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3287B1 - 승강 가능한 바구니 - Google Patents

승강 가능한 바구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3287B1
KR102033287B1 KR1020190077431A KR20190077431A KR102033287B1 KR 102033287 B1 KR102033287 B1 KR 102033287B1 KR 1020190077431 A KR1020190077431 A KR 1020190077431A KR 20190077431 A KR20190077431 A KR 20190077431A KR 102033287 B1 KR102033287 B1 KR 1020332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ket
guide
guide grooves
sides
tilting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74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윤수
Original Assignee
김윤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윤수 filed Critical 김윤수
Priority to KR10201900774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32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32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32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95/00Laundry systems or arrangements of apparatus or machines; Mobile laundries 
    • D06F95/002Baskets or bags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or transporting laundry; Suppor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강 가능한 바구니에 있어서 복잡한 구성의 록킹부 및 록킹 해제를 위한 조작부를 배제하고 승강 안내수단이 바구니 상승 상태의 고정기능까지 갖도록 하여 구성 및 조립이 획기적으로 간단해지고 제조원가를 절감토록 하는 승강 가능한 바구니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가 하방으로부터 상향하여 점차 넓어지는 상광하협형 바구니, 기저부 및 상기 기저부의 양측에 기울기 변화가 가능하게 일체 또는 별개로 형성되고 상기 바구니 양측이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는 틸팅측벽을 포함하는 지지대 및 상기 틸팅측벽에 대한 바구니의 승강 안내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승강 안내수단으로, 상기 양측의 틸팅측벽에는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가이드홈이 수평방향으로 임의의 간격을 두고 대향 형성되고, 상기 바구니에는 상기 제1가이드홈에 대응하여 가이드 돌기가 쌍을 이루어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부를 구비하되, 상기 쌍을 이루는 두 가이드 돌기는 수직방향으로 임의의 간격을 두고 위치되며, 상기 틸팅측벽에서 제1가이드홈의 상부에는 한 쌍의 라인으로 되는 제2가이드홈과 가이드부 지지단이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제2가이드홈은 상기 쌍을 이루는 두 가이드 돌기 사이의 대각선 길이에 대응하는 간격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승강 가능한 바구니{LIFTABLE BASKET}
본 발명은 승강 가능한 바구니에 있어서 복잡한 구성의 록킹부 및 록킹 해제를 위한 조작부를 배제하고 승강 안내수단이 바구니 상승 상태의 고정기능까지 갖도록 하여 구성 및 조립이 획기적으로 간단해지고 제조원가를 절감토록 하는 승강 가능한 바구니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바구니에 담긴 세탁물을 건조대에 널기 위하여는 허리를 굽혔다 펴기를 반복해야 하는 불편함이 따르고, 특히 노약자나 허리가 약한 여성들에게는 허리에 무리를 주는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하여 바구니에 높낮이 조절기능을 부여한 기술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065219호(2014. 05. 29. 공개) 등의 기술이 개시되어 있으나, 바구니 및 완성 조립품의 전후좌우면이 수직하는 사각형태로 형성됨으로써 끼워넣기식 중첩적재가 불가능하여 공간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등의 문제로 실용화되지 못하고 있다.
본 출원인은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대안으로 특허등록 제1855644호(2018.05.04 공고, 이하 '선행기술'이라 함) 등을 개시한 바 있다.
상기 선행기술(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첩적재가 가능한 상광하협형 바구니(110)가 승강 가능하도록 지지대(130)가 기저부(130a) 및 상기 기저부(130a)의 양측에 기울기 변화가 가능하게 형성되는 틸팅측벽(130b)(130c)을 포함하여 된다.
그리고, 바구니의 상승상태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틸팅측벽(130b)(130c)과 바구니(110) 중 어느 한쪽에는 랙기어(141)가 형성되고, 나머지 한쪽에는 상기 랙기어(141)에 대하여 구속/해제가 가능한 록킹부의 폴(151)을 구비하는 록킹부 및 록킹부의 상승상태 고정을 해제하기 위한 조작부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틸팅측벽(130b)(130c)에 대한 바구니의 승강 안내수단으로 틸팅측벽(130b)(130c)에는 가이드홈(133), 바구니에는 상기 가이드홈(133)에 끼움 가능한 가이드(153)가 구비된다.
