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1277B1 - 곡물 수분 측정 장치 - Google Patents

곡물 수분 측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1277B1
KR102031277B1 KR1020190094301A KR20190094301A KR102031277B1 KR 102031277 B1 KR102031277 B1 KR 102031277B1 KR 1020190094301 A KR1020190094301 A KR 1020190094301A KR 20190094301 A KR20190094301 A KR 20190094301A KR 102031277 B1 KR102031277 B1 KR 1020312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inlet
grinding roller
sample
gr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4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성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원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원하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원하이텍
Priority to KR10201900943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12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12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12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 G01N27/1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of a solid body in dependence upon absorption of a fluid; of a solid body in dependence upon reaction with a fluid, for detecting components in the fluid
    • G01N27/121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of a solid body in dependence upon absorption of a fluid; of a solid body in dependence upon reaction with a fluid, for detecting components in the fluid for determining moisture content, e.g. humidity, of the fl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4/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 B02C4/02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with two or more rollers
    • B02C4/06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with two or more rollers specially adapted for milling gra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4/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 B02C4/28Details
    • B02C4/286Feed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4/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 B02C4/28Details
    • B02C4/40Detachers, e.g. scrapers

Landscapes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곡물 수분 측정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곡물 수분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한 쌍의 분쇄롤러로 떨어진 하나의 시료를 분쇄하는 과정에서 시료에 함유된 수분의 양에 따른 전압 변화를 감지하고, 감지된 전압 변화를 수분값으로 연산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곡물 수분 측정 장치{Apparatus for Measuring Moisture of Grain}
본 발명은 곡물 수분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의 곡물을 분쇄하여 곡물의 수분을 측정하도록 하여, 곡물 수분 측정의 정확도를 향상시키도록 하는 곡물 수분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농산물은 수분을 함유하고 있어 수확 후에도 주위온도 및 습도에 큰 영향을 받아 저장 및 보관에 있어 온도, 습도 및 수분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특히, 곡물의 수분관리는 수분측정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으며 양질의 곡물을 유지하고, 맛있고 고품질의 쌀을 구매하려는 소비자의 욕구에 부합하여 그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국내 곡물거래시장에서 곡물 수분측정은 법정 교정을 의무화하고 있다. 곡물 수분측정은 곡물의 저장에 따른 품질관리와, 건조 공정 중 에너지 절약 및 불충분한 건조로 인한 제품의 불량을 방지하며, 구매 과정에서 곡물의 수분을 파악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곡물 수분측정은 직접법이 되는 전건법과 증류법, 칼피쉬 등이 있으며 이 방법은 시료의 형태에 따라 선택된다. 그러나 전건법은 많은 시간과 경제적 비용이 따르므로 보통의 경우 2차적 측정법을 사용하고 있다. 2차적 방법 중 전기적 방법은 수분의 전기적 특성을 이용하여 신속히 측정할 수 있어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이다. 전기적 방법은 전기저항식과 정전용량식이 있다. 전기저항식의 경우 회로가 간단하며, 밀도에 따른 보정이 필요 없어 저렴한 가격으로 제작이 가능하다. 정전용량의 경우 고주파를 이용하므로 회로가 복잡하고 밀도에 대한 보정 등 복잡한 측정과정을 가지고 있으며 고가이다. 이에 따라 현장에서는 비교적 저렴한 전기저항식을 이용한 곡물 수분 측정 장치가 개발 및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종래 곡물 수분 측정 장치는 17~20알 정도의 곡물을 규격화된 시료접시에 담아 분쇄 압축하여 평균 수분을 측정하도록 구성되는데, 이러한 구조는 수분 분포가 서로 비슷한 곡물을 한 번에 측정하는 경우에는, 정확도에 큰 영향을 주지 않으나, 간혹 높은 수분을 갖는 낱알이 포함되는 경우, 정확도에 문제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2520호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147324호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곡물을 분쇄하여 곡물의 수분을 측정하도록 하여, 곡물 수분 측정의 정확도를 향상시키도록 하는 곡물 수분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공간부가 구비되고 상측부에 투입구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투입구에 구비되는 호퍼; 상기 공간부에 세워지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의 제 1 면부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되 상기 투입구와 마주보도록 위치되는 외주연 일측은 오목하게 이송홈이 형성되는 원판과, 상기 원판의 외주연을 감싼 상태로 제 1 면부의 상측에 결합되되 상기 투입구와 마주보는 상측 및 상기 투입구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하측은 각각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회전가이더를 갖는 시료이송부재; 상기 원판의 하부에 위치되는 상기 제 1 면부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한 쌍의 분쇄롤러와, 일측이 한 쌍의 상기 분쇄롤러의 축 역할을 하도록 상기 지지판에 관통되는 한 쌍의 회전축을 갖는 분쇄부재; 및 한 쌍의 상기 분쇄롤러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한 쌍의 전극과, 한 쌍의 상기 전극 중 일 전극으로 기 설정된 전압을 가하고, 타 전극으로 전달되는 전압 변화를 감지하는 제어부를 갖는 제어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호퍼로 공급되는 시료는 상기 투입구를 지나 상기 원판 방향으로 떨어지고, 상기 원판이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이송홈이 상기 투입구와 마주보도록 위치되면 상기 투입구에서 떨어지는 시료가 상기 회전가이더의 개방된 상측을 지나 상기 이송홈에 안착되고, 상기 이송홈이 상기 분쇄롤러와 마주보도록 위치되면 상기 이송홈에 안착된 시료가 상기 회전가이더의 개방된 하측을 지나 한 쌍의 상기 분쇄롤러로 떨어지고, 한 쌍의 상기 분쇄롤러는 회전되면서 시료를 분쇄하고, 상기 제어부는 한 쌍의 상기 분쇄롤러로 떨어진 시료가 분쇄되는 과정에서, 시료에 함유된 수분의 양에 따른 상기 전극의 전압 변화를 감지하고, 감지된 전압 변화를 수분값으로 연산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수분 측정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이송홈이 상기 투입구와 마주보도록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원판의 회전 방향 전측에 위치되는 상기 이송홈의 일측에 상기 투입구를 지나 상기 호퍼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블레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호퍼의 하측에는 상기 블레이드가 안내되도록 절개되는 절개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회전가이더의 내주연에는 상기 블레이드가 안내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오목안내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수분 측정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이송홈이 상기 투입구와 마주보도록 위치되면,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절개부를 지나 상기 호퍼의 내부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위치되어, 상기 호퍼의 내부에 공급된 시료가 상기 블레이드에 슬라이딩된 후 상기 이송홈으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수분 측정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상측부의 