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8671B1 - 골프공 - Google Patents

골프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8671B1
KR102028671B1 KR1020180055090A KR20180055090A KR102028671B1 KR 102028671 B1 KR102028671 B1 KR 102028671B1 KR 1020180055090 A KR1020180055090 A KR 1020180055090A KR 20180055090 A KR20180055090 A KR 20180055090A KR 102028671 B1 KR102028671 B1 KR 1020286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line
auxiliary
slice
p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5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승철
Original Assignee
정승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승철 filed Critical 정승철
Priority to KR10201800550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86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86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86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63B37/0003Golf balls
    • A63B37/0022Coatings, e.g. paint films; Marking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63B37/0003Golf balls
    • A63B37/0022Coatings, e.g. paint films; Markings
    • A63B37/00223Colour ton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3/00Balls with special arrangements
    • A63B43/008Balls with special arrangements with means for improving visibility, e.g. special markings or colou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7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for putting
    • A63B69/3688Balls, ball substitutes, or attachments on ball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프공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퍼팅시 퍼팅그린의 지형 및 홀과의 거리에 따라 타격점 및 타격방향을 안내할 수 있는 골프공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골프공은 퍼팅가이드부가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에게 직선방향뿐만 아니라 퍼팅 그린의 경사지형에 따라 훅 라인이나 슬라이스 라인으로도 타격방향과 타격지점을 안내할 수 있어 다양한 퍼팅그린에 대응하여 타구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골프공{Golf ball}
본 발명은 골프공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퍼팅시 퍼팅그린의 지형 및 홀과의 거리에 따라 타격점 및 타격방향을 안내할 수 있는 골프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프경기에서 드라이버 샷이나, 아이언 샷을 할 때, 골프공의 비거리와 방향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플레이어의 자세와 골프공의 타격점이 중요하다.
특히, 골프에서 퍼터에 의해 골프공을 타격하여 홀 컵(Hole cup)에 넣는 것은 매우 중요한 마무리 동작이다. 골프공을 퍼팅(Putting)할 경우는 홀컵에 정확하게 홀인(Hole in)을 하기 위해서는 퍼팅 그린의 경사도나 지형지물 등의 상태를 고려하여 골프공의 진행방향을 미리 설정한 후 정확한 타구를 하여야 한다. 하지만, 상기 골프공을 퍼팅시, 구형의 골프공 방향을 일정하게 설정하여 타격하기는 쉽지 않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63277호에 개재된 골프공 라이너는 골프공의 타격 방향으로 퍼팅라인을 표시하여 타격 방향을 정확히 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 골프공 라이너는 캡 형태의 상부에 퍼팅라인을 표시하기 위한 관통홈을 형성하여 상기 관통홈을 따라 라인을 표시하도록 사용하였다.
한편,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8-0006737호에 개재된 라인표시부를 갖는 골프공은 외주연에 직교방향으로 교차하는 라인표시부를 구비하여 정확한 타구를 유도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의 골프공 라이너를 이용해 퍼팅라인이 형성된 골프공이나, 라인표시부를 갖는 골프공은 중심 직경 선상에 퍼팅라인 또는 라인표시부가 형성되어 있어 홀 컵에 대해 직선방향으로 타격시 정확한 타격에 도움을 줄 수 있으나, 퍼팅그린의 경사지형을 이용하여 훅 라인(Hook line)나 슬라이스 라인(Slice line)으로 퍼팅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정확한 타격 방향을 설정하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63277호: 골프공 라이너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8-0006737호: 라인표시부를 갖는 골프공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홀과의 직선 방향 뿐만 아니라 퍼팅 그린의 경사지형을 고려하여 훅 라인이나 슬라이스 라인으로도 타격방향과 타격지점을 안내할 수 있는 골프공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골프공은 딤플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 퍼팅 방향을 직진방향뿐만 아니라 슬라이스 및 훅 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는 퍼팅가이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퍼팅가이드부는 상기 몸체의 중심 직경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퍼팅그린의 