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2676B1 - 이산화탄소 활용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산화탄소 활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2676B1
KR102032676B1 KR1020190024253A KR20190024253A KR102032676B1 KR 102032676 B1 KR102032676 B1 KR 102032676B1 KR 1020190024253 A KR1020190024253 A KR 1020190024253A KR 20190024253 A KR20190024253 A KR 20190024253A KR 102032676 B1 KR102032676 B1 KR 1020326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dioxide
aqueous solution
utilization system
cathode
an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42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건태
김창민
김정원
Original Assignee
울산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울산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울산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900242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26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26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2676B1/ko
Priority to PCT/KR2020/000304 priority patent/WO2020145642A2/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00Electrolytic production of inorganic compounds or non-met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1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bsorption
    • B01D53/1456Removing acid components
    • B01D53/1475Removing carbon di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00Electrolytic production of inorganic compounds or non-metals
    • C25B1/01Products
    • C25B1/02Hydrogen or 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1/00Electrodes; Manufacture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25B11/04Electrodes; Manufacture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3/00Diaphragms; Spacing elements
    • C25B13/02Diaphragms; Spac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shape or form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3/00Diaphragms; Spacing elements
    • C25B13/04Diaphragms; Spac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5/00Operating or servicing cells
    • C25B15/08Supplying or removing reactants or electrolytes; Regeneration of electrolyte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5/00Electrogenerative processes, i.e. processes for producing compounds in which electricity is generated simultaneous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02Aqueous electrolytes
    • H01M2300/0014Alkaline electroly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1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 Y02P10/134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by avoiding CO2, e.g. using hydrogen
    • Y02P10/138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lectrolytic Production Of Non-Metals, Compounds, Apparatus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 전원 없이 자발적 전기화학 반응을 통해 이산화탄소를 활용하여, 전기, 수소 및 중탄산이온을 생산하고, 대형화가 가능한 이산화탄소 활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앞서서 기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모두 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다양한 금속을 사용하여 별도의 외부 전원 없이 자발적 전기화학 반응을 통해 이산화탄소를 활용하여, 전기, 수소 및 중탄산이온을 생성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이산화탄소 활용 시스템은 복수의 다공성 이온 전달 부재가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분리막 프레임 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이산화탄소 활용 시스템을 대형화할 경우 다공성 이온 전달 부재의 제조와 유지 보수의 효율성 및 경제성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이산화탄소 활용 시스템{CARBON DIOXIDE UTILIZATION SYSTEM}
본 발명은 외부 전원 없이 자발적 전기화학 반응을 통해 이산화탄소를 활용하여, 전기, 수소 및 중탄산이온을 생산하고, 대형화가 가능한 이산화탄소 활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산업화와 더불어 온실가스의 배출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온실가스 중 이산화탄소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산업 유형별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발전소 등 에너지 공급원에서 가장 많고, 발전을 포함한 시멘트/철강/정제 산업 등에서 발생되는 이산화탄소가 전 세계 발생량의 절반을 차지하고 있다. 이산화탄소 전환/활용 분야는 크게 화학적 전환, 생물학적 전환, 직접 활용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기술적 범주로는 촉매, 전기화학, 바이오 공정, 광활용, 무기(탄산)화, 폴리머 등으로 구분 지을 수 있다. 이산화탄소는 다양한 산업 및 공정에서 발생되고, 하나의 기술로 이산화탄소 저감을 달성할 수 없기 때문에 이산화탄소 저감을 위한 다양한 접근 방식이 필요하다.
