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7153B1 - Soil penetrating structure - Google Patents

Soil penetrating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7153B1
KR102577153B1 KR1020210059027A KR20210059027A KR102577153B1 KR 102577153 B1 KR102577153 B1 KR 102577153B1 KR 1020210059027 A KR1020210059027 A KR 1020210059027A KR 20210059027 A KR20210059027 A KR 20210059027A KR 102577153 B1 KR102577153 B1 KR 1025771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il
pipe
pipe body
perforated pipe
bea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902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151803A (en
Inventor
한세희
김원규
한충희
Original Assignee
한세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세희 filed Critical 한세희
Priority to KR10202100590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7153B1/en
Publication of KR202201518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180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71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7153B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06Watering arrangements making use of perforated pipe-lines located in the soi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2Stream regulation, e.g. breaking up subaqueous rock, cleaning the beds of waterways, directing the water fl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arth Drill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테이퍼지도록 폐쇄된 제1 부리와 제1 부리로부터 정 머리부까지 연장되되 정 머리부가 개방된 제1 파이프 몸체부를 포함하는 메인 유공관과, 테이퍼지도록 폐쇄된 제2 부리와 제2 부리로부터 메인 유공관의 일측 측벽까지 메인 유공관의 내부영역과 유체연통되도록 연장되는 제2 파이프 몸체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성 유공관을 포함하는 토양침투 구조물이 제공된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main perforated pipe including a first beak closed to be tapered and a first pipe body portion extending from the first beak to the head of the head but having the head of the head open, and a second closed beak to be tapered. A soil infiltration structure is provided that includes at least one satellite perforated pipe including a beak and a second pipe body extending from the second beak to one side wall of the main perforated pipe in fluid communication with an interior region of the main perforated pipe.

Description

토양침투 구조물{SOIL PENETRATING STRUCTURE}SOIL PENETRATING STRUCTURE}

본 발명은 토양침투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이한 설치작업이 가능하며 높은 빗물침투효율을 가지는 토양침투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il infiltration structure, and more specifically, to a soil infiltration structure that enables easy installation and has high rainwater infiltration efficiency.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도심 가로수는 아스팔트와 보도블록 등으로 포장된 보도에 식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차도와 보도의 아스팔트와 보도블록 등의 도로포장면은 불투수층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빗물 등의 수분이 자연적으로 땅속까지 스며드는 것을 방해한다. 또한 비가 내리면 우수가 빗물받이 맨홀에 모아진 다음 그대로 하천으로 방류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통상적이어서, 우수가 도심지의 땅속으로는 침수될 수 없게 되어 도심지 가로수 또는 조경수 등의 식물성 장에 필요한 수분이 우수 등을 통해 자연스럽게 공급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별도의 수분을 운반하여 가로수 등 식물에 공급하거나, 수분공급원에 호스 등을 연결하여 이를 통해 수분을 공급하는 방법이 사용되어 왔으나, 이러한 방법들은 인력과 비용 등 유지관리비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Generally, most urban street trees are planted on sidewalks paved with asphalt and sidewalk blocks. Since road pavements such as asphalt and sidewalk blocks of driveways and sidewalks form an impermeable layer, they prevent moisture such as rainwater from naturally seeping into the ground. In addition, when it rains, it is usually configured to collect rainwater in a rainwater drain manhole and then discharge it into the river, so rainwater cannot flood into the ground in urban areas, so the moisture needed for plant growth such as street trees or landscape trees in urban areas is diverted from rainwater. There was a problem that it could not be supplied naturally through the food. Accordingly, methods have been used to transport moisture separately and supply it to plants such as street trees, or to supply moisture through a hose, etc. to a moisture supply source. However, these methods have the problem of requiring a lot of maintenance costs such as manpower and money. there was.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예가 선행기술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3-0084688호 `지중 침투형 빗물 공급장치`에서 개시되었다. 종래기술은 빗물이 내부에 저장되는 빗물저수조와 빗물저수조의 측방에 관통되게 설치되어 있으며 빗물저수조에 저장된 빗물을 점적형태로 배출시키는 점적배출부재와 빗물저수조와 점적배출부재를 수용하면서 점적배출부재를 통해 배출되는 빗물이 모여지고, 모여진 빗물이 외측으로 넓게 퍼지면서 배출시키는 수용함체를 포함한다. 빗물저수조는 내부에 빗물이 저장되는 저장공간과 저장공간으로 유입된 빗물이 측방으로 배수도록 측방에 형성된 측방배수홀과 저장공간의 일측면에 위치하며 외부의 세척수를 내부로 공급하는 세척수유입구와 저장공간의 타측면 상부에 형성되어 내부로 유입된 빗물이 만충전되면 외부로 배출시키는 오버플로워관과 저장공간의 타측에 하부에 형성되며 내부의 빗물 또는 세척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드레인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지만, 이와 같은 장치의 설치에는 예산, 공간 및 효율성 측면에서 다양한 제약이 있어 왔다.An example to improve this problem was disclosed in prior art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13-0084688, ‘Underground infiltration type rainwater supply device’. The prior art is a rainwater storage tank in which rainwater is stored inside and a drip discharge member that discharges the rainwater stored in the rainwater tank in a drip form, installed penetratingly through the sides of the rainwater storage tank, and a drip discharge member while accommodating the rainwater storage tank and the drip discharge member. It collects rainwater discharged through it, and includes a container that discharges the collected rainwater as it spreads outward. The rainwater storage tank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storage space and has a storage space where rainwater is stored inside, a side drain hole formed on the side to allow rainwater flowing into the storage space to drain laterally, and a wash water inlet and storage that supplies outside wash water to the inside. It is characterized by an overflow pipe that is formed at the top of the other side of the space and discharges the rainwater flowing inside to the outside when it is fully charged, and a drain pipe that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other side of the storage space and discharges the inside rainwater or wash water to the outside. However, the installation of such devices has various limitations in terms of budget, space, and efficiency.