홀과의 직선 방향을 안내하는 스트레이트라인과; 상기 스트레이트라인의 좌우측으로 이격 형성되어 상기 홀과의 제1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또는 상기 스트레이트라인에 대해 제1각도 어긋난 방향으로 상기 슬라이스 및 훅 방향을 안내하는 제1거리 및 각도 퍼팅가이드부와, 상기 제1거리 및 각도 퍼팅가이드부에 대해 좌우측으로 이격 형성되어 상기 제1거리보다 상기 홀에 대해 절반 이격된 제2거리의 위치에서 또는 상기 스트레이트라인에 대해 상기 제1각도보다 크게 어긋난 방향으로 상기 슬라이스 및 훅 방향을 안내하는 제2거리 및 각도 퍼팅가이드부를 포함하는 메인가이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거리 및 각도 퍼팅가이드부는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 상기 스트레이트라인에 좌우측으로 동일간격 이격되게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스트레이트라인에 대해 이격거리가 늘어되는 제1훅가이드라인 및 제1슬라이스가이드라인을 구비하고, 상기 제2거리 및 각도퍼팅가이드부는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 상기 제1거리 및 각도 퍼팅가이드부에 대해 상기 스트레이트라인에 멀어지는 좌우측 방향으로 상기 제1거리 및 각도 퍼팅가이드부가 상기 스트레이트라인에 이격된 거리만큼 각각 이격되게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훅가이드라인 및 제2슬라이스가이드라인을 구비한다.
상기 퍼팅가이드부는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 상기 메인가이드부의 일단에서 원주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메인가이드부와 상기 스트레이트라인 사이 또는 상기 메인가이드부 내에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스 및 훅 방향으로 퍼팅시 퍼팅방향 및 타격지점을 보조하는 제1보조가이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보조가이드부는 상기 스트레이트라인과 상기 제1슬라이스가이드라인 사이 중심측에서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제1보조슬라이스가이드라인과, 상기 스트레이트라인과 상기 제1훅가이드라인 사이 중심측에서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제1보조훅가이드라인과, 상기 제1슬라이스가이스라인과 상기 제2슬라이스가이드라인 사이 중심측에서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제2보조슬라이스가이드라인과, 상기 제1훅가이드라인과 상기 제2훅가이드라인 사이 중심측에서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제2보조훅가이드라인을 구비한다.
상기 퍼팅가이드부는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 상기 제1보조가이드부의 일단에서 원주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1보조가이드부와 상기 스트레이트라인 사이 또는 메인가이드부와 상기 제1보조가이드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스 및 훅 방향으로 퍼팅시 퍼팅방향 및 타격지점을 보조하는 제2보조가이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2보조가이드부는 상기 스트레이트라인과 상기 제1보조슬라이스가이드라인 사이 중심측에서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제3보조슬라이스가이드라인과, 상기 스트레이트라인과 상기 제1보조훅가이드라인 사이 중심측에서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제3보조훅가이드라인과, 상기 제1보조슬라이스가이드라인과 상기 제1슬라이스가이드라인 사이 중심측에서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제4보조슬라이스가이드라인과, 상기 제1보조훅가이드라인과 상기 제1훅가이드라인 사이 중심측에서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제4보조훅가이드라인을 구비한다.
상기 제1보조가이드부는 상기 메인가이드부가 상기 스트레이트라인에 이격된 거리가 일단에 대해 두배 이격되는 타측 위치에서부터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보조가이드부는 상기 제1보조가이드부가 상기 스트레이트라인에 이격된 거리가 일단에 대해 두배 이격되는 타측 위치에서부터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인가이드부, 상기 제1보조가이드부 및 상기 제2보조가이드부는 상호 다른 색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골프공은 퍼팅가이드부가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에게 직선방향뿐만 아니라 퍼팅 그린의 경사지형에 따라 훅 라인이나 슬라이스 라인으로도 타격방향과 타격지점을 안내할 수 있어 다양한 퍼팅그린에 대응하여 타구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골프공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골프공의 퍼팅가이드부의 메인가이드라인부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골프공의 퍼팅가이드부의 제1보조가이드라인부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골프공의 퍼팅가이드부의 제2보조가이드라인부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골프공이 홀에 b 거리만큼 이격 되었을 때, 골프공의 타격지점 및 방향을 설정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1의 골프공이 홀에 1/2b 거리만큼 이격 되었을 때, 골프공의 타격지점 및 방향을 설정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1의 골프공을 퍼팅그린의 경사도에 따라 타격지점을 설정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할 실시 예에 따른 골프공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골프공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골프공은 퍼팅그린(미도시)의 경사에 대응하여 퍼팅방향을 안내할 수 있는 것으로서, 딤플(11)이 형성된 몸체(10)와, 직진방향 외에 슬라이스 방향이나 훅 방향으로도 퍼팅 방향을 안내할 수 있는 퍼팅가이드부(15)를 구비한다.
