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1478B1 - Device of drip irrigation for tree root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Device of drip irrigation for tree root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1478B1
KR102031478B1 KR1020180000073A KR20180000073A KR102031478B1 KR 102031478 B1 KR102031478 B1 KR 102031478B1 KR 1020180000073 A KR1020180000073 A KR 1020180000073A KR 20180000073 A KR20180000073 A KR 20180000073A KR 102031478 B1 KR102031478 B1 KR 1020314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se
hole
drip irrigation
tree
irriga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007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82466A (en
Inventor
정쌍영
Original Assignee
정쌍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쌍영 filed Critical 정쌍영
Priority to KR10201800000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1478B1/en
Publication of KR201900824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246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14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147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06Watering arrangements making use of perforated pipe-lines located in the soi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3/00Forestry
    • A01G23/02Transplanting, uprooting, felling or delimbing trees
    • A01G23/04Transplanting trees; Devices for grasping the root ball, e.g. stump forceps; Wrappings or packages for transporting tre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5Reservoirs connected to flower-pots through cond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6Reservoirs, separate from plant-pots, dispensing directly into rooting mediu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2Improving land use; Improving water use or availability; Controlling eros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Soi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목뿌리와 인접하여 점적 관수 가능한 수목뿌리용 점적 관수 장치 및 그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 수목뿌리용 점적 관수장치는, 주입구가 형성된 상단이 지표면 위로 노출되도록 지중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제1 세로파이프와, 제1 세로파이프와 소정 간격 이격하여 평행하게 설치되는 제2 세로파이프와, 제1,제2 세로파이프 사이를 연통하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로파이프, 및 제1,제2 세로파이프 또는 가로파이프에 관통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ip irrigation device for a tree root capable of dripping irrigation adjacent to a tree root, and a method for installing the same, wherein the drip irrigation device for a tree root includes a first vertically installed in the ground such that an upper end formed with an injection hole is exposed on the ground surface. At least one horizontal pipe formed to communicate between the vertical pipe, the second vertical pipe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vertical pip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the first and second vertical pipes, and the first and second vertical pipes. Or it may include at least one through hole formed through the horizontal pipe.

Description

수목뿌리용 점적 관수 장치 및 그 설치방법{Device of drip irrigation for tree root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of}Device of drip irrigation for tree root and installation method

본 발명은 관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목뿌리와 인접하여 점적 관수 가능한 수목뿌리용 점적 관수 장치 및 그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rip irrigation device for a tree root and drip irrigation adjacent to a tree root and a method of installing the same.

오늘날 도심지뿐만 아니라, 지방의 경우에도 자동차가 다니는 도로는 물론, 사람이 다니는 보도 및 공원까지도 대부분이 콘크리트, 아스팔트, 보도블럭 등으로 포장되어 있고, 이들 포장된 도로 및 보도의 주변에는 미관 및 대기환경을 좋게 하기 위하여 가로수 또는 조경수 등을 식목하고 있다. Today, not only urban areas, but also rural roads, as well as human sidewalks and parks, are mostly paved with concrete, asphalt, sidewalk blocks, and the like. In order to improve the tree planting trees or landscaping.

상기 수목을 식목하는 과정으로는 먼저, 식목하고자 하는 부분에 수목의 뿌리분 크기보다 크게 구덩이를 파내고, 이 구덩이에 수목의 뿌리분을 넣은 뒤, 파낸 흙으로 빈 공간을 메우게 되며, 그 다음으로는 이렇게 식목된 수목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대가 지표면에 설치되고, 마지막 작업으로 물을 부어 내부의 뿌리분에 충분한 수분공급과 뿌리 부위의 공극을 없게 한다. In the process of planting the tree, first, dig a pit larger than the size of the root of the tree in the part to be planted, put the root of the tree in this pit, and then fill the empty space with the excavated soil. Guards to protect the planted trees are installed on the ground, and the last step is to pour water so that there is sufficient moisture in the roots and no voids in the roots.

그러나, 후갈수기에 상기 종래의 작업에 의하면 수분을 공급할 시 지표면 상에 물을 부어 수분을 공급하므로, 물이 수목의 뿌리분에 스며들기 전에 흙과 뒤섞여 보호대 주변으로 흘러넘치게 되고, 수목의 뿌리분 부분까지 수분이 공급되는 사이에 뿌리분 이외의 영역을 적시게 되어 다량의 물이 필요하게 된다는 단점이 있다.However, according to the above conventional work, the water is supplied to the ground surface when water is supplied, so that water is mixed with the soil before the water soaks into the roots of the trees, and flows around the guards to the roots of the trees.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a large amount of water is required because the area other than the root powder is wetted while water is supplied.

그리고, 보도블럭과 아스팔트로 덮인 도심지에 있어서, 우천시에도 수목으로 직접 유입되는 수분은 그다지 많지 않고 뿌리 부분에 관수가 괴질 않으며, 특히 수목이 많은 물을 필요로 할 시기인 봄철에는 기후로 인해 3개월씩 가뭄이 계속되는 실정이라 기존의 뿌리가 활착된 수목들도 고사하는 현실이다.And, in urban areas covered with sidewalk blocks and asphalt, even when it rains, the water flowing directly into the trees is not much and irrigation occurs at the roots, especially in the spring when the trees need a lot of water. Drought continues, so even the trees rooted in existing roots are dead.

또한, 갈수기 등으로 인해 인위적으로 물을 주려면, 상기 수목의 지표면이 단단하게 굳어져 물을 공급해도 수목의 뿌리분으로 직접 유입되는 물이 그다지 많지 않기 때문에 주변의 흙을 파내어 물을 공급해야 하며, 이 작업시 수목의 뿌리에 손상을 줄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artificially water due to the dry season, even if the ground surface of the tree is hardened so that there is not much water flowing directly into the root of the tree even if water is supplied, it is necessary to dig out the surrounding soil and supply water. Doing so can damage the roots of trees.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수목뿌리와 인접하여 지중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수목뿌리용 점적 관수 장치 및 그 설치 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rip irrigation device for a tree root and a method of installing the same that can supply water to the ground adjacent to the tree root.

또한, 본 발명은 갈수기에도 수목뿌리 주변에 직접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수목뿌리용 점적 관수 장치의 제공을 다른 목적으로 하며, 기존의 관수용 물주머니와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제품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other object to provide a drip irrigation device for the tree roots that can supply water directly around the tree roots in the dry season, the product can be used compatible with the existing water bag for watering.