등록특허공보 제10-1363436호(2014.02.10.)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363436 (2014.02.10.)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용이한 설치작업이 가능하며 높은 빗물침투효율을 가지는 토양침투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oil infiltration structure that can be easily installed and has high rainwater infiltration efficiency.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테이퍼(taper)지도록 폐쇄된 제1 부리와, 상기 제1 부리로부터 정(chisel) 머리부까지 연장되되 상기 정 머리부가 개방된 제1 파이프 몸체부를 포함하는 메인 유공관(perforated drainpipe); 테이퍼지도록 폐쇄된 제2 부리와, 상기 제2 부리로부터 상기 메인 유공관의 일측 측벽까지 상기 메인 유공관의 내부영역과 유체연통되도록 연장되는 제2 파이프 몸체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성 유공관을 포함하는 토양침투 구조물이 제공된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beak is closed so as to be tapered, and a first pipe body extends from the first beak to a chisel head and the chisel head is open. a main perforated drainpipe containing a portion; Soil penetration comprising at least one satellite perforated pipe including a tapered closed second beak and a second pipe body extending from the second beak to one side wall of the main perforated pipe to be in fluid communication with the inner region of the main perforated pipe. Structure is provided.

상기 제1 파이프 몸체부의 상기 정 머리부에는 상기 메인 유공관의 내부영역으로 우수(rain-water)를 유입시키는 메쉬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well head portion of the first pipe body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 mesh portion that introduces rain-water into the inner area of the main perforated pipe.

상기 위성 유공관의 직경은 상기 메인 유공관의 직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iameter of the satellite perforated pip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main perforated pipe.

상기 제2 파이프 몸체부는 상기 제1 파이프 몸체부에 대하여 제1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상기 제1 파이프 몸체부에 결합되며, 상기 토양침투 구조물이 토양에 매립된 이후에 상기 제2 파이프 몸체부가 상기 제1 파이프 몸체부에 대하여 기울어진 제2 각도는 상기 토양침투 구조물이 토양에 매립된 이전의 상기 제1 각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cond pipe body is coupled to the first pipe body so as to be inclined at a first angle with respect to the first pipe body, and after the soil penetration structure is buried in the soil, the second pipe body is connected to the first pipe body. The second angl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pipe body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greater than the first angle before the soil penetration structure was embedded in the soil.

상기 토양침투 구조물이 토양에 매립된 이후에 상기 제1 부리와 상기 제2 부리간 이격 거리는 상기 토양침투 구조물이 토양에 매립되기 이전의 상기 제1 부리와 상기 제2 부리간 이격 거리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irst beak and the second beak after the soil penetration structure is buried in the soil is greater than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irst beak and the second beak before the soil penetration structure is buried in the soil. Do it as

상기 메인 유공관과 상기 위성 유공관은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되되, 상기 위성 유공관은 상기 메인 유공관보다 연성이 높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ain perforated pipe and the satellite perforated pipe are formed of different materials, and the satellite perforated pipe is formed of a material with higher ductility than the main perforated pipe.

상기 제1 파이프 몸체부의 상기 정 머리부에는, 상기 토양침투 구조물을 토양에 매립시키기 위한 해머부재; 상기 해머부재와 상기 토양침투 구조물을 커플링시키기 위한 해머 커플러; 및 상기 토양침투 구조물이 토양에 매립된 이후에 상기 정 머리부를 마감하는 마감 커플러;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토양침투 구조물을 물리적으로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e head of the first pipe body, a hammer member for burying the soil penetration structure in the soil; a hammer coupler for coupling the hammer member and the soil penetration structure; and a finishing coupler for finishing the head of the well after the soil penetration structure is buried in the soil. Characterized in that a coupling portion is formed for physically coupling at least one of the soil penetration structures with the soil penetration structure.

