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1913B1 - 핫스팟 기능이 있는 전자기기에 접속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핫스팟 기능이 있는 전자기기에 접속하는 방법 및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1913B1
KR102031913B1 KR1020130114670A KR20130114670A KR102031913B1 KR 102031913 B1 KR102031913 B1 KR 102031913B1 KR 1020130114670 A KR1020130114670 A KR 1020130114670A KR 20130114670 A KR20130114670 A KR 20130114670A KR 102031913 B1 KR102031913 B1 KR 1020319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function
specific
connection
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46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34496A (ko
Inventor
양인창
이종명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146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1913B1/ko
Priority to PCT/KR2014/009032 priority patent/WO2015046954A1/ko
Priority to US15/025,116 priority patent/US10009834B2/en
Publication of KR201500344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44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19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19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3Protecting confidentiality, e.g. by encry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4Key management, e.g. using generic bootstrapping architecture [GBA]
    • H04W12/047Key management, e.g. using generic bootstrapping architecture [GBA] without using a trusted network node as an anchor
    • H04W12/0471Key excha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04W12/069Authentication using certificates or pre-shared ke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8Access secu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2Access restriction performed under specific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20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핫스팟(Hotspot(AP)) 기능이 있는 전자기기에 접속하기 위한 방법과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핫스팟(Hotspot(AP)) 기능이 있는 전자기기에 접속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핫스팟(Hotspot(AP)) 기능이 있는 전자기기로부터 비콘 신호(Beacon Signal)를 수신하고 상기 비콘 신호에 기초하여, 핫스팟(Hotspot(AP)) 기능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기기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된 전자기기 중에서 접속할 전자기기를 선택하는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전자기기에 접속 허용을 요청하기 위한 식별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여기서 상기 식별정보는, 특정 입력신호에 의해 생성되며, 상기 선택된 전자기기에 기존에 설정되어있지 않는 식별정보를 말한다; 상기 선택된 전자기기에 상기 식별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전자기기로부터 접속 허용 여부에 대한 응답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핫스팟 기능이 있는 전자기기에 접속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ACCESSING TO ELECTRONIC DEVICE HAVING HOTSPOT FUNCTION}
본 발명은 핫스팟(Hotspot(AP)) 기능 있는 전자기기에 접속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무선 랜 기능이 있는 전자기기가 핫스팟(Hotspot(AP)) 기능을 가지고 있는 전자기기를 통하여 무선 인터넷을 이용하기 위해 상기 핫스팟 기능을 가지고 있는 전자기기에 접속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노트북, 휴대폰 등에 무선 랜 기능을 내재하고 있는 전자기기들이 대중화되고, 또한 휴대하고 다니기 편리해짐에 따라, 사무실 및 주거지뿐만 아니라 실외공간에서 개인 업무를 처리하거나, 다양한 정보를 얻기 위해 다양한 공간에서 인터넷에 접속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이러한 외부 공간에서 인터넷을 하려면 무선으로 인터넷에 접속하여야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무선 인터넷을 가능하게 해주는 기능 중에 하나가 바로 핫스팟(Hotspot(AP)) 기능이다.
핫스팟(Hotspot(AP)) 기능은 전자기기를 무선 랜 기능이 있는 전자기기(예를 들어, 아이패드, 노트북, 스마트폰 등)에 인터넷을 제공하기 위하여 무선 공유기처럼 AP(access point)로 만드는 기능을 말한다.