일측에 상기 투입구가 형성될 때, 상기 상측부의 타측에 상기 투입구와 일체로 연결되는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호퍼는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투입구 또는 상기 배출구에 위치되도록 구성되고, 일측은 상기 배출구와 마주보도록 상기 제 1 면부의 상측에 위치되고 타측은 하방으로 연장되는 이젝터가 더 구비되고, 상기 호퍼가 상기 배출구에 위치되면 상기 호퍼에 수용된 시료가 상기 배출구를 지나 상기 이젝터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수분 측정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배출구와 마주보는 상기 회전가이더의 일측은 경사지도록 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이젝터는, 상기 배출구를 향하도록 상기 제 1 면부의 상측에 장착되는 내측부와, 상기 내측부와 대향되되 일측은 상기 경사부를 커버하도록 연장되는 외측부와, 상기 경사부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상기 내측부와 상기 외측부의 측부를 상호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갖는 배출안내부와, 상기 배출안내부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관 형상의 배출유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수분 측정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한 쌍의 상기 분쇄롤러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되, 한 쌍의 상기 분쇄롤러의 회전 속도는 서로 상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수분 측정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분쇄롤러의 하측에 맞닿도록 위치되어 상기 분쇄롤러에 붙은 찌거기를 제거하는 브러쉬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수분 측정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브러쉬부재는, 상기 분쇄롤러의 하부에 이격되도록 위치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지지부와, 상기 고정부의 타측에 상기 분쇄롤러와 맞닿도록 돌출 형성되는 브러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분쇄롤러와 맞닿은 상기 브러쉬가 상기 분쇄롤러의 회전에 의하여 휘어지는 각도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수분 측정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한 쌍의 상기 분쇄롤러는 제 1 분쇄롤러와 제 2 분쇄롤러를 포함하고, 한 쌍의 상기 회전축은 상기 제 1 분쇄롤러의 축 역할을 하는 제 1 회전축과, 상기 제 2 분쇄롤러의 축 역할을 하는 제 2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회전축의 외측에는 상기 제 2 회전축을 상기 제 1 회전축과 가까워지도록 탄성 가압하는 탄성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판에는 상기 제 1 회전축이 관통되는 제 1 관통홀과 상기 제 2 회전축이 관통되는 제 2 관통홀이 형성되되, 상기 제 2 관통홀은 상기 제 2 회전축이 상기 탄성부재의 가압에 의하여 상기 제 1 회전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 2 회전축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수분 측정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회전축과 상기 제 2 회전축에는 각각 제 1 지지베어링과 제 2 지지베어링이 장착되되, 상기 제 1 지지베어링은 상기 제 1 관통홀에 삽입되고, 상기 제 2 지지배어링은 상기 제 2 관통홀에 삽입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 1 지지베어링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상기 제 2 지지베어링의 외측과 맞닿도록 위치되며 탄성을 갖는 판형의 제 1 탄성스프링과, 상기 제 1 탄성스프링의 양측을 고정하도록 상기 제 1 면부에 장착되는 한 쌍의 고정돌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관통홀은 상기 제 2 지지베어링이 상기 제 1 탄성스프링의 가압에 의하여 상기 제 1 관통홀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 2 지지베어링보다 크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수분 측정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한 쌍의 상기 분쇄롤러를 일체로 덮는 커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 1 관통홀과 대향되는 상기 커버의 일측에 제 1 안내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관통홀과 대향되는 상기 커버의 타측에 제 2 안내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안내홀에 제 1 커버베어링이 삽입되고, 상기 제 2 안내홀에 제 2 커버베어링이 삽입되고, 상기 제 1 회전축은 상기 제 1 지지베어링을 지나 상기 제 1 커버베어링에 삽입되도록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 2 회전축은 상기 제 2 지지베어링을 지나 상기 제 2 커버베어링에 삽입되도록 연장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 1 커버베어링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상기 제 2 커버베어링의 외측과 맞닿도록 위치되며 탄성을 갖는 판형의 제 2 탄성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탄성스프링의 양측은 상기 고정돌부에 고정되고, 상기 제 2 안내홀은 상기 제 2 커버베어링이 상기 제 2 탄성스프링의 가압에 의하여 상기 제 1 안내홀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 2 커버베어링보다 크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수분 측정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지지판의 제 2 면부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위치되는 한 쌍의 상기 회전축의 타측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한 쌍의 전극판을 더 포함하고, 한 쌍의 상기 전극은 상기 제 2 면부에 지지된 상태로 각각 한 쌍의 상기 전극판에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수분 측정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분쇄롤러의 하측에는 상기 분쇄롤러가 분쇄한 시료의 찌꺼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배출박스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수분 측정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제어수단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수분 측정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원판의 이송홈에 안착되는 하나의 곡물을 분쇄하여, 곡물의 수분을 측정하도록 구성되므로, 곡물 수분 측정의 정확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원판에는 블레이드가 돌출 형성되어, 호퍼에 위치된 시료는 블레이드를 따라 이송홈 방향으로 용이하게 안내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분쇄롤러의 하부에 장착된 브러쉬부재가 분쇄롤러에 붙은 찌꺼기를 제거하도록 구성되므로, 분쇄롤러를 이용하여 시료의 곡물 수분을 측정할 때, 그 전에 분쇄된 시료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분쇄롤러가 시료를 분쇄하는 과정에서 탄성부재가 분쇄롤러에 일정 압력을 가하도록 구성되므로, 분쇄롤러는 시료를 일정 간격으로 용이하게 분쇄하고, 제 1, 2 전극 간의 이격 거리 또한 일정하게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호퍼가 배출구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배출구는 이젝터와 연결되므로, 시료의 수분 측정이 완료된 이후, 호퍼에 남아 있는 시료들을 이젝터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배출박스로 배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어부재는 배터리에 의하여 별도의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되므로, 휴대용으로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곡물 수분 측정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곡물 수분 측정 장치의 하우징을 일부 제거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곡물 수분 측정 장치의 하우징을 일부 제거한 상태를 단면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곡물 수분 측정 장치의 호퍼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곡물 수분 측정 장치의 탄성부재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A-A'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곡물 수분 측정 장치의 지지판의 제 2 면부에 장착된 각종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곡물 수분 측정 장치의 제어수단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곡물 수분 측정 장치의 이젝터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곡물 수분 측정 장치의 호퍼가 이젝터 방향으로 이동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곡물 수분 측정 장치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곡물 수분 측정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곡물 수분 측정 장치(1000)는 하우징(100), 호퍼(110), 지지판(200), 시료이송부재(300: 도 2 도시), 분쇄부재(500: 도 2 도시), 배출박스(800) 및 제어수단(900: 도 8 도시)을 포함한다.
