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3137B1 - 멀티비전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멀티비전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3137B1
KR102033137B1 KR1020180046552A KR20180046552A KR102033137B1 KR 102033137 B1 KR102033137 B1 KR 102033137B1 KR 1020180046552 A KR1020180046552 A KR 1020180046552A KR 20180046552 A KR20180046552 A KR 20180046552A KR 102033137 B1 KR102033137 B1 KR 1020331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module
sound
display
pixels
vi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6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재홍
Original Assignee
한국항공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항공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항공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465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31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31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31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geometrical disposition of the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6Video wall, i.e. stackable semiconductor matrix display modul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6Combining plural substrates to produce large-area displays, e.g. tiled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46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display composed of modules, e.g. video wal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Composi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6Video wall, i.e. juxtaposition of a plurality of screens to create a display screen of bigger dimensions

Abstract

사운드 투과가 가능한 멀티비전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멀티비전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화소들로 이루어진 디스플레이 모듈이 결합된 스크린, 및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마련된 투음부를 포함하되, 상기 투음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멀티비전 디스플레이 장치의 뒤쪽에서 발생된 사운드가 멀티비전 디스플레이 장치를 투과하여 멀티비전 디스플레이 장치 앞쪽의 사람들에게 전달될 수 있으므로 사운드의 입체감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멀티비전 디스플레이 장치{Multi-vision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멀티비전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운드 투과가 가능한 멀티비전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영화관, 경기장, 공연장 등과 같은 곳에서는 많은 관객들이 동시에 볼 수 있도록 60 인치(inch) 이상의 대형 화면이 요구된다. 대형 화면을 구현하기 위해서 영사기 및 스크린막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화질이 좋지 못한 단점이 있다.
LED(Light Emitting Diode)를 사용하면 우수한 화질을 제공할 수 있지만, LED의 경우 공정 및 제조 비용상의 문제로 인하여 단일 제품으로 60 인치 이상의 대형으로 제작하기 어렵다. 이에, 중, 소형의 LED 디스플레이 모듈을 타일링 기법으로 격자 형태로 이어 붙여 대형 화면을 구현하는 멀티비전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발되었으며, 이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멀티비전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운드 투과가 불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어 뒤쪽에서 발생된 사운드가 멀티비전 디스플레이 장치의 앞쪽에 있는 관객들에게 전달되지 않아 사운드의 입체감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입체적인 사운드를 제공할 수 있는 멀티비전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멀티비젼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화소들로 이루어진 디스플레이 모듈이 결합된 스크린, 및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마련된 투음부;를 포함하되, 상기 투음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멀티비젼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투음부는 상기 화소들을 구성하는 엘리먼트들이 존재하지 않는 빈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멀티비젼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투음부는 인접한 복수의 화소들에 걸쳐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멀티비젼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투음부는 네 개의 화소들의 중심점에 대해 대칭 형상으로 형성되어 서로 인접한 네 개의 화소들에 걸쳐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멀티비젼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투음부는 각각의 화소에 독립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멀티비젼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투음부의 길이는 상기 화소의 피치보다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멀티비젼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투음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화소들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멀티비젼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투음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내부에 전체적으로 분포될 수 있다.
