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1237B1 - 이동 단말기 및 이에 의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서버 및 이에 의한 모바일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및 이에 의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서버 및 이에 의한 모바일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1237B1
KR102031237B1 KR1020180008405A KR20180008405A KR102031237B1 KR 102031237 B1 KR102031237 B1 KR 102031237B1 KR 1020180008405 A KR1020180008405 A KR 1020180008405A KR 20180008405 A KR20180008405 A KR 20180008405A KR 102031237 B1 KR102031237 B1 KR 1020312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hedule
information
related information
mobile terminal
i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8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9622A (ko
Inventor
원성준
최승연
Original Assignee
네이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이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네이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084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1237B1/ko
Publication of KR201900896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96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12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12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1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schedules, e.g. using calendar applications
    • H04M1/7256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04M1/7258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wireless LAN inte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 서버, 및 이들의 동작 방법이 제공된다. 이동 단말기의 동작 방법은 캘린더가 표시되는 제1 영역과 스케줄 목록이 표시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 단말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스케줄 목록에 등록된 일정 항목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일정 항목에 대하여 상기 단말 사용자가 입력한 일정 정보, 상기 이동 단말기의 상태, 현재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서버에 의해 생성되는 관련 정보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일정 정보 및 상기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및 이에 의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서버 및 이에 의한 모바일 서비스 제공 방법{Moblie terminal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using the same, and server and method for providing mobile service using the same}
본 개시는 이동 단말기 및 이에 의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서버 및 이에 의한 모바일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버와 이동 단말기가 서로 연동하여 단말 사용자의 스케줄을 지능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 단말기의 기능은 다양화되고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와 음성 통신, 카메라를 통한 사진 및 비디오 촬영, 음성 녹음,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 재생 및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이미지나 비디오를 출력하는 기능이 있다. 일부 단말기는 전자게임 플레이 기능이 추가되거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기능을 수행한다. 이동 단말기는 상술한 기본적인 기능들 이외에도, 단말 사용자들의 일정(schedule), 메모(memo), 기념일 등과 같은 이벤트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부가 서비스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부가 서비스 기능들은 이동 단말기에 의해 자체적으로 제공되거나, 혹은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받은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부가 서비스 기능들 중 스케줄 관리 기능은, 단말 사용자가 앞으로 수행하여야 할 일정 등을 스케줄 목록(schedule list)에 미리 등록해 두면, 바쁜 일상생활 속에서 단말 사용자가 중요한 일정을 잊고 지나치지 않도록 도와주는 기능을 수행하며, 예컨대 '캘린더 앱'의 형태로 지원된다. 그런데, 종래의 캘린더 앱은 단말 사용자의 주의를 환기시키는 리마인더(reminder) 기능만을 제공하고 있을 뿐, 단말 사용자가 해당 일정을 실질적으로 수행(또는 완료)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스케줄 관리 기능을 이용 시, 스케줄 목록에 등록된 항목들이 단말 사용자에 의해 실제로 수행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새로운 모바일 서비스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본 개시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단말 사용자의 일정을 스케줄 목록에 간편하게 등록하고, 스케줄 목록에 등록된 항목들을 지능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이동 단말기, 서버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가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스케줄 목록에 등록된 항목들이 단말 사용자에 의해 실제로 수행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이동 단말기, 서버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들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개시의 제1 측면에 따라서 서버와 통신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 방법은 캘린더가 표시되는 제1 영역과 스케줄 목록이 표시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 단말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스케줄 목록에 등록된 일정 항목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일정 항목에 대하여 상기 단말 사용자가 입력한 일정 정보, 상기 이동 단말기의 상태, 현재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서버에 의해 생성되는 관련 정보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일정 정보 및 상기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제2 측면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서버와의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무선 통신부,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캘린더가 표시되는 제1 영역과 스케줄 목록이 표시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단말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스케줄 목록에 등록된 일정 항목들 중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일정 항목에 대하여 상기 단말 사용자가 입력한 일정 정보, 상기 이동 단말기의 상태, 현재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서버에 의해 생성되는 관련 정보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일정 정보 및 상기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제3 측면에 따른 서버의 동작 방법은 캘린더가 표시되는 제1 영역과 스케줄 목록이 표시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UI)에 관한 정보를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스케줄 목록에 등록된 일정 항목들 중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일정 항목에 대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단말 사용자가 입력한 일정 정보, 상기 이동 단말기의 상태, 현재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선택된 일정 항목과 관련되는 관련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일정 정보 및 상기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관한 정보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제4 측면에 따른 서버는 캘린더가 표시되는 제1 영역과 스케줄 목록이 표시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UI)에 관한 정보를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일정 정보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수신된 일정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단말 사용자의 일정 항목을 상기 스케줄 목록에 등록하고, 상기 스케줄 목록에 등록된 상기 일정 항목들을 관리하는 스케줄 목록 관리부, 및 상기 스케줄 목록에 등록된 일정 항목들 중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일정 항목에 대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단말 사용자가 입력한 일정 정보, 상기 이동 단말기의 상태, 현재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선택된 일정 항목과 관련되는 관련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일정 정보 및 상기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관한 정보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모바일 서비스 제공부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제5 측면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의 동작 방법 또는 서버의 동작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스케줄 목록에 등록된 일정 항목들이 단말 사용자에 의해 실제로 실행될 수 있도록 해당 일정 항목과 관련되는 관련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종래의 이동 단말기와 차별화되는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동작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라서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라서 일정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라서 제1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라서 제2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라서 제3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라서 제4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라서 제5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구현될 수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것이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요소가 다른 요소와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요소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요소가 다른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요소 외에 또 다른 요소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라, 또 다른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일부 실시예들은 기능적인 블럭 구성들 및 다양한 처리 단계들로 설명될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블록들의 일부 또는 전부는 특정 기능을 실행하는 다양한 개수의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기능 블럭들은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에 의해 구현되거나, 소정의 기능을 위한 회로 구성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기능 블럭들은 다양한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기능 블럭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기능 블록이 수행하는 기능은 복수의 기능 블록에 의해 수행되거나, 본 개시에서 복수의 기능 블록이 수행하는 기능들은 하나의 기능 블록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본 개시는 전자적인 환경 설정, 신호 처리, 및/또는 데이터 처리 등을 위하여 종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간의 연결 선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일 뿐이다.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되는 다양한 기능적 연결, 물리적 연결, 또는 회로적 연결에 의해 구성요소들 간의 연결이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는 서비스 제공 서버와 이동 단말기가 서로 연동하여 단말 사용자의 일정을 지능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를 제공하는 방법들을 제안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은, 통신 네트워크(100), 서버(200), 및 이동 단말기(300)를 포함한다. 모바일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서버(20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외부 서버(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300)와 서버(200)는 통신 네트워크(100)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통신 네트워크(100)는 유선 네트워크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 네트워크(100)는 근거리 네트워크(LAN: Local Area Network), 도시권 네트워크(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광역 네트워크(WAN: Wide Area Network) 등과 같은 다양한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네트워크(100)는 월드 와이드 웹(WWW: World Wide Web)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통신 네트워크(100)는 앞에서 열거된 네트워크에 국한되지 않고, 공지의 무선 데이터 네트워크, 공지의 전화 네트워크, 공지의 유/무선 텔레비전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동 단말기(300)는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기반으로 단말 사용자에게 모바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버(200)가 웹 서버인 경우, 이동 단말기(300)는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컨텐츠를 기초로 웹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300)에는 스케줄 목록(schedule list)을 관리하고 스케줄 목록에 등록된 일정 항목들과 관련된 모바일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이하, '캘린더 애플리케이션'이라 지칭함)이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이동 단말기(300)는 앱 스토어(app store) 또는 플레이 스토어(play store) 등에 접속하여 캘린더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거나, 별도의 저장매체를 통해 캘린더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300)는 서비스 제공 서버(200), 외부 서버(400), 또는 다른 장치와의 유/무선 통신을 통해 캘린더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할 수도 있다.