종래에는 이러한 핫스팟 기능이 있는 휴대용 단말기에 접속하려면 미리 설정된 암호 키를 입력하여 접속허가를 받아야만 접속이 가능하였는데, 이러한 방법은 암호 키를 항상 기억해야 하고, 이러한 암호 키를 잊어버리는 경우 접속이 번거로워 지거나 불가능해지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암호 키를 해킹당하는 경우 증명되지 않은 외부기기부터의 접속이 가능해져 보안상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핫스팟(Hotspot(AP)) 기능이 있는 전자기기에 접속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핫스팟(Hotspot(AP)) 기능이 있는 전자기기에 기존에 설정된 암호 키를 이용하여 접속할 수 있는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핫스팟(Hotspot(AP)) 기능이 있는 전자기기에 기존에 설정된 암호 키 없이 접속기기의 사용자로부터 식별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전자기기에 전송하여 접속할 수 있는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핫스팟(Hotspot(AP)) 기능이 있는 전자기기에 기존에 설정된 암호 키 없이 연결전용 소프트웨어(Software)에 의해서 생성된 식별정보를 상기 전자기기로 전송하여 접속할 수 있는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핫스팟(Hotspot(AP)) 기능이 있는 전자기기로부터 비콘 신호(Beacon Signal)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비콘 신호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핫스팟(Hotspot(AP)) 기능이 있는 전자기기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된 전자기기 중에서 접속할 전자기기를 선택하는 입력신호를 수신하여 접속할 전자기기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전자기기에 접속 허용을 요청하기 위한 식별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여기서 상기 식별정보는, 특정 입력신호에 의해 생성되며, 상기 전자기기에 기존에 설정되어있지 않는 식별정보를 말한다; 상기 선택된 전자기기에 상기 식별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전자기기로부터 접속 허용 여부에 대한 응답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핫스팟(Hotspot(AP)) 기능이 있는 전자기기에 접속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식별정보가 상기 전자기기에 저장되어 있는 식별정보일 경우, 상기 응답신호는 접속 허용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식별정보가 상기 전자기기에 저장되어있지 않는 식별정보일 경우, 상기 전자기기의 사용자 입력신호에 의해 접속 허용 여부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응답신호가 접속불허를 나타내는 경우, 상기 검색된 전자기기 중에서 접속할 다른 전자기기를 선택하는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다른 전자기기에 식별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전자기기로부터 접속이 허용되는 경우, 상기 전자기기에 접속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자기기의 핫스팟 기능을 통하여 인터넷에 접속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접속이 허용되는 경우, 상기 저장되지 않은 식별정보는 상기 전자기기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식별정보는, 상기 전자기기가 기존에 접속했던 전자기기인 경우 기존에 사용했던 식별정보와 동일하지 않아도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식별정보는, 연결 전용 소프트웨어(software)에 의해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식별정보는 식별 문장, 숫자, 코드 또는 이미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는, 핫스팟(Hotspot(AP)) 기능이 있는 전자기기의 검색을 위해 비콘 신호(Beacon signal)를 수신하고, 선택된 전자기기에 식별정보를 전송하는 통신부; 상기 검색된 전자기기들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기기를 검색하고, 사용자의 입력신호에 의하여 상기 전자기기 중에 접속할 전자기기를 선택 및 상기 선택된 전자기기에 접속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는, 상기 식별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는, 연결 전용 소프트웨어(software)를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결 전용 소프트웨어(Software)를 이용하여 상기 식별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함으로써 상기 전자기기에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는, 상기 전자기기를 통하여 인터넷에 접속하는 무선 인터넷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접속방법 및 그 전자기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핫스팟(Hotspot(AP)) 기능이 있는 전자기기에 접속할 때 미리 설정된 암호 키 대신에 사용자가 미리 설정되지 않은 식별정보를 입력함으로써, 별도의 암호 키를 기억하거나 설정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핫스팟(Hotspot(AP)) 기능이 있는 전자기기에 접속할 때 전송된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의해 접속 허용 여부가 결정됨으로써, 암호 키가 해킹당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으며, 접속이 허용되지 않는 외부기기로부터의 접속을 차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네트워크에서 핫스팟(Hotspot(AP)) 기능이 있는 전자기기에 접속하여 인터넷을 이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연결관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접속방법을 수행하는 전자기기의 내부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접속방법을 수행하는 전자기기 내 제어부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제1 실시예들로써,
도 4는 제1 실시예가 적용되는 핫스팟 기능이 있는 전자기기에 접속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제1 실시예가 적용되는 핫스팟 기능이 있는 전자기기에 접속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제2 실시예들로써,
도 6은 제2 실시예가 적용되는 핫스팟 기능이 있는 전자기기에 접속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제2 실시예가 적용되는 핫스팟 기능이 있는 전자기기에 접속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제2 실시예가 적용되는 접속기기에서 수행되는 핫스팟 기능이 있는 전자기기에 접속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9는 제2 실시예가 적용되는 핫스팟 기능이 있는 전자기기에 접속하는 방법 중에서 접속기기에서 전송된 식별정보가 기존에 저장되어 있는 식별정보인지 여부에 따른 접속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가질 수 있는바, 이하에서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원칙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전자 기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전자 기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네트워크에서 핫스팟(Hotspot(AP)) 기능이 있는 전자기기에 접속하여 인터넷을 이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연결관계를 나타낸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무선 랜 기능이 있는 전자기기에 인터넷을 제공하기 위해 핫스팟(Hotspot(AP)) 기능이 있는 전자기기를 무선 공유기처럼 AP(access point)로 이용하는 방법을 간략하게 나타내고 있다(100). 이를 살펴보면, 무선 랜 기능이 있는 전자기기(예를 들어, 스마트 폰, 노트북 등)가 핫스팟(Hotspot(AP)) 기능이 있는 전자기기에 접속을 하면, 상기 핫스팟(Hotspot(AP)) 기능이 있는 전자기기가 무선 공유기 역할을 할 수 있게 되고, 자체적으로 WiFi(Wireless Fidelity)망을 구축할 수가 있다. 이러한 무선 공유기 역할을 하는 전자기기를 통하여 상기 무선랜 기능이 있는 전자기기가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접속방법을 수행하는 전자기기의 내부 블록도를 나타낸다.
