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0986B1 - 농수산물의 재고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농수산물의 재고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0986B1
KR102030986B1 KR1020180014094A KR20180014094A KR102030986B1 KR 102030986 B1 KR102030986 B1 KR 102030986B1 KR 1020180014094 A KR1020180014094 A KR 1020180014094A KR 20180014094 A KR20180014094 A KR 20180014094A KR 102030986 B1 KR102030986 B1 KR 1020309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shness
measurement value
distance
sensor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4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0493A (ko
Inventor
박수창
이준희
길세현
권순우
김기영
홍나현
Original Assignee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140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0986B1/ko
Publication of KR201901004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04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09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09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11/02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by measuring distance between sensor and objec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2Foo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거리측정 센서와 신선도측정 센서를 이용한 재고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품과의 거리를 측정하여 거리측정값을 생성하는 거리측정 센서와, 상품의 신선도를 측정하여 신선도측정값을 생성하는 신선도측정 센서와, 상품 입고일 및 거리측정값의 유지시간과 거리측정값과 신선도측정값의 조합을 통해 결품 및 신선도를 판단하여 상품 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서버와, 상품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관리자단말을 구성하여, 상품 입고일을 기록하고, 상품 입고일을 기준으로 하여 거리측정 센서로부터 전송된 거리측정값을 수신하여 결품을 판단하고, 거리측정값이 설정시간 이상 유지될 경우에 신선도측정 센서를 통한 신선도를 측정하며, 신선도측정 센서로부터 전송된 신선도측정값으로부터 신선도를 판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품에 대해 거리와 신선도를 조합하여 재고관리를 수행함으로써 상품의 결품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신선도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이에, 결품 상태 또는 신선도 상태에 대해 실시간으로 해당 상품을 비치 또는 교체할 수 있으므로 관리의 효율성 및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농수산물의 재고관리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STOCK OF AGRO-FISHERY PRODUCTS}
본 발명은 재고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진열된 상품의 거리와 신선도를 이용하여 상품의 재고를 관리하는 농수산물의 재고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대형 할인매장이 증가하고 있으며, 고객들에게 보다 좋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매장의 효율적인 업무프로세스와 최적의 상품관리가 요구되고 있다. 특히, 고객관리와 상품관리는 모든 매장의 이익과 손실에 직결되는 중요한 요소이므로 매장에서는 고객의 편의와 상품의 재고관리, 품질관리를 모두 고려하여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상품에 대한 관리 즉, 상품에 대한 재고관리와 품질관리는 매우 중요하다.
이에 상품재고관리가 가능한 진열대 및 이를 이용하는 상품 재고 관리 시스템이 제안된 바 있다(국내공개특허 제2012-0077595호).
이 기술은, 상품이 진열되는 선반과, 선반의 제1면에 부착되고, 자신의 제1식별정보를 주기적으로 송신하는 다수 개의 RF통신 모듈과, 선반의 제1면에 인접한 제2면에 장착되어 다수 개의 RF통신모듈의 제 1 식별정보를 수신받고, 제1 식별정보 및 자신의 제2 식별정보를 전자 선반 레이블 서버로 송신하는 전자 선반 레이블 태그를 구비하고, 다수 개의 RF 통신모듈은 제1면에 상품이 놓이지 않는 경우에만 전자 선반 레이블 태그와 통신의 가능한 소출력으로 작동한다.
이에 소출력으로 작동하는 RF 통신모듈 및 RF 통신모듈과 통신하는 전자 선반 레이블 태그를 구비함으로써, 기존의 전자 선반 레이블 시스템과 연동하여 상품의 재고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상품마다 RF 통신모듈을 구비한 RF 태그를 장착하기 위한 비용 및 노동력을 절감시킬 수 있다.
