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4126B1 - 상하 반전이 가능한 에어컨 - Google Patents

상하 반전이 가능한 에어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4126B1
KR102034126B1 KR1020180161955A KR20180161955A KR102034126B1 KR 102034126 B1 KR102034126 B1 KR 102034126B1 KR 1020180161955 A KR1020180161955 A KR 1020180161955A KR 20180161955 A KR20180161955 A KR 20180161955A KR 102034126 B1 KR102034126 B1 KR 1020341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oor unit
evaporator
air conditioner
ai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19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규민
Original Assignee
조규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규민 filed Critical 조규민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41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41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Conditioning Room Units, And Self-Contained Unit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하 반전이 가능한 에어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기 내부에 설치된 증발기의 상부 및 하부 양쪽에 물받이부가 설치되어 실내기의 상하방향을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선택하여 설치할 수 있는 상하 반전이 가능한 에어컨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상하 반전이 가능한 에어컨{Air conditioner by up and down reversal}
본 발명은 상하 반전이 가능한 에어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기 내부에 설치된 증발기의 상부 및 하부 양쪽에 물받이부가 설치되어 실내기의 상하방향을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선택하여 설치할 수 있는 상하 반전이 가능한 에어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조시스템은 냉매를 압축, 응축, 팽창, 증발시키는 과정을 반복함으로 냉풍과 온풍을 발생시키고, 이를 이용하여 실내의 공기를 항상 쾌적한 상태로 유지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이러한 공조시스템 중 에어컨은 냉풍을 발생시키는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크게 압축기(Compressor), 응축기(Condenser), 증발기(Evaporator), 팽창밸브(Expansion Valve) 등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압축기는 냉매를 고온고압의 기체 상태로 압축하는 역할을 하며 압축된 냉매를 응축기(Condenser)로 보내는 것으로, 스와쉬 플레이트 타입(Swash plate type), 베인 로터리 타입(Vane rotary type) 그리고 와블 플레이트 타입(Wobble plate type) 등이 있다.
그리고, 응축기(Condenser)는 압축기에서 보내진 고온고압의 냉매를 외부공기에 의해서 액체로 응축하는 역할과 팽창밸브(Expansion Valve)로 보내는 역할을 하는 것이고, 증발기(Evaporator)는 팽창밸브를 통해 무상의 기체로 급격히 팽창된 냉매를 받아 저온저압의 기체로 증발시킴으로 증발 시 주위의 열을 빼앗아 찬바람을 얻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에어컨 작동 원리를 간단하게 살펴보면, 압축기에서 압축된 고온 고압의 냉매 가스가 응축기로 유입되어 열교환됨으로써, 액체 상태의 저온 고압의 냉매로 변하게 된다. 그리고, 응축기에서 나온 저온 고압의 냉매가 팽창밸브(모세관)를 통과하면서 저온 저압의 액체 냉매가 되어 증발기로 유입되고, 저온의 냉매는 실내 공기와 열교환되어 가스 상태가 됨으로써, 압축기에 다시 유입이 된다.