접속기기인 전자기기(200)는 통신부(210), A/V 입력부(220), 사용자 입력부(230), 무선 인터넷부(240), 인터페이스부(250), 전원 공급부(260), 출력부(270), 메모리부(280), 제어부(2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전자기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상기 통신부(210)는 상기 전자기기(2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상기 전자기기(200)와 상기 전자기기(2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통신부(210)는 수신부(211), 송신부(21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신부(211)는 채널을 통하여 다른 전자기기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다른 전자기기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에는, 상기 다른 전자기기가 핫스팟(Hotspot(AP)) 기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려주는 신호 및 각종데이터를 가지고있는 신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신부(212)는 상기 전자기기(200)로부터 각종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외부로 전달할 수 있으며, 상기 전자기기가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식별정보를 다른 전자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A/V 입력부(2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221)와 마이크(2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2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271)에 표시되거나, 제어부(290)로 전송되어 식별 코드(CODE)로 변환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2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부(280)에 저장되거나 통신부(2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221)는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2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마이크(2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 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2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상기 핫스팟(Hotspot(AP)) 기능이 있는 전자기기에 접속하기 위한 식별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2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240)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240)은 전자 기기(200)에 내장되거나 외장 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부(240)는 무선 공유기인 AP(Access Point)를 통해서 인터넷에 접속하거나, 전자기기를 무선공유기인 AP(Access Point)로 만들어주는 핫스팟(Hotspot(AP)) 기능이 있는 전자기기를 통하여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250)는 전자 기기(2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25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전자 기기(2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전자 기기(2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USB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250)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전자기기(200)는 상기 인터페이스부(250)의 USB포트를 이용하여 USB 테더링(Tethering)기술을 통해 인터넷에 접속할 수도 있다. 이러한 USB 테더링 기술은 스마트폰과 상기 전자기기(200)를 USB를 통하여 직접 연결하여 상기 전자기기(200)가 상기 스마트폰을 통해서 인터넷에 접속되는 기능을 말한다.
상기 출력부(270)는 시각, 청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271), 음향 출력부(27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71)는 상기 전자기기(2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기기(200)가 검색한 핫스팟(Hotspot(AP)) 기능이 있는 전자기기의 정보(예를 들어, 단말기 번호, 단말기 이름 등)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7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투명 LC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27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271)이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전자 기기(2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7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기기(2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 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27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약칭함)에, 디스플레이부(27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27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27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29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290)는 디스플레이부(27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상기 음향 출력부(272)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통신부(2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부(28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음향 출력부(272)는 전자 기기(2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27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메모리부(280)는 제어부(29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핫스팟(Hotspot(AP)) 기능이 있는 전자기기의 접속을 위해서, 연결전용 소프트웨어(Software)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부(2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부(28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기기(2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부(28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290)는 통상적으로 전자기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주변의 핫스팟(Hotspot(AP)) 기능이 있는 전자기기를 검색하거나, 상기 연결전용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상기 식별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식별정보를 상기 전자기기에 전송하여 상기 전자기기에 접속을 수행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9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260)는 제어부(29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접속방법을 수행하는 전자기기 내 제어부(290)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를 나타낸다.
상기 제어부(290)는 상기 전자기기(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290) 상기 전자기기(200)가 핫스팟 기능이 있는 전자기기에 접속을 수행하는 방법에서, 주변의 상기 핫스팟 기능을 가지고 있는 전자기기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전자기기 중에서 접속할 전자기기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택된 전자기기에 식별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함으로써, 상기 선택된 전자기기에 접속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90)의 구체적인 내부 구성을 살펴보면, 전자기기 검색부(291)는 주변의 핫스팟 기능이 있는 전자기기로부터 수신부(211)를 통하여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주변의 핫스팟 기능이 있는 전자기기를 검색할 수 있다.
전자기기 선택부(292) 상기 검색된 전자기기중에서 접속할 전자기기를 선택하는 입력신호를 상기 사용자 입력부(230)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71)로부터 전송받아 상기 접속할 전자기기를 선택할 수 있다.