그런데, 이 기술은 단순히 상품의 결품 상태만을 제공하는 한계가 있다. 즉, 농수산물의 신선도를 체크하여 품질 상태를 알려주는 기술은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상품 입고일을 기준으로 하여 상품의 결품과 신선도를 조합하여 상품의 품질 상태를 판단하는 기술은 전혀 제시된 바 없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77595호(공개일 2012.07.10.)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78720호(공개일 2014.01.03.)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품 입고일을 기준으로 하여 진열된 상품의 거리와 신선도를 조합하여 상품의 재고관리를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농수산물의 재고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농수산물의 재고관리 시스템은, 상품과의 거리를 측정하여 거리측정값을 생성하는 거리측정 센서; 상품의 신선도를 측정하여 신선도측정값을 생성하는 신선도측정 센서; 상품 입고일 및 상기 거리측정값의 유지시간과 상기 거리측정값과 상기 신선도측정값의 조합을 통해 결품 및 신선도를 판단하여 상품 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서버; 및 상품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관리자단말을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서버는, 상기 거리측정 센서로부터 전달된 감지신호로부터 거리측정값을 산출하는 거리산출부; 상기 신선도측정 센서로부터 전달된 감지신호로부터 신선도측정값을 산출하는 신선도산출부; 상기 상품 입고일 및 거리측정값의 유지시간과, 상기 거리측정값과 상기 신선도측정값을 조합하여 상품의 결품 및 신선도를 판단하는 제어부; 및 결품 및 신선도 정보를 관리자단말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품 입고일을 기준으로 하여 상품진열대의 빈공간의 거리를 측정하여, 거리측정 센서와 상품과의 거리가 설정값보다 클 경우에 결품으로 판단하고, 상기 상품 입고일 및 거리측정 센서로부터 측정된 거리측정값이 설정시간 이상 계속 유지될 경우에 신선도를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농수산물의 재고관리 방법은, 상품 입고일을 기록하는 단계; 상기 상품 입고일을 기준으로 하여 거리측정 센서로부터 전송된 거리측정값을 수신하여 결품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거리측정값이 설정시간 이상 유지될 경우에 신선도측정 센서를 통한 신선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신선도측정 센서로부터 전송된 신선도측정값으로부터 신선도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상품 입고일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거리측정값이 설정값보다 클 경우에는 결품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거리측정값이 설정값보다 작을 경우에, 상기 신선도측정값이 설정값보다 낮을 경우에 신선도 정보를 관리자단말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신선도측정 센서는 온도 센서 및 습도 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농수산물의 재고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상품에 대해 거리와 신선도를 조합하여 재고관리를 수행함으로써 상품의 결품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신선도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이에, 결품 상태 또는 신선도 상태에 대해 실시간으로 해당 상품을 비치 또는 교체할 수 있으므로 관리의 효율성 및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거리측정 센서와 신선도측정 센서를 이용한 재고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거리측정 센서와 신선도측정 센서를 이용한 재고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결품 상태를 알리는 재고관리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이다.
도 5는 신선도 상태를 알리는 재고관리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함을 전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당해 구성요소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거리측정 센서와 신선도측정 센서를 이용한 재고관리 시스템 및 방법으로서, 상품 입고일을 기준으로 하여 상품진열대의 빈공간의 거리를 측정하여 거리측정 센서와 상품과의 거리가 설정값보다 클 경우에 결품으로 판단하고, 상품 입고일 및 거리측정 센서로부터 설정시간 이상 거리값이 계속 유지될 경우에 신선도를 측정하여 신선도가 설정값보다 낮을 경우에 신선도 측정값을 관리자에게 푸시 알람으로 경보한다. 이 때 결품 및 신선도를 목록화하여 관리자에게 알려준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결품 정보 및 신선도 정보를 푸시 알람을 통해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관리가 가능하고 이를 통해 관리자의 불필요한 동선 및 노동력을 제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거리와 신선도를 조합하여 상품을 관리함으로써 결품에 대한 실시간 대처가 가능할 뿐 아니라, 상품의 신선도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거리측정 센서와 신선도측정 센서를 이용한 재고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재고관리 시스템은, 상품과의 거리를 측정하여 거리측정값을 생성하는 거리측정 센서(1)와, 상품의 신선도를 측정하여 신선도측정값을 생성하는 신선도측정 센서(2)와, 상품 입고일 및 거리측정값의 유지시간과 거리측정값과 신선도측정값의 조합을 통해 결품 및 신선도를 판단하여 상품 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서버(3)와, 상품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관리자단말(4)을 포함한다.
여기서, 거리측정 센서(1)로는 초음파 센서, 레이저 센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거리측정 센서(1)는 상품진열대의 앞부분 또는/및 뒷부분에 설치할 수 있다. 거리측정 센서(1)가 상품진열대의 앞뒤에 설치될 경우에 결품 상태에 대해 더욱 정확한 판단이 가능할 것이다.
한편, 신선도측정 센서(2)로는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신선도측정 센서(2) 역시 상품진열대의 앞부분 또는/및 뒷부분에 설치할 수 있다. 신선도측정 센서(2)가 상품진열대의 앞뒤에 설치될 경우에 농수산물의 신선도 상태에 대해 더욱 정확한 판단이 가능할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상품은 신선도 관리가 필요한 농수산물에 한정될 수 있다.
