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4979B1 - 이중 종이용기 제조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중 종이용기 제조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34979B1 KR102034979B1 KR1020190020184A KR20190020184A KR102034979B1 KR 102034979 B1 KR102034979 B1 KR 102034979B1 KR 1020190020184 A KR1020190020184 A KR 1020190020184A KR 20190020184 A KR20190020184 A KR 20190020184A KR 102034979 B1 KR102034979 B1 KR 10203497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ranch
- branch pipe
- pipe
- outer branch
- pap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60—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02—Feeding or positioning sheets, blanks or webs
- B31B50/10—Feeding or positioning web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74—Auxiliary operations
Landscapes
- Making Paper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 종이용기 제조 시스템 및 이를 통해 제조되는 이중 종이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내측 지관과 외측 지관을 구비하고, 상기 내측 지관 및 외측지관을 정렬하는 임시적재수단을 구비하고, 외측 지관과 외측 지관을 개별적으로 운반하기 위한 운반수단을 구비하며, 또한, 내측 지관과 외측 지관이 운반되는 도중에 테두리면에 라운드면을 형성하고, 각각 라운드면이 형성된 이후에 가이드 수단 및 압착수단을 이용하여 일련의 순차 진행과정에서 내측 지관과 외측 지관이 상호 결합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종이용기 제조 시스템 및 이를 통해 제조되는 이중 종이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이중 종이용기 제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내측 지관과 외측 지관을 구비하고, 상기 내측 지관 및 외측지관을 정렬하는 임시적재수단을 구비하고, 외측 지관과 외측 지관을 개별적으로 운반하기 위한 운반수단을 구비하며, 또한, 내측 지관과 외측 지관이 운반되는 도중에 테두리면에 라운드면을 형성하고, 각각 라운드면이 형성된 이후에 가이드 수단 및 압착수단을 이용하여 일련의 순차 진행과정에서 내측 지관과 외측 지관이 상호 결합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종이용기 제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품, 휴대폰, 제과, 초콜릿 등과 같은 소형제품을 판매하거나 선물로 포장할 때는 종이 재질의 고급형 포장상자를 사용한다. 대개 선물용 포장상자는 하부용기에 뚜껑을 덮어주는 구조로 형성되고, 상자는 원통형, 사각형, 다각형, 삼각형 등의 다양한 형상 모양으로 제작되고 있다.
포장상자는 외부충격이나 접촉 등으로 인한 찌그러짐 손상이나 파손에 대비함은 물론, 내장된 내용물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해서 상자 내부에 스펀지 등의 탄성 부재를 내장하고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이중관형 종이 포장상자에 관한 선행기술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선행기술의 포장상자는, 관경이 크고 작은 내,외부관(10)(20)을 결합하여 이중관 조립체를 구성하고, 이들 조립체의 상부에 외부관(20)과 동일한 관경의 뚜껑(30)을 씌워서 일체형의 종이 포장상자를 형성하는 구조이다.
상기 선행기술의 종이 포장상자는 지관(紙管)을 소재로 사용하는 것으로서, 여러겹의 종이를 말아서 길게 제작된 지관을 필요한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하는바, 지관 양단의 절단면은 단면이 외부에 노출되어 절단 모서리가 쉽게 갈라지거나 훼손되는 단점이 있고, 절단부 단면이 하얗게 또는 누렇게 보이는 등 외관이 깨끗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때문에, 지관을 절단하여 사용하는 종이 포장상자는, 절단면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둥글게 말아주는 커링(Curling) 가공작업으로 절단면이 노출되지 않게 감춰지도록 마감 처리하고, 뚜껑의 상단부와 상자의 하단부에 각각 마감판(11)(31) 을 고정시켜 포장상자를 형성하였다.
