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0580B1 - 티그 용접 토치장치 - Google Patents

티그 용접 토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0580B1
KR102030580B1 KR1020180039289A KR20180039289A KR102030580B1 KR 102030580 B1 KR102030580 B1 KR 102030580B1 KR 1020180039289 A KR1020180039289 A KR 1020180039289A KR 20180039289 A KR20180039289 A KR 20180039289A KR 102030580 B1 KR102030580 B1 KR 1020305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power supply
opening
fixing bolt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9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도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효창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효창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효창산업
Priority to KR10201800392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05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05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05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24Features related to electrodes
    • B23K9/28Supporting devices for electrodes
    • B23K9/29Supporting devices adapted for making use of shielding means
    • B23K9/291Supporting devices adapted for making use of shielding means the shielding means being a gas
    • B23K9/296Supporting devices adapted for making use of shielding means the shielding means being a gas using non-consumable electr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16Arc welding or cutting making use of shielding gas
    • B23K9/167Arc welding or cutting making use of shielding gas and of a non-consumable electro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24Features related to electrodes
    • B23K9/26Accessories for electrodes, e.g. ignition t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 We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작업 효율성과 안전성이 개선되도록, 본 발명은 토치바디부와 연결되어 전원공급라인과 공급배관이 내설되도록 상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 전방측으로 경사진 방향으로 연결되는 결합부가 형성된 연결구; 상기 결합부에 연결되되, 상기 전원공급라인과 연결되는 전극봉이 삽입되며 상기 공급배관과 연통되는 중공홀이 종방향으로 관통형성되며 측부에 상기 중공홀과 연통되는 관통체결공이 형성되고, 첨단부에 형성된 상기 삽입홀과 연통되는 비활성가스 토출홀이 형성되는 고정바디; 상기 결합부 테두리 전단부에 구비되며 측부에 관통개구부가 형성된 절연체관부; 상기 전극봉을 가압 고정하도록, 상기 관통개구부를 관통하여 상기 관통체결공에 체결되는 고정볼트부; 및 상기 고정볼트부의 헤드부 내측에 개재되어 상기 관통개구부의 외측 테두리를 밀폐하는 밀폐오링을 포함하는 티그 용접 토치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티그 용접 토치장치{torch apparatus for tig welding}
본 발명은 티그 용접 토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 편의성과 작업 안전성이 개선된 티그 용접 토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르곤 용접은 전극과 전극 사이에 아크 방전을 만들고, 그 발열에 의해서 용접부를 녹여 용접한다. 여기서, 녹는점이 높은 금속이나 활성금속 등은 용접중에 대기와 반응하여 용접부가 산화되어 쉽게 파손된다. 그러므로, 상기 아르곤 용접은 노즐이 설치된 전극을 사용하여 용접시와 냉각시에 아르곤 가스 등과 같은 비활성가스를 지속적으로 분사하여 용접부의 산화를 방지한다.
