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4594B1 - 냉장고 및 저온저장장치 - Google Patents

냉장고 및 저온저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4594B1
KR102024594B1 KR1020130042962A KR20130042962A KR102024594B1 KR 102024594 B1 KR102024594 B1 KR 102024594B1 KR 1020130042962 A KR1020130042962 A KR 1020130042962A KR 20130042962 A KR20130042962 A KR 20130042962A KR 102024594 B1 KR102024594 B1 KR 1020245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ete delete
storage
egg
refrigerator
t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29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5154A (ko
Inventor
서운규
양혜인
권성두
홍삼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429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4594B1/ko
Priority to EP14156069.8A priority patent/EP2792979B1/en
Priority to US14/192,064 priority patent/US9372029B2/en
Priority to CN201410105410.2A priority patent/CN104110935B/zh
Publication of KR201401251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51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45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45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4Doors; Covers with special compartments, e.g. butter conditio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Lighting arrangements
    • F25D27/005Lighting arrangements combined with contro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31/00Details or arrangements of 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31/80Type of cooled receptacles
    • F25D2331/807Eg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36Visual displays
    • F25D2400/361Interactive visual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D2500/06Stock manag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02Sensors detecting door op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06Sensors detecting the presence of a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냉장고는, 내부에 저장실이 마련되는 본체와,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저장실에 마련되어 계란을 수납하는 복수의 수납홈이 마련된 계란트레이와, 상기 저장실 내부에 설치된 발광장치와, 상기 복수의 수납홈의 아래에 각각 배치된 복수의 수광센서를 포함하여 상기 발광장치로부터 상기 수납홈으로 입사되는 빛을 감지하는 빛감지장치와, 상기 발광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빛감지장치의 감지신호로부터 사용자에게 계란의 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냉장고 및 저온저장장치{Refrigerator and low temperature storage apparatus}
본 발명은 냉장고 및 저온저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냉장고 또는 저온저장장치에 저장되는 계란 또는 캔 등의 저장물에 대한 상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냉장고 및 저온저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증발기 등으로 이루어지는 냉동 사이클에 의해 생성된 냉기를 토출하여 고내의 온도를 저하시켜 음식물 등을 냉동시키거나 냉장 보관하는 장치이다.
냉장고는 저장실로서 음식물 또는 음료를 얼려서 보관하는 냉동실과, 상기 음식물 또는 음료를 저온에서 보관하는 냉장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냉장고는 냉동실이 냉장실의 상부에 배치된 탑마운트 타입(Top Mount-Type)과, 냉동실이 냉장실의 하부에 배치된 바텀 프리저 타입(Bottom Freezer-Type)과, 냉동실과 냉장실이 좌/우측으로 구획된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Side By Side-Type)으로 나뉘어진다.
상기 냉장고의 저장실 중 냉장실에는 0~5℃의 온도에서 보관되는 음식물들이 수납된다. 냉장 보관되는 음식물로는 야채와 과일, 각종 반찬류와 식재료들 등 매우 다양하다.
특히, 자주 먹는 계란도 냉장실에 보관되는 것 중 하나인데, 냉장실 내부 또는 도어의 내측에 장착된 선반에 보관될 수 있다.
그런데, 계란이 냉장고에 몇 개가 남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냉장고 도어를 열고 확인해야 하였다.
사용자가 장을 보러 갔을 때 냉장고에 계란이 몇 개 남았는지 기억이 나지 않거나 알 수 없을 경우가 있다.
또한, 계란이 많은데도 불구하고 남은 계란의 개수를 몰라 너무 많이 구매하는 경우도 있다.
그리고, 계란의 유통기한이 지났거나 얼마 남지 않았는데도, 사용자가 도어를 열고 확인하지 않는다면 이를 알 수 없어서 계란이 상하는 경우도 있다.
한편, 캔 음료 자동판매기와 같은 특정 형태를 가진 저장물을 냉장 보관하는 저온저장장치의 경우에도, 저장물이 남은 개수를 관리자가 수시로 그 도어를 열고 확인해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자동판매기에 캔 음료가 품절되었는데도 관리자가 모를 경우, 구매자가 구매하고 싶어도 구매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냉장고 또는 저온저장장치에 수납되는 저장물의 개수를 그 도어를 열지 않고도 사용자가 알 수 있는 냉장고 또는 저온저장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내부에 저장실이 마련되는 본체와,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저장실에 마련되어 계란을 수납하는 복수의 수납홈이 마련된 계란트레이와, 상기 저장실 내부에 설치된 발광장치와, 상기 복수의 수납홈의 아래에 각각 배치된 복수의 수광센서를 포함하여 상기 발광장치로부터 상기 수납홈으로 입사되는 빛을 감지하는 빛감지장치와, 상기 발광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빛감지장치의 감지신호로부터 사용자에게 계란의 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계란트레이는, 계란을 수납하기 위해 반구형으로 형성된 복수의 수납홈과, 상기 복수의 수납홈의 중앙에 각각 형성된 복수의 관통홀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의 수광센서는 상기 복수의 관통홀 아래에 각각 배치된 복수의 조도센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빛감지장치는, 상기 복수의 관통홀이 배치된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조도센서가 배치된 회로기판과, 상기 회로기판의 상면을 덮고 상기 복수의 조도센서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복수의 수용홀을 구비하는 커버플레이트와, 상기 회로기판의 하면에 부착되는 베이스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플레이트의 복수의 수용홀은 복수의 투명마개에 의해 각각 밀폐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계란트레이는 상기 복수의 수납홈 상단에 장착되어 수납되는 계란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고무링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계란트레이는 상기 저장실의 바닥에 오목하게 형성된 안착홈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고,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빛감지장치는 