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5749B1 - 선박용 수냉식 응축기 - Google Patents

선박용 수냉식 응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5749B1
KR102035749B1 KR1020190003297A KR20190003297A KR102035749B1 KR 102035749 B1 KR102035749 B1 KR 102035749B1 KR 1020190003297 A KR1020190003297 A KR 1020190003297A KR 20190003297 A KR20190003297 A KR 20190003297A KR 102035749 B1 KR102035749 B1 KR 1020357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cover
insertion hole
plate
corro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32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철기
이동수
이시석
옥진구
홍광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센추리
대한민국(국방부 해군참모총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센추리, 대한민국(국방부 해군참모총장)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센추리
Priority to KR10201900032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57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57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57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7/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28D7/16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being arranged in parallel spaced re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9/00Preventing the formation of deposits or corrosion, e.g. by using filters or scrapers
    • F28F19/002Preventing the formation of deposits or corrosion, e.g. by using filters or scrapers by using inserts or attach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1/00Constructions of heat-exchange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 F28F21/08Constructions of heat-exchange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of metal
    • F28F21/081Heat exchange elements made from metals or metal alloys
    • F28F21/085Heat exchange elements made from metals or metal alloys from copper or copper allo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1/00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F28D1/00 - F28D20/00
    • F28D2021/0019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8D2021/0068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efrigerant cycles
    • F28D2021/007Conden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판의 외측에 해수로 인한 부식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고, 따개비 등의 이물질이 접촉되지 않도록 하여, 관판의 수리 및 교체 비용을 감소시키고 냉매 누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선박용 수냉식 응축기에 관한 것으로, 본체의 일측을 차단하는 제 1 관판의 외면을 덮도록 밀착되되 부식 방지 재질로 형성되는 부식방지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선박용 수냉식 응축기{WATER COLD TYPED CONDENSOR FOR SHIP}
본 발명은 선박용 수냉식 응축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관판의 외측에 해수로 인한 부식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고, 따개비 등의 이물질이 접촉되지 않도록 하여, 관판의 수리 및 교체 비용을 감소시키고 냉매 누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선박용 수냉식 응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혹한 해양환경에서 운용되는 선박은 끊임없이 반복되는 파랑에 의한 반복하중과 해양에서 기인하는 염분과 습기 등으로 인하여, 금속재료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부식이 발생한다. 부식(Corrosion)은 금속 표면의 원자가 그 결정격자를 이탈해서 주변 환경(해수)과 전기화학적 또는 화학적 반응을 일으킴으로써 금속이 손상을 받는 현상이다. 특히, 해군 함정을 비롯한 각종 선박에 장착되는 냉수제조장치 중 응축 과정을 물로 냉각하는 수냉식 응축기의 경우, 재생기에서 토출된 고온의 냉매를 냉각수 중에 방출시켜 응축, 액화시켜 주는 과정에서 많은 양의 냉각수를 필요로 하므로, 응축기가 가동되는 동안은 지속적으로 해수를 공급해주어야 하는데, 해수는 응축기를 부식시키는 주요 원인이 된다.
도 1은 종래 수냉식 응축기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수냉식 응축기는 내부가 빈 원 기둥 형상의 본체(10)와, 본체(10)의 개방된 일단부를 차단하는 제 1 관판(20)과, 본체(10)의 개방된 타단부를 차단하는 제 2 관판(22)과, 제 1 관판(20)을 커버하는 제 1 커버(30)와, 제 2 관판(22)을 커버하는 제 2 커버(32)와, 본체(10) 내부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복수 개의 열교환관(40)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 1 커버(30)에 해수가 유입되는 해수유입구(30a)가 형성되고, 제 2 커버(32)에 해수가 유출되는 해수유출구(32a)가 형성되며, 본체(10)의 일측에 냉매가 유입되는 냉매유입구(10a)가 형성되고 본체(10)의 타측에 냉매가 유출되는 냉매유출구(10b)가 형성된다. 그리고 해수유입구(30a)를 통하여 제 1 커버(30)로 유입되는 해수는 열교환관(40)을 따라 본체(10) 내부로 유입되면서 열교환관(40)을 냉각시킨 후 제 2 커버(32)로 이동되고 이어서 해수유출구(32a)를 통하여 외부로 유출된다. 그리고 재생기에서 증발한 냉매는 냉매유입구(10a)를 통하여 본체(10) 내부로 유입된 후 해수에 의하여 냉각된 열교환관(40)의 표면과 열 교환이 진행되면서 증기 상태의 냉매가 액체 상태로 응축되도록 한다. 액체 상태로 응축된 냉매는 냉매유출구(10b)를 통하여 본체(10) 외부로 유출된 후 증발기로 공급된다.
