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2779B1 - 압축기체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압축기체 공급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32779B1 KR102032779B1 KR1020170109410A KR20170109410A KR102032779B1 KR 102032779 B1 KR102032779 B1 KR 102032779B1 KR 1020170109410 A KR1020170109410 A KR 1020170109410A KR 20170109410 A KR20170109410 A KR 20170109410A KR 102032779 B1 KR102032779 B1 KR 10203277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ood container
- gas
- container
- inlet
- supply devi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65D51/280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 B65D51/285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displacing or removing an element enclosing it
- B65D51/2892—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displacing or removing an element enclosing it the element, e.g. a valve, opening an aperture of the auxiliary contain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65D41/0407—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with integral sealing means
- B65D41/0428—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with integral sealing means formed by a collar, flange, rib or the like contacting the top rim or the top edges or the external surface of a container neck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mpressor (AREA)
- Vacuum Packa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축기체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커버; 내부에 압축된 기체가 담겨진 기체용기를 수용하고, 액체가 담겨진 식품용기의 개방된 입구부에 설치되기 위한 몸체; 상기 몸체에 구비되어 기체용기를 개방시켜 압축된 기체를 상기 식품용기 내로 토출시키기 위한 토출수단; 상기 커버를 상기 몸체와 결합된 상태에서 이동시키면서 상기 기체용기를 가압하여 상기 토출수단에 의해 개방시키는 작동수단; 및 상기 작동수단에 구비되어 상기 기체용기가 상기 토출수단에 의해 개방되기 전의 상태라는 것을 확인하기 위한 인식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압축기체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소는 호흡뿐만 아니라 각종 피로 물질을 분해시키고 신진대사를 원활하게 해주며 근육 및 심폐 기능을 향상시키는 등, 사람의 생활에 없어서는 안 될 기체이다.
특히 최근에 와서 임상 실험을 통해 고농축 산소수를 음용하는 경우 간의 해독작용과 소화효소의 분비를 촉진한다는 것이 밝혀져 산소를 물, 술 및 화장품에 고농축으로 용해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제품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과일 음료, 일반 물 또는 탄산음료의 경우, 이를 유리병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음료용기에 저장하여 보관 및 판매하고 있으나, 고농도의 용존산소량이 유지되어 인체에 혈액순환 및 신진대사를 원활하도록 음료용기에 산소를 주입하는 장치가 제공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종래에는 한국특허: 등록번호 제10-1622949호에서 개진된 바와 같이, 압축기체 공급장치를 통해 산소가 식품용기에 공급되어 용존산소량을 높일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종래 압축기체 공급장치는 기체용기가 토출수단에 의해 개방될 때를 정확히 인식하지 못해 의도하지 않은 시점에 기체용기에 포함된 산소와 같은 기체가 식품용기 내부로 토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압축기체 공급장치는 공급장치가 식품용기의 입구부와 결합하여 밀폐될 때 식품용기의 입구부의 길이에 따라 밀봉 정도가 달라지게 되는데, 그 결과 압축기체가 식품용기 내부로 토출될 때 압력이 증가하면 액체가 역류하여 밖으로 분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압축기체 공급장치는 압축기체가 식품용기 내부로 토출되는 것을 명도와 같은 주위의 환경에 따라 시각적으로 정확히 인식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가 압축기체 공급장치를 사용할 때 기체용기가 개방되어 압축기체가 식품용기 내로 토출하기 위한 전 단계라는 것을 정확히 인식할 수 있는 압축기체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압축기체 공급장치가 식품용기의 입구부와 결합하여 밀폐될 때 식품용기의 입구부의 길이에 상관없이 완전히 밀봉하여 액체가 역류하지 않게 하는 압축기체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압축기체 공급장치가 압축기체를 식품용기 내부로 토출할 때 조명을 가하여 주위의 환경과 상관없이 토출되는 과정을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압축기체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측면에 따르면, 커버; 내부에 압축된 기체가 담겨진 기체용기를 수용하고, 액체가 담겨진 식품용기의 개방된 입구부에 설치되기 위한 몸체; 상기 몸체에 구비되어 기체용기를 개방시켜 압축된 기체를 상기 식품용기 내로 토출시키기 위한 토출수단; 상기 커버를 상기 몸체와 결합된 상태에서 이동시키면서 상기 기체용기를 가압하여 상기 토출수단에 의해 