또한, 본 발명은 수목뿌리의 생장을 방해하지 않는 수목뿌리용 점적 관수 장치 및 그 설치방법의 제공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rip irrigation device for a tree root and a method of installing the same, which does not interfere with the growth of the tree root.

아울러, 본 발명은 호스를 뿌리분에 쉽게 박아넣을 수 있고, 이에 따라 설치가 용이한 수목뿌리용 점적 관수 장치 및 그 설치방법의 제공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rip irrigation device for a tree root and a method of installation thereof that can be easily embedded in the hose, thus easy installation.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주입구가 형성된 상단이 지표면 위로 노출되도록 지중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제1 세로파이프; 상기 제1 세로파이프와 소정 간격 이격하여 평행하게 설치되는 제2 세로파이프; 상기 제1,제2 세로파이프 사이를 연통하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로파이프; 및 상기 제1,제2 세로파이프 또는 상기 가로파이프에 관통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홀을 포함하는 수목뿌리용 점적 관수 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first vertical pipe is installed perpendicular to the ground so that the top of the injection hole is formed on the ground surface; A second vertical pipe installed parallel to the first vertical pip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t least one horizontal pipe formed to communicat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vertical pipes; And at least one through hole form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vertical pipes or the horizontal pipe.

본 발명의 일 특징에 의하면, 상기 관통홀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지중으로 연장되는 호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feature of the invention, one end is coupled to the through hole and the other end may further include a hose extending to the ground.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호스의 외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출홀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invention, at least one discharge hole may be formed through the outer surface of the hose.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배출홀의 막힘 방지를 위해 상기 호스의 외측면을 감싸는 부직포와, 상기 부직포를 상기 호스에 고정하는 체결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non-woven fabric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 of the hose to prevent clogging of the discharge hole, and may further include a fastener for fixing the nonwoven fabric to the hose.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호스의 일단에 결합되는 커넥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inven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or coupled to one end of the hose.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커넥터는, 중공이 관통 형성된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선단부에 테이퍼지게 형성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공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or may include a coupling portion through which the hollow is penetrated, an insertion portion formed to be tapered at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coupling portion, and at least one through hole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insertion portion. have.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커넥터는, 상기 삽입부와 상기 결합부 사이에 폭이 확장 형성되는 걸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still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or may further include a locking portion having a width extending between the insertion portion and the coupling por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커넥터는, 상기 제1 세로파이프 또는 상기 제2 세로파이프를 감싸도록 결합되며 일측에 통공이 관통 형성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양단에 각각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결합부와, 상기 통공의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통공과 연통하는 중공을 갖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connector is coupled to surround the first vertical pipe or the second vertical pipe, the support portion is formed through the through-hole on one side, and a pair formed respectively extending on both ends of the support portion The coupling portion and extending along the periphery of the through-hole may include a protrusion having a hollow in communication with the through-hole.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커넥터는, 돌출부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는 걸림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connector may further include a locking projection protruding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otrusion.

한편,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a) 수목 식재용 구덩이를 조성하는 단계; (b) 상기 구덩이에 수목의 뿌리분을 안착시키는 단계; (c) 상기 뿌리분의 일측에 상기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목뿌리용 점적 관수 장치를 안착시키는 단계; (d) 상기 구덩이를 메우는 단계; 및 (e) 상기 수목뿌리용 점적 관수 장치에 물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목뿌리용 점적 관수 장치의 설치 방법을 제공함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 forming a tree planting pits; (b) laying roots of trees in the pits; (c) mounting a drip irrigation device for tree root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9 on one side of the root powder; (d) filling the pit; And (e) supplying water to the drip irrigation device for tree roots, which may be achieved by providing a method for installing the drip irrigation device for tree roots.

이때, 본 발명의 일 특징에 의하면, 상기 (c) 단계는, (c-1) 상기 수목뿌리용 점적 관수 장치의 몸체를 안착시키는 단계와, (c-2) 상기 몸체에 호스를 결합하는 단계와, (c-3) 상기 호스의 일단을 상기 뿌리분에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according to one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step (c), (c-1) mounting the body of the drip irrigation device for the tree roots, (c-2) coupling the hose to the body And (c-3) inserting one end of the hose into the root powder.

본 발명에 따른 수목뿌리용 점적 관수 장치에 의하면, 지속적으로 지중의 수목뿌리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drip irrigation device for tree roo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ntinuously supply water to the tree roots in the groun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목뿌리용 점적 관수 장치 및 그 설치방법에 의하면, 호스의 끝단부를 뿌리분에 쉽게 박아넣을 수 있으므로 설치가 용이하고, 수목뿌리 주변에 직접적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drip irrigation device for the tree roots and the install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end of the hose can be easily embedded in the root powder, it is easy to install, and water can be supplied directly to the tree root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목뿌리용 점적 관수 장치에 의하면, 호스의 배출홀을 감싸는 부직포를 적시면서 물이 배출되므로, 일정량씩 점적 관수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drip irrigation device for tree roo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is discharged while wetting the non-woven fabric surrounding the discharge hole of the hose, it can be drip irrigation by a certain amoun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목뿌리용 점적 관수 장치에 의하면, 주입구를 통해 물을 공급함으로써, 갈수기에도 수목뿌리 주변에 직접 물을 공급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drip irrigation device for tree roo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supplying water through the inlet, it is possible to directly supply water around the tree roots in the dry season.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수목뿌리용 점적 관수 장치에 의하면, 한 쌍의 세로파이프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므로 수목뿌리의 생장을 방해하지 않는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drip irrigation device for tree roo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pace is formed between a pair of longitudinal pipes do not interfere with the growth of the tree roots.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목뿌리용 점적 관수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목뿌리용 점적 관수 장치의 사용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목뿌리용 점적 관수 장치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호스마개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목뿌리용 점적 관수 장치의 사용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수목뿌리용 점적 관수 장치의 사용 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목뿌리용 점적 관수 장치의 설치 순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rip irrigation device for tree root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Figure 3 is a state of use of the drip irrigation device for the tree root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drip irrigation device for tree root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5;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hose stopp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tate diagram using the drip irrigation device for tree root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state diagram using the drip irrigation device for tree root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 flow chart of the installation of the drip irrigation device for tree roo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기술적 특징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re merely to describe in detail enough to be able to easily carry out the inven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nd thu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It does not mean. In describing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ill be used to refer to elements having the same technical features.

