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5796B1 - 디스플레이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5796B1
KR102025796B1 KR1020120083946A KR20120083946A KR102025796B1 KR 102025796 B1 KR102025796 B1 KR 102025796B1 KR 1020120083946 A KR1020120083946 A KR 1020120083946A KR 20120083946 A KR20120083946 A KR 20120083946A KR 102025796 B1 KR102025796 B1 KR 1020257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unit
portable terminal
power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3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6733A (ko
Inventor
주성용
윤영남
정성범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839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5796B1/ko
Publication of KR201400167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67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57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57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263Arrangements for using multiple switchable power supplies, e.g. battery and AC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Abstract

본 발명은 받침부에 무선 충전가능한 충전부를 구비한 디스플레이장치가 제공된다. 본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상기 전원공급부의 전원을 이용하여, 무선 충전이 가능한 코일이 내장된 휴대용 단말기를 무선 충전하기 위한 충전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지지하며, 상기 충전부가 마련되는 받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디스플레이장치의 받침부에 휴대용 전자기기의 무선 충전이 가능하도록 충전부를 마련하여 디스플레이장치의 동작 및 대기중에도 무선충전을 할 수 있음으로써 대기전력 소모를 방지하고 공간부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받침부에 휴대용 전자기기의 무선 충전이 가능하도록 충전부를 마련하여 디스플레이장치를 사용하거나 대기중에도 무선충전을 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의 충전 전원은 유선으로 공급받아야 하는 것이 통상적이다.
이러한 유선 전력 공급 기술 대신,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해 제안된 전력 공급 방식은 자기 공명 방식(두 매체가 같은 주파수로 공진하는 것을 이용), 복사 방식(RFID와 같이 원거리 방사를 이용), 유도 결합 방식(코일의 상호 유도 결합을 이용) 등이 있으며, 현재 상용화된 무선 충전 장치가 개발되기도 하였다.
종래 기술에 의한 무선 충전 장치는 무선 충전을 위한 셀이 집적된 충전 영역에 단말기나 노트북과 같은 충전 대상 장치를 올려놓고 충전하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 의한 무선 충전 장치는 독립적으로 되어 있어 항상 셀이 동작상태로 유지되고 충전 대상 장치가 충전 영역에 놓여지면 상호작용에 의해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동작되었다.
이로 인하여 무선 충전 장치는 독립적으로 콘센트에 연결된 상태로 대기전력이 소모되고 있는 큰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디스플레이장치 및 컴퓨터등 여러 주변기기와 함께 분리되어 있어 무선 충전장치를 놓을 공간이 마련되어야 하는 공간적인 문제점도 있고, 나아가, 충전 대상 장치가 이미 충전이 충분히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계속적으로 충전이 이루어져서 충전 대상 장치의 배터리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 무선 충전 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장치의 받침부에 휴대용 전자기기의 무선 충전이 가능하도록 충전부를 마련하여 디스플레이장치의 동작 및 대기중에도 무선충전을 할 수 있음으로써 대기전력 소모를 방지하고 공간부족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본 발명의 해결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상기 전원공급부의 전원을 이용하여, 무선 충전이 가능한 코일이 내장된 휴대용 단말기를 무선 충전하기 위한 충전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지지하며, 상기 충전부가 마련되는 받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충전부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내장된 코일에 유도전류가 발생되도록 하는 복수의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충전부의 상기 복수의 코일은 서로 다른 충전방식으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충전부는 상기 받침부에 안착되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감지하기 위한 검출센서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상태를 표시하는 충전확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검출센서에서 감지된 신호에 따라 충전전원을 공급하는 충전전원공급부; 상기 충전전원공급부 이후 단에 배치되어 상기 충전전원공급부의 충전전원 공급유무 및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완료를 감지하는 충전운전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검출센서 및 상기 충전운전회로에 의해 감지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충전부로의 충전전원 공급 및 상기 충전확인부의 표시등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받침부의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안착되는 면은 바닥과 평행 또는 소정 각도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받침부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충전 가능하게끔 안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요홈을 갖는 안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안착부는 상기 충전부와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안착부의 길이방향이 상기 디스플레이부 화면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안착부의 길이방향이 상기 디스플레이부 화면과 수직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안착부는 상기 안착부의 길이방향의 일측 및 타측 중 적어도 하나에 걸림턱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받침부의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안착되는 면은 바닥과 평행한 위치 또는 경사진 위치 중 어느 하나로 변경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디스플레이장치의 받침부에 휴대용 전자기기의 무선 충전이 가능하도록 충전부를 마련하여 디스플레이장치의 동작 및 대기중에도 무선충전을 할 수 있음으로써 대기전력 소모를 방지하고 공간부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구성 전체를 도시하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충전하는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받침부의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받침부의 안착부의 사시도 및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평면도,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걸림턱을 나타내는 받침부 확대도,
도 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받침부의 변형을 나타내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측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상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부분은 생략하였고,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의 사시도이며,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구성 전체를 도시하는 구성도,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
디스플레이장치(1)는 디스플레이부(100)와 받침부(20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00)는 영상을 표시하며, 외부로부터 입력받은 전원을 내부의 구성으로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10)를 포함한다.
