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3772B1 - 탄약 - Google Patents

탄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3772B1
KR102033772B1 KR1020167011453A KR20167011453A KR102033772B1 KR 102033772 B1 KR102033772 B1 KR 102033772B1 KR 1020167011453 A KR1020167011453 A KR 1020167011453A KR 20167011453 A KR20167011453 A KR 20167011453A KR 102033772 B1 KR102033772 B1 KR 1020337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munition
explosive
shape
fragmentation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1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7382A (ko
Inventor
주호 칼리아라
Original Assignee
레이조나 인스시투우띠 오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레이조나 인스시투우띠 오와이 filed Critical 레이조나 인스시투우띠 오와이
Publication of KR201600873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73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37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37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12/00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 F42B12/02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or the intended effect
    • F42B12/36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or the intended effect for dispensing materials; for producing chemical or physical reaction; for signalling ;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 F42B12/56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or the intended effect for dispensing materials; for producing chemical or physical reaction; for signalling ;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for dispensing discrete solid bodies
    • F42B12/58Cluster or cargo ammunition, i.e. projectiles containing one or more submissi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12/00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 F42B12/02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or the intended effect
    • F42B12/20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or the intended effect of high-explosive type
    • F42B12/201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or the intended effect of high-explosive type characterised by target class
    • F42B12/202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or the intended effect of high-explosive type characterised by target class for attacking land area or area targets, e.g. airburs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12/00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 F42B12/02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or the intended effect
    • F42B12/20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or the intended effect of high-explosive type
    • F42B12/207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or the intended effect of high-explosive type characterised by the explosive material or the construction of the high explosive warhead, e.g. insensitive ammun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12/00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 F42B12/02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or the intended effect
    • F42B12/20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or the intended effect of high-explosive type
    • F42B12/22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or the intended effect of high-explosive type with fragmentation-hull 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 Portable Nailing Machines And Staplers (AREA)

Abstract

의도된 목표물 위의 위치에서 폭발되는 탄약(1)은 폭발 물질을 포함하는 폭발물(2), 목표물에 파편화 효과를 유발시키기 위한 파편화 재료(3)의 매트릭스, 기폭될 때까지 탄약(1)의 구성부분들을 지지하고 결속하는 본체 부분(4), 및 주어진 시간 또는 위치에서 탄약을 기폭시키기 위한 기폭장치(5)를 포함하며, 상기 탄약은 본체 부분(4)이 폭발물(2)과 마주하는 볼록한 형상의 지지 요소(40)를 갖고, 폭발물(2)이 본체 부분(4)의 볼록한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파편화 재료(3)의 매트릭스가 폭발물(2)의 형상에 대응하는 볼록한 형상으로 배치되고, 기폭장치(5)가 폭발물(2)의 정점(20)에 위치되도록, 층상 구조물을 포함하며, 상기 층상 구조물은 기폭되었을 때 목표 지역 위에 파편화 재료(3)의 경계가 정해진 분포 패턴(100)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파편화 재료(3)의 방향성 폭발 원뿔(12)을 유발하도록 설계된다.

Description

탄약{MUNITION}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탄약(munition)에 관한 것이며, 특히 의도된 목표물 위의 공중에서 폭발되는 탄약에 관한 것이며, 상기 탄약은,
- 폭발 물질을 포함하는 폭발물,
- 목표물에 파편화 효과를 유발시키기 위한 파편화 재료의 매트릭스,
- 기폭될 때까지 탄약의 구성부분들을 지지하고 및 결속하는 본체 부분, 및
- 주어진 시기 또는 위치에 탄약을 기폭시키기 위한 기폭장치(detonator)를 포함한다.
