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1042B1 - 터미널 플레이트의 무전해 도금용 지그 - Google Patents

터미널 플레이트의 무전해 도금용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1042B1
KR102031042B1 KR1020170125464A KR20170125464A KR102031042B1 KR 102031042 B1 KR102031042 B1 KR 102031042B1 KR 1020170125464 A KR1020170125464 A KR 1020170125464A KR 20170125464 A KR20170125464 A KR 20170125464A KR 102031042 B1 KR102031042 B1 KR 1020310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plate
plating
horizontal
electroless plating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5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6347A (ko
Inventor
김시년
Original Assignee
김시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시년 filed Critical 김시년
Priority to KR10201701254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1042B1/ko
Publication of KR201900363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63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10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10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8/0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either liquid compounds or solutions of the coating forming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Contact plating
    • C23C18/16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either liquid compounds or solutions of the coating forming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Contact plating by reduction or substitution, e.g. electroless plating
    • C23C18/1601Process or apparatus
    • C23C18/1619Apparatus for electroless plating
    • C23C18/1628Specific elements or parts of the apparatus
    • C23C18/163Supporting devices for articles to be coated
    • H01M2/305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ly Coa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부품인 터미널 플레이트의 무전해 도금시 생산성을 높이면서 작업성을 개선함은 물론 불량율을 줄일 수 있는 터미널 플레이트의 무전해 도금용 지그에 관한 것으로, 내측으로 다수의 순환홀이 형성되어 있는 하측 플레이트와, 상기 하측 플레이트의 상측에 형성되되 가로방향으로 연장되며 내측으로 제1 순환부가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가로바와, 상기 가로바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내측으로 제2 순환부가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세로바와, 상기 가로바와 세로바에 의해 형성되어 터미널 플레이트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홈과, 상기 하측 플레이트의 하측에 가장자리에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고정부로 이루어진 무전해 도금용 지그에 형성된 다수의 수납홈에 다수의 터미널 플레이트를 수납한 후 이를 무전해 공정을 위한 다수의 도금조에 순차적으로 침지시켜 무전해 도금을 실시함으로써, 터미널 플레이트를 개별 수납 가능하여 도금시 터미널 플레이트 간의 부딪힘을 예방하여 스크래치 발생에 따른 불량율을 줄이고 원활한 도금액 순환을 위한 구성을 통해 신뢰성이 있는 도금을 실시할 수 있으면서 다수의 지그를 적층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터미널 플레이트의 무전해 도금용 지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터미널 플레이트의 무전해 도금용 지그{A electroless plating jig for terminal plate}
본 발명은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부품인 터미널 플레이트의 무전해 도금시 생산성을 높이면서 작업성을 개선함은 물론 불량율을 줄일 수 있는 터미널 플레이트의 무전해 도금용 지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금은 금속 표면에 다른 금속 또는 합금의 얇은 층을 입히는 것으로, 그 특성과 방법에 따라 아노다이징, 전해연마, 무전해도금, 전기도금 등 다양한 방식의 도금이 있다.
이 중 무전해 도금(Electroless plating)은 외부로부터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지 않고 금속염 수용액 중의 금속이온을 환원제의 힘에 의해 자기 촉매적으로 환원시켜 피처리물의 표면 위에 금속을 석출시키는 방법이다.
이러한, 무전해 도금은 화학도금 또는 자기촉매도금이라고도 하며, 수용액 내의 폼알데하이드나 하이드리진 같은 환원제가 금속이온이 금속분자로 환원되도록 전자를 공급하는 방법과 금속이온을 소재표면에 강제 치환시켜 피막을 생성시키는 방법으로 도금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무전해 도금을 위한 도금제는 구리, 니켈, 팔라듐, 금, 주석 및 니켈-인, 니켈-보론 합금 등 다양한 합금이 이용된다.
상기 무전해 도금은 전기도금에 비해 도금층이 치밀하고 약 25㎛의 균일한 두께를 형성할 수 있어 도체뿐만 아니라 플라스틱이나 유기체 같은 다양한 기판에 대해서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무전해 도금방식을 이용하여 피도금제 표면에 도금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도금조에 피도금제를 침지시켜야만 한다.
따라서, 도금조에 피도금제를 침지시키기 위한 수단이 필요하게 되는데, 종래에는 그물망이나 타공되어 있는 바구니에 다수의 피도금제를 넣은 후 도금을 실시하였다.
(특허문헌 1) KR10-2008-0015133 A 무전해를 이용한 인쇄부분도금장치 및 이를 이용한부분도금 방법
한편, 상기와 같은 그물망이나 바구니에 넣은 피도금제는 표면에 고르게 도금액이 환원되어 도금이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도금조 내에서 그물망이나 바구니를 흔들어 주어야만 한다.