개방시키는 작동수단; 및 상기 작동수단에 구비되어 상기 기체용기가 상기 토출수단에 의해 개방되기 전의 상태라는 것을 확인하기 위한 인식수단;을 포함하는 압축기체 공급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식수단은 돌출돌기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식품용기의 입구부를 위치시키기 위해 상기 몸체에 구비된 설치공간부; 및 상기 설치공간부의 상단부에 하측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식품용기의 입구부를 밀폐시키기 위하여 상기 입구부의 길이에 상응하여 돌출된 길이가 가변되는 밀폐턱; 을 더 포함하는 압축기체 공급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측면에 의하면, 커버; 내부에 압축된 기체가 담겨진 기체용기를 수용하고, 액체가 담겨진 식품용기의 개방된 입구부에 설치되기 위한 몸체; 상기 몸체에 구비되어 기체용기를 개방시켜 압축된 기체를 상기 식품용기 내로 토출시키기 위한 토출수단; 상기 커버를 상기 몸체와 결합된 상태에서 이동시키면서 상기 기체용기를 가압하여 상기 토출수단에 의해 개방시키는 작동수단; 상기 식품용기의 입구부를 위치시키기 위해 상기 몸체에 구비된 설치공간부; 및 상기 설치공간부의 상단부에 하측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식품용기의 입구부를 밀폐시키기 위하여 상기 입구부의 길이에 상응하여 돌출된 길이가 가변되는 밀폐턱;을 포함하는 압축기체 공급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치공간부와 상기 밀폐턱 사이에 스프링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토출수단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기체용기로부터 상기 식품용기로의 일방향으로 상기 압축된 기체의 흐름을 허용하고, 반대방향으로의 흐름을 차단하는 체크밸브를 더 포함하는 압축기체 공급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크밸브는, 상기 주입공을 개폐하며, 양단의 압력차에 의해 이동되는 피스톤; 상기 주입공을 향한 상기 피스톤이 왕복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피스톤을 지지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피스톤에 결합된 제1결합부재;
상기 제1결합부재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제2결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결합부재 및 상기 제2결합부재 중 어느 하나에는 홈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홈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토출수단의 하단에 결합하고, 토출되는 상기 기체의 압력에 반응하는 조명부;를 더 포함하는 압축기체 공급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압축된 기체가 상기 식품용기 내부로 토출될 때 상기 밀폐턱과 상기 몸체를 상기 입구부에 접촉 결합하여 상기 식품용기 내부의 압력을 견디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압축기체 공급장치는 사용자가 압축기체 공급장치를 사용할 때 기체용기가 개방되어 압체기체가 식품용기 내로 토출하기 위한 전 단계라는 것을 정확히 인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압축기체 공급장치가 식품용기의 입구부와 결합하여 밀폐될 때 식품용기의 입구부의 길이에 상관없이 완전히 밀봉하여 액체가 역류하지 않게 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압축기체 공급장치가 압축기체를 식품용기 내부로 토출할 때 조명을 가하여 주위의 환경과 상관없이 토출되는 과정을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체 공급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체 공급장치의 인식수단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3은 식품용기의 입구부의 길이에 따라 압축기체 공급장치와 식품용기의 밀봉 정도가 달라지게 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체 공급장치의 밀폐턱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체 공급장치의 토출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체 공급장치의 토출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체 공급장치의 인식수단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3은 식품용기의 입구부의 길이에 따라 압축기체 공급장치와 식품용기의 밀봉 정도가 달라지게 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체 공급장치의 밀폐턱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체 공급장치의 토출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체 공급장치의 토출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체 공급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압축기체 공급장치(100)는 몸체(110), 커버(120), 토출수단(130), 작동수단(140), 인식수단(150) 및 밀폐턱(160)을 포함한다.
몸체(110)는 내부에 수용공간부(111)와 하부에 설치공간부(112)를 포함한다. 수용공간부(111)에는 마개에 의해 압축된 기체가 담겨진 후 폐쇄된 기체용기(200)가 수용된다. 설치공간부(112)에는 액체가 담겨진 식품용기(1)의 개방된 입구부가 설치된다. 한편, 기체용기(200)에 담겨지는 압축기체는 주로 산소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커버(120)는 몸체(110)의 수용공간부(111)에 수용된 기체용기(20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되고, 결합수단(140)에 의해 몸체(110)에 결합된다.
토출수단(130)은 몸체(110)에 구비되어 기체용기(200)의 마개를 개방시켜 압축된 기체를 식품용기(1) 내부로 토출시킨다.
작동수단(140)은 제1작동나사산(141) 및 제2작동나사산(142)을 포함한다.