전원공급부(110)는 입력되는 전원을 변환하여 디스플레이부(100)의 내부 영상처리부(미도시)등과 후술할 받침부(200)에 구비된 충전부(210)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110)는 교류전압을 직류전압으로 변환하는 정류부, 유도전류을 발생시키는 인덕터등을 포함하는 전원공급회로(111)를 포함하고 있어 디스플레이장치(1)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전원공급부(110)의 전원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무선충전을 위한 충전부(210)를 구동하게 된다. 이를 위한 전원공급부(110)는 충전전원공급부(114), 충전운전회로(116), 제어부(112)를 포함한다.
충전전원공급부(114)는 제어부(112)의 신호에 따라 충전전원스위치(113)를 작동하여 입력전원과 충전전원공급부(114)을 연결한다. 충전전원스위치(113)는 받침부(200)에 안착되며, 무선 충전이 가능하도록 코일이 내장된 휴대용 단말기(300)(이하 휴대용 단말기(300)라 칭함)가 감지되면 감지된 신호에 따라 작동한다. 충전전원스위치(113)가 작동되면 충전전원공급부(114)는 공급받은 충전전원을 충전운전회로(116)를 통하여 충전부(210)로 공급한다.
충전운전회로(116)는 충전전원공급부(114)와, 충전부(210) 사이에 배치된다. 충전운전회로(116)는 충전전원공급부(114)에서 충전부(210)로 전원을 공급하게 되면 이를 인식하여 제어부(112)로 충전부(210)로 전원이 공급되었다는 신호를 보낸다. 또한, 충전부(210)에서 휴대용 단말기(300)를 무선충전을 완료하면 이를 인식하여 제어부(112)로 신호를 보낸다.
제어부(112)는 충전부(210)의 검출센서(214)가 휴대용 단말기(300)를 감지하여 신호를 보내면 이 신호를 받아 충전전원스위치(113)로 신호를 보내어 충전전원스위치(113)를 온시킨다. 제어부(112)는 충전부(210)의 검출센서(214)가 휴대용 단말기(300)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신호를 보내면 이 신호에 따라 충전전원스위치(113)를 점멸시킨다. 또한, 충전전원공급부(114)에서 충전부(210)로 전원을 공급하면 충전운전회로(116)는 이를 인식하여 신호를 제어부(112)로 보내고 제어부(112)는 이 신호에 따라 충전부(210)의 충전확인부(216) 표시등을 점등시킨다. 그리고, 충전운전회로(116)는 충전부(210)에서 충전완료를 인식하여 제어부(112)로 신호를 보내면 제어부(112)는 이 신호에 따라 충전확인부(216) 표시등을 변경시킨다.
