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3561B1 - 동력 전달 부재 - Google Patents

동력 전달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3561B1
KR102033561B1 KR1020180064611A KR20180064611A KR102033561B1 KR 102033561 B1 KR102033561 B1 KR 102033561B1 KR 1020180064611 A KR1020180064611 A KR 1020180064611A KR 20180064611 A KR20180064611 A KR 20180064611A KR 102033561 B1 KR102033561 B1 KR 1020335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per
rotor
power transmission
contact member
transmission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4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을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1800646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35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35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35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03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common housing for motor and gear box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09Electric motor acting on the steering colum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1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 F16F15/12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Abstract

본 실시예들에 의한 동력 전달 부재는, 중심부에 제 1 샤프트와 결합되는 제 1 홀이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경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가 구비되어 있는 내측로터, 중심부에 제 2 샤프트와 결합되는 제 2 홀이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돌출부와 대응되는 안착부가 구비되어 있는 외측로터, 내측로터의 외주면과 외측로터의 내주면 사이를 지지하는 댐퍼, 댐퍼와 내측로터 사이 및 댐퍼와 외측로터 사이를 밀착시키도록 댐퍼의 내부에 구비되는 밀착부재를 포함하여, 저온에서 댐퍼가 수축되어 댐퍼와 내측로터 사이 또는 댐퍼와 외측로터 사이에 발생되는 유격을 보상함으로써 댐핑성능을 만족시켜 노이즈 발생과 응답지연을 방지하고 쾌적한 조향감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동력 전달 부재{Power Transmission Member}
본 실시예들은 동력 전달 부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샤프트와 결합되는 외측로터와 제 2 샤프트와 결합되는 내측로터 사이에 구비되어 댐핑작용을 하는 댐퍼가 저온에서 수축되어 발생되는 댐퍼와 내측로터 사이 또는 댐퍼와 외측로터 사이의 유격을 보상함으로써 댐핑성능을 만족시켜 노이즈 발생과 응답지연을 방지하여 쾌적한 조향감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동력 전달 부재는 구동축과 종동축을 연결하며 회전력을 전달하는 부재로서, 구동축에 결합되는 외측로터, 종동축에 결합되는 내측로터 및 외측로터와 내측로터 사이에 구비되는 댐퍼를 포함하여, 회전력이 전달될 때 댐퍼에 의해 소음과 진동이 흡수된다.
그런데, 종래의 동력 전달 부재는 저온에서 고무재질의 댐퍼가 수축되면서 로터와 댐퍼 사이에 유격이 발생됨으로써, 동력이 전달될 때 로터와 댐퍼가 충돌하며 노이즈가 발생되고, 구동축과 종동축 사이의 응답지연 등 댐핑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종래의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는 모터의 모터축과 감속기의 웜축이 동력 전달 부재로 연결되어 모터의 동력이 조향축에 전달되는데, 저온에서 댐퍼가 수축되면서 동력 전달 부재가 댐핑성능을 만족시키지 못하여 운전자의 조향감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실시예들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저온에서 댐퍼가 수축되어 댐퍼와 내측로터 사이 또는 댐퍼와 외측로터 사이에 발생되는 유격을 보상함으로써 댐핑성능을 만족시켜 노이즈 발생과 응답지연을 방지하고 쾌적한 조향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실시예들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중심부에 제 1 샤프트와 결합되는 제 1 홀이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경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가 구비되어 있는 내측로터, 중심부에 제 2 샤프트와 결합되는 제 2 홀이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돌출부와 대응되는 안착부가 구비되어 있는 외측로터, 내측로터의 외주면과 외측로터의 내주면 사이를 지지하는 댐퍼, 댐퍼와 내측로터 사이 및 댐퍼와 외측로터 사이를 밀착시키도록 댐퍼의 내부에 구비되는 밀착부재를 포함하는 동력 전달 부재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중심부에 제 1 샤프트와 결합되는 제 1 홀이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경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가 