상자를 이중으로 형성하여 쿠션기능을 갖게 한 종이 포장상자에 대한 다른 선행기술은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32831호, 특허등록 제2003-19571호가 알려져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이 포장상자는 수작업에 의해서 내부관과 외부관을 결합시키므로 작업공수가 많이 드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일련과 작업과정이 모두 수작업으로 진행되거나 부분만 자동화 공정에 의해서 제작되기 때문에 많은 인력이 필요로하여 인건비 부담으로 작용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코자 하는 것으로,
일련의 자동화 작업 과정을 통하여 내측지관과 외측 지관을 이송하고, 또한 내측 지관과 외측 지관을 이송하는 도중에 테두리면에 라운드면을 형성시키며, 또한, 내측 지관과 외측 지관을 이송하는 도중에 상호 결합이 이루어지도록하여 자동화 작업이 마무리되면 내측지관이 외측지관의 내부에 결합된 완제품이 출력되도록 구성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은 딱딱한 종이 재질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일정한 공간부를 갖도록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외측 지관과; 상기 외측 지관의 내주연에 결합되는 것으로, 지름이 외측지관보다 작으며, 딱딱한 종이 재질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일정한 공간부를 갖도록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외측 지관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내용물을 저장시키는 내측 지관과; 상부가 오픈된 직육면체 패널 형성으로 이루어지고, 중간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칸막이가 설치되어 외측 지관과 내측 지관을 각각 임시저장하되 다수개를 일렬로 정렬시켜 작업영역으로 한개씩 공급되도록하며, 중간 칸막이 상부에 커버를 설치하여 외측 지관 및 내측 지관이 외부로 벗어나지 않토록 하는 임시 적재수단과; 상기 임시 적재수단의 일측 끝단부에 설치하되, 외측 지관을 임시 삽입하기 위해 외측 지관의 몸체에 해당하는 모양의 반원형 호가 다수개 형성되는 디스크 형태로 이루어지고, 임시 적재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외측 지관을 한개씩 구분하여 이송시키는 외측지관 수직 디스크형 이송수단과; 상기 임시 적재수단의 일측 끝단부에 설치하되, 내측지관을 임시 삽입하기 위해 내측지관의 몸체에 해당하는 모양의 반원형 호가 다수개 형성되는 디스크 형태로 이루어지고, 임시 적재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내측지관을 한개씩 구분하여 이송시키는 내측지관 수직 디스크형 이송수단과; 상기 임시 적재수단의 끝단부에 설치하되, 외측지관 수직 디스크형 이송수단 및 내측지관 수직 디스크형 이송수단의 사이에 삽입 설치되고, 직사각형 패널 형태로 이루어지되, 일측은 폐쇄되어 외측지관과 내측지관의 라운드면 포밍작업이 이루어지도록 유도하고, 일측은 결합 유도용 홀을 형성하여 외측지관과 외측지관이 홀을 통해 상호 슬라이딩 결합되어 끼워지도록 유도하는 지관 임시고정 겸용 삽입 유도수단과; 상기 외측지관 수직 디스크형 이송수단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며, 이송되는 외측지관의 일측 끝단을 압박하여 라운드면을 형성시키는 외측지관 라운드면 포밍수단과; 상기 내측지관 수직 디스크형 이송수단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며, 이송되는 내측지관의 일측 끝단을 압박하여 라운드면을 형성시키는 내측지관 라운드면 포밍수단과; 상기 외측지관 라운드면 포밍수단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같은 라인에 정렬하되 외측지관 수직 디스크형 이송수단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며, 이송되는 외측지관의 일측 끝단을 압박하여 결합 유도용 홀에 삽입시키는 외측지관 결합용 지지수단과; 상기 내측지관 라운드면 포밍수단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같은 라인에 정렬하되 내측지관 수직 디스크형 이송수단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며, 이송되는 내측지관의 일측 끝단을 압박하여 결합 유도용 홀에 삽입시키고 동시에 계속적으로 압박하여 외측지관 내부로 내측지관을 완전히 삽입시키는 내측지관 결합용 펌핑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외측지관 라운드면 포밍수단과 내측지관 라운드면 포밍수단의 상부에 설치되고, 외측지관과 내측지관을 상부에서 눌러서 고정시키므로 상기 외측지관과 내측지관이 흔들리지 않고 포밍위치에서 멈춰 고정되도록함으로서 정확한 라운드면 포밍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외측지관 및 내측지관 누름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임시적재수단은 외측 지관 및 내측 지관이 외부로 벗어나지 않토록 중간 칸막이 상부에 커버를 더 설치하여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임시 적재수단은 경사지게 설치하여 외측 지관과 내측 지관이 중력작용으로 작업영역으로 이송하거나, 또는 하부에 이송롤러를 설치하여 연속적으로 작업영역으로 자동 공급되도록 구성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결합 유도용 홀은 외측지관측과 내측지관측의 너비가 약간 다르게 설계하되, 외측지관측의 홀의 너비가 내측지관측의 홀의 너비보다 크게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일련의 자동화 작업 과정을 통하여 내측지관과 외측 지관을 이송하고, 또한 내측 지관과 외측 지관을 이송하는 도중에 테두리면에 라운드면을 형성시키며, 또한, 내측 지관과 외측 지관을 이송하는 도중에 상호 결합이 이루어지도록하여 자동화 작업이 마무리되면 내측지관이 외측지관의 내부에 결합된 완제품이 출력되도록함으로서 작업성을 높이고 아울러 자동화 작업 공정에 의해서 인건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외측지관 및 내측지관 구성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의 임시적재수단과 지관 임시고정 겸용 삽입 유도수단을 주요하게 표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임시적재수단을 주요하게 표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외측지관과 내측지관을 주요하게 표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외측지관 및 내측지관 누름수단을 주요하게 표현한 도면.
