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2938B1 - 사물인터넷 기반 추락방지시스템 - Google Patents

사물인터넷 기반 추락방지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2938B1
KR102032938B1 KR1020190051955A KR20190051955A KR102032938B1 KR 102032938 B1 KR102032938 B1 KR 102032938B1 KR 1020190051955 A KR1020190051955 A KR 1020190051955A KR 20190051955 A KR20190051955 A KR 20190051955A KR 102032938 B1 KR102032938 B1 KR 1020329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ard
control device
window frame
side chassis
fall preven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19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나연
Original Assignee
남나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나연 filed Critical 남나연
Priority to KR10201900519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29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29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29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2009/002Safety guards or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oxi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물인터넷 기반 추락방지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적어도 하나의 가드; 고정측 샤시의 창틀에 부착되어, 가드가 하강할 때 가드를 받치는 적어도 하나의 가드 받침부; 및 가동측 샤시의 창틀에 부착되고, 가드 홀이 형성되어 가드를 가드 홀을 통해 결합하여 록킹(locking)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가드, 적어도 하나의 가드 받침대 및 적어도 하나의 제어장치의 개수는 동일하고, 적어도 하나의 제어장치 중의 하나의 제어장치는, RFID 리더기가 구비되어 가동측 샤시와 고정측 샤시의 사이에 문이 열려있는 상태에서 RFID 태그를 착용한 보호 대상자가 가동측 샤시에 접근할 때 RFID 태그로부터 RFID 통신을 통해 RFID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보호 대상자가 접근하였다는 것을 인식하였을 때 가드를 회전시켜 가동측 샤시의 창틀과 고정측 샤시의 창틀 사이에 가드가 걸리도록 한다.

Description

사물인터넷 기반 추락방지시스템{SYSTEM FOR PREVENTING FALL BASED ON INTERNET OF THINGS}
본 발명은 사물인터넷 기반 추락방지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보호 대상자의 추락방지를 위해 샤시의 창틀에 부착된 사물인터넷 기반 추락방지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오래 전부터 가정과 보호시설에서 영유아 및 치매노인의 추락사고는 사회적 문제로 자리 매김하고 있으며, 현재까지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이 지속되고 있다.
추락사고는 인지능력이 부족한 영유아(영아와 유아를 함께 일컫는 말)와 치매노인들에게 발생되는 안전사고로서, 보호자가 잠시 한눈을 팔았을 경우나 자리를 이동했을 때 발생되는 안타까운 사고이기도 하다. 인지능력이 부족한 대상자가 있는 가정과 보호시설에 사고가 발생할 때부터 보호자에게 알려주고 이를 예방할 수 있는 추락방지 시스템의 도입이 시급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시장에 판매되고 있는 제품들은 창문을 닫았을 때 열리지 않게 하거나 모니터링은 되지만 창문으로 진입을 막아주고 위험상황에서 다른 곳으로 시선을 유도해 주는 제품은 없다. 또한, 창문 바깥에서 외부인의 침입을 막아 주는 방범의 역할만을 할 뿐 보호 대상자에게 위험을 알려주지는 못하고 있다. 그렇다고 창문을 닫고 불편한 생활을 감수하거나 화재가 발생했을 때 피할 수 없게 창문을 막고 생활할 수도 없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209868호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인지능력이 부족한 영유아나 치매노인들을 보호하는 보호자가 잠시 한 눈을 팔았을 경우나 자리를 이동했을 때 보호자에게 알려줌으로써 인지능력이 부족한 영유아나 치매노인들의 추락사고 또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 추락방지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인지능력이 부족한 영유아나 치매노인들을 보호하는 보호자가 잠시 한 눈을 팔았을 경우나 자리를 이동했을 때 인지능력이 부족한 영유아나 치매노인들에게 접근금지 안내음을 발생시켜 인지능력이 부족한 영유아나 치매노인들의 추락사고 또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 추락방지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보호자가 보호자 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가드의 동작속도와 보호 대상자의 