현재 미국 에너지성 DOE(Department Of Energy)는 이산화탄소를 저감하기 위한 기술로 CCS(Carbon Capture & Storage)와 CCU (Carbon Capture & Utilization)이 복합된 CCUS 기술에 관심을 두고 다각적 기술 개발을 추진 중이다. CCUS 기술은 효과적인 온실가스 감축 방안으로 인정받고 있으나, 고 투자 비용, 유해 포집제의 대기 방출 가능성, 낮은 기술 성숙도의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또한, 에너지 및 기후 정책적 관점에서 CCUS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실질적으로 감축하는 수단을 제공하지만 기술의 실현에는 보완 사항이 많다. 따라서, 보다 효율적으로 이산화탄소 포집, 저장 및 활용하는 새로운 개념의 한계돌파형(breakthrough)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기술분야와 관련된 선행 특허문헌으로서,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91834호는 이산화탄소를 포집하는 나트륨 이차전지를 개시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91834호 "이산화탄소 포집 이차전지" (2015.08.12.)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전원을 이용하지 않고 자발적 전기화학 반응을 통해 온실 가스인 이산화탄소를 활용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공성 이온 전달 부재의 제조, 설치 및 유지 보수의 효율성 및 경제성이 높은 이산화탄소 활용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산화탄소를 활용하여 친환경 연료인 수소를 고순도로 생산할 수 있는 이산화탄소 활용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산화탄소를 중탄산이온으로 포집할 수 있는 이산화탄소 활용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제1 수용 공간, 제1 수용액 및 상기 제1 수용액에 적어도 일부가 잠기는 캐소드를 포함하는 캐소드부; 제2 수용 공간, 염기성인 제2 수용액 및 상기 제2 수용액에 적어도 일부가 잠기는 금속의 애노드를 포함하는 애노드부; 및 상기 캐소드부와 애노드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수용액으로 유입된 이산화탄소를 중탄산이온으로 포집하고 수소이온을 생성하고, 상기 수소이온과 상기 캐소드의 전자가 반응하여 수소를 생산하고, 상기 연결부는 분리막 프레임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분리막 프레임 부재는 상기 제1 수용액과 상기 제2 수용액의 이동은 차단하고 이온의 이동은 허용하는 복수의 다공성 이온 전달 부재가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이산화탄소 활용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앞서서 기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모두 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다양한 금속을 사용하여 별도의 외부 전원 없이 자발적 전기화학 반응을 통해 이산화탄소를 활용하여, 전기, 수소 및 중탄산이온을 생성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이산화탄소 활용 시스템은 복수의 다공성 이온 전달 부재가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분리막 프레임 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이산화탄소 활용 시스템을 대형화할 경우 다공성 이온 전달 부재의 제조와 유지 보수의 효율성 및 경제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탄소 활용 시스템의 작동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탄소 활용 시스템의 분리막 프레임 부재와 다공성 이온 전달 부재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탄소 처리부를 포함하는 이산화탄소 활용 시스템의 작동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탄소 활용 시스템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탄소 활용 시스템(100)은 캐소드부(110)와, 애노드부(150)와, 캐소드부(110)와 애노드부(150)를 연결하는 연결부(190)를 포함한다. 이산화탄소 활용 시스템(100)은 자발적 산화환원 반응 과정에서 온실가스인 이산화탄소 기체(CO2)를 원료로 사용하며, 친환경 연료인 수소(H2)를 생산한다.
캐소드부(110)는 제1 수용 공간(111)에 담긴 제1 수용액(115)과, 제1 수용액(115)에 적어도 일부가 잠기는 캐소드(cathode)(118)를 구비한다. 제1 수용액(115)으로는 알칼리성 수용액(본 실시예에서는 1M KOH의 강 염기성 용액에서 CO2를 용리시킨 것이 사용됨), 해수, 수돗물 및 증류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캐소드(118)는 전기 회로를 형성하기 위한 전극으로서, 탄소 페이퍼, 탄소 섬유, 탄소 펠트, 탄소 천, 금속 폼, 금속박막,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으며, 백금 촉매도 사용될 수 있다. 촉매의 경우, 백금 촉매 외에 탄소 계열 촉매, 탄소-금속 계열 복합 촉매, 페로브스카이트 산화물 촉매 등 일반적으로 산소발생반응(HER) 촉매로 사용될 수 있는 다른 모든 촉매도 포함된다. 캐소드부(110)에는 제1 수용 공간(111)과 연통되는 제1 유입구(112)와 제1 배출구(113)가 형성된다. 제1 유입구(112)는 제1 수용액(115)의 수면보다 아래에 위치하도록 제1 수용 공간(111)의 하부에 위치한다. 제1 배출구(113)는 제1 수용액(115)의 수면보다 위에 위치하도록 제1 수용 공간(111)의 상부에 위치한다. 제1 유입구(112)를 통해 반응 과정에서 연료로 사용되는 이산화탄소가 제1 수용 공간(111)으로 유입되는데, 필요 시 제1 수용액(115)도 유입될 수 있다. 제1 배출구(113)를 통해서는 반응 과정에서 생성된 가스가 외부로 배출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유입구(112)와 배출구(113)는 충전 및 반응시 밸브 등에 의해 선택적으로 적절히 시기에 맞춰서 개폐될 수 있다. 캐소드부(110)에서는 반응 과정에서 이산화탄소 용리 반응이 일어난다.