구비되어 있는 내측로터, 중심부에 제 2 샤프트와 결합되는 제 2 홀이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경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기부가 구비되어 있는 외측로터, 내측로터의 외주면과 외측로터의 내주면 사이를 지지하는 댐퍼, 댐퍼와 내측로터 사이 및 댐퍼와 외측로터 사이를 밀착시키도록 댐퍼의 내부에 구비되되 제 1 홀과 동축을 이루는 중공형상으로 형성되는 밀착부재를 포함하는 동력 전달 부재가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저온에서 댐퍼가 수축되어 댐퍼와 내측로터 사이 또는 댐퍼와 외측로터 사이에 발생되는 유격을 보상함으로써 댐핑성능을 만족시켜 노이즈 발생과 응답지연을 방지하고 쾌적한 조향감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들에 의한 동력 전달 부재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일부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결합상태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들에 의한 동력 전달 부재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결합상태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일부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실시예들에 의한 동력 전달 부재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결합상태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실시예들에 의한 동력 전달 부재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일부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1 내지 도 12는 도 10의 결합상태에 대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실시예들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실시예들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실시예들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실시예들에 의한 동력 전달 부재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일부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의 결합상태에 대한 단면도, 도 4는 본 실시예들에 의한 동력 전달 부재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4의 결합상태에 대한 단면도, 도 6은 도 1의 일부에 대한 사시도, 도 7은 본 실시예들에 의한 동력 전달 부재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8은 도 7의 결합상태에 대한 단면도, 도 9는 본 실시예들에 의한 동력 전달 부재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10은 도 9의 일부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11 내지 도 12는 도 10의 결합상태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본 실시예들에 따른 동력 전달 부재(103)는, 중심부에 제 1 샤프트(121)와 결합되는 제 1 홀(122)이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경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212)가 구비되어 있는 내측로터(114), 중심부에 제 2 샤프트(124)와 결합되는 제 2 홀(123)이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돌출부(212)와 대응되는 안착부(211)가 구비되어 있는 외측로터(111), 내측로터(114)의 외주면과 외측로터(111)의 내주면 사이를 지지하는 댐퍼(113), 댐퍼(113)와 내측로터(114) 사이 및 댐퍼(113)와 외측로터(111) 사이를 밀착시키도록 댐퍼(113)의 내부에 구비되는 밀착부재(11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들에 의한 동력 전달 부재(103)는 제 1 샤프트(121)와 제 2 샤프트(124) 사이에 연결되는데, 본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제 1 샤프트(121)는 모터(101)에 연결되는 모터축(131)이고 제 2 샤프트(124)는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100)의 감속기(102)에 구비되어 웜휠(미도시)과 맞물리는 웜축(132)인 경우를 일례로 설명하기로 한다.
동력 전달 부재(103)는 제 1 샤프트(121)와 연결되는 외측로터(111), 웜축(132)과 연결되는 내측로터(114) 및 외측로터(111)와 내측로터(114) 사이를 지지하는 댐퍼(113)를 포함하여 제 1 샤프트(121)과 제 2 샤프트(124)를 연결하며 댐핑작용을 하게 된다.
내측로터(114)에는 중심부에 제 2 샤프트(124)과 결합되는 제 2 홀(123)이 형성되는데, 제 2 샤프트(124)의 외주면과 제 2 홀(123)의 내주면에는 축방향의 세레이션이 형성되어 헛도는 것을 방지한다.
외측로터(111)에는 중심부에 제 1 샤프트(121)과 결합되는 제 1 홀(122)이 형성되는데, 제 1 샤프트(121)의 외주면과 제 1 홀(122)의 내주면에는 축방향의 세레이션이 형성되어 헛도는 것을 방지한다.
댐퍼(113)는 소음과 진동을 흡수하는 댐핑작용을 하기 위해 내후성과 신축성을 구비하도록 NR(Natural Rubber), NBR(Nitrile Butadiene Rubber), CR(Chloroprene Rubber), EPDM(Ethylene Propylene Terpolymer), FPM(Fluoro Elastomer), SBR(Styrene Butadine Rubber), CSM(Chlorosulphonated Polyethylene), 실리콘, 우레탄 등과 같은 탄성 재질로 형성되어 사출성형되게 된다.
