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0519B1 - 균열감지장치 - Google Patents

균열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0519B1
KR102030519B1 KR1020190031203A KR20190031203A KR102030519B1 KR 102030519 B1 KR102030519 B1 KR 102030519B1 KR 1020190031203 A KR1020190031203 A KR 1020190031203A KR 20190031203 A KR20190031203 A KR 20190031203A KR 102030519 B1 KR102030519 B1 KR 1020305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road
crack
senso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1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종
김기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리스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리스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리스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1900312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05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05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05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11/02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by measuring distance between sensor and objec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2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contours or curva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16Elements for restraining, or preventing the movement of, parts, e.g. for zerois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5/00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 G01M5/0033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by determining damage, crack or wea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5/225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sting Of Devices, Machine Parts, Or Other Structur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표면의 균열 및 도로내부의 공동을 감지하는 균열감지장치에 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동력에 의하여 이동하는 이동부와 이동부 외부에 체결식 또는 케리어식으로 장착되는 장착부와 장착부에 결합되며, 도로의 균열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균열감지장치{Sensing Apparatus of Crack}
본 발명은 도로표면의 균열 및 도로내부의 공동을 감지하는 균열감지장치에 대한 것이다.
특허문헌 001은 도로변의 재난을 감시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도로변의 사면에 설치되어 사면의 압력이나 수분 및 환경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감지수단; 상기 감지수단에서 감지된 신호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센서수집장치; 상기 센서수집장치에서 전송된 감지신호를 판단하여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현장제어장치; 상기 도로변 사면을 감시하기 위하여 설정된 검지구역에 설치된 지주의 일측에 일방향 또는 양방향으로 설치되어 검지구역 내의 도로변 사면 또는 차량의 흐름 및 교통량에 대한 영상정보를 수집하여 출력하는 영상검지장치, 및 상기 현장제어장치의 제어신호로 재난상태를 시각 및 청각적으로 표출하기 위한 시청각장치를 포함하여 천재지변으로 인하여 하천이 인접한 도로 또는 산악지형이나 절개사면이 인접한 도로변의 붕괴 등으로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재난(및 재해)을 감시하는 시스템에 의하여 도로를 통행하는 차량의 운전자나 보행자에게 시청각적으로 알림으로써, 이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허문헌 002는 도로를 포함하는 영역을 복수개 분할된 영역별로 촬영하도록 팬-틸트 기능과 줌 기능을 구비하는 카메라; 상기 복수개 분할된 영역에 대한 기준영상이 저장되는 기준영상 저장모듈; 상기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도로의 영상을 저장하는 영상저장모듈; 상기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도로의 영상과 촬영영상과 상기 기준영상을 비교하는 영상처리기법에 의하여 이상을 판정하는 이상판정모듈; 상기 영상저장모듈에 저장된 영상을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하며, 제어대상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것이다.
특허문헌 003은 도로의 표층 하부측에 매설되어 지중의 토사 붕괴로 형성되는 동공으로 자중에 의해 하강 회전되는 회동부재에 연결하고 그 회전량에 따라 땅 꺼짐의 정도가 안전한 수준, 위험수준, 경고의 수준, 및 땅 꺼짐 발생의 각 단계별로 대응되는 전기적 신호를 감지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도로 하부에서 지형의 변화에 따른 땅 꺼짐을 상태를 탐지하고 해당 땅 꺼짐 위치를 통보해 사전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하여 도로 통행에 따른 차량이나 통행인이 추락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하는 도로 땅 꺼짐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004는 도로의 침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감지수단이 도로에 설치된 경계석에 착탈되는 구조로 설치되어 다양한 종류로 제작되어 왔던 모든 경계석에 적용 가능함은 물론 도로의 지형 환경에 맞춰 센서의 위치를 조정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침수 감지 시 발생할 수 있는 오류 등을 최소화할 수 있는 가변형 센서가 적용된 도로 침수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위치 좌표정보를 포함한 식별정보를 가지고 복수의 도로 경계석 중 선택된 하나의 경계석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도로의 침수 레벨을 실시간 감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감지수단; 상기 하나 이상의 감지수단과 연결되어 감지수단으로부터 감지된 센싱 데이터와 식별정보를 수집하며 이를 취합하여 송신하기 위한 데이터 중계수단; 및 상기 데이터 중계수단에서 송신한 센싱 데이터와 식별정보를 수신 및 저장하여 도로의 침수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중앙 관제 서버;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KR 10-0755207 B1 (2007년08월29일) KR 10-1178772 B1 (2012년08월27일) KR 10-1704527 B1 (2017년02월02일) KR 10-1775016 B1 (2017년08월30일)
본 발명은 도로표면의 균열 및 도로내부의 공동을 감지하는 균열감지장치에 대한 것이다.