도 7은 도 6의 요부확대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외측지관 및 내측지관 누름수단 확대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수직 디스크형 이송수단을 주요하게 표현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지관 임시고정 겸용 삽입 유도수단과 결합 유도용 홀을 주요하게 표현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외측지관 결합용 지지수단과 내측지관 결합용 펌핑수단을 주요하게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임시적재수단과 지관 임시고정 겸용 삽입 유도수단을 주요하게 표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임시적재수단을 주요하게 표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외측지관과 내측지관을 주요하게 표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외측지관 및 내측지관 누름수단을 주요하게 표현한 도면.
도 7은 도 6의 요부확대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외측지관 및 내측지관 누름수단 확대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수직 디스크형 이송수단을 주요하게 표현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지관 임시고정 겸용 삽입 유도수단과 결합 유도용 홀을 주요하게 표현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외측지관 결합용 지지수단과 내측지관 결합용 펌핑수단을 주요하게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각각의 시스템 기능구성에 이미 구비되어 있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시스템 기능구성은 가능한 생략하고, 본 발명을 위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기능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
만약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에 도시하지 않고 생략된 기능구성 중에서 종래에 이미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의 기능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상기와 같이 생략된 구성요소와 본 발명을 위해 추가된 구성요소 사이의 관계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예는 본 발명의 핵심적인 기술적 특징을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용어를 적절하게 변형하여 사용할 것이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일 뿐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임시적재수단과 지관 임시고정 겸용 삽입 유도수단을 주요하게 표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임시적재수단을 주요하게 표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외측지관과 내측지관을 주요하게 표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외측지관 및 내측지관 누름수단을 주요하게 표현한 도면.
도 7은 도 6의 요부확대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외측지관 및 내측지관 누름수단 확대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수직 디스크형 이송수단을 주요하게 표현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지관 임시고정 겸용 삽입 유도수단과 결합 유도용 홀을 주요하게 표현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외측지관 결합용 지지수단과 내측지관 결합용 펌핑수단을 주요하게 나타낸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구성요소는 크게, 외측지관(10)과, 내측지관(20)과, 임시 적재수단(30)과, 외측지관 수직 디스크형 이송수단(40)과, 내측지관 수직 디스크형 이송수단(50)과, 지관 임시고정 겸용 삽입 유도수단(60)과, 외측지관 라운드면 포밍수단(70)과, 내측지관 라운드면 포밍수단(80)과, 외측지관 및 내측지관 누름수단(90)과, 외측지관 결합용 지지수단(100)과, 내측지관 결합용 펌핑수단(11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외측 지관(10)은 딱딱한 종이 재질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일정한 공간부를 갖도록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내측 일단에는 공간부에 장착되는 내용물이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하부를 폐쇄하는 칸막이(11)가 부가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내측 지관(20)은 외측 지관(10)의 내주연에 결합되는 것으로, 지름이 외측지관(10)보다 작으며, 딱딱한 종이 재질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일정한 공간부를 갖도록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외측 지관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내용물을 저장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임시 적재수단(30)은 상부가 오픈된 직육면체 패널 형성으로 이루어지고, 중간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중간 칸막이(31)가 설치되어 외측 지관(10)과 내측 지관(20)을 각각 임시저장하되 다수개를 일렬로 정렬시켜 작업영역으로 한개씩 공급되도록 하며, 중간 칸막이(31) 상부에 커버(32)를 설치하여 외측 지관(10) 및 내측 지관(20)이 외부로 벗어나지 않토록 한다. 상기 임시 적재수단(30)은 경사지게 설치하여 외측 지관과 내측 지관이 중력작용으로 작업영역으로 이송될 수도 있고, 바람직하게는 하부에 이송롤러를 설치하여 연속적으로 작업영역으로 자동 공급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외측지관 수직 디스크형 이송수단(40)은 임시 적재수단(30)의 일측 끝단부에 설치하되, 외측 지관(10)을 임시 삽입하기 위해 외측 지관(10)의 몸체에 해당하는 모양의 반원형 홈(41)이 다수개 형성되는 디스크 형태로 이루어지고, 임시 적재수단(30)으로부터 공급되는 외측 지관(10)을 한개씩 구분하여 이송시킨다.
