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7703B1 -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조류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조류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7703B1
KR102027703B1 KR1020180122310A KR20180122310A KR102027703B1 KR 102027703 B1 KR102027703 B1 KR 102027703B1 KR 1020180122310 A KR1020180122310 A KR 1020180122310A KR 20180122310 A KR20180122310 A KR 20180122310A KR 102027703 B1 KR102027703 B1 KR 1020277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wave
algae
region
drying apparatus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2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철
김승진
이상구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Priority to KR10201801223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77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77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77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3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development of heat within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e.g. by fermentation or other microbiological action
    • F26B3/3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development of heat within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e.g. by fermentation or other microbiological action by using electrical effects
    • F26B3/347Electromagnetic heating, e.g. induction heating or heating using microwave energ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16Sea weed; Marine pro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조류의 세포벽이 충분하게 파괴되도록 건조하여 추후에 쉽게 분쇄될 수 있도록 하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조류 건조장치를 제시한다. 그 장치는 마이크로파 빔을 형성하는 마이크로파 영역 및 마이크로파 빔에 의해 건조되는 조류를 운송하는 이동부를 포함하고, 마이크로파 영역에는 제1 마이크로파부를 포함하고, 제1 마이크로파부는 마이크로파를 발생시키는 마이크로파 발생기와, 마이크로파 발생기에 부착되고 제1 직경(D1)을 가진 직진부 및 제1 직경(D1)보다 큰 평균직경의 제2 직경(D2)을 가진 확장부로 이루어진 제1 튜브 및 제1 튜브의 외측에 장착되어 마이크로파 빔을 편향시키거나 집속시키는 편향요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조류 건조장치{Apparatus of drying for algae using microwave}
본 발명은 조류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류의 세포벽을 마이크로파로 파쇄하여 이를 활용할 수 있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녹조류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강, 저수지, 호수, 하천 및 댐 등의 담수에 유기물질과 함께 질소, 인 등의 영양염류가 일시에 과잉으로 공급되면 부영양화(eutrophication) 현상이 일어나며, 부영양화는 영양염류를 섭취하는 식물성 플랑크톤이나 녹조류를 순식간에 대량으로 번식시킨다. 조류가 대량으로 증식하면, 담수 전체가 황록색 또는 적색으로 변하게 되는 소위 녹조 또는 적조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녹조 및 적조현상은 담수 내부의 산소를 고갈시켜 수중 생물을 죽게 하며, 각종 사체가 침적된 담수의 바닥에는 이들의 부패에 따른 독성물질 및 악취가 급증하여 담수의 수질은 매우 악화된다. 또한, 녹조 및 적조현상은 담수의 색깔변화와 더불어 투명도를 현저하게 저하시켜 주변 경관을 해치기도 한다. 특히, 담수는 적조현상보다 녹조현상으로 인한 문제가 더욱 심각하다.
조류를 연료 등으로 재활용하기 위해서는 분쇄하기 이전에 건조하여야 한다. 조류는 세포벽이 있어서, 건조를 위하여 세포벽의 구조를 파괴하려면 고도의 기술 및 복잡한 설비를 필요로 한다. 조류를 건조하여도 세포벽이 파괴되지 않으면, 세포 내부의 액상의 물질은 그대로 존재하고 있어서 분쇄가 제대로 일어나지 않는다. 실질적인 건조가 제대로 일어나기 위해서는 세포벽의 구조를 함몰시키거나 압력에 의해 쉽게 해체되도록 결합을 느슨하게 해야 한다.
