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4750B1 - 무선전력 및 무선제어신호 전송기능을 갖는 뜸치료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선전력 및 무선제어신호 전송기능을 갖는 뜸치료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4750B1
KR102024750B1 KR1020180157178A KR20180157178A KR102024750B1 KR 102024750 B1 KR102024750 B1 KR 102024750B1 KR 1020180157178 A KR1020180157178 A KR 1020180157178A KR 20180157178 A KR20180157178 A KR 20180157178A KR 102024750 B1 KR102024750 B1 KR 1020247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xibustion
temperature
cradle
power
contro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7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승업
구본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테크노싸이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테크노싸이언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테크노싸이언스
Priority to KR10201801571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47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47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47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6Devices for heating or cooling such points within cell-life lim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07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characterised by electric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07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characterised by electric heating
    • A61F2007/0077Details of power supply
    • A61F2007/0078Details of power supply with a batt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86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with a thermost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93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programm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94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using a remote 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95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with a temperature indicator
    • A61F2007/0096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with a temperature indicator with a thermome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21Mechanism for heating or cooling
    • A61H2201/0228Mechanism for heating or cooling heated by an electric resistance el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07Control means thereof computer controlled
    • A61H2201/501Control means thereof computer controlled connected to external computer devices or networ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8Sensors or detectors
    • A61H2201/5082Temperature sens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전력 및 무선제어신호 전송기능을 갖는 뜸치료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뜸기에 제공되어야 하는 전력과 동작 온도/시간 설정신호를 크래들에서 무선으로 전송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무선전력 및 무선제어신호 전송기능을 갖는 뜸치료 시스템{moxa syste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of power and control signal}
본 발명은 뜸치료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히는 전력과 동작 온도/시간 설정신호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뜸치료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뜸 치료는 쑥과 같은 뜸 재료를 연소하여 인체의 경혈 부위 피부를 온열로 자극하는 치료법으로 잘 알려져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쑥과 같은 뜸 재료를 연소하는 방식의 뜸 치료는 뜸 재료의 연소 과정에서 발생하는 연기가 눈의 가려움증을 유발하거나 치료 장소의 공기 오염을 유발하는 단점이 있고, 특히 인체의 피부에 가해지는 온열의 온도 조절이 쉽기 않기 때문에 과도한 온열 자극에 의하여 피부에 화상이나 발진 등이 유발되는 단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쑥과 같은 뜸 재료를 연소할 필요가 없고 온도 조절이 가능한 전열(electric heat)을 이용하여 전자식 뜸 치료기가 개발되어 있다.
예컨대, 특허문헌 1에 게시된 무선충전식 전자 뜸 치료기는 배터리에서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동작하여 발열하는 발열부와 로우(Lo)/하이(Hi)로 2단계 온도 조절이 가능한 온도조절스위치를 도면에 예시하고, 도면에 예시하지는 않았지만 다이얼식으로 온도조절스위치를 제작하여 다이얼을 돌려 온도를 높이거나 낮출 수 있게 구성할 수 있다는 기술을 언급하고 있다.
특허문헌 2에 게시된 전자식 뜸 치료기는 리튬 이온 전지와 같이 충전할 수 있는 2차 전지에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동작하여 발열하는 발열체와 강/중/약으로 3단계 온도 조절이 가능한 온도제어스위치를 도면에 예시하고 있다.
상기한 특허문헌 1 혹은 특허문헌 2에 게시된 종래의 전자식 뜸 치료기는 몸체에 온도조절스위치를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전자식 뜸 치료기를 소형화 및 경량화하는데 한계가 있고, 제작 단계에서 작동 시간이 미리 정해져 있는 타이머 스위치를 사용하므로 사용자가 임으로 작동 시간을 변경할 수 없는 불편함이 있다.