한편, 해수유입구(30a)를 통하여 제 1 커버(30)로 유입되는 해수가 열교환관(40)으로 이동되기 전에 제 1 관판(20)의 외측 주변에 잔류하게 되는데, 이때, 해수에 포함된 염분이 제 1 관판(20)의 외측을 부식시켜서, 응축기의 수리 및 교체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운전 시에는 캐비테이션(Cavitation)에 의한 침식, 정지 시에는 탄산칼슘, 탄산 마그네슘의 촉매 작용으로 갈바닉(Galvanic) 부식이 촉진된다. 또한, 제 1 관판(20)에 유기/무기질 스케일이 형성되어 열전도가 감소되고, 이는 냉각 효율 저하를 야기하여 결국 과부하 운전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점토, 미생물, 해조류, 조개류, 따개비 등의 유기질이 제 1 관판(20)과 연결된 열교환관(40)의 구멍을 막게 되어, 냉각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20529호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관판의 외측에 해수로 인한 부식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고, 따개비 등의 이물질이 접촉되지 않도록 하여, 관판의 수리 및 교체 비용을 감소시키고 냉매 누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선박용 수냉식 응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가 빈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길이방향 일단부에 제 1 개방부가 형성되고 길이방향 타단부에 제 2 개방부가 형성되는 본체; 상기 제 1 개방부를 차단하도록 설치되며 일면에 복수 개의 제 1 삽입공이 관통 형성되는 제 1 관판; 상기 제 2 개방부를 차단하도록 설치되며 일면에 상기 제 1 삽입공과 대향되도록 복수 개의 제 2 삽입공이 관통 형성되는 제 2 관판; 상기 본체 내부에 위치되되 일측은 제 1 삽입공에 삽입되도록 연장되고 타측은 제 2 삽입공에 삽입되도록 연장되는 복수 개의 튜브; 상기 제 1 관판의 외면을 덮도록 밀착되되 부식 방지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삽입공과 대향되는 위치에 부식방지홀이 형성되는 부식방지판; 상기 부식방지판을 커버하는 제 1 커버; 및 상기 제 2 개방부를 커버하는 제 2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커버를 통하여 유입되는 해수는 상기 부식방지홀을 지나 튜브로 전달되고, 상기 본체의 일측에 형성되는 냉매유입구를 통하여 상기 본체 내부로 유입된 냉매는 상기 튜브와 열 교환되면서 응축된 후, 상기 본체의 타측에 형성되는 냉매유출구를 통하여 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수냉식 응축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본체 내부의 일측과 타측은 상호 연통되는 제 1 공간부와 제 2 공간부로 각각 구분되고, 상기 튜브는, 상기 제 1 공간부에 위치되는 유입튜브와, 상기 제 2 공간부에 위치되는 유출튜브로 구분되고, 상기 제 1 커버의 일측에는 상기 유입튜브와 연통되도록 해수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커버의 타측에는 상기 유출튜브와 연통되도록 해수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커버는 상기 유입튜브를 따라 이동되는 해수의 방향을 상기 유출튜브로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수냉식 응축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삽입공에 삽입된 상기 튜브의 일측은 상기 제 1 삽입공의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부식방지홀은 상기 제 1 삽입공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수냉식 응축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삽입공에 삽입된 상기 튜브의 일측은 확관 가공에 의하여 형성되는 확관부가 구비되고, 상기 확관부는 상기 제 1 삽입공을 관통하여 상기 부식방지홀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수냉식 응축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커버의 테두리를 따라 복수 개의 결합볼트가 결합되되, 상기 결합볼트는 상기 부식방지판의 테두리 및 상기 제 1 관판의 테두리를 관통하여 상기 제 1 개방부의 