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4509B1 - Waste septic tank - Google Patents

Waste septic tan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4509B1
KR102024509B1 KR1020180157764A KR20180157764A KR102024509B1 KR 102024509 B1 KR102024509 B1 KR 102024509B1 KR 1020180157764 A KR1020180157764 A KR 1020180157764A KR 20180157764 A KR20180157764 A KR 20180157764A KR 102024509 B1 KR102024509 B1 KR 1020245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plate
hopper
support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776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류호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진피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진피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진피앤씨
Priority to KR10201801577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450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45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450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26Hoppers, i.e. containers having funnel-shaped discharge sections
    • B65D88/28Construction or shape of discharge 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26Hoppers, i.e. containers having funnel-shaped discharge sections
    • B65D88/30Hoppers, i.e. containers having funnel-shaped discharge sections specially adapted to facilitate transportation from one utilisation site to an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54Gates or clos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waste rock delivery equipment which comprises: a hopper member which has an open upper side for containing a fixed amount of waste rocks and an open lower side for discharging the waste rocks; a support member which is vertically installed on a lateral side of the hopper member to firmly support the hopper member; a sustaining member which is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hopper member to firmly support the hopper member; and an opening and closing member which is installed on a lower side of the sustaining member to open or close the opened lower side of the hopper member. Accordingly, waste rocks and others generated by cutting marble are contained in the hopper member and moved to a target place or location. The waste rocks or broken rocks can be freely moved to a desired place or location. The waste rock delivery equipment can move and elevate the waste rock by a forklift. The waste rocks or the broken rocks to be scrapped can be simply and easily moved or delivered as construction waste.

Description

폐석 운반구{Waste septic tank}Waste septic tank

본 발명은 폐석 운반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게차 등을 이용하여 석재 또는 대리석 등의 절단 시 절단되고 남은 폐석을 간편하게 이동 및 운반시킬 수 있도록 하는 폐석 운반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ste-rock carri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ste-rock carrier that can be easily moved and transported by the forklift, such as the waste stone cut and cut during the cutting of stone or marble.

일반적으로 광석, 벽돌, 시멘트 블록이나 콘크리트로 지어진 각종 시설물을 철거할 때에는 수없이 많은 불규칙 파편(조각)이 발생한다. 이것을 석재 파편이라고 약칭하자.In general, when dismantling various facilities made of ore, brick, cement blocks or concrete, numerous irregular pieces (fragments) are generated. Let's abbreviate it as stone fragments.

석재 파편은 공압을 이용하는 파쇄기로 강하게 두들겨 깬 것으로, 덩어리가 큰 것과 모난 것, 거친 것, 잔 부스러기 등이 뒤섞여 있다.Stone debris is a strong pneumatic crusher broken and is a mixture of large, angular, coarse, and fine crumbs.

수송 차량을 이용하여 석재 파편을 재생공장으로 옮기든 가공 공장으로 운반하든 상관없이 일단 차량으로 수송할 때 뒤 차량의 안전운행과 노면의 오염방지를 위해서 도로의 미관과 공해방지를 위해서, 석재 파편이 도로로 떨어져서는 안 되고 분진이 휘날려서도 안 된다.Whether transporting stone debris to a recycling plant or to a processing plant using a transport vehicle, stone debris is used to prevent the aesthetics and pollution of roads to ensure safe operation of the vehicle and pollution of road surfaces. It must not fall off the road, nor should dust be blown away.

종래의 석재 포대는 마대와 들줄(손잡이 밴드)이 하나같이 홑겹이며, 마대 상단부에 걸고리 형태로 봉재되어 있다. 홑겹의 마대는 외상에 약해서 쉽게 찢어지고 손상되어 사용 수명이 짧으며, 들줄도 쉽게 절단되는 등 내구성이 매우 취약하여 1회용으로 한정하게 되고, 석재 등과 같은 고중량 제품의 운반용 포대로 사용하기가 부적합하다.Conventional stone sacks have a sack and a string (handle band) one by one, and is sewn in the form of a hook at the upper end of the sack. Single sack is weak in trauma, so it is easily torn and damaged, so its service life is short, and the line is easily cut, so its durability is very weak and it is limited to one-time use, and it is not suitable for use as a carrying bag for heavy products such as stone. .

그러므로 석재용 마대를 2회 이상 반복 사용하기 위해서는 마대에 석재 파편을 담을 때나 마대에 담긴 석재 파편을 비울 때에 아주 세심한 주의가 요망된다. 하지만 이것만으로는 한계가 있다.Therefore, in order to repeatedly use the stone stools twice or more, great care should be taken when placing the stone fragments on the stools or when emptying the stone fragments contained in the stools. But this alone has its limits.

곡물 마대에 입자 균등한 동종의 곡물을 가득 담으면 마대 전반에 걸쳐 곡물의 압력이 균등하게 작용하므로 부위 차 없이 팽만한 상태로 되지만, 석재 및 폐 콘크리트용 마대의 경우는 이와 달리 불규칙한 파편 사이에 남는 공간 때문에 예리한 부분 때문에 마대에 담긴 형태가 울퉁불퉁하여 보기에 좋지도 않을뿐더러 적재공간을 불필요하게 차지하기 때문에 차량 적재함의 용적당 적재량이 적고, 야적 시에도 더 많은 면적을 점유하기도 한다.Filling grain bales with grains of the same type, the grain pressure is equally distributed throughout the bale, resulting in a bloated state without any difference between the grain bales. Because of the sharpness of the space, the shape of the sack is uneven and unpleasant, and occupies an unnecessarily large storage space.

석재와 콘크리트 파편은 입도가 균일하지 않다. 마대의 사우에 둘러 재봉한 들고리와 겹친 마대 부분은 융통성(신축성)이 없다. 콘크리트 파편의 모난 부분이 들고리와 겹쳐진 부위에 닿았을 때 모난 부분을 통해 전해지는 무게에 상응하는 만큼 겹쳐진 부분이 적당히 늘어나 줘야 그런대로 차곡차곡 수납될 수 있지만, 그런 신축성이 없으니 마대에 담기는 콘크리트 파편의 양이 적을 수밖에 없다.Stone and concrete fragments are not uniform in particle size. The part of the hem overlapped with the seams that are sewn around the heel of the hem is not flexible. When the angular part of the concrete debris touches the overlapping part with the ridge, the overlapping part must be properly stretched to correspond to the weight transmitted through the angular part so that it can be stored as it is. There is no small amount of.

게다가 모든 부위는 두께 방향으로 탄성이 없다. 그래서 콘크리트 파편이 가득 담겨서 울퉁불퉁해진 마대를 수송 차량의 적재함에 싣고 목적지에 도착하여 하차할 때 모난 부분이 적재함에 상처를 입히기 쉬운 점도 아쉽다.In addition, all parts are not elastic in the thickness direction. Therefore, it is also a pity that the rugged sack filled with concrete debris is loaded into the loading box of the transport vehicle, and the angular portion is likely to damage the loading box when arriving and arriving at the destination.