앞서 언급한 슬라이스(Slice) 방향이란, 퍼팅그린 위에서 골프공이 시계방향으로 도는 골프골의 회전으로 중도에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꺽여 골프공이 전체적으로 비구선보다 오른쪽으로 휘어지게 진행되는 방향을 말하며, 훅(hook) 방향은 시계반대방향으로 도는 골프공의 회전으로 골프공이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휘어지게 진행되는 방향을 말한다.
퍼팅가이드부(15)는 스트레이트라인(20)과, 메인가이드부(21), 제1보조가이드부(40), 제2보조가이드부(60)를 구비한다.
스트레이트라인(20)은 몸체의 중심 직경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퍼팅그린의 홀(3)과의 직선 방향을 안내하고, 후술되는 메인가이드부(21), 제1 및 제2보조가이드부(40,60)을 이용하여 슬라이스 라인 또는 훅 라인으로 퍼팅시 홀을 향하고 있어 기준선 역할을 한다.
메인가이드부(21)는 스트레이트라인(20)의 좌우측으로 이격 형성되어 홀(3)과의 제1거리(b) 이격된 위치에서 또는 상기 스트레이트라인에 대해 제1각도 어긋난 방향으로 슬라이스 및 훅 방향을 안내하는 제1거리 및 각도 퍼팅가이드부(22)와, 제1거리 및 각도 퍼팅가이드부(22)에 대해 좌우측으로 이격 형성되어 제1거리보다 홀(3)에 대해 절반거리 이격된 제2거리(2b)의 위치에서 또는 상기 스트레이트라인에 대해 상기 제1각도보다 크게 어긋난 방향으로 슬라이스 및 훅 방향을 안내하는 제2거리 및 각도 퍼팅가이드부(28)를 구비한다.
제1거리 및 각도 퍼팅가이드부(22)와 제2거리 및 각도 퍼팅가이드부(28)는 동일거리에서 퍼팅그린의 경사에 따라 선택되어 골프공(1)의 퍼팅라인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제1거리 및 각도 퍼팅가이드부(22)와 제2거리 및 각도 퍼팅가이드부(28)는 제1거리(b) 및 제2거리(1/2b)에 따라 선택되어 골프공(1)의 퍼팅라인 궤적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제1거리 및 각도 퍼팅가이드부(22)는 제1훅가이드라인(24)과, 제1슬라이스가이드라인(26)을 구비한다. 제1훅가이드라인(24) 및 제1슬라이스가이드라인(26)은 몸체(10)의 외주면에 스트레이트라인(20)에 대해 동일간격 이격되게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되 스트레이트라인(20)에 대해 이격거리가 늘어나게 연장형성된다.
제1훅가이드라인(24)은 제1거리(b)에서 사용자가 골프공(1)이 훅 라인으로 이동되게 퍼팅하고자할 때, 그 퍼팅 방향을 안내한다. 제1슬라이스가이드라인(26)은 제1거리(b)에서 사용자가 골프공(1)이 슬라이스 라인으로 이동되게 퍼팅하고자할 때 그 퍼팅방향을 안내한다.
제2거리 및 각도 퍼팅가이드부(28)는 제2훅가이드라인(30)과, 제2슬라이스가이드라인(32)을 구비한다. 제2훅가이드라인 및 제2슬라이스가이드라인(30,32)은 몸체(10)의 외주면에 제1거리 및 각도 퍼팅가이드부(22)에 대해 스트레이트라인(20)에 멀어지는 좌우측 방향으로 제1거리 및 각도 퍼팅가이드부(22)가 스트레이트라인(20)에 이격된 거리만큼 각각 이격되게 원주방향으로 연장된다.