상기 마감 커플러는 상면 및 하면이 개방된 파이프 형상을 가지되, 상기 마감 커플러의 상면은 상기 메인 유공관의 내부영역으로 우수를 유입시키는 메쉬부로 덮히고, 상기 마감 커플러의 상측 일부 영역에는 와이어 부재가 삽입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 홀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nishing coupler has a pipe shape with an open upper and lower surfac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finishing coupler is covered with a mesh portion that introduces rainwater into the inner area of the main perforated pipe, and a wire member is inserted into a portion of the upper part of the finishing coupler.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provided with at least one wire hole for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국내 비점 오염 저감시설 설계 시 가장 문제가 되는 협소한 부지 문제와 기준치 이상의 침투시설 하층 토양침투율 확보 문제를 단순한 구조와 편리한 설치방식을 통해 효율적으로 해결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blem of narrow site space and securing the soil infiltration rate of the lower layer of the infiltration facility above the standard level, which are the most problematic problems in designing domestic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facilities, can be efficiently solved through a simple structure and convenient installation method.

또한, 본 발명의 토양침투 구조물의 구성에 따르면 위성 유공관과 메인 유공관의 견고한 결합안정성을 충분히 확보함과 동시에 토양으로의 매설 시 위성 유공관을 메인 유공관으로부터 충분히 열개(裂開)시켜 한정된 토양면적에서 높은 빗물침투효율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soil penetration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olid joint stability of the satellite perforated pipe and the main perforated pipe is sufficiently secured, and at the same time, the satellite perforated pipe is sufficiently opened from the main perforated pipe when buried in the soil, thereby allowing high stability in a limited soil area. Rainwater infiltration efficiency can be secured.

도 1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토양침투 구조물을 측면에서 바라본 개념도이고, 도 2는 상기 토양침투 구조물을 상면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토양침투 구조물을 상면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토양침투 구조물을 측면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며, 도 5는 상기 토양침투 구조물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토양침투 구조물이 토양에 매립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상기 토양침투 구조물이 토양에 매립된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토양에 매립된 토양침투 구조물을 유지보수를 위해 토양으로부터 뽑아내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ure 1 is a conceptual diagram viewed from the side of a soil penetration structur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 is a conceptual diagram viewed from the top of the soil penetration structure.
Figure 3 is a conceptual diagram viewed from the top of a soil penetration structure according to some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onceptual diagram viewed from the side of a soil penetration structure according to some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state of use of the soil penetration structure.
Figure 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process of embedding the soil penetration structure in the soil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state of the soil penetration structure being embedded in the soil.
Figure 8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process of extracting a soil infiltration structure buried in the soil from the soil for maintenanc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by referr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along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The present embodiments are merely intended to ensure that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 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is provid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used with meanings that can be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dditionally,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not interpreted ideally or excessively unless clearly specifically defined.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될 수 있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Additionally,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may also include the plural form unless specifically stated in the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s” and/or “comprising” refers to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or elements. or does not rule out addi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토양침투 구조물을 측면에서 바라본 개념도이고, 도 2는 상기 토양침투 구조물을 상면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토양침투 구조물을 상면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soil infiltration structure viewed from the sid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onceptual diagram of the soil infiltration structure viewed from the top, and FIG. 3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soil infiltration structure according to some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conceptual diagram of the infiltration structure viewed from above.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토양침투 구조물(1)은 메인 유공관(100)과, 상기 메인 유공관(100)의 일측 측벽으로부터 분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성 유공관(200, 200', 200")을 포함할 수 있다.1 to 3, the soil infiltration structure 1 includes a main perforated pipe 100 and at least one satellite perforated pipe 200, 200', 200" branched from one side wall of the main perforated pipe 100. It can be included.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위성 유공관은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메인 유공관(100)으로부터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장된 2개의 위성 유공관(20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위성 유공관은 도 3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메인 유공관(100)으로부터 사방(四方)으로 연장된 4개의 위성 유공관(200')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도 3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메인 유공관(100)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연장되는 5개 이상의 위성 유공관(20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토양침투 구조물에 구비된 위성 유공관의 개수에는 그 제한이 없다. 다만, 메인 유공관(100)의 충분한 강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토양으로의 충분한 우수(rain-water) 전달능력을 구비하기 위해서, 토양침투 구조물은 메인 유공관을 기준으로 사방으로 연장되는 4개의 위성 유공관을 구비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In some embodiments, the satellite perforated pipe may be composed of two satellite perforated pipes 200 extending in opposite directions from the main perforated pipe 100, as shown in FIG. 2. In some other embodiments, the satellite perforated pipe is composed of four satellite perforated pipes 200' extending in all directions from the main perforated pipe 100 as shown in (a) of FIG. 3, or FIG. 3 As shown in (b), it may be composed of five or more satellite perforated pipes (200") extending radially around the main perforated pipe 100. That is, the number of satellite perforated pipes provided in the soil infiltration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in order to secure sufficient rigidity of the main perforated pipe 100 and at the same time have sufficient rain-water transmission ability to the soil, the soil penetration structure extends in all directions based on the main perforated pipe 100. It is most desirable to have four satellite perforated pipes.