도 1은 종래의 티그 용접 토치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티그 용접은 아르콘 용접 중에서 텅스텐을 전극봉(105)으로 사용하는 방법으로, 아르곤을 이용하는 종래의 티그 용접 토치장치(10)는 아크를 발생시키는 토치헤드부(100)와 상기 전극봉(105)을 고정하는 콜릿부(150), 아크를 발생시키기 위한 매개체를 공급하는 토치바디부(20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토치헤드부(100)는 모재에 직접적으로 용접을 수행하는 부분으로 제1세라믹캡(110), 절연체관부(115), 제2세라믹캡(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1세라믹캡(110)와 제2세라믹캡(120)는 상기 토치헤드부(10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길게 돌출된 텅스텐 전극봉(105)이 노출되지 않도록 전극봉(105)을 에워싸고, 가스 주입구를 통해 주입되는 아르곤 가스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상기 토치헤드부(100)에 삽입되는 전극봉(105)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치헤드부(100)는 상기 콜릿부(15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콜릿부(150)은 콜릿척(151), 콜릿몸체(152)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이때, 상기 콜릿척(151)은 다양한 크기의 전극봉(105)이 삽입되고 상기 콜릿척(151)을 감싸면서 상기 전극봉을 고정하는 콜릿몸체(152)이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콜릿척(151)은 일측이 3분할되어 전극봉(105)이 삽입되는 전극봉 삽입공이 형성되며 긴 파이프 형태로서 타측에는 나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공은 상기 콜릿척의 확장부를 3등분한 중앙 영역에 배치되며 다양한 크기의 전극봉(105)이 삽입될 수 있도록 전극봉보다 큰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콜릿몸체(152)는 상기 전극봉(105)이 삽입된 전극봉 삽입공(151a)의 크기를 줄이도록 상기 콜릿척(151)을 감쌀 수 있다. 즉, 콜릿몸체(152)는 상기 콜릿척(151)의 전극봉 삽입공와 접촉되는 콜릿척 누름부를 구비하며 콜릿척 누름부가 상기 확장부에 접촉되면서 상기 전극봉 삽입공의 크기는 점점 줄어들면서 상기 전극봉(105)은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술한 상기 토치헤드부(100)에 내장된 상기 콜릿부(150)를 이용해 다양한 크기의 전극봉(105)을 간편하게 장착하고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토치헤드부(100)에 연결된 상기 토치바디부(200)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라인(210)과 비활성가스를 공급하는 공급배관(220)이 설치되고, 상기 전원공급라인(210)과 상기 공급배관(220)은 커넥터에 의해 원격지에 배치된 리모트제어부(230)로 연결된다. 그리고, 토치스위치부(234)에 의해 상기 리모트제어부(230)는 제어되어 상기 전원공급라인(210)으로 전원을 공급되면, 아크방전이 발생되어 모재를 용접하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티그 용접 토치장치는 토치헤드부에 콜릿척을 포함하는 별도의 고정장치를 구비하여 전극봉을 고정하고 길게 돌출된 복수개의 세라믹캡에 의해 전극봉을 보호함으로써, 상기 토치헤드부의 전체 길이가 길어져 작업자는 안정적인 그립감을 제공받지 못하고 용접작업의 작업성이 저하된다.
특히, 인접한 부분에 배치된 복수개의 기둥들 사이 영역을 용접하는 경우와 같이 용접작업 환경이 협소한 상황에 대응하여 용접장치의 조작을 세밀하게 해야 하는 경우에 유동적으로 대응하기 힘들기 때문에 용접 효율성과 능률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20-0208451호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용 편의성과 작업 안전성이 개선된 티그 용접 토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토치바디부와 연결되어 전원공급라인과 공급배관이 내설되도록 상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 전방측으로 경사진 방향으로 연결되는 결합부가 형성된 연결구; 상기 결합부에 연결되되, 상기 전원공급라인과 연결되는 전극봉이 삽입되며 상기 공급배관과 연통되는 중공홀이 종방향으로 관통형성되며 측부에 상기 중공홀과 연통되는 관통체결공이 형성되고, 첨단부에 형성된 삽입홀과 연통되는 비활성가스 토출홀이 형성되는 고정바디; 상기 결합부 테두리 전단부에 구비되며 측부에 관통개구부가 형성된 절연체관부; 상기 전극봉을 가압 고정하도록, 상기 관통개구부를 관통하여 상기 관통체결공에 체결되는 고정볼트부; 및 상기 고정볼트부의 헤드부 내측에 개재되어 상기 관통개구부의 외측 테두리를 밀폐하는 밀폐오링을 포함하는 티그 용접 토치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관통체결공에 체결되는 상기 고정볼트부에 의해 가압되는 상기 전극봉을 지지하도록, 상기 중공홀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보조지지부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의 내주에는 전단부가 경사지게 형성된 후크부재가 탄성수단에 의해 탄발지지되어 구비되며, 상기 고정바디의 후단부 외주에는 상기 후크부재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후크홈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바디의 단부와 상기 결합부의 사이에는 밀폐부가 개재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장부의 중앙부는 전방측으로 1단 절곡되되, 상기 1단 절곡된 단부에서 후방측으로 2단 절곡되어 연장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티그 용접 토치장치.