즉, 제2훅가이드라인(30)은 몸체(10)의 외주면에 제1훅가이드라인(24)에 대해 스트레이트 라인(20)에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격되고, 제2슬라이스라인(32)은 제1슬라이스가이드라인(26)에 대해 스트레이트라인(20)에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격된다.
제2훅가이드라인(30)은 제2거리(2b)에서 사용자가 골프공(1)이 훅 라인으로 이동되게 퍼팅하고자 할 때, 그 퍼팅 방향을 안내한다. 제2슬라이스가이드라인(32)은 제2거리(1/2b)에서 사용자가 골프공(1)이 슬라이스 라인으로 이동되게 퍼팅하고자할 때 그 퍼팅방향을 안내한다.
제1보조가이드부(40)는 몸체(10)의 외주면에 메인가이드부(21)의 일단에서 원주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된 위치에서 메인가이드부(21)와 스트레이트라인(40) 사이 또는 메인가이드부(21) 내에 형성되어, 슬라이스 라인 및 훅 라인 방향으로 퍼팅시 퍼팅방향 및 타격지점을 보조한다.
제1보조가이드부(40)는 스트레이트라인(20)과 제1슬라이스가이드라인(26) 사이 중심측에서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제1보조슬라이스가이드라인(43)과, 스트레이트라인(20)과 제1훅가이드라인(24) 사이 중심측에서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제1보조훅가이드라인(41)과, 제1슬라이스가이드라인(26)과 제2슬라이스가이드라인(32) 사이 중심측에서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제2보조슬라이스가이드라인(47)과, 제1훅가이드라인(24)과 제2훅가이드라인(30) 사이 중심측에서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제2보조훅가이드라인(45)을 구비한다.
한편, 제1보조가이드부(40)는 메인가이드부(21)가 스트레이트라인(20)에 이격된 거리가 일단이 스트레이트라인(20)에 이격된 거리에 대해 두배 이격되는 메인가이드부(21)의 타측 위치에서부터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1훅가이드라인(24)과, 제1슬라이스가이드라인(26)은 각 일단이 스트레이트라인(20)에 'a' 길이만큼 이격되어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되 타측으로 갈수록 스트레이트라인에 이격된 거리가 늘어나게 각각 연장형성된다.
즉, 제1 보조훅가이드라인(41)은 일단이 제1훅가이드라인(24)과 스트레이트라인(20)이 상호 '2a' 길이만큼 이격되는 위치에서 스트레이트라인(20)에 우측 방향으로 a 만큼 이격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제1훅가이드라인(24)과 스트레이트라인(20) 사이의 중앙을 따라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제1보조슬라이스가이드라인(43), 제2 보조슬라이스가이드라인(47) 및 제2보조훅가이드라인(45)은 각 일단이 제1보조훅가이드라인(41)의 일단과 스트레이트라인(20)에 직교하는 원주방향으로 나란한 위치에 형성된다. 그러므로, 제1보조슬라이스가이드라인(43)은 일단이 스트레이트라인(20)에 좌측방향으로 'a' 거리만큼 이격되어 원주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제2보조슬라이스가이드라인(47)은 일단이 제1슬라이스가이드라인(26)에 'a' 거리만큼 이격되어 원주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제2보조훅가이드라인(45)는 일단이 제1훅가이드라인(24)에 'a'거리만큼 이격되어 원주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메인가이드부(21)의 일단을 기준으로 'a' 간견 이내 또는 'a' 이상 '2a' 이하의 간격에 대응되는 각도로 골프공(1)을 퍼팅 시, 제1보조가이드부(40)에 의해 타격지점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하지만, 제1보조가이드부(40)는 제시된 위치에 한정되지 않고 메인가이드부(21)의 일단에 대해 원주방향을 소정간격 이격되면 어느 위치에서든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제2보조가이드부(60)는 몸체(10)의 외주면에 제1보조가이드부(40)의 일단에서 원주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된 위치에서 제1보조가이드부(40)와 스트레이트라인 (20)사이 또는 메인가이드부(21)와 제1보조가이드부(40) 사이에 형성되어, 슬라이스 및 훅 방향으로 퍼팅시 퍼팅방향 및 타격지점을 보조한다.