이동 단말기(300)는 미리 설정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이미 설치된 캘린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캘린더 애플리케이션 실행 시, 이동 단말기(300)는 캘린더가 표시되는 제1 영역과 스케줄 목록이 표시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부(도 3의 320)에 표시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300)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단말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스케줄 목록에 등록된 일정 항목들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300)는 선택된 일정 항목에 대하여 단말 사용자가 입력한 일정 정보, 이동 단말기(300)의 상태, 현재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서버(200)에 의해 생성되는 관련 정보를 서버(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300)는 선택된 일정 항목에 대하여 단말 사용자가 입력한 일정 정보 및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부(320)에 표시할 수 있다. 단말 사용자는 선택된 일정 항목을 실제로 실행함에 있어서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포함되는 일정 정보 및 관련 정보를 통해 도움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300)는 스케줄 목록에 등록된 일정 항목들을 지능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300)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서버(200)는 서비스 제공 서버 또는 서비스 제공자(service provider)로서, 이동 단말기(300)에서 요청하는 모바일 서비스(mobile service)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버(200)가 웹 서버인 경우, 서버(200)는 이동 단말기(300)에서 요청하는 컨텐츠(content)를 웹 페이지 형태로 구성하여 이동 단말기(300)로 제공할 수 있다.
서버(200)는 단말 사용자들의 스케줄 목록을 관리하고 스케줄 목록에 등록된 일정 항목들과 관련된 모바일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에 관한 정보를 이동 단말기(300)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버(200)는 캘린더가 표시되는 제1 영역과 스케줄 목록이 표시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UI)에 관한 정보를 이동 단말기(300)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200)는 스케줄 목록에 등록된 일정 항목들 중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일정 항목에 대하여 이동 단말기(300)의 단말 사용자가 입력한 일정 정보, 이동 단말기(300)의 상태, 현재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선택된 일정 항목과 관련되는 관련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서버(200)는 외부 서버(40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서버(200)는 외부 서버(400)로부터 관련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서버(200)는 선택된 일정 항목의 일정 정보 및 선택된 일정 항목과 관련되는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관한 정보를 이동 단말기(300)로 전송할 수 있다.
외부 서버(400)는 통신 가능하게 서버(200)에 연결될 수 있다. 외부 서버(400)는 통신 네트워크(100)를 통해 서버(200) 및 이동 단말기(300)에 연결될 수 있다. 외부 서버(400)는 단말 사용자가 선택된 일정 항목을 실제로 실행하는데 도움이 되는 관련 정보를 서버(200)로 제공할 수 있다. 관련 정보는 선택된 일정 항목의 일정 정보, 이동 단말기(300)의 상태, 현재 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관련 정보는 교통 정보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외부 서버(400)는 교통 정보 제공 서버일 수 있다. 관련 정보는 장소 추천 정보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외부 서버(400)는 포털 사이트 서버일 수 있다. 관련 정보는 날씨 정보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외부 서버(400)는 기상 정보 제공 서버일 수 있다. 그 외에도, 외부 서버(400)는 전자상거래 서버, 쇼핑몰 서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서버(200)는 통신부(210), UI 정보 제공부(220), 스케줄 목록 관리부(230), 모바일 서비스 제공부(240), 데이터베이스(250) 및 제어부(260)를 포함한다. 서버(200)는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210-260) 중 일부를 포함하거나,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210-260) 외에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유선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유선 통신 모듈과 무선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유선 통신 모듈은 유선 통신을 위한 기술 표준 또는 통신 방식(예컨대, 이더넷(Ethernet), PLC(Power Line Communication), 홈 PNA(Home PNA), IEEE 1394 등)에 따라 구축된 유선 통신망 상에서 다른 서버(예컨대, 외부 서버(400)), 기지국, AP(access point) 중 적어도 하나와 유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은, 무선 통신을 위한 기술 표준 또는 통신 방식(예컨대,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WCDMA(Wideband CDMA),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무선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Access Point 및 중계기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통신부(210)는 예컨대 캘린더 및 스케줄 목록을 포함하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UI)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UI)에 관한 정보 등을 이동 단말기(300)로 전송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예컨대 일정 정보와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UI)와 같은 모바일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이동 단말기(300)로 전송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이동 단말기(300)로부터 단말 사용자가 입력하는 일정 정보, 단말 사용자가 선택한 일정 항목에 관한 정보, 단말 사용자의 설정 정보 등을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이동 단말기(300)에서 요청하는 모바일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UI 정보 제공부(220)는 단말 사용자들의 스케줄 목록을 관리하고 스케줄 목록에 등록된 일정 항목들과 관련된 모바일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에 관한 정보(예컨대, 화면 구성 정보)를 생성하여 통신부(210)로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UI)는 캘린더가 표시되는 제1 영역과 스케줄 목록이 표시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에 표시되는 캘린더에는 현재 날짜가 포함될 수 있다. 제2 영역에 표시되는 스케줄 목록은 제1 영역에 표시되는 캘린더의 날짜들에 대응할 수 있다. 화면 구성 정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구성하는 그래픽 객체들(graphic objects)의 구조 및 배치에 관한 정보,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포함되는 항목들 및 컨텐츠에 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화면 구성 정보는 UI 명령어로 제작될 수 있으며, UI 명령어는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CSS(Cascading Style Sheets), 자바스크립트(Java Script),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등의 다양한 웹 언어로 제작된 웹 스크립트일 수 있다.
스케줄 목록 관리부(230)는 이동 단말기(300)를 통해 단말 사용자가 입력하는 일정 정보를 기초로 단말 사용자의 일정 항목을 스케줄 목록에 등록하고, 스케줄 목록에 등록된 일정 항목들을 관리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300)를 통해 단말 사용자가 입력하는 정보는 이동 단말기(3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입력되는 텍스트 정보이거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되는 메뉴 정보 등일 수 있다.
모바일 서비스 제공부(240)는 단말 사용자의 스케줄 목록에 등록된 일정 항목들을 실제로 실행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통신부(210)로 제공할 수 있다. 모바일 서비스 제공부(240)는 외부 서버(400)로부터 관련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관련 정보는 선택된 일정 항목의 일정 정보, 이동 단말기(300)의 상태, 현재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외부 서버(400)로부터 수집될 수 있다. 모바일 서비스 제공부(240)는 단말 사용자의 선택된 일정 항목을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동작, 기능, 앱 서비스 또는 동작 옵션 메뉴 등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여 통신부(210)로 제공할 수도 있다.