또한 바닥의 한복판에 형성된 투하구는 단순히 지름이 큰 대롱 모양인 데, 투하구를 오므려뜨리고 끈을 둘러 동여매기가 여의치 않고, 오므려진 투하구의 매듭이 굵어 평탄한 바닥에 내려놓으면 한쪽으로 기우는 좋지 못한 현상이 생기기도 한다.In addition, the discharge hole formed in the middle of the floor is simply a large diameter, and it is not good to retract the discharge hole and tie up the string, and the knot of the closed discharge hole is thick and it is good to tilt to one side when placed on a flat floor. You may have some phenomena.

건자재나 농산물의 포장 운반용으로 사용되는 마대는 합성수지 재질(폴리프로필렌/PP)로 제작되며, 대개는 1겹으로 된 마대를 사용하고 있다.The sack used for packing and transporting building materials or agricultural products is made of synthetic resin material (polypropylene / PP).

그러나 1겹으로 이루어진 마대는 내구성이 약하기 때문에 농산물 등의 포장 운반용으로는 적합하지만, 길고 뾰족한 형상의 불규칙한 내용물의 포장 운반용으로는 적합하지 않으며, 상기 1겹 마대는 외상에 약해 쉽게 찢어지고 손상되기 쉬워 수명이 짧은 탓에 석재 파편의 운반용으로는 부적합하며, 석재 파편의 뾰족하고 모난 부분에 닿은 마대 부분이 튀어나와 수송 차량의 적재함을 손상시키며, 마대가 두께방향으로 신축성을 발휘하지 못해 파편의 포장 운반량이 적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one-ply sacks are suitable for transporting agricultural products and the like because of their low durability, but they are not suitable for carrying and packing long and pointed irregular contents, and the one-ply sacks are fragile and easily torn and damaged. Due to its short lifespan, it is not suitable for transporting stone debris, and a sack that touches the sharp and angular part of the stone debris sticks out and damages the loading box of the transport vehicle, and the sack does not exert its elasticity in the thickness direction, so the amount of pavement is transported. This is a small problem.

한편 운반용 카트(Cart)는 사용자가 직접 물건을 싣고 이동할 수 있도록 손잡이가 형성된 프레임에 바퀴와 물건을 적재할 수 있는 함체로 구성된 것으로, 공사현장에서 벽돌 등을 옮기거나 가축을 사육하는 축사, 할인마트 등에서 쇼핑카트를 많이 이용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art (cart) consists of a box that can be loaded with wheels and objects in a frame formed with a handle so that the user can directly load and move the goods, barns, discount marts to move bricks or raise livestock at the construction site I use a lot of shopping carts on the back.

이와 같이 운반용 카트는 사용처에 따라 달리 사용되고 있는데, 그 중에서도 특히, 공사현장과 같이 건축자재 등에 의해 이동 공간이 협소한 곳에서는 중장비를 사용하기가 곤란하여 바퀴와 바퀴와의 거리를 줄이면서도 방향전환이 용이한 외발 카트를 선호하고 있다.In this way, the transport cart is us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place of use, and in particular, it is difficult to use heavy equipment in places where moving spaces are limited due to construction materials, such as construction sites, so that the direction between the wheels and the wheels can be reduced while reducing the distance between the wheels Favorable unicycle carts are preferred.

그러나 이러한 외발 카트는 석재와 같이 중량체를 작업자 혼자서 싣기도 용이하지 않으며, 설령 싣는다 하더라도 적재 함체의 내부공간이 적어 석재와 같이 길이 방향으로 긴 중량물체를 싣고 이동하기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However, such a unicycle cart is not easy to carry the weight alone by the worker, such as stone, even if it is loaded,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carry a long heavy objec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uch as stone, because there is little space inside the loading enclosure.

또한 작업자의 신장에 관계없이 일정한 높이에 손잡이가 설치되어 신장의 차이가 다른 작업자가 균형을 잡고 이동하기에 곤란할 뿐만 아니라, 각각의 부품을 완전 결합하여 제공되는 문제로 다른 현장으로 이동할 때에 부피를 많이 차지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handle is installed at a certain height regardless of the height of the worker, it is difficult for workers with different heights to balance and move, and it is also a problem that is provided by completely combining each part. There is a problem.

대리석 등은 건축물의 외장재로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대리석은 대리석 절단장치를 이용하여 소정의 크기로 절단하게 된다.Marble is mainly used as a building exterior material, and such marble is cut into a predetermined size using a marble cutting device.

이때 소정의 크기로 절단된 대리석은 외장재로 사용되지만, 대리석의 절단 시 외장재로 사용할 수 없는 파편 또는 조각이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폐석을 차량에 싣거나 다른 장소로의 이동 시 마대 등은 찢어지는 문제가 있어 사용이 곤란하고, 운반용 카트는 많은 양의 폐석 또는 조각을 담을 수 없어 이동 또는 운반 시 카트를 이용하여 옮기는데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In this case, the marble cut to a predetermined size is used as an exterior material, but when cutting the marble, fragments or pieces that cannot be used as exterior materials are generated, and when the waste stone is placed on a vehicle or moved to another place, the sack is torn. There is a difficulty in use, the transport cart can not contain a large amount of waste-rock or pieces there was a problem in that it is inconvenient to use to move using the cart when moving or transporting.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절첩식 운반 상자'가 개시되어 있다.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discloses a 'foldable transport box'.

하기 특허문헌 1에 따른 절첩식 운반 상자는 베이스 패널, 상기 베이스 패널의 가장자리를 따라 기립되는 측면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측면 패널의 기립시 상기 측면 패널이 기립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락킹수단은 일단이 상기 측면 패널의 외측으로 돌출 가능하고, 상기 측면 패널의 외측으로 일단이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어 있으며, 타단에는 전방 또는 후방으로 돌출된 접촉부가 구비되어 있는 핀부재, 상기 측면 패널에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접촉부와 접촉하여 상부로 이동시 상기 접촉부가 내측으로 이동하도록 경사져 있는 경사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측면 패널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있는 당김부재를 포함한다.The folding carrying box according to Patent Document 1 includes a base panel and a side panel that stands up along an edge of the base panel, and the locking means for maintaining the side panel standing up when the side panel stands up is once The pin member protrudes outwardly of the side panel, is elastically supported in a direction in which one end protrudes outwardly of the side panel, and has a contact member protruding forward or rearward at the other end, and vertically up and down the side panel. It is provided to be movable, the inclined portion is provided to be inclined so as to move in contact with the contact portion inwardly when moving upward, and includes a pulling member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ide panel.

하기 특허문헌 2에는 '석재 파편 운반용 마대'가 개시되어 있다.Patent Document 2 discloses a 'stone debris carrying platform.'