메인 유공관(100)은 테이퍼(taper)지도록 폐쇄된 제1 부리(120)와, 제1 부리(120)로부터 정(chisel) 머리부(즉, 메인 유공관(100)의 상측 말단)까지 연장되되 상기 정 머리부가 개방된 제1 파이프 몸체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부리(120)는 도시된 것처럼 하측 말단이 뽀족한 깔대기, 원뿔 또는 다각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제1 파이프 몸체부(110)는 제1 부리(120)로부터 상측 말단까지 연장되는 속이 빈 원기둥 또는 다각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파이프 몸체부(110)의 측벽에는 복수의 천공(perforation, 111)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파이프 몸체부(110)의 상면 영역에 위치하는 매쉬부(130)로부터 제1 파이프 몸체부(110) 내부로 유입된 우수를 토양침투 구조물(1)이 매립된 토양으로 방출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The main perforated pipe 100 has a first beak 120 that is closed and tapered, and extends from the first beak 120 to the chisel head (i.e., the upper end of the main perforated pipe 100). The head portion may include an open first pipe body portion 110. Specifically, the first beak 120 may have a funnel, cone, or polygonal pyramid shape with a pointed lower end as shown, and the first pipe body portion 110 extends from the first beak 120 to the upper end. It may have the shape of a hollow cylinder or polygonal column. A plurality of perforations 111 are formed on the side wall of the first pipe body 110, and accordingly, the first pipe body 110 is formed from the mesh portion 130 located in the upper surface area of the first pipe body 110. It may play the role of discharging rainwater flowing into the unit 110 into the soil in which the soil infiltration structure 1 is buried.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파이프 몸체부(110)의 내측면에는 유량 측정을 위한 눈금(미도시)이 표시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매쉬부(130)에 시료(ex, 물)를 순간적으로 투입한 후 (복수의 천공들(111, 211)에 의해 토양으로 시료가 배출됨에 따라 발생하는) 내부 수위저하 속도 내지 시간을 카운팅함으로써 토양침투 구조물의 토양침투능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In some embodiments, a scale (not shown) for measuring flow rate is mark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pipe body portion 110, and a sample (ex, water) is instantaneously introduced into the mesh portion 130 through this. Afterwards, the soil infiltration ability of the soil infiltration structure can be confirmed by counting the rate or time of internal water level drop (occurring as the sample is discharged into the soil through the plurality of perforations 111 and 211).

위성 유공관(200)은 테이퍼지도록 폐쇄된 제2 부리(220)와, 제2 부리(220)로부터 메인 유공관(100)의 일측 측벽까지 연장되는 제2 파이프 몸체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부리(220)는 도시된 것처럼 하측 말단이 뽀족한 깔대기, 원뿔 또는 다각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제2 파이프 몸체부(210)는 제2 부리(220)로부터 상측 말단까지 연장되는 속이 빈 원기둥 또는 다각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파이프 몸체부(210)의 측벽에는 복수의 천공(211)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제2 파이프 몸체부(210)의 제1 파이프 몸체부(110)의 내부로부터 제2 파이프 몸체부(210)의 내부로 전달된 우수를 토양침투 구조물(1)이 매립된 토양으로 방출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한 위성 유공관(200)을 포함함으로써, 토양침투 구조물(1)은 부피 대비 높은 침투효율을 가질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포크레인 등의 매설장비 없이도 해머 등을 통해 토양으로 매립시공 가능할 수 있게 된다.The satellite perforated pipe 200 may include a tapered closed second beak 220 and a second pipe body 210 extending from the second beak 220 to one side wall of the main perforated pipe 100. Specifically, the second beak 220 may have a funnel, cone, or polygonal pyramid shape with a pointed lower end as shown, and the second pipe body portion 210 extends from the second beak 220 to the upper end. It may have the shape of a hollow cylinder or polygonal column. A plurality of perforations 211 are formed on the side wall of the second pipe body 210, and accordingly, a second pipe body portion (211) is formed from the inside of the first pipe body 110 of the second pipe body 210. 210) may discharge rainwater delivered to the interior of the soil infiltration structure (1) into the buried soil. By including the satellite perforated pipe 200, the soil infiltration structure 1 can have a high infiltration efficiency relative to its volume, and thus can be buried in the soil using a hammer or the like without the need for burial equipment such as an excavator.

위성 유공관(200)은 메인 유공관(100)의 측벽으로부터 분기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The satellite perforated pipe 200 may have a structure branched from the side wall of the main perforated pipe 100.

제2 파이프 몸체부(210)는 용접 등의 방식으로 제1 파이프 몸체부(110)에 견고히 결합될 수 있으며, 이 때 위성 유공관(200)은 상기 메인 유공관(100)의 내부영역과 유체연통되도록 메인 유공관(100)의 측벽에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파이프 몸체부(210)가 결합되는 제1 파이프 몸체부(110)의 측벽 영역은 개방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는, 제2 파이프 몸체부(210)의 내부 영역은 제1 파이프 몸체부(110)에 형성된 복수의 천공들(111)을 통해 제1 파이프 몸체부(110)의 내부영역과 유체연통될 수도 있다.The second pipe body 210 may be firmly coupled to the first pipe body 110 by welding or the like, and at this time, the satellite perforated pipe 200 is in fluid communication with the inner area of the main perforated pipe 100. It may be coupled to the side wall of the main perforated pipe 100. To this end, the side wall area of the first pipe body 110 to which the second pipe body 210 is coupled may have an open structure. Alternatively, the inner region of the second pipe body 210 may be in fluid communication with the inner region of the first pipe body 110 through a plurality of perforations 111 formed in the first pipe body 110. .

