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2649B1 - 수목 이식을 위한 지주목 세트 - Google Patents

수목 이식을 위한 지주목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2649B1
KR102032649B1 KR1020180046905A KR20180046905A KR102032649B1 KR 102032649 B1 KR102032649 B1 KR 102032649B1 KR 1020180046905 A KR1020180046905 A KR 1020180046905A KR 20180046905 A KR20180046905 A KR 20180046905A KR 102032649 B1 KR102032649 B1 KR 1020326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e
transplanted
strut
trees
ne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69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관석
Original Assignee
백관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관석 filed Critical 백관석
Priority to KR10201800469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26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26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26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14Props; Stay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3/00Forestry
    • A01G23/02Transplanting, uprooting, felling or delimbing trees
    • A01G23/04Transplanting trees; Devices for grasping the root ball, e.g. stump forceps; Wrappings or packages for transporting tre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2Improving land use; Improving water use or availability; Controlling erosion
    • Y02A40/243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Botany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목의 위치를 이동시켜 목적하는 장소로 옮겨심기 위한 이식 작업에 사용하게 되는 수목이식용 지주목과 이를 이용한 수목의 견고한 지지를 확보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식 후 수목이 바람 등 외력의 영향으로 쓰러지거나 또는 좌우로 흔들려 새로운 뿌리의 생장에 악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하여 이식한 수목의 빠른 활착과 안정된 성장을 돕기 위한 것으로 가로대를 부착한 4개의 지주목을 지중에 2/3부분이 매설되고 지상에 1/3노출된 상태로 각 지주목의 상단을 이식수목의 주간을 감싸는 형태로 결속하여 이식한 수목을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수목 이식을 위한 지주목 세트{wood pillar}
본 발명은 수목의 위치를 이동시켜 목적하는 장소로 옮겨심기 위한 이식 작업에 사용하게 되는 수목이식용 지주목과 이를 이용한 수목의 견고한 지지를 확보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식 후 수목이 바람 등 외력의 영향으로 쓰러지거나 또는 좌우로 흔들려 새로운 뿌리의 생장에 악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하여 이식한 수목의 빠른 활착과 안정된 성장을 돕기 위한 것이다.
성목의 이식은 이식 작업 중 뿌리마름을 방지 할 목적으로 이식 분을 만들게 되는데 수목 근경부 직경의 3~7배의 원을 대상 수목의 원줄기를 중심으로 그리고 이 원을 따라 직 하방으로 흙을 파내려가 이식 분이 원형을 이루는 깊이에서 수목의 중심이 되는 뿌리 즉 직근 등 수목을 지지하는 중심 뿌리를 절단하여 토양에서 이식 분을 분리하게 된다.
다음에 분이 깨지거나 건조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하여 마대 등으로 이식 분의 외부를 감싼 다음 고무밴드, 철사, 결속용 로프 등으로 그 외부를 단단히 결박하여 이식 분을 만들게 된다.
이식하게 될 장소에는 이식수목의 이식 분이 넉넉히 들어갈 정도로 흙을 파내어 식혈을 준비하게 된다.
위와 같이 된 이식 수목을 식혈에 위치시키고 분을 감싸고 있는 마대 등의 보호수단을 제거하여 이식분의 흙이 드러난 상태에서 흙을 메꾸어 이식 작업을 완료하게 된다.
이후 바람 등 외력에 의해 이식한 수목이 쓰러지거나 이식분이 흔들리게 되면 이식수목의 활착이 늦어지고 이 같은 환경이 지속되면 수목이 고사하는 위험까지 발생하게 되므로 지주목 등을 사용하여 이식 수목을 지지하는 보강 작업을 하게 된다.
위의 과정 중 이식 분을 만들 때 수목을 지지하는 기능을 가진 직근 및 측근은 물론 이로부터 뻗어나온 단근 등 거의 모든 뿌리가 절단 되어 그 본래의 수목의 지지기능을 대부분 상실하게 되며 수분과 영양을 흡수하는 세근의 기능은 분의 내부에 분포한 정도로 상당기간 유지되면서 절단 부위에서 새로운 유근이 자라나 근총을 이루면서 활착하게 된다. 이 기간 동안 이식한 수목은 지상부의 생장이 위축되고 뿌리의 생장이 활발하게 이루어진다.
