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1593B1 - Interface design apparatus for operating single train between railway vehicles with heterogeneous networks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Interface design apparatus for operating single train between railway vehicles with heterogeneous networks and method thereo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1593B1
KR102031593B1 KR1020170167342A KR20170167342A KR102031593B1 KR 102031593 B1 KR102031593 B1 KR 102031593B1 KR 1020170167342 A KR1020170167342 A KR 1020170167342A KR 20170167342 A KR20170167342 A KR 20170167342A KR 102031593 B1 KR102031593 B1 KR 1020315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interface
railway vehicle
information
railw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734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67419A (en
Inventor
이강미
김성진
백종현
이재호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1673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1593B1/en
Publication of KR201900674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741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15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1593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08Protocols for interworking; Protocol convers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006Architecture of a communication node
    • H04L12/40032Details regarding a bus interface enhanc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052High-speed IEEE 1394 serial bus
    • H04L12/40097Interconnection with other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26Special purpose or proprietary protocols or archite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7/00Central railway traffic control systems; Trackside control;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1L27/20Trackside control of safe travel of vehicle or train, e.g. braking curve calculation
    • B61L2027/204Trackside control of safe travel of vehicle or train, e.g. braking curve calculation using Communication-based Train Control [CBT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2012/40267Bus for use in transportation systems
    • H04L2012/40293Bus for use in transportation systems the transportation system being a tra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종 네트워크를 갖는 철도차량 간 단일편성 운영을 위한 인터페이스 설계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단일 편성하고자 하는 이종 네트워크를 갖는 철도차량의 구성 정보를 입력받는 차량 구성 정보 입력부; 상기 단일 편성할 철도차량의 대수와 편성 위치에 관련된 조건 정보를 입력받는 차량 편성 조건 입력부; 상기 차량 구성 정보 입력부, 및 차량 편성 조건 입력부를 통해 입력받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종 네트워크를 갖는 철도차량 간 단일 편성 운영을 위한 인터페이스 정보를 설계하거나 산출하는 컨트롤러부; 및 상기 컨트롤러부에서 설계하거나 산출한 상기 이종 네트워크를 갖는 철도차량 간 단일 편성 운영을 위한 인터페이스 정보를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해 출력하는 인터페이스 설계 결과 출력부;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designing an interface for unitary operation between railway vehicles having a heterogeneous network, comprising: a vehicle configuration information input unit configured to receive configuration information of a railway vehicle having a heterogeneous network to be united; A vehicle formation condition input unit configured to receive condition information related to the number and location of the railroad car to be single-organized; A controller unit for designing or calculating interface information for unitary operation between railroad cars having the heterogeneous network based on the vehicle configuration information input unit and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vehicle configuration condition input unit; And an interface design result output unit configured to output, via a display means, interface information for unitary operation between railroad cars having the heterogeneous network designed or calculated by the controller unit.

Description

이종 네트워크를 갖는 철도차량 간 단일편성 운영을 위한 인터페이스 설계 장치 및 방법{INTERFACE DESIGN APPARATUS FOR OPERATING SINGLE TRAIN BETWEEN RAILWAY VEHICLES WITH HETEROGENEOUS NETWORKS AND METHOD THEREOF}INTERFACE DESIGN APPARATUS FOR OPERATING SINGLE TRAIN BETWEEN RAILWAY VEHICLES WITH HETEROGENEOUS NETWORKS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이종 네트워크를 갖는 철도차량 간 단일편성 운영을 위한 인터페이스 설계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철도차량의 운행제어 및 감시를 위한 네트워크 방식이 서로 다른 철도차량을 연결하여 단일 편성으로 운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이종 네트워크를 갖는 철도차량 간 단일편성 운영을 위한 인터페이스 설계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designing an interface for a single vehicle operation between a railway vehicle having a heterogeneous network.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ailroad vehicle in which a network system for operation control and monitoring of a railway vehicle is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single trai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rface design apparatus and method for unified operation between railroad cars having heterogeneous networks for operation.

일반적으로 철도차량은 운영과 관련된 전장장치의 제어 및 감시를 위하여, TCU(Train Control Unit), VCU(Vehicle Control Unit), 및 DU(Display Unit)를 포함하여 구성된 종합제어 및 감시 장치, 혹은 종합관리장치를 운영한다.In general, a railway vehicle is a comprehensive control and monitoring device or a comprehensive management system including a Train Control Unit (TCU), a Vehicle Control Unit (VCU), and a Display Unit (DU) for controlling and monitoring electric equipment related to operation. Operate the device.

여기서 상기 VCU와 TCU는 커먼 백플레인(common backplane)을 갖는 일체형 제어기로서, 상기 VCU와 TCU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DIO(Digital Input output), AIO(Analog Input Out), 파워 유니트(Power unit), 및 네트워크 유니트(Network unit)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VCU and the TCU are integrated controllers having a common backplane, and the VCU and the TCU are central processing units (CPUs), digital input outputs (DIOs), analog input outs (AIOs), and power units. , And a network unit.

그런데 상기 VCU(Vehicle Control Unit)와 TCU(Train Control Unit)는 커먼 백플레인(common backplane)을 갖는 일체형 제어기이며, 상기 VCU와 TCU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기존 철도 차량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구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VCU(Vehicle Control Unit)를 중심으로 하는 중앙집중식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구조로서, 상기 VCU와 TCU는 확장성이 없기 때문에, 최초 설계된 기본 접점 이상의 제어 및 감시를 위한 접점을 추가하고자 할 경우, 즉, 신규 전장장치(예 : 추진장치, 제동장치, 냉난방장치(HVAC), 출입문, 방송장치, 및 표시기장치 등)나 신규 기능(예 : CCTV를 이용한 감시 기능 등)을 추가하고자 할 경우, 신규 VCU를 추가로 설치해야 하고 또한 TCU의 통합 프로그램을 필수적으로 변경해야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However, the vehicle control unit (VCU) and the train control unit (TCU) are integrated controllers having a common backplane. As shown in 2, a centralized network interface structure centered on a vehicle control unit (VCU), and since the VCU and the TCU are not scalable, it is necessary to add a contact point for control and monitoring beyond the originally designed basic contact point. In other words, if you want to add a new electronic device (e.g. propulsion system, braking system, HVAC, door, broadcast, and indicator device) or new function (e.g. surveillance function using CCTV). 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new VCU must be additionally installed, and an integral program of the TCU must be changed.

이는 결과적으로 차량 가격의 상승요인으로 작용하고, 제어기(즉, VCU) 수량의 증가로 인해 시스템 고장 발생 빈도를 높이게 되며, 또한 유지보수 개소가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This, in turn, acts as an increase factor of the vehicle price, increases the frequency of system failures due to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controllers (i.e., VCUs), and also causes a problem of an increase in maintenance points.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4-0057737호(2014.05.14. 공개, 전동차의 이중 네트워크 구성 방법 및 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Background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4-0057737 (2014.05.14. Public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a dual network of the electric vehicl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철도차량의 운행제어 및 감시를 위한 네트워크 방식이 서로 다른 철도차량을 연결하여 단일 편성으로 운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이종 네트워크를 갖는 철도차량 간 단일편성 운영을 위한 인터페이스 설계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network system for the operation control and monitoring of railway vehicles to connect different railway vehicles to operate in a single train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terface design apparatus and method for unified operation between railway vehicles having heterogeneous networks.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이종 네트워크를 갖는 철도차량 간 단일편성 운영을 위한 인터페이스 설계 장치는, 단일 편성하고자 하는 이종 네트워크를 갖는 철도차량의 구성 정보를 입력받는 차량 구성 정보 입력부; 상기 단일 편성할 철도차량의 대수와 편성 위치에 관련된 조건 정보를 입력받는 차량 편성 조건 입력부; 상기 차량 구성 정보 입력부, 및 차량 편성 조건 입력부를 통해 입력받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종 네트워크를 갖는 철도차량 간 단일 편성 운영을 위한 인터페이스 정보를 설계하거나 산출하는 컨트롤러부; 및 상기 컨트롤러부에서 설계하거나 산출한 상기 이종 네트워크를 갖는 철도차량 간 단일 편성 운영을 위한 인터페이스 정보를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해 출력하는 인터페이스 설계 결과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nterface design apparatus for operating a single vehicle between railway vehicles having a heterogeneous network includes: a vehicle configuration information input unit configured to receive configuration information of a railway vehicle having a heterogeneous network to be single-organized; A vehicle formation condition input unit configured to receive condition information related to the number and location of the railroad car to be single-organized; A controller unit for designing or calculating interface information for unitary operation between railroad cars having the heterogeneous network based on the vehicle configuration information input unit and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vehicle configuration condition input unit; And an interface design result output unit for outputting, via a display means, interface information for unitary operation between railroad cars having the heterogeneous network designed or calculated by the controller unit.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부가 설계하거나 산출하는 인터페이스 정보는, 단일 편성을 위해 미리 준비할 인터페이스 장치의 수량, 각 철도차량별 인터페이스 구성이나 인터페이스 회로, 및 각 철도차량별 작업 시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face information designed or calculated by the controller unit, at least one or more of the number of interface devices to be prepared in advance for a single configuration, the interface configuration or interface circuit for each railway vehicle, and the working time for each railway vehicle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철도차량의 구성 정보는, 분산제어방식 네트워크 구조의 신규 철도차량의 통신 및 제어 신호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구성 장치, 중앙집중식 네트워크 구조의 기존 철도차량의 통신 및 제어 신호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구성 장치, 및 상기 각 구성 장치의 세부적인 제원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figuration information of the railway vehicle, the configuration device for the interface of the communication and control signal of the new railway vehicle of the distributed control network structure, the interface of the communication and control signal of the existing railway vehicle of the centralized network structur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figuration device for, and detailed specification information of each of the configuration device.

