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5852B1 - 모바일 기기 - Google Patents

모바일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5852B1
KR102025852B1 KR1020170172952A KR20170172952A KR102025852B1 KR 102025852 B1 KR102025852 B1 KR 102025852B1 KR 1020170172952 A KR1020170172952 A KR 1020170172952A KR 20170172952 A KR20170172952 A KR 20170172952A KR 102025852 B1 KR102025852 B1 KR 1020258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mobile device
sensor
present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29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1978A (ko
Inventor
안범모
박승호
송태환
Original Assignee
(주)포인트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포인트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포인트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701729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5852B1/ko
Publication of KR201900719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19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58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58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by connection of exchangeable housing parts
    • H04M1/7257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wireless LAN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기기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필요한 기능을 가진 모듈만을 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편리성이 높고, 결합되는 모듈의 개수 제한이 없이 모듈간의 결합만으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 실용적인 사용이 가능하고, 모듈에 구비된 내장 센서로 측정된 측정값을 모듈의 표면의 상태가 변화하거나, 표시가 변화하는 등 단순변화로 용이하고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는 모바일 기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모바일 기기 {MOBILE DEVICE}
본 발명은 모바일 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내장 센서가 구비된 복수 개의 모듈을 사용자가 필요한 모듈만을 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편리성을 높이고, 모듈에 구비된 내장 센서로 측정된 측정값을 모듈의 표면에 상태가 변화하거나, 표시가 변화하는 등 단순 변화로 용이하고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는 모바일 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기는 기기를 구성하는 하드웨어들이 제공하는 특정된 기능만을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기기의 사용성, 융통성이 제한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42446호(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한다)가 공지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은 프레임을 전자 통신 장치에 연결하는 연결모듈과, 프레임 상에 배치된 복수개의 독킹 영역과, 독킹 영역 각각에 미리 결정된 크기 및 미리 결정된 형상을 가진 공간 유닛을 구비하는 공간과 앵커 메커니즘을 통해 프레임과 독킹되기 위한 부착 메커니즘을 가진 적어도 하나의 패키지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특허문헌 1은 앵커 메커니즘을 통해 독킹영역으로 패키지가 삽입되고 패키지를 프레임에 전기적으로 연결한 후 연결모듈을 통해 패키지가 전자 통신 장치에 연결됨으로써 전자 통신 장치에서 소망의 기능을 추가할 수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은 프레임 상에 배치되고 미리 결정된 크기 및 미리 결정된 형상을 가진 공간을 구비하는 독킹 영역에 패키지를 삽입함으로써 고객이 소망하는 기능을 추가하는 장치이므로, 전자 통신 장치에 삽입할 수 있는 패키지의 개수가 한정되게 된다. 이와 같은 삽입 패키지 개수의 한정은 고객이 전자 통신 장치에 추가할 수 있는 소망하는 기능의 한정을 의미할 수 있어, 고객이 소망하는 기능을 제공하는데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은 전자 통신 장치에 소망하는 기능을 추가하기 위해서 반드시 패키지가 삽입될 수 있는 프레임을 구비해야 하고, 상기한 프레임의 독킹 영역에 미리 결정된 크기 및 형상에 대응되는 패키지를 구비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다시 말해, 특허문헌 1은 고객이 전자 통신 장치에 소망하는 기능을 추가하기 위해, 필수구성요소로 프레임이 구비되어야 한다. 또한, 고객은 상기한 프레임에 미리 결정된 크기 및 형상에 대응되는 패키지만을 이용하여 소망하는 기능을 추가할 수 있으므로, 프레임과 패키지를 구비하는데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은 프레임에 구비된 독킹 영역만큼 패키지 개수가 한정되어 필요한 성능을 추가하는데 제한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42446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내장 센서가 구비된 복수 개의 모듈 중에서 사용자가 필요한 기능을 가진 모듈만을 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편리성이 높고, 결합되는 모듈의 개수 제한이 없이 모듈간의 결합만으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 실용적인 이용이 가능하며, 모듈에 구비된 내장 센서로 측정된 측정값을 표면의 상태가 변화하거나 표시가 변화하는 등 단순 변화를 통해 실시간으로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는 모바일 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른 모바일 기기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모듈이 서로 결합되는 모바일 기기에 있어서, 상기 모듈의 양측에 형성된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에 형성된 통전부;를 포함하되, 상기 모듈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통전부를 통해 전기를 인가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듈에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센서가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센서는 먼지센서 및/ 또는 가스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센서의 측정값에 따라 상기 모듈의 표면의 상태 또는 표시가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듈 중 상단부에 위치하는 모듈은 상, 하, 좌, 우로 위치이동가능한 접사렌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바일 기기는 휴대폰 케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모바일 기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모바일 기기는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가진 모듈만을 결합하여 간편한 결합으로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맞춤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모바일 기기는 모듈에 내장된 내장센서에서 측정된 측정값이 모듈의 표면의 상태가 변화하거나, 표시가 변화하는 등 단순 변화로 사용자가 간편하게 센서 측정값을 확인할 수 있어 편리성이 높다.