군사 작전 시, 의도된 목표물 위의 공중에서 폭발되고 또한 근접 기폭장치를 이용하는 유탄(grenade)을 사용하는 것이 알려져 있으며, 그리고 제2차 세계대전 이후로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단거리용 유탄 발사기(grenade launcher)로부터 발사되는 유탄, 중거리로부터 전달되는 대포용 유탄, 및 장거리용 공중 투하 폭탄(aerial bomb)과 미사일 그리고 로켓 타입의 유탄이 있다. 전형적으로, 이들은 일반적으로 일부 종류의 최신식 레이저 또는 레이더 센서가 설치된 기폭장치로 기폭되는 탄약을 포함하고 있다. 의도된 목표물 위의 공중에서 기폭되는 유탄은, 유탄 구조 및 낙하하는 유탄의 탄도 속도 때문에 파편화 재료를 주로 지상을 향해 지향시킨다.
군사 목적을 위해, 전투의 정확성을 개선시키고, 파편화 재료를 임의의 방향의 주위로 분산시키지 않고 의도된 목표물로 향하게 하려는 효과를 얻는 것이 지속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기본적으로, 탄약의 유효성이 개선되어야 하고, 시민 또는 기타 주변의 민간인 희생자의 위험이 최소화되어야 한다.
본 기술분야의 상태로부터, 집속탄(cluster bomb) 및 상기 집속탄용 소군탄(sub-munition)을 개시하고 있는 GB 2142418A호 및 GB 2142419A호가 알려져 있다. 상기 집속탄은 비행 중 터지고 그리고 전형적으로 지상의 주위로 분산되는 소군탄을 확산시키며, 잠시 후 상기 소군탄이 폭발한다. 이러한 타입의 집속탄은 폭발이 제어되지 않고, 폭발력이 도처에서 구형으로 퍼지고, 그에 따라 의도된 목표물에 집중되지 않기 때문에, 문제가 된다. 또한, 소군탄의 일부는 전형적으로 폭발되지 않거나 또는 지상에 그대로 남아 있어, 전쟁 후 민간인 희생자를 초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폭발되었을 때 파편화 재료를 전달하는 미리 결정된 방향을 가지며 또한 단지 파편의 적은 부분만 주위로 분산되는, 탄약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하나의 목적은 유탄, 공중 투하 폭탄, 로켓, 및 미사일의 캐니스터 탄약의 페이로드(payload)로서 작용하거나 또는 캐니스터 탄약의 이륙부(take off)로서 작용하는 능력이다.
본 발명은, 본체 부분이 폭발물과 마주하는 볼록한 형상의 지지 요소를 갖고, 폭발물이 본체 부분의 볼록한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파편화 재료의 매트릭스가 폭발물의 형상에 대응하는 볼록한 형상으로 배치되고, 기폭장치가 폭발물의 정점에 위치되도록, 탄약이 층상 구조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층상 구조물은 기폭되었을 때 목표 지역 위에 파편화 재료의 제한된 분포 패턴을 형성하기 위해 파편화 재료의 방향성 폭발 원뿔(explosion cone)을 유발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은, 파편화 재료의 대부분이 의도된 목표물로 지향되고 단지 소수만 파편화 재료가 소비되거나 심지어 해로운 방향으로 주위로 분산되어 소실되도록 탄약의 효율이 개선되는, 대체 전투 탄약을 제안한다. 따라서 그 캐리어를 포함한 전체 탄약의 총중량에 비해 가능 목표물을 타격하는 파편화 재료의 정미중량이 개선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탄약은 평면 방향으로 라운드형이거나, 정사각형이거나, 사각형이거나, 6각형이거나, 평행사변형이거나, 또는 대응하는 형상으로서, 그리고 상기 평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으로서 형성되며, 따라서 탄약의 폭발 원뿔 형상에 효과가 있는 부분이 돔 형상으로 형성된다. 전형적으로 탄약의 다른 부분은 탄약의 형상을 따를 수 있으며, 따라서 예를 들어 폭발물은 탄약과 동일한 향상을 가질 수 있다. 원주의 형상이 하나의 디자인 요소이기는 하지만, 그러나 선택된 탄약 캐리어에 기초하여 어떤 제한치 내로 선택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대포 발사식 유탄에 대해, 원형이 최적의 형상이며, 또한 일부 다른 캐리어 타입에서는 일부 다른 형상이 아직도 매우 유사한 효과를 생산할 수 있다. 상기 볼록한 형상은 원하는 폭발 원뿔에 따라 선택된다. 볼록한 형상은 예를 들어 구형, 포물선형, 또는 유사한 이중-곡률 표면의 세그먼트 또는 일부일 수 있다.