종래발명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은 균열감지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구체적으로 동력에 의하여 이동하는 이동부(100);, 상기 이동부(100) 외부에 체결식 또는 케리어식으로 장착되는 장착부(200);, 상기 장착부(200)에 결합되며, 도로(10)의 균열(11)을 감지하는 감지부(3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균열감지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이동부(100);, 장착부(200);, 감지부(3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감지부(300)의 상단에 형성되며, 상기 장착부(200)에서 회동하는 케이스(310);, 상기 감지부(300)의 타단에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310) 내부에서 회전하는 작동부(380);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균열감지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이동부(100);, 장착부(200);, 감지부(3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작동부(380)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도로(10)의 균열(11)을 측정하는 센서부(400);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균열감지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이동부(100);, 장착부(200);, 감지부(3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케이스(310)와 상기 작동부(380) 사이에 형성되며, 진동을 저감시키는 제진부(500);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이동 중에 도로 표면의 균열을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동 중에 도로내부의 공동을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균열 및 공동을 측정함에 따라 운전자에게 위험을 경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로의 상태를 예측하여 사전에 도로를 보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수의 차량에 설치되어 도로의 균열을 측정함에 따라 메인서버에서 다수의 정보를 종합하여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드론과 같은 항공기에 설치되어 차량이 접근하기 어려운 지역의 공동을 측정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의 균열감지장치를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균열감지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균열감지장치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균열감지장치의 A-A'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균열감지장치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진부를 나타낸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아래의 실시예에서 인용하는 번호는 인용대상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모든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구성과 동일한 목적 및 효과를 발휘하는 대상은 균등한 치환대상에 해당된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상위개념은 기재하지 않은 하위개념 대상을 포함한다.
(실시예 1-1) 본 발명은 균열감지장치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동력에 의하여 이동하는 이동부(100);, 상기 이동부(100) 외부에 체결식 또는 케리어식으로 장착되는 장착부(200);, 상기 장착부(200)에 결합되며, 도로(10)의 균열(11)을 감지하는 감지부(300);를 포함한다.
(실시예 1-2) 본 발명의 균열감지장치는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300)에서 감지된 균열(11) 및 공동(12) 정보를 수신받는 메인서버(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도로(10)의 균열(11)을 감지하기 위한 균열감지장치에 대한 것이다. 균열감지장치는 이동성 효과를 가진다. 따라서 도로(10)를 따라 이동하며, 도로(10) 표면의 균열(11) 및 도로(10) 내부의 공동(12) 등을 감지할 수 있다. 균열감지장치는 이동부(100)에 장착되어 도로(10)의 지면을 이동하며, 균열(11) 및 공동(12)을 감지한다. 이동부(100)는 도로(10)를 주행하는 차량 및 비행체에 형성된다. 이동부(100)에 장착되는 장착부(200)는 체결식 또는 케리어식으로 형성된다. 체결식의 경우 차량 또는 비행체에 형성되는 이동부(100)에 적용되며, 케리어식의 경우, 기존 차량과 결합되어, 차량의 동력을 활용한다. 감지부(300)는 장착부(200)에 결합되어 소정의 각도로 작동된다. 이 때, 감지부(300)는 노면의 충격 및 풍압 등 외부 영향이 작용하여도 실시간으로 지면을 탐촉하도록 한다. 따라서, 이동부(100)에 의하여 이동하며, 후술되는 센서부(400)에서 도로(10)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균열감지장치에서 측정된 정보는 외부의 메인서버(20)로 송신된다. 메인서버(20)는 도로(10)를 주행하는 다수의 이동부(100)에 장착된 감지부(300)에서 측정된 균열(11) 및 공동(12) 정보를 수신 받는다. 메인서버(20)는 다수의 정보를 취합하여 균열(11) 위치 및 크기를 예측하고, 과거의 정보와 비교하여 도로(10)의 상태를 예측한다. 상기 정보는 균열 및 공동의 크기, 위치, 측정시간 등을 포함한다.