또한, 본 발명은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모듈이 결합될 경우, 결합되는 모듈의 개수에 제한이 없어, 다양한 기능을 결합하여 실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모듈이 결합되는 결합부가 모듈의 어느 측면에 형성됨으로써, 모바일 기기를 형성하는 두께가 감소되어 휴대가 용이하므로 이동 시에도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를 도시한 도.
도 1(b)는 도 1(a)의 결합부를 확대한 도.
도 1(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를 도시한 도.
도 1(d)는 도 1(c)의 결합부를 확대한 도.
도 2(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각 모듈간의 결합전 상태를 도시한 도.
도 2(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각 모듈간의 결합후 상태를 도시한 도.
도 3(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후면의 센서 측정 전 표면의 기본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
도 3(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후면의 센서 측정후 표면의 변화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를 도시한 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결합부를 확대한 도이고, 도 1(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를 도시한 도이고, 도 1(d)는 도 1(c)의 결합부를 확대한 도이고, 도 2(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각 모듈간의 결합전 상태를 도시한 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각 모듈간의 결합후 상태를 도시한 도이고, 도 3(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후면의 센서 측정전 표면의 기본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후면의 센서 측정후 표면의 변화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이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1)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모듈(10)이 서로 결합되며, 상기한 모듈(10)의 측면에 형성된 결합부(11)와, 결합부(11)에 형성된 통전부(12)와, 모듈(10)에 적어도 한 개 이상 내장된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1)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모듈(10)이 서로 결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모바일 기기(1)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모듈이 서로 결합하여 대략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모바일 기기(1)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진 모듈(10)이 결합하여 대략 직사각형 형태의 모바일 기기(1)를 형성하였지만, 모듈(10)은 모바일 기기(1)를 형성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모바일 기기(1)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한 모듈(10)의 측면에는 결합부(11)가 형성되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결합부(11)는 모듈(10)의 결합을 용이하게 달성하기 위하여, 모듈(10)의 양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듈(10)의 양측면에는 결합부(11)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결합부(11)는 어느 모듈(10)의 측면에는 결합홈으로 형성되고, 어느 모듈(10)의 측면에는 결합돌기로 형성됨으로써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모듈이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1)의 모듈에 형성된 각각의 결합부(11)는 도 1(a) 내지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모듈에 형성된 결합홈과 상기한 결합홈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어느 모듈에 형성된 결합돌기가 끼움결합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는 한정된 것이 아니며, 결합부(11)는 모바일 기기를 구성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모듈(10)을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본 발명의 모바일 기기(1)는 각각의 모듈(10)의 외측면에 소정의 두께가 형성되어 있다. 이는 본 발명의 모바일 기기(1)의 모듈(10)이 결합부(11)를 통해 결합되었을 경우, 결합부(11)를 보호하고, 모듈(10)과 모듈(10)이 결합되어 맞닿는 외측변부가 일직선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하여 깔끔한 외관을 이룰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모바일 기기(1)에서는 모바일 기기(1)를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듈(10)의 외측면에 소정의 두께를 형성하여 결합부(11)를 보호하고, 결합 후 매끈한 외관을 형성할 수 있는 형태로 도시하였지만, 이와 같은 소정의 두께는 형성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모듈(10)의 결합부(11)에는 통전부(1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모듈(10)의 적어도 하나는 통전부(12)를 통해 전기를 인가받을 수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통전부(12)는 결합부(11)에 형성되고,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모듈(10)이 결합부(11)로 인해 결합될 경우, 결합부(11)에 형성된 통전부(12)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10)에 전기를 인가할 수 있다.