상기 안착홈의 바닥에 장착되어 고정되고, 상기 계란트레이는 상기 빛감지장치의 위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안착홈의 상면 개구부를 덮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면에 손잡이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계란트레이는, 그 일측부에 마련된 라이팅부와, 상기 라이팅부와 연결되고 상기 계란트레이의 하부에 돌출된 트레이단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안착홈에는 상기 트레이단자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상기 계란트레이가 상기 안착홈에 안착될 때 상기 트레이단자와 접속되는 고정단자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도센서는 상기 트레이단자가 상기 고정단자와 접속할 때에 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계란트레이는 상기 도어 내측에 장착되는 도어선반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빛감지장치는 상기 도어선반의 바닥부에 장착되어 고정되고, 상기 계란트레이는 상기 빛감지장치의 위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계란트레이는 상기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손잡이는 사용자가 한 손으로 잡고 이동할 수 있도록 중앙 상부를 지나는 형태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어선반은 그 상부 개방부가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커버에 의해 개폐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의한 저온저장장치는, 내부에 저장실이 마련되는 본체와,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저장실에 마련되어 저장물을 수납하는 복수의 수납홈이 마련된 수납트레이와, 상기 저장실 내부에 설치된 발광장치와, 상기 복수의 수납홈의 아래에 각각 배치된 복수의 수광센서를 포함하여 상기 발광장치로부터 상기 수납홈으로 입사되는 빛을 감지하는 빛감지장치와, 상기 발광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빛감지장치의 감지신호를 처리하여 저장하고 사용자에게 상기 저장물의 개수와 위치에 관한 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수납트레이는, 저장물을 수납하기 위해 오목하게 형성된 복수의 수납홈과, 상기 복수의 수납홈의 중앙에 각각 형성된 복수의 관통홀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빛감지장치는 상기 복수의 관통홀 아래에 각각 배치된 복수의 조도센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해 저장물 상태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와 상기 빛감지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연산하거나 판단하는 마이컴과, 상기 입력되거나 연산 또는 판단된 저장물 상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이동단말기와 통신하여 사용자의 명령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저장물 상태 정보를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물의 상태 정보를 상기 본체에 마련된 디스플레이 또는 사용자의 이동단말기를 통해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디스플레이 또는 이동단말기는 저장물의 개수와 위치를 이미지 또는 텍스트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또는 이동단말기는 저장물의 개수와 위치를 이미지 및 텍스트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저온저장장치는 상기 도어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도어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가 열리면 상기 발광장치를 켜고, 상기 도어가 닫히면 상기 빛감지장치의 감지신호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며, 상기 도어의 폐쇄시로부터 설정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발광장치를 끄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설정시간은 5초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저장물의 개수가 소정 개수 이하일 때 상기 디스플레이 또는 이동단말기를 통해 사용자에게 경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의한 저온저장장치는, 내부에 저장실이 마련되는 본체와,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저장실에 마련되어 저장물을 수납하는 복수의 수납홈이 마련된 수납트레이와, 상기 저장실 내부에 설치된 발광장치와, 상기 복수의 수납홈의 아래에 각각 배치된 복수의 수광센서를 포함하여 상기 발광장치로부터 상기 수납홈으로 입사되는 빛을 감지하는 빛감지장치와, 상기 발광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빛감지장치의 감지신호를 처리하여 저장하고 사용자에게 상기 저장물의 수납 위치와 저장기간에 관한 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저온저장장치는 상기 도어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도어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가 열리면 상기 발광장치를 켜고, 상기 도어가 닫히면 상기 빛감지장치의 감지신호 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수납홈 별로 감지신호가 변화되었는지를 감지하여 저장물이 무에서 유로 변화된 경우, 그 변화 시점으로부터 시간을 카운팅하고 감지신호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도어의 폐쇄시로부터 설정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발광장치를 끄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운팅되는 시간으로부터 각 수납홈 별로 저장기간을 계산하여 각 수납홈의 위치와 저장기간을 함께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납홈 별 감지신호가 저장물 유에서 무로 변화된 경우, 변화 전에 저장된 저장물 상태 정보를 삭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신호가 변화되지 않은 경우 수신된 감지신호를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해 저장물 상태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와 상기 빛감지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를 연산하거나 판단하는 마이컴과, 상기 입력되고 연산 또는 판단된 저장물 상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이동단말기와 통신하여 사용자의 명령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저장물 상태 정보를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에 의해 상기 저장물의 상태 정보를 사용자의 이동단말기를 통해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장물의 상태 정보는 수납된 저장물의 개수와 위치 및 저장기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각 수납홈에 저장된 저장물의 저장기간과 저장물의 종류에 따른 유통기한을 고려하여 유효기간을 산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물의 유효기간에 따라 각 수납홈을 색깔로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산출된 유효기간이 소정 일수 이하일 경우 사용자에게 경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본 발명의 냉장고 또는 저온저장장치에 의하면, 계란이나 캔과 같은 저장물을 그 도어를 열지 않고도 사용자가 외부에서 저장물의 개수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저장물의 수납트레이 아래에 복수의 수광센서를 구비하는 빛감지장치를 구비하여,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저장물 유무 감지의 신뢰도와 내구성이 우수하다.