외주연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플랜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수냉식 응축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부식방지판은 동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수냉식 응축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제 1 커버 내부로 유입되는 해수가 제 1 관판이 아닌 부식방지판과 직접 접촉되면서 부식방지판을 침식 및 부식시키고, 해수에 포함된 점토, 미생물, 해조류, 조개류, 따개비 등의 유기질이 제 1 관판에 직접 접촉하지 않으므로, 로 제 1 관판의 수명이 연장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 1 관판 및 제 1 삽입공이 부식되지 않으므로, 본체 내부로 유입되는 냉매의 누설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부식방지판은 제 1 결합볼트에 의하여 착탈 가능하게 본체에 결합되므로, 설치 및 관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부식방지판에 형성되는 부식방지홀의 직경은 제 1 관판에 형성되는 제 1 삽입공의 직경보다 크도록 형성되어, 부식방지판이 제 1 관판의 외면에 설치될 때, 제 1 삽입공을 관통한 튜브가 부식방지홀에 용이하게 위치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수냉식 응축기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수냉식 응축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수냉식 응축기의 제 1 커버와 부식방지판이 분해된 상태롤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수냉식 응축기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수냉식 응축기의 부식방지판에 해수가 접촉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수냉식 응축기에 구비되는 제 1 삽입공과 부식방지홀의 직경 크기를 비교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수냉식 응축기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수냉식 응축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수냉식 응축기(100)는 본체(110), 제 1 관판(120: 도 3 도시), 제 2 관판(125: 도 4 도시), 유입튜브(130: 도 4 도시), 유출튜브(135: 도 4 도시), 부식방지판(140: 도 3 도시), 제 1 커버(160) 및 제 2 커버(165)를 포함한다. 응축기(100)는 예를 들면, 해군 함정을 비롯한 각종 선박에 장착되는 냉수제조장치 중 해수를 이용하여 본체(110) 내부로 유입되는 냉매를 응축시키는 수냉식 응축기에 적용될 수 있다.
본체(110)는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것으로, 예를 들면 내부가 빈 윈 기둥 형상 등으로 형성된다. 본체(110)의 길이방향 일단부에 제 1 개방부(112: 도 4 도시)가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본체(110)의 길이방향 타단부에 제 2 개방부(114: 도 4 도시)가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제 1 개방부(112)의 외주연을 따라 제 1 플랜지(113)가 돌출 형성되고, 제 2 개방부(114)의 외주연을 따라 제 2 플랜지(115)가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제 1 플랜지(113)에 제 1 커버(160)가 결합되고, 제 2 플랜지(115)에 제 2 커버(165)가 결합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수냉식 응축기의 제 1 커버와 부식방지판이 분해된 상태롤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수냉식 응축기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체(110)의 내부 공간은 내부 일측에 구비되는 제 1 공간부(110a)와, 내부 타측에 구비되는 제 2 공간부(110b)로 구분된다. 제 1 공간부(110a)와 제 2 공간부(110b)는 각각 독립된 공간이 아니고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호 연통되는 하나의 공간을 제 1, 2 공간부(110a, 110b)로 구분한 것이다.