(실시예 1-3) 본 발명의 균열감지장치는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200)가 케리어식으로 형성될 경우, 이동부(100) 후미에 장착된 제 1견착부(210); 상기 제1견착부와 선택적으로 착탈되며, 상기 장착부(200)에 장착된 제 2견착부(2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이동부(100) 및 장착부(200)가 별도의 구성으로 분리되어 있는 조건에서, 이동부(100) 및 장착부(200)를 결합하기 위한 발명이다. 제1, 2견착부는 케리어식에 적용되며, 회동이 가능한 후크 형태를 취한다. 후크 형태는 사용자의 작업에 의해 장착 및 탈착을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제 2견착부(220)는 제 1견착부(210)의 이동 방향에 따라 회동 가능하게 한다.
(실시예 1-4) 본 발명의 균열감지장치는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200)가 체결식의 형성될 경우, 이동부(100)의 후면에 형성된 제 1체결부(230); 상기 제1체결부와 선택적으로 착탈되며, 상기 장착부(200)에 장착된 제 2체결부(240);를 포함한다.
(실시예 1-5) 본 발명의 균열감지장치는 실시예 1-4에 있어서, 상기 제 2체결부(240)에 형성되며, 상기 제 1체결부(230)에 결합되는 베이스(241);를 포함한다.
(실시예 1-6) 본 발명의 균열감지장치는 실시예 1-5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241)는 상기 이동부(100) 방면으로 다수가 돌출되는 고정돌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장착부(200)에 대한 것이다. 장착부(200)가 체결식으로 형성될 경우 제 1, 2체결부로 적용된다. 제 1체결부(230)는 이동부(100)에 체결홈으로 형성되며, 제 2체결부(240)가 장착된다. 제 2체결부(240)는 베이스(241)와 베이스(241)와 회전축(242)으로 형성된다. 베이스(241)는 제 1체결부(230)에 고정체에 의하여 고정 체결됨을 원칙으로 이는 주행 중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이동부(100)는 차량종류에 따라 상이한 후면형상을 가진다. 본 발명의 베이스(241)가 이동부(100)와 결합되기 위하여는 어뎁터 역할의 구조물이 요구되며, 이는 고정돌기에 의해 이루어진다. 고정돌기는 차량 및 베이스(241) 간격을 일정량 이격 시키며, 다양한 차종에 따라 선택적으로 체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고정돌기는 이동부(100) 제 1체결부(230) 방면으로 다수가 돌출됨에 따라 이동부(100)의 형상에 관계없이 베이스(241)를 이동부(100)에 이격시켜 고정시킬 수 있다. 이동부(100)의 형상에 따라 수량 및 위치가 달라질 수 있다.
(실시예 1-7) 본 발명의 균열감지장치는 실시예 1-6에 있어서, 상기 제 2체결부(240)에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241)의 양측면에서 각각 돌출되는 회전축(242);을 포함한다.
(실시예 1-8) 본 발명의 균열감지장치는 실시예 1-7에 있어서, 서로 마주하는 상기 회전축(242)의 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회동돌기(243);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장착부(200)에 대한 것이며, 장착부(200)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감지부(300)를 회동시킨다. 제 2체결부(240)는 베이스(241)가 형성되며, 이동부(100)에 결합되는 베이스(241)의 타측면에 회전축(242)이 형성된다. 회전축(242)은 베이스(241)의 양측면에서 각각 돌출되며, 복수의 회전축(242) 사이에 감지부(300)가 결합된다. 이 때, 회전축(242)의 단부에는 회동돌기(243)가 형성된다. 회동돌기(243)는 복수의 회전축(242)이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회동돌기(243)는 원통형 및 원뿔형으로 형성된다. 회동돌기(243)는 감지부(300)의 상단에 삽입되어 감지부(300)의 회동을 원활하게 가이드한다.
(실시예 1-9) 본 발명의 균열감지장치는 실시예 1-8에 있어서, 상기 회동돌기(243)는 상기 이동부(100)와 접하는 단부에 완충장치(250);를 포함한다.
(실시예 1-10) 본 발명의 리프트카 수송 장치는 실시예 1-9에 있어서, 상기 회동돌기(243)는 상기 감지부(300)의 상단에 형성되는 수용공간(321)에 삽입된다.