이 때, 저온에서 댐퍼(113)가 수축되며 내측로터(114) 또는 외측로터(111)와 댐퍼(113) 사이에 발생되는 유격에 의해 댐핑성능이 저하될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밀착부재(112)가 댐퍼(113) 내부에 구비되어 댐퍼(113)와 내측로터(114) 사이 및 댐퍼(113)와 외측로터(111) 사이가 밀착됨으로써, 제 1 샤프트(121)와 제 2 샤프트(124) 사이에서 동력이 전달되며 회전방향이 바뀌거나 정지상태에서 회전되는 경우 및 제 1 샤프트(121) 또는 제 2 샤프트(124)의 유동이 발생되는 경우에 댐퍼(113)와 내측로터(114) 또는 외측로터(111)가 충돌하며 발생되는 노이즈가 방지되며, 제 1 샤프트(121)와 제 2 샤프트(124)가 헛돌지 않고 맞물림으로써 유격이 발생된 만큼 회전하고 나서야 동력이 전달되는 응답지연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이러한 밀착부재(112)는 댐퍼(113)의 재질보다 열에 의한 신축성이 작은 재질로 형성될 것이 요구되며 소정의 강성이 구비되어야 하므로, POM(Polyacetal), PA(Polyamide), PC(Polycarbonate), PI(Polyimide), PBT(Polybutylene Terephthalate) 등과 같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계열 재질 등으로 형성되거나, 스틸 등과 같은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내측로터(114)의 외주면에는 경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212)가 구비되며, 외측로터(111)의 내주면에는 돌출부(212)와 대응되는 안착부(211)가 구비된다. 즉, 돌출부(212)와 안착부(211)가 댐퍼(113)를 사이에 두고 원주방향으로 지지됨으로써 내측로터(114)와 외측로터(111)가 헛도는 것이 방지되며 소음 및 진동이 댐퍼(113)에 의해 흡수된다.
돌출부(212)는 원주방향으로 이격되며 둘 이상 구비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원주방향 등간격으로 배치되며 안착부(211)도 돌출부(212)와 대응되도록 원주방향 등간격으로 둘 이상 구비됨으로써, 내측로터(114)와 외측로터(111)가 회전축으로부터 이심되지 않게 된다.
또한, 돌출부(212)와 안착부(211)가 횡단면이 좌우대칭이 되도록 형성됨으로써, 밀착부재(112)에 의해 댐퍼(113)가 내측로터(114) 및 외측로터(111)에 균일하게 밀착될 수 있다.
이 때, 밀착부재(112)는 댐퍼(113)의 내주면과 외주면 사이에서 내측면이 돌출부(212)를 향하고 외측면이 안착부(211)를 향하도록 구비되어, 유격이 발생될 때 댐퍼(113)가 경방향 내측 또는 외측으로 밀착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의하면, 밀착부재(112)는 판형상으로 형성되되, 돌출부(212)를 향하는 내측면쪽이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되거나, 혹은 안착부(211)를 향하는 외측면쪽이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되어, 저온에서 댐퍼(113)가 수축될 때 볼록한 곡면이 펴지도록 가압되며 댐퍼(113)가 내측로터(114) 및 외측로터(111) 측으로 밀착되도록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밀착부재(112)는 횡단면 상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양측 단부가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는데, 이 경우 횡단면이 대칭되게 형성된 밀착부재(112)가 안착부(211)와 돌출부(212)의 폭방향 중심에 배치됨으로써 내측로터(114) 및 외측로터(111)에 가해지는 밀착부재(112)의 복원력이 상쇄되어 내측로터(114) 및 외측로터(111)가 회전축으로부터 이심되지 않게 된다.
또한, 밀착부재(112)의 양측 단부 사이의 폭방향 길이가 돌출부(212)의 양측 폭방향 길이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는데, 이 경우 돌출부(212)의 폭방향 양측과 안착부(211) 사이에 밀착부재(112)가 구비되어 경방향 유격뿐만 아니라 원주방향 유격이 보상될 수 있다.
이러한 밀착부재(112)는 횡단면 상에서 동일한 곡률반경을 가지는 원호형상으로 형성되거나, 혹은 중심부에서 양측 단부쪽으로 갈수록 곡률반경이 점진적으로 커지도록 형성되는 등 아크형상으로 형성되어, 댐퍼(113)가 수축될 때 횡단면 상의 양측단 및 중심부가 가압되며 복원력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밀착부재(112)는 횡단면 상의 중심부의 두께(W1)이 양측단의 두께(W2)보다 두껍도록 양측단에서 중심부로 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게 형성됨으로써, 댐퍼(113)의 수축에 의해 가압될 때 밀착부재(112)의 변형이 작아져 댐퍼(113)와 내측로터(114) 및 외측로터(111) 사이에 유격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밀착부재(710)는 판형상으로 형성되되, 횡단면 상의 양측단이 각각 두 갈래 이상으로 분기되어 형성되는 연장부(711)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연장부(711)가 분기되어 경방향의 간격이 존재함으로써 댐퍼(113)가 수축될 때 연장부(711)가 분기된 간격이 좁아지도록 가압되며 경방향 내측 및 외측으로의 복원력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연장부(711)가 횡단면 상의 양측단쪽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벌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댐퍼(113)가 수축될 때 연장부(711)가 서로 맞닿지 않도록 연장부(711)의 가동범위가 확대될 수 있다.
