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6037B1 - 호기성 매립지에서의 주입 공기 역류 방지를 위한 공기 주입장치 - Google Patents

호기성 매립지에서의 주입 공기 역류 방지를 위한 공기 주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6037B1
KR102036037B1 KR1020180160356A KR20180160356A KR102036037B1 KR 102036037 B1 KR102036037 B1 KR 102036037B1 KR 1020180160356 A KR1020180160356 A KR 1020180160356A KR 20180160356 A KR20180160356 A KR 20180160356A KR 102036037 B1 KR102036037 B1 KR 1020360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upply pipe
landfill
air supply
exhaust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0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규
송상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코윌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코윌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코윌플러스
Priority to KR10201801603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60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60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60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1/00Dumping solid waste
    • B09B1/008Subterranean disposal, e.g. in boreholes or subsurface fract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주입되는 공기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주입 공기 역류방지장치 및 이를 채용한 호기성 매립지에서의 주입 공기 역류 방지를 위한 공기 주입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개시된 주입 공기 역류방지장치는 내부공간을 가지며, 외부에서 공급되는 제1공기를 내부공간으로 주입하는 공기주입구를 가지는 하우징과; 외부로부터 제2공기를 흡입하는 흡기구와, 흡입된 제2공기를 배출하는 배기구를 가지며,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공기공급관과; 배기구와 하우징 사이에 개방 형성되며, 공기주입구를 통하여 주입된 제1공기를 하우징 외부로 배출하는 개구부를 포함하여, 개구부를 통하여 배출되는 제1공기의 흐름에 따라 흡기구에서 배기구 방향으로 제2공기의 흐름이 유도되도록 한다.

Description

호기성 매립지에서의 주입 공기 역류 방지를 위한 공기 주입장치{AIR SUPPLYING APPARATUS FOR PREVENTING BACKFLOW OF INJECTION AIR INTO AN AEROBIC LANDFILL SITE}
본 발명은 주입 공기 역류방지장치 및 이를 채용한 폐기물 매립지의 공기 주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주입되는 공기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주입 공기 역류방지장치 및 이를 채용한 호기성 매립지에서의 주입 공기 역류 방지를 위한 공기 주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매립을 이용한 폐기물의 처리 방법은 쓰레기 등의 폐기물을 소정 높이로 적층하고, 적층된 폐기물을 흙 등의 차폐물로 덮는 과정을 반복한다. 매립된 폐기물 중의 유기성 폐기물은 외부와 차단된 상태에서 자연 분해되면서 메탄, 이산화탄소 등의 매립 가스를 발생한다. 발생된 매립 가스는 포집되어 연료로 사용되거나 소각된다.
매립 가스 회수의 경제성이 없는 경우 매립지에 산소나 공기를 공급하여 유기성 폐기물을 호기성 반응을 이용하여 분해시켜 매립지를 조기에 안정화 시키는 방법이 사용된다. 여기서 공기 공급방식에 따라 폐기물 매립지는 준호기성 매립지와 호기성 매립지로 구분된다.
호기성 매립지는 공기주입장치를 통하여 공기를 인공적으로 강제 주입하여, 혐기성에서 호기성으로 전환시키는 방식을 적용한 매립지이다.