특허문헌 3에 게시된 전열을 이용하는 뜸 치료기는 이러한 특허문헌 1 혹은 특허문헌 2의 문제점을 해결한 발명으로 평가된다. 그러나 특허문헌 3은 뜸 치료기와 크래들의 충전단자와 통신단자를 각각 뜸 치료기와 크래들에 구비하여 이들이 기계적으로 접속한 후 충전과 동작 온도/시간설정 신호가 전송되므로 뜸 치료기가 크래들에 정확히 안착되어 뜸 치료기와 크래들의 충전단자와 통신단자가 각각 정확히 연결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뜸 치료기 하단에 충전단자와 통신단자를 구비하므로 뜸 치료기 하단과 동일한 부위에 구비되는 피부 접촉판을 제한적으로 구성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또한 피부 접촉판 전체를 가열수단으로 활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피부에 직접 접촉하는 뜸 치료기 하단에 충전단자와 통신단자를 동시에 구비하므로 위생상 문제점도 있다.
KR 10-1375762 B1 KR 10-1257843 B1 KR 10-1626421 B1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필요에 부응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뜸기에 제공되어야 하는 전력과 동작 온도/시간 설정신호를 크래들에서 무선으로 전송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뜸치료 시스템은 사용자에 의해 파지(把持)되어 이동하면서 신체 피부 상의 정해진 부위에 위치하게 되는 뜸기(100)와 상기 뜸기(100)에 충전과 동작 온도/시간 설정 신호를 제공하는 크래들(300)로 구성되는 뜸치료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뜸기(100)는 배터리(150), 발열부(120)와; 상기 발열부(120)의 온도 및 시간을 제어하는 뜸기제어부(110)와; 상기 크래들(300)로부터 무선 송출되는 전력을 수신하여 충전회로(170)로 전송하고, 상기 크래들(300)로부터 무선 전송되는 동작 온도/시간 설정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뜸기제어부(110)에 전송하는 수신모듈(160)과; 몸체 하단에 자성체(190);를 구비하고, 상기 크래들(300)은, 상기 뜸기(100)에 전력과 동작 온도/시간 설정 신호를 무선으로 송출하는 송신모듈(360)과; 온도조절스위치(330) 및 시간조절스위치(340)에 의해 온도/시간을 상승 혹은 하강하는 온도/시간 설정신호를 상기 송신모듈(360)로 전송하는 크래들제어부(350)와; 상기 크래들제어부(350)의 동작온도/시간설정 값을 표시하는 동작온도 설정표시기(310) 및 동작시간 설정표시기(320)와; 상기 자성체(190)의 근접을 인식하는 홀센서(38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뜸치료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수신모듈(160)은 충전용 검파수단(161), 동작 온도/시간 설정신호 검파수단(162) 및 수신용 코일(163)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뜸치료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수신모듈(160)은 1개의 코일로 상기 송신모듈(360)로부터 전력 및 동작 온도/시간 설정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뜸치료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뜸기(100)는 상기 발열부(120)가 정해진 발열 온도와 정해진 발열 작동 시간으로 작동하는 동안 발열체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130)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뜸치료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송신모듈(360)은 PWM 발진부(361), 전력송출부(362), 송신용 코일(363)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뜸치료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송신모듈(360)는 1개의 코일로 전력 및 동작 온도/시간 설정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뜸치료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크래들(300)은 별도의 아답터를 이용한 직류전원으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PWM 발진부(361)는 직류전원을 쵸핑(chopping)하여 전력송출부(362)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뜸치료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뜸기제어부(110)는 발열부(120))의 발열 작동 시간을 정해진 발열 온도를 기준으로 온도 상승 구간, 온도 유지 구간, 온도 하강 구간으로 구분하여 구간별 뜸기의 온도 변화 상태를 표시등으로 표시하고, 발열 작동 개시 직후부터 정해진 발열 온도에 도달하기 직전까지를 온도 상승 