폭발물은 균일한 두께의 층으로서 형성되거나, 또는 불균일한 두께를 갖는 렌즈 형상으로 형성된다. 정점에서의 기폭 속도 및 기폭장치의 위치 등과 같은 폭발 물질 매개변수와 함께 폭발층의 형상 및 두께는, 폭발물 전면의 진행 기폭이 파편화 재료를 의도된 방향으로 발사하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기본적으로 탄약은 주 목표물 특성에 따라 설계되고, 파편 유닛 크기가 설계되며, 또한 의도된 폭발 고도 등이 설계된다. 목적을 위해, C-4, PENO, Semtex, 등과 같은 상표명이나 코드로 많은 적절한 폭발물이 있다.
실시예에 따라, 기폭장치는 원하는 검출 범위 또는 고도가 설정될 수 있는 범위 검출 장치를 포함한다. 이 또한 완전히 예비설정될 수 있으므로, 탄약은 검출된 목표물 또는 지상의 위에서, 예를 들어 25 미터에서 기폭되도록 일정하게 설정된다. 상기 범위 검출 장치는 전형적으로 탄약과 목표물 또는 지상 사이의 거리를 결정하기 위해 레이저 또는 레이더 장치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라, 파편화 재료의 매트릭스는 금속, 세라믹, 플라스틱, 또는 그 조합물을 포함한다. 이들은, 폭발 시의 파편 또는 파편화 재료가 별도로 포함될 수는 있지만 그러나 탄약 내측의 공간 상에 패킹되는 단일 부재를 형성하도록, 함께 결합될 수 있다. 파편화 재료의 하나의 파편 유닛의 평균 질량은 0.0001 내지 0.200 kg 이다. 하나의 파편 유닛의 설계 중량은 의도된 목표물 및 그 무장물(armouring)에 따른다. 무장물이 없거나(no-armoured) 또는 경무장 목표물에 대해, 단위 중량은 더 작을 수 있으며, 또한 예를 들어 병사 수송 군용차량의 중무장 목표물에 대해 단위 중량은 더 무겁게 선택된다. 바람직한 재료 중에서는 고밀도 및 고경도 재료가 있다.
실시예에 따라, 본체 부분은 폭발물 및 파편화 재료의 매트릭스를 둘러싸는 쉘(shell)을 형성한다. 상기 본체 부분은 섬유강화 플라스틱, 유리섬유 코팅 플라스틱, 금속 물질 등일 수 있다. 본체 부분의 주 기능은 폭발물에 정확한 형상을 제공하고, 또한 저장, 취급, 및 발사 중 임의의 열화에 대해 탄약을 보호하는 것이다. 상기 본체 부분은 제조 과정에서 본체 부분 또는 그 내측의 빈 공간으로 주조될 폭발 물질을 위한 주형으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형상과 관련된 하나의 이슈는 소비되는 공간이 없도록 탄약이 나란히 조밀하게 패킹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점이다. 따라서 본체 부분의 구성은 복수의 탄약이 함께 적층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실시예에 따라, 탄약은 공중에서의 전달 중 탄약의 이동을 안정화시키기 위해 낙하산이나 또는 에어로포일(aerofoil)과 같은 공중 안내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공중 안내 수단은 어떤 고도로 작동되거나 또는 예를 들어 캐리어의 개방으로 인해 작동되도록 능동적이거나 또는 수동적일 수 있으며, 또는 고정형 에어로포일이 미리 결정된 영입각(angle of attack) 및 가능한 경우 발사체로서 탄약의 효과를 안정화시키기 위한 회전을 유발시키도록 수동적이다.