또한, 빛감지장치와 수납트레이는 서로 분리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수납트레이를 용이하게 분리하여 계란을 수납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저장물의 저장기간을 자동으로 카운팅하여 저장물의 보관 상태를 신선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의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단말기와 통신하여 저장물의 개수와 위치 또는 저장기간이나 유통기한 등의 상태 정보를 표시하여 알려줌으로써, 사용자가 언제 어디서라도 저장물의 보관 상태를 확인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하게 관리 및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냉장실의 바닥에 설치된 안착홈에 계란트레이가 장착된 것을 나타내는 일부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계란트레이가 들어올려진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계란트레이와 안착홈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안착홈 바닥에 설치된 빛감지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안착홈과 계란트레이의 각 단자를 나타내는 일부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에서 도어 선반에 장착되는 계란트레이를 나타내는 일부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계란트레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계란트레이가 도어 선반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계란트레이가 메인도어의 도어 선반에 장착되고 보조도어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장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서 제어부의 제어 흐름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서 제어부의 제어 흐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4는 냉장고 디스플레이의 표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에서 경고 팝업창이 떠서 온라인 구매 요청을 하는 것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6은 이동단말기의 표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7은 이동단말기의 표시 화면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시된 냉장고는 본체(10) 내부에 냉장실(20)과 냉동실이 상하로 배치되는 바텀 프리저 타입(Bottom Freezer-Type)의 냉장고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도시된 타입의 냉장고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냉장실(20)을 개폐하는 냉장실도어는 상기 본체(10)의 상부 양측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한 쌍의 메인도어(30)와 상기 한 쌍의 메인도어(30)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한 쌍의 보조도어(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동실을 개폐하는 냉동실도어도 상기 본체(10)의 상부 양측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한 쌍의 도어(50)로 이루어져 있으나, 냉동실도어가 서랍형 도어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냉장실(20)의 내부에는 주로 상부에 복수의 선반(22)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선반(22)은 캔틸레버 형태의 선반가이드에 장착되어 지지되거나, 상기 냉장실(20)의 좌우 측벽에 돌출형성된 복수의 선반지지부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20)의 하부에는 서랍(24)이 인출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고 그 위에는 선반이 장착되어 저장물이 수납될 수 있다.
상기 메인도어(30)의 내측면에는 복수의 도어바스켓(32) 또는 복수의 수납케이스(34)가 장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의 냉장고에서 상기 냉장실(20)의 바닥에 제1계란수납부(100)가 마련되고, 상기 냉장실도어의 내측에 제2계란수납부(200)가 마련될 수 있다.
먼저,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제1계란수납부(100)의 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상기 제1계란수납부(100)는 한 쌍이 좌우로 배치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냉장실(20)의 바닥에는 계란트레이(110)를 수용할 수 있는 안착홈(2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착홈(26)은 상기 냉장실(20)의 바닥 양측에 한 쌍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안착홈(26)에 상기 계란트레이(110)가 각각 안착되어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안착홈(26)의 상면 개구부에는 커버(120)가 마련되어 상기 안착홈(26)을 개폐할 수 있다.
상기 서랍(24)은 냉장실(20)의 바닥에서 조금 이격되도록 장착되고, 상기 커버(120)는 상기 서랍(24)의 하면과 상기 바닥과의 사이에 있는 틈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상기 커버(120)는 그 전방 상부에 손잡이(122)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쉽게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커버(120)는 상기 안착홈(26)의 상면 개구부를 닫은 상태에서도 그 내부가 보이도록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계란트레이(110)는 계란을 수납하기 위해 반구형으로 형성된 복수의 수납홈(130)과, 상기 복수의 수납홈의 중앙에 각각 형성된 복수의 관통홀(1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납홈(130)은 계란을 수용할 수 있는 크기의 반구형의 오목한 홈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복수의 수납홈(130)의 바닥에는 그 중앙부에 관통홀(140)이 각각 형성되어 있어서, 계란이 수납되지 않았을 경우 상기 관통홀(140)을 통해 빛이 통과할 수 있다.
상기 계란트레이(110)는 그 양측에 형성된 손잡이(114)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두 손으로 상기 손잡이(114)를 파지하고 쉽게 들어올리거나 옮길 수 있다.
또한, 상기 계란트레이(110)는 상기 냉장실의 바닥에 오목하게 형성된 안착홈(26)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된다.
사용자는 상기 계란트레이(110)에 계란을 수납할 경우, 상기 커버(122)를 열고 상기 손잡이(114)를 잡고 상기 계란트레이(110)를 들어올려 꺼낸다. 상기 계란트레이(110)에 계란을 수납한 후에 다시 상기 안착홈(26)에 계란트레이(110)를 안착시킨 다음 상기 커버(122)를 닫으면, 용이하게 계란트레이(110)에 계란을 수납할 수 있다.
상기 계란트레이(110)는 상기 복수의 수납홈(130) 상단에 장착되어 수납되는 계란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고무링(135)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무링(135)은 상기 각 수납홈(130)의 상단부가 단차지게 형성되고 그 상단부에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고무링(135)은 수납되는 계란이 깨지지 않도록 부드럽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계란이 수납되었을 때 그 아래의 관통홀(140)로 빛이 새어 들어가지 않도록 보장함으로써, 후술하는 조도센서의 감지 오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계란트레이(110)의 상면 일측에는 사용자가 계란 수납코너임을 쉽게 알 수 있도록, 예를 들어 "스마트계란코너"라는 문자가 기호와 함께 표시된 로고표시부(11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로고표시부(112)는 사용자의 눈에 잘 띄도록 LED라이팅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도 11의 블록도에 도시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냉장실(20) 내부에는 도어를 열었을 때 냉장실 내부가 잘 보이도록 하기 위해 발광장치(21)가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발광장치(21)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도어스위치(31)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즉, 상기 냉장실도어(30)가 열리면 상기 도어스위치(31)가 이를 감지함과 동시에 상기 발광장치(21)가 작동되어 켜진다. 또한, 상기 냉장실도어(30)가 닫히면 상기 도어스위치(31)가 이를 감지함과 동시에 상기 발광장치(21)가 꺼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4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수납홈(130)의 아래에는 각각 배치된 복수의 수광센서(150)를 포함하여 상기 수납홈으로 입사되는 빛을 감지하는 빛감지장치가 구비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냉장고는 상기 발광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빛감지장치의 감지신호로부터 사용자에게 계란의 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수광센서(150)는 상기 복수의 관통홀(140) 아래에 각각 배치된 복수의 조도센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의 조도센서는 여러 감지신호 데이터를 그대로 전달해야 하므로, 복수의 조도센서가 기판(160)상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조도센서와 기판(160)는 습기가 차거나 상기 관통홀(140)을 통해 깨진 계란이나 이물질에 노출되면 오작동을 일으키거나 고장날 수 있다.
