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9629B1 - 봉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봉제 시스템 - Google Patents

봉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봉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9629B1
KR102029629B1 KR1020190071857A KR20190071857A KR102029629B1 KR 102029629 B1 KR102029629 B1 KR 102029629B1 KR 1020190071857 A KR1020190071857 A KR 1020190071857A KR 20190071857 A KR20190071857 A KR 20190071857A KR 102029629 B1 KR102029629 B1 KR 1020296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ewing
needle
handwheel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1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창주
Original Assignee
강창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창주 filed Critical 강창주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96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96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9/00Driving-gear; Control devices
    • D05B69/14Devices for changing speed or for reversing direction of rotation
    • D05B69/18Devices for changing speed or for reversing direction of rotation electric, e.g. foot pedal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5/00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5B35/02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cilitating seaming; Hem-turning elements; Hemmers
    • D05B35/04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cilitating seaming; Hem-turning elements; Hemmers with movable tool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5/00Needle holders; Needle bars
    • D05B55/14Needle-bar drives

Abstract

봉제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제 장치는 서로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제1 플레이트 및 제2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 상에 배치되는 바늘 이송체 및 상기 바늘 이송체에 고정되는 재봉 바늘,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 상에 배치되며, 부채꼴 형상으로 확장된 분사구를 포함하는 에어 조립체 및 상기 제1 플레이트, 상기 제2 플레이트, 상기 바늘 이송체 및 상기 에어 조립체와 연동되는 구동 페달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봉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봉제 시스템{SEWING APPARATUS AND SEWING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봉제 장치 및 봉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두 개의 원단을 접합시키기 위해서는 하나의 원단과 다른 원단을 부분적으로 중첩시킨 후에 중첩된 부분을 실로 꿰메는 방법을 사용한다. 재봉틀은 중첩된 부분을 실로 꿰매는 작업을 자동 또는 반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바늘과 실을 기계 장치를 이용하여 원단의 중첩된 영역을 동일 패턴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오버로크 형태로 바느질을 하게된다.
이와 같이 재봉틀을 이용하여 원단을 봉제하는 경우, 작업 효율을 향상시켜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봉제 작업의 정확성을 향상시켜 봉제 불량을 방지하는 봉제 장치 및 봉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봉제 작업 효율을 향상시키는 봉제 장치 및 봉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제 장치는 서로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제1 플레이트 및 제2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 상에 배치되는 바늘 이송체 및 상기 바늘 이송체에 고정되는 재봉 바늘,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 상에 배치되며, 부채꼴 형상으로 확장된 분사구를 포함하는 에어 조립체 및 상기 제1 플레이트, 상기 제2 플레이트, 상기 바늘 이송체 및 상기 에어 조립체와 연동되는 구동 페달을 포함하되, 상기 분사구의 입구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바 형상을 갖고, 상기 에어 조립체는 초기 모드와 작업 모드에 따라 서로 상이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구동 페달은 On 상태와 Off 상태를 포함하되, 상기 On 상태에서 상기 에어 조립체는 상기 작업 모드로 전환되고, 상기 분사구는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 사이를 향해 에어를 분사하여,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 사이에 에어 영역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 사이에 공통 접선이 정의되고, 상기 에어 영역은 상기 공통 접선과 동일 평면 상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바 형상을 갖되, 상기 길이 방향은 상기 공통 접선 방향과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재봉 바늘은 상기 바늘 이송체가 전후진함에 따라 전후진하고, 상기 에어 영역은 상기 재봉 바늘이 전후진하는 영역과 중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늘 이송체와 연동되는 핸드휠 및 상기 핸드휠을 제어하는 컨트롤 박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핸드휠 상에 제1 위치 마킹이 형성되고, 상기 컨트롤 박스는 상기 핸드휠 상에 배치되는 기준 센서를 포함하되, 상기 구동 페달이 Off 상태가 되면, 상기 컨트롤 박스는 상기 제1 위치 마킹이 상기 기준 센서와 중첩되도록 상기 핸드휠을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봉제 시스템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 플레이트 및 제2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 상에 배치되는 바늘 이송체 및 상기 바늘 이송체에 고정되는 재봉 바늘,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 상에 배치되며, 부채꼴 형상으로 확장된 분사구를 포함하는 에어 조립체, 상기 바늘 이송체와 연결되는 핸드휠 및 상기 핸드휠을 제어하는 컨트롤 박스 및 상기 제1 플레이트, 상기 제2 플레이트, 상기 바늘 이송체 및 상기 에어 조립체와 연동되는 구동 페달; 을 포함하는 봉제 장치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구동 페달이 On 상태가 되면, 상기 에어 조립체가 초기 모드에서 작업 모드로 전환되고, 상기 분사구가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 사이에 에어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구동 페달이 Off 상태가 되면, 상기 컨트롤 박스가 상기 핸드휠을 회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 사이에 공통 접선이 정의되고, 상기 에어 영역은 상기 공통 접선과 동일 평면 상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바 형상을 갖되, 상기 길이 방향은 상기 공통 접선 방향과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재봉 바늘은 상기 바늘 이송체가 전후진함에 따라 전후진하고, 상기 에어 영역은 상기 재봉 바늘이 전후진하는 영역과 중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핸드휠 상에 제1 위치 마킹이 형성되고, 상기 컨트롤 박스는 상기 핸드휠 상에 배치되는 기준 센서를 포함하되, 상기 구동 페달이 Off 상태가 되면, 상기 컨트롤 박스는 상기 제1 위치 마킹이 상기 기준 센서와 중첩되도록 상기 핸드휠을 회전시킬 수 있다.