상기 멀티비젼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투음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내부의 모든 화소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멀티비젼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투음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내부의 일부 화소에는 형성되지 않으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내부에 규칙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멀티비젼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에는 상기 각각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기판이 배치되고, 상기 구동기판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내부의 상기 투음부를 덮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멀티비젼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판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과 실질적으로 수직이 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멀티비젼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에는 구동기판을 고정하는 프레임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멀티비젼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사각 기둥에서 전면과 후면이 뚫려 있는 형태이고, 상기 뚫려 있는 전면과 후면 중의 어느 하나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멀티비젼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들은 간격을 갖지 않고 서로 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멀티비전 디스플레이 장치의 뒤쪽에서 발생되는 사운드가 멀티비전 디스플레이 장치를 투과하여 멀티비전 디스플레이 장치 앞쪽에 있는 관객들에게 전달될 수 있으므로 사운드의 입체감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멀티비전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에서 반사되어 손실되는 사운드를 줄일 수 있고, 멀티비전 디스플레이 장치를 투과하는 음량을 늘릴 수 있으므로 스피커 발생음의 활용률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투음부는 디스플레이 모듈 내부에 전체적으로 및/또는 균일하게 형성되어 사운드를 효과적으로 스크린 앞쪽으로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동기판이 디스플레이 모듈 내부에 형성된 투음부를 가리지 않도록 함으로써 사운드를 더욱 효과적으로 스크린 앞쪽으로 전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비전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일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는 도 1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가장자리 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디스플레이 모듈에 투음부를 형성하는 다른 방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기판의 배치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구조체를 예시한 도면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사운드 투과가 가능한 멀티비전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 위하여 가장 적합한 실시예를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와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비전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일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비전 디스플레이 장치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는 다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1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들(100)은 지지대(미도시)를 이용하여 하나로 결합되어 스크린(10)을 구성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디스플레이 모듈들(100)은 격자형으로 배열되어 스크린(10)을 구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들(100)은 상호 간에 간격을 갖지 않고 서로 밀착하여 배치될 수 있다.
기존의 멀티비전 디스플레이 장치와 달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비전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모듈들(100)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이 사운드의 투과를 위한 투음부(도면 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투음부는 사운드 투과를 위해 디스플레이 모듈(100)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투음부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모듈(100) 각각은 행과 열의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는 복수의 화소들(PIXEL)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화소(PIXEL)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에 표시되는 이미지의 최소 단위로 정의될 수 있으며, 일정한 피치(P1)를 갖고 반복하여 배열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행 및 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선으로 구분될 수 있다. 행에 배치되는 선(WL1,WL2,WL3,WL4,…)은 스캔 라인일 수 있고, 열에 배치되는 선(BL1,BL2,BL3,BL4,…)은 데이터 라인일 수 있다. 스캔 라인(WL1,WL2,WL3,WL4,…)은 화소들(PIXEL)에 게이트 신호를 전달할 수 있고, 데이터 라인(BL1,BL2,BL3,BL4,…)은 화소들(PIXEL)에 입/출력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화소들(PIXEL)은 발광 소자(E)에 기반하는 매트릭스 형태로 정의될 수 있다. 하나의 화소(PIXEL)는 하나의 스캔 라인(WL1,WL2,WL3,WL4,…의 하나) 및 하나의 데이터 라인(BL1,BL2,BL3,BL4,…의 하나)에 기반하여 구성되는 격자일 수 있고, 화소(PIXEL)의 중심부에는 발광 소자(E)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 소자(E)는 아주 작은 사이즈를 갖는 LED 소자로 구성될 수 있다. LED 소자의 사이즈는 마이크로미터 단위의 크기를 가질 수 있고, 경우에 따라 수 mm 정도의 크기를 가질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 사용될 수 있는 LED 소자의 사이즈가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비록,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되는 실시예에서는 발광 소자(E)가 하나의 LED 소자로 이루어진 경우를 나타내었으나, 발광 소자(E)로 둘 이상의 LED 소자들이 제공될 수도 있다.
데이터 라인(BL1,BL2,BL3,BL4,…의 하나)과 발광 소자(E) 사이에는 스위치 소자(SW)가 연결될 수 있다. 스위치 소자(SW)는 스캔 라인(WL1,WL2,WL3,WL4,…의 하나)을 통해 공급되는 게이트 신호에 응답하여 데이터 라인(BL1,BL2,BL3,BL4,…의 하나)의 입/출력 신호를 발광 소자(E)에 전달할 수 있다. 또는, 발광 소자(E)의 일 단자를 데이터 라인(BL1,BL2,BL3,BL4,…의 하나)에 직접 연결하고 다른 일 단자를 스캔 라인(WL1,WL2,WL3,WL4,…의 하나)에 직접 연결하는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스위치 소자(SW)를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0)에는 화소(PIXEL)를 구성하는 엘리먼트들, 예컨대 발광 소자(E), 스캔 라인(WL1,WL2,WL3,WL4,…), 데이터 라인((BL1,BL2,BL3,BL4,…) 및 스위치 소자(SW) 등이 차지하는 공간 외에 사용되지 않는 빈 공간이 존재한다. 투음부는 디스플레이 모듈(100) 내부의 이러한 빈 공간에 배치됨으로써 사운드를 효과적으로 투과시킬 수 있다.