하기 특허문헌 2에 따른 석재 파편 운반용 마대는 주벽의 상단에 윗막이가 부착되고, 한 쌍의 들고리가 주벽에 나란히 부착되며, 바닥의 한복판에는 끈으로 동여매서 밀봉하는 투하구가 부착된 석재 파편 운반용 마대에 있어서, 상기 주벽 및 바닥은 상단이 테두리로 보강되고 내피와 외피 및 중간피로 이뤄지는 3겹 구조체로 형성하고, 상기 들고리는 내띠에 외띠를 겹쳐서 재봉하고, 테두리와 주벽의 하단부와 겹치는 부분만 재봉하고 주벽의 나머지 부분과 겹치는 부분은 재봉하지 않은 구조로 형성하며, 상기 투하구는 주벽에 복수의 구멍이 뚫린 구조로 형성된다.Stone debris carrying stem according to Patent Literature 2 is attached to the top wall of the main wall, a pair of claws are attached to the main wall side by side, the bottom of the bottom is attached to the stone debris transporting strap attached to the sealing hole In, the circumferential wall and the bottom is formed of a three-ply structure consisting of the upper end is reinforced by the rim and consisting of the inner skin and the outer skin and the middle blood, the sash is sewn by overlapping the outer belt on the inner belt, sewing only the portion overlapping the lower end of the rim and the main wall And the portion overlapping with the rest of the main wall is formed of a non-sewing structure, the discharge port is formed of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holes are drilled in the main wall.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4-0103420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4-0103420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1-0053518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1-0053518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3-0048460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3-0048460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대리석, 석재 등의 절단에 의해 발생된 폐석을 안전하게 이동 또는 운반시킬 수 있도록 하는 폐석 운반구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to provide a waste-rock carrier that can safely move or transport the waste-rock generated by the cutting of marble, stone and the lik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일정량의 폐석을 차량 또는 이동시키고자 하는 장소로 차량 등에 실을 수 있도록 하는 폐석 운반구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ste-rock carrier for loading a certain amount of waste-rock into a vehicle or the like to be move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일정량의 폐석을 호퍼에 담아 차량에 싣거나 원하는 장소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폐석 운반구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aste-rock carrier for placing a certain amount of waste-rock in a hopper so that it can be loaded on a vehicle or moved to a desired place.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폐석 운반구는 일정량의 폐석을 담을 수 있도록 개방된 상면과 폐석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저면이 개방되게 형성된 호퍼부재; 상기 호퍼부재가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상기 호퍼부재의 측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서포트부재; 상기 호퍼부재의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호퍼부재를 견고하게 지지하는 받침부재; 상기 받침부재의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호퍼부재의 개방된 저면을 개폐시키는 개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waste-rock carr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hopper member formed to open the upper surface and the bottom surface to discharge the waste-rock to hold a predetermined amount of waste-rock; A support member installed perpendicularly to a side of the hopper member so that the hopper member is firmly supported; A support member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hopper member to firmly support the hopper member; And an opening and closing member installed on a bottom of the support member to open and close an open bottom of the hopper member.

상기 호퍼부재는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전면판; 상기 전면판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후면판; 상기 전면판과 상기 후면판 사이에 고정되는 한 쌍의 측면판;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측면판은 수용된 폐석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opper member has a front plate formed in a predetermined shape; A rear plate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front plate; And a pair of side plates fixed between the front plate and the back plate, wherein the pair of side plates are inclined plate form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so as to smoothly discharge the received waste-rock. It features.

상기 받침부재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개폐부재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가로프레임;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개폐부재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가로프레임; 상기 호퍼부재가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상기 제1 가로프레임 및 제2 가로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는 제1 세로프레임 및 제2 세로프레임; 상기 제1 가로프레임과 상기 제2 가로프레임의 양단에 고정되는 제1 고정프레임 및 제2 고정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upport member is formed of a predetermined length, the first horizontal frame is installed so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is movable; A second horizontal frame formed to a predetermined length and provided with the opening / closing member movable; A first vertical frame and a second vertical frame installed between the first horizontal frame and the second horizontal frame such that the hopper member is firmly supported; And a first fixed frame and a second fixed frame fixed to both ends of the first horizontal frame and the second horizontal frame.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호퍼부재의 개방된 저면을 개폐시키도록 소정의 크기로 형성되는 지지플레이트; 지게차의 포크가 끼워지도록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저면에 고정되는 포크삽입프레임; 상기 지지플레이트 상에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 상기 지지플레이트가 상기 받침부재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설치되는 바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is a support plate formed to a predetermined size to open and close the open bottom of the hopper member; Fork insertion frame is fixed to the bottom of the support plate so that the fork of the forklift; A fixed plate fixed on the support plate; And a wheel installed on the fixed plate such that the support plate is movable along the support member.