과제의 해결 수단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구체적인 수단들은 명세서에서 더 자세하게 다루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봉제 작업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불필요한 시간 낭비를 줄이고,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제 장치의 부분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제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제 장치의 부분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제 장치의 부분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제 장치 일부 구성의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제 장치 일부 구성의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제 장치 일부 구성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구성(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구성 또는 층의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구성을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구성이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구성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위(on)", "상(on)",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구성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 시 또는 동작 시 구성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을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의 "아래"로 기술된 구성은 다른 구성의 "위"에 놓여질 수 있다. 또한 도면을 기준으로 다른 구성의 "좌측"에 위치하는 것으로 기술된 구성은 시점에 따라 다른 구성의 "우측"에 위치할 수도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은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제 장치는 제1 플레이트(100), 제2 플레이트(200), 바늘 이송체(120), 재봉 바늘(110), 루퍼(130), 에어 조립체(500), 컴프레셔(800), 컨트롤 박스(300), 구동 페달(600) 및 전원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100)는 원반 또는 접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평면 상에서 제1 플레이트(100)는 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플레이트(100)는 금속 또는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충분한 경도를 갖는 소재라면 제1 플레이트(100)의 재료로서 이용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1 플레이트(100)의 외주를 따라 톱니바퀴가 배치될 수 있다. 외주에 배치되는 제1 플레이트(100)의 톱니바퀴는 후술하는 제2 플레이트(200)의 톱니바퀴와 맞물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플레이트(100)가 회전하면 제2 플레이트(200)는 이와 연동하여 회전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100)는 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플레이트(100)는 중력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100) 상에는 바늘 이송체(120)가 배치될 수 있다. 바늘 이송체(120)는 재봉 바늘(110)을 고정하며, 재봉 바늘(110)을 고정한 상태에서 전후진 운동을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바늘 이송체(120)는 도 1의 y축 음의 방향으로 전진하거나, y축 양의 방향으로 후진할 수 있다. 바늘 이송체(120)가 전후진 하는 경우, 바늘 이송체(120)에 고정된 재봉 바늘(110)는 바늘 이송체(120)를 따라 전후진 할 수 있다. 뒤에서 자세히 설명하겠지만, 재봉 바늘(110)이 전후진 함에 따라 제1 플레이트(100)와 제2 플레이트(200) 사이에 개재되는 원단을 관통하거나 관퉁 후 매듭을 형성할 수 있다.
재봉 바늘(110)은 바늘 이송체(120)에 고정되며, 일단이 뾰족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재봉 바늘의 일단에는 바늘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실뭉치에서 제공되는 실은 바늘귀를 통해 재봉 바늘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100)의 일측에는 제2 플레이트(200)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200)는 원반 또는 접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플레이트(200)는 제1 플레이트(100)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플레이트(200)는 원반 또는 접시 형상을 갖지만, 제1 플레이트(100)와 직경 미/또는 두께가 다를 수 있다.
제2 플레이트(200)는 금속 또는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충분한 경도를 갖는 소재라면 제1 플레이트(100)의 재료로서 이용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2 플레이트(200)의 외주를 따라 톱니 바퀴가 배치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 플레이트(200)의 톱니바퀴는 제1 플레이트(100)의 톱니바퀴와 맞물릴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플레이트(200)와 제1 플레이트(100)가 서로 맞물려 회전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200)는 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100)와 마찬가지로 중력 방향으로 연장된 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200) 상에는 가이드 부재(210,220)가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 부재(210,220)는 베이스(210) 및 가이드홈(220)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210)는 제2 플레이트(200)상에 고정될 수 있다.
베이스(210) 상에는 일 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홈(220)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이드홈(220)은 도 1의 y축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즉, 가이드홈(220)의 연장방향은 재봉 바늘(110)의 연장방향과 동일할 수 있다.