데이터베이스(250)는 이동 단말기들(300)의 단말 사용자들의 스케줄 목록들, 및 스케줄 목록들 각각에 저장된 일정 항목들을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250)는 이동 단말기(300) 또는 외부 서버(400)로부터 수신된 정보 또는 데이터, 서버(200)에 의해 자체적으로 생성되는 정보 또는 데이터, 이동 단말기(300) 또는 외부 서버(400)로 제공할 정보 또는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250)는 단말 사용자의 스케줄 목록에 등록된 일정 항목과 스케줄 목록으로부터 삭제된 일정 항목을 모두 포함하는 일정 항목들에 관한 로그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로그 정보는 단말 사용자가 주기적으로 실행하는 일정을 미리 예측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로그 정보는 예측된 일정 또는 새로 수신된 일정을 수행하기 위한 빈 시간을 스케줄 목록에서 찾아 추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제어부(260)는 서버(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260)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서버(200) 상에서 구현하기 위하여 전술한 구성요소들(210-250)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260)는 단말 사용자의 스케줄 목록을 관리하고 제1 및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전송하는 모바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반적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300)는 무선 통신부(310), 디스플레이부(320), 입력부(330), 메모리(340) 및 제어부(350)를 포함한다. 이동 단말기(300)는 도 3에 도시된 구성요소들(310-350) 중 일부를 포함하거나, 도 3에 도시된 구성요소들(310-350) 외에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310)는 이동 통신 모듈(311), 근거리 통신 모듈(313), 및 무선 인터넷 모듈(315)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300)는 무선 통신부(310)를 통해 '캘린더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데이터 및 정보를 서버(200)와 송수신할 수 있다.
이동 통신 모듈(311)은 이동 통신을 위한 기술 표준 또는 통신 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PA(High Speed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에서 인접 기지국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313)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315)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로서, 무선 인터넷 기술들에 따른 통신망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이루어진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등이 있으며, 무선 인터넷 모듈(315)은 전술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20)는 이동 단말기(3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출력 또는 표시한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부(320)는 이동 단말기(3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사용자 인터페이스(UI) 정보,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20)는 터치 패널과 적층 구조를 이루거나 터치 패널과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은 이동 단말기(3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함과 동시에, 이동 단말기(3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입력부(33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또는 오디오 입력부, 단말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330)를 통해 수신한 데이터는 제어부(350)에 의해 분석되고 단말 사용자의 제어 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메모리(340)는 이동 단말기(3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340)는 이동 단말기(300)에 설치된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이동 단말기(3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및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340)는 단말 사용자의 스케줄 목록을 관리하고 스케줄 목록에 등록된 일정 항목들과 관련된 모바일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예컨대, 캘린더 애플리케이션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34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SSD 타입(Solid State Disk type), SDD 타입(Silicon Disk Drive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컨대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50)는 이동 단말기(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50)는 메모리(34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50)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이동 단말기(300)에서 구현하기 위하여 전술한 구성요소들(310-340)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350)는 단말 사용자의 명령, 서버(200)로부터의 신호, 또는 내부 알고리즘에 대응하여 메모리(340)에 저장된 '캘린더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할 수 있다. 제어부(350)는 캘린더가 표시되는 제1 영역과 스케줄 목록이 표시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부(320)에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350)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단말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고, 단말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스케줄 목록에 등록된 일정 항목들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제어부(350)는 선택된 일정 항목에 대한 정보를 서버(200)로 송신하고, 선택된 일정 항목과 관련되는 관련 정보를 서버(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관련 정보는 선택된 일정 항목의 일정 정보, 이동 단말기(300)의 상태, 현재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서버(200)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일정 정보는 선택된 일정 항목에 대하여 단말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일 수 있다. 제어부(350)는 단말 사용자가 선택된 일정 항목을 실제로 실행할 수 있도록 선택된 일정 항목의 일정 정보 및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부(320)에 표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350)는 단말 사용자의 스케줄 목록을 관리하고, 스케줄 목록에 등록된 일정 항목들 중에서 선택된 일정 항목이 단말 사용자에 의해 실제로 수행될 수 있도록 선택된 일정 항목의 일정 정보 및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모바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이동 단말기(300)는 위치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위치 감지부는 예컨대 GPS 모듈일 수 있다. 이동 단말기(300)는 위치 감지부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300)의 현재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동작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260)는 이동 단말기(300)로부터 특정 모바일 서비스(예컨대, 스케줄 관리 서비스)를 요청하는 신호가 수신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S410). 모바일 서비스를 요청하는 신호에는 요청하는 모바일 서비스의 종류에 관한 정보와 이동 단말기(300)의 식별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단계(S410)의 확인 결과, 이동 단말기(300)로부터 모바일 서비스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260)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UI)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여 이동 단말기(300)로 전송할 수 있다(S420).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관한 정보는 단말 사용자의 스케줄 목록을 관리하고 스케줄 목록에 등록된 일정 항목들과 관련된 모바일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예컨대,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캘린더가 표시되는 제1 영역과 스케줄 목록이 표시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에는 기본적으로 현재 날짜를 포함하는 캘린더가 표시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1 영역에는 현재 날짜를 포함하는 한 달의 캘린더가 표시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르면, 제1 영역에는 현재 날짜를 포함하는 한 주의 캘린더가 표시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 따르면, 제1 영역에는 현재 날짜를 포함하는 미리 설정된 기간의 캘린더가 표시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 따르면, 제1 영역에는 현재 날짜의 24시간이 표시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 따르면, 제1 영역에 표시되는 캘린더는 최근에 표시된 날짜 또는 기간이 표시될 수도 있다.
제2 영역에는 제1 영역에 표시되는 날짜의 일정 항목들을 포함하는 스케줄 목록이 표시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1 영역에 현재 날짜를 포함하는 한 달의 캘린더가 표시되는 경우, 제2 영역에는 제1 영역에 표시되는 한 달 동안의 일정 항목들을 포함하는 스케줄 목록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현재 날짜 및 시간에 가장 가까운 미래의 일정 항목이 제2 영역의 최상단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영역을 아래로 스크롤할 경우 과거의 일정 항목들이 일정의 시간 순서대로 제2 영역에 표시되고, 제2 영역을 위로 스크롤할 경우 미래의 일정 항목들이 일정의 시간 순서대로 제2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UI)에는 새로운 일정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영역, 버튼 또는 메뉴가 존재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UI)에는 제1 영역에 표시되는 날짜 또는 기간을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존재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UI)에는 제1 영역에 표시되는 날짜 또는 기간을 변경하기 위한 버튼 또는 메뉴가 존재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르면,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UI)에서 제1 영역을 터치한 후 좌우로 이동함으로써 새로운 날짜 또는 기간을 표시하는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
제어부(260)는 이동 단말기(300)에 표시되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통해 단말 사용자가 입력하는 사용자 입력 정보가 이동 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S430).