본 발명은, 분산제어방식 네트워크 구조의 신규 철도차량 및 중앙집중식 네트워크 구조의 기존 철도차량의 구성 정보, 및 상기 각 철도차량의 외관 형상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구성 DB;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interface configuration DB including at least one of configuration information of a new railway vehicle of a distributed control network structure and an existing railway vehicle of a centralized network structure, and information on an appearance shape of each railway vehicle.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차량 구성 정보 입력부는, 단일 편성하고자 하는 각 철도차량의 구성 정보를 매뉴얼 방식으로 입력받거나, 상위 철도차량 운영 시스템으로부터 편성 가능한 차량정보를 자동으로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vehicle configuration information input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figuration information of each railway vehicle to be organized into a single input by a manual method, or automatically receives the vehicle information that can be organized from the upper railway vehicle operating system.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차량 편성 조건 입력부는, 단일 편성하고자 하는 각 철도차량의 편성 조건 정보를 매뉴얼 방식으로 입력받거나, 상위 철도차량 운영 시스템으로부터 편성 조건 정보를 자동으로 전달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vehicle configuration condition input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receives the configuration condition information of each railway vehicle to be organized in a manual manner, or automatically receives the configuration condition information from the upper railway vehicle operating system.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부는, 중앙집중식 네트워크 구조의 기존 철도차량에서 TCU(Train Control Unit)와 VCU(Vehicle Control Unit)를 배제하고, 분산제어방식 네트워크 구조의 신규 철도차량과의 통신 및 제어신호의 호환을 위하여, CMS(Central Management System), RTE(Remote I/O), 전장장치 통신 인터페이스를 위한 제1 게이트웨이(GW1) 및 제2 게이트웨이(GW2) 중 선택적인 조합을 통해 상기 이종 네트워크를 갖는 철도차량 간 단일 편성 운영을 위한 인터페이스 정보를 설계하거나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unit, except for the TCU (Train Control Unit) and VCU (Vehicle Control Unit) in the existing railway vehicle of the centralized network structure, communication and control signals with the new railway vehicle of the distributed control network structure For compatibility, the heterogeneous network may be provided through an optional combination of a central management system (CMS), a remote I / O (RTE), a first gateway (GW1) and a second gateway (GW2) for an electronic device communication interface. It is characterized by designing or calculating the interface information for a single operation between the railroad cars.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분산제어방식 네트워크 구조의 철도차량은, 마스콘(MASCON)을 통해 제동 명령이 입력될 경우, 편성된 철도차량의 마스터 CMS가 제동력을 계산하여 각 철도차량의 RTE를 통해 제동장치에 직접 전송함으로써, 각 차량의 제동장치가 곧바로 제동명령을 수행하며, 또한 각 제동장치의 상태 모니터링을 위한 정보가 각 철도차량의 RTE를 통해 상기 편성된 철도차량의 마스터 CMS에 직접 전송하여 현시하도록 구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ailway vehicle of the distributed control network structure, when the braking command is input through the mascon (MASCON), the master CMS of the train railway vehicle calculates the braking force and braking through the RTE of each railway vehicle By transmitting directly to the device, the braking device of each vehicle immediately executes the braking command, and the information for monitoring the status of each braking device is directly transmitted to the master CMS of the configured railway vehicle through the RTE of each railway vehicl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mplemented to.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부는, 단일 편성할 철도차량의 선두와 선미에 분산제어방식 네트워크 구조의 신규 철도차량이 편성되고 이 편성의 중간에 중앙집중식 네트워크 구조의 기존 철도차량을 배치하여 단일 편성할 경우, 편성 중간에 배치되는 기존 철도차량에 제2 게이트웨이(GW2)를 추가하는 인터페이스 구조를 설계하되, 상기 제2 게이트웨이(GW2)가 단일 편성된 철도차량의 선두나 선미 차량에 배치된 CMS(Central Management System)의 제어 명령을 전달받아 VCU(Vehicle Control Unit)를 통해 해당 철도차량의 전장장치를 제어하고, 이에 따른 제어 결과를 상기 VCU로부터 전달받아 상기 CMS에 전달하여 현시될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unit, the new railway vehicle of the distributed control network structure is organized at the head and the stern of the railway vehicle to be united, and the existing railway vehicle of the centralized network structure is arranged in the middle of the combination to form a single unit. In this case, the interface structure for adding the second gateway (GW2) to the existing railway vehicle disposed in the middle of the knitting, the design, the second gateway (GW2) is a CMS (Central) arranged in the leading or stern vehicle of the single-organized railway vehicle Controlling the electric equipment of the corresponding railway vehicle through the control command of the VCU (Vehicle Control Unit), and receives the control result from the VCU to deliver to the CM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signed to be displayed It is don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부는, 단일 편성할 철도차량의 선두와 선미에 중앙집중식 네트워크 구조의 기존 철도차량이 편성되고 이 편성의 중간에 분산제어방식 네트워크 구조의 신규 철도차량을 배치하여 단일 편성할 경우, 기존 철도차량에 제1 게이트웨이(GW1)와 RTE(Remote I/O)를 추가하는 인터페이스 구조를 설계하고, 신규 철도차량에는 제2 게이트웨이(GW2)와 RTE를 추가하는 인터페이스 구조를 설계하며, 아울러 상기 신규 철도차량의 선두와 선미 차량에는 CMS(Central Management System)를 추가하는 인터페이스 구조를 설계하되, 기존 철도차량에서 TCU(Train Control Unit)와 VCU(Vehicle Control Unit)를 배제하고, 대신에 신규 철도차량에 인터페이스 된 CMS(Central Management System)가 차량 제어 및 감시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제1, 제2 게이트웨이(GW1, GW2) 및 RTE가 CMS의 제어 명령을 직접 전달받아 해당 철도차량의 전장장치를 제어하고, 그 제어 결과를 상기 CMS에 직접 전달하여 현시될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unit, the existing railway vehicle of the centralized network structure is organized at the head and the stern of the railway vehicle to be united, and the new railway vehicle of the distributed control system network structure is arranged in the middle of the combination to form a single unit. In this case, an interface structure for adding a first gateway GW1 and an RTE (Remote I / O) to an existing railway vehicle is designed, and an interface structure for adding a second gateway GW2 and an RTE to a new railway vehicle is designed. In addition, the interface structure of adding a CMS (Central Management System) to the front and stern vehicles of the new railway vehicle, but excludes the TCU (Train Control Unit) and VCU (Vehicle Control Unit) from the existing railway vehicle, instead of new A CMS (Central Management System) interfaced to a railroad vehicle performs vehicle control and monitoring functions, and the first and second gateways GW1 and GW2 and the RTE are configured to control the CM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signed to receive the command directly to control the electric equipment of the corresponding railway vehicle, and to transmit the control result directly to the CMS to be manifested.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이종 네트워크를 갖는 철도차량 간 단일편성 운영을 위한 인터페이스 설계 방법은, 컨트롤러부가 차량 구성 정보 입력부를 통해 단일 편성하고자 하는 이종 네트워크를 갖는 철도차량의 구성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컨트롤러부가 차량 편성 조건 입력부를 통해 상기 단일 편성할 철도차량의 대수와 편성 위치에 관련된 조건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컨트롤러부가 상기 차량 구성 정보 입력부, 및 차량 편성 조건 입력부를 통해 입력받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종 네트워크를 갖는 철도차량 간 단일 편성 운영을 위한 인터페이스 정보를 설계하거나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컨트롤러부가 설계하거나 산출한 상기 이종 네트워크를 갖는 철도차량 간 단일 편성 운영을 위한 인터페이스 정보를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designing an interface for operating a single vehicle between railway vehicles having a heterogeneous network may include: receiving, by the controller unit, configuration information of a railway vehicle having a heterogeneous network to be united through a vehicle configuration information input unit; Receiving, by the controller unit, condition information related to the number and location of the railway vehicle to be trained by the vehicle configuration condition input unit; Designing or calculating, by the controller unit, interface information for unitary operation between railroad cars having the heterogeneous network based on the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vehicle configuration information input unit and the vehicle configuration condition input unit; And outputting, through the display means, interface information for unitary operation between railroad cars having the heterogeneous network designed or calculated by the controller unit.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부가 설계하거나 산출하는 인터페이스 정보는, 단일 편성을 위해 미리 준비할 인터페이스 장치의 수량, 각 철도차량별 인터페이스 구성이나 인터페이스 회로, 및 각 철도차량별 작업 시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face information designed or calculated by the controller unit, at least one or more of the number of interface devices to be prepared in advance for a single configuration, the interface configuration or interface circuit for each railway vehicle, and the working time for each railway vehicle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철도차량의 구성 정보는, 분산제어방식 네트워크 구조의 신규 철도차량의 통신 및 제어 신호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구성 장치, 중앙집중식 네트워크 구조의 기존 철도차량의 통신 및 제어 신호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구성 장치, 및 상기 각 구성 장치의 세부적인 제원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figuration information of the railway vehicle, the configuration device for the interface of the communication and control signal of the new railway vehicle of the distributed control network structure, the interface of the communication and control signal of the existing railway vehicle of the centralized network structur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figuration device for, and detailed specification information of each of the configuration devic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이종 네트워크를 갖는 철도차량 간 단일 편성 운영을 위한 인터페이스 정보를 설계하거나 산출하는 단계에서, 상기 컨트롤러부는, 분산제어방식 네트워크 구조의 신규 철도차량 및 중앙집중식 네트워크 구조의 기존 철도차량의 구성 정보, 및 상기 각 철도차량의 외관 형상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구성 DB;를 참조하여 설계나 산출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ep of designing or calculating the interface information for unitary operation between the railway vehicle having the heterogeneous network, the controller unit, the new railway vehicle of the distributed control network structure and the existing railway vehicle of the centralized network structure An interface configuration DB including at least one of configuration information and information on an appearance shape of each railway vehicle; and performing design or calculation.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이종 네트워크를 갖는 철도차량 간 단일 편성 운영을 위한 인터페이스 정보를 설계하거나 산출하는 단계에서, 상기 컨트롤러부는, 중앙집중식 네트워크 구조의 기존 철도차량에서 TCU(Train Control Unit)와 VCU(Vehicle Control Unit)를 배제하고, 분산제어방식 네트워크 구조의 신규 철도차량과의 통신 및 제어신호의 호환을 위하여, CMS(Central Management System), RTE(Remote I/O), 전장장치 통신 인터페이스를 위한 제1 게이트웨이(GW1) 및 제2 게이트웨이(GW2) 중 선택적인 조합을 통해 상기 이종 네트워크를 갖는 철도차량 간 단일 편성 운영을 위한 인터페이스 정보를 설계하거나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ep of designing or calculating the interface information for unitary operation between the railway vehicle having the heterogeneous network, the controller unit, TCU (Train Control Unit) and VCU ( Except for the Vehicle Control Unit, and for the compatibility of control signals and communication with new railway vehicles in a distributed control network structure, the system is designed for CMS (Central Management System), RTE (Remote I / O), and electrical equipment communication interfaces. Designing or calculating interface information for unitary operation between railway vehicles having the heterogeneous network through a selective combination of one gateway GW1 and a second gateway GW2.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분산제어방식 네트워크 구조의 철도차량은, 마스콘(MASCON)을 통해 제동 명령이 입력될 경우, 편성된 철도차량의 마스터 CMS가 제동력을 계산하여 각 철도차량의 RTE를 통해 제동장치에 직접 전송함으로써, 각 차량의 제동장치가 곧바로 제동명령을 수행하며, 또한 각 제동장치의 상태 모니터링을 위한 정보가 각 철도차량의 RTE를 통해 상기 편성된 철도차량의 마스터 CMS에 직접 전송하여 현시하도록 구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ailway vehicle of the distributed control network structure, when the braking command is input through the mascon (MASCON), the master CMS of the train railway vehicle calculates the braking force and braking through the RTE of each railway vehicle By transmitting directly to the device, the braking device of each vehicle immediately executes the braking command, and the information for monitoring the status of each braking device is directly transmitted to the master CMS of the configured railway vehicle through the RTE of each railway vehicl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mplemented to.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단일 편성할 철도차량의 대수와 편성 위치에 관련된 조건 정보를 입력받은 결과, 단일 편성할 철도차량의 선두와 선미에 분산제어방식 네트워크 구조의 신규 철도차량이 편성되고 이 편성의 중간에 중앙집중식 네트워크 구조의 기존 철도차량을 배치하여 단일 편성할 경우, 상기 컨트롤러부는, 편성 중간에 배치되는 기존 철도차량에 제2 게이트웨이(GW2)를 추가하는 인터페이스 구조를 설계하되, 상기 제2 게이트웨이(GW2)가 단일 편성된 철도차량의 선두나 선미 차량에 배치된 CMS(Central Management System)의 제어 명령을 전달받아 VCU(Vehicle Control Unit)를 통해 해당 철도차량의 전장장치를 제어하고, 이에 따른 제어 결과를 상기 VCU로부터 전달받아 상기 CMS에 전달하여 현시될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s a result of receiving the condition information related to the number and location of the railway vehicle to be trained, a new railway vehicle of a distributed control system network structure is formed at the head and the stern of the railway vehicle to be trained. When the existing railroad car of the centralized network structure is arranged in the middle to form a single, the controller unit design an interface structure for adding a second gateway (GW2) to the existing railroad car disposed in the middle of the formation, the second gateway (GW2) receives the control command of the CMS (Central Management System) arranged in the head of the single or the stern vehicle of the single-organized railway vehicle, and controls the electrical equipment of the railway vehicle through the vehicle control unit (VCU), and controls accordingly.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signed to be displayed by receiving the result from the VCU and deliver it to the CMS.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단일 편성할 철도차량의 대수와 편성 위치에 관련된 조건 정보를 입력받은 결과, 단일 편성할 철도차량의 선두와 선미에 중앙집중식 네트워크 구조의 기존 철도차량이 편성되고 이 편성의 중간에 분산제어방식 네트워크 구조의 신규 철도차량을 배치하여 단일 편성할 경우, 상기 컨트롤러부는, 기존 철도차량에 제1 게이트웨이(GW1)와 RTE(Remote I/O)를 추가하는 인터페이스 구조를 설계하고, 신규 철도차량에는 제2 게이트웨이(GW2)와 RTE를 추가하는 인터페이스 구조를 설계하며, 아울러 상기 신규 철도차량의 선두와 선미 차량에는 CMS(Central Management System)를 추가하는 인터페이스 구조를 설계하되, 기존 철도차량에서 TCU(Train Control Unit)와 VCU(Vehicle Control Unit)를 배제하고, 대신에 신규 철도차량에 인터페이스 된 CMS(Central Management System)가 차량 제어 및 감시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제1, 제2 게이트웨이(GW1, GW2) 및 RTE가 CMS의 제어 명령을 직접 전달받아 해당 철도차량의 전장장치를 제어하고, 그 제어 결과를 상기 CMS에 직접 전달하여 현시될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s a result of receiving the condition information related to the number and location of the train to be trained as a single train, existing railroad cars of the centralized network structure are organized at the head and stern of the train to be trained as a single train, In the case of distributing a new railway vehicle having a distributed control network structure in a single configuration, the controller unit designs an interface structure for adding a first gateway (GW1) and an RTE (Remote I / O) to an existing railway vehicle. Design an interface structure for adding a second gateway (GW2) and an RTE to the railway vehicle, and design an interface structure for adding a CMS (Central Management System) to the front and stern vehicles of the new railway vehicle, TCM (Train Control Unit) and VCU (Vehicle Control Unit) are excluded, and instead of the Central Management System (CMS) The vehicle control and monitoring function is performed, and the first and second gateways GW1 and GW2 and the RTE receive the control command of the CMS directly to control the electric equipment of the corresponding railway vehicle, and directly transmit the control result to the CMS. It is characterized by designing to be displayed by transmitting.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철도차량의 운행제어 및 감시를 위한 네트워크 방식이 서로 다른 차량을 연결하여 단일 편성으로 운행하고자 할 때, 상기 네트워크 방식이 서로 다른 철도차량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구조를 개선하거나 보완하기 위한 설계를 실시함으로써, 상기 네트워크 방식이 서로 다른 차량을 연결하여 단일 편성으로 운행할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network interface structure of a railway vehicle different from each other when a network system for driving control and monitoring of a railway vehicle is connected to different vehicles to operate in a single train. By implementing a design to improve or supplement, the network system can connect different vehicles to operate in a single train.