가이드홈(220)은 재봉 바늘(110)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봉제 작업이 수행되면서 재봉 바늘(110)이 전진하면 재봉 바늘(110)은 가이드홈(220)에 삽입될 수 있다, 즉, 가이드홈(220)는 재봉 바늘(110)을 유도하여 가이드홈(220) 안쪽으로 이동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재봉 바늘(110)이 다른 곳으로 이탈하여 봉제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100)와 제2 플레이트(200) 상부에는 루퍼(130)가 배치될 수 있다. 루퍼(130)는 제1 플레이트(100)와 제2 플레이트(200) 사이의 상부, 구체적으로, 재봉 바늘(110)이 봉제 대상체를 관통하는 지점과 인접한 곳에서 전진, 후진 및 스윙(Swing) 운동을 할 수 있다.
또한, 루퍼(130)는 재봉 바늘(110)에 연결된 실을 걸친 상태에서 상술한 움직임을 함으로써 봉제 대상물을 접합시키는 매듭을 완성하는 것을 가이드한다. 즉, 루퍼(130)가 실을 걸쳐 매듭을 형성한 상태에서 재봉 바늘(110)이 전진 및 후진하면 두 개의 원단을 접합시키는 바느질 땀이 완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제 장치는 에어 조립체(500) 및 에어 컴프레셔(800)를 포함한다.
일 실시에에서 에어 조립체(500)는 에어 호스(501), 힌지부(502), 연결봉(510), 체결부(520), 에어관(530) 및 분사구(540)를 포함한다.
에어 컴프레셔(800)는 공기를 압축하여 분사에 필요한 공기를 생성할 수 있다. 에어 컴프레셔(800)가 공기를 생성하는 방식 및 에어 조립체(500)에 제공하는 방식은 이미 공지된 방식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에어 호스(501)는 에어 컴프레셔(800)에 의해 생성되는 공기를 제공받아 이를 에어관(530)에 전달할 수 있다. 작업 효율성 및 작업 공간 최적화를 위해 에어 호스(501)는 유연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에어 호스(501)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부러지거나 휘어질 수 있는 소재, 예컨대, 고무나 얇은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에어 호스(501)는 에어관(530)에 연결될 수 있다, 에어관(530)은 에어 호스에(501)로부터 공기를 전달받을 수 있다. 에어관(530)은 에어 호스(501)로부터 전달받은 공기를 정확한 방향으로 분사할 팔요가 있으므로, 리지드(rigid)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에어관(530)은 금속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에어관(530)의 일단에는 부채꼴 형상으로 확장되는 분사구(540)가 배치될 수 있다. 분사구(540)의 구체적인 특징에 대해서는 뒤에서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에어관(530)과 분사구(540)의 위치, 구체적으로, 분사구(540)의 입구가 향하는 방향은 후술하는 모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일 실시에에서 에어 조립체(500)는 위치가 다른 두 개의 모드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에어 조립체(500)는 초기 모드와 작업 모드를 가질 수 있다.
두 개의 모드를 지원하기 위해 봉제 장치는 힌지부(502), 연결봉(510) 및 체결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힌지부(502)는 도 1의 y축 음의 방향을 축으로 하여 회전 운동을 지원할 수 있다. 즉 힌지부(502)에 연결된 연결봉은 y축 음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부분을 포함하여, 제1 부분은 흰지부(502)에 고정된채로 회전운동할 수 있다.
연결봉(510)은 제1 부분과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봉(510)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두 개 이상의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연결봉(510)이 서로 다른 세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예시하나 연결봉의 형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연결봉(510)은 체결부(520)와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체결부(520)는 연결봉(510) 및 에어관(530)과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에어관(530)이 체결부(530)를 관통하여 체결부(530)와 고정될 수 있다. 연결봉(510)이 일정한 경도를 가지면서 형상이 유지되는 소재로 이루어지므로, 이와 같은 구조는 각 모드에서 에어관(530)이 정해진 위치를 향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하 두 개의 모드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초기 모드에서 분사구(540)는 제1 플레이트(100) 및/또는 제2 플레이트(200)를 향하지 않으며, 바깥쪽을 향해 돌려져 있을 수 있다.
초기 모드는 작업을 준비하기 위한 모드로서, 제1 플레이트(100) 및/또는 제2 플레이트(200)에 원단을 끼워 작업을 준비하는데 방해되지 않도록 분사구(540)가 일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 2는 분사구(540)가 작업 모드 위치에 배치된 경우를 예시한다.
작업 모드는 본격적으로 봉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원단 등이 정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수행될 수 있다. 도 2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작업 모드에서 제1 플레이트(100)와 제2 플레이트(200) 사이에는 봉제의 대상이 되는 제1 원단 및 제2 원단이 개재될 수 있다.