감지거리를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가드의 동작과 보호자 감지방식을 달리할 수 있게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 추락방지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보호자가 보호 대상자가 있을 개연성이 있는 곳의 온습도, 공기오염도, 가스누출여부, 연기발생여부 등을 보호자 단말기를 통해 모니터링을 할 수 있는 사물인터넷 기반 추락방지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 추락방지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가드; 고정측 샤시의 창틀에 부착되어, 가드가 하강할 때 가드를 받치는 적어도 하나의 가드 받침부; 및 가동측 샤시의 창틀에 부착되고, 가드 홀이 형성되어 가드를 가드 홀을 통해 결합하여 록킹(locking)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가드, 적어도 하나의 가드 받침대 및 적어도 하나의 제어장치의 개수는 동일하고, 적어도 하나의 제어장치 중의 하나의 제어장치는, RFID 리더기가 구비되어 가동측 샤시와 고정측 샤시의 사이에 문이 열려있는 상태에서 RFID 태그를 착용한 보호 대상자가 가동측 샤시에 접근할 때 RFID 태그로부터 RFID 통신을 통해 RFID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보호 대상자가 접근하였다는 것을 인식하였을 때 가드를 회전시켜 가동측 샤시의 창틀과 고정측 샤시의 창틀 사이에 가드가 걸리도록 한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가드는 그 길이가 수동으로 다단으로 조절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가드 받침부는, 고정측 샤시의 창틀에 부착된 가드 받침대; 및 가드 받침대에 탑재되고, 길이가 수동으로 다단으로 조절되는 고리 몸체를 포함한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제어장치는 일단과 타단이 직선형의 홈이 형성된 케이스에 내장되고, 가동측 샤시의 창틀에 부착되고 일단과 타단이 절곡되어 내측으로 돌출부를 갖도록 홈이 형성되어 케이스의 일단과 타단에 형성된 직선형의 홈에 돌출부가 슬라이드 방식으로 끼워지는 베이스 찬넬을 더 포함한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제어장치는 그 높이가 수동으로 조절 가능하도록 하는 높이 조절봉이 구비되고, 높이 조절봉의 높이가 조절되어 가동측 샤시의 창틀로부터의 가드의 높이가 조절된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제어장치 중의 하나의 제어장치는 보호 대상자가 접근하였다는 것을 인식하였을 때 접근금지 안내음을 발생하는 안내음 발생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제어장치 중의 하나의 제어장치는, 보호 대상자가 접근하였다는 것을 인식하였을 때 보호자 단말기에 감지위치정보와 보호 대상자 존재 알람신호를 송신하는 알람신호 송신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지능력이 부족한 영유아나 치매노인들을 보호하는 보호자가 잠시 한 눈을 팔았을 경우나 자리를 이동했을 때 보호자에게 알려줌으로써 인지능력이 부족한 영유아나 치매노인들의 추락사고 또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인지능력이 부족한 영유아나 치매노인들을 보호하는 보호자가 잠시 한 눈을 팔았을 경우나 자리를 이동했을 때 인지능력이 부족한 영유아나 치매노인들에게 접근금지 안내음을 발생시켜 인지능력이 부족한 영유아나 치매노인들의 추락사고 또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보호자는 보호자 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가드의 동작속도와 보호 대상자의 감지거리를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가드의 동작과 보호자 감지방식을 달리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보호자가 보호 대상자가 있을 개연성이 있는 곳의 온습도, 공기오염도, 가스누출여부, 연기발생여부 등을 보호자 단말기를 통해 모니터링을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 추락방지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드가 하강하기 전의 상태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드와 제어장치가 연결된 구조의 상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가드가 하강한 후의 상태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찬넬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장치가 복수일 경우의 식별번호 부여방식을 나타낸 제1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장치가 복수일 경우의 식별번호 부여방식을 나타낸 제2 개념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장치를 단독의 센서모듈로 사용할 경우의 식별번호 부여방식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어장치는 메인제어장치와 서브제어장치를 모두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다만, 메인제어장치와 서브제어장치를 구분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메인제어장치와 서브제어장치로 각각 기재하였다.