또한, 하강시의 바구니를 거치하기 위한 받침판(37)이 별도로 구비된다.
상기 상광하협형 바구니(110)는 양 측면(111a)111b) 간의 간격이 상부에서 하방으로 향할수록 좁아지기 때문에 이를 지지하는 지지대의 양 측벽 사이도 바구니의 승강 변화에 따라 벌어지거나 좁혀지는 기울기 변화가 따르게 된다.
따라서, 선행기술은 측벽이 기저부에 대하여 기울기 변화가 가능한 틸팅측벽(130b)(130c)으로 구성됨으로써 상광하협 바구니(110)의 승강 변화에 따라 상부가 벌어지거나 좁혀지며 바구니의 승강을 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선행기술(100)은 지지대(130)에 상기 틸팅측벽(130b)(130c)이 구비됨으로써 상광하협형 바구니가 승강 가능하여 제품의 끼워넣기식 중첩적재가 가능한 장점을 갖는다.
하지만, 선행기술은 바구니의 상승 상태 고정을 위하여 랙기어(141), 폴(151) 등의 여러 부품으로 이루어지는 록킹부와 록킹상태 해제를 위한 조작부가 수반됨으로써 부품수가 많아 바구니의 구성 및 조립이 복잡하고 고장 염려가 있으며 제조원가를 상승시키는 단점이 있다.
공개특허 KR 10-2014-0065219(2014.05.29) 등록특허 KR 10-1855644(2018.05.04) 등록특허 KR 10-1986480(2019.05.30)
본 발명은 상기 선행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잡한 구성의 록킹부 및 록킹 해제를 위한 조작부를 배제하고 승강 안내수단이 바구니 상승 상태의 고정기능까지 갖도록 하여 부품수를 줄이며 구성 및 조립이 획기적으로 간단하여 제조원가를 절감토록 하는 승강 가능한 바구니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바구니가 상승상태에서 비스듬히 기울게 고정되도록 하여 바구니에 담겨지는 물체의 인출 또는 투입이 보다 용이하여 편의성을 향상토록 하는 승강 가능한 바구니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장 염려가 없으며, 제품의 중량을 줄여 자재 절감 및 제품의 경량화를 구현하고 취급관리를 용이토록 하는 승강 가능한 바구니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 가능한 바구니는,
내부가 하방으로부터 상향하여 점차 넓어지는 상광하협형 바구니;
기저부 및 상기 기저부의 양측에 기울기 변화가 가능하게 일체 또는 별개로 형성되고 상기 바구니 양측이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는 틸팅측벽을 포함하는 지지대; 및
상기 틸팅측벽에 대한 바구니의 승강 안내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승강 안내수단으로,
상기 양측의 틸팅측벽에는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가이드홈이 수평방향으로 임의의 간격을 두고 대향 형성되고,
상기 바구니 양측에는 상기 제1가이드홈에 대응하여 가이드 돌기가 쌍을 이루어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부를 구비하되, 상기 쌍을 이루는 두 가이드 돌기는 수직방향으로 임의의 간격을 두고 위치되며,
상기 틸팅측벽에서 제1가이드홈의 상부에는 한 쌍의 라인으로 되는 제2가이드홈과 가이드부 지지단이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제2가이드홈은 상기 쌍을 이루는 두 가이드 돌기 사이의 대각선 길이에 대응하는 간격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부는 쌍을 이루는 두 가이드 돌기를 잇는 대각선 중간 지점에 돌출 형성되는 중심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틸팅측벽에는 상기 중심축을 안내하기 위한 중심축 가이드홈이 구비되고,
상기 중심축 가이드홈의 상단에는 중심축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멈춤단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는 두 가이드 돌기를 잇는 대각선이 X 형태를 이루도록 두 쌍의 가이드 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는 바구니의 하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는 바구니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바구니와 별개로 형성되는 가이드 몸체에 형성되어 바구니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돌기와 중심축 중 어느 한 가지 이상은 롤러 형태로 될 수 있다.
