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5320B1 - 교량교면용 친환경 2액형 우레탄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교량교면용 친환경 2액형 우레탄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5320B1
KR102035320B1 KR1020190005230A KR20190005230A KR102035320B1 KR 102035320 B1 KR102035320 B1 KR 102035320B1 KR 1020190005230 A KR1020190005230 A KR 1020190005230A KR 20190005230 A KR20190005230 A KR 20190005230A KR 102035320 B1 KR102035320 B1 KR 1020353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resin composition
urethane resin
component
component ureth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5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유진
Original Assignee
김유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유진 filed Critical 김유진
Priority to KR10201900052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53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53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53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08G18/088Removal of water or carbon dioxide from the reaction mixture or reaction compon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08G18/10Prepolymer processes involving reaction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in a first reaction ste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65Low-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with 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66Compounds of groups C08G18/42, C08G18/48, or C08G18/52
    • C08G18/6603Compounds of groups C08G18/42, C08G18/48, or C08G18/52 with compounds of group C08G18/32 or polyamines of C08G18/38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 C08G18/76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 C08G18/7657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two or more aromatic rings
    • C08G18/766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two or more aromatic rings containing alkylene polyphenyl groups
    • C08G18/7671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two or more aromatic rings containing alkylene polyphenyl groups containing only one alkylene bisphenyl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16Plastici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25Crosslinking or vulcanising agents; including accelera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1Hyd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9Carboxylic acids; Metal salts thereof; Anhydrid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22Expanded, porous or hollow particles
    • C08K7/24Expanded, porous or hollow particles inorganic
    • C08K7/26Silicon- 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19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the composition being defined by the absence of a certain additiv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면 상판의 부식을 방지함과 동시에 교량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량교면용 친환경 2액형 우레탄수지 조성물을 위하여, 우레탄 프리폴리머 60∼65중량%를 주성분으로, 가교제 2∼3중량%, 가소제 1∼2중량%를 포함하여 제조된, 주제; 및 지방산 오일 60∼65중량%, 폴리올 화합물 19∼37중량%, 소포제 0.1∼0.5중량%, 충전제 1∼1.5중량%, 용제 5∼10중량%, 착색제 6~8중량%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을 첨가하여 제조된, 경화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액형 우레탄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교량교면용 친환경 2액형 우레탄수지 조성물{Environmentally friendly two-component urethane resin composition for bridge deck}
본 발명은 교량교면용 친환경 2액형 우레탄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교면 상판의 부식을 방지함과 동시에 교량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량교면용 친환경 2액형 우레탄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의 교면은 우수의 침투와 누적된 차량의 하중 등의 물리, 화학적 열화에 의해 발생한 균열로 수분이 침투하여 철근이 부식되고 콘크리트 재료 간의 결합력이 저하되어 분리되며 하절기의 온도상승과 동절기의 동결융해 작용의 반복으로 인한 열화 및 제설제의 염화물 침투에 의한 철근의 부식을 촉진시켜 교량의 내구성과 수명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안전성 문제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교량과 고가도로 등의 건축구조물은 교면의 방수시공을 완벽하게 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교면 방수방법으로는 도막방수방법과 고무화 아스팔트방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도막방수방법은 대한민국 출원번호 제10-2004-0074580호에서와 같이 수성 또는 유성의 액상 형태의 방수제를 구체의 바탕면에 롤라, 스프레이, 붓 등으로 도포하여 수분 또는 용제를 증발시켜 피막을 형성하고 그 위에 방수시트를 설치하는 것으로, 굴곡이 심하고 구조가 복잡한 시공에 용이하다. 그러나, 도막방수방법에 사용되는 일부 도막방수재는 상부 아스콘층과의 접착이 불량하며, 도포 후 수분 또는 용제를 증발시켜야 하므로 공기 지연과 같은 시공상의 문제점, 핀홀 현상 발생 및 두께 불량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고무화 아스팔트방법은 중심보강재와 고무화 아스팔트를 주원료로 하여 시트 형태로 미리 제조하여 시공하는 것으로, 인접 시트들간 이음부의 수밀성 부족이 문제가 되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이음부를 토치 등으로 가열함에 따라 열융착시 고무화 아스팔트의 물성 변화가 초래되고, 시트와 콘크리트 구조체 사이의 접착력 부족으로 들뜸 현상이 생겨 누수된 물이 시트 방수층 아래로 흘러다니면서 콘크리트 구조체의 취약 부위에 방수 하자를 발생시키는 문제가 있다.