구체적인 설명을 위해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제 장치의 부분 평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플레이트(100)와 제2 플레이트(200) 사이에 공통 접선(CL)이 정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공통 접선(CL) 도 3에서 x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된 직선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제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분사구(540)의 입구의 평면 형상을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서 분사구(540)의 입구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분사구(540)의 입구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바 형상을 가지는 경우, 분사구(540)를 통해 분사되는 에어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바 형상의 모양을 갖는 영역에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길이 방향 중 x축 성분은 공통 접선의 연장 방향과 동일할 수 있다.
즉, 공통 접선(CL)을 z축 성분을 포함한 공통 접면으로 확장시켰을 때,
분사구(540)의 연장 방향은 공통 접면에 포함되는 직선의 연장 방향과 동일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분사구(540)의 입구를 xy평면에 투영했을 때, 길이 방향은 x축 방향이며, 공통 접선과 나란한 방향일 수 있다.
이에 대한 더욱 구체적인 설명을 위해 도 5가 참조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제 장치의 부분 개략도이다.
일 실시예에서 분사구(540)의 입구는 xz 평면 상에서 공통 접선과 제1각(θ1)을 이룰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각(θ1)은 예각일 수 있다.
분사구(540)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며, 에어가 분사구를 통해 분사되면, 제1 플레이트(100)와 제2 플레이트(200) 사이에 공기가 분사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공기가 분사되는 영역을 에어 영역(AA)으로 지칭하기로 한다.
분사구(540)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므로, 이러한 분사구(540)에 의해 형성되는 에어 영역(AA) 중 xy 평면과 중첩하는 부분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바(Bar)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분사구(540)의 길이 방향의 x축 성분이 공통 접선(cl)의 연장 방향과 동일하므로, 에어 영역(AA) 중 xy 평면과 중첩하는 부분의 연장 방향도 공통 접선(cl)의 연장 방향과 동일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공통 접선(cl)과 동일 평면 상에 형성되는 에어 영역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바 형상을 가질 수 있는데 그 길이 방향은 공통 접선의 연장 방향과 같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에어 영역(AA)은 재봉 바늘(110)의 이동 영역(전후진 하는 영역)과 중첩될 수 있다.
에어 영역(AA)이 재봉 바늘(110)의 이동 영역과 중첩되는 경우, 모피 등 털(f)을 포함하는 원단을 봉제할 때, 분사구(540)에서 나오는 공기가 털(f)을 아래로 내려, 털(f)이 위로 올라오거나, 서로 엉켜 봉제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바느질이 이루어지는 영역에서 에어로 털(f)을 정리함으로써, 털을 포함한 원단을 봉제할 때 발생하는 봉제 불량을 예방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제 장치는 구동 페달(600)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 페달(600)은 작업자가 발로 밟았다 떼면서 작업을 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예컨대, 봉제 장치는 테이블 위에 배치되고, 구동 페달(600)은 테이블 아래에 배치되어 작업자가 의자에 앉아 봉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구동 페달(600)은 봉제 장치의 몇몇 구성을 구동시킬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구동 페달(600)이 눌린 상태를 On 상태, 구동 페달(600)이 눌려지지 않은 상태를 Off 상태로 지칭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구동 페달(600)의 On/Off는 작업자가 발로 밟았다 떼면서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구동 페달(600)은 제1 플레이트(100), 제2 플레이트(200), 바늘 이송체(120) 및 에어 조립체(500)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구성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이라 함은 물리적 연결 및 전기적 연결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한 구성의 움직임이 다른 구성의 움직임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까지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하였음을 밝힌다.