제 1 관판(120)은 원판 형태로 형성되며 제 1 개방부(112)를 차단하도록 설치된다. 제 1 관판(120)의 일면에는 복수 개의 제 1 삽입공(120a)이 관통 형성된다. 제 2 관판(125)은 제 1 관판(120)과 마찬가지로 원판 형태로 형성되며 제 2 개방부(114)를 차단하도록 설치된다. 제 2 관판(125)의 일면에는 제 1 삽입공(120a)과 대향되도록 복수 개의 제 2 삽입공(125a)이 관통 형성된다.
유입튜브(130)는 길이방향을 따라 관 형상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으로, 제 1 공간부(110a)에 복수 개가 위치된다. 유입튜브(130)의 일측은 제 1 삽입공(120a)에 삽입되도록 길게 연장되고 타측은 제 2 삽입공(125a)에 삽입되도록 길게 연장된다. 유출튜브(135)는 유입튜브(130)와 마찬가지로 길이방향을 따라 관 형상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으로, 제 2 공간부(110b)에 복수 개가 위치된다. 유출튜브(135)의 일측은 제 1 삽입공(120a)에 삽입되도록 길게 연장되고 타측은 제 2 삽입공(125a)에 삽입되도록 길게 연장된다.
부식방지판(140)은 제 1 관판(120)의 외면을 덮도록 밀착되는 것으로, 제 1 관판(120)의 크기에 대응되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부식방지판(140)의 제 1 삽입공(120a)과 대향되는 위치에는 부식방지홀(140a)이 형성된다. 이러한 부식방지판(140)은 예를 들면 동 즉, 구리와 같은 부식 방지 재질로 형성되어, 해수로부터 제 1 관판(120)을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즉, 기존의 제 1 관판(120)에 적용되는 부식 방지 코팅, 따개비 제거 등의 복잡한 방법 대신, 부식방지판(140)이 제 1 관판(120)을 커버하도록 하여, 부식방지판(140)이 제 1 관판(120) 대신 해수와 직접 접촉되면서 침식 및 부식되고, 해수에 포함된 따개비 등의 이물질이 제 1 관판(120)에 접촉되지 않도록 차단하므로, 제 1 관판(120)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게 된다.
제 1 커버(160)는 부식방지판(140)을 커버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제 1 커버(160)의 일측에는 유입튜브(130)와 연통되도록 해수유입구(161a)가 형성되고, 제 1 커버(160)의 타측에는 유출튜브(135)와 연통되도록 해수유출구(162a)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 1 커버(160)의 내부에는 차단부(163)에 의하여 상호 독립된 제 1 커버공간부(161)와 제 2 커버공간부(162)가 구비된다. 즉, 부식방지판(140)과 제 1 커버(160)의 일측 사이에는 제 1 커버공간부(161)가 형성되고, 부식방지판(140)과 제 1 커버(160)의 타측 사이에는 제 2 커버공간부(162)가 형성되며, 제 1 커버공간부(161)와 제 2 커버공간부(162)는 차단부(163)에 의하여 상호 독립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해수유입구(161a)는 제 1 커버공간부(161) 방향으로 관통되고, 해수유출구(162a)는 제 2 커버공간부(162) 방향으로 관통된다. 제 2 커버(165)는 제 2 개방부(114)를 커버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제 1 커버(160)의 테두리를 따라 복수 개의 제 1 결합볼트(B1)가 결합된다. 제 1 결합볼트(B1)는 상기 부식방지판(140)의 테두리 및 상기 제 1 관판(120)의 테두리를 관통하여 본체(110)의 제 1 플랜지(113)에 결합된다. 이때, 링형의 제 1 가스켓(150)이 제 1 관판(120)의 테두리와 부식방지판(140)의 테두리 사이에 끼워지고, 링형의 제 2 가스켓(152)이 부식방지판(140)의 테두리와 제 1 커버(160)의 테두리 사이에 끼워진다. 