따라서 성목이 된 나무는 이식 할 때 활착하는데 상당한 기간이 소요되어 이식으로 인한 생체부담이 크므로 이식이 어려운 수종의 성목은 이식 전에 뿌리돌림을 하여 단근의 발달을 유도한 다음 이식 작업을 수행하기도 한다.
이상과 같은 수목의 이식 작업에서 고려해야 할 수목의 생리에 대해 살펴보면 수목의 뿌리는 지상부의 면적보다 더 넓은 면적에 분포하며 근원부위로부터 사방으로 뻗어나가면서 주변의 흙과 함께 뭉쳐서 근총을 형성한다. 뿌리의 생장은 직근이 발달하면서 측근이 생기고 다시 갈라지면서 단근이 형성된다.
가장 굵은 뿌리인 직근과 측근은 넓은 지역까지 연장 분포되어 수목이 넘어지거나 흔들리지 않도록 지지하며 이로부터 연장된 단근은 수분과 영양을 흡수하여 수목의 모든 부위에 공급하며 토양곰팡이와 균근을 형성하는 세근이 된다.
뿌리는 형성층에 의해 직경이 굵어지면서 주근을 이루어 오래도록 살아남는 반면 단근은 천천히 자라며 형성층이 없어서 직경생장을 하지 않으며 1~2년 정도 살다가 죽어버린다.
나무뿌리는 지상부의 잎과 마찬가지로 쉬지 않고 호흡을 한다. 세근은 수명이 1년 정도이기 때문에 봄부터 가을까지 쉬지 않고 새로 만들어지며 세포분열을 하느라 호흡작용을 매우 활발하게 한다. 호흡작용에는 산소가 반드시 필요한데 산소는 땅속 깊이 들어갈수록 그 농도가 희박해 진다..
세근은 표토에 집중적으로 모여 있는데 그 이유는 표토의 통기성이 좋아서 뿌리 호흡에 유리하고 무기영양분의 함량이 높으며 적은 강우량에서도 곧 수분을 이용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수종에 따라 다소간의 차이는 있으나 보통 나무들은 표토15cm내에 세근의 90%가 존재한다.
위와 같은 이유로 나무의 뿌리위에 흙을 덮는 복토나 나무를 깊이 심는 심식은 세근에 산소공급을 방해한다.
복토와 심식 피해로 인한 초기 증상은 새로 나온 잎의 황화현상과 왜소화, 가지의 생장위축 그리고 조기 낙엽이다. 더 진행되면 가지 끝부터 서서히 죽어 내려오면서 수관의 크기가 작아진다.
수피가 땅속에 묻혀 과다한 수분으로 산소공급이 중단되면 잎에서 만든 광합성의 결과물인 당을 뿌리로 내려 보내는 조직이 붕괴되면서 당의 이동이 중단되어 뿌리가 썩는다. 수피의 부패는 서서히 진행되기 때문에 나무가 완전히 죽는데 10년 혹은 그 이상이 걸리기도 한다. 따라서 성목의 이식 후 활착여부를 확인하는 데에도 오랜 시간이 소요되는 어려움이 따른다.
수목의 이식에 있어 묘목의 경우에는 뿌리의 분포면적이 크지 않고 나무 자체의 생장이 대단히 활발하므로 뿌리가 건조되지 않는 한 굳이 분을 만들지 않아도 쉽게 활착이 되지만 성목의 경우에는 나무를 지상부에 고정시켜 지지하던 직근과 측근이 짧게 절단된 상태로 새로운 토양에 이식되는 것으로 지상부에 대한 지지력이 대단히 취약한 상태가 되며 또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나무를 깊이 식재 할 경우에는 이후 자라게 되는 세근이 산소량이 적은 깊은 토양에 분포하게 되므로 수목이 쇠약하게 되어 이 또한 선택 할 수 없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수목의 이식 작업 중에 절단되어 상실된 직근과 측근의 기능을 보강하여 수목을 안정되게 지지하는 인위적인 수단이 필요하게 된다.