도 1은 종래 철도차량에 적용된 중앙집중식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구조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예시도.
도 2는 상기 도 1에 있어서, 중앙집중식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구조가 적용된 종래 철도차량의 네트워크 연결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산제어방식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구조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예시도.
도 4는 상기 도 3에 있어서, 분산제어방식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구조가 적용된 본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의 네트워크 연결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 네트워크를 갖는 철도차량 간 단일편성 운영을 위한 인터페이스 설계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 네트워크를 갖는 철도차량 간 단일편성 운영을 위한 인터페이스 설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7은 상기 도 5 및 도 6에 있어서, 단일 편성할 철도차량의 중간에 기존 철도차량을 배치할 경우의 편성 조건에 따른 인터페이스 구조 설계 결과를 보인 예시도.
도 8은 상기 도 5 및 도 6에 있어서, 단일 편성할 철도차량의 선두와 선미에 기존 철도차량을 배치할 경우의 편성 조건에 따른 인터페이스 구조 설계 결과를 보인 예시도.
1 is an exemplary view shown to explain the concept of a centralized network interface structure applied to a conventional railway vehicle.
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network connection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railway vehicle to which a centralized network interface structure is applied in FIG. 1.
Figure 3 is an exemplary view shown to explain the concept of a distributed control network interfac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network connection configuration of a railway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o which the distributed control network interface structure is applied in FIG. 3.
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n interface design apparatus for unitary operation between railway vehicles having a heterogeneous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designing an interface for unitary operation between railroad cars having a heterogeneous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interface structure design result according to a knitting condition in the case of arranging an existing railway vehicle in the middle of a railway vehicle to be united in FIGS. 5 and 6.
FIG. 8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interface structure design result according to knitting conditions when existing railroad cars are arranged at the head and stern of a railroad car to be single-set in FIG. 5 and FIG. 6.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종 네트워크를 갖는 철도차량 간 단일편성 운영을 위한 인터페이스 설계 장치 및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n embodiment of an interface design apparatus and method for unitary operation between railway vehicles having a heterogeneous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this process, the thickness of the lines or the size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description. 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below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onvention of a user or an operator. Therefore, th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산제어방식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구조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예시도이고, 도 4는 상기 도 3에 있어서, 분산제어방식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구조가 적용된 본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의 네트워크 연결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3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concept of a distributed control network interfac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istributed control network interfac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 FIG. Exemplary diagram showing a network connection configuration of a railway vehicle.

기존의 VCU(Vehicle Control Unit)를 중심으로 하는 중앙집중식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구조와 달리, 본 실시예에 따른 분산제어방식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구조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 편성되는 각 철도차량은 VCU(Vehicle Control Unit)를 인터페이스에서 배제하고, CMS(Central Management System)와 RTE(Remote I/O, 전장장치 전기신호 인터페이스를 위한 입출력장치)를 인터페이스 한다. Unlike the centralized network interface structure centering on the existing vehicle control unit (VCU), the distributed control network interfac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s. The VCU excludes a vehicle control unit (VCU) from an interface and interfaces a CMS (Central Management System) and RTE (Remote I / O, an input / output device for an electrical signal interface).

여기서 상기 CMS(Central Management System)는 차량 전장장치 감시 및 현시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In this case, the CMS (Central Management System) includes a vehicle electronics monitoring and display function.

이에 따른 상기 분산제어방식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구조는, 확장성이 개선됨으로써, 최초 설계된 기본 접점 이상의 제어 및 감시를 위한 접점을 추가하고자 할 경우, 즉, 신규 전장장치나 신규 기능을 추가하고자 할 경우, 신규 VCU의 추가나 TCU의 통합 프로그램을 변경할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ly, the distributed control network interface structure has improved scalability, so that when a user wants to add a contact for control and monitoring beyond a basic designed contact point, that is, a new electric device or a new function, a new VCU There is no need to add or change the integrated program of the TCU.

참고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기존 철도차량의 TCU와 VCU를 이용한 중앙집중식 네트워크 구조에서의 차량의 제동 명령에 따른 정보의 흐름을 살펴보면, 운영자가 마스콘(MASCON : Master Controller)을 통해 제동 명령을 입력할 경우, 편성된 철도차량의 마스터 TCU가 제동력을 계산하여 각 철도차량의 VCU에 제동 명령을 전송하고, 상기 VCU의 제어에 따라 각 철도차량의 제동장치가 제동명령을 수행하며, 상기 제동장치가 제동제어 상태를 각 철도차량의 VCU에 전송하여, 최종적으로 각 철도차량의 VCU가 상기 마스터 TCU에 전송함으로써, 상기 전송된 정보를 DU(Display Unit)를 통해 현시하는 과정이 수행된다.For reference, as shown in FIG. 1 and FIG. 2, when the information flow according to the braking command of the vehicle in the centralized network structure using the TCU and VCU of the existing railway vehicle, the operator is a master controller (MASCON) When the braking command is input through the master train, the master TCU of the railroad vehicle calculates the braking force and transmits a braking command to the VCU of each railroad vehicle, and the braking device of each railroad vehicle performs the braking command under the control of the VCU. The braking device transmits a braking control state to the VCU of each railway vehicle, and finally, the VCU of each railway vehicle transmits the master control unit to the master TCU, thereby displaying the transmitted information through a display unit (DU). Is performed.