제1 First 실시예Example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목뿌리용 점적 관수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rip irrigation device for tree root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목뿌리용 점적 관수 장치(이하, '관수 장치')(100)는, 내부에 물이 채워지는 사다리 형태의 몸체(200)와, 몸체(200)로부터 연장되며 몸체(200) 내부의 물을 조금씩 흘려보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스(30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ure 1 and 2, the drip irrigation device (hereinafter, 'watering device') 100 for the tree root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adder-shaped body ( 200 and at least one hose 300 extending from the body 200 and flowing little by little the water inside the body 200.

몸체(200)는 전체적으로 사다리 형태의 외관을 이루며, 서로 이격하여 평행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세로파이프와, 한 쌍의 세로파이프 사이를 연통하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로파이프(230)를 포함한다.Body 200 has a ladder-like appearance as a whole, and includes a pair of vertical pipes formed in parallel to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t least one horizontal pipe 230 formed to communicate between a pair of vertical pipes.

한 쌍의 세로파이프는, 상단에 주입구가 형성되는 제1 세로파이프(210)와, 제1 세로파이프(210)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하여 제1 세로파이프(210)와 평행하게 형성되는 제2 세로파이프(220)를 포함한다. 제1,제2 세로파이프(210,220)는 내부에 물을 채울 수 있도록 공간부가 형성되며, 그 단면 형상은 필요에 따라 원형, 타원형, 다각형 등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제1,제2 세로파이프(210,220) 및 가로파이프(230)는 플라스틱이나 고무, 목재 또는 금속재 등 다양한 재질과 규격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예컨대 강도 및 경량화를 고려하여 PE 또는 PVC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The pair of vertical pipes may include a first vertical pipe 210 having an injection hole formed at an upper end thereof, and a second vertical pipe formed to be parallel to the first vertical pipe 210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rst vertical pipe 210. 220. The first and second vertical pipes 210 and 220 are formed with a space portion to fill water therein, and the cross-sectional shape may be variously selected, such as a circle, an ellipse, and a polygon, as necessary. 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vertical pipes 210 and 220 and the horizontal pipe 230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and standards such as plastic, rubber, wood, or metal, and for example, made of PE or PVC in consideration of strength and light weight. Can be.

제1 세로파이프(210)의 상단에는 주입구(211)가 형성된다. 이 주입구(211)는 몸체(200) 내부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몸체(200)를 지중에 매설시 제1 세로파이프(210)의 주입구(211)가 지표면 상으로 노출되며, 사용자는 주입구(211)를 통해 몸체(200) 내부에 물을 채워넣을 수 있다. 주입구(211)의 개폐를 위한 별도의 마개(212)가 제1 세로파이프(210)의 상단에 결합될 수 있으며, 우수의 유입이 가능하도록 마개(212) 대신에 그레이팅(grating)(미도시)과 이물질 유입 방지를 위한 필터(미도시)가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비가 올 때에는 마개(212)를 열어서 우수를 몸체(200)에 저장하고, 비가 오지 않을 때에는 마개(212)를 닫아 둘 수 있다. 제1 세로파이프(210)의 하단은 막혀 있거나, 후술하는 하단파이프(232)에 의해 제2 세로파이프(220)의 하단과 연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An injection hole 211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first vertical pipe 210. The injection hole 211 is for supplying water into the body 200, and when the body 200 is buried in the ground, the injection hole 211 of the first vertical pipe 210 is exposed on the ground surface, and the user inserts the injection hole. Water may be filled in the body 200 through the 211. A separate stopper 212 for opening and closing the injection hole 211 may be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first vertical pipe 210, and grating (not shown) instead of the stopper 212 to allow the inflow of rainwater. It is also possible to be combined with a filter (not shown) for preventing the introduction of foreign matter. In this case, the rain cap 212 may be opened to store the rainwater in the body 200, and when the rain does not rain, the stopper 212 may be closed. The lower end of the first vertical pipe 210 may be blocked or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lower end of the second vertical pipe 220 by the lower pipe 232 described later.

제2 세로파이프(220)의 상단은 막혀 있거나, 후술하는 상단파이프(231)에 의해 제1 세로파이프(210)의 상단부와 연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세로파이프(220)의 하단은 막혀 있거나, 후술하는 하단파이프(232)에 의해 제1 세로파이프(210)의 하단과 연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제2 세로파이프(210,220)는 지중에 수직하게 설치된다.An upper end of the second vertical pipe 220 may be blocked or formed to communicate with an upper end of the first vertical pipe 210 by the upper pipe 231 described later. In addition, the lower end of the second vertical pipe 220 may be blocked or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lower end of the first vertical pipe 210 by the lower pipe 232 to be described later. The first and second vertical pipes 210 and 220 are vertically installed in the ground.

이때,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로파이프(230)가 제1,제2 세로파이프(220)를 상호 연통하도록 제1,제2 세로파이프(220) 사이에 가로 방향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가로파이프(230)는 제1 세로파이프(210)의 상단부와 제2 세로파이프(220)의 상단을 연결하는 상단파이프(231)와, 제1 세로파이프(210)의 하단과 제2 세로파이프(220)의 하단을 연결하는 하단파이프(232), 및 상단파이프(231)와 하단파이프(232) 사이에 가로 방향으로 평행하게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파이프(233)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세로파이프(210)의 주입구(211)로 공급된 물은 제1 세로파이프(210)를 채우면서 가로파이프(230)와 제2 세로파이프(220)도 채우게 된다.In this case, at least one horizontal pipe 230 is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vertical pipes 220 to communicate with the first and second vertical pipes 220. For example, the horizontal pipe 230 is an upper pipe 231 connecting the upper end of the first vertical pipe 210 and the upper end of the second vertical pipe 220, and the lower end and the first of the first vertical pipe 210. 2 may include a lower pipe 232 connecting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pipe 220, and at least one connection pipe 233 formed in parallel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etween the upper pipe 231 and the lower pipe 232. have. Accordingly, the water supplied to the inlet 211 of the first vertical pipe 210 fills the first vertical pipe 210 and also fills the horizontal pipe 230 and the second vertical pipe 220.