성목을 분을 만들어 이식하게 되면 절단된 주근에서 맹아가 발아하여 유근이 성장하고 새로운 뿌리가 신장하면서 전반적인 뿌리의 기능을 회복하게 되는데 지지수단이 필요한 정도의 성목의 경우에는 적어도 3~5년 이상의 기간이 소요된다. 이때 새롭게 발아하여 신장하는 연약한 뿌리는 조그만 외력에도 쉽게 절단되어 회복에 많은 에너지와 시간이 소요되어 이식한 수목의 활착에 큰 영향을 주게 되므로 이식한 분이 절대로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것이 이식 수목의 활착에 가장 중요한 전제조건이 된다
이와 같은 이유로 이식수목을 지지하는 수단으로 통상적으로 상용되는 지주 설치방법은 수목을 지탱하기 위하여 수목과 지면 사이에 여러개의 지지대를 사용하여 일측은 지면에 미끄러지지 않게 구덩이를 파서 고정하고, 상단은 수간의 적절한 높이에 위치시켜 끈 등으로 이식 수목과 지지대를 결속하여 수목을 지탱하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 지지대는 지지력을 높이기 위하여 지상과 주간을 연결하여 체결하는 지주목의 설치 각도를 45도에 가깝게 유지하므로 주변 토지의 많은 면적을 점유하게 되어 경관상 부정적인 효과를 유발하게 되는 것은 물론 주변의 보행을 방해하며 수목이 조금만 흔들려도 수목을 받치고 있던 지지대가 땅 속으로 밀리게 되어 바람 등 반복적인 외력에 의해 수목에 대한 지지기능이 점점 소실되므로 지속적인 관리를 필요로 하는 등의 어려움이 있다.
이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이식 수목을 지지하는 구조물을 지중에 설치하는 방안 등이 제안되어 있는데 대한민국 특허 제 101049249 호는 이식할 장소에 식혈을 파고 수목의 이식 분을 식혈 내에 안치시키는 단계; 상기 분의 주변으로 밀착시켜 상기 식혈 내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직근지주를 깊게 타설하는 단계; 상기 분과 직근지주를 결속소재로 묶어 고정 연결하는 단계; 상기 식혈 외부의 소정 위치에 복수 개의 평근지주를 타설하는 단계; 상기 평근지주들을 결속소재로 연결하되, 상기 결속소재는 수목 근원의 일측면을 경유하여 상기 평근지주를 연결하고 고정시키는 단계; 상기 식혈 내부와 수목 근원 부위에 흙을 덮어 다지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수목이식 방법에 대해 제안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특허 제10-1015636호는 식재된 수목의 뿌리분 주변 지반에 수직으로 삽입되는 긴 말뚝 형상의 복수 개의 고정대 및 중앙에 개구부가 구비된 일체형의 덮개판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대와 상기 덮개판은 고정금구에 의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설형 수목 지지대.를 제안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특허 제 100399535호는 수목과 지중을 와이어 로프로 체결 지지하는 수목 와이어 지주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로프의 선단부에는 고무 안전대를 끼워 수목의 일정 부위에 체결하고, 중앙부에는 길이 조정이 가능한 턴바클을 갖추며 하부에는 걸고리를 형성하여 지중에 고정된 앙카와 연결하여 완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와이어 지주를 제안하고 있다.
이들 방안들의 특징은 새로우며 어느 정도 수목을 지지하는 효과가 있으나 대형 수목을 충분히 지지하는 데에는 다소 부족한 면이 있으며 또 그 실시방법이 단순치 않아 작업이 능률적이지 않다.