또한, 연장부(711)는 횡단면 상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양측이 대칭되는 위치에 구비되고 밀착부재(710)가 돌출부(212)와 안착부(211)의 폭방향 중심에 위치하여 내측로터(114) 및 외측로터(111)에 가해지는 밀착부재(710)의 복원력이 상쇄되어 내측로터(114) 및 외측로터(111)가 회전축으로부터 이심되지 않게 되며, 횡단면 상의 양측 끝단이 돌출부(212)의 폭방향 양측 끝단보다 더 돌출되게 형성되어 경방향 유격뿐만 아니라 원주방향 유격도 보상될 수 있다.
또한, 연장부(711)는 횡단면 상의 양측 끝단의 두께가 중심부쪽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두꺼워지게 형성됨으로써, 댐퍼(113)의 수축에 의해 가압될 때 밀착부재(710)의 변형이 작아져 댐퍼(113)와 내측로터(114) 및 외측로터(111) 사이에 유격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한편, 댐퍼(113)는 내측로터(114) 또는 외측로터(111)에 사출성형되어 결합되는데, 밀착부재(112,710)는 댐퍼(113)가 사출성형 되기 전에 내측로터(114)의 외측 또는 외측로터(111)의 내측 등에 배치되고 댐퍼(113)가 사출성형되는 방식에 의해 댐퍼(113)의 내부에 구비되게 된다.
즉, 동력 전달 부재(103)는, 내측로터(114)의 외측에 밀착부재(112,710)가 배치되고 댐퍼(113)가 사출성형된 후 외측로터(111)의 내측에 결합되거나, 외측로터(111)의 내측에 밀착부재(112,710)가 배치되고 댐퍼(113)가 사출성형된 후 내측로터(114)가 밀착부재(112,710)의 내주면에 결합되거나, 혹은 댐퍼(113)가 밀착부재(112,710)의 외측에 사출성형된 후 내측로터(114)와 외측로터(111) 사이에 결합되는 방법 등에 의해 조립될 수 있다.
이 때, 밀착부재(112,710)는 변형된 채 댐퍼(113) 내부에 구비될 수 있는데, 다시 말해 댐퍼(113)의 수축이 일어나지 않은 상태에서도 댐퍼(113)가 내측로터(114) 또는 외측로터(111) 측으로 밀착되도록 조립될 수 있다.
즉, 일측면이 볼록한 곡면인 판형상의 밀착부재(112)는 폭방향 양측단이 경방향 내측 또는 외측으로 가압된 상태에서, 폭방향의 연장부(711)가 구비되는 판형상의 밀착부재(710)는 연장부(711)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가압된 상태에서 댐퍼(113)의 내부에 구비됨으로써, 댐퍼(113)가 내측로터(114) 또는 외측로터(111) 측으로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9 내지 도 12를 참고하여 살펴보면, 본 실시예들에 의한 동력 전달 부재(103)은, 중심부에 제 1 샤프트(121)와 결합되는 제 1 홀(122)이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경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212)가 구비되어 있는 내측로터(114), 중심부에 제 2 샤프트(124)와 결합되는 제 2 홀(123)이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경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기부(921)가 구비되어 있는 외측로터(911), 내측로터(114)의 외주면과 외측로터(911)의 내주면 사이를 지지하는 댐퍼(913), 댐퍼(913)와 내측로터(114) 사이 및 댐퍼(913)와 외측로터(911) 사이를 밀착시키도록 댐퍼(913)의 내부에 구비되되, 제 1 홀(123)과 동축을 이루는 중공형상으로 형성되는 밀착부재(912)를 포함할 수 있다.
댐퍼(923)는 소음과 진동을 흡수하는 댐핑작용을 하며 밀착부재(912)는 댐퍼(923)보다 열에 의한 신축성이 작고 소정의 강성을 지녀야 하므로, 각각 전술한 바와 같은 NR(Natural Rubber) 등의 탄성재질로 형성되거나, POM(Polyacetal) 등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계열 재질 또는 스틸 등의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외측로터(911)에는 내주면에 돌기부(921)가 형성되며 댐퍼(913)에는 외주면에 돌기부(921)가 삽입되어 원주방향으로 지지되도록 지지홈(923)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중공형상의 밀착부재(912)가 댐퍼(913) 내부에 구비될 수 있도록, 돌출부(212)와 돌기부(921) 사이에 경방향의 간격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돌기부(921)는 원주방향으로 이격되어 둘 이상 구비되며 등간격으로 구비될 수 있는데, 지지홈(923)도 돌기부(921)와 대응되는 측에 둘 이상 구비됨으로써 댐퍼(913)과 외측로터(911)가 회전축으로부터 이심되지 않게 된다.