받침부(200)는 디스플레이부(100)를 지지하며, 전원공급부(110)의 전원을 이용하여, 무선 충전이 가능한 코일이 내장된 휴대용 단말기(300)를 무선충전하기 위한 충전부(210) 및 안착부(218)를 포함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받침부(200)의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장치(1)의 측면도이다. 받침부(200)의 휴대용 단말기(300)가 안착되는 면은 바닥과 평행 또는 소정 각도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 도 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받침부(200)의 변형을 나타내는 디스플레이장치(1)의 측면도이다. 받침부(200)의 휴대용 단말기(300)가 안착되는 면은 바닥과 평행한 위치 또는 경사진 위치 중 어느 하나로 변경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충전부(210)는 받침부(200)의 내부공간에 마련되며, 휴대용 단말기(300)에 내장된 코일에 유도전류가 발생되도록 하는 복수의 1차코일(212)을 포함할 수 있다. 충전부(210)의 1차코일(212)은 서로 다른 충전방식으로 마련될 수 있다. 충전부(210)는 받침부(200)에 안착되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300)를 감지하기 위한 검출센서(214)와 휴대용 단말기(300)의 충전상태를 표시하는 충전확인부(216)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부(210)의 1차코일(212)은 자기 공명 방식(두 매체가 같은 주파수로 공진하는 것을 이용), 복사 방식(RFID와 같이 원거리 방사를 이용), 유도 결합 방식(코일의 상호 유도 결합을 이용)의 서로 다른 방식으로 마련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300)를 충전하는 예시도이다. 이를 참조하여 보면, 충전부(210)의 1차코일(212)은 충전전원공급부(114)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용 단말기(300)에 마련된 무선충전이 가능한 2차코일(310)로 에너지를 전달하여 충전을 할 수 있다.
검출센서(214)는 받침부(200)의 상면에 배치되며, 휴대용 단말기(300) 받침부(200)의 안착부(218)에 안착되는 것을 감지하여 제어부(112)로 신호를 보낸다. 또한, 안착된 휴대용 단말기(300)가 안착부(218)를 벗어나 이동되는 것을 감지하여 제어부(112)로 신호를 보낸다. 검출센서(214)는 여러 가지 방식으로 마련될 수 있다. 검출센서(214)는 무게에 의한 압전센서, 빛을 통한 감지센서 즉, 이미지센서 및 광센서, 전류를 인식하는 전류센서, 위치를 인식하는 위치센서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검출센서(214)는 디스플레이장치(1)에 마련된 통신장치에 의해 휴대용 단말기(300)를 인식하고 휴대용 단말기(300)의 상태정보를 미리 확인하는 것도 가능하다.
충전확인부(216)는 휴대용 단말기(300)의 충전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등을 포함한다. 충전운전회로(116)의 신호에 따라 제어부(112)는 충전확인부(216)의 표시등을 점등시키며 변경시킨다. 충전확인부(216)의 표시등은 휴대용 단말기(300)가 안착부(218)에 안착되지 않았을 때는 점멸상태이며, 휴대용 단말기(300)가 안착부(218)에 안착되면 무선 충전이 시작되며 동시에 충전확인부(216)의 빨간색 표시등이 점등된다. 휴대용 단말기(300)의 충전이 완료되면 충전확인부(216)는 충전운전회로(116)의 신호를 받은 제어부(112)의 신호에 의해 빨간 표시등은 점멸되며 동시에 연두색 표시등이 점등된다.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디스플레이부(100)가 동작상태에서 충전이 완료될 경우 디스플레이부(100)를 통하여 충전완료를 알려줄 수도 있을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받침부(200)의 안착부(218)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안착부(218)는 받침부(200)의 상면에 형성되며, 휴대용 단말기(300)가 충전 가능하게끔 안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요홈을 가질 수 있다. 도 7 및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의 평면도이다. 안착부(218)는 충전부(210)의 1차코일(212)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안착부(218)의 길이방향이 상기 디스플레이부(100) 화면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안착부(218)는 상기 안착부(218)의 길이방향이 상기 디스플레이부(100) 화면과 수직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걸림턱(220)을 나타내는 받침부(200) 확대도이다. 안착부(218)는 받침부(200)가 소정각도 경사지게 마련되는 경우 휴대용 단말기(300)가 미끄러지지 않고 안정되게 충전을 할 수 있도록 걸림턱(220)이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무선 충전을 위한 디스플레이장치(1)의 구성요소와 그 실시예를 살펴보았다.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의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의 무선 충전 과정을 설명하겠다.
디스플레이장치(1)는 TV로 가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사용자가 TV를 시청하다가 디스플레이부(100)를 끈 경우와 TV를 시청하는 중의 두 가지 경우 모두 무선충전이 가능하지만 디스플레이부(100)를 끈 경우를 예로 설명한다.
