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4853B1 - 고추작물용 지지용 끈의 묶음장치 - Google Patents

고추작물용 지지용 끈의 묶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4853B1
KR102034853B1 KR1020150066696A KR20150066696A KR102034853B1 KR 102034853 B1 KR102034853 B1 KR 102034853B1 KR 1020150066696 A KR1020150066696 A KR 1020150066696A KR 20150066696 A KR20150066696 A KR 20150066696A KR 102034853 B1 KR102034853 B1 KR 1020348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upport
pepper
bundle
lock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6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3757A (ko
Inventor
안덕기
Original Assignee
안덕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덕기 filed Critical 안덕기
Priority to KR10201500666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4853B1/ko
Publication of KR201601337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37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48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48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2Supports for plants; Trellis for strawberries or the like
    • A01G9/128Fixing of plants to supports, e.g. by means of cli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10Holders for boughs or branch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12Tree-ban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추작물이 쓰러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용 끈을 묶는 것으로서 절첩되는 절첩편과, 상기 절첩편의 일측 및 타측에 각기 구비되고 상기 절첩편이 절첩되었을 경우에 상호간에 마주 바라보는 제 1 판재 및 제 2 판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판재에는, 걸림구멍이 구비되고, 상기 제 2 판재에는, 상기 걸림구멍에 삽입되는 삽입편과, 상기 삽입편에서 상향 돌출되어 상기 걸림구멍의 주연부에 걸리는 걸림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고추작물용 지지용 끈의 묶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고추작물용 지지용 끈의 묶음장치{Binding device of cord for supporting red pepper's stem}
본 발명은 고추작물을 재배할 경우에 고추의 무게 및 자연적인 외부의 환경 등에 의하여 고추작물이 쓰러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용 끈을 묶는 고추작물용 지지용 끈의 묶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고추작물은 성장함에 따라 열매인 고추가 열리게 된다. 고추작물에 많은 고추가 열릴 경우에 고추작물이 고추의 무게를 이기지 못하고 쓰러지게 된다. 또한 자연적인 외부환경 예를 들면, 강한 바람에 의해 고추작물이 쓰러지는 경우가 많이 발생한다.
상기 고추작물이 쓰러지게 되면, 재배되는 고추가 흙과 접촉하게 되고, 흙과 접촉된 고추의 부위는 썩어 상품성이 없게 된다. 또한 고추작물이 꺾어질 경우에 고추작물은 더 이상 성장하지 못하고, 이로 인하여 고추를 수확하지 못하게 된다.
그러므로 고추작물을 재배할 경우에 고추 지지대 및 지지용 끈 등을 사용하여 고추작물이 쓰러지거나 꺾이지 않도록 하고 있다.
고추작물이 쓰러지거나 꺾이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고추작물을 식재할 경우에 일렬로 배열하여 식재한다. 그리고 고추작물이 어느 정도 성장하였을 경우에 일렬로 식재된 고추작물의 양 끝에 고추 지지대를 세워주고, 일측의 지지대에 지지용 끈의 일단을 묶어준 상태에서 지지용 끈이 고추작물을 팽팽하게 감싸지도록 한 후 최종적으로 타측에 세워진 고추 지지대에 묶어줌으로써 고추의 무게 및 바람 등에 의하여 고추작물이 쓰러지지 않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고추작물에 직접 지지용 끈이 묶여지게 되면, 고추작물의 성장에 많은 지장을 줌은 물론 지지용 끈에 의해 고추작물의 껍질이 벗겨지게 되는 등의 피해가 발생한다.