상기 틸팅측벽에서 상부로부터 하방으로 형성되는 제2가이드홈, 제1가이드홈의 폭은 상부로부터 하향하면서 치수가 점차 커질 수 있다.
상기 기저부 또는 틸팅측벽의 하방에는 상기 바구니를 받혀주기 위한 바구니 지지단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대의 기저부는 바닥판의 양측에 고정측벽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측벽에 대하여 상기 틸팅측벽이 기울기 변화가 가능하게 일체 또는 별개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측벽과 틸팅측벽 사이에는 틸팅측벽을 바구니쪽으로 당겨주기 위한 긴장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성을 지닌 본 발명의 승강 가능한 바구니에 따르면,
바구니가 승강 가능하여 취급시 사용자가 허리를 굽히지 않아도 되는 편의성을 향상시킴에 있어서, 승강 안내수단이 바구니의 승강 안내뿐만 아니라 바구니 상승 상태의 고정기능을 갖게 됨으로써 선행기술에 수반되었던 복잡한 구성의 록킹부 및 록킹 해제를 위한 조작부가 불필요하게 되어 부품수를 줄이며 구성 및 조립이 획기적으로 간단해져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또한, 바구니가 상승상태에서 비스듬히 기울게 고정됨으로써 바구니에 담겨지는 물체의 인출 또는 투입이 보다 용이하여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록킹부 및 조작부가 배제됨으로써 고장 염려가 없으며, 제품의 중량을 줄여 자재 절감 및 제품의 경량화를 구현하고 취급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선행기술의 구성을 보이는 일부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구성을 보이는 일부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틸팅측벽의 구성을 보이는 도면으로,
a는 일부 생략 절개도
b는 a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부의 구성을 보이는 도면으로,
a는 일 실시예의 가이드부 사시도
b는 a의 정면도
c는 다른 일 실시예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바구니의 구성을 보이는 도면으로,
a는 일 실시예의 바구니 일부 생략 측면도
b는 a의 C-C선 일부 생략 단면도
도 6은 도 3의 b 틸팅측벽과 도 5의 b 바구니의 결합상태도
도 7은 도 2의 결합상태 일부 생략 종단면도로서,
a는 바구니 하강상태도
b는 바구니 상승 진행 상태도
도 8은 도 2의 결합상태 일부 절개 측면도로 바구니 하강상태도
도 9는 도 8의 가변상태 일부 생략도로서,
a는 바구니의 상승 진행상태도
b는 바구니의 상승 후 고정상태도
도 10은 도 3의 B-B선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승강 가능한 바구니에 대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승강 가능한 바구니(1)는 도 2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하방으로부터 상향하여 점차 넓어지는 상광하협형 바구니(10), 기저부(30a) 및 상기 기저부(30a)의 양측에 기울기 변화가 가능하게 일체 또는 별개로 형성되고 상기 바구니 양측이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는 틸팅측벽(30b)(30c)을 포함하는 지지대(30) 및 상기 틸팅측벽에 대한 바구니의 승강 안내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승강 안내수단으로,
상기 양측의 틸팅측벽(30b)(30c)에는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가이드홈(33a)(33b)이 수평방향으로 임의의 간격(A1)을 두고 대향 형성되고(도 3 참조), 상기 바구니(10) 양측에는 상기 제1가이드홈(33a)(33b)에 대응하여 가이드 돌기(53a)(53b)가 쌍을 이루어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부(50)를 구비하되, 상기 쌍을 이루는 두 가이드 돌기(53a)(53b)는 수직방향으로 임의의 간격(H1)을 두고 위치되며(도 4 참조),
상기 틸팅측벽(30b)(30c)에서 제1가이드홈(33a)(33b)의 상부에는 한 쌍의 라인으로 되는 제2가이드홈(34a)(34b)과 가이드부 지지단(34c)이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제2가이드홈(34a)(34b)은 상기 쌍을 이루는 두 가이드 돌기(53a)(53b) 사이의 대각선 길이(B2)에 대응하는 간격(A2)을 갖는 것이다(도 3, 4 참조).