한편, 위성 유공관의 직경(200r)은 메인 유공관의 직경(100r)보다 작을 수 있다. 위성 유공관(200)과 메인 유공관(100)의 견고한 결합안정성을 충분히 확보함과 동시에 토양으로의 매설 시 위성 유공관(200)이 메인 유공관(100)으로부터 충분히 열개(裂開)되기 위해서, 즉 안정적 빗물 토양침투능 확보를 위해, 위성 유공관의 직경(200r)은 메인 유공관의 직경(100r)의 약 10%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약 20% 내지 40%일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메인 유공관의 직경(100r)은 대략 80mm 내지 120mm, 위성 유공관의 직경(200r)은 대략 16mm 내지 48mm일 수 있다.Meanwhile, the diameter (200r) of the satellite perforated pipe may be smaller than the diameter (100r) of the main perforated pipe. In order to sufficiently secure the solid joint stability of the satellite perforated pipe 200 and the main perforated pipe 100, and at the same time to sufficiently open the satellite perforated pipe 200 from the main perforated pipe 100 when buried in the soil, that is, to ensure stable rainwater To ensure soil penetration ability, the diameter (200r) of the satellite perforated pipe may be about 10% to 50%, preferably about 20% to 40%, of the diameter (100r) of the main perforated pipe. For a specific example, the diameter (100r) of the main perforated pipe may be approximately 80 mm to 120 mm, and the diameter (200r) of the satellite perforated pipe may be approximately 16 mm to 48 mm.

나아가, 토양으로의 매립 과정에서의 위성 유공관(200) 내구성 확보를 위해, 위성 유공관(200)은 토양침투 구조물(1)의 상부 영역에서부터 분기될 수 있다. 즉, 위성 유공관(200)이 메인 유공관(100)에 결합되는 영역은 토양침투 구조물(1)의 전체 높이(100h)의 중간위치(100h_c)보다 높은 레벨에 위치할 수 있다.Furthermore, in order to secure the durability of the satellite perforated pipe 200 during the burial process, the satellite perforated pipe 200 may branch from the upper area of the soil penetration structure 1. That is, the area where the satellite perforated pipe 200 is coupled to the main perforated pipe 100 may be located at a level higher than the middle position (100h_c) of the total height (100h) of the soil penetration structure (1).

또한, 상술한 견고성 및 토양침투능 확보를 위해, 위성 유공관(200)이 메인 유공관(100)에 대해 기울어진 각도(200g)는 대략 5° 내지 45°, 바람직하게는 약 10° 내지 30°일 수 있다. 즉, 도시된 것처럼 위성 유공관(200)은 메인 유공관(100)에 대하여 소정 각도(200g)로 기울어진 채 메인 유공관(100)에 결합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제2 파이프 몸체부(210)는 제1 파이프 몸체부(110)에 대하여 제1 각도(200g)로 기울어지도록 제1 파이프 몸체부(110)에 결합되며, 토양침투 구조물(1)이 토양에 매립된 이후에는(도 6 참조), 제2 파이프 몸체부(210)가 제1 파이프 몸체부(110)에 대하여 벌어지며 이에 따라 제2 파이프 몸체부(210)가 제1 파이프 몸체부(110)에 대하여 기울어진 제2 각도(200eg)는 토양침투 구조물(1)이 토양에 매립된 이전의 상기 제1 각도(200g)보다 커지게 된다.In addition, in order to secure the above-mentioned robustness and soil penetration ability, the inclined angle (200g) of the satellite perforated pipe 200 with respect to the main perforated pipe 100 may be approximately 5° to 45°, preferably approximately 10° to 30°. there is. That is, as shown, the satellite perforated pipe 200 may be coupled to the main perforated pipe 100 while being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200g) with respect to the main perforated pipe 100. In other words, the second pipe body 210 is coupled to the first pipe body 110 so as to be inclined at a first angle (200g) with respect to the first pipe body 110, and the soil penetration structure 1 is After being buried in the soil (see FIG. 6), the second pipe body 210 is spread relative to the first pipe body 110, and thus the second pipe body 210 is separated from the first pipe body ( The second angle 200eg inclined with respect to 110) becomes larger than the first angle 200g before the soil penetration structure 1 was buried in the soil.

