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5456B1 - 발광섬유를 구비하는 작업복 - Google Patents

발광섬유를 구비하는 작업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5456B1
KR102035456B1 KR1020190063147A KR20190063147A KR102035456B1 KR 102035456 B1 KR102035456 B1 KR 102035456B1 KR 1020190063147 A KR1020190063147 A KR 1020190063147A KR 20190063147 A KR20190063147 A KR 20190063147A KR 102035456 B1 KR102035456 B1 KR 1020354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fiber
unit
fabric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3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철수
Original Assignee
김철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철수 filed Critical 김철수
Priority to KR10201900631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54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54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54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1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reflective or luminous safety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2Overalls, e.g. bodysuits or bib overall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12Shields or pro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8Means for ventilation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08Clothing or clothing accessories, e.g. scarfs, gloves or belts
    • H01L51/50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44Donning faciliti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600/0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A41D2600/2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working activities
    • A41D2600/202Wel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40Lighting for industrial, commercial, recreational or military use
    • F21W2131/402Lighting for industrial, commercial, recreational or military use for working pl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발광섬유가 적용된 작업복에 있어서, 일반섬유사가 직조되어 형성되는 섬유원단과,상기 섬유원단에 발광섬유사를 꿰어 형성되는 발광원단과, 상기 발광원단에 연결되며, 상기 발광원단의 색상 및 조도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구비하고, 상기 섬유원단은 작업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신축성이 확보되는 탄성재질로 형성되며, 상의와 하의로 일체 또는 분리되도록 재단되어 형성되는 착용부와, 상기 착용부에 형성되며, 작업자의 크기에 맞게 크기가 조절되는 조절부와, 상기 착용부의 상단에서 연장되며, 작업자의 코와 입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이물질을 여과하는 여과부를 구비하고, 상기 발광원단은 다양한 색상의 빛을 발광하는 발광부와, 상기 발광부의 단부가 결합되며, 상기 제어기에서 공급되는 전류를 상기 발광부로 전달하는 전류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발광섬유를 구비하는 작업복{Work Clothes Having Light Emitting Fiber}
본 발명은 발광섬유를 구비하는 작업복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류에 의하여 다양한 빛을 발광하는 발광섬유가 직조된 작업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이나 제조업 등의 각종 산업 현장에서 작업을 수행할 경우 신체를 보호하기 위하여 작업복을 의무적으로 착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작업복은 신체에 상처를 입히고 의복이 오염될 작업환경이나 또는 클린룸(clean room)과 같이 작업자의 신체에 달라붙은 이물질로 인하여 작업 대상물이 오염되는 작업환경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공되고 있다.
이?, 어두운 작업 환경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는 야간작업복을 착용한다. 야간작업복은 작업복의 표면에 빛을 발산하는 발광부재를 부착함으로써 상대방에게 작업자의 위치를 알려주기 위한 작업복이다. 야간작업복은 야간 작업이나 지하와 같이 빛이 차단된 장소에서의 작업시, 작업자의 위치가 확인되지 않아 발생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안전사고를 예방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착용된다. 일례로, 도로에서의 야간 작업시 작업자의 위치가 확인되지 않는다면 작업자의 위치를 인지하지 못한 차량 등에 의해 교통사고가 발생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작업자가 부상을 입을 수 있으므로, 야간작업복은 야간 작업시 반드시 착용되어야 한다.
종래의 야간작업복은 발광부재와 이 발광부재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를 포함한다. 이때, 발광부재와 전원부들은 공지의 에나멜 구리전선으로 연결되는데, 에나멜 구리전선은 유연하지 않으므로 착용감을 저하시켜 작업자의 활동에 제약을 줄 뿐만 아니라, 세탁도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야간작업복은 작업자가 수동으로 발광부재를 온(on)/오프(off) 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작업자의 부주의로 발광 부재가 적시에 작동되지 못하는 경우에는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14-0020619호(2014.02.19)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조도가 낮은 작업 환경에서 작업자의 위치를 식별하도록 유도할 수 있는 발광섬유를 구비하는 작업복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작업복의 내부 환경을 쾌적하게 하기 위하여 통기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발광섬유를 구비하는 작업복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발광섬유가 적용된 작업복에 있어서, 일반섬유사가 직조되어 형성되는 섬유원단과,상기 섬유원단에 발광섬유사를 꿰어 형성되는 발광원단과, 상기 발광원단에 연결되며, 상기 발광원단의 색상 및 조도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구비하고, 상기 섬유원단은 작업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신축성이 확보되는 탄성재질로 형성되며, 상의와 하의로 일체 또는 분리되도록 재단되어 형성되는 착용부와, 상기 착용부에 형성되며, 작업자의 크기에 맞게 크기가 조절되는 조절부와, 상기 착용부의 상단에서 연장되며, 작업자의 코와 입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이물질을 여과하는 여과부를 구비하고, 상기 발광원단은 다양한 색상의 빛을 발광하는 발광부와, 상기 발광부의 단부가 결합되며, 상기 제어기에서 공급되는 전류를 상기 발광부로 전달하는 전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섬유사를 상기 섬유원단에 꿰어 문자, 그림, 모양 중 적어도 하나로 수놓는 제작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착용부는 서로 분리되는 상의와 하의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는 상의와 하의 사이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공기가 순환될 수 있다.