상기 틸팅측벽(30b)(30c)에 형성되는 제1가이드홈(33a)(33b)은 바구니가 승강하는 구간에 걸쳐 형성되고, 제2가이드홈(34a)(34b)은 바구니가 상승 이후 고정되는 구간에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부 지지단(34c)은 제1가이드홈(33a)(33b)에서 제2가이드홈(34a)(34b)으로 연결되는 단계에 형성된다(도 2, 3, 7 내지 도 10 참조).
상기 제2가이드홈(34a)(34b) 사이의 간격(A2)이 두 가이드 돌기(53a)(53b)를 대각선으로 잇는 치수(B2) 대응하여 형성됨은 바구니 및 가이드부(50)가 제1가이드홈(33a)(33b) 구간을 벗어나기까지 상승 후 두 가이드 돌기(53a)(53b)를 있는 대각선이 수평상태를 이루도록 비스듬히 기운 상태로 상기 가이드부 지지단(34c)에 얹혀 고정되기 위함이다.
상기 가이드부(50)는 한 쌍의 가이드 돌기(53a)(53b)를 잇는 대각선 중간 지점에 돌출 형성되는 중심축(55)을 더 포함하고, 상기 틸팅측벽(30b)(30c)에는 상기 중심축(55)을 안내하기 위한 중심축 가이드홈(36)이 구비되고, 상기 중심축 가이드홈(36)의 상단에는 중심축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멈춤단(36a)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멈춤단(36a)은 바구니의 조립을 위하여 틸팅측벽에 탈착 가능하게 별개로 형성될 수 있다(도 2, 3 외 참조).
상기 가이드부(50)는 두 가이드 돌기(53a)(53b)를 잇는 대각선이 X 형태를 이루도록 두 쌍의 가이드 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도 4의 c 참조)
상기 가이드부(50)는 바구니의 하방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두 가이드 돌기(53a)(53b)를 잇는 대각선의 각도(Q1)가 크게 형성될 경우 바구니 고정상태의 기울기가 커져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대각선의 각도(Q1)는 20°이내가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대각선의 각도(Q1)는 두 가이드 돌기의 간격(B1) 및 수직방향 간격(H1)에 의하여 결정되며, 상대적으로 수직방향 간격(H1)이 짧을수록 바구니의 승강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50)는 바구니(10)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바구니와 별개로 형성되는 가이드 몸체(51)에 형성되어 바구니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도 2, 5 참조).
상기 가이드 돌기(53a)(53b)와 중심축(55) 중 어느 한 가지 이상은 롤러 형태로 될 수 있다.
상기 틸팅측벽(30b)(30c)의 상부에서 하방으로 이어져 형성되는 제2가이드홈(34a)(34b) 및 제1가이드홈(33a)(33b)의 폭은 상부로부터 하향하면서 치수가 점차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도 7, 10 참조).
이러한 구성은 바구니의 승강 및 이에 따른 틸팅측벽(30b)(30c)의 기울기 변화에 맞추어 바구니의 승강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부의 폭(1b) 대비 하부의 폭(1b+a)이 크게 형성되는 것이다(도 10 참조).
또한, 상기 기저부 또는 틸팅측벽(30b)(30c)의 하방에는 상기 바구니를 받혀주기 위한 바구니 지지단(3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구니 지지단(35)은 틸팅측벽(30b)(30c)에 형성되는 가이드홈(A1)의 하단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바구니 지지단(35)은 바구니에 구비되는 가이드부(50)를 받혀주고, 이는 바구니(10) 전체를 바구니 지지단이 형성되는 높이로 받혀주는 것으로서 별도의 부품 없이 바구니가 기저부의 바닥판(31)으로부터 설정 공간(S)을 띄우고 지지되도록 한다(도 7 참조).
상기 공간(S)은 바구니를 들어 올리거나 내릴 경우, 지지대(30)를 잡아주기 위하여 사용자가 바닥판(31)을 밟을 수 있는 공간 등으로 제공된다.