사용자 입력 정보는 새로운 일정 정보일 수 있다. 일정 정보는 일정 제목(title) 및 일정 날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정 정보는 일정 장소, 일정 시간, 일정 참석자, 일정 내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정 장소, 일정 시간, 일정 참석자는 제어부(260)에 의해 일정 제목으로부터 자동으로 추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정 제목이 "은별과 홍대에서 점심"인 경우, 제어부(260)는 일정 제목으로부터 일정 참석자가 은별이고, 일정 장소는 홍대이고, 일정 시간은 대략 점심 시간임을 추출할 수 있다. 일정 정보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텍스트 형태로 입력될 수도 있고,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공하는 메뉴를 통해 입력될 수도 있다.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자동 완성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정보는 스케줄 목록에 등록된 일정 항목들 중 하나 또는 복수의 일정 항목을 삭제하는 명령일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정보는 스케줄 목록에 등록된 일정 항목들 중 하나 또는 복수의 일정 항목의 일정 정보를 변경하는 명령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입력 정보는 일정 항목의 일정 장소, 일정 날짜, 일정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명령일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정보는 스케줄 목록에 등록된 일정 항목들 중 하나 또는 복수의 일정 항목이 완료되었음을 표시하는 정보일 수 있다.
제어부(260)는 이동 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 정보에 따라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440). 일 예에 따라서, 사용자 입력 정보가 새로운 일정 정보인 경우, 제어부(260)는 새로운 일정 정보를 기초로 신규 일정 항목을 스케줄 목록에 등록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라서, 사용자 입력 정보가 일정 항목 삭제 또는 변경 명령인 경우, 제어부(260)는 스케줄 목록에 등록된 일정 항목들 중에서 선택된 일정 항목을 삭제 또는 변경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 따라서, 사용자 입력 정보가 일정 항목 완료 표시 정보인 경우, 제어부(260)는 스케줄 목록에 등록된 일정 항목들 중에서 선택된 일정 항목이 완료되었음을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260)는 스케줄 목록에 등록된 일정 항목들을 지능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S450). 서버(200)는 여러 이동 단말기들(300)과 연동할 수 있으며, 제어부(260)는 단말 사용자들마다 스케줄 목록에 등록된 일정 항목들을 관리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어부(260)는 스케줄 목록에 등록된 일정 항목들의 일정 정보에 따라 일정 항목들을 여러 카테고리들로 분류하여 관리할 수 있다. 카테고리의 종류는 예컨대 전화, 문자, 미팅, 송금, 영화, 여행, 읽기, 예약, 구매, 알아보기, 찾아가기 등일 수 있다. 제어부(260)는 일정 항목이 속하는 카테고리의 종류에 따라 해당 일정 항목의 관련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일정 항목이 전화 카테고리에 속하는 경우, 제어부(260)는 전화할 상대방의 전화번호, 또는 전화 애플리케이션을 호출하는 아이콘 또는 링크를 관련 정보로서 이동 단말기(300)에 제공할 수 있다. 관련 정보는 선택된 일정 항목이 속하는 카테고리마다 달라질 수 있다.
다른 예에 딸르면, 제어부(260)는 스케줄 목록에 등록된 일정 항목들을 주기적으로 분석하고, 일정 항목의 일정 시간이 가까워지면 해당 일정 항목에 대한 리마인더(reminder)를 이동 단말기(300)에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260)는 이동 단말기(300)에 표시되는 스케줄 목록에 등록된 일정 항목들 중에서 단말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일정 항목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260)는 스케줄 목록에 등록된 일정 항목들 중에서 일정 항목이 선택되면(S460), 제어부(260)는 선택된 일정 항목과 관련되는 모바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S470). 예를 들면, 제어부(260)는 단말 사용자가 선택된 일정 항목을 실제로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동작, 기능 또는 앱 서비스 등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여 이동 단말기(300)로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260)는 단말 사용자가 선택된 일정 항목을 실제로 실행하기 위해 동작 옵션 메뉴들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여 이동 단말기(300)로 제공할 수 있다.
선택된 일정 항목과 관련되는 모바일 서비스는 선택된 일정 항목의 일정 정보와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UI)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선택된 일정 항목의 일정 정보는 단말 사용자가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하는 일정 제목 및 일정 날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정 정보는 선택된 일정 항목의 일정 장소, 일정 시간, 일정 참석자, 또는 일정 내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일정 장소, 일정 시간, 및 일정 참석자 중 적어도 하나는 단말 사용자가 직접 입력한 정보일 수도 있고, 서버(200) 또는 이동 단말기(300)에 의해 일정 제목으로부터 추출한 정보일 수 있다.
선택된 일정 항목의 관련 정보는 단말 사용자가 선택된 일정 항목을 실제로 실행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정보로서, 단말 사용자가 입력한 일정 정보, 이동 단말기(300)의 위치와 같은 상태, 현재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제어부(260)에 의해 생성되는 정보일 수 있다. 제어부(260)는 선택된 일정 항목의 일정 정보, 이동 단말기(300)의 상태, 현재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외부 서버(400)를 통해 관련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관련 정보는 이동 단말기(300)의 현재 위치에서 선택된 일정 항목의 일정 장소로 이동하기 위한 교통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교통 정보는 이동 수단에 따른 이동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60)는 이동 시간을 기초로 알림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260)는 일정 항목의 일정 시간으로부터 알림 시간 전에 이동 단말기(300)로 선택된 일정 항목에 대한 리마인더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외부 서버(400)는 교통 정보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르면, 관련 정보는 선택된 일정 항목의 일정 날짜와 일정 장소의 날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외부 서버(400)는 날씨 정보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 따르면, 관련 정보는 선택된 일정 항목의 일정 장소 및 단말 사용자의 현재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결정되는 장소 추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선택된 일정 항목의 일정 장소가 구체적인 매장 또는 주소로 설정되지 않고 지역으로 설정된 경우, 제어부(260)는 해당 지역의 유명 장소들을 외부 서버(400)로부터 수집하고, 장소 추천 정보를 생성하여 이동 단말기(3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외부 서버(400)는 포털 사이트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 따르면,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260)는 단말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일정 항목이 속하는 카테고리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종류의 관련 정보들을 이동 단말기(300)로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260)는 해당 모바일 서비스(예컨대, 스케줄 관리 서비스)를 종료하는 신호가 이동 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될 때까지, 전술한 단계(S420) 내지 단계(S470)의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350)는 단말 사용자의 명령 등에 따라 홈 화면(home screen) 또는 메뉴 화면(menu screen)을 디스플레이부(320)에 표시할 수 있다. 홈 화면 또는 메뉴 화면에는 이동 단말기(3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들 각각에 대응하는 앱 아이콘들(app icon) 및/또는 위젯들(widget)이 배치될 수 있다. 홈 화면 또는 메뉴 화면에는 '캘린더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캘린더 앱 아이콘이 배치될 수 있다.
홈 화면 또는 메뉴화면에 표시된 캘린더 앱 아이콘이 선택되는 경우(S510), 제어부(350)는 캘린더 앱 아이콘에 대응하는 캘린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S520).
캘린더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제어부(350)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디스플레이부(320)에 표시할 수 있다(S530).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UI)는 도 6에 예시적으로 도시되며, 캘린더가 표시되는 제1 영역과 스케줄 목록이 표시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20)에는 제1 영역과 제2 영역이 동시에 표시될 수도 있고, 단말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제1 영역과 제2 영역이 선택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부(320)에는 제1 탭과 제2 탭이 표시될 수 있으며, 제1 탭이 선택되면 디스플레이부(320)에 제1 영역이 표시되고, 제2 탭이 선택되면 디스플레이부(320)에 제2 영역이 표시될 수 있다.