상기 고정플레이트는 상기 바퀴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결합구멍; 상기 바퀴는 상기 결합구멍에 결합되도록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고정축; 상기 고정축의 일측에 회전바퀴가 이탈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멈춤링홈부; 상기 고정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바퀴; 상기 회전바퀴가 상기 고정축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멈춤링홈부에 결합되는 멈춤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xing plate has a coupling hole formed to be rotatably coupled to the wheel; The wheel is fixed shaft formed to a predetermined length to be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A stop ring groove formed on one side of the fixed shaft such that the rotation wheel is not separated; A rotating wheel rotatably coupled to the fixed shaft; And a stop ring coupled to the stop ring groove to prevent the rotation wheel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ixed shaft.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폐석 운반구에 의하면, 대리석의 절단함에 따라 발생되는 폐석 등을 호퍼부재에 담아 이동시키고자 하는 장소나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고, 폐석이나 잡석을 원하는 위치 및 장소로 자유로이 이동시킬 있으며, 폐석 운반구를 지게차로 이동 및 승강시킬 수 있고, 폐기시키고자 하는 폐석 또는 잡석을 건설폐기물로 간편하고 용이하게 이동 또는 운반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waste-rock carr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ove the waste-rock and the like generated by cutting the marble to a place or location to be moved in the hopper member, and to move the waste-rock or rubble to the desired location and place It is possible to move freely, to move and lift the waste-rock conveyer by a forklift, and to easily and easily move or transport the waste-rock or rubble to be disposed of as construction wast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폐석 운반구를 도시한 입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폐석 운반구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폐석 운반구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폐석 운반구를 도시한 분해 단면 입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폐석 운반구를 도시한 저면 입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폐석 운반구를 도시한 저면 분해 입체도,
도 7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폐석 운반구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입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폐석 운반구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저면 입체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폐석 운반구가 개방되기 전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폐석 운반구가 개방되기 전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1 is a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a waste-rock carri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a waste-rock carri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a waste-rock carri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waste-rock carri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bottom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a waste-rock carri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bottom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waste-rock carri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an open state of the waste-rock carr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n state of the waste-rock carr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before opening the waste-rock carri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before opening the waste-rock carri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폐석 운반구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waste-rock carrier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폐석 운반구는 일정량의 폐석을 담을 수 있도록 개방된 상면과 폐석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저면이 개방되게 형성된 호퍼부재(10), 상기 호퍼부재(10)가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상기 호퍼부재(10)의 측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서포트부재(20), 상기 호퍼부재(10)의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호퍼부재(10)를 견고하게 지지하는 받침부재(30), 상기 받침부재(30)의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호퍼부재(10)의 개방된 저면을 개폐시키는 개폐부재(40)를 포함한다.The waste-rock carrier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hopper member 10 formed to open the upper surface and the bottom surface to discharge the waste-rock to hold a predetermined amount of waste-rock, so that the hopper-member 10 is firmly supported. The support member 20 installed perpendicular to the side of the hopper member 10, the support member 30 is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hopper member 10 to firmly support the hopper member 10, the support member It is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30 includes an opening and closing member 4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pen bottom of the hopper member 10.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폐석 운반구는 대리석 또는 건설현장 등에서 파생되는 잡석 등을 일정량으로 담아 차량 등에 싣거나 이동 또는 운반시킬 수 있도록 하며, 지게차 등을 이용하여 폐석 또는 잡석을 이동시키고자 하는 장소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A waste-rock carri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a rubble derived from marble or a construction site in a certain amount so that it can be loaded, moved or transported in a vehicle, and the like to move waste-rock or rubble using a forklift. To be moved.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폐석 운반구를 도시한 입체도이다.1 is a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a waste-rock carri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폐석 운반구는 잡석 또는 폐석 등을 담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호퍼부재(10), 상기 호퍼부재(10)가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호퍼부재(10)의 외측에 설치되는 서포트부재(20), 상기 호퍼부재(10)를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호버부재(10)의 저면에 설치되는 받침부재(30), 상기 받침부재(30)를 따라 호퍼부재(10)의 개방된 저면을 개폐시키는 개폐부재(40)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1, the waste-rock carrier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hopper member 10 formed to contain rubble or waste-rock and the like, and the hopper member 10 so that the hopper member 10 is firmly supported. Support member 20 is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support member 20, the support member 30 is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hover member 10 to firmly support the hopper member 10, the hopper member (along the support member 30) It consists of an opening and closing member 4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pen bottom of the 10).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폐석 운반구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폐석 운반구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폐석 운반구를 도시한 분해 단면 입체도이다.Figure 2 is an exploded stereoscopic view showing a waste-rock carri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stereoscopic view showing a waste-rock carri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xploded cross-sectional stereoscopic view showing a waste-rock carrier according to an example.

상기 호퍼부재(10)는 대리석을 소정의 크기로 절단하면서 파생되는 조각 또는 잡석 등을 담을 수 있도록 상면과 저면이 각각 개방되게 형성된다.The hopper member 10 is formed so that the top and bottom surfaces are open so as to contain pieces or rubble, which are derived while cutting marble to a predetermined size.

상기 호퍼부재(10)는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전면판(11), 상기 전면판(11)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후면판(12), 상기 전면판(11)과 상기 후면판(12) 사이에 고정되는 한 쌍의 측면판(13);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측면판(13)은 수용된 폐석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판(13a)을 포함한다.The hopper member 10 includes a front plate 11 formed in a predetermined shape, a back plate 12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front plate 11, the front plate 11 and the back plate 12. And a pair of side plates 13 fixed therebetween, wherein the pair of side plates 13 include an inclined plate 13a which is form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so that the discharged waste stone is smoothly made. .

상기 전면판(11)과 후면판(12)은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전면판(11)과 후면판(12)은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게 형성되며, 상기 측면판(13)은 전면판(11)과 후면판(12)의 양 측면에 고정된다.The front plate 11 and the back plate 12 is formed in a predetermined shape, the front plate 11 and the back plate 12 is formed of a wide top and a narrow bottom, the side plate 13 is the front It is fixed to both sides of the plate 11 and the back plate (12).

이러한 측면판(13)은 전면판(11)과 후면판(12)의 상부에 밀착되며, 상기 전면판(11)과 후면판(12)의 하부에 대응되게 경사판(13a)이 일체로 형성된다.The side plate 13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top of the front plate 11 and the rear plate 12, the inclined plate 13a is formed integrally to correspon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ront plate 11 and the rear plate 12. .

상기 호퍼부재(10)는 대리석의 절단에 따라 파생되는 폐석 또는 잡석 등을 투입할 수 있도록 상면이 개방되게 형성됨은 물론 호퍼부재(10)에 수용된 폐석 또는 잡석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저면이 개방되게 형성된다.The hopper member 10 is formed so that the upper surface is opened to input the waste stone or rubble derived from the cutting of the marble, as well as the bottom surface is opened to discharge the waste stone or rubble accommodated in the hopper member 10. do.

아울러 상기 서포트부재(20)는 호퍼부재(10)의 모서리에 각각 설치되는 제1 서포트(21), 제2 서포트(22), 제3 서포트(23) 및 제4 서포트(24)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support member 20 includes a first support 21, a second support 22, a third support 23, and a fourth support 24, which are respectively installed at edges of the hopper member 10.

즉, 상기 서포트부재(20)는 호퍼부재(10)의 각 모서리에 설치되어 호퍼부재(10)의 전면판(11), 후면판(12) 및 한 쌍의 측면판(13)이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되게 한다.That is, the support member 20 is installed at each corner of the hopper member 10 so that the front plate 11, the rear plate 12 and the pair of side plates 13 of the hopper member 10 are firmly fixed. To maintain a stable state.

상기 제1 서포트(21)는 호퍼부재(10)의 전면판(11) 일측에 설치되고, 제2 서포트(22)는 호퍼부재(10)의 전면판(11) 타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3 서포트(23)는 호퍼부재(10)의 후면판(12) 일측에 설치되고, 제4 서포트(24)는 호퍼부재(10)의 후면판(12) 타측에 설치된다.The first support 21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front plate 11 of the hopper member 10, the second support 22 is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front plate 11 of the hopper member 10, the third The support 23 is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back plate 12 of the hopper member 10, and the fourth support 24 is installed at the other side of the back plate 12 of the hopper member 10.

이들 제1 서포트(21) 내지 제4 서포트(24)는 호퍼부재(10)의 각 모서리에 설치되어 호퍼부재(10)가 폐석 또는 잡석 등의 하중에 의해 변형 또는 파손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한다.These first and fourth supports 21 to 24 are installed at each corner of the hopper member 10 so that the hopper member 10 is not deformed or damaged by load such as waste rock or rubble.

상기 받침부재(30)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개폐부재(40)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가로프레임(31),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개폐부재(40)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가로프레임(32), 상기 호퍼부재(10)가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상기 제1 가로프레임(31) 및 제2 가로프레임(32) 사이에 설치되는 제1 세로프레임(33) 및 제2 세로프레임(34), 상기 제1 가로프레임(31)과 상기 제2 가로프레임(32)의 양단에 고정되는 제1 고정프레임(35) 및 제2 고정프레임(36)을 포함한다.The support member 30 is formed to a predetermined length,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40 is the first horizontal frame 31, the predetermined length is formed,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40 is movable. The second horizontal frame 32 is installed so as to, the first vertical frame 33 is installed between the first horizontal frame 31 and the second horizontal frame 32 so that the hopper member 10 is firmly supported; A second vertical frame 34, the first horizontal frame 31 and the first fixed frame 35 and the second fixed frame 36 fixed to both ends of the second horizontal frame (32).