또한, 메인제어장치 및 서브제어장치가 복수인 경우에는 제1, 제2와 같이 합성된 용어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 추락방지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1대의 메인제어장치(100)와 2대의 서브제어장치(210, 220)가 Wi-Fi 무선공유기(10)를 통해 클라우드 서버(cloud server, 20)와 보호자 단말기(30)에 무선으로 연결된 것을 나타낸다. 메인제어장치(100)와 제1 및 제2 서브제어장치(210, 220)는 제1 센서(111, 211, 221), 제2 센서(112, 212, 222), 제3 센서 (113, 213, 223) 및 Wi-Fi 모듈(114, 214, 224)이 공통적으로 구비되어 있고, 메인제어장치(100)는 RFID 리더기(Radio Frequence Identification Reader, 115)를 더 구비한다. 메인제어장치(100)와 서브제어장치(210, 220)는 각각 1대와 2대인 것으로 예를 들었다.
RFID 리더기(115)는 보호 대상자가 착용한 RFID 태그(TEG, 50)와 송수신한다. RFID 리더기(115)는 일반적으로 잘 알려져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클라우드 서버(cloud server, 20)는 메인제어장치(100)와 제1 및 제2 서브제어장치(210, 220)가 Wi-Fi 통신을 통해 송신한 모든 정보를 저장한다.
보호자 단말기(30)는 메인제어장치(100)와 제1 및 제2 서브제어장치(210, 220)로부터 보호 대상자의 감지위치정보와 보호 대상자 존재 알람신호를 수신한다. 보호자는 보호자용 애플리케이션을 보호자 단말기(30)에 다운로드하여 설치함으로써, 보호자용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통해 사물인터넷 기반 추락방지시스템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보호자 단말기(30)는 스마트 폰(smartphone), 데스크톱 컴퓨터(desktop computer), PDA 등과 같은 모바일 통신단말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드가 하강하기 전의 상태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드와 제어장치가 연결된 구조의 상세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의 가드가 하강한 후의 상태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사물인터넷 기반 추락방지시스템은 가드(300), 가드 받침부(400) 및 제어장치(100, 210, 220)를 포함할 수 있다.
가드(300)는 추락방지시스템에서 보호 대상자의 추락방지를 위해 보호 대상자가 접근하면 회전하여 가동측 샤시의 창틀(60)과 고정측 샤시의 창틀(70) 사이에 걸린다. 가드(300)는 제어장치(100, 210, 220)가 모터(도시되지 않음)를 구동시켜 회전할 수 있으며, 모터는 배터리(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며, 감속기 형태의 직류 모터(direct current motor)가 사용된다.
가드(300)의 동작과 관련하여, 가동측 샤시가 닫히면 가드(300)는 올라가 있고(회전하기 전의 상태), 가동측 샤시가 열리면 가드(300)는 내려온다. 가동측 샤시의 열림을 감지하기 위해 제어장치(100, 210, 220)의 측면에는 제어장치(100, 210, 220)와 무선으로 연결된 근접센서(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가드(300)는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며, 그 길이가 수동으로 다단으로 조절 가능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편의상 가드(300)가 3개인 것으로 하여 설명하였다. 도 2 및 도 4에서 가드(300)의 길이는 3단으로 조절된 것을 보이고 있는데, 창문이 열려있는 경우에 따라 가드(300)의 길이를 달리할 수 있다. 또한, 가드(300)의 개수도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가드 받침부(400)는 고정측 샤시의 창틀(70)에 부착되어, 가드(300)가 하강할 때 가드(300)를 받친다. 가드 받침부(400)는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가드 받침부(400)를 원형 고정판의 바닥에 부착할 때 접착력이 강한 3M 양면 테이프가 사용되어 부착된다.
또한, 가드 받침부(400)는 고정측 샤시의 창틀(70)에 부착된 가드 받침대 (410)와, 가드 받침대(410)에 탑재되고 길이가 수동으로 다단으로 조절되는 고리 몸체(420)를 포함한다. 가드 받침대(410)의 바닥면은 원형자석이 사용되어 고정판에 부착된다. 고리 몸체(420)는 가드 받침대(410)와 볼트(bolt)로 고정되거나 일체형으로 조립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장치는 LCD 디스플레이 장치(116), 높이 조절봉(120), 센서모듈(119), 버튼 스위치(button switch, 118), 배터리(battery, 도시되지 않음), 모터(도시되지 않음), RFID 통신모듈(또는 RFID 리더기)(115), Wi-Fi 모듈(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한다. RFID 통신모듈(115)과 Wi-Fi 모듈(도시되지 않음)은 메인회로(main circuit)에 내장되어 있다.