제1 영역에는 현재 날짜를 포함하는 캘린더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영역에는 현재 날짜를 포함하는 한 달의 캘린더, 현재 날짜를 포함하는 한 주의 캘린더, 현재 날짜를 포함하는 미리 설정된 기간의 캘린더, 또는 현재 날짜의 24시간이 표시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르면, 제1 영역에는 최근에 표시되었던 날짜 또는 기간의 캘린더가 표시될 수도 있다.
제2 영역에는 제1 영역에 표시되는 날짜의 일정 항목들을 포함하는 스케줄 목록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영역에 현재 날짜를 포함하는 한 달의 캘린더가 표시되는 경우, 제2 영역에는 제1 영역에 표시되는 한 달 동안의 일정 항목들을 포함하는 스케줄 목록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현재 날짜 및 시간에 가장 가까운 미래의 일정 항목이 제2 영역의 최상단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영역을 상하로 스크롤함에 따라 과거 또는 미래의 일정 항목들이 시간 순서대로 제2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UI)에는 제1 영역에 표시되는 날짜 또는 기간을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존재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UI)에는 제1 영역에 표시되는 날짜 또는 기간을 변경하기 위한 버튼 또는 메뉴가 존재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르면,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UI)에서 제1 영역을 터치한 후 좌우로 이동함으로써 새로운 날짜 또는 기간을 표시하는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UI)는 제1 영역과 제2 영역 외에도 다양한 버튼 또는 메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말 사용자는 버튼 또는 메뉴를 이용하여 새로운 일정 정보를 입력하거나, 기존 일정 항목의 일정 정보를 변경하거나, 기존 일정 항목을 삭제하거나, 캘린더 어플리케이션의 설정값을 변경할 수 있다.
제어부(350)는 단말 사용자의 사용자 입력 정보가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통해 입력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540). 사용자 입력 정보는 예컨대 새로운 일정 정보일 수 있다. 일정 정보는 일정 제목(title) 및 일정 날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정 정보는 일정 장소, 일정 시간, 일정 참석자, 일정 내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정 장소, 일정 시간, 일정 참석자는 제어부(350)에 의해 일정 제목으로부터 자동으로 추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정 제목이 "지훈과 동네에서 당구"인 경우, 제어부(260)는 일정 제목으로부터 일정 참석자가 지훈이고, 일정 장소는 동네, 즉, 집 근처임을 추출할 수 있다. 일정 정보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텍스트 형태로 입력될 수도 있고,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공하는 메뉴를 통해 입력될 수도 있다.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자동 완성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정보는 스케줄 목록에 등록된 일정 항목들 중 하나 또는 복수의 일정 항목을 삭제하는 명령일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정보는 스케줄 목록에 등록된 일정 항목들 중 하나 또는 복수의 일정 항목의 일정 정보를 변경하는 명령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입력 정보는 일정 항목의 일정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변경하는 명령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정 제목이 변경되거나, 일정 시간이 변경되거나, 일정 참석자가 변경되거나, 일정 장소가 변경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정보는 스케줄 목록에 등록된 일정 항목들 중 하나 또는 복수의 일정 항목이 완료되었음을 표시하는 정보일 수 있다.
단계(S540)에서 단말 사용자가 새로운 일정 정보를 입력한 경우, 제어부(350)는 새로운 일정 정보에 대응하는 신규 일정 항목을 스케줄 목록에 등록할 수 있다(S550). 제어부(350)는 사용자 입력 정보에 따라, 스케줄 목록에 등록된 일정 항목들 중에서 해당 일정 항목을 삭제하거나 변경할 수도 있다.
제어부(350)는 단말 사용자의 스케줄 목록에 등록된 일정 항목들을 지능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S560). 일 예에 따르면, 제어부(350)는 스케줄 목록에 등록된 일정 항목들의 일정 정보에 따라 일정 항목들을 여러 카테고리들로 분류하여 관리할 수 있다. 카테고리의 종류는 예컨대 전화, 문자, 미팅, 송금, 영화, 여행, 읽기, 예약, 구매, 알아보기, 찾아가기 등일 수 있다. 제어부(350)는 일정 항목이 속하는 카테고리의 종류에 따라 해당 일정 항목의 관련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일정 항목이 전화 카테고리에 속하는 경우, 제어부(350)는 전화할 상대방의 전화번호, 또는 전화 애플리케이션을 호출하는 아이콘 또는 링크를 관련 정보로서 디스플레이부(320)에 표시할 수 있다. 관련 정보는 선택된 일정 항목이 속하는 카테고리마다 달라질 수 있다.
다른 예에 딸르면, 제어부(350)는 스케줄 목록에 등록된 일정 항목들을 주기적으로 분석하고, 일정 항목의 일정 시간이 가까워지면 해당 일정 항목에 대한 리마인더(reminder)를 디스플레이부(320)에 표시하거나, 음성 또는 햅틱 알림을 제공함으로써 단말 사용자가 해당 일정 항목을 잊지 않게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350)는 캘린더 애플리케이션 실행 시 서버(200)와 연동하여 단말 사용자의 스케줄 목록에 등록된 일정 항목들을 지능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표시되는 스케줄 목록의 일정 항목들 중에서 일정 항목이 선택되면(S570), 제어부(350)는 선택된 일정 항목에 대응하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부(320)에 표시할 수 있다(S580).
일 예에 따르면, 단말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320)에 표시되는 스케줄 목록의 일정 항목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일정 항목을 터치할 수 있으며, 제어부(350)는 이러한 단말 사용자의 터치를 수신하고, 단말 사용자의 터치에 대응하는 일정 항목을 선택할 수 있다. 제어부(350)는 선택된 일정 항목에 관한 정보를 서버(200)로 송신하고, 서버(200)로부터 선택된 일정 항목에 관한 관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350)는 선택된 일정 항목에 관한 일정 정보를 메모리(340)에 저장하고 있거나, 서버(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350)는 선택된 일정 항목에 대응하는 일정 정보와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부(320)에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르면, 제어부(350)는 단말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일정 항목을 실제로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동작, 기능 또는 앱 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 따르면, 제어부(350)는 단말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일정 항목을 실제로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하나 이상의 동작 옵션 메뉴들을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포함시킬 수 있다.
제어부(350)는 사용자 명령 등에 따라 현재 실행 중인 캘린더 애플리케이션이 종료할 때까지 전술한 단계(S530) 내지 단계(S580)의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S590).
아래에서는, 도 6 내지 도 12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서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이용하여 단말 사용자의 스케줄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6 내지 도 12에 도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UI)는 오로지 예시적이며, 본 발명적 사상을 한정하지 않는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라서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이동 단말기(300)는 사용자 명령 등에 따라 홈 화면을 디스플레이부(320)에 표시할 수 있다. 홈 화면에는 캘린더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캘린더 앱 아이콘이 배치될 수 있다. 단말 사용자가 홈 화면에 표시된 캘린더 앱 아이콘을 선택하면, 이동 단말기(300)는 캘린더 앱 아이콘에 대응하는 캘린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캘린더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이동 단말기(300)는 예시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600)를 디스플레이부(320)에 표시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600)는 제1 영역(R1)과 제2 영역(R2)을 포함한다. 제1 영역(R1)에는 캘린더(610)가 표시되고, 제2 영역(R2)에는 제1 내지 제4 일정 항목들(621-624)을 포함하는 스케줄 목록(620)이 표시된다.