하지만, 상기 그물망이나 바구니는 피도금제를 별도로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다수의 피도금제가 도금되는 과정에서 부딪히게 되어 표면의 손상이 발생되어 불량율이 높아지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터미널 플레이트의 무전해 도금용 지그는 피도금제인 터미널 플레이트를 1개소씩 수납할 수 있도록 하면서 가로, 세로 방향 및 위, 아래 방향으로 도금액이 원활히 순환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도금의 효율성 및 터미널 플레이트의 불량율을 줄일 수 있는 터미널 플레이트의 무전해 도금용 지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수의 지그를 적층하여 사용함으로써 생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터미널 플레이트를 개별 수납이 가능하도록 수납홈을 형성하여 무전해 도금시 불량율을 줄이면서 하측 플레이트에 형성된 순환홀과 가로바 및 세로바에 형성된 제1, 2 순환부를 통해 도금조에 담겨져 있는 도금액의 순환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여 도금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지그에 다수의 지그를 적층할 수 있는 고정부를 형성하여 다량의 터미널 플레이트를 한번에 도금함으로써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아울러, 고정부를 하측 플레이트의 외주면 방향으로 연결된 형태로 형성하여 지그에 수납된 두께가 얇은 터미널 플레이트가 다른 지그의 적층 후 수납홈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여 불량율을 줄일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터미널 플레이트의 무전해 도금용 지그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을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터미널 플레이트의 무전해 도금용 지그에 터미널 플레이트를 수납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4는 도 3의 터미널 플레이트의 무전해 도금용 지그를 적층하여 사용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하측 플레이트(10)는 도 1 내지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넓은 평판형으로 형성된 플레이트로서 내측에 다수의 순환홀(11)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가로, 세로 방향으로 다수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다음으로, 가로바(20)는 상술한 하측 플레이트(10)의 상측에 형성되어 가로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내측으로는 등간격으로 제1 순환부(21)가 다수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가로바(20)는 하측 플레이트(10)에서 세로방향으로 다수의 가로바(20)가 형성된다.
다음으로, 세로바(30)는 상기 가로바(20)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내측으로는 다수의 제2 순환부(31)가 형성되어 있으며, 가로바(20)와 마찬가지로 세로방향으로 다수의 세로바(30)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수납홈(40)은 상술한 가로바(20) 및 가로바(20)가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세로바(30)에 의해 터미널 플레이트(1)를 수납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수납홈(40)은 가로, 세로 길이에 비해 두께가 얇게 형성되어 있는 터미널 플레이트(1)를 수납한 후에 무전해 도금 공정에서 터미널 플레이트(1)의 표면을 도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러한, 수납홈(40)은 터미널 플레이트(1)의 가로, 세로 크기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로바(20)에 형성된 제1 순환부(21)와 세로바(30)에 형성되어 있는 제2 순환부(31)는 수납홈(40)의 가로 및 세로방향의 정 중앙 부분에 위치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가로바(20) 및 세로바(30)의 수직방향 돌출 높이는 터미널 플레이트(1) 전체 높이보다 더 높게 형성하여 터미널 플레이트(1)가 수납홈(40)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고정부(50)는 상술한 하측 플레이트(10)의 하측에 하측 플레이트(10)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터미널 플레이트(1)는 편평한 형태로서 가로, 세로의 길이에 비해 높이가 낮은 형태로 이루어져 있고, 이를 수납하기 위한 가로바(20) 및 세로바(30)의 돌출 높이도 터미널 플레이트(1)보다는 높지만 가로, 세로 길이에 비해 많이 높지 않은 형태로 형성되어 있어 수납홈(40) 내에 수납되는 터미널 플레이트(1)는 본 발명을 흔드는 과정에서 수납홈(40) 내에서 벗어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50)는 연속적으로 형성된 형태로 구성하는 것이 좋다.
특히, 상기 고정부(50)는 본 발명을 적층하였을 때에 지지하기 위한 구성이기 때문에 제일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있는 가로바(20) 및 세로바(30)와 맞닿는 위치에 형성하여야만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터미널 플레이트의 무전해 도금용 지그의 작용효과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터미널 플레이트의 무전해 도금용 지그(100)는 터미널 플레이트(1)의 무전해 도금시 이용하여 생산량을 향상시키면서도 불량율을 줄일 수 있도록 작용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을 이용하여 터미널 플레이트(1)의 표면을 무전해 도금을 실시하기 위해 다수의 터미널 플레이트(1)를 본 발명에 따른 지그(100)에 형성되어 있는 수납홈(40)에 수납한다.
