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9443B1 - 전력용 파워 모듈의 단자 클램핑 장치 - Google Patents

전력용 파워 모듈의 단자 클램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9443B1
KR102029443B1 KR1020180044126A KR20180044126A KR102029443B1 KR 102029443 B1 KR102029443 B1 KR 102029443B1 KR 1020180044126 A KR1020180044126 A KR 1020180044126A KR 20180044126 A KR20180044126 A KR 20180044126A KR 102029443 B1 KR102029443 B1 KR 1020294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power
fastener
clamping device
power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4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지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코세미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코세미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코세미텍
Priority to KR10201800441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94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94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94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forming connections by deformation, e.g. crimping tool
    • H01R43/048Crimping apparatus or proces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용 파워 모듈의 단자 클램핑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를 위해 전력용 파워 모듈(100) 단자의 움직임을 막아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복수개의 단자(115)가 고정 설치되고, 단자(115)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단자(115)에 가해지는 응력을 막아주는 케이스(110); 및 케이스(110)의 상부에 조립 설치되며, 단자(115)를 압착하면서 긴밀하면서 견고히 잡아주는 커버(120);가 포함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단자 클램핑 커버의 클램핑이 단자의 움직임을 막아줄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이로 인해 단자 클램핑 장치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키므로 사용자인 소비자들의 다양한 욕구(니즈)를 충족시켜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전력용 파워 모듈의 단자 클램핑 장치{Terminal clamping device of electric power power module}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력용 파워 모듈의 단자 클램핑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자 클램핑 커버의 클램핑이 단자의 움직임을 막아줄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이로 인해 단자 클램핑 장치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키므로 사용자인 소비자들의 다양한 욕구(니즈)를 충족시켜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모든 전자기기에 필수적으로 탑재되는 부품이 있다. 전기라는 '힘'을 부여하는 파워모듈이다. 단순 전력 공급에서 변환, 안정성 및 효율성 확보 등 다양한 역할을 한다. 기기의 인버터 및 컨버터 등 전력변환기에 사용되며 구성 회로에 따라 여러 제품군이 있다. 한마디로 파워모듈이란 각종 전력의 전원을 컨트롤하는 모듈을 말한다.
상기 파워모듈(POWER MODULE) 제품의 단자를 사용시에 부스바(BUS BAR)와 함께 조립되는데, 이때 단자에 가해지는 뒤틀림 등 응력이 발생한다.
따라서 이때 발생한 응력으로 인해 납땜부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의 파워모듈에는 에폭시수지 등을 주입 경화시켜 단자에 가해지는 응력을 막아주는 역할을 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기술 역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즉, 상기 에폭시수지가 외부 응력을 막아주나, 환경 유해물질 대상으로 친환경적이지 못하다는 커다란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또한 상기 종래 기술은 에폭시수지를 적용하는 기술이 복잡하여 공수(工數)가 높다는 커다란 문제점 발생 되었다.
그리고 상기 종래 기술은 원자재가 비싸 코스트가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도 발생 되었다.
특히 상기 종래 기술은 단자를 긴밀하고 견고하게 잡아주지 못하고 이로 인해 외부 응력이 약해 단자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아래와 같은 선행기술문헌들이 개발되었으나, 여전히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일거에 해결하지 못하는 커다란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8-0000640호(2008년 01월 02일)가 공개된바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754344호(2017년 06월 29일)가 등록된바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295147호(2002년 10월 31일)가 등록된바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전력용 파워 모듈에 케이스와 클램핑부 그리고 커버와 조임구 및 후크가 구비됨을 제1목적으로 한 것이고, 상기한 기술적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제2목적은 단자 클램핑 커버의 클램핑이 단자의 움직임을 막아줄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제3목적은 종래와 같이 환경 유해물질인 에폭시수지 등을 사용하지 않아 친환경적인 효과를 제공하게 되며, 제4목적은 구조가 간단하고 공수(工數) 절감의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제5목적은 재료비가 낮아 코스트 다운의 효과를 제공하게 되며, 제6목적은 단자를 긴밀하고 견고하게 잡아주는 효과를 제공하게 되고, 제7목적은 이로 인해 외부 응력이 강해 단자가 떨어지지 않는 효과를 제공하게 되며, 제8목적은 이로 인해 단자 클램핑 장치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키므로 사용자인 소비자들의 다양한 욕구(니즈)를 충족시켜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전력용 파워 모듈의 단자 클램핑 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은 전력용 파워 모듈 단자의 움직임을 막아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복수개의 단자가 고정 설치되고, 