한편, 상기 결합부의 후단 상부에서 상측까지 테이퍼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해서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티그 용접 토치장치는 고정바디에 삽입된 전극봉을 관통체결공에 체결된 고정볼트부 및 보조지지부에 의해 가압고정함으로써, 결합부 후방에 추가 고정부 없이 상기 전극봉의 고정이 가능해진다. 이를 통해, 상기 결합부의 후방 길이가 감소하게 되어 인접한 부분에 배치된 복수개의 기둥들 사이 영역을 용접하는 경우와 같은 용접작업 환경이 협소한 장소에서 서로 간섭받지 않고 세밀하고 유동적인 용접 작업이 가능해져 용접 작업성이 현저히 개선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둘째, 상기 고정바디가 결합된 결합부는 후단 상부에서 상측까지 경사지게 단부를 형성하여 상기 티그 용접 토치장치의 전체구조가 슬림화됨으로써, 협소한 공간에서 작업자에게 적절한 용접환경이 제공되어 용접작업의 작업성과 능률성이 현저히 개선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티그 용접 토치장치는 종래의 콜릿척을 포함하는 토치헤드부 후방에 결합된 추가 체결장치 없이 상기 고정볼트부 및 상기 보조지지부를 이용해서 상기 전극봉을 가압고정함으로써, 상기 티그 용접 토치장치가 소형화되어 안정적인 그립감을 제공하여 작업자에게 사용편의성을 제공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넷째, 상기 연장부는 굴곡형 연장부를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연장부로 구비되되, 상기 연장부의 중앙부가 전방측으로 2단 절곡되고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또는 수직으로 상기 토치바디부 및 상기 고정바디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결합부와 상기 연장부 사이의 각도를 작게 하여 용접 작업을 적은 힘으로 진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작업자는 손목 및 어깨의 피로를 경감시킬 수 있고, 작업자의 근골격계 질환을 예방할 수 있어, 용접생산성을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티그 용접 토치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티그 용접 토치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티그 용접 장치의 단면도.
도 4는 도 3의 A-A'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모트제어부의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굴곡형 연장부가 구비된 티그 용접 토치장치의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티그 용접 토치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티그 용접 토치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티그 용접 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A-A'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모트제어부의 블록도이다. 여기서, 상기 티그 용접 토치장치는 텅스텐과 아르곤을 이용한 티그 용접 뿐만 아니라, 기타 전극봉을 고정하여 사용하는 용접 토치장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티그 용접 토치장치(20)는 토치바디부(400)에 연결되는 연결구(500), 고정바디(600), 절연체관부(700), 고정볼트부(800), 그리고 밀폐오링(81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토치바디부(400)는 전원공급라인(410), 공급배관(42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토치바디부(400)는 리모트제어부(430)를 원격지에 배치하여 상기 전원공급라인(410)과 공급배관(420)을 제어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전원공급라인(410)은 상기 리모트제어부(430)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고정바디(60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공급배관(420)은 상기 리모트제어부(430)에서 비활성가스를 공급하도록 제어받아 상기 고정바디(60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토치바디부(400)는 상기 전원공급라인(410)과 상기 공급배관(420)을 감싸도록 구비되되, 절연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토치바디부(400)는 상기 연결구(500)에 밀착하여 연결되되, 상기 전원공급라인(410)과 상기 공급배관(420)을 보호하고 외부와 단절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토치바디부(400)는 상기 전원이나 상기 비활성가스를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이중으로 방지하는 역할을 하여, 감전사고나 기타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리모트제어부(430)는 상기 티그 용접 토치장치(20)의 전원공급및 비활성가스 공급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상세히,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리모트제어부(430)는 전원공급제어부(431), 공급배관 제어부(432), 조절회로부(433), 그리고 토치스위치부(434)를 포함한다. 상기 리모트제어부(430)는 커넥터에 의해 원격지에 배치되어 상기 전원공급라인(410)에 전달되는 상기 전원의 공급을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리모트제어부(430)는 간단한 구조로 구성되어 작업자의 조작을 방해하지 않는 무게와 크기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리모트제어부(430)는 구비된 상기 토치스위치부(434)와 연동하여 전원 공급을 스위칭함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리모트제어부(430)는 상기 토치스위치부(434)와 인접하게 위치하여, 상기 토치스위치부(434)와 상기 리모트제어부(430)의 연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조절회로부(433)는 상기 토치스위치부(434)와 전기적으로 연동되어 상기 리모트제어부(430)를 전기적으로 스위칭시킨다.