상기 지지대(30)의 기저부(30a)는 바닥판(31)의 양측에 고정측벽(32b)(32c)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측벽(32b)(32c)에 대하여 상기 틸팅측벽(30b)(30c)이 기울기 변화가 가능하게 일체 또는 별개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측벽(32b)(32c)과 틸팅측벽(30b)(30c) 사이에는 틸팅측벽을 바구니쪽으로 당겨주기 위한 긴장부재(39)가 구비될 수 있다(도 7 참조).
상기 긴장부재(39)는 스프링강 등의 탄성체를 이용하여 클램프, 스프링, 핀 형태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틸팅측벽(30b)(30c)을 바구니 쪽으로 당기는 방향으로 탄력 압력이 가해지도록 설치된다.
상기 고정측벽(32b)(32c)과 틸팅측벽(30b)(30c)은 힌지핀(38)을 이용하여 결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고정측벽(32b)(32c)과 틸팅측벽(30b)(30c)은 힌지결합을 위하여 각각 상호 대응하게 요철형성되는 힌지부에 힌지핀 홀이 관통형성되어 결합될 수 있다(도 2, 7 참조).
상기 고정측벽(32b)(32c)과 틸팅측벽(30b)(30c)은 일체로 형성될 경우, 틸팅부분에 작은 V홈을 형성할 수 있다(미도시),
또한, 바구니(10)에 손잡이(17)가 구비됨은 물론이고 상기 지지대의 틸팅측벽(30b)(30c)에도 손잡이가 구비될 수 있다(미도시).
상기 틸팅측벽에 구비되는 손잡이는 바구니가 지지대에 완전 하강 안착된 상태에서 이동 취급시 바구니의 손잡이를 들어 올리는 경우 의도하지 않게 바구니가 지지대로부터 무단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지지대(30)에 바구니(10)가 하강 안착된 상태에서 지지대로부터 바구니의 무단이탈을 저지하기 위한 안정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미도시).
상기 안정수단은 바구니와 틸팅측벽 사이에 상호 대응하는 요철로 형성되는 형태 등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바구니를 상승시키기 위한 당김력이 가해지거나 지지대에 바구니를 안착시키는 누름압력이 가해질 경우, 바구니 및 지지대를 이루는 수지재의 탄성으로 해제 및 결착될 수 있는 구조로 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대(30)의 하방에는 바퀴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바구니(10)는 세탁물을 비롯하여 농산물이나 공산품 등이 담겨지는 바구니로 구성되어 본 발명이 다양한 분야에 두루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업자라면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31b'는 기저부 바닥판에 구비되는 바퀴 설치부이다(도 2).
상기 구성을 지닌 본 발명에 따른 승강 가능한 바구니(1)의 동작 및 작용상태를 도면을 참고하여 살펴본다.
상광하협 형태의 바구니(10)와 양측에 틸팅측벽(30b)(30c)을 구비한 지지대(30)의 작용상태에 대하여는 선행기술과 관련하여 이미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는 생략하고, 본 발명의 특징적 구성에 따른 작용상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상기 승강 안내수단으로 양측의 틸팅측벽(30b)(30c)에 가이드부(50)의 승강을 안내하는 한 쌍의 제1가이드홈(33a)(33b)이 구비되되, 제1가이드홈 상부에 가이드부(50)의 두 가이드 돌기(53a)(53b) 사이의 대각선에 대응하는 간격(A2)을 갖는 제2가이드홈(34a)(34b)이 쌍을 이루어 형성되고, 간격차가 벌어지는 제1가이드홈(33a)(33b)과 제2가이드홈(34a)(34b)이 연결되는 부분에는 자연스럽게 가이드부 지지단(34c)이 형성된다(도 3 참조).
바구니(10)에 형성되는 가이드부(50)는 가이드 돌기(53a)(53b)가 쌍을 이루어 돌출 형성되되, 한 쌍의 가이드 돌기(53a)(53b)는 수직방향으로 임의의 간격(H1)을 두고 위치됨으로써 가이드부(50)가 수직 승강시의 수평상 간격(B1) 대비 기울기 상태, 즉 대각선 상의 간격(B2)이 크게 형성된다(도 4 참조).