제2보조가이드부(60)는 스트레이트라인(20)과 제1보조슬라이스가이드라인(43) 사이 중심측에서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제3보조슬라이스가이드라인(63)과, 스트레이트라인(20)과 제1보조훅가이드라인(41) 사이 중심측에서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제3보조훅가이드라인(61)과, 제1보조슬라이스가이드라인(43)과 상기 제1슬라이스가이드라인(26) 사이 중심측에서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제4보조슬라이스가이드라인(67)과, 제1보조훅가이드라인(41)과 제1훅가이드라인(24) 사이 중심측에서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제4보조훅가이드라인(65)을 포함한다.
또한, 제2보조가이드부(60)는 제1훅가이드라인(24)과 제2보조훅가이드라인(45) 사이 중심측에서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제5보조훅가이드라인(69)과, 제1슬라이스가이드라인(26)과 제2보조슬라이스가이드라인(47) 사이 중심측에서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제5보조슬라이스가이드라인(71)과, 제2보조훅가이드라인(45)과 제2훅가이드라인() 사이 중심측에서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제6보조훅가이드라인(73)과, 제2보조슬라이스가이드라인(47)과 제2슬라이스가이드라인(32) 사이 중심측에서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제6보조슬라이스가이드라인(75)을 구비한다.
한편, 제2보조가이드부(60)는 제1보조가이드부(40) 일단이 스트레이트라인(20)에 이격된 거리에 대해 두배 이격되는 제1보조가이드부(21)의 타측 위치에서부터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1보조훅가이드라인(41)과, 제1보조슬라이스가이드라인(43)은 각 일단이 스트레이트라인(20)에 'a' 길이만큼 이격되어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되 타측으로 갈수록 스트레이트라인(20)에 이격된 거리가 늘어나게 각각 연장형성된다.
즉, 제3 보조훅가이드라인(61)은 일단이 제1보조훅가이드라인(41)과 스트레이트라인(20)이 상호 '2a' 길이만큼 이격되는 위치에서 스트레이트라인(20)에 우측 방향으로 a 만큼 이격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제1보조훅가이드라인(41)과 스트레이트라인(20) 사이의 중앙을 따라 연장 형성된다. 제3 보조슬라이스가이드라인(63)은 일단이 제1보조슬라이스가이드라인(43)과 스트레이트라인(20)이 상호 '2a' 길이만큼 이격되는 위치에서 스트레이트라인(20)에 좌측 방향으로 a 만큼 이격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제1보조슬라이스가이드라인(43)과 스트레이트라인(20) 사이의 중앙을 따라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제4보조훅가이드라인(65), 제4 보조슬라이스가이드라인(67), 제5보조훅가이드라인(69), 제5보조슬라이스가이드라인(71), 제6보조훅가이드라인(73) 및 제6보조슬라이스가이드라인(75)은 각 일단이 제3보조훅가이드라인(61) 및 제3보조슬라이스가이드라인(63)의 일단에 스트레이트라인(20)에 직교하는 원주방향으로 나란한 위치에 형성된다. 그러므로, 제4보조훅가이드라인(65)은 일단이 제1보조훅가이드라인(41)에 좌측방향으로 'a' 거리만큼 이격되어 원주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제4보조슬라이스가이드라인(67)은 일단이 제1보조슬라이스가이드라인(43)에 'a' 거리만큼 이격되어 원주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제5보조훅가이드라인(69)는 일단이 제1훅가이드라인(24)에 'a'거리만큼 이격되어 원주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제5보조슬라이스가이드라인(71)은 일단이 제1슬라이스가이드라인(26)에 'a'거리만큼 이격되어 원주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또한, 제6보조훅가이드라인(73)은 일단이 제2보조훅가이드라인(45)에 'a'거리만큼 이격되어 원주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제6보조슬라이스가이드라인(75)은 일단이 제2보조슬라이스가이드라인(47)에 'a'거리만큼 이격되어 원주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메인가이드부(21)의 일단을 기준으로 'a' 이내, 또는 'a' 이상 '2a' 이하, 또는 2a 이상의 간격에 대응되는 각도로 골프공(1)을 퍼팅 시, 제1보조가이드부(40) 및 제2보조가이드부(60)에 의해 타격지점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제1보조가이드부(40)의 일단을 기준으로 'a' 이내, 또는 'a' 이상 '2a' 이하의 간격에 대응되느 각도로 골프공(1)을 퍼팅시에도 타격지점 및 타격 방향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다.
