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4605B1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4605B1
KR102024605B1 KR1020170059066A KR20170059066A KR102024605B1 KR 102024605 B1 KR102024605 B1 KR 102024605B1 KR 1020170059066 A KR1020170059066 A KR 1020170059066A KR 20170059066 A KR20170059066 A KR 20170059066A KR 102024605 B1 KR102024605 B1 KR 1020246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refrigerant pipe
refrigerant
compressor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90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4478A (ko
Inventor
박찬수
박귀근
백영진
이원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590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4605B1/ko
Publication of KR201801244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44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46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46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6Refrigerant piping
    • F24F1/34Protection means thereof, e.g. covers for refrigerant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02Energy absorbers; Noise absorbers
    • F16L55/033Noise absorbers
    • F16L55/0335Noise absorbers by means of external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04Devices damping pulsations or vibrations in fluids
    • F16L55/041Devices damping pulsations or vibrations in fluids specially adapted for preventing vibr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6Refrigerant piping
    • F24F1/32Refrigerant piping for connecting the separate outdoor units to indo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24F2013/245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using reson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냉매를 압축하도록 형성된 압축기; 압축기로부터 토출된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 상기 응축기를 경유한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밸브; 상기 팽창밸브에서 팽창된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 상기 압축기로부터 토출된 냉매를 응축기, 팽창밸브 및 증발기로 순차적으로 안내하는 냉매배관; 및 상기 냉매배관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코어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코어조립체는 상기 냉매배관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탄성 밸런서와 상기 탄성 밸런서를 둘러싸는 코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냉매배관에 착탈 가능한 밸런서를 이용하여 압축기의 구동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을 저감시킴과 동시에 냉매배관을 통해 전달되는 전도성 노이즈에 의한 EMI를 저감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냉매가 외부 공기로 열을 방출하여 응축하는 응축기,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밸브, 및 냉매가 외부 공기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증발하는 증발기를 포함한다.
상기 압축기는 모터와 블레이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모터에 의해 블레이드가 회전되면서 냉매를 압축시키도록 형성된다.
공기조화기에서 상기 압축기는 냉매를 순환시키기 위한 필수적인 구성에 해당한다. 공기조화기는 구동되면서 진동이 발생되며, 공기조화기에서 발생된 진동은 냉매배관에 전달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압축기가 구동되면, 상기 압축기 자체에서 진동 및 전도성 노이즈(예를 들어, DM 노이즈)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압축기의 구동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압축기에 연결된 냉매배관의 형상이 변형되거나 냉매배관이 손상될 수 있다. 상기 냉매배관의 손상은 공기조화기의 성능저하의 원인이 되며, 냉매 유출 또는 유실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또한, 압축기의 구동에 의해 발생되는 전도성 노이즈는 제어부의 오작동을 유발하거나 제어부를 손상시킬 수 있다. 이렇게 전자기기에서 발생하는 노이즈에 의해 다른 전자기기가 방해받는 상태를 전자 방해 잡음(즉, EMI, Electro Magnetic Interference)이라고 한다.
따라서, 국가별로 조금씩 기준이 상이하기는 하나 전기제품의 EMI에 해단 규제가 마련되어 있다. 인체에도 유해하며 제품 성능에도 악영향을 미치는 EMI를 저감하기 위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예를 들어, 코어를 이용하여 임피던스를 상승시켜서 전도성 노이즈를 저감하기 위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02031호(이하, "종래 공기조화기" 라고 한다)는 공기조화기에 적용되는 코어를 개시하고 있다. 도 1은 코어조립체를 구비하는 종래의 공기조화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코어 조립체를 포함하고, 코어조립체(1)는 냉매배관과 실내기의 연결부 사이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코어조립체(1)는 연결관(2) 및 상기 연결관을 감싸는 코어(3)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연결관(2)의 일 단부가 실내기 연결부(4)에 결합되고 상기 연결관(2)의 타 단부가 냉매배관(5)에 결합된다.