최근에는 2개의 고추 지지대의 사이에 2개의 지지용 끈을 묶되, 2개의 지지용 끈이 고추작물의 전방 및 후방을 각각 지나가도록 하여 고추작물을 지지함으로써 고추작물이 전방 및 후방으로 쓰러지지 않도록 한다. 또한 고추작물의 좌우 양측 부분에 위치하는 지지용 끈을 별도의 끈이나 철사 등으로 묶어 고추작물이 좌우 방향으로도 쓰러지지 않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고추작물이 전방 및 후방은 물론 좌우 방향으로 쓰러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고추작물은 원활하게 성장하게 되고, 많은 양의 고추를 재배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고추작물의 좌우 양측에 위치하는 지지용 끈의 부위를 별도의 끈이나 철사 등으로 묶어 고추작물이 좌우 방향으로 쓰러지지 않도록 하는 것은 많은 작업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고추작물의 좌우 양측에서 별도의 끈이나 철사 등을 사용하여 묶은 묶음부위가 초기에는 고추작물의 좌우 양측에 근접되어 고추작물이 좌우로 쓰러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자연적인 외부환경 예를 들면, 많은 바람이 불 경우에 고추작물이 흔들리면서 상기 묶음부위가 좌우로 밀려나게 되면서 고추작물이 좌우로 이동하게 되는 폭이 넓어지게 되고, 이로 인하여 고추작물이 자체의 무게 또는 바람 등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쓰러지게 되어 고추를 수확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본 출원인이 선출원하여 등록된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공보 제20-0227675호(2001. 04. 04. 등록)에서는 절첩편을 기점으로 하여 양측에 서로 다른 크기를 갖고 있는 상태에서 두 가닥의 지지용 끈을 잡아줄 수 있도록 직사각형 모양을 갖는 한 쌍의 누름편과, 상기 누름편중 크기가 큰 누름편의 상단부 중간지점에 임의의 크기를 갖는 개방홈, 그리고 타측의 누름편 상단 중앙에 일체로 한 상태에서 내측방향으로 절곡시켜 개방 홈의 양측 면에 걸릴 수 있도록 선단부 외측으로 걸림턱이 갖추어진 체결편과, 누름편의 내면에 길이방향으로 교호될 수 있도록 하여 두 가닥의 지지용 끈을 견고하게 눌러줄 수 있도록 하는 눌림돌기 및 눌림편으로 형성되는 지지용 끈 묶음구를 갖추어 지지용 끈을 간단히 묶을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기술은 묶음장치를 재사용하거나 또는 지지용 끈의 묶음 위치를 변경해야 되는 등 지지용 끈에서 묶음장치를 해체할 경우에 작업자가 체결편을 오므려 걸림 턱이 개방 홈에 걸리지 않도록 한 후 한 쌍의 누름편을 벌려 주어야 하므로 묶음장치의 해체작업이 어렵고,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다.
또한 체결편에 형성된 걸림턱의 선단부가 비교적 날카롭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작업자가 체결편을 오므릴 경우에 작업자의 손가락에 상처가 발생하는 등의 안전사고가 많이 발생하였다.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공보 제20-0227675호(2001. 04. 04. 등록)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지지용 끈의 묶음작업 및 해체작업을 간단히 수행할 수 있는 고추작물용 지지용 끈의 묶음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고,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고추작물용 지지용 끈의 묶음장치는, 절첩되는 절첩편과, 상기 절첩편의 일측 및 타측에 각기 구비되고 상기 절첩편이 절첩되었을 경우에 상호간에 마주 바라보는 제 1 판재 및 제 2 판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판재에는, 걸림구멍이 구비되고, 상기 제 2 판재에는, 상기 걸림구멍에 삽입되는 삽입편과, 상기 삽입편에서 상향 돌출되어 상기 걸림구멍의 주연부에 걸리는 걸림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판재는, 상기 제 2 판재의 방향으로 돌출되는 누름편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판재는, 상기 제 2 판재의 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 개의 누름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고추작물용 지지용 끈의 묶음장치에 따르면, 2개의 지지용 끈을 작업자가 간단히 묶을 수 있음은 물론 지지용 끈의 묶음부위를 견고하게 고정시켜 고추작물이 쓰러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작업자가 간단한 조작으로 묶음장치의 묶음을 해제할 수 있는 것으로서 지지용 끈의 묶음 위치를 간단히 변경할 수 있고, 또한 재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 실시 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며, 일부 도면에서 동일한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묶음장치를 전개하여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묶음장치의 체결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묶음장치의 체결상태를 보인 사시도, 및
도 4는 본 발명의 묶음장치의 사용 상태를 보인 참고도이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에 불과하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와 개념은 가장 유용하고, 쉽게 설명할 목적으로 제공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본 이해를 위한 필요 이상의 자세한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지 않았음은 물론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실체에서 실시될 수 있는 여러 가지의 형태들을 도면을 통해 예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묶음장치를 전개하여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묶음장치의 체결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여기서, 부호 100은 본 발명의 묶음장치이다. 상기 묶음장치(100)는, 절첩되는 한 쌍의 절첩편(110)과, 상기 한 쌍의 절첩편(110)의 일측 및 타측에 각기 구비되는 제 1 판재(120) 및 제 2 판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판재(120) 및 상기 제 2 판재(130)는, 상기 절첩편(110)을 절첩하였을 경우에 상호간에 마주 바라보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1 판재(120)에는, 걸림구멍(12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구멍(122)의 하부에는 한 쌍의 누름편(124)이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누름편(124)은, 상기 한 쌍의 절첩편(110)을 절첩하였을 경우에 상기 제 2 판재(130)와의 사이에 위치되는 지지용 끈(220)을 상기 제 2 판재(130)의 방향으로 눌러 상기 지지용 끈(220)이 임의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제 2 판재(130)에는 상기 제 1 판재(120)의 방향으로 돌출되는 누름돌기(132)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판재(120)의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걸림구멍(122)에 삽입되는 삽입편(134)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편(134)에는, 상기 걸림구멍(122)의 주연부에 걸려 상기 삽입편(134)이 상기 걸림구멍(122)에서 임의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걸림돌기(136)가 상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묶음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추작물(200)을 심을 경우에 적당한 간격으로 고추 지지대(210)를 세우고, 상기 고추 지지대(210)의 사이에 2개의 지지용 끈(220)을 묶게 된다.
