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8347B1 - 주류 제조공정에 적용 가능한 지능형 실내 공기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 Google Patents

주류 제조공정에 적용 가능한 지능형 실내 공기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8347B1
KR102028347B1 KR1020170162151A KR20170162151A KR102028347B1 KR 102028347 B1 KR102028347 B1 KR 102028347B1 KR 1020170162151 A KR1020170162151 A KR 1020170162151A KR 20170162151 A KR20170162151 A KR 20170162151A KR 102028347 B1 KR102028347 B1 KR 1020283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dioxide
indoor air
absorbing liquid
absorbe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21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3222A (ko
Inventor
이주열
박병현
최진식
김해기
김재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애니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애니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애니텍
Priority to KR10201701621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8347B1/ko
Publication of KR201900632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32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83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83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1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bsorption
    • B01D53/1456Removing acid components
    • B01D53/1475Removing carbon diox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1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bsorption
    • B01D53/1425Regeneration of liquid absorb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1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bsorption
    • B01D53/1493Selection of liquid materials for use as absorb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0Controlling by gas-analysis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2/00Absorbents, i.e. solvents and liquid materials for gas absorption
    • B01D2252/20Organic absorbents
    • B01D2252/204Amines
    • B01D2252/20494Amino acids, their salts or derivativ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CCAPTURE, STORAGE, SEQUESTRATION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GHG]
    • Y02C20/00Capture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 Y02C20/40Capture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of CO2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as Separation By Absorption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주류 제조공정에 적용 가능한 지능형 실내 공기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이 개시된다. 본 주류 제조공정에 적용 가능한 지능형 실내 공기 관리 시스템은 주류 제조공정 시설의 실내 공기에 포함된 이산화탄소의 농도와 상기 실내 공기 및 실외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실내 공기 또는 상기 실외 공기가 이송되는 이송관이 복수로 마련되는 이송 경로부; 상기 실내 공기에 포함된 이산화탄소가 상기 실내 공기로부터 분리되어 흡수되도록 하는 이산화탄소 흡수액이 저장되는 저장부; 상기 이송 경로부를 통해 이송되는 실내 공기가 유입되면, 상기 이산화탄소 흡수액이 상기 유입된 실내 공기를 향해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유입된 실내 공기에 포함된 이산화탄소가 흡수제거 되도록 하는 이산화탄소 제거부; 및 상기 실내 공기에 포함된 이산화탄소의 농도에 따라 상기 실내 공기가 상기 이산화탄소 제거부로 이송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실내 공기 및 상기 실외 공기 간의 온도 차이에 따라 상기 실내 공기 중 기설정된 양이 실외로 배출되고, 배출된 양만큼의 실외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주류 제조공정 시설의 실내 공기와 실외 공기 간의 환기 횟수를 절감시키고, 실내 냉난방 비용을 절약시킬 수 있다. 또한, 이산화탄소 흡수액의 소비량이 절감되어, 이산화탄소 저감 비용이 절약되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주류 제조공정에 적용 가능한 지능형 실내 공기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System for smart room air management suitable for alcoholic beverages manufacturing process and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지능형 실내 공기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류 제조공정에 적용 가능한 지능형 실내 공기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에탄올 발효(ethanol fermentation)는 포도당, 과당, 그리고 자당과 같은 당류가 에탄올, 이산화탄소로 분해되는 생물학적 과정이다. 산소가 없는 상태에서 효모균과 같은 미생물에 이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산소의 부재로 인하여 이 변환과정을 구사해내기 때문에, 에탄올 발효는 혐기성 처리로 양조나 에탄올 연료 생산, 제빵 과정 등에 활용된다.
이러한 에탄올 발효 과정을 수행하며 주류를 제조하는 주류 제조공정 시설에서는 에탄올 발효 과정에서 발생된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저감시키기 위해, 실내 공기의 환기가 반드시 필요한 실정이나, 실내 공기의 빈번한 환기로 인하여, 이산화탄소의 배출로 인하여 환경을 오염시키고, 냉난방을 위해 소모되는 에너지의 양이 늘어남에 따라 냉난방을 위한 비용 역시 증가하게 되는 문제가 존재한다.