하우징(100)은 내부에 일정 공간을 갖는 공간부(100a)가 구비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공간부(100a)의 상측과 하측에 상측부(102)와 저면부(108)가 구비되고, 공간부(100a)의 전측에 전측부(104)가 구비되고 공간부(100a)의 양측에 측벽부(106)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측부(102), 저면부(108), 전측부(104) 및 측벽부(106)는 상호 연결된다. 상측부(102)에는 투입구(102a: 도 3 도시)가 관통 형성된다. 전측부(104)에는 후술하는 디스플레이부(940: 도 8 도시)가 설치된다. 공간부(100a)에는 지지판(200), 시료이송부재(300), 분쇄부재(500), 배출박스(800) 및 제어수단(900)이 구비된다.
호퍼(110)는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되되,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깔때기 형상으로 형성된다. 호퍼(110)의 하부는 투입구(102a)에 삽입되어, 호퍼(110)로 공급되는 곡물 등의 시료는 투입구(102a)를 통하여 공간부(100a)로 투입된다. 곡물은 예를 들면 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곡물 수분 측정 장치의 하우징을 일부 제거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곡물 수분 측정 장치의 하우징을 일부 제거한 상태를 단면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곡물 수분 측정 장치의 호퍼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하우징(100)에는 지지판(200), 시료이송부재(300), 분쇄부재(500), 커버(600), 브러쉬부재(540), 배출박스(800), 탄성부재(700), 제어수단(900: 도 8 도시) 및 이젝터(400)가 구비된다.
지지판(200)은 판형으로 형성되며 공간부(100a)에 세워지도록 설치된다. 지지판(200)의 일측에는 제 1 면부(202)가 구비되고, 제 1 면부(202)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지지판(200)의 타측에는 제 2 면부(204)가 구비된다.
시료이송부재(300)는 투입구(102a)를 통하여 하우징(100) 내부로 투입되는 시료를 분쇄부재(500)로 이송시키는 것으로, 원판(310) 및 회전가이더(320)를 포함한다. 원판(310)은 원형 디스크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 1 면부(202)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이때, 원판(310)의 외주연 상측은 투입구(102a)와 마주보도록 위치된다. 그리고 원판(310)의 외주연에는 시료가 안착되도록 오목하게 이송홈(312)이 형성된다. 이송홈(312)의 크기는 예를 들면 벼 한 알이 안착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이송홈(312)은 원판(310)의 외주연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 예를 들면 2개가 구비될 수 있다.
회전가이더(320)는 이송홈(312)에 안착되는 벼가 원판(310)의 회전에 의하여 임의로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가이드하기 위한 것으로, 원판(310)의 외주연을 감싼 상태로 제 1 면부(202)의 상측에 결합되도록 드럼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투입구(102a)와 마주보는 회전가이더(320)의 상측은 개방되도록 제 1 개방부(322)가 형성되고, 투입구(102a)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회전가이더(320)의 하측은 개방되도록 제 2 개방부(324)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투입구(102a)를 통하여 하우징(100) 내부로 투입되는 시료는 제 1 개방부(322)를 통하여 이송홈(312)에 안착된다. 이때, 이송홈(312)의 크기가 작아 시료는 한 개만 이송홈(312)에 안착된다. 이어서 원판(310)이 회전되어 이송홈(312)이 제 2 개방부(324)를 향하도록 위치되면, 이송홈(312)에 안착된 한 개의 시료가 후술하는 제 1, 2 분쇄롤러(510, 520) 방향으로 떨어지게 된다.
한편, 호퍼(110) 내부로 공급되는 복수의 시료가 투입구(102a)를 통하여 이송홈(312)으로 떨어질 때, 호퍼(110)에 공급된 복수의 시료가 뭉쳐 있으면, 시료들이 투입구(102a)를 막아, 시료가 이송홈(312)으로 떨어지지 않을 수도 있다. 이를 방지하고자, 본 발명은 블레이드(314)를 더 구비한다. 블레이드(314)는 이송홈(312)이 투입구(102a)와 마주보도록 위치된 상태에서 원판(310)의 회전 방향 전측에 위치되는 이송홈(312)의 일측에 돌출 형성된다. 블레이드(314)는 투입구(102a)를 지나 호퍼(110)의 개방된 하측 방향으로 돌출되되, 시료와 맞닿는 일측은 호 형상으로 라운드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호퍼(110)의 개방된 하측에는 블레이드(314)가 안내되도록 절개되는 절개부(112)가 형성되고, 회전가이더(320)의 내주연 전체에 걸쳐서 블레이드(314)가 안내되도록 오목하게 오목안내부(326)가 형성된다. 그리고 원판(310)이 회전되면, 블레이드(314)가 절개부(112)를 통하여 호퍼(110)의 하측을 지나가게 되며, 이때, 호퍼(110)의 하측에 위치된 시료가 블레이드(314)에 의하여 뭉치지 않고 흐트러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투입구(102a)와 이송홈(312)이 마주보도록 위치될 때, 투입구(102a)와 마주보는 블레이드(314)의 일측은 호 형상으로 라운드지도록 형성되므로, 호퍼(110)의 하측에 위치된 시료는 블레이드(314)에 부딪히면서 블레이드(314)를 따라 슬라이딩된 후 이송홈(312)에 용이하게 안착되는 효과가 있다.
분쇄부재(500)는 시료를 분쇄하는 것으로, 시료이송부재(300)의 하부에 위치되는 제 1 면부(202)의 하측에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 1 분쇄롤러(510) 및 제 2 분쇄롤러(520)를 포함한다. 제 1 분쇄롤러(510)와 제 2 분쇄롤러(520) 사이는 약간 이격되어 있으나, 그 이격된 틈은 시료가 통과할 수 없을 정도로 작아, 시료는 제 1, 2 분쇄롤러(510, 520) 사이를 통과하면서 가루 수준으로 분쇄된다. 이때, 시료에 함유된 수분의 양에 따라 후술하는 제 1, 2 전극(910, 920: 도 7 도시) 사이에 전압 변화가 발생된다.