빗물 토양침투능 증대를 위해, 메인 유공관(100)과 위성 유공관(200)은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메인 유공관(100)은 위성 유공관(200)보다 강성이 높은 재질로, 위성 유공관(200)은 메인 유공관(100)보다 연성이 높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increase rainwater soil infiltration ability, the main perforated pipe 100 and the satellite perforated pipe 200 are made of different materials. Specifically, the main perforated pipe 100 is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with higher rigidity than the satellite perforated pipe 200, and the satellite perforated pipe 200 is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with higher ductility than the main perforated pipe 100.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토양침투 구조물을 측면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며, 도 5는 상기 토양침투 구조물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ure 4 is a conceptual diagram viewed from the side of a soil penetration structure according to some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state of use of the soil penetration structure.

본 발명의 다른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토양침투 구조물(10)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유사하게 메인 유공관 및 위성 유공관을 포함하는 메인 바디부(20)를 포함하되, 메인 바디부(20)의 정 머리부(즉, 상측 말단)는 튜브 형상으로 개방되되 적어도 하나의 커플러(30, 40) 또는 해머부재(50)를 탈착가능하도록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부(21)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부(21)는 나사산 구조를 가지며 적어도 하나의 커플러(30, 40) 또는 해머부재(50)와 나사결합될 수 있으나, 그 결합 방식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soil infiltration structure 10 according to some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portion 20 including a main perforated pipe and a satellite perforated pipe similar to thos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but the main body The head portion (i.e., upper end) of the portion 20 is open in a tube shape, and a coupling portion 21 is formed for detachably coupling at least one coupler 30, 40 or the hammer member 50. You can. For example, the coupling portion 21 has a threaded structure and may be screw-coupled with at least one coupler 30 or 40 or the hammer member 50, but the coupling method is not limited thereto.

토양침투 구조물(10)의 매립 시공시 결합부(21)에는 토양침투 구조물을 토양에 매립시키기 위한 해머부재(50) 또는 해머부재와 토양침투 구조물을 커플링시키기 위한 해머 커플러(40)가 결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매립 시공시 토양침투 구조물(10)의 주요 골격이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토양침투 구조물(10)이 토양에 매립된 이후에는, 해머부재(50) 또는 해머 커플러(40)가 탈거되고, 정 머리부를 마감하는 마감 커플러(30)가 결합부(21)에 결합될 수 있다.During burial construction of the soil penetration structure 10, a hammer member 50 for embedding the soil penetration structure in the soil or a hammer coupler 40 for coupling the hammer member and the soil penetration structure will be coupled to the coupling portion 21.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main skeleton of the soil penetration structure 10 from being deformed or damaged during landfill construction. After the soil penetration structure 10 is buried in the soil, the hammer member 50 or the hammer coupler 40 is removed, and the finishing coupler 30 that finishes the head portion can be coupled to the coupling portion 21. .

매립된 토양침투 구조물(10)로의 이물질 차단 및 우수 유입을 위해, 마감 커플러(30)는 상면 및 하면이 개방된 파이프 형상을 가지되 상면은 메쉬부(33)로 덮힌 구조를 가질 수 있다.In order to block foreign substances and inflow of rainwater into the buried soil infiltration structure 10, the finishing coupler 30 may have a pipe shape with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pen and the upper surface covered with a mesh portion 33.

또한, 마감 커플러(30)의 상측 일부 영역에는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와이어 부재가 삽입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 홀(32)이 구비될 수 있다.Additionally, at least one wire hole 32 for inserting a wire member may be provided in a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of the finishing coupler 30 as shown in FIG. 4 .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토양침투 구조물이 토양에 매립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상기 토양침투 구조물이 토양에 매립된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8은 토양에 매립된 토양침투 구조물을 유지보수를 위해 토양으로부터 뽑아내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ure 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process of embedding the soil penetration structure in the soil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soil penetration structure embedded in the soil, and Figure 8 is This is a drawing to explain the process of extracting a soil-infiltrating structure buried in the soil from the soil for maintenance.

도 6 내지 도 8에서는 토양침투 구조물(1)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토양침투 구조물(1)이 상술한 토양침투 구조물들(1', 1", 10) 또는 그 조합에 따른 토양침투 구조물로 대체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6 to 8 illustrate the soil penetration structure 1 as an example, but the soil penetration structure 1 can be replaced with a soil penetra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soil penetration structures 1', 1", 10 or a combination thereof. Of course it can be done.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토양침투 구조물은 도 6에 도시된 손망치 또는 도 5에 도시된 해머부재 등을 통해 토양에 매립될 수 있으며, 도시된 것처럼 토양침투 구조물의 매립 이전에 해당 영역의 터파기 작업이 사전적으로 수행되고, 토양침투 구조물의 매립 이후 인근 토양 복원 작업이 사후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토양침투 구조물의 매립 이후 빗물은 토양 상부로 노출된 매쉬부(130)를 통해 토양침투 구조물 내부로 유입되고, 유입된 빗물은 메인 유공관(100)과 위성 유공관(200)들의 천공들을 경유하여 내부 토양층으로 원활하게 전달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s 6 to 8, the soil penetration structure can be embedded in the soil through the hand hammer shown in Figure 6 or the hammer member shown in Figure 5, and as shown, the corresponding area before embedding the soil penetration structure. Excavation work may be performed in advance, and nearby soil restoration work may be performed ex post after reclamation of the soil infiltration structure. After burial of the soil infiltration structure, rainwater flows into the soil infiltration structure through the mesh portion 130 exposed to the upper part of the soil, and the inflow rainwater passes through the perforations of the main perforated pipe 100 and the satellite perforated pipe 200 into the internal soil layer. can be delivered smoothly.