이러한 기존의 에어컨은 상하방향이 특정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에어컨의 상하방향을 뒤집어서 설치할 수 없었으며, 이에 따라 실내에 있는 사람들의 체감온도를 일정온도 이하로 낮추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에어컨에 관한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590653호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실내기 내부에 설치된 증발기의 상부 및 하부 양쪽에 물받이부가 설치되어 실내기의 상하방향을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선택하여 설치할 수 있는 상하 반전이 가능한 에어컨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전술한 과제로 제한되지 아니하며, 언급되지 아니한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후술할 내용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상하 반전이 가능한 에어컨은 내부에 증발기 및 팽창밸브가 형성되고, 외측 전면 상단 및 중앙 일측에 토출구 및 키입력부가 형성된 실내기; 및 내부에 압축기 및 응축기가 형성된 실외기;를 포함하며, 상기 증발기의 상단 및 하단 양측에 물받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물받이부가 상기 증발기의 하단에만 형성되되 착탈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키입력부가 상기 실내기의 전면에 형성된 부착홈에 착탈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내기의 외부 상단 및 하단에는 지면받침대가 결합될 수 있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하 반전이 가능한 에어컨은 실내기 내부에 설치된 증발기의 상부 및 하부 양쪽에 물받이부가 설치되어 실내기의 상하방향을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선택하여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실내에 있는 사람들의 체감 온도를 일정온도 이하로 빠르게 내려야 하는 경우, 즉 빠른 냉방이 필요한 경우, 실내기의 상하를 반전시켜 냉각된 공기가 배출되는 토출구가 하단에 위치하도록 설치함으로써 냉각된 공기가 사람들이 주로 위치하는 실내의 하단 측에 바로 배출되어, 실내의 사람들이 바로 시원함을 느끼도록 할 수 있으며, 에너지를 절감하면서도 사람의 활동공간은 충분한 냉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받이부가 착탈가능한 형태로 형성되어, 실내기의 설치방향에 따라 증발기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실내기 외측 전면에 설치된 키입력부가 착탈가능한 형태로 형성되어, 실내기의 설치방향에 맞게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실내기의 지면받침대가 착탈식으로 형성되어, 실내기의 설치방향에 맞게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원심형 팬 타입 증발기가 경사진 형태로 설치되는 경우에도, 증발기의 상단 및 하단에 물받이부를 형성하여 증발기에서 발생한 이슬 및 성에가 실내기 내부의 하단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축류팬 및 원심형 팬 타입 증발기에 모두 적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하 반전이 가능한 에어컨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하 반전이 가능한 에어컨에서 실내기가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하 반전이 가능한 에어컨의 상하를 반전하여 설치한 상태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하 반전이 가능한 에어컨의 상하를 반전하여 설치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하 반전이 가능한 에어컨에서 착탈식 키입력부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하 반전이 가능한 에어컨에서 원심형 팬 타입 증발기가 경사진 형태로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되어진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하 반전이 가능한 에어컨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하 반전이 가능한 에어컨에서 실내기가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하 반전이 가능한 에어컨의 상하를 반전하여 설치한 상태의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하 반전이 가능한 에어컨의 상하를 반전하여 설치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하 반전이 가능한 에어컨에서 착탈식 키입력부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하 반전이 가능한 에어컨에서 원심형 팬 타입 증발기가 경사진 형태로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하 반전이 가능한 에어컨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 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하 반전이 가능한 에어컨(100)은 실내기(10) 및 실외기(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실내기(10)의 내부에는 증발기(13), 송풍팬(14) 및 팽창밸브(17)가 형성되며, 실외기(20)의 내부에는 압축기(21) 및 응축기(22)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에어컨(100) 작동 원리를 간단하게 살펴보면, 압축기(21)에서 압축된 고온 고압의 냉매 가스가 응축기(22)로 유입되어 열교환됨으로써, 액체 상태의 저온 고압의 냉매로 변하게 된다.
이후, 응축기(22)에서 나온 저온 고압의 냉매가 팽창밸브(17)를 통과하면서 저온 저압의 액체 냉매가 되어 증발기(13)로 유입되고, 저온의 냉매는 실내 공기와 열교환되어 가스 상태가 됨으로써, 압축기(21)에 다시 유입이 된다.