그리고 제 1 분쇄롤러(510)의 중앙에는 제 1 분쇄롤러(510)의 회전축 역할을 하는 제 1 회전축(512: 도 6 도시)이 지지판(200)에 관통되도록 구성되고, 제 2 분쇄롤러(520)의 중앙에는 제 2 분쇄롤러(520)의 회전축 역할을 하는 제 2 회전축(522: 도 6 도시)이 지지판(200)에 관통되도록 구성된다. 제 1, 2 분쇄롤러(510, 520)의 회전 속도는 서로 상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분쇄롤러(510)의 외주연과 제 2 분쇄롤러(520)의 외주연은 비틀림 가공을 하여 제 1 분쇄롤러(510)와 제 2 분쇄롤러(520) 사이로 안내된 시료는 더욱 잘 분쇄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이송홈(312)이 제 1 분쇄롤러(510)와 마주보도록 하측에 위치되어, 이송홈(312)에 안착된 시료가 제 1 분쇄롤러(510)로 떨어질 때, 제 1 면부(202)의 제 1 분쇄롤러(510)와 이송홈(312) 사이에는 이송가이더(530)가 더 장착될 수 있다. 이송가이더(530)는 이송홈(312)에서 떨어지는 시료를 제 1 분쇄롤러(510)와 제 2 분쇄롤러(520) 사이로 이동되도록 안내한다.
커버(600)는 제 1, 2 분쇄롤러(510, 520)를 일체로 덮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커버(600)의 일측에는 제 1 회전축(512)이 관통되도록 제 1 안내홀(602)이 형성되고, 커버(600)의 타측에는 제 2 회전축(522)이 관통되도록 제 2 안내홀(604)이 형성된다.
브러쉬부재(540)는 제 1 분쇄롤러(510)와 제 2 분쇄롤러(520)에 각각 맞닿도록 한 쌍이 구비되는 것으로, 시료를 분쇄하는 과정에서 제 1, 2 분쇄롤러(510, 520)에 들러붙은 시료의 찌꺼기를 제거하도록 구성된다. 브러쉬부재(540)의 구성을 살펴보면, 제 1, 2 분쇄롤러(510, 520)의 하부에 이격되도록 위치되는 고정부(542)와, 고정부(542)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지지부(544)와, 고정부(542)의 타측에 분쇄롤러와 맞닿도록 돌출 형성되는 청소용 브러쉬(546)를 포함한다. 지지부(544)는 제 1, 2 분쇄롤러(510, 520)와 맞닿은 브러쉬(546)가 제 1, 2 분쇄롤러(510, 520)의 회전에 의하여 필요 이상으로 휘어지지 않도록 휘어지는 각도를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브러쉬부재(540)에 의하여 제 1, 2 분쇄롤러(510, 520)에 붙은 찌꺼기가 제거되므로, 제 1, 2 분쇄롤러(510, 520)로 공급되는 시료가 분쇄되는 과정에서의 전압 변화를 제 1, 2 전극(910, 920: 도 7 도시)이 감지할 때, 그 전에 분쇄된 시료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배출박스(800)는 제 1, 2 분쇄롤러(510, 520)의 하측과 마주보는 제 1 면부(202)의 저부에 설치된다. 그리고 제 1, 2 분쇄롤러(510, 520)가 분쇄한 시료의 찌꺼기는 배출박스(800)로 낙하되어 배출박스(800)에 보관된다. 배출박스(800)는 서랍식으로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배출박스(800)에 보관되는 찌꺼기는 제 1 면부(202)에서 분리되어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된다.
탄성부재(700), 제어수단(900) 및 이젝터(400)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곡물 수분 측정 장치의 탄성부재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A-A'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탄성부재(700)는 제 1, 2 분쇄롤러(510, 520)가 시료를 분쇄하는 과정에서 일정 압력이 가해지도록 하고, 제 1, 2 전극(910, 920) 간의 이격 거리가 일정하도록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지지판(200)에는 제 1 회전축(512)이 관통되는 제 1 관통홀(206)과 제 2 회전축(522)이 관통되는 제 2 관통홀(208)이 형성된다. 제 1 관통홀(206)과 제 2 관통홀(208) 중 어느 한 관통홀, 예를 들면 제 2 관통홀(208)은 제 2 회전축(522)이 탄성부재(700)의 가압에 의하여 제 1 회전축(51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제 2 회전축(522)보다 크게 형성된다. 세부적으로는 제 2 관통홀(208)은 제 2 회전축(522)의 직경보다 길도록 형성되어, 제 2 회전축(522)이 좌우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제 1 회전축(512)과 제 2 회전축(522)에는 각각 제 1 지지베어링(210)과 제 2 지지베어링(212)이 장착되어, 제 1 지지베어링(210)은 제 1 관통홀(206)에 삽입되고, 제 2 지지배어링은 제 2 관통홀(208)에 삽입된다. 이때, 제 2 관통홀(208)은 제 2 지지베어링(212)이 탄성부재(700)의 가압에 의하여 제 1 관통홀(206)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제 2 지지베어링(212)보다 크도록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제 1, 2 분쇄롤러(510, 520)를 일체로 덮는 커버(600)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제 1 관통홀(206)과 대향되는 커버(600)의 일측에 제 1 안내홀(602)이 형성되고, 제 2 관통홀(208)과 대향되는 커버(600)의 타측에 제 2 안내홀(604)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 1 안내홀(602)에 제 1 커버베어링(610)이 삽입되고, 제 2 안내홀(604)에 제 2 커버베어링(612)이 삽입된다. 그리고 제 1 회전축(512)은 제 1 지지베어링(210)을 지나 제 1 커버베어링(610)에 삽입되도록 연장 형성되고, 제 2 회전축(522)은 제 2 지지베어링(212)을 지나 제 2 커버베어링(612)에 삽입되도록 연장 형성된다. 여기서 제 2 안내홀(604)은 제 2 커버베어링(612)이 탄성부재(700)의 가압에 의하여 제 1 안내홀(60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제 2 커버베어링(612)보다 크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 2 회전축(522)은 제 2 안내홀(604) 및 제 2 관통홀(208)에서 좌우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탄성부재(700)는 제 2 회전축(522)의 외측에 위치되어 제 2 회전축(522)을 제 1 회전축(512)과 가까워지도록 탄성 가압하는 것으로, 제 1 탄성스프링(710), 제 2 탄성스프링(720) 및 고정돌부(730)를 포함한다. 제 1 탄성스프링(710)은 탄성을 갖는 판형으로 길게 형성되며 제 1 지지베어링(210)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제 2 지지베어링(212)의 외측과 맞닿도록 위치된다. 제 2 탄성스프링(720)은 제 1 탄성스프링(710)과 마찬가지로 탄성을 갖는 판형으로 길게 형성되며 제 1 커버베어링(610)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제 2 커버베어링(612)의 외측과 맞닿도록 위치된다. 고정돌부(730)는 제 1, 2 탄성스프링(710, 720)의 양측을 고정하도록 제 1 면부(202)에 장착된다. 그리고 탄성부재(700)가 제 2 지지베어링(212)을 제 1 지지베어링(210) 방향으로 가압하고, 제 2 커버베어링(612)을 제 1 커버베어링(610) 방향으로 가압하면, 이들 제 2 지지베어링(212) 및 제 2 커버베어링(612)에 삽입된 제 2 회전축(522)은 제 1 회전축(512) 방향으로 가압되고, 제 2 회전축(522)에 삽입된 제 2 분쇄롤러(520)는 제 1 분쇄롤러(510) 방향으로 가압된다. 이처럼 탄성부재(700)는 제 1, 2 분쇄롤러(510, 520)가 시료를 분쇄하는 과정에서 일정 압력이 가해지도록 하고, 제 1, 2 전극(910, 920) 간의 이격 거리가 일정하도록 유지하여, 제어부(930)가 시료의 수분을 측정할 때, 정확성 및 재현성을 높이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곡물 수분 측정 장치의 지지판의 제 2 면부에 장착된 각종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곡물 수분 측정 장치의 제어수단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지지판(200)의 상측에는 원판(310)의 회전축 역할을 하는 모터회전안내축(M1)이 관통되어, 모터회전안내축(M1)의 단부는 제 2 면부(204) 방향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원판(310)과 대향되는 제 2 면부(204)의 상부 일측에는 이송기어(330)가 장착되어, 모터회전안내축(M1)의 단부는 이송기어(330)를 관통한다. 그리고 모터회전안내축(M1)에 구동모터(M)가 설치되어, 구동모터(M)가 모터회전안내축(M1)을 회전시키면 이송기어(330) 및 원판(310)이 회전된다.