매쉬부(130)에 의해 온전히 필터링되지 않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등의 토양침투 구조물 유지보수를 위해, 토양침투 구조물은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토양으로부터 쉽게 제거될 수 있다.For maintenance of the soil infiltration structure, such as removing foreign substances that are not completely filtered by the mesh unit 130, the soil infiltration structure can be easily removed from the soil as shown in FIG. 8.

보다 용이한 토양침투 구조물 제거를 위해, 토양침투 구조물의 상측 영역에 와이어(W)를 결합할 수 있으며(상기 와이어는 예를 들면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와이어 홀(32) 등에 끼움결합되어 토양침투 구조물에 결합될 수 있다), 나아가 와이어(W)의 일측과 연결되는 지렛대(L) 등이 추가적으로 활용될 수도 있다.In order to more easily remove the soil penetration structure, a wire (W) can be coupled to the upper area of the soil penetration structure (the wire is, for example, fitted into the wire hole 32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etc. to allow soil penetration) may be coupled to the structure), and further, a lever (L)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wire (W) may be additionally used.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ose skilled in the art related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understand that the above-described substrate can be implemented in a modified form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fore, the disclosed methods should be considered from an explanatory rather than a restrictive perspe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in the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8)

토양침투 구조물로서,
테이퍼(taper)지도록 폐쇄된 제1 부리와, 상기 제1 부리로부터 정(chisel) 머리부까지 연장되되 상기 정 머리부가 개방된 제1 파이프 몸체부를 포함하는 메인 유공관(perforated drainpipe);
테이퍼지도록 폐쇄된 제2 부리와, 상기 제2 부리로부터 상기 메인 유공관의 일측 측벽까지 상기 메인 유공관의 내부영역과 유체연통되도록 연장되는 제2 파이프 몸체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4개 이상의 위성 유공관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파이프 몸체부의 상기 정 머리부에는 상기 메인 유공관의 내부영역으로 우수(rain-water)를 유입시키는 메쉬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 파이프 몸체부의 측벽 및 상기 제2 파이프 몸체부의 측벽에는 상기 메쉬부로부터 상기 제1 파이프 몸체부의 내부로 유입된 우수를 토양으로 방출시키는 복수의 천공들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파이프 몸체부는 상기 제1 파이프 몸체부에 대하여 제1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상기 제1 파이프 몸체부에 결합되며,
상기 토양침투 구조물이 토양에 매립된 이후에 상기 제2 파이프 몸체부가 상기 제1 파이프 몸체부에 대하여 기울어진 제2 각도는 상기 토양침투 구조물이 토양에 매립된 이전의 상기 제1 각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토양침투 구조물이 토양에 매립된 이후에 상기 제1 부리와 상기 제2 부리간 이격 거리는 상기 토양침투 구조물이 토양에 매립되기 이전의 상기 제1 부리와 상기 제2 부리간 이격 거리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적어도 4개 이상의 위성 유공관들은 상기 메인 유공관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배치되고,
상기 적어도 4개 이상의 위성 유공관들 각각의 직경은 상기 메인 유공관의 직경보다 작되, 상기 적어도 4개 이상의 위성 유공관들 각각의 직경은 상기 메인 유공관의 직경의 20% 내지 4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적어도 4개 이상의 위성 유공관들 각각이 상기 메인 유공관에 결합되는 영역은 상기 토양침투 구조물의 전체 높이의 중간위치보다 높은 레벨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침투 구조물.
As a soil penetration structure,
A main perforated drainpipe including a first beak that is closed and tapered, and a first pipe body extending from the first beak to a chisel head, the chisel head being open;
At least four or more satellite perforated pipes, including a tapered closed second beak and a second pipe body extending from the second beak to one side wall of the main perforated pipe to be in fluid communication with the inner region of the main perforated pipe; Contains,
The head of the first pipe body is provided with a mesh portion that introduces rain-water into the inner area of the main perforated pipe,
A plurality of perforations are formed on the side wall of the first pipe body and the side wall of the second pipe body to discharge rainwater flowing into the first pipe body from the mesh portion into the soil,
The second pipe body is coupled to the first pipe body so as to be inclined at a first angle with respect to the first pipe body,
The second angle at which the second pipe body is inclined relative to the first pipe body after the soil penetration structure is buried in the soil is greater than the first angle before the soil penetration structure is buried in the soil. And,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irst beak and the second beak after the soil penetration structure is buried in the soil is greater than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irst beak and the second beak before the soil penetration structure is buried in the soil. and
The at least four satellite perforated pipes are arranged radially around the main perforated pipe,
The diameter of each of the at least four satellite perforated pipes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main perforated pipe, and the diameter of each of the at least four satellite perforated pipes is 20% to 40% of the diameter of the main perforated pipe,
A soil infiltration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area where each of the at least four satellite perforated pipes is coupled to the main perforated pipe is located at a level higher than the middle position of the entire height of the soil infiltration structur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유공관과 상기 위성 유공관은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되되,
상기 위성 유공관은 상기 메인 유공관보다 연성이 높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침투 구조물.
According to claim 1,
The main perforated pipe and the satellite perforated pipe are formed of different materials,
A soil penetration structure, wherein the satellite perforated pipe is formed of a material with higher ductility than the main perforated pip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이프 몸체부의 상기 정 머리부에는, 상기 토양침투 구조물을 토양에 매립시키기 위한 해머부재; 상기 해머부재와 상기 토양침투 구조물을 커플링시키기 위한 해머 커플러; 및 상기 토양침투 구조물이 토양에 매립된 이후에 상기 정 머리부를 마감하는 마감 커플러;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토양침투 구조물을 물리적으로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침투 구조물.
According to claim 1,
At the head of the first pipe body, a hammer member for burying the soil penetration structure in the soil; a hammer coupler for coupling the hammer member and the soil penetration structure; And a finishing coupler for finishing the head of the well after the soil penetration structure is buried in the soil; A soil penetration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a coupling part is formed to physically couple at least one of the soil penetration structures with the soil penetration structure.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 커플러는 상면 및 하면이 개방된 파이프 형상을 가지되,
상기 마감 커플러의 상면은 상기 메인 유공관의 내부영역으로 우수를 유입시키는 메쉬부로 덮히고,
상기 마감 커플러의 상측 일부 영역에는 와이어 부재가 삽입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 홀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침투 구조물.
According to clause 7,
The finishing coupler has a pipe shape with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pen,
The upper surface of the finishing coupler is covered with a mesh portion that introduces rainwater into the inner area of the main perforated pipe,
A soil penetration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wire hole for inserting a wire member is provided in a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of the finishing coupler.
KR1020210059027A 2021-05-07 2021-05-07 Soil penetrating structure KR10257715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9027A KR102577153B1 (en) 2021-05-07 2021-05-07 Soil penetrating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9027A KR102577153B1 (en) 2021-05-07 2021-05-07 Soil penetrating struc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1803A KR20220151803A (en) 2022-11-15
KR102577153B1 true KR102577153B1 (en) 2023-09-11