그래서, 상기 조도센서(150)와 기판(160)은 케이스에 의해 둘러싸여 밀폐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빛감지장치는, 상기 복수의 관통홀(140)이 배치된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조도센서(150)가 배치된 회로기판(160)과, 상기 회로기판의 상면을 덮고 상기 복수의 조도센서(150)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복수의 수용홀(172)을 구비하는 커버플레이트(170)와, 상기 회로기판의 하면에 부착되는 베이스플레이트(18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플레이트(170)는 상기 안착홈(26)의 바닥면을 이룰 수도 있으나, 상기 안착홈(26)을 이루는 케이스의 바닥 아래에 매립되는 형태로 장착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케이스의 바닥에도 상기 복수의 관통홀(140)과 이어지는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조도센서(150)는 상기 회로기판(160)의 전기회로에 연결된다.
상기 수용홀(172)의 크기는 치수공차를 허용할 수 있도록 상기 조도센서(150)보다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용홀(172)은 위로부터 삽입되는 투명마개(175)에 의해 밀폐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투명마개(175)로 수용홀(172)의 상부를 밀폐함으로써, 수용홀(172) 내부로 수분이나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막을 수 있으면서도, 상기 조도센서(150)가 투명마개(175)를 통해 상기 수납홈(130)으로 입사되는 빛을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계란트레이(110)는, 그 일측부에 마련된 라이팅부(112, 도 3 참조)와, 상기 라이팅부와 연결되고 상기 계란트레이의 하부에 돌출된 트레이단자(116)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안착홈(26)에는 상기 트레이단자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상기 계란트레이(110)가 상기 안착홈(26)에 안착될 때 상기 트레이단자와 접속되는 고정단자(27)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라이팅부(112)는 위에서 로고표시부라고 설명하였는데, 그 로고가 LED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그러한 로고표시부를 라이팅부(112)라고 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이단자(116)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란트레이(110)의 하면 일측에 2개의 단자가 탄성적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고정단자(27)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착홈(26)의 바닥에 상기 트레이단자(116)와 대응하는 위치에 2개의 단자가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6(b)에서는 상기 계란트레이(110)의 하면에 형성된 복수의 관통홀(140)이 도시되어 있는 반면, 도 6(a)에서는 상기 안착홈(26)의 바닥에 형성되는 복수의 관통홀이 생략되어 있다.
상기 계란트레이(110)를 상기 안착홈(26)에 안착시키면 상기 트레이단자(116)가 상기 고정단자(27)와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러면, 상기 라이팅부(112)에 불이 켜짐과 동시에 상기 안착홈(26)의 바닥에 있는 조도센서(150)가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관통홀(140)을 통해 유입되는 빛을 감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조도센서(150)는 상기 트레이단자(116)가 상기 고정단자(27)와 접속할 때에 작동되는 것이다.
이렇게 상기 계란트레이(110)가 상기 안착홈(26)에 안착된 경우에만 조도센서(150)가 감지신호를 발생시킴으로써 불필요한 작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제2계란수납부(200)의 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제2계란수납부(200)는 도 1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냉장실도어(30)의 내측에 장착된다.
본 발명의 냉장고에서 계란수납부는 제1계란수납부(100)와 제2계란수납부(200)를 동시에 구비할 수도 있으나, 어느 하나의 계란수납부만 구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계란수납부(200)의 계란트레이(210)는 상기 냉장실도어(30)의 내측 상부에 장착된 도어선반(32)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제2계란수납부(200)의 빛감지장치는 상술한 제2계란수납부(200)의 빛감지장치와 마찬가지로 상기 도어선반의 바닥부에 장착되어 고정된다.
그래서, 상기 계란트레이(210)는 상기 빛감지장치의 위에 안착된다.
상기 계란트레이(210)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214)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손잡이(214)는 사용자가 한 손으로 잡고 이동할 수 있도록 중앙 상부를 지나는 형태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손잡이(214)는 상기 계란트레이(210)의 측부를 둘러싼 다음 상기 계란트레이(210)의 위를 길이방향으로 지나가는 형태의 와이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손잡이(214)는 그 상부 중앙부를 한 손으로 잡고 들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어서,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계란트레이(210)도 계란을 수납하기 위해 반구형으로 형성된 복수의 수납홈(230)과, 상기 복수의 수납홈의 중앙에 각각 형성된 복수의 관통홀(240)을 포함한다.
상기 계란트레이(210)에서 상기 복수의 수납홈(230)의 배열 형태는 도 3에 도시된 상기 계란트레이(110)에서 복수의 수납홈(130)의 배열 형태와 다르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수납홈(230)의 배열 형태는 계란트레이의 크기에 따라 한정된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소정 치수를 가진 계란 수납홈을 적절히 배치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계란트레이(210)의 각 수납홈(230)의 상단부에도 고무링(235)이 구비되어 수납되는 계란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상기 빛감지장치의 감지 오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도어선반(32)은 그 상부 개방부가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커버(220)에 의해 개폐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220)는 그 회동축이 상기 도어(32)의 상측에 장착될 수 있고,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220)는 닫혔을 때 상기 도어선반(32)의 상단 테두리에 접촉되어 지지될수 있다.
그래서, 상기 커버(22)는 상기 도어선반(32)과 함께 상기 계란트레이(210)가 내장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커버(22)는 커버를 열지 않고도 내부에 수납되는 계란이 보이도록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상기 빛감지장치도, 상기 복수의 관통홀(240)이 배치된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조도센서(250)가 배치된 회로기판(260)과, 상기 회로기판의 상면을 덮고 상기 복수의 조도센서(250)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복수의 수용홀(272)을 구비하는 커버플레이트(270)와, 상기 회로기판의 하면에 부착되는 베이스플레이트(28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에는 상기 계란트레이(210)가 상기 메인도어(30, 도 1 참조)의 내측에 장착되고 상기 보조도어(40)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계란트레이(210)를 바라보는 모습을 나타내는 일부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계란트레이(210)가 안착되는 상기 수납선반(32)의 정면에는 상기 제2계란수납부(200)가 있음을 나타내는 로고표시부(3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로고표시부(33)는 상기 계란트레이(210)가 아니라 상기 수납선반(32)의 보조도어(40)와 마주보는 표면에 마련된다.