인접 화소들(PIXEL)에 포함된 엘리먼트들 사이의 빈 공간의 최소 길이는 d1으로 정의될 수 있다. d1은 단위 화소(PIXEL) 내에 배치되는 엘리먼트들이 차지하는 길이만큼 피치(P1)보다 작은 값을 갖는다. 즉, d1 < P1의 관계를 만족한다.
발광 소자(E)가 LED 소자로 구성되는 경우, 화소(PIXEL)를 구성하는 엘리먼트들이 차지하는 면적은 매우 작은 반면에, 사용되지 않는 빈 공간이 디스플레이 모듈(100) 면적의 대부분을 차지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인접하여 배치되는 화소들(PIXEL)을 구성하는 엘리먼트들 사이에 존재하는 빈 공간의 최소 길이(d1)가 화소의 피치(P1)보다 약간 작은 크기를 갖게 되고, 디스플레이 모듈들(100) 내부의 투음부는 화소의 피치(P1)보다 작은 크기로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스크린(10)의 가로 길이가 10m이고, FHD급 해상도인 경우 화소(PIXEL)의 피치는 대략 5mm 정도가 된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100) 내부 투음부는, 예를 들면, 4mm의 크기로 구성할 수 있다.
도 3는 도 1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가장자리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3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비전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모듈들(100)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형성된 투음부(20)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투음부(20)는 디스플레이 모듈들(100)의 가장자리에 배치된 화소들(PIXEL)에 형성된 복수의 틈새일 수 있다.
틈새는 디스플레이 모듈들(100)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1열 또는 2열 이상의 복수의 열로 형성될 수 있다. 틈새의 모양은 십자가형, 일자형, 원형, 타원형 및 다각형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틈새는 디스플레이 모듈들(100)의 화소들(PIXEL)을 구성하는 엘리먼트들이 존재하지 않는 빈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각 틈새는 인접하는 복수의 화소들(PIXEL)에 걸쳐서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틈새는 행 및 열 방향으로 인접하는 2×2의 화소들(PIXEL)에 걸쳐서 배치될 수 있다.
각 틈새의 길이는 화소들(PIXEL)의 피치보다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 틈새의 길이는 인접 화소들(PIXEL)에 포함된 엘리먼트들 사이의 빈 공간의 최소 길이(d1) 이하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디스플레이 모듈 내부에 투음부(20)를 형성하는 다른 방법을 예시한다. 앞서 도 3을 참조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가장자리에 투음부(20)를 형성하는 방법을 예시하였으나, 도 4 및 도 5에 예시한 바와 같이 투음부(2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 내부에 전체적으로 분포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투음부(20)는 디스플레이 모듈 내부의 모든 화소(PIXEL)에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투음부(20)는 인접한 복수의 화소(PIXEL)들에 걸쳐서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투음부(20)는 서로 인접한 네 개의 화소(PIXEL)들에 걸쳐서 배치되면서 네 개의 화소(PIXEL)들의 중심점에 대해 대칭이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투음부(20)는 각 화소(PIXEL)의 두 개의 꼭지점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4의 실시예에서는 투음부(20)가 각 화소(PIXEL)의 네 개의 꼭지점에 대응하여 형성된 것에 비해 도 5의 실시예에서의 투음부(20)의 개수를 대략 절반 정도로 줄인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도 4와 같은 형태에서는 투음부(20)의 사이즈가 클 경우 스크린 정면에서 스크린 뒤쪽이 보일 수 있는데, 이 경우 도 5와 같이 투음부(20) 개수를 줄여 스크린 정면에서 스크린 뒤쪽이 보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실시예에 따라, 투음부(20)는 각 화소의 하나의 꼭지점에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5에 비해 투음부(20)의 개수를 더욱 줄이면서 디스플레이 모듈 내부에 전체적으로 투음부(20)를 분산 배치할 수 있다.