이때, 제 2 면부(204)의 상부 타측에 이송기어(330)와 맞물리도록 이송전달기어(340)가 장착되어, 이송기어(330)의 회전력이 이송전달기어(340)로 전달된다. 그리고 제 1, 2 분쇄롤러(510, 520)와 대향되는 제 2 면부(204)의 하부에는 서로 맞물리는 제 1, 2 분쇄기어(514, 524)가 각각 장착되되, 제 1 분쇄기어(514)는 이송전달기어(340)와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이송전달기어(340)의 회전력이 제 1 분쇄기어(514) 및 제 2 분쇄기어(524)로 전달된다. 이에 따라, 구동모터(M)가 회전되면, 원판(310) 및 제 1, 2 분쇄롤러(510, 520)가 동시에 회전된다. 그리고 제 1 분쇄기어(514)와 제 2 분쇄기어(524)는 그 직경이 서로 다르도록 구성되어, 제 1 분쇄롤러(510)와 제 2 분쇄롤러(520)는 그 회전 속도가 서로 다르도록 구성되어, 제 1 분쇄롤러(510)와 제 2 분쇄롤러(520)는 시료를 더욱 용이하게 분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어수단(900)은 제 1 전극(910), 제 2 전극(920), 제어부(930), 디스플레이부(940) 및 모터구동부(950)를 포함한다. 제어수단(900)을 설명하기 전에, 제 1 분쇄기어(514)에는 제 1 전극판(516)이 장착되고, 제 2 분쇄기어(524)에는 제 2 전극판(526)이 장착된다. 이러한 제 1, 2 전극판(516, 526)은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제 2 면부(204)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 1, 2 회전축(512, 522)의 일측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제 1, 2 회전축(512, 522)의 타측은 제 1, 2 분쇄롤러(510, 520)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결국, 제 1, 2 전극판(516, 526)은 제 1, 2 분쇄롤러(510, 5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제 1, 2 전극판(516, 526), 제 1, 2 회전축(512, 522) 및 제 1, 2 분쇄롤러(510, 520)는 전도성 재질, 에를 들면 금속 재질 등으로 구성된다.
제 1 전극(910)은 제 2 면부(204)의 일측에 지지된 상태로 제 1 전극판(516)에 전기적으로 접촉되고, 제 2 전극(920)은 제 2 면부(204)의 타측에 지지된 상태로 제 2 전극판(526)에 전기적으로 접촉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 1, 2 전극판(516, 526)이 회전된다 하더라도, 제 1, 2 전극(910, 920)은 제 1, 2 전극판(516, 526)에 접촉된 상태로 제 1, 2 분쇄롤러(510, 5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제어부(930)는 제 1, 2 전극(910, 9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제 1 전극(910)으로 기 설정된 전압을 가한다. 그리고 제 1 전극(910)으로 가해진 전압이 제 1, 2 분쇄롤러(510, 520) 사이를 지나 제 2 전극(920)으로 전달되면, 제 2 전극(920)은 전달되는 전압 변화를 제어부(930)로 전달한다. 제어부(930)는 제 2 전극(920)으로 전달되는 전압 변화를 감지한다. 전압 변화는 제 1, 2 분쇄롤러(510, 520) 사이를 지나가는 시료에 함유된 수분의 양에 따라 결정된다. 즉, 제어부(930)는 제 1, 2 분쇄롤러(510, 520)로 떨어진 시료가 분쇄되는 과정에서, 시료에 함유된 수분의 양에 따른 제 1, 2 전극(910, 920) 사이의 전압 변화를 감지하고, 감지된 전압 변화를 수분값으로 연산한다. 이때, 제어부(930)는 시료가 들어오고 나오는 시간을 프로그램으로 제외하고, 측정시간만을 가지고 구간 내에서 5회 정도 측정한 평균을 한 개 곡물의 최종 수분값으로 연산하도록 하여 정확성 및 재현성을 높이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디스플레이부(940)는 제어부(930)가 연산한 수분값을 외부로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 통상의 디스플레이 장치 등으로 구성되며, 하우징(100)의 외측에 구비될 수 있다. 모터구동부(950)는 제어부(930)의 제어에 의하여 구동모터(M)를 구동시킨다. 제어부(930)는 별도의 입력부(미도시)를 통하여 사용자가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하우징(100) 내부에 구비되는 별도의 온도센서(미도시)를 더 구비하여, 제어부(930)는 상기 온도센서가 측정하는 각 온도 별로 곡물의 수분 차이를 측정할 수도 있다. 또한, 발명은 하우징(100)에 구비되는 별도의 배터리를 더 구비하여, 제 1, 2 전극(910, 920), 제어부(930), 디스플레이부(940), 모터구동부(950) 및 구동모터(M)는 상기 배터리(미도시)를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배터리는 하우징(100) 내부에 장착될 수 있으며, 충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처럼 상기 배터리를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휴대용으로 사용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먼저, 제어부(930)는 모터구동부(950)를 제어하여 구동모터(M)가 원판(310) 및 제 1, 2 분쇄롤러(510, 520)를 회전시키도록 한다. 그 후, 시료가 호퍼(110)로 공급되면, 시료는 투입구(102a) 및 제 1 개방부(322)를 지나 원판(310)의 이송홈(312)에 안착된다. 이어서 원판(310)이 회전됨에 따라, 시료는 회전가이더(320)의 내주연에 가이드된 상태로 제 2 개방부(324) 방향으로 이동한 후, 이송홈(312)이 제 2 개방부(324)와 마주보도록 위치되면, 시료는 제 2 개방부(324)를 통하여 제 1, 2 분쇄롤러(510, 520) 사이로 떨어진다. 그러면, 제 1, 2 분쇄롤러(510, 520)는 회전되면서 시료를 분쇄하고, 이때, 제어부(930)가 시료에 함유된 수분의 양에 따른 제 1, 2 전극(910, 920) 간의 전압 변화를 감지하고, 감지된 전압 변화는 수분값으로 연산한다. 그리고 연산한 수분값은 디스플레이부(940)를 통하여 외부로 출력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원판(310)의 이송홈(312)에 안착되는 하나의 곡물을 분쇄하여, 곡물의 수분을 측정하도록 구성되므로, 곡물 수분 측정의 정확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곡물 수분 측정 장치의 이젝터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곡물 수분 측정 장치의 호퍼가 이젝터 방향으로 이동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상측부(102)의 일측에 투입구(102a)가 형성될 때, 상측부(102)의 타측에 투입구(102a)와 일체로 연결되는 배출구(102b)가 형성된다. 그리고 호퍼(110)는 슬라이딩되면서 투입구(102a) 또는 배출구(102b)에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호퍼(110)가 이동 가능하도록 상측부(102)에는 이동수단(120)이 장착된다. 이동수단(120)은 투입구(102a)와 배출구(102b)를 사이에 둔 상측부(102)의 하측 길이방향 양측에 길게 형성되는 한 쌍의 레일부(122)와, 한 쌍의 레일부(122)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이동부(124)를 포함한다. 그리고 투입구(102a)에 삽입된 호퍼(110)의 하측은 이동부(124)에 결합되어, 호퍼(110)는 투입구(102a) 또는 배출구(102b)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레일부(122)의 길이방향 양측에는 스토퍼(126)가 각각 구비되어, 투입구(102a) 방향으로 이동된 호퍼(110) 또는 배출구(102b) 방향으로 이동된 호퍼(110)는 스토퍼(126)에 의하여 더 이상의 이동이 제한된다. 그리고 배출구(102b)와 마주보는 회전가이더(320)의 일측은 경사지도록 경사부(328)가 형성된다.