한편, 이산화탄소를 포집하는 종래의 기술들은 이산화탄소를 흡수할 수 있는 흡수제를 이용하는데, 흡수제를 한 번 이용하고, 폐기함에 따라 흡수제의 소비량이 증가하고, 증가된 흡수제의 소비량에 따라 이산화탄소 포집 비용 역시 증가한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이에 따라, 주류 제조공정 시설의 실내 공기와 실외 공기 간의 환기 횟수를 줄여, 냉난방을 위한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으며, 주류 제조공정 시설 내의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효과적으로 저감시키고, 이산화탄소 포집 시 이용되는 흡수제를 재사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모색이 필요하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056502호(발명의 명칭: 이산화탄소 포집 공정에 있어서 흡수제의 휘발 방지 방법)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4권 제9호(논문의 명칭: Potassium L-lysine을 이용한 연소 후 이산화탄소 포집)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주류 제조공정 시설의 실내 공기와 실외 공기 간의 환기 횟수를 절감시키고, 실내 공기에 포함된 이산화탄소의 농도에 따라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효과적으로 저감시키고, 이산화탄소가 흡수제거되도록 하기 위한 이산화탄소 흡수액에 흡수된 이산화탄소를 탈리시켜, 이산화탄소 흡수액을 재사용할 수 있는 주류 제조공정에 적용 가능한 지능형 실내 공기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류 제조공정에 적용 가능한 지능형 실내 공기 관리 시스템은 주류 제조공정 시설의 실내 공기에 포함된 이산화탄소의 농도와 상기 실내 공기 및 실외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실내 공기 또는 상기 실외 공기가 이송되는 이송관이 복수로 마련되는 이송 경로부; 상기 실내 공기에 포함된 이산화탄소가 상기 실내 공기로부터 분리되어 흡수되도록 하는 이산화탄소 흡수액이 저장되는 저장부; 상기 이송 경로부를 통해 이송되는 실내 공기가 유입되면, 상기 이산화탄소 흡수액이 상기 유입된 실내 공기를 향해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유입된 실내 공기에 포함된 이산화탄소가 흡수제거 되도록 하는 이산화탄소 제거부; 및 상기 실내 공기에 포함된 이산화탄소의 농도에 따라 상기 실내 공기가 상기 이산화탄소 제거부로 이송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실내 공기 및 상기 실외 공기 간의 온도 차이에 따라 상기 실내 공기 중 기설정된 양이 실외로 배출되고, 배출된 양만큼의 실외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가 개별적으로 설정된 각각의 스케줄에 따라 실내 공기에 포함된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감지하거나, 상기 실내 공기 및 실외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도록 하되, 상기 실내 공기 및 상기 실외 공기 간의 온도 차이에 따라 상기 실내 공기 중 기설정된 양이 실외로 배출되고, 배출된 양만큼의 실외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경우, 상기 실외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면, 상기 실내 공기에 포함된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감지하기 위한 스케줄에 도달하지 않는 경우에도, 상기 실내 공기에 포함된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감지하도록 하여, 실외 공기의 유입으로 인하여, 상기 실내 공기에 포함된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상승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주류 제조공정에 적용 가능한 지능형 실내 공기 관리 시스템은 상기 이산화탄소가 흡수된 이산화탄소 흡수액이 유입되면, 상기 이산화탄소가 흡수된 이산화탄소 흡수액을 가열하여, 상기 이산화탄소가 상기 이산화탄소 흡수액으로부터 탈리되도록 하고, 상기 이산화탄소가 탈리된 이산화탄소 흡수액은 상기 저장부로 이송되도록 하는 탈리 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산화탄소 제거부에 상기 실내 공기가 유입되면, 상기 저장된 이산화탄소 흡수액이 상기 이산화탄소 제거부에 공급되어, 상기 공급된 이산화탄소 흡수액이 상기 유입된 실내 공기를 향해 분사되도록 하고, 상기 이산화탄소가 흡수된 이산화탄소 흡수액이 상기 탈리 처리부에 유입되면, 상기 탈리 처리부에 유입된 이산화탄소 흡수액의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 범위에 도달하도록 가열하고, 가열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상기 기설정된 온도 범위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탈리 처리부는, 이산화탄소가 흡수된 이산화탄소 흡수액이 수용되는 몸체; 및 상기 이산화탄소 제거부와 상기 몸체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이산화탄소 제거부로부터 이산화탄소가 흡수된 이산화탄소 흡수액이 상기 몸체로 유입되도록 하는 이산화탄소 흡수액 유입관; 상기 이산화탄소 흡수액 유입관에 연결되어, 상기 이산화탄소 제거부로부터 배출된 이산화탄소 흡수액이 상기 몸체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가열되도록 하는 열교환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탈리 처리부는, 이산화탄소가 흡수된 이산화탄소 흡수액이 수용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바닥면 또는 내측면에 마련되어, 상기 몸체의 내부에 수용된 이산화탄소 흡수액의 온도가 상기 기설정된 범위에 도달하거나 유지되도록 가열하는 가열 코일; 및 상기 몸체의 내측면에 마련되어, 상기 가열되는 이산화탄소 흡수액이 교반되도록 하는 교반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탈리 처리부가 복수로 마련되고, 상기 이산화탄소 제거부로부터 각각의 탈리 처리부로 상기 이산화탄소가 흡수된 이산화탄소 흡수액이 이송되도록 하는 이송 경로가 개별적으로 마련되는 경우, 특정 이송 경로가 개방되어, 상기 복수의 탈리 처리부 중 어느 하나의 탈리 처리부에 상기 이산화탄소가 흡수된 이산화탄소 흡수액이 유입되도록 하되, 상기 유입된 이산화탄소 흡수액이 상기 어느 하나의 탈리 처리부의 수용 용량 허용치에 도달하면, 상기 특정 이송 경로가 폐쇄되어 상기 어느 하나의 탈리 처리부에 상기 이산화탄소가 흡수된 이산화탄소 흡수액의 유입이 중단되도록 하고, 상기 특정 이송 경로가 폐쇄되면, 상기 특정 이송 경로와 별개로 마련된 다른 이송 경로가 개방되어 다른 하나의 탈리 처리부에 상기 이산화탄소가 흡수된 이산화탄소 흡수액이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열 코일은, 상기 몸체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제1 가열 코일과 상기 몸체의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몸체의 내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2 가열 코일로 구성되며, 상기 제1 가열 코일 및 상기 제2 가열 코일은, 상기 몸체의 내부에 수용된 이산화탄소 흡수액의 온도가 상기 기설정된 범위에 도달할 때까지 함께 동작하여 상기 몸체의 내부에 수용된 이산화탄소 흡수액을 가열하되, 상기 가열된 이산화탄소 흡수액이 상기 기설정된 온도에 도달하면, 상기 제2 가열 코일만이 동작하여 상기 기설정된 온도에 도달한 이산화탄소 흡수액을 가열하며, 상기 기설정된 온도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산화탄소 흡수액은, 라이신(lysine) 용액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류 제조공정에 적용 가능한 지능형 실내 공기 관리 방법은 감지부에 의해, 주류 제조공정 시설의 실내 공기에 포함된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감지되는 단계; 제어부에 의해, 상기 실내 공기에 포함된 이산화탄소의 농도에 따라 상기 실내 공기의 이송 여부가 결정되는 단계; 상기 실내 공기의 이송이 결정되면, 상기 실내 공기가 복수의 이송관이 구비되는 이송 경로부를 통해, 이산화탄소 제거부로 이송되는 단계; 상기 실내 공기가 이산화탄소 제거부에 유입되면, 상기 이산화탄소 제거부에 상기 실내 공기에 포함된 이산화탄소가 상기 실내 공기로부터 분리되어 흡수되도록 하는 이산화탄소 흡수액이 저장된 저장부로부터 상기 이산화탄소 흡수액이 공급되어, 상기 실내 공기를 향해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실내 공기에 포함된 이산화탄소가 흡수제거 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이산화탄소가 흡수된 이산화탄소 흡수액이 탈리 처리부에 이송되는 단계; 및 상기 탈리 처리부에 의해, 상기 이산화탄소가 흡수된 이산화탄소 흡수액이 가열되어, 상기 이산화탄소가 상기 이산화탄소 흡수액으로부터 탈리되도록 하고, 상기 이산화탄소가 탈리된 이산화탄소 흡수액은 상기 저장부로 이송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주류 제조공정 시설의 실내 공기와 실외 공기 간의 환기 횟수를 절감시키고, 실내 냉난방 비용을 절약시킬 수 있다.