상기 받침부재(30)는 호퍼부재(10)에 담긴 폐석 또는 잡석 등의 하중에도 불구하고 호퍼부재(10)를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한다.The support member 30 allows the hopper member 10 to be firmly supported despite the load of waste rock or rubble contained in the hopper member 10.

상기 받침부재(30)는 호퍼부재(10)의 하중에 견디는 강성을 갖도록 대략 'ㄷ'자 형상의 찬넬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받침부재(30)는 찬넬 외에도 H-빔 또는 I-빔 등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support member 30 is composed of a channel of approximately 'c' shape so as to have rigidity withstanding the load of the hopper member 10. In addition, the support member 30 may be used in addition to the channel, such as H-beam or I-beam, of course.

상기 제1 가로프레임(31)은 전면판(11)의 저면에 설치되고, 제2 가로프레임(32)은 후면판(12)의 저면에 설치된다. 이들 제1 가로프레임(31) 및 제2 가로프레임(32)은 전면판(11) 및 후면판(12)으로부터 가해지는 하중 및 중량에 견디는 강성을 갖도록 전면판(11)과 후면판(12)의 저면에 설치된다.The first horizontal frame 31 is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ront plate 11, the second horizontal frame 32 is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ack plate 12. These first horizontal frame 31 and the second horizontal frame 32 is the front plate 11 and the rear plate 12 to have a rigidity to withstand the load and weight applied from the front plate 11 and the rear plate 12 Is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아울러 상기 제1 가로프레임(31)과 제2 가로프레임(32) 사이에는 제1 세로프레임(33)과 제2 세로프레임(34)이 설치된다.In addition, a first vertical frame 33 and a second vertical frame 34 are installed between the first horizontal frame 31 and the second horizontal frame 32.

상기 제1 세로프레임(33)과 제2 세로프레임(34)은 한 쌍의 측면판(13)의 저면에 대응되게 설치되는데, 제1 세로프레임(33)은 한 쌍의 측면판(13)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게 설치되고, 제2 세로프레임(34)은 한 쌍의 측면판(13) 중 다른 하나에 대응되게 설치된다.The first vertical frame 33 and the second vertical frame 34 are installed to correspond to the bottom of the pair of side plates 13, the first vertical frame 33 of the pair of side plates 13 It is installed to correspond to any one, and the second vertical frame 34 is installed to correspond to the other of the pair of side plates (13).

즉, 상기 제1 세로프레임(33)과 제2 세로프레임(34)은 호퍼부재(10)에 가해지는 하중 또는 중량에 견디도록 측면판(13)의 저면에 대응되게 설치된다.That is, the first vertical frame 33 and the second vertical frame 34 are installed to correspon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ide plate 13 to withstand the load or weight applied to the hopper member 10.

아울러 제1 가로프레임(31)과 제2 가로프레임(32)의 양단에는 받침부재(30)가 강성을 갖도록 제1 고정프레임(35)과 제2 고정프레임(36)이 설치된다.In addition, the first fixing frame 35 and the second fixing frame 36 are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first horizontal frame 31 and the second horizontal frame 32 so that the support member 30 has rigidity.

상기 제1 고정프레임(35)은 제1 가로프레임(31)과 제2 가로프레임(32)의 일단에 고정되고, 상기 제2 고정프레임(36)은 제1 가로프레임(31)과 제2 가로프레임(32)의 타단에 고정된다.The first fixed frame 35 is fixed to one end of the first horizontal frame 31 and the second horizontal frame 32, the second fixed frame 36 is the first horizontal frame 31 and the second horizontal It is fixed to the other end of the frame (32).

상기 개폐부재(40)는 상기 호퍼부재(10)의 개방된 저면을 개폐시키도록 소정의 크기로 형성되는 지지플레이트(41), 지게차의 포크가 끼워지도록 상기 지지플레이트(41)의 저면에 고정되는 포크삽입프레임(42), 상기 지지플레이트(41) 상에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43), 상기 지지플레이트(41)가 상기 받침부재(30)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플레이트(43)에 설치되는 바퀴(45)를 포함한다.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40 is fixed to the support plate 41 is formed in a predetermined size to open and close the open bottom of the hopper member 10, the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41 so that the fork of the forklift is fitted Fork insertion frame 42, the fixed plate 43 is fixed on the support plate 41, the support plate 41 is installed on the fixed plate 43 to be movable along the support member 30 And a wheel 45.

상기 개폐부재(40)는 폐석 또는 잡석이 수용된 호퍼부재(10)의 개방된 저면을 개폐시켜 줌으로써 호퍼부재(10)에 수용된 폐석 또는 잡석을 배출시키도록 한다.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40 opens and closes the open bottom of the hopper member 10 in which waste rock or rubble is accommodated, thereby discharging the waste stone or rubble contained in the hopper member 10.

상기 개폐부재(40)는 호퍼부재(10)의 개방된 저면을 개폐시키는 지지플레이트(41), 상기 지지플레이트(41) 상에 설치되는 고정플레이트(43) 및 상기 고정플레이트(43)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바퀴(45)로 이루어진다.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40 is rotatable to the support plate 41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pen bottom surface of the hopper member 10, the fixed plate 43 is installed on the support plate 41 and the fixed plate 43 It is made of a wheel 45 that is installed.

상기 지지플레이트(41)는 소정의 크기를 갖는 평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플레이트(41)는 호퍼부재(10)의 개방된 저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The support plate 41 is formed of a flat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size, and the support plate 41 is installed to be movable on the open bottom of the hopper member 10.

상기 지지플레이트(41)는 호퍼부재(10)의 개방된 저면보다 큰 크기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플레이트(41)의 저면에는 지게차(미도시) 등의 포크(미도시)가 삽입되도록 포크삽입프레임(42)이 고정된다.The support plate 41 is formed in a size larger than the open bottom surface of the hopper member 10, the fork insertion frame such that a fork (not shown) such as a forklift truck (not shown) is inserted in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41. 42 is fixed.

상기 포크삽입프레임(42)은 내부가 빈 중공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포크삽입프레임(42)은 지게차의 포크보다 큰 크기로 형성된다.The fork insertion frame 42 is formed in a hollow hollow shape, the fork insertion frame 42 is formed in a size larger than the fork of the forklift.

아울러 지지플레이트(41)의 양측에는 각각 고정플레이트(43)가 고정되며, 상기 고정플레이트(43)에는 바퀴(45)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결합구멍(44)이 형성된다.In addition, fixing plates 43 are fixed to both sides of the support plate 41, and the fixing plate 43 is provided with a coupling hole 44 such that the wheels 45 are rotatably coupled thereto.