상기 착용부는 통기성이 확보되도록 복수의 섬유원단 사이에 형성되는 메시망과, 상기 메시망의 외측에 전기방사장치에 의하여 분출되는 나노섬유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나노섬유는 상기 전기방사장치에서 이동하는 전하에 의하여 분출되는 폴리머 용액으로 형성되고, 상기 폴리머 용액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폴리머 용액에 첨가되는 첨가제의 색상에 따라 다양한 색상이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나노섬유는 상기 폴리머 용액의 종류 및 성질에 따라 굵기 및 복수의 통기홀 크기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여과부는 외부의 이물질을 여과하는 필터와, 상기 필터를 내부에 수용하며, 상기 여과부에 결합되는 케이스와, 상기 여과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순환팬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발광섬유사는 양자선, LED선, 유기발광다이오드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기는 상기 발광부의 발광 형상을 제어하는 형상제어부와, 상기 전류부로 전류를 공급하는 공급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어기는 단말기의 정보를 수신받는 통신부와, 외부에서 전류가 충전되어 상기 발광부로 전류를 공급하는 충전부를 구비하고, 상기 통신부에서 수신받은 정보를 상기 발광부에서 표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양자선, LED선 등의 발광섬유사를 일반섬유사와 직조하여 빛을 발광하며, 양발광섬유사가 각각 다양한 색의 빛을 발광함에 따라 다양한 문자, 그림, 모양 등을 표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작업복에 메시망에 형성되어 통기 성능을 향상시키고, 메시망의 외측에 나노 섬유가 분출되어 이물질은 여과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광섬유를 구비하는 작업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발광섬유를 구비하는 작업복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작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착용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결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여과부가 결합된 착용부를 나타낸 정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여과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발광섬유를 구비하는 작업복을 나타낸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방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삭제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면에서는 본 발명을 명확하고 간략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참조부호를 사용한다. 그리고 도면에서는 설명을 조금 더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두께, 넓이 등을 확대 또는 축소하여 도시하였는바, 본 발명의 두께, 넓이 등은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명세서 전체에서 어떠한 부분이 다른 부분을 "포함"한다고 할 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부분을 배제하는 것이 아니며 다른 부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광섬유를 구비하는 작업복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광섬유를 구비하는 작업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발광섬유를 구비하는 작업복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광섬유를 구비하는 작업복은 다양한 작업 중 착용하는 작업복에 의하여 어두운 곳이나 식별이 어려운 곳에서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작업복에 발광섬유가 직조되어 작업자의 단말기와 연동되어 다양한 형상의 빛을 발광할 수 있다.
이러한 발광섬유를 구비하는 작업복은 일반섬유사(110)가 직조되어 형성되는 섬유원단(100)과, 상기 섬유원단(100)에 발광섬유사(210)를 꿰어 형성되는 발광원단(200)과, 상기 발광원단(200)에 연결되며, 상기 발광원단(220)의 색상 및 조도를 제어하는 제어기(300)를 구비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섬유원단(100)은 다수의 일반섬유사(110)가 교차하여 직조되는 것으로 다양한 크기로 형성된다. 섬유원단(100)은 다양한 색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다양한 재질의 일반섬유사(110)가 직조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섬유원단(100)은 먼지, 분진 등이 유입되지 않도록 일반섬유사(110)가 서로 접하도록 직조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광원단(200)은 다양한 재질의 발광섬유사(210)로 형성되며, 발광섬유사(210)는 후술되는 발광섬유사(210)를 제조하는 제조부에 의하여 제조된다. 이러한 발광섬유사는 양자선, LED선, 유기발광다이오드 등 다양하게 형성되며, 전류가 공급되면 다양한 색상의 빛이 발광된다. 그리고 발광섬유사(210)를 양자선으로 형성할 경우 폴리머와 양자점을 혼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양자점은 전류에 의하여 다양한 색상을 표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발광섬유사(210)는 종래의 기술과 달리 발광섬유사(210)의 단부에서 빛을 발광하는 것이 아니라 발광섬유사(210)의 전체에서 빛이 발광하는 양자선 및 LED선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발광원단(200)은 제작부(180)에서 상기 섬유원단(100)의 외측에 꿰직조되며, 다양한 색상의 빛을 발광하는 발광부(220)와, 상기 발광부(220)의 단부가 결합되며, 상기 제어기(300)에서 공급되는 전류를 상기 발광부(220)로 전달하는 전류부(230)를 구비한다.