인접하는 한 쌍의 가로파이프(230) 사이에 공간부(240)가 형성되며, 몸체(200)는 전체적으로 사다리 형태를 이룬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관수 장치(100)를 수목뿌리(20, 도 3 참조)에 인접하여 설치하더라도, 수목뿌리(20)의 생장이 몸체(200)에 가로막혀서 저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가로파이프(230) 사이의 공간부(240)를 통해 수목뿌리(20)가 관수 장치(100)를 지나서 지중으로 뻗어나갈 수 있다.A space 240 is formed between a pair of adjacent horizontal pipes 230, and the body 200 forms a ladder shape as a whole. Accordingly, even if the water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djacent to the tree roots 20 (see FIG. 3), the growth of the tree roots 20 is blocked by the body 200. Can be prevented. That is, the tree root 20 may extend to the ground through the watering device 100 through the space 240 between the horizontal pipe 230.

몸체(200)의 표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홀(250)이 형성되며, 이 관통홀(250)을 통해 몸체(200) 내부에 저장된 물이 외부로 배출된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한 쌍의 세로파이프(210,220)에 각각 한 쌍의 관통홀(250)이 형성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관통홀(250)의 형성 위치와 개수는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예컨대, 관통홀(250)은 가로파이프(230)에도 형성될 수 있다.At least one through hole 250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body 200, and the water stored in the body 20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through hole 250. In the exemplary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 an example in which a pair of through holes 250 are formed in the pair of vertical pipes 210 and 220, respectively, is only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hrough holes 250 are illustrated. The formation position and the number of?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as necessary. For example, the through hole 250 may be formed in the horizontal pipe 230.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관통홀(250)에 부직포를 끼워넣어 관통홀(250)을 막거나, 관통홀(250)이 형성된 파이프를 부직포로 둘러서 감쌀 수 있는데, 이 경우 몸체(200) 내부에 저장된 물이 부직포를 적시면서 조금씩 지중으로 공급되는 점적 관수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부직포는 지중의 흙 등 이물질이 관통홀(250)을 통해 몸체(20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한다.Meanwhi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on-woven fabric may be inserted into the through-hole 250 to block the through-hole 250, or the pipe in which the through-hole 250 is formed may be wrapped with a non-woven fabric. The water stored inside 200 becomes drip irrigation supplied to the ground little by little while wetting the nonwoven fabric. In addition, the nonwoven fabric also serves to prevent foreign matter such as soil from being introduced into the body 200 through the through hole 250.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목뿌리용 점적 관수 장치의 사용 상태도이다.3 is a state diagram of use of the drip irrigation device for tree root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조경시 수목(10)은 뿌리부분에 어느 정도의 크기를 가진 반구형의 흙(이하, '뿌리분(30)')을 갖도록 준비되며, 이 뿌리분(30)의 크기보다 크게 파낸 구덩이(40)에 뿌리분(30)과 함께 수목(10)이 심겨진다. Referring to Figure 3, when the landscaping tree 10 is prepared to have a hemispherical soil (hereinafter, 'root powder 30') having a certain size in the root portion, dug larger than the size of the root powder (30) The tree 10 is planted with the root powder 30 in the pit 40.

이때, 관수 장치(100)의 몸체(200)는 구덩이(40) 내부에 뿌리분(30)과 인접하게 설치되는데, 몸체(200)에서 배출되는 물이 좀더 수목뿌리(20)와 가까운 지점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몸체(200)의 관통홀(250)에 호스(300)의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은 수목뿌리(20) 방향으로 연장된다.At this time, the body 200 of the watering device 100 is installed adjacent to the root powder 30 in the pit 40,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body 200 to be supplied to a point closer to the tree roots 20 more One end of the hose 300 is coupled to the through hole 250 of the body 200, and the other end extends in the direction of the tree root 20.

이 호스(300)는 유연하여 굴곡 가능한 합성수지나 고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몸체(200)의 물이 관통홀(250)과 호스(300)를 지나서 배출될 수 있도록 호스(3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내부에 유로가 형성된다.The hose 300 may be made of flexible and bendable synthetic resin or rubber material, the length of the hose 300 so that the water of the body 200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through-hole 250 and the hose 300 Therefore, a flow path is formed inside.

호스(300)의 외측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출홀(310)이 관통 형성되며, 따라서 관통홀(250)을 통해 몸체(200)의 외부로 배출된 물은 호스(300)를 따라 흐르다가 배출홀(310)을 통해 지중으로 공급된다. 또한, 배출홀(310)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지중의 흙 등 이물질이 호스(30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호스(300)의 외측면을 부직포(400)로 둘러쌀 수 있으며, 부직포(400)의 이탈 방지를 위해 체결구(500)로 고정한다. 체결구(500)의 일 예로서 철사나 케이블 타이로 부직포(400)를 호스(300)에 묶어 고정할 수 있다.At least one discharge hole 310 is formed through the outer surface of the hose 300, so that the water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body 200 through the through hole 250 flows along the hose 300 and then discharges. It is fed underground through 310. In addition, while preventing the discharge hole 310 is blocked, in order to prevent foreign matter such as soil in the ground to be introduced into the hose 300, the outer surface of the hose 300 may be surrounded by a non-woven fabric 400, Fixing with fastener 500 to prevent separation of the nonwoven fabric 400. As an example of the fastener 500, the nonwoven fabric 400 may be fixed to the hose 300 by a wire or a cable tie.

호스(300)의 일단은 몸체(200)의 관통홀(250)에 결합되며, 이때 호스(300)는 접착이나 융착, 용접, 끼움결합 등 다양한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몸체(200)와 호스(300)가 동일 재질로서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One end of the hose 300 is coupled to the through hole 250 of the body 200, wherein the hose 300 may be coupled in a variety of ways, such as adhesive or fusion, welding, fitting. In addition, of course, the body 200 and the hose 300 may be integrally formed of the same material.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호스(300)의 일단을 몸체(200)의 관통홀(250)에 결합하는 작업과, 호스(300)의 타단을 뿌리분(30)에 삽입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스(300)의 양단에 커넥터(600)가 각각 결합된다. 필요에 따라 호스(300)의 일단에만 커넥터(600)를 결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of coupling one end of the hose 300 to the through hole 250 of the body 200, and easy to insert the other end of the hose 300 into the root powder 30 To this end, as shown in the figure, the connector 600 is coupled to both ends of the hose 300, respectively. If necessary, the connector 600 may be coupled to only one end of the hose 300 as well.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 커넥터(600)는 금속이나 고무, 또는 일정 강도를 갖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중공이 관통 형성된 결합부(610)와, 결합부(610)의 선단부에 뾰족하게 테이퍼지는 삽입부(620)와, 삽입부(620)의 외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통공(621)을 포함한다. 통공(621)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부(620)의 외측면에 복수 개가 관통 형성될 수 있고, 다른 예로서,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는 장방타원형, 타원형 또는 직사각형의 통공(621)이 삽입부(620)의 외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절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connector 600 may be made of metal, rubber, or a synthetic resin material having a certain strength, and the coupling part 610 through which the hollow is penetrated, and the insertion part 620 sharply tapering at the tip of the coupling part 610. And a through hole 621 formed on at least one outer surface of the insertion part 620. As shown in the draw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621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insertion part 620. As another example, a rectangular elliptical, elliptical, or rectangular through hole 621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length is provided. At least one cut may be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insertion part 620.