상기한 산소나 공기를 공급하는 방법이 일본등록특허 제4091511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 개시된 방법은 공기를 물과 함께 공급하며, 침출수를 정화한 후 다시 투입하는 등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과정이 증가함에 따라 처리비용 및 시간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공기를 주입하는 과정에서 매립지 내부 압력에 의해 주입되는 공기가 매립지 외부로 되돌아오는 역류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일본 등록특허 제4091511호(2008.05.28.)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블로워에서 제공되는 공기를 증폭하여 주입함과 아울러 대상물에 대해 주입되는 공기의 역류 방지함과 아울러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도록 된 주입 공기 역류방지장치 및 이를 채용한 호기성 매립지에서의 주입 공기 역류 방지를 위한 공기 주입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대상물 내에 주입되는 외부공기의 역류를 방지하는 주입 공기 역류방지장치에 있어서, 내부공간을 가지며, 외부에서 공급되는 제1공기를 상기 내부공간으로 주입하는 공기주입구를 가지는 하우징과; 외부로부터 제2공기를 흡입하는 흡기구와, 흡입된 제2공기를 배출하는 배기구를 가지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공기공급관과; 상기 배기구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개방 형성되며, 상기 공기주입구를 통하여 주입된 제1공기를 상기 하우징 외부로 배출하는 개구부를 포함하여,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배출되는 제1공기의 흐름에 따라 상기 흡기구에서 상기 배기구 방향으로 제2공기의 흐름이 유도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공기공급관은, 코안다 효과에 의하여 상기 배기구를 통하여 배기되는 제2공기의 단위 시간당 배기량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상기 배기구 주변에 형성된 가속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속가이드부는, 상기 제2공기의 흐름 방향을 따라 상기 배기구가 확장되도록, 상기 배기구의 내측 단부에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주입 공기 역류방지장치는 상기 대상물에 주입되는 공기를 부가적으로 증폭하는 것으로, 상기 공기주입구와 상기 배기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보조증폭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폐기물에서 발생한 침출수를 집수 및 배수하는 침출수 집배수관을 구비하는 폐기물 매립지 내부로 공기를 주입하는 호기성 매립지에서의 주입 공기 역류 방지를 위한 공기 주입장치에 있어서, 상기 매립지의 하부에 설치되며, 일단이 상기 매립지 외부와 연결되어 외부 공기를 상기 매립지 내부로 공급하는 것으로, 상기 침출수 집배수관의 내부에 형성되는 메인 공기공급관과; 제1공기를 상기 메인 공기공급관 내부로 송풍하는 블로워와; 상기 블로워와 상기 메인 공기공급관 사이에 마련되는 것으로,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주입 공기 역류방지장치를 포함하여, 상기 주입 공기 역류방지장치에서 증폭된 공기를 상기 메인 공기공급관을 통하여 공급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주입 공기 역류방지장치는 블로워 등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증폭하여 주입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저전력의 블로워를 채용하더라도 동일한 공기 주입 성능을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블로워 작동에 필요한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증폭기는 단위 시간당 주입되는 공기량을 증대시킴으로써, 공기 주입 대상물에 내압이 존재하더라도 역류 없이 공기를 주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증폭기는 보조 증폭기를 더 포함함으로써, 공기 증폭 효율을 보다 향상 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호기성 매립지에서의 주입 공기 역류 방지를 위한 공기 주입장치는 상기한 공기증폭 장치를 블로워와 메인 공기공급관 사이에 마련함으로써, 블로워 가동에 소요되는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또한 폐기물 매립지 내부의 압력에 의하여 주입되는 공기가 역류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주입 공기 역류방지장치를 보인 부분 단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주입 공기 역류방지장치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주입 공기 역류방지장치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주입 공기 역류방지장치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입 공기 역류 방지를 위한 공기 주입장치를 적용한 폐기물 매립지를 보인 개략적인 도면.
도 6은 도 5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기성 매립지에서의 주입 공기 역류 방지를 위한 공기 주입장치의 일 예를 보인 개략적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기성 매립지에서의 주입 공기 역류 방지를 위한 공기 주입장치의 다른 예를 보인 개략적인 도면.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주입 공기 역류방지장치를 보인 부분 단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주입 공기 역류방지장치는 대상물 내에 외부공기를 증폭하여 주입하는 장치로서, 하우징(10)과, 공기공급관(20) 및 개구부(15)를 포함한다. 하우징(10)은 내부공간(10a)을 가지며, 외부에서 공급되는 제1공기(A1)를 상기 내부공간(10a)으로 주입하는 공기주입구(11)를 포함한다. 여기서, 공기주입구(11)에는 제1공기(A1)을 강제적으로 송풍하는 블로워(50)가 설치될 수 있다.
공기공급관(20)은 상기 하우징(10)의 내부 공간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1공기(A1)의 흐름에 유도되어 외부로부터 제2공기(A2)를 흡입 및 증폭시킨다. 이를 위하여 공기공급관(20)은 외부로부터 제2공기(A2)를 흡입하는 흡기구(21)와, 흡입된 제2공기를 배출하는 배기구(25)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배기구(25)는 도 1의 우측면에서 바라볼 때, 원형상의 외주연을 가질 수 있으며, 증폭된 제3공기(A3)를 배출한다.