전술한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배경기술을 의미하며,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교면 상판의 부식을 방지함과 동시에 교량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량교면용 친환경 2액형 우레탄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우레탄 프리폴리머 60∼65중량%를 주성분으로, 가교제 2∼3중량%, 가소제 1∼2중량%를 포함하여 제조된, 주제; 및 지방산 오일 60∼65중량%, 폴리올 화합물 19∼37중량%, 소포제 0.1∼0.5중량%, 충전제 1∼1.5중량%, 용제 5∼10중량%, 착색제 6~8중량%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을 첨가하여 제조된, 경화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액형 우레탄수지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폴리올 화합물은 폴리프로필렌글리콜(PPG) 1~2 중량%, 폴리에틸렌글리콜(PEG) 3~5 중량%, 아민변성 폴리올 5~10중량%, 카프로락탐 10~20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소제는 나프렌화합물, 1.4-벤젠디카르복실산, 비스(2-에틸헥실)에스테르류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소제는 DBP, DEHP, BBP, DINP, DNOP 및 DIDP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방산 오일은 하이드록시기(-OH)를 갖는 리시놀레산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우레탄 프리폴리머는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4,4' -Diphenylmethane diisocyanate (MDI))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경화제는 아민 변성 폴리올, 코발트 화합물, 비스무트(bismuth) 화합물, 주석 화합물, 2-에틸헥사노익산(2-Ethylhexanoic acid)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을 포함하는 반응제어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경화제는 제오라이트 성분의 다공질 흡습제를 5~10중량%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이러한 일반적이고 구체적인 측면이 시스템,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어떠한 시스템,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의 조합을 사용하여 실시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교면 상판의 부식을 방지함과 동시에 교량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량교면용 친환경 2액형 우레탄수지 조성물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교량교면에 적합하게 내열성을 가지면서도 현장에서 직시공이 가능하도록 한 교량교면용 친환경 2액형 우레탄수지 조성물을 구현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우레탄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시공한 교면교면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한편,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또는 "바로 상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교면용 친환경 2액형 우레탄수지 조성물(이하, 2액형 우레탄수지 조성물)은 교량의 방수를 위한 용도로 제조된다. 교량교면의 방수 공정은 교량의 기본적인 기능과 교면 상판의 부식으로 인한 교량의 내구성과 직접 관련되는 중요한 공정이다.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따른 2액형 우레탄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교량교면의 방수는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갖는다.
i) 상판의 반복적인 진동(vibration) 또는 휨(bending)에 의한 균열작용에 저항할 수 있는 충분한 피로도(stress)에 대한 내구력을 가져야 한다.
ii) 균열 또는 이탈작용(debonding), 교량 상판의 수축 팽창 작용에 내구력을 가진 충분한 유연성(flexibility)을 가져야 한다.
iii) 표면층에 떨어지는 빗물, 자동차 연료 또는 기름에 대한 불투수성을 갖추어야한다.
iv) 제설용 염화물(염화칼슘) 또는 차량통행에서 떨어지는 오일 등과의 화학적 작용에 의한 손상에 저항 할 수 있어야한다.
v) 교면 방수층은 방수처리 후 아스콘을 타설해야 하므로 180~200℃의 내열성을 가져야 한다.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따른 2액형 우레탄수지 조성물은 상기와 같은 조건을 만족시킴은 물론 현재 사회에서 대두되는 환경문제를 고려하여 저탄소배출 재료를 포함하여 친환경적으로 제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액형 우레탄수지 조성물은 우레탄 프리폴리머를 포함하는 '주제'에 '경화제'를 혼합하여 형성한다.