커넥터(600)의 결합부(610)는 호스(300)의 단면 형상과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며, 호스(300)에 끼움 결합된다. 삽입부(620)는 몸체(200)의 관통홀(250) 또는 뿌리분(30)으로 삽입되는데, 삽입부(620)가 뾰족하게 테이퍼져서 형성됨에 따라, 커넥터(600)를 관통홀(250)에 쉽게 끼움 결합할 수 있으며, 뿌리분(30) 내부로도 쉽게 꽂아넣을 수 있다. Coupling portion 610 of the connector 600 is formed to have the same cross-sectional shape and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hose 300, it is fitted to the hose 300. The insertion part 620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250 or the root powder 30 of the body 200. As the insertion part 620 is formed by sharply tapering, the connector 600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250. You can easily fit, can be easily plugged into the root powder (30).

아울러, 커넥터(600)의 삽입부(620)와 결합부(610) 사이에는 삽입부(620) 및 결합부(610)보다 큰 폭을 갖는 걸림부(630)가 확장 형성될 수 있는데, 이 걸림부(630)는 삽입부(620)의 삽입 거리를 제한하는 한편, 몸체(200) 또는 뿌리분(30)에 밀착되어 유동에 의한 호스(300)의 분리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In addition, between the inserting portion 620 and the coupling portion 610 of the connector 600, the locking portion 630 having a larger width than the insertion portion 620 and the coupling portion 610 may be extended, this locking The part 630 limits the insertion distance of the insertion part 620,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ody 200 or the root powder 30 to prevent separation of the hose 300 by flow.

커넥터(600) 장착시, 몸체(200) 내부의 물은 호스(300)의 일단에 끼워진 커넥터(600)의 통공(621)을 통해 커넥터(600)로 유입되고, 몸체(200)의 관통홀(250)을 지나서 호스(300)를 따라 흐르게 되며, 호스(300)의 타단에 끼워진 커넥터(600)의 통공(621)을 통해 지중으로 배출된다. 이때, 커넥터(600)의 통공(621)을 감싸도록 부직포(400)가 감싸여지고 체결구(500)로 고정될 수 있으며, 하나의 부직포(400)로 호스(300)와 커넥터(600)를 함께 감싸서 체결구(500)로 고정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When the connector 600 is mounted, water inside the body 200 flows into the connector 600 through the through hole 621 of the connector 600 fitted to one end of the hose 300, and the through hole of the body 200. Passing along the hose 300 through the 250, it is discharged to the ground through the through hole 621 of the connector 600 fitted to the other end of the hose (300). At this time, the non-woven fabric 400 may be wrapped and fastened to the fastener 500 so as to surround the through hole 621 of the connector 600, and the hose 300 and the connector 600 with one non-woven fabric 400. Of course, it can also be wrapped with fasteners 500 and wrapped together.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관수 장치(100)에 의하면, 수목뿌리(20)에 인접하여 지중으로 물을 점적 관수할 수 있으며, 커넥터(600)로 인해 몸체(200)에 대한 호스(300)의 결합과 뿌리분(30)에 대한 호스(300)의 삽입 설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water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drip irrigation water into the ground adjacent to the tree root 20, due to the connector 600, the hose 300 for the body 200 The coupling and the insertion of the hose 300 to the root powder 30 has the advantage of easy installation.

또한, 몸체(200)가 사다리 형태로 형성되고 가로파이프(230)들 사이에 공간부(240)가 형성됨에 따라, 공간부(240)를 통해 수목뿌리(20)가 몸체(200)의 바깥쪽으로 멀리 뻗어나갈 수 있으며, 관수 장치(100)로 인해 수목뿌리(20)의 생장이 방해받지 않게 되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s the body 200 is formed in a ladder shape and the space portion 240 is formed between the horizontal pipes 230, the tree root 20 through the space portion 240 to the outside of the body 200. Can extend farth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growth of the tree root 20 is not disturbed due to the watering device (100).

제2 2nd 실시예Example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목뿌리용 점적 관수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분해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of a drip irrigation device for tree root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목뿌리용 점적 관수 장치(100a)는, 내부에 물이 채워지는 사다리 형태의 몸체(200)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스(300)가 결합되어 점적 관수가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전술한 제1 실시예와 전체적으로 유사하며, 다만, 몸체(200)와 호스(300)의 결합을 위해 적용되는 커넥터(700)의 구체적인 구성과, 호스(300)의 단부에 호스마개(800)가 결합되는 점에 있어서 전술한 제1 실시예와 차이점이 있다.In the drip irrigation device 100a for tree root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or more hoses 300 are coupled to a ladder-shaped body 200 in which water is filled therein so that drip irrigation occurs. In general similar to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except that the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connector 700 is applied for the coupling of the body 200 and the hose 300, and the hose plug 800 at the end of the hose 300 Is different from the above-described first embodiment in that is combined.

따라서,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중복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이하 전술한 제1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목뿌리용 점적 관수 장치(100a)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Accordingly, the same components having the same functions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will b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ereinafter,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differences from the first embodiment. The drip irrigation device 100a for tree roots according to an exampl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몸체(200)와 호스(300)의 결합을 위해 커넥터(700)가 제1 세로파이프(210) 또는 제2 세로파이프(22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결합되며, 호스(300)의 끝단에는 호스마개(800)가 결합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or 700 is coupled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vertical pipe 210 or the second vertical pipe 220 for coupling the body 200 and the hose 300. To the end of the hose 300, a hose stopper 800 may be coupled.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사시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700)는, 제1 세로파이프(210) 또는 제2 세로파이프(220)에 결합되는 지지부(710)와, 지지부(710)의 양단에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결합부(720)와, 지지부(710)의 외측면에 연장 형성되는 돌출부(73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7, the connector 7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ort part 710 coupled to the first vertical pipe 210 or the second vertical pipe 220, and a support part 710. A pair of coupling portions 720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and the protrusions 730 extending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710.