애노드부(150)는 제2 수용 공간(151)에 담긴 제2 수용액(155)과, 제2 수용액(155)에 적어도 일부가 잠기는 애노드(anode)(158)를 구비한다. 제2 수용액(155)으로는 고농도의 알칼리 용액이 사용되는데, 예를 들어, 1M KOH 또는 6M KOH가 사용될 수 있다. 애노드(158)는 전기 회로를 이루는 금속 재질의 전극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애노드(158)로 아연(Zn) 또는 알루미늄(Al)이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또한, 애노드(158)로는 아연 또는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합금이 사용될 수도 있다.
연결부(190)는 캐소드부(110)와 애노드부(150)를 연결하는 연결 통로(191)와, 연결 통로(191)의 내부에 설치되는 분리막 프레임 부재(192)를 구비한다.
연결 통로(191)는 캐소드부(110)에 형성된 제1 연결구(114)와 애노드부(150)에 형성된 제2 연결구(154)의 사이에 연장되어서 캐소드부(110)의 제1 수용 공간(111)과 애노드부(150)의 제2 수용 공간(151)을 연통시킨다. 연결 통로(191)의 내부에 분리막 프레임 부재(192)가 설치된다.
분리막 프레임 부재(192)는 대체로 디스크 형상으로서 연결 통로(191)의 내부를 막는 형태로 설치된다. 분리막 프레임 부재(192)에는 다공성 이온 전달 부재(193)가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다공성 이온 전달 부재(193)는 다공성 구조로 이루어져서 캐소드부(110)와 애노드부(150)의 사이에 이온의 이동은 허용하면서, 수용액(115, 155)의 이동은 차단한다. 또한, 상기 다공성 이온 전달 부재(193)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리막 프레임 부재(192)에 여러 개가 복수로 설치될 수 있다. 이산화탄소 활용 시스템(100)을 대형화할 경우에도 이와 같이 일정한 크기의 다공성 이온 전달 부재(193)가 복수로 분리되어 설치될 수 있어, 연결부의 면적을 용이하게 확장할 수 있고, 다공성 이온 전달 부재(193)의 제조, 교체 및 유지 보수의 효율성과 경제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다공성 이온 전달 부재(193)는 재질이 유리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공성 구조를 형성하는 다른 재질도 사용될 수 있다.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다공성 이온 전달 부재(193)는 기공 크기가 G0 등급(grade)에 해당하는 160 내지 250 미크론(micron) G1 등급에 해당하는 100 내지 160 미크론, G2 등급에 해당하는 40 내지 100 미크론, G3 등급에 해당하는 16 내지 40 미크론, G4 등급에 해당하는 5 내지 16 미크론, G5에 해당하는 1 내지 5 미크론인 다공성 유리가 사용될 수 있으며, 용액의 투과가 적은 G3 등급 내지 G5 등급의 1 내지 40 미크론인 다공성 유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공성 이온 전달 부재(193)는 이온만 전달시킴으로써 반응 과정에서 생기는 이온 불균형을 해소하게 된다.
이제, 위에서 구성 중심으로 설명된 이산화탄소 활용 시스템(100)의 반응 과정이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에는 이산화탄소 활용 시스템(100)의 반응 과정이 함께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유입구(112)를 통해 제1 수용액(115)으로 이산화탄소가 주입되며, 캐소드부(110)에서는 다음 [반응식 1]과 같은 이산화탄소의 화학적 용리 반응이 이루어진다.
[반응식 1]
H2O(l) + CO2(g) → H+(aq) + HCO3 -(aq)
즉, 캐소드부(110)에서는 캐소드부(110)에 공급된 이산화탄소(CO2)가 제1 수용액(115)의 물(H2O)과 자발적인 화학반응을 통해 수소 양이온(H+)과 중탄산염(HCO3 -)이 생성된다.