본 발명은 완충장치(250)에 대한 것이다. 완충장치(250)는 충격에 의하여 감지부(300)의 이탈 및 파손을 방지한다. 완충장치(250)는 회동돌기(243)를 감싸며 형성된다. 완충장치(250)는 감지부(300)의 상단에 형성되는 수용공간(321)에 삽입된다. 따라서, 완충장치(250)는 회동돌기(243)와 삽입부(320) 사이에 형성되어 감지부(300)의 이동을 방지한다. 완충장치(250)는 수용공간(321)에 삽입되어 탄성 작용을 하는 탄성체(251)로 형성된다. 탄성체(251)가 삽입되는 수용공간(321)은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감지부(300)의 상단을 관통하거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된다. 탄성체(251)는 합성수지 및 고무재질로 형성되거나, 복수의 스프링으로 형성된다. 복수의 스프링으로 형성되는 탄성체(251)는 수용공간(321)과 동일하거나 작은 길이로 형성되어 회동돌기(243)가 감지부(300)에 접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회동돌기(243)가 원뿔형상으로 형성될 경우 회동돌기(243)의 단부를 감싸는 커버와 감지부(300)의 내부에 접하는 내측커버가 형성된다. 이 때, 커버와 내측커버는 고무재질로 형성되며, 커버와 내측커버는 복수의 스프링으로 형성된다.
(실시예 1-11) 본 발명의 균열감지장치는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100)의 베터리 또는 발전기와 연결되며, 상기 감지부(3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차량전원공급부;를 포함한다.
(실시예 1-12) 본 발명의 균열감지장치는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100)의 엔진 회전동력을 상기 감지부(300)에 공급하는 차량회전동력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감지부(300)는 동력이 요구된다. 동력은 전원이 되며, 또는 물리적 회전력이 요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은 물을 가열하는 전기전열기에 사용되거나, 내부의 장치들을 작동시키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물리적 회전력은 감지부(300)의 센서를 구동시켜, 도로(10)의 균열(11) 및 공동(12)을 감지할 수 있다.
(실시예 2-1) 본 발명은 균열감지장치에 대한 것이며, 앞에 제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300)에 형성되며, 상기 장착부(200)와 회동되는 케이스(310);, 상기 케이스(310) 내부에 수용되며, 회동되는 작동부(380);을 포함한다.
(실시예 2-2) 본 발명의 균열감지장치는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310)의 상단에 형성되며, 상기 장착부(200)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부(320);, 상기 케이스(310) 하단에 형성되며, 상기 작동부(380)가 수용되는 수용부(330);를 포함한다.
(실시예 2-3) 본 발명의 균열감지장치는 실시예 2-2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380)의 하단에 형성되며, 상기 감지부(300)가 중력에 의해 하단을 향하도록 유도하는 웨이트블럭(3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감지부(300)에 대한 것이며, 케이스(310)와 작동부(380)로 구분된다. 케이스(310)는 장착부(200)에 결합되어 소정의 각도로 회동한다. 케이스(310)는 장착부(200)의 회동돌기(243)가 삽입되는 삽입부(320)와 작동부(380)가 수용되는 수용부(330)로 형성된다. 이러한 삽입부(320)는 복수의 회전축(242) 사이에 삽입되며, 수용부(330)는 삽입부(320)보다 넓은 폭으로 형성되어 복수의 회전축(242) 하단에 형성된다. 삽입부(320)의 양측면은 수용공간(321)이 형성된다. 이러한 수용공간(321)은 회동돌기(243)가 삽입되는 공간이며, 완충장치(250)가 내장된다. 수용부(330)는 내부에 작동부(380)가 수용되는 수용홈(331)이 형성되며, 수용홈(331)은 작동부(380)의 형상과 동일하게 구 또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때, 수용홈(331)은 하단에 개방홈이 형성되어 작동부(380)의 하단이 외부로 돌출된다. 작동부(380)는 수용부(330)에 수용되도록 구 또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단은 절개되어 후술되는 센서부(400)가 도로(10)를 향하도록 한다. 그리고 작동부(380)의 절개면에는 웨이트블럭(340)가 형성된다. 웨이트블럭(340)는 철재로 형성됨에 따라 중력에 의하여 절개면의 센서부(400)가 도로(10)를 향하도록 한다. 따라서, 이동부(100)가 이동 중 충격 및 풍압에 의하여 흔들려도 감지부(300)는 도로(10)를 향할 수 있다.
(실시예 2-4) 본 발명의 균열감지장치는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310)는 상기 작동부(380)로 연결되는 전선이 수용되는 유연공간(332);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유연공간(332)은 케이스(310)와 작동부(380)가 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유연공간(332)은 수용부(330)의 수용홈(331) 상단에 형성되며, 후술되는 센서부(400)로 연결되는 전선이 수용된다. 유연공간(332)에 수용되는 전선은 유연하게 이동이 가능하도록 유연공간(332)에 감기도록 형성된다. 그에 따라 작동부(380)가 케이스(310)에서 회전하여도 전선이 끊기거나 늘어나지 않는다.