구간으로 산정하고, 산정한 온도 상승 구간을 기준으로 온도 유지 구간과 온도 하강 구간으로 자동으로 산정하여 발열부(120)의 동작온도와 동작시간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뜸치료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크래들(300)은 표면 상에 형성되고, 상기 뜸기(100)가 삽입되어 장착되도록 일정 깊이의 장착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뜸치료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뜸기(100)가 상기 크래들(300)은 표면 상에 놓인 경우 상기 뜸기(100)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돌기가 상기 크래들(300)은 표면 상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뜸치료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크래들(300)은 상기 뜸기(100)가 복수개인 경우 상기 뜸기(100) 각각이 놓이는 위치에 상기 홀센서(380) 및 상기 송신모듈(360)을 각각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뜸치료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크래들(300)은 상기 홀센서(380)가 상기 자성체(190)을 인식하는 경우 이를 표시하는 홀센서 동작표시부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장되어 있는 배터리의 충전방식이 무선 전력전송방식이므로 충전이 매우 간편하다. 또한 동작 온도/시간 설정 신호를 크래들에서 뜸기로 무선으로 전송하므로 별도의 통신단자가 필요 없고, 무선방식으로 전송되므로 뜸기가 크래들에 밀착되어야 할 필요가 없어 충전 및 통신과정에 오류가 개선된다. 나아가 충전단자 및 통신단자를 제거함으로써 피부 접촉판을 온전히 활용할 수 있고, 피부 접촉판의 위생문제도 개선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뜸기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크래들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크래들 블록도로 복수의 뜸기를 장착하는 경우의 볼록도
도 4는 PWM발진부출력이 구형파에 의해 단속된 파형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에 따른 뜸치료 시스템은 하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기술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범위까지 그 기술적 정신이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뜸치료 시스템은 사용자에 의해 파지(把持)되어 이동하면서 신체 피부 상의 정해진 부위에 위치하게 되는 도 1의 뜸기(100)와 상기 뜸기(100)에 충전과 동작 온도/시간 설정 신호를 제공하는 도 2의 크래들(300)로 구성된다.
상기 뜸기(100)는 뜸기제어부(110), 발열부(120), 온도센서(130), 동작표시부(140), 배터리(150), 수신모듈(160), 충전회로(170), 평판체형 피부접촉판(180) 및 자성체(190)로 구성된다.
상기 뜸기제어부(110)는 EPROM(Erasable PROM) 등의 프로그램어블(programmable) 제어기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뜸기제어부(110)는 별도의 외부 프로그램 편집기 혹은 컴퓨터에 의해 뜸기제어부(110)에 내장된 프로그램을 편집할 수 있다. 상기 뜸기제어부(110)는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 발열부(120)의 발열 작동 시간을 정해진 발열 온도를 기준으로 온도 상승 구간, 온도 유지 구간, 온도 하강 구간으로 구분하여 구간별 뜸기의 온도 변화 상태를 동작표시부(140)로 표시하고, 발열 작동 개시 직후부터 정해진 발열 온도에 도달하기 직전까지를 온도 상승 구간으로 산정하고, 산정한 온도 상승 구간을 기준으로 온도 유지 구간과 온도 하강 구간으로 자동으로 산정하여 발열부(120)의 동작온도와 동작시간을 제어한다.
상기 발열부(120)는 상기 평판체형 피부접촉판(180)으로 열기가 전도될 수 있도록 나노면상발열체(NPHE; Nano planar heating elements) 혹은 정저항온도계수 특성의 PTC 히터(positivetemperaturecoefficient heater) 등을 사용하여 온도 자동 조절기능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온도센서(130)는 상기 발열부(120)가 정해진 발열 온도와 정해진 발열 작동 시간으로 작동하는 동안 상기 발열부(120)의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뜸기제어부(110)에 전송한다.
사용자가 상기 뜸기(100)에 부착된 동작 스위치를 누르면 뜸기동작표시부(140)는 상기 뜸기제어부(110)에서 프로그램된 형태로 온도 상승 구간에서는 적색 LED를 점멸하고 진행시간에 따라 온도 유지 구간에서는 적색 LED를 점등하며, 온도하강 구간에서는 녹색 LED를 점멸한다.