먼저, 우레탄 프리폴리머는 2개 이상의 수산기를 함유하고 분자량이 500∼6000인 폴리올화합물과 2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우레탄 프리폴리머를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폴리올은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올, 폴리카프로락톤 폴리올 및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이며, 이소시아네이트화합물은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TDI) 또는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4,4' -Diphenylmethane diisocyanate (MDI))이다. TDI는 휘발시 인체에 유해하기 때문에, 친환경이라는 본 발명의 목적에 부합하는 MDI를 본 발명에서 사용한다.
일 실시예로, 2액형 우레탄수지 조성물에서 우레탄 프리폴리머는 60∼65중량%를 첨가한다.
가교제는 물질을 사이에 가교 반응을 일으키게 하기 위한 것으로, 우레탄 프리폴리머 60∼65중량%에 대해 가교제 2∼3중량%를 포함한다.
가소제는 본 실시예에 따른 우레탄수지 조성물의 열가소성을 증대시킴으로써 고온에서 성형가공을 용이하게 하는 물질로, 섞임성 및 가소성 외에도 내열성·내한성·내연성·전기적 성질 등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가소제는 나프렌화합물, 1.4-벤젠디카르복실산, 비스(2-에틸헥실)에스테르류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레탄수지 조성물에서는 가소제로서 DBP, DEHP, BBP, DINP, DNOP 및 DIDP는 사용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레탄수지 조성물은 친환경적으로 제조되므로 환경에 영향을 주는 DBP, DEHP, BBP, DINP, DNOP 및 DIDP를 성분으로 하는 가소제는 사용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로, 가소제는 우레탄 프리폴리머 60∼65중량%에 대해 가소제 1∼2중량%를 포함한다.
이하는 상기 물질들을 포함하여 '주제'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주제'는 우레탄 프리폴리머 60∼65중량%를 주성분으로, 가교제 2∼3중량%, 가소제 1∼2중량%를 첨가하여 부가중합반응을 통해 제조할 수 있다.
'주제'를 이루는 주성분인 우레탄 프리폴리머는 부가중합반응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부가중합반응은 60 ~ 80℃에서 4~6 시간(h)을 유지함으로서 '주제'를 합성할 수 있다. 부가중합반응 공정의 키포인트는 점도 상승에 따른 가교제의 분할 투입으로 이해될 수 있다. 가교제를 한꺼번에 투입하면 점도 및 온도가 급 상승하여 공정이 용이하지 않으며 물성에 급격한 변화가 생겨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우레탄 프리폴리머 60∼65중량%에 가교제 2∼3중량%를 1/10씩 나누어 투입하면서 반응 시 점도 변화와 발열 온도를 주기적으로 확인한다. 이때 발열반응에 주의를 요하는 것이 부가중합반응의 핵심이라 할 수 있다. 부가중합반응의 온도를 1시간 단위로 체크하여 목표 온도에 도달하면 가소제를 투입하여 반응을 완결시킨다.
이와 같이 제조된 '주제'에 '경화제'를 혼합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액형 우레탄수지 조성물은 우레탄 프리폴리머를 주성분으로, 가교제, 가소제를 포함하여 제조된 '주제'에, 지방산 오일, 폴리올 화합물, 소포제, 충전제, 용제, 착색제, 흡습제, 반응제어물질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을 첨가하여 제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경화제'는 지방산 오일을 베이스로 폴리올 화합물, 소포제, 충전제, 용제, 착색제, 흡습제, 반응제어물질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을 첨가하여 제조된다.