이 때, 댐퍼(913)에는 중공형상으로 형성된 밀착부재(912)가 구비될 수 있는데, 밀착부재(912)는 제 1 홀(122)와 동축을 이루도록 배치됨으로써 댐퍼(913)과 내측로터(114) 및 외측로터(911) 사이의 유격을 균일하게 보상하며 밀착부재(912)가 내측로터(114) 및 외측로터(911)에 가하는 복원력이 상쇄되어 측로터(114) 및 외측로터(911)가 회전축으로부터 이심되지 않게 된다. 또한, 밀착부재(912)가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가공과 조립이 쉬워진다.
그리고, 밀착부재(912)는 중심부에서 축방향의 양측 끝단으로 갈수록 반경이 점진적으로 커지게 형성될 수 있는데, 댐퍼(913)가 수축될 때 밀착부재(912)의 양측단이 경방향 내측으로 가압되거나 중심부가 경방향 외측으로 가압되면서 복원력이 제공되어, 댐퍼(913)가 내측로터(114) 및 외측로터(911) 측으로 밀착되게 된다.
또한, 밀착부재(912)는 두께가 양측 끝단에서 중심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두꺼워지도록 형성됨으로써, 댐퍼(913)의 수축에 의해 밀착부재(912)가 가압될 때 밀착부재(912)의 변형이 작아져 댐퍼(913)와 내측로터(114) 및 외측로터(911) 사이의 유격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한편, 마찬가지로, 중공형상의 밀착부재(912)는 댐퍼(913)가 사출성형되기 전에 내측로터(114)의 외측 또는 외측로터(911)의 내측에 배치되고, 댐퍼(913)가 사출성형된 후 내측로터(114), 외측로터(911)및 댐퍼(913)가 결합되는 방식에 의해 댐퍼(913) 내부에 밀착부재(912)가 구비되며 동력 전달 부재(103)가 조립될 수 있다.
이 때, 중공형상으로 형성되는 밀착부재(912)는 축방향 양측 끝단이 경방향 내측으로 또는 중심부가 경방향 외측으로 가압된 상태에서 댐퍼(913)의 내부에 구비됨으로써, 댐퍼(913)가 내측로터(114) 또는 외측로터(911) 측으로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형상을 갖는 동력 전달 부재에 의하면, 내측로터와 외측로터 사이에서 댐핑작용을 하도록 고무재질로 형성되는 댐퍼의 내부에 고무재질보다 열에 의한 신축성이 작으며 소정의 강성을 가진 플라스틱 또는 금속재질의 밀착부재가 구비됨으로써, 저온에서 댐퍼가 수축될 때 밀착부재는 댐퍼보다 수축되는 정도가 작아 댐퍼에 의해 가압되므로, 밀착부재가 제공하는 복원력에 의해 댐퍼가 원주방향 및 경방향으로 지지되어 댐퍼와 내측로터 사이 또는 댐퍼와 외측로터 사이에 발생되는 유격이 보상된다.