일 예로서, 지지부(710)는 제1 세로파이프(210) 또는 제2 세로파이프(220)의 외주면을 감싸는 원형의 고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지지부(710)의 내측면이 제1 세로파이프(210) 또는 제2 세로파이프(220)의 외측면에 밀착된다.For example, the support 710 may be formed in a circular ring shape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vertical pipe 210 or the second vertical pipe 22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support 710 may be the first vertical pipe. I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210 or the second vertical pipe (220).

한 쌍의 결합부(720)는 소정 간격 이격하여 서로 대향하며, 지지부(710)의 양단에서 각각 플레이트 형상으로 절곡 형성된다. 또한, 결합부(720)에는 볼트 등의 체결구가 삽입되도록 체결홀(721)이 각각 형성된다. The pair of coupling parts 720 face each other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are bent in a plate shape at both ends of the support part 710. In addition, fastening holes 721 are formed in the coupling part 720 such that fasteners such as bolts are inserted therein.

즉, 제1 세로파이프(210) 또는 제2 세로파이프(22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지지부(710)를 결합한 후, 한 쌍의 결합부(720)를 체결구로 체결함으로써 몸체(200)에 대한 커넥터(700)의 결합이 완료되는 것이다.That is, after the support portion 710 is coupled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vertical pipe 210 or the second vertical pipe 220, the connector for the body 200 is fastened by fastening the pair of coupling portions 720 with fasteners. The combination of 700 is complete.

이때, 지지부(710)의 일측에는 통공이 관통 형성되며, 지지부(710)의 외측면에는 통공의 둘레를 따라 중공을 갖는 돌출부(730)가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돌출부(730)의 외주면에는 호스(300)에 끼움 결합시 예기치 못한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환형의 걸림돌기(731)가 돌출부(7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 돌출 형성된다. At this time, the through hole is formed through one side of the support 710, the protrusion 730 having a hollow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through hole 710 is formed to extend to the outside.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rotrusion 730 is formed to protrude at least on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rotrusion 730, in order to prevent unexpected separation when fitting to the hose 300.

몸체(200)에 커넥터(700) 결합시, 몸체(200)의 관통홀(250)이 지지부(710)의 통공과 연통하도록 결합되며, 이에 따라 몸체(200) 내부에 저장된 물은 관통홀(250)과 지지부(710)의 통공, 돌출부(730)의 중공을 거쳐 호스(300)로 유입되고, 호스(300)의 배출홀(310)을 통해 배출된다. When the connector 700 is coupled to the body 200, the through hole 250 of the body 200 is coupled to communicate with the through hole of the support part 710, so that the water stored in the body 200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250. )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support part 710, the hollow of the protrusion 730, and flows into the hose 300, and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hole 310 of the hose 300.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호스마개의 사시도이다.8 is a perspective view of a hose stopp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호스(300)의 일단이 커넥터(700)의 돌출부(730)에 끼움 결합되며, 타단은 몸체(200)의 외측으로 연장된다. 이때, 호스(300)의 타단이 개방되어 호스(300)의 타단을 통해 물이 배출될 수도 있으며, 점적 관수를 위해 호스(300)의 타단을 호스마개(800)로 막아서 폐쇄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end of the hose 300 is fitted to the protrusion 730 of the connector 700, and the other end extends to the outside of the body 200. At this time, the other end of the hose 300 is open, water may be discharged through the other end of the hose 300, and the other end of the hose 300 may be closed by closing the hose stopper 800 for drip irrigation.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호스마개(8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스(300)의 타단에 끼움 결합되는 원통 형태의 삽입부(810)와, 삽입부(810)의 끝단에서 폭이 확장 형성되는 단차부(820)와, 단차부(820)의 끝단에서 폭이 확장 형성되는 헤드부(8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As shown in FIG. 8, the hose stopper 8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ylindrical insert 810 and a fitting end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hose 300, and an end of the insert 810. The step portion 820 may be formed to have a wider width, and the head portion 830 may be formed to have a wider width at the end of the stepped portion 820.

이때, 헤드부(830)의 양측에는 플랜지부(831)가 돌출 형성되며, 각각의 플랜지부(831)에는 뿌리분(30)에 삽입하여 호스(300)를 고정하기 위한 핀(900)이 플랜지부(831)를 관통하도록 결합된다. At this time, the flange portion 831 protrudes from both sides of the head portion 830, and each of the flange portion 831 is a pin 900 for inserting into the root powder 30 to fix the hose 300, the flange portion Coupled to penetrate 831.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목뿌리용 점적 관수 장치의 사용 상태도이다.9 is a state diagram of use of the drip irrigation device for tree root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하면 커넥터(700)에 의해 호스(300)가 몸체(200)에 결합되며, 몸체(200) 내부에 저장된 물은 커넥터(700)의 돌출부(730)를 거쳐 호스(300)로 유입된다. 호스(300)로 유입된 물은 호스(300)의 배출홀(31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며, 호스(300)의 외주면을 감싸는 부직포(400)를 적시면서 지중으로 점적 관수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9,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se 300 is coupled to the body 200 by the connector 700, and the water stored in the body 200 is formed of the connector 700. It is introduced into the hose 300 via the protrusion 730. Water introduced into the hose 30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hole 310 of the hose 300, it can be drip irrigation into the ground while wet the nonwoven fabric 400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se (300).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목뿌리용 점적 관수 장치(100a)의 설치시, 호스(300)의 끝단을 개방된 상태로 두거나, 호스(300)의 끝단에 호스마개(800)를 결합하여 점적 관수를 유도할 수 있으며, 호스마개(800) 결합시에는 호스마개(800)의 핀(900)을 뿌리분(30)에 꽂아서 호스(300)의 유동을 방지하는 한편, 호스(300)가 수목뿌리와 인접하여 배치되게끔 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drip irrigation device 100a for tree root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the end of the hose 300 is left open, or the hose plug 800 is disposed at the end of the hose 300. Combined to induce drip irrigation, when the hose plug 800 is coupled to the pin (900) of the hose plug 800 to the root powder 30 to prevent the flow of the hose 300, while the hose 300 Can be placed adjacent to tree roots.

제3 The third 실시예Example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수목뿌리용 점적 관수 장치의 사용 상태도로서, 종래의 관수용 물주머니(50)와 수목뿌리용 점적 관수 장치(100,100a)를 함께 사용할 수 있다.10 is a state diagram of the use of the drip irrigation device for the tree root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ing bag for watering 50 and the drip irrigation device (100, 100a) for the tree root can be used together.