반면에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CMS와 RTE를 이용한 분산제어방식 네트워크 구조에서의 차량의 제동 명령에 따른 정보의 흐름을 살펴보면, 운영자가 마스콘(MASCON)을 통해 제동 명령을 입력할 경우, 편성된 철도차량의 마스터 CMS가 제동력을 계산하여 각 철도차량의 RTE를 통해 제동장치에 직접 전송함으로써, 각 차량의 제동장치가 곧바로 제동명령을 수행하며, 또한 각 제동장치의 상태 정보(즉, 모니터링 정보)가 각 철도차량의 RTE를 통해 상기 편성된 철도차량의 마스터 CMS에 직접 전송하여 현시하는 과정이 수행되어, 기존의 TCU와 VCU를 이용한 중앙집중식 네트워크 구조 대비 제어 신호의 전송과 수행에 따른 지연시간이 최소로 단축(예 : 1초 이상)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부가적으로, 고속 주행하는 차량에 있어서, 제동 시 1초의 시간은 수백 미터 이상이 더 주행될 수 있는 시간이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s 3 and 4, when looking at the flow of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braking command of the vehicle in the distributed control scheme network structure using the CMS and RT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operator is When the braking command is input through the master railroad, the master CMS of the trained railroad vehicle calculates the braking force and transmits it directly to the braking device through the RTE of each railroad vehicle, so that the braking device of each vehicle immediately executes the braking command. The state information (ie, monitoring information) of the device is directly transmitted to the master CMS of the trained railway vehicle through the RTE of each railway vehicle to be displayed, thereby controlling the contrast with the centralized network structure using the existing TCU and VCU.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delay time according to signal transmission and execution can be shortened to a minimum (for example, 1 second or more). In addition, in a high speed vehicle, the braking time of 1 second is a time when several hundred meters or more can be further driven.

다만, 신규 철도차량의 경우에는 제작 단계에서부터 상기 분산제어방식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적용하여 제작함으로써 상기 장점이 곧바로 적용되지만, 이러한 신규 철도차량과 중앙집중식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구조로 제작된 기존 철도차량을 혼합하여 단일 편성하고자 할 경우, 상기 두 철도차량이 서로 다른 네트워크(즉, 이종 네트워크)를 갖기 때문에 단일 편성에 문제점이 발생한다.However, in the case of a new railroad vehicle, the above advantages are immediately applied by manufacturing the distributed control network interface from the manufacturing stage, but a combination of the new railroad car and the existing railroad car manufactured with a centralized network interface structure is combined. If you want to, the two railway cars have a different network (that is, heterogeneous network) has a problem in a single formation.

참고로 국내 관절대차를 사용하는 편성 고정된 차량을 제외하고, 도시철도나 일반철도의 경우, 차량의 상태(고장유무), 및 승객의 수요 등을 고려하여 편성을 변경하여 운영한다.For reference, except for fixed vehicles using domestic articulated bogies, in the case of urban or general railways, the schedule is changed in consideration of the condition of the vehicle (failure) and the demand of passengers.

따라서 서로 다른 네트워크(즉, 이종 네트워크)를 갖는 철도차량을 혼합하여 단일 편성하여 운영하기 위해서는, 중앙집중식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구조로 제작된 기존 철도차량의 인터페이스를, 분산제어방식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구조로 제작된 신규 철도차량의 인터페이스에 맞춰 상호간에 통신(정보의 송수신)과 제어신호(전기신호)의 전달이 가능하도록, 기존 철도차량의 인터페이스 구조를 보완(또는 개선)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이 분야의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작업자(또는 차량 운영자) 단계에서 손쉽게 기존 철도차량의 인터페이스 구조를 보완(또는 개선)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Therefore, in order to mix and operate railroad cars having different networks (ie, heterogeneous networks), a new railroad is manufactured using a distributed control network interface to interface the existing railroad car with a centralized network interface. It is necessary to supplement (or improve) the interface structure of existing railway vehicles so that communication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information) and control signals (electric signals) can be transmitted to each other according to the interface of the vehicle.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that can easily supplement (or improve) the interface structure of existing railway vehicles at the operator (or vehicle operator) level.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단일 편성하고자 하는 철도차량 정보(예 : 기존 철도차량에 포함된 인터페이스 장치로서, TCU, 및 VCU 등의 제원)와 편성 조건(예 : 편성 차량 대수, 및 편성 위치(즉, 선두 편성, 선미 편성, 중간 편성 등)) 정보를 입력하면, 인터페이스 정보(예 : 준비할 인터페이스 장치의 수량 및 인터페이스 구성 등)에 대해 자동으로 설계하고, 상기 설계된 정보를 출력함으로써, 상기 설계에 따라 작업자(또는 차량 운영자)가 손쉽게 기존 철도차량의 인터페이스 구조를 보완(또는 개선)하여 단일 편성할 수 있도록 한다.Theref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railroad vehicle information (eg, interface device included in the existing railroad vehicle, specifications of TCU and VCU, etc.) and knitting conditions (eg, number of trained vehicles, and knitting position (ie, head) Organization, stern knitting, intermediate knitting, etc.) information is input, the operator automatically designs the interface information (e.g., the quantity of interface devices to be prepared and the interface configuration, etc.), and outputs the designed information. (Or the vehicle operator) can easily complement (or improve) the interface structure of the existing railway vehicle to form a single unit.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 네트워크를 갖는 철도차량 간 단일편성 운영을 위한 인터페이스 설계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n interface design apparatus for unitary operation between railway vehicles having a heterogeneous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이종 네트워크를 갖는 철도차량 간 단일편성 운영을 위한 인터페이스 설계 장치는, 차량 구성 정보 입력부(110), 차량 편성 조건 입력부(120), 인터페이스 구성 DB(130), 컨트롤러부(140), 및 인터페이스 설계 결과 출력부(15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5, an interface design apparatus for unitary operation between railroad cars having a heterogeneous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vehicle configuration information input unit 110, a vehicle configuration condition input unit 120, and an interface configuration DB ( 130, the controller unit 140, and the interface design result output unit 150.

상기 차량 구성 정보 입력부(110)는 단일 편성하고자 하는 각 철도차량의 구성 정보를 입력받는다.The vehicle configuration information input unit 110 receives configuration information of each railway vehicle to be united.

예컨대 상기 철도차량의 구성 정보는, 신규 철도차량(또는 분산제어방식 네트워크 구조의 철도차량)의 구성 장치(예 : GW1, RTE, CMS 등)와 기존 철도차량(또는 중앙집중식 네트워크 구조의 철도차량)의 구성 장치(예 : TCU, VCU 등)에 차이가 있으며, 각 구성 장치의 구체적인 제원 정보를 포함한다.For example, the configuration information of the railway vehicle, the configuration device (e.g. GW1, RTE, CMS, etc.) of the new railway vehicle (or railway vehicle of distributed control network structure) and the existing railway vehicle (or railway vehicle of centralized network structure)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configuration devices (eg TCU, VCU, etc.), and includes detailed specifications information of each configuration device.

이때 상기 신규 철도차량(또는 분산제어방식 네트워크 구조의 철도차량) 및 기존 철도차량(또는 중앙집중식 네트워크 구조의 철도차량)의 구성 정보는, 상기 인터페이스 구성 DB(데이터베이스)(130)에 미리 저장되어 있다.At this time, the configuration information of the new railway vehicle (or railway vehicle of distributed control network structure) and the existing railway vehicle (or railway vehicle of centralized network structure) is previously stored in the interface configuration DB (database) 130. .

상기 인터페이스 구성 DB(130)에는 각 철도차량의 구성 정보뿐만 아니라, 각 철도차량의 외관 형상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함으로써, 각 철도차량을 단일 편성할 경우의 전체적인 외관 형상도 미리 시뮬레이션 해 볼 수 있도록 한다.The interface configuration DB 130 further includes not only the configuration information of each railway vehicle, but also information on the exterior shape of each railway vehicle, so that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railway vehicle in a single configuration can be simulated in advance. do.

상기 차량 구성 정보 입력부(110)는 단일 편성하고자 하는 각 철도차량의 구성 정보를 수동(매뉴얼) 방식으로 입력할 수도 있지만, 실질적으로는 상위 시스템(예 : 철도차량 운영 시스템)으로부터 편성 가능한 차량정보를 자동으로 전달받고, 이에 따른 각 차량정보의 구성 정보를 자동으로 입력받을 수도 있다.The vehicle configuration information input unit 110 may input configuration information of each railway vehicle to be united in a manual (manual) manner, but the vehicle information that can be organized from a higher level system (for example, a railway vehicle operating system) may be input. It may be automatically received, and accordingly configuration information of each vehicle information may be automatically input.

상기 차량 편성 조건 입력부(120)는 편성할 차량의 대수와 편성 위치(또는 편성 배치)에 관련된 조건(또는 조건 정보)을 입력받는다.The vehicle programming condition input unit 120 receives a condition (or condition information) related to the number of vehicles to be organized and the knitting position (or knitting arrangement).

예컨대 각 철도차량의 단일 편성하고자 할 경우, 편성할 철도차량의 대수가 몇 대인지, 및 어떤 철도차량을 선두(또는 선미)에 배치시킬 것인지 등에 대한 조건 정보가 필요하며, 이 조건에 따라 인터페이스 정보(예 : 준비할 인터페이스 장치의 수량, 인터페이스 구성(회로), 및 작업 시간 등)가 달라지고, 또한 인터페이스 구조를 보완(또는 개선)하기 위한 작업 시간도 달라지게 된다.For example, when a single train is to be organized, condition information on how many railroad cars to organize and which railroad vehicle to place at the front (or stern) is required. (E.g., the number of interface devices to be prepared, the interface configuration (circuit), and the working time, etc.), and also the working time for supplementing (or improving) the interface structure.

상기 차량 편성 조건 입력부(120)는 단일 편성하고자 하는 각 철도차량의 편성 조건 정보를 수동(매뉴얼) 방식으로 입력할 수도 있지만, 실질적으로는 상위 시스템(예 : 철도차량 운영 시스템)으로부터 편성 조건 정보를 자동으로 전달받아 입력할 수도 있다(도 7, 및 도 8 참조).The vehicle configuration condition input unit 120 may input the configuration condition information of each railway vehicle to be united in a manual (manual) manner, but the configuration condition information is substantially obtained from an upper system (for example, a railway vehicle operation system). It may be automatically received and input (see FIGS. 7, and 8).

상기 컨트롤러부(140)는 상기 차량 구성 정보 입력부(110), 차량 편성 조건 입력부(120), 및 인터페이스 구성 DB(130)를 바탕으로 인터페이스 정보(예 : 준비할 인터페이스 장치의 수량, 인터페이스 구성(회로), 및 작업 시간 등)를 설계(또는 산출)한다.The controller 140 is based on the vehicle configuration information input unit 110, the vehicle configuration condition input unit 120, and the interface configuration DB 130, the interface information (e.g., the quantity of the interface device to be prepared, the interface configuration (circuit) ), And work time, etc.) are designed (or calculated).