여기서, 증발기(13) 주변에는 송풍팬(14)이 장치됨으로써, 송풍팬(14)을 통해 상온의 공기를 증발기(13)의 냉각핀(미도시) 사이에 통과시키게 되는데, 냉각핀(미도시)에서는 냉매가 가스로 변하는 동안 공기 중의 열을 빼앗아 증발하여 주위를 차갑게 하고, 이처럼 차가워진 냉각핀 주위에 송풍팬(14)이 가동되면서 찬바람이 나오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증발기(13)는 온도가 주위보다 낮기 때문에 표면에 이슬 및 성에가 생기며, 증발기(13) 표면의 이슬 및 성에는 중력 방향으로 떨어지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증발기(13)의 상부 및 하부 양측에 물받이부(15)가 형성되어 있어, 실내기(10)의 상하를 반전해서 설치해도 증발기(13) 표면의 이슬 및 성에가 물받이부(15)에 떨어져 저장된 후 외부로 배출되기 때문에, 증발기(13)에서 발생한 이슬 및 성에가 실내기(10) 내부의 하단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두 개의 물받이부(15) 중 하나만 증발기(13)의 하단에 설치하되 착탈식으로 형성하여, 실내기(10)의 상하를 반전하여 설치할 경우 상기 물받이부(15)를 분리하여 증발기(13)의 하단에 위치하도록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실내기(10)의 외부에는, 실내기(10)의 전면 상단 및 하단에 냉각된 공기가 배출되는 토출구(11) 및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16)가 형성되고, 중앙 일측에는 에어컨(100)의 작동을 조작할 수 있는 키입력부(12)가 형성된다. 이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키입력부(12)가 상기 실내기(10)의 전면 중앙 일측에 형성된 부착홈(12a)으로부터 분리가 가능한 착탈식으로 형성되어, 실내기(10)의 상하를 반전하여 설치할 경우 상기 키입력부(12)를 부착홈(12a)으로부터 분리한 후, 실내기(10)와 동일하게 상하를 반전시켜 다시 결합시킴으로써 키입력부(12)를 정방향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키입력부(12)가 부착홈(12a)에 착탈식으로 형성되는 방식은 자석을 이용한 방식 등 공지의 다양한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실내기의(10)의 외부 상단 및 하단에는 지면받침대(18)가 결합될 수 있는 결합홈(18a)이 형성되며, 이에 따라 실내기(10)의 상하를 반전하여 설치할 경우 지면받침대(18)를 실내기(10) 하단의 결합홈(18a)에서 분리하여 실내기(10)의 상단의 결합홈(18a)에 결합한 후 실내기(10)의 상하를 반전하여 설치할 수 있다. 이 때 실내기(10)의 상단이 지면에 위치하도록 실내기(10)를 상하반전시켜 설치하는 과정에서는 물론 실내기(10)에 연결된 냉매배관을 먼저 실내기(10)로부터 분리한 후 실내기(1)를 상하반전시킨 이후에 다시 실내기(10)에 연결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하 반전이 가능한 에어컨(100)의 사용상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평상시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된 공기가 배출되는 토출구(11)가 상단에 오도록 실내기(10)를 설치하여 사용하게 되지만, 이 경우 냉각된 공기가 상단의 토출구(11)를 통해 실내의 상부에 배출된 후, 바닥으로 하강하면서 냉방이 되기 때문에 실내에 있는 사람들이 체감하는 온도가 일정온도 이하로 떨어지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릴 수 있다.
이에 따라, 실내에 있는 사람들의 체감 온도를 일정온도 이하로 빠르게 내려야 하는 경우, 즉 빠른 냉방이 필요한 경우, 실내기(10)의 상하를 반전시켜 냉각된 공기가 배출되는 토출구(11)가 하단에 위치하도록 설치함으로써 냉각된 공기가 사람들이 주로 위치하는 실내의 하단 측에 바로 배출되어, 실내의 사람들이 바로 시원함을 느끼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내기(10)에서 나오는 차가워진 공기는 더운 공기보다 비중이 커서 아래로 가라앉기 때문에 실내기(10)를 상하 반전하여 설치함으로써 찬 공기가 실내기(10)의 아래쪽에서 나오도록 하면 그 방의 사람이 주로 거주하는 아래쪽 공간부터 차가운 공기로 채우므로 에너지를 절감하면서도 사람의 활동공간은 충분한 냉방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즉, 위쪽의 천정에 가까운 공간은 사람의 활동공간이 아니어서 냉방할 필요성이 없는 공간이므로 냉기를 채울 필요가 없고 사람이 활동하는 공간인 방의 아래쪽 공간만을 냉기로 채우면 충분한 것이다. 그러나 방의 아래쪽에 많은 장애물이나 칸막이 등이 있어서 찬 공기가 아래쪽으로 송풍되어서는 주변으로 확산되기 힘든 경우에는 실내기(10)의 토출구(11)가 위쪽 방향에 위치하도록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받침대(18)를 실내기(10)의 하단 결합홈(18a)으로부터 분리시켜 실내기(10)의 상단 결합홈(18a)에 결합시킨 후, 실내기(10)의 상하를 반전시켜 토출구(11)가 실내의 하단 바닥 쪽에 위치하도록 설치할 수 있다.