이때, 상기 전원공급제어부(431)는 상기 외부 용접장치에서 상기 전원공급라인(410)으로 전달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제어부(431)는 상기 조절회로부(433)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조절회로부(433)는 상기 토치스위치부(434)와 연동된다.
따라서, 상기 토치스위치부(434)는 전원을 유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어, 불필요한 전력소모 감소를 통해 용접작업의 효율성을 개선하고, 과다한 용접을 방지함으로써 용접부의 품질과 완성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조절회로부(433)는 상기 토치스위치부(434)와의 전기적 연동을 유선연결으로 이룰 수 있고, 무선으로 이루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리모트제어부(430)의 상기 공급배관 제어부(432)는 상기 공급배관(420)의 개폐밸브를 개폐하여, 상기 용접장치에서 상기 공급배관(420)으로 전달되는 비활성가스를 제어할 수 있다.
물론, 상기 공급배관 제어부(432)에는 타이머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타이머는 전원의 공급시간과 차단시간을 측정하여 비활성가스 분사시간을 자동이나 수동으로 제어하는 역할을 하여, 비활성가스 분출을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비활성가스의 소모량 감소를 통해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상기 타이머를 통해 자동으로 비활성가스 분출을 조절하는 경우에는 사용편의성을 더욱 개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토치바디부(400)는 상기 전원공급라인(410)과 상기 공급배관(420)에서 전원 및 비활성가스를 공급받아 상기 고정바디(600)로 전달하기 위해, 상기 연결구(500)와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연결구(500)는 연장부(510)과 결합부(52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연결구(500)는 연장부(510)을 이용해서 상기 고정바디(600)가 결합된 결합부(520)까지 전원 및 비활성가스를 전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연결구(500)의 상기 연장부(510)는 상기 전원공급라인(410)과 공급배관(420)이 내설됨이 바람직하다. 즉, 토치바디부(400)에서 고정바디(600)로 상기 전원 및 비활성가스를 공급하기 위해 연장부(510)에 상기 전원공급라인(410)과 공급배관(420)을 내설하여 상기 리모트제어부(43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전원 및 비활성가스를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장부(510)는 직선형 연장부와 굴곡형 연장부를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연장부로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작업자는 작업환경에 따라 다양한 용접장치를 제공받을 수 있고 다양한 용접 작업이 가능해져, 작업성과 능률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장부(510)에는 상기 전원공급라인(410)과 상기 공급배관(420) 의 냉각을 위한 냉각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냉각장치는 상기 전원공급라인(410)과 상기 공급배관(420)에서 발생하는 열을 냉각시키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굴곡형 연장부가 구비된 티그 용접 토치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연장부(910)는 굴곡형 연장부의 형태로써, 중앙부가 전방측으로 2단 절곡되어 상기 토치바디부의 상단부와 횡방향으로 결합할 수 있다. 즉, 상기 연장부(910)의 중앙부는 전방측으로 1단 절곡되되, 상기 1단 절곡된 단부에서 후방측으로 2단 절곡되어 연장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연장부(910)는 굴곡형 연장부를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연장부로 구비되되, 상기 연장부(910)의 중앙부가 전방측으로 2단 절곡되고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또는 수직으로 상기 토치바디부 및 상기 고정바디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결합부와 상기 연장부 사이의 각도를 작게 하여 용접 작업을 적은 힘으로 진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작업자는 손목 및 어깨의 피로를 경감시킬 수 있고, 작업자의 근골격계 질환을 예방할 수 있으며, 작업자가 용접작업 환경에 대응하여 용접장치의 조작을 세밀하게 할 수 있다.
