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5617A - 스마트 세트락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 세트락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5617A
KR20230015617A KR1020210096966A KR20210096966A KR20230015617A KR 20230015617 A KR20230015617 A KR 20230015617A KR 1020210096966 A KR1020210096966 A KR 1020210096966A KR 20210096966 A KR20210096966 A KR 20210096966A KR 20230015617 A KR20230015617 A KR 202300156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mart set
user terminal
set lock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69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2677B1 (ko
Inventor
김용남
Original Assignee
마이크로웍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이크로웍스(주) filed Critical 마이크로웍스(주)
Priority to KR10202100969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2677B1/ko
Publication of KR20230015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56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26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26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0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electromagn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05C1/0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out latching action
    • E05C1/06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out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bol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94Mechanical aspects of remotely controlled locks
    • E05B2047/0095Mechanical aspects of locks controlled by telephone signals, e.g. by mobile 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사용자로부터 출입문의 개방 또는 폐쇄 여부에 관한 동작 신호를 제공받는 사용자 단말, 상기 동작 신호에 기반하여, 출입문의 개방 또는 폐쇄 여부를 결정하는 잠금부를 동작시키는 스마트 세트락 장치, 그리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상기 동작 신호를 상기 스마트 세트락 장치에게 송신하는 IoT서버를 포함하는 스마트 세트락 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스마트 세트락 시스템{SMART SET LOCK SYSTEM}
본 발명은 스마트 세트락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물인터넷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출입문 개폐 여부를 제어하는 스마트 세트락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매장, 카페, 독서실, 통신국사, 커뮤니티 센터, 공공이용시설 등 무인으로 운영 및 관리되는 장소가 늘어나고 있으며, 무인 지점의 출입통제를 중앙(원격)에서 통제해야 하는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현재 통신사의 전국 무인국사가 일반 보조키로 운영되고 있어서, 관리 및 보안에 대한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구청의 CCTV함체의 경우 1,000여개에서 2,500여개 정도가 있는데, 자물쇠관리의 어려움과 보안위험성이 존재하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도어락 장치는 알루미늄 재질로 구성되어 있어서 통신장치 탑재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고, 원격 제어를 위해서는 별도의 주장치 및 허브 컨트롤러 박스가 부착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별도의 주장치 및 허브 컨트롤러 박스 없이 사물인터넷을 이용하여 원격 출입 제어가 가능한 기술이 요구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별도의 주장치 및 허브 컨트롤러 박스 없이 사물인터넷을 이용하여 원격 출입 제어가 가능한 스마트 세트락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스마트 세트락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스마트 세트락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출입문의 개방 또는 폐쇄 여부에 관한 동작 신호를 제공받는 사용자 단말, 상기 동작 신호에 기반하여, 출입문의 개방 또는 폐쇄 여부를 결정하는 잠금부를 동작시키는 스마트 세트락 장치, 그리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상기 동작 신호를 상기 스마트 세트락 장치에게 송신하는 IoT서버를 포함한다.
상기 스마트 세트락 장치는, 상기 출입문의 문틀의 특정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동작 신호에 기반하여 걸림부가 돌출되는 상기 잠금부를 포함하는 메인 장치부, 및 상기 출입문의 특정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걸림부가 관통되는 홀이 형성되는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세트락 장치는, 상기 메인 장치부에 포함되며, 상기 잠금부의 상기 걸림부를 신장 또는 단축시키는 솔레노이드 동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세트락 장치는, 상기 메인 장치부에 포함되며, 상기 IoT서버로부터 상기 동작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동작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걸림부가 돌출되도록 상기 솔레노이드 동작부를 동작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패킷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문열림 알림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잠금부의 잠금 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다.
별도의 주장치 및 허브 컨트롤러 박스 없이 사물인터넷을 이용하여 원격 출입 제어가 가능하다.
무인 경비 주장치 기능과 IoT 허브 기능을 통합 운영 가능하며, 고객의 상황 및 요구에 따라 기능 모듈을 다양하게 조립 및 교체가 가능하다.