제1작동나사산(141)은 몸체(110)의 수용공간부(111)에 형성되고, 제2작동나사산(142)은 제1작동나사산(141)에 대응되도록 커버(120)의 외주를 따라 형성된다.
작동수단(140)은 제2작동나사산(142)이 제1작동나사산(141)을 따라 체결되도록 커버(200)를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작동수단(140)이 회전함에 따라 커버(120)가 기체용기(200)를 하측으로 가압하여 이동시키고, 토출수단(130)에 의해 기체용기(200)의 압축기체가 식품용기(1) 내부로 토출된다.
인식수단(150)은 기체용기(200)가 토출수단(130)에 의해 토출되기 전의 상태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게 한다.
구체적으로, 인식수단(150)은 제1작동나사산(141) 및 제2작동나사산(14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주를 따라 돌출돌기로 형성될 수 있다.
밀폐턱(160)은 설치공간부(112)의 상단부에서 하측으로 돌출형성되고, 식품용기(1)의 입구부를 밀폐시키기 위하여 식품용기(1) 입구부의 길이에 상응하여 돌출된 길이가 가변된다.
밀폐턱(160)은 식품용기(1)의 입구부와 접촉하여 토출수단(130)에 의해 압축된 기체가 식품용기(1)로 토출되어 식품용기 내부의 압력이 높아지더라도 식품용기(1)의 액체가 흘러넘치는 것을 밀봉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체 공급장치의 인식수단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2(a)는 기체용기(200)가 몸체(110)의 수용공간부(111)에 수용되고, 커버(120)가 몸체(110)에 결합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는 커버(120)가 기체용기(200)의 상부에 접촉하지 않은 상태로 커버(120)로 인해 기체용기(200)가 토출수단(130)에 접촉하지 않으며, 제1작동나사산(141)과 제2작동나사산(142)이 결합하지 않는다.
도 2(b)는 작동수단(140)에 의해 커버(120)가 몸체(110)를 따라 움직여 인식수단(150)과 접촉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는 제2작동나사산(142)이 제1작동나사산(141)과 결합하여 이동하면서 제1작동나사산(141)과 제2작동나사산(142)에 돌출형성된 인식수단(150)이 서로 접촉하게 되어 사용자는 인식수단(150)에 의해서 진동을 느껴 기체용기(200)가 토출수단(130)에 의해 토출되기 전인 것을 인식하게 된다.
도 2(c)는 작동수단(140)에 의해 커버(120)가 몸체(110)를 따라 움직여 기체용기(200)를 가압하여 기체용기(200)가 토출수단(130)에 의해 토출되는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는 커버(200)가 인식수단(150)을 지나 몸체(110)로 이동하면서 기체용기(200)를 가압하여 기체용기(200)가 토출수단(130)에 의해 토출된다.
도 3은 식품용기의 입구부의 길이에 따라 압축기체 공급장치와 식품용기의 밀봉 정도가 달라지게 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는 식품용기(1)의 입구부의 길이가 길어서 밀폐턱(160)이 식품용기(1)의 입구부와 접촉한 상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토출수단(130)에 의해 압축된 기체가 식품용기(1)로 토출되어 식품용기(1) 내부의 압력이 높아지더라도 식품용기(1)의 입구부와 접촉된 밀폐턱(160)에 의해 식품용기(1)에 수용되어 있는 액체가 식품용기(1) 밖으로 흘러넘치는 것을 1차적으로 방지한다.
또한, 밀폐턱(160)을 넘어 식품용기(1)의 액체가 흘러넘쳐도 2차적으로 식품용기(1)의 입구부와 결합된 몸체(110)가 밀봉되어 있어 식품용기(1) 밖으로 액체가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b)는 식품용기(1)의 입구부의 길이가 짧아서 밀폐턱(160)이 식품용기(1)의 입구부와 접촉하지 못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b)를 참조하면, 식품용기(1) 내부의 압력이 높아지는 경우 몸체(110)만으로 식품용기(1) 내부의 압력을 견디지 못하여 식품용기(1)의 액체가 식품용기(1) 밖으로 넘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체 공급장치의 밀폐턱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4a(a) 및 도 4a(b)는 압축기체 공급용기(100)의 몸체(110) 설치공간부(112)의 하단 일측면에 홈이 있으며, 홈 안에 스프링(410)이 삽입되어 있고 그 위에 밀폐턱(160)이 돌출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실시예이다.