상기 개구부(15)는 상기 배기구(25)와 상기 하우징(10) 사이에 개방 형성된다. 이 개구부(15)는 상기 공기주입구(11)를 통하여 주입된 제1공기(A1)를 상기 하우징(10) 외부로 배출한다. 이 개구부(15)는 상기 배기구(25)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구(25)가 원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개구부(15)는 원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개구부(15)는 배기구(25)의 외주연에 원형상으로 소정 폭 개구된 슬릿 형상을 가진다. 이와 같이 개구부(15)를 형성하는 경우, 상기 공기주입구(11)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10a)으로 주입된 공기는 상기 개구부(15)를 통하여, 하우징(10)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개구부(15)의 내측에 위치된 배기구(25)의 압력이 대기압 보다 낮아지게 된다. 이와 같은 압력차에 의하여 제2공기(A2)가 흡기구(21)를 통하여 상기 공기공급관(20) 내로 진입하고, 상기 배기구(25)를 통하여 배기된다. 즉 개구부(15)를 통하여 배출되는 제1공기(A1)의 흐름에 따라 상기 흡기구(21)에서 상기 배기구(25) 방향으로 제2공기(A2)의 흐름이 유도되면서 공기를 증폭시킬 수 있다.
상기 공기공급관(20)은 상기 배기구(25) 주변에 형성된 가속가이드부(2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가속가이드부(27)는 코안다 효과에 의하여 상기 배기구(25)를 통하여 배기되는 제2공기의 단위 시간당 배기량을 증가시킨다. 이를 위하여, 상기 가속가이드부(27)는 배기구(25)의 내측 단부에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배기구(25)는 상기 제2공기(A2)의 흐름 방향(흡기구(21)에서 배기구(25)로 향하는 방향)을 따라 상기 배기구가 확장된다. 이와 같이 가속가이드부(27)를 더 포함하는 경우, 상기 공기공급관(20)을 통과하는 공기가 상기 배기구(25) 위치에서 확장되면서, 공기공급관(20)과의 접촉 면적이 넓어지게 된다. 이 경우, 공기공급관(20)을 통하여 흐르는 제2공기(A2)가 가속가이드부(27)에 더욱 강하게 압착된다. 즉, 제2공기는 가속가이드부(27)에서 더 강력한 구심력으로 달라붙어 흐르게 된다. 이 때 이 강력한 구심력의 반작용인 더 강력한 양력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원리를 코안다 효과라하며, 이 코안다 효과에 의하여 제2공기의 흐름이 더욱 빨라질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 각각에 따른 주입 공기 역류방지장치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주입 공기 역류방지장치는 하우징(10)과, 공기공급관(20), 개구부(15) 및 보조증폭기(3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주입 공기 역류방지장치에 보조증폭기(30) 이외의 다른 구성요소는 제1실시예에 따른 공기 증폭기의 동일 도면부호를 사용하는 구성요소와 실질상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수행한다. 그러므로, 이들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보조증폭기(30)는 대상물에 주입되는 공기를 부가적으로 증폭하는 것으로, 상기 공기주입구(11)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주입구(11)를 통하여 주입되는 공기를 일차적으로 증폭한다. 이를 위하여, 보조증폭기(30)는 폭이 넓은 부분이 막힌 깔때기 형상의 증폭관(31)과, 이 증폭관(31)에 설치되는 보조공기주입부(35)를 포함한다. 상기 증폭관(31)은 상기 공기주입구(11)에 결합되는 보조배기구(32)와,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보조흡기구(33)를 구비한다. 여기서 보조배기구(32)는 깔때기 형상 중 첨두부 즉, 폭이 좁은 부분에 형성된다. 보조흡기구(33)는 깔때기 형상 중 폭이 넓고 막힌 부분에 형성되는 것으로, 외부 공기를 증폭관(31) 내부로 흡입한다. 상기 보조공기주입부(35)는 상기 보조흡기구(33)에 이웃되게 상기 증폭관(31)에 설치되는 것으로, 외부에서 강제적으로 공급되는 공기가 주입되는 입구이다.