식별정보 생성부(293)는 상기 선택된 전자기기로부터의 식별정보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부(230)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71)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기초하여 식별정보를 생성하거나, 연결전용 소프트웨어에 의해 식별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식별정보 암호화부(294)는 상기 식별정보 생성부(293)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식별정보를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암호화하여 상기 선택된 전자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접속처리부(275)는 상기 전자기기로부터 접속 허용 신호가 수신부(211)를 통해 수신되면, 이를 기초로 상기 선택된 전자기기에 접속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제1 실시예로써, 핫스팟 기능이 있는 전자기기에 접속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핫스팟(Hotspot(AP)) 기능이 있는 전자기기에 접속하기 위한 방법은, 상기 핫스팟 기능이 있는 전자기기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전자기기 중에 접속할 전자기기를 선택하여 접속을 할 수 있다(400).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접속기기(410)가 핫스팟 기능을 가지고 있는 전자기기를 검색하여, 이를 상기 접속기기(410)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해줄 수 있다.
상기 접속기기는 상기 검색된 전자기기 중에 접속할 전자기기를 선택하는 입력신호를 디스플레이부 또는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입력받아 상기 접속할 전자기기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선택된 전자기기에 접속하기 위해 접속기기(410)는 상기 선택된 전자기기(420)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암호 키를 상기 디스플레이부 또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입력받게 되고, 상기 암호 키가 올바른 경우 상기 선택된 전자기기에 접속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제1 실시예로써, 핫스팟 기능이 있는 전자기기에 접속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여, 핫스팟 기능이 있는 전자기기에 접속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접속기기는 핫스팟(Hotspot(AP)) 기능을 가지고 있는 전자기기로부터 비콘 신호(Beacon Signal)을 수신하게 된다(S500). 여기서 비콘 신호(Beacon Signal)는, 무선 공유기인 AP(Access Point)가 공유채널에 자신이 관할하는 네트워크(BSS)의 존재를 정기적으로 알리는 방송용 프레임을 말한다. 구체적으로, 주변의 전자기기에 무선 네트워크의 존재를 알리고, 상기 무선네트워크의 존재를 찾아서 상기 무선네트워크에 참여하도록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방송용 프레임을 말한다.
상기 접속기기는 상기 수신된 비콘 신호를 기초로 상기 핫스팟 기능이 있는 전자기기를 검색할 수 있고(S510), 상기 검색된 전자기기 중에서 접속할 전자기기를 선택하는 입력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접속할 전자기기를 선택할 수 있다(S520).
상기 선택된 전자기기로부터 암호 키를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하게 되면, 상기 접속기기는 상기 선택된 전자기기에 기존에 설정되어 있는 암호 키에 관한 신호를 사용자 입력부 또는 디스플레이부로부터 입력받아 상기 선택된 전자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S530).
상기 접속기기는 상기 선택된 전자기기로부터 상기 전송한 암호 키가 기존에 설정된 암호 키와 일치하는지 여부에 따라 접속 허용 여부에 관한 응답신호를 수신받게 된다(S540).
만일 상기 전송한 암호 키가 상기 선택된 전자기기에 기존에 설정되어 있던 암호 키와 일치하지않는 경우, 상기 선택된 전자기기로부터 접속을 불허하는 응답신호를 수신하게 되고, 상기 접속기기는 상기 접속할 전자기기를 선택하는 단계(S520)로 회귀하여 상기 검색된 전자기기들 중에 접속할 다른 전자기기를 선택할 수 있다.
만일 상기 전송한 암호 키가 상기 선택된 전자기기에 기존에 설정되어 있던 암호 키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선택된 전자기기로부터 접속을 허용하는 응답신호를 수신하게 되고, 상기 접속기기는 상기 선택된 전자기기에 접속을 하게 된다(S550).
상기 접속기기가 상기 선택된 전자기기에 접속을 하게 되면, 상기 접속기기는 상기 선택된 전자기기의 핫스팟 기능을 통해서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다.
도 6은 제2 실시예가 적용되는 핫스팟 기능이 있는 전자기기에 접속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살펴보면, 핫스팟(Hotspot(AP)) 기능이 내장되어 있는 전자기기에 접속하기 위한 방법은 주변의 핫스팟 기능이 있는 전자기기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전자기기 중에 접속할 전자기기를 선택하여 접속을 할 수 있다(600).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접속기기(610)가 주변의 핫스팟 기능을 가지고 있는 전자기기를 검색하고, 이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해줄 수 있다.
상기 접속기기(610)는 상기 검색된 전자기기 중에 접속할 전자기기를 선택하는 입력신호를 디스플레이 모듈 또는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수신받아 상기 접속할 전자기기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선택된 전자기기(620)에 접속하기 위해 상기 접속기기(61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 또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서 상기 선택된 전자기기(620)에 접속을 요청하기 위한 접속 키에 관한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접속 키는 상기 선택된 전자기기(620)에 기존에 설정되어 있던 암호 키가 아닌 접속이 가능한 접속기기임을 증명할 수 있는 식별정보를 말한다.