지방산 오일은 수산기(-OH)를 가지고 식물에서 추출된 지방산, 바람직하게는 리시놀레산이 포함된다. 보통 리시레놀산은 성숙한 피마자 속에 존재는 불포화 오메가-9지방산으로서 하이드록시기와 탄소-탄소 이중결합을 1개씩 가진 카복실산이다. 이는 휘발성 유해물질의 발생을 억제한다. 일 실시예로, 지방산 오일은 '경화제' 전체 중량의 지방산 오일 60∼65중량%을 포함할 수 있다.
폴리올 화합물은 폴리프로필렌글리콜(PPG), 폴리에틸렌글리콜(PEG), 아민변성 폴리올 및 카프로락탐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폴리올 화합물은 폴리프로필렌글리콜(PPG) 1~2 중량%, 폴리에틸렌글리콜(PEG) 3~5 중량%, 아민변성 폴리올 5~10중량%, 카프로락탐 10~20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폴리올 화합물은 지방산 오일 60∼65중량%에, 폴리올 화합물 19∼37중량%가 첨가될 수 있다.
소포제는 실리콘계 소포제를 첨가할 수 있으며, 기포발생의 억제를 위해 바람직하게는 지방산 오일 60∼65중량%에 대하여, 0.1∼0.5중량%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충전제는 본 실시예에 따른 우레탄수지 조성물의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기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 알려진 칼슘옥사이드, 산화마그네슘, 알루미늄실리케이트와 같은 충전물중에서 선택사용할 수 있다. 충전제의 첨가량은 지방산 오일 60∼65중량%에 대해 충전제 1∼1.5중량%를 첨가한다. 충전제의 함량이 1중량% 미만이면 기계적 물성을 떨어뜨리고, 1.5중량%를 초과하면 '주제'의 점도가 높아져 탈포효과가 떨어짐은 물론 작업성이 저하된다.
용제는 상기 물질들을 혼합하기 위해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용제는 지방산 오일 60∼65중량%에 대해 용제 5∼10중량%이 포함된다.
착색제는 이산화티탄, 카본블랙, 산화철 등의 유·무기 안료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지방산 오일 60∼65중량%에, 요구하는 색상을 충실히 나타내기 위해 착색제 6~8중량%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경화제'는 아민 변성 폴리올, 코발트 화합물, 비스무트(bismuth) 화합물, 주석 화합물, 2-에틸헥사노익산(2-Ethylhexanoic acid)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반응제어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경화제의 성분 중 가교제로 사용되는 아민 변성 폴리올은 일반적인 -OH, -NH2기를 가진 물질보다 월등히 경화 특성과 반응성, 물리적강도가 우수한 특성을 갖는다.
또한, 반응성 제어를 위해 반응성을 촉진하는 코발트 화합물, 비스무트(bismuth) 화합물, 주석 화합물과 반응성을 억제하는 2-에틸헥사노익산(2-Ethylhexanoic acid)을 적절히 혼합하여 반응시간과 경화시간을 조절하도록 설계된다.
이러한 특성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액형 우레탄수지 조성물이 교량교면 용으로 제조된다는 점에 그 목적이 있다. 교량의 교면 방수 공정은 외부 현장 작업을 통해 이루어지므로 현장 작업 시간 제한 및 통제가 필요하기 때문에 반응성 조정에 중점을 두고 개발되어야 한다.
교량의 교면 방수 작업의 특성은 동,하절기의 기온과 습도에 관계없이 공정과 통행이 1~2시간 내에 가능해야 하므로 반응시간의 조절이 필수적이다. 현장의 온도, 습도에 따라 우레탄수지 조성물은 후경화의 영향으로 기포발생과 핀홀의 발생할 수 있어 이를 억제할 수 있도록 제오라이트 성분의 다공질 흡습제를 반드시 5~10중량% 포함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우레탄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시공한 교면교면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시공대상인 교면의 상판(10)의 상부면을 충분히 건조시키고 오물, 유분 등을 깨끗하게 제거한다. 돌출부위는 그라인더를 이용해서 평탄하게 하고 패인 부분이나 약한 부위 들뜬 부위는 제거하고 수지몰탈 처리하여 평탄하게 한다. 시공 대상인 상판(10)는 아스콘이나 콘크리트 상판, 강상판 모두 사용가능하다.