따라서 상기 보조공기주입부(35)를 통하여 증폭관(31) 내부로 공기가 주입되고 상기 보조배기구(32)를 통하여 배기되는 경우, 외부 공기가 이 배기되는 공기의 흐름에 유도되어 상기 보조흡기구(33)를 통하여 흡입되면서 단위 시간당 주입되는 공기량을 증폭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 각각에 따른 주입 공기 역류방지장치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주입 공기 역류방지장치는 하우징(10)과, 공기공급관(20), 개구부(15) 및 보조증폭기(3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주입 공기 역류방지장치에 보조증폭기(30) 이외의 다른 구성요소는 제1실시예에 따른 공기 증폭기의 동일 도면부호를 사용하는 구성요소와 실질상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수행한다. 그러므로, 이들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보조증폭기(30)는 대상물에 주입되는 공기를 부가적으로 증폭하는 것으로, 상기 공기공급관(20)의 흡기구(21)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흡기구(21)를 통하여 주입되는 공기를 주입 전에 일차적으로 증폭한다. 이를 위하여, 보조증폭기(30)는 폭이 넓은 부분이 막힌 깔때기 형상으로 되고 보조배기구(32)와 보조흡기구(33)를 증폭관(31)과, 이 증폭관(31)에 설치되는 보조공기주입부(35)를 포함한다. 이 보조증폭기(30)의 상세한 구성 및 설치 구조는 도 3의 보조증폭기(30)와 실질상 동일하므로 동일한 도면 번호를 부여함과 아울러,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 및 도 4에 있어서, 보조증폭기(30)가 공기주입구(11) 또는 공기공급관(20)의 흡기구(21)에 설치된 것을 예로 들어 나타내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보조증폭기(30)는 공기공급관(20)의 배기구(25)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보조증폭기(30)는 직렬 연결되거나,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보조증폭기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주입 공기 역류방지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소정 대상물에 주입되는 공기를 증폭함으로써 대상물에 내압이 있더라도 역류없이 공기 주입이 가능하다. 또한 주입 공기 역류방지장치에 공기를 공급하는 블로워의 성능을 낮추더라도 동일 내지 향상된 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블로워 구동에 필요한 전력 소모를 낮출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기물 매립지의 공기 주입장치를 적용한 폐기물 매립지를 보인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기물 매립지의 공기 공급장치는 폐기물에서 발생한 침출수를 집수 및 배수하는 침출수 집배수관을 구비하는 폐기물 매립지(110) 내부로 공기를 주입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기물 매립지의 공기 공급장치는 메인 공기공급관(120)과, 복수의 분기 공기공급관(130) 및 복수의 공기 확산관(140)을 포함하여, 매립지 외부에서 주입된 공기를 매립지(110) 내부에 분산 공급한다. 메인 공기공급관(120)은 일단이 매립지 외부와 연결되어 외부 공기를 매립지 내부로 공급한다. 메인 공기공급관(120)은 상기 침출수 침배수관(111)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상기 침출수 집배수관(111)의 내부와 외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에 형성될 수 있다.
분기 공기공급관(130)은 상기 메인 공기공급관(120)의 적어도 둘 이상의 위치에서 분기되며, 매립지의 매립층 내부에 형성된다. 이 분기 공기공급관(130)은 복수의 제1 및 제2분기 공기공급관(131)(13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분기 공기공급관(131)은 메인 공기공급관(120)에서 분기되며, 폐기물 매립지의 하부에 공기를 분배한다. 즉 제1분기 공기공급관(131)은 메인 침출수 집배수관과 헤링본(Herring bone) 형상으로 연결되는 서브 침출수 집배수관의 내부 및/또는 외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폐기물 매립지의 하부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된다.