디스플레이부(100)를 껐지만 받침부(200)의 검출센서(214)는 항상 온되어 대기되어 있는 상태이다. 무선충전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300)를 무선 충전하려고 휴대용 단말기(300)를 받침부(200)의 안착부(218)에 안착시킨다. 검출센서(214)는 휴대용 단말기(300)를 인식하고 제어부(112)로 신호를 보낸다. 이에 제어부(112)는 출력전압스위치에 신호를 보내고 출력전압스위치를 온시킨다. 출력전압스위치가 온되면 전원공급회로(111)와 충전전원공급부(114)가 연결이 된다. 이 연결에 의해 충전전압공급부로 전원이 입력되고 충전전압공급부는 충전운전회로(116)를 통과하여 충전부(210)로 충전가능한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충전부(210)는 공급받은 전원에 의해 1차코일(212)은 유도전류가 발생되도록 된다. 그러면, 휴대용 단말기(300)에 낸장된 2차코일(310)은 1차코일(212)의 유도전류에 의해 유기되고, 유도전류가 발생되어 내장된 충전회로(320)를 통하여 휴대용단말기충전부(330)로 충전을 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충전운전회로(116)는 충전부(210)로 전원이 공급된 것을 인식하여 제어부(112)로 신호를 보낸다. 이 신호에 의해 제어부(112)는 충전확인부(216)의 빨간색 표시등을 점등한다. 만약 충전이 완료되기 전에 휴대용 단말기(300)가 안착부(218)를 벗어나 이동되면 검출센서(214)는 이를 인식하여 제어부(112)로 신호를 보내고 제어부(112)는 출력전압스위치를 오프시킨다. 그리고, 충전운전회로(116)는 충전부(210)로 전원공급이 중단된 것을 인식하고 제어부(112)로 신호를 보낸다. 제어부(112)는 이 신호에 따라 충전확인부(216)의 표시등을 점멸시킨다. 휴대용 단말기(300)의 충전이 완료되면 충전운전회로(116)는 충전부(210)의 충전완료를 인식하여 제어부(112)로 신호를 보낸다. 제어부(112)는 이에 의해 출력전압스위치를 오프시켜 전원공급을 차단하고, 충전확인부(216)의 빨간 표시등을 점멸하고 연두색 표시등을 점등한다. 이에 의해 디스플레이장치(1)의 받침부(200)에 무선 충전이 가능하도록 충전부(210)를 마련하여 무선충전을 함으로써 대기전력 소모를 방지하게 되고, 무선충전장치가 독립적으로 있을 경우의 공간을 없앰으로써 공간활용이 좋아진다.
디스플레이장치(1)를 TV로 설명하였지만 컴퓨터 모니터등 디스플레이장치(1)로 받침부(200)를 가지는 것이면 가능할 것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실시예가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지금까지 설명된 실시예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1 : 디스플레이장치 100 : 디스플레이부
110 : 전원공급부 111 : 전원공급회로
112 : 제어부 113 : 충전전원스위치
114 : 충전전원공급부 116 : 충전운전회로
118 : 대기모드전원부 200 : 받침부
210 : 충전부 212 : 충전확인부
214 : 검출센서 216 : 충전확인부
218 : 안착부 220 : 걸림턱
300 : 휴대용 단말기 310 : 2차코일
320 : 충전회로 330 : 휴대용단말기충전부

Claims (12)

  1.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상기 전원공급부의 전원을 이용하여, 무선 충전이 가능한 코일이 내장된 휴대용 단말기를 무선 충전하기 위한 충전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지지하며, 상기 충전부가 마련되는 받침부;
    상기 받침부에 안착되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감지하기 위한 검출센서;
    상기 충전부로의 전원의 공급 여부를 스위칭하는 충전전원스위치; 및
    상기 검출센서에 의해 상기 받침부에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안착된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충전부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상기 충전전원스위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받침부의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안착되는 면은 바닥과 소정 각도 경사지게 마련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턱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부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내장된 코일에 유도전류가 발생되도록 하는 복수의 코일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부의 상기 복수의 코일은 각각 자기 공명 방식, 복사 방식, 및 유도 결합 방식으로 마련된 코일들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부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상태를 표시하는 충전확인부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검출센서에서 감지된 신호에 따라 상기 충전부에 충전전원을 공급하는 충전전원공급부;
    상기 충전전원공급부 후단에 배치되어 상기 충전전원공급부의 충전전원 공급유무 및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완료를 감지하는 충전운전회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센서 및 상기 충전운전회로에 의해 감지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충전부로의 충전전원 공급 및 상기 충전확인부의 표시등을 제어하는 디스플레이장치.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충전 가능하게끔 안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요홈을 갖는 안착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충전부와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안착부의 길이방향이 상기 디스플레이부 화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디스플레이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안착부의 길이방향이 상기 디스플레이부 화면과 수직하게 배치되는 디스플레이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걸림턱은 상기 면의 길이방향의 일측 및 타측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는 디스플레이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의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안착되는 면은 바닥과 평행한 위치로 변경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디스플레이장치.