그리고, 거리측정 센서(1) 및 신선도측정 센서(2)에는 WIFI 모듈, 블루투스 모듈 등을 포함한 통신 모듈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에 통신 모듈을 통해 각 센서로부터 전달받은 측정값을 서버(3)로 전송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재고관리 시스템은, 상품 입고일을 기준으로 하여 상품진열대의 빈공간의 거리를 측정하여, 거리측정 센서(1)와 상품과의 거리가 설정값보다 클 경우에 결품으로 판단하고, 상품 입고일 및 거리측정 센서(1)로부터 측정된 거리측정값이 설정시간 이상 계속 유지될 경우에 신선도측정 센서(2)를 이용하여 신선도를 측정하고, 신선도측정값이 설정값보다 낮을 경우에 관리자에게 푸시 알람으로 경보한다. 이와 같이 서버(3)는 상품의 결품 및 신선도를 판단하고 이를 목록화하여 관리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이 때, 푸시 알람은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실행될 수 있다. 이에 관리자에 의한 빠른 상품 보충과 신선도 관리를 가능하게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서버(3)는, 거리측정 센서(1)로부터 전달된 감지신호로부터 거리측정값을 산출하는 거리산출부(31)와, 신선도측정 센서(2)로부터 전달된 감지신호로부터 신선도측정값을 산출하는 신선도산출부(32)와, 상품 입고일 및 거리측정값의 유지시간과, 거리측정값과 신선도측정값을 조합하여 상품의 결품 및 신선도를 판단하는 제어부(33)와, 결품 및 신선도 정보를 관리자단말(4)로 전송하는 통신부(34)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서버(3)는, 거리산출부(31)로부터 전달된 거리측정값과 신선도산출부(32)로부터 전달된 신선도측정값을 이용하여 상품의 결품 및 신선도를 판단한다. 이 때, 상품 입고일 및 거리측정값의 유지시간을 기준으로 하여 상품의 결품 및 신선도를 판단한다. 일례로서, 상품 입고일을 기준으로 하여 거리측정값이 설정값보다 클 경우에는 결품으로 판단하고, 거리측정값의 유지시간이 설정값보다 클 경우에 신선도를 측정한다. 즉, 거리측정값과 신선도측정값에 의한 결품 및 신선도 판단이 상품 입고일 및 거리측정값 유지시간을 고려하여 조합되도록 한다. 만약, 상품의 결품이라고 판단되거나 신선도가 설정값보다 낮을 경우에는 관리자에게 경보한다.
그러면, 여기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시스템을 이용한 본 발명의 거리측정 센서와 신선도측정 센서를 이용한 재고관리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거리측정 센서와 신선도측정 센서를 이용한 재고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품이 입고되면, 서버(3)에는 특정 위치에 진열되는 상품에 대한 상품 입고일이 기록된다(S1).
상품의 진열이 이루어지면, 거리측정 센서(1)에 의한 거리측정이 이루어진다(S2). 이 때, 거리측정은 설정시간 간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서버(3)에서는 상품 입고일을 기준으로 하여 거리측정값이 설정값보다 클 경우에는 결품으로 판단한다(S3 ~ S5). 이어서 서버(3)에서는 결품 정보를 관리자단말(4)로 전송한다. 도 4는 결품 상태를 알리는 재고관리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이다.
한편, 서버(3)에서는 상품 입고일을 기준으로 하여 거리측정값이 설정값보다 작을 경우에는, 거리측정값의 유지시간이 설정값보다 클 경우에 신선도를 측정한다(S6).
만약, 신선도측정값이 설정값보다 낮을 경우에는 서버(3)에서는 신선도 정보를 관리자단말(4)로 전송한다(S7 ~ S9). 도 5는 신선도 상태를 알리는 재고관리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이다.
이에 관리자에 의한 상품의 진열 또는 교체가 이루어질 것이다.
실시예
본 발명에 의한 거리측정 센서(1)와 신선도측정 센서(2)를 이용한 재고관리 시스템은, 상품진열대, 블루투스 통신모듈, 온습도 센서, 초음파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초음파 센서는 1개의 품목당 상품진열대의 앞뒤로 2개씩 배치되고, 초음파 센서는 블루투스 통신 모듈을 통해 거리측정값을 주기적으로 서버(3)로 송신한다. 온습도 센서는 1개의 상품진열대당 2개 이상 앞뒤로 배치되고, 온습도 센서는 블루투스 통신 모듈을 통해 온습도측정값을 주기적으로 서버(3)로 송신한다. 여기서, 온습도 센서는 온도 센서와 습도 센서를 의미한다.