바구니의 상승상태 고정 과정을 살펴보면, 하강 상태의 바구니(도 7의 a, 도 8 참조)가 상기 제1가이드홈(33a)(33b) 구간을 통하여 상승하고(도 7의 b, 도 9의 a 참조), 제1가이드홈 구간을 완전히 벗어나 제2가이드홈(34a)(34b) 구간에 진입하면 가이드부(50)의 기울기 변화가 가능하게 되고, 중심축 가이드홈(36)에 안내되는 상기 중심축(55)을 중심으로 하여 바구니(10) 및 가이드부(50)를 기울일 수 있다.
상기 중심축 가이드홈(36) 상단의 멈춤단(36a)은 가이드부(50)의 이탈을 방지하는 동시에 틸팅측벽으로부터 바구니의 이탈을 차단한다.
바구니 및 가이드부(50)의 기울기 변동은 수직방향으로 간격을 갖는 두 가이드 돌기(53a)(53b)가 수평을 이루도록 하여 가이드 돌기 사이는 대각선 간격(B2)으로 되고, 두 가이드 돌기(53a)(53b)가 양측의 가이드부 지지단(34c)에 얹혀지게 되어 바구니가 비스듬히 기울어진 자세로 상승상태를 고정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바구니의 기울기는 상술한 바와 같이, 두 가이드 돌기(53a)(53b) 사이를 잇는 대각선의 각도(Q1)와 같게 되며 이는 두 돌기 사이의 수평 간격(B1) 및 수직상 간격(H1)에 의하여 결정된다.
또한, 예컨대 한 쌍의 가이드 돌기(53a)(53b) 중 상부에 위치하는 쪽이 우측에 위치될 경우 바구니는 항시 우측으로만 기울어야 되는 것처럼(도 9 참조) 가이드부(50)에 가이드 돌기(53a)(53b)가 한 쌍만 구비될 경우, 바구니의 기울기는 항시 어느 일 방향으로 제한되는 불편이 있을 수 있다.
가이드부(50)에서 가이드 돌기(53a)(53b)를 잇는 선이 X 형태를 이루도록 두 쌍의 가이드 돌기가 구비될 경우(도 4의 c 참조)에는 바구니를 어느 쪽이나 자유롭게 기울일 수 있는 편의성이 있다.
바구니의 상승 고정상태 해제는 상기 중심축(55)을 중심으로 바구니를 원래의 기울기인 수직상태로 돌려주는 간단한 동작에 의하여 이루어지며, 바구니의 자중에 의하여 제1가이드홈을 타고 하강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 안내수단은 바구니(10)의 승강을 안내하는 동시에 바구니 상승상태를 고정 유지할 수 있는 바구니 고정기능을 가짐으로써 선행기술에 수반되었던 복잡한 구성의 록킹부 및 록킹 해제를 위한 조작부가 불필요하게 되어 구성이 획기적으로 간단해지고 부품수 및 조립공정이 현저히 줄어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바구니가 상승상태에서 비스듬히 기울게 고정됨으로써 바구니에 담겨지는 물체의 인출 또는 투입이 보다 용이해질 수 있다.
한편, 힌지핀(38)을 중심으로 틸팅이 일어나는 틸팅측벽(30b)(30c)은 가이드 돌기(53a)(53b)에 대한 가이드홈의 기울기가 바구니 상승시와 하강시가 서로 다르게 되는데, 상기 틸팅측벽(30b)(30c)에 상부로부터 형성되는 제2가이드홈(34a)(34b), 제1가이드홈(33a)(33b)의 폭이 상부로부터 하향하면서 치수가 점차 커지게 구성됨으로써(도 10 참조), 바구니의 승강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바구니 승강동작시 틸팅측벽이 흔들리거나 외측으로 벌어질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 상기 긴장부재(39)이다.