본 발명은 수목의 이식에 있어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여 이식 수목을 견고하게 지지하며 그 실행방법이 용이하고 능률적이면서 저렴한 비용으로 목적을 달성 할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식한 수목에 대해 모든 방향에서 지지력이 동시에 작용하는 지주목의 결합을 구성함으로서 통상의 지상에 설치되는 사각 지주목과 비교하여 현저하게 견고한 지지력을 확보하며 관리의 편리성과 통행불편과 미관의 개선을 이루고자 한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2본의 지주목의 상단을 체결하되 체결공(102)에 하나의 너트만을 사용하여 각각의 지주목이 좌우로 움직여져 양 지주목의 하단 사이의 공간의 크기를 임의로 조절 할 수 있도록 결합하고 지주목 각각의 하단에는 지주목 고정용 가로대(103)를 견고하게 부착하여 이식수목을 지지하는 지주목세트(101)를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2개의 지주목세트(101) 상단을 도 2와 같이 식혈에 안치된 이식수목(201)의 주간 양면에 밀착시키고 하단의 가로대(103)부분을 식혈의 끝 지점까지 최대한 벌어진 상태로 고정하되 지중에 묻힐 부분을 지주목 길이의 2/3, 지상에 노출 되는 부분을 지주목 길이의 1/3로 조절한 다음 수목의 주간에 밀착된 두 세트의 지주목세트(101)상단을 결속용 철사(104)를 이용하여 견고하게 결속 한다.
이때 각 지주목의 기울기는 지면에 대하여 45도 내외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지주목세트(101)를 구성함에 있어서 부분적인 구성을 달리하는 변형이 가능한데 이는 4개의 지주목 하단에 부착하는 가로대(103)를 대신하여 도4와 같이 2본의 지주목 하단을 1개의 길이가 큰 지주목 연결가로대(403)를 이용하여 하나로 연결하여 고정시킨 상태로 결국 이 삼각형으로 구성되는 지주목세트는 2본 지주목의 하단이 분리된 전자와 비교하여 더욱 견고한 구조적 특성을 갖게 된다. 이후 상기한 방법과 동일한 과정으로 한 쌍의 삼각형지주목세트(401)의 상단을 이식수목(201)에 결속하여 이식수목(201)을 지지하는 피라밋 형상의 구조체를 구성한다.
상기한 두가지 구성 중 이 삼각형지주목세트(401)의 경우 이식수목(201)의 양쪽에 결속된 2개의 삼각형지주목세트(401)의 하단을 도5와 같이 길이가 큰 보강용가로목(503)으로 연결하여 견고하게 결속 시키면 더욱 강력한 피라밋 형 구조체가 완성되어 이식수목에 대한 지지력이 크게 향상된다.
상기한 두가지 방법 중 하나를 선택하여 지주목세트(101, 401)와 이식수목(201)의 결속을 완료한 다음 식혈의 공간을 흙으로 메워 이식한 수목을 지지하는 지주목의 구성을 완성하게 된다.
성목을 이식함에 있어 수목에 대한 지지력이 기존의 방법과 비교하여 월등한 효과를 가지므로 견고하게 수목을 지지하여 이식한 수목의 활착률을 크게 높이는 효과가 있으며 작업이 단순하고 재료가 저렴하여 낮은 시공단가를 제공 하면서도 지상부에 노출되는 지주목이 점유하는 면적이 매우 작아지므로 미관향상의 효과와 통행 불편의 개선 등 부가적인 효과도 동시에 제공한다.
도1은 지주목 2본을 체결한 지주목 세트의 모식도.
도2는 이식수목을 식혈에 안치하고 지주목 세트를 체결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3은 도2의 수목과 지주목을 결속한 상태를 위에서 본 단면도
도4는 삼각형 지주목 세트의 모식도.
도5는 삼각형 지주목세트의 하단을 서로 연결하여 지지력을 강화하는 구성을 위에선 본 단면도.
도6은 각 지주목이 바람 등 외력에 대응하는 지지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지주목으로 사용 할 각목 4본을 준비하되 각목의 규격은 이식 할 수목의 크기를 고려하여 그 길이와 치수를 정하여 준비한다. 예를 들면 흉고직경 10cm의 수목이라면 각목의 치수는 부패에 강한 낙엽송을 사용 할 경우 대략 6×6 cm 각목의 길이는 1.5m 내외에서 사용하게 된다.