상기 뜸기동작표시부(140)는 뜸기의 충전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뜸기(100)를 크래들의 장착구에 장착하고 배터리의 전압 혹은 전류를 측정하여 기준치 이상이면 상기 뜸기동작표시부(140)의 녹색 LED를 점등한다. 기준치 이하이면 상기 뜸기동작표시부(140)의 적색 LED를 점등한다. 또한 뜸기(100)가 충전이 완료되면 뜸기(100)의 뜸기동작표시부(140)의 적색 LED가 소등되게 한다.
상기 뜸기제어부(110)는 상기 배터리(150) 전압을 측정하여 기준치 이하이면 상기 발열부(120)의 발열동작을 중지시킴으로써 상기 배터리(150)의 완전 방전을 차단시킬 수 있다.
상기 배터리(150)의 전류는 뜸기제어부(110)의 프로세서에 따라 발열부(120)로 흐르고 사용후 배터리(150)가 방전되면 뜸기(100)를 크래들(300)에 위치시켜 배터리(150)를 충전한다.
상기 수신모듈(160)은 상기 크래들(300)로부터 무선 송출되는 전력을 수신하여 상기 배터리(150)을 충전하는 충전회로(170)로 전송하고, 상기 크래들(300)로부터 무선 전송되는 동작 온도/시간 설정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뜸기제어부(110)에 전송한다.
상기 수신모듈(160)는 송신모듈(360)에서 출력된 전자기력에 감응하여 전자기 유도현상에 의해 유도전류를 발생하고 이를 충전회로(170)를 거쳐 배터리(150)에 전력을 공급하게 하여 배터리(150)를 충전시킨다.
상기 수신모듈(160)은 내부에 수신용 코일(163)을 구비하며 또한 충전용 검파수단(161)과 동작 온도/시간 설정신호 검파수단(162)을 구비한다.
상기 수신모듈(160)의 수신용 코일(163)은 1개(단일)의 코일로 상기 송신모듈(360)로부터 전력 및 동작 온도/시간 설정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수신용 코일(163)은 직사각형 형태의 코일 뭉치로 된 수신 ANT이며, 충전용 검파수단(161)은 크래들(300)의 무선전력을 검파하며 충전회로(170)에 전송하여 배터리(150)를 충전시키고, 동작 온도/시간 설정신호 검파수단(163)은 수신모듈(160)의 출력신호 중 동작 온도/시간 설정 신호를 검파하여 뜸기제어부(110)에 전송한다.
상기 평판체형 피부접촉판(180)은 발열부(120)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신체 피부에 대한 온열자극을 도모하며 세라믹 판으로 구성할 수 있다.
자성체는(190)는 각각의 뜸기(100)상에 부착하는 것으로 뜸기(100)를 크래들(300)의 장착구에 장착하거나, 크래들(300) 표면 상의 정해진 위치에 놓일 때 크래들(300)이 각각 개별적으로 뜸기(100)를 인식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크래들(300)은 동작온도 설정표시기(310), 동작시간 설정표시기(320), 온도조절스위치(330), 시간조절스위치(340), 크래들제어부(350), 송신모듈(360), 홀센서(380)로 구성된다.
상기 크래들(300)은 전기 안전상의 이유로 별도의 어댑터를 이용한 직류전원을 이용할 수 있으며, 직류전원은 PWM 발진부(361)의 전원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300)은 상기 뜸기(100)가 충전되는 동안 상기 뜸기(100)의 충전상태를 표시하는 충전표시등을 각각의 장착구 근처에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크래들(300)은 표면 상에 형성되고, 상기 뜸기(100)가 삽입되어 장착되도록 일정 깊이의 장착구를 형성할 수 있다. 장착구는 1개일 수도 있고, 복수개로 구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뜸치료 시스템은 1개의 뜸기(100)만을 채택할 수도 있고 복수의 뜸기(100)를 상기 크래들(300)에 장착할 수도 있다.