일 실시예에서 구동 페달(600)이 On 상태가 되면, 제1 플레이트(100)와 제2 플레이트(200)가 회전하면서 원단을 이동시키고, 바늘 이송체(120)를 전후진 시킬 수 있다. 구동 페달(600)이 Off 상태가 되면, 제1 플레이트(100)와 제2 플레이트(200)는 회전을 멈추고 정지하며, 바늘 이송체(120)도 정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구동 페달(600)은 에어 조립체(500)와 연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동 페달(600)이 On 상태가 되면, 에어 조립체(500)가 작업 모드로 위치하고, 구동 페달(600)이 off 상태가 되면, 에어 조립체(500)가 초기 모드로 위치할 수 있다. 즉, 에어 조립체(500)의 위치를 결졍하는 힌지부(502)와 구동 페달(600)이 연동되어 위와 같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연동의 방식은 제한되지 않는다. 즉, 스프링과 걸쇠를 이용하는 기계적인 방식 또는 전자적인 방식으로 양자가 연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제 장치는 전원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부(700)는 봉제 장치 또는 봉제 장치의 구성이 작동하는데 필요한 전원을 제공할 수 있다. 전원부(700)는 유선으로 외부의 전원과 연결되는 방식 또는 자체적으로 전력을 생산하는 방식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원부(700)는 구동 페달(600)과 연결될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에서 구동 페달(600)이 On 상태가 되면, 구동 페달(600)과 연결된 구성에 전원을 제공하고 구동 페달(600)이 Off 상태가 되면, 구동 페달(600)과 연결된 구성에 전원이 차단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제 장치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제 장치의 부분 평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플레이트(100)와 제2 플레이트(200) 사이에 제1 원단(M1) 및 제2 원단(M2)이 개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원단(M1) 및 제2 원단(M2)이 서로 접합될 부분이 제1 플레이트(100)와 제2 플레이트(20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제1 원단(M1)과 제2 원단(M2)은 그 상면에 털(f)을 포함하는 원단일 수 있다. 예컨대, 제1 원단(M1)과 제2 원단(M2)은 모피일 수 있다.
구동 페달(600)이 On 되면, 제1 플레이트(100)는 시계 반대 방향, 제2 플레이트(200)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1 원단(M1) 및 제2 원단(M2)을 밀어올릴 수 있다. 제1 원단(M1) 및 제2 원단(M2)은 전후진 하는 재봉 바늘(110)과 매듭을 형성하는 루퍼(130)의 동작에 의해 서로 접합되어 결합된 원단(AM)이 될 수 있다.
결합된 원단(AM)이 나오는 방향은 앞서 설명한 공통 접선(CL)의 연장방향과 동일한 방향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모피를 봉제하는 작업에 있어, 털(f)이 정전기 등에 위로 ?quot;구치거나 서로 엉켜 봉제 불량을 야기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분사구(540)가 바 형상을 포함하는 에어 영역(AA)을 형성하는 경우, 다시 말해 작업 영역 및 작업 예정 영역에 에어를 분사하는 경우, 이와 같은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재봉 바늘(110)이 오가는 영역에서 에어 영역(AA)이 형성되는 경우, 바느질 땀이 형성되는 동안 공기가 털(f)을 아래로 밀어 봉제 영역에서 털(f)들이 끼어 봉제 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작업 예정 영역(아직 봉제되지 않았지만, 곧 봉제될 영역)에 까지 에어가 분사되는 경우, 미리 털(f)을 정리하여 에어가 분사되기 전에 원단이 이동하여 봉제되는 경우 발생하는 불량 등을 예방할 수 있다. 즉, 작업 영역과 작업 예정 영역에 에어가 분사됨으로써, 작업의 정확성 및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에어의 분사는 구동 페달(600)과 연동될 수 있다. 즉, 구동 페달(600)이 On 상태가 되면, 분사구(540)가 작업 모드에 위치함과 동시에 에어가 분사구(540)를 통해 분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제 장치는 핸드휠(401)과 컨트롤 박스(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핸드휠(401)은 바늘 이송체(120)와 연결되며, 바늘 이송체(120)의 위치를 수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에컨대, 핸드휠(401)을 돌리는 경우, 바늘 이송체(120)는 전진 또는 후진할 수 있다. 예컨대, 핸드휠(401)을 한 바퀴 돌리는 경우, 바늘 이송체(120)는 최초 위치에서 전진한 후 다시 후진하여 원래의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작업자는 봉제 장치 정지 상태에서 핸드휠(401)을 이동시키면서 재봉 바늘(11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컨트롤 박스(300)는 핸드휠(401)과 연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컨트롤 박스(300)는 핸드휠(401)을 자동으로 회전시켜 핸드휠(401)이 특정 지점에 위치하도록 핸드휠(401)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핸드휠(401)과 연동된 바늘 이송체(120) 및 재봉 바늘(110)의 위치도 제어될 것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컨트롤 박스(300)가 핸드휠(401)을 제어하는 방식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제 장치 일부 구성의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제 장치 일부 구성의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제 장치 일부 구성의 개략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재봉 바늘(110)은 적어도 세 가지의 위치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제1 위치(P1)는 최대 후진 위치, 또는 초기 위치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재봉 바늘(110)은 초기 위치에서 전진하며, 초기 위치보다 뒤로 후진하지 않는다.
제3 위치(P3)는 최대 전진 위치로 정의될 수 있다. 제3 위치(P3)는 재봉 바늘(110)이 최대한도로 전진한 위치로 정의되며, 재봉 바늘(110)은 제3 위치(P3)보다 앞으로 전진하지 않는다.