상기 로고표시부(33)에는 "스마트계란코너"라는 문자가 기호와 함께 표시되어 있다.
상기 로고표시부(33)도 LED라이팅부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보조도어(40)가 열릴 때 켜지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는 계란수납부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캔과 같은 일정한 형태를 가진 저장물을 수납하는 수납트레이를 포함하는 자동판매기와 같은 저온저장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그래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저온저장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에는 본 발명의 제어부의 구성 및 제어부와 관련되는 구성요소들을 나타내는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저온저장장치는 냉장고와 마찬가지로, 내부에 저장실이 마련되는 본체와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저장실에 마련되어 저장물을 수납하는 복수의 수납홈이 마련된 수납트레이와, 상기 저장실 내부에 설치된 발광장치(21)와, 상기 복수의 수납홈의 아래에 각각 배치된 복수의 수광센서를 포함하여 상기 발광장치로부터 상기 수납홈으로 입사되는 빛을 감지하는 빛감지장치(60)와, 상기 발광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빛감지장치의 감지신호를 처리하여 저장하고 사용자에게 상기 저장물의 개수와 위치에 관한 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제어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저온저장장치는 캔 음료 등의 자동판매기일 수도 있고 또는 일정한 형태의 저장물을 수납하는 수납트레이와 빛감지장치를 구비하는 일반적인 저온저장장치일 수도 있다.
상기 수납트레이는 저장물을 수납하기 위해 오목하게 형성된 복수의 수납홈과 상기 복수의 수납홈의 중앙에 각각 형성된 복수의 관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납홈의 형태는 저장물의 형태에 맞추어 형성해야 할 것인바, 상기 저장물이 원기둥 형태인 캔일 경우 반원기둥 모양일 수 있다.
상기 빛감지장치(60)는 상기 수납트레이의 수납홈 아래에 장착되고 상기 각 관통홀 아래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조도센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온저장장치도 도어스위치(31)와 발광장치(21)를 구비하여, 도어의 개폐에 연동하거나 또는 도어를 열지 않고도 감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00)는 사용자에 의해 저장물 상태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310)와, 상기 입력부와 상기 빛감지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를 연산하거나 판단하는 마이컴(320)과, 상기 입력되고 연산 또는 판단된 저장물 상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330)와, 상기 이동단말기와 통신하여 사용자의 명령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저장물 상태 정보를 송신하는 통신부(34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입력부(310)는 사용자가 저장물의 구매일자와 수납일자 또는 유통기한 등의 상태 정보를 직접 입력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상기 입력부(310)는 저온저장장치의 전면에 복수의 버튼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터치 스크린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후술하는 디스플레이(360)가 구비될 경우, 디스플레이(360)가 터치 스크린이라면 이를 통해 저장물의 상태 정보를 입력할 수도 있다.
상기 마이컴(320)은 저온저장장치의 전반적인 작동을 제어할 뿐만 아니라, 상기 입력부(310)와 빛감지장치(6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연산하거나 판단한다.
상기 저장부(330)는 상기 입력부(310)를 통해 입력되거나 상기 마이컴(320)에서 연산 또는 판단된 저장물 상태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마이컴(320)은 상기 저장부(330)에 저장할 데이터를 분류하여 저장하도록 하거나, 상기 저장부(330)에 저장된 데이터를 가져와서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상기 통신부(340)는 사용자의 이동단말기(400)와 통신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를 통해 사용자의 명령신호를 수신하거나 상기 저장물 상태 정보를 송신한다.
상기 제어부는 저장물의 상태 정보 중에서도 특히 저장물의 개수와 위치에 관한 상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상기 상태 정보는 저온저장장치의 본체 전면에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또는 사용자의 이동단말기(400)를 통해 표시되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360)는 상기 제어부(300)와 유선으로 연결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상기 통신부(340)를 통해 무선통신을 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저온저장장치는 상기 도어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도어스위치(31)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2를 참조하여 상기 도어스위치(31)와 연동하여 본 발명의 저온저장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한다.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도어가 열리면 상기 발광장치(21)를 켜고, 상기 도어가 닫히면 상기 빛감지장치(60)의 감지신호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며, 상기 도어의 폐쇄시로부터 설정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발광장치(21)를 끄도록 제어할 수 있다.
먼저, 상기 도어스위치(31)가 상기 도어가 개방된 것을 감지하면(S10), 상기 발광장치(21)가 켜져서 저장실 내부를 조명한다(S20).
사용자가 열었던 도어를 닫아서, 상기 도어스위치(31)가 도어 폐쇄를 감지하면(S30),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빛감지장치(60)의 감지신호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저장부(330)에 저장한다(S40).
이때, 상기 도어가 닫히더라도 상기 발광장치(21)가 바로 꺼지지 않고 켜진 상태로 유지된다.
그래야 상기 빛감지장치(60)의 수광센서가 상기 발광장치(21)로부터 나오는 빛을 감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 다음, 도어 폐쇄시로부터 미리 설정된 소정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판단하여(S50), 그 설정 시간이 지났으면 상기 발광장치(21)를 끈다(S60).