이러한 식별정보는 상기 선택된 전자기기(620)에 상기 접속기기(610)를 알리는 정보에 불과하며, 상기 선택된 전자기기에 사전에 설정되어 있는 정보는 아니다. 따라서 상기 접속기기는 기존에 접속했던 전자기기에 다시 접속하는 경우라도 동일한 식별정보를 입력하여 접속 허용을 받는 것은 물론, 새로운 식별정보를 전송하여 접속을 허가받을 수 있다.
상기 전송된 식별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선택된 전자기기로부터 접속을 허용하는 응답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접속기기는 상기 선택된 전자기기에 접속을 할 수 있다.
도 7은 제2 실시예가 적용되는 핫스팟 기능이 있는 전자기기에 접속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 7을 참조하면, 접속기기는 핫스팟(Hotspot(AP)) 기능이 있는 전자기기의 송수신부로부터 WPA 비콘 신호(Wi-Fi Protected Access Beacon Signal)를 수신 받아서, 상기 전자기기를 검색할 수 있게 된다(S700). 여기서 WPA는 Wi-Fi 무선 랜 사용자를 위해 개발된 최신 보안 표준으로서 WEP(Wired Equivalent Privacy) 보다 개량된 보안 표준이다. 이러한 WPA는 WEP보다 정교한 데이터 암호화를 제공하는 것은 물론 완전한 사용자 인증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접속기기는 상기 검색된 전자기기 중에서 접속할 전자기기를 선택하는 입력신호를 디스플레이부 또는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서 입력받을 수 있다(S710).
상기 선택된 전자기기에 상기 접속기기가 접속 허용요청 신호를 송신하면(S720), 상기 선택된 전자기기는 상기 접속기기를 증명할 수 있는 식별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S740). 여기서 상기 식별정보는, 특정 입력신호에 의해서 생성되며 상기 특정 입력신호는 상기 디스플레이부 또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입력신호를 나타낸다(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부의 터치 센서를 통한 터치신호, 사용자 입력부인 키보드나 키패드 등을 통한 입력). 또한 상기 식별정보는 연결전용 소프트웨어(Software)를 통해서 생성될 수 있다(S750).
상기 식별정보는 문자, 숫자, 기호, 이미지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접속기기의 사용자나 연결 전용 소프트웨어(Software)를 통해서 임의로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식별정보는 가변적인 것으로서, 상기 접속기기가 상기 선택된 전자기기에 접속할 때마다 변경될 수 있다.
상기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식별정보의 구체적인 예를 들면, 상기 도 6에서 상기 접속기기(610)는, 상기 선택된 전자기기에 접속하기 위하여 식별정보인 접속 키를 전송한다. 상기 도 6에서는 이러한 접속 키로 “it's me, bob, Please OK!”라는 식별정보를 전송하였다. 이러한 식별정보는 상기 도 6의 식별정보와 같이 특정 문장이 될 수도 있고, 특정 이미지, 특정 기호, 특정 숫자, 또는 이들의 조합이 될 수도 있다.
상기 선택된 전자기기는 상기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기기의 사용자가 입력한 접속 허용 여부에 관한 신호를 통해 상기 전자기기의 접속 허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S770).
상기 접속기기는 상기 선택된 전자기기로부터 접속을 불허하는 응답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접속할 기기를 선택하는 단계(S710)로 회귀하여 상기 검색된 전자기기 중에서 접속할 다른 전자기기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접속기기가 상기 선택된 전자기기로부터 접속을 허용하는 응답신호를 수신하는 경우(S780), 상기 선택된 전자기기에 접속을 할 수 있으며, 상기 식별정보는 상기 선택된 전자기기에 저장될 수 있다(S790).
상기 식별정보를 요청하는 단계(S740)부터 상기 식별정보를 전송하는 단계(S760)은 암호화 채널에 연결되어 수행될 수 있으며, 이러한 암호화 채널은 상기 식별정보를 요청하는 단계(S740) 이전에 암호화 채널로 연결되게 된다(S730). 상기 접속기기는 상기 식별정보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암호화 채널을 통해 상기 식별정보를 암호화시켜 상기 선택된 전자기기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선택된 전자기기는 전송받은 상기 암호화된 식별정보를 해독하여 화면에 표시해 줄 수 있다.