상기 결합구멍(44)에는 제1 가로프레임(31) 및 제2 가로프레임(32)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바퀴(45)가 설치된다.The coupling hole 44 is provided with a wheel 45 so as to be movable along the first horizontal frame 31 and the second horizontal frame 32.

상기 고정플레이트(43)는 상기 바퀴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결합구멍(44), 상기 바퀴(45)는 상기 결합구멍(44)에 결합되도록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고정축(46), 상기 고정축(46)의 일측에 회전바퀴(48)가 이탈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멈춤링홈부(47), 상기 고정축(46)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바퀴(48), 상기 회전바퀴(48)가 상기 고정축(46)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멈춤링홈부(47)에 결합되는 멈춤링(49)을 포함한다.The fixing plate 43 is a coupling hole 44 formed to be rotatably coupled to the wheel, the wheel 45 is a fixed shaft 46 is formed to a predetermined length to be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44, Stop ring groove portion 47 is formed so that the rotation wheel 48 is not separated from one side of the fixed shaft 46, the rotary wheel 48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ixed shaft 46, the rotary wheel 48 ) Includes a stop ring 49 coupled to the stop ring groove 47 so as not to be separated from the fixed shaft 46.

상기 바퀴(45)는 제1 가로프레임(31) 또는 제2 가로프레임(32)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바퀴(45)는 제1 가로프레임(31) 및 제2 가로프레임(32)을 따라 이동됨에 따라 지지플레이트(41) 및 포크삽입프레임(42)을 이동시켜 호퍼부재(10)의 개방된 저면을 개폐시키게 된다.The wheel 45 is installed to be movable along the first horizontal frame 31 or the second horizontal frame 32, the wheel 45 is the first horizontal frame 31 and the second horizontal frame 32. By moving along the support plate 41 and the fork insertion frame 42 to open and close the open bottom of the hopper member 10.

상기 바퀴(45)는 고정축(46)과 회전바퀴(48)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축(46)은 결합구멍(4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고정축(46)에는 멈춤링홈부(47)가 형성된다.The wheel 45 is composed of a fixed shaft 46 and the rotary wheel 48, the fixed shaft 46 is rotatably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44, the stop ring groove portion in the fixed shaft 46 47 is formed.

상기 고정축(46)에는 제1 가로프레임(31) 및 제2 가로프레임(32)을 따라 이동되도록 회전바퀴(48)가 결합되며, 상기 회전바퀴(48)가 고정축(46)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멈춤링홈부(47)에 멈춤링(49)이 설치된다.The fixed wheel 46 is coupled to the rotation wheel 48 to move along the first horizontal frame 31 and the second horizontal frame 32, the rotation wheel 48 is not separated from the fixed shaft 46 The stop ring 49 is installed in the stop ring groove 47.

다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폐석 운반구의 결합관계를 설명한다.Next, the coupling relationship of the waste-rock carrier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폐석 운반구를 도시한 저면 입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폐석 운반구를 도시한 저면 분해 입체도이며, 도 7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폐석 운반구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입체도이다.5 is a bottom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a waste-rock carri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bottom exploded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a waste-rock carri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preferred 3D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n state of the waste-rock carri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폐석 운반구는 전면판(11)과 후면판(12)의 양단에 각각 한 쌍의 측면판(13)을 고정한다.1 to 7, the waste-rock carri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xes a pair of side plates 13 at both ends of the front plate 11 and the rear plate 12, respectively.

상기 호퍼부재(10)는 폐석 또는 잡석 등을 투입할 수 있도록 상면을 개방되게 형성하며, 폐석 또는 잡석 등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저면을 개방되게 형성한다.The hopper member 10 is formed to open the upper surface so that the waste-rock or rubble can be injected, and the bottom surface is opened to discharge the waste-rock or rubble.

아울러 호퍼부재(10)의 측면판(13)은 수용된 폐석 또는 잡석 등이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경사판(13a)을 일체로 형성한다.In addition, the side plate 13 of the hopper member 10 integrally forms the inclined plate 13a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so as to smoothly discharge the received waste stone or rubble.

상기 호퍼부재(10)의 외측에는 호퍼부재(10)를 지지하도록 서포트부재(20)를 설치하며, 상기 서포트부재(20)는 전면판(11)의 양측에 각각 제1 서포트(21)와 제2 서포트(22)를 설치한다.The support member 20 is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hopper member 10 to support the hopper member 10, and the support member 20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plate 11, respectively. 2 Support 22 is installed.

상기 서포트부재(20)의 제3 서포트(23) 및 제4 서포트(24)는 후면판(12)의 양측에 각각 설치한다.The third support 23 and the fourth support 24 of the support member 20 are respectively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rear plate 12.

아울러 호퍼부재(10)의 저면에는 호퍼부재(10)를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받침부재(30)를 설치한다. 상기 받침부재(30)는 호퍼부재(10)의 전면판(11) 저면에 제1 가로프레임(31)을 설치하고, 호퍼부재(10)의 후면판(12) 저면에는 제2 가로프레임(32)을 설치한다.In addition, the support member 30 is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hopper member 10 so as to firmly support the hopper member 10. The supporting member 30 is provided with a first horizontal frame 31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ront plate 11 of the hopper member 10, and the second horizontal frame 32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ack plate 12 of the hopper member 10. Install).

상기 제1 가로프레임(31)과 제2 가로프레임(32) 사이에는 호퍼부재(10)의 측면판(13) 저면을 지지하는 제1 세로프레임(33)과 제2 세로프레임(34)을 설치하고, 제1 가로프레임(31)과 제2 가로프레임(32)의 양단에는 각각 제1 고정프레임(35)과 제2 고정프레임(36)을 설치한다.Between the first horizontal frame 31 and the second horizontal frame 32, a first vertical frame 33 and a second vertical frame 34 support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side plate 13 of the hopper member 10 are installed. The first fixed frame 35 and the second fixed frame 36 are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first horizontal frame 31 and the second horizontal frame 32, respectively.

상기 받침부재(30)의 저면에는 호퍼부재(10)의 개방된 저면을 개폐시키는 개폐부재(40)를 설치한다.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4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pen bottom of the hopper member 10 is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support member 30.

상기 호퍼부재(10)의 저면에는 지지플레이트(41)를 설치하며, 상기 지지플레이트(41)의 저면에는 지게차의 포크(미도시)가 삽입되도록 포크삽입프레임(42)을 설치한다.A support plate 41 is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hopper member 10, and a fork insertion frame 42 is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support plate 41 to insert a fork (not shown) of the forklift truck.