또한,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효과적으로 저감시키고, 이산화탄소 흡수액의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이산화탄소 흡수액의 소비량이 절감되어, 이산화탄소 저감 비용이 절약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류 제조공정에 적용 가능한 지능형 실내 공기 관리 시스템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류 제조공정에 적용 가능한 지능형 실내 공기 관리 시스템의 동작특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류 제조공정에 적용 가능한 지능형 실내 공기 관리 시스템의 이산화탄소 제거 과정 및 이산화탄소 흡수액의 탈리 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류 제조공정에 적용 가능한 지능형 실내 공기 관리 시스템의 탈리 처리부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류 제조공정에 적용 가능한 지능형 실내 공기 관리 시스템의 탈리 처리부에 마련된 가열 코일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류 제조공정에 적용 가능한 지능형 실내 공기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류 제조공정에 적용 가능한 지능형 실내 공기 관리 시스템(이하에서는 '지능형 실내 공기 관리 시스템'으로 총칭함)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실내 공기 관리 시스템의 동작특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실내 공기 관리 시스템은 주류 제조공정 시설(10)의 실내 공기와 실외 공기 간의 환기 횟수를 절감시키고, 주류 제조공정 시설(10)의 실내 공기에 포함된 이산화탄소의 농도에 따라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효과적으로 저감시키고, 이산화탄소가 흡수제거되도록 하기 위한 이산화탄소 흡수액에 흡수된 이산화탄소를 탈리시켜, 이산화탄소 흡수액을 재사용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를 위해, 본 지능형 실내 공기 관리 시스템은, 감지부(100), 이송 경로부(200), 저장부(300), 이산화탄소 제거부(400), 탈리 처리부(500) 및 제어부(600)로 구성된다.
감지부(100)는, 주류 제조공정 시설(10)의 실내 공기에 포함된 이산화탄소의 농도와 실내 공기의 온도 및 실외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해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감지부(100)는, 주류 제조공정 시설(10) 내부에 마련되어, 실내 공기에 포함된 이산화탄소의 농도와 실내 공기의 온도 및 실외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결과를 제어부(600)에 전달할 수 있다.
이송 경로부(200)는, 실내 공기 또는 실외 공기가 이송되도록 하고, 주류 제조공정 시설(10)의 실내 공기를 이산화탄소 제거부(400)로 이송되거나 또는 이산화탄소 제거부(400)를 통과하며 이산화탄소가 제거된 실내 공기가 주류 제조공장 시설로 이송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다.
저장부(300)는, 이산화탄소를 흡수할 수 있는 이산화탄소 흡수액을 저장하기 위해 마련된다. 여기서 저장부(300)는, 이산화탄소 흡수액을 저장하고, 제어부(600)가 실내 공기에 포함된 이산화탄소의 제거가 필요하다고 판단하여, 실내 공기를 이산화탄소 제거부(400)로 이송시켜 실내 공기에 포함된 이산화탄소를 제거하는 경우, 이산화탄소 제거부(400)에 이산화탄소 흡수액을 공급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이산화탄소 흡수액은 염기성 α-아미노산 중 하나인 라이신(lysine) 용액을 의미한다.
이산화탄소 제거부(400)는 유입, 이송, 배기 경로가 마련되는 탑으로 구현되어, 상측에 연결된 이송 경로부(200)를 통해 주류 제조공정 시설(10)의 실내 공기가 유입되면, 유입된 실내 공기가 상측에서 하측으로 이송되도록 하고, 이송되는 과정에서 분사된 이산화탄소 흡수액과 이산화탄소가 반응되도록, 실내 공기를 향해 이산화탄소 흡수액을 분사하여, 실내 공기에 포함된 이산화탄소를 흡수제거할 수 있으며, 실내 공기를 향해 분사된 이산화탄소 흡수액에 이산화탄소가 흡수되면, 이산화탄소가 흡수된 이산화탄소 흡수액을 배출할 수 있다.
탈리 처리부(500)는, 이산화탄소 제거부(400)와 연결되어, 이산화탄소가 흡수된 이산화탄소 흡수액이 유입되도록 하고, 유입된 이산화탄소 흡수액을 가열하여, 이산화탄소가 이산화탄소 흡수액으로부터 탈리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다.
여기서 이산화탄소가 흡수된 이산화탄소 흡수액은 탈리 처리부(500)에 의해 가열됨에 따라 역반응이 발생되어, 이산화탄소가 이산화탄소 흡수액으로부터 탈리될 수 있으며, 이때, 탈리 처리부(500)는 이산화탄소가 흡수된 이산화탄소 흡수액이 100~110℃에 도달하도록 가열하거나, 100~110℃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탈리 처리부(500)는, 복수로 마련되고, 이산화탄소 제거부(400)로부터 각각의 탈리 처리부(500-1, 500-2)로 이산화탄소가 흡수된 이산화탄소 흡수액이 이송되도록 하는 이송 경로 역시 개별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600)는, 각각의 탈리 처리부(500)에 유입되는 이산화탄소가 흡수된 이산화탄소 흡수액의 용량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여, 각각의 탈리 처리부(500-1, 500-2)에 이산화탄소가 흡수된 이산화탄소 흡수액이 개별적으로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효율적인 탈리처리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이산화탄소가 흡수된 이산화탄소 흡수액이 유입되는 과정에서는 외부로 열을 빼앗겨 가열 효과가 떨어질 수밖에 없어, 탈리 처리부(500)에 이산화탄소가 흡수된 이산화탄소 흡수액의 유입이 완료되면, 탈리 처리부(500)를 밀폐시킨 후 밀폐된 탈리 처리부(500)를 가열하여, 이산화탄소가 흡수된 이산화탄소 흡수액이 기설정된 온도에 해당하는 100~110℃에 도달하거나, 유지하도록 하며, 이산화탄소와 이산화탄소 흡수액의 역반응을 유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600)는, 탈리 처리부(500)가 복수로 마련되고, 각각의 탈리 처리부(500)로 이산화탄소가 흡수된 이산화탄소 흡수액이 이송되도록 하는 이송 경로 역시 개별적으로 마련되는 경우, 복수의 탈리 처리부(500) 중 어느 하나인 제1 탈리 처리부(500-1)에 이산화탄소가 흡수된 이산화탄소 흡수액이 이송되도록 하는 이송 경로가 개방되면, 제1 탈리 처리부(500-1)에 이산화탄소가 흡수된 이산화탄소 흡수액이 유입되도록 하되, 유입된 이산화탄소 흡수액이 제1 탈리 처리부(500-1)의 수용 용량 허용치에 도달하면, 개방된 이송 경로가 폐쇄되어, 제1 탈리 처리부(500-1)에 이산화탄소가 흡수된 이산화탄소 흡수액의 유입이 중단되도록 하고, 제1 탈리 처리부(500-1)에 연결된 이송 경로가 폐쇄되면, 제2 탈리 처리부(500-2)에 연결된 이송 경로가 개방되어 이산화탄소가 흡수된 이산화탄소 흡수액이 제2 탈리 처리부(500-2)에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600)는, 실내 공기에 포함된 이산화탄소의 농도에 따라 지능형 실내 공기 관리 시스템의 동작 여부를 결정하고, 실내 공기에 포함된 이산화탄소를 저감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600)는, 감지부(100)에 의해 측정된 실내 공기에 포함된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기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이송 경로부(200)를 통해, 실내 공기가 이산화탄소 제거부(400)로 이송되도록 하고, 이산화탄소 제거부(400)에 실내 공기가 유입되면, 저장부(300)에 저장된 이산화탄소 흡수액이 이산화탄소 제거부(400)에 공급되어, 유입된 실내 공기를 향해 이산화탄소 흡수액이 분사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이산화탄소 흡수액이 분사되면, 분사된 이산화탄소 흡수액과 실내 공기에 포함된 이산화탄소가 반응하여, 이산화탄소가 이산화탄소 흡수액에 흡수된다.