일 예에 따라서, 제1 영역(R1)에는 현재 날짜(611)를 포함하는 한 달의 캘린더(610)가 표시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르면, 제1 영역(R1)에는 한 달 외에, 1주, 미리 설정된 기간, 1일의 캘린더가 표시될 수도 있다. 1일의 캘린더가 표시되는 경우, 제1 영역(R1)에는 24시간이 표시될 수도 있다.
제2 영역(R2)에는 제1 내지 제4 일정 항목들(621-624)이 일정의 시간 순서에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제1 일정 항목(621)의 경우, '1월 25일'이 일정 날짜이고, '영화 1987'이 일정 제목이고, '오후 6:00-오후 8:20'이 일정 시간이다. 제2 일정 항목(622)의 경우, '1월 26일'이 일정 날짜이고, '슬기랑 점심'이 일정 제목이고, '오후 12:00-오후 1:00'이 일정 시간이다. 이동 단말기(300) 또는 서버(200)는 제2 일정 항목(622)의 일정 제목으로부터 '슬기'가 일정 참석자임을 추출할 수 있다. 제3 일정 항목(623)의 경우, '1월 28일'이 일정 날짜이고, '전주 여행'이 일정 제목이다. 일정 시간은 입력되지 않아서 미정 상태이다. 이동 단말기(300) 또는 서버(200)는 제3 일정 항목(623)의 일정 제목으로부터 '전주'가 일정 장소임을 추출할 수 있다. 제4 일정 항목(624)의 경우, '1월 30일'이 일정 날짜이고, '용기님과 포시애틀'이 일정 제목이고, '오후 1:00-오후 2:30'이 일정 시간이다. 이동 단말기(300) 또는 서버(200)는 제4 일정 항목(624)의 일정 제목으로부터 '포시애틀'이 일정 장소임을 추출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300) 또는 서버(200)는 제1 일정 항목(621)은 영화 카테고리에 속하고, 제2 일정 항목(622)은 미팅 카테고리에 속하고, 제3 일정 항목(623)은 여행 카테고리에 속하고, 제4 일정 항목(624)은 미팅 카테고리에 속한다고 결정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600)는 새로운 일정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일정 추가 아이콘(630)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 사용자는 일정 추가 아이콘(630)을 이용하여 새로운 일정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새로운 일정 정보는 일정 날짜와 일정 제목을 포함할 수 있다. 일정 날짜는 일정 추가 아이콘(630)을 선택한 후 년, 월, 일을 각각 지정함으로써 입력될 수도 있고, 제1 영역(R1)에 표시되는 캘린더(610)에서 날짜를 먼저 선택한 후, 일정 추가 아이콘(630)을 선택함으로써 캘린더(610)에서 선택된 날짜로 지정될 수 있다.
제1 영역(R1)의 상단에는 제1 영역(R1)에 표시된 캘린더가 언제의 캘린더인지를 나타내는 캘린더 표시 영역(641), 제1 영역(R1)에 표시되는 캘린더에 오늘이 포함되도록 하기 위한 오늘 이동 영역(642), 및 캘린더 애플리케이션의 설정 등을 변경하기 위한 메뉴 영역(643) 중 적어도 하나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600)에서 단말 사용자가 제1 일정 항목(621)을 선택한 경우에 이동 단말기(300)의 디스플레이부(320)에 표시되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도 7에 도시된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라서 일정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700a)는 제1 일정 항목(621)의 일정 제목(701)을 포함한다.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700a)는 제1 일정 항목(621)을 삭제할 수 있는 삭제 아이콘(70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700a)는 제1 일정 항목(621)의 일정 정보를 변경할 수 있는 변경 버튼(703)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700a)는 일정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제1 탭(711)과 관련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제2 탭(7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일정 항목(621)은 영화 카테고리에 속한다고 결정되므로, 관련 정보는 영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관련 정보가 복수인 경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700a)는 더 많은 탭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서는 제1 탭(711)이 선택된 것이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700a)를 통해 제1 일정 항목(621)의 일정 정보가 이동 단말기(300)의 디스플레이부(320)에 표시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탭(711)의 선택에 의하여, 또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600)에서 제1 일정 항목(621)를 선택한 결과에 따라 기본 설정(default)에 의해, 제1 일정 항목(621)의 일정 정보(730)이 표시된다.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700a)에 의해 일정 시간(731), 일정 장소(732), 리마인더 시간(733), 연동 애플리케이션(734), 및 일정 메모(735)를 포함하는 일정 정보(730)가 디스플레이부(320)에 표시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320)에는 일정 시간(731), 일정 장소(732), 리마인더 시간(733), 연동 애플리케이션(734), 및 일정 메모(735) 중 일부가 표시되거나, 다른 정보(예컨대, 일정 참석자)가 더 표시될 수도 있다. 도 7에 도시되는 일정 정보(730)는 단말 사용자가 직접 입력한 정보일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르면, 일정 정보(730)는 일정 제목(730)으로부터 추출된 것일 수 있다.
제2 탭(712)을 선택한 경우에, 이동 단말기(300)의 디스플레이부(320)에 표시되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도 8에 도시된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라서 제1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700b)는 제1 일정 항목(621)의 관련 정보로서 영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일정 항목(621)은 영화 카테고리에 속하므로, 제1 일정 항목(621)과 관련되는 영화에 관한 정보가 관련 정보로서 디스플레이부(320)에 표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20)에는 제1 일정 항목(621)의 일정 제목(701)과 관련되는 영화들에 관한 제1 관련 정보(740)가 표시될 수 있다. 제1 관련 정보(740)는 제1 영화 정보(741)과 제2 영화 정보(7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관련 정보(740)를 아래로 스크롤할 경우, 더 많은 영화 정보가 표시될 수도 있다. 단말 사용자가 제1 영화 정보(741)를 터치 또는 선택할 경우, 이동 단말기(300)는 제1 영화 정보(741)에 관한 상세 설명을 제공하기 위해 웹 브라우저를 실행시키고 제1 영화 정보(741)에 링크된 주소의 웹 페이지를 디스플레이부(320)에 표시할 수 있다.
서버(200)는 포털 사이트 서버와 같은 외부 서버(400)에 접속하여 제1 영화 정보(741) 및 제2 영화 정보(742)를 수집하여, 제1 관련 정보(740)를 생성할 수 있다. 서버(200)는 제1 관련 정보(720)를 이동 단말기(300)에 제공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라서 제2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700c)는 단말 사용자가 제1 일정 항목(621)을 실제로 수행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관련 정보로서 교통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700c)는 디스플레이부(320)에 교통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제3 탭(713)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3 탭(713)이 선택되면 도 9에 도시된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700c)가 디스플레이부(320)에 표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20)에는 제1 일정 항목(621)의 일정 장소(732)로 이동하기 위한 교통 정보를 포함하는 제2 관련 정보(750)가 표시될 수 있다. 제2 관련 정보(750)는 출발 장소(751), 도착 장소(752), 및 교통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출발 장소(751)는 이동 단말기(300)의 위치 감지부가 감지한 현재 위치일 수 있다. 도착 장소(752)는 제1 일정 항목(621)의 일정 장소(732)일 수 있다.