상기 크래들(300)에는 상기 뜸기(100)가 상기 크래들(300)은 표면 상에 놓인 경우 상기 뜸기(100)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돌기를 상기 크래들(300) 표면 상에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크래들(300)은 사용되는 뜸기(100)가 복수개인 경우 상기 뜸기(100) 각각이 놓이는 위치에 상기 홀센서(380) 및 상기 송신모듈(360)을 각각 배치한다.
상기 뜸기(100)가 상기 크래들(300)의 정해진 위치에 올려졌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크래들(300)은 상기 홀센서(380)가 상기 자성체(190)을 인식하는 경우 이를 표시하는 홀센서 동작표시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동작온도 설정표시기(310) 및 동작시간 설정표시기(320)는 상기 크래들제어부(350)의 동작온도/시간설정신호를 표시한다.
사용자는 상기 온도조절스위치(330) 및 시간조절스위치(340)를 조작하여 온도/시간을 상승 혹은 하강하는 온도/시간조절신호를 상기 크래들제어부(350)에 전송한다. 이 경우 부저를 이용하여 KEY 입력이 있을 때 또는 세팅 완료시 사용자에 BEEP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크래들제어부(350)는 상기 온도조절스위치(330) 및 시간조절스위치(340)에 의한 뜸기(100)의 동작온도 및 동작시간 설정 신호를 송신모듈(360)로 전송하고 이를 상기 동작온도 설정표시기(310) 및 동작시간 설정표시기(320)에 표시토록 한다.
상기 송신모듈(360)은 상기 뜸기(100)의 수신모듈(160)에 전력과 동작 온도/시간 설정 신호를 무선으로 송출하며, 1개의 코일로 전력 및 동작 온도/시간 설정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송신모듈(360)에 전력이 인가되면 송신모듈(360)의 내부의 코일에서 전자기장이 발생하고, 송신모듈(360)의 전자기력이 수신모듈(160)의 코일에 전달되어, 유도전류를 발생하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전자기유도방식을 통한 전력의 전송은 무선전력전송방식으로서 종전의 충전용 케이블이나 커넥터 등을 필요치 않아 전체적인 구성이 매우 간결하다.
상기 송신모듈(360)은 풀 브릿지(full bridge)로 구성되며, 내부에 PWM 발진부(361), 전력송출부(362) 및 송신용 코일(363)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PWM 발진부(361)는 CMOS LOGIC IC를 사용하고, 발진 주파수는 50KHz ~ 100KHz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전력송출부(362)는 반이중통신(HALF DUPLEX)용 IC 2개를 사용하여 송신 ANT를 구동하게 할 수 있다. 송신 ANT의 송신용 코일(363)은 직사각형 형태의 코일 뭉치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크래들제어부(350)는 동작온도/시간 설정 신호에 따라 전력송출부(362)를 제어하며 동작온도/시간 설정 신호를 수신모듈(160)로 전송하게 할 수 있다. 즉 PWM 발진부(361)로부터 입력되는 전력 주파수(50KHz ~ 100KHz)를 단속함으로써 전력송출부(362)의 출력에 동작온도/시간 설정 신호를 포함시킬 수 있다.
크래들제어부(350)가 full bridge의 인에이블(enable)을 제어하고 소정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를 단속하여 동작 온도/시간 설정신호를 전송한다. 예를 들어 100KHz의 PWM으로 송신모듈(360)의 전력을 전송하는 도중에 동작 온도/시간 설정신호에 따라 PWM 전력전송을 단속하면 이러한 변화가 온도/시간 조절신호 데이터가 된다. 도 4는 PWM발진부 출력이 구형파에 의해 단속된 파형을 보여준다.