제2 위치(P2)는 제1 위치(P1)와 제3 위치(P2) 사이의 중간 위치로 정의될 수 있다.
바늘 이송체(120)가 전후진하는 경우, 재봉 바늘(110)은 제1 위치(P1), 제2 위치(P2) 및 제3 위치(P3)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재봉 바늘의 위치는 핸드휠(401)의 움직임에 의해서도 제어될 수 있다.
즉, 핸드휠(401)을 회전시키면, 바늘 이송체(120)는 제1 위치(P1), 제2 위치(P2) 및 제3 위치(P3)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여 컨트롤 박스(300)의 기능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컨트롤 박스(300)는 핸드휠(401)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컨트롤 박스(300)는 기준 센서(S)를 포함하고, 핸드휠(401)에는 제1 위치 마킹(P1M) 및 제3 위치 마킹(P3M)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기준 센서(S)는 핸드휠(401) 상에 배치되며, 기준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핸드휠(401) 상에 형성된 제1 위치 마킹(P1M)이 기준 센서(S)와 중첩되는 경우, 재봉 바늘(110)은 제1 위치에 위치하고, 제3 위치 마킹(P3M)이 기준 센서(S)와 중첩되는 경우 재봉 바늘(110)은 제3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동 페달(600)을 On 시켜 구동시키다가. Off 시키는 경우, 구동이 정지되며, 이 경우, 재봉 바늘(110)은 제1 위치(P1), 제2 위치(P2) 및 제3 위치(P3) 중 선택된 어느 한 위치에서 정지할 수 있다.
봉제를 원하는 지점부터 다시 시작하기 위해서는 재봉 바늘(110)이 제1 위치(P1)에 있어야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작업자가 핸드휠(401)을 돌려 재봉 바늘(110)을 제1 위치(P1)에 위치시킨다. (다른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봉제를 재시작하는 과정에서 다른 구성과의 타이밍이 맞지 않아 봉제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다만 이 같은 경우가 반복되는 경우, 작업자가 핸드휠(401)을 돌려 일일이 위치를 확인해야하는 이유로 시간이 소모되고, 작업 효율이 저하된다.
컨트롤 박스(300)는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자동으로 핸드휠(401)을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컨트럴 박스(300)는 재봉 바늘(110)이 제2 위치(P2)나 제3 위치(P3)에 배치되는 경우, 핸드휠(401)을 회전시켜 이를 제1 위치(P1)로 이동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기준 센서(S)에 제1 위치 마킹(P1M)이 중첩되도록 핸드휠(401)을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즉, 구동 페달(600 Off 상태에서 컨트롤 박스(300)는 재봉 바늘(110)이 항상 제1 위치(P1)에 위치하도록 핸드휠(401)을 자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작업자가 일일이 핸드휠을 돌릴 필요없이 작업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어 작업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제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제 시스템은 앞서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봉제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다른 봉제 시스템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 플레이트(100) 및 제2 플레이트(200), 바늘 이송체(120), 재봉 바늘(110), 루퍼(130),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바 형상의 입구를 갖는 분사구(540)를 포함하는 에어 조립체(500), 구동 페달(600), 핸드휠(401) 및 컨트롤 박스(300)를 포함하는 봉제 장치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구동 페달(600)이 On 상태가 되면, 상기 제1 플레이트(100) 및 제2 플레이트(200)가 서로 맞물려 회전하며, 상기 제1 플레이트(100) 및 제2 플레이트(200) 사이에 개재되는 원단을 이동시키고, 상기 바늘 이송체(120)가 재봉 바늘(110)을 전후진시키는 단계, 상기 구동 페달(600)이 On 상태가 되면, 상기 에어 조립체(500)가 초기 모드에서 작업 모드로 전환되고, 상기 분사구(540)가 상기 제1 플레이트(100)와 제2 플레이트(200) 사이에 에어 영역(AA)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구동 페달(600)이 Off 상태가 되면, 상기 컨트롤 박스(300)가 상기 핸드휠(401)을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먼저, 제1 플레이트(100) 및 제2 플레이트(200), 바늘 이송체(120), 재봉 바늘(110), 루퍼(130),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바 형상의 입구를 갖는 분사구(540)를 포함하는 에어 조립체(500), 구동 페달(600), 핸드휠(401) 및 컨트롤 박스(300)를 포함하는 봉제 장치를 준비하는 단계가 진행될 수 있다. 