상기 인터페이스 설계 결과 출력부(150)는 상기 컨트롤러부(140)에서 설계한 인터페이스 정보(예 : 준비할 인터페이스 장치의 수량, 인터페이스 구성(회로), 및 작업 시간 등)를 디스플레이 수단(미도시)을 통해 출력한다. The interface design result output unit 150 may display interface information (for example, the number of interface devices to be prepared, an interface configuration (circuit), and a working time, etc.) designed by the controller unit 140. Output through

이에 따라 작업자(또는 차량 운영자)는 상기 출력된 설계 인터페이스 정보(예 : 외형 정보, 각 철도차량의 내부 인터페이스 정보 등)를 보면서 손쉽게 기존 철도차량(또는 신규 철도차량)의 인터페이스 구조를 보완(또는 개선)하여 단일 편성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operator (or vehicle operator) easily supplements (or improves) the interface structure of the existing railway vehicle (or new railway vehicle) while viewing the output design interface information (for example, appearance information and internal interface information of each railway vehicle). Can be combined into a single.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 네트워크를 갖는 철도차량 간 단일편성 운영을 위한 인터페이스 설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interface design method for unitary operation between railroad cars having heterogeneous network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러부(140)는 차량 편성 조건 입력부(120)를 통해 단일 편성할 차량의 대수(예 : 신규 철도차량 대수, 기존 철도차량 대수)와 편성 위치(또는 편성 배치)에 관련된 조건(또는 조건 정보)을 입력받는다(S101).As shown in FIG. 6, the controller unit 140 includes the number of vehicles (eg, the number of new railroad cars and the number of existing railroad cars) to be united with the vehicle formation condition input unit 120 and the formation position (or the configuration arrangement). In step S101, a condition (or condition information) related to the input is received.

예컨대 상기 컨트롤러부(140)는 상기 단일 편성할 차량 중, 선두(또는 선미)에 배치할 철도차량, 및 중간에 배치할 철도차량에 대한 정보를, 작업자(또는 차량 운영자)나 상위 시스템(예 : 철도차량 운영 시스템)으로부터 입력받는다.For example, the controller 140 may provide information about a railway vehicle to be arranged at the head (or stern) of the vehicle to be arranged, and a railway vehicle to be arranged in the middle, such as an operator (or a vehicle operator) or an upper system (eg, It is input from the railway vehicle operating system.

또한 상기 컨트롤러부(140)는 차량 구성 정보 입력부(110)를 통해 상기 편성할 각 철도차량의 구성 정보를, 작업자(또는 차량 운영자)나 상위 시스템(예 : 철도차량 운영 시스템)으로부터 입력받는다(S102).In addition, the controller unit 140 receives configuration information of each railway vehicle to be organized through the vehicle configuration information input unit 110 from an operator (or a vehicle operator) or an upper system (eg, a railway vehicle operating system) (S102). ).

예컨대 상기 철도차량의 구성 정보는, 신규 철도차량(또는 분산제어방식 네트워크 구조의 철도차량)의 구성 장치(예 : GW1, RTE, CMS 등)와 기존 철도차량(또는 중앙집중식 네트워크 구조의 철도차량)의 구성 장치(예 : TCU, VCU 등)에 차이가 있으며, 각 구성 장치의 보다 상세한 제원 정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configuration information of the railway vehicle, the configuration device (e.g. GW1, RTE, CMS, etc.) of the new railway vehicle (or railway vehicle of distributed control network structure) and the existing railway vehicle (or railway vehicle of centralized network structure)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configuration device (eg TCU, VCU, etc.), and may further include more detailed specification information of each configuration device.

또한 상기 컨트롤러부(140)는 상기 차량 구성 정보 입력부(110), 및 차량 편성 조건 입력부(120)를 통해 입력받은 정보를 바탕으로, 인터페이스 구성 DB(130)에 포함된 정보를 참조하여, 인터페이스 구조를 보완(또는 개선)할 철도차량(기존 철도차량 또는 신규 철도차량)의 인터페이스 정보(예 : 준비할 인터페이스 장치의 수량, 인터페이스 구성(회로), 및 작업 시간 등)를 설계(또는 산출)한다(S103).In addition, the controller unit 140 may refer to th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vehicle configuration information input unit 110 and the vehicle configuration condition input unit 120 and refer to th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interface configuration DB 130, thereby providing an interface structure. Design (or calculate) the interface information (e.g., the number of interface devices to be prepared, the interface configuration (circuit), and the working time, etc.) of the railway vehicle (existing railway or new railway vehicle) to supplement (or improve) S103).

이때 상기 인터페이스 구성 DB(130)에는 각 철도차량의 구성 정보뿐만 아니라, 각 철도차량의 외관 형상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인터페이스 구조가 개선된 각 철도차량의 최신 업데이트된 인터페이스 장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interface configuration DB 130 may further include not only the configuration information of each railway vehicle, but also information on the appearance shape of each railway vehicle, and for the latest updated interface device of each railway vehicle having an improved interface structure. May contain information.

또한 상기 컨트롤러부(140)는 인터페이스 설계 결과 출력부(150)를 통해 상기 설계(산출)된 인터페이스 정보(예 : 준비할 인터페이스 장치의 수량, 인터페이스 구성(회로), 및 작업 시간 등)를 출력한다(S104). In addition, the controller unit 140 outputs the designed (calculated) interface information (for example, the number of interface devices to be prepared, an interface configuration (circuit), and a working time, etc.) through the interface design result output unit 150. (S104).

이에 따라 작업자(또는 차량 운영자)는 상기 출력된 설계 인터페이스 정보(예 : 외형 정보, 각 철도차량의 내부 인터페이스 정보 등)를 이용해 철도차량(기존 철도차량 또는 신규 철도차량)의 인터페이스 구조를 보완(또는 개선)하여 단일 편성할 수 있게 되며, 상위 시스템(예 : 철도차량 운영 시스템)은 편성과 관련된 작업(예 : 작업할 철도차량의 대수에 따른 작업시간)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아울러 철도차량의 편성과 계획에 소요되는 비용(예 : 인터페이스 구조 개선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operator (or the vehicle operator) supplements the interface structure of the railway vehicle (the existing railway vehicle or the new railway vehicle) by using the output design interface information (for example, appearance information and internal interface information of each railway vehicle). The higher level system (e.g. railroad vehicle operation system) improves the efficiency of the work related to the organization (e.g., work time according to the number of railroad cars to be worked on) and the organization of the railroad car. And the cost of planning (eg, improving the interface structure).

도 7은 상기 도 5 및 도 6에 있어서, 단일 편성할 철도차량의 중간에 기존 철도차량을 배치할 경우의 편성 조건에 따른 인터페이스 구조 설계 결과를 보인 예시도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신규 철도차량(즉, 분산제어방식 네트워크 구조의 철도차량)의 편성 중간에 기존 철도차량(즉, 중앙집중식 네트워크 구조의 철도차량)을 배치하여 단일 편성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구조 설계 결과를 보인 예시도이다.FIG. 7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interface structure design result according to a knitting condition in the case of arranging an existing railway vehicle in the middle of a railway vehicle to be united in FIG. 5 and FIG. 6. This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result of designing an interface structure for arranging an existing railway vehicle (that is, a railway vehicle having a centralized network structure) in the middle of the formation of a distributed control network network.

참고로, 도 4를 참조하면, 신규 철도차량(즉, 분산제어방식 네트워크 구조의 철도차량)의 선두나 선미에 인터페이스된 CMS(Central Management System)가 출력하는 제어신호(즉, 전기신호)를, 편성의 중간에 배치된 신규 철도차량의 RTE가 해당 철도차량의 전장장치(예 : 추진장치, 제동장치, 냉난방장치(HVAC), 출입문, 방송장치, 및 표시기장치 등)에 곧바로 전달함으로써, 별도의 연산(예 : 기존의 VCU에 의한 처리와 전달을 위한 연산) 없이 곧바로 해당 철도차량의 전장장치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For reference, referring to FIG. 4, a control signal (ie, an electrical signal) output by a CMS (Central Management System) interfaced to the front or the stern of a new railway vehicle (ie, a railway vehicle of a distributed control network structure) is provided. The RTE of a new railway vehicle placed in the middle of the formation is delivered directly to the railway vehicle's electrical equipment (e.g. propulsion, braking, heating and cooling (HVAC), doors, broadcasting, and indicators). It is possible to directly control the electric equipment of the railway vehicle without any calculation (for example, processing and transmission by the existing VCU).

이때 상기 도 4에 도시된, 게이트웨이(GW1)는 전장장치 통신 인터페이스를 위한 게이트웨이(또는 분산제어방식 네트워크(Consist Network) 호환을 위한 게이트웨이)를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 각 철도차량의 전장장치에서 상기 CMS의 제어 명령을 수행한 결과(즉, 모니터링 정보)를, 상기 게이트웨이(GW1)를 통해 상기 CMS에 전달함으로써, 해당 모니터링 정보가 현시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CMS는 상기 모니터링 정보의 현시를 위한 DU(Display Unit)가 내장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gateway GW1 illustrated in FIG. 4 refers to a gateway (or a gateway for compatibility with a distributed network) for an electronic device communication interface, and the CMS in the electronic device of each railway vehicle. By transmitting the result of performing the control command of (ie, monitoring information) to the CMS through the gateway GW1, the corresponding monitoring information can be displayed. In this case, the CMS may have a built-in display unit (DU) for the presentation of the monitoring information.

한편, 다시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도 4를 참조로 설명한 바와 같이, 신규 철도차량(즉, 분산제어방식 네트워크 구조의 철도차량)의 편성 중간에 기존 철도차량(즉, 중앙집중식 네트워크 구조의 철도차량)을 배치하여 단일 편성한다고 가정할 경우, 상기 컨트롤러부(도 5의 140)가 네트워크 구성이 다른 각 철도차량의 구성 정보 및 차량 편성 조건을 입력받은 결과, 편성 중간에 배치되는 기존 철도차량(즉, 중앙집중식 네트워크 구조의 철도차량)이 VCU만 포함되어 있을 경우, 상기 컨트롤러부(140)는 게이트웨이(GW2)를 기존 철도차량에 추가하는 인터페이스 구조를 설계하고, 상기 게이트웨이(GW2)를 통해 기존의 중앙집중식 네트워크와 본 실시예에 따른 분산제어방식 네트워크에서 통신을 인터페이스 할 수 있도록 한다.Meanwhile, referring to FIG. 7 again,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the existing railway vehicle (that is, the railway of the centralized network structure) is formed in the middle of the formation of the new railway vehicle (that is, the railway vehicle of the distributed control network structure). Assuming that the vehicle is arranged in a single configuration, the controller unit 140 of FIG. 5 receives the configuration information and vehicle configuration conditions of each railway vehicle having a different network configuration, and as a result, the existing railway vehicle ( That is, when the railway vehicle of the centralized network structure) includes only the VCU, the controller unit 140 design an interface structure for adding the gateway (GW2) to the existing railway vehicle, and the existing through the gateway (GW2) It is to be able to interface the communication in the centralized network of and the distributed control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여기서 상기 게이트웨이(GW2)는 전장장치 통신 인터페이스를 위한 게이트웨이(또는 중앙집중식 네트워크(Backbone Network) 호환을 위한 게이트웨이)를 의미하는 것으로, 단일 편성된 철도차량의 선두나 선미 차량에 배치된 CMS의 제어 명령을 전달받아 VCU를 통해 해당 철도차량의 전장장치를 제어하고, 이에 따른 제어 결과(즉, 모니터링 정보)를 VCU로부터 전달받아 상기 CMS에 전달함으로써, 해당 모니터링 정보가 현시될 수 있도록 한다.Here, the gateway GW2 refers to a gateway (or a gateway for backward network compatibility) for an electronic device communication interface, and a control command of a CMS disposed at the head of a single railroad vehicle or a stern vehicle. By receiving the control the electronic device of the railway vehicle through the VCU, and by receiving the control result (ie, monitoring information) from the VCU to the CMS, so that the monitoring information can be manifested.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이종 네트워크를 갖는 철도차량 간 단일편성 운영을 위한 인터페이스 설계 장치는, 기존 철도차량의 전장장치 제어 정보(또는 모니터링 정보)를 각 철도차량의 VCU로부터 게이트웨이(GW2)를 통해 단일 편성된 TCN(Train Communication Network)을 통해 송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interface design apparatus for single-body operation between railway vehicles having a heterogeneous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figured to obtain the gateway (GW2) from the VCU of each railway vehicle. It is configured to transmit and receive through a single train communication network (TCN).