단자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단자에 가해지는 응력을 막아주는 케이스; 및 케이스의 상부에 조립 설치되며, 단자를 압착하면서 긴밀하면서 견고히 잡아주는 커버;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용 파워 모듈의 단자 클램핑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력용 파워 모듈에 케이스와 클램핑부 그리고 커버와 조임구 및 후크가 구비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단자 클램핑 커버의 클램핑이 단자의 움직임을 막아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이 환경 유해물질인 에폭시수지 등을 사용하지 않아 친환경적인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고 공수(工數) 절감의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재료비가 낮아 코스트 다운의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은 단자를 긴밀하고 견고하게 잡아주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더하여 본 발명은 외부 응력이 강해 단자가 떨어지지 않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효과로 인해 단자 클램핑 장치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키므로 사용자인 소비자들의 다양한 욕구(니즈)를 충족시켜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효과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전력용 파워 모듈의 단자 클램핑 장치의 분해 사
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적용된 전력용 파워 모듈의 단자 클램핑 장치의 결합상태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 전력용 파워 모듈의 단자 클램핑 장치에 적용된 커버와 케
이스가 상호 분리된 상태도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 전력용 파워 모듈의 단자 클램핑 장치에 적용된 커버와 케
이스가 상호 결합된 상태도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적용된 전력용 파워 모듈의 단자 클램핑 장치가 결합된
상태의 정단면도.
본 발명에 적용된 전력용 파워 모듈의 단자 클램핑 장치는 도 1 내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먼저, 본 발명은 전력용 파워 모듈(100) 단자의 움직임을 막아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다음의 기술적 구성이 구비된다.
즉, 본 발명은 복수개의 단자(115)가 고정 설치되고, 단자(115)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단자(115)에 가해지는 응력을 막아주는 케이스(110)가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케이스(110)의 상부에 조립 설치되며, 단자(115)를 압착하면서 긴밀하면서 견고히 잡아주는 커버(120)가 포함된 전력용 파워 모듈의 단자 클램핑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한 본원발명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케이스(110)에는 단자(115)가 삽입공(112)에 조립 설치되도록 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클램핑부(111)가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커버(120)에는 단자가 통과되는 구멍(124)과 단자(115)를 압착하면서 긴밀하면서 견고히 잡아주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복수개로 이루어진 조임구(121)가 구비된다.
특히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클램핑부(111)에는 조임구(121)의 하강시 조임구(121)의 하강을 안내하고, 조임구(121)를 오무려 압착시킬 수 있도록 상부는 넓고 하부는 좁은 삽입부(113)가 구비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조임구(121)의 외측 하단에는 삽입부(113)와 상호 맞닿은 상태로 하강하면서 단자(115)를 압착시킬 수 있도록 한 경사진 테이퍼부(122)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더하여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조임구(121)의 내측 하단에는 조임구(121)를 단자(115)에 삽입할 때 조임구(115)가 원활하게 삽입되도록 하기 위해 내측으로 경사지게 경사부(123)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커버(120)의 하단에는 케이스(110)에 내측 면에 걸려지면서 커버(120)의 이탈 방지함과 아울러 조임구(121)가 단자(115)를 눌러주면서 긴밀히 압착시키는 힘을 제공해주는 복수개의 후크(125)가 구비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상기 후크(125)가 케이스(110)의 내측면에 걸려질 때의 조임구(121)의 하단은 단자(115)를 압착할 수 있도록 삽입부(113)와 상호 맞닿는 공차보다 길게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용 파워 모듈의 단자 클램핑 장치를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구성부를 적용함에 있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전력용 파워 모듈의 단자 클램핑 장치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은 단자 클램핑 커버의 클램핑이 단자의 움직임을 막아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적용된 도 1 은 본 전력용 파워 모듈(100)의 단자 클램핑 장치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으로, 케이스(110)와 커버(120)가 상호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적용된 전력용 파워 모듈(100)의 단자 클램핑 장치의 결합상태 사시도를 나타낸 것으로, 케이스(110)의 상단에 커버(120)가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 은 본 발명 전력용 파워 모듈(100)의 단자 클램핑 장치에 적용된 커버와 케이스가 상호 분리된 상태도의 요부 확대 단면도로, 조임구(121)가 클램핑부(111)에 삽입되기 전 상태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 전력용 파워 모듈(100)의 단자 클램핑 장치에 적용된 커버와 케이스가 상호 결합된 상태도의 요부 확대 단면도로, 조임구(121)가 클램핑부(111)에 삽입된 상태로 단자(115)를 긴밀히 고정시키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5 는 본 발명에 적용된 전력용 파워 모듈(100)의 단자 클램핑 장치가 결합된 상태의 정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후크(125)가 케이스(110)의 내측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한 본원발명의 작용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조임구(121)가 클램핑부(111)에 삽입되기 전 상태도로, 클램핑부(111)의 삽입공(112)에는 단자(115)가 조립 설치된 상태로 위치하게 된다.