준비된 각목 2본을 하나로 결합하여 하나의 지주목세트(101)로 구성하여서 된 2개의 구조체를 제작하는데 이때 각각의 각목이 결합되는 위치는 도1과 같이 상부 말단에서 15~30cm 하단의 일정지점에 두 각목의 체결공(102)을 만들고 체결공(102)에 하나의 너트만을 사용하여 각각의 지주목이 좌우로 움직여져 지주목 하단 공간의 크기를 임의로 조절 할 수 있도록 결합하고 지주목 각각의 하단에는 지주목 고정용 가로대(103)를 견고하게 부착하여 2개의 이식수목(201) 지지용 지주목세트(101)를 구성한다.
본 발명에서는 편의상 원형목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각목을 지주목으로 사용 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지주목세트(101)를 준비한 다음 이식수목(201)을 이식혈에 안치하되 수목 근경부의 높이와 지면의 높이가 동일하도록 조정하거나 이식수목(201)의 근경부가 약간 높은 정도로 조정한다. 식혈에 안치된 이식분(202)의 좌우로 지주목세트(101)의 하단부를 위치시키고 지주목세트(101)의 상단을 이식수목(201)의 주간에 밀착시킨다. 이때 땅속에 묻히게 될 지주목 부분은 전체 길이의 약 2/3로 조정하고 지상으로 연장되어 나무의 주간에 결속되는 부분은 전체 길이의 1/3로 조정하여 지주목이 지하에 매설되는 부분이 지상부에 노출되는 부분보다 배 이상 이 되도록 구성한다.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식 수목에 밀착 되어 있는 2개의 지주목세트(101)는 서로 대향되어 마주보게 되며 각각의 지주목세트(101)는 하단 부분이 식혈의 끝까지 벌어져 있으므로 양 지주목세트(101)의 체결부위에서는 x자 형태로 교차되며 이식수목(201)을 중심에 감싸고 양 지주목세트(101)를 결속하기 용이한 구조가 된다.
다음 지주목세트(101)가 밀착되는 지점의 이식수목(201)의 주간에 수피보호용 마대 등을 두른 뒤 양쪽의 지주목세트를(101) 밀착시키고 결속용 철사를 이용하여 양 지주목세트(101)를 적당한 힘으로 결속한다.
이때 각 지주목의 하단을 최대한 분에서 멀리 위치하도록 조정하여 이식수목(201)과 지주목이 결합되는 각도가 커지도록 조절한다. 이와 같이 조립된 지주목의 조합은 상단의 결속부분을 꼭지점으로 하는 피라밋과 같은 형상을 갖게 되며 각 지주목의 2/3가 지중에 매설되는 형태가 되어 견고하게 고정되므로 외력에 의해 지주목의 피라밋구조가 변형되기 어려운 구조가 되고 이식수목(201)에 대하여 대단히 큰 지지력을 확보하게 된다.
이식수목(201)과 지주목세트(101)의 결속이 끝나면 식혈에 흙을 메워 이식수목(201)의 근경부에서 지면을 수평으로 마감하여 이식수목(201)의 이식 작업을 완료하게 된다. 필요하면 흙을 메울 때 지주목의 주변을 밟아 다지면서 메워 오르면 이식수목(201)에 대한 지지력이 한층 향상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구성된 각각의 지주목은 땅속에 무거운 흙으로 2/3가 매설되어 있어 자체만으로도 강력한 지지력이 있지만 지주목의 하단에 결속된 가로대에 의해 대단히 큰 힘이 작용한다 해도 밑으로 밀리지도 않으며 위로 뽑히지도 않는 요지부동의 지지력을 갖게 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이식된 수목은 어떤 방향에서 외력이 가해져도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는데 예를 들어 도면6에 도시한 바와 같이 A방향에서 강한 바람이 불어오면 4개의 각각의 지주목에 그 힘이 전달되는데 도면의 지주목1과 지주목2는 밀어내는 힘으로 바람의 영향에 대응 할 것이며 동시에 지주목 3과 지주목4는 당기는 힘으로 바람의 힘에 대응하게 되므로 어떤 방향에서 외력이 가해지던 4개의 지주목이 각각 크고 작은 힘으로 외력에 동시에 대응하는 기능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돌풍과 같이 바람의 방향이 순간적으로 바뀌는 등의 변화에 각 지주목에 전달되는 외력의 크기가 실시간으로 변화가 발생하는데 이 같은 돌발적인 외력의 변화에 지주목에 가해지는 힘의 방향이 바뀌어도 지주목의 외력에 대한 대응은 자동적이며 유기적으로 조절되어 외력이 각 지주목에 크고 작은 힘으로 분산되어 전달되면서 결국 지중으로 흡수되므로 매우 안정적으로 이식수목을 지지하게 된다.