상기 발광부(220)는 발광섬유사(210)가 섬유원단(100)에 꿰어 형성됨에 따라 발광부(220)가 섬유원단(100)의 일면에 노출된다. 구체적으로 발광부(220)는 섬유원단(100)의 등, 가슴, 팔, 다리 등 다양한 위치에 꿰어 형성되는 것이며, 제어기(300)에 의하여 문자, 그림, 모양 등이 표출된다. 또한, 상기 발광부(220)는 섬유원단(100)에 직사각형, 원형 등으로 꿰어 다양한 빛을 발광하거나 문자, 그림, 모양 등과 같이 꿰어 다양한 색상의 빛을 발광할 수 있다
상기 전류부(230)는 발광부(220)의 일단부에 결합되며, 제어기(300)에서 공급되는 전류에 의하여 발광부(220)로 전류를 공급한다. 본 발명의 발광섬유사(210)는 전류가 공급되면 다양한 색상의 빛을 발광하는 것으로 전류의 세기에 의하여 다양한 색상으로 빛을 발광할 수 있다. 상기 전류부(230)는 다수의 발광섬유사(210)에 각각의 전류를 공급하도록 컨트롤러가 별도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섬유원단(100)에 발광원단(200)이 꿰어 작업장의 조도가 낮아 어두울 경우 빛이 발광함에 따라 작업자의 위치를 식별하거나 작업자의 시야를 밝힐 수 있다. 예를 들어, 터널 등에서 작업할 경우 조도가 낮게 형성되어 시야가 확보되지 않아 위험이 발생한다. 그러면 제어기(300)에서 다양한 문자, 그림 등의 정보를 발광원단(200)에서 발광하도록 하여 작업자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발광원단(200)이 수놓아진 섬유원단(100)은 작업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신축성이 확보되는 탄성재질로 형성되며, 상의(121)와 하의(122)로 일체 또는 분리되도록 재단되어 형성되는 착용부(120)와, 상기 착용부(120)에 형성되며, 작업자의 크기에 맞게 크기가 조절되는 조절부(160)를 구비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착용부(120)는 상의(121)와 하의(12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작업자가 발을 집어넣은 후 상부까지 착용하는 것으로 상의(121)와 하의(122)가 일체됨에 따라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착용부(120)는 작업자의 키와 상관없이 사이즈가 크게 형성되며, 작업자의 키에 맞게 크기가 조절되는 조절부(160)가 형성된다. 이러한 조절부(160)는 밴드, 밸크로 테이프로 형성되며, 착용부(120)를 착용하는 작업자의 팔목, 발목, 무릎, 가슴, 배 등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조절부(160)는 사이즈가 크게 형성되는 착용부(120)에 키가 작은 작업자가 착용을 하게 될 경우 작업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조절한다. 조절부(160)는 작업자의 키에 따라 다수의 부위가 접하도록 형성되어 작업중 작업물에 걸리지 않도록 한다.
또한, 착용부(1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의(121)에서 하의(122)가 분리되어 형성될 경우 조절부(160)에 의하여 착용부(120)가 작업자에게 접하도록 조절되며, 상의(121)와 하의(122)가 연결부(130)에 의하여 서로 연결된다. 상기 연결부(130)는 상의(121)의 하단에 접합체(131)가 형성되어 하의(122)의 상단에 접할 수 있다.