이처럼 부식방지판(140)은 제 1 결합볼트(B1)에 의하여 간단하게 장착 및 해체할 수 있어, 부식방지판(140)의 설치 및 관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제 2 커버(165)의 테두리를 따라 복수 개의 제 2 결합볼트(B2)가 결합된다. 제 2 결합볼트(B2)는 제 2 관판(125)의 테두리를 관통하여 본체(110)의 제 2 플랜지(115)에 결합된다. 이때, 링형의 제 3 가스켓(154)이 제 2 관판(125)의 테두리와 제 2 커버(165)의 테두리 사이에 끼워진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수냉식 응축기(100)의 작동을 살펴보면, 제 1 커버(160)의 해수유입구(161a)를 통하여 제 1 커버공간부(161)로 유입되는 해수는 부식방지홀(140a)을 지나 유입튜브(130)로 전달된다. 그리고 유입튜브(130)로 전달되는 해수는 유입튜브(130)를 따라 이동되면서 유입튜브(130)의 표면 온도를 냉각시킨다. 이때, 제 1 커버공간부(161)로 유입되는 해수는 제 1 관판(120) 대신 부식방지판(140)과 접촉된다. 이는 도 5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유입튜브(130)를 따라 이동되는 해수는 제 2 커버(165)로 이동된다. 제 2 커버(165)는 유입튜브(130)를 따라 이동되는 해수의 방향을 유출튜브(135)로 전환시킨다. 그러면 유입커버에서 제 2 커버(165)로 배출된 해수가 유출튜브(135)로 전달되고, 유출튜브(135)로 전달된 해수는 유출튜브(135)를 따라 이동되면서 유출튜브(135)의 표면 온도를 냉각시킨다. 그리고 유출튜브(135)를 따라 이동되는 해수는 제 2 커버공간부(162)로 이동된 후 해수유출구(162a)를 통하여 외부로 유출된다.
그리고 본체(110)의 일측에 형성되는 냉매유입구(116)를 통하여 본체(110) 내부로 유입된 냉매는 해수에 의하여 차가워진 유입튜브(130) 및 유출튜브(135)와 열 교환되면서 응축된 후, 본체(110)의 타측에 형성되는 냉매유출구(117)를 통하여 유출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수냉식 응축기의 부식방지판에 해수가 접촉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해수유입구(161a)를 통하여 제 1 커버공간부(161)로 유입되는 해수는 제 1 커버공간부(161)에 머무르는 동안 부식방지판(140)과 접촉된 후 부식방지홀(140a)을 통하여 유입튜브(130)로 이동된다. 즉, 제 1 커버공간부(161)에 수용되는 해수는 제 1 관판(120)이 아니라 부식방지판(140)과 직접 접촉되면서 부식방지판(140)을 침식 및 부식시키고, 해수에 포함된 점토, 미생물, 해조류, 조개류, 따개비 등의 유기질이 제 1 관판(120)에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하여, 제 1 관판(120)의 수명이 연장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 1 관판(120) 및 제 1 삽입공(120a)이 따개비 등에 의하여 오염되거나, 부식되지 않으므로, 본체(110) 내부로 유입되는 냉매의 누설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부식방지판(140)은 제 1 결합볼트(B1)에 의하여 착탈 가능하게 본체(110)에 결합되므로, 설치 및 관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수냉식 응축기에 구비되는 제 1 삽입공과 부식방지홀의 직경 크기를 비교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 1 삽입공(120a)에 삽입되는 유입튜브(130)의 일측은 제 1 삽입공(120a)에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하기 위하여 유입튜브(130)의 일측을 확대하는 확관 가공을 하게 되는데, 이처럼 확관 가공을 하게 되면, 유입튜브(130)의 일측에 확관부(132)가 형성된다. 이러한 확관부(132)는 제 1 삽입공(120a)을 관통하여 제 1 삽입공(120a)의 외부로 돌출된다.