이 때, 초음파 센서, 온습도 센서, 블루투스 통신 모듈은 아두이노 장치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에 아두이노 장치에서는 상품이 진열되는 상품진열대에 장착되는 초음파 센서와 무선 통신하여 상품과의 거리 정보를 수집하고, 상품진열대에 장착되는 온습도 센서와 무선 통신하여 상품진열대의 온습도 정보를 수집하여, 수집된 정보(진열대 및 센서의 식별정보)를 서버(3)로 무선 송신할 수 있다.
이에 서버(3)에서는 수신된 측정값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이에 데이터베이스에서 연산 작업을 거친 후 목록화하여 결품이 있는 경우와 신선도 관리가 필요한 경우에 관리자에게 푸시 알람을 수행한다. 즉, 초음파 센서와 온습도 센서의 식별번호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재고관리가 요구되는 상품진열대와 신선도 관리가 요구되는 상품진열대에 관해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할 경우에 상기 상품진열대에 대한 정보를 관리자단말(4)에 송신한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는, 상품별 초음파 센서와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를 초과한 경우이거나, 상품진열대별 온습도에 따라 계산된 신선도가 설정값보다 낮은 경우이다. 이 때, 거리 판단에는 상품 입고일을 기준으로 하여 상품의 결품 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즉, 얼마나 자주 상품을 비치해야 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신선도 판단에는 거리측정값이 유지되는 시간을 기준으로 하여 신선도를 측정할 수 있다. 즉, 거리측정값이 일정시간 계속 유지될 경우에는 상품이 계속 방치되는 상태이므로 이때에 신선도를 측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품 입고일을 기준으로 상품이 빨리 팔릴 경우에는 신선도를 측정하지 않아도 된다. 이와 같이 거리와 신선도를 순차적으로 조합하여 측정함으로써 효율적이고 정확한 재고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서버(3)에서는, 상품별 초음파 센서와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를 초과한 경우에는 해당 상품종류, 해당 상품의 부족정도, 해당 상품진열대 센서의 식별정보 및 상품진열대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관리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상품진열대별 온습도에 따라 계산된 신선도가 설정값보다 낮은 경우에는 해당 상품진열대의 종류, 해당 상품진열대의 신선도정보 해당 상품진열대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관리정보를 생성한다.
이에 서버(3)는 관리정보를 관리자단말(4)로 전송한다.
관리자단말(4)은 수신된 관리정보를 푸시 알람으로 표기해 준다.
한편, 관리자단말(4)은 상품진열대에 장착된 센서의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상품정보를 서버(3)로 송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아두이노 센서를 기반으로 하여 마트의 재고와 신선도를 관리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상품진열대의 빈공간의 거리를 초음파 센서로 측정하여 상품별 기준거리보다 초과 시 상품의 재고가 부족하다고 판단하고, 농수산품 상품진열대에서는 온습도 센서를 이용하여 신선도를 계산하여 이에 관한 측정값들을 관리자에게 푸시 알람으로 알려주고, 한눈에 볼 수 있게 목록화하는 제공한다. 상품진열대의 상품이 사전에 설정된 수량 이하가 되는 경우 바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메시지를 전달함으로써, 수량이 부족한 상품의 적절한 상품비치가 가능하도록 한다. 해당 상품관리 직원에게는 특별히 알림기능을 두어 빠르게 확인할 수 있게 한다.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구현에서, 여기서 제시된 기능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기능들은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상에 하나 이상의 명령들 또는 코드로서 저장되거나, 또는 이들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일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컴퓨터 프로그램의 이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임의의 매체를 포함하는 통신 매체를 포함한다. 저장 매체는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의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한 매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는 RAM, ROM, EEPROM, CD-ROM 또는 다른 광학 디스크 저장 매체, 자기 디스크 저장 매체 또는 다른 자기 저장 장치들, 또는 명령 또는 데이터 구조의 형태로 요구되는 프로그램 코드 수단을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범용 컴퓨터, 특수목적의 컴퓨터, 범용 프로세서, 또는 특별한 프로세서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임의의 연결 수단이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로 간주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가 웹사이트, 서버(3), 또는 다른 원격 소스로부터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연선, 디지털 가입자 라인(DSL),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마이크로웨이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을 통해 전송되는 경우, 이러한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연선, DSL,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마이크로웨이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이 이러한 매체의 정의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disk 및 disc은 컴팩트 disc(CD), 레이저 disc , 광 disc, DVD, 플로피 disk, 및 블루-레이 disc를 포함하며, 여기서 disk는 데이터를 자기적으로 재생하지만, disc은 레이저를 통해 광학적으로 데이터를 재생한다. 상기 조합들 역시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의 범위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당업자는 상술한 다양한 예시적인 엘리먼트, 컴포넌트, 논리블록, 모듈 및 알고리즘 단계들이 전자 하드웨어,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서 구현될 수 있음을 잘 이해할 것이다.