그 후 상판(10)의 상부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액형 우레탄수지 조성물을 일정하게 도포하여 방수층(20)을 형성한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경우에 따라 상판(10)의 상부면에 프라이머층을 형성한 후, 그 위에 방수층(20)을 형성할 수도 있다. 프라이머의 도포는 상판의 강도 보강, 수분상승의 방지, 접착력 강화의 목적이 있다. 프라이머의 과다도포는 오히려 접착력을 감소시키며, 프라이머 도포후 장시간의 방치는 오염으로 접착력이 감소한다. 여기서 프라이머는 우레탄 1액형 프라이머를 사용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방수층(20)은 교량의 기능과 교면 상판의 부식으로 인한 교량의 내구성과 직접 관련된다. 교량 교면의 포장에서 방수층(20)을 구비함으로써, 상판의 반복적인 진동(vibration) 또는 휨(bending)에 의한 균열작용에 저항할 수 있는 충분한 피로도(stress)에 대한 내구력을 가질 수 있고, 균열 또는 이탈작용(debonding), 교량 상판의 수축 팽창 작용에 내구력을 가진 충분한 유연성(flexibility)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표면층에 떨어지는 빗물, 자동차 연료 또는 기름에 대한 불투수성이 우수해고, 제설용 염화물(염화칼슘) 또는 차량통행에서 떨어지는 오일 등과의 화학적 작용에 의한 손상에 저항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액형 우레탄수지 조성물로 형성된 방수층(20)은 180~200℃에도 변형되지 않는 내열성을 가져, 방수처리 후 아스콘을 타설해야 하는 교량 교면 방수 작업에 매우 용이하다.
그 후, 방수층(20) 상에는 접착층(30)(또는 레벨링층)을 형성한다. 접착층(30)은 최종적으로 상면에 배치되는 마모표층(40)을 형성하기 위해 교량 교면의 상면을 평탄화하게 하며, 마모표층(40)이 효율적으로 접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접착층(30) 상에 마모표층(40)은 형성함으로써 교량 교면의 포장을 마무리한다.
상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액형 우레탄수지 조성물은 방수층(20)을 형성하는데 직접 사용될 수도 있고, 접착층(30) 또는 마모표층(40)을 구성하는 물질과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방수 기능을 2중, 3중으로 강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액형 우레탄수지 조성물은 접착층(30) 또는 마모표층(40)을 구성하는 물질의 전체 중량에 10~20중량%으로 혼합될 수 있다. 10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접착층(30) 또는 마모표층(40)을 구성하는 물질과의 결합력이 부족하여 인장강도가 불량하고 반대로 20중량% 이상일 경우에는 접착층(30) 또는 마모표층(40)을 구성하는 물질과의 결합력은 우수하나 가격이 상승하고 투수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교면용 친환경 2액형 우레탄수지 조성물을 사용함에 따라, 상판의 반복적인 진동(vibration) 또는 휨(bending)에 의한 균열작용에 저항할 수 있는 충분한 피로도(stress)에 대한 내구력을 가질 수 있고, 균열 또는 이탈작용(debonding), 교량 상판의 수축 팽창 작용에 내구력을 가진 충분한 유연성(flexibility)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표면층에 떨어지는 빗물, 자동차 연료 또는 기름에 대한 불투수성이 우수해고, 제설용 염화물(염화칼슘) 또는 차량통행에서 떨어지는 오일 등과의 화학적 작용에 의한 손상에 저항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액형 우레탄수지 조성물로 형성된 방수층(20)은 180~200℃에도 변형되지 않는 내열성을 가져, 방수처리 후 아스콘을 타설해야 하는 교량 교면 방수 작업에 매우 용이하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교량교면용 친환경 2액형 우레탄수지 조성물은 '주제'와 '경화제'를 액상으로 상온에서 배합하여 현장에서 냉공법으로 직시공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교량교면 작업에 최적화되도록 구현하였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 이다.