제2분기 공기공급관(135)은 폐기물의 적층 방향 즉 매립지의 높이 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제1분기 공기공급관(131) 각각의 적어도 둘 이상의 위치에서 분기된다. 여기서, 제2분기 공기공급관(135)은 폐기물 매립 높이에 따라 길이가 연장 가능한 다단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공기 확산관(140)은 매립지의 매립층 내부에 형성되며, 복수의 분기 공기공급관(130) 각각의 적어도 둘 이상의 위치에서 분기된다. 예를 들어 공기 확산관(140)은 상기 제2분기 공기공급관(135)의 각 단부에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 공기 확산관(140)의 일단은 분기 공기공급관(130)과 연통되고 타단은 개방되어 있다. 따라서 이 공기 확산관(140)을 통하여, 매립지 내부에 공기가 잘 통하지 않은 영역까지 공기를 확산 주입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입 공기 역류방지장치를 채용한 폐기물 매립지의 공기 주입장치의 일 예를 보인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기물 매립지의 공기 공급장치는 폐기물에서 발생한 침출수를 집수 및 배수하는 침출수 집배수관(111)을 구비하는 폐기물 매립지 내부로 공기를 주입하는 것으로, 메인 공기공급관(120)과, 블로워(150) 및 주입 공기 역류방지장치(170)를 포함한다.
침출수 집배수관(111)은 내부 공간이 분리판(112)에 의하여 침출수가 이동하는 제1공간(111a)과, 공기가 이동하는 제2공간(111b)으로 분리될 수 있다. 제1공간(111a)은 침출수가 만관시에는 침출수(W)만 이동하는 경로로 사용되며, 연통된 일부 빈 공간이 존재하는 경우는 침출수(W)는 배출되고 공기는 주입되는 경로로 이용될 수 있다.
여기서, 메인 공기공급관(120)은 침출수 집배수관(111)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메인 공기공급관(120)이 침출수 집배수관(111)의 내부에 설치된 것을 예로 들어 나타낸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메인 공기공급관(120)은 제1 및 제2메인 공기공급경로(121)(12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메인 공기공급경로(121)는 침출수 집배수관(111)의 제1공간(111a)과 일체로 형성되며, 제1공간(111a)이 만관되지 않는 경우 분기 공기공급관(130)으로 공기를 공급한다. 즉 침출수 배수량이 적어 제1공간(111a) 중 적어도 일부가 비어 있는 경우 이 빈 공간을 통하여 공기를 주입할 수 있다. 제2메인 공기공급경로(125)는 제2공간(111b)과 일체로 형성되며 제1공간(111a)의 만관여부와 관계없이 분기 공기공급관(130)으로 공기를 공급한다.
상기 블로워(150)는 외부 공기를 상기 메인 공기공급관(120) 내부로 송풍한다. 즉 일단이 폐기물 매립지 외부와 연결되어 외부 공기를 상기 매립지 내부로 공급하는 것으로, 제1공기를 상기 메인 공기공급관(120) 내부로 송풍한다.
또한 상기 주입 공기 역류방지장치(170)는 블로워(150)와 메인 공기공급관(120) 사이에 마련되는 것으로, 블로워(150)에서 제공된 제1공기를 기초로 외부 공기를 흡입함으로써, 공기를 증폭시킨다. 이 주입 공기 역류방지장치(170)로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 실시예에 따른 주입 공기 역류방지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폐기물 매립지의 공기 주입장치를 구성함으로써, 폐기물 매립지 내부의 압력에 의하여 공기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소비전력이 낮은 블로워를 적용하는 경우에도 실질상 동일 내지 뛰어난 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블로워 가동에 소요되는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입 공기 역류방지장치를 채용한 폐기물 매립지의 공기 주입장치의 다른 예를 보인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기물 매립지의 공기 공급장치는 폐기물 매립지(200)의 폐기물에서 발생한 매립 가스를 포집하여 배제하는 가스배제관(230)을 이용하여 공기를 공급하는 장치이다. 이를 위하여, 가스배제관(230)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공기주입관(240)으로 사용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폐기물 매립지의 공기 공급장치는 주입 공기 역류방지장치(270)와, 공기주입관(240) 내부로 외부 공기를 송풍하는 블로어(250) 및 블로어(250)에서 송풍되는 공기를 공기 역류방지장치(270)를 통하여 공기주입관(240)으로 공급하는 공기공급경로(275)를 포함한다.