여기서, 상기 터미널 플레이트(1)를 수납홈(40)에 수납할 때에는 터미널 플레이트(1)의 길이가 긴 변이 수납홈(40)의 세로바(30)와 평행하게 배치하여 수납홈(40)을 구성하는 가로바(20) 및 세로바(3)와 터미널 플레이트(1)의 표면 간에 여유공간이 형성되도록 배치하고,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지그(100)에 수납된 터미널 플레이트(1)가 이탈하지 않도록 터미널 플레이트(1)가 수납되지 않은 다른 지그(100)를 그 상측에 더 배치한 후 이들을 결속수단(도면에 미도시)을 이용해 결속시킨다.
그런 후, 본 발명의 터미널 플레이트의 무전해 도금용 지그(100)를 무전해 도금을 실시하기 위한 다수의 도금조에 넣어 도금을 실시하게 된다.
여기서, 상술한 도금조들은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탈지 공정을 거쳐 수세, 산처리, 엣칭을 위한 도금조에 터미널 플레이트(1)가 수납된 본 발명을 순차적으로 침지시켜 도금을 실시하게 된다.
그러면, 도 3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하측 플레이트(10)에 형성되어 있는 순환홀(11)과 가로바(20)에 형성되어 있는 제1 순환부(21)와 세로바(30)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제2 순환부(31)를 통해 도금액이 이동하게 되어 수납홈(40)에 수납되어 있는 터미널 플레이트(1)의 표면을 도금하게 된다.
특히, 상술한 제1, 2 순환부(21, 31)는 수납홈(40)에 수납되어 있는 터미널 플레이트(1)가 노출될 수 있을 정도로의 높이로 형성되어 있어 도금액이 수납홈(40)으로 원활히 순환하여 터미널 플레이트(1) 표면의 무전해 도금의 효율성을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터미널 플레이트(1)는 수납홈(40)에 수납된 상태이기 때문에 수납홈(40)을 구성하는 가로바(20), 세로바(30) 및 하측 플레이트(10) 중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와 맞닿을 수 밖에 없으며, 이렇게 맞닿아 있는 상태가 계속 유지되면 맞닿아 있는 표면에는 도금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무전해 도금을 통해 터미널 플레이트(1)를 도금할 때에 터미널 플레이트(1) 표면에 고르게 도금이 이루어지게 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지그(100)를 도금조에 침지시킨 상태에서 흔들어줘야만 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각각의 수납홈(40)에 터미널 플레이트(1)가 하나씩 수납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을 흔들어 주더라도 터미널 플레이트(1) 끼리 부딪히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불량율을 대폭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터미널 플레이트의 무전해 도금용 지그(100)는 다수의 지그(100)를 적층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즉, 도 4에서와 같이 다수의 터미널 플레이트(1)를 수납한 다수의 지그(100)를 적층한 후 끈과 같은 통상의 결속수단(도면에 미도시)을 이용해 결속시킨 후 위와 같은 방법으로 무전해 도금을 실시할 수 있다.
이때에, 본 발명에서는 하측 플레이트(10)의 하측에 고정부(50)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위와 같이 별도의 고정수단 없이 다수의 지그(100)를 적층한 후 결속수단을 이용하여 결속시키더라도 각각의 지그(100)가 이탈하는 현상 없이 무전해 도금을 실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다수의 지그(100)를 위와 같이 결속하여 무전해 도금을 실시하게 되면 훨씬 많은 양의 터미널 플레이트(1)를 도금할 수 있어 생산량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가로바(20) 및 세로바(30)에 형성되어 있는 제1, 2 순환부(21, 31)가 터미널 플레이트(1)가 노출될 수 있을 정도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와 같이 도금이 완료된 터미널 플레이트(1)를 본 발명에서 빼낼 때에도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있어 명백한 것이다.