(실시예 2-5) 본 발명의 균열감지장치는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310)는 상기 메인서버(20)로 균열(11)을 송신하는 통신부(350);, 상기 감지부(300)에 동력을 공급하는 전원부(360);를 포함한다.
(실시예 2-6) 본 발명의 균열감지장치는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360)는 전력을 저장하는 충전기;, 상기 충전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충전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케이스(310)에 대한 것이며, 케이스(310)는 통신부(350) 및 전원부(360)가 형성된다. 통신부(350)는 케이스(310)의 상부에 형성되며, 이동부(100)의 위치를 송수신하는 GPS가 형성된다. 그리고 감지부(300)에서 측정한 도로(10)의 균열(11) 및 공동(12)을 메인서버(20)로 송수신하는 송수신 안테나가 형성된다. 통신부(350)는 메인서버(20)와 감지부(300)에서 측정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전원부(360)는 수용부(330)의 측면에 형성되며, 차량 및 항공기로 형성되는 이동부(100)의 전원을 사용할 수 있다. 또는 충전된 전원을 사용할 수 있다. 이동부(100)의 전원을 사용하는 경우, 이동부(100)의 베터리 전원을 사용하며, 충전전원을 사용할 경우, 내장된 자체 충전기에 후술되는 센서부(400)를 구동할 수 있다. 또한 필요한 경우, 이동부(100)의 동력을 직접 사용할 수 있다. 이동부(100)의 엔진구동동력이 감지부(300)와 직접 결합한다.
(실시예 2-7) 본 발명의 균열감지장치는 실시예 2-5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300)에서 측정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부(37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데이터저장부(370)에 대한 것이며, 데이터저장부(370)는 통신부(350)에서 메인서버(20)로 송신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데이터저장부(370)는 감지부(300)에서 측정한 도로(10)의 균열(11) 및 공동(12)이 저장된다. 데이터저장부(370)는 메모리칩 또는 USB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감지부(300)에서 착탈 가능하다. 따라서, 통신부(350)에 발생하는 통신 오류 등에 의하여 정환한 정보가 전달되지 않을 때 데이터저장부(370)를 통해 정보가 제공된다.
(실시예 3-1) 본 발명은 균열감지장치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2-1에있어서, 상기 작동부(380)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도로(10)의 균열(11)을 측정하는 센서부(400);를 포함한다.
(실시예 3-2) 본 발명의 균열감지장치는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400)는 상기 감지부(300)와 도로(10)의 간격을 측정하는 거리센서(41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센서부(400)에 대한 것이며, 센서부(400)는 도로(10)의 균열(11) 및 공동(12)을 측정한다. 센서부(400)는 도로(10)와 감지부(300)의 거리를 측정하며, 도로(10) 표면의 균열(11) 및 도로(10) 내부의 공동(12)을 측정한다. 센서부(400)는 거리센서(410)와 후술되는 균열측정센서(420) 및 투과센서(430)로 형성된다. 각각의 센서들은 서로 근접하게 위치하며, 작동부(380)의 하단 절단면에 위치하여 하단의 도로(10)를 측정한다. 거리센서(410)는 작동부(380)의 하단에서 도로(10)를 향해 초음파를 발생시켜 파장을 통해 도로(10)와 거리센서(410)의 거리를 측정한다. 센서부(400)와 도로(10)의 거리를 측정함에 따라 후술되는 균열측정센서(420) 및 투과센서(430)의 정확한 측정을 유도한다.
예를 들어, 이동부(100)가 드론과 같은 항공기로 형성될 경우 도로(10)와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되지 않으므로 후술되는 균열측정센서(420) 및 투과센서(430)의 측정값이 변동될 수 있다. 따라서, 거리센서(410)를 통해 센서부(400)와 도로(10)의 간격을 상시 측정하여 거리가 변동되면 후술되는 균열측정센서(420)와 투과센서(430)에 거리 조정을 하여 정확한 균열(11) 및 공동(12)을 측정할 수 있다.
(실시예 3-3) 본 발명의 균열감지장치는 실시예 3-2에 있어서, 도로(10)의 균열(11)을 측정하는 균열측정센서(420);, 도로(10)를 투과하여 내부의 공동(12)을 측정하는 투과센서(GPR) (430);를 포함한다.
(실시예 3-4) 본 발명의 균열감지장치는 실시예 3-3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400)에 형성되며, 도로(10)를 촬영하는 카메라(440);를 포함한다.