RFID 통신을 위한 주파수는 인식거리에 따라 13.56Mhz 또는 860~960Mhz의 범위이다. RFID 리더기(115)는 RFID 태그의 정보를 활용하기 위해 RFID 태그와 송수신한다. 도 1의 메인제어장치(100)의 설정모드에서 태그등록항목을 선택하고 태그가 인식되면 태그의 고유 데이터를 저장하여 등록할 수 있다. RFID 태그의 데이터를 삭제하려면 태그 데이터 삭제항목을 선택한다.
메인제어장치(100)에는 LCD 디스플레이 장치(116)를 통해 사용자에게 설정값이나 현재 상태가 표시된다. LCD 디스플레이 장치(116) 대신에 터치 LCD, FND가 사용될 수도 있다. 도 2에서는 제어장치(100, 210, 220)가 가동측 샤시의 창틀(60)에 부착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고정측 샤시의 창틀(70)에 부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원하는 샤시의 창틀에 제어장치(100, 210, 220)를 부착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장치(100, 210, 220)는 가동측 샤시의 창틀(60)에 부착되고, 가드 홀(121)이 형성되어 가드(300)를 가드 홀(121)을 통해 결합하여 록킹(locking)되도록 한다. 제어장치(100, 210, 220)는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Wi-Fi 모듈(114)에서 Wi-Fi 무선 공유기(10)를 통해 클라우드 서버(cloud server, 20) 및 보호자 단말기 (30)와 Wi-Fi 통신이 가능하다.
메인제어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RFID 모듈(115)이 더 구비된다. 즉, 메인제어장치(100)에는 RFID 리더기(115)와 Wi-Fi 모듈(114)이 모두 구비되어 있고, 서브제어장치(210, 220)에는 Wi-Fi 모듈(214, 224)은 구비되어 있고 RFID 리더기는 구비되어 있지 않다.
메인제어장치(100)가 2곳 이상의 장소에 설치될 경우, 버튼 스위치(118)를 3초동안 누르면 번호설정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메인제어장치(100)의 번호설정항목에서 메인제어장치(100)의 번호를 설정할 수 있다. 버튼 스위치(118)의 누름시간은 3초에만 한정되지 않고 달리 설정될 수 있다.
서브제어장치(210, 220)가 2대 이상일 경우, 버튼 스위치(118)를 3초동안 누르면 번호설정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서브제어장치(210, 220)의 번호설정항목에서 서브제어장치(210, 220)의 번호를 설정할 수 있다. 버튼 스위치(118)의 누름시간은 3초에만 한정되지 않고 달리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메인제어장치(100)는 가동측 샤시와 고정측 샤시의 사이에 문이 열려있는 상태에서 RFID 태그를 착용한 보호 대상자가 가동측 샤시에 접근할 때 RFID 태그로부터 RFID 통신을 통해 RFID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보호 대상자가 접근하였다는 것을 인식하였을 때 가드(300)를 회전시켜 가동측 샤시의 창틀(60)과 고정측 샤시의 창틀(70) 사이에 가드(300)가 걸리도록 한다.
또한, 제어장치(100, 210, 220)는 그 높이가 수동으로 조절 가능하도록 하는 높이 조절봉(120)이 구비되고, 높이 조절봉(120)의 높이가 조절되어 가동측 샤시의 창틀(60)로부터의 가드(300)의 높이가 조절된다. 예를 들면, 높이 조절봉(120)의 높이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3단으로 조절될 수 있다. 각 단마다 록(lock)이 걸린다. 록의 해제를 위해서는, 록 핀(도시되지 않음)을 손으로 눌러 해제할 수 있다.
LCD 디스플레이 장치(116)는 제어장치(100, 210, 220) 전면의 상단에 위치하며 돌출형이 아닌 매립형태를 갖는다. 즉, 제어장치(100, 210, 220)의 케이스 내측에 위치한다.