도 4a(a)는 식품용기(1)의 입구부의 길이가 짧은 경우를 나타내고, 도 4a(b)는 식품용기(1)의 입구부의 길이가 긴 경우를 나타낸다.
도 4a(a)를 참조하면, 식품용기(1)의 입구부의 길이가 짧은 경우에는 홈 안에 스프링(410)의 압력에 의해 밀페턱(160)이 입구부와 접촉됨을 알 수있다.
도 4a(b)를 참조하면, 식품용기(1)의 입구부의 길이가 긴 경우에는 몸체(110)가 식품용기(1)의 입구부까지 결합되면, 밀폐턱(160)이 식품용기(1)의 입구부와 접촉해 압력에 의해 스프링(410)이 눌려지면서 밀폐턱(160)이 홈으로 들어간다.
도 4b(c) 및 도 4b(d)는 압축기체 공급용기(100)의 몸체(110) 설치공간부(112)에 하단 일측면에 돌출형성되어 있는 밀폐턱(160)이 이중구조로 상부밀폐턱(161)과 하부 밀폐턱(162)이 있으며, 상부 밀폐턱(161)의 내부에는 스프링(410)이 있는 상태를 나타낸 실시예이다.
도 4b(c)는 식품용기(1)의 입구부의 길이가 짧은 경우를 나타내고, 도 4b(d)는 식품용기(1)의 입구부의 길이가 긴 경우를 나타낸다.
도 4b(c)를 참조하면, 식품용기(1)의 입구부의 길이가 짧은 경우에는 상부 밀폐턱(161) 안에 스프링(410)의 압력에 의해 하부 밀페턱(162)이 입구부와 접촉됨을 알 수 있다.
도 4b(d)를 참조하면, 식품용기(1)의 입구부의 길이가 긴 경우에는 몸체(110)가 식품용기(1)의 입구부까지 결합되면, 하부 밀폐턱(162)이 식품용기(1)의 입구부와 접촉해 압력에 의해 스프링(410)이 눌려지면서 하부 밀폐턱(162)이상부 밀폐턱(161)으로 들어간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체 공급장치의 토출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5(a)는 압축기체 공급장치(100)의 토출장치(130)의 사시도이며, 도 5(b)는 압축기체 공급장치(100)의 토출장치(130)의 절개도 이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토출수단(130)은 토출몸체(510), 바늘(520), 주입공(530), 체크밸브(540), 스위치(550) 및 조명부(560)로 구성된다.
토출몸체(510)는 몸체(11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내부가 비어 있다.
바늘(520)은 기체용기(200)의 마개를 뚫기 위해 토출몸체(510)에서 커버(120)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주입공(530)은 제1주입공(531)과 제2주입공(532)으로 구성된다.
제1주입공(531)은 바늘(520)을 관통해 바늘(520) 내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제2주입공(532)은 토출몸체(510) 내부의 하부 일측면에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어 기체용기(200)의 압축기체가 제1주입공(531)을 지나 토출몸체(510)의 내부로 이동해 제2주입공(532)으로 배출되어 식품용기(1)로 주입된다.
체크밸브(540)는 토출몸체(510)의 내부에 위치하고, 기체용기로부터 식품용기로의 일방향으로 압축된 기체의 흐름을 허용하고, 반대방향으로의 흐름을 차단한다.
체크밸브(540)는 피스톤(541) 및 가이드부(542)를 포함한다.
피스톤(541)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넓어지는 모양으로 제1주입공(631)의 하부에 위치해 제1주입공(631)을 개폐하며, 제1주입공(531) 및 제2주입공(532)의 압력차에 의해 이동한다.
가이드부(542)는 피스톤(541)이 제1주입공(531)을 왕복 이동이 가능하도록, 피스톤(541)을 지지한다.
가이드부(542)는 제1결합부재(543) 및 제2결합부재(544)를 포함한다.
제1결합부재(543)는 피스톤(541)의 하부 바닥면에 돌출형성되어 있다.
제2결합부재(544)는 토출몸체(510)의 내부 하부 일측면에 제1결합부재(542)에 대응되게 돌출형성 되어 제1결합부재(543)와 슬리이드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 때, 제1결합부재(543) 및 제2결합부재(544) 중 어느 하나에는 홈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홈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된다.
또한, 제1결합부재(543) 및 제2결합부재(544)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홈의 길이는, 피스톤(541)이 이동한 길이보다 길다.
스위치(550)는 토출몸체(510)의 내부 하부 바닥면 일측에 설치되어 압력에 반응해 조명부(560)를 작동시킨다.