(실시예 3-5) 본 발명의 균열감지장치는 실시예 3-4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400)에서 도로(10)를 측정하는 시간을 측정하는 타이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센서부(400)에 대한 것이며, 도로(10)의 균열(11) 및 공동(12)을 측정하는 균열측정센서(420)와 투과센서(430)로 형성된다. 균열측정센서(420)는 도로(10)의 폭과 동일하게 도로(10)에 적외선을 발광한다. 적외선은 이동부(100)가 이동함에 따라 도로(10)를 이동하며, 도로(10)의 균열(11) 및 요철 등을 측정한다. 이 때, 도로(10)의 폭에 발광하는 적외선에 변화가 발생할 때 카메라(440)가 캡쳐 및 촬영한다. 이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면, 적외선은 이동부(100)가 이동하는 도로(10)의 폭을 직선 형태로 발광된다. 적외선은 도로(10)에 균열(11) 및 요철이 없다고 판단되면 정보를 송신하지 않는다. 그러나 이동부(100)에 의하여 이동할 때 적외선에 끊김 등이 발생하면 균열(11) 및 요철이 있다 판단하여 카메라(440)로 촬영을 할 수 있다. 이 때, 카메라(440)는 상시 도로(10)를 촬영할 수 있으며, 균열측정센서(420)에서 이상이 발견되면 캡쳐를 진행할 수 있다. 또한, 균열측정센서(420)에서 발광하는 적외선은 그래프 형상으로 표현되어 적외선에 끊김 등이 발생하는 구간을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투과센서(430)는 GPR(지반투과레이터탐사)로 형성되며, 도로(10)의 하부에 형성되는 공동(12) 및 부동침하 등을 사전에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도로(10)의 위험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으며, 운전자에게 정보를 알릴 수 있다. 또한, 센서부(400)는 거리센서(410), 균열측정센서(420), 투과센서(430) 등에서 도로(10)를 측정하는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타이머는 현재 시간 및 측정 시간을 판단하여 메인서버(20)로 송신할 수 있다.
(실시예 3-6) 본 발명의 균열감지장치는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400)는 도로(10)의 노면 결빙을 예측하는 결빙센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결빙센서에 대한 것이며, 결빙센서는 차량의 속도 및 온도와 습도를 측정한다. 결빙센서는 차량의 속도 변화를 판단하여 노면에 이상을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노면 온도를 측정함에 따라 결빙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실시예 4-1) 본 발명은 균열감지장치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3-1에있어서, 상기 케이스(310)와 상기 작동부(380) 사이에 형성되며, 진동을 저감시키는 제진부(500);를 포함한다.
(실시예 4-2) 본 발명의 균열감지장치는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제진부(500)는 상기 케이스(310)와 상기 작동부(380) 사이의 마찰계수를 낮추기 위하여 유막;을 형성한다.
(실시예 4-3) 본 발명의 균열감지장치는 실시예 4-2에 있어서, 상기 제진부(500)는 상기 케이스(310)와 상기 작동부(380) 사이의 이격공간(520)을 형성하도록 자이로스코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제진부(500)에 대한 것이며, 제진부(500)는 도로(10)의 균열(11) 및 공동(12)을 측정한다. 제진부(500)는 케이스(310)와 작동부(380) 사이의 마찰계수를 낮춰 외부 충격이 발생하여 케이스(310)가 장착부(200)에서 회동하여 작동부(380)는 도로(10)를 향하도록 유도한다. 이 때, 제진부(500)는 마찰계수를 낮추기 위하여 수용홈(331)이 형성되는 케이스(310)의 내벽과 작동부(380)의 외측면의 표면조도를 낮게 형성한다. 그에 따라 작동부(380)는 웨이트블럭(340)에 의하여 도로(10)를 향하나 케이스(310)는 소정의 각도로 장착부(200)에서 회동할 수 있다. 그리고 제진부(500)는 마찰계수를 더 낮게 형성하기 위하여 케이스(310)와 장착부(200) 사이에 유막이 형성되도록 한다. 유막은 상시 공급되거나 유막이 증발 및 이탈되지 않도록 케이스(310)와 장착부(200)가 접하는 위치에 차단판을 형성한다.
또한, 작동부(380)는 자이로스코프로 형성되어 작동부(380)는 하단을 향하도록 형성되나 케이스(310)는 외부 충격 및 풍압에 의하여 장착부(200)에서 회동한다.