한편, 도 4 및 도 5의 실시예에서는 투음부(20)가 모든 화소에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 투음부(20)는 디스플레이 모듈 내부의 일부 화소(PIXEL)에는 형성되지 않으면서 디스플레이 모듈 내부 전체에 규칙적으로 분산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4 및 도 5의 실시예에서는 투음부(20)가 복수의 화소(PIXEL)들에 걸쳐서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서는 투음부(20)는 복수의 화소(PIXEL)들에 걸쳐서 배치되는 대신 각각의 화소(PIXEL)에 독립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도 6은 각각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100-2)에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기판(910-1, 910-2)을 배치하는 방법을 예시하고 있다.
구동기판은, 일 예로, 구동회로가 PCB(Printed Circuit Board) 등의 기판에 배치된 것일 수 있다. 구동기판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화소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 및/또는 각종 신호 등(이하 간략히 '신호'라고 함)을 제공할 수 있다. LCD 등과 같이 유리를 디스플레이 기판으로 사용하는 디스플레이는 화소에 신호를 인가하기 위해 IC나 회로 부품이 PCB 기판에 부착된 형태의 별도의 구동기판이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구동기판은 TCP(Tape Carrier Package) 또는 FPC(Flexible Printed Circuit) 등의 방식을 사용하여 디스플레이 모듈의 가장자리에 부착이 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으로 접어 넘겨진 상태로 사용된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으로 접어 넘겨진 구동기판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투음부를 가려 투음부를 통한 사운드의 전달을 방해할 수 있다. 도 6은 구동기판이 투음부를 통한 사운드의 전달을 방해하지 않도록 구동기판을 배치하는 방법을 예시한다.
도 6(a)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면(100-1) 측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00)과 구동기판(910-1, 910-2)을 바라본 경우를 예시하고 있고, 도 6(b)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100-2) 측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00)과 구동기판(910-1, 910-2)을 바라본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구동기판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상부에 배치된 제1 구동기판(910-1)과 디스플레이 모듈의 좌우측 중의 어느 하나에 배치된 제2 구동기판(910-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구동기판(910-1, 910-2)이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상부와 측부의 두 군데에 배치된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구동기판은 한 개, 세 개 또는 그 이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구동기판(910-1, 910-2)은 디스플레이 모듈(100) 내부의 투음부(도면 미도시)를 덮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동기판(910-1, 910-2)이 디스플레이 모듈(100) 내부의 투음부를 덮게 되면 스크린 뒤쪽의 스피커에서 발생된 사운드가 스크린 전방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해할 수 있는데, 도 6의 실시예와 같이 구동기판(910-1, 910-2)이 디스플레이 모듈(100) 내부의 투음부를 덮지 않도록 배치하면 스크린 뒤쪽의 사운드가 스크린 전방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실시예에 따라, 구동기판(910-1, 910-2)은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100-2)과 실질적으로 수직이 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구동기판(910-1, 910-2)은 디스플레이 모듈(100) 내부의 투음부를 거의 가리지 않게 되므로 스크린을 통한 사운드의 전달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한편, LED 디스플레이 등과 같이 PCB 기판을 디스플레이 모듈의 기판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모듈로 사용되는 기판의 후면에 구동회로용 IC나 회로 부품을 직접 장착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구동기판을 부착할 필요가 없을 수도 있다. 그러나 기판의 후면에 배치된 IC나 회로부품이 투음부를 가릴 수 있으므로, LED 등과 같이 PCB를 디스플레이 모듈의 기판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도 별도의 구동기판을 사용하면서 본 실시예들을 통해 예시한 형태로 구동기판을 배치함으로써 투음부를 통한 사운드 전달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도 7은 각 디스플레이 모듈(100)에 두 개의 구동기판(910-1, 910-2)을 배치한 경우에 대한 스크린(110) 후면을 예시하고 있다. 각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도 3 내지 도 5에 예시한 바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그 내부에 투음부(2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모듈(100)들은 서로 밀착되어 스크린(110)을 구성할 수 있다.