일본등록특허 제6,2791,83호는 회전디스크로 조류를 분쇄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으나, 조류의 글루존(glue zone)의 영향으로 분쇄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와 같이, 조류를 분쇄하는 효과적인 방법은 아직 제시되지 않고 있다. 이에 따라, 불가피하게 조류는 재활용되지 않고 응집제 등을 투입하여 제거하고 있다. 조류를 재활용하지 않고 폐기하면, 응집제 등으로 인한 수질오염 문제가 발생하고 폐기하는 데 소요되는 경제적 손실이 크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조류의 세포벽이 충분하게 파괴되도록 건조하여 추후에 쉽게 분쇄될 수 있도록 하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조류 건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조류 건조장치는 마이크로파 빔을 형성하는 마이크로파 영역 및 상기 마이크로파 빔에 의해 건조되는 조류를 운송하는 이동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마이크로파 영역에는 제1 마이크로파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마이크로파부는 마이크로파를 발생시키는 마이크로파 발생기와, 상기 마이크로파 발생기에 부착되고 제1 직경(D1)을 가진 직진부 및 제1 직경(D1)보다 큰 평균직경의 제2 직경(D2)을 가진 확장부로 이루어진 제1 튜브 및 상기 제1 튜브의 외측에 장착되어 상기 마이크로파 빔을 편향시키거나 집속시키는 편향요크를 포함한다.
상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마이크로파부는 상기 조류의 측면인 제1 영역 및 상기 조류의 중앙인 제2 영역을 시차를 두어 건조시킬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파 영역에는 제1 직경(D1)을 가진 직진부로 이루어진 제2 튜브가 상기 마이크로파 발생기에 부착되어 이루어진 제2 마이크로파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마이크로파부는 상기 제1 마이크로파부와 조합되어, 상기 제1 마이크로파부는 상기 조류의 측면인 제1 영역을 건조시키고, 상기 제2 마이크로파부는 상기 조류의 중앙인 제2 영역을 건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튜브 또는 상기 제2 튜브 중의 어느 하나에 반사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의 상면에는 반사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마이크로파부, 상기 제2 마이크로파부 또는 그들의 조합 중의 어느 하나, 및 상기 이동부 사이에는 관통홀이 있는 발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류의 건조는 수분 증발과 함께 세포벽을 파괴한다. 상기 조류 건조장치는 압착기 또는 분쇄기 중의 어느 하나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조류 건조장치에 의하면, 마이크로파 빔(beam)의 진행경로에 편향요크를 장착함으로써, 조류의 세포벽이 충분하게 파괴되도록 건조되어 추후에 쉽게 분쇄될 수 있다. 또한, 조류의 상태에 따라, 마이크로파 빔을 편향 또는 집속시킴으로써, 조류의 건조를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조류 건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조류 재활용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조류 건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조류 건조장치를 이용하여 조류를 건조하는 사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한편, 상부, 하부, 정면 등과 같이 위치를 지적하는 용어들은 도면에 나타낸 것과 관련될 뿐이다. 실제로, 건조장치는 임의의 선택적인 방향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실제 사용할 때 공간적인 방향은 건조장치의 방향 및 회전에 따라 변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마이크로파 빔(beam)의 진행경로에 편향요크를 장착함으로써, 조류의 세포벽이 충분하게 파괴되도록 건조하여 추후에 쉽게 분쇄될 수 있도록 하는 조류 건조장치를 제시한다. 이를 위해, 편향요크가 장착된 조류 건조장치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알아보고,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조류 건조의 특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녹조현상이란 부유성 조류가 대량으로 증식하여 수면의 색깔이 현저하게 녹색으로 변화하는 것으로, 남조류 등이 녹조현상의 원인 미생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녹조현상에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청조, 백조, 적조 현상에도 확대할 수 있다.