즉,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르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목에 관수용 물주머니(50)를 장착하고, 이 물주머니(50)와 수목뿌리용 점적 관수 장치(100,100a)의 몸체(200)를 연결호스(51)로 연결할 수 있다. 이때, 몸체(200)보다 물주머니(50)가 더 높이 위치함에 따라, 물주머니(50)에 담긴 물이 연결호스(51)를 통해 몸체(200)로 공급되며, 몸체(200)로 공급된 물은 몸체(200)에 구비되는 호스(300)를 통해 지중으로 점적 관수되는 것이다. That i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0, the water bag 50 for watering is mounted on the tree, and the water bag 50 and the drip irrigation device for tree roots (100, 100a) The body 200 may 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hose 51. At this time, as the water bag 50 is positioned higher than the body 200, the water contained in the water bag 50 is supplied to the body 200 through the connection hose 51, and is supplied to the body 200. Water is drip irrigation into the ground through the hose 300 provided in the body 200.

한편,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목뿌리용 점적 관수 장치의 설치 순서도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11 is a flow chart of the installation of the drip irrigation device for tree roo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수목뿌리용 점적 관수 장치는 아래와 같은 공정순서에 따라 설치될 수 있다. The drip irrigation device for tree roo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process sequence.

먼저, 수목(10)을 식재하기 위한 구덩이(40)를 조성한다(S10). 이때, 구덩이(40)는 식재하고자 하는 수목(10)의 뿌리분(30)의 크기보다 크게 조성되어야 한다.First, to form a pit 40 for planting the tree (10) (S10). At this time, the pit 40 should be made larger than the size of the root powder 30 of the tree 10 to be planted.

이후, 조성된 구덩이(40)에 수목(10)의 뿌리분(30)을 안착시키고(S20), 뿌리분(30)과 인접하도록 관수 장치(100,100a)의 사다리형 몸체(200)를 구덩이(40) 내부에 안착시킨다(S30).Subsequently, the root powder 30 of the tree 10 is seated in the formed pit 40 (S20), and the ladder body 200 of the watering device 100 or 100a is adjacent to the root powder 30 in the pit 40. Seated inside (S30).

다음, 몸체(200)의 관통홀(250)에 호스(300)의 일단을 결합한다(S40). 필요에 따라 커넥터(600,700)를 이용하여 호스(300)를 몸체(200)에 결합할 수 있으며, 호스(300)의 외주면을 부직포(400)로 감싸서 점적 관수를 유도할 수도 있다. 다른 예로서, 호스(300)가 몸체(200)와 결합된 상태로 구덩이(40)에 안착되는 것도 가능하다.Next, one end of the hose 300 is coupled to the through-hole 250 of the body 200 (S40). If necessary, the hoses 300 may be coupled to the body 200 using the connectors 600 and 700,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se 300 may be wrapped with the nonwoven fabric 400 to induce drip irrigation. As another example, it is also possible for the hose 300 to be seated in the pit 40 in a coupled state with the body 200.

다음, 몸체(200)에 일단이 결합된 호스(300)의 타단을 뿌리분(30)에 삽입한다(S50). 이때, 커넥터(600) 또는 핀(900)을 이용하여 호스(300)의 타단을 뿌리분(30)에 용이하게 삽입하거나 고정할 수 있다.Next, the other end of the hose 300 coupled to one end of the body 200 is inserted into the root powder 30 (S50). At this time, the other end of the hose 300 can be easily inserted into or fixed to the root powder 30 using the connector 600 or the pin 900.

이후, 구덩이(40)를 흙으로 덮어서 메운다(S60). 이때, 몸체(200) 상단의 주입구(211)가 지표면 상으로 노출되게끔 해야 하며, 주입구(211)를 통해 몸체(200) 내부에 물을 공급하여 채움으로써 관수 장치(100,100a)의 설치가 완료된다(S70).After that, the pit 40 is covered with soil and filled (S60). At this time, the injection hole 211 of the upper end of the body 200 should be exposed on the ground surface, and supplying water to the inside of the body 200 through the injection hole 211 to complete the installation of the watering device (100, 100a) It becomes (S70).

한편, 몸체(200) 내부에 물 공급시, 물 공급용 호스를 주입구(211)에 삽입하여 물탱크 또는 상수도의 물을 공급할 수 있으며, 용기에 담긴 물을 주입구(211)를 통해 몸체(200) 내부에 부어서 채우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수목에 장착된 관수용 물주머니(50)와 주입구(211)를 연결호스(51)로 연결하여, 관수용 물주머니(50)의 물이 몸체(200) 내부로 공급되게끔 할 수도 있다.Meanwhile, when water is supplied into the body 200, a water supply hose may be inserted into the injection hole 211 to supply water of a water tank or tap water, and the water contained in the container may be supplied to the body 200 through the injection hole 211. It can also be poured inside. In addition, by connecting the watering bag 50 and the water inlet 211 mounted on the tree with a connection hose 51, the water of the watering bag 50 for watering may be supplied into the body 200. .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00,100a : 수목뿌리용 점적 관수 장치 200 : 몸체
210 : 제1 세로파이프 211 : 주입구
212 : 마개 220 : 제2 세로파이프
230 : 가로파이프 240 : 공간부
250 : 관통홀 300 : 호스
310 : 배출홀 400 : 부직포
500 : 체결구 600,700 : 커넥터
800 : 호스마개 900 : 핀
100,100a: drip irrigation device for tree roots 200: body
210: first vertical pipe 211: injection hole
212: stopper 220: second vertical pipe
230: horizontal pipe 240: space
250: through hole 300: hose
310: discharge hole 400: nonwoven fabric
500: Fastener 600,700: Connector
800: hose stopper 900: pin