이러한 종래의 공기조화기에 따르면, 코어(3)의 조립을 위해 연결관(2)의 구성이 별도로 필요하므로 가격 상승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압축기 등의 구동에 의해 냉매배관(5)이 진동하면, 상기 연결관(2)과 실내기 연결부(4)의 사이의 결합 또는 상기 연결관(2)과 상기 냉매배관(5)의 사이의 결합이 견고하게 유지되지 않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연결관(2)을 통해 전달되는 진동 및 열에 그대로 노출되어 있으므로, 상기 진동 및 열에 의해 코어(3) 자체가 손상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코어를 냉매배관에 결합된 탄성 밸런서에 고정하여 진동 및 EMI를 저감시킴과 동시에 제품의 단가 상승을 억제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냉매배관의 진동에도 코어가 분리되지 않고 견고히 결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냉매배관으로부터 코어로 전달되는 진동 및 열을 차단하여 코어의 변형 또는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냉매를 압축하도록 형성된 압축기; 압축기로부터 토출된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 상기 응축기를 경유한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밸브; 상기 팽창밸브에서 팽창된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 상기 압축기로부터 토출된 냉매를 응축기, 팽창밸브 및 증발기로 순차적으로 안내하는 냉매배관; 및 상기 냉매배관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코어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코어조립체는 상기 냉매배관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탄성 밸런서와 상기 탄성 밸런서를 둘러싸는 코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 상기 탄성 밸런서는 고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매배관은 상기 압축기로 유입되는 냉매를 안내하는 제1냉매배관 및 상기 압축기로부터 토출되는 냉매를 안내하는 제2냉매배관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코어조립체는 상기 제1냉매배관 및 상기 제2냉매배관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코어조립체는 상기 압축기의 유입구 측에 결합되는 상기 제1냉매배관의 단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코어조립체는 상기 압축기의 토출구 측에 결합되는 상기 제2냉매배관의 단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밸런서는 상기 냉매배관의 전체를 둘레를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코어는 상기 탄성 밸런서의 전체 둘레를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밸런서를 상기 냉매배관의 둘레에 고정함과 동시에 상기 코어를 상기 탄성 밸런서의 둘레에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코어 둘레에 고정 스트립이 체결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밸런서의 둘레에는 상기 코어의 배치를 위한 오목부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오목부는 상기 탄성 밸런서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밸런서는 상기 오목부의 바닥을 구획하는 바닥면 및 상기 오목부의 전후방향 양 단부를 구획하는 돌출부들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들은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탄성 밸런서의 반경방향 외측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돌출부들은 상기 탄성 밸런서의 길이방향 일 단부에 구비되는 제1돌출부 및 상기 탄성 밸런서의 길이방향 타 단부에 구비되는 제2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돌출부와 상기 제2돌출부의 높이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들은 상기 코어의 길이방향 양 단부와 접하고, 상기 돌출부들의 높이는 상기 코어의 두께보다 클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1돌출부와 상기 제2돌출부의 높이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제1돌출부 및 상기 제2돌출부 중 하나의 높이는 상기 코어의 두께보다 클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돌출부 및 상기 제2돌출부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코어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코어를 냉매배관에 결합된 탄성 밸런서에 고정하여 진동 및 EMI를 저감시킴과 동시에 제품의 단가 상승을 억제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냉매배관의 진동에도 코어가 분리되지 않고 견고히 결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냉매배관으로부터 코어로 전달되는 진동 및 열을 차단하여 코어의 변형 또는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공기조화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서 탄성 밸런서와 코어의 A-A 방향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도 2에서 탄성 밸런서와 코어의 B-B 방향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칸성 밸런서와 코어의 B-B 방향 단면도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시된 각 구성 부재의 크기 및 형상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10)는 압축기(100), 실내열교환기(200), 팽창밸브(300), 실외열교환기(400) 및 냉매배관(800)을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I"는 실내기를 나타내고 "O"는 실외기를 나타낼 수 있다.