10: 상판
20: 방수층
30: 접착층
40: 마모표층

Claims (8)

  1. 우레탄 프리폴리머 60∼65중량%, 가교제 2∼3중량%, 가소제 1∼2중량%를 포함하여 제조된, 주제; 및
    지방산 오일 60∼65중량%, 소포제 0.1∼0.5중량%, 충전제 1∼1.5중량%, 용제 5∼10중량%, 착색제 6~8중량% 및 폴리올 화합물을 포함하여 제조된, 경화제;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폴리올 화합물은 폴리프로필렌글리콜(PPG) 1~2중량%, 폴리에틸렌글리콜(PEG) 3~5중량%, 아민변성 폴리올 5~10중량% 및 카프로락탐 10~18중량%를 포함하는, 2액형 우레탄수지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소제는 나프렌화합물, 1.4-벤젠디카르복실산, 비스(2-에틸헥실)에스테르류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2액형 우레탄수지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소제는 DBP, DEHP, BBP, DINP, DNOP 및 DIDP를 포함하지 않는, 2액형 우레탄수지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산 오일은 하이드록시기(-OH)를 갖는 리시놀레산인, 2액형 우레탄수지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레탄 프리폴리머는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4,4' -Diphenylmethane diisocyanate (MDI))를 포함하는, 2액형 우레탄수지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제는 아민 변성 폴리올, 코발트 화합물, 비스무트(bismuth) 화합물, 주석 화합물, 2-에틸헥사노익산(2-Ethylhexanoic acid)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을 포함하는 반응제어물질을 더 포함하는, 2액형 우레탄수지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제는 제오라이트 성분의 다공질 흡습제를 5~10중량% 더 포함하는, 2액형 우레탄수지 조성물.
KR1020190005230A 2019-01-15 2019-01-15 교량교면용 친환경 2액형 우레탄수지 조성물 KR1020353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5230A KR102035320B1 (ko) 2019-01-15 2019-01-15 교량교면용 친환경 2액형 우레탄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5230A KR102035320B1 (ko) 2019-01-15 2019-01-15 교량교면용 친환경 2액형 우레탄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5320B1 true KR102035320B1 (ko) 2019-10-23

Family

ID=68461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5230A KR102035320B1 (ko) 2019-01-15 2019-01-15 교량교면용 친환경 2액형 우레탄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532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9659B1 (ko) * 2021-03-24 2021-08-17 케이엘건설 주식회사 수팽창 기능을 가지는 폴리우레탄 조성물
KR102396556B1 (ko) * 2022-01-11 2022-05-13 계룡건설산업 주식회사 식물성 천연 유지와 친환경 가소제를 포함하는 변성 우레탄 수지 조성물 및 탈황석고를 포함하는 친환경 바닥 마감재 조성물.