그리고 상의(121)와 하의(122)가 접하는 위치에 메시가 형성되어 통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의(121)에 형성되는 제 1연결부(130)는 메시가 형성되는 내피(132)와 내피(132)에서 이격되어 형성되며, 내피(132)보다 길게 형성되는 외피(133)로 형성된다. 내피(132)는 하부에 밸크로 테이프, 클립, 커플러, 단추 등으로 형성되는 접합체(131)가 형성되어 하의(122)와 고정될 수 있으며, 내피(132)는 메시로 형성되는 메시가 형성되어 착용부(120) 내부로 공기가 순환된다. 그리고 외피(133)는 내피(132)의 메시까지 덮는 제 1외피(134)와 제 1외피(134)에서 하부로 연장되며, 메시로 형성되는 제 2외피(135)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 2외피(135)의 단부는 접합체(131)가 형성되어 하의(122)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내피(132)와 외피(133)는 하의(122)에 고정되며, 제 2외피(135)의 메시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내피(132)에 구비되는 메시를 통해 착용부(120)의 내부로 유입된다. 그에 따라 공기는 순환되나 먼지, 분진 및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발광섬유가 직조된 착용부(120)는 상의(121)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입과 코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여과부(170)를 구비한다. 여과부(170)는 상단에 신축성이 있는 밴드 및 밸크로 테이프 또는 줄의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장치로 형성되며, 코와 입 주변에 먼지 및 분진을 여과하는 필터(171)를 수용하는 케이스(172)가 구비된다. 그리고 케이스(172)는 여과부(170)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자석(174) 등에 의하여 간단하게 결합된다. 또한, 여과부(170)는 공기를 순환시키는 순환팬(173)이 형성되어 여과부(170) 내부의 이산화탄소를 배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여과부(170)는 착용부(120)와 일체로 형성되어 착용부(120) 내부로 먼지 및 분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작업자가 작업 중 발생하는 먼지 및 분진을 들이 마시지 않도록 여과할 수 있다.
상기 제어기(300)는 상기 발광부(220)의 발광 형상을 제어하는 형상제어부(310)와, 상기 전류부(230)로 전류를 공급하는 공급부(320)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기(300)는 단말기의 정보를 수신받는 통신부(330)와, 외부에서 전류가 충전되어 상기 발광부(220)로 전류를 공급하는 충전부(34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형상제어부(310)는 PC, 휴대용 단말기 등의 단말기의 정보를 통신부(330)에서 수신받아 발광부(220)에서 표출하도록 제어한다. 형상제어부(310)는 섬유원단(100)의 일면에 직조되는 발광섬유로 문자, 그림, 모양 등의 발광 형상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형상제어부(310)는 발광 형상을 제어하기 위하여 전류의 세기를 조절하여 공급하는 것으로 공급부(320)를 통해 제어된다.
이와 같이, 형상제어부(310)의 발광 형상은 통신부(330)를 통해 단말기에서 정보를 수신받으며, 통신부(330)는 Wifi, 블루투스 등과 같이 무선 및 유선으로 단말기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기(300)는 충전부(340)가 구비되어 외부에서 전류가 충전되어 작업자가 작업하는 시간 동안 발광부(220)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발광섬유를 구비하는 작업복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방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광섬유를 구비하는 작업복은 복수의 섬유원단(100) 사이에 통기성이 확보되는 메시망(140)이 형성되고, 메시망(140)의 외측에 나노섬유(401)가 구비된다.
상기 메시망(140)은 다양한 무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메시망(140)은 섬유원단(100)의 테두리에 겹치도록 형성되며, 별도의 재봉장치에 의하여 고정된다.
이와 같이 복수의 섬유원단(100) 사이에 메시망(140)이 설치되면 후술되는 전기방사장치(400)를 활용하여 메시망(140)의 상부에 나노섬유(401)가 분출된다. 본 발명의 나노섬유(401)는 전기적으로 하전된 고분자 폴리머 용액이 분출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며, 폴리머 용액에 첨가되는 첨가제의 색상에 따라 다양한 색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나노섬유(401)는 고전압의 양전하가 음전하로 하전되는 전기적 성질에 의하여 폴리머 용액이 분출되는 것으로 폴리머 용액은 종류 및 성질에 따라 굵기 및 통기홀의 크기가 다양하게 조절된다. 그리고 나노섬유(401)는 폴리머 용액이 일정하게 분사되는 것이 아니므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지만 복수의 통기홀이 형성된다. 따라서, 나노섬유(401)는 통기홀로 공기가 순환되도록 진행할 수 있으며, 투명하게 형성되어 디자인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다. 그리고 나노섬유(401)는 탄성 재질로 형성됨에 따라 의류에 사용될 경우 신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나노섬유(401)는 통기홀이 크게 형성되어 공기의 순환이 높은 동시에 수밀성도 높게 형성되어 작업 중 물이 흡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섬유원단(100) 사이에 메시망(140)이 형성되며, 메시망(140) 외측에 분출되는 나노섬유(401)에 따라 공기가 순환되는 통로로 활용할 수 있으며, 나노섬유(401)의 투과성에 의하여 메시망(140)의 무늬를 디자인 요소로 활용할 수 있다.