이러한 통전부(12)는 전기를 인가할 수 있는 금속 소재로, 도전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통전부(12)는 모듈(10)에 형성되는 결합부(11)가 결합홈으로 형성될 경우, 결합홈의 내측면에 형성될 수 있고, 결합부(11)가 결합돌기로 형성될 경우, 결합돌기의 외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통전부(12)로 인해 모듈(10)은 결합홈과 결합돌기가 접촉될 경우, 전기를 인가받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모듈(10)에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센서(미도시)가 내장될 수 있다.
이 경우, 모듈(10)에 내장되는 센서는 예컨대, 먼지센서 및 가스센서이거나, 먼지센서 또는 가스센서 등일 수 있다.
모듈(10)은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센서가 내장되므로,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특정 센서가 내장된 모듈(10)과 더미(dummy) 모듈(10)을 결합하여 하나의 기능만을 수행하는 모바일 기기(1)를 형성할 수도 있다.
예컨대, 먼지센서가 내장된 모듈(10)은 일종의 먼지측정기, 가스센서가 내장된 모듈(10)은 일종의 가스측정기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모듈(10)은 상기한 센서에서 측정한 측정값에 따라 모듈의 표면의 상태 또는 표시가 변화할 수 있다.
예컨대, 모듈(10)에 내장된 먼지센서에서 측정된 측정값이 기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할 경우, 모듈(10)의 표면의 색상이 변화하거나 또는 느낌표 형상이 표면에 표시되는 등으로 표면의 상태 또는 표시가 변화하여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측정값에 따른 측정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모바일 기기(1)는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가진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모듈(10)을 서로 결합함으로써, 간편한 결합으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만이 맞춤 제공되는 모바일 기기(1)가 형성되어 더욱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모듈(10)에 내장된 측정센서의 측정값에 따라 모듈(10)의 표면의 상태 또는 표시가 변화하는 등 단순변화로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측정값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편리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1)는 전술한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모듈(10)이 서로 결합하여 대략 직사각형의 모바일 기기(1)로 이루어지는 형태와 달리,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모듈(10)이 서로 결합하여 다른 형태로 이루어진 모바일 기기(1)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모바일 기기(1)는 대략 삼각형의 형상의 모듈(10)이 서로 결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삼각형 형상의 모듈(10)은 전술한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모듈(10)이 결합하여 이루어진 모바일 기기(1)와 형태는 다르지만,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전술한 설명을 참조하기로 하고 생략한다.
모듈(10)의 측면에는 결합부(11)가 형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모듈(10)의 측면에는 결합부(11)가 결합홈으로 형성되고, 어느 모듈(10)의 측면에는 결합부(11)가 결합돌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어느 모듈(10)의 양측면은 결합부(11)가 결합홈 또는 결합돌기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각각의 모듈(10)에 형성된 결합부(11)로 인해 모듈간의 결합이 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부(11)에는 통전부(12)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전부(12)는 결합부(11)에 형성되고,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모듈(10)이 결합부(11)로 인해 결합될 경우, 모듈(10)의 적어도 하나는 통전부(12)를 통해 전기를 인가받을 수 있다.
이 경우, 통전부(12)는 전기를 인가할 수 있는 금속 소재로서, 도전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통전부(12)는 모듈(10)에 형성되는 결합부(11)가 결합홈으로 형성될 경우, 결합홈의 내측면에 형성될 수 있고, 결합부(11)가 결합돌기로 형성될 경우, 결합돌기의 외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통전부(12)로 인해 모듈(10)은 결합홈과 결합돌기가 접촉될 경우, 전기를 인가받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모듈(10)에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센서가 내장될 수 있다.