그런데 제 1 관판(120)의 외면에 부식방지판(140)이 밀착될 때, 제 1 삽입공(120a)과 대향되는 부식방지홀(140a)이 제 1 삽입공(120a)보다 작거나 같으면, 제 1 삽입공(120a)의 외부로 돌출된 확관부(132)의 간섭에 의하여 부식방지판(140)이 제 1 관판(120)의 외면에 긴밀하게 밀착될 수 없다. 이에 따라, 부식방지판(140)에 형성되는 부식방지홀(140a)의 직경(θ2)이 제 1 관판(120)에 형성되는 제 1 삽입공(120a)의 직경(θ1)보다 크도록 형성되어, 부식방지판(140)이 제 1 관판(120)의 외면에 설치될 때, 제 1 삽입공(120a)을 관통한 확관부(132)가 부식방지홀(140a)에 용이하게 위치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을 이로 한정하지 않음은 당연하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0: 응축기
110: 본체 110a: 제 1 공간부
110b: 제 2 공간부 112: 제 1 개방부
113: 제 1 플랜지 114: 제 2 개방부
115: 제 2 플랜지 116: 냉매유입구
117: 냉매유출구 120: 제 1 관판
120a: 제 1 삽입공 125: 제 2 관판
125a: 제 2 삽입공 130: 유입튜브
132: 확관부 135: 유출튜브
140: 부식방지판 140a: 부식방지홀
150: 제 1 가스켓 152: 제 2 가스켓
154: 제 3 가스켓 160: 제 1 커버
161: 제 1 커버공간부 161a: 해수유입구
162: 제 2 커버공간부 162a: 해수유출구
163: 차단부 165: 제 2 커버
B1: 제 1 결합볼트 B2: 제 2 결합볼트

Claims (6)

  1. 내부가 빈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길이방향 일단부에 제 1 개방부가 형성되고 길이방향 타단부에 제 2 개방부가 형성되는 본체;
    상기 제 1 개방부를 차단하도록 설치되며 일면에 복수 개의 제 1 삽입공이 관통 형성되는 제 1 관판;
    상기 제 2 개방부를 차단하도록 설치되며 일면에 상기 제 1 삽입공과 대향되도록 복수 개의 제 2 삽입공이 관통 형성되는 제 2 관판;
    상기 본체 내부에 위치되되 일측은 제 1 삽입공에 삽입되도록 연장되고 타측은 제 2 삽입공에 삽입되도록 연장되는 복수 개의 튜브;
    상기 제 1 관판의 외면을 덮도록 밀착되되 부식 방지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삽입공과 대향되는 위치에 부식방지홀이 형성되는 부식방지판;
    상기 부식방지판을 커버하는 제 1 커버; 및
    상기 제 2 개방부를 커버하는 제 2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커버를 통하여 유입되는 해수는 상기 부식방지홀을 지나 튜브로 전달되고,
    상기 본체의 일측에 형성되는 냉매유입구를 통하여 상기 본체 내부로 유입된 냉매는 상기 튜브와 열 교환되면서 응축된 후, 상기 본체의 타측에 형성되는 냉매유출구를 통하여 유출되고,
    상기 제 1 삽입공에 삽입된 상기 튜브의 일측은 상기 제 1 삽입공의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부식방지홀은 상기 제 1 삽입공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1 삽입공에 삽입된 상기 튜브의 일측은 확관 가공에 의하여 형성되는 확관부가 구비되고,
    상기 확관부는 상기 제 1 삽입공을 관통하여 상기 부식방지홀에 위치되고,
    상기 확관부는 상기 제 1 삽입공에 밀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부식방지판이 상기 제 1 관판의 외면에 설치될 때, 상기 제 1 삽입공을 관통한 상기 확관부가 상기 부식방지홀에 위치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본체 내부의 일측과 타측은 상호 연통되는 제 1 공간부와 제 2 공간부로 각각 구분되고,
    상기 튜브는, 상기 제 1 공간부에 위치되는 유입튜브와, 상기 제 2 공간부에 위치되는 유출튜브로 구분되고,
    상기 제 1 커버의 일측에는 상기 유입튜브와 연통되도록 해수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커버의 타측에는 상기 유출튜브와 연통되도록 해수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커버는 상기 유입튜브를 따라 이동되는 해수의 방향을 상기 유출튜브로 전환시키고,
    상기 제 1 커버의 테두리를 따라 복수 개의 결합볼트가 결합되되, 상기 결합볼트는 상기 부식방지판의 테두리 및 상기 제 1 관판의 테두리를 관통하여 상기 제 1 개방부의 외주연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플랜지에 결합되고,