봉제 장치는 앞서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봉제 장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구성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어서, 상기 구동 페달(600)이 On 상태가 되면, 상기 제1 플레이트(100) 및 제2 플레이트(200)가 서로 맞물려 회전하며, 상기 제1 플레이트(100) 및 제2 플레이트(200) 사이에 개재되는 원단을 이동시키고, 상기 바늘 이송체(120)가 재봉 바늘(110)을 전후진시키는 단계가 진행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100)와 제2 플레이트(200) 사이에 원단이 개재되는 형상은 앞서 도 6등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할 수 있다. 원단은 제1 플레이트(100)와 제2 플레이트(200) 사이에서 이동하면서 재봉 바늘(110) 및 루퍼(130)에 의해 바느질되어 접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제 시스템은 구동 페달(600)이 On 상태가 되면, 상기 에어 조립체(500)가 초기 모드에서 작업 모드로 전환되고, 상기 분사구(540)가 상기 제1 플레이트(100)와 제2 플레이트(200) 사이에 에어 영역(AA)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단계는 앞서 설명한 상기 구동 페달(600)이 On 상태가 되면, 상기 제1 플레이트(100) 및 제2 플레이트(200)가 서로 맞물려 회전하며, 상기 제1 플레이트(100) 및 제2 플레이트(200) 사이에 개재되는 원단을 이동시키고, 상기 바늘 이송체(120)가 재봉 바늘(110)을 전후진시키는 단계와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작업 모드와 분사구(540)의 형태 및 에어 영역(AA)의 형태 등은 앞서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봉제 장치에서 설명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구동 페달(600)이 Off 상태가 되면, 상기 컨트롤 박스(300)가 상기 핸드휠(401)을 회전시키는 단계가 진행될 수 있다. 컨트롤 박스(300) 및 핸드휠(401)은 앞서 도 7 내지 도 9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동 페달(600)이 Off 상태가 되면, 컨트롤 박스(300)는 핸드휠(401)의 제1 위치 마크(P1M)가 기준 센서(S)와 중첩되도록 핸드휠(401)을 회전시킬 수 있다. 핸드휠(401)의 제1 위치 마크(P1M)가 기준 센서(S)와 중첩되면, 재봉 바늘(110)이 제1 위치(P1)에 위치하게 됨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500: 에어 조립체
100: 제1 플레이트
200: 제2 플레이트
110: 재봉 바늘
120: 바늘 이송체
600: 구동 페달
700: 전원부
800: 에어 컴프레셔

Claims (9)

  1. 서로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제1 플레이트 및 제2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 상에 배치되는 바늘 이송체 및 상기 바늘 이송체에 고정되는 재봉 바늘;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 상에 배치되며, 부채꼴 형상으로 확장된 분사구를 포함하는 에어 조립체; 및
    상기 제1 플레이트, 상기 제2 플레이트, 상기 바늘 이송체 및 상기 에어 조립체와 연동되는 구동 페달; 을 포함하되, 상기 분사구의 입구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바 형상을 갖고,
    상기 에어 조립체는 초기 모드와 작업 모드에 따라 서로 상이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구동 페달은 On 상태와 Off 상태를 포함하되, 상기 On 상태에서 상기 에어 조립체는 상기 작업 모드로 전환되고, 상기 분사구는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 사이를 향해 에어를 분사하여,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 사이에 에어 영역을 형성하며,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 사이에 공통 접선이 정의되고, 상기 에어 영역은 상기 공통 접선과 동일 평면 상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바 형상을 갖되, 상기 길이 방향은 상기 공통 접선 방향과 동일하고,
    상기 재봉 바늘은 상기 바늘 이송체가 전후진함에 따라 전후진하고, 상기 에어 영역은 상기 재봉 바늘이 전후진하는 영역과 중첩되며,
    상기 바늘 이송체와 연동되는 핸드휠 및 상기 핸드휠을 제어하는 컨트롤 박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핸드휠 상에 제1 위치 마킹이 형성되고, 상기 컨트롤 박스는 상기 핸드휠 상에 배치되는 기준 센서를 포함하되, 상기 구동 페달이 Off 상태가 되면, 상기 컨트롤 박스는 상기 제1 위치 마킹이 상기 기준 센서와 중첩되도록 상기 핸드휠을 회전시키는 봉제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 플레이트 및 제2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 상에 배치되는 바늘 이송체 및 상기 바늘 이송체에 고정되는 재봉 바늘;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 상에 배치되며, 부채꼴 형상으로 확장된 분사구를 포함하는 에어 조립체;
    상기 바늘 이송체와 연결되는 핸드휠 및 상기 핸드휠을 제어하는 컨트롤 박스; 및
    상기 제1 플레이트, 상기 제2 플레이트, 상기 바늘 이송체 및 상기 에어 조립체와 연동되는 구동 페달; 을 포함하는 봉제 장치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구동 페달이 On 상태가 되면, 상기 에어 조립체가 초기 모드에서 작업 모드로 전환되고, 상기 분사구가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 사이에 에어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구동 페달이 Off 상태가 되면, 상기 컨트롤 박스가 상기 핸드휠을 회전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 사이에 공통 접선이 정의되고, 상기 에어 영역은 상기 공통 접선과 동일 평면 상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바 형상을 갖되, 상기 길이 방향은 상기 공통 접선 방향과 동일하고,