또한, 제어부(600)는, 이산화탄소가 이산화탄소 흡수액에 흡수되는 반응이 일어나면, 이산화탄소가 흡수된 이산화탄소 흡수액이 이산화탄소 제거부(400)로부터 배출되어, 탈리 처리부(500)로 이송되도록 하고, 이산화탄소가 흡수된 이산화탄소 흡수액이 탈리 처리부(500)에 유입되면, 유입된 이산화탄소 흡수액을 가열하여, 이산화탄소가 이산화탄소 흡수액으로부터 탈리되도록 하며, 이산화탄소가 탈리된 이산화탄소 흡수액은 저장부(300)로 이송하여,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600)는 기설정된 스케줄에 따라 주기적으로 실내 공기 및 실외 공기 간의 온도 차이에 따라 실내 공기 중 기설정된 양이 실외로 배출되고, 배출된 양만큼의 실외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600)는 감지부(100)가 개별적으로 설정된 각각의 스케줄에 따라 실내 공기에 포함된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감지하거나, 실내 공기 및 실외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도록 하되, 실내 공기 및 실외 공기 간의 온도 차이에 따라 실내 공기 중 기설정된 양이 실외로 배출되고, 배출된 양만큼의 실외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경우, 실외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면, 실내 공기에 포함된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감지하기 위한 스케줄에 도달하지 않는 경우에도, 실내 공기에 포함된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감지하도록 하여, 실외 공기의 유입으로 인하여, 실내 공기에 포함된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상승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지능형 실내 공기 관리 시스템은 주류 제조공정에서 발생되는 이산화탄소를 제거하기 위해 필요한 환기 횟수를 대폭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실내 냉난방 비용을 절약시킬 수 있다. 또한, 주류 제조공정 시설(10)의 실내 공기에 포함된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효과적으로 저감시키고, 이산화탄소 흡수액의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이산화탄소 흡수액의 소비량이 절감되어, 이산화탄소 저감 비용이 절약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실내 공기 관리 시스템의 이산화탄소 제거 과정 및 이산화탄소 흡수액의 탈리 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지능형 실내 공기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되, 이산화탄소 제거 과정 및 이산화탄소 흡수액과 이산화탄소의 탈리 처리 과정을 중점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감지부(100)는, 주류 제조공정 시설(10) 내부에 마련되어, 실내 공기에 포함된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측정하는 제1 이산화탄소 감지 모듈(110), 실내 온도를 측정하는 실내 온도 감지 모듈(120) 및 실외 온도를 측정하는 실외 온도 감지 모듈(130)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이산화탄소 감지 모듈(110)은 실내 공기에 포함된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측정하면, 측정된 결과를 제어부(600)에 전달할 수 있으며, 실내 온도 감지 모듈(120) 및 실외 온도 감지 모듈(130) 역시 측정된 결과를 제어부(600)에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600)는 기설정된 스케줄에 따라 실내 공기 및 실외 공기를 환기시키거나, 실내 공기를 이산화탄소 제거부(400)로 이송시켜,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저감시키도록 하는데, 기설정된 스케줄에 도달하지 않는 경우에도, 감지부(100)에 의해 측정된 결과인 실내 온도 및 실외 온도, 그리고 실내 공기에 포함된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기반으로 실내 공기 및 실외 공기를 환기시키거나, 실내 공기를 이산화탄소 제거부(400)로 이송시켜,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저감시킬 수 있다.
이송 경로부(200)는, 실내 공기를 실외(20)로 배출하고, 배출된 실내 공기만큼 실외 공기를 실내(10)로 유입되도록 하고, 주류 제조공정 시설(10)의 실내 공기를 배출하여 이산화탄소 제거부(400)로 이송시키거나, 이산화탄소 제거부(400)를 통해 이산화탄소가 제거된 실내 공기를 주류 제조공정 시설(10)로 유입하도록 하기 위해, 제1 실내 공기 이송관(210), 제2 실내 공기 이송관(220), 제1 이송 밸브(230), 제2 이송 밸브(240), 실외 공기 이송관(250), 제3 실내 공기 이송관(260), 실외 공기 이송 밸브(270) 및 제3 이송 밸브(280)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실내 공기 이송관(210)은 주류 제조공정 시설(10)과 이산화탄소 제거부(400) 사이에 마련되어, 주류 제조공정 시설(10)의 실내 공기가 이산화탄소 제거부(400)로 이송되도록 할 수 있으며, 제2 실내 공기 이송관(220)은 주류 제조공정 시설(10)과 이산화탄소 제거부(400) 사이에 마련되어, 이산화탄소가 제거된 실내 공기가 주류 제조공장 시설로 이송되도록 할 수 있다.
더불어, 제1 이송 밸브(230)는, 제1 실내 공기 이송관(210)에 연결되도록 마련되어, 개폐 여부에 따라 제1 실내 공기 이송관(210)을 통한 실내 공기의 이송 여부를 결정할 수 있으며, 제2 이송 밸브(240)는 제2 실내 공기 이송관(220)에 연결되도록 마련되어, 개폐 여부에 따라 제2 실내 공기 이송관(220)을 통한 실내 공기의 이송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이송 밸브(230)와 제2 이송 밸브(240)의 개폐 여부는 제어부(600)에 의해 결정될 수 있으며, 이는 제어부(600)가 실내 공기에 포함된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기설정된 값과 비교하여 주류 제조공정 시설(10)의 실내 공기에 이산화탄소 제거 처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에 제1 이송 밸브(230)를 개방하거나 또는, 이산화탄소 제거부(400)를 통해, 이산화탄소가 제거된 실내 공기가 주류 제조공정 시설(10)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경우에 제2 이송 밸브(240)를 개방할 수 있다.