본 발명의 탄약은 다양한 수단의 내측에서 목표 지역으로 전달될 수 있다. 유탄, 공중 투하 폭탄, 로켓, 및 미사일이 전달에 가능한 수단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탄약은 탄약을 포함하는 이륙 캐니스터로서 그리고 원격 제어 명령으로 탄약을 공중까지 발사하기 위한 이륙 장전 장치(take off charge device)로 마련되거나, 또는 선택된 자극 또는 충격에 의해 트리거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륙 장전부는 탄약을, 가능한 경우 안정 낙하산이 펴져서 비행을 안정화시키고 그 후 미리 결정된 높이에서 탄약이 기폭되어 폭발되는 공중까지 발사한다. 이 또한 낙하산 없이 작동되어, 탄약을 이륙 장전부로 발사하고, 그 후 적절한 높이 및 적절한 시간에 폭발물을 기폭시킬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탄약의 개략적인 횡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탄약의 이륙 캐니스터 적용의 개략적인 횡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3a 내지 도 3h는 아래로부터 탄약의 가능한 형상의 일부를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탄약의 가능한 전달 수단의 일부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탄약의 가능한 폭발 원뿔을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이륙 캐니스터 적용을 도시하고 있다.
도 7은 다른 이륙 캐니스터 적용을 도시하고 있다.
도 8은 폭발 원뿔 및 분포 패턴을 도시하고 있다.
도 1에는 의도된 목표물 위의 위치의 공중에서 폭발되는 탄약(1)이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탄약은,
- 폭발 물질을 포함하는 폭발물(2),
- 목표물에 파편화 효과를 유발시키기 위한 파편화 재료(3)의 매트릭스,
- 기폭될 때까지 탄약(1)의 부분들을 지지 및 보유하는 본체 부분(4), 및
- 주어진 시간 또는 위치에서 탄약(1)을 기폭시키기 위한 기폭 장치(5)를 포함하며,
상기 탄약은 층상 구조물로 형성되어, 본체 부분(4)이 폭발물(2)과 마주하는 볼록한 형상의 지지 요소(40)를 갖고, 폭발물이 본체 부분(4)의 볼록한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파편화 재료(3)의 매트릭스가 폭발물(2)의 형상에 대응하는 볼록한 형상으로 배치되고, 기폭 장치(5)가 폭발물의 정점(20)에 위치되어 있고, 상기 층상 구조물은 기폭되었을 때 목표 지역에서 파편화 재료(3)의 경계가 정해진 분포 패턴을 형성하기 위해 파편화 재료(3)의 방향성 폭발 원뿔을 유발시키도록 설계된다. 돔 각도(dome angle)(α)는 폭발 원뿔 형상을 부분적으로 결정한다. 볼록부의 정확한 형상의 설계는, 형상 및 폭발 특성이 계산되고 조합되어, 폭발 원뿔이 의도한 대로 되도록 또한 목표 지역에서 파편화 재료가 충분히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예를 들어 수학적 시뮬레이션 툴로 실시될 수 있다.