이 경우, 모듈(10)에 내장되는 센서는 예컨대, 먼지센서 및 가스센서이거나, 먼지 센서 또는 가스센서 등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내장 센서가 구비된 모듈(10)은 센서에서 측정한 센서의 측정값에 따라 모듈(10)의 표면의 상태 또는 표시가 변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1)는, 센서가 구비되는 모듈(10)의 형상을 센서가 구비되어 센서 측정을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는 적합한 형상으로 자유롭게 구비할 수 있고, 이러한 모듈(10)을 원하는 기능을 가진 모듈(10)간의 결합을 통해 모바일 기기(1)로 형성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맞춤 기능을 제공할 수 있어 실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1)는 구비되는 모듈(10)의 형상을 다양하게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다채로운 디자인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1)는 모듈(10)에 형성되는 결합부(11) 및 통전부(12)가 모듈(10)의 측면에 형성됨으로써, 모바일 기기(1)를 형성하는 두께가 감소되어, 휴대가 용이하므로 이동 시에도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1')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1')는 전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1)와 모바일 기기(1')를 구성하는 모듈(10')의 형상과, 모듈(10')에 형성된 결합부(11) 및 통전부(12)의 형상을 제외한 모든 구성이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전술한 설명을 참조하기로 하고 생략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1')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모듈(10')이 서로 결합되며, 상기한 모듈(10')의 측면에 형성된 결합부(11)와, 결합부(11)에 형성된 통전부(12)와, 모듈(10')에 적어도 한 개 이상 내장된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1')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모듈(10')이 서로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1')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모듈(10')이 서로 결합되어 대략 곰돌이 인형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모바일 기기(1')는 머리 모듈, 몸통 모듈, 다리 모듈로 구성되어 각각의 모듈(10')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모듈(10')에는 모듈(10')의 측면에 결합부(11)가 형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결합부(11)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1')의 머리 모듈에는 결합부(11)가 돌출된 돌출부로 머리 모듈의 하측면에 형성되고, 몸통 모듈의 상측면에 형성되는 결합부(11)는 머리 모듈의 돌출부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부로 형성되고, 몸통 모듈의 하측면에 형성되는 결합부(11)는 다리 모듈의 결합부(11)인 삽입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돌출부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모바일 기기(1')의 결합부(11)는 돌출부 및 삽입부가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결합부(11)의 형상 및 위치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1')의 결합부(11)를 통한 모듈(10')간의 결합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한 기준으로 도시된 것이므로, 이는 한정된 것이 아니며, 결합부(11)의 형상 및 위치는 모듈(10')간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는 적합한 형상으로 적합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결합부(11)에는 통전부(12)가 형성되어, 통전부(12)를 통해 모듈(10')의 적어도 하나는 전기를 인가받을 수 있다.
도 2(a)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1')의 통전부(12)는, 머리 모듈 및 몸통 모듈의 하측면에 형성된 것과 같이, 대략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진 결합부(11)의 돌출부 단부에 전기를 인가할 수 있는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2(a)의 본 발명의 모바일 기기(1)는 통전부(12)가 결합부(11)의 돌출부에 형성된 것만을 도시하였지만, 통전부(12)는 결합부(11)의 삽입부에도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돌출부가 삽입부로 삽입되어 두 개의 모듈의 통전부(12)가 접촉될 경우, 모듈(10')은 전기를 인가받을 수 있다.
모듈(10')에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센서가 내장될 수 있다.
이 경우, 모듈(10')에 내장되는 센서는 먼지센서 및 가스센서이거나, 먼지센서 또는 가스센서 등일 수 있다.