도 8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에 구동기판(910-1, 910-2)을 고정하기 위한 방법을 예시하고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0)에 구동기판(910-1, 910-2)을 고정하기 위해 도 8에 예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920)이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프레임(920)은 각각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에 고정되어 구동기판을 지지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프레임(920)은 사각 기둥에서 전면과 후면이 뚫려 있는 형태이고, 뚫려 있는 전면과 후면 중의 어느 하나가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100-2)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구동기판(910-1, 910-2)은 프레임(920)에 고정됨으로써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100-2)에 대해 일정한 각도를 유지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프레임(920)의 네 개의 면은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100-2)과 실질적으로 수직이 되도록 배치되어, 구동기판(910-1, 910-2)이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100-2)과 실질적으로 수직을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도 8에는 구동기판(910-1, 910-2)이 프레임(920)의 외주면에 부착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구동기판(910-1, 910-2)은 프레임(920)의 내주면에 부착될 수도 있다.
한편, 프레임(920)은 구동기판(910-1, 910-2)을 지지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구동기판(910-1, 910-2) 사이에서 및/또는 구동기판(910-1, 910-2)과 외부 사이에서 신호를 전달하는 배선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프레임(920)은 PCB로 형성되고 프레임(920) 자체에 배선을 형성할 수 있다. 또는 프레임(920)은 통상의 수지나 금속 재료로 형성되고 프레임(920)에 별도로 배선이 부착될 수도 있다.
도 9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 복수의 프레임(920)이 서로 밀착되어 있는 형태를 예시하고 있다. 도 9에 예시된 복수의 프레임(920)은 스크린의 후면에 부착되어 구동기판을 고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개별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응되는 각 프레임(920)은 개별적으로 네 개의 면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인접한 프레임(920)은 서로 측면이 맞붙어 있을 수 있다. 또는 실시예에 따라, 인접한 프레임(920)은 서로 맞붙는 면을 공유하는 방식으로 복수의 프레임(920)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프레임(920)이 일정한 단위 사이즈로 일체로 형성되고(예, 3 X 3 매트릭스), 일정한 단위 사이즈로 일체로 형성된 프레임이 매트릭스 형태로 연결되어 스크린 전체에 대응하도록 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면을 통해 발광하는 단면 디스플레이를 주로 예시하였으나,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은 전면과 후면의 양면을 통해 발광하는 양면 디스플레이 및/또는 투과형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구동기판이 디스플레이 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배치되어 디스플레이의 후면에 화상이 형성되는 경우에도 구동기판이 화면을 가리지 않으므로 양면 디스플레이 및/또는 투과형 디스플레이에 적용할 때에도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멀티비전 디스플레이 장치의 뒤쪽에서 발생된 사운드가 멀티비전 디스플레이 장치를 투과하여 멀티비전 디스플레이 장치 앞쪽에 있는 관객들에게 전달될 수 있으므로 사운드의 입체감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멀티비전 디스플레이 장치의 뒷면에서 반사되어 손실되는 사운드를 줄일 수 있고, 멀티비전 디스플레이 장치를 투과하는 음량을 늘릴 수 있으므로 스피커의 발생음 활용률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투음부는 디스플레이 모듈 내부에 전체적으로 및/또는 균일하게 형성되어 사운드를 효과적으로 스크린 앞쪽으로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동기판이 디스플레이 모듈 내부에 형성된 투음부를 가리지 않도록 함으로써 사운드를 더욱 효과적으로 스크린 앞쪽으로 전달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 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110: 스크린
20: 투음부
100: 디스플레이 모듈
910: 구동기판
920: 프레임
PIXEL: 화소

Claims (14)

  1. 복수의 화소들로 이루어진 디스플레이 모듈이 결합된 스크린; 및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마련된 투음부;를 포함하되,
    상기 투음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투음부는 네 개의 화소들의 중심점에 대해 대칭 형상으로 형성되어 서로 인접한 네 개의 화소들에 걸쳐서 배치되며,
    상기 투음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내부의 일부 화소에는 형성되지 않으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내부 전체에 규칙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에는 상기 각각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기판이 배치되고,