본체 부분(3)은 폭발물 및 파편화 재료의 매트릭스 주위에 쉘을 형성한다. 본체 부분은 섬유강화 플라스틱, 유리섬유 코팅 플라스틱, 금속 물질 등일 수 있으며, 따라서 재료에 대해 많은 가능성이 존재한다. 또한 본체 부분의 일 양태는 기폭장치, 가능하다면 기폭 제어 전자부품, 비행 안정 장치, 즉 공중 안내 수단과 같은 다른 장치가 함께 부착될 필요가 있고 또한 상기 본체 부분이 그 목적을 수행한다는 점이다. 그러나 본체 부분의 주 기능 중 하나는 폭발물에 정확한 형상을 제공하고, 또한 저장, 취급, 및 발사 중 임의의 열화에 대해 탄약을 보호하는 것이다. 대안적으로, 폭발물의 형상 결정을 위해 보조 부분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본체 부분은 제조 과정에서 본체 부분 또는 그 내측의 빈 공간으로 주조될 폭발 물질을 위한 주형으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형상과 관련된 한가지 논점은, 소비되는 공간이 없도록 탄약이 나란히 조밀하게 패킹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체 부분의 구성은 복수의 탄약이 함께 적층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도 2에는 도 1과 유사하지만 그러나 이륙 캐니스터 적용을 위해 삽입된 탄약을 포함하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기본 부품은 도 1과 관련하여 기재된 바와 동일하지만, 그러나 이륙 장전 장치 또는 이륙 장전 장치들(6)도 있으며, 이들 장치는 원격 제어 명령과 같은 명령으로 탄약을 공중까지 발사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선택된 자극 또는 충격에 의해 명령을 받거나 트리거된다. 기본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것은, 탄약을 원하는 높이로 발사할 수 있는, 전기적으로 점화 가능한 화약이거나 대응하는 장약(explosive charge)이다. 도 2에는 기폭 전에 착륙 과정을 안정화시키기 위해 개봉 가능한 낙하산과 같은 공중 안내 수단을 구비한 실시예도 도시되어 있다. 도 2에는 패킹 시 공중 안내 수단의 오직 하나의 가능한 대안이 도시되어 있고, 동일한 목적을 위하여 상이한 타입의 에어로포일이 사용될 수도 있으며, 또는 공중 안내 수단이 없이 탄약을 발사하고 폭발물을 기폭시키기만 할 수도 있다.
도 3a 내지 도 3g에는 탄약의 다양한 가능한 형태의 일부가 도시되어 있다. 탄약의 형상은 평면 방향으로 라운드형이거나(도 3a), 정사각형이거나(도 3d), 사각형이거나(도 3g), 6각형이거나(도 3b), 7각형이거나(도 3c), 별 형상이거나(도 3e), 타원형이거나(도 3f), 비대칭 "자유형"이거나(도 3h), 평행사변형이거나, 또는 대응하는 형상일 수 있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탄약(1)을 전달하기 위한 다양한 수단의 일부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탄약(1)은 예를 들어 로켓 및 미사일, 유탄, 또는 공중 투하 폭탄의 캐니스터 탄약의 페이로드일 수 있다. 따라서, 전달과 관련된 실시예에서, 상기 많은 탄약을 포함한다. 대포용 유탄에는 내측에 2 kg의 탄약이 10개 내지 15개 있을 수 있지만, 그러나 대형 공중 투하 폭탄에는 내측에 심지어 200 여개의 소형 탄약이나 또는 예를 들어 20 kg의 탄약이 20개 있을 수 있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탄약에 의한 작동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과정(Ⅰ)에서, 로켓포와 같은 전달 수단은 의도된 목표물 위의 위치에서 터져서, 탄약을 주위로 확산시킨다. 과정(Ⅰ)의 주위로 이 방출 또는 분산을 수행하는데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적절한 기술이 있다. 다음의 과정(Ⅱ)에서, 낙하산과 같은 공중 안내 수단(7)이 작동되거나 펼쳐져서, 이제 서로 분리되어 낙하하는 탄약의 비행을 안정화시킨다. 특히, 상기 공중 안내 수단은, 탄약이 정확한 방향으로 파편화 재료가 목표물을 향하도록, 탄약의 영입각을 교정 및 안정화시킨다. 범위 검출 장치 또는 대응의 트리거가 작동되었으며, 이는 예를 들어 레이저 빔(550)에 의해 목표물 또는 지상과의 거리를 측정한다. 과정(Ⅲ)에 있어서, 예비설정 높이에서, 예를 들어 레이저 범위 검출 장치 또는 레이더 타입의 명령으로, 빔(550) 거리가 트리거 제한치에 도달하고, 그 후 탄약이 기폭되어 폭발한다.