또한, 캐소드부(110)에서는 다음 [반응식 2]와 같은 전기적 반응이 이루어진다.
[반응식 2]
2H+(aq) + 2e- → H2(g)
즉, 캐소드부(110)에서 수소 양이온(H+)은 전자(e-)를 받아서 수소(H2)기체가 발생하게 된다. 발생된 수소(H2)기체는 제1 배출구(113)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된다.
아울러, 캐소드부(110)에서는 다음 [반응식 3]과 같은 복합 수소발생 반응이 이루어진다.
[반응식 3]
2H2O(l) + 2CO2(g) + 2e- → H2(g) + 2HCO3 -(aq)
그리고, 애노드부(150)에서는 애노드(158)가 아연(Zn)인 경우에 다음 [반응식 4]와 같은 산화 반응이 이루어진다.
[반응식 4]
Zn + 4OH- → Zn(OH)4 2- + 2e- (E0 = -1.25V)
Zn(OH)4 2- → ZnO + H2O + 2OH-
결국, 애노드(158)가 아연(Zn)인 경우에 반응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전체 반응식은 다음 [반응식 5]와 같다.
[반응식 5]
Zn + 2CO2 + 2H2O + 2OH- → ZnO + 2HCO3 -(aq) + H2(g) (E0 = 1.25V)
만일, 애노드부(150)에서 애노드(158)가 알루미늄(Al)인 경우에 다음 [반응식 6]과 같은 산화 반응이 이루어진다.
[반응식 6]
Al + 3OH- → Al(OH)3 + 3e- (E0 = -2.31V)
결국, 애노드(158)가 알루미늄(Al)인 경우에 반응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전체 반응식은 다음 [반응식 7]과 같다.
[반응식 7]
2Al + 6CO2 + 6H2O + 6OH- → 2Al(OH)3 + 6HCO3 -(aq) + 3H2(g) (E0 = 2.31V)
결과적으로, [반응식 5]와 [반응식 7]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반응 시 제1 수용액(115)에서 용리된 이산화탄소에 의해 생성된 수소 이온이 캐소드(118)로부터 전자를 받아서 수소 기체로 환원되어서, 제1 배출구(113)를 통해 배출되고, 금속 애노드(158)는 산화물의 형태로 변하게 된다. 반응이 진행되면서 제1 수용액(115)에는 HCO3 -(중탄산이온)이 생성되는데, 이에 나트륨 이온을 첨가하여 건조하면 베이킹소다 형태의 탄산나트륨 고체 생성물을 부가적으로 획득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탄소 처리부(200)을 포함하는 이산화탄소 활용 시스템의 반응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이산화탄소 활용 시스템(100)은 이산화탄소 처리부(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산화탄소 처리부(200)는 캐소드부(110)의 제1 수용액(115) 또는 반응 공간(161)의 수용액(162)과 동일한 수용액을 구비한다. 상기 이산화탄소 처리부(200)는 캐소드부(110) 또는 반응 공간(161)과 이산화탄소 처리부(200)를 연통시키는 연결관(210), 이산화탄소가 유입되는 제2 유입구(220), 상부에 위치하는 제2 배출구(230) 및 이산화탄소 순환 공급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산화탄소 활용 시스템(100)은 상기에서 설명된 것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 유입구(220)는 이산화탄소 처리부(200)에서 연결관(210)보다 위에 위치하고, 제2 배출구(230) 및 제1 수용액(115) 또는 수용액(162)의 수면보다 아래에 위치한다. 제2 유입구(220)를 통해 반응 과정에서 연료로 사용되는 이산화탄소 기체가 이산화탄소 처리부(200)으로 유입된다. 제2 유입구(220)를 통해 필요에 따라 제1 수용액(115) 또는 수용액(162)도 공급될 수 있다. 제2 유입구(220)와 제1 배출구(113)는 반응시 밸브 등에 의해 선택적으로 적절한 시기에 맞춰서 개폐될 수 있다.