상기 주입 공기 역류방지장치(270)는 블로워(250)와 공기주입관(240) 사이에 마련되는 것으로, 블로워(250)에서 제공된 제1공기를 기초로 외부 공기를 흡입함으로써, 공기를 증폭시킨다. 이 주입 공기 역류방지장치(270)로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 실시예에 따른 주입 공기 역류방지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폐기물 매립지의 공기 주입장치를 구성함으로써, 폐기물 매립지 내부의 압력에 의하여 공기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소비전력이 낮은 블로워를 적용하는 경우에도 실질상 동일 내지 뛰어난 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블로워 가동에 소요되는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10: 하우징 10a: 내부공간
11: 공기주입구 15: 개구부
20: 공기공급관 21: 흡기구
25: 배기구 27: 가속가이드부
30: 보조증폭기 50: 블로워
31: 증폭관 32: 보조배기구
33: 보조흡기구 35: 보조공기주입부
110, 210: 폐기물 매립지 111: 침출수 침배수관
112: 분리판 120: 메인 공기공급관
130: 분기 공기공급관 150, 250: 블로워
170, 270: 주입 공기 역류방지장치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폐기물에서 발생한 침출수를 집수 및 배수하는 침출수 집배수관을 구비하는 폐기물 매립지 내부로 공기를 주입하는 폐기물 매립지의 공기 주입장치에 있어서,
    상기 매립지의 하부에 설치되며, 일단이 상기 매립지 외부와 연결되어 외부 공기를 상기 매립지 내부로 공급하는 것으로, 상기 침출수 집배수관의 내부에 형성되는 메인 공기공급관과;
    제1공기를 상기 메인 공기공급관 내부로 송풍하는 블로워와;
    상기 블로워와 상기 메인 공기공급관 사이에 마련되는 주입 공기 역류방지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침출수 집배수관은, 내부 공간이 분리판에 의하여 침출수가 이동하는 제1공간과, 공기가 이동하는 제2공간으로 분리되며,
    상기 메인 공기공급관은, 상기 제1공간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1공간이 만관되지 않은 경우 상기 분기 공기공급관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제1메인 공기공급경로와; 상기 제2공간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1공간의 만관여부와 관계없이 상기 분기 공기공급관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제2메인 공기공급경로를 포함하고,
    상기 주입 공기 역류방지장치는,
    내부공간을 가지며, 외부에서 공급되는 제1공기를 상기 내부공간으로 주입하는 공기주입구를 가지는 하우징과;
    외부로부터 제2공기를 흡입하는 흡기구와, 흡입된 제2공기를 배출하는 배기구를 가지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공기공급관과;
    상기 배기구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개방 형성되며, 상기 공기주입구를 통하여 주입된 제1공기를 상기 하우징 외부로 배출하는 개구부과;
    상기 제2공기의 흐름 방향을 따라 상기 배기구가 확장되도록 상기 배기구의 내측 단부에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배기구를 통하여 배기되는 제2공기의 단위 시간당 배기량을 증가시키는 가속가이드부와;
    상기 공기주입구와 상기 배기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 공기공급관에 주입되는 공기를 부가적으로 증폭하는 것으로, 폭이 넓은 부분이 막힌 깔때기 형상의 증폭관과, 상기 증폭관에 설치되는 보조공기주입부를 구비한 보조증폭기를 포함하여,
    상기 주입 공기 역류방지장치에서 증폭된 공기를 상기 메인 공기공급관을 통하여 공급하는 호기성 매립지에서의 주입 공기 역류 방지를 위한 공기 주입장치.