압축기(100)는 냉매를 압축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압축기(100)는 저온 저아의 냉매를 가압하여 고온 고압의 냉매로 만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100)는 공기조화기(10) 내에 하나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100)가 공기조화기(10) 내에 복수 개 구비되는 경우, 복수 개의 압축기는 냉매의 유동방향을 따라서 직렬 및/또는 병렬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실내열교환기(200)는 실내 공기와 열교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실내열교환기(200)는 실내 공기와 상기 실내열교환기(200) 내로 유동하는 냉매가 열교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실내열교환기(200)는 공기조화기(100)의 냉방 모드에서 증발기의 기능을 수행하고, 난방 모드에서 응축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실외열교환기(400)는 실외 공기와 열교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실외열교환기(400)는 실외 공기와 상기 실외열교환기(400) 내로 유동하는 냉매가 열교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실외열교환기(400)는 공기조화기(100)의 냉방 모드에서 응축기의 기능을 수행하고, 난방 모드에서 증발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실내열교환기(200) 및 실외열교환기(400)는 핀-튜브 방식의 열교환기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내열교환기(200) 측에는 실내 팬(210)이 마련될 수 있고, 상기 실외 열교환기(400) 측에는 실외 팬(410)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팽창밸브(300)는 액상 냉매를 팽창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팽창밸브(300)는 응축기를 통과한 냉매를 팽창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팽창밸브(300)는 증발기로 유입되기 전에 냉매를 팽창시킬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10)는 냉방 모드와 난방 모드가 전환될 때, 냉매의 순환방향을 전환시키기 위한 유로전환밸브(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로전환밸브는 4방 밸브(four-way valve)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유로전환밸브(600)는 냉방모드에서 압축기(100)로부터 토출된 냉매를 실외기로 안내하고, 난방모드에서 압축기(100)로부터 토출된 냉매를 실내기로 안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매배관(800)은 상기 압축기(100)로부터 토출된 냉매를 응축기, 팽창밸브 및 증발기로 안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매배관(800)은 압축기(100)로 유입되는 냉매를 안내하는 제1냉매배관(801) 및 상기 압축기(100)로부터 토출되는 냉매를 안내하는 제2냉매배관(802)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별도의 설명이 없더라도, 상기 냉매배관(800)은 응축기와 팽창밸브 사이 및 상기 팽창밸브와 증발기 사이에도 구비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상기 압축기(100)의 일측에는 어큐뮬레이터(5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어큐뮬레이터(500)는 상기 압축기(100)를 향하는 냉매를 기상 냉매와 액상 냉매로 분리하고, 기상 냉매만 상기 압축기(100)로 공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압축기(100)가 구동되면, 압축기(100)로부터 전도성 노이즈가 발생될 수 있다. 압축기(100)에서 발생된 전도성 노이즈는 상기 냉매배관(800)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압축기(100)의 구동에 의해 발생된 전도성 노이즈는 인체에 유해한 전자파를 포함하여 전기제품의 전자파 규제 한도를 초과할 경우 제품의 판매 자체가 불가능해질 수 있다.
또한, 전도성 노이즈는 EMI 발생의 원인이 되어, 압축기(100), 팽창밸브(300) 및 유로전환밸브 등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의 오작동을 유발하거나, 상기 제어부를 손상시켜 제어부의 수명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전도성 노이즈의 차단을 위하여(즉, EMI의 저감을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0)는 냉매배관(800)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코어조립체(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어조립체(700)는 상기 냉매배관(800)의 임피던스를 상승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코어조립체(700)에 의해 압축기(100)에서 발생되어 냉매배관(800)을 통해 안내되는 전도성 노이즈가 차단 또는 저감될 수 있다.
이하, 다른 도면을 함께 참조하여, 상기 코어조립체(700)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도 2에서 탄성 밸런서와 코어의 A-A 방향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2 및 3을 함께 참조하면, 구체적으로, 상기 코어조립체(700)는 탄성 밸런서(710) 및 코어(73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탄성 밸런서(710)는 고무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코어(730)는 페라이트, 니켈 및 나노크리스탈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밸런서(710)는 상기 냉매배관(800)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냉매배관(800)에서 진동에 취약한 부분에 탄성 밸런서(710)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압축기(100)의 유입구(101) 및 토출구(102)에 결합되는 냉매배관이 진동에 취약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탄성 밸런서(710)는 압축기(100)의 유입구(101) 및 토출구(102)에 근접한 위치에서 냉매배관(800)의 일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탄성 밸런서(710)에 의해 냉매배관(800)에서 진동에 취약한 부분의 진동이 저감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압축기(100)의 유입구(101) 및 토출구(102)에 근접한 위치 이외에도, 냉매배관(800)에서 진동에 취약한 부분 또는 위치에는 상기 탄성 밸런서(710)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코어(730)는 상기 탄성 밸런서(710)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탄성 밸런서(710)가 배치되는 압축기(100)의 유입구(101) 및 토출구(102)에 근접한 위치는 압축기(100)에서 발생되는 전도성 노이즈를 차단 또는 저감하기에도 적합하다.