도 1은 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세트락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세트락 시스템의 스마트 세트락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 및 도 4는 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세트락 시스템의 스마트 세트락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실시 예들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 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실시 예들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모듈' 혹은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모듈' 혹은 복수의'부'는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모듈' 혹은 '부'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세트락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세트락 시스템의 스마트 세트락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 및 도 4는 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세트락 시스템의 스마트 세트락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세트락 시스템은 스마트 세트락 장치(100), 사용자 단말(200), IoT서버(300)를 포함한다.
스마트 세트락 장치(100)는 한 실시예로서,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하는 동작 신호에 기반하여, 출입문의 개방 또는 폐쇄 여부를 결정하는 잠금부를 동작시킬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세트락 장치(100)는 메인 장치부(110), 잠금부(120), 체결부(130), 솔레노이드 동작부(140), 통신부(150), 제어부(160), 제1 센싱부(170), 제2 센싱부(180), 제3 센싱부(190), 제4 센싱부(195)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장치부(110)는 한 실시예로서, 출입문의 문틀의 특정 위치(예, 문틀 상단)에 설치될 수 있다.
잠금부(120)는 한 실시예로서,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하는 동작 신호에 기반하여, 돌출되는 걸림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130)는 출입문의 특정 위치(예, 출입문의 상단)에 설치될 수 있다.
체결부(130)는 한 실시예로서, 걸림부(121)가 관통되는 홀(122)이 형성될 수 있다.
메인 장치부(110) 및 체결부(130)는 한 실시예로서, 강화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통신 수행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솔레노이드 동작부(140)는 한 실시예로서, 전자석일 수 있고, 메인 장치부(110) 내부에 포함될 수 있다.
솔레노이드 동작부(140)는 한 실시예로서, 잠금부(120)의 걸림부(121)를 신장 또는 단축시킬 수 있다. 솔레노이드 동작부(140)는 한 실시예로서, 통전시 걸림부(121)를 홀(122)에서 분리할 수 있고, 단전시 걸림부(121)를 홀(122)에 결합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통신부(150)는 한 실시예로서, 유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200) 또는 IoT서버(3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방식은 한 실시예로서,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NFC 중 하나일 수 있다.
통신부(150)는 한 실시예로서, 메인 장치부(110) 내부에 포함될 수 있고,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네트워크를 통해 IoT서버(300)로부터 사용자 단말(200)에 입력되는 동작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별도의 허브 컨트롤러 박스 없이 스마트 세트락 장치(100)가 무선 IoT 허브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한 실시예로서, 사용자 단말(200)의 동작 신호에 기반하여 걸림부(121)가 돌출되도록 솔레노이드 동작부(140)를 동작시킬 수 있다.
제어부(160)는 한 실시예로서, 근거리 무선 통신(예, 블루투스, Wi-Fi, ZigBee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패킷 신호를 수신하면, 패킷 신호에 포함된 식별 정보(ID)가 미리 등록된 식별 정보와 일치하는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한 실시예로서, 패킷 신호에 포함된 식별 정보(ID)가 미리 등록된 식별 정보와 일치하면, 통신부(150)를 통해 사용자 단말(200)에게 문열림 알림 메시지를 송신하고, 잠금부(120)의 잠금 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다.
제1 센싱부(170)는 한 실시예로서, 적외선 센서일 수 있고, 사람의 동작을 감지할 수 있다.
제1 센싱부(170)는 한 실시예로서, 메인 장치부(110) 또는 체결부(130)의 특정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어부(160)는 한 실시예로서, 제1 센싱부(170)에 의해 사람의 동작이 감지되면, 통신부(150)를 통해 사용자 단말(200)에게 침입 감지 알림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한 실시예로서, 제1 센싱부(170)에 의해 사람의 동작이 감지되면, 통신부(150)를 통해 IoT서버(300)에게 침입 감지 알림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고, IoT서버(300)는 사용자 단말(200)에게 침입 감지 알림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제2 센싱부(180)는 한 실시예로서, 화재 감지 센서일 수 있고, 화재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제2 센싱부(180)는 한 실시예로서, 메인 장치부(110) 또는 체결부(130)의 특정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어부(160)는 한 실시예로서, 제2 센싱부(180)에 의해 화재가 감지되면, 통신부(150)를 통해 사용자 단말(200)에게 화재 감지 알림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한 실시예로서, 제2 센싱부(180)에 의해 화재가 감지되면, 통신부(150)를 통해 IoT서버(300)에게 화재 감지 알림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고, IoT서버(300)는 사용자 단말(200)에게 화재 감지 알림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제3 센싱부(190)는 한 실시예로서, 자석 감지 센서일 수 있고, 출입문의 개폐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제3 센싱부(190)는 한 실시예로서, 메인 장치부(110)의 특정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체결부(130)의 특정 위치(예, 출입문 차단시 제3 센싱부(190)의 위치와 인접하는 위치)에 자석이 배치될 수 있다.