실외 공기 이송관(250)은 주류 제조공정 시설(10)에서 실외(20)로 실내 공기가 배출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되며, 제3 실내 공기 이송관(260)은 실외 공기 이송관(250)을 통해 배출된 실내 공기만큼의 실외 공기가 주류 제조공정 시설(10)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다.
실외 공기 이송 밸브(270)는 실외 공기 이송관(250)에 연결되도록 마련되어, 개폐 여부에 따라 실외 공기 이송관(250)을 통한 실내 공기의 배출 여부를 결정할 수 있으며, 제3 이송 밸브(280)는 제3 실내 공기 이송관(260)과 연결되도록 마련되어, 개폐 여부에 따라 제3 실내 공기 이송관(260)을 통한 실외 공기의 실내 유입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600)는 실외 공기 이송 밸브(270)와 제3 이송 밸브(280)의 개폐 여부를 제어하되, 함께 개방되도록 하거나, 함께 폐쇄되도록 하여, 주류 제조공정 시설(10)의 실내 공기와 실외 공기가 환기되도록 할 수 있다.
저장부(300)는, 이산화탄소 흡수액이 저장되는 저장 탱크(310), 저장 탱크(310)로부터 이산화탄소 제거부(400)에 이산화탄소 흡수액이 공급되도록 하는 이산화탄소 흡수액 공급관(320) 및 이산화탄소 흡수액 공급관(320)에 연결되도록 마련되어, 개폐 여부에 따라 이산화탄소 공급관을 통한 이산화탄소 흡수액의 공급 여부를 결정하는 공급 밸브(330)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공급 밸브(330)의 개폐 여부 역시, 제어부(600)가 실내 공기에 이산화탄소 제거 처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실내 공기가 이산화탄소 제거부(400)의 내부에 유입되면, 공급 밸브(330)를 개방시켜, 이산화탄소 흡수액이 이산화탄소 제거부(400)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이산화탄소 제거부(400)는, 유입된 실내 공기가 상측에서 하측으로 이송되도록 하되, 이송되는 실내 공기를 향해 이산화탄소 흡수액이 분사되도록 하는 분사 노즐(410)과 분사 노즐(410)의 하단에 마련되어 분사된 이산화탄소 흡수액이 충진되어, 상측에서 하측으로 이송되는 실내 공기에 포함된 이산화탄소를 흡수제거하는 이산화탄소 필터(42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이산화탄소 필터(420)에는 분사 노즐(410)을 통해 분사된 이산화탄소 흡수액의 휘발성을 억제하기 위해, 주변 온도를 낮출 수 있는 냉각 수단(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분사 노즐(410)에 의해 이산화탄소 흡수액이 분사되는 영역과 이산화탄소 필터(420)를 통과하며 이산화탄소가 제거된 실내 공기는 이산화탄소 제거부(400)의 하측과 연결된 제2 실내 공기 이송관(220)과 제2 이송 밸브(240)에 의해, 주류 제조공정 시설(10)로 이송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실내 공기 관리 시스템의 탈리 처리부(500)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실내 공기 관리 시스템의 탈리 처리부(500)에 마련된 가열 코일(540)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지능형 실내 공기 관리 시스템의 탈리 처리부(500)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탈리 처리부(500)는, 이산화탄소가 흡수된 이산화탄소 흡수액을 가열하여, 이산화탄소가 이산화탄소 흡수액으로부터 탈리되도록 하기 위해 몸체(510), 이산화탄소 흡수액 유입관(520), 열교환기(530), 가열 코일(540), 교반 부재(550), 온도 감지 모듈(560), 제2 이산화탄소 감지 모듈(570)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몸체(510)는 이산화탄소가 흡수된 이산화탄소 흡수액이 유입구(511)를 통해, 유입되어 수용되되, 탈리 처리 과정이 완료되면, 이산화탄소 흡수액으로부터 탈리된 이산화탄소는 이산화탄소 배출구(513)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고, 이산화탄소가 탈리된 이산화탄소 흡수액은 이산화탄소 흡수액 배출구(515)를 통해 저장부(300)로 이송되도록 할 수 있다.
이산화탄소 흡수액 유입관(520)은 이산화탄소 제거부(400)와 몸체(510) 사이에 마련되어, 이산화탄소 제거부(400)로부터 배출되는 이산화탄소 흡수액이 몸체(510)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열교환기(530)는 이산화탄소 흡수액 유입관(520)에 연결되도록 마련되어, 이산화탄소 제거부(400)로부터 배출된 이산화탄소 흡수액이 몸체(510)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가열되도록 할 수 있다.
가열 코일(54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510)의 내측면에 마련되거나(540-2), 도 5a 내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510)의 바닥면에 마련되어(540-1), 몸체(510)의 내부에 수용된 이산화탄소 흡수액을 가열하여, 가열된 이산화탄소 흡수액이 100~110℃에 도달하도록 하거나, 도달한 이후에도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교반 부재(550)는 몸체(510)의 내측면에 마련되어, 가열되는 이산화탄소 흡수액이 교반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교반 부재(550)는 내측면에 마련되되, 별도로 마련된 구동 모터로부터 구동력이 전달되면 회전 가능한 회전축과 축결합되도록 마련되어,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며, 이산화탄소가 흡수된 이산화탄소 흡수액을 교반되도록 함으로써, 가열되는 이산화탄소 흡수액 속에서 탈리되는 이산화탄소의 기포가 상승하는 버블링 현상이 효과적으로 발생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그리고 교반 부재(550)가 복수로 마련되는 경우, 복수의 교반 부재(550) 중 적어도 두 개의 교반 부재(550)의 회전 방향을 서로 반대로 설정함으로써, 이산화탄소가 흡수된 이산화탄소 흡수액을 효과적으로 교반시킬 수 있다.