상기 코어(730)에 의해 상기 냉매배관(800)의 임피던스가 상승될 수 있으며, 상기 냉매배관(800)을 통해 안내되는 전도성 노이즈가 저감될 수 있다.
또한, 진동의 저감을 위해 설치되는 탄성 밸런서(710)에 코어(730)를 결합하므로, 코어(730)의 결합을 위한 종래의 연결관과 같은 별도의 구성이 필요 없게 되어 제품의 단가를 낮출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압축기(100)의 구동에 의해 냉매배관(800)으로 전달되는 진동과 전도성 노이즈 모두는 상기 코어조립체(700)에 의해 차단 또는 저감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술한 냉매배관(800)은 제1냉매배관(801) 및 제2냉매배관(80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냉매배관(801)은 상기 압축기(100)로 유입되는 냉매를 안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냉매배관(802)은 상기 압축기(100)로부터 토출되는 냉매를 안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냉매배관(801)의 일 단부는 상기 압축기(100)의 유입구(101)에 연결되고, 상기 제2냉매배관(802)의 일 단부는 상기 압축기(100)의 토출구(102)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냉매배관(801) 및 상기 제2냉매배관(802)은 압축기(100)에서 발생되는 진동 및 전도성 노이즈의 영향을 가장 크게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코어조립체(700)는 상기 제1냉매배관(801) 및 상기 제2냉매배관(802)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코어조립체(700)는 상기 제1냉매배관(801) 및 상기 제2냉매배관(802) 모두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코어조립체(700)는 상기 압축기(100)의 유입구(101) 측에 결합되는 상기 제1냉매배관(801)의 일단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어조립체(700)는 상기 압축기(100)의 토출구(102) 측에 결합되는 상기 제2냉매배관(802)의 일단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진동 및 전도성 노이즈의 저감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상기 탄성 밸런서(710)는 상기 냉매배관(800)의 전체 둘레를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코어(630)는 상기 탄성 밸런서(710)의 전체 둘레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탄성 밸런서(710)는 상기 제1냉매배관(801)의 일단부의 둘레 및 상기 제2냉매배관(802)의 일단부의 둘레를 완전히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코어(730)는 상기 탄성 밸런서(710)의 둘레를 완전히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탄성 밸런서(710) 및 상기 코어(730)는 모두 원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탄성 밸런서(710)는 상기 상기 제1냉매배관(801)의 일단부의 둘레를 360도 둘러싸며, 상기 코어(730)는 상기 탄성 밸런서(710)의 둘레를 360도 둘러쌀 수 있다.
이때, 상기 냉매배관(800)의 길이방향에 대응하는 상기 코어(730)의 길이는 상기 탄성 밸런서(710)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이는 탄성 밸런서(710)의 외주면에 상기 코어(730)의 설치 및 고정을 위한 공간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상기 코어조립체(700)는 냉매배관(800)의 둘레에 직접 결합될 수 있다. 즉, 코어조립체(700)를 냉매배관(800) 둘레에 결합하기 위한 별도의 구성이 필요하지 않다.
구체적으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탄성 밸런서(710)에는 반경방향으로 절개부(715)가 형성되어, 상기 절개부(715)를 벌려서 상기 탄성 밸런서(710)가 상기 냉매배관(800)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절개부(715)를 벌린 상태로 상기 냉매배관(800)이 상기 탄성 밸런서(710)의 반경방향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냉매배관(800)의 둘레에 상기 탄성 밸런서(710)가 배치된 후에는 상기 탄성 밸런서(710)의 탄성에 의해 상기 절개부(715)가 다시 원상태로 오므라들 수 있다.
또한, 원통 형태의 상기 코어(730)는 길이방향을 따라 반으로 절단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탄성 밸런서(710) 둘레에 원통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코어(730)는 제1코어절반부(731) 및 제2코어절반부(7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코어절반부(731) 및 상기 제2코어절반부(732)는 반으로 길이방향을 따라서 반으로 절단된 원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코어절반부(731) 및 상기 제2코어절반부(732)는 서로 원통 형태로 결합되면서 상기 탄성 밸런서(710) 둘레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코어(730)는 사출을 통해 원통 형태로 형성된 후에, 상기 제1코어절반부(731) 및 상기 제2코어절반부(732)로 절단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상기 제1코어절반부(731)의 일측과 상기 제2코어절반부(732)의 일측은 원통 형태로 서로 결합되거나 열리도록 힌지결합 될수도 있다.