도 6 및 도 7에는 기본적으로 이륙 캐니스터를 이용한 기능이 도시되어 있다. 도 6에 있어서, 전기적으로 점화 가능한 화약 또는 대응하는 장약은, 탄약이 폭발되는 원하는 높이로[과정(Ⅱ)], 탄약을 발사한다[과정(Ⅰ)]. 이는 예를 들어 지연 기폭장치 또는 대응하는 장치에 의해 유발될 수 있다. 도 7에는 기폭 전 착륙 과정을 안정화시키기 위해 개방 가능한 낙하산과 같은 공중 안내 수단을 구비한 실시예도 도시되어 있다.
도 8에는 파편화 재료(3)를 폭발 원뿔(12)의 가장 내측으로 비행시키고, 그 후 지상 또는 다른 목표 지역을 타격하며, 파편화 재료의 경계가 정해진 분포 패턴(100)을 형성하는, 폭발하는 탄약(1)을 도시하고 있다. 단일의 파편이 의도된 지역 상으로 균일하게 분산되어, 경계가 정해진 분포 패턴(100)을 생성하는 것이 가장 좋다. 도 8에는 폭발 원뿔각이 약 90도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다른 방향으로 날아갈 수 있는 파편들은 폭발된 탄약(1)의 아래에 있는 특정 지역에서 목표물을 파괴하기 위한 탄약의 실제 임무에 참여하는 것으로부터 벗어나게 된다.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처럼, 본 발명 및 그 실시예는 전술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탄약은 폭발 물질을 포함하는 폭발물이다"와 같은, 특징의 존재를 나타내는 표현은 특징의 기재가 독립항이나 종속항에 제시되지 않은 그런 다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거나 전제로 하지 않도록 비제한적이다.
1: 탄약 2: 폭발물
3: 파편화 재료 4: 본체 부분
5: 기폭장치 6: 이륙 장전 장치
7: 공중 안내 수단 12: 폭발 원뿔
20: 폭발물의 정점 40: 지지 요소
55: 범위 검출 장치 100: 파편화 재료의 분포 패턴
550: 범위 검출 장치의 빔 α: 돔 각도

Claims (14)

  1. - 폭발 물질을 포함하는 폭발물(2),
    - 목표물에 파편화 효과를 유발하는 파편화 재료(3)의 매트릭스,
    - 기폭될 때까지 탄약(1)의 구성부분들을 지지하고 결속하는 본체 부분(4) 및
    - 주어진 시간 또는 위치에서 탄약을 기폭시키는 기폭장치(5)를 포함하는, 의도된 목표물 위에서 폭발되는 탄약(1)으로서,
    상기 탄약(1)은, 본체 부분(4)이 폭발물(2)과 마주하는 볼록한 형상의 지지 요소(40)를 갖고, 상기 폭발물(2)이 본체 부분(4)의 볼록한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파편화 재료(3)의 매트릭스가 폭발물(2)의 형상에 대응하는 볼록한 형상으로 배치되고, 상기 기폭장치(5)가 폭발물(2)의 정점(20)에 위치되어 있도록 형성된 층상 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층상 구조물은, 기폭되었을 때 상기 파편화 재료(3)의 방향성 폭발 원뿔(12)이 목표 지역에서 파편화 재료(3)의 경계가 정해진 분포 패턴(100)을 형성하도록 설계되어 있고,
    상기 탄약(1)은 취출 캐니스터로 마련되고, 상기 취출 캐니스터는 탄약(1)과, 미리 결정된 높이에서 탄약(1)이 기폭되어 탄약(1)이 폭발하는 공중까지 탄약(1)을 발사하는 이륙 장전 장치(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약(1)은 평면 방향으로 라운드형이거나, 정사각형이거나, 사각형이거나, 6각형이거나, 평행사변형이거나, 별 형상이거나, 또는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또한 평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는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약.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폭발물(2)은 균일한 두께의 층으로 형성되거나, 불균일한 두께를 갖는 렌즈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약.