이후, 실내기(10)의 전면 중앙 일측에 형성된 부착홈(12a)에 착탈식으로 형성된 키입력부(12)를 부착홈(12a)으로부터 분리한 후, 실내기(10)와 동일하게 상하를 반전시켜 다시 결합시킴으로써, 키입력부(12)를 정방향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실내기(10) 내부에 설치된 증발기(13)에는 에어컨(100)의 작동에 의해 표면에 이슬 및 성에가 발생하게 되며, 발생된 이슬 및 성에가 중력 방향으로 떨어지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증발기(13)의 상부 및 하부 양측에 물받이부(15)가 형성되어 있어 실내기(10)의 상하를 반전시켜 설치해도 증발기(13) 표면의 이슬 및 성에가 물받이부(15)에 떨어져 저장된 후 외부로 배출되기 때문에, 증발기(13)에서 발생한 이슬 및 성에가 실내기(10) 내부의 하단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두 개의 물받이부(15) 중 하나만 증발기(13)의 하단에 설치하되 착탈식으로 형성하여, 실내기(10)의 상하를 반전하여 설치할 경우 상기 물받이부(15)를 분리하여 증발기(13)의 하단에 위치하도록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컨(100)은 원심형 팬 타입 증발기(13)가 경사진 형태로 설치되는 경우에도, 증발기(13)의 상단 및 하단에 물받이부(15)를 형성하여, 실내기(10)의 상하를 반전해서 설치해도 증발기(13) 표면의 이슬 및 성에가 물받이부(15)에 떨어져 저장된 후 외부로 배출되기 때문에, 증발기(13)에서 발생한 이슬 및 성에가 실내기(10) 내부의 하단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컨(100)은 축류팬 및 원심형 팬 타입 증발기(13)에 모두 적용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두 개의 물받이부(15) 중 하나만 증발기(13)의 하단에 설치하되 착탈식으로 형성하여, 실내기(10)의 상하를 반전하여 설치할 경우 상기 물받이부(15)를 분리하여 증발기(13)의 하단에 위치하도록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하 반전이 가능한 에어컨은 실내기 내부에 설치된 증발기의 상부 및 하부 양쪽에 물받이부가 설치되어 실내기의 상하방향을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선택하여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실내에 있는 사람들의 체감 온도를 일정온도 이하로 빠르게 내려야 하는 경우, 즉 빠른 냉방이 필요한 경우, 실내기의 상하를 반전시켜 냉각된 공기가 배출되는 토출구가 하단에 위치하도록 설치함으로써 냉각된 공기가 사람들이 주로 위치하는 실내의 하단 측에 바로 배출되어, 실내의 사람들이 바로 시원함을 느끼도록 할 수 있으며, 에너지를 절감하면서도 사람의 활동공간은 충분한 냉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받이부가 착탈가능한 형태로 형성되어, 실내기의 설치방향에 따라 증발기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실내기 외측 전면에 설치된 키입력부가 착탈가능한 형태로 형성되어, 실내기의 설치방향에 맞게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실내기의 지면받침대가 착탈식으로 형성되어, 실내기의 설치방향에 맞게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원심형 팬 타입 증발기가 경사진 형태로 설치되는 경우에도, 증발기의 상단 및 하단에 물받이부를 형성하여 증발기에서 발생한 이슬 및 성에가 실내기 내부의 하단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축류팬 및 원심형 팬 타입 증발기에 모두 적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100 : 에어컨
10 : 실내기
11 : 토출구
12 : 키입력부
12a : 부착홈
13 : 증발기
14 : 송풍팬
15 : 물받침부
16 : 흡입구
17 : 팽창밸브
18 : 지면받침대
18a : 결합홈
20 : 실외기
21 : 압축기
22 : 응축기

Claims (4)

  1. 내부에 증발기 및 팽창밸브가 형성되고, 외측 전면 상단에 냉각된 공기가 배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되고 소정영역에 외부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가 형성된 실내기;
    내부에 압축기 및 응축기가 형성된 실외기; 및
    상기 실내기를 지지하는 지면받침대를 포함하며,
    상기 증발기의 상단 및 하단 양측에 물받이부가 형성되고,
    상기 실내기의 외부 상단 및 하단에는 상기 지면받침대가 결합될 수 있는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실내기의 상하를 반전시켜 설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실내기의 상단의 상기 결합홈에 상기 지면받침대가 결합되고,
    상기 실내기의 상하가 반전되도록 설치된 경우에는 상기 실내기의 상기 토출구가 상기 실내기의 하단에 위치하여 냉각된 공기를 실내공간의 아래쪽으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 반전이 가능한 에어컨.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키입력부가 상기 실내기의 전면에 형성된 부착홈에 착탈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 반전이 가능한 에어컨.