뜸기(100)에 설치된 수신모듈(160)의 수신용 코일(163)은 이를 수신하고, 동작 온도/시간 설정신호 검파수단(162)은 동작 온도 및 시간설정신호를 검파하여 뜸기제어부(110)에 전송한다. 따라서 뜸기제어부(110)는 프로그램된 형태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 및 온도를 설정한다. 따라서 송신모듈(360)이 구비하는 1개의 코일 및 수신모듈(160)이 구비하는 1개의 코일로 전력 및 동작 온도/시간 설정 신호를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온도조절스위치(330) 및 시간조절스위치(340)를 이용하여 원하는 온도/시간을 세팅하여 온도상승/하강스위치 및 시간상승/하강스위치 중 어느 하나의 스위치를 기준시간보다 길게 누르면, 상기 크래들제어부(350)는 이를 전송요청으로 간주하고 세팅된 동작온도/시간 설정 신호에 따라 전력송출부(362)를 단속하여 동작온도/시간 설정 신호를 수신모듈(160)로 전송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전력송출부(362)가 복수개인 경우 상기 크래들제어부(350)는 동작온도/시간 설정 신호를 동시에 상기 전력송출부(362)에 전송하거나 혹은 순차대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크래들(300)은 전기 안전상의 이유로 별도의 어댑터를 이용한 직류전원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PWM 발진부(361)는 직류전원을 쵸핑(chopping)하여 전력송출부(362)로 전송한다.
상기 홀센서(380)는 상기 자성체(190)의 근접을 인식하여 상기 뜸기(100)가 크래들(300)의 장착구에 장착되었거나, 상기 크래들(300)의 정해진 위치에 놓였음을 상기 크래들제어부(350)에 알려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뜸기(100)가 크래들(300)의 장착구에 장착되었다고 인식하면 상기 크래들제어부(350)는 상기 송신모듈(360)을 구동하여 PWM 전력을 상기 뜸기(100)의 수신모듈(160)에 무선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즉 상기 크래들제어부(350)는 전력송출부(362)의 구동 시작 신호인 인에이블신호(enable)를 LOW으로 하여 전력 송출을 시작하게 할 수 있고, 크래들(300)에서 뜸기(100)가 이탈시에는 즉시 인에이블 신호를 H로 하여 전력 송출을 멈추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충전 혹은 동작 온도/시간 설정이 필요한 뜸기(100)만을 상기 크래들(300)의 장착구에 장착하거나, 상기 크래들(300)의 정해진 위치에 배치하여 충전을 하거나 동작 온도/시간 설정을 할 수 있다.
뜸기(100) 뜸기제어부(110)
발열부(120) 온도센서(130)
동작표시부(140) 배터리(150)
수신모듈(160) 충전용 검파수단(161)
동작 온도/시간 설정신호 검파수단(162)
수신용 코일(163) 충전회로(170)
피부 접촉판(180) 자성체(190)
크래들(300) 동작온도 설정표시기(310)
동작시간 설정표시기(320) 온도조절스위치(330)
시간조절스위치(340) 크래들제어부(350)
송신모듈(360) PWM 발진부(361)
전력송출부(362) 송신용 코일(363)
홀센서(380)

Claims (11)

  1. 사용자에 의해 파지(把持)되어 이동하면서 신체 피부 상의 정해진 부위에 위치하게 되는 뜸기(100)와 상기 뜸기(100)에 충전과 동작 온도 및 시간 설정 신호를 제공하는 크래들(300)로 구성되는 뜸치료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뜸기(100)는
    배터리(150), 발열부(120)와;
    상기 발열부(120)의 온도 및 시간을 제어하는 뜸기제어부(110)와;
    상기 크래들(300)로부터 무선 송출되는 전력을 수신하여 충전회로(170)로 전송하고, 상기 크래들(300)로부터 무선 전송되는 동작 온도 및 시간 설정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뜸기제어부(110)에 전송하는 수신모듈(160)과;
    몸체 하단에 자성체(190);를 구비하고,
    상기 크래들(300)은
    상기 뜸기(100)에 전력과 동작 온도 및 시간 설정 신호를 무선으로 송출하는 송신모듈(360)과;
    상기 자성체(190)의 근접을 인식하는 홀센서(380)와;
    온도조절스위치(330) 및 시간조절스위치(340)에 의한 온도 및 시간조절신호를 상기 송신모듈(360)로 전송하고, 상기 홀센서(380)의 신호에 따라 상기 송신모듈(360)을 제어하는 크래들제어부(350)과;