  4. 제1항에 있어서,
    기폭의 속도 등과 같은 폭발 물질 매개변수와 함께 폭발물(2) 층의 형상 및 두께는, 기폭되었을 때 폭발물(2)의 전진하는 기폭 정면부분이 파편화 재료(3)를 의도된 방향으로 발사시키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약.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폭장치(5)는, 원하는 검출 범위 또는 고도가 설정될 수 있는 범위 검출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약.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범위 검출 장치는 탄약(1)과 목표물 또는 지상 사이의 거리를 결정하기 위해 레이저 또는 레이더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약.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편화 재료(3)의 매트릭스는 금속, 세라믹, 플라스틱 또는 이들의 조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약.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편화 재료(3)의 하나의 파편 유닛의 평균 질량은 0.0001 kg 내지 0.200 k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약.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부분(4)은 폭발물(2) 및 파편화 재료(3)의 매트릭스를 둘러싸는 쉘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약.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부분(4)은 복수의 탄약(1)이 함께 적층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약.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약(1)은 공중에서의 전달 중에 탄약(1)의 이동을 안정화시키기 위해 낙하산 또는 에어로포일과 같은 공중 안내 수단(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약.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약(1)은 이륙 캐니스터로 마련되고, 상기 이륙 캐니스터는 탄약(1)과, 안정 낙하산(7)이 펼쳐져서 비행을 안정화시키고 미리 결정된 높이에서 탄약이 폭발하는 공중까지 탄약(1)을 발사하는 이륙 장전 장치(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약.
  13. 삭제
  14. 삭제
KR1020167011453A 2013-10-02 2013-10-02 탄약 KR1020337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FI2013/050951 WO2015049411A1 (en) 2013-10-02 2013-10-02 Muni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7382A KR20160087382A (ko) 2016-07-21
KR102033772B1 true KR102033772B1 (ko) 2019-10-17

Family

ID=49886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1453A KR102033772B1 (ko) 2013-10-02 2013-10-02 탄약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001354B2 (ko)
EP (1) EP3052889B1 (ko)
JP (1) JP2016536561A (ko)
KR (1) KR102033772B1 (ko)
AU (1) AU2013402383B2 (ko)
CA (1) CA2926165C (ko)
IL (1) IL244756B (ko)
WO (1) WO201504941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78504A1 (en) * 2017-03-31 2018-10-04 Leijona Instituutti Oy Matrix of fragmentation material and a method for creating the matrix
KR102546040B1 (ko) * 2020-12-15 2023-06-20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주식회사 공중폭발탄 신관 및 이를 구비한 무기체계
RU208738U1 (ru) * 2021-04-12 2022-01-11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казенное воен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ВОЕННАЯ АКАДЕМИЯ МАТЕРИАЛЬНО-ТЕХНИЧЕСКОГО ОБЕСПЕЧЕНИЯ имени генерала армии А.В. Хрулева" Министерства обороны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Кассетный многоцелевой снаря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61649A (ja) 2009-05-07 2010-11-18 Ihi Aerospace Co Ltd 弾薬システム
US20110203475A1 (en) 2008-09-09 2011-08-25 Bae Systems Bofors Ab Explosive part with selectable initiation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72949A (en) * 1956-01-18 1961-02-28 Norman A Macleod Anti-personnel fragmentation weapon
SE341361B (ko) 1970-04-24 1971-12-20 Foerenade Fabriksverken