  4. 삭제
KR1020180161955A 2018-10-24 2018-12-14 상하 반전이 가능한 에어컨 KR1020341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127244 2018-10-24
KR1020180127244 2018-10-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4126B1 true KR102034126B1 (ko) 2019-10-18

Family

ID=68462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1955A KR102034126B1 (ko) 2018-10-24 2018-12-14 상하 반전이 가능한 에어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41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48920A (zh) * 2019-11-29 2020-02-28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及其自清洁控制方法和控制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9144Y1 (ko) * 2000-05-18 2000-10-02 주식회사센추리 착탈이 용이한 에어컨디셔너용 드레인 물받이
KR20030067252A (ko) * 2002-02-07 2003-08-14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공기조화기의 받침대
KR100714298B1 (ko) * 2006-06-19 2007-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140074705A (ko) * 2012-12-10 2014-06-18 코웨이 주식회사 공기조화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9144Y1 (ko) * 2000-05-18 2000-10-02 주식회사센추리 착탈이 용이한 에어컨디셔너용 드레인 물받이
KR20030067252A (ko) * 2002-02-07 2003-08-14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공기조화기의 받침대
KR100714298B1 (ko) * 2006-06-19 2007-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140074705A (ko) * 2012-12-10 2014-06-18 코웨이 주식회사 공기조화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48920A (zh) * 2019-11-29 2020-02-28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及其自清洁控制方法和控制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04180B2 (en) Integrated air conditioner
JP6017068B2 (ja) 空気調和装置
JP6906311B2 (ja) 空気調和装置
KR102171872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
KR102034126B1 (ko) 상하 반전이 가능한 에어컨
US20120118535A1 (en) Chilled Beam Air Conditioning System
KR20110090750A (ko) 온도 통제를 통한 제습장치 및 제습방법
KR20150051269A (ko) 공기조화기
JP7316759B2 (ja) 空気調和装置及び空気調和システム
JP2016156543A (ja) 室内機及び空気調和機
JP4239086B2 (ja) 店舗用冷凍機
JP6625222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KR100388741B1 (ko) 에어콘의 에어 흡입 및 토출구조
KR102133388B1 (ko) 실외기 일체형 에어컨
KR100871116B1 (ko) 히트 펌프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냉난방기
CN218627092U (zh) 一体式单元移动空调
KR20040033801A (ko) 제습용 에어컨의 베인 제어 방법
KR100357115B1 (ko) 이동형 냉방장치
KR100939019B1 (ko) 수냉식 공조 시스템의 실내기
KR0132888Y1 (ko) 냉장고 냉각장치
TWI540292B (zh) Vertical thin DC air conditioner
KR101147733B1 (ko) 에어컨 시스템
KR20010010617A (ko) 환기구조를 갖는 일체형 에어컨
KR100313421B1 (ko) 패키지 에어콘용 실내기
KR100393992B1 (ko) 정온제습이 가능한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