상기 내측지관 수직 디스크형 이송수단(50)은 임시 적재수단(30)의 일측 끝단부에 설치하되, 내측지관(20)을 임시 삽입하기 위해 내측지관(20)의 몸체에 해당하는 모양의 반원형 홈(51)이 다수개 형성되는 디스크 형태로 이루어지고, 임시 적재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내측지관(20)을 한개씩 구분하여 이송시킨다.
상기 지관 임시고정 겸용 삽입 유도수단(60)은 임시 적재수단(30)의 끝단부에 설치하되, 외측지관 수직 디스크형 이송수단(40) 및 내측지관 수직 디스크형 이송수단(50)의 사이에 삽입 설치되고, 직사각형 패널 형태로 이루어지되, 일측은 폐쇄되어 외측지관(10)과 내측지관(20)의 라운드면 포밍작업이 이루어지도록 유도하고, 일측은 결합 유도용 홀(61)을 형성하여 외측지관과 외측지관이 홀을 통해 상호 슬라이딩 결합되어 끼워지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외측지관 라운드면 포밍수단(70)은 외측지관 수직 디스크형 이송수단(40)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며, 이송되는 외측지관(20)의 일측 끝단을 압박하여 라운드면을 형성시킨다.
상기 내측지관 라운드면 포밍수단(80)은 내측지관 수직 디스크형 이송수단(50)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며, 이송되는 내측지관(20)의 일측 끝단을 압박하여 라운드면을 형성시킨다.
상기 외측지관 및 내측지관 누름수단(90)은 외측지관 라운드면 포밍수단(70)과 내측지관 라운드면 포밍수단(80)의 상부에 설치되는바, 가이스 수단(91)이 외측지관(10)과 내측지관(20)을 상부에서 눌러서 고정시키므로 상기 외측지관(10)과 내측지관(20)이 흔들리지 않고 포밍위치에서 멈춰 고정되도록함으로서 정확한 라운드면 포밍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외측지관 결합용 지지수단(100)은 외측지관 라운드면 포밍수단(70)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같은 라인에 정렬하되 외측지관 수직 디스크형 이송수단(50)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며, 이송되는 외측지관(10)의 일측 끝단을 압박하여 결합 유도용 홀에 삽입시킨다.
상기 내측지관 결합용 펌핑수단(110)은 내측지관 라운드면 포밍수단(80)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같은 라인에 정렬하되 내측지관 수직 디스크형 이송수단(50)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며, 이송되는 내측지관(20)의 일측 끝단을 압박하여 결합 유도용 홀(61)에 삽입시키고 동시에 계속적으로 압박하여 외측지관 내부로 내측지관을 완전히 삽입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작용 효과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먼저, 외측지관(10)과, 내측지관(20)을 구비하는바, 외측지관(10)은 원통형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부 일단에 하부를 폐쇄하기 위한 칸막이(11)를 형성시켜 준비하고, 또한, 외측지관(10)의 내측에 결합되는 내측지관(20)을 구비하되 외측지관(10)의 지름에 비해서 작은 크기의 원통 형상으로 준비한다.