아울러 지지플레이트(41)의 상면에는 고정플레이트(43)를 고정하며, 상기 고정플레이트(43)의 결합구멍(44)에는 고정축(46)을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고정축(46)에는 회전바퀴(48)를 결합하며, 상기 고정축(46)의 멈춤링홈부(47)에는 회전바퀴(48)가 이탈되지 않도록 멈춤링(49)을 결합한다.In addition, the fixing plate 43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41, and the fixing shaft 46 is rotatably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44 of the fixing plate 43, and the fixing shaft 46 The rotary wheel 48 is coupled, and the stop ring groove 47 of the fixed shaft 46 is coupled to the stop ring 49 so that the rotary wheel 48 is not separated.

다음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폐석 운반구의 작동방법을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method of the waste-rock carrier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0.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폐석 운반구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저면 입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폐석 운반구가 개방되기 전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폐석 운반구가 개방되기 전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8 is a bottom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aste-rock carrier is opene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before opening the waste-rock carri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before opening the waste-rock carri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폐석 운반구는 호퍼부재(10)의 내부 공간에 이동 또는 운반시키고자 하는 폐석이나 잡석 등을 수용하게 된다.As shown in Figure 1 to 10, the waste-rock carr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accommodate the waste-rock or rubble to move or transport in the interior space of the hopper member (10).

이때 호퍼부재(10)의 저면에 설치된 개폐부재(40)는 닫힌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40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hopper member 10 is to maintain a closed state.

이와 같이 호퍼부재(10)에 이동시키고자 하는 폐석 또는 잡석이 수용된 상태에서 지게차를 이용하여 호퍼부재(10)를 이동시키게 된다.As such, the hopper member 10 is moved by using a forklift in a state where waste rock or rubble to be moved to the hopper member 10 is accommodated.

상기 개폐부재(40)의 포크삽입프레임(42)에는 지게차의 포크를 끼워 넣게 되고, 상기 지게차에 의해 호퍼부재(10)를 이동시키고자 하는 위치나 장소로 이동하게 된다.The fork of the forklift is inserted into the fork insertion frame 42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40, and the forklift is moved to a position or a place to move the hopper member 10 by the forklift.

즉, 지게차의 포크는 서로 맞대어진 한 쌍의 개폐부재(40)에 끼워지게 되며, 지게차에 의해 이동하고자 하는 위치나 장소로 이동하여 이동된 상태에서 개폐부재(40)를 개방시킴에 따라 호퍼부재(10)의 폐석 또는 잡석을 배출시키게 된다.That is, the fork of the forklift is fitted to a pair of opening and closing members 40 which are opposed to each other, and the hopper member is opened by opening and closing the member 40 in the moved state by moving to a position or place to be moved by the forklift. The waste or rubble of (10) will be discharged.

도 5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호퍼부재(10)의 저면에 설치된 개폐부재(40)는 닫힌 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호퍼부재(10) 내에 폐석이나 잡석을 수용시키며, 이동된 위치로 이동된 상태에서 도 7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부재(40)를 개방시키게 된다.5 and 8,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40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hopper member 10 accommodates the waste stone or rubble in the hopper member 10 in a closed state, and moved position As shown in FIGS. 7 and 9, the opening / closing member 40 is opened.

이러한 개폐부재(40)의 개방은 포크삽입프레임(42)에 삽입된 지게차의 포크를 좌우로 이동시키게 된다.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40 moves the fork of the forklift truck inserted into the fork insertion frame 42 to the left and right.

상기 포크가 이동됨에 따라 포크삽입프레임(42)이 이동되며, 상기 지지플레이트(41)는 바퀴(45)의 회전바퀴(48)가 제1 가로프레임(31) 및 제2 가로프레임(32)을 따라 이동된다.As the fork is moved, the fork insertion frame 42 is moved, and the support plate 41 rotates the wheel 48 of the wheel 45 to the first horizontal frame 31 and the second horizontal frame 32. Is moved along.

이와 같이 개폐부재(40)는 도 8 및 도 9에서와 같이 좌우로 대칭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개폐부재(40)가 개방됨에 따라 호퍼부재(10) 내부에 수용된 폐석 또는 잡석이 배출된다.As described above,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40 moves in a symmetrical direction from side to side as in FIGS. 8 and 9, and as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40 is opened, waste stone or rubble received in the hopper member 10 is discharged.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e invention made by the present inventor was demonstrated concretely according to the said Example,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aid Example and can be variously changed in the range which does not deviate from the summary.

10: 호퍼부재 11: 전면판
12: 후면판 13: 측면판
13a: 경사판
20: 서포트부재 21: 제1 서포트
22: 제2 서포트 23: 제3 서포트
24: 제4 서포트
30: 받침부재 31: 제1 가로프레임
32: 제2 가로프레임 33: 제1 세로프레임
34: 제2 세로프레임 35: 제1 고정프레임
36: 제2 고정프레임
40: 개폐부재 41: 지지플레이트
42: 포크삽입프레임 43: 고정플레이트
44: 결합구멍 45: 바퀴
46: 고정축 47: 멈춤링홈부
48: 회전바퀴 49: 멈춤링
10: Hopper member 11: Front panel
12: backplane 13: sideplane
13a: inclined plate
20: support member 21: first support
22: 2nd support 23: 3rd support
24: Fourth Support
30: support member 31: the first horizontal frame
32: second horizontal frame 33: first vertical frame
34: second vertical frame 35: first fixed frame
36: second fixed frame
40: opening and closing member 41: support plate
42: fork insertion frame 43: fixed plate
44: coupling hole 45: wheel
46: fixed shaft 47: retaining ring groove
48: rotation wheel 49: stop ring

Claims (5)