KR102501924B1 (ko) * 2022-06-16 2023-02-21 한성옥 변성 실리콘 우레탄 도막 방수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교면 방수 포장 공법
KR102612985B1 (ko) * 2023-10-19 2023-12-12 주식회사 만보산업개발 장기내구성이 우수한 폴리우레아 수지 도막방수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바탕 구조물의 방수 시공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2153B1 (ko) * 2010-12-03 2011-05-11 김의연 친환경 2액 우레탄 수지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 우레탄 바닥재 시공방법
KR101454357B1 (ko) * 2014-01-08 2014-10-23 재단법인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폴리우레탄 난연 바닥재 조성물
KR20150020863A (ko) * 2013-08-19 2015-02-27 (주)삼중 2―파트 하이브리드 폴리우레탄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2153B1 (ko) * 2010-12-03 2011-05-11 김의연 친환경 2액 우레탄 수지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 우레탄 바닥재 시공방법
KR20150020863A (ko) * 2013-08-19 2015-02-27 (주)삼중 2―파트 하이브리드 폴리우레탄 조성물
KR101454357B1 (ko) * 2014-01-08 2014-10-23 재단법인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폴리우레탄 난연 바닥재 조성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9659B1 (ko) * 2021-03-24 2021-08-17 케이엘건설 주식회사 수팽창 기능을 가지는 폴리우레탄 조성물
KR102396556B1 (ko) * 2022-01-11 2022-05-13 계룡건설산업 주식회사 식물성 천연 유지와 친환경 가소제를 포함하는 변성 우레탄 수지 조성물 및 탈황석고를 포함하는 친환경 바닥 마감재 조성물.
KR102501924B1 (ko) * 2022-06-16 2023-02-21 한성옥 변성 실리콘 우레탄 도막 방수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교면 방수 포장 공법
KR102612985B1 (ko) * 2023-10-19 2023-12-12 주식회사 만보산업개발 장기내구성이 우수한 폴리우레아 수지 도막방수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바탕 구조물의 방수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5320B1 (ko) 교량교면용 친환경 2액형 우레탄수지 조성물
US5421876A (en) Solvent-free, organoclay-filled asphaltic polyurethane dispersion and method of making and using it
CA2657515C (en) Adhered roof structure
KR100649988B1 (ko) 교면 방수 공법
KR100958884B1 (ko) 부틸합성고무 조성물을 이용한 방수공법.
KR101643519B1 (ko) 슈퍼마이크로 섬유를 이용한 바탕조정재
KR101902830B1 (ko) 도막재와의 결합력을 증강시키기 위한 4중 절연시트를 이용한 복합방수구조 및 그 복합방수공법
KR100938923B1 (ko) 방수 도막용 우레탄 조성물, 이를 이용한 건축물 보수용복합 방수 구조 및 복합 방수 공법
KR101926654B1 (ko) 폴리우레아 수지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코팅방법
WO2014189141A1 (ja) アスファルト・ウレタン組成物
KR101782894B1 (ko) 기둥부재의 내진성능 및 내구성 극대화를 위한 초속경화형 폴리우레아 수지 조성물
KR100936665B1 (ko) 아스팔트 녹은 성분의 누출 방지를 위한 복합 방수 구조 시공공법
US4025683A (en) Urethane-based water-proofing/sound-proofing coating composition
KR101156624B1 (ko) 연질 고무아스팔트계 도막재와 그 제조방법
KR101361910B1 (ko) 단열성능을 가진 고무화 아스팔트 시트와 고분자 복합시트의 일체화 방수 시트 구조체와 이를 이용한 복합단열시트 방수공법
KR102207899B1 (ko) 습윤면에 부착 가능한 코팅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크랙보수 및 보수보강공법
KR20160087131A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크랙 보수공법
KR101993615B1 (ko) 도막 방수 코팅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막 방수 코팅층의 시공방법
KR101300406B1 (ko) 연질 고무아스팔트계 도막재를 이용한 선택형 비노출 복합방수구조
KR102398019B1 (ko) 고점착 유연 특성을 갖는 우레탄 도막방수재와 이를 포함하는 이중 복합 방수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복합 방수 공법
JPH093855A (ja) 遮水シート工法
KR102421306B1 (ko) 아스팔트씰 도막방수재 및 이를 이용한 복합방수공법
JP5138948B2 (ja) ポリウレタン塗膜材の表面仕上がり性改良方法
KR20000072868A (ko) 수용성 1액형 도막 방수제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복합 도막방수시공방법
KR101589046B1 (ko) 수성 고무화 아스팔트 도막 방수재용 경화제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