Family

ID=84041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9027A KR102577153B1 (en) 2021-05-07 2021-05-07 Soil penetrating 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7153B1 (en)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4414Y1 (en) * 2010-05-13 2013-01-02 곽남현 Air and nutrients supplying device for soil
KR101363436B1 (en) 2013-07-18 2014-02-14 박성화 Under earth penetration type rainwater suppling apparatus
KR20150011992A (en) * 2013-07-24 2015-02-03 한세희 Water bottle for raising seedlings
KR102031478B1 (en) * 2018-01-02 2019-10-11 정쌍영 Device of drip irrigation for tree root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of
KR20200053801A (en) * 2018-11-09 2020-05-19 강대욱 Feeding vent pipe system for protection of large trees for landscap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1803A (en) 2022-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193259B (en) A kind of Rainwater collection system and construction method for sponge city
CN108193758B (en) Sponge urban road storing and draining structure
Jansen Systems for the disposal of waste and excreta in Roman cities: the situation in Pompeii, Herculaneum and Ostia
US11629085B1 (en) Stormwater collection, treatment, and aquifer replenishment installations and methods
US20200040562A1 (en) Underground Stormwater Storage System
KR101977695B1 (en) Penetration Gauges Structure
US20220356691A1 (en) Underground Stormwater Storage System
Crawford et al. Sinkhole collapse and ground water contamination problems resulting from storm water drainage wells on karst terrain
KR101363436B1 (en) Under earth penetration type rainwater suppling apparatus
KR102141002B1 (en) Eco-friendly Rainwater Management System
KR101962091B1 (en) Non Point Pollution Reducing System Of LID Ditch Infiltration Type Having Monitoring Well For Water Monitoring
CN112854405B (en) Multifunctional biological detention pond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2292290B1 (en) LID road and street tree penetration facilities
KR102577153B1 (en) Soil penetrating structure
KR102055349B1 (en) Penetration gauges structure with penetration waterway
KR101038336B1 (en) Method for introducing underground water using water storage tank in gutter, and filtering apparatus for reducing non-point source pollution
CN107489096B (en) A kind of quick collection system of urban elevated road rainwater and its construction method
CN107386320B (en) Pass through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underground pipe gallery of buried concrete waterpipe
GB2489455A (en) A drainage system for a tree pit
KR200259242Y1 (en) Underwater handing structure of swampy land
JP2915389B1 (en) Filtration type water storage tank device
RU2074924C1 (en) Method for construction of combination drainage
KR20050036221A (en) A manhole for preventing flood
TWI308555B (en) Water resource recycling system
CN215105840U (en) Road rain and sewage separation continuous drainage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