또한, 메인제어장치(100)는 보호 대상자가 접근하였다는 것을 인식하였을 때 접근금지 안내음을 발생하는 안내음 발생부(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보호 대상자는 보호자가 없는 상태에서도 추락사고 또는 안전사고의 위험을 피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메인제어장치(100)는 보호 대상자가 접근하였다는 것을 인식하였을 때 보호자 단말기(30)에 감지위치정보와 보호 대상자 존재 알람신호를 송신하는 알람신호 송신부(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보호자는 보호 대상자가 어느 곳에 있는지 신속히 알 수 있게 됨으로써 보호자를 위한 신속한 후속조치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보호자는 보호자 단말기(30)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가드(300)의 동작속도와 보호 대상자의 감지거리를 설정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필요에 따라 가드 (300)의 동작과 보호자 감지방식을 달리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찬넬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 도 2, 도 4,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어장치(100, 210, 220)는 일단과 타단에 직선형의 홈이 형성된 케이스(case, 80)에 내장된다. 베이스 찬넬(500)은 가동측 샤시의 창틀(60)에 부착되고 일단과 타단이 절곡되어 내측으로 돌출부(510)를 갖도록 홈이 형성되어 케이스(80)의 일단과 타단에 형성된 직선형의 홈(81)에 돌출부(510)가 슬라이드 방식으로 끼워진다. 즉, 베이스 찬넬(500)은 케이스(80)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밀착되어 록(lock)이 걸리는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은 베이스 찬넬(500)은 제어장치의 하중을 버틸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 찬넬(500)은 가드(300)가 하강할 때 발생하는 충격과 진동에 의한 흔들림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데, 베이스 찬넬(500)을 가동측 샤시의 창틀(60)에 부착할 때 접착력이 강한 3M 양면 테이프를 사용한다.
베이스 찬넬(500)은 사각형의 형상을 갖고, 중앙과 4곳의 모서리에 원형자석 (520, 530)이 사용되어 제어장치와 밀착된 상태에서도 이중으로 부착되어 고정되기 때문에 제어장치(100, 210, 220)의 하중을 버틸 수 있게 된다. 중앙의 원형자석(520)은 4곳의 모서리의 원형자석(530)보다 큰데, 이러한 이유는 중앙에서 자석의 힘이 강해야 중심을 잡을 수 있기 때문이다.
베이스 찬넬(500)의 하중이 골고루 분포되도록 하기 위해, 4곳의 모서리의 원형자석(530)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며, 베이스 찬넬(500)의 일단과 타단의 원형자석(530)은 서로 대칭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장치가 복수일 경우의 식별번호 부여방식을 나타낸 제1 개념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장치가 복수일 경우의 식별번호 부여방식을 나타낸 제2 개념도이다.
도 7 및 도 8에서는 a의 공간(방1)과 b의 공간(방2)가 있다고 하자.
도 7을 참조하면, 제어장치가 복수일 경우를 예를 들면, A의 장소(집)의 a의 공간(방1)에 제1 메인제어장치(110) "a1b0", 제1 서브제어장치(210) "a1b1", 제2 서브제어장치(220) "a1b2", 제3 서브제어장치(230) "a1b3"과 같은 식별번호가 부여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제어장치가 복수일 경우를 예를 들면, B의 장소(집)의 b의 공간(방2)에 제1 메인제어장치(110) "b1bo", 제1 서브제어장치(210) "b1b1", 제2 서브제어장치(220) "b1b2", 제3 서브제어장치(230) "b1b3"과 같은 식별번호가 부여된다.
또한, 제어장치가 복수일 경우, A의 장소(집)의 a의 공간(방1)에 제2 메인제어장치(120) "a2b0"와 같은 식별번호가 부여되었다고 하자. 이때, a의 공간(방1)에 제4 서브제어장치(240)를 제2 메인제어장치(120)에 연결할 때 "a2b4"와 같은 식별번호가 부여된다.