이젝터(400)는 일측은 배출구(102b)와 마주보도록 제 1 면부(202)의 상측에 위치되고 타측은 배출박스(800)와 마주보도록 하방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배출안내부(410) 및 배출유도부(420)를 포함한다. 배출안내부(410)는 배출구(102b)를 향하도록 제 1 면부(202)의 상측에 장착되는 내측부(412)와, 내측부(412)와 대향되도록 이격되되 일측은 경사부(328)를 커버하도록 연장되는 외측부(414)와, 경사부(328)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내측부(412)의 측부와 경사부(328)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외측부(414)의 측부를 상호 일체로 연결시키는 연결부(416)를 갖도록 구성된다. 배출유도부(420)는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배출유도부(420)의 상측은 내측부(412), 외측부(414) 및 연결부(416)의 하측과 일체로 연결되고, 배출유도부(420)의 하측은 하방 즉, 배출박스(800)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시료의 수분 측정이 완료된 이후, 호퍼(110)에 남아 있는 시료들을 외부로 배출하고자 하는 경우, 호퍼(110)를 배출구(102b)로 슬라이딩 이동시킨다. 그러면, 호퍼(110)에 남아 있던 시료가 배출구(102b)를 지나 이젝터(400)로 떨어진 후, 이젝터(400)를 따라 미끄러지면서 배출박스(800)로 배출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호퍼(110)가 배출구(102b)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배출구(102b)에는 이젝터(400)가 구비되므로, 시료의 수분 측정이 완료된 이후, 호퍼(110)에 남아 있는 시료들을 용이하게 배출박스(800)로 배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을 이로 한정하지 않음은 당연하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00: 곡물 수분 측정 장치
100: 하우징 100a: 공간부
102: 상측부 102a: 투입구
102b: 배출구 104: 전측부
106: 측벽부 108: 저면부
110: 호퍼 112: 절개부
120: 이동수단 122: 레일부
124: 이동부 126: 스토퍼
200: 지지판 202: 제 1 면부
204: 제 2 면부 206: 제 1 관통홀
208: 제 2 관통홀 210: 제 1 지지베어링
212: 제 2 지지베어링 300: 시료이송부재
310: 원판 312: 이송홈
314: 블레이드 320: 회전가이더
322: 제 1 개방부 324: 제 2 개방부
326: 오목안내부 328: 경사부
330: 이송기어 340: 이송전달기어
400: 이젝터 410: 배출안내부
412: 내측부 414: 외측부
416: 연결부 420: 배출유도부
500: 분쇄부재 510: 제 1 분쇄롤러
512: 제 1 회전축 514: 제 1 분쇄기어
516: 제 1 전극판 520: 제 2 분쇄롤러
522: 제 2 회전축 524: 제 2 분쇄기어
526: 제 2 전극판 530: 이송가이더
540: 브러쉬부재 542: 고정부
544: 지지부 546: 브러쉬
600: 커버 602: 제 1 안내홀
604: 제 2 안내홀 610: 제 1 커버베어링
612: 제 2 커버베어링 700: 탄성부재
710: 제 1 탄성스프링 720: 제 2 탄성스프링
730: 고정돌부 800: 배출박스
900: 제어수단 910: 제 1 전극
920: 제 2 전극 930: 제어부
940: 디스플레이부 950: 모터구동부

Claims (14)

  1. 내부에 공간부가 구비되고 상측부에 투입구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투입구에 구비되는 호퍼;
    상기 공간부에 세워지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의 제 1 면부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되 상기 투입구와 마주보도록 위치되는 외주연 일측은 오목하게 이송홈이 형성되는 원판과, 상기 원판의 외주연을 감싼 상태로 제 1 면부의 상측에 결합되되 상기 투입구와 마주보는 상측 및 상기 투입구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하측은 각각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회전가이더를 갖는 시료이송부재;
    상기 원판의 하부에 위치되는 상기 제 1 면부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한 쌍의 분쇄롤러와, 일측이 한 쌍의 상기 분쇄롤러의 축 역할을 하도록 상기 지지판에 관통되는 한 쌍의 회전축을 갖는 분쇄부재; 및
    한 쌍의 상기 분쇄롤러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한 쌍의 전극과, 한 쌍의 상기 전극 중 일 전극으로 기 설정된 전압을 가하고, 타 전극으로 전달되는 전압 변화를 감지하는 제어부를 갖는 제어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호퍼로 공급되는 시료는 상기 투입구를 지나 상기 원판 방향으로 떨어지고,
    상기 원판이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이송홈이 상기 투입구와 마주보도록 위치되면 상기 투입구에서 떨어지는 시료가 상기 회전가이더의 개방된 상측을 지나 상기 이송홈에 안착되고, 상기 이송홈이 상기 분쇄롤러와 마주보도록 위치되면 상기 이송홈에 안착된 시료가 상기 회전가이더의 개방된 하측을 지나 한 쌍의 상기 분쇄롤러로 떨어지고,
    한 쌍의 상기 분쇄롤러는 회전되면서 시료를 분쇄하고,
    상기 제어부는 한 쌍의 상기 분쇄롤러로 떨어진 시료가 분쇄되는 과정에서, 시료에 함유된 수분의 양에 따른 상기 전극의 전압 변화를 감지하고, 감지된 전압 변화를 수분값으로 연산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이송홈이 상기 투입구와 마주보도록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원판의 회전 방향 전측에 위치되는 상기 이송홈의 일측에 상기 투입구를 지나 상기 호퍼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블레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호퍼의 하측에는 상기 블레이드가 안내되도록 절개되는 절개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회전가이더의 내주연에는 상기 블레이드가 안내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오목안내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수분 측정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홈이 상기 투입구와 마주보도록 위치되면,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절개부를 지나 상기 호퍼의 내부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위치되어, 상기 호퍼의 내부에 공급된 시료가 상기 블레이드에 슬라이딩된 후 상기 이송홈으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수분 측정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부의 일측에 상기 투입구가 형성될 때, 상기 상측부의 타측에 상기 투입구와 일체로 연결되는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호퍼는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투입구 또는 상기 배출구에 위치되도록 구성되고,