1 : 터미널 플레이트
10 : 하측 플레이트 11 : 순환홀
20 : 가로바 21 : 제1 순환부
30 : 세로바 31 : 제2 순환부
40 : 수납홈
50 : 고정부
51 : 가로 고정바 52 : 세로 고정바
100 : 터미널 플레이트의 무전해 도금용 지그

Claims (4)

  1. 내측으로 다수의 순환홀(11)이 형성되어 있는 하측 플레이트(10);
    상기 하측 플레이트의 상측에 형성되되 가로방향으로 연장되며 내측으로 제1 순환부가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가로바(20);
    상기 가로바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내측으로 제2 순환부가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세로바(30);
    상기 가로바(20)와 세로바(30)에 의해 형성되어 터미널 플레이트(1)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홈(40);
    상기 하측 플레이트(10)의 하측에 가장자리에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고정부(50);로 이루어지되,
    상기 가로바(20)의 제1 순환부(21)와 세로바(30)의 제2 순환부(31)는 수납홈(40)의 가로, 세로 방향의 중앙부분에 형성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가로바(20)와 세로바(30)의 수직방향 돌출 높이는 터미널 플레이트(1)의 크기보다 더 높게 형성되며,
    상기 가로바(20)와 세로바(30)에 형성되는 제1, 2 순환부(21, 31)의 크기는 터미널 플레이트(1)가 노출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부(50)는 제일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있는 가로바(20) 및 세로바(30)와 맞닿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터미널 플레이트(1)는 편평한 형태로 가로, 세로의 길이에 비해 높이가 낮은 형태로 이루어져 있고, 수납홈(40)에 수납되는 터미널 플레이트(1)가 수납홈(40) 내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이를 수납하기 위한 가로바(20) 및 세로바(30)의 돌출 높이도 터미널 플레이트(1)보다는 높지만 가로, 세로 길이에 비해 높지 않은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터미널 플레이트의 무전해 도금용 지그.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70125464A 2017-09-27 2017-09-27 터미널 플레이트의 무전해 도금용 지그 KR1020310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5464A KR102031042B1 (ko) 2017-09-27 2017-09-27 터미널 플레이트의 무전해 도금용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5464A KR102031042B1 (ko) 2017-09-27 2017-09-27 터미널 플레이트의 무전해 도금용 지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6347A KR20190036347A (ko) 2019-04-04
KR102031042B1 true KR102031042B1 (ko) 2019-10-11

Family

ID=66105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5464A KR102031042B1 (ko) 2017-09-27 2017-09-27 터미널 플레이트의 무전해 도금용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104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76122A (ja) 2002-11-27 2004-06-24 Shinko Electric Ind Co Ltd ワーク整列装置およびワーク整列方法
JP2004217954A (ja) 2003-01-09 2004-08-05 Shinko Electric Ind Co Ltd めっき治具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90299A (ja) * 1987-05-20 1988-11-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メッキ治具
US20080173569A1 (en) * 2007-01-23 2008-07-24 Illinois Tool Works Inc. Pedestal pocket tray containment system for integrated circuit chip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76122A (ja) 2002-11-27 2004-06-24 Shinko Electric Ind Co Ltd ワーク整列装置およびワーク整列方法
JP2004217954A (ja) 2003-01-09 2004-08-05 Shinko Electric Ind Co Ltd めっき治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6347A (ko) 2019-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3519442A (ja) 電気接続素子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設備および装置、電気接続素子ならびに半完成品
KR100489744B1 (ko) 비어 홀의 구리 도금 방법
CN110172717B (zh) 一种陶瓷基板的镀铜方法
KR102031042B1 (ko) 터미널 플레이트의 무전해 도금용 지그
KR102027468B1 (ko) 무전해 도금장치
JP4794598B2 (ja) メッキ装置
KR102031028B1 (ko) 센서 하우징의 무전해 도금용 지그
KR102031047B1 (ko) 무전해 도금용 지그를 이용한 터미널 플레이트의 도금방법
KR102031036B1 (ko) 무전해 도금용 지그를 이용한 센서 하우징의 도금방법
KR102027454B1 (ko) 무전해 도금용 지그
KR100956685B1 (ko) 도금장치
KR102027435B1 (ko) 무전해 도금장치를 이용한 무전해 도금방법
JP2011032515A (ja) ラックめっき方法およびラックめっき装置
JP6166492B1 (ja) 電気メッキ装置と電気メッキ方法
JP2009228077A (ja) 電解めっき用治具
JP3125874B2 (ja) 半導体装置の表面処理方法及び表面処理装置
JP3340726B2 (ja)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基板のめっき装置
JPH04217387A (ja) 導体パターンの無電解めっき方法及び無電解めっき用治具
KR102250050B1 (ko) 전기도금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도금물 제조 방법
CN215925131U (zh) 用于镀膜机的钛蓝、钛蓝组件及镀膜机
KR102159584B1 (ko) 수직 도금 장치용 바스켓
KR100418257B1 (ko) 피씨비 동도금시 활성화 유지 방법
JP2012025987A (ja) ラック式めっき装置およびラック式めっき方法
JP5060215B2 (ja) 極板用芯材の洗浄方法及びそれを使用したアルカリ蓄電池の製造方法
CN110438535A (zh) 一种镀铜电镀液及其使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