즉, 상기 연장부(910)는 전방측에 굴곡된 형태로 결합하여 상기 고정바디(600)와 결합부(920) 사이의 횡방향 길이는 줄어들고 종방향 길이는 늘어나 용접작업 환경이 협소한 상황에 대응하여 용접장치의 조작을 세밀하게 할 수 있어 운봉작업을 유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연장부(510)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굴곡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작업자의 작업환경에 따라 다양한 굴곡부의 형태가 선택적으로 활용될 수 있어. 작업자는 용접작업의 편의성이 향상되어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결합부(520)는 후단 상부에서 상측까지 테이퍼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결합부(520)의 후단 상부에서 상측까지 경사지게 단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티그 용접 토치장치(20)의 전체구조가 슬림화됨으로써, 협소한 공간에서 작업자에게 적절한 용접환경이 제공되어 용접작업의 작업성과 능률성이 현저히 개선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결합부(520)의 테두리 전단부에는 측부에 관통개구부(710)이 형성된 절연체관부(70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절연체관부(700)는 테프론 등의 절연소재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절연체관부(700)는 단일장치로써 결합부에 결합될 수도 있고, 별도의 장치로써 상기 결합부에 결합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결합부(520)에 결합된 절연체관부(700)는 모재의 용접부 이외의 부분에 접촉하여 발생할 수 있는 감전사고 등을 예방하는 역할을 하여, 상기 작업자를 보호한다. 이로 인해, 상기 티그 용접 토치장치(20)는 작업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결합부(520)는 내주에 전단부가 경사지게 형성된 탄성수단의 후크부재(530)를 구비하여 상기 고정바디(600)를 탄발지지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고정바디(600)는 삽입홀(610), 중공홀(620), 관용체결공(630), 비활성가스 토출홀(640), 보조지지부(650), 세라믹캡 결합부(660), 후크홈(670), 밀폐부(680)를 포함한다.
상세히, 상기 고정바디(600)는 후단부 외주에 상기 후크부재(530)를 삽입 및 고정하는 상기 후크홈(670)을 형성하여, 상기 고정바디(600)의 단부와 상기 결합부(530)를 고정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고정바디(600)는 상기 결합부(520) 내주에 구비된 상기 후크부재(530)를 상기 후크홈(670)에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고정바디(600)는 상기 결합부(520) 사이에 상기 밀폐부(680)가 개재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밀폐부(680)는 단면이 원형으로 되어 있는 탄성재료 링을 포함하여 구비되되, 상기 고정바디(600)와 상기 결합부(520)를 효과적으로 밀봉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밀폐부(680)는 상기 고정바디(600)의 타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결합부(520)와 상기 고정바디(600)를 밀봉하여 결합함으로써, 상기 절연체관부(700) 및 상기 연결구(500)에 연결되어, 상기 연결구(500)에 내설된 상기 전원공급라인(410)과 공급배관(420)에서 전달된 전원 및 비활성가스를 효과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밀폐부(680)는 탄성재료링 뿐만 아니라, 각종 합성고무 및 불소수지제를 포함하는 오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고정바디(600)는 상기 결합부(520)의 후크부재(530)를 이용해서 효과적으로 지지 및 결합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520)는 후크부재를 이용한 고정수단에 국한되지 않고 나사형태, 힌지형태를 포함하는 고정수단을 활용하여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결합부(520)에 고정된 고정바디(600)에는 상기 전극봉(105)이 삽입되어 용접작업을 수행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바디(600)는 전극봉(105)이 