    일측은 상기 배출구와 마주보도록 상기 제 1 면부의 상측에 위치되고 타측은 하방으로 연장되는 이젝터가 더 구비되고,
    상기 호퍼가 상기 배출구에 위치되면 상기 호퍼에 수용된 시료가 상기 배출구를 지나 상기 이젝터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수분 측정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와 마주보는 상기 회전가이더의 일측은 경사지도록 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이젝터는, 상기 배출구를 향하도록 상기 제 1 면부의 상측에 장착되는 내측부와, 상기 내측부와 대향되되 일측은 상기 경사부를 커버하도록 연장되는 외측부와, 상기 경사부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상기 내측부와 상기 외측부의 측부를 상호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갖는 배출안내부와, 상기 배출안내부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관 형상의 배출유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수분 측정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분쇄롤러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되, 한 쌍의 상기 분쇄롤러의 회전 속도는 서로 상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수분 측정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롤러의 하측에 맞닿도록 위치되어 상기 분쇄롤러에 붙은 찌거기를 제거하는 브러쉬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수분 측정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부재는, 상기 분쇄롤러의 하부에 이격되도록 위치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지지부와, 상기 고정부의 타측에 상기 분쇄롤러와 맞닿도록 돌출 형성되는 브러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분쇄롤러와 맞닿은 상기 브러쉬가 상기 분쇄롤러의 회전에 의하여 휘어지는 각도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수분 측정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분쇄롤러는 제 1 분쇄롤러와 제 2 분쇄롤러를 포함하고,
    한 쌍의 상기 회전축은 상기 제 1 분쇄롤러의 축 역할을 하는 제 1 회전축과, 상기 제 2 분쇄롤러의 축 역할을 하는 제 2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회전축의 외측에는 상기 제 2 회전축을 상기 제 1 회전축과 가까워지도록 탄성 가압하는 탄성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판에는 상기 제 1 회전축이 관통되는 제 1 관통홀과 상기 제 2 회전축이 관통되는 제 2 관통홀이 형성되되, 상기 제 2 관통홀은 상기 제 2 회전축이 상기 탄성부재의 가압에 의하여 상기 제 1 회전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 2 회전축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수분 측정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회전축과 상기 제 2 회전축에는 각각 제 1 지지베어링과 제 2 지지베어링이 장착되되, 상기 제 1 지지베어링은 상기 제 1 관통홀에 삽입되고, 상기 제 2 지지배어링은 상기 제 2 관통홀에 삽입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 1 지지베어링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상기 제 2 지지베어링의 외측과 맞닿도록 위치되며 탄성을 갖는 판형의 제 1 탄성스프링과, 상기 제 1 탄성스프링의 양측을 고정하도록 상기 제 1 면부에 장착되는 한 쌍의 고정돌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관통홀은 상기 제 2 지지베어링이 상기 제 1 탄성스프링의 가압에 의하여 상기 제 1 관통홀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 2 지지베어링보다 크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수분 측정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분쇄롤러를 일체로 덮는 커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 1 관통홀과 대향되는 상기 커버의 일측에 제 1 안내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관통홀과 대향되는 상기 커버의 타측에 제 2 안내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안내홀에 제 1 커버베어링이 삽입되고, 상기 제 2 안내홀에 제 2 커버베어링이 삽입되고,
    상기 제 1 회전축은 상기 제 1 지지베어링을 지나 상기 제 1 커버베어링에 삽입되도록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 2 회전축은 상기 제 2 지지베어링을 지나 상기 제 2 커버베어링에 삽입되도록 연장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 1 커버베어링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상기 제 2 커버베어링의 외측과 맞닿도록 위치되며 탄성을 갖는 판형의 제 2 탄성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탄성스프링의 양측은 상기 고정돌부에 고정되고,
    상기 제 2 안내홀은 상기 제 2 커버베어링이 상기 제 2 탄성스프링의 가압에 의하여 상기 제 1 안내홀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 2 커버베어링보다 크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수분 측정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의 제 2 면부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위치되는 한 쌍의 상기 회전축의 타측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한 쌍의 전극판을 더 포함하고,
    한 쌍의 상기 전극은 상기 제 2 면부에 지지된 상태로 각각 한 쌍의 상기 전극판에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수분 측정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롤러의 하측에는 상기 분쇄롤러가 분쇄한 시료의 찌꺼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배출박스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수분 측정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제어수단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수분 측정 장치.