상기 긴장부재(39)는 틸팅측벽(30b)(30c)을 바구니쪽으로 향하도록 탄력적으로 당겨줌으로써 틸팅측벽 및 바구니의 흔들림을 방지하고 틸팅측벽이 바구니를 견고하게 지지토록 한다(도 7 참조).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승강 가능한 바구니는 승강 안내수단이 바구니의 승강 안내뿐만 아니라 바구니 상승 상태의 고정기능을 갖도록 하여 선행기술에 수반되었던 복잡한 구성의 록킹부 및 록킹 해제를 위한 조작부가 불필요하게 되어 구성 및 조립이 획기적으로 간단해지고 제조원가를 현저히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바구니가 상승상태에서 비스듬히 기울게 고정됨으로써 바구니에 담겨지는 물체의 인출 또는 투입이 보다 용이하여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록킹부 및 조작부가 배제됨으로써 고장 염려가 없으며, 제품의 중량을 줄여 자재 절감 및 제품의 경량화를 구현하고 취급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등으로 산업상 이용 가능성이 양호하다.
이상에서 다양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로부터 합리적으로 해석될 수 있는 것이라면 무엇이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 : 본 발명의 승강 가능한 바구니
10: 바구니 17 : 손잡이
30: 지지대 30a: 기저부
30b,30c: 틸팅측벽 31: 바닥판
32b,32c: 고정측벽 33a, 33b: 제1가이드홈
34a,34b: 제2가이드홈 34c: 가이드부 지지단
35: 바구니 지지단 36: 중심축 가이드홈
36a: 멈춤단 38: 힌지핀
39: 긴장부재 50: 가이드부
51: 가이드부 몸체 53a,53b: 가이드 돌기
55: 중심축

Claims (9)

  1. 내부가 하방으로부터 상향하여 점차 넓어지는 상광하협형 바구니(10);
    기저부(30a) 및 상기 기저부(30a)의 양측에 기울기 변화가 가능하게 일체 또는 별개로 형성되고 상기 바구니(10) 양측이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는 틸팅측벽(30b)(30c)을 포함하는 지지대(30); 및
    상기 틸팅측벽에 대한 바구니의 승강 안내수단을 포함하는 승강 가능한 바구니에 있어서,
    상기 승강 안내수단으로,
    상기 양측의 틸팅측벽(30b)(30c)에는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가이드홈(33a)(33b)이 수평방향으로 임의의 간격(A1)을 두고 대향 형성되고,
    상기 바구니(10) 양측에는 상기 제1가이드홈(33a)(33b)에 대응하여 가이드 돌기(53a)(53b)가 쌍을 이루어 양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부(50)를 구비하되, 상기 쌍을 이루는 두 가이드 돌기(53a)(53b)는 지면에서 90도 수직선 상에서 상,하 방향으로 임의의 간격(H1)을 두고 위치되며,
    상기 틸팅측벽(30b)(30c)에서 제1가이드홈(33a)(33b)의 상부에는 상기 제1가이드홈(33a)(33b)의 간격(A1)으로부터 양쪽으로 확장된 간격(A2)을 갖는 제2가이드홈(34a)(34b), 상기 제1가이드홈(33a)(33b)의 간격(A1)과 상기 제2가이드홈(34a)(34b)의 간격(A2) 차이로 제1가이드홈(33a)(33b)의 상부와 제2가이드홈(34a)(34b)의 하방 사이를 연결하여 형성되는 가이드부 지지단(34c)이 구비되고,
    상기 제2가이드홈(34a)(34b)의 간격(A2)은 상기 두 가이드 돌기(53a)(53b)를 잇는 대각선 길이(B2)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가능한 바구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50)는 쌍을 이루는 두 가이드 돌기(53a)(53b)를 잇는 대각선 중간 지점에 돌출 형성되는 중심축(55)을 더 포함하고,
    상기 틸팅측벽(30b)(30c)에는 상기 중심축(55)을 안내하기 위한 중심축 가이드홈(36)이 구비되고,
    상기 중심축 가이드홈(36)의 상단에는 중심축(55)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멈춤단(36a)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가능한 바구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50)는 상기 두 가이드 돌기(53a)(53b)를 잇는 대각선이 X 형태를 이루도록 두 쌍의 가이드 돌기(53a)(53b)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가능한 바구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50)는 바구니의 하방에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가능한 바구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50)는 바구니(10)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바구니와 별개로 형성되는 가이드 몸체(51)에 형성되어 바구니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가능한 바구니.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돌기(53a)(53b)와 상기 중심축(55) 중 어느 한 가지 이상은 롤러 형태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가능한 바구니.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틸팅측벽(30b)(30c)에서 상부로부터 하방으로 형성되는 제2가이드홈(34a)(34b), 제1가이드홈(33a)(33b)의 폭은 상부로부터 하향하면서 치수가 점차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가능한 바구니.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저부 또는 틸팅측벽(30b)(30c)의 하방에는 상기 바구니를 받혀주기 위한 바구니 지지단(35)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가능한 바구니.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30)의 기저부(30a)는 바닥판(31)의 양측에 고정측벽(32b)(32c)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측벽(32b)(32c)에 대하여 상기 틸팅측벽(30b)(30c)이 기울기 변화가 가능하게 일체 또는 별개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측벽(32b)(32c)과 상기 틸팅측벽(30b)(30c) 사이에는 틸팅측벽을 바구니쪽으로 당겨주기 위한 긴장부재(39)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가능한 바구니.