부영양화된 호소나 유속이 느린 하천에서 식물성 플랑크톤인 녹조류나 남조류가 크게 늘어나 물빛을 녹색으로 변화시키는 녹조 현상이 일어난다. 일부 호소나 하천에서는 규조류가 많아지면서 물빛이 황갈색으로 변하는 적조 현상이 일어나기도 한다. 녹조류의 경우, 세포벽은 세포막의 겉면을 덮고 있는 친수성 겔(gel) 구조체로서, 용적증대를 하는 1차 세포벽과, 분화와 성숙을 하는 2차 세포벽으로 구별된다. 세포벽의 주성분은 셀룰로오스이며, 내부에는 액상 또는 겔(gel) 형태의 세포질을 내재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조류 건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조류 재활용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여기서 제시된 시스템은 본 발명의 범주 내에 다른 기능을 부가하는 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의하면, 조류 재활용 시스템은 본 발명의 건조장치(100)를 중심으로 조류 투입기(200) 및 열풍공급기(300)에 의해 하천 등에서 수거된 조류 및 열풍을 건조장치(100)에 제공한다. 조류투입기(200)는 호퍼 등과 같이 공지의 방식을 모두 적용할 수 있고, 필요한 경우 열풍공급기(300)는 채택하지 않을 수 있다. 건조장치(100)를 거친 조류는 압착기(400)에서 압착되고 분쇄기(500)에서 분쇄되며, 분쇄된 조류는 펠릿 성형기(600)에서 펠릿(pellet) 형태로 성형되어 연료 등으로 재활용된다. 조류투입기(200)에서의 조류는 수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으나, 건조장치(100)를 거친 조류는 세포벽이 파괴되고 상기 수분이 충분하게 제거된 상태이다.
압착기(400)는 건조된 조류에 압력을 가하여 상기 세포벽 내부의 액상 또는 겔 형태의 세포질을 추출하여 제거한다. 분쇄기(500)에 의한 분쇄는 다양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국내등록특허 제10-1678441호의 원심력 방식을 채택할 수도 있고, 국내등록특허 제10-1834148호의 스크류 방식을 채택할 수도 있으며, 일본등록특허 제3,731,204호의 디스크 방식을 채택할 수도 있다. 물론, 분쇄기를 예시적으로 제시한 것이며, 상기 시스템의 구조 등에 따라 다른 형태의 분쇄기를 채택할 수 있다. 펠릿 성형기(600)는 압출, 스크린 등과 같이 공지의 방식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조류 재활용 장치는 조류투입기(200), 건조장치(100), 분쇄기(500) 및 펠릿 성형기(600)를 필수적으로 구비하고, 선택적으로 열풍공급기(300) 및 압착기(400)를 적용할 수 있다. 왜냐하면, 열풍공급기(300)의 기능은 건조장치(100)에서 구현될 수 있고, 압착기(400)의 기능은 분쇄기(500)로 충분할 수 있기 때문이다. 건조장치(100)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하여 조류투입기(200)로부터 투입된 조류의 수분을 제거하고, 조류 세포벽의 분쇄에 충분하도록 파괴시킨다. 즉, 조류의 건조는 수분증발과 함께 세포벽 파괴라고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조류 건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때, 조류를 재활용하는 과정은 도 1을 참조하기로 한다.
도 2에 의하면, 조류 건조장치(100)는 제1 마이크로파부(10)를 포함하고 선택적으로 제2 마이크로파부(20)로부터 마이크로파 빔(beam)을 형성하는 마이크로파 영역(50)을 포함한다. 발열체(30)는 상기 마이크로파 빔에 의해 발열되고, 복수개의 관통홀(31)은 상기 마이크로파 빔을 그대로 통과시킨다. 발열체(30)의 하부에는 조류(AG)가 적재되어 이동하는 컨베이어 벨트와 같은 이동부(40)를 포함한다. 조류(AG)는 이동부(40)에 실려서 압착기(400) 또는 분쇄기(500)로 운송한다. 경우에 따라, 발열체(30)가 없이 상기 마이크로파 빔을 직접 조류(AG)에 조사할 수 있다.