조명부(560)는 토출몸체(510)의 하부에 형성되어 기체용기(200)의 압축기체가 분출될 경우에 발생되는 압력에 의해 스위치(550)에서 작동신호를 받아 조명을 밝혀 식품용기(1) 내부로 압축기체가 분출되는 것을 볼 수 있도록 하며, 분출이 없을 경우에는 스위치(550)에서 작동신호를 받지 못해 자동으로 꺼진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체 공급장치의 토출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6(a)는 토출장치(130)에 이해 기체용기(200)가 개방되어 압축기체가 분출되고 있는 경우를 나타내고, 도 6(b)는 식품용기(1)의 내부에 압축기체가 공급되어 압력이 높아져 기체가 역류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기체용기(200)가 토출장치(130)의 바늘(520)에 의해 개방되면 압축기체가 분출되고, 압축기체의 압력이 피스톤(541)에 전달되면, 피스톤(541) 하부에 있는 제1결합부재(543)가 제2결합부재(544)로 슬라이드 이동해 피스톤(541)이 하강하게 되어 제1주입공(531)이 열려 압축기체가 토출몸체(510) 내부로 들어가 제2주입공(532)을 통해 식품용기(1) 내부로 주입된다.
또한, 토출몸체(510) 내부로 들어간 압축기체가 토출몸체(510)의 내부 바닥에 있는 스위치(550)에 압력을 가해 조명부(560)를 작동시킨다.
도 6(b)를 참조하면, 기체용기(200)의 압축기체가 식품용기(1)의 내부로 주입되어 식품용기(1)의 압력이 높아져 기체가 역류해 제2주입공(532)을 통해 토출몸체(510)로 이동하여 하강했던 피스톤(541)에 압력을 전달하면, 피스톤(541) 하부에 있는 제1결합부재(543)가 제1주입공(531) 방향으로 제2결합부재(544)에서 슬라이드 이동해 피스톤(541)이 상승하게 되어 피스톤(541)이 제1주입공(531)을 막아 역류를 방지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압축기체 공급장치 110 : 몸체
120 : 커버 130 : 토출수단
140 : 작동수단 150 : 인식수단
160 : 밀폐턱 200 : 기체용기
120 : 커버 130 : 토출수단
140 : 작동수단 150 : 인식수단
160 : 밀폐턱 200 : 기체용기
Claims (10)
- 삭제
- 삭제
- 삭제
- 커버;
내부에 압축된 기체가 담겨진 기체용기를 수용하고, 액체가 담겨진 식품용기의 개방된 입구부에 설치되기 위한 몸체;
상기 몸체에 구비되어 기체용기를 개방시켜 압축된 기체를 상기 식품용기 내로 토출시키기 위한 토출수단;
상기 커버를 상기 몸체와 결합된 상태에서 이동시키면서 상기 기체용기를 가압하여 상기 토출수단에 의해 개방시키는 작동수단;
상기 식품용기의 입구부를 위치시키기 위해 상기 몸체에 구비된 설치공간부; 및
상기 설치공간부의 상단부에 하측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식품용기의 입구부를 밀폐시키기 위한 밀폐턱;을 포함하되,
상기 설치공간부와 상기 밀폐턱 사이에 스프링이 있으며,
상기 밀폐턱은 상기 식품용기마다 다른 입구부의 길이에 상응하여 상기 입구부를 밀폐시키도록 위치가 상하로 이동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체 공급장치. - 삭제
- 삭제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수단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기체용기로부터 상기 식품용기로의 일방향으로 상기 압축된 기체의 흐름을 허용하고, 반대방향으로의 흐름을 차단하는 체크밸브를 더 포함하되,
상기 체크밸브는,
주입공을 개폐하며, 상기 기체용기와 상기 식품용기의 압력차에 의해 이동되는 피스톤; 및
상기 주입공을 향한 상기 피스톤이 왕복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피스톤을 지지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체 공급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피스톤에 결합된 제1결합부재; 및
상기 제1결합부재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제2결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결합부재 및 상기 제2결합부재 중 어느 하나에는 홈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홈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체 공급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수단의 하단에 결합하고, 토출되는 상기 기체의 압력에 반응하는 조명부;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체 공급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된 기체가 상기 식품용기 내부로 토출될 때 상기 밀폐턱과 상기 몸체를 상기 입구부에 접촉 결합하여 상기 식품용기 내부의 압력을 견디도록 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체 공급장치.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09410A KR102032779B1 (ko) | 2017-08-29 | 2017-08-29 | 압축기체 공급장치 |