상기 도어 폐쇄시로부터의 설정시간은 5초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300)가 상기 빛감지장치(60)의 감지신호 데이터를 수신한 직후에 바로 상기 발광장치(21)를 끄는 것이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설정시간은 센서의 감지시간과 데이터 전달 시간 등을 고려한다면, 최소로 설정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만약, 상기 감지신호 수신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면 그 수신 직후에 발광장치(21)를 끄도록 제어할 수도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도 13을 참조하여 상기 도어스위치(31)와 연동하여 본 발명의 저온저장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의 다른 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온저장장치는 내부에 저장실이 마련되는 본체와,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저장실에 마련되어 저장물을 수납하는 복수의 수납홈이 마련된 수납트레이와, 상기 저장실 내부에 설치된 발광장치(21)와, 상기 복수의 수납홈의 아래에 각각 배치된 복수의 수광센서를 포함하여 상기 발광장치로부터 상기 수납홈으로 입사되는 빛을 감지하는 빛감지장치(60)와, 상기 발광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빛감지장치의 감지신호를 처리하여 저장하고 사용자에게 상기 저장물의 수납 위치와 저장기간에 관한 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의 저온저장장치와 비교할 때, 본 실시예의 저온저장장치는 제어부가 저장물의 수납 위치와 저장기간에 관한 상태 정보를 제공한다는 점이 다르다.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도어가 열리면 상기 발광장치(21)를 켜고, 상기 도어가 닫히면 상기 빛감지장치(60)의 감지신호 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수납홈 별로 감지신호가 변화되었는지를 감지하여 저장물이 무에서 유로 변화된 경우, 그 변화 시점으로부터 시간을 카운팅하고 감지신호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도어의 폐쇄시로부터 설정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발광장치(21)를 끄도록 제어할 수 있다.
먼저, 상기 도어스위치(31)가 상기 도어가 개방된 것을 감지하면(S110), 상기 발광장치(21)가 켜져서 저장실 내부를 조명한다(S120).
사용자가 열었던 도어를 닫아서, 상기 도어스위치(31)가 도어 폐쇄를 감지하면(S130),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빛감지장치(60)의 감지신호 데이터를 수신한다(S140).
다음으로, 상기 수납홈 별로 수신된 감지신호가 변화되었는지를 판단한다(S150).
만약, 감지신호가 저장물 무->유로 변화된 경우, 즉 빛의 감지신호가 없다가 생긴 경우, 상기 변화 시점을 감지하여 그때부터 시간을 카운팅하고 감지신호 데이터를 저장한다(S172).
감지신호가 저장물 무->유로 변화된 경우 사용자가 저장물을 특정 수납홈에 수납한 경우이므로, 그때부터 시간을 카운팅하여 저장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각 수납홈별로 저장된 저장물의 저장기간이 다를 수 있으므로, 감지신호 변화도 수납홈마다 각각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감지신호가 저장물 유->무로 변화되었다면, 상기 변화 전에 저장되어 있던 저장물 상태 정보는 삭제한다(S174).
이때는 사용자가 특정 수납홈에서 저장물을 꺼내어서 상기 감지신호가 없다가 생긴 경우로이므로, 종전에 있던 저장물의 상태 정보는 필요없게 되었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수납홈별 감지신호가 변화되지 않은 경우에는, 그 수신된 감지신호를 저장한다(S176).
이와 같이, 각 수납홈별 저장물에 대한 감지신호를 업데이트한 다음에는, 도어 폐쇄시로부터 미리 설정된 소정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판단하여(S18, 그 설정 시간이 지났으면 상기 발광장치(21)를 끈다(S190).
본 실시예의 저온저장장치에 의하면, 각 수납홈에 수납되는 저장물의 유무에 따라 저장물의 위치와 개수는 물론이고 그 저장기간도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저장기간에 대해 사용자가 수납시에 이를 기록해 두지 않더라도 상기 제어부는 자동으로 저장기간을 산출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14 내지 도 17에는 디스플레이 또는 이동단말기의 화면 표시의 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14에는 상기한 제1계란수납부(100)에 2개의 계란트레이가 구비된 냉장고에서 각 계란트레이의 개략적인 이미지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각 계란트레이의 수납홈에 계란이 있는지 여부가 위치별로 표시되어 있고, 그 아래에 계란의 현재수량과 저장기간이 표시되어 있다.
또한, 그 아래에는 좌측에 경고부(Alarm)가 배치되고 우측에 시간설정부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경고부는 계란의 현재수량이 소정 개수 이하일 경우 경고부가 활성화되고, 사용자가 경고부를 터치하면 경고내용을 표시하는 팝업창이 나타날 수 있다.
상기 시간설정부에 표시되는 시각은 사용자가 계란의 현재수량을 매일 체크하는 시각일 수도 있고, 상기 경고부가 사용자에게 경고하는 시각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좌우 계란트레이는 각각 12개의 계란을 수납할 수 있는데, 좌측에 12개가 있고, 우측에 2개의 계란이 수납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좌우 계란트레이에 수납된 계란들의 저장기간은 공히 5일임을 알 수 있다. 만약, 계란들의 저장기간이 동일하지 않을 경우 각 수납홈의 계란을 터치할 때 그 계란의 저장기간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5에는 계란이 총 2개 남았을 경우 경고하고 온라인 쇼핑을 하는 것을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화면이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계란트레이에는 계란이 없고 우측 계란트레이에만 계란이 2개 남은 경우 상기 경고부(Alarm)가 활성화되어 사용자에게 경고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경고부를 터치하면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팝업창이 뜨면서 "계란이 2개 남았습니다"라는 경고 문구와 함께 계란트레이의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상기 팝업창을 터치하여 확인한 후,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하측의 온라인쇼핑(online shopping)을 눌러 계란을 온라인으로 구매할 수 있다.
도 16 및 도 17에는 도어 내측에 구비된 제2계란수납부(200)에 수납된 계란의 상태를 나타내는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의 이동단말기 화면이 도시되어 있다.
우선, 도 16에는 제2계란수납부(200)의 계란트레이가 사시도 형태로 도시되고, 그 수납홈 12개 중 6개의 수납홈에 계란이 존재하는 것이 이미지와 텍스트로 표시되어 있다.