제어부(160)는 한 실시예로서, 제3 센싱부(190)에 의해 출입문의 개폐가 감지되면, 사용자 단말(200)에게 사용자의 출입 횟수 및 출입 시간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한 실시예로서, 제3 센싱부(190)에 의해 출입문의 개폐가 감지되면, 통신부(150)를 통해 IoT서버(300)에게 사용자의 출입 횟수 및 출입 시간 정보를 송신할 수 있고, IoT서버(300)는 사용자 단말(200)에게 사용자의 출입 횟수 및 출입 시간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제4 센싱부(195)는 한 실시예로서, 온습도 센서일 수 있고,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한 실시예로서, 제4 센싱부(195)에 의해 실시간 감지되는 온도 및 습도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에게 송신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한 실시예로서, 제4 센싱부(195)에 의해 실시간 감지되는 온도 및 습도 정보를 통신부(150)를 통해 IoT서버(300)에게 송신할 수 있고, IoT서버(300)는 사용자 단말(200)에게 온도 및 습도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표시부(197)는 한 실시예로서, LED일 수 있다.
제어부(160)는 한 실시예로서, 제1 센싱부(170)에 의해 사람의 동작이 감지되면, 표시부(197)를 점등시키거나 점멸시킬 수 있다.
제어부(160)는 한 실시예로서, 제2 센싱부(180)에 의해 화재가 감지되면, 표시부(197)를 점등시키거나 점멸시킬 수 있다.
제어부(160)는 한 실시예로서, 제3 센싱부(190)에 의해 출입문의 개폐가 감지되면, 표시부(197)를 점등시키거나 점멸시킬 수 있다.
표시부(197)는 한 실시예로서, 7세그먼트 표시 장치,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스피커부(198)는 한 실시예로서, 제어부(160)의 명령을 수신하면, 미리 저장된 음성 또는 경고음을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한 실시예로서, 제1 센싱부(170)에 의해 사람의 동작이 감지되면, 스피커부(198)를 통해 미리 저장된 음성 또는 경고음을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한 실시예로서, 제2 센싱부(180)에 의해 화재가 감지되면, 스피커부(198)를 통해 미리 저장된 음성 또는 경고음을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한 실시예로서, 제3 센싱부(190)에 의해 출입문의 개폐가 감지되면, 스피커부(198)를 통해 미리 저장된 음성 또는 경고음을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한 실시예로서, 근거리 통신(예, 블루투스, Wi-Fi, ZigBee 등)를 통해 스마트 세트락 장치(100)와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한 실시예로서,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네트워크를 통해 IoT서버(300)에 접속할 수 있고, 각종 알림 메시지 및 온도 및 습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한 실시예로서, 앱(APP) 또는 웹(WEB)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출입문의 개방 또는 폐쇄 여부에 관한 동작 신호를 제공받을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한 실시예로서, IoT서버(300)에게 동작 신호를 송신할 수 있고, IoT서버(300)는 스마트 세트락 장치(100)에게 동작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한 실시예로서, 이동 통신 단말기, 데스크톱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팜톱(palmtop) 컴퓨터,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웹 패드 등과 같이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연산 능력을 갖춘 디지털 기기일 수 있다.
IoT서버(300)는 한 실시예로서,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하는 동작 신호를 스마트 세트락 장치(100)에게 송신할 수 있다.