한편, 압축기(100)의 작동 중에 발생된 진동에 의해 상기 탄성 밸런서(710)와 상기 코어(730)가 냉매배관(800)을 따라서 움직일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 탄성 밸런서(710)를 상기 냉매배관(800)의 둘레에 고정함과 동시에 상기 코어(730)를 상기 탄성 밸런서(710)의 둘레에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코어(730) 둘레에 고정 스트립(750)이 체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고정 스트립(750)은 케이블 타이가 될 수 있다. 상기 고정 스트립(750)에 의해 상기 코어(730) 및 상기 탄성 밸런서(710)가 냉매배관(800)을 향하여 반경방향 내측으로 가압될 수 있다. 따라서, 압축기(100)의 구동에 의해 진동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탄성 밸런서(710) 및 상기 코어(730)의 위치가 변동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코어(730)가 상기 탄성 밸런서(710)의 외측으로부터 이탈하게 되면, 전도성 노이즈의 저감이 불가능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탄성 밸런서(710)는 상기 코어(730)를 고정시키기 위한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이하,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탄성 밸런서(710)의 둘레에 코어(730)를 고정시킬 수 있는 탄성 밸런서(710)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도 2에서 탄성 밸런서와 코어의 B-B 방향 단면도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 밸런서(710)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탄성 밸런서(710)의 둘레에는 상기 코어(730)의 배치를 위한 오목부(71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밸런서(710) 및 그 둘레에 결합되는 코어(730)는 모두 원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오목부(711)는 상기 탄성 밸런서(710)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밸런서(710)는 상기 오목부(711)의 바닥을 구획하는 바닥면(7113) 및 상기 오목부의 전후방향 양 단부를 구획하는 돌출부들(7115, 7117)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바닥면(7113)에 상기 코어(730)의 내주면이 접하도록, 상기 코어(730)가 상기 탄성 밸런서(710) 둘레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들(7115, 7117)은 상기 바닥면(7113)으로부터 상기 탄성 밸런서(710)의 반경방향 외측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즉, 상기 돌출부들(7115, 7117)은 상기 바닥면(7113)으로부터 상기 냉매배관(80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돌출부들(7115, 7117)은 상기 바닥면(7113)에 수직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들(7115, 7117)에 상기 코어(730)의 길이방향 양 단부가 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돌출부들(7115, 7117)의 서로 마주하는 측면이 상기 코어(730)의 길이방향 양 단부에 각각 접할 수 있다.
따라서, 압축기(100)의 구동에 의해 진동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돌출부들(7115, 7117)에 의해 상기 코어(730)가 상기 탄성 밸런서(710)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이탈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들(7115, 7117)의 서로 마주하는 측면 사이의 거리는 상기 코어(730)의 길이 이하가 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밸런서(710)에 일체로 형성되는 상기 돌출부들(7115, 7117)은 고무와 같은 탄성 소재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코어(730)는 상기 오목부(711)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끼워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코어(730)가 상기 탄성 밸런서(710) 둘레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들(7115, 7117)은 상기 탄성 밸런서(710)의 길이방향 일 단부에 구비되는 제1돌출부(7115) 및 상기 탄성 밸런서(710)의 길이방향 타 단부에 구비되는 제2돌출부(7117)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돌출부(7115)와 상기 제2돌출부(7117)의 높이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여기서, 돌출부의 높이는 상기 바닥면(7113)으로부터 돌출부의 자유단부 까지의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돌출부들(7115, 7117)은 상기 코어(730)의 길이방향 양 단부와 접하고, 상기 돌출부들(7115, 7117)의 높이는 상기 코어(730)의 두께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코어(730)의 내주면이 상기 바닥면(7113)에 접하도록 상기 코어(730)가 상기 탄성 밸런서(7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탄성 밸런서(710)의 길이방향을 따르는 상기 코어(730)의 이탈이 보다 확실하게 방지될 수 있다.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칸성 밸런서와 코어의 B-B 방향 단면도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도 5는 도 4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성 밸런서(710)의 구조를 나타낸다.