그 아래에는 계란의 신선도와 저장기간 및 유통기한이 각각 기재되어 있다.
저장기간은 상술한 바와 같이 자동으로 카운팅되거나 사용자가 계란을 수납할 때 입력부를 통해 입력할 수도 있다.
반면, 유통기한의 경우 사용자가 입력부를 통해 입력해야 제어부가 이를 표시할 수 있다.
신선도는 저장기간과 입력된 유통기한 및 현재 날짜로부터 자동으로 계산되어 표시될 수 있다.
만약, 유통기한이 입력되지 않은 경우라면 제어부는 일반적인 계란의 유통기한을 고려하여 상기 저장기간으로부터 개략적으로 신선도를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계란의 경우 일반적인 유통기간이 30일 정도인데, 계란 구매 시점이 생산일로부터 일주일 정도라고 전제한다면, 계란의 저장기간이 약 3주일 이내라면 대략 유통기한 경과 전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즉, 어떤 계란의 저장기간이 14일이라면 그 유효기간은 앞으로 7일이라고 산출할 수 있어서, 사용자에게 유효기간이 7일 남았음을 표시하면서 계란의 신선도에 대해 "신선함"이라고 표시하여 알려줄 수 있다.
도 17에는 각 수납홈에 수납된 계란의 저장기간이 서로 다를 경우에 스마트폰의 표시화면에서 각 수납홈의 계란 색깔을 달리 표시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즉, 계란트레이에 수납된 각 계란의 저장기간이 서로 다른 경우, 도 16과 같은 화면에서는 신선도, 저장기간 및 유통기한이 표시되지 않고 계란의 위치와 개수만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계란트레이를 터치하면 도 17과 같은 화면이 나타나면서 각 계란의 저장기간이 수납홈별로 표시된다.
예를 들어, 저장기간이 10일 된 계란 4개와, 저장기간이 3일 된 계란이 5개, 합해서 총 9개의 계란이 수납되어 있다.
계란트레이를 나타내는 직사각형의 아래에는 현재수량이 표시되어 있고, 그 우측에는 "유통기한"이 기재되어 있다.
사용자가 우측의 "유통기한" 부분을 누르면 위의 저장기간 표시가 유통기한으로 바뀌어 표시될 수 있다. 물론, 사용자가 각 계란의 유통기한을 미리 입력했을 것을 전제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냉장고 또는 저온저장장치가 설치된 곳이 아닌 곳에서도 용이하게 계란이나 캔 등 저장물의 잔여 수량과 저장기간 등의 상태 정보를 파악할 수 있으므로, 저장물의 수납 및 관리를 매우 편리하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10: 본체
20: 냉장실
30: 냉장실도어
40: 보조도어
50: 냉동실도어
100: 제1계란수납부
110: 계란트레이
114: 손잡이
120: 커버
130: 수납홈
135: 고무링
140: 관통공
150: 수광센서
160: 기판
170: 커버판
175: 마개
180: 베이스판
200: 제2계란수납부
210: 계란트레이
214: 손잡이
220: 커버
230: 수납홈
235: 고무링
240: 관통공
250: 수광센서
260: 기판
270: 커버판
275: 마개
280: 베이스판

Claims (41)

  1. 내부에 저장실이 마련되는 본체와,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저장실에 마련되어 계란을 수납하는 복수의 수납홈과 상기 복수의 수납홈의 하부에 복수의 관통홀이 마련된 계란트레이와,
    상기 저장실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저장실의 내부를 조명하는 발광장치와,
    상기 복수의 수납홈의 아래에 각각 배치된 복수의 조도센서를 포함하여 상기 발광장치로부터 상기 수납홈으로 입사되는 빛을 감지하는 빛감지장치와,
    상기 발광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빛감지장치의 감지신호로부터 사용자에게 계란의 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도센서는 상기 복수의 관통홀 아래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관통홀은,
    상기 복수의 수납홈의 중앙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빛감지장치는,
    상기 복수의 관통홀이 배치된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조도센서가 배치된 회로기판과,
    상기 회로기판의 상면을 덮고 상기 복수의 조도센서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복수의 수용홀을 구비하는 커버플레이트와,
    상기 회로기판의 하면에 부착되는 베이스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삭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계란트레이는 상기 복수의 수납홈 상단에 장착되어 수납되는 계란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고무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란트레이는 상기 저장실의 바닥에 오목하게 형성된 안착홈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고,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빛감지장치는 상기 안착홈의 바닥에 장착되어 고정되고,
    상기 계란트레이는 상기 빛감지장치의 위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삭제
  10. 삭제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계란트레이는,
    그 일측부에 마련된 라이팅부와,
    상기 라이팅부와 연결되고 상기 계란트레이의 하부에 돌출된 트레이단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안착홈에는 상기 트레이단자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상기 계란트레이가 상기 안착홈에 안착될 때 상기 트레이단자와 접속되는 고정단자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조도센서는 상기 트레이단자가 상기 고정단자와 접속할 때에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란트레이는 상기 도어 내측에 장착되는 도어선반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KR1020130042962A 2013-04-18 2013-04-18 냉장고 및 저온저장장치 KR1020245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2962A KR102024594B1 (ko) 2013-04-18 2013-04-18 냉장고 및 저온저장장치
EP14156069.8A EP2792979B1 (en) 2013-04-18 2014-02-21 Low temperature storage apparatus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14/192,064 US9372029B2 (en) 2013-04-18 2014-02-27 Low temperature storage apparatus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CN201410105410.2A CN104110935B (zh) 2013-04-18 2014-03-20 低温储存装置及其操作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2962A KR102024594B1 (ko) 2013-04-18 2013-04-18 냉장고 및 저온저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5154A KR20140125154A (ko) 2014-10-28
KR102024594B1 true KR102024594B1 (ko) 2019-09-24

Family

ID=50150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2962A KR102024594B1 (ko) 2013-04-18 2013-04-18 냉장고 및 저온저장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372029B2 (ko)
EP (1) EP2792979B1 (ko)
KR (1) KR102024594B1 (ko)
CN (1) CN10411093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55129B (zh) * 2014-11-28 2016-10-26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物品存放装置