연결관(210)은 이산화탄소 처리부(200)에서 제2 유입구(220)보다 아래에 위치하며, 연결관(210)을 통해 이산화탄소 처리부(200)는 제1 수용 공간(111) 또는 반응 공간(161)과 연통된다.
제2 배출구(230)는 이산화탄소 처리부(200)에서 제2 유입구(220) 및 제1 수용액(115) 또는 수용액(162)의 수면보다 위에 위치한다. 제2 배출구(230)를 통해 이산화탄소 처리부(200)에서 제1 수용액(115) 또는 수용액(162)에 용해되지 않아서 이온화되지 않은 이산화탄소 기체가 외부로 배출된다. 제2 배출구(230)를 통해 배출된 이산화탄소 가스는 이산화탄소 순환 공급부(240)를 통해 제2 유입구(220)로 공급된다.
이산화탄소 순환 공급부(240)는 제2 배출구(230)를 통해 배출되는 이산화탄소 가스를 제2 유입구(220)로 순환시켜서 재공급한다.
연결관(210)은 제1 수용 공간(111) 또는 반응 공간(161)의 제1 유입구(112)와 연결된다. 연결관(210)을 통해 제1 수용 공간(111) 또는 반응 공간(161)과 이산화탄소 처리부(200)가 연통된다.
제2 유입구(220)를 통해 이산화탄소 처리부(200)로 유입된 이산화탄소 중 제1 수용액(115) 또는 수용액(162)에 용해되지 않아서 이온화되지 않은 이산화탄소 기체는 제1 수용 공간(111) 또는 반응 공간(161)으로 이동하지 못하고 상승하여 이산화탄소 처리부(200) 내 제1 수용액(115) 또는 수용액(162)의 수면 위 공간에 모인 후 제2 배출구(230)를 통해 배출되고 제2 배출구(230)를 통해 배출된 이산화탄소 기체는 이산화탄소 순환 공급부(240)에 의해 제2 유입구(220)를 통해 이산화탄소 처리부(200)로 공급되어서 재활용된다. 또한, 이산화탄소 처리부(200)로 유입된 이산화탄소 중 제1 수용액(115) 또는 수용액(162)에 용해되지 않아서 이온화되지 않은 이산화탄소 기체는 제1 수용 공간(111) 또는 반응 공간(161)으로 이동하지 못하므로, 제1 배출구(113)를 통해서 이산화탄소가 섞이지 않은 고순도의 수소가 배출될 수 있다.
이상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수정되거나 변경될 수 있으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이러한 수정과 변경도 본 발명에 속하는 것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 이산화탄소 활용 시스템
110 : 캐소드부 111 : 제1 수용 공간
112 : 제1 유입구 113 : 제1 배출구
114 : 제1 연결구 115 : 제1 수용액
118 : 캐소드 150 : 애노드부
151 : 제2 수용 공간 154 : 제2 연결구
155 : 제2 수용액 158 : 애노드
160 : 반응 용기 161 : 반응 공간
162 : 수용액 190 : 연결부
191 : 연결 통로 192 : 분리막 프레임 부재
193 : 다공성 이온 전달 부재 200 : 이산화탄소 처리부
210 : 연결관 220 : 제2 유입구
230 : 제2 배출구 240 : 이산화탄소 순환 공급부
300 : 금속 회수부 310 : 회수 공간
320 : 공급부 330 : 제2 캐소드
340 : 제2 애노드 350 : 전원공급부

Claims (11)

  1. 제1 수용 공간, 제1 수용액 및 상기 제1 수용액에 적어도 일부가 잠기는 캐소드를 포함하는 캐소드부;
    제2 수용 공간, 염기성인 제2 수용액 및 상기 제2 수용액에 적어도 일부가 잠기는 금속의 애노드를 포함하는 애노드부; 및
    상기 캐소드부와 애노드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수용액으로 유입된 이산화탄소를 중탄산이온으로 포집하고 수소이온을 생성하고, 상기 애노드는 자발적 산화반응을 통해 상기 캐소드로 전자를 공급하고, 상기 수소이온과 상기 캐소드의 전자가 반응하여 수소를 생산하고,
    상기 연결부는 분리막 프레임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분리막 프레임 부재에는 상기 제1 수용액과 상기 제2 수용액의 이동은 차단하고 이온의 이동은 허용하는 복수의 다공성 이온 전달 부재가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애노드의 재질은 알루미늄(Al) 또는 아연(Zn)이고,
    상기 캐소드부에서는 하기 [반응식 3]과 같은 수소발생 반응이 이루어지고,
    [반응식 3]
    2H2O(l) + 2CO2(g) + 2e- → H2(g) + 2HCO3 -(aq)
    상기 애노드부에서는,
    상기 애노드가 아연(Zn)인 경우 하기 [반응식 4]와 같은 산화 반응이 이루어지고,
    [반응식 4]
    Zn + 4OH- → Zn(OH)4 2- + 2e-
    Zn(OH)4 2- → ZnO + H2O + 2OH-
    상기 애노드가 알루미늄(Al)인 경우 하기 [반응식 6]과 같은 산화 반응이 이루어지는,
    [반응식 6]
    Al + 3OH- → Al(OH)3 + 3e-
    이산화탄소 활용 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이온 전달 부재는 유리 분리막인, 이산화탄소 활용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이온 전달 부재의 기공은 1 내지 250 미크론인, 이산화탄소 활용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소드부는 생성된 수소를 배출하는 제1 배출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배출구는 제1 수용액의 수면보다 위에 위치하는, 이산화탄소 활용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제1 수용 공간과 제1 수용액이 연통되는 제1 연결관을 구비하는 이산화탄소 처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산화탄소 처리부는 유입된 이산화탄소 중 이온화되지 않은 이산화탄소가 상기 캐소드부로 공급되지 않도록 하는, 이산화탄소 활용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산화탄소 처리부는,