교통 정보는 교통 수단 별 소요 시간 및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교통 정보는 대중 교통을 이용할 때 소요되는 시간 및 방법(753), 택시를 이용할 때 소요되는 시간, 거리 및 예상 비용(754), 및 자가용을 이용할 때 소요되는 시간 및 거리(755)를 포함할 수 있다.
교통 정보를 표시하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700c)는 단말 사용자가 제1 일정 항목(621)을 수행하기 위해 이동하기 위한 이동수단을 선택하기 위한 영역(761)과 이동에 소요되는 소요시간을 고려한 알림 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영역(762)을 포함하는 설정 영역을 제공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수단으로 자가용을 선택하고, 알림 시간을 출발 10분 전으로 설정한 경우, 이동 단말기(300)는 자가용을 이용할 때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는 38분을 고려하여 단말 사용자에게 제1 일정 항목(621)에 대한 리마인더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예에서 이동 단말기(300)는 제1 일정 항목(621)의 일정 시간의 시작 시간이 오후 6시이므로, 소요 시간과 알람 설정 시간을 더한 48분 전, 즉, 5시 12분에 제1 일정 항목(621)에 대한 리마인더를 단말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서버(200)는 이동 단말기(300)로부터 이동 단말기(300)의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교통 정보 제공 서버와 같은 외부 서버(400)에 접속하여 출발 장소(751)와 도착 장소(752)를 입력하여 교통 정보(753-755)를 수집할 수 있다. 이때, 이동 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된 이동 단말기(300)의 현재 위치가 출발 장소(751)에 입력되고, 제1 일정 항목(621)의 일정 장소(732)가 도착 장소(752)로 입력될 수 있다. 서버(200)는 교통 정보(753-755)를 기초로 제2 관련 정보(750)를 생성할 수 있다. 서버(200)는 제2 관련 정보(750)를 이동 단말기(300)에 제공할 수 있다.
영역(761)에서 이동수단을 자가용으로 선택한 경우에, 이동 단말기(300)의 디스플레이부(320)에 표시되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도 8에 도시된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라서 제3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700d)는 단말 사용자가 제1 일정 항목(621)을 실제로 수행하기 위하여 자가용으로 이동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관련 정보로서 지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700d)는 디스플레이부(320)에 지도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제4 탭(714)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4 탭(714)이 선택되면 도 10에 도시된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700d)가 디스플레이부(320)에 표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20)에는 제1 일정 항목(621)의 일정 장소(732)로 자가용을 이용하여 이동하기 위한 경로가 표시되는 지도 정보(770)인 제3 관련 정보로서 표시될 수 있다. 단말 사용자가 지도 정보(770)를 터치 또는 선택할 경우, 이동 단말기(300)는 네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으며,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에는 도착 장소(752)가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라서 제4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도 6에 도시되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600)에서 단말 사용자가 제2 일정 항목(622)을 선택한 경우에, 이동 단말기(300)의 디스플레이부(320)에 표시되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800)가 도시된다.
제2 일정 항목(622)의 일정 정보는 '슬기랑 점심'인 일정 제목, '1월 26일'인 일정 날짜, '오후 12:00-오후 1:00'인 일정 시간을 포함한다고 가정한다. 제2 일정 항목(622)은 미팅 카테고리에 속하지만, 일정 정보에는 일정 장소가 누락되어 있으므로, 이동 단말기(300)는 일정 장소로 적당한 장소를 추천하는 장소 추천 정보를 제2 일정 항목(622)의 관련 정보로서 제공할 수 있다.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800)는 제2 일정 항목(622)의 일정 제목(801), 제2 일정 항목(622)을 삭제하기 위한 삭제 아이콘(802), 및 제2 일정 항목(622)의 일정 정보를 수정하기 위한 수정 버튼(803)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800)는 제2 일정 항목(622)의 일정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제1 탭(811)과 장소 추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제2 탭(8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탭(812)이 선택되면 도 11에 도시된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800)가 디스플레이부(320)에 표시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심 식사에 적당한 장소들(821, 822, 823)을 포함하는 제4 관련 정보(820)가 디스플레이부(320)에 표시될 수 있다.
서버(200)는 포털 서비스 서버와 같은 외부 서버(400)에 접속하여 이동 단말기(300)의 현재 위치를 중심으로 장소 추천 정보를 수집하여, 제4 관련 정보(820)를 생성하고 이동 단말기(300)에 전송할 수 있다.
제2 일정 항목(622)의 일정 장소가 구체적인 매장이 아니라 예컨대 '분당'과 같이 지역명으로 기재된 경우, 서버(200)는 해당 지역명을 중심으로 장소 추천 정보를 포함하는 제4 관련 정보(820)를 생성하여 이동 단말기(300)에 전송할 수 있다.
서버(200)는 데이터베이스(250)에 저장된 로그 정보를 기초로 제2 일정 항목(622)의 일정 날짜와 동일한 요일의 제2 일정 항목(622)의 일정 시간에 위치했던 지역을 기초로 제2 일정 항목(622)이 실제로 실행될 지역을 예측하고, 예측된 지역을 중심으로 장소 추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이때, 서버(200)는 데이터베이스(250)에 저장된 로그 정보를 기초로 단말 사용자가 과거에 이용했던 장소를 장소 추천 정보로 제공할 수도 있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라서 제5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도 6에 도시되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600)에서 단말 사용자가 제3 일정 항목(623)을 선택한 경우에, 이동 단말기(300)의 디스플레이부(320)에 표시되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900)가 도시된다.
제3 일정 항목(623)의 일정 정보는 '전주 여행'인 일정 제목, '1월 28일'인 일정 날짜, 및 일정 제목으로부터 추출된 '전주'인 일정 장소를 포함한다고 가정한다. 제3 일정 항목(623)은 여행 카테고리에 속하므로, 이동 단말기(300)는 일정 장소의 날씨 정보를 제3 일정 항목(623)의 관련 정보로서 제공할 수 있다.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900)는 제3 일정 항목(623)의 일정 제목(901), 제3 일정 항목(623)을 삭제하기 위한 삭제 아이콘(902), 및 제3 일정 항목(623)의 일정 정보를 수정하기 위한 수정 버튼(903)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900)는 제3 일정 항목(623)의 일정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제1 탭(911)과 날씨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제2 탭(9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탭(912)이 선택되면 도 12에 도시된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900)가 디스플레이부(320)에 표시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320)에는 제3 일정 항목(623)의 일정 날짜와 일정 장소에 해당하는 날씨 정보(920)가 표시될 수 있다.