CN104654727B (zh) * 2015-03-04 2017-01-25 泰州乐金电子冷机有限公司 食物存储盒和冰箱
CN104729221B (zh) * 2015-03-26 2017-03-01 安徽大学 一种可监控鸡蛋存储架及其存储鸡蛋的方法
US10089520B2 (en) * 2015-03-26 2018-10-02 Krishna V Motukuri System for displaying the contents of a refrigerator
CN104913591B (zh) * 2015-06-24 2018-01-16 合肥美的电冰箱有限公司 冰箱及冰箱的灯光控制方法
CN105011584B (zh) * 2015-07-07 2018-07-27 滨州职业学院 一种医药储藏器
US10027866B2 (en) * 2015-08-05 2018-07-17 Whirlpool Corporation Refrigerators having internal content cameras, and methods of operating the same
US20170299257A1 (en) * 2016-04-18 2017-10-19 General Electric Company Adjustable and Removable Door Lighting Assembly for a Refrigerator Appliance
CN106500452B (zh) * 2016-11-01 2019-03-22 释普信息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低温冰箱温度的云端监控及故障报警系统及方法
EP3686529B1 (en) * 2019-01-24 2023-03-15 Audi Ag Refrigerator
KR102311434B1 (ko) * 2019-08-19 2021-10-13 농업회사법인 (주) 에이라이프 스마트 달걀 트레이 기반 달걀 자동주문 및 관리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12978096A (zh) * 2021-04-19 2021-06-18 佛山市顺德区贝欧科技有限公司 一种带消毒功能的蛋类储物盒
CN115388609A (zh) * 2021-05-24 2022-11-25 青岛海尔特种制冷电器有限公司 杀菌控制系统、冰箱、储蛋装置及其杀菌控制方法
CN113758091A (zh) * 2021-09-24 2021-12-0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食物储存装置、冰箱、食物监测方法及装置
CN113758090A (zh) * 2021-09-24 2021-12-0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食物储存装置、冰箱、食物监测方法及装置
CN113758089A (zh) * 2021-09-24 2021-12-0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食物储存装置、冰箱、食物监测方法及装置
CN113758092A (zh) * 2021-09-24 2021-12-0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食物储存装置、冰箱、食物监测方法及装置
CN113758088A (zh) * 2021-09-24 2021-12-0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食物储存装置、冰箱、食物监测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406824C (zh) 2001-05-25 2008-07-30 Lg电子株式会社 食品自动定购型冰箱及其动作方法
US20090277199A1 (en) * 2004-12-08 2009-11-12 Teknoloji Dizayn Studyo Produksiyon Ve Reklamcilik Anonim Sirketi Refrigerator capable of stock monitoring by providing ideal storage conditions
US7861542B2 (en) * 2007-04-10 2011-01-04 Maytag Corporation Refrigerator including food product management system
KR101622601B1 (ko) * 2009-02-19 2016-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의 만빙감지장치
KR20100064613A (ko) * 2008-12-05 2010-06-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100096704A (ko) * 2009-02-25 2010-09-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JP5444811B2 (ja) * 2009-04-22 2014-03-1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冷蔵庫
CN102770728B (zh) 2010-03-09 2015-07-08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冷藏库
DE102010043241A1 (de) * 2010-11-03 2012-05-03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Kältegerät und Tablar dafür
KR20120116207A (ko) * 2011-04-12 2012-10-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Non-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64613호(2010. 6. 15.) 1부.*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94880호(2010. 8. 27.) 1부.*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96704호(2010. 9. 2.) 1부.*
독일 공개특허공보 제10 2010 043241호(2012. 5. 3.) 1부.*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10-255877호(2010. 11. 11.)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92979A2 (en) 2014-10-22
CN104110935A (zh) 2014-10-22
KR20140125154A (ko) 2014-10-28
EP2792979B1 (en) 2016-09-07
EP2792979A3 (en) 2015-04-22
US9372029B2 (en) 2016-06-21
US20140313693A1 (en) 2014-10-23
CN104110935B (zh) 2016-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4594B1 (ko) 냉장고 및 저온저장장치
KR102024595B1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US10935310B2 (en) Inventory system for a refrigerator appliance
JP6498866B2 (ja) 冷蔵庫、カメラ装置
KR102333556B1 (ko) 카메라 시스템 및 냉장고
US8151590B2 (en) Back light in ice storage area
JP2007010208A (ja) 冷蔵庫
US20130111936A1 (en) Refrigerator With Individualized Locking Drawers
EP3719424B1 (en) Refrigerator and refrigerator system
US20150330704A1 (en) A cooling device comprising of a knob providing the adjustment of the compartment temperature
US11335010B2 (en) Methods for viewing and tracking stored items
JP2020061744A (ja) カメラシステム、冷蔵庫
JP2019148418A (ja) 冷蔵庫
JP2015021704A (ja) 冷蔵庫
WO2022048564A1 (zh) 具有可移动相机的制冷电器
KR100870947B1 (ko) 맞춤형 온도제어가 가능한 패키지 냉장고
KR20170044628A (ko) 냉장고 및 냉장고 디스펜서
KR100690137B1 (ko) 고내온도 제공형 냉장고
CN210113498U (zh) 冰箱
US20140305151A1 (en) Beverage dispenser
KR200375242Y1 (ko) 히트펌프가 탑재된 독립 인출식 자동판매기
KR20060066286A (ko) 냉장고의 식품위치 표시장치 및 그 방법
KR20100086811A (ko) 냉장고
CN117168049A (zh) 冰箱及其瓶座
JP2006057911A (ja) 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