삽입되도록 삽입홀(610)이 상기 고정바디(600)의 전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고정바디(600)의 내부에는 상기 중공홀(620)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고정바디(600)의 삽입홀(610)에 의해 삽입된 상기 전극봉(105)을 상기 중공홀(620)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바디(600)의 말단부에 연결된 상기 전원공급라인(410)과 상기 공급배관(420)에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고정바디(600)는 상기 전극봉(105)을 삽입 받아 상기 연결구(500)에 내설된 상기 전원공급라인(410)과 상기 공급배관(420)에 의해 전원 및 비활성가스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전원공급라인(410)에 의해 상기 아크 발생을 위한 전력이 공급되며, 상기 아크에서 발생하는 열로 용접부를 용융시켜 용접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고정바디(600)은 상기 비활성가스 토출홀(640)을 구비하여 상기 공급배관(420)에서 공급된 비활성가스를 용접부에 공급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용접이 진행되는 동안 상기 용접부가 산화하여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용접부의 품질과 완성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물론, 상기 토치헤드부(300)에는 상기 비활성가스를 분사하는 가스노즐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스노즐은 상기 비활성가스를 효과적으로 용접부에 집중시켜 분사하는 역할을 하여, 상기 비활성가스를 통한 상기 용접부의 산화와 부식 방지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바디(600)는 세라믹캡 결합부(660)를 구비하여 세라믹캡(130)과 결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라믹캡(130)은 세라믹 등의 내열성을 가진 소재로 형성된 보호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보호구는 상기 가스노즐을 통해 상기 비활성가스 분사될 때 상기 용접부에 더욱 집중될 수 있는 역할을 하며, 상기 아크 방전에서 발생하는 열이나 용접 중 발생하는 스파크와 이물질로 사용자에게 화상 등의 피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티그 용접 토치장치(20)는 작업의 효율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바디(600)는 상기 삽입홀(610)에 삽입된 상기 전극봉(105)을 고정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고정바디(600)의 측부에는 상기 관통체결공(630)과 상기 보조지지부(650)이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관통체결공(630)과 보조지지부(650)는 상기 삽입홀(610)에서 삽입된 상기 전극봉(105)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보조지지부(650)는 상기 중공홀(620) 대향되는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어, 상기 삽입홀(610)에 삽입된 상기 전극봉(105)을 지지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관통체결공(630)은 보조지지부(650)에 지지된 상기 전극봉(105)을 가압고정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관통체결공(630)은 상기 절연체관부(700)의 상기 관통개구부(710)을 관통하여 구비되되, 상기 고정볼트부(800)와 체결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고정볼트부(800)는 상기 고정볼트부(800)의 헤드부 내측에 개재되어 상기 관통개구부의 외측 테두리를 밀폐하는 상기 밀폐오링(810)을 구비하여 체결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전극봉(105)은 상기 삽입홀(610)에서 보조지지부(650)에서 지지되어, 상기 고정볼트부(800) 및 상기 밀폐오링(810)에 의해 가압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티그 용접 토치장치(20)는 고정바디(600)에 삽입된 전극봉(105)을 관통체결공(630)에 체결된 고정볼트부(800) 및 보조지지부(650)에 의해 가압고정함으로써, 결합부(520) 후방에 추가 체결장치 없이 상기 전극봉(105)의 고정이 가능해진다. 이를 통해, 상기 결합부(520)의 후방 길이가 감소하게 되어 협소한 장소에서 세밀하고 유동적인 용접 작업이 가능해져 용접 작업성이 현저히 개선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티그 용접 토치장치(20)는 안정적인 그립감을 제공하여 작업자에게 사용편의성을 제공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 20, 30: 티그 용접 토치장치 100: 토치헤드부