(실시예 4-4) 본 발명의 균열감지장치는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제진부(500)는 상기 케이스(310)와 상기 작동부(380) 사이에 자력이 발생하도록 마그네틱(51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제진부(500)에 대한 것이며, 케이스(310)와 작동부(380)는 각각 자력이 발생하도록 마그네틱(510)을 형성한다. 케이스(310)와 작동부(380)에 형성되는 마그네틱(510)은 코일, 자석 등으로 형성된다. 이 때, 케이스(310)와 작동부(380)는 서로 동일한 전극으로 형성되어 밀어내는 힘에 의하여 이격공간(520)이 소정의 간격으로 벌어진다. 작동부(380)는 케이스(310)의 하단에 걸려 하부로 이탈되지 않으므로 서로 같은 전극으로 형성되면 작동부(380)는 수용홈(331)에서 일방향으로만 유지될 수 있다. 이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면, 케이스(310)와 작동부(380)가 접하는 위치에 각각 서로 동일한 전극이 마주하도록 마그네틱(510)을 배치한다. 그럼에 따라 작동부(380)는 케이스(310)의 전극에 의하여 이격공간(520)이 발생한다. 따라서, 작동부(380)는 케이스(310)와 접하지 않고 웨이트블럭(340)에 의하여 도로(10)를 향하도록 형성되어 케이스(310)가 회동하여도 작동부(380)는 일방향을 유지하게 된다.
(실시예 4-5) 본 발명의 균열감지장치는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제진부(500)는 상기 케이스(310)와 상기 작동부(380)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하는 에어댐퍼;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제진부(500)에 대한 것이며, 케이스(310)와 작동부(380)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하는 에어댐퍼가 형성된다. 에어댐퍼는 케이스(310)와 작동부(380) 사이에 공기층이 유지되도록 케이스(310)와 작동부(380)가 접하는 하단에 차단판이 형성된다. 따라서, 작동부(380)는 중력에 의하여 도로(10)를 향하도록 형성되나 케이스(310)는 작동부(380)에 영향을 주지 않고 회동할 수 있다.
10: 도로 11: 균열
12: 공동 20: 메인서버
100: 이동부 200: 장착부
210: 제 1견착부 220: 제 2견착부
230: 제 1체결부 240: 제 2체결부
241: 베이스 242: 회전축
243: 회동돌기 250: 완충장치
251: 탄성체 300: 감지부
310: 케이스 320: 삽입부
321: 수용공간 330: 수용부
331: 수용홈 332: 유연공간
340: 웨이트블럭 350: 통신부
360: 전원부 370: 데이터저장부
380: 작동부 400: 센서부
410: 거리센서 420: 균열측정센서
430: 투과센서 440: 카메라
500: 제진부 510: 마그네틱
520: 이격공간

Claims (4)

  1. 균열감지장치에 있어서,
    동력에 의하여 이동하는 이동부(100);,
    상기 이동부(100) 외부에 체결식 또는 케리어식으로 장착되는 장착부(200);,
    상기 장착부(200)에 결합되며, 도로(10)의 균열(11)을 감지하는 감지부(300);,
    상기 감지부(300)에서 감지된 균열(11) 및 공동(12) 정보를 수신받는 메인서버(20);,
    상기 감지부(300)의 상단에 형성되며, 상기 장착부(200)에서 회동하는 케이
    스(310);,
    상기 감지부(300)의 타단에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310) 내부에서 회전하는
    작동부(380);,
    상기 작동부(380)의 하단에 형성되며, 상기 감지부(300)가 중력에 의해 하단을 향하도록 유도하는 웨이트블럭(340);,
    상기 작동부(380)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도로(10)의 균열(11)을 측정하는
    센서부(400);,
    상기 센서부(400)는 상기 감지부(300)와 도로(10)의 간격을 측정하는 거리센서(410);,
    도로(10)의 균열(11)을 측정하는 균열측정센서(420);,
    도로(10)를 투과하여 내부의 공동(12)을 측정하는 투과센서(GPR) (430); 를 포함하는 균열감지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310)와 상기 작동부(380) 사이에 형성되며, 진동을 저감시키는 제진부(500);를 포함하는 균열감지장치.