하지만, 제2보조가이드부(60)는 제시된 위치에 한정되지 않고 제1보조가이드부(40)의 일단에 대해 원주방향을 소정간격 이격되면 어느 위치에서든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골프공(1)은 스트레이트라인(20), 메인가이드부(21), 제1보조가이드부(40) 및 제2보조가이드부(60)는 구분이 명확하도록 상호 다른 색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스트레이트라인(20)은 검은색, 메인가이드부(21)는 적색, 제1보조가이드부(40)는 녹색, 제2보조가이드부(60)는 노랑색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스트레이트라인(20), 메인가이드부(21), 제1보조가이드부(40) 및 제2보조가이드부(60)은 제시된 색에 한정되지 않고 상호 구분할 수 있는 색이면 어느 것이든 적용 가능할 것이다.
이제,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골프공(1)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퍼팅그린이 좌측이 상향 경사져 골프공(1)에서 홀(3)까지 슬라이스라인으로 퍼팅라인이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 들고 설명한다.
골프공(1)이 홀(3)과 거리(b)가 2m 인 경우, 메인가이드부(21)의 제1거리 및 각도 퍼팅가이드부(22)을 이용하는데, 퍼팅그린이 좌측으로 상향 경사져 있으므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프공(1)이 좌측에서 우측으로 휘어지면서 홀에 들어갈 수 있도록 제1슬라이스가이드라인(26)의 연장방향을 타격 방향으로 잡고 제1슬라이스가이드라인(26)의 일단을 타격지점으로 하여 퍼팅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1보조가이드부(40)의 일단을 기준으로 퍼팅을 할 경우, 제1보조슬라이스가이드라인(43)을 따라 타격할 수 있을 것이다.
골프공(1)이 홀(3)과 거리(1/2b)가 1m 인 경우,골프공이 더 크게 휘어질 수 있도록 메인가이드부(21)의 제2거리 및 각도 퍼팅가이드부(28)을 이용하는데, 퍼팅그린이 좌측으로 상향 경사져 있으므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프공(1)이 좌측에서 우측으로 휘어지면서 홀에 들어가되 홀(1)과 거리가 2m인 경우보다 큰 궤적으로 슬라이스라인이 형성될 수 있도록 제2슬라이스가이드라인(32)의 연장방향을 타격 방향으로 잡고 제2슬라이스가이드라인(32)의 일단을 타격지점으로 하여 퍼팅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1보조가이드부(40)의 일단을 기준으로 퍼팅을 할 경우, 제2보조슬라이스가이드라인(47)을 따라 타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퍼팅그린이 우측으로 상향 경사져 훅 라인으로 퍼팅라인으로 형성되는 경우는 거리에 따라 제1훅가이드라인 또는 제1보조훅가이드라인, 제2훅가이드라인 또는 제2보조훅가이드라인을 기준으로 퍼팅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골프공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용될 수도 있다. 홀(3)과의 거리가 동일하나, 경사도가 다른 퍼팅그린들에서 퍼팅하는 경우를 예로 들면, 예상 퍼팅라인(실선)이 스트레이트라인(20)에 대해 'c'각도 틀어진 경우 제1슬라이스가이드라인(26)를 기준으로 퍼팅하며, 예상 퍼팅라인(점선)이 스트레이트라인(20)에 대해 '2c'각도 틀어진 경우 제2슬라이스가이드라인(32)을 기준으로 퍼팅할 수 있을 것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골프공(1)은 퍼팅가이드부(15)가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에게 직선방향뿐만 아니라 퍼팅 그린의 경사지형에 따라 후크 라인이나 슬라이스 라인으로도 타격방향과 타격지점을 안내할 수 있어 다양한 퍼팅그린에 대응하여 타구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골프공(1)은 퍼팅가이드부(15)가 메인가이드부(21)와, 제1 및 제2보조가이드부(40,60)로 구분되어 있어, 홀과의 거리에 따라 타격기준점을 미세하게 조절하여 타격할 수 있으므로 타구의 정확도를 더욱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골프공은 도면에 도시된 일 예를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골프공 10 : 몸체
15 : 퍼팅가이드부 20 : 스트레이트라인
21 : 메인가이드부
22 : 제1거리 및 각도 퍼팅가이드부
24 : 제1훅가이드라인 26 : 제1슬라이스가이드라인
28 : 제2거리 및 각도 퍼팅가이드부
30 : 제2훅가이드라인 32 : 제2슬라이스가이드라인
40 : 제1보조가이드부
41 : 제1보조훅가이드라인 43 : 제1보조슬라이스가이드라인
45 : 제2보조훅가이드라인 47 : 제2보조슬라이스가이드라인
60 : 제2보조가이드부
61 : 제3보조훅가이드라인 63 : 제3보조슬라이스가이드라인