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상호 호환성을 명확히 하기 위해, 다양한 예시적인 소자들, 블록, 모듈 및 단계들이 그들의 기능적 관점에서 기술되었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로 구현되는지,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지는 특정 애플리케이션 및 전체 시스템에 대해 부가된 설계 제한들에 의존한다. 당업자는 이러한 기능들을 각각의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지만, 이러한 구현 결정이 본 발명의 영역을 벗어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물과 관련하여 기재되는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및 모듈들은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처리기(DSP), 주문형 반도체(ASIC), 필드 프로그램어블 게이트 어레이(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램어블 논리 디바이스,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논리,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여기서 기재되는 기능들을 구현하도록 설계되는 임의의 조합을 통해 구현 또는 수행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일 수 있지만; 대안적 실시예에서, 이러한 프로세서는 기존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 제어기, 또는 상태 머신일 수 있다. 프로세서는 예를 들어, DSP 및 마이크로프로세서,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결합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 프로세서, 또는 이러한 구성들의 조합과 같이 계산 장치들의 조합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 구현에 대하여, 여기에서 개시되는 양상들과 관련하여 설명되는 프로세싱 유닛들의 다양한 예시적인 로직들, 로직 블록들 및 모듈들은, 하나 이상의 주문형 반도체(ASIC)들, 디지털 신호 처리기들(DSP)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 디바이스(DSPD)들, 프로그래밍가능한 로직 디바이스(PLD)들, 필드 프로그래밍가능한 게이트 어레이(FPGA)들,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범용 목적의 프로세서들, 제어기들, 마이크로-컨트롤러들, 마이크로프로세서들, 여기에서 설명되는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되는 다른 전자 유닛들, 또는 이들의 조합에서 구현될 수 있다. 범용-목적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 있지만, 대안적으로, 임의의 기존의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컨트롤러, 또는 상태 머신일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들의 조합(예컨대, DSP 및 마이크로프로세서,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조합,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여기에서 설명되는 단계들 및/또는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을 구현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게다가, 여기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양상들 또는 특징들은 표준 프로그래밍 및/또는 엔지니어링 기법들을 사용하는 방법, 장치, 또는 제조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 개시되는 양상들과 관련하여 설명되는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 및/또는 동작들은 하드웨어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직접 구현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몇몇의 양상들에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 또는 동작들은 기계-판독가능 매체, 또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상의 코드들 또는 명령들의 세트의 적어도 하나의 또는 임의의 조합으로서 존재할 수 있으며, 이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으로 통합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용어 제조물은 임의의 적절한 컴퓨터-판독가능 디바이스 또는 매체로부터 액세스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31 : 거리산출부
32 : 신선도산출부
33 : 제어부
34 : 통신부

Claims (9)

  1. 농수산물의 재고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품과의 거리를 측정하여 거리측정값을 생성하기 위해 상품진열대에 설치되는 거리측정 센서;
    상품의 신선도를 측정하여 신선도측정값을 생성하는 신선도측정 센서;
    상품 입고일 및 상기 거리측정값의 유지시간과 상기 거리측정값과 상기 신선도측정값의 조합을 통해 결품 및 신선도를 판단하여 상품 관리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서버; 및
    상품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관리자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거리측정 센서로부터 전달된 감지신호로부터 거리측정값을 산출하는 거리산출부;
    상기 신선도측정 센서로부터 전달된 감지신호로부터 신선도측정값을 산출하는 신선도산출부;
    상기 상품 입고일 및 거리측정값의 유지시간과, 상기 거리측정값과 상기 신선도측정값을 조합하여 상품의 결품 및 신선도를 판단하는 제어부; 및
    결품 및 신선도 정보를 관리자단말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품 입고일을 기준으로 하여 상품진열대의 빈공간의 거리를 측정하여, 거리측정 센서와 상품과의 거리가 설정값보다 클 경우에 결품으로 판단하고, 상기 상품 입고일 및 거리측정 센서로부터 측정된 거리측정값이 설정시간 이상 계속 유지될 경우에 신선도 측정센서를 이용하여 신선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산물의 재고관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상품과의 거리를 측정하여 거리측정값을 생성하기 위해 상품진열대에 설치되는 거리측정 센서; 상품의 신선도를 측정하여 신선도측정값을 생성하는 신선도측정 센서; 상품 입고일 및 상기 거리측정값의 유지시간과 상기 거리측정값과 상기 신선도측정값의 조합을 통해 결품 및 신선도를 판단하여 상품 관리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서버; 및 상품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관리자단말을 포함하는 농수산물의 재고관리 시스템을 활용하는 재고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품 입고일을 기록하는 단계;