상기와 같이 외측지관(10)과 내측지관(20)의 구비가 완료되면 임시적재수단(30)에 외측지관(10)과 내측지관(20)을 각각 탑재시킨다. 이때, 임시적재수단은 중간 칸막이(31)를 기준으로 분리되어 있으며 일측 라인에 외측지관(10)을 일렬로 정렬시키되 원통면이 임시적재수단(30)의 바닥면에 접촉되어 굴러가도록 정렬시키고, 다른 타측 라인에 내측지관(20)을 일렬로 정렬시키되, 원통면이 임시적재수단(30)의 바닥면에 접촉되어 굴러가도록 정렬시킨다.
그리고, 상기 임시적재수단(30)에 적재된 외측지관(10)과 내측지관(20)은 계속적으로 이송되어 외측지관(10)은 외측지관 수직 디스크형 이송수단(40)의 반원형 홈(41)에 장착되고, 아울러 내측지관(20)은 내측지관 수직 디스크형 이송수단(50)의 반원형 홈(51)에 장착된다.
상기 외측지관 수직 디스크형 이송수단(40)과 내측지관 수직 디스크형 이송수단(50)은 동일하게 움직이며, 지관 임시고정 겸용 삽입 유도수단(60)으로 움직인다.
상기 지관 임시고정 겸용 삽입 유도수단(60)은 직사각형 패널 형태로 이루어지되, 라운드면 포밍작업영역과 결합 작업영역으로 구분되어 있는바, 먼저, 라운드면 포밍작업영역에 외측지관(10)과 내측지관(20)이 이르게 되면 외측지관 라운드면 포밍수단(70)과, 내측지관 라운드면 포밍수단(80)이 작동하여 외측지관(10)의 일측 끝단부와 내측지관(20) 일측 끝단부를 라운드면으로 포밍시킨다. 이때, 외측지관 라운드면 포밍수단(70)과 내측지관 라운드면 포밍수단(80)의 상부에는 외측지관 및 내측지관 누름수단(90)이 설치되는바, 외측지관(10)과 내측지관(20)을 상부에서 눌러서 고정시키므로 상기 외측지관(10)과 내측지관(20)이 흔들리지 않고 포밍위치에서 멈춰 고정되도록함으로서 정확한 라운드면 포밍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후, 포밍이 완료된 외측지관(10)과 내측지관(20)은 외측지관 수직 디스크형 이송수단(70) 및 내측지관 수직 디스크형 이송수단(80)의 움직임에 상응하여 계속움직여서 결합 작업영역으로 이송된다.
상기 외측지관 결합용 지지수단(100)은 이송되는 외측지관(10)의 일측 끝단을 압박하여 결합 유도용 홀(61)에 삽입시키고, 이와 동시에 상기 내측지관 결합용 펌핑수단(110)은 이송되는 내측지관의 일측 끝단을 압박하여 결합 유도용 홀(61)에 삽입시키고 동시에 계속적으로 압박하여 외측지관(10) 내부로 내측지관(20)을 완전히 삽입시키도록한다.
상기 결합 유도용 홀(61)은 외측지관(10) 삽입영역과 내측지관(20) 삽입영역의 너비가 약간 다르게 설계되는바, 외측지관의 삽입영역의 너비가 내측지관의 삽입영역의 너비보다 크다.
이에 따라 내측지관(20)은 내측지관 결합용 펌핑수단(110)이 타격하게 되면 결합유도용 홀(61)을 따라 이송되면서 자연스럽게 외측지관(10)에 슬라이딩 되면서 삽입결합이 완료되는 것이다.