상기 암호화 채널을 연결하는 단계(S730)부터 상기 연결을 허용하는 단계(S780)는 확장할 수 있는 인증 프로토콜인 EAP(Extensible Authentication Protocol)에 의해서 인증될 수 있다. 상기 EAP를 사용하면 임의의 인증 메커니즘으로 원격 액세스(Access) 연결이 인증되며, 이는 인증자의 인증 정보 요청과 원격 액세스 클라이언트(Client)의 응답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EAP는 원격 액세스 클라이언트와 인증자가 모두 같은 EAP 종류를 지원해야만 인증이 제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8은 제2 실시예가 적용되는 접속기기에서 수행되는 핫스팟 기능이 있는 전자기기에 접속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 8을 참조하면, 접속기기는 핫스팟(Hotspot(AP)) 기능이 있는 전자전자기부터 비콘 신호(Beacon Signal)를 수신할 수 있다(S800). 상기 전자기기는 상기 수신된 비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기기를 검색할 수 있으며(S810), 상기 검색된 전자기기 중에서 접속할 전자기기를 선택하는 입력신호를 디스플레이부 또는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수신받아 접속할 전자기기를 선택할 수 있다(S820).
상기 전자기기는 상기 선택된 전자기기에 접속을 요청하면서 상기 접속기기임을 증명할 수 있는 식별정보에 관한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부 또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서 입력받거나, 연결전용 소프트웨어(Software)로부터 입력받아 상기 선택된 전자기기로 전송하여(S830) 상기 선택된 전자기기와 접속을 할 수 있다(S840).
도 9는 제2 실시예가 적용되는 핫스팟 기능이 있는 전자기기에 접속하는 방법 중에서 접속기기에서 전송된 식별정보가 기존에 저장되어 있는 식별정보인지 여부에 따른 접속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도 8의 핫스팟(Hotspot(AP)) 기능이 있는 전자기기를 검색하는 단계(S810) 이후에, 접속기기는 상기 검색된 전자기기 중에 접속할 전자기기를 선택하는 입력신호를 수신하여 접속할 전자기기를 선택할 수 있다(S900).
상기 접속기기는 상기 선택된 전자기기에 접속하기 위하여 상기 접속기기임을 증명할 수 있는 식별정보에 관한 신호를 디스플레이부 또는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입력받거나, 상기 식별정보를 연결전용 소프트웨어(Software)를 통해 생성하여 상기 선택된 전자기기에 전송할 수 있다(S910).
이 경우, 상기 전송된 식별정보가 상기 선택된 전자기기에 저장되어 있는 식별정보인지 여부에 따라서 상기 접속기기가 기존에 접속이 가능했던 접속기기인지 판단된다(S920).
상기 식별정보가 상기 선택된 전자기기에 저장된 식별정보인 경우 상기 접속기기는 기존에 접속이 가능했던 접속기기이므로 상기 선택된 전자기기로부터 접속을 허용하는 응답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선택된 전자기기에 접속할 수 있다(S940).
상기 식별정보가 상기 선택된 전자기기에 저장되지 않은 식별정보인 경우 상기 접속기기는 기존에 접속이 가능했던 접속기기가 아니므로, 상기 선택된 전자기기로부터 접속 허용 여부에 대한 응답신호를 수신하게 된다(S930).
상기 응답신호가 접속을 불허하는 응답신호인 경우 상기 접속기기는 상기 접속할 전자기기를 선택하는 단계(S900)로 회귀하여 상기 검색된 전자기기 중에 접속할 다른 전자기기를 선택하게 된다.
상기 응답신호가 접속을 허용하는 응답신호일 경우 상기 접속기기는 상기 선택된 전자기기에 접속할 수 있다(S940).
상기 접속기기가 상기 선택된 전자기기에 접속이 가능하면, 상기 접속기기는 상기 선택된 전자기기에 접속하여 상기 선택된 전자기기의 핫스팟 기능을 통해 무선 인터넷에 접속을 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제2 실시예를 응용한 예시로는, 접속기기가 핫스팟 기능이 있는 전자기기로부터 특정한 기능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특정한 기능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접속이 가능 한 기기임을 증명하는 방법이다.
상기 전자기기는, 상기 접속기기로부터 상기 전자기기가 수행한 기능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획득한 정보가 상기 전자기기가 수행한 상기 특정한 기능과 동일한 기능에 대한 정보일 경우 접속을 허용하게 된다.
상기 예시를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면, 접속기기가 핫스팟(Hotspot(AP)) 기능이 있는 전자기기에 접속요청을 하면, 상기 전자기기의 LED전등이 깜박이게 된다.
상기 LED전등이 깜박이게 되면, 상기 접속기기의 카메라가 상기 LED전등을 마주보게 하여 상기 LED전등의 깜박임 횟수, 빈도 등을 측정하게 한다. 상기 접속기기는 상기 LED전등으로부터 획득한 정보(LED전등의 깜박임 횟수, 빈도 등)를 코드(CODE)화하여 상기 전자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전자기기는 상기 접속기기로부터 수신한 코드를 분석하여, 상기 LED전등이 수행했던 기능의 특징과 동일하면 연결을 허용하여 상기 접속기기가 상기 전자기기에 접속을 할 수 있다.