서버(200)는 날씨 정보 서버와 같은 외부 서버(400)에 접속하여 제3 일정 항목(623)의 일정 날짜와 일정 장소의 날씨 정보(920)를 수집하여 이동 단말기(3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컴퓨터 상에서 다양한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매체는 컴퓨터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계속 저장하거나, 실행 또는 다운로드를 위해 임시 저장하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매체는 단일 또는 수개 하드웨어가 결합된 형태의 다양한 기록수단 또는 저장수단일 수 있는데, 어떤 컴퓨터 시스템에 직접 접속되는 매체에 한정되지 않고, 네트워크 상에 분산 존재하는 것일 수도 있다. 매체의 예시로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을 포함하여 프로그램 명령어가 저장되도록 구성된 것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다른 매체의 예시로, 애플리케이션을 유통하는 앱 스토어나 기타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공급 내지 유통하는 사이트, 서버 등에서 관리하는 기록매체 내지 저장매체도 들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부", "모듈" 등은 프로세서 또는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hardware component), 및/또는 프로세서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구성(software component)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부", "모듈" 등은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들, 객체 지향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들, 클래스 구성 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 요소들과 같은 구성 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통신 네트워크
200: 서버
210: 통신부
220: UI 정보 제공부
230: 스케줄 목록 관리부
240: 모바일 서비스 제공부
250: 데이터베이스
260: 제어부
300: 이동 단말기
310: 무선 통신부
320: 디스플레이부
330: 입력부
340: 메모리
350: 제어부
400: 외부 서버

Claims (17)

  1. 서버와 통신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 방법으로서,
    단말 사용자의 입력에 응답하여, 제1 및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를 제공하는 캘린더 애플리케이션를 실행하는 단계;
    캘린더가 표시되는 제1 영역과 스케줄 목록이 표시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단말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스케줄 목록에 등록된 일정 항목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일정 항목에 대하여 상기 단말 사용자가 입력한 일정 정보, 상기 이동 단말기의 상태, 현재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서버에 의해 생성되는 복수의 관련 정보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복수의 관련 정보는 제1 관련 정보 및 제2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단계;
    상기 일정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기본 탭, 상기 제1 관련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제1 탭, 및 상기 제2 관련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제2 탭이 배열되는 제3 영역과 상기 일정 정보의 세부 사항이 표시되는 제4 영역을 포함하는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 사용자의 상기 제1 탭을 선택하는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4 영역에 상기 제1 관련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단말 사용자의 상기 제2 탭을 선택하는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4 영역에 상기 제2 관련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일정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단말 사용자의 일정 항목을 상기 스케줄 목록에 등록하고, 상기 스케줄 목록에 등록된 상기 일정 항목들을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 목록에 등록된 상기 일정 항목들을 카테고리 별로 분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관련 정보 중 하나는 상기 선택된 일정 항목이 속하는 카테고리에 따라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 방법.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일정 정보는 일정 제목(title)와 일정 날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일정 정보는 일정 시간, 일정 장소, 일정 참석자, 및 일정 내용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 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관련 정보 중 하나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현재 위치에서 상기 선택된 일정 항목의 일정 장소로 이동하기 위한 교통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교통 정보는 이동 수단에 따른 이동 시간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 시간을 기초로 알림 시간을 결정하고, 상기 선택된 일정 항목의 일정 시간으로부터 상기 알림 시간 전에 상기 단말 사용자에게 리마인더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 방법.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관련 정보 중 하나는 상기 선택된 일정 항목의 일정 날짜와 일정 장소의 날씨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 방법.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관련 정보 중 하나는 상기 선택된 일정 항목의 일정 장소 및 상기 단말 사용자의 현재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결정되는 장소 추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단말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일정 항목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동작, 기능 또는 앱 서비스를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 방법.
  12. 서버와의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무선 통신부;
    단말 사용자의 입력에 응답하여, 제1 및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를 제공하는 캘린더 애플리케이션를 실행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1 및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캘린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하여,
    캘린더가 표시되는 제1 영역과 스케줄 목록이 표시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상기 단말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스케줄 목록에 등록된 일정 항목들 중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일정 항목에 대하여 상기 단말 사용자가 입력한 일정 정보, 상기 이동 단말기의 상태, 현재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서버에 의해 생성되는 복수의 관련 정보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되, 상기 복수의 관련 정보는 제1 관련 정보 및 제2 관련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일정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기본 탭, 상기 제1 관련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제1 탭, 및 상기 제2 관련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제2 탭이 배열되는 제3 영역과 상기 일정 정보의 세부 사항이 표시되는 제4 영역을 포함하는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상기 단말 사용자의 상기 제1 탭을 선택하는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4 영역에 상기 제1 관련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단말 사용자의 상기 제2 탭을 선택하는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4 영역에 상기 제2 관련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컴퓨터를 이용하여 청구항 1 내지 11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80008405A 2018-01-23 2018-01-23 이동 단말기 및 이에 의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서버 및 이에 의한 모바일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312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8405A KR102031237B1 (ko) 2018-01-23 2018-01-23 이동 단말기 및 이에 의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서버 및 이에 의한 모바일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8405A KR102031237B1 (ko) 2018-01-23 2018-01-23 이동 단말기 및 이에 의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서버 및 이에 의한 모바일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9622A KR20190089622A (ko) 2019-07-31
KR102031237B1 true KR102031237B1 (ko) 2019-10-11

Family

ID=67474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8405A KR102031237B1 (ko) 2018-01-23 2018-01-23 이동 단말기 및 이에 의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서버 및 이에 의한 모바일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12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39914A (ko) * 2022-09-20 2024-03-27 라인플러스 주식회사 인스턴트 메시징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스케줄 알림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9041B1 (ko) * 2015-04-03 2016-09-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2261B1 (ko) * 2011-11-17 2018-08-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012878A (ko) * 2013-07-26 2015-02-04 삼성전자주식회사 정보 변화를 감지하여 대체 일정을 제공하는 방법 및 단말 장치
KR20160036971A (ko) * 2014-09-26 2016-04-0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일정 관리 방법 및 저장 매체
KR20160077847A (ko) * 2014-12-24 2016-07-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736868B1 (ko) * 2015-11-03 2017-05-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제어방법
KR101886836B1 (ko) * 2016-12-28 2018-08-08 에스케이테크엑스 주식회사 스마트 페이지 내에서 맞춤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9041B1 (ko) * 2015-04-03 2016-09-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9622A (ko) 2019-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05449B1 (en) Screen interface for a mobile device apparatus
US1148142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 scalable, collaborative, real-time, graphical life-management interface
US10440169B1 (en) Screen interface for a mobile device apparatus
US11164160B2 (en)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to-do list of user
JP7318888B2 (ja) 通知をプッシュする方法及び装置、移動端末、並びにグラフィカル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
JP6059208B2 (ja) ソーシャル情報管理方法、及びこれに適合したシステム
KR102019967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서버 및 그 제어 방법
US9704138B2 (en) Calendar overlay features
US20170351778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managing bookmarks
US20130227462A1 (en) Dual time zone view and weather application in electronic device
US9686386B1 (en) Mobile application for travel-related information
US8543441B2 (en) Map association with calendar entry
JP6588033B2 (ja) パーソナルインテリジェンスプラットフォーム
US11044358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using the same, server and method for providing mobile service using the same
KR20170074541A (ko)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여행자와 가이드의 실시간 매칭 방법
US20100217641A1 (en) Community Portal
US20120227005A1 (en) Time-driven event scheduling systems and methods
KR20170092505A (ko)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여행자와 가이드의 실시간 매칭 방법
JP2018097564A (ja) 配信装置、配信方法、配信プログラム、端末装置、表示方法、及び表示プログラム
KR102031237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에 의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서버 및 이에 의한 모바일 서비스 제공 방법
US20100215166A1 (en) Initiating a Conference Call
KR101968952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에 의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서버 및 이에 의한 모바일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949397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에 의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서버 및 이에 의한 모바일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928294B1 (ko) 문자 기반 상담 서비스의 예약 관리 시스템, 그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WO2012167149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rnet services aggreg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