    상기 크래들제어부(350)의 동작 온도 설정값을 표시하는 동작온도 설정표시기(310) 및 동작 시간 설정값을 표시하는 동작시간 설정표시기(3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 및 무선제어신호 전송기능을 갖는 뜸치료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모듈(160)은 충전용 검파수단(161), 동작 온도 및 시간 설정신호 검파수단(162) 및 수신용 코일(163)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 및 무선제어신호 전송기능을 갖는 뜸치료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모듈(160)은 1개의 코일로 상기 송신모듈(360)로부터 전력 및 동작 온도 및 시간 설정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 및 무선제어신호 전송기능을 갖는 뜸치료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뜸기(100)는 상기 발열부(120)가 정해진 발열 온도와 정해진 발열 작동 시간으로 작동하는 동안 발열체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130)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 및 무선제어신호 전송기능을 갖는 뜸치료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모듈(360)은 PWM 발진부(361), 전력송출부(362) 및 송신용 코일(363)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 및 무선제어신호 전송기능을 갖는 뜸치료 시스템
  6. 제1항 또는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모듈(360)은 1개의 코일로 전력 및 동작 온도 및 시간 설정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 및 무선제어신호 전송기능을 갖는 뜸치료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뜸기제어부(110)는 발열부(120)의 발열 작동 시간을 정해진 발열 온도를 기준으로 온도 상승 구간, 온도 유지 구간, 온도 하강 구간으로 구분하여 구간별 뜸기의 온도 변화 상태를 표시등으로 표시하고, 발열 작동 개시 직후부터 정해진 발열 온도에 도달하기 직전까지를 온도 상승 구간으로 산정하고, 산정한 온도 상승 구간을 기준으로 온도 유지 구간과 온도 하강 구간으로 자동으로 산정하여 발열부(120)의 동작온도와 동작시간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 및 무선제어신호 전송기능을 갖는 뜸치료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래들(300)은 표면 상에 형성되고, 상기 뜸기(100)가 삽입되어 장착되도록 하는 일정 깊이의 장착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 및 무선제어신호 전송기능을 갖는 뜸치료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뜸기(100)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돌기가 상기 크래들(300)의 표면 상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 및 무선제어신호 전송기능을 갖는 뜸치료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래들(300)은 상기 뜸기(100)가 복수개인 경우 상기 뜸기(100) 각각이 놓이는 위치에 상기 홀센서(380) 및 상기 송신모듈(360)을 각각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 및 무선제어신호 전송기능을 갖는 뜸치료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래들(300)은 상기 홀센서(380)가 상기 자성체(190)을 인식하는 경우 이를 표시하는 홀센서 동작표시부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 및 무선제어신호 전송기능을 갖는 뜸치료 시스템
KR1020180157178A 2018-12-07 2018-12-07 무선전력 및 무선제어신호 전송기능을 갖는 뜸치료 시스템 KR1020247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7178A KR102024750B1 (ko) 2018-12-07 2018-12-07 무선전력 및 무선제어신호 전송기능을 갖는 뜸치료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7178A KR102024750B1 (ko) 2018-12-07 2018-12-07 무선전력 및 무선제어신호 전송기능을 갖는 뜸치료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4750B1 true KR102024750B1 (ko) 2019-10-01