마이크로파 영역(50)은 확장부(13)가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마이크로파부(10)가 존재하고, 선택적으로 확장부(13)가 없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마이크로파부(20)가 부가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마이크로파부(10)만 존재할 수도 있고, 제1 및 제2 마이크로파(20)가 조합될 수 있다. 마이크로파 발생기(11)의 마이크로파는 파장이 1m 이하로부터 1mm 이하인 원적외선 부근의 서브밀리파까지를 포함하는 전자기파이다. 마이크로파는 초단파보다 주파수가 높고 파장이 짧으므로, 직진성, 반사, 굴절, 간섭 등의 성질은 빛과 거의 비슷하다. 상기 마이크로파 빔이 조류(AG)에 닿으면, 조류(AG)를 구성하는 쌍극자가 마이크로파 빔의 전계에 의해 그 축의 배열방향을 급속히 변화시키는 과정에서 마찰열이 발생되어 조류(AG)는 가열되어 건조된다.
상기 마이크로파 빔은 조류(AG)의 세포벽을 파괴하는 데 효과적이다. 여기서, 세포벽의 파괴는 세포벽의 구조를 함몰시키거나 압력에 의해 쉽게 해체되도록 결합을 느슨하게 하는 것이다. 조류(AG)의 세포벽은 주로 셀룰로오스로 이루어져 있어서, 물리적인 힘에 의해서 잘 파괴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마이크로파 빔으로 세포벽의 쌍극자가 마이크로파 빔의 전계에 의해 그 축의 배열방향을 급속히 변화시키는 진동과정에서 마찰을 일으켜서 파괴시킨다. 상기 마이크로파 빔은 내부에서부터 가열이 시작되기 때문에, 가열속도가 빠르고 규모를 줄일 수 있으며 공기의 흐름을 무시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파 빔은 마이크로파가 직접적으로 조류(AG)에 흡수되어 열효율이 높고 전력제어가 쉽다.
한편, 조류(AG)를 건조하여 분쇄하는 과정에서, 글루존(glue zone)을 피할 수 없다. 상기 글루존은 조류(AG)가 덩어리를 형성하며 흩어지는 양상을 보인다. 상기 글루존은 건조상태 및 유기물의 함량에 따라 변화하며, 조류(AG)는 근본적으로 유기물이므로 상기 글구존을 회피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마이크로파 빔은 조류(AG)의 세포벽을 파괴시킴으로써 유기물을 고형물과 같은 특성을 가지도록 변환시킨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파 빔은 조류(AG)의 내부로 침투하여 잔류 표면수, 세포액을 고속 및 고효율로 제거하기 때문에 건조상태가 양호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는 조류(AG)의 건조상태가 양호하고 유기물의 함량을 크게 줄여서 상기 글루존을 회피할 수 있다.
제1 마이크로파부(10)는 마이크로파 발생기(11), 직경이 일정한 직진부(12) 및 확장부(13)로 이루어진 제1 튜브(14)를 포함한다. 제1 튜브(14)는 마이크로파 발생기(11)에 부착된다. 직진부(12) 및 확장부(13)는 하나의 몸체를 이루거나 체결수단에 의한 결합구조를 이룰 수 있다. 직진부(12)는 제1 직경(D1)을 가지고, 확장부(13)는 제1 직경(D1)보다 큰 평균직경의 제2 직경(D2)을 가진다. 제2 직경(D2)의 확장부(13)는 편향요크(15)에 의해 편향된 마이크로파 빔을 수용하고, 조류(AG)가 건조되는 범위 및 영역을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제1 튜브(14)의 내면에는 제1 반사층(16)이 존재할 수 있다. 제1 반사층(16)은 마이크로파를 반사시키는 도전성 물질이 코팅되거나 판 형태로 부착될 수 있다. 제1 반사층(16)은 마이크로파를 반사시켜 마이크로파 빔의 강도(intensity)를 증대시킨다.