예컨대, 도 7을 참조하면, 기존 철도차량의 VCU가 제어 및 감시하는 모든 신호(예 : 전장장치의 통신신호, 전기신호)를, 기존 철도차량에 추가로 인터페이스된 게이트웨이(GW2)(즉, 백본 네트워크 호환을 위한 게이트웨이)를 통하여, 신규 철도차량의 복수의 RTE 및 CMS(Central Management System)와 송수신이 가능하게 한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 7, the gateway GW2 (that is, the backbone) further interfaces all signals (eg, communication signals and electrical signals of the electric equipment) that are controlled and monitored by the VCU of the existing railway vehicle. Through a gateway for network compatibility, it is possible to transmit and receive with a plurality of RTE and a Central Management System (CMS) of a new railway vehicle.

이때 상기 컨트롤러부(140)는, 상기 편성 조건에 따라 설계(산출)된 인터페이스 정보(예 : 외형 정보, 각 철도차량의 내부 인터페이스 정보 등)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함으로써, 이 출력된 인터페이스 정보를 참조하여, 네트워크 구성이 다른 철도차량의 인터페이스 구조를 작업자(또는 운영자) 단계에서 손쉽게 보완(또는 개선)하여 단일 편성할 수 있게 한다.In this case, the controller 140 outputs the interface information (for example, appearance information, internal interface information of each railway vehicle, etc.) designed (calculated) according to the knitting condition, as shown in FIG. With reference to the interface information, the network structure makes it possible to easily complement (or improve) the interface structure of another railway vehicle at the worker (or operator) level to form a single unit.

도 8은 상기 도 5 및 도 6에 있어서, 단일 편성할 철도차량의 선두와 선미에 기존 철도차량을 배치할 경우의 편성 조건에 따른 인터페이스 구조 설계 결과를 보인 예시도이다.FIG. 8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interface structure design result according to knitting conditions when the existing railroad cars are arranged at the head and the stern of the railroad car to be united in FIG. 5 and FIG. 6.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 편성할 철도차량의 선두와 선미에 기존 철도차량(즉, 중앙집중식 네트워크 구조의 철도차량)을 배치하여 단일 편성하는 것으로 가정(또는 기존 철도차량의 편성 중간에 신규 철도차량이 편성 배치되는 경우로 가정)한다, As shown in FIG. 8, it is assumed that existing railroad cars (that is, railroad cars having a centralized network structure) are arranged at the head and the stern of railroad cars to be single-formed to form a single train (or new in the middle of the formation of existing railroad cars). Assume that railroad cars are arranged and arranged,

이에 상기 컨트롤러부(140)가 네트워크 구성이 다른 각 철도차량의 구성 정보 및 차량 편성 조건을 입력받은 결과, 편성의 선두 및 선미에 배치되는 기존 철도차량(즉, 중앙집중식 네트워크 구조의 철도차량)에는 TCU와 VCU가 포함되어 있고, 이 선두 및 선미 차량에 바로 연결되는 후방 철도차량에는 VCU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 상기 컨트롤러부(140)는 기존 철도차량에는 게이트웨이(GW1)와 RTE를 기존 철도차량에 추가하는 인터페이스 구조를 설계한다. Accordingly, as a result of the controller 140 receiving the configuration information and vehicle formation conditions of each railway vehicle having a different network configuration, the controller 140 has an existing railway vehicle (that is, a railway vehicle having a centralized network structure) disposed at the head and the stern of the formation. When the TCU and the VCU are included, and the rear railway vehicle directly connected to the head and stern vehicles includes the VCU, the controller unit 140 transfers the gateway (GW1) and the RTE to the existing railway vehicle. Design the interface structure to add.

그리고 신규 철도차량에는 게이트웨이(GW2)와 RTE를 추가하는 인터페이스 구조를 설계하며, 아울러 신규 철도차량의 선두와 선미 차량에는 CMS를 추가하는 인터페이스 구조를 설계한다. 이와 같이 선두와 선미 차량을 기존 철도차량으로 편성하고자 할 경우, 기존 철도차량의 차량 제어 및 감시 장치(VCU)를 운용하지 않고, 대신에 편성 중간에 배치되는 신규 철도차량에 설치된 CMS(Central Management System)가 차량 제어 및 감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an interface structure for adding a gateway (GW2) and an RTE is designed for a new railway vehicle, and an interface structure for adding a CMS to the head and stern vehicles of the new railway vehicle is designed. If you want to organize the front and stern vehicles into existing railway vehicles, do not operate the vehicle control and monitoring unit (VCU) of the existing railway vehicles. To perform vehicle control and monitoring functions.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 편성하고자 하는 각 철도차량의 편성 조건에 따라 제1 게이트웨이(GW1) 또는 제2 게이트웨이(GW2), 및 RTE를 인터페이스 장치로 추가하며, 기존의 VCU 기능을 대체하기 위한 철도차량에는 CMS를 추가로 인터페이스 함으로써, 단일 편성된 철도차량이 TCN(Train Communication Network)을 통해 송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As shown in FIG. 8, the first gateway GW1 or the second gateway GW2 and the RTE are added as interface devices according to the formation conditions of each railway vehicle to be united, and replace the existing VCU functions. By additionally interfacing the CMS to the railroad car, the trained railroad car is configured to transmit and receive through the TCN (Train Communication Network).

이때 상기 컨트롤러부(140)는, 상기 편성 조건에 따라 설계(산출)된 인터페이스 정보(예 : 외형 정보, 각 철도차량의 내부 인터페이스 정보 등)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함으로써, 이 출력된 인터페이스 정보를 참조하여, 네트워크 구성이 다른 철도차량의 인터페이스 구조를 작업자(또는 운영자) 단계에서 손쉽게 보완(또는 개선)하여 단일 편성할 수 있게 한다. In this case, the controller 140 outputs the interface information (eg, appearance information, internal interface information of each railway vehicle, etc.) designed (calculated) according to the knitting condition, as shown in FIG. With reference to the interface information, the network structure makes it possible to easily complement (or improve) the interface structure of another railway vehicle at the worker (or operator) level to form a single unit.

참고로 기존의 국내 철도차량은 TCU와 VCU의 차량 제어 및 감시 시스템을 갖는 동일한 차량 간에만 혼합 편성이 가능하였다.For reference, the existing domestic railway vehicles could be mixed only between the same vehicles with the TCU and VCU vehicle control and monitoring system.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철도차량의 네트워크 구성이 다르더라도 이에 관계없이 혼합하여 단일 편성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기존 철도차량의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However, in this embodiment, even if the network configuration of the railway vehicle is different,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usability of the existing railway vehicle by allowing a single combination by mixing regardless.

이상으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illustrated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for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art pertains. I will understand the point. Therefore, th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claims below.

110 : 차량 구성 정보 입력부
120 : 차량 편성 조건 입력부
130 : 인터페이스 구성 DB
140 : 컨트롤러부
150 : 인터페이스 설계 결과 출력부
VCU : 차량 제어 및 감시 장치
TCU : 편성 제어 및 감시 장치
GW1 : Consist network 호환을 위한 게이트웨이
GW2 : Backbone network 호환을 위한 게이트웨이
CMS : central Management System
RTE : Remote I/O, 전장장치 전기신호 인터페이스를 위한 입출력장치
110: vehicle configuration information input unit
120: vehicle configuration condition input unit
130: interface configuration DB
140: controller unit
150: interface design result output unit
VCU: Vehicle Control and Monitoring Unit
TCU: Organizing Control and Monitoring Device
GW1: Gateway for Consist Network Compatibility
GW2: Gateway for Backbone Network Compatibility
CMS: central management system
RTE: I / O for remote I / O, electrical signal interface

Claims (18)