    상기 부식방지판은 동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수냉식 응축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90003297A 2019-01-10 2019-01-10 선박용 수냉식 응축기 KR1020357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3297A KR102035749B1 (ko) 2019-01-10 2019-01-10 선박용 수냉식 응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3297A KR102035749B1 (ko) 2019-01-10 2019-01-10 선박용 수냉식 응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5749B1 true KR102035749B1 (ko) 2019-10-24

Family

ID=68423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3297A KR102035749B1 (ko) 2019-01-10 2019-01-10 선박용 수냉식 응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574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59993A (ja) * 1997-11-25 1999-06-15 Hiroshi Suga 多管式コンデンサ
JP2007057134A (ja) * 2005-08-23 2007-03-08 Izumi Food Machinery Co Ltd 多管式熱交換器
KR20120020529A (ko) 2010-08-30 2012-03-0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흡수식 냉동장치 및 흡수식 냉동방법
JP2016017711A (ja) * 2014-07-10 2016-02-01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水冷式熱交換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59993A (ja) * 1997-11-25 1999-06-15 Hiroshi Suga 多管式コンデンサ
JP2007057134A (ja) * 2005-08-23 2007-03-08 Izumi Food Machinery Co Ltd 多管式熱交換器
KR20120020529A (ko) 2010-08-30 2012-03-0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흡수식 냉동장치 및 흡수식 냉동방법
JP2016017711A (ja) * 2014-07-10 2016-02-01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水冷式熱交換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215693T3 (es) Procedimiento y dispositivo para evitar las incrustaciones en tomas de mar y sistemas de agua de mar en barcos, pltaformas offshores.
US5373728A (en) Galvanic anode device and electrolysis control monitor
KR102035749B1 (ko) 선박용 수냉식 응축기
WO2001025086A1 (en) Cooling apparatus
WO2017073051A1 (ja) 船舶に搭載された回転電気機械の冷却装置
JPH0141917B2 (ko)
Kuchař et al. Maintenance and cleaning of heat exchangers
KR101205366B1 (ko) 선박용 희생 양극 장치
CN210950295U (zh) 防腐锌块管道安装结构
KR20110037632A (ko) 선박 냉각 시스템
Weber Inhibition of the corrosion of industrial cooling systems: report prepared for the European Federation of Corrosion Working Party on inhibitors
CN211739995U (zh) 一种封闭式循环冷却水装置
JP2941543B2 (ja) 熱交換器の電気防食装置
ME Controlling corrosion in marine refrigeration systems
GB2118972A (en) Marine antifouling system
KR101498932B1 (ko) 지중온도에 따라 자동 운전되는 열섬화 방지장치를 구비한 집단형 수직밀폐형지열시스템
CN218155640U (zh) 一种蒸发式冷凝装置
CN219673494U (zh) 一种地源热泵用地埋管
KR100839227B1 (ko) 화학약품용 냉각기
KR102338571B1 (ko) 선박용 암모니아 냉동기의 열교환 튜브 및 그 제조방법
CN213362514U (zh) 一种双冷却通道的螺旋出渣机
CN210070670U (zh) 一种列管式石墨换热器
CN220670281U (zh) 一种船用液体冷却器
CN206875780U (zh) 上端盖及磁悬浮储能装置
Lenard et al. Corrosion Problems With Copper-Nickel Components in Seawater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