KR1020190031203A 2019-03-19 2019-03-19 균열감지장치 KR1020305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1203A KR102030519B1 (ko) 2019-03-19 2019-03-19 균열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1203A KR102030519B1 (ko) 2019-03-19 2019-03-19 균열감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0519B1 true KR102030519B1 (ko) 2019-10-10

Family

ID=68206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1203A KR102030519B1 (ko) 2019-03-19 2019-03-19 균열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051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82904A1 (zh) * 2019-11-01 2021-05-06 长安大学 一种用于水损害检测的探地雷达图谱自适应选取方法
KR102387255B1 (ko) * 2021-05-20 2022-04-18 (주) 한국시설안전연구원 항만시설 안전진단장치
KR102498622B1 (ko) * 2021-12-14 2023-02-10 (주) 한국시설안전연구원 도로 점검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0261A (ko) * 2002-08-30 2004-03-09 한창수 영상입력에 의한 구조물의 균열 탐지장치 및 방법
KR100755207B1 (ko) 2006-09-22 2007-09-04 (주)한일에스티엠 도로변 재난 감시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178772B1 (ko) 2009-09-22 2012-09-07 휴앤에스(주) 도로관리 시스템 및 도로관리 방법
KR101704527B1 (ko) 2016-09-20 2017-02-08 강형진 도로 땅 꺼짐 감지장치
KR20170031981A (ko) * 2015-09-14 2017-03-22 주식회사 트리즈엔지니어링 자전거 도로 모니터링 시스템
JP2017066620A (ja) * 2015-09-28 2017-04-06 倉敷紡績株式会社 構造物検査システム
KR101775016B1 (ko) 2016-01-22 2017-09-05 주식회사 디앤샤인 가변형 센서가 적용된 도로 침수 감지 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0261A (ko) * 2002-08-30 2004-03-09 한창수 영상입력에 의한 구조물의 균열 탐지장치 및 방법
KR100755207B1 (ko) 2006-09-22 2007-09-04 (주)한일에스티엠 도로변 재난 감시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178772B1 (ko) 2009-09-22 2012-09-07 휴앤에스(주) 도로관리 시스템 및 도로관리 방법
KR20170031981A (ko) * 2015-09-14 2017-03-22 주식회사 트리즈엔지니어링 자전거 도로 모니터링 시스템
JP2017066620A (ja) * 2015-09-28 2017-04-06 倉敷紡績株式会社 構造物検査システム
KR101775016B1 (ko) 2016-01-22 2017-09-05 주식회사 디앤샤인 가변형 센서가 적용된 도로 침수 감지 시스템
KR101704527B1 (ko) 2016-09-20 2017-02-08 강형진 도로 땅 꺼짐 감지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82904A1 (zh) * 2019-11-01 2021-05-06 长安大学 一种用于水损害检测的探地雷达图谱自适应选取方法
KR102387255B1 (ko) * 2021-05-20 2022-04-18 (주) 한국시설안전연구원 항만시설 안전진단장치
KR102498622B1 (ko) * 2021-12-14 2023-02-10 (주) 한국시설안전연구원 도로 점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0519B1 (ko) 균열감지장치
KR101692781B1 (ko) 드론 및 모니터링 센서 연동 기반의 재난 관리 시스템
US9652984B2 (en) Travel information sensing and communication system
US20150123816A1 (en) Animal detecting and notification method and system
KR102630855B1 (ko) 도로 정보 관제 시스템
US9997068B2 (en) Method for conveying driving conditions for vehicular control
CN106800003A (zh) 道路积水检测方法和系统、车辆
KR101100701B1 (ko) 터널교통 상황정보 시스템
KR101686664B1 (ko) 게릴라 센서 및 이를 이용한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KR100969324B1 (ko) 다중 센서 모듈을 이용한 교통 정보 수집 시스템
KR20180089971A (ko) 역주행 감지 장치의 관리 시스템 및 모니터링 방법
KR20160065339A (ko) 영상식 차량검지기의 성능평가를 위한 교통정보 수집장치 및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KR102112340B1 (ko) 근거리용 드론 감지 장치
KR101125584B1 (ko) 무선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지형의 측지값을 정밀 측량하는 측지시스템
KR20170031981A (ko) 자전거 도로 모니터링 시스템
WO2020138467A1 (ja) 走行路診断システム
KR20160142968A (ko) 노면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KR102151477B1 (ko) 갱도의 노면상태 모니터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갱도의 노면 유지관리 시스템
EP2435997B1 (en) Device and method for traffic surveillance
JP3819289B2 (ja) 監視装置
JP6087204B2 (ja) 無線タグシステムおよびセンサデータ処理方法
JP6888672B2 (ja) 制御装置、監視システムおよび監視方法
KR101768380B1 (ko) 자동차 도로 노면진단 시스템
JPH11352247A (ja) 自然災害発生検知装置、雪崩発生検知装置、自然災害発生検知方法、雪崩発生検知方法
US10760229B2 (en) Tilt sensing and indicating device for a containment plo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