65 : 제4보조훅가이드라인 67 : 제4보조슬라이스가이드라인
69 : 제5보조훅가이드라인 71 : 제5보조슬라이스가이드라인
73 : 제6보조훅가이드라인 75 : 제6보조슬라이스가이드라인

Claims (7)

  1. 딤플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 퍼팅 방향을 직진방향뿐만 아니라 퍼팅그린의 지형과 홀과의 거리에 따라 슬라이스 및 훅 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는 퍼팅가이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퍼팅가이드부는
    상기 몸체의 중심 직경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퍼팅그린의 홀과의 직선 방향을 안내하는 스트레이트라인과;
    상기 스트레이트라인의 좌우측으로 이격 형성되어 상기 홀과의 제1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또는 상기 스트레이트라인에 대해 제1각도 어긋난 방향으로 상기 슬라이스 및 훅 방향을 안내하는 제1거리 및 각도 퍼팅가이드부와, 상기 제1거리 및 각도 퍼팅가이드부에 대해 좌우측으로 이격 형성되어 상기 제1거리보다 상기 홀에 대해 절반 이격된 제2거리의 위치에서 또는 상기 스트레이트라인에 대해 상기 제1각도보다 크게 어긋난 방향으로 상기 슬라이스 및 훅 방향을 안내하는 제2거리 및 각도 퍼팅가이드부를 포함하는 메인가이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거리 및 각도 퍼팅가이드부는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 상기 스트레이트라인에 좌우측으로 동일간격 이격되게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스트레이트라인에 대해 이격거리가 늘어되는 제1훅가이드라인 및 제1슬라이스가이드라인을 구비하고,
    상기 제2거리 및 각도퍼팅가이드부는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 상기 제1거리 및 각도퍼팅가이드부에 대해 상기 스트레이트라인에 멀어지는 좌우측 방향으로 상기 제1거리 및 각도퍼팅가이드부가 상기 스트레이트라인에 이격된 거리만큼 각각 이격되게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훅가이드라인 및 제2슬라이스가이드라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퍼팅가이드부는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 상기 메인가이드부의 일단에서 원주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메인가이드부와 상기 스트레이트라인 사이 또는 상기 메인가이드부 내에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스 및 훅 방향으로 퍼팅시 퍼팅방향 및 타격지점을 보조하는 제1보조가이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보조가이드부는
    상기 스트레이트라인과 상기 제1슬라이스가이드라인 사이 중심측에서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제1보조슬라이스가이드라인과, 상기 스트레이트라인과 상기 제1훅가이드라인 사이 중심측에서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제1보조훅가이드라인과, 상기 제1슬라이스가이드라인과 상기 제2슬라이스가이드라인 사이 중심측에서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제2보조슬라이스가이드라인과, 상기 제1훅가이드라인과 상기 제2훅가이드라인 사이 중심측에서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제2보조훅가이드라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퍼팅가이드부는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 상기 제1보조가이드부의 일단에서 원주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1보조가이드부와 상기 스트레이트라인 사이 또는 메인가이드부와 상기 제1보조가이드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스 및 훅 방향으로 퍼팅시 퍼팅방향 및 타격지점을 보조하는 제2보조가이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2보조가이드부는
    상기 스트레이트라인과 상기 제1보조슬라이스가이드라인 사이 중심측에서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제3보조슬라이스가이드라인과, 상기 스트레이트라인과 상기 제1보조훅가이드라인 사이 중심측에서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제3보조훅가이드라인과, 상기 제1보조슬라이스가이드라인과 상기 제1슬라이스가이드라인 사이 중심측에서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제4보조슬라이스가이드라인과, 상기 제1보조훅가이드라인과 상기 제1훅가이드라인 사이 중심측에서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제4보조훅가이드라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조가이드부는