Family

ID=68207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7178A KR102024750B1 (ko) 2018-12-07 2018-12-07 무선전력 및 무선제어신호 전송기능을 갖는 뜸치료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47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3495A (ko) * 2021-05-11 2023-07-31 (주)바롬코리아 전자식 온구기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7843B1 (ko) 2011-03-08 2013-04-24 (주)피엔유동제메디칼 전자식 구치료기를 이용한 구치료 시스템
KR20130095497A (ko) * 2012-02-20 2013-08-28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충전식 전자 뜸 치료기 및 이를 갖는 뜸 치료기 세트
JP5592908B2 (ja) * 2012-02-23 2014-09-17 興研株式会社 呼吸用保護具
KR101626421B1 (ko) 2015-08-24 2016-06-13 주식회사 테크노싸이언스 전열을 이용하는 뜸 치료기
KR20170057031A (ko) * 2015-11-16 2017-05-24 주식회사 핀크래프트엔지니어링 무선충전 시스템이 적용된 저주파 발생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7843B1 (ko) 2011-03-08 2013-04-24 (주)피엔유동제메디칼 전자식 구치료기를 이용한 구치료 시스템
KR20130095497A (ko) * 2012-02-20 2013-08-28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충전식 전자 뜸 치료기 및 이를 갖는 뜸 치료기 세트
KR101375762B1 (ko) 2012-02-20 2014-03-18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충전식 전자 뜸 치료기 및 이를 갖는 뜸 치료기 세트
JP5592908B2 (ja) * 2012-02-23 2014-09-17 興研株式会社 呼吸用保護具
KR101626421B1 (ko) 2015-08-24 2016-06-13 주식회사 테크노싸이언스 전열을 이용하는 뜸 치료기
KR20170057031A (ko) * 2015-11-16 2017-05-24 주식회사 핀크래프트엔지니어링 무선충전 시스템이 적용된 저주파 발생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3495A (ko) * 2021-05-11 2023-07-31 (주)바롬코리아 전자식 온구기 시스템
KR102627779B1 (ko) 2021-05-11 2024-01-23 (주)바롬코리아 전자식 온구기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2228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atient control of stimulation systems
US9586054B2 (en) Automatic on-off charger for an implantable medical device
KR101683569B1 (ko) 세라믹을 이용한 전자식 뜸 장치
KR101626421B1 (ko) 전열을 이용하는 뜸 치료기
CN103782481B (zh) 非接触受电装置及非接触电力传送装置
WO2017026646A1 (ko) 스마트 언더렌지용 조리용기 받침장치
KR102024752B1 (ko) 무선전송 및 웨이크업신호를 이용한 뜸치료 시스템
KR102024750B1 (ko) 무선전력 및 무선제어신호 전송기능을 갖는 뜸치료 시스템
KR101918563B1 (ko) 저주파자극기
KR101634984B1 (ko) 전열을 이용하는 뜸 치료기용 충전기
JP2003510146A (ja) 電気毛布制御システム
KR102024743B1 (ko) 웨이크업신호를 이용한 뜸치료 시스템
KR20200082050A (ko) 스마트 전자식 뜸기
TWM491448U (zh) 醫療植入裝置及其系統
CN109125053B (zh) 一种智能电子热疗贴
KR102139680B1 (ko) 전자식 뜸 장치
KR101735448B1 (ko) 뜸 치료용 발열체 및 이를 이용한 뜸 치료기
CN211674835U (zh) 一种足部高频热疗仪
CN213490526U (zh) 一种具有温度调控功能的暖灸宝
KR200438732Y1 (ko) 초음파 및 저주파 치료기
CN203802799U (zh) 便携式电子艾灸仪
CN213311659U (zh) 一种磁脉冲温灸仪
CN213457729U (zh) 一种电位温热治疗仪的控制器
CN212141168U (zh) 远红外光针灸床垫
CN202858863U (zh) 饮水机红外遥控温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