상기 전기방사장치(400)는 메시망(140)이 안착되며, 메시망(140)의 상부로 폴리머 용액을 분출하는 분출부(410)가 형성된다. 폴리머 용액은 양전하에서 음전하로 이동할 때 분출되는 것으로 전원부(420)를 구비하며, 폴리머 용액의 분출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전원부(420)는 고전압으로 증폭되며, 폴리머 용액을 분출하는 분출노즐(411)이 형성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광섬유를 구비하는 작업복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0: 섬유원단 110: 일반섬유사
120: 착용부 130: 연결부
131: 접합체 132: 내피
133: 외피 134: 제 1외피
135: 제 2외피 140: 메시망
150: 나노섬유 160: 조절부
170: 여과부 171: 필터
172: 케이스 173: 순환팬
180: 제작부 200: 발광원단
210: 발광섬유사 220: 발광부
230: 전류부 300: 제어기
310: 형상제어부 320: 공급부
330: 통신부 340: 충전부
400: 전기방사장치 401: 나노섬유
410: 분출부 411: 분출노즐
420: 전원부

Claims (10)

  1. 발광섬유가 적용된 작업복에 있어서,
    일반섬유사가 직조되어 형성되는 섬유원단과,
    상기 섬유원단에 발광섬유사를 꿰어 형성되는 발광원단과,
    상기 발광원단에 연결되며, 상기 발광원단의 색상 및 조도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구비하고,
    상기 섬유원단은 작업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신축성이 확보되는 탄성재질로 형성되며, 상의와 하의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재단되어 형성되는 착용부와,
    상기 착용부에 형성되며, 작업자의 크기에 맞게 크기가 조절되는 조절부와,
    상기 착용부의 상단에서 연장되며, 작업자의 코와 입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이물질을 여과하는 여과부를 구비하고,
    상기 발광원단은 다양한 색상의 빛을 발광하는 발광부와,
    상기 발광부의 단부가 결합되며, 상기 제어기에서 공급되는 전류를 상기 발광부로 전달하는 전류부를 구비하고,
    상기 착용부는 통기성이 확보되도록 복수의 섬유원단 사이에 형성되는 메시망과,
    상기 메시망의 일면에 형성되며, 전기방사장치에서 이동하는 전하에 의하여 분출되는 폴리머 용액으로 형성되는 나노섬유를 구비하고,
    상기 전기방사장치는 상기 메시망의 상부로 상기 폴리머 용액을 분출하는 분출노즐을 구비하는 분출부와,
    상기 분출노즐로 양전하를 공급하고, 상기 메시망이 안착되는 안착판으로 음전하를 공급하는 전원부를 구비하고,
    상기 나노섬유는 상기 분출부의 양전하에서 상기 메시망의 하단에 형성되는 상기 안착판의 음전하로 전하가 이동함에 따라 투명한 재질의 상기 폴리머 용액이 분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폴리머 용액에 첨가되는 첨가제의 색상에 따라 다양한 색상으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섬유를 구비하는 작업복.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섬유사를 상기 섬유원단에 꿰어 문자, 그림, 모양 중 적어도 하나로 수놓는 제작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섬유를 구비하는 작업복.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부는 외부의 이물질을 여과하는 필터와,
    상기 필터를 내부에 수용하며, 상기 여과부에 결합되는 케이스와,
    상기 여과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순환팬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섬유를 구비하는 작업복.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섬유사는 양자선, LED선, 유기발광다이오드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섬유를 구비하는 작업복.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발광부의 발광 형상을 제어하는 형상제어부와,
    상기 전류부로 전류를 공급하는 공급부를 포함하는 발광섬유를 구비하는 작업복.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단말기의 정보를 수신받는 통신부와,
    외부에서 전류가 충전되어 상기 발광부로 전류를 공급하는 충전부를 구비하고,
    상기 통신부에서 수신받은 정보를 상기 발광부에서 표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섬유를 구비하는 작업복.