이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 4의 실시예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도, 상기 탄성 밸런서(710)는 상기 오목부(711)의 바닥을 구획하는 바닥면(7113) 및 상기 오목부(711)의 전후방향 양 단부를 구획하는 돌출부들(7115, 7117)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코어(730)의 제거하거나 또는 새로운 코어로 교체하기 위해서는 상기 탄성 밸런서(710)에 결합되어 사용되고 있던 기존의 코어(730)를 상기 탄성 밸런서(710)로부터 분리해야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코어(730)는 탄성 밸런서(710)의 외주면에 형성된 오목부(711) 내로 삽입되므로, 상기 코어(730)의 제거 및 교체를 위해서 기존의 코어를 파지 및 제어하기가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특히, 코어(73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억지끼움 방식으로 상기 오목부(711) 내에 끼워져 있으므로, 상기 오목부(711)로부터 상기 코어(730)를 빼내는 것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돌출부들(7115, 7117)은 상기 탄성 밸런서(710)의 길이방향 일 단부에 구비되는 제1돌출부(7115) 및 길이방향 타 단부에 구비되는 제2돌출부(7117)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돌출부(7115)와 상기 제2돌출부(7117)의 높이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제1돌출부(7115)와 상기 제2돌출부(7117)의 높이를 서로 상이하게 하는 이유는, 사용자 또는 관리자가 상기 코어(730)를 교체 또는 제거하고자 할 때, 상기 코어(730)를 상기 오목부(711)로부터 빼내기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돌출부(7115) 및 상기 제2돌출부(7117) 중 하나의 높이는 상기 코어(730)의 두께보다 크며, 상기 제1돌출부(7115) 및 상기 제2돌출부(7117)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코어(730)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돌출부(7115)의 높이는 코어(730)의 두께보다 크고, 제2돌출부(7117)의 높이는 코어(730)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코어(730)의 길이방향 양 단부 중 상기 제2돌출부(7117)와 접하는 단부의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또는 관리자는 상기 코어(730)의 노출된 길이방향 일 단부를 이용하여 상기 코어(730)를 상기 오목부(711)로부터 상대적으로 용이하게 빼낼 수 있다.
또한, 코어(730)를 반으로 절단된 상태에서 원통 형태로 결합하여 탄성 밸런서(710)의 둘레에 배치하기 위해서는 코어(730)를 원통 형태로 사출한 후에 이를 다시 반으로 절단하는 공정이 필요하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원통 형태로 사출된 코어(730)를 반으로 절단하지 않고도 탄성 밸런서(710)의 둘레베 배치할 수 있다. 즉, 원통 형태의 코어(730)를 전술한 탄성 밸런서(710)의 오목부(711)에 끼울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2돌출부(7117)가 제1돌출부(7115)에 비해 그 높이가 낮으므로, 제2돌출부(7117) 측의 단부에서 원통 형태의 코어(730)를 끼울 수 있다.
이때, 탄성 밸런서(710)에 일체로 형성된 제2돌출부(7117)도 고무와 같은 탄성 소재로 형성되므로, 제2돌출부(7117)를 가압한 상태로 상기 원통 형태의 코어(730)를 상기 오목부(711)에 끼울 수 있다.
즉, 상기 제2돌출부(7117)를 상기 탄성 밸런서(710)의 길이방향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가압하거나, 상기 제2돌출부(7117)를 상기 냉매배관(800)을 향하여 가압한 상태로 코어(730)를 상기 오목부(711)에 끼울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압축기(100)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저감하기 위한 탄성 밸런서(710)에 코어(730)를 결합하여 진동 및 EMI를 모두 저감 또는 차단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압축기 200 실내열교환기
210 실내팬 300 팽창밸브
400 실외열교환기 410 실외팬
500 어큐뮬레이터 600 유로전환밸브
700 코어조립체 710 탄성 밸런서
730 코어 800 냉매배관

Claims (16)

  1. 냉매를 압축하도록 형성된 압축기;
    압축기로부터 토출된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
    상기 응축기를 경유한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밸브;
    상기 팽창밸브에서 팽창된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
    상기 압축기로부터 토출된 냉매를 응축기, 팽창밸브 및 증발기로 순차적으로 안내하는 냉매배관; 및
    상기 냉매배관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코어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코어조립체는 상기 냉매배관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탄성 밸런서와 상기 탄성 밸런서를 둘러싸고 페라이트, 니켈 및 나노크리스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코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배관은 상기 압축기로 유입되는 냉매를 안내하는 제1냉매배관 및 상기 압축기로부터 토출되는 냉매를 안내하는 제2냉매배관을 포함하고,