    상기 구동기판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내부의 상기 투음부를 덮지 않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과 실질적으로 수직이 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각각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에는 구동기판을 고정하는 프레임이 배치되고,
    상기 프레임에는 구동기판들 사이에서 신호를 전달하는 배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비젼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투음부는 상기 화소들을 구성하는 엘리먼트들이 존재하지 않는 빈 공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비젼 디스플레이 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사각 기둥에서 전면과 후면이 뚫려 있는 형태이고,
    상기 뚫려 있는 전면과 후면 중의 어느 하나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비젼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들은 간격을 갖지 않고 서로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비젼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80046552A 2018-04-23 2018-04-23 멀티비전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331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6552A KR102033137B1 (ko) 2018-04-23 2018-04-23 멀티비전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6552A KR102033137B1 (ko) 2018-04-23 2018-04-23 멀티비전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3137B1 true KR102033137B1 (ko) 2019-10-16

Family

ID=68421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6552A KR102033137B1 (ko) 2018-04-23 2018-04-23 멀티비전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313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93122A1 (en) * 2010-05-26 2011-12-01 Sharp Kabushiki Kaishi Display system, display contro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JP5531249B2 (ja) * 2009-06-02 2014-06-25 ザ コリア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バンク オブジェクト基盤の位置座標効果を有するサウンド出力のための透音性ディスプレイ装置
KR20170081416A (ko) * 2016-01-04 2017-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상 표시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31249B2 (ja) * 2009-06-02 2014-06-25 ザ コリア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バンク オブジェクト基盤の位置座標効果を有するサウンド出力のための透音性ディスプレイ装置
US20110293122A1 (en) * 2010-05-26 2011-12-01 Sharp Kabushiki Kaishi Display system, display contro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KR20170081416A (ko) * 2016-01-04 2017-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상 표시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6209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612609B1 (ko) 표시장치
CN110568641B (zh) 一种防窥显示装置及其防窥方向调节方法
TWI549117B (zh) 用於具有多個像素陣列之可平鋪顯示設備之組態
KR100681385B1 (ko) 멀티비전용 엘이디 표시장치
JP7049990B2 (ja) 音再生ディスプレイ
KR102136650B1 (ko) 방열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TW201717175A (zh) 顯示裝置
KR20120073718A (ko) 도광판,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유닛, 디스플레이장치 및 도광판 제조방법
KR10235690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45341B1 (ko) 스크린 및 그를 이용한 레이저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33137B1 (ko) 멀티비전 디스플레이 장치
KR20170028191A (ko) 필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74722B1 (ko) 사운드 투과가 가능한 멀티비전 디스플레이 장치
JP2006339954A (ja) スクリーン及び画像投影システム
JP4647500B2 (ja) 背面投射型マルチ画面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これに使用される集合スクリーン
JP2014022060A (ja) バックライト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KR100929960B1 (ko) 영상 구현 장치 및 이에 있어서 스크린 구조물
JP2007108786A (ja) 表示装置
JP2013175288A (ja) バックライト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KR102444400B1 (ko) 양면 표시장치 및 그를 위한 백라이트 유닛
JP2006243532A (ja) バックライト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CN113674662B (zh) 一种显示系统及其控制方法、投影机、投影系统
JP2004170870A (ja) 画面接続型表示装置
CN114035339A (zh) 背光源模组、显示模组、驱动方法及显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