이는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지상에 설치하는 4각 지주목이 바람의 반대 방향에서 밀어내는 힘으로만 수목을 지지하는 것과는 많은 차이가 있으며 각 지주목이 가지는 지지력의 크기도 본 발명 의 지주목은 대부분 지하에 매설되어 있으므로 지주목에 가해지는 토양의 압력에 의해 약간의 위치이동 마져 어려운 상태에 있어 각 지주목을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피라밋 구조의 수목에 대한 지지력은 기존의 지주목과는 비교 할 수 없는 큰 능률을 가지게 되며 결국 대상 수목이 이식 전 외력에 수목을 지탱해주던 직근과 측근의 역할을 능가하는 기능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자연 상태에서는 외력이 근경부에 집중되지만 본 발명의 지지수단은 외력이 집중되는 높이가 지면에서 이식분 높이의 절반이상 상단에 위치하게 되므로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외력의 영향이 이식분에 미치는 영향이 크게 감소하게 된다.
실제로 본 발명의 방법으로 이식된 나무의 안정성을 시험하기 위해 거대수목을 제외한 흉고직경 10~15cm의 이식수목을 대상으로 한 여러번의 시험에서 이식수목(201) 의 상단에서 바람의 영향을 집중적으로 받게 되는 지점에 강철와이어를 걸고 포크레인 등 중장비에 연결하여 서서히 당겨 보면 지주목이 부러지거나 나무가 부러지게 된다.
지주목이 충분히 튼튼하고 이식분이 크기가 통상 적용되는 수준이상이 되면 나무가 부러지며 지주목이 밀려서 나무가 쓰러지거나 뽑히는 일은 발생하지 않는다.
이상으로 미루어 땅 속에 2/3이상 매설되어 피라밋 형태로 결속된 지주목의 결합구조는 이식 전의 상태를 능가하는 이식수목(201)에 대한 충분한 지지력을 확보하게 되어 이식분이 전혀 흔들림이 없이 안정되므로 이식 후 지표면 20~30cm 의 토양의 물리적 구조를 통기성과 보수력이 양호한 상태로 유지하게 되면 뿌리의 절단면으로부터 발생한 맹아로부터 연장되는 유근의 성장이 활발하게 진행되어 이식수목(201)의 활착률을 크게 높일 수 있게 된다.
101-지주목 세트
102-체결공
103-가로대
104-결속용 철사
201-이식수목
202-이식분
401-삼각형 지주목 세트
403-지주목 연결가로대
503-보강용 가로대

Claims (5)

  1. 2본의 지주목 상단을 x자 형태로 체결하고 체결공(102)에 하나의 너트만을 사용하여 각각의 지주목이 좌우로 움직여져 양 지주목의 하단 사이의 공간의 크기를 임의로 조절 할 수 있도록 하고 지주목 각각의 하단에는 지주목 고정용 가로대(103)를 견고하게 부착하여 이식수목을 견고하게 지지 할 수 있도록 한 지주목세트(101).

  2. 2본의 지주목 상단을 x자 형태로 체결하고 지주목 각각의 하단을 1개의 길이가 큰 지주목 연결가로대(403)를 이용하여 하나로 연결하여 고정시킨 수목을 지지하기 위한 삼각형 지주목세트(401)
  3. 수목의 이식을 위해 준비한 식혈에 이식 할 수목의 분을 안치하고 청구항1 또는 2의 지주목세트 중 하나를 선택한 한 쌍의 지주목세트의 상단을 수목의 상단에 결속하고 하단을 식혈의 바닥에 위치시킨 다음 흙으로 식혈을 메워 이식 수목을 견고하게 지지하는 수목의 이식 방법.