댐퍼와 내측로터 사이 및 댐퍼와 외측로터 사이의 유격이 보상됨으로써, 내측로터 또는 외측로터가 댐퍼에 원주방향 및 경방향으로 밀착되어 제 1 샤프트와 제 2 샤프트 사이에서 동력이 전달되며 회전방향이 바뀌거나 정지상태에서 회전되는 경우 및 제 1 샤프트 또는 제 2 샤프트의 유동이 발생되는 경우에 댐퍼와 내측로터 또는 외측로터가 충돌하며 발생되는 노이즈가 방지되며, 제 1 샤프트와 제 2 샤프트가 헛돌지 않고 맞물림으로써 유격이 발생된 만큼 회전하고 나서야 동력이 전달되는 응답지연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 본 실시예들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실시예들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실시예들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실시예들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들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들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들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들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들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들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3: 동력 전달 부재 111,911: 외측로터
112,710,912: 밀착부재 113,913: 댐퍼
114: 내측로터 121: 제 1 샤프트
122: 제 1 홀 123: 제 2 홀
124: 제 2 샤프트 131: 모터축
132: 웜축 211: 안착부
212: 돌출부 711: 연장부
921: 돌기부 923: 지지홈

Claims (19)

  1. 중심부에 제 1 샤프트와 결합되는 제 1 홀이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경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가 구비되어 있는 내측로터;
    중심부에 제 2 샤프트와 결합되는 제 2 홀이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상기 돌출부와 대응되는 안착부가 구비되어 있는 외측로터;
    상기 내측로터의 외주면과 상기 외측로터의 내주면 사이를 지지하는 댐퍼;
    상기 댐퍼와 내측로터 사이 및 상기 댐퍼와 외측로터 사이를 밀착시키도록 상기 댐퍼의 내부에 구비되는 밀착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돌출부는 원주방향으로 이격되며 둘 이상 구비되고,
    상기 밀착부재는 상기 돌출부의 끝단과 대향되는 위치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밀착부재의 원주방향 폭은 상기 돌출부의 원주방향 폭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전달 부재.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재는 판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돌출부를 향하는 내측면쪽이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되거나, 상기 안착부를 향하는 외측면쪽이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전달 부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재는 횡단면 상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양측 단부가 대칭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전달 부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재는 상기 횡단면 상의 곡률이 동일한 곡률반경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전달 부재.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재는 상기 횡단면 상의 중심부에서 양측 단부쪽으로 갈수록 곡률반경이 점진적으로 커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전달 부재.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재는 상기 횡단면이 아크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전달 부재.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재는 상기 횡단면 상의 양측단에서 중심부로 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전달 부재.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재는 판형상으로 형성되되, 횡단면 상의 양측단이 각각 두 갈래 이상으로 분기되어 형성되는 연장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전달 부재.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횡단면 상의 양측단쪽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벌어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전달 부재.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횡단면 상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양측이 대칭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전달 부재.
  13. 삭제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횡단면 상의 양측 끝단의 두께가 중심부쪽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두꺼워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전달 부재.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KR1020180064611A 2018-06-05 2018-06-05 동력 전달 부재 KR1020335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4611A KR102033561B1 (ko) 2018-06-05 2018-06-05 동력 전달 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4611A KR102033561B1 (ko) 2018-06-05 2018-06-05 동력 전달 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3561B1 true KR102033561B1 (ko) 2019-10-17

Family

ID=68424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4611A KR102033561B1 (ko) 2018-06-05 2018-06-05 동력 전달 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356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40315A (ja) * 2005-07-29 2007-02-15 Nsk Ltd 動力伝達機構とこれを組み込んだ電動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KR20160087004A (ko) * 2015-01-12 2016-07-21 주식회사 만도 자동차의 감속기
KR20170041983A (ko) * 2015-10-08 2017-04-18 주식회사 만도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동력 전달 부재
KR101818275B1 (ko) * 2013-11-25 2018-01-12 주식회사 만도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40315A (ja) * 2005-07-29 2007-02-15 Nsk Ltd 動力伝達機構とこれを組み込んだ電動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KR101818275B1 (ko) * 2013-11-25 2018-01-12 주식회사 만도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KR20160087004A (ko) * 2015-01-12 2016-07-21 주식회사 만도 자동차의 감속기
KR20170041983A (ko) * 2015-10-08 2017-04-18 주식회사 만도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동력 전달 부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31744B2 (en) Speed reducer for vehicle
CN105782350B (zh) 汽车减速器
US20080237955A1 (en) Spring seat and damper disk assembly
KR102582282B1 (ko) 조향장치의 동력 전달부재
KR20170012130A (ko) 진동 댐핑 장치
JP2015024727A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KR101591099B1 (ko) 전동식 파워스티어링의 댐퍼
CN107636345B (zh) 用于传动系的减振器
EP2796748B2 (en) Damper device
CN110871835B (zh) 转向系统的动力传动装置
JP2004183780A (ja) ブッシュ軸受
KR102033561B1 (ko) 동력 전달 부재
KR20200021345A (ko) 조향장치의 동력 전달부재
WO2006057031A1 (ja) ジョイントブーツ
KR101818275B1 (ko)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KR101793819B1 (ko) 자동차 조향장치의 랙부시
KR102146410B1 (ko)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웜 샤프트와 모터 샤프트의 결합구조
KR20170080160A (ko) 댐핑 기어휠 구조체
KR102173415B1 (ko) 차량용 조향장치의 랙부시
KR102369863B1 (ko) 전동식 조향장치의 댐핑커플러
JP2018176756A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H1047365A (ja) 可撓軸継手
JP7178797B2 (ja) ステアリング装置
JP2017227222A (ja) ダンパ装置
KR20170139886A (ko) 자동차 조향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