이 경우, 모듈(10')에 내장되는 센서는 상기한 먼지센서, 가스센서 외에 온도센서 또는 자외선 센서 등이 내장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모바일 기기(1')의 모듈(10')에 내장되는 센서는 다양하게 구비되어 내장될 수 있고, 본 발명의 모바일 기기(1')는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가진 모듈(10')만을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형성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사용자 맞춤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내장 센서가 구비된 모듈(10)은 센서에서 측정한 센서의 측정값에 따라 모듈(10)의 표면의 상태 또는 표시가 변화할 수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1)의 경우, 몸통 모듈에 온도센서가 내장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몸통 모듈은 내장된 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온도가 기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할 경우, 몸통 모듈에 구비된 하트(heart) 형상의 표시를 변화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측정값에 따른 측정상태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다리 모듈에는 가스센서가 내장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다리 모듈은 내장된 가스센서에서 측정된 가스 측정값이 기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할 경우, 상기한 몸통 모듈의 형상 표시 변화와 동일하게 모듈의 표면 상태 또는 표시를 변화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측정값에 따른 측정상태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다리 모듈에 내장된 가스센서 기능의 결합을 원하지 않을 경우, 다리 모듈은 결합하지 않고, 머리 모듈과 몸통 모듈만을 결합하여 모바일 기기(1')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모바일 기기(1')는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가진 모듈(10')만을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더욱 실용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1")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1")는 전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1)의 도 1(a)의 대략 직사각형 형상과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각각의 모듈에 내장되는 센서와, 모듈 중 상단부에 위치하는 모듈에 구비되는 접사렌즈를 제외한 모든 구성이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전술한 설명을 참조하기로 하고 생략한다.
이 경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1")는 휴대폰 케이스인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1")는 센서가 내장된 모듈(10")의 표면의 상태 또는 표시가 상기한 센서의 측정값에 따라 변화하는 것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해 모바일 기기(1")의 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모바일 기기(1")의 전면에는 휴대폰 삽입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으며, 휴대폰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휴대폰 연결 단자(미도시)가 최하단부에 결합되는 모듈 즉, 후술할 제4모듈의 내측 하단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1")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1")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도 3에서 가장 상단부에 위치하고, 곰돌이의 눈 및 귀가 그려진 모듈을 제1모듈, 제1모듈의 하부에 위치하고, 곰돌이의 코가 그려진 모듈을 제2모듈, 제2모듈의 하부에 위치하고, 곰돌이의 몸통과 하트(heart)형상이 그려진 모듈을 제3모듈, 제3모듈의 하부에 위치하고, 곰돌이의 다리가 그려진 모듈을 제4모듈로 지칭하여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1")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모듈(10")이 서로 결합되며, 상기한 모듈(10")의 측면에 형성된 결합부(11)와, 결합부(11)에 형성된 통전부(12)와, 모듈(10")에 적어도 한 개 이상 내장된 센서(미도시), 모듈(10") 중 상단부에 위치하는 모듈에 구비된 접사렌즈(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모바일 기기(1")는 제1, 2, 3, 4모듈이 서로 결합하여 대략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모듈(10")의 측면에는 결합부(11)가 형성되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결합부(11)는 모듈(10")의 결합을 용이하게 달성하기 위하여, 모듈(10")의 양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모듈(10")의 결합부(11)에는 통전부(1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모듈(10")의 적어도 하나는 통전부(12)를 통해 전기를 인가받을 수 있다.
이러한 모듈(10")에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센서가 내장될 수 있다.
상기한 센서는 먼지센서 및 가스센서, 먼지센서 또는 가스센서일 수 있으며, 자외선센서, 온도센서 등이 내장되어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1")의 각각의 모듈에 자외선센서, 먼지센서, 온도센서, 가스센서가 내장된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모바일 기기(1")는 센서의 측정값에 따라 모듈(10")의 표면의 상태 또는 표시가 변화할 수 있다.