편향요크(15)는 다양한 방식이 있으며, 마이크로파 발생기(11)에서 방출된 마이크로파를 조류(AG)에 대해 수평 및 수직 방향 또는 그들이 조합된 방향으로 편향 또는 집속시키는 장치이다. 편향요크(15)는 제1 튜브(14)의 외측에 장착되며 서로 대칭인 한 쌍의 수평 편향 코일과 또 한 쌍의 수직편향 코일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평 및 수직 코일에 톱니파 전류를 인가하여 자계를 발생시킴으로써 마이크로파 빔을 좌우상하로 편향 또는 집속시킨다. 편향 또는 집속된 마이크로파 빔은 마이크로파 발생기(11) 및 조류(AG)와의 기하학적인 관계를 고려하여 편향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편향요크(15)는 제1 튜브(14)의 외측에 적절한 간격을 두고 복수개를 배치할 수 있다.
제2 마이크로파부(20)는 제1 직경(D1)의 제2 튜브(21)를 포함하고, 외측에는 편향요크(15)가 장착되어 있다. 제2 튜브(21)의 내면에는 제1 반사층(16)과 동일한 제2 반사층(22)이 존재한다. 제2 마이크로파부(20)는 확장부(13)가 없으므로, 제1 마이크로파(10)보다는 상대적으로 좁은 영역의 건조를 담당한다. 제2 마이크로파부(20)는 제1 마이크로파부(10)와 조합되어서, 조류(AG)를 건조하는 방법을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다.
발열체(30)는 유전체로써, 알루미늄(Al), 지르코늄(Zr), 구리(Cu), 타이타늄(Ti), 철(Fe), 니켈(Ni) 및 이트륨(Y) 중에 선택된 어느 물질의 산화물 또는 상기 산화물의 화합물 또는 상기 산화물을 기반으로 한 산화염물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몰리브덴계 화합물을 기반으로 하는 몰리브덴계 유전체를 혼합할 수 있다. 몰리브덴계 유전체는 몰리브덴실리사이드(Molybdenum Silicide) 또는 몰리브덴설파이드(Molybdenum Sulfide) 또는 상기 몰리브덴실리사이드(Molybdenum Silicide) 또는 몰리브덴설파이드(Molybdenum Sulfide)에 다른 유전체가 복합된 복합유전체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물질이다. 발열체(30)는 상기 마이크로파 빔에 의해 가열되어, 조류(AG)를 건조하는 데 있어서 열을 제공한다.
관통홀(31)은 발열체(30)에 형성된 빈 공간을 말한다. 관통홀(31)은 마이크로파 빔이 그대로 통과된다. 이렇게 되면, 발열체(30)는 자체적으로 열을 발생하여 조류(AG)를 간접적으로 가열하지도 하지만, 관통홀(31)을 통과한 마이크로파는 조류(AG)를 직접 가열한다. 발열체(30)는 본 발명의 건조장치(100)가 간접가열 및 직접가열이 혼합되록 한다. 관통홀(31)의 개수, 형상, 직경 및 배치는 건조장치(100)의 크기, 구조 등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다만, 관통홀(31)은 마이크로파 빔은 투과하므로, 적절한 최대 직경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적으로 마이크로파는 245 내지 915 MHz 정도이므로, 관통홀(31)은 최대 직경은 5mm보다 커야 하고, 바람직하게는 7mm보다 커야 한다. 최대 직경의 한계는 본 발명의 건조장치(100)의 구조 등을 고려하여 설정할 수 있다. 관통홀(31)의 형상은 원형, 다각형 또는 이들이 조합될 수 있다.
이동부(40)의 상면에는 마이크로파 빔을 반사시키는 제3 반사층(41)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반사층(41)은 제1 반사층(16)과 동일한 물질이 가능하며, 제3 반사층(41)은 마이크로파 빔을 반사시키므로 조류(AG)를 건조하는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즉, 반사된 마이크로파 빔은 조류(AG)의 건조인 수분 증발 및 세포벽 파괴에 다시 사용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조류 건조장치를 이용하여 조류를 건조하는 사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때, 건조장치(100)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기로 한다.