    상기 코어조립체는 상기 제1냉매배관 및 상기 제2냉매배관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조립체는 상기 압축기의 유입구 측에 결합되는 상기 제1냉매배관의 단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조립체는 상기 압축기의 토출구 측에 결합되는 상기 제2냉매배관의 단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밸런서는 상기 냉매배관의 전체 둘레를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코어는 상기 탄성 밸런서의 전체 둘레를 둘러싸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밸런서를 상기 냉매배관의 둘레에 고정함과 동시에 상기 코어를 상기 탄성 밸런서의 둘레에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코어 둘레에 고정 스트립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밸런서의 둘레에는 상기 코어의 배치를 위한 오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상기 탄성 밸런서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밸런서는 상기 오목부의 바닥을 구획하는 바닥면 및 상기 오목부의 전후방향 양 단부를 구획하는 돌출부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들은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탄성 밸런서의 반경방향 외측을 향해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들은 상기 탄성 밸런서의 길이방향 일 단부에 구비되는 제1돌출부 및 상기 탄성 밸런서의 길이방향 타 단부에 구비되는 제2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돌출부와 상기 제2돌출부의 높이는 서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들은 상기 코어의 길이방향 양 단부와 접하고,
    상기 돌출부들의 높이는 상기 코어의 두께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들은 상기 탄성 밸런서의 길이방향 일 단부에 구비되는 제1돌출부 및 상기 탄성 밸런서의 길이방향 타 단부에 구비되는 제2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돌출부와 상기 제2돌출부의 높이는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출부 및 상기 제2돌출부 중 하나의 높이는 상기 코어의 두께보다 크며,
    상기 제1돌출부 및 상기 제2돌출부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코어의 두께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밸런서는 고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는 상기 냉매배관의 임피던스를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KR1020170059066A 2017-05-12 2017-05-12 공기조화기 KR1020246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9066A KR102024605B1 (ko) 2017-05-12 2017-05-12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9066A KR102024605B1 (ko) 2017-05-12 2017-05-12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4478A KR20180124478A (ko) 2018-11-21
KR102024605B1 true KR102024605B1 (ko) 2019-11-04

Family

ID=64602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9066A KR102024605B1 (ko) 2017-05-12 2017-05-12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4605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318437A (ja) * 1987-06-22 1988-12-27 Matsushita Refrig Co 冷凍空調装置の配管防振装置
JPS641363U (ko) * 1987-06-23 1989-01-06
KR101000029B1 (ko) * 2008-12-18 2010-12-09 재단법인 국방기술품질원 배관용 방진 고무마운트
US9068582B2 (en) * 2012-05-23 2015-06-30 Transco Products Inc. Banding system for insul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4478A (ko) 2018-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50208B2 (en) Out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US11060787B2 (en) Refrigerator
EP3182024B1 (en) Air guide for air conditioner
KR102024605B1 (ko) 공기조화기
KR102063073B1 (ko) 압축기 소음방지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US20200248912A1 (en) Outdoor unit of airconditioner
KR101943326B1 (ko) 공기조화기
CN113266876B (zh) 新风装置、空调室内机及空调
KR100370005B1 (ko) 냉장고기계실 냉각구조
EP3296649A1 (en) Air conditioning device
CN104769373B (zh) 具有弹性固定元件和阀保持组的制冷器具
CN103575036A (zh) 内门封条以及具有其的制冷设备的门体和冰箱
WO2015144237A1 (en) Improved evaporator assembly for refrigeration appliance
KR102265203B1 (ko)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KR20020026097A (ko) 직접냉각방식을 적용한 서랍식 김치냉장고
KR101428214B1 (ko) 컴프레서의 벨로우즈 타입 냉매제어밸브
KR100484661B1 (ko) 내부용적이 증가된 냉장고
JP2004333093A (ja) 冷凍冷蔵ユニット及びそれを用いた冷蔵庫
CN111051791B (zh) 用于将包壳通气的系统和方法
KR19980014164U (ko) 냉장고의 핫 파이프 고정구조물
KR100445476B1 (ko) 냉장고의 기계실 인입부품용 고정구 설치구조
KR102121347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60071708A (ko) 공기 조화기
KR20220042680A (ko) 냉장고
KR102302792B1 (ko) 배관 연결 구조 및 이를 구비한 공기 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