단일 편성하고자 하는 이종 네트워크를 갖는 철도차량의 구성 정보를 입력받는 차량 구성 정보 입력부;
상기 단일 편성할 철도차량의 대수와 편성 위치에 관련된 조건 정보를 입력받는 차량 편성 조건 입력부;
상기 차량 구성 정보 입력부, 및 차량 편성 조건 입력부를 통해 입력받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종 네트워크를 갖는 철도차량 간 단일 편성 운영을 위한 인터페이스 정보를 설계하거나 산출하는 컨트롤러부; 및
상기 컨트롤러부에서 설계하거나 산출한 상기 이종 네트워크를 갖는 철도차량 간 단일 편성 운영을 위한 인터페이스 정보를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해 출력하는 인터페이스 설계 결과 출력부;를 포함하되,
상기 컨트롤러부는,
단일 편성할 철도차량의 선두와 선미에 분산제어방식 네트워크 구조의 신규 철도차량이 편성되고 이 편성의 중간에 중앙집중식 네트워크 구조의 기존 철도차량을 배치하여 단일 편성할 경우,
편성 중간에 배치되는 기존 철도차량에 제2 게이트웨이(GW2)를 추가하는 인터페이스 구조를 설계하되,
상기 제2 게이트웨이(GW2)가 단일 편성된 철도차량의 선두나 선미 차량에 배치된 CMS(Central Management System)의 제어 명령을 전달받아 VCU(Vehicle Control Unit)를 통해 해당 철도차량의 전장장치를 제어하고, 이에 따른 제어 결과를 상기 VCU로부터 전달받아 상기 CMS에 전달하여 현시될 수 있도록 설계하고,
상기 컨트롤러부는,
단일 편성할 철도차량의 선두와 선미에 중앙집중식 네트워크 구조의 기존 철도차량이 편성되고 이 편성의 중간에 분산제어방식 네트워크 구조의 신규 철도차량을 배치하여 단일 편성할 경우,
기존 철도차량에 제1 게이트웨이(GW1)와 RTE(Remote I/O)를 추가하는 인터페이스 구조를 설계하고, 신규 철도차량에는 제2 게이트웨이(GW2)와 RTE를 추가하는 인터페이스 구조를 설계하며, 아울러 상기 신규 철도차량의 선두와 선미 차량에는 CMS(Central Management System)를 추가하는 인터페이스 구조를 설계하되,
기존 철도차량에서 TCU(Train Control Unit)와 VCU(Vehicle Control Unit)를 배제하고, 대신에 신규 철도차량에 인터페이스 된 CMS(Central Management System)가 차량 제어 및 감시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제1, 제2 게이트웨이(GW1, GW2) 및 RTE가 CMS의 제어 명령을 직접 전달받아 해당 철도차량의 전장장치를 제어하고, 그 제어 결과를 상기 CMS에 직접 전달하여 현시될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네트워크를 갖는 철도차량 간 단일편성 운영을 위한 인터페이스 설계 장치.
A vehicle configuration information input unit configured to receive configuration information of a railway vehicle having a heterogeneous network to be single-organized;
A vehicle formation condition input unit configured to receive condition information related to the number and location of the railroad car to be single-organized;
A controller unit for designing or calculating interface information for unitary operation between railroad cars having the heterogeneous network based on the vehicle configuration information input unit and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vehicle configuration condition input unit; And
And an interface design result output unit configured to output interface information for operating a single train between railway vehicles having the heterogeneous network designed or calculated by the controller unit through a display unit.
The controller unit,
In the case where a new railway vehicle with a distributed control network structure is formed at the head and stern of the railway vehicle to be united, and an existing railway vehicle with a centralized network structure is arranged in the middle of the formation,
Design an interface structure that adds a second gateway (GW2) to the existing railroad vehicles that are arranged in the middle of the formation,
The second gateway GW2 receives a control command of a CMS (Central Management System) disposed at the head of the single or the stern vehicle, and controls the electronic device of the railway vehicle through a vehicle control unit (VCU). Designed to be displayed by receiving the control result from the VCU and deliver it to the CMS,
The controller unit,
In the case where the existing railway vehicle of the centralized network structure is organized at the head and stern of the railway vehicle to be united, and the new railway vehicle of the distributed control network structure is arranged in the middle of the formation,
Design an interface structure for adding a first gateway (GW1) and RTE (Remote I / O) to an existing railway vehicle, and design an interface structure for adding a second gateway (GW2) and an RTE to a new railway vehicle. Design the interface structure to add CMS (Central Management System) to the head and stern vehicles of new railway vehicles,
Excluding the Train Control Unit (TCU) and Vehicle Control Unit (VCU) from the existing railway vehicles, the Central Management System (CMS) interfaced to the new railway vehicle performs vehicle control and monitoring functions. Heterogeneous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the gateway (GW1, GW2) and the RTE is directly received by the control command of the CMS to control the electric equipment of the corresponding railway vehicle, and the control results are transmitted directly to the CMS Interface design device for unified operation between railroad cars with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부가 설계하거나 산출하는 인터페이스 정보는,
단일 편성을 위해 미리 준비할 인터페이스 장치의 수량, 각 철도차량별 인터페이스 구성이나 인터페이스 회로, 및 각 철도차량별 작업 시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네트워크를 갖는 철도차량 간 단일편성 운영을 위한 인터페이스 설계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Interface information designed or calculated by the controller unit,
Unitary operation between railway vehicles having a heterogeneous network comprising at least one of the number of interface devices to be prepared in advance for a single formation, the interface configuration or interface circuit for each railway vehicle, and the working time for each railway vehicle Interface design device for us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철도차량의 구성 정보는,
분산제어방식 네트워크 구조의 신규 철도차량의 통신 및 제어 신호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구성 장치, 중앙집중식 네트워크 구조의 기존 철도차량의 통신 및 제어 신호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구성 장치, 및 상기 각 구성 장치의 세부적인 제원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네트워크를 갖는 철도차량 간 단일편성 운영을 위한 인터페이스 설계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figuration information of the railway vehicle,
Configuration device for communication and control signal interface of new railway vehicle of distributed control network structure, Configuration device for communication and control signal interface of existing railway vehicle of centralized network structure, and detailed specification of each configuration device Interface design device for a single-piece operation between railway vehicles having a heterogeneous network comprising information.
제 1항에 있어서,
분산제어방식 네트워크 구조의 신규 철도차량 및 중앙집중식 네트워크 구조의 기존 철도차량의 구성 정보, 및 상기 각 철도차량의 외관 형상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구성 DB;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네트워크를 갖는 철도차량 간 단일편성 운영을 위한 인터페이스 설계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an interface configuration DB including at least one of configuration information of the new railway vehicle and the existing railway vehicle of the centralized network structure and the appearance shape of each railway vehicle. Interface design device for unified operation between railway vehicles with heterogeneous network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구성 정보 입력부는,
단일 편성하고자 하는 각 철도차량의 구성 정보를 매뉴얼 방식으로 입력받거나, 상위 철도차량 운영 시스템으로부터 편성 가능한 차량정보를 자동으로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네트워크를 갖는 철도차량 간 단일편성 운영을 위한 인터페이스 설계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vehicle configuration information input unit,
Interface design for single unit operation between railway vehicles with heterogeneous network, which receives configuration information of each railway vehicle to be organized by manual method or automatically inputs vehicle information that can be organized from upper railway vehicle operating system Devi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편성 조건 입력부는,
단일 편성하고자 하는 각 철도차량의 편성 조건 정보를 매뉴얼 방식으로 입력받거나, 상위 철도차량 운영 시스템으로부터 편성 조건 정보를 자동으로 전달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네트워크를 갖는 철도차량 간 단일편성 운영을 위한 인터페이스 설계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vehicle configuration condition input unit,
Interface design for single train operation between railroad cars with heterogeneous network, which receives information on the configuration conditions of each railway vehicle to be united in a manual manner or automatically receives the configuration condition information from the upper railway vehicle operation system Devi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부는,
중앙집중식 네트워크 구조의 기존 철도차량에서 TCU(Train Control Unit)와 VCU(Vehicle Control Unit)를 배제하고, 분산제어방식 네트워크 구조의 신규 철도차량과의 통신 및 제어신호의 호환을 위하여,
CMS(Central Management System), RTE(Remote I/O), 전장장치 통신 인터페이스를 위한 제1 게이트웨이(GW1) 및 제2 게이트웨이(GW2) 중 선택적인 조합을 통해 상기 이종 네트워크를 갖는 철도차량 간 단일 편성 운영을 위한 인터페이스 정보를 설계하거나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네트워크를 갖는 철도차량 간 단일편성 운영을 위한 인터페이스 설계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ler unit,
In order to exclude the TCU (Train Control Unit) and VCU (Vehicle Control Unit) from the existing railway vehicles in the centralized network structure, and to communicate with the new railway vehicles in the distributed control network structure and to be compatible with the control signals,
Single organization between railway vehicles with the heterogeneous network through an optional combination of a CMS (Central Management System), Remote I / O (RTE), a first gateway (GW1) and a second gateway (GW2) for an electronic device communication interface An interface design apparatus for unitary operation between railroad cars having heterogeneous networks, characterized in that for designing or calculating interface information for operation.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제어방식 네트워크 구조의 철도차량은,
마스콘(MASCON)을 통해 제동 명령이 입력될 경우, 편성된 철도차량의 마스터 CMS가 제동력을 계산하여 각 철도차량의 RTE를 통해 제동장치에 직접 전송함으로써, 각 차량의 제동장치가 곧바로 제동명령을 수행하며, 또한 각 제동장치의 상태 모니터링을 위한 정보가 각 철도차량의 RTE를 통해 상기 편성된 철도차량의 마스터 CMS에 직접 전송하여 현시하도록 구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네트워크를 갖는 철도차량 간 단일편성 운영을 위한 인터페이스 설계 장치.
The railway vehicle of claim 7, wherein the railway vehicle of the distributed control system network structure comprises:
When the braking command is input through the Mascon, the master CMS of the train railroad calculates the braking force and transmits the braking force directly to the braking device through the RTE of each railroad car, so that the braking device of each vehicle immediately issues a braking command. In addition, the information for monitoring the status of each braking system is transmitted to the master CMS of the train railroad vehicle through the RTE of each railroad vehicle to implement the manifestation between the railroad cars having a heterogeneous network Interface design device for opera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컨트롤러부가 차량 구성 정보 입력부를 통해 단일 편성하고자 하는 이종 네트워크를 갖는 철도차량의 구성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컨트롤러부가 차량 편성 조건 입력부를 통해 상기 단일 편성할 철도차량의 대수와 편성 위치에 관련된 조건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컨트롤러부가 상기 차량 구성 정보 입력부, 및 차량 편성 조건 입력부를 통해 입력받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종 네트워크를 갖는 철도차량 간 단일 편성 운영을 위한 인터페이스 정보를 설계하거나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컨트롤러부가 설계하거나 산출한 상기 이종 네트워크를 갖는 철도차량 간 단일 편성 운영을 위한 인터페이스 정보를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단일 편성할 철도차량의 대수와 편성 위치에 관련된 조건 정보를 입력받은 결과, 단일 편성할 철도차량의 선두와 선미에 분산제어방식 네트워크 구조의 신규 철도차량이 편성되고 이 편성의 중간에 중앙집중식 네트워크 구조의 기존 철도차량을 배치하여 단일 편성할 경우,
상기 컨트롤러부는,
편성 중간에 배치되는 기존 철도차량에 제2 게이트웨이(GW2)를 추가하는 인터페이스 구조를 설계하되,
상기 제2 게이트웨이(GW2)가 단일 편성된 철도차량의 선두나 선미 차량에 배치된 CMS(Central Management System)의 제어 명령을 전달받아 VCU(Vehicle Control Unit)를 통해 해당 철도차량의 전장장치를 제어하고, 이에 따른 제어 결과를 상기 VCU로부터 전달받아 상기 CMS에 전달하여 현시될 수 있도록 설계하고,
상기 단일 편성할 철도차량의 대수와 편성 위치에 관련된 조건 정보를 입력받은 결과, 단일 편성할 철도차량의 선두와 선미에 중앙집중식 네트워크 구조의 기존 철도차량이 편성되고 이 편성의 중간에 분산제어방식 네트워크 구조의 신규 철도차량을 배치하여 단일 편성할 경우,
상기 컨트롤러부는,
기존 철도차량에 제1 게이트웨이(GW1)와 RTE(Remote I/O)를 추가하는 인터페이스 구조를 설계하고, 신규 철도차량에는 제2 게이트웨이(GW2)와 RTE를 추가하는 인터페이스 구조를 설계하며, 아울러 상기 신규 철도차량의 선두와 선미 차량에는 CMS(Central Management System)를 추가하는 인터페이스 구조를 설계하되,
기존 철도차량에서 TCU(Train Control Unit)와 VCU(Vehicle Control Unit)를 배제하고, 대신에 신규 철도차량에 인터페이스 된 CMS(Central Management System)가 차량 제어 및 감시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제1, 제2 게이트웨이(GW1, GW2) 및 RTE가 CMS의 제어 명령을 직접 전달받아 해당 철도차량의 전장장치를 제어하고, 그 제어 결과를 상기 CMS에 직접 전달하여 현시될 수 있도록 설계하는 특징으로 하는 이종 네트워크를 갖는 철도차량 간 단일편성 운영을 위한 인터페이스 설계 방법.
Receiving, by the controller unit, configuration information of a railway vehicle having a heterogeneous network to be united through a vehicle configuration information input unit;
Receiving, by the controller unit, condition information related to the number and location of the railway vehicle to be trained by the vehicle configuration condition input unit;
Designing or calculating, by the controller unit, interface information for unitary operation between railroad cars having the heterogeneous network based on the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vehicle configuration information input unit and the vehicle configuration condition input unit; And
And outputting, via a display means, interface information for unitary operation between railroad cars having the heterogeneous network designed or calculated by the controller unit.
As a result of receiving the condition information related to the number and location of the railroad cars to be trained, a new railroad car with a distributed control network structure is formed at the front and the stern of the railroad car to be trained, and the centralized network is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train. In the case of arranging existing railway vehicles in a single structure,
The controller unit,
Design an interface structure that adds a second gateway (GW2) to the existing railroad vehicles that are arranged in the middle of the formation,
The second gateway GW2 receives a control command of a CMS (Central Management System) disposed at the head of the single or the stern vehicle, and controls the electronic device of the railway vehicle through a vehicle control unit (VCU). Designed to be displayed by receiving the control result from the VCU and deliver it to the CMS,
As a result of receiving the condition information related to the number and location of the railroad cars to be trained, the existing railroad cars of the centralized network structure are organized at the head and the stern of the railroad car to be trained, and the distributed control network is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train. If a new railroad car of the structure is arranged and united,
The controller unit,
Design an interface structure for adding a first gateway (GW1) and RTE (Remote I / O) to an existing railway vehicle, and design an interface structure for adding a second gateway (GW2) and an RTE to a new railway vehicle. Design the interface structure to add CMS (Central Management System) to the head and stern vehicles of new railway vehicles,
Excluding the Train Control Unit (TCU) and Vehicle Control Unit (VCU) from the existing railway vehicles, the Central Management System (CMS) interfaced to the new railway vehicle performs vehicle control and monitoring functions. 2 Heterogeneous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the gateway (GW1, GW2) and the RTE is directly received by the control command of the CMS to control the electric equipment of the railway vehicle, and the control results are transmitted directly to the CMS Interface design method for unified operation between railroad cars.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부가 설계하거나 산출하는 인터페이스 정보는,
단일 편성을 위해 미리 준비할 인터페이스 장치의 수량, 각 철도차량별 인터페이스 구성이나 인터페이스 회로, 및 각 철도차량별 작업 시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네트워크를 갖는 철도차량 간 단일편성 운영을 위한 인터페이스 설계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Interface information designed or calculated by the controller unit,
Unitary operation between railway vehicles having a heterogeneous network comprising at least one of the number of interface devices to be prepared in advance for a single formation, the interface configuration or interface circuit for each railway vehicle, and the working time for each railway vehicle How to design interfaces.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철도차량의 구성 정보는,
분산제어방식 네트워크 구조의 신규 철도차량의 통신 및 제어 신호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구성 장치, 중앙집중식 네트워크 구조의 기존 철도차량의 통신 및 제어 신호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구성 장치, 및 상기 각 구성 장치의 세부적인 제원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네트워크를 갖는 철도차량 간 단일편성 운영을 위한 인터페이스 설계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configuration information of the railway vehicle,
Configuration device for communication and control signal interface of new railway vehicle of distributed control network structure, Configuration device for communication and control signal interface of existing railway vehicle of centralized network structure, and detailed specification of each configuration device An interface design method for unitary operation between railroad cars having heterogeneous networks comprising information.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이종 네트워크를 갖는 철도차량 간 단일 편성 운영을 위한 인터페이스 정보를 설계하거나 산출하는 단계에서,
상기 컨트롤러부는,
분산제어방식 네트워크 구조의 신규 철도차량 및 중앙집중식 네트워크 구조의 기존 철도차량의 구성 정보, 및 상기 각 철도차량의 외관 형상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구성 DB;를 참조하여 설계나 산출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네트워크를 갖는 철도차량 간 단일편성 운영을 위한 인터페이스 설계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in the step of designing or calculating interface information for unitary operation between railway vehicles having the heterogeneous network,
The controller unit,
An interface configuration DB including at least one of configuration information of a new railway vehicle of a distributed control network structure and an existing railway vehicle of a centralized network structure, and information on appearance appearance of each railway vehicle; Interface design method for unified operation between railway vehicles having a heterogeneous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for performing.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이종 네트워크를 갖는 철도차량 간 단일 편성 운영을 위한 인터페이스 정보를 설계하거나 산출하는 단계에서,
상기 컨트롤러부는,
중앙집중식 네트워크 구조의 기존 철도차량에서 TCU(Train Control Unit)와 VCU(Vehicle Control Unit)를 배제하고, 분산제어방식 네트워크 구조의 신규 철도차량과의 통신 및 제어신호의 호환을 위하여,
CMS(Central Management System), RTE(Remote I/O), 전장장치 통신 인터페이스를 위한 제1 게이트웨이(GW1) 및 제2 게이트웨이(GW2) 중 선택적인 조합을 통해 상기 이종 네트워크를 갖는 철도차량 간 단일 편성 운영을 위한 인터페이스 정보를 설계하거나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네트워크를 갖는 철도차량 간 단일편성 운영을 위한 인터페이스 설계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in the step of designing or calculating interface information for unitary operation between railway vehicles having the heterogeneous network,
The controller unit,
In order to exclude the TCU (Train Control Unit) and VCU (Vehicle Control Unit) from the existing railway vehicles in the centralized network structure, and to communicate with the new railway vehicles in the distributed control network structure and to be compatible with the control signals,
Single organization between railway vehicles with the heterogeneous network through an optional combination of a CMS (Central Management System), Remote I / O (RTE), a first gateway (GW1) and a second gateway (GW2) for an electronic device communication interface An interface design method for unified operation between railroad cars having heterogeneous networks, characterized by designing or calculating interface information for operation.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제어방식 네트워크 구조의 철도차량은,
마스콘(MASCON)을 통해 제동 명령이 입력될 경우, 편성된 철도차량의 마스터 CMS가 제동력을 계산하여 각 철도차량의 RTE를 통해 제동장치에 직접 전송함으로써, 각 차량의 제동장치가 곧바로 제동명령을 수행하며, 또한 각 제동장치의 상태 모니터링을 위한 정보가 각 철도차량의 RTE를 통해 상기 편성된 철도차량의 마스터 CMS에 직접 전송하여 현시하도록 구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네트워크를 갖는 철도차량 간 단일편성 운영을 위한 인터페이스 설계 방법.
The railway vehicle of claim 15, wherein
When the braking command is input through the Mascon, the master CMS of the train railroad calculates the braking force and transmits the braking force directly to the braking device through the RTE of each railroad car, so that the braking device of each vehicle immediately issues a braking command. In addition, the information for monitoring the status of each braking system is transmitted to the master CMS of the train railroad vehicle through the RTE of each railroad vehicle to implement the manifestation between the railroad cars having a heterogeneous network How to design an interface for opera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70167342A 2017-12-07 2017-12-07 Interface design apparatus for operating single train between railway vehicles with heterogeneous networks and method thereof KR10203159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7342A KR102031593B1 (en) 2017-12-07 2017-12-07 Interface design apparatus for operating single train between railway vehicles with heterogeneous networks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7342A KR102031593B1 (en) 2017-12-07 2017-12-07 Interface design apparatus for operating single train between railway vehicles with heterogeneous networks and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7419A KR20190067419A (en) 2019-06-17
KR102031593B1 true KR102031593B1 (en) 2019-10-14