IoT서버(300)는 한 실시예로서, 스마트 세트락 장치(100)로부터 수신하는 출입문 개폐 여부에 관한 정보, 동작 감지 정보, 화재 감지 정보, 온습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IoT서버(300)는 한 실시예로서, 스마트 세트락 장치(100)로부터 수신하는 출입문 개폐 여부에 관한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별 근태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200)에게 사용자별 근태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본 실시 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5)

  1. 사용자로부터 출입문의 개방 또는 폐쇄 여부에 관한 동작 신호를 제공받는 사용자 단말,
    상기 동작 신호에 기반하여, 출입문의 개방 또는 폐쇄 여부를 결정하는 잠금부를 동작시키는 스마트 세트락 장치, 그리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상기 동작 신호를 상기 스마트 세트락 장치에게 송신하는 IoT서버
    를 포함하는 스마트 세트락 시스템.
  2. 제1항에서,
    상기 스마트 세트락 장치는,
    상기 출입문의 문틀의 특정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동작 신호에 기반하여 걸림부가 돌출되는 상기 잠금부를 포함하는 메인 장치부, 및
    상기 출입문의 특정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걸림부가 관통되는 홀이 형성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세트락 시스템.
  3. 제2항에서,
    상기 스마트 세트락 장치는,
    상기 메인 장치부에 포함되며, 상기 잠금부의 상기 걸림부를 신장 또는 단축시키는 솔레노이드 동작부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세트락 시스템.
  4. 제3항에서,
    상기 스마트 세트락 장치는,
    상기 메인 장치부에 포함되며, 상기 IoT서버로부터 상기 동작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동작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걸림부가 돌출되도록 상기 솔레노이드 동작부를 동작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세트락 시스템.
  5. 제4항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패킷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문열림 알림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잠금부의 잠금 상태를 해제시키는, 스마트 세트락 시스템.
KR1020210096966A 2021-07-23 2021-07-23 스마트 세트락 시스템 KR1026226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6966A KR102622677B1 (ko) 2021-07-23 2021-07-23 스마트 세트락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6966A KR102622677B1 (ko) 2021-07-23 2021-07-23 스마트 세트락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5617A true KR20230015617A (ko) 2023-01-31
KR102622677B1 KR102622677B1 (ko) 2024-01-10

Family

ID=85109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6966A KR102622677B1 (ko) 2021-07-23 2021-07-23 스마트 세트락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267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0718A (ko) * 2015-02-16 2016-08-24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비접촉식 근거리 무선통신 환경에서 스마트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도어락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도어락 제어 방법
KR102052178B1 (ko) * 2017-12-22 2019-12-04 (주)임픽스 원격 IoT 시건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0718A (ko) * 2015-02-16 2016-08-24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비접촉식 근거리 무선통신 환경에서 스마트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도어락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도어락 제어 방법
KR102052178B1 (ko) * 2017-12-22 2019-12-04 (주)임픽스 원격 IoT 시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2677B1 (ko) 2024-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36788B2 (en) Door improvements and data mining via accelerometer and magnetometer electronic component
US1183030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ccess to physical space
US9672705B2 (en) Systems and methods of intrusion detection
US9747769B2 (en) Entry point opening sensor
US10229585B1 (en) Handling duress input
US10083596B2 (en) Systems and methods of automated arming and disarming of a security system
US9940798B2 (en) Alarm arming with open entry point
US20160189527A1 (en) Intelligent Object-Based Alarm System
US20170018167A1 (en) Systems and methods of dynamically varying a pre-alarm time of a security system
US10937262B2 (en) Door system with power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KR20150052974A (ko) 도어록 일체형 스마트 도어 및 그 제어방법
JP2013501988A (ja) 管理及び監視方法
RU2599360C1 (ru) Система домашней сигнализации
WO2016109335A1 (en) Systems and methods of intrusion detection
KR102622677B1 (ko) 스마트 세트락 시스템
KR20160062512A (ko) 센서 통합 관리에 의한 스마트 방범 시스템 및 기법
US10715231B1 (en) Antenna switch diversity circuitry
US10571508B2 (en) Systems and methods of detecting cable connectivity in a smart home environment
US20170011574A1 (en) Electronic tamper resistant load control
GB2434239A (en) Security system with RFID tag reader
BR102019011656A2 (pt) Sistema de controle de acess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