도 3에 의하면, 조류(AG)는 측면의 제1 영역(a) 및 중앙의 제2 영역(b)이 존재한다. 제1 영역(a)의 건조는 제1 마이크로파부(10)에 의해 진행되고, 제2 영역(b)의 건조는 제2 마이크로파부(20)에 의해 진행될 수 있다. 이때, 조류(AG)는 분쇄기(500)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조류(AG)의 건조는 제1 및 제2 마이크로파부(10, 20)의 조합으로 구현할 수 있다. 제1 영역(a)의 건조는 편향요크(15)를 이용하여 제1 마이크로파부(10)의 마이크로파 빔을 편향 및 집속시킬 수 있다. 제1 및 제2 마이크로파부(10, 20)를 복수개를 설치하면, 보다 넓은 면적의 조류(AG)를 건조시킬 수 있다.
앞에서는 제1 및 제2 마이크로파부(10, 20)가 조합된 것을 예로 들었으나, 제1 마이크로파부(10)만으로도 건조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마이크로파부(10)로 조류(AG)의 제1 및 제2 영역(a, b)을 한꺼번에 건조시킨다. 이를 위해, 편향요크(15)를 이용하여 마이크로파 발생기(11)로부터 발생하는 마이크로파 빔(beam)을 확장시킨다. 또한, 시차를 두고 제1 마이크로파부(10)로 제1 영역(a)을 먼저 건조시키고 다음에 제2 영역(b)을 건조시킨다. 이를 위해, 편향요크(15)를 이용하여 마이크로파 발생기(11)로부터 발생하는 마이크로 빔(beam)을 편향 및 집속시켜 제1 영역(a) 및 제2 영역(b)을 순차적으로 건조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조류 건조장치는 수분 함량, 조류의 성숙도 등과 같은 조류(AG)의 상태를 고려하여 마이크로파 발생기(11)의 출력, 편향요크(15)에 의한 집속도, 조사시간 등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건조시킬 조류(AG)의 양(또는 면적)에 따라, 제1 마이크로파부(10)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제1 및 제2 마이크로파부(10, 20)를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나아가, 조류(AG)의 양에 따라, 제1 및 제2 영역(a, b)의 건조를 동시에 진행하거나, 시차를 두고 순차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0; 건조장치 200; 조류 공급기
300; 열풍공급기 400; 압착기
500; 분쇄기 600; 펠릿 성형기
10, 20; 제1 및 제2 마이크로파부
11; 마이크로 발생기 12; 직진부
13; 확장부
14, 21; 제1 및 제2 튜브
15; 편향요크
16, 22, 41; 제1 내지 제3 반사층
30; 발열체 31; 관통홀
40; 이동부 50; 마이크로파 영역

Claims (9)

  1. 마이크로파 빔을 형성하는 마이크로파 영역 및 상기 마이크로파 빔에 의해 건조되는 조류를 운송하는 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로파 영역에는 제1 마이크로파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마이크로파부는 마이크로파를 발생시키는 마이크로파 발생기와, 상기 마이크로파 발생기에 부착되고 제1 직경(D1)을 가진 직진부 및 제1 직경(D1)보다 큰 평균직경의 제2 직경(D2)을 가진 확장부로 이루어진 제1 튜브 및 상기 제1 튜브의 외측에 장착되어 상기 마이크로파 빔을 상기 조류에 대해 수평 및 수직 방향 또는 그들이 조합된 방향으로 편향시키거나 집속시키는 편향요크를 포함하고,
    상기 조류의 건조는 수분 증발과 함께 세포벽을 파괴하고,
    상기 마이크로파 영역에는 제1 직경(D1)을 가진 직진부로 이루어진 제2 튜브가 상기 마이크로파 발생기에 부착되어 이루어진 제2 마이크로파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마이크로파부는 상기 제1 마이크로파부와 조합되어, 상기 제1 마이크로파부는 상기 조류의 측면인 제1 영역을 건조시키고, 상기 제2 마이크로파부는 상기 조류의 중앙인 제2 영역을 건조시키며,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1 영역에 비해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조류 건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마이크로파부는 상기 조류의 측면인 제1 영역 및 상기 조류의 중앙인 제2 영역을 시차를 두어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조류 건조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튜브 또는 제2 튜브 중의 어느 하나에 반사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조류 건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의 상면에는 반사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조류 건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마이크로파부, 제2 마이크로파부 또는 그들의 조합 중의 어느 하나, 및 상기 이동부 사이에는 관통홀이 있는 발열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조류 건조장치.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류 건조장치는 압착기 또는 분쇄기 중의 어느 하나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조류 건조장치.