제어장치를 단독의 센서모듈로 사용할 경우, A의 장소(집)의 a의 공간(방1)에서 제어장치가 추락방지기능을 제외한 센서모듈의 역할을 단독으로 사용한다고 하자. 이때, 설정항목에서 센서모듈을 단독으로 사용할 것을 선택하고 사용하고자 하는 센서모듈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온습도 센서(temperature-humidity sensor), 공기오염도 측정센서, 가스센서, 연기센서 등의 센서모듈을 제어장치에 부착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보호자는 보호 대상자가 있을 가능성이 있는 곳의 온습도, 공기오염도, 가스누출여부, 연기발생여부 등을 보호자 단말기를 통해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또한, 제어장치를 단독의 센서모듈로 사용할 경우 센서모듈을 3개까지 복수로 설정할 수 있으며, 선택항목은 사용자의 확인이 가능할 수 있게 체크되도록 표시한다.
센서모듈은 제어장치의 하단에 커넥터(connector) 또는 단자 핀과 연결되며, 밀어서 끼우는 구조를 갖는다. 센서모듈이 커넥터 또는 단자 핀과 연결되면, LCD 디스플레이 장치에 센서모듈이 1번 위치, 2번 위치, 3번 위치에 연결되어 있다는 것이 표시된다. 센서모듈이 어떤 위치에 연결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인식되지 않는다면, 설정모드에서 자기진단모드로 진입하여 설정을 초기화할 수 있다.
센서모듈은 그 위치에 따라 센서모듈의 종류를 구분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1번 위치에는 공기센서모듈만 사용되지 않고 2번 위치 또는 3번 위치에서는 사용할 수 있다. 센서모듈이 모두 사용되지 않는 경우, 즉 센서모듈이 모두 커넥터 또는 단자 핀가 연결되지 않으면 자동으로 측정할 수 없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장치를 단독의 센서모듈로 사용할 경우의 식별번호 부여방식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어장치를 단독의 센서모듈로 사용할 경우, A의 장소(집)의 a의 공간(방1)에 제1 메인제어장치(110) "aa0", 제2 메인제어장치(120) "ab0", 제3 메인제어장치(130) "ac0"의 순서로 식별번호가 부여된다.
마찬가지로, A의 장소(집)의 b의 공간에 제1 메인제어장치(110) "ba0", 제2 메인제어장치(120) "bb0", 제3 메인제어장치(130) "bc0"의 순서로 식별번호가 부여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O : Wi-Fi 무선 공유기 20 : 클라우드 서버
30 : 보호자 단말기 50 : RFID 태크
60 : 가동측 샤시의 창틀 70 : 고정측 샤시의 창틀
80 : 케이스 81 : 홈
1OO, 110, 120 : 메인제어장치 111, 211, 221 : 제1 센서
112, 212, 222 : 제2 센서 113, 213, 223 : 제3 센서
113, 214, 224 : Wi-Fi 모듈 115 : RFID 리더기
116 : LCD 디스플레이 장치 118 : 버튼 스위치
119 : 센서모듈 120 : 높이 조절봉
121 : 가드 홀 210, 220 : 서브제어장치
300 : 가드 400 : 가드 받침부 410 : 가드 받침대 420 : 고리 몸체 500 : 베이스 찬넬 510, 520, 530 : 원형자석

Claims (7)

  1. 적어도 하나의 가드;
    고정측 샤시의 창틀에 부착되어, 상기 가드가 하강할 때 상기 가드를 받치는 적어도 하나의 가드 받침부; 및
    가동측 샤시의 창틀에 부착되고, 가드 홀이 형성되어 상기 가드를 상기 가드 홀을 통해 결합하여 록킹(locking)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드 받침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장치의 개수는 동일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장치 중의 하나의 제어장치는, RFID 리더기가 구비되어 상기 가동측 샤시와 상기 고정측 샤시의 사이에 문이 열려있는 상태에서 RFID 태그를 착용한 보호 대상자가 상기 가동측 샤시에 접근할 때 RFID 태그로부터 RFID 통신을 통해 RFID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보호 대상자가 접근하였다는 것을 인식하였을 때 상기 가드를 회전시켜 상기 가동측 샤시의 창틀과 상기 고정측 샤시의 창틀 사이에 상기 가드가 걸리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 추락방지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드는 그 길이가 수동으로 다단으로 조절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 추락방지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드 받침부는,
    상기 고정측 샤시의 창틀에 부착된 가드 받침대; 및
    상기 가드 받침대에 탑재되고, 길이가 수동으로 다단으로 조절되는 고리 몸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 추락방지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장치는 일단과 타단에 직선형의 홈이 형성된 케이스에 내장되고,