  4. 청구항3에 있어 지주목이 지중에 묻힐 부분을 지주목 길이의 2/3 지상에 노출 되는 부분을 지주목 길이의 1/3로 조절하는 수목의 이식 방법.
  5. .청구항2의 삼각형 지주목세트를 이용한 이식수목의 지지방법에 있어서 지주목세트의 하단부 중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은 두 지점을 길이가 큰 보강용 가로대(503)를 이용하여 연결 고정하여 삼각형지주목세트의 이식수목에 대한 지지력을 더욱 보강한 이식수목의 지지방법



KR1020180046905A 2018-04-23 2018-04-23 수목 이식을 위한 지주목 세트 KR1020326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6905A KR102032649B1 (ko) 2018-04-23 2018-04-23 수목 이식을 위한 지주목 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6905A KR102032649B1 (ko) 2018-04-23 2018-04-23 수목 이식을 위한 지주목 세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2649B1 true KR102032649B1 (ko) 2019-10-15

Family

ID=68209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6905A KR102032649B1 (ko) 2018-04-23 2018-04-23 수목 이식을 위한 지주목 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26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8914B1 (ko) * 2023-09-14 2023-12-01 (주)명진조경 나무 식재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0461Y1 (ko) * 1994-03-30 1996-12-16 주식회사 진미 수목용지주
JP2004254644A (ja) * 2003-02-27 2004-09-16 Toho Leo Co 樹木の支持施工方法と、その支持施工方法に使用される樹木の支持具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0461Y1 (ko) * 1994-03-30 1996-12-16 주식회사 진미 수목용지주
JP2004254644A (ja) * 2003-02-27 2004-09-16 Toho Leo Co 樹木の支持施工方法と、その支持施工方法に使用される樹木の支持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8914B1 (ko) * 2023-09-14 2023-12-01 (주)명진조경 나무 식재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081777B (zh) 一种树木反季节移栽方法
CN101779562B (zh) 一种爬藤幕墙绿化墙面和边坡的方法
CN101790928B (zh) 香樟大树快速高干压条繁殖法
CN101669439A (zh) 大树全冠移植方法
CN102138402B (zh) 桂花在秦岭北部地区栽植成活的方法
CN104938294A (zh) 一种珍贵景观树移植装置和利用该装置进行移植的方法
CN107439335A (zh) 一种大型树木移植方法
CN107711406B (zh) 全根全枝或多根多枝移植大树苗和中等树的方法
CN107232003B (zh) 耐水湿乔木水中建植的施工方法
KR101049249B1 (ko) 수목 지하 지주 설치방법
KR20070009807A (ko) 영양식생매트 및 그것을 사용한 수목 이식 방법
KR102032649B1 (ko) 수목 이식을 위한 지주목 세트
CN103385088A (zh) 簕杜鹃乔化栽培方法及所用的乔化支架
CN105325259A (zh) 一种大规格苗木的移植方法
CN110574624A (zh) 一种高大树形三角梅快速成型的种植方法
CN101999298A (zh) 一种立体绿化方法
KR20130036462A (ko) 수직형 식물 재배 장치
JP3825758B2 (ja) 斜面の緑化工法、並びに緑化防護柵および斜面の緑化構造
CN109362413A (zh) 一种蔓生无限生长型番茄栽培支撑架及栽培方法
TWM492606U (zh) 隱藏式樹木支持系統
CN210562230U (zh) 一种高陡边坡绿化种植结构
KR100657638B1 (ko) 사면녹화용 식생 토낭체 및 이를 이용한 사면녹화공법
CN110771489B (zh) 一种铁皮石斛栽培装置及栽培方法
KR101393713B1 (ko) 속성 녹화용 마삭줄 및 이를 이용한 대면적 속성 녹화방법
CN107197747B (zh) 一种猕猴桃的栽培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