10: 외측지관
11: 외측지관 칸막이
20: 내측지관
30: 임시 적재수단
31: 중간 칸막이
32: 커버
40: 외측지관 수직 디스크형 이송수단
41: 반원형 홈
50: 내측지관 수직 디스크형 이송수단
60: 지관 임시고정 겸용 삽입 유도수단
61: 결합 유도용 홀
70: 외측지관 라운드면 포밍수단
80: 내측지관 라운드면 포밍수단
90: 외측지관 및 내측지관 누름수단
100: 외측지관 결합용 지지수단
110: 내측지관 결합용 펌핑수단
11: 외측지관 칸막이
20: 내측지관
30: 임시 적재수단
31: 중간 칸막이
32: 커버
40: 외측지관 수직 디스크형 이송수단
41: 반원형 홈
50: 내측지관 수직 디스크형 이송수단
60: 지관 임시고정 겸용 삽입 유도수단
61: 결합 유도용 홀
70: 외측지관 라운드면 포밍수단
80: 내측지관 라운드면 포밍수단
90: 외측지관 및 내측지관 누름수단
100: 외측지관 결합용 지지수단
110: 내측지관 결합용 펌핑수단
Claims (5)
- 딱딱한 종이 재질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일정한 공간부를 갖도록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내측 일단에는 공간부에 장착되는 내용물이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하부를 폐쇄하는 칸막이가 부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외측 지관(10)과;
상기 외측 지관의 내주연에 결합되는 것으로, 지름이 외측지관보다 작으며, 딱딱한 종이 재질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일정한 공간부를 갖도록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외측 지관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내용물을 저장시키는 내측 지관(20)과;
상부가 오픈된 직육면체 패널 형성으로 이루어지고, 중간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중간 칸막이가 설치되어 외측 지관과 내측 지관을 각각 임시저장하되 다수개를 일렬로 정렬시켜 작업영역으로 한개씩 공급시키는 임시 적재수단(30)과;
상기 임시 적재수단의 일측 끝단부에 설치하되, 외측 지관을 임시 삽입하기 위해 외측 지관의 몸체에 해당하는 모양의 반원형 호가 다수개 형성되는 디스크 형태로 이루어지고, 임시 적재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외측 지관을 한개씩 구분하여 이송시키는 외측지관 수직 디스크형 이송수단(40)과;
상기 임시 적재수단의 일측 끝단부에 설치하되, 내측지관을 임시 삽입하기 위해 내측지관의 몸체에 해당하는 모양의 반원형 호가 다수개 형성되는 디스크 형태로 이루어지고, 임시 적재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내측지관을 한개씩 구분하여 이송시키는 내측지관 수직 디스크형 이송수단(50)과;
상기 임시 적재수단의 끝단부에 설치하되, 외측지관 수직 디스크형 이송수단 및 내측지관 수직 디스크형 이송수단의 사이에 삽입 설치되고, 직사각형 패널 형태로 이루어지되, 일측은 폐쇄되어 외측지관과 내측지관의 라운드면 포밍작업이 이루어지도록 유도하고, 일측은 결합 유도용 홀을 형성하여 외측지관과 내측지관이 홀을 통해 상호 슬라이딩 결합되어 끼워지도록 유도하는 지관 임시고정 겸용 삽입 유도수단(60)과;
상기 외측지관 수직 디스크형 이송수단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며, 이송되는 외측지관의 일측 끝단을 압박하여 라운드면을 형성시키는 외측지관 라운드면 포밍수단(70)과;
상기 내측지관 수직 디스크형 이송수단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며, 이송되는 내측지관의 일측 끝단을 압박하여 라운드면을 형성시키는 내측지관 라운드면 포밍수단(80)과;
상기 외측지관 라운드면 포밍수단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같은 라인에 정렬하되 외측지관 수직 디스크형 이송수단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며, 이송되는 외측지관의 일측 끝단을 압박하여 결합 유도용 홀에 삽입시키는 외측지관 결합용 지지수단(100)과;
상기 내측지관 라운드면 포밍수단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같은 라인에 정렬하되 내측지관 수직 디스크형 이송수단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며, 이송되는 내측지관의 일측 끝단을 압박하여 결합 유도용 홀에 삽입시키고 동시에 계속적으로 압박하여 외측지관 내부로 내측지관을 완전히 삽입시키는 내측지관 결합용 펌핑수단(110)을 포함하고;
상기 외측지관 라운드면 포밍수단과 내측지관 라운드면 포밍수단의 상부에 설치되고, 외측지관과 내측지관을 상부에서 눌러서 고정시키므로 상기 외측지관과 내측지관이 흔들리지 않고 포밍위치에서 멈춰 고정되도록함으로서 정확한 라운드면 포밍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외측지관 및 내측지관 누름수단(9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종이용기 제조 시스템.