  6. 삭제
  7. 삭제
KR1020180160356A 2018-12-12 2018-12-12 호기성 매립지에서의 주입 공기 역류 방지를 위한 공기 주입장치 KR1020360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0356A KR102036037B1 (ko) 2018-12-12 2018-12-12 호기성 매립지에서의 주입 공기 역류 방지를 위한 공기 주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0356A KR102036037B1 (ko) 2018-12-12 2018-12-12 호기성 매립지에서의 주입 공기 역류 방지를 위한 공기 주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6037B1 true KR102036037B1 (ko) 2019-11-13

Family

ID=68535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0356A KR102036037B1 (ko) 2018-12-12 2018-12-12 호기성 매립지에서의 주입 공기 역류 방지를 위한 공기 주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6037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06108B2 (ja) * 1987-04-20 1996-06-12 住友石炭鉱業株式会社 多段コアンダスパイラルフロ−生成装置
KR100493393B1 (ko) * 2003-04-17 2005-06-07 주식회사 건화엔지니어링 오 ·폐수 제거용 폐수정
KR20050086152A (ko) * 2004-02-25 2005-08-30 장동복 챔버내 오염가스 배출 장치
KR20060016586A (ko) * 2004-08-18 2006-02-22 윤중현 폐기물 매립장의 호기성 촉진 시스템
JP4091511B2 (ja) 2003-09-25 2008-05-28 住友重機械エンバイロメント株式会社 埋立廃棄物の浄化方法
KR20150048330A (ko) * 2013-10-26 2015-05-07 주식회사 토리 유체 가속 장치
KR101891526B1 (ko) * 2017-07-25 2018-08-27 안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폐기물 매립지의 가스배제관을 이용한 공기 공급장치
KR20180101987A (ko) * 2017-03-06 2018-09-14 쥬가이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버너 장치 및 가열 처리 설비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06108B2 (ja) * 1987-04-20 1996-06-12 住友石炭鉱業株式会社 多段コアンダスパイラルフロ−生成装置
KR100493393B1 (ko) * 2003-04-17 2005-06-07 주식회사 건화엔지니어링 오 ·폐수 제거용 폐수정
JP4091511B2 (ja) 2003-09-25 2008-05-28 住友重機械エンバイロメント株式会社 埋立廃棄物の浄化方法
KR20050086152A (ko) * 2004-02-25 2005-08-30 장동복 챔버내 오염가스 배출 장치
KR20060016586A (ko) * 2004-08-18 2006-02-22 윤중현 폐기물 매립장의 호기성 촉진 시스템
KR20150048330A (ko) * 2013-10-26 2015-05-07 주식회사 토리 유체 가속 장치
KR20180101987A (ko) * 2017-03-06 2018-09-14 쥬가이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버너 장치 및 가열 처리 설비
KR101891526B1 (ko) * 2017-07-25 2018-08-27 안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폐기물 매립지의 가스배제관을 이용한 공기 공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63980B2 (ja) 最終処分場の構造
KR102036039B1 (ko) 공기 증폭장치 및 이를 채용한 호기성 폐기물 매립지의 공기 주입장치
DE60001026T2 (de) Vorrichtung sowie verfahren zur teilweisen trocknung eines bereiches im boden
KR102036037B1 (ko) 호기성 매립지에서의 주입 공기 역류 방지를 위한 공기 주입장치
JP2006291645A (ja) 軟弱地盤の改良構造およびその改良工法
CN214653767U (zh) 原位集约型地下水空气注入井
KR20200086122A (ko) 공기 증폭장치 및 이를 채용한 호기성 폐기물 매립지의 공기 주입장치
CN109108062A (zh) 用于污染场地土壤地下水原位修复的新型多相抽提系统
KR101285290B1 (ko) 퇴비화 기술 및 침출수 순환을 이용한 동물사체 매립지
KR100558152B1 (ko) 폐기물 매립장의 호기성 촉진 시스템
CN107030082A (zh) 加速垃圾填埋场稳定化的垃圾填埋工艺
JP4091511B2 (ja) 埋立廃棄物の浄化方法
JP2006183403A (ja) トンネル内の換気装置
KR101891526B1 (ko) 폐기물 매립지의 가스배제관을 이용한 공기 공급장치
KR20120083258A (ko) 공기증폭기를 이용한 압축공기 분사장치
JP2008055258A (ja) ガス吸引システム及びそれを用いたガス吸引方法
KR102401883B1 (ko) 악취제거 기능을 갖는 매립지 안정화장치
CN210701628U (zh) 一种用于垃圾填埋场的好氧稳定处理系统
JP2000263030A (ja) 揮発性化合物による汚染土壌の浄化処理方法
CN111672864A (zh) 填埋场排水导气管道
JP3189609U (ja) 脱臭構造
US20240017309A1 (en) Shallow well and conduit/collector grid
CN212384257U (zh) 填埋场排水导气管道
US20170165726A1 (en) Gas vent with low-pressure relief valve for landfills
CN210435031U (zh) 一种好氧稳定处理用处置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