Claims (11)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주입구가 형성된 상단이 지표면 위로 노출되도록 지중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제1 세로파이프;
상기 제1 세로파이프와 소정 간격 이격하여 평행하게 설치되는 제2 세로파이프;
상기 제1,제2 세로파이프 사이를 연통하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로파이프;
상기 제1,제2 세로파이프 또는 상기 가로파이프에 관통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홀;
상기 관통홀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지중으로 연장되는 유연한 재질의 호스;
상기 호스의 일단에 결합되는 커넥터; 및
상기 호스의 타단에 결합되는 호스마개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제1 세로파이프 또는 상기 제2 세로파이프를 감싸도록 결합되며 일측에 통공이 관통 형성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양단에 각각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결합부와, 상기 통공의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통공과 연통하는 중공을 갖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는 걸림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결합부는, 상기 지지부의 양단에서 플레이트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고, 체결구 삽입을 위한 체결홀이 형성되며,
상기 호스마개는, 상기 호스의 타단에 끼움 결합되는 원통 형태의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끝단에서 폭이 확장 형성되는 단차부와, 상기 단차부의 끝단에서 폭이 확장 형성되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의 양측에 돌출 형성되는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뿌리용 점적 관수 장치.
A first vertical pipe installed vertically in the ground such that an upper end of the injection hole is exposed on the ground;
A second vertical pipe installed parallel to the first vertical pip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t least one horizontal pipe formed to communicat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vertical pipes;
At least one through hole form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vertical pipes or the horizontal pipe;
A hose of a flexible material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through hole and the other end extending into the ground;
A connector coupled to one end of the hose; And
A hose stopper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hose,
The connector is coupled to surround the first vertical pipe or the second vertical pipe, the support portion is formed through the through-hole on one side, a pair of coupling portions formed respectively extending at both ends of the support portion, the circumference of the through hole A protrusion extending outwardly along the through hole and having a hollow communicating with the through hole, and a locking protrusion protruding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protrusion,
The pair of coupling parts are bent in a plate shape at both ends of the support part, and a fastening hole for fastener insertion is formed.
The hose stopper is a cylindrical insertion portion that is fitted to the other end of the hose, the stepped portion is formed to extend the width at the end of the insertion portion, the head portion is formed to expand the width at the end of the stepped portion, the head A drip irrigation device for a tree root, comprising a flange portion protruding on both sides of the portion, and a pin provided to penetrate the flange portion.
삭제delete (a) 수목 식재용 구덩이를 조성하는 단계;
(b) 상기 구덩이에 수목의 뿌리분을 안착시키는 단계;
(c) 상기 뿌리분의 일측에 상기 청구항 8에 기재된 수목뿌리용 점적 관수 장치를 안착시키는 단계;
(d) 상기 구덩이를 메우는 단계; 및
(e) 상기 수목뿌리용 점적 관수 장치에 물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c) 단계는, (c-1) 상기 수목뿌리용 점적 관수 장치의 몸체를 안착시키는 단계와, (c-2) 상기 몸체에 호스를 결합하는 단계와, (c-3) 상기 호스의 일단을 상기 뿌리분에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뿌리용 점적 관수 장치의 설치 방법.
(a) creating a tree planting pit;
(b) laying roots of trees in the pits;
(c) mounting a drip irrigation device for tree roots according to claim 8 on one side of the root powder;
(d) filling the pit; And
(e) supplying water to the drip irrigation device for tree roots,
(C) step (c-1) seating the body of the drip irrigation device for tree roots, (c-2) coupling the hose to the body, (c-3) of the hose A method of installing a drip irrigation device for a tree root, comprising inserting one end into the root powder.
삭제delete
KR1020180000073A 2018-01-02 2018-01-02 Device of drip irrigation for tree root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of KR10203147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0073A KR102031478B1 (en) 2018-01-02 2018-01-02 Device of drip irrigation for tree root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0073A KR102031478B1 (en) 2018-01-02 2018-01-02 Device of drip irrigation for tree root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2466A KR20190082466A (en) 2019-07-10
KR102031478B1 true KR102031478B1 (en) 2019-10-11

Family

ID=67254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0073A KR102031478B1 (en) 2018-01-02 2018-01-02 Device of drip irrigation for tree root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147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4887A (en) 2021-03-04 2022-09-14 박경수 Under Ground Drip-watering Apparatus
KR102577153B1 (en) * 2021-05-07 2023-09-11 한세희 Soil penetrating structure
US11818989B2 (en) * 2021-11-01 2023-11-21 Deep Root Irrigation, Llc Irrigation device for promoting deep root growth of a plant
CN114041407B (en) * 2021-11-08 2023-03-10 重庆天成农业科技有限公司 Fruit sapling watering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4289Y1 (en) * 2006-06-02 2006-08-17 박인호 Water supply structure of street tree
KR101505984B1 (en) * 2014-03-25 2015-04-07 (주)수야조경개발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street tre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3727B1 (en) * 2000-12-16 2003-12-31 장동길 A apparatus for growing a mushroom
KR100454555B1 (en) * 2002-04-26 2004-11-05 강유석 The basic frame for birth and breeding for tree
KR20110011882U (en) * 2010-06-18 2011-12-26 권각수 Saddle for water pipeline divergen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4289Y1 (en) * 2006-06-02 2006-08-17 박인호 Water supply structure of street tree
KR101505984B1 (en) * 2014-03-25 2015-04-07 (주)수야조경개발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street tre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2466A (en) 2019-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1478B1 (en) Device of drip irrigation for tree root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of
KR100888887B1 (en) Water and nutrient supply apparatus for street tree, assembly of protecting street tree
KR101242112B1 (en) Precast Concrete Panel for Retaining Wall with Folwerpots and Scenery lightings
KR20200020543A (en) Rainwater infiltration device for flower beds
US5795100A (en) Subterranean water collection and delivery device and system
KR101188652B1 (en) Unit and apparatus for supplying water to tree
US20150373934A1 (en) Irrigation device and method of promoting deep root growth of a plant
KR101659168B1 (en) Rock cutting slope revegetation method
KR100627575B1 (en) Flower bed structure for road
KR101024843B1 (en) Landscaping supply and drainage device on the residential or road surface
KR101925082B1 (en) Boundary block for agricultural land
KR100935176B1 (en) A road slope keeping for ecological planting and method
KR101868974B1 (en) Fabricated block for constructing ridge between rice paddies
KR101244804B1 (en) Retaining law carbon eco-friendiy wall
KR100224504B1 (en) A protection block method for applying to slanting surface of earth cut
KR102119086B1 (en) Central Support Type Tree Protection Plate Having a Supplying Water Function
KR102204878B1 (en) Slope greening method
JPH08205691A (en) Planted tree zone
KR100370930B1 (en) The method of setting up a drain at slant face
KR100522841B1 (en) Implement for giving water tree
CN207176415U (en) Gardens floor tile
US9769993B1 (en) Tree stabilizatio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JP3564513B2 (en) Planting structure inside sound insulation wall
KR200295124Y1 (en) Implement for giving water tree
KR200371639Y1 (en) Water supply structure of street tree for roa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