Family

ID=67064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7342A KR102031593B1 (en) 2017-12-07 2017-12-07 Interface design apparatus for operating single train between railway vehicles with heterogeneous networks and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1593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0789B1 (en) * 2007-05-17 2008-09-29 현대로템 주식회사 Method of communication network set-up of train with variable organization and coupledtrain
KR101376515B1 (en) * 2013-02-27 2014-03-20 현대로템 주식회사 Command transfer device for propulsion braking of high-speed railway vehicle and the high-speed railway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0441B1 (en) * 2012-11-02 2014-07-04 현대오토에버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dual network in a train
KR102461327B1 (en) * 2014-11-24 2022-10-3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pparatus and method for distributed processing of train monitoring traffic based hierarchical wireless sensor network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0789B1 (en) * 2007-05-17 2008-09-29 현대로템 주식회사 Method of communication network set-up of train with variable organization and coupledtrain
KR101376515B1 (en) * 2013-02-27 2014-03-20 현대로템 주식회사 Command transfer device for propulsion braking of high-speed railway vehicle and the high-speed railway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7419A (en) 2019-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240601B (en) Train network system
US20140088802A1 (en) Railway train control system having multipurpose display
US20090050380A1 (en) Transport unit
US9453785B2 (en) Method and method for troubleshooting a body work function pertaining to vehicles
KR20110029440A (en) Integrated simulation system for a train service
KR102031593B1 (en) Interface design apparatus for operating single train between railway vehicles with heterogeneous networks and method thereof
CN114435279A (en) Vehicle area controller, vehicle control system and vehicle
CN110406561B (en) Switch control system and track system
KR101952120B1 (en) Reduction of wiring in a Railroad vehicle
CN105678947A (en) Modularized high speed motor train unit smoke and fire online monitoring system
JP3730080B2 (en) Vehicle information device for electric vehicles
WO2022267267A1 (en) Subway vehicle, and modular air conditioning control panel and control method
CN211457144U (en) Bus extension device connected with numerical control system through network interface and numerical control equipment
RU185070U1 (en) ELECTRIC TRAIN
US9798687B2 (en) Method and device for LIN master and identical LIN slaves data communication in motor vehicles
JP2017225251A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KR101317792B1 (en) Rs485-converter
CN207937859U (en) A kind of centralized control box of serial interface communication control
KR101611858B1 (en) Train system monitoring apparatus
CN104203714B (en) The method of control, protection and/or supervision track traffic and operation control system
KR20090119369A (en) Switchboard control system of railway vehicle
KR101740145B1 (en) Control and Monitoring System for Vehicle
RU2406623C1 (en) Package control device for dc electric locomotives
RU2546049C1 (en) Multi-section diesel locomotive control system
CN111052102A (en)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at least one peripheral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