KR1020120083946A 2012-07-31 2012-07-31 디스플레이장치 KR1020257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3946A KR102025796B1 (ko) 2012-07-31 2012-07-31 디스플레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3946A KR102025796B1 (ko) 2012-07-31 2012-07-31 디스플레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6733A KR20140016733A (ko) 2014-02-10
KR102025796B1 true KR102025796B1 (ko) 2019-09-26

Family

ID=50265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3946A KR102025796B1 (ko) 2012-07-31 2012-07-31 디스플레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57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6201B1 (ko) * 2014-07-04 2015-03-26 (주)메티스 휴대용기기의 충전이 가능한 인터페이스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09840A (ja) * 2008-10-31 2010-05-13 Higashi Nihon Medicom Kk 携帯電話の画面拡大表示システム
JP3168006U (ja) 2010-03-30 2011-04-27 威港科技股▲分▼有限公司 無線充電機能付きノートブック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1635B1 (ko) * 2005-04-07 2007-08-22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무선 충전기의 오목형 패드
KR20110102758A (ko) * 2010-03-11 2011-09-19 삼성전자주식회사 3d 안경, 충전용 크래들, 3d 디스플레이 장치 및 3d 안경 무선 충전 시스템
KR101287431B1 (ko) * 2010-05-07 2013-07-19 (주)진매트릭스 표적 유전자의 다양한 변이가 존재하는 유전자 영역을 증폭하기 위한 프라이머 조성물, 이를 이용한 표적 유전자 증폭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pcr 증폭 키트 그리고 이를 이용한 표적 유전자의 유전자형 분석방법
KR101172169B1 (ko) * 2010-07-20 2012-08-07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무선 충전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09840A (ja) * 2008-10-31 2010-05-13 Higashi Nihon Medicom Kk 携帯電話の画面拡大表示システム
JP3168006U (ja) 2010-03-30 2011-04-27 威港科技股▲分▼有限公司 無線充電機能付きノートブッ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6733A (ko) 2014-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26646B2 (ja) 共振型無線電力伝送システムにおける無線電力伝送制御方法、それを用いる無線電力送信装置、及びそれを用いる無線電力受信装置
US8614561B2 (en) Charging apparatus
JP5111397B2 (ja) コイルアレイを備えた無接点充電装置、無接点充電システム及び充電方法
US20150380979A1 (en) Power supply apparatus, power supply system,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EP3282546A1 (en) Wireless power transmitting unit, wireless power receiving unit, and control methods thereof
US20100013322A1 (en) Power transmission control device, power transmission device, power receiving control device, power receiving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EP2555378A1 (en) Wireless power supply system
US20120043932A1 (en) Charg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harging apparatus
KR20120094738A (ko) 무접점 충전 장치, 무접점 충전 시스템 및 무접점 충전 방법
US10790710B2 (en) Power feeding unit, power feeding system, and electronic unit
JP2013162624A (ja) 電力供給システム
JP2014017989A (ja) 携帯端末、無接点充電システム及び無接点充電の管理方法
JP2013115978A (ja) 携帯機器及び給電台と携帯機器の給電方法
WO2016194643A1 (ja) Nfcによる充電システム、nfc充電可能なモバイル機器、充電器
US20120223593A1 (en) Power receiving device and wireless power supply system
US9948114B2 (en) Power supply apparatus
CN103947074B (zh) 电子设备、馈电装置和馈电系统
JP2013172506A (ja) 非接触給電システム、非接触給電装置、非接触受電装置及び非接触給電方法
US10340740B2 (en) Power receiving unit, power transmission unit, and feed system
JP2010098861A (ja) 携帯電子機器の充電装置
JP2011035964A (ja) 充電装置及び充電システム
WO2013031054A1 (ja) 充電システム、電子機器、充電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30106707A (ko) 수전 장치의 위치 인식이 가능한 무접점 충전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0971734B1 (ko) 멀티무접점충전이 가능한 무접점전력전송장치
JP2008236887A (ja) 携帯装置用充電装置、携帯装置用充電装置の充電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