KR1020190077431A 2019-06-27 2019-06-27 승강 가능한 바구니 KR1020332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7431A KR102033287B1 (ko) 2019-06-27 2019-06-27 승강 가능한 바구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7431A KR102033287B1 (ko) 2019-06-27 2019-06-27 승강 가능한 바구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3287B1 true KR102033287B1 (ko) 2019-10-17

Family

ID=68424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7431A KR102033287B1 (ko) 2019-06-27 2019-06-27 승강 가능한 바구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328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243U (ja) * 1993-06-15 1995-01-20 株式会社東京機器 買い物カゴ運搬機
EP2309055A1 (en) * 2009-10-01 2011-04-13 Fabio Gualdo Basket with telescopic legs
KR20140065219A (ko) 2012-11-21 2014-05-29 신경종 높이조절과 이동이 가능한 빨래바구니
KR101855644B1 (ko) 2018-02-19 2018-05-04 김윤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세탁물 바구니
KR101986480B1 (ko) 2019-04-16 2019-06-19 김윤수 승강 가능한 바구니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243U (ja) * 1993-06-15 1995-01-20 株式会社東京機器 買い物カゴ運搬機
EP2309055A1 (en) * 2009-10-01 2011-04-13 Fabio Gualdo Basket with telescopic legs
KR20140065219A (ko) 2012-11-21 2014-05-29 신경종 높이조절과 이동이 가능한 빨래바구니
KR101855644B1 (ko) 2018-02-19 2018-05-04 김윤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세탁물 바구니
KR101986480B1 (ko) 2019-04-16 2019-06-19 김윤수 승강 가능한 바구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3287B1 (ko) 승강 가능한 바구니
KR101855644B1 (ko)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세탁물 바구니
AU2011264061A1 (en) Sales table
US6095228A (en) Tilt rod support for a venetian blind
JP5702995B2 (ja) スライド式踏み台
KR102246019B1 (ko) 가구의 높이조절장치
JP6791500B2 (ja) 台車の容器積載構造
KR102137569B1 (ko) 수직형 프라이팬 거치대
US6192963B1 (en) Slat actuating and positioning device for venetian blinds
JP6837643B2 (ja) 台車
KR101986480B1 (ko) 승강 가능한 바구니
JP6289869B2 (ja) コンテナ
JP4220463B2 (ja) スライド式ブロック
US7219710B2 (en) Lifting mechanism for window shades
JP6497655B2 (ja) クレーン設置構造体
JP3238665B2 (ja) 収納ボックス
JP4871221B2 (ja) 台車
JP4856588B2 (ja) 台車
JP5111211B2 (ja) 台車
US20110203744A1 (en) Venetian Blind
JP6235229B2 (ja) 日射遮蔽材昇降装置、サポート部材
JP4796369B2 (ja) 育苗ポット用カゴ型トレイ
KR101880748B1 (ko) 공동구 덮개 성형장치
KR200465305Y1 (ko) 스탠드형 옷걸이
JP7069637B2 (ja) テーブ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