105: 전극봉 110: 제1세라믹캡
120: 제2세라믹캡 130: 세라믹캡
115,700: 절연체관부 150: 콜릿부
151: 콜릿척 152: 콜릿몸체
200, 400: 토치바디부 210, 410: 전원공급라인
220, 420: 공급배관 230, 430: 리모트제어부
431: 전원공급제어부 432: 공급배관 제어부
433: 조절회로부 234, 434: 토치스위치부
500: 연결구 510: 연장부
520: 결합부 530: 후크부재
600: 고정바디 610: 삽입홀
620: 중공홀 630: 관통체결공
640: 비활성가스 토출홀 650: 보조지지부
660: 세라믹캡 결합부 670: 후크홈
680: 밀폐부
710: 관통개구부 800: 고정볼트부
810: 밀폐오링 900: 굴곡형 연결구
910: 굴곡형 연장부 920: 굴곡형 결합부

Claims (5)

  1. 토치바디부와 연결되어 전원공급라인과 공급배관이 내설되도록 상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 전방측으로 경사진 방향으로 연결되는 결합부가 형성된 연결구;
    상기 결합부에 연결되되, 상기 전원공급라인과 연결되는 전극봉이 삽입되며 상기 공급배관과 연통되는 중공홀이 종방향으로 관통형성되며 측부에 상기 중공홀과 연통되는 관통체결공이 형성되고, 첨단부에 형성된 삽입홀과 연통되는 비활성가스 토출홀이 형성되는 고정바디;
    상기 결합부 테두리 전단부에 구비되며 측부에 관통개구부가 형성된 절연체관부;
    상기 전극봉을 가압 고정하도록, 상기 관통개구부를 관통하여 상기 관통체결공에 체결되는 고정볼트부; 및
    상기 고정볼트부의 헤드부 내측에 개재되어 상기 관통개구부의 외측 테두리를 밀폐하는 밀폐오링을 포함하되,
    상기 관통체결공에 체결되는 상기 고정볼트부에 의해 가압되는 상기 전극봉을 지지하도록, 상기 중공홀의 대향되는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보조지지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티그 용접 토치장치.
  2. 삭제
  3. 토치바디부와 연결되어 전원공급라인과 공급배관이 내설되도록 상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 전방측으로 경사진 방향으로 연결되는 결합부가 형성된 연결구;
    상기 결합부에 연결되되, 상기 전원공급라인과 연결되는 전극봉이 삽입되며 상기 공급배관과 연통되는 중공홀이 종방향으로 관통형성되며 측부에 상기 중공홀과 연통되는 관통체결공이 형성되고, 첨단부에 형성된 삽입홀과 연통되는 비활성가스 토출홀이 형성되는 고정바디;
    상기 결합부 테두리 전단부에 구비되며 측부에 관통개구부가 형성된 절연체관부;
    상기 전극봉을 가압 고정하도록, 상기 관통개구부를 관통하여 상기 관통체결공에 체결되는 고정볼트부; 및
    상기 고정볼트부의 헤드부 내측에 개재되어 상기 관통개구부의 외측 테두리를 밀폐하는 밀폐오링을 포함하되,
    상기 결합부의 내주에는 전단부가 경사지게 형성된 후크부재가 탄성수단에 의해 탄발지지되어 구비되며, 상기 고정바디의 후단부 외주에는 상기 후크부재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후크홈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바디의 단부와 상기 결합부의 사이에는 밀폐부가 개재됨을 특징으로 하는 티그 용접 토치장치.
  4. 토치바디부와 연결되어 전원공급라인과 공급배관이 내설되도록 상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 전방측으로 경사진 방향으로 연결되는 결합부가 형성된 연결구;
    상기 결합부에 연결되되, 상기 전원공급라인과 연결되는 전극봉이 삽입되며 상기 공급배관과 연통되는 중공홀이 종방향으로 관통형성되며 측부에 상기 중공홀과 연통되는 관통체결공이 형성되고, 첨단부에 형성된 삽입홀과 연통되는 비활성가스 토출홀이 형성되는 고정바디;
    상기 결합부 테두리 전단부에 구비되며 측부에 관통개구부가 형성된 절연체관부;
    상기 전극봉을 가압 고정하도록, 상기 관통개구부를 관통하여 상기 관통체결공에 체결되는 고정볼트부; 및
    상기 고정볼트부의 헤드부 내측에 개재되어 상기 관통개구부의 외측 테두리를 밀폐하는 밀폐오링을 포함하되,
    상기 연장부의 중앙부는 전방측으로 1단 절곡되되, 상기 1단 절곡된 단부에서 후방측으로 2단 절곡되어 연장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티그 용접 토치장치.