상기 LED전등의 깜박임은 상기 전자기기의 기능 중에서 한가지일 뿐이고 이는, 다른 기능으로 대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피커를 통한 음향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고, 이 경우는 상기 접속기기가 상기 음향신호를 마이크를 통하여 수신이 가능하다. 이뿐만 아니라 상기 전자기기의 진동 또는 화면의 밝기나 이미지 변화 등도 이러한 예의 일종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Claims (15)

  1. 핫스팟(Hotspot(AP)) 기능이 있는 디바이스에 제 1 디바이스가 접속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인접한 디바이스들로부터 비콘 신호(Beacon Signal)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비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인접한 디바이스들 중 핫스팟(Hotspot(AP)) 기능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 중에서 특정 디바이스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특정 디바이스로의 접속과 관련된 메시지를 송수신하기 위해 상기 특정 디바이스와 암호화 채널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특정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특정 디바이스의 제 1 특정 기능과 관련된 기능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기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디바이스에 접속하기 위한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코드를 상기 특정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코드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디바이스로부터 접속이 허용되는지 여부와 관련된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응답 신호가 접속 허용을 나타내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특정 디바이스의 상기 핫 스팟 기능을 이용하여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코드는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상기 특정 디바이스에 접속이 허용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정보이고, 상기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인식된 상기 제 1 특정 기능에 따른 상기 제 1 디바이스의 제 2 특정 기능에 기초하여 생성되며,
    상기 접속 허용의 여부는 상기 제 1 특정 기능과 상기 제 2 특정 기능이 동일한지 여부에 따라 결정되고,
    상기 코드는 암호화 되어 상기 암호화 채널을 통해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스팟(Hotspot(AP)) 기능이 있는 디바이스에 접속하기 위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특정 기능 및 상기 제 2 특정 기능이 동일한 경우, 상기 응답 신호는 상기 접속 허용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스팟(Hotspot(AP)) 기능이 있는 디바이스에 접속하기 위한 방법.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신호가 접속 불허를 나타내는 경우, 상기 검색된 디바이스 중에서 접속할 다른 디바이스를 선택하는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다른 디바이스로의 접속을 위해 접속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스팟(Hotspot(AP)) 기능이 있는 디바이스에 접속하기 위한 방법.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는, 상기 디바이스가 기존에 접속했던 디바이스인 경우 기존에 사용했던 코드와 동일하지 않아도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스팟(Hotspot(AP)) 기능이 있는 디바이스에 접속하기 위한 방법.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핫스팟(Hotspot(AP)) 기능이 있는 디바이스에 접속하기 위한 제 1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바이스는,
    통신부;
    디스플레이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인접한 디바이스들로부터 비콘 신호(Beacon Signal)를 수신하고,
    상기 비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인접한 디바이스들 중 핫스팟(Hotspot(AP)) 기능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검색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 중에서 특정 디바이스를 선택하고,
    상기 특정 디바이스로의 접속과 관련된 메시지를 송수신하기 위해 상기 특정 디바이스와 암호화 채널을 형성하며,
    상기 특정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특정 디바이스의 제 1 특정 기능과 관련된 기능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기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디바이스에 접속하기 위한 코드를 생성하며,
    상기 코드를 상기 특정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코드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디바이스로부터 접속이 허용되는지 여부와 관련된 응답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응답 신호가 접속 허용을 나타내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특정 디바이스의 상기 핫 스팟 기능을 이용하여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하되,
    상기 코드는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상기 특정 디바이스에 접속이 허용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정보이고, 상기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인식된 상기 제 1 특정 기능에 따른 상기 제 1 디바이스의 제 2 특정 기능에 기초하여 생성되며,
    상기 접속 허용의 여부는 상기 제 1 특정 기능과 상기 제 2 특정 기능이 동일한지 여부에 따라 결정되고,
    상기 코드는 암호화 되어 상기 암호화 채널을 통해서 전송되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랜 기능을 구비한 디바이스.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를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랜 기능을 구비한 디바이스.
  13. 제 11 항에 있어서,
    연결 전용 소프트웨어(software)를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랜 기능을 구비한 디바이스.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결 전용 소프트웨어(Software)를 이용하여 상기 코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랜 기능을 구비한 디바이스.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를 통하여 인터넷에 접속하는 무선 인터넷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랜 기능을 구비한 디바이스.