GB1351036A (en) 1971-09-23 1974-04-24 Foerenade Fabriksverken Explosive projectiles
DE2340652A1 (de) * 1972-08-18 1974-04-04 Fmc Corp Geschosswaffe
US3818833A (en) * 1972-08-18 1974-06-25 Fmc Corp Independent multiple head forward firing system
AU5397179A (en) 1979-01-03 1984-08-09 Commonwealth Of Australia, The Cluster bomb
FR2520862B1 (fr) 1982-02-04 1986-03-21 France Etat Mine anti-personnel a effet dirige
DE3817263C1 (de) 1988-05-20 1994-03-17 Diehl Gmbh & Co Suchzünder-Mine
DE3900442A1 (de) 1989-01-10 1990-07-12 Diehl Gmbh & Co Bomblet
DE4002409C2 (de) 1990-01-27 1998-04-16 Diehl Gmbh & Co Landmine
US6619210B1 (en) * 2002-03-25 2003-09-16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Explosively formed penetrator (EFP) and fragmenting warhead
DE102010045516B4 (de) 2010-09-15 2015-04-30 Diehl Bgt Defence Gmbh & Co. Kg Flugkörper mit ausstellbarem Splittergefechtskop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03475A1 (en) 2008-09-09 2011-08-25 Bae Systems Bofors Ab Explosive part with selectable initiation
JP2010261649A (ja) 2009-05-07 2010-11-18 Ihi Aerospace Co Ltd 弾薬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52889B1 (en) 2019-02-06
WO2015049411A1 (en) 2015-04-09
KR20160087382A (ko) 2016-07-21
US20160258729A1 (en) 2016-09-08
AU2013402383B2 (en) 2017-03-09
CA2926165A1 (en) 2015-04-09
AU2013402383A1 (en) 2016-04-28
IL244756B (en) 2019-10-31
CA2926165C (en) 2020-07-21
JP2016536561A (ja) 2016-11-24
US10001354B2 (en) 2018-06-19
IL244756A0 (en) 2016-04-21
EP3052889A1 (en) 2016-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293281C2 (ru) Снаряд для метания и способы его использования
RU2362962C1 (ru) Осколочно-пучковая надкалиберная граната "тверитянка"
RU2247922C2 (ru) Ложная цель
ES2671610T3 (es) Munición con múltiples capas de fragmentos
FI88747C (fi) Substridsdel
JP2008512642A (ja) 狭い散開角を持つ運動エネルギーロッド弾頭
RU2502039C1 (ru) Надкалиберная пучковая граната "дрезна" к ручному гранатомету
US7726244B1 (en) Mine counter measure system
KR102033772B1 (ko) 탄약
KR101541198B1 (ko) 요격 시스템용 탄두
RU2722193C1 (ru) Отделяющаяся осколочно-фугасная головная часть снаряда
AU2011233654B2 (en) Multi-point time spacing kinetic energy rod warhead and system
RU2515939C1 (ru) Кассетный боеприпас "городня"
JP7128205B2 (ja) 選択可能な迎え角を有する発射物
RU2820411C1 (ru) Боевая часть с избирательным способом поражения
RU2818743C1 (ru) Гранатометный выстрел для противодейсвия малогабаритным беспилотным летательным аппаратам
RU2812509C1 (ru) Устройство крышного сеточного экрана со встроенной динамической защитой
RU2788248C1 (ru) Способ поражения неоднородного рассредоточенного группового объекта групповым действием корректируемых реактивных снарядов
RU2257531C1 (ru) Система самообороны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рановит"
RU2740417C2 (ru) Система активной защиты бронеобъектов
RU2688654C2 (ru) Граната к ручному гранатомету
UA113654C2 (xx) Спосіб гіперзвукового захисту танка гальченко і модуль комплексу активного його захисту
WO2018178504A1 (en) Matrix of fragmentation material and a method for creating the matrix
WO2022249161A1 (en) Warhead for interceptor
RU2237231C1 (ru) Осколочно-пучковый снаряд "перу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