    상기 이온화되지 않은 이산화탄소를 상기 이산화탄소 처리부 내의 제1 수용액과의 비중 차이를 이용하여 분리하는, 이산화탄소 활용 시스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산화탄소 처리부는,
    상기 이온화되지 않은 이산화탄소를 이산화탄소 처리부 내의 제1 수용액의 수면 상부에서 수집하는, 이산화탄소 활용 시스템.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산화탄소 처리부는,
    상기 이산화탄소 처리부 내의 제1 수용액의 수면보다 낮은 위치에 이산화탄소가 유입되는 유입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연결관은 상기 유입구보다 낮은 위치에 구비되는, 이산화탄소 활용 시스템.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산화탄소 처리부는 이산화탄소 처리부 내의 제1 수용액의 수면 상부에 이온화되지 않은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제2 배출구를 구비하는, 이산화탄소 활용 시스템.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산화탄소 처리부는 상기 제1 수용 공간의 제1 수용액으로부터 분리된 이온화되지 않은 이산화탄소를 상기 이산화탄소 처리부 내의 제1 수용액으로 공급하는 이산화탄소 순환 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이산화탄소 활용 시스템.
KR1020190024253A 2019-01-08 2019-02-28 이산화탄소 활용 시스템 KR1020326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4253A KR102032676B1 (ko) 2019-02-28 2019-02-28 이산화탄소 활용 시스템
PCT/KR2020/000304 WO2020145642A2 (ko) 2019-01-08 2020-01-08 이산화탄소 활용 시스템 및 이를 활용한 복합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4253A KR102032676B1 (ko) 2019-02-28 2019-02-28 이산화탄소 활용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2676B1 true KR102032676B1 (ko) 2019-10-15

Family

ID=68209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4253A KR102032676B1 (ko) 2019-01-08 2019-02-28 이산화탄소 활용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267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45642A3 (ko) * 2019-01-08 2020-10-22 울산과학기술원 이산화탄소 활용 시스템 및 이를 활용한 복합 시스템
KR20210086528A (ko) * 2019-12-30 2021-07-08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이산화탄소로부터 유용 화합물을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WO2022217313A1 (en) * 2021-04-16 2022-10-20 CBN Energy Pty Ltd Decarbonisation system and proces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5170A (ko) * 2005-06-21 2008-03-19 내셔날 리서치 카운실 오브 캐나다 수소 생성 시스템
JP2011528407A (ja) * 2008-07-16 2011-11-17 カレラ コーポレイション 電気化学システム中でのco2の利用
KR20150091834A (ko) 2014-02-04 2015-08-12 국립대학법인 울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산화탄소 포집 이차전지
JP2016507653A (ja) * 2013-01-22 2016-03-10 ジーティーエー,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電気分解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80020763A (ko) * 2016-08-19 2018-02-28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이산화탄소 및/또는 일산화탄소의 전기화학적 환원 장치, 및 상기 장치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및/또는 일산화탄소의 전기화학적 환원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5170A (ko) * 2005-06-21 2008-03-19 내셔날 리서치 카운실 오브 캐나다 수소 생성 시스템
JP2011528407A (ja) * 2008-07-16 2011-11-17 カレラ コーポレイション 電気化学システム中でのco2の利用