예컨대, 모듈(10") 중 상단부에 위치하는 모듈 즉, 제1모듈에 자외선 센서가 내장된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제1모듈은 자외선센서가 측정한 측정값이 기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할 경우, 표면의 상태가 변화할 수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3(a)에 도시된 제1모듈의 곰돌이 눈썹은 '('와 같은 형상이 시계방향으로 90° 회전한 형상이고, 곰돌이의 눈은 원형의 눈 형상이다. 이와 같은 모바일 기기(1")의 제1모듈의 표면의 상태로 사용자는 제1모듈에 내장된 자외선센서가 측정한 측정값이 기설정된 기준값 미만이거나, 기설정된 기준값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라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3(b)에 도시된 제1모듈의 곰돌이 눈과 눈썹은 대략 'ㅡ'와 같은 형태로 시계방향으로 소정각도 기울어져 있다. 이는 제1모듈에 내장된 자외선센서에서 측정된 측정값이 기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모듈(10") 중 상단부에 위치하는 제1모듈에는 상, 하, 좌, 우로 위치이동가능한 접사렌즈가 구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휴대폰의 상단부에는 휴대폰에 내장된 카메라가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모바일 기기(1")는 제1모듈에 접사렌즈를 구비함으로써, 제1모듈이 결합될 경우, 휴대폰 카메라에 모듈(10")에 구비된 접사렌즈를 접촉하여 피사체를 확대 촬영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접사렌즈는 상, 하, 좌, 우로 위치이동가능하므로 카메라의 위치에 맞추어 자유롭게 이동하여 접사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접사기능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접사렌즈의 위치를 카메라와 다른 위치로 이동시켜 카메라 기능을 방해하지 않게 함으로써 편리하게 이용될 수 있다.
제2모듈에는 먼지센서가 내장된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제2모듈은 먼지센서가 측정한 측정값이 기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할 경우, 도 3(a)에 도시된 제2모듈의 표면이 도 3(b)에 도시된 제2모듈의 표면과 같이 상태가 변화함으로써, 내장된 먼지센서에서 측정된 측정값이 기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한 상태라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제3모듈에는 온도센서가 내장되고, 제4모듈에는 가스센서가 내장된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상기한 제1모듈 및 제2모듈의 표면과 같이, 도 3(a)에 도시된 제3모듈 및 제4모듈의 표면의 상태가 도 3(b)에 도시된 제3모듈 및 제4모듈과 같은 표면의 상태로 변화함으로써, 각각의 모듈에 내장된 센서에서 측정된 측정값이 기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한 상태라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1")에서는 모바일 기기(1")의 후면에 형성된 형상이 대략 곰돌이 캐릭터의 형상인 것을 기준으로 도시하였지만, 이는 한정된 것이 아니며, 모바일 기기(1")의 후면에 다양한 형상이 형성되어 본 발명의 모바일 기기(1")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1")는 휴대폰 연결단자와 전기적으로 결합하여 휴대폰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모듈(10")의 센서에서 측정된 측정값을 확인하거나, 별도의 앱(app)을 이용하여 측정값을 확인할 수 있는 등 다양한 이용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모바일 기기(1")에서는 각각 다른 종류의 센서가 내장된 제1모듈 내지 제4모듈의 결합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지만, 이는 한정된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모바일 기기(1")의 경우, 사용자가 필요한 기능을 가진 모듈(10")을 더미(dummy) 모듈과 결합하여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모바일 기기(1, 1', 1")는 각 모듈에 내장된 센서에서 측정된 측정값을 모바일 기기(1, 1', 1")의 표면의 상태 또는 표시를 변화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므로, 편리하게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모바일 기기(1, 1', 1")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모듈(10, 10', 10")이 결합될 경우, 결합되는 모듈(10, 10', 10")의 개수에 제한없이 모듈(10, 10', 10")간의 결합을 통해 다양한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모바일 기기(1, 1', 1")는 내장 센서가 구비된 복수 개의 모듈(10, 10', 10") 중에서 사용자가 필요한 기능을 가진 모듈(10, 10', 10")만을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맞춤 기능을 제공하여 높은 실용성을 가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 1', 1": 모바일 기기 10, 10', 10": 모듈
11: 결합부 12: 통전부

Claims (6)

  1. 전면에는 휴대폰 삽입구가 형성되며 휴대폰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휴대폰 연결 단자가 최하단부에 결합되는 모듈을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에 있어서,