온도 감지 모듈(560)은 몸체(510)의 내부에 마련되어, 몸체(510)의 내부에 수용된 이산화탄소 흡수액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해 마련되며, 제2 이산화탄소 감지 모듈(570)은 몸체(510)의 내부에 마련되어, 몸체(510)의 내부에 수용된 이산화탄소 흡수액으로부터 탈리된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온도 감지 모듈(560)과 제2 이산화탄소 감지 모듈(570)로부터 감지된 이산화탄소 흡수액의 온도와 이산화탄소 농도는 제어부(600)에 전달되어, 제어부(600)가 탈리 처리부(500)의 탈리 처리 과정이 완료된 것인지 판단하는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즉, 제어부(600)는, 몸체(510)의 내부에 수용된 이산화탄소 흡수액의 온도를 기반으로 가열 코일(540)의 동작 여부 또는 가열 정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600)는, 감지된 이산화탄소 흡수액의 온도가 100~110℃에 크게 못 미치는 온도라면, 바닥면에 마련된 제1 가열 코일(540-1)과 내측면에 마련된 제2 가열 코일(540-2)이 모두 동작하도록 제어하되, 감지된 이산화탄소 흡수액의 온도가 100~110℃에 도달하거나 100~110℃에 근접하는 경우, 제1 가열 코일(540-1)과 제2 가열 코일(540-2) 중 어느 하나의 가열 코일(540)만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제어부(600)는, 이산화탄소 흡수액이 가열되는 동안에, 이산화탄소 흡수액으로부터 탈리된 이산화탄소는 지속적으로 이산화탄소 배출구(513)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되, 이산화탄소 흡수액의 온도가 100~110℃에 도달한 시점(Time)에서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탈리 처리 과정이 완료된 것인지 판단하여, 이산화탄소가 탈리된 이산화탄소 흡수액은 이산화탄소 흡수액 배출구(515)를 통해 저장부(300)로 이송되도록 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제어부(600)는, 이산화탄소 흡수액으로부터 탈리된 이산화탄소의 배출 과정 없이 이산화탄소 흡수액이 가열되는 경우에, 몸체(510)의 내부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측정하여 기설정된 농도이라고 판단되면, 탈리 처리 과정이 완료된 것인지 판단하여, 이산화탄소 흡수액으로부터 탈리된 이산화탄소는 이산화탄소 배출구(513)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고, 이산화탄소가 탈리된 이산화탄소 흡수액은 이산화탄소 흡수액 배출구(515)를 통해 저장부(300)로 이송되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탄소 저감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탄소 저감 방법은 주류 제조공정 시설(10)의 실내 공기를 환기시키지 않고,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효과적으로 저감시키기 위해, 감지부(100)를 통해 주류 제조공정 시설(10)의 실내 공기에 포함된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감지하도록 한다(S610).
감지부(100)에 의해 감지된 이산화탄소의 농도는 제어부(600)에 전달되면, 제어부(600)는, 실내 공기에 포함된 이산화탄소의 농도에 따라 실내 공기의 이송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감지부(100)에 의해 감지된 이산화탄소의 농도는 제어부(600)에 전달되면, 제어부(600)는, 감지부(100)로부터 수신된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기설정된 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여(S620), 주류 제조공정 시설(10)의 실내 공기에 이산화탄소 제거 처리가 필요한지 판단할 수 있다.
즉, 제어부(600)는,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기설정된 값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S620-Yes), 이송 경로부(200)를 통해 실내 공기를 이산화탄소 제거부(400)로 이송시키고(S630), 이어서 저장부(300)에 저장된 이산화탄소 흡수액을 이산화탄소 제거부(400)에 공급할 수 있다(S640).
다만, 제어부(600)는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저감시키기 위해, 주기적으로 실내 공기를 이산화탄소 제거부(400)로 이송시켜, 이산화탄소를 제거하는 스케줄이 설정되어 있다면, 실내 공기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기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와 마찬가지로 실내 공기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기설정된 값 이하인 경우에도, 스케줄에 따라 주기적으로 실내 공기를 이산화탄소 제거부(400)로 이송시켜, 이산화탄소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600)는 실내 공기 및 실외 공기를 환기시키기 위한 스케줄이 설정된 경우에도, 스케줄에 따라 실내 공기 및 실외 공기를 환기시킬 수 있다.
한편, 실내 공기가 이산화탄소 제거부(400)에 유입되고, 이산화탄소 흡수액이 이산화탄소 제거부(400)에 공급되면, 이산화탄소 제거부(400)는, 유입된 실내 공기를 향해 이산화탄소 흡수액이 분사되도록 하여(S650), 이산화탄소와 이산화탄소 흡수액이 반응하도록 할 수 있다.
이산화탄소 흡수액과 이산화탄소가 반응하여, 이산화탄소 흡수액이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면, 이산화탄소가 제거된 실내 공기는 이송 경로부(200)를 통해 실내로 이송되도록 하고, 이산화탄소가 흡수된 이산화탄소 흡수액은 이산화탄소 제거부(400)의 밖으로 배출되어, 탈리 처리부(500)로 이송될 수 있다(S660).
이산화탄소가 흡수된 이산화탄소 흡수액이 탈리 처리부(500)로 이송되는 과정 또는, 탈리 처리부(500)에 이송되면, 탈리 처리부(500)가 이산화탄소가 흡수된 이산화탄소 흡수액을 가열하여, 이산화탄소와 이산화탄소 흡수액의 역반응이 일어나, 이산화탄소가 이산화탄소 흡수액으로부터 탈리되도록 할 수 있으며(S670), 이때, 탈리 처리부(500)는 이산화탄소가 흡수된 이산화탄소 흡수액이 100~110℃에 도달하도록 가열하거나, 가열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100~110℃를 유지하도록 하여, 이산화탄소와 이산화탄소 흡수액의 역반응이 일어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산화탄소가 이산화탄소 흡수액으로부터 탈리되면, 이산화탄소가 탈리된 이산화탄소 흡수액은 저장부(300)로 이송되어(S680),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특정의 실시예를 위주로 도시하고 설명한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의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진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주류 제조공정 시설 100 : 감지부
110 : 제1 이산화탄소 감지모듈 120 : 실내 온도 감지모듈
130 : 실외 온도 감지모듈 200 : 이송 경로부
210 : 제1 실내 공기 이송관 220 : 제2 실내 공기 이송관
230 : 제1 이송 밸브 240 : 제2 이송 밸브
250 : 실외 공기 이송관 260 : 제3 실내 공기 이송관
270 : 실외 공기 이송 밸브 280 : 제3 이송 밸브
300 : 저장부 310 : 저장 탱크
320 : 이산화탄소 흡수액 공급관 330 : 배출 밸브
400 : 이산화탄소 제거부 410 : 분사 노즐
420 : 이산화탄소 필터 500 : 탈리 처리부
510 : 몸체 511 : 유입구
513 : 이산화탄소 배출구 515 : 이산화탄소 흡수액 배출구