JP2016507653A (ja) * 2013-01-22 2016-03-10 ジーティーエー,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電気分解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50091834A (ko) 2014-02-04 2015-08-12 국립대학법인 울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산화탄소 포집 이차전지
KR20180020763A (ko) * 2016-08-19 2018-02-28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이산화탄소 및/또는 일산화탄소의 전기화학적 환원 장치, 및 상기 장치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및/또는 일산화탄소의 전기화학적 환원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45642A3 (ko) * 2019-01-08 2020-10-22 울산과학기술원 이산화탄소 활용 시스템 및 이를 활용한 복합 시스템
KR20210086528A (ko) * 2019-12-30 2021-07-08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이산화탄소로부터 유용 화합물을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508484B1 (ko) * 2019-12-30 2023-03-08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이산화탄소로부터 유용 화합물을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WO2022217313A1 (en) * 2021-04-16 2022-10-20 CBN Energy Pty Ltd Decarbonisation system and proces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2676B1 (ko) 이산화탄소 활용 시스템
US20210005911A1 (en) Carbon dioxide utilization system, and complex 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the same
KR101955693B1 (ko)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수계 이차전지 및 이를 구비하는 복합 전지 시스템
KR102025920B1 (ko) 이산화탄소 활용 시스템
KR101955696B1 (ko) 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수소를 생산하는 이차전지 및 이를 구비하는 복합 발전 시스템
US11857914B2 (en) Electrochemical apparatus for acid gas removal and hydrogen generation
JP2023525988A (ja) 電気化学的に駆動される二酸化炭素セパレータ
KR101997780B1 (ko) 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수소를 생산하는 이차전지 및 이를 구비하는 복합 발전 시스템
KR102042683B1 (ko) 이산화탄소 활용 시스템
KR102205629B1 (ko) 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수소를 생산하는 이차전지 및 이를 구비하는 복합 발전 시스템
KR102001213B1 (ko)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수소 발생 및 이산화탄소 제거 장치를 구비하는 연료전지 시스템
KR101986642B1 (ko)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수소 발생장치를 구비하는 연료전지 시스템
KR101997781B1 (ko) 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수소를 생산하는 이차전지 및 이를 구비하는 복합 발전 시스템
KR102171288B1 (ko) 연료전지를 이용하는 잠수함용 동력 생산 시스템
KR102028709B1 (ko) 이산화탄소 활용 시스템을 이용한 평형수 처리 시스템
KR102163935B1 (ko) 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수소를 생산하는 이차전지 및 이를 구비하는 복합 발전 시스템
KR101955697B1 (ko) 이산화탄소를 활용하는 이차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복합 발전 시스템
KR102263566B1 (ko) 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수소를 생산하는 이차전지 및 이를 구비하는 복합 발전 시스템
CN110311146B (zh) 一种利用有机物作催化剂的二氧化碳矿化发电方法
KR100697681B1 (ko) 이산화탄소 제거용 전기투석장치 및 이를 이용한이산화탄소 제거시스템
JP2009245702A (ja) 燃料電池発電装置用水処理装置
KR102041554B1 (ko) 효율적인 수소-전기 생산이 가능한 역전기 투석 장치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발전 시스템 및 에너지 자립형 수소-전기 복합 충전 스테이션
KR20210077249A (ko) 이산화탄소 활용 시스템
KR101955695B1 (ko)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이차전지 및 이를 구비하는 복합 발전 시스템
JP2020147843A (ja) 電解槽及び水素製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