    각 모듈의 결합에 의해 상기 모바일 기기의 후면에 형성된 형상이 캐릭터의 형상이 되도록 서로 결합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모듈;
    상기 모듈의 측면에 형성된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에 형성된 통전부;를 포함하되, 상기 모듈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통전부를 통해 전기를 인가 받고,
    상기 모듈에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센서가 내장되어 상기 센서의 측정값에 따라 상기 모듈의 표면의 캐릭터의 상태 또는 표시가 변화하는 휴대폰 케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모듈은 상기 결합부에 의해 결합되어 맞닿는 외측변부가 일직선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먼지센서 및/또는 가스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중 상단부에 위치하는 모듈은 상, 하, 좌, 우로 위치이동가능한 접사렌즈를 포함하고,
    접사기능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접사렌즈의 위치를 카메라와 다른 위치로 이동시켜 카메라 기능을 방해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
  6. 삭제
KR1020170172952A 2017-12-15 2017-12-15 모바일 기기 KR1020258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2952A KR102025852B1 (ko) 2017-12-15 2017-12-15 모바일 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2952A KR102025852B1 (ko) 2017-12-15 2017-12-15 모바일 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1978A KR20190071978A (ko) 2019-06-25
KR102025852B1 true KR102025852B1 (ko) 2019-09-25

Family

ID=67065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2952A KR102025852B1 (ko) 2017-12-15 2017-12-15 모바일 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585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3356B1 (ko) * 2013-08-29 2015-04-21 김재욱 다기능 촬영 카메라렌즈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92012A (ko) * 2013-01-14 2014-07-23 박종진 자력을 이용하여 결합되는 통전블록 및 이를 이용한 교육용 완구
KR20160042446A (ko) 2013-08-12 2016-04-19 넥스팩 리미티드 추가적인 기능들을 가진 전자 통신 장치를 가능하게 하는 어댑터
KR20160072744A (ko) * 2014-12-15 2016-06-23 김덕한 미세먼지 폰케이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3356B1 (ko) * 2013-08-29 2015-04-21 김재욱 다기능 촬영 카메라렌즈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1978A (ko) 2019-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40168311A1 (en) Wearable electronic device with articulated joint
KR101494505B1 (ko) 핸드헬드 장치 인클로저
KR200493314Y1 (ko) 휴대용 단말기 및 pc 장치용 스탠드
CN109923472A (zh) 相机模块
TWI532447B (zh) 保護套
CN105374291A (zh) 一种无边框终端显示装置
KR102318263B1 (ko) 신축성 표시 장치
KR101857754B1 (ko) 접을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기기
US20140284228A1 (en) Housing capable of supporting tablet computer in predetermined orientations
TW201523211A (zh) 在電池與電池腔之間形成可調整角度以選擇性地將視訊顯示器安置於觀看定向之技術
US8902201B2 (en) Assembling infrared touch control module
KR102217867B1 (ko) Vr 뷰어에서의 휴대용 사용자 디바이스의 정렬을 위한 전도성 접촉부들
KR102025852B1 (ko) 모바일 기기
JP3179614U (ja) 携帯端末機用カバー
US20180017803A1 (en) Accessory and lens system
US8988872B2 (en) Cradle for a portable device having a connector rotatably mounted on a base
KR101639744B1 (ko) 가상 현실 구현 기능을 가지고 있는 휴대폰 케이스
US10705411B2 (en) Document camera
JP2007298785A (ja) スライド部材支持構造部及び撮像部カバー用スライド部材支持構造部
US20160274408A1 (en) Transparent structures filled with electrically active fluid
JP6842573B2 (ja) モバイル端末外部アセンブリおよびモバイル端末保護スリーブ
US20130180750A1 (en) Cover attachment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JP3197452U (ja) 結合システム・アクセサリ
KR101299676B1 (ko)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KR102283147B1 (ko) 전자 장치용 커넥터 및 그 전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