이 때, 상기 2개의 지지용 끈(220)의 사이에 재배하고자 하는 고추작물(200)이 위치되게 한다. 즉, 2개의 지지용 끈(220)들 중에서 하나는 고추작물(200)의 전방으로 지나가도록 하고, 다른 하나는 고추작물(200)의 후방으로 지나가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작업자는 본 발명의 묶음장치(100)의 절첩편(110)을 절첩한다. 이 때, 상기 절첩편(110)을 완전히 절첩하지 않고, 제 1 판재(120) 및 제 2 판재(130)의 사이에 지지용 끈(220)을 삽입할 수 있는 정도의 각도로 절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고추작물(200)의 좌우 양측의 인접된 위치를 지나가는 지지용 끈(220)의 부위를 상기 제 1 판재(120) 및 상기 제 2 판재(130)의 사이에 끼우고, 상기 절첩편(110)을 완전히 절첩한다.
그러면, 제 1 판재(120)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구멍(122)에 제 2 판재(130)의 삽입편(134)이 삽입되고, 상기 절첩편(110)을 완전히 절첩하였을 경우에 상기 걸림구멍(122)의 주연부에 걸림돌기(136)가 걸리게 되어 상기 제 1 판재(120) 및 상기 제 2 판재(130)의 사이가 벌어지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 1 판재(120) 및 상기 제 2 판재(130)가 결합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판재(120)에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누름편(124)이 자체의 탄성력으로 상기 지지용 끈(220)을, 상기 제 2 판재(130)에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누름돌기(132)의 좌우 양측으로 누르게 된다. 또한 상기 제 2 판재(130)의 좌우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누름돌기(132)가 자체의 탄성력으로, 상기 지지용 끈(220)을 상기 제 1 판재(120)의 방향으로 누르게 된다.
그러므로 바람에 의하여 고추작물(200)이 좌우로 흔들리더라도 본 발명의 묶음장치(100)는 묶음 부위가 이동되지 않고, 고추작물(200)이 꺾이거나 쓰러지지 않도록 하게 된다.
그리고 작업자가 예를 들면, 손가락 끝을 제 2 판재(130)의 삽입편(134)에 접촉시킨 후 걸림구멍(122)의 내측으로 밀게 되면, 걸림돌기(136)가 상기 걸림구멍(122)의 주연부에서 이탈하게 되고, 절첩부(110)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제 1 판재(120) 및 상기 제 2 판재(130)의 사이가 벌어지게 된다.