상기한 상태에서 케이스(110)의 상단에 커버(120)를 조립 설치하게 되는데, 후크(125)가 케이스(110)의 내측면에 걸려짐과 아울러 조임구(121)는 클램핑부(111)의 삽입부(113)에 끼워지면서 단자(115)를 압착하면서 견고히 고정시키도록 해주게 된다.
즉, 커버(120)를 케이스(110)의 상단으로부터 끼우는 과정에서 조임구(121)의 하단에 내측으로 형성된 경사부(123)는 단자(115)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서포트해주게 된다.
상기와 같이 조임구(121)의 사이로 삽입된 단자(115)는 케이스(120)의 구멍(124)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그리고 조임구(121)의 하단 외측으로 형성된 테이퍼부(122)는 삽입부(113)의 경사진 부분을 따라 용이하게 하강할 수 있도록 해주는 동시에 한 쌍의 조임구(121)가 상호 안쪽으로 오무려질 수 있도록 하여 단자(115)의 외측면부를 긴밀히 압착해주는 효과를 제공해주게 된다.
이때 상기 본 발명에 적용된 조임구(121)는 텐션력을 갖는 성질을 내포하여 안쪽으로 상호 용이하게 오무려질 수 있도록 해주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후크(125)가 케이스(110)의 내측면에 걸려질 때의 조임구(121)의 하단 위치는 단자(115)를 압착할 수 있도록 삽입부(113)와 상호 맞닿는 공차(+0.1)보다 길게 형성하여 압착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상기한 효과로 인해 단자 클램핑 커버의 클램핑이 단자의 움직임을 막아주는 효과를 제공해주게 된다.
본 발명 전력용 파워 모듈의 단자 클램핑 장치의 기술적 사상은 실제로 동일결과를 반복 실시 가능한 것으로, 특히 이와 같은 본원발명을 실시함으로써 기술발전을 촉진하여 산업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어 보호할 가치가 충분히 있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전력용 파워 모듈
110: 케이스
111: 클램핑부
120: 커버
121: 조임구
125: 후크

Claims (7)

  1. 전력용 파워 모듈 단자의 움직임을 막아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복수개의 단자가 고정 설치되고, 단자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단자에 가해지는 응력을 막아주는 케이스; 및 케이스의 상부에 조립 설치되며, 단자를 압착하면서 긴밀하면서 견고히 잡아주는 커버;가 포함되고,
    상기 케이스에는, 단자가 삽입공에 조립 설치되도록 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클램핑부;
    상기 커버에는, 단자가 통과되는 구멍과 단자를 압착하면서 긴밀하면서 견고히 잡아주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복수개로 이루어진 조임구;가 포함되되, 상기 조임구(121)는 텐션력을 갖는 성질을 내포하여 안쪽으로 상호 용이하게 오무려질 수 있도록 해주게 되고,
    상기 커버의 하단에는,
    케이스에 내측 면에 걸려지면서 커버의 이탈 방지함과 아울러 조임구가 단자를 눌러주면서 긴밀히 압착시키는 힘을 제공해주는 복수개의 후크;가 포함되고,
    상기 후크가 케이스의 내측면에 걸려질 때의 조임구의 하단은 단자를 압착할 수 있도록 삽입부와 상호 맞닿는 공차(+0.1)보다 길게 형성하여 압착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용 파워 모듈의 단자 클램핑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부에는,
    조임구의 하강시 조임구의 하강을 안내하고, 조임구를 오무려 압착시킬 수 있도록 상부는 넓고 하부는 좁은 삽입부;가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용 파워 모듈의 단자 클램핑 장치.