KR1020180122310A 2018-10-15 2018-10-15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조류 건조장치 KR1020277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2310A KR102027703B1 (ko) 2018-10-15 2018-10-15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조류 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2310A KR102027703B1 (ko) 2018-10-15 2018-10-15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조류 건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7703B1 true KR102027703B1 (ko) 2019-10-01

Family

ID=68207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2310A KR102027703B1 (ko) 2018-10-15 2018-10-15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조류 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770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25802A (ja) * 1992-05-14 1993-12-10 Nec Corp 大電力マイクロ波管
KR20090007259U (ko) * 2008-01-15 2009-07-20 한진영 마이크로웨이브 누설 방지 및 고온발열체를 이용한 연속식마이크로웨이브 건조 장치
KR20120111322A (ko) * 2011-03-31 2012-10-10 주식회사 포스코 미세조류를 활용한 바이오연료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25802A (ja) * 1992-05-14 1993-12-10 Nec Corp 大電力マイクロ波管
KR20090007259U (ko) * 2008-01-15 2009-07-20 한진영 마이크로웨이브 누설 방지 및 고온발열체를 이용한 연속식마이크로웨이브 건조 장치
KR20120111322A (ko) * 2011-03-31 2012-10-10 주식회사 포스코 미세조류를 활용한 바이오연료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A030216B1 (ru) Способ повышения качества жидкой осахаренной биомассы
US11001776B2 (en) System and method of preparing pre-treated biorefinery feedstock from raw and recycled waste cellulosic biomass
CN205364278U (zh) 一种用于塑料加工的高效造粒机
CN205495782U (zh) 一种具有双重干燥功能的生物质能源粉碎装置
JP6282280B2 (ja) バイオマスの加工処理
KR100928277B1 (ko) 대량의 슬러지를 처리하기 위한 급속건조장치 및 이 장치에 의한 슬러지 급속건조방법
KR101662628B1 (ko) 펄프 가공 장비로 바이오매스 기반 연료를 생산하는 방법
CN106733050A (zh) 一种食品加工用高效粉碎装置
KR102027703B1 (ko)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조류 건조장치
CN107646326A (zh) 自动高效的饲料加工设备
CN102794290A (zh) 一种餐厨垃圾资源化处理系统
CN103752382B (zh) 一种秸秆类生物质粉碎装置
KR20210036441A (ko) 열풍 및 마이크로파 빔을 이용한 조류 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조방법
CN208254177U (zh) 一种化工生产用树脂粉碎烘干装置
CN204247319U (zh) 一种有机肥粉碎筛分机
JP2011206638A (ja) バイオマス粉砕物製造装置とこれを用いたバイオマス粉砕物製造方法
KR20100105371A (ko)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한 사료 제조 장치
CN204429396U (zh) 一种立式粉碎机
CN113042513A (zh) 一种土壤修复系统
CN205684151U (zh) 有机肥加工粉碎装置
CN108559566A (zh) 一种快速调整生物质成型条件的生物质颗粒机及使用方法
CN204307692U (zh) 一种饲料粉碎机
CN209254960U (zh) 一种可自动调节的有机废弃物粉碎装置
CN205161848U (zh) 一种水产养殖用饲料成型机
KR20190088345A (ko) 원적외선 열풍 건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