KR1020130114670A 2013-09-26 2013-09-26 핫스팟 기능이 있는 전자기기에 접속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0319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4670A KR102031913B1 (ko) 2013-09-26 2013-09-26 핫스팟 기능이 있는 전자기기에 접속하는 방법 및 장치
PCT/KR2014/009032 WO2015046954A1 (ko) 2013-09-26 2014-09-26 핫스팟 기능이 있는 전자기기에 접속하는 방법 및 장치
US15/025,116 US10009834B2 (en) 2013-09-26 2014-09-26 Apparatus and method for accessing electronic device having hot spot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4670A KR102031913B1 (ko) 2013-09-26 2013-09-26 핫스팟 기능이 있는 전자기기에 접속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4496A KR20150034496A (ko) 2015-04-03
KR102031913B1 true KR102031913B1 (ko) 2019-10-14

Family

ID=52743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4670A KR102031913B1 (ko) 2013-09-26 2013-09-26 핫스팟 기능이 있는 전자기기에 접속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009834B2 (ko)
KR (1) KR102031913B1 (ko)
WO (1) WO201504695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0275A (ko) * 2013-11-26 2015-06-0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 및 전자장치의 데이터서비스 제공방법
US10271245B2 (en) 2015-12-18 2019-04-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and systems for transferring hotspot session
WO2017135764A1 (ko) 2016-02-03 2017-08-10 삼성전자 주식회사 애플리케이션을 상호 연동하는 전자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JP6689500B2 (ja) * 2016-03-30 2020-04-28 華為技術有限公司Huawei Technologies Co.,Ltd. Wi−Fiホットスポット推奨方法、端末およびグラフィカル・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
CN105916188A (zh) * 2016-04-18 2016-08-31 肖华薇 一种无线局域网连接方法、装置及系统
CN110320811B (zh) * 2019-06-17 2021-12-1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智能家居设备的接入方法及一种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54979B2 (en) * 2005-02-03 2009-06-30 Canon Kabushiki Kaisha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having function of transmitting notification signal while hiding group identification information
EP1826949A1 (en) * 2006-02-28 2007-08-29 Thomson Licensing Seamless handover method and system
EP2217023A4 (en) * 2007-11-27 2014-05-07 Sharp Kk MOBILE STATIO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METHOD FOR CONTROLLING THE MOBILE STATION AND PROGRAM FOR CONTROLLING THE MOBILE STATION
KR20090113033A (ko) 2008-04-25 2009-10-29 삼성전자주식회사 기기의 무선 랜 설정 방법 및 장치
US20130231088A1 (en) * 2009-03-03 2013-09-05 E3, Llc System and method for social profiling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KR101663011B1 (ko) * 2010-05-17 2016-10-06 삼성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그 단말기에서 테더링 서비스 수행 방법
KR101288865B1 (ko) 2011-04-14 2013-07-23 주식회사 팬택 통신 방법 및 무선기기
KR101982150B1 (ko) 2012-02-16 2019-05-27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 전송을 위한 디바이스 검색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009834B2 (en) 2018-06-26
KR20150034496A (ko) 2015-04-03
WO2015046954A1 (ko) 2015-04-02
US20160242107A1 (en) 2016-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43603A1 (en) Wireless network access method, apparatus, device, equipment and system
US10298398B2 (en) Peer discovery, connection, and data transfer
CN112987581B (zh) 用于智能家居设备的控制方法及其介质和终端
RU2647680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информационного взаимодействия, электр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102031913B1 (ko) 핫스팟 기능이 있는 전자기기에 접속하는 방법 및 장치
US8977856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use in sharing credentials amongst a plurality of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CN107925566B (zh) 在设备之间通信的方法及其设备
US9743450B2 (en) Learned dual band WiFi network association method
JP7204792B2 (ja) Wi-fiホットスポット接続方法および端末
WO2015135337A1 (en) Method and system for encrypted communications
KR20160044429A (ko)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KR20140019845A (ko) 소셜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 설정을 공유하는 방법 및 장치
EP320368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ecurities to electronic devices
WO2017128719A1 (zh) 接入无线局域网的方法、装置及系统
JP2018509009A (ja) ルーティング情報転送方法、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9590974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system, and recording medium
EP4138462A1 (en) Information sharing method, electronic devices and system
KR20190015555A (ko) 서비스 제공 시스템, 서비스 통신 시스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기록 매체
JP6502955B2 (ja) ユーザー情報を取得する方法および装置、端末装置並びにサーバー
CN115426638A (zh) 蓝牙设备配对方法及装置
CA2825321C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use in sharing credentials amongst a plurality of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KR20190109811A (ko) 이동 통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CN113595740A (zh) 数据传输方法及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6028916A (zh) 一种设备控制方法与相关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