일정량의 폐석을 담을 수 있도록 개방된 상면과 폐석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저면이 개방되게 형성된 호퍼부재(10);
상기 호퍼부재(10)가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상기 호퍼부재(10)의 측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서포트부재(20);
상기 호퍼부재(10)의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호퍼부재(10)를 견고하게 지지하는 받침부재(30);
상기 받침부재(30)의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호퍼부재(10)의 개방된 저면을 개폐시키는 개폐부재(40)를 포함하되;
상기 받침부재(30)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개폐부재(40)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가로프레임(31);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개폐부재(40)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가로프레임(32);
상기 호퍼부재(10)가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상기 제1 가로프레임(31) 및 제2 가로프레임(32) 사이에 설치되는 제1 세로프레임(33) 및 제2 세로프레임(34);
상기 제1 가로프레임(31)과 상기 제2 가로프레임(32)의 양단에 고정되는 제1 고정프레임(35) 및 제2 고정프레임(3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석 운반구.
A hopper member 10 having an upper surface open to contain a predetermined amount of waste rock and a bottom surface open to discharge waste rock;
A support member 20 installed perpendicularly to a side of the hopper member 10 so that the hopper member 10 is firmly supported;
A support member 30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hopper member 10 to firmly support the hopper member 10;
It is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support member 30 includes an opening and closing member 4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pen bottom of the hopper member 10;
The support member 30 is formed to a predetermined length, the first horizontal frame 31,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40 is installed to be movable;
A second horizontal frame 32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having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40 movable thereon;
A first vertical frame 33 and a second vertical frame 34 installed between the first horizontal frame 31 and the second horizontal frame 32 so that the hopper member 10 is firmly supported;
Waste rock carrying device comprising a; and the first fixed frame (35) and the second fixed frame (36) fixed to both ends of the first horizontal frame (31) and the second horizontal frame (3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부재(10)는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전면판(11);
상기 전면판(11)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후면판(12);
상기 전면판(11)과 상기 후면판(12) 사이에 고정되는 한 쌍의 측면판(13);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측면판(13)은 수용된 폐석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판(13a);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석 운반구.
The method of claim 1,
The hopper member 10 includes a front plate 11 formed in a predetermined shape;
A rear plate 12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front plate 11;
And a pair of side plates 13 fixed between the front plate 11 and the back plate 12.
The pair of side plates 13 is inclined plate (13a) is form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so that the discharge of the received waste-rock smoothly made; waste-rock carri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40)는 상기 호퍼부재(10)의 개방된 저면을 개폐시키도록 소정의 크기로 형성되는 지지플레이트(41);
지게차의 포크가 끼워지도록 상기 지지플레이트(41)의 저면에 고정되는 포크삽입프레임(42);
상기 지지플레이트(41) 상에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43);
상기 지지플레이트(41)가 상기 받침부재(30)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플레이트(43)에 설치되는 바퀴(4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석 운반구.
The method of claim 1,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40 is a support plate 41 is formed to a predetermined size to open and close the open bottom of the hopper member 10;
Fork insertion frame 42 is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41 so that the fork of the forklift is fitted;
A fixed plate 43 fixed on the support plate 41;
And a wheel (45) installed on the fixed plate (43) such that the support plate (41) is movable along the support member (3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플레이트(43)는 상기 바퀴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결합구멍(44);
상기 바퀴(45)는 상기 결합구멍(44)에 결합되도록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고정축(46);
상기 고정축(46)의 일측에 회전바퀴(48)가 이탈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멈춤링홈부(47);
상기 고정축(46)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바퀴(48);
상기 회전바퀴(48)가 상기 고정축(46)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멈춤링홈부(47)에 결합되는 멈춤링(4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석 운반구.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fixing plate 43 is a coupling hole 44 is formed so that the wheel is rotatably coupled;
The wheel 45 has a fixed shaft 46 is formed to a predetermined length to be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44;
A stop ring groove 47 formed at one side of the fixed shaft 46 such that the rotation wheel 48 is not separated;
A rotation wheel 48 rotatably coupled to the fixed shaft 46;
And a stop ring (49) coupled to the stop ring groove (47) so that the rotation wheel (48) is not separated from the fixed shaft (46).
KR1020180157764A 2018-12-10 2018-12-10 Waste septic tank KR10202450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7764A KR102024509B1 (en) 2018-12-10 2018-12-10 Waste septic tan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7764A KR102024509B1 (en) 2018-12-10 2018-12-10 Waste septic tan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4509B1 true KR102024509B1 (en) 2019-09-24

Family

ID=68068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7764A KR102024509B1 (en) 2018-12-10 2018-12-10 Waste septic tan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4509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4339A (en) 2021-03-03 2022-09-14 최석재 Storage Box for Transporting Construction Materials
KR20230000257A (en) * 2021-06-24 2023-01-02 스틸디오 주식회사 Grain transport bin for easy discharging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75672A (en) * 1982-07-06 1984-10-09 Whitehead Jerald M Hopper discharge device
JPH11301781A (en) * 1998-04-20 1999-11-02 Kawasaki Steel Corp Hopper
KR100824982B1 (en) * 2007-11-14 2008-04-28 한빛테크원 (주) A armroll container
JP2008239243A (en) * 2007-03-29 2008-10-09 Kaneko Agricult Mach Co Ltd Fodder feed tank
KR20110053518A (en) 2009-11-16 2011-05-24 고재원 A gunny bag for carriage of piece stone
KR20130048460A (en) 2011-11-02 2013-05-10 고재원 A gunny for carriage piece stone
KR20140103420A (en) 2013-02-18 2014-08-27 엔피씨(주) Folding type carry box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75672A (en) * 1982-07-06 1984-10-09 Whitehead Jerald M Hopper discharge device
JPH11301781A (en) * 1998-04-20 1999-11-02 Kawasaki Steel Corp Hopper
JP2008239243A (en) * 2007-03-29 2008-10-09 Kaneko Agricult Mach Co Ltd Fodder feed tank
KR100824982B1 (en) * 2007-11-14 2008-04-28 한빛테크원 (주) A armroll container
KR20110053518A (en) 2009-11-16 2011-05-24 고재원 A gunny bag for carriage of piece stone
KR20130048460A (en) 2011-11-02 2013-05-10 고재원 A gunny for carriage piece stone
KR20140103420A (en) 2013-02-18 2014-08-27 엔피씨(주) Folding type carry box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4339A (en) 2021-03-03 2022-09-14 최석재 Storage Box for Transporting Construction Materials
KR102553997B1 (en) 2021-03-03 2023-07-10 최석재 Storage Box for Transporting Construction Materials
KR20230000257A (en) * 2021-06-24 2023-01-02 스틸디오 주식회사 Grain transport bin for easy discharging
KR102554440B1 (en) 2021-06-24 2023-07-11 스틸디오 주식회사 Grain transport bin for easy discharg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4509B1 (en) Waste septic tank
US2013002244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ulk transport of proppant
US8794833B2 (en) Two-handled bag
EP3341259B1 (en) Wheelbarrow
CN101376396A (en) Multi-purpose wheelbarrow
WO2017095423A1 (en) Soft-sided bulk material storage container
US10486579B2 (en) Lightweight transport, storage and delivery system
CA2554518A1 (en) Method of receiving and transporting solid waste
US20120193354A1 (en) Flexible container assembly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the same
US20070108085A1 (en) Debris removal container and method of removing debris from a construction site
GB2429198A (en) Lifting sleeves of a bulk bag
KR101057731B1 (en) Stone Debris Carrying Rod
US11104510B2 (en) Lightweight transport, storage, and delivery system
KR101199565B1 (en) Food Garbage Truck with Container Unloading Apparatus
NZ532375A (en) Container loader
US20060120836A1 (en) Bag lift for an air seeder tank
JP3814023B2 (en) Container box
ES2265249B1 (en) TRUCK FOR THE COLLECTION OF URBAN WASTE.
BR202020005752U2 (en) disposition applied in stationary and or mobile bucket for storage with exact measurements and fractional discharges of bulk products in wheelbarrows and the like.
CN104340851A (en) Container used for collecting and discharging materials
GB2515898A (en) Container
JP2002326663A (en) Flexible container bag and method of carrying bag of cement using the same
JP3408726B2 (en) Sediment transport equipment and method for transporting sediment in tunnels
AU2004100560B4 (en) Bag for Multiple Lifting Modes
GB2304334A (en) Transportable Skip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