  4.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조임구의 외측 하단에는,
    삽입부와 상호 맞닿은 상태로 하강하면서 단자를 압착시킬 수 있도록 한 경사진 테이퍼부;가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용 파워 모듈의 단자 클램핑 장치.
  5.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조임구의 내측 하단에는,
    조임구를 단자에 삽입할 때 조임구가 원활하게 삽입되도록 하기 위해 내측으로 경사지게 경사부;가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용 파워 모듈의 단자 클램핑 장치.
  6. 삭제
  7. 삭제
KR1020180044126A 2018-04-16 2018-04-16 전력용 파워 모듈의 단자 클램핑 장치 KR1020294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4126A KR102029443B1 (ko) 2018-04-16 2018-04-16 전력용 파워 모듈의 단자 클램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4126A KR102029443B1 (ko) 2018-04-16 2018-04-16 전력용 파워 모듈의 단자 클램핑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9443B1 true KR102029443B1 (ko) 2019-10-08

Family

ID=68209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4126A KR102029443B1 (ko) 2018-04-16 2018-04-16 전력용 파워 모듈의 단자 클램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94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48913A (zh) * 2019-12-25 2020-04-21 中国第一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电线连接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32328A (ja) * 2000-05-23 2001-11-30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端子接続構造
KR20080000640A (ko) 2005-04-06 2008-01-02 아베베 프랑스 접속 터미널용 클램핑 장치
KR101754344B1 (ko) 2017-03-07 2017-07-12 우림전기(주) 배전반용 테스트 터미널 유닛
KR101779004B1 (ko) * 2016-06-15 2017-09-1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버스바조립체가 구비된 차량용 블록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32328A (ja) * 2000-05-23 2001-11-30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端子接続構造
KR20080000640A (ko) 2005-04-06 2008-01-02 아베베 프랑스 접속 터미널용 클램핑 장치
KR101779004B1 (ko) * 2016-06-15 2017-09-1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버스바조립체가 구비된 차량용 블록
KR101754344B1 (ko) 2017-03-07 2017-07-12 우림전기(주) 배전반용 테스트 터미널 유닛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48913A (zh) * 2019-12-25 2020-04-21 中国第一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电线连接装置
CN111048913B (zh) * 2019-12-25 2021-04-27 中国第一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电线连接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97040A1 (en) Junction Box for Snap Together Electrical Connections to Photovoltaic Panels
CN107851926B (zh) 电缆组件
US20120122336A1 (en) Terminating and connecting device
DE102013020252A1 (de) Elektrische Verbindungsstruktur zwischen einem Modulgerät und einem externen Gerät
US20090068891A1 (en) Shielded connector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US7955118B2 (en) Terminal plate circuit using a pressing member
CA2761823C (en) Lead wire sheath
EP2567429B1 (de) Elektrischer baugruppenanschluss eines kraftfahrzeugs
KR102029443B1 (ko) 전력용 파워 모듈의 단자 클램핑 장치
US8215978B1 (en) Connector retaining device
KR20130130861A (ko) 회로 기판을 전기적으로 직접 콘택팅 하기 위한 플러그 결합체
KR20140023016A (ko) 패킹 압착구조를 갖는 전선 그랜드
US10367322B2 (en) Hard disk data interface pitch converter
US20150296636A1 (en) Electronic apparatus for solar power system
JP5411534B2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の組立方法
CN101005181A (zh) 电信号连接器
CN101646323B (zh) 一种线缆紧固组件和一种过压保护装置
DE102016222639A1 (de) Elektronikeinheit
CN113471891A (zh) 一种固定件及引入系统
KR20110009894A (ko) 전기 터미널
CN201601232U (zh) 端子台
CN215732408U (zh) 一种具备防水防尘功能的电子线束
DE202013006110U1 (de) Wasser- und staubdichte Stecker-Buchsen-Einheit mit verschiedenen Kontaktgruppen für die elektrische Mobilität wie z.B Pedelecs und E-Bike&#39;s
DE102010023773A1 (de) Anschluss- und Verbindungsdose für ein photovoltaisches Solarmodul, Solarmodul und Verfahren zum Anschließen einer Anschluss- und Verbindungsdose an ein photovoltaisches Solarmodul
CN212934880U (zh) 一种插拔式接线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