KR1020190094301A 2019-08-02 2019-08-02 곡물 수분 측정 장치 KR1020312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4301A KR102031277B1 (ko) 2019-08-02 2019-08-02 곡물 수분 측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4301A KR102031277B1 (ko) 2019-08-02 2019-08-02 곡물 수분 측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1277B1 true KR102031277B1 (ko) 2019-10-11

Family

ID=68210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4301A KR102031277B1 (ko) 2019-08-02 2019-08-02 곡물 수분 측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127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39906A (zh) * 2019-08-14 2019-10-18 安徽大洋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互联网的粮食水分在线测定仪
CN110711641A (zh) * 2019-10-17 2020-01-21 广州千睿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粉碎方便的树枝粉碎装置
CN112557462A (zh) * 2020-12-18 2021-03-26 安徽大洋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电阻式粮食水分检测仪进料防堵装置
KR102357735B1 (ko) 2021-05-13 2022-02-08 국신국 건조벼 수분교반장치
CN115228566A (zh) * 2022-07-22 2022-10-25 赣南师范大学 一种柑橘皮渣制备可降解膜的柑橘皮渣处理装置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52083A (ja) * 1990-11-08 1999-12-24 Shizuoka Seiki Co Ltd 穀物水分測定装置
KR200186577Y1 (ko) * 1999-11-13 2000-06-15 서용교 곡물계량기의 이중화 수분측정장치
JP2000214118A (ja) * 1999-01-01 2000-08-04 Satake Eng Co Ltd 穀物の抵抗式水分計
KR200432520Y1 (ko) 2006-09-06 2006-12-05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건조기용 곡물수분 계측장치
KR101147324B1 (ko) 2012-03-29 2012-05-22 강기중 곡물계량기의 수분측정용 곡물유도장치
JP2014169885A (ja) * 2013-03-01 2014-09-18 Shizuoka Seiki Co Ltd 水分測定装置および穀物乾燥機
JP2015049082A (ja) * 2013-08-30 2015-03-16 株式会社ケット科学研究所 穀類の単粒水分測定用の電極ロール構造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52083A (ja) * 1990-11-08 1999-12-24 Shizuoka Seiki Co Ltd 穀物水分測定装置
JP2000214118A (ja) * 1999-01-01 2000-08-04 Satake Eng Co Ltd 穀物の抵抗式水分計
KR200186577Y1 (ko) * 1999-11-13 2000-06-15 서용교 곡물계량기의 이중화 수분측정장치
KR200432520Y1 (ko) 2006-09-06 2006-12-05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건조기용 곡물수분 계측장치
KR101147324B1 (ko) 2012-03-29 2012-05-22 강기중 곡물계량기의 수분측정용 곡물유도장치
JP2014169885A (ja) * 2013-03-01 2014-09-18 Shizuoka Seiki Co Ltd 水分測定装置および穀物乾燥機
JP2015049082A (ja) * 2013-08-30 2015-03-16 株式会社ケット科学研究所 穀類の単粒水分測定用の電極ロール構造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39906A (zh) * 2019-08-14 2019-10-18 安徽大洋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互联网的粮食水分在线测定仪
CN110339906B (zh) * 2019-08-14 2021-01-29 安徽大洋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互联网的粮食水分在线测定仪
CN110711641A (zh) * 2019-10-17 2020-01-21 广州千睿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粉碎方便的树枝粉碎装置
CN112557462A (zh) * 2020-12-18 2021-03-26 安徽大洋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电阻式粮食水分检测仪进料防堵装置
CN112557462B (zh) * 2020-12-18 2024-03-12 安徽大洋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电阻式粮食水分检测仪进料防堵装置
KR102357735B1 (ko) 2021-05-13 2022-02-08 국신국 건조벼 수분교반장치
CN115228566A (zh) * 2022-07-22 2022-10-25 赣南师范大学 一种柑橘皮渣制备可降解膜的柑橘皮渣处理装置
CN115228566B (zh) * 2022-07-22 2024-05-17 赣南师范大学 一种柑橘皮渣制备可降解膜的柑橘皮渣处理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1277B1 (ko) 곡물 수분 측정 장치
CN103940858B (zh) 一种电容式谷物水分在线检测方法及装置
CN102809585B (zh) 一种在线电阻式水份传感器
JP6127584B2 (ja) 水分測定装置および穀物乾燥機
KR20180063844A (ko) 분쇄된 커피를 위한 도우징 장치를 갖춘 분쇄-도우징 기계
CN106102531B (zh) 用于研磨和计量咖啡的设备
US7231814B2 (en) Moisture measuring device and method
CN206710153U (zh) 一种内壁嵌入式防干扰粮食水分检测装置
CN108745498A (zh) 一种谷物连续性推挤压料进送的粉碎装置
US5673862A (en) Grain mill
CN217288629U (zh) 一种粮食水分测试粉碎磨
CN108445048A (zh) 一种机载物联网谷物水分检测仪
CN206772663U (zh) 一种饲料的原料检测设备
US5005774A (en) Rapid, single kernel grain characterization system
US3994157A (en) Pellet crushing strength tester
CN207056714U (zh) 一种食品粉碎机
CN108187852A (zh) 一种市政工程用树枝粉碎装置
CN210613844U (zh) 一种猪饲料生产用粉碎机
CN104386294A (zh) 皮带定量给料装置
CN204142672U (zh) 谷物在线水份检测仪的双螺杆输送机构
CN220552666U (zh) 一种实验室用土壤检测用碾碎装置
CN203635239U (zh) 一种自平衡动态碾米机
CN216718284U (zh) 一种谷物水分计
CN219400484U (zh) 一种研磨装置
CA2081662C (en) Device for singulating particles including a rapid, single kernel grain characteriz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