KR1020190063147A 2019-05-29 2019-05-29 발광섬유를 구비하는 작업복 KR1020354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3147A KR102035456B1 (ko) 2019-05-29 2019-05-29 발광섬유를 구비하는 작업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3147A KR102035456B1 (ko) 2019-05-29 2019-05-29 발광섬유를 구비하는 작업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5456B1 true KR102035456B1 (ko) 2019-10-22

Family

ID=68420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3147A KR102035456B1 (ko) 2019-05-29 2019-05-29 발광섬유를 구비하는 작업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54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77082A1 (ko) * 2021-02-19 2022-08-25 박세빈 퀀텀 분말을 함유하는 기능성 코팅 조성물로 코팅 처리된 기능성 직물을 이용한 led 모듈 직물 구조체 및 그 제조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2738B1 (ko) * 2006-04-13 2007-05-0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밝기조절기능을 갖는 스마트의류
KR20090129050A (ko) * 2008-06-12 2009-12-16 코오롱패션머티리얼 (주) 나노섬유 웹을 포함하는 투습방수원단
KR20140020619A (ko) 2012-08-10 2014-02-19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발광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의류
KR20170110265A (ko) * 2016-03-23 2017-10-11 홍현필 발광 기능을 구비한 의복
KR101894862B1 (ko) * 2018-03-15 2018-09-04 원영현 통풍수단이 구비된 야간작업이 용이한 방진복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2738B1 (ko) * 2006-04-13 2007-05-0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밝기조절기능을 갖는 스마트의류
KR20090129050A (ko) * 2008-06-12 2009-12-16 코오롱패션머티리얼 (주) 나노섬유 웹을 포함하는 투습방수원단
KR20140020619A (ko) 2012-08-10 2014-02-19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발광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의류
KR20170110265A (ko) * 2016-03-23 2017-10-11 홍현필 발광 기능을 구비한 의복
KR101894862B1 (ko) * 2018-03-15 2018-09-04 원영현 통풍수단이 구비된 야간작업이 용이한 방진복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77082A1 (ko) * 2021-02-19 2022-08-25 박세빈 퀀텀 분말을 함유하는 기능성 코팅 조성물로 코팅 처리된 기능성 직물을 이용한 led 모듈 직물 구조체 및 그 제조 방법
KR20220118732A (ko) * 2021-02-19 2022-08-26 박세빈 퀀텀 분말을 함유하는 기능성 코팅 조성물로 코팅 처리된 기능성 직물을 이용한 led 모듈 직물 구조체 및 그 제조 방법
KR102456553B1 (ko) 2021-02-19 2022-10-18 박세빈 퀀텀 분말을 함유하는 기능성 코팅 조성물로 코팅 처리된 기능성 직물을 이용한 led 모듈 직물 구조체 및 그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56589B1 (en) Safety garment with lights
KR102035456B1 (ko) 발광섬유를 구비하는 작업복
KR200435138Y1 (ko) 애완동물용 발광 밴드
JP2021165460A (ja) 空調衣服の服本体
WO2017222756A1 (en) Luminous attire
TW202034809A (zh) 空調衣服的衣服本體及空調衣服
JP2011084838A (ja) 安全衣服
KR100859025B1 (ko) 발광 밴드
JP2021059798A (ja) 送風機付き衣服
KR200489576Y1 (ko) 발광 기능을 갖는 안전의복
JP2019206764A (ja) 衣服用アタッチメント及び衣服
KR102367244B1 (ko) 발광체가 적용된 스마트 의류
US20200085119A1 (en) Illuminated apparel
KR20170110265A (ko) 발광 기능을 구비한 의복
KR20100031807A (ko) 발광 다이오드를 갖는 안전 재킷
JP6232622B1 (ja) 光源を備えた衣服
KR200292264Y1 (ko) 등부에 환기부가 형성된 방염 작업복
KR102292927B1 (ko) 발광체 및 발열체가 적용된 스마트 의류
DE202013105122U1 (de) Leuchtender Kleidungsknopfmodul
JP2023028262A (ja) 防護服
KR20120131054A (ko) 송전선로 작업용 도전복
CN211211522U (zh) 一种夜间行走安全的校服
CN214572627U (zh) 一种安装方便的缝纫机夹线器
JP3228803U (ja) ファン付き医療・介護用上衣
KR200494893Y1 (ko) Led 안전 의류용 패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