520 : 이산화탄소 흡수액 유입관 530 : 열교환기
540 : 가열 코일 550 : 교반 부재
560 : 온도 감지 모듈 570 : 제2 이산화탄소 감지 모듈
600 : 제어부

Claims (10)

  1. 주류 제조공정 시설의 실내 공기에 포함된 이산화탄소의 농도와 상기 실내 공기 및 실외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실내 공기 또는 상기 실외 공기가 이송되는 이송관이 복수로 마련되는 이송 경로부;
    상기 실내 공기에 포함된 이산화탄소가 상기 실내 공기로부터 분리되어 흡수되도록 하는 이산화탄소 흡수액이 저장되는 저장부;
    상기 이송 경로부를 통해 이송되는 실내 공기가 유입되면, 상기 이산화탄소 흡수액이 상기 유입된 실내 공기를 향해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유입된 실내 공기에 포함된 이산화탄소가 흡수제거 되도록 하는 이산화탄소 제거부;
    상기 실내 공기에 포함된 이산화탄소의 농도에 따라 상기 실내 공기가 상기 이산화탄소 제거부로 이송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실내 공기 및 상기 실외 공기 간의 온도 차이에 따라 상기 실내 공기 중 기설정된 양이 실외로 배출되고, 배출된 양만큼의 실외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도록 하는 제어부; 및
    상기 이산화탄소가 흡수된 이산화탄소 흡수액이 유입되면, 상기 이산화탄소가 흡수된 이산화탄소 흡수액을 가열하여, 상기 이산화탄소가 상기 이산화탄소 흡수액으로부터 탈리되도록 하고, 상기 이산화탄소가 탈리된 이산화탄소 흡수액은 상기 저장부로 이송되도록 하는 탈리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탈리 처리부가 복수로 마련되고, 상기 이산화탄소 제거부로부터 각각의 탈리 처리부로 상기 이산화탄소가 흡수된 이산화탄소 흡수액이 이송되도록 하는 이송 경로가 개별적으로 마련되는 경우, 각각의 탈리 처리부에 유입될 수 있는 상기 이산화탄소 흡수액의 용량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여, 각각의 탈리 처리부에 상기 이산화탄소가 흡수된 이산화탄소 흡수액이 개별적으로 유입되도록 하며,
    특정 이송 경로가 개방되어, 상기 복수의 탈리 처리부 중 어느 하나의 탈리 처리부에 상기 이산화탄소가 흡수된 이산화탄소 흡수액이 유입되도록 하되, 상기 유입된 이산화탄소 흡수액이 상기 어느 하나의 탈리 처리부의 수용 용량 허용치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특정 이송 경로가 폐쇄되어 상기 어느 하나의 탈리 처리부에 상기 이산화탄소가 흡수된 이산화탄소 흡수액의 유입이 중단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특정 이송 경로가 폐쇄되면, 상기 특정 이송 경로와 별개로 마련된 다른 이송 경로가 개방되어 다른 하나의 탈리 처리부에 상기 이산화탄소가 흡수된 이산화탄소 흡수액이 유입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류 제조공정에 적용 가능한 지능형 실내 공기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가 개별적으로 설정된 각각의 스케줄에 따라 실내 공기에 포함된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감지하거나, 상기 실내 공기 및 실외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도록 하되, 상기 실내 공기 및 상기 실외 공기 간의 온도 차이에 따라 상기 실내 공기 중 기설정된 양이 실외로 배출되고, 배출된 양만큼의 실외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경우, 상기 실외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면, 상기 실내 공기에 포함된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감지하기 위한 스케줄에 도달하지 않는 경우에도, 상기 실내 공기에 포함된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감지하도록 하여, 실외 공기의 유입으로 인하여, 상기 실내 공기에 포함된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상승하는 것을 최소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류 제조공정에 적용 가능한 지능형 실내 공기 관리 시스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산화탄소 제거부에 상기 실내 공기가 유입되면, 상기 저장된 이산화탄소 흡수액이 상기 이산화탄소 제거부에 공급되어, 상기 공급된 이산화탄소 흡수액이 상기 유입된 실내 공기를 향해 분사되도록 하고,
    상기 이산화탄소가 흡수된 이산화탄소 흡수액이 상기 탈리 처리부에 유입되면, 상기 탈리 처리부에 유입된 이산화탄소 흡수액의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 범위에 도달하도록 가열하고, 가열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상기 기설정된 온도 범위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류 제조공정에 적용 가능한 지능형 실내 공기 관리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탈리 처리부는,
    이산화탄소가 흡수된 이산화탄소 흡수액이 수용되는 몸체; 및
    상기 이산화탄소 제거부와 상기 몸체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이산화탄소 제거부로부터 이산화탄소가 흡수된 이산화탄소 흡수액이 상기 몸체로 유입되도록 하는 이산화탄소 흡수액 유입관;
    상기 이산화탄소 흡수액 유입관에 연결되어, 상기 이산화탄소 제거부로부터 배출된 이산화탄소 흡수액이 상기 몸체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가열되도록 하는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류 제조공정에 적용 가능한 지능형 실내 공기 관리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탈리 처리부는,
    이산화탄소가 흡수된 이산화탄소 흡수액이 수용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바닥면 또는 내측면에 마련되어, 상기 몸체의 내부에 수용된 이산화탄소 흡수액의 온도가 상기 기설정된 범위에 도달하거나 유지되도록 가열하는 가열 코일; 및
    상기 몸체의 내측면에 마련되어, 상기 가열되는 이산화탄소 흡수액이 교반되도록 하는 교반 부재;를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주류 제조공정에 적용 가능한 지능형 실내 공기 관리 시스템.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코일은,
    상기 몸체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제1 가열 코일과 상기 몸체의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몸체의 내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2 가열 코일로 구성되며,
    상기 제1 가열 코일 및 상기 제2 가열 코일은,
    상기 몸체의 내부에 수용된 이산화탄소 흡수액의 온도가 상기 기설정된 범위에 도달할 때까지 함께 동작하여 상기 몸체의 내부에 수용된 이산화탄소 흡수액을 가열하되, 상기 가열된 이산화탄소 흡수액이 상기 기설정된 온도에 도달하면, 상기 제2 가열 코일만이 동작하여 상기 기설정된 온도에 도달한 이산화탄소 흡수액을 가열하며, 상기 기설정된 온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류 제조공정에 적용 가능한 지능형 실내 공기 관리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산화탄소 흡수액은,
    라이신(lysine) 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류 제조공정에 적용 가능한 지능형 실내 공기 관리 시스템.