    상기 재봉 바늘은 상기 바늘 이송체가 전후진함에 따라 전후진하고, 상기 에어 영역은 상기 재봉 바늘이 전후진하는 영역과 중첩되며,
    상기 핸드휠 상에 제1 위치 마킹이 형성되고, 상기 컨트롤 박스는 상기 핸드휠 상에 배치되는 기준 센서를 포함하되, 상기 구동 페달이 상기 Off 상태가 되면, 상기 컨트롤 박스는 상기 제1 위치 마킹이 상기 기준 센서와 중첩되도록 상기 핸드휠을 회전시키는 봉제 시스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90071857A 2019-06-11 2019-06-17 봉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봉제 시스템 KR1020296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68663 2019-06-11
KR1020190068663 2019-06-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9629B1 true KR102029629B1 (ko) 2019-10-08

Family

ID=68208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1857A KR102029629B1 (ko) 2019-06-11 2019-06-17 봉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봉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96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3145B1 (ko) * 2020-01-21 2020-08-10 김경찬 재봉링킹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23182A (ja) * 1983-12-07 1985-07-01 Victor Co Of Japan Ltd デイジタル記憶装置
JPS6110185A (ja) * 1984-06-22 1986-01-17 Asia Sekiyu Kk 流量自動調節弁の使用方法
JPH07669A (ja) * 1993-06-21 1995-01-06 Juki Corp ミシンの制御装置
JPH11487A (ja) * 1997-06-11 1999-01-06 Yamato Sewing Mach Co Ltd ミシンの押え金
KR20080039283A (ko) * 2006-10-31 2008-05-07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단춧구멍박기 재봉기
KR20120016528A (ko) * 2010-08-16 2012-02-24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에어백 쿠션용 봉제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23182A (ja) * 1983-12-07 1985-07-01 Victor Co Of Japan Ltd デイジタル記憶装置
JPS6110185A (ja) * 1984-06-22 1986-01-17 Asia Sekiyu Kk 流量自動調節弁の使用方法
JPH07669A (ja) * 1993-06-21 1995-01-06 Juki Corp ミシンの制御装置
JPH11487A (ja) * 1997-06-11 1999-01-06 Yamato Sewing Mach Co Ltd ミシンの押え金
KR20080039283A (ko) * 2006-10-31 2008-05-07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단춧구멍박기 재봉기
KR20120016528A (ko) * 2010-08-16 2012-02-24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에어백 쿠션용 봉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3145B1 (ko) * 2020-01-21 2020-08-10 김경찬 재봉링킹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4079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isualizing the position of an operating head relative to a workpiece
JP5091601B2 (ja) シークイン送り装置及びシークイン縫いが可能なミシン
JP4857318B2 (ja) 刺繍機のシークイン供給装置及び刺繍機
JP5615981B2 (ja) ミシン用縫い方向定位装置
US10167584B2 (en) Sewing machine
KR102029629B1 (ko) 봉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봉제 시스템
WO2018135251A1 (ja) 単環縫い式縫製装置
JP2012120730A (ja) ベルトループ付けミシン及びベルトループの折り返し方法
JP2019072466A (ja) ミシン
KR100967426B1 (ko) 자동시퀸자수장치, 자수기용 시퀸자수유닛 및 모티브제조장치
JP2010075382A (ja) ループ材供給装置
WO2019073922A1 (ja) ミシン
JP2003154184A (ja) ボタン穴かがりミシン
JP5158563B2 (ja) 鳩目穴かがりミシン
ATE416267T1 (de) Schiffchenstick- oder steppmaschine und nadel für solche maschinen
JPS58192577A (ja) レ−ザ裁断装置付電子パタ−ン縫いミシン
JP7088950B2 (ja) スライドファスナーの縫着方法及びスライドファスナー製品
KR20040005762A (ko) 자동 스팽글 재봉장치
KR20110052421A (ko) 자동시퀸자수장치 및 자수기용 시퀸자수유닛
JP4871847B2 (ja) 両側に花びら状の張出部を備えさせる平テープの縫付け方法
JP4377282B2 (ja) 畳用縫着装置
US1039241A (en) Cord-laying device for sewing-machines.
US7047895B2 (en) Corner turning assist device for a sewing machine
JP3450081B2 (ja) レーザー加工機
JP7116074B2 (ja) スライドファスナーの縫着方法及びスライドファスナー製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