KR1020190122033A KR102352979B1 (ko) | 2017-08-29 | 2019-10-02 | 압축기체 공급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09410A KR102032779B1 (ko) | 2017-08-29 | 2017-08-29 | 압축기체 공급장치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22033A Division KR102352979B1 (ko) | 2017-08-29 | 2019-10-02 | 압축기체 공급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25111A KR20190025111A (ko) | 2019-03-11 |
KR102032779B1 true KR102032779B1 (ko) | 2019-10-18 |
Family
ID=65758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09410A KR102032779B1 (ko) | 2017-08-29 | 2017-08-29 | 압축기체 공급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32779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88189B1 (ko) * | 2019-06-21 | 2020-12-07 | 김금아 | 압축기체캡슐 토출기를 구비하는 휴대용 산소공급용 텀블러 |
KR102205631B1 (ko) * | 2020-05-13 | 2021-01-21 | (주)오투비스 | 밀봉용기의 압축기체 공급장치 |
CN114604519A (zh) * | 2022-03-25 | 2022-06-10 | 福建恒源食品科技有限公司 | 一种饮料瓶盖结构和饮料瓶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07978B1 (ko) * | 1992-08-14 | 2002-02-19 | 버크,제프리에이취 | 라이너가없는밀폐물 |
KR200327594Y1 (ko) * | 2003-06-10 | 2003-09-26 | 주식회사 비제이엘 | 병마개 |
KR200460252Y1 (ko) * | 2009-10-21 | 2012-05-15 | 남중희 | 용기용 봉인구조 |
KR101713246B1 (ko) * | 2016-07-15 | 2017-03-09 | 노예우 | 산소 혼합 음료용기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80290120A1 (en) * | 2007-05-25 | 2008-11-27 | Helf Thomas A | Actuator cap for a spray device |
KR20150007187A (ko) * | 2013-07-10 | 2015-01-20 | (주)윤영 | 압축기체 투입식 분사용기 |
-
2017
- 2017-08-29 KR KR1020170109410A patent/KR10203277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07978B1 (ko) * | 1992-08-14 | 2002-02-19 | 버크,제프리에이취 | 라이너가없는밀폐물 |
KR200327594Y1 (ko) * | 2003-06-10 | 2003-09-26 | 주식회사 비제이엘 | 병마개 |
KR200460252Y1 (ko) * | 2009-10-21 | 2012-05-15 | 남중희 | 용기용 봉인구조 |
KR101713246B1 (ko) * | 2016-07-15 | 2017-03-09 | 노예우 | 산소 혼합 음료용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25111A (ko) | 2019-03-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32779B1 (ko) | 압축기체 공급장치 | |
CN110127581B (zh) | 用于制造饮料的盒接收座、盒系统、饮料制备机和方法 | |
CN112455912B (zh) | 压缩气体供应装置 | |
KR101430988B1 (ko) |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 |
US20130089645A1 (en) | Carbonated beverage appliance | |
KR101832367B1 (ko) | 음료용기의 산소주입장치 | |
KR20140012007A (ko) | 혼합 음료 조제 및 분배 | |
KR20100048927A (ko) | 액체 저장용기의 펌핑장치 | |
KR20160054975A (ko) | 압축기체 공급장치 | |
KR20140002773U (ko) | 용기 캡핑 장치 | |
KR20190116959A (ko) | 압축기체 공급장치 | |
KR101492934B1 (ko) | 벨로우 포밍 펌프 | |
KR20180103291A (ko) | 비드 토출용 펌프 용기 | |
KR200465590Y1 (ko) | 스포이트 타입의 화장품용기 | |
KR101658742B1 (ko) | 압축기체 공급장치 | |
KR101310246B1 (ko) | 노즐 출몰형 화장품 용기 | |
GB2249084A (en) | Closure means allowing venting of a beverage container | |
KR102500966B1 (ko) | 압축기체 공급장치 | |
KR200450883Y1 (ko) | 펌프 디스펜서 | |
JP5964069B2 (ja) | 泡吐出器 | |
KR102311422B1 (ko) | 일체형 압축기체 공급장치 | |
JP6431355B2 (ja) | 泡吐出器 | |
KR102140284B1 (ko) | 액상 화장품의 미스트 분사기구 | |
KR200187929Y1 (ko) | 화장품 용기의 펌핑장치 | |
JP6991571B2 (ja) | サーバ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