    상기 메인가이드부가 상기 스트레이트라인에 이격된 거리가 일단에 대해 두배 이격되는 타측 위치에서부터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보조가이드부는
    상기 제1보조가이드부가 상기 스트레이트라인에 이격된 거리가 일단에 대해 두배 이격되는 타측 위치에서부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가이드부, 상기 제1보조가이드부 및 상기 제2보조가이드부는 상호 다른 색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KR1020180055090A 2018-05-14 2018-05-14 골프공 KR1020286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5090A KR102028671B1 (ko) 2018-05-14 2018-05-14 골프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5090A KR102028671B1 (ko) 2018-05-14 2018-05-14 골프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8671B1 true KR102028671B1 (ko) 2019-10-04

Family

ID=68208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5090A KR102028671B1 (ko) 2018-05-14 2018-05-14 골프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86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34961A1 (ko) * 2020-08-11 2022-02-17 박순백 경사도 측정 골프용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3277Y1 (ko) 2004-06-17 2004-10-01 (주)미립기술 골프공에 정렬라인을 그리는 골프공 라이너
JP2008022940A (ja) * 2006-07-19 2008-02-07 Sri Sports Ltd ゴルフボール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3277Y1 (ko) 2004-06-17 2004-10-01 (주)미립기술 골프공에 정렬라인을 그리는 골프공 라이너
JP2008022940A (ja) * 2006-07-19 2008-02-07 Sri Sports Ltd ゴルフボール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34961A1 (ko) * 2020-08-11 2022-02-17 박순백 경사도 측정 골프용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77633A (en) Golf putter
US7955180B2 (en) Golf putter with aiming apparatus
US11376478B2 (en) Golf ball with indicia
US5431401A (en) Golf putter
US7077757B1 (en) Curvilinear golf club-head path assisting indicator and method
US4317568A (en) Golf club with reference plumb mark
US20120264539A1 (en) Golf Ball Having Alignment Markings to Correct for Eye Dominance
US20080015045A1 (en) Novel curvilinear golf club-head
US20020086741A1 (en) Marked golf ball and golf ball marking device
KR102028671B1 (ko) 골프공
KR101719555B1 (ko) 골프용 퍼터 헤드 및 이를 이용한 골프용 퍼터
JP2001178857A (ja) パター型ゴルフクラブ
US20070213140A1 (en) Golf putter and system incorporating that putter
US9212886B2 (en) Device for facilitating alignment with a target line
KR101116149B1 (ko) 골프 마커
KR101835959B1 (ko) 골프 클럽의 그립 및 이러한 그립과 골프 장갑의 조립체
KR200496986Y1 (ko) 골프공 라이너
US9233280B2 (en) Self-balancing putter
KR20160112859A (ko) 방향측정 기능을 구비한 골프채
JPH0357257Y2 (ko)
WO2019186818A1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およびゴルフクラブ
KR200456852Y1 (ko) 골프용 퍼터
JPH09308711A (ja) ゴルフクラブの照準及びアライメントシステム
KR200263826Y1 (ko) 골프 퍼터
JP3134106U (ja) ゴルフ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