  5. 토치바디부와 연결되어 전원공급라인과 공급배관이 내설되도록 상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 전방측으로 경사진 방향으로 연결되는 결합부가 형성된 연결구;
    상기 결합부에 연결되되, 상기 전원공급라인과 연결되는 전극봉이 삽입되며 상기 공급배관과 연통되는 중공홀이 종방향으로 관통형성되며 측부에 상기 중공홀과 연통되는 관통체결공이 형성되고, 첨단부에 형성된 삽입홀과 연통되는 비활성가스 토출홀이 형성되는 고정바디;
    상기 결합부 테두리 전단부에 구비되며 측부에 관통개구부가 형성된 절연체관부;
    상기 전극봉을 가압 고정하도록, 상기 관통개구부를 관통하여 상기 관통체결공에 체결되는 고정볼트부; 및
    상기 고정볼트부의 헤드부 내측에 개재되어 상기 관통개구부의 외측 테두리를 밀폐하는 밀폐오링을 포함하되,
    상기 결합부의 후단 상부에서 상측까지 테이퍼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티그 용접 토치장치.
KR1020180039289A 2018-04-04 2018-04-04 티그 용접 토치장치 KR1020305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9289A KR102030580B1 (ko) 2018-04-04 2018-04-04 티그 용접 토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9289A KR102030580B1 (ko) 2018-04-04 2018-04-04 티그 용접 토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0580B1 true KR102030580B1 (ko) 2019-10-10

Family

ID=68206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9289A KR102030580B1 (ko) 2018-04-04 2018-04-04 티그 용접 토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058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59246Y2 (ja) * 1990-01-10 1998-01-1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Tig溶接用トーチ
KR200208451Y1 (ko) 2000-06-21 2001-01-15 황원규 티그용접헤드
KR20130120697A (ko) * 2012-04-26 2013-11-05 (주)지엔에스케이텍 프로젝션 용접용 전극
KR101677153B1 (ko) * 2015-12-02 2016-11-17 김병운 이종가스를 분출할 수 있는 가스디퓨저를 갖춘 용접기용 용접토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59246Y2 (ja) * 1990-01-10 1998-01-1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Tig溶接用トーチ
KR200208451Y1 (ko) 2000-06-21 2001-01-15 황원규 티그용접헤드
KR20130120697A (ko) * 2012-04-26 2013-11-05 (주)지엔에스케이텍 프로젝션 용접용 전극
KR101677153B1 (ko) * 2015-12-02 2016-11-17 김병운 이종가스를 분출할 수 있는 가스디퓨저를 갖춘 용접기용 용접토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37089B (zh) 焊槍、焊接系統及纜線支撐總成
KR101780448B1 (ko) 용접용 토치
US8546727B2 (en) Contact tube for a welding torch
CN104203478A (zh) 半自动焊接系统、转换用接头套件及焊接用吹管
KR101575705B1 (ko) 가스 용접용 토치
KR20040036553A (ko) 용접 기구의 접촉 팁을 보호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030580B1 (ko) 티그 용접 토치장치
KR102063423B1 (ko) 자동 위빙용 티그용접 홀더
KR102058698B1 (ko) 아르곤 용접기용 토치
DE60223972D1 (de) Schweissbrenner zum Schutzgasmetallichtbogenschweissen
KR101113695B1 (ko) 아르곤 용접기용 토치
US6377604B1 (en) Current-conducting arm for an electric arc furnace
KR100729441B1 (ko) 탄산가스 용접토치
KR20120113392A (ko) 전극 위빙용 수동 티그 용접토치
CN100429031C (zh) 轧头套管及钨极惰性气体保护焊焊炬
US3047714A (en) Arc welding apparatus
JP5402013B2 (ja) 溶接用トーチ
KR200475510Y1 (ko) 가우징 용접용 토치의 구조.
KR101848815B1 (ko) Co2 아크용접기용 연장케이블의 익스텐션 피더측 어댑터 구조
KR102495759B1 (ko) 용접용 토치
KR200484970Y1 (ko) 용접 토치 케이블
KR102030579B1 (ko) 티그 용접 토치장치
KR20020042604A (ko) 씨오투 아크용접기용 연장케이블의 어댑터구조
KR20140039909A (ko) 티그 용접기용 토치
KR102585774B1 (ko) 탄산가스 용접토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