  10. 감지부에 의해, 주류 제조공정 시설의 실내 공기에 포함된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감지되는 단계;
    제어부에 의해, 상기 실내 공기에 포함된 이산화탄소의 농도에 따라 상기 실내 공기의 이송 여부가 결정되는 단계;
    상기 실내 공기의 이송이 결정되면, 상기 실내 공기가 복수의 이송관이 구비되는 이송 경로부를 통해, 이산화탄소 제거부로 이송되는 단계;
    상기 실내 공기가 이산화탄소 제거부에 유입되면, 상기 이산화탄소 제거부에 상기 실내 공기에 포함된 이산화탄소가 상기 실내 공기로부터 분리되어 흡수되도록 하는 이산화탄소 흡수액이 저장된 저장부로부터 상기 이산화탄소 흡수액이 공급되어, 상기 실내 공기를 향해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실내 공기에 포함된 이산화탄소가 흡수제거 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이산화탄소가 흡수된 이산화탄소 흡수액이 탈리 처리부에 이송되는 단계; 및
    상기 탈리 처리부에 의해, 상기 이산화탄소가 흡수된 이산화탄소 흡수액이 가열되어, 상기 이산화탄소가 상기 이산화탄소 흡수액으로부터 탈리되도록 하고, 상기 이산화탄소가 탈리된 이산화탄소 흡수액은 상기 저장부로 이송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탈리 처리부에 이송되는 단계는,
    상기 탈리 처리부가 복수로 마련되고, 상기 이산화탄소 제거부로부터 각각의 탈리 처리부로 상기 이산화탄소가 흡수된 이산화탄소 흡수액이 이송되도록 하는 이송 경로가 개별적으로 마련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를 통해, 각각의 탈리 처리부에 유입될 수 있는 상기 이산화탄소 흡수액의 용량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여, 각각의 탈리 처리부에 상기 이산화탄소가 흡수된 이산화탄소 흡수액이 개별적으로 유입되도록 하며,
    상기 저장부로 이송되는 단계는,
    특정 이송 경로가 개방되어, 상기 복수의 탈리 처리부 중 어느 하나의 탈리 처리부에 상기 이산화탄소가 흡수된 이산화탄소 흡수액이 유입되도록 하되,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유입된 이산화탄소 흡수액이 상기 어느 하나의 탈리 처리부의 수용 용량 허용치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특정 이송 경로가 폐쇄되어 상기 어느 하나의 탈리 처리부에 상기 이산화탄소가 흡수된 이산화탄소 흡수액의 유입이 중단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특정 이송 경로가 폐쇄되면,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특정 이송 경로와 별개로 마련된 다른 이송 경로가 개방되어 다른 하나의 탈리 처리부에 상기 이산화탄소가 흡수된 이산화탄소 흡수액이 유입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류 제조공정에 적용 가능한 지능형 실내 공기 관리 방법.
KR1020170162151A 2017-11-29 2017-11-29 주류 제조공정에 적용 가능한 지능형 실내 공기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KR1020283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2151A KR102028347B1 (ko) 2017-11-29 2017-11-29 주류 제조공정에 적용 가능한 지능형 실내 공기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2151A KR102028347B1 (ko) 2017-11-29 2017-11-29 주류 제조공정에 적용 가능한 지능형 실내 공기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3222A KR20190063222A (ko) 2019-06-07
KR102028347B1 true KR102028347B1 (ko) 2019-10-07

Family

ID=66850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2151A KR102028347B1 (ko) 2017-11-29 2017-11-29 주류 제조공정에 적용 가능한 지능형 실내 공기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834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2022B1 (ko) 2020-03-27 2020-07-08 김영상 주류 유통 시스템 구축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24011A (ja) * 2012-07-26 2014-02-06 Nippon Steel & Sumikin Engineering Co Ltd 二酸化炭素回収方法
KR101480683B1 (ko) * 2013-07-08 2015-01-21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산화탄소 흡수제 분무 다중 노즐 및 이를 포함하는 이산화탄소 포집 장치
JP2016159239A (ja) * 2015-03-02 2016-09-05 三菱日立パワ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二酸化炭素の回収装置および回収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6502A (ko) 2012-10-26 2014-05-12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이산화탄소 포집 공정에 있어서 흡수제의 휘발 방지 방법
KR101622556B1 (ko) * 2014-09-25 2016-05-31 주식회사 애니텍 자동개폐형 이산화탄소 흡착필터 모듈 및 흡착제를 구비한 에너지 절감형 환기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24011A (ja) * 2012-07-26 2014-02-06 Nippon Steel & Sumikin Engineering Co Ltd 二酸化炭素回収方法
KR101480683B1 (ko) * 2013-07-08 2015-01-21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산화탄소 흡수제 분무 다중 노즐 및 이를 포함하는 이산화탄소 포집 장치
JP2016159239A (ja) * 2015-03-02 2016-09-05 三菱日立パワ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二酸化炭素の回収装置および回収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2022B1 (ko) 2020-03-27 2020-07-08 김영상 주류 유통 시스템 구축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3222A (ko) 2019-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49711B2 (en) System for collecting carbon dioxide in flue gas
KR102028347B1 (ko) 주류 제조공정에 적용 가능한 지능형 실내 공기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CN102284461A (zh) 一种容器清洗装置
CN205965473U (zh) 一种新型达标工业废气处理装置
CN105195012B (zh) 挥发性有机废气生物处理系统
KR102028345B1 (ko) 주류 제조공정에서의 이산화탄소 저감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CN110042036A (zh) 一种负压蒸馏酿酒设备及蒸馏方法
CN107388252B (zh) 一种利用垃圾焚烧排放烟气余热干化垃圾的膜干化系统及方法
CN205965445U (zh) 自动供给臭氧发生器干燥空气的装置
CN116371142A (zh) 烟气低温吸附再生系统和吸附剂加热输送装置
CN207871851U (zh) 应用于沸石转轮机的加热系统以及沸石转轮机
CN106229530B (zh) 可在低温下快速开启的质子交换膜燃料电池排氢系统
CN215048624U (zh) 一种叔丁醇高效卸车装置
CN211462709U (zh) 一种锅炉烟气脱硫装置
CN101397538A (zh) 一种新型循环式填充床反应器
CN105233621B (zh) 一种挥发性有机物环保治理回收方法及装置
CN112066696A (zh) 一种包装瓶烘干冷却系统
CN207006175U (zh) 一种利用垃圾焚烧排放烟气余热干化垃圾的膜干化系统
CN206325390U (zh) 一种电镀工业园区用大型保温废气塔
CN205443022U (zh) 一种污泥低温干燥装置
CN201348572Y (zh) 恒温型密闭采样器
CN207486444U (zh) 一种发酵用高浓度液体葡萄糖自动卸料系统
CN219482208U (zh) 生物滴滤塔
CN108144413A (zh) 应用于沸石转轮机的加热控制方法、装置及加热系统
CN219141537U (zh) 加热炉的炉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