    상기 상품 입고일을 기준으로 하여 거리측정 센서로부터 전송된 거리측정값을 수신하여 결품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거리측정값이 설정시간 이상 유지될 경우에 신선도측정 센서를 통한 신선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신선도측정 센서로부터 전송된 신선도측정값으로부터 신선도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상품 입고일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거리측정값이 설정값보다 클 경우에는 결품으로 판단하고,
    상기 거리측정값이 설정값보다 작을 경우에, 상기 신선도측정값이 설정값보다 낮을 경우에 신선도 정보를 상기 관리자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산물의 재고관리 방법.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선도측정 센서는 온도 센서 및 습도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산물의 재고관리 시스템.
  9. 삭제
KR1020180014094A 2018-02-05 2018-02-05 농수산물의 재고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0309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4094A KR102030986B1 (ko) 2018-02-05 2018-02-05 농수산물의 재고관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4094A KR102030986B1 (ko) 2018-02-05 2018-02-05 농수산물의 재고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0493A KR20190100493A (ko) 2019-08-29
KR102030986B1 true KR102030986B1 (ko) 2019-10-11

Family

ID=67775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4094A KR102030986B1 (ko) 2018-02-05 2018-02-05 농수산물의 재고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098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42809A (ja) * 2007-03-27 2008-10-09 Fujitsu Component Ltd 商品管理システム及び商品管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478230B1 (en) 2009-09-18 2019-07-24 Expander System Sweden AB System and method for fixedly connecting sheets
KR101217115B1 (ko) 2010-12-30 2013-01-22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상품재고관리 가능한 진열대 및 이를 이용한 상품 재고 관리 시스템
KR101843639B1 (ko) * 2016-06-09 2018-05-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상황인식에 기반하여 신선도를 관리하는 냉장고, 서버, 포터블 장치 및 신선도를 관리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42809A (ja) * 2007-03-27 2008-10-09 Fujitsu Component Ltd 商品管理システム及び商品管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0493A (ko) 2019-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12058B1 (en) Fiber optic shelving system
US11823122B2 (en) Food display system integrating retailer services with consumer engagement
US2017034493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rranging sensors to monitor merchandise conditions at or near shelves
US20190385115A1 (en) Temperature-sensitive cold-chain compliance indicators
US20140201042A1 (en) Inventory control system
US20150294333A1 (en) Mobile device based inventory management and sales trends analysis in a retail environment
US20170124633A1 (en) Retail subscription in internet of things environment
KR101882494B1 (ko) 축산물 무인 판매기 시스템
JP2005515947A5 (ko)
KR20100051091A (ko) 재고 모니터링 시스템
TW200839633A (en) Stock management system
JP2013524380A5 (ko)
KR101217115B1 (ko) 상품재고관리 가능한 진열대 및 이를 이용한 상품 재고 관리 시스템
US20160316938A1 (en) Merchandise display inventory system
JP2008067738A (ja) 電子値札ユニット、電子値札管理システム、電子値札管理方法、プログラム
KR102030986B1 (ko) 농수산물의 재고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070115080A (ko) Rfid를 이용한 상품 보충진열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9024951A1 (en) SYSTEM AND DEVICE FOR ONLINE MONITORING OF RECEIPT OF GOODS FOR SHELVES
JP2012003743A (ja) 流通履歴管理方法
US20080270270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management of inventory of products and assets in real time
TWM483498U (zh) 異常商品管控系統
KR102393980B1 (ko) 에너지 하베스팅을 이용한 초저전력 데이터 로깅 방법 및 장치
JP5247063B2 (ja) 在庫管理システム
CN115330571A (zh) 智慧农贸系统
CA3178496A1 (en) Frontline void planogram alerting service to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