水设备
KR102659824B1 (ko) * 2023-03-31 2024-04-22 김수현 이중자화기가 구비된 해수 및 오염수용 정화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6090B1 (ko) 농축산용 에너지수기
KR100966079B1 (ko) 해수 및 지하수, 상수도 고도 정수장치
CN106554130A (zh) 一体化生物过滤污水处理装置
CN1237109A (zh) 处理流态废弃物的方法与系统
CN101468822A (zh) 水处理系统
CN103764574A (zh) 废水处理系统和方法
CN101514060A (zh) 应急饮用水处理设备
KR100726010B1 (ko) 하수처리장 방류수 및 저수지,하천수의 자외선살균처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농업재이용수 처리방법
CN104944670A (zh) 新型污水处理装置
RU2466103C1 (ru) Система водного хозяйства населенного пункта с очистными сооружениями физико-химического типа
RU2479494C2 (ru) Установка обработки магнитным полем для кондиционирования текучих сред
WO2014205588A1 (es) Tratamiento para aguas residuales de origen domiciliario e industrial
CN203582663U (zh) 一种应用于生活污水处理的中水回用系统
CN216639174U (zh) 一种直饮水净化装置
CN105314802A (zh) 一种畜禽养殖废水的处理系统
CN205347147U (zh) 一种高效中水回用设备
CN203692218U (zh) 工厂化水产养殖装置
CN210559897U (zh) 一种泵站前池低浓度污水处理装置
CN203904148U (zh) 人工湿地系统
CN203959993U (zh) 一种垃圾渗滤液处理装置
KR101566085B1 (ko) 막 모듈과 전기분해 공정 및 막 세정수단을 포함하는 고농도 유기물질 및 암모니아를 포함한 폐수의 처리장치
CN205473248U (zh) 一种新型的地埋一体化污水净化装置
CN205398183U (zh) 一种分散式供水中饮用水的微电流电解灭菌设备
KR101926753B1 (ko) 용존산소 함량을 높이는 농축산용 기능수기
CN217933191U (zh) 放射性有机废液深度净化处理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