    상기 가동측 샤시의 창틀에 부착되고 일단과 타단이 절곡되어 내측으로 돌출부를 갖도록 홈이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의 일단과 타단에 형성된 직선형의 홈에 상기 돌출부가 슬라이드 방식으로 끼워지는 베이스 찬넬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 추락방지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장치는 그 높이가 수동으로 조절 가능하도록 하는 높이 조절봉이 구비되고, 상기 높이 조절봉의 높이가 조절되어 상기 가동측 샤시의 창틀로부터의 상기 가드의 높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 추락방지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장치 중의 하나의 제어장치는 보호 대상자가 접근하였다는 것을 인식하였을 때 접근금지 안내음을 발생하는 안내음 발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 추락방지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장치 중의 하나의 제어장치는, 보호 대상자가 접근하였다는 것을 인식하였을 때 보호자 단말기에 감지위치정보와 보호 대상자 존재 알람신호를 송신하는 알람신호 송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 추락방지시스템.
KR1020190051955A 2019-05-03 2019-05-03 사물인터넷 기반 추락방지시스템 KR1020329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1955A KR102032938B1 (ko) 2019-05-03 2019-05-03 사물인터넷 기반 추락방지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1955A KR102032938B1 (ko) 2019-05-03 2019-05-03 사물인터넷 기반 추락방지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2938B1 true KR102032938B1 (ko) 2019-10-16

Family

ID=68421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1955A KR102032938B1 (ko) 2019-05-03 2019-05-03 사물인터넷 기반 추락방지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293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9868B1 (ko) 2010-10-06 2012-12-10 지에스칼텍스 주식회사 추락방지장치
KR200467906Y1 (ko) * 2013-03-22 2013-07-16 주식회사 세명테크 안전봉 창문 안전장치
JP2014025330A (ja) * 2012-06-21 2014-02-06 Prop:Kk 現場作業者管理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9868B1 (ko) 2010-10-06 2012-12-10 지에스칼텍스 주식회사 추락방지장치
JP2014025330A (ja) * 2012-06-21 2014-02-06 Prop:Kk 現場作業者管理システム
KR200467906Y1 (ko) * 2013-03-22 2013-07-16 주식회사 세명테크 안전봉 창문 안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92426B2 (en) Systems and methods of privacy within a security system
US10497245B1 (en) Child monitoring bracelet/anklet
US9672705B2 (en) Systems and methods of intrusion detection
US10794606B2 (en) Systems and methods of detection with active infrared sensors
US20190317462A1 (en) Managing barrier and occupancy based home automation system
US10937262B2 (en) Door system with power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US10401138B2 (en) Guided installation feedback for an opening sensor
KR101847687B1 (ko) 스마트 창호용 방범 시스템
JP4771815B2 (ja) アクティブrfidタグおよびセキュリティーシステム
US10198922B2 (en) Active infrared sensor
JP4910191B2 (ja) 保護具着用検知システム及びid−tag付き保護具
EP3440646B1 (en) Security sensing method and apparatus
EP350305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n emergency situation in a hotel room
CN108475458B (zh) 具有移动检测的窗感测设备
US10440758B2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activating wireless connection
EP3989195B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disarming an intrusion detection system
WO2016109335A1 (en) Systems and methods of intrusion detection
KR102032938B1 (ko) 사물인터넷 기반 추락방지시스템
US20200312121A1 (en) Alarm system supervisory by zone
KR101523475B1 (ko) 출입 감지 장치
EP4369321A2 (en) A security monitoring system
TWM508750U (zh) 自動設定與解除的保全系統
CN115601901A (zh) 用于入侵检测器的智能俯视功能开关设计
KR20230015617A (ko) 스마트 세트락 시스템
CN115985071A (zh) 安全防护方法及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