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적재수단(30)은 외측 지관 및 내측 지관이 외부로 벗어나지 않토록 중간 칸막이 상부에 커버(32)를 더 설치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종이용기 제조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 적재수단(30)은 경사지게 설치하여 외측 지관과 내측 지관이 중력작용으로 작업영역으로 이송하거나, 또는 하부에 이송롤러를 설치하여 연속적으로 작업영역으로 자동 공급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종이용기 제조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유도용 홀(61)은 외측지관측과 내측지관측의 너비가 약간 다르게 설계하되, 외측지관측의 홀의 너비가 내측지관측의 홀의 너비보다 크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종이용기 제조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20184A KR102034979B1 (ko) | 2019-02-21 | 2019-02-21 | 이중 종이용기 제조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20184A KR102034979B1 (ko) | 2019-02-21 | 2019-02-21 | 이중 종이용기 제조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34979B1 true KR102034979B1 (ko) | 2019-10-21 |
Family
ID=68460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20184A KR102034979B1 (ko) | 2019-02-21 | 2019-02-21 | 이중 종이용기 제조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34979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61150Y1 (ko) * | 1996-06-15 | 1999-11-15 | 임성일 | 밴드자동와인딩기의 지관공급 및 배출장치 |
JP2015151189A (ja) * | 2014-02-19 | 2015-08-24 | 凸版印刷株式会社 | 包装容器とその製造方法 |
KR101831146B1 (ko) * | 2016-06-30 | 2018-02-23 | 주식회사 좋은아침 | 자동화 지관 용기 생성 시스템에 적용되는 컬링유닛 |
-
2019
- 2019-02-21 KR KR1020190020184A patent/KR10203497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61150Y1 (ko) * | 1996-06-15 | 1999-11-15 | 임성일 | 밴드자동와인딩기의 지관공급 및 배출장치 |
JP2015151189A (ja) * | 2014-02-19 | 2015-08-24 | 凸版印刷株式会社 | 包装容器とその製造方法 |
KR101831146B1 (ko) * | 2016-06-30 | 2018-02-23 | 주식회사 좋은아침 | 자동화 지관 용기 생성 시스템에 적용되는 컬링유닛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7030067B2 (ja) | 物品を中心に形成された段ボール箱を閉じるための閉鎖ステーションおよび段ボールブランクから得られた段ボール箱の内部で物品を梱包するための機械 | |
KR102020173B1 (ko) | 이중 종이용기 제조 시스템을 통해 이중 종이용기를 제조하는 방법 | |
EP3661849B1 (en) | Plant for automated packaging of items in cardboard boxes | |
USD983033S1 (en) | Packaging box | |
JP2006027733A (ja) | ラップされたタバコ群の対を蝶番のある蓋付きワレットパケット中に包装する方法 | |
KR102034979B1 (ko) | 이중 종이용기 제조 시스템 | |
WO2011038323A3 (en) | Packaging machine | |
US11628643B2 (en) | Methods and a machine for forming a shelf-ready shipper display system | |
KR101411983B1 (ko) | 스프링 자동 공급장치 | |
KR102050570B1 (ko) | 달걀 포장용기 포장장치 | |
WO2020012188A3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opening a sleeve of thin sheet material in a machine for manufacturing a container liner | |
CN103826992A (zh) | 香烟包装件 | |
KR101222884B1 (ko) | 책표지의 모서리 라운딩 장치 및 그 방법 | |
CN105253594B (zh) | 圆形电池自动分料机构 | |
KR100382413B1 (ko) | 와이어밴딩머신 | |
US5613932A (en) | Apparatus for transporting hinge-lid boxes for cigarettes | |
US20150141227A1 (en) | Machine to Assemble Cardboard Boxes While Maintaining Them Square | |
US5447262A (en) | Apparatus for transporting and bending web-shaped packing material | |
KR102162961B1 (ko) | 마감용 라이너 유닛을 구비한 테이핑 장치 | |
KR20230006706A (ko) | 박스 밴딩장치 | |
KR102058821B1 (ko) | 포장용기 | |
CN104136332B (zh) | 香烟的硬包装 | |
ITBO20100425A1 (it) | Apparato e procedimento per la realizzazione di scatole rivestite a spigolo vivo | |
KR200485801Y1 (ko) | 철심을 구비한 박스 | |
US20170259947A1 (en) | Forming a Box Using a C-Cas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