그러므로 작업자는 간단히 지지용 끈(220)의 묶음을 해제한 후 위치를 이동시켜 지지용 끈(220)의 묶음작업을 수행할 있고, 또한 묶음장치(100)를 재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대표적인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묶음장치 110 : 절첩편
120 : 제 1 판재 122 : 걸림구멍
124 : 누름편 130 : 제 2 판재
122 : 걸림구멍 124 : 누름편
132 : 누름돌기 134 : 삽입편
136 : 걸림돌기 200 : 고추작물
210 : 고추 지지대 220 : 지지용 끈

Claims (2)

  1. 지지용 끈의 묶음작업 및 해체작업을 간단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고추작물용 지지용 끈의 묶음장치에 관한 것으로,
    묶음장치가 절첩되도록 한 한 쌍의 절첩편; 및
    상기 절첩편의 일측 및 타측에 각기 구비되고 상기 절첩편이 절첩되었을 경우에 상호간에 마주 바라보는 제 1 판재 및 제 2 판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판재에는, 걸림구멍이 구비되고, 상기 제 2 판재에는, 상기 걸림구멍에 삽입되는 삽입편; 및 상기 삽입편에서 상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걸림구멍의 주연부에 걸려 상기 삽입편이 상기 걸림구멍에서 임의로 이탈되지 않고 상기 제 1 판재 및 상기 제 2 판재의 사이가 벌어지지 않도록 하는 걸림돌기;를 포함하되, 작업자가 손가락 끝을 제 2 판재의 삽입편에 접촉시킨 후 걸림구멍의 내측으로 밀게 되면,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걸림구멍의 주연부에서 이탈하게 되고 상기 절첩부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제 1 판재 및 상기 제 2 판재의 사이가 벌어지게 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제 1 판재는, 상기 한 쌍의 절첩편을 절첩하였을 경우에 자체의 탄성력으로 상기 제 2 판재와의 사이에 위치되는 지지용 끈을 상기 제 2 판재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누름돌기의 좌우 양측으로 눌러 상기 지지용 끈이 임의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고, 제 2 판재의 방향으로 돌출되는 누름편;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판재는, 좌우 양측에 형성되어 자체의 탄성력으로 상기 지지용 끈을 상기 제 1 판재의 방향으로 누르도록 돌출되는 복수 개의 누름돌기;를 포함하여 작업자가 간단히 상기 지지용 끈의 묶음을 해체한 후 위치를 이동시켜 상기 지지용 끈의 묶음 작업을 수행하거나 재사용할 수 있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추작물용 지지용 끈의 묶음장치.
  2. 삭제
KR1020150066696A 2015-05-13 2015-05-13 고추작물용 지지용 끈의 묶음장치 KR1020348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6696A KR102034853B1 (ko) 2015-05-13 2015-05-13 고추작물용 지지용 끈의 묶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6696A KR102034853B1 (ko) 2015-05-13 2015-05-13 고추작물용 지지용 끈의 묶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3757A KR20160133757A (ko) 2016-11-23
KR102034853B1 true KR102034853B1 (ko) 2019-10-21

Family

ID=57541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6696A KR102034853B1 (ko) 2015-05-13 2015-05-13 고추작물용 지지용 끈의 묶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485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7675Y1 (ko) * 2001-01-31 2001-06-15 안효섭 고추나무 지지용끈 묶음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7675Y1 (ko) * 2001-01-31 2001-06-15 안효섭 고추나무 지지용끈 묶음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3757A (ko) 2016-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6349Y1 (ko) 농작물 지지끈 연결용 클립
KR20160002652U (ko) 넝쿨작물 줄기 유인용 집게
JP5931278B2 (ja) テンションクリップを有する果実袋
KR20200099301A (ko) 농작물 지지대용 스프링구조의 탈착식 지지끈 연결클립
KR102034853B1 (ko) 고추작물용 지지용 끈의 묶음장치
KR20060012040A (ko) 식물 고정용 집게
JP3224332U (ja) クリップ
KR20170002877U (ko) 고추나무 지지용 끈 고정핀
KR200481883Y1 (ko) 농작물 지지대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탈착식 연결클립
US5590592A (en) Device for banding branches of a palm tree
KR200460858Y1 (ko) 묘목 고정용 타이
KR200227675Y1 (ko) 고추나무 지지용끈 묶음장치
JP5938776B1 (ja) 連結具及び該連結具と支持部材との係止構造
KR101671741B1 (ko) 농작물 지지끈
JPH04356142A (ja) 樹木等の枝葉の結束具
JP3111947U (ja) つる植物のつる誘引具
KR20180131930A (ko) 식물 줄기 지지용 집게
KR100817809B1 (ko) 결속용 타이
KR200354855Y1 (ko) 과일 재배용 과일보호구 및 결속밴드
JP3189309U (ja) 農園芸用ピンチ
JP3142821U (ja) 園芸用ピンチ
KR102359839B1 (ko) 작물 줄기 지지끈용 엉킴 방지장치
JP2005013035A (ja) 植物栽